KR101560124B1 - 우드 슬랫 타공 금형 - Google Patents

우드 슬랫 타공 금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60124B1
KR101560124B1 KR1020150082347A KR20150082347A KR101560124B1 KR 101560124 B1 KR101560124 B1 KR 101560124B1 KR 1020150082347 A KR1020150082347 A KR 1020150082347A KR 20150082347 A KR20150082347 A KR 20150082347A KR 101560124 B1 KR101560124 B1 KR 1015601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nch
slat
wood
module
wood sl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823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원모
Original Assignee
김원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원모 filed Critical 김원모
Priority to KR10201500823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6012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601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601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CPLANING, DRILLING, MILLING, TURNING OR UNIVERSAL MACHINES FOR WOOD OR SIMILAR MATERIAL
    • B27C5/00Machines designed for producing special profiles or shaped work, e.g. by rotary cutters; Equipment therefor
    • B27C5/02Machines with table
    • B27C5/04Guide fences for wor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F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F1/00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Apparatus therefor
    • B26F1/02Perforating by punching, e.g. with relatively-reciprocating punch and bed
    • B26F1/14Punching tools; Punching di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erforating, Stamping-Out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AREA)

Abstract

우드 슬랫 타공 금형이 개시된다. 이 우드 슬랫 타공 금형은, 우드 슬랫을 받치는 슬랫 받침 블록; 상기 슬랫 받침 블록과의 사이에 상기 우드 슬랫이 삽입되는 갭을 한정하면서 상기 슬랫 받침 블록 상부에 배치되는 모듈 가이드 블록; 및 상기 모듈 가이드 블록에 형성된 모듈 가이드 홀을 따라 상하로 가이드되는 펀치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펀치 모듈은 상기 우드 슬랫에 슬롯형의 구멍을 형성하기 위한 펀치와, 상기 펀치의 상부에 고정되는 제1 바디와, 상기 제1 바디와 이격된 상태로 상기 펀치의 상하 이동을 가이드하는 제2 바디와, 상기 제1 바디와 상기 제2 바디 사이에 개재된 탄성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펀치 모듈이 상기 모듈 가이드 홀을 따라 하강하여 상기 갭 내에서 상기 제2 바디가 상기 우드 슬랫에 접할 때, 상기 제2 바디는 상기 탄성 수단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우드 슬랫을 가압 고정하며, 상기 제2 바디가 상기 우드 슬랫을 가압 고정한 상태에서, 상기 펀치는 상기 제2 바디에 형성된 펀치 가이드 홀을 따라 더 하강하여 상기 우드 슬랫을 타공한다.

Description

우드 슬랫 타공 금형{metal mold for puching wood slat}
본 발명은 우드 슬랫 타공 장치에 이용되는 우드 슬랫 타공 금형 금형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우드 슬랫 타공 장치를 이용해 우드 슬랫을 타공할 때, 깨짐이나 손상 없는 깨끗한 표면의 구멍을 우드 슬랫에 형성할 수 있도록 보장하는 우드 슬랫 타공 금형에 관한 것이다.
블라인드는 건물의 창호에 설치되어 창을 통해 실내로 유입되는 들어오는 햇빛을 가리는데 이용된다. 특히, 우드 블라인드는 상하로 나란하게 연속 설치된 다수의 우드 슬랫들을 포함하며, 이 다수의 우드 슬랫들이 펼쳐지는 각도에 따라 창호를 통해 들어는 햇빛의 양을 조절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우드 블라인드는 우드 슬랫들의 각도 및 위치를 조절하기 위한 조절 끈을 포함한다. 이 조절 끈을 우드 슬랫들에 연결하기 위해서는, 우드 슬랫에 조절 끈을 끼우기 위한 다수의 구멍들을 형성하는 타공 작업이 필수적으로 요구된다.
타공 작업을 위해 우드 슬랫에 다수의 구멍을 연속적으로 형성하는 타공장치가 이용된다. 이러한 우드슬랫 타공장치의 한 예가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1512425호에 개시된다. 종래의 우드 슬랫 타공장치는 구동수단과, 우드 슬랫 타공 금형을 포함한다. 또한, 우드 슬랫 타공 금형은 구동수단에 의해 상하로 구동되는 펀치와 공급되는 우드 슬랫을 받치는 한편, 펀치의 상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홀을 구비한 받침 블록을 포함한다.
하지만, 종래의 우드 슬랫 타공장치는 펀치가 우드 슬랫을 타공할 때 큰 충격을 발생시키고 그 충격이 우드 슬랫의 타공 부위에 전해져 타공 부위의 원치 않는 움직임을 야기한다. 그로 인해, 우드 슬랫은 타공된 구멍 주변 표면이 매끄럽지 못하고 많은 깨짐이나 손상이 발생된다. 또한, 종래 우드 슬랫 타공장치에 있어서, 펀치는 평평한 선단면에 v형 홈을 형성해 만들어진 두개의 평행한 직선 날을 포함한다. 이 두개의 평행한 직선 날은 우드 슬랫 타공시 우드 슬랫의 표면과 전체적으로 접촉하여, 펀치가 우드 슬랫을 처음 뚫기 시작하는 영역의 과도함을 유발하여 이 또한 우드 슬랫 손상을 초래할 수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512425(2015. 04. 09.)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우드 슬랫을 타공할 때, 깨짐이나 손상 없이 깨끗한 표면의 구멍을 우드 슬랫에 형성할 수 있도록 보장하는 우드 슬랫 타공 금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른 우드 슬랫 타공 금형은, 우드 슬랫을 받치는 슬랫 받침 블록; 상기 슬랫 받침 블록과의 사이에 상기 우드 슬랫이 삽입되는 갭을 한정하면서 상기 슬랫 받침 블록 상부에 배치되는 모듈 가이드 블록; 및 상기 모듈 가이드 블록에 형성된 모듈 가이드 홀을 따라 상하로 가이드되는 펀치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펀치 모듈은 상기 우드 슬랫에 슬롯형의 구멍을 형성하기 위한 펀치와, 상기 펀치의 상부에 고정되는 제1 바디와, 상기 제1 바디와 이격된 상태로 상기 펀치의 상하 이동을 가이드하는 제2 바디와, 상기 제1 바디와 상기 제2 바디 사이에 개재된 탄성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펀치 모듈이 상기 모듈 가이드 홀을 따라 하강하여 상기 갭 내에서 상기 제2 바디가 상기 우드 슬랫에 접할 때, 상기 제2 바디는 상기 탄성 수단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우드 슬랫을 가압 고정하며, 상기 제2 바디가 상기 우드 슬랫을 가압 고정한 상태에서, 상기 펀치는 상기 제2 바디에 형성된 펀치 가이드 홀을 따라 더 하강하여 상기 우드 슬랫을 타공한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펀치는, 상기 펀치 모듈과 상기 펀치 모듈을 상하 구동시키는 구동수단 간의 연결을 위한 연결부와, 상기 제1 바디를 측방향으로 관통한 제1 핀이 꼭 맞게 끼워지는 고정핀홀과, 상기 제2 바디를 측방향으로 관통한 제2 핀을 수용하되 상기 제2 핀의 직경보다 큰 높이로 상하 기다랗게 형성된 가이드슬롯을 구비하며, 상기 제1 바디의 저면에는 한 쌍의 제1 스프링 유지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2 바디의 상면에는 한 쌍의 제2 스프링 유지홈이 형성되며, 상기 탄성수단은 상기 제1 바디와 상기 제2 바디 사이에 개재된 한 쌍의 압축 코일 스프링을 포함하며, 상기 한 쌍의 압축 코일 스프링 각각은 상단이 상기 제1 스프링 유지홈에 끼워져 유지되고 하단이 상기 제2 스프링 유지홈에 끼워져 유지된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펀치는 선단에 V형 홈을 형성하여 이루어진 한 쌍의 수렴형 펀치 날을 서로 평행하게 구비하며, 상기 한 쌍의 수렴형 펀치 날 각각은 중앙의 첨단과 상기 첨단에 대하여 150 ~ 170도로 교차하는 한 쌍의 대칭형 에지 라인을 포함하여 상기 첨단을 향해 뾰족하게 형성된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슬랫 받침 블록은 서로 평행한 상면과 하면을 포함하되, 상기 상면으로부터 하면까지 이어진 펀치 하강 허용홀과, 상면 일측에 평평하게 형성된 융기부를 구비하며, 상기 모듈 가이드 블록은 상기 융기부에 접한 상태로 상기 슬랫 받침 블록과 연결되어, 상기 슬랫 받침 블록의 상면과 이격되며, 상기 이격에 의해, 상기 모듈 가이드 블록과 상기 슬랫 받침 볼륵 사이에 상기 우드 슬랫이 공급되는 갭이 형성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라 제1 상태, 제2 상태 및 제3 상태를 갖는 우드 슬랫 타공 금형이 제공되며, 이 우드 슬랫 타공 금형은, 우드 슬랫을 받치는 슬랫 받침 블록; 상기 슬랫 받침 블록과의 사이에 우드 슬랫이 삽입되는 갭을 한정하면서 상기 슬랫 받침 블록 상부에 배치되는 모듈 가이드 블록; 및 상기 모듈 가이드 블록에 형성된 모듈 가이드 홀을 따라 상하로 가이드되는 펀치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펀치 모듈은 우드 슬랫에 슬롯형의 구멍을 형성하기 위한 펀치와, 상기 펀치의 상부에 고정되는 제1 바디와, 상기 제1 바디와 이격된 상태로 상기 펀치의 상하 이동을 가이드하는 제2 바디와, 상기 제1 바디와 상기 제2 바디 사이에 개재된 복수의 압축 코일 스프링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상태에서는 상기 제2 바디의 저면이 상기 모듈 가이드 블록의 저면 높이 이상으로 위치하고, 상기 펀치의 선단은 상기 제2 바디의 저면 높이 이상으로 위치하며, 상기 제2 상태에서는 상기 펀치 모듈이 상기 모듈 가이드 블록의 상기 모듈 가이드 홀을 통해 상기 모듈 가이드 블록의 저면을 넘어 하강하여, 상기 제2 바디가 상기 우드 슬랫에 접하며, 상기 제2 상태로부터 상기 제3 상태 직전까지 상기 압축 코일 스프링의 탄성 변형을 수반한 상기 제1 바디와 상기 제2 바디 사이의 간격 감소가 있고, 상기 제2 바디는 상기 압축 코일 스프링 탄성력에 의해 상기 우드 슬랫을 가압, 고정하며, 상기 제3 상태에서는 상기 펀치 모듈에서 상기 펀치가 더 더 하강하여 상기 우드 슬랫을 타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우드 슬랫 타공 금형은 깨짐이나 손상 없이 깨끗한 표면의 구멍을 우드 슬랫에 형성할 수 있도록 보장한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우드 슬랫 타공 금형은 펀치가 우드 슬랫을 타공하기 직전에 펀치 모듈에 구비된 제2 바디가 탄성 수단의 편향력에 의해 우드 슬랫을 가압하여 주므로, 타공시 우드 슬랫의 원치 않는 움직임으로 인한 깨짐이나 손상을 막을 수 있다. 또한, 펀치의 선단에 한 쌍으로 구비된 한 쌍의 수렴형 펀치 날 구조에 의해 보다 더 깨끗한 표면의 슬롯형 구멍을 우드 슬랫에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우드 슬랫 타공 금형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우드 슬랫 타공 금형을 슬랫 받침 블록, 모듈 가이드 블록 및 펀치 모듈로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우드 슬랫 타공 금형의 펀치 모듈을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우드 슬랫 타공 금형의 펀치 모듈을 다른 방향에서 도시한 분해사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우드 슬랫 타공 금형을 제1 상태에서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우드 슬랫 타공 금형을 제2 상태에서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우드 슬랫 타공 금형을 제3 상태에도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우드 슬랫 타공 금형을 제1 상태에서 도시한 정단면도이다.
도 9는 펀치의 선단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a, 도 10b 및 도 10c는 본 발명에 따른 우드 슬랫 타공 금형을 이용하여 타공한 우드 슬랫의 슬롯형 구멍과 종래 기술로 타공한 우드 슬랫의 슬롯형 구멍을 비교하는 사진들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우드 슬랫 타공 금형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우드 슬랫 타공 금형을 슬랫 받침 블록, 모듈 가이드 블록 및 펀치 모듈로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우드 슬랫 타공 금형의 펀치 모듈을 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우드 슬랫 타공 금형의 펀치 모듈을 다른 방향에서 도시한 분해사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우드 슬랫 타공 금형을 제1 상태에서 도시한 측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우드 슬랫 타공 금형을 제2 상태에서 도시한 측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우드 슬랫 타공 금형을 제3 상태에도 도시한 측단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우드 슬랫 타공 금형을 제1 상태에서 도시한 정단면도이고, 도 9는 펀치의 선단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10a, 도 10b 및 도 10c는 본 발명에 따른 우드 슬랫 타공 금형을 이용하여 타공한 우드 슬랫의 슬롯형 구멍과 종래 기술로 타공한 우드 슬랫의 슬롯형 구멍을 비교하는 사진들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우드 슬랫 타공 금형은 우드 슬랫(W)을 받치는 슬랫 받침 블록(1)과, 슬랫 받침 블록(1)과의 사이에 우드 슬랫(W)이 삽입되는 갭을 한정하면서 상기 슬랫 받침 블록(1) 상부에 배치되는 모듈 가이드 블록(2)과, 상기 모듈 가이드 블록(2)에 형성된 모듈 가이드 홀(21)을 따라 상하로 가이드되는 펀치 모듈(3)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펀치 모듈(3)은 상하로 구동될 때 우드 슬랫(W)에 슬롯(slot)형의 구멍을 형성하는 펀치(36)와, 상기 펀치(36)의 상부에 고정되는 제1 바디(32)와, 상기 제1 바디(32)와 이격된 상태로 상기 펀치(32)의 상하 이동을 가이드하는 제2 바디(34)와, 상기 제1 바디(32)와 상기 제2 바디(34) 사이에 개재된 탄성수단(33)을 포함한다.
상기 펀치 모듈(3)은, 모듈 가이드 블록(2)의 모듈 가이드 홀(21)을 따라 우드 슬랫(W)이 공급된 상기 슬랫 받침 블록(1)과 모듈 가이드 블록(2) 사이의 갭 내부까지 하강하여, 상기 제2 바디(34)의 저면이 우드 슬랫(W)에 가장 먼저 접한다. 이 시점으로부터 펀치 모듈(3)을 하강시키는 힘이 구동수단에 의해 계속 가해지면, 상기 탄성수단(33)이 압축되면서 상기 제2 바디(34)가 상기 우드 슬랫(W)의 타공될 부위를 강하게 가압 고정하게 된다. 상기 탄성수단(33)이 최대로 압축되면, 상기 펀치(36)가 상기 제2 바디(34)에 형성된 펀치 가이드 홀(341)을 통해 하강하여 상기 우드 슬랫(W)을 타공한다.
상기 제2 바디(34)에 의한 상기 우드 슬랫(W)에 대한 가압 및 그를 통한 고정과 상기 펀치(36)에 의한 상기 우드 슬랫(W) 타공은 상기 슬랫 받침 블록(1)과 상기 모듈 가이드 블록(2) 사이의 갭 내에서 주로 이루어진다. 상기 슬랫 받침 블록(1)에는 펀치(36)의 추가 하강을 허용하는 펀치 하강 허용홀(11)이 형성된다.
상기 슬랫 받침 블록(1)은 서로 평행한 상면과 하면을 포함하며, 상기 상면으로부터 하면까지 이어진 펀치 하강 허용홀(11)이 상하 관통형으로 형성된다. 상기 펀치 하강 허용홀(11)은 상기 펀치(36)의 단면 형상에 상응하는 기다란 슬롯 형태로 이루어져 있다. 더 나아가, 상기 슬랫 받침 블록(1)은 상면 일측에 평평하게 형성된 융기부(12)를 구비한다.
상기 모듈 가이드 블록(2)은 일정 높이를 갖는 직육면체로 이루어지며, 상기 융기부(12)에 접한 상태로 상기 슬랫 받침 블록(1)과 연결되어, 상기 슬랫 받침 블록(1)의 상면과 이격되며, 상기 이격에 의해, 상기 슬랫 받침 볼륵(1)과의 사이에 상기 우드 슬랫(W)이 삽입되는 갭을 한정한다. 또한 상기 모듈 가이드 블록(2)은 펀치 모듈(3)의 상하 이동을 가이드하는 모듈 가이드 홀(21)을 상하 관통 형태로 포함한다.
앞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상기 펀치 모듈(3)은, 펀치(36)와, 제1 및 제2 바디(32, 34)와 탄성수단(33)을 조립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펀치(36)의 상부에 구멍 형태로 구비된 연결부(361)를 통해 예컨대 캠을 포함하는 구동수단(미도시됨)에 연결되어, 그 구동수단의 구동시 상하로 직선 왕복 운동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펀치(36)는 첨단을 향해 뾰족하게 형성된 한 쌍의 수렴형 펀치 날(365, 365)을 서로 평행하게 구비하며, 상기 한 쌍의 수렴형 펀치 날(365, 365) 각각은 중앙의 첨단(365a)과 그 첨단에 대하여 150 ~ 170도로 교차하는 한 쌍의 대칭형 에지 라인(365b, 365b)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한 쌍의 수렴형 펀치 날(365, 365)은 펀치(36)의 선단에 V형의 홈을 형성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상기 펀치(36)는, 중앙에 첨단(365a)을 포함하는 한 쌍의 수렴형 펀치 날(365)로 우드 슬랫(W)을 타공할 수 있는 구조에 의해, 타공 초기에는 접촉 면적에 대해 가장 큰 타공력으로 우드 슬랫(W)을 뚫고 그 다음 점차 구멍을 확장하는 것이 가능하며, 이는 타공시 우드 슬랫(W)이 깨지거나 손상되는 것을 막는데 크게 기여한다.
또한, 상기 펀치(36)는 제1 핀구멍(327)을 통해 상기 제1 바디(32)를 측방향으로 관통한 제1 핀(37)이 꼭 맞게 끼워지는 고정핀홀(327)과, 상하로 기다랗게 형성되고 제2 핀구멍(347)을 통해 상기 제2 바디(34)를 측방향으로 관통하는 제2 핀(38)을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수용하는 가이드슬롯(363)을 구비한다. 상기 제1 바디(32)는 상기 펀치(36)의 관통을 허용하는 펀치 삽입홀(321)을 상하 관통형으로 구비하며, 상기 펀치(36)는 상기 펀치 삽입홀(321)을 통해 상기 제1 바디(38)를 관통한 상태로 상기 고정핀홀(327)에 상기 제1 핀(37)이 꼭 맞게 끼워져 상기 제1 바디(32)에 고정된다. 또한, 상기 펀치(36)는 상기 제2 바디(34)에 형성된 펀치 가이드 홀(341)을 통해 상하 직선 이동 가능하게 끼워진다. 이때, 상기 가이드슬롯(363)은 상기 제2 핀(37)의 직경보다 큰 높이로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펀치(36)가 일정 길이 구간으로 상하 이동하는 것을 허용한다.
또한, 상기 제1 바디(32)의 저면에는 한 쌍의 제1 스프링 유지홈(322, 322)이 형성되고, 상기 제2 바디(34)의 상면에는 한 쌍의 제2 스프링 유지홈(342, 342)이 형성된다. 한편, 상기 탄성수단(33)은 상기 제1 바디(32)와 상기 제2 바디(34) 사이에 개재된 한 쌍의 압축 코일 스프링(33, 33)을 포함한다. 한 쌍의 압축 코일 스프링(33, 33) 각각은 상단이 제1 스프링 유지홈(322)에 끼워져 유지되고 하단이 제2 스프링 유지홈(342)에 끼워져 유지된다.
도 5 내지 도 7에 가장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우드 슬랫 타공 금형은 제1 상태, 제2 상태 및 제3 상태를 포함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드 슬랫 타공 금형의 제1 상태는, 펀치 모듈(3)이 구동 수단에 의한 하강되기 전의 상태이다. 이 제1 상태에서는, 펀치 모듈(3)의 제2 바디(34) 하단이 모듈 가이드 블록(1)의 저면 높이 이상으로 위치하며, 펀치 모듈(3)의 펀치(36)는 제2 바디(34)의 저면 높이 이상으로 위치한다. 우드 슬랫 타공 금형이 제1 상태에 있을 때, 우드 슬랫(W)이 모듈 가이드 블록(2)과 슬랫 받침 블록(1) 사이의 갭 내로 제공되어 슬랫 받침 볼록(1) 상에 받쳐져 지지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드 슬랫 타공 금형의 제2 상태는, 펀치 모듈(3)이 구동 수단에 의해 하강하여 우드 슬랫(W)을 가압, 고정하는 상태이다. 이 제2 상태에서는, 펀치 모듈(3)이 모듈 가이드 블록(2)의 모듈 가이드 홀(21)을 통해 모듈 가이드 블록(2)의 저면을 넘어 최대로 하강하여, 펀치 모듈(3) 하단의 제2 바디(34)가 우드 슬랫(W)에 접한다. 이때까지는, 탄성 수단을 구성하는 압축 코일 스프링(33, 33)의 탄상 압축 변형과 그 탄성 압축 변형에 대항하는 펀치(36)의 하강은 일어나지 않는다.
도 6에 도시된 제2 상태로부터 이하 설명되는 제3 상태 직전까지 압축 코일 스프링(33, 33)의 탄성 압축 변형을 수반한 제1 바디(32)와 제2 바디(34) 사이의 간격 감소가 이루어진다. 제2 상태로부터 제3 상태 직전까지, 상기 펀치 모듈(36)은 압축 코일 스프링(33, 33)의 편향력에 의해 아래로 힘을 받는 제2 바디(34)에 의해 상기 우드 슬랫(W)을 강하게 압박, 고정하게 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드 슬랫 타공 금형의 제3 상태는 우드 슬랫(W)에 막혀 더 이상의 하강 또는 수축이 일어날 수 없는 펀치 모듈(3)에서 펀치(36)만이 더 하강하여 우드 슬랫(W)을 타공하는 상태이다. 이 제3 상태에서는, 압축 코일 스프링(33, 33)의 탄성 압축 변형이 더 이상 이루어지지 않은 임계 상태를 넘어서게 되어, 제1 바디(32)와 제2 바디(34) 사이의 간격 감소 및 펀치 모듈(36)의 수축이 더 이상 일어나지 않으며, 펀치(36)만이 제2 바디(34)의 펀치 가이드 홀(341)을 통해 제2 바디(34)의 저면을 넘어 더 하강하여 우드 슬랫(W)을 타공한다. 우드 슬랫(W)을 타공한 펀치(36)의 선단은 상기 슬랫 받침 블록(1)의 펀치 하강 허용홀(11)을 통해 우드 슬랫(W)의 저면 아래 충분한 깊이로 더 하강하게 된다.
1: 슬랫 받침 블록 2: 모듈 가이드 블록
3: 펀치 모듈 32: 제1 바디
33: 탄성수단 34: 제2 바디
36: 펀치

Claims (5)

  1. 우드 슬랫을 받치는 슬랫 받침 블록;
    상기 슬랫 받침 블록과의 사이에 상기 우드 슬랫이 삽입되는 갭을 한정하면서 상기 슬랫 받침 블록 상부에 배치되는 모듈 가이드 블록; 및
    상기 모듈 가이드 블록에 형성된 모듈 가이드 홀을 따라 상하로 가이드되는 펀치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펀치 모듈은 상기 우드 슬랫에 슬롯형의 구멍을 형성하기 위한 펀치와, 상기 펀치의 상부에 고정되는 제1 바디와, 상기 제1 바디와 이격된 상태로 상기 펀치의 상하 이동을 가이드하는 제2 바디와, 상기 제1 바디와 상기 제2 바디 사이에 개재된 탄성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펀치 모듈이 상기 모듈 가이드 홀을 따라 하강하여 상기 갭 내에서 상기 제2 바디가 상기 우드 슬랫에 접할 때, 상기 제2 바디는 상기 탄성 수단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우드 슬랫을 가압 고정하며, 상기 제2 바디가 상기 우드 슬랫을 가압 고정한 상태에서, 상기 펀치는 상기 제2 바디에 형성된 펀치 가이드 홀을 따라 더 하강하여 상기 우드 슬랫을 타공하되,
    상기 펀치는, 상기 펀치 모듈과 상기 펀치 모듈을 상하 구동시키는 구동수단 간의 연결을 위한 연결부와, 상기 제1 바디를 측방향으로 관통한 제1 핀이 꼭 맞게 끼워지는 고정핀홀과, 상기 제2 바디를 측방향으로 관통한 제2 핀을 수용하되 상기 제2 핀의 직경보다 큰 높이로 상하 기다랗게 형성된 가이드슬롯을 구비하며, 상기 제1 바디의 저면에는 한 쌍의 제1 스프링 유지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2 바디의 상면에는 한 쌍의 제2 스프링 유지홈이 형성되며, 상기 탄성수단은 상기 제1 바디와 상기 제2 바디 사이에 개재된 한 쌍의 압축 코일 스프링을 포함하며, 상기 한 쌍의 압축 코일 스프링 각각은 상단이 상기 제1 스프링 유지홈에 끼워져 유지되고 하단이 상기 제2 스프링 유지홈에 끼워져 유지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드 슬랫 타공 금형.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펀치는 선단에 V형 홈을 형성하여 이루어진 한 쌍의 수렴형 펀치 날을 서로 평행하게 구비하며, 상기 한 쌍의 수렴형 펀치 날 각각은 중앙의 첨단과 상기 첨단에 대하여 150 ~ 170도로 교차하는 한 쌍의 대칭형 에지 라인을 포함하여 상기 첨단을 향해 뾰족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드 슬랫 타공 금형.
  4. 청구항 1 및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슬랫 받침 블록은 서로 평행한 상면과 하면을 포함하되, 상기 상면으로부터 하면까지 이어진 펀치 하강 허용홀과, 상면 일측에 평평하게 형성된 융기부를 구비하며, 상기 모듈 가이드 블록은 상기 융기부에 접한 상태로 상기 슬랫 받침 블록과 연결되어, 상기 슬랫 받침 블록의 상면과 이격되며, 상기 이격에 의해, 상기 모듈 가이드 블록과 상기 슬랫 받침 볼륵 사이에 상기 우드 슬랫이 공급되는 갭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드 슬랫 타공 금형.
  5. 삭제
KR1020150082347A 2015-06-11 2015-06-11 우드 슬랫 타공 금형 KR1015601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2347A KR101560124B1 (ko) 2015-06-11 2015-06-11 우드 슬랫 타공 금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2347A KR101560124B1 (ko) 2015-06-11 2015-06-11 우드 슬랫 타공 금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60124B1 true KR101560124B1 (ko) 2015-10-13

Family

ID=543485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82347A KR101560124B1 (ko) 2015-06-11 2015-06-11 우드 슬랫 타공 금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6012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15758A (ko) * 2016-02-24 2018-10-23 나이키 이노베이트 씨.브이. 진공 나이프 툴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20615Y1 (ko) * 2006-04-26 2006-07-04 주식회사 한빛케이에스이 가스켓 홀 펀칭장치
JP2007185729A (ja) 2006-01-12 2007-07-26 Sumitomo Bakelite Co Ltd 基板打抜き金型
KR101512425B1 (ko) 2014-10-06 2015-04-16 (주)월드브라인드 우드 블라인드용 자동 천공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85729A (ja) 2006-01-12 2007-07-26 Sumitomo Bakelite Co Ltd 基板打抜き金型
KR200420615Y1 (ko) * 2006-04-26 2006-07-04 주식회사 한빛케이에스이 가스켓 홀 펀칭장치
KR101512425B1 (ko) 2014-10-06 2015-04-16 (주)월드브라인드 우드 블라인드용 자동 천공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15758A (ko) * 2016-02-24 2018-10-23 나이키 이노베이트 씨.브이. 진공 나이프 툴
KR102129564B1 (ko) 2016-02-24 2020-07-03 나이키 이노베이트 씨.브이. 진공 나이프 툴
US10710316B2 (en) 2016-02-24 2020-07-14 Nike, Inc. Vacuum knife tool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639160B (zh) 高精度高效率薄板压形冲孔复合模具组件
KR100704278B1 (ko) 외장패널의 테두리 절곡을 위한 모서리 컷팅장치
CN210280374U (zh) 一种外铝管一步冲孔成型模具
KR101560124B1 (ko) 우드 슬랫 타공 금형
JP6068498B2 (ja) パンチング装置用ダイ
CN202025972U (zh) 一种端子机弹性送料机构
KR20120129657A (ko) 금속파이프 천공장치 및 천공방법
CN103448090B (zh) 双斜楔侧向冲孔模及冲孔方法
KR101261311B1 (ko) 파형강판 펀칭장치
US5896773A (en) Window/door frame bar processing punch press
KR200412788Y1 (ko) 외장패널의 테두리 절곡을 위한 모서리 컷팅장치
KR102212126B1 (ko) 스트리퍼 부싱을 가지는 벽판 펀치 조립체
US6443042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a wood blind
CN114346050A (zh) 一种用于制造行李架横杆的铝型材和冲切装置
KR102457521B1 (ko) 필름 커팅 장치
CN113399560A (zh) 带有浮动凹模结构冲压件冲翻孔模具
CN220049651U (zh) 一种折弯包角侧切模具
KR102152250B1 (ko) 알루미늄 샤시 타공기
KR101604579B1 (ko) 탄띠 벨트구멍 천공장치
CN110181575A (zh) 一种浮动切刀冲切装置
KR102425382B1 (ko) 전기트레이의 휴대용 유압 천공 장치
KR200337217Y1 (ko) 건축용 판재의 복합 가공장치
KR102461703B1 (ko) 프레스 벤딩장치
KR20150102519A (ko) 세이빙 펀치의 공기 분사장치
CN214023110U (zh) 一种多点式安全带开关外壳冲压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11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