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60107B1 - 구강 위생 기구 및 구강 위생 장치 - Google Patents

구강 위생 기구 및 구강 위생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60107B1
KR101560107B1 KR1020147001973A KR20147001973A KR101560107B1 KR 101560107 B1 KR101560107 B1 KR 101560107B1 KR 1020147001973 A KR1020147001973 A KR 1020147001973A KR 20147001973 A KR20147001973 A KR 20147001973A KR 101560107 B1 KR101560107 B1 KR 1015601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ral care
housing
care implement
axle
functio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019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28113A (ko
Inventor
요엠 우치
토마스 프리치
안드레아스 크람프
Original Assignee
브라운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브라운 게엠베하 filed Critical 브라운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1400281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281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601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601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7/00Devices for cleaning, polishing, rinsing or drying teeth, teeth cavities or prostheses; Saliva removers; Dental applian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C17/16Power-driven cleaning or polishing devices
    • A61C17/22Power-driven cleaning or polishing devices with brushes, cushions, cups, or the like
    • A61C17/32Power-driven cleaning or polishing devices with brushes, cushions, cups, or the like reciprocating or oscillating
    • A61C17/34Power-driven cleaning or polishing devices with brushes, cushions, cups, or the like reciprocating or oscillating driven by electric motor
    • A61C17/3409Power-driven cleaning or polishing devices with brushes, cushions, cups, or the like reciprocating or oscillating driven by electric motor characterized by the movement of the brush body
    • A61C17/3436Rotation around the axis perpendicular to the plane defined by the bristle hold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7/00Devices for cleaning, polishing, rinsing or drying teeth, teeth cavities or prostheses; Saliva removers; Dental applian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C17/16Power-driven cleaning or polishing devices
    • A61C17/22Power-driven cleaning or polishing devices with brushes, cushions, cups, or the like
    • A61C17/222Brush body details, e.g. the shape thereof or connection to hand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7/00Devices for cleaning, polishing, rinsing or drying teeth, teeth cavities or prostheses; Saliva removers; Dental applian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C17/16Power-driven cleaning or polishing devices
    • A61C17/22Power-driven cleaning or polishing devices with brushes, cushions, cups, or the like
    • A61C17/24Power-driven cleaning or polishing devices with brushes, cushions, cups, or the like rotating continuously
    • A61C17/26Power-driven cleaning or polishing devices with brushes, cushions, cups, or the like rotating continuously driven by electric moto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rushes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Abstract

하우징, 운동가능하게 장착되는 기능 요소, 하우징에 고정되고 본질적으로 기능 요소를 하우징에 로킹시키는 고정 요소, 및 고정 요소에 의해 지지되는 액슬을 가지며, 기능 요소가 액슬을 중심으로 한 운동을 위해 배열되는 구강 위생 기구가 기술된다. 또한, 구강 위생 기구 액슬을 포함하고, 고정 요소가 기능 요소 내에 제공되는 절결부 또는 리세스를 통해 연장되며, 선택적으로 리세스의 절결부가 기능 요소의 캐리어 요소 내에 제공되어, 종방향 액슬 연장 방향을 따라 하우징 외부로 기능 요소를 당기는 것이 억제되는 구강 위생 장치가 기술된다.

Description

구강 위생 기구 및 구강 위생 장치{ORAL HYGIENE IMPLEMENT AND ORAL HYGIENE DEVICE}
본 발명은 구강 위생 기구(oral hygiene implement) 및 구강 위생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특히 고정 요소에 의해 하우징에 로킹되는(locked) 운동가능하게 장착되는 기능 요소를 갖는 구강 위생 기구에 관한 것이다.
고정 요소를 사용하여 구강 위생 기구의 하우징에 운동가능하게 장착되는 기능 요소를 로킹시키는 것이 알려져 있다. 예를 들어, 교체가능한 칫솔 리필품(refill)의 경우에, 운동가능하게 장착되는 브러시 헤드가 로킹 핀에 의해 리필품의 하우징에 로킹될 수 있다. 로킹 핀은 기능 요소 내의 리세스(recess) 내로 연장되고, 그에 따라 적어도 하우징 또는 기능 요소에 대한 회복할 수 없는 손상 없이, 기능 요소가 하우징으로부터 쉽게 분리되는 것을 억제한다.
종래 기술에 비해 개선되거나, 적어도 알려진 로킹 개념에 대한 대안을 제공하는 로킹 기능성을 갖는 구강 위생 기구를 제공하는 것이 요구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하우징, 운동가능하게 장착되는 기능 요소, 하우징에 고정되고 본질적으로 기능 요소를 하우징에 로킹시키는 고정 요소, 및 고정 요소에 의해 지지되는 액슬(axle)을 가지며, 기능 요소가 액슬을 중심으로 한 운동을 위해 배열되고 고정 요소가 기능 요소 내에 제공되는 절결부(cut-out) 또는 리세스를 통해 연장되며, 선택적으로 리세스의 절결부가 기능 요소의 캐리어 요소(carrier element) 내에 제공되어, 종방향 액슬 연장 방향을 따라 하우징 외부로 기능 요소를 당기는 것이 억제되는 구강 위생 기구가 제공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손잡이, 및 손잡이에 탈착가능하게 부착되는 제안된 바와 같은 구강 위생 기구를 포함하는 구강 위생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은 예시적인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에 의해 그리고 도면을 참조하여 추가로 설명될 것이다.
도 1은 구강 위생 기구를 포함하는 예시적인 구강 위생 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적어도 일 태양에 따른 예시적인 구강 위생 기구의 도면.
도 3은 구강 위생 기구의 헤드 섹션을 통한 구강 위생 기구의 종방향 연장축에 수직한 평면 내에서의 단면 절결도로서, 여기서 운동가능하게 장착되는 기능 요소의 캐리어 요소 내에 제공되는 장착 구멍 내에 배열될 수 있는 세정 요소 없이 도시된 도면.
도 4a는 구강 위생 기구의 예시적인 실시예의 헤드 섹션을 통한 측방향 단면 절결도.
도 4b는 구강 위생 기구의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의 헤드 섹션을 통한 측방향 단면 절결도.
도 5a는 샤프트 요소가 중립 또는 휴지 위치에 있는 구강 위생 기구의 또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의 헤드 섹션을 통한 측방향 단면 절결도.
도 5b는 도 5a에 도시된 구강 위생 기구의 헤드 섹션을 통한, 하지만 샤프트 요소가 최대로 편향된 위치에 있는 측방향 단면 절결도.
도 6은 구강 위생 기구의 추가의 예시적인 실시예의 부분 절결된 개방도.
기능 요소가 구강 위생 기구에 대한 회복할 수 없는 손상을 초래하면서는 하우징으로부터 분리될 수 없도록 운동가능하게 장착되는 기능 요소를 하우징에 대해 로킹시키기 위한 고정 요소를 포함하는 구강 위생 기구가 본 발명에서 제안된다. 이러한 로킹 기능성을 달성하기 위해, 고정 요소는 기능 요소 내에 제공되는 리세스 또는 절결부(예컨대, 관통 구멍)를 통해 연장되며, 여기서 리세스 또는 절결부는 특히 기능 요소의 캐리어 요소 내에 제공될 수 있다. 소정 실시예에서, 고정 요소는 기능 요소의 회전축이 고정 요소를 통해 연장되도록 배열되며, 특히 이 경우 회전축을 따라 연장되는 액슬이 고정 요소에 의해 지지되고, 여기서 액슬은 고정 요소에 고정식으로 고정될 수 있거나, 액슬은 적어도 회전축을 중심으로 한 액슬의 회전이 가능하도록 고정 요소에 의해 부동식으로(floatingly) 지지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고정 요소는 하우징에 적어도 2개의 상이한 위치들에서 고정되며, 선택적으로 여기서 이들 위치는 본질적으로 하우징에서 반대편에 배열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고정 요소는 구강 위생 기구의 하우징에 탈착-불가능하게 고정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고정 요소는 2개의 장착 위치들 사이에서 만곡된 방식으로 연장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고정 요소는 구강 위생 기구의 하우징의 내향으로 두꺼운 부분에 고정된다.
도 1은 구강 위생 장치(1)의 예시적인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구강 위생 장치(1)는 전동 칫솔로서 실현될 수 있다. 구강 위생 장치는 구강 위생 기구(10) 및 손잡이(20)를 포함한다. 구강 위생 기구(10)는 전동 칫솔의 브러시 섹션으로서 실현될 수 있다. 구강 위생 기구(10)는 특히, 예컨대 구강 위생 기구(10)가 마모되었을 때 또는 상이한 구강 위생 처치가 수행되어야 하는 경우에, 다른 구강 위생 기구로의 간단한 교체를 위해 탈착가능한 부착부로서 실현될 수 있다. 구강 위생 기구(10)는 구강 위생 기구(10)의 하우징(290)에 운동가능하게 장착되는 기능 요소(200)를 갖는다. 기능 요소(200)는 여기서 치아를 세정하기 위한 및/또는 잇몸을 마사지하기 위한 세정 요소를 갖는 브러시 헤드로서 실현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적어도 일 태양에 따른 구강 위생 기구(10)의 예시적인 실시예의 도면이다. 구강 위생 기구(10)는 탈착가능한 부착부로서 실현될 수 있다. 구강 위생 기구(10)는 치아를 세정하기 위한 및/또는 잇몸을 마사지하기 위한 세정 요소(280)를 갖는 브러시 헤드로서 실현될 수 있는 운동가능하게 장착되는 기능 요소(200)를 갖는다. 구강 위생 기구(10)의 하우징(290)은 헤드 영역을 향해 약간 테이퍼 형성된 긴, 본질적으로 튜브형 형태를 가질 수 있다. 구강 위생 기구(10)는 일반적으로 불편함을 낮은 수준으로 유지하면서 그리고 어금니와 같은 치아의 세정을 허용하도록 구강 내로 진입될 수 있게 구조화될 수 있다. 구강 위생 기구(10)는 종방향 연장축(L)을 가질 수 있고, 기능 요소(200)는 종방향 연장축(L)에 본질적으로 수직할 수 있는 회전축(R)(도 3에 도시됨)을 중심으로 한 회전 또는 진동 회전을 위해 장착될 수 있다(단, 이는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태양에 따른 구강 위생 기구의 가능한 실시예를 제한하는 것으로 해석되지는 않아야 할 것이다).
도 3은 회전축(R)이 절단 평면 내에 놓이도록 단면 절단이 이루어진 구강 위생 기구의 예시적인 실시예의 헤드 영역을 통한 단면 절결도이다. 기능 요소(200A)는 여기서 시각화의 단순화를 위해 예컨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세정 요소 없이 도시되어 있다. 기능 요소(200A)는 회전축(R)을 중심으로 회전 또는 진동할 수 있도록 구강 위생 기구의 하우징(290A)에 운동가능하게 장착된다. 기능 요소(200A)는 캐리어 요소(210A)를 포함한다.
캐리어 요소(210A)는 회전축(R)이 그를 통해 연장되는 그리고 고정 요소(230A)가 그를 통해 연장되는 절결부(예컨대, 관통-구멍) 또는 리세스(216A)를 갖는다. 고정 요소(230A)는 회전축(R)을 따라 연장되는 액슬(240A)이 지지되는 보어(231A)를 갖는다. 일 실시예에서, 액슬(240A)은 보어(231A) 내로 가압-끼워맞춤될 수 있다. 고정 요소(230A)는 길 수 있고, 절결부 또는 리세스(216A)를 통해 회전축(R)에 본질적으로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긴 연장 방향으로 서로 반대편에 놓일 수 있는 고정 요소(230A)의 2개의 단부(235A, 236A)는 구강 위생 기구의 하우징(290A) 내의 각각의 절결부(291A, 292A) 내에 스냅체결되는(snapped) 스냅-노우즈(snap-nose)로서 실현될 수 있다. 스냅 연결은 탈착-불가능한 것으로 실현될 수 있는데, 즉 그러면 장착된 고정 요소(230A)는 본질적으로 구강 위생 기구에 대한 임의의 되돌릴 수 없는 손상 없이 구강 위생 기구로부터 분리될 수 없다(즉, 하우징(290A), 고정 요소(230A), 또는 기능 요소(200A) 중 적어도 하나가 되돌릴 수 없는 손상을 겪을 것이다). 고정 요소(230A)의 스냅-노우즈는, 하우징(290A) 내에 제공되는 절결부(291A, 292A) 내로 연장되고 그에 따라 장착된 때 고정 요소(230A)가 하우징(290A)으로부터 쉽게 분리될 수 있게 되는 것을 방지하는 90도 언더컷(undercut)을 가질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고정 요소는 하우징에 접착될 수 있거나, 하우징에 나사결합될 수 있거나, 하우징에 용접될 수 있거나, 기타 등등일 수 있는데, 즉 고정 요소는 하우징에 고정식으로 고정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고정 요소는 하우징에 탈착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으며, 여기서 하우징으로부터 고정 요소를 탈착시키기 위한 임계력은 그러한 힘 수준이 구강 위생 기구의 정상적인 사용 동안에는 발생하지 않을 만큼 높게 선택된다.
캐리어 요소(210A)는 세정 요소를 장착하기 위한 장착 구멍(281A)이 제공될 수 있는 전방 캐리어 요소(211A)를 가질 수 있다. 세정 요소는 앵커 터프팅(anchor tufting) 기술에 의해 장착될 수 있는 강모 터프트(bristle tuft)로서 실현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세정 요소는 연질 탄성중합체 요소로서, 운동가능하게 장착되는 플라스틱 요소 등으로서, 또는 상이한 세정 요소들의 혼합으로서 실현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캐리어 요소에는 임의의 장착 구멍이 제공되지 않을 수 있고, 캐리어 요소에는 혀 세정 구조체와 같은 세정 구조체가 제공될 수 있다.
캐리어 요소(210A)는 추가로 후방 캐리어 요소(219A)를 갖는다. 전방 캐리어 요소(211A) 및 후방 캐리어 요소(219A)는 커넥터 캐리어 요소(215A)를 통해 연결된다. 전방 캐리어 요소(211A), 커넥터 캐리어 요소(215A), 및 후방 캐리어 요소(219A)는 플라스틱 사출 성형된 요소와 같은 일체형 요소로서 실현될 수 있으며, 이는 다른 실시예에서 캐리어 요소(210A)의 3개의 부품 중 적어도 2개가 함께 탈착-불가능하게 스냅체결되거나, 함께 나사결합되거나, 함께 접착되거나, 기타 등등을 배제하지는 않아야 할 것이다. 회전축(R)의 방향으로 볼 때, 전방 캐리어 요소(211A) 및 후방 캐리어 요소(219A)는 회전축(R)이 전방 캐리어 요소(211A) 및 후방 캐리어 요소(219A)를 통해 연장되도록 배열되는 한편, 커넥터 캐리어 요소(215A)는 회전축(R)이 캐리어 요소(210A) 내에 제공되는 절결부 또는 리세스(216A)를 통해 연장되고 커넥터 캐리어 요소(215A)와 교차하지 않도록 배열된다. 고정 요소(230A)는 회전축(R)이 고정 요소(230A)를 통해 연장되도록 절결부 또는 리세스(216A)를 통해 연장된다.
전방 캐리어 요소(211A)는 막힌 구멍(212A)을 갖고, 후방 캐리어 요소(219A)는 보어(218A)를 가지며, 막힌 구멍 및 보어 둘 모두는 회전축(R)을 따라 연장되고 둘 모두 액슬(240A)을 수용한다. 액슬(240A)이 고정 요소(230A) 내의 보어(231A) 내에 가압-끼워맞춤되고 그렇게 고정되는 전술된 바와 같은 실시예에서, 액슬(240A)은 막힌 구멍(212A) 및 보어(218A) 내에서 헐겁게 지지될 수 있다(즉, 막힌 구멍(212A) 및 보어(218A)는 액슬(240A)의 부동 베어링을 형성한다). 하우징(290A)은, 회전축(R)을 따라 연장되고 액슬(240A)을 수용하는 막힌 구멍(293A)을 가질 수 있다. 액슬(240A)은 막힌 구멍(293A) 내에 가압-끼워맞춤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액슬(240A)은 캐리어 요소(210A)에 고정식으로 고정될 수 있는데, 예컨대 액슬(240A)은 그러면 막힌 구멍(212A) 및 보어(218A) 내에 가압-끼워맞춤될 수 있고 막힌-구멍(293A) 및 보어(231A) 내에서 헐겁게 지지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예시적인 실시예와 관련하여 기술된 바와 같은 특징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의해, 하기 태양들 중 적어도 하나가 달성된다. 액슬(240A)은 서로의 사이에 비교적 큰 거리를 갖는 캐리어 요소(210A)에서의 2개의 위치들에서 지지(일부 실시예에서는, 피봇식-장착)될 수 있다. 특히, 2개의 위치들은 고정 요소에 대해 서로 반대편에 배열된다. 이는 액슬이 단일 위치에서만 지지되는 실시예에 비해, 캐리어 요소(210A)가 작동 동안(즉, 캐리어 요소(210A)가 회전축(R)을 중심으로 회전하거나 진동할 때) 겪을 수 있는 요동의 감소로 이어질 수 있을 것이다. 이는 특히 기능 요소가 높은 회전 속도 또는 높은 주파수 진동(예컨대, 80 ㎐ 초과, 90 ㎐ 초과, 100 ㎐ 초과, 110 ㎐ 초과, 120 ㎐ 초과, 130 ㎐ 초과, 140 ㎐ 초과, 150 ㎐ 초과 등의 진동 주파수)으로 구동될 때 중요하게 된다. 하우징(290A)으로부터 캐리어 요소(210A)를 분리하기 위해 힘(F1)이 회전축(R)의 방향으로 캐리어 요소(210A)에 인가되는 경우, 고정 요소(230A)는 하우징(290A)에 대해 캐리어 요소(210A)를 로킹시킨다. 고정 요소가 특히 2개의 반대편에 있는 위치들에서 하우징(290A)에 탈착-불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기 때문에, 전형적인 구강 위생 작동 동안 전형적으로 캐리어 요소(210A)에 인가되지 않을 강한 힘만이 분리를 야기할 수 있을 것이다.
도 3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스프링 요소(spring element)(250A)가 고정 요소(230A)와 후방 캐리어 요소(219A) 사이에 배열되고, 그에 따라 캐리어 요소(210A)를 하우징(290A)에 대항하여 편의시킨다(bias). 그러한 편의는, 편의되지 않는 캐리어 요소가 그러면 그의 부동 베어링 내에서 회전축을 따라 상하로 이동하는 경향이 있을 것이기 때문에, 기능 요소가 운동하도록 구동될 때의 달그락거리는 또는 끽끽거리는 소음을 감소시킬 수 있을 것이다. 도시된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스프링 요소(250A)는 캐리어 요소(210A)를 하우징(290A)의 후방을 향해 편의시킨다. 처치될 표면, 예컨대 치아 표면에 대항하여 기능 요소(210A)를 가압함으로써 작동 동안 캐리어 요소(210A) 상에 인가되는 임의의 추가적인 힘(F2)은 그러면 동일한 방향으로 작용할 것이며, 이로써 편의 스프링력과 인가된 힘(F2)이 서로 상쇄될 수 있고 그러면 작동 동안 끽끽거리는 소음을 야기할 수 있는 것이 방지된다. 스프링 요소(250A)는 고정 요소(230A)의 일체형 부품으로서 실현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스프링 요소는 추가적인 요소, 예컨대 판 스프링으로서 실현되며, 이 스프링은 그러면 고정 요소와 후방 캐리어 요소 사이에 배열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고정 요소 또는 후방 캐리어 요소는 스프링 편향을 억제하고 그에 따라 스프링 요소의 과대변형(overstraining)을 방지하기 위해 스토퍼 요소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는 특히 고정 요소가 플라스틱 부품으로서 실현되는 실시예에서 특히 스프링 요소가 고정 요소의 일체형 부품으로서 실현될 때 중요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하우징(290A), 고정 요소(230A), 및 캐리어 요소(210A)는 임의의 적합한 플라스틱(예컨대, 폴리프로필렌, 폴리옥시메틸렌 등)으로 제조될 수 있고, 액슬(240A)은 강철과 같은 금속으로 제조될 수 있다. 그러한 실시예에서, 액슬이 부동식으로 지지되는 위치의 마모를 방지하기 위해, 막힌 구멍(212A) 및 보어(218A)(또는 보어(231A) 및 막힌 구멍(293A)) 중 적어도 하나 내에 금속 부싱(bushing)이 고정식으로 고정될 수 있다.
도 4a는 본 발명의 적어도 일 태양에 따른 구강 위생 기구의 추가의 예시적인 실시예의 헤드 영역을 통한 단면 절결도를 도시한다. 절단된 평면은 회전축에 수직하게, 즉 액슬(240B)의 연장 방향에 수직하게 배향된다. 구강 위생 기구의 하우징(290B)은 본질적으로 중공형이고, 푸시 로드(push rod)로서 실현될 수 있는 샤프트 요소(shaft element)(300B)를 수용하며, 이 샤프트 요소(300B)는 캐리어 요소(210B) 내에 제공되는 긴 구멍(214B) 내로 연장되는 피봇 핀(301B)에 의해 캐리어 요소(210B)에 부착된다. 긴 구멍(214B)은 캐리어 요소(210B) 내에 액슬(240B)에 대해 편심으로 제공된다. 샤프트 요소(300B)는 구강 위생 장치의 하우징 내에 제공되는 구동부에 결합될 수 있으며, 이 구동부는 약 ±0.1 ㎜ 내지 약 ±1.0 ㎜의 범위 내에 있을 수 있는 피크 진폭 값을 갖고서 이중 화살표(M)에 의해 지시된 바와 같이 종방향 연장축(L)을 따라 샤프트 요소(300B)를 선형 진동시킬 수 있다. 샤프트 요소(300B)가 종방향 연장축(L)을 따라 상하로 운동할 때, 피봇 핀(301B)은 액슬(240B)에 의해 한정되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한 캐리어 요소(210B)의 진동 회전을 유발한다. 피봇 핀(301B)은 긴 구멍(214B) 내에서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으며, 이는 샤프트 요소(300B)가 상하로 운동할 때 구부러지지 않도록 긴 구멍(214B) 내에서 측방향으로(즉, 수평축(H)에 평행한 방향으로) 운동할 수 있다.
고정 요소(230B)는 2개의 반대편에 놓인 위치들에서 하우징(290B)에 고정된다. 고정 요소(230B)는 액슬(290B)을 지지한다. 고정 요소(230B)는 방향(L1)을 따라 본질적으로 선형으로 연장되고, 각도(γ)만큼 선형 연장 방향(L)에 대해 기울어져 있다. 각도(γ)가 더 작아지게 되면, 고정 요소(230B)는 도시된 바와 동일한 방식으로 하우징(290B)에 고정될 수 없다.
샤프트 요소(300B)는 샤프트 요소가 그를 중심으로 진동하게 될 그의 중립(또는 중심) 위치에 있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종방향 연장 방향(L)에 대한 고정 요소(230B)의 경사로 인해, 피봇 핀(301B)의 중립 위치는 여기서 각도(δ)만큼 수평 평면(H)에 대해 경사져 있다. 수평 평면(H)은 종방향 연장 방향(L)에 수직하며, 액슬(290B)을 통해 연장된다. 샤프트 요소(300B)가 종방향 연장축(L)을 따라 선형으로 진동될 때, 이는 ±α의 진동각을 야기한다. 피봇 핀(301B)의 중립 위치가 수평 평면(H)으로부터 각도적으로 오프셋되기 때문에, 피봇 핀(301B)을 통해 캐리어 요소(210B)에 작용하는 힘은 중립 위치에 대해 대칭이 아니다.
도 4b는 구강 위생 기구의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를 통한 단면 절결도를 도시한다. 여기서, 하우징(290C)은 내향으로 연장되는 두꺼운 부분(295C)을 갖는다. 고정 요소(230C)는 하우징(290C)의 2개의 반대편에 있는 위치들에 고정되고, 고정 요소(230C)는 액슬(240C)을 지지한다. 고정 요소(230C)는 내향으로 연장되는 두꺼운 부분(295C)에 고정되며, 이는 고정 요소(230C)의 연장 방향(L2)과 종방향 연장 방향(L) 사이의 더 작은 각도 오프셋(φ)을 허용한다. 이러한 더 작은 각도 오프셋으로 인해, 피봇 핀(290C)의 중립 위치는, 종방향 연장 방향(L)에 수직하고 액슬(290C)을 통해 연장되는 수평 평면(H) 내에 위치될 수 있다. 샤프트 요소(300C)가 이중 화살표(M)에 의해 지시된 바와 같이 종방향 연장 방향을 따라 선형으로 진동될 때, 진동각(±β)이 달성될 수 있지만, 여기서 캐리어 요소(210C)에 인가되는 힘은 피봇 핀(301C)의 중립 위치를 중심으로 더욱 대칭일 수 있을 것이다.
도 5a는 본 발명에 따른 구강 위생 기구의 예시적인 실시예를 통한 추가의 단면 절결도를 도시한다. 여기서, 고정 요소(230D)는 고정 요소(230D)의 중심에서 지지되는 액슬(290D)에 대해 반대편에 있는 2개의 위치들에서 하우징에 고정된다. 도 4b의 실시예에 대해서도 도시되었던 바와 같이, 하우징(290D)은 고정 요소(230D)의 전반적인 연장 방향(L3)과 구강 위생 기구의 종방향 연장 방향(L) 사이의 작은 각도 오프셋을 일반적으로 허용하도록 고정 요소(230D)가 지지되는 내향으로 연장되는 부분(295D)을 갖는다(연장 방향(L3)은 2개의 장착 위치들에 의해 한정됨). 도시된 실시예에서, 고정 요소(230D)는 2개의 장착 위치들 사이에서 연결선(L3)을 따라 연장되지 않는다. 대신에, 고정 요소(230D)는 피봇 핀(301D)이 양의 각도 방향으로(즉, 최대 진동각(+θ)을 향해) 운동할 때 접근하는 방향에 대해 오목하게 되는 방식으로 만곡된다. 이는 도 4b에 도시된 예시적인 실시예에서와 같이 더 큰 최대 진동각을 허용한다. 고정 요소(230D)의 유효 연장 방향은 L3'에 의해 지시되어 있다.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 요소(230D)는 액슬(290D)에 의해 한정되는 중심축에 대해 대칭으로 만곡될 수 있다. 여기서, 만곡되는 것은 고정 요소(230D)의 단차형 설계를 포함할 것이다. 도 4b에 도시된 실시예에서와 같이, 샤프트 요소(300D)의 피봇 핀(301D)은 중립 위치에 있을 때 수평 평면(H) 내에서 구강 위생 기구의 기능 요소의 캐리어(210D)에 결합된다.
도 5b는 도 5a에 도시된 구강 위생 기구의, 하지만 피봇 핀(301D)이 그의 최대로 편향된 위치에 있는 단면 절결도이다. 고정 요소(230D)의 만곡된 실현으로 인해, 최대로 편향된 위치는 도 4b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보다 캐리어 요소(210D)의 더 큰 진동각을 허용한다.
도 6은 구강 위생 기구의 추가의 실시예의 부분 절결된 개방도이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기능 요소(200E)의 캐리어 요소(210E)는 구강 위생 기구의 하우징(290E) 내의 개구(294E)를 통해 연장되는 부분(220E)을 갖는다. 연장 부분(220E)은 후방 캐리어 요소(219E)의 일체형 부품으로서 실현될 수 있다. 연장 부분(220E)의 외부 표면은 하우징(290E)의 외부 표면과 매끄럽게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연장 부분(220E)은 하우징(290E)에 기능 요소(200E)를 장착하기 위한 장착 구조체로서의 역할할 수 있으며, 이는 또한 하우징(290E) 및 연장 부분(220E)이 예컨대 상이한 색상을 갖는 경우에 더욱 미적인 기능을 추가하도록 역할할 수 있다. 그러한 실시예에서, 액슬(240E)은 캐리어 요소(210E) 내에 가압 끼워맞춤될 수 있고, 고정 요소(230E)에 의해 부동식으로 지지될 수 있다.
상이한 실시예를 위해 다른 특징부와 조합되어 기술된 다양한 특징부는 이것이 본 발명의 요지 및 범주와 모순되지 않는 한 모든 다른 특징부와의 모든 가능한 조합으로 개시되는 것으로 고려될 개별 특징부로서 개시되도록 의도된다는 것에 유의하여야 한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치수 및 값은 언급된 정확한 수치 값으로 엄격하게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 대신에, 달리 규정되지 않는 한, 각각의 그러한 치수는 언급된 값 및 그 값 부근의 기능적으로 등가인 범위 모두를 의미하고자 한다. 예를 들어, "40 ㎜"로 개시된 치수는 "약 40 ㎜"를 의미하고자 한다.
임의의 상호 참조된 또는 관련된 특허 또는 출원을 비롯한 본 명세서에 인용된 모든 문헌은 이로써, 명확히 배제되거나 달리 제한되지 않는 한, 전체적으로 본 명세서에 참고로 포함된다. 임의의 문헌의 인용은 그 문헌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또는 청구된 임의의 발명에 대해 종래 기술임을, 또는 그 문헌이 단독으로 또는 임의의 다른 참조 문헌 또는 참조 문헌들과의 임의의 조합으로 임의의 그러한 발명을 교시하거나 제안하거나 개시하는 것임을 용인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의 용어의 임의의 의미 또는 정의가 참고로 포함된 문헌에서의 동일한 용어의 임의의 의미 또는 정의와 상충되는 경우에, 본 명세서에서 그 용어에 부여된 의미 또는 정의가 우선할 것이다.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가 예시되고 기술되었지만,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주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다른 변경 및 수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이 당업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주 내에 있는 모든 그러한 변경 및 수정을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포함하도록 의도된다.

Claims (13)

  1. 구강 위생 기구(oral hygiene implement)로서,
    하우징;
    운동가능하게 장착되는 기능 요소;
    상기 하우징에 고정되고 본질적으로 상기 기능 요소를 상기 하우징에 로킹시키는(lock) 고정 요소; 및
    상기 고정 요소에 의해 지지되는 액슬(axle)을 포함하며,
    상기 기능 요소는 상기 액슬을 중심으로 한 운동을 위해 배열되고 상기 고정 요소는 상기 기능 요소 내에 제공되는 절결부(cut-out) 또는 리세스(recess)를 통해 연장되며, 리세스 또는 절결부는 상기 기능 요소의 캐리어 요소(carrier element) 내에 제공되어, 종방향 액슬 연장 방향을 따라 상기 하우징 외부로 상기 기능 요소를 당기는 것이 억제되는 구강 위생 기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액슬은 상기 캐리어 요소에 제공되는 2개의 위치들에서 지지되고, 상기 2개의 위치들은 상기 고정 요소의 반대측들 상에 배치되는 구강 위생 기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요소 및 상기 하우징은 탈착-불가능하게 연결되고, 서로의 내로 탈착-불가능하게 스냅체결되는(snapped) 구강 위생 기구.
  4. 제1항에 있어서, 샤프트 요소(shaft element)가 상기 기능 요소에 결합되고, 상기 샤프트 요소는 작동 동안 상기 기능 요소를 상기 액슬을 중심으로 한 운동으로 구동시키도록 배열되는 구강 위생 기구.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 요소는 중립 위치에서 결합 위치가, 상기 액슬을 통과하고 상기 구강 위생 기구의 종방향 연장축에 수직한 평면 내에 놓이도록 상기 기능 요소에 편심으로 결합되는 구강 위생 기구.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요소는 상기 고정 요소가 상기 하우징에 고정되는 위치와 상기 액슬이 상기 고정 요소에 의해 지지되는 위치 사이에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만곡되는 구강 위생 기구.
  7. 제1항에 있어서, 스프링 요소(spring element)가 상기 캐리어 요소와 상기 고정 요소 사이에 배열되고, 상기 스프링 요소는 상기 기능 요소가 표면에 대항하여 가압될 때 작동 중인 상기 기능 요소 상으로 인가될 부하의 방향과 본질적으로 일치하는 방향으로 캐리어 요소를 편의시키는(bias) 구강 위생 기구.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 요소는 상기 고정 요소의 일체형 부품인 구강 위생 기구.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 요소의 캐리어 요소는 상기 하우징 내에 제공되는 개구를 통해 연장되는 연장 부분을 갖고, 상기 연장 부분은 상기 캐리어 요소의 일체형 부품으로서 실현되고, 연장 부분의 외부 표면은 상기 하우징의 외부 표면과 결합하는 구강 위생 기구.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고정 요소가 고정되는 내향으로 두꺼운 부분을 갖는 구강 위생 기구.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강 위생 기구는 구강 위생 장치로서, 선택적으로 작동 동안 상기 기능 요소를 상기 액슬을 중심으로 한 운동으로 구동시키도록 배열되는 구동 유닛을 포함하는 동력식 구강 위생 장치로서 실현되는 구강 위생 기구.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구강 위생 기구는 전동 칫솔을 위한 탈착가능한 브러시와 같은 탈착가능한 구강 위생 부착부로서 실현되는 구강 위생 기구.
  13. 손잡이, 및 상기 손잡이에 탈착가능하게 부착되는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구강 위생 기구를 포함하는 구강 위생 장치.
KR1020147001973A 2011-07-25 2012-07-25 구강 위생 기구 및 구강 위생 장치 KR10156010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20110006101 EP2550936B1 (en) 2011-07-25 2011-07-25 Oral hygiene implement and oral hygiene device
EP11006101.7 2011-07-25
PCT/IB2012/053791 WO2013014624A1 (en) 2011-07-25 2012-07-25 Oral hygiene implement and oral hygiene de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28113A KR20140028113A (ko) 2014-03-07
KR101560107B1 true KR101560107B1 (ko) 2015-10-13

Family

ID=468325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01973A KR101560107B1 (ko) 2011-07-25 2012-07-25 구강 위생 기구 및 구강 위생 장치

Country Status (14)

Country Link
US (1) US9113987B2 (ko)
EP (1) EP2550936B1 (ko)
JP (1) JP5373234B2 (ko)
KR (1) KR101560107B1 (ko)
CN (1) CN103702633B (ko)
AU (1) AU2012288454B2 (ko)
BR (1) BR112014001624B1 (ko)
CA (1) CA2842135C (ko)
DK (1) DK2550936T3 (ko)
ES (1) ES2532334T3 (ko)
MX (1) MX351182B (ko)
PL (1) PL2550936T3 (ko)
WO (1) WO2013014624A1 (ko)
ZA (1) ZA201400278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D773822S1 (en) * 2013-03-08 2016-12-13 Braum Gmbh Handle for electric toothbrush
WO2015097579A1 (en) 2013-12-24 2015-07-02 Braun Gmbh Personal hygiene implement
US9439741B2 (en) * 2014-03-14 2016-09-13 Ranir, Llc Replacement brush head for an electric toothbrush
USD773192S1 (en) 2015-01-09 2016-12-06 Ranir, Llc Powered toothbrush handle
USD831358S1 (en) * 2016-12-13 2018-10-23 Braun Gmbh Toothbrush head
EP3616649B1 (en) * 2017-04-24 2022-12-28 Sunstar Inc. Electric toothbrush
JP6775199B2 (ja) * 2017-05-18 2020-10-28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電動歯ブラシ
CN212015842U (zh) * 2019-09-27 2020-11-27 珠海大拇指跨境电商有限公司 电动牙刷
USD972302S1 (en) 2020-03-13 2022-12-13 Ranir, Llc Toothbrush drive uni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521426A (ja) 1997-04-24 2001-11-06 ブラウン ゲーエムベーハー 電動歯ブラシ用ブラシ部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140307A (en) * 1934-07-10 1938-12-13 Alfred O Belaschk Electrically operated combination set for the dressing table
DE19745876A1 (de) * 1997-10-17 1999-04-22 Braun Ag Bürstenteil für eine elektrische Zahnbürste
JP2003153923A (ja) * 2001-11-20 2003-05-27 Lozenstar Corp 電動歯ブラシ
DE10253532A1 (de) * 2002-11-16 2004-05-27 Braun Gmbh Elektrische Zahnbürste und Zahnbürstenkopf hierfür
US20050011023A1 (en) * 2003-07-17 2005-01-20 Chan Kwok Sing Electric toothbrush
CN2610869Y (zh) * 2003-02-26 2004-04-14 林辉明 电动牙刷
US20040200016A1 (en) * 2003-04-09 2004-10-14 The Procter & Gamble Company Electric toothbrushes
US7302726B2 (en) * 2003-05-23 2007-12-04 Braun Gmbh Toothbrushes
WO2008147360A1 (en) * 2007-05-31 2008-12-04 The Gillette Company Oral care compositions, methods, devices and systems
EP2135580A1 (de) * 2008-06-20 2009-12-23 Braun Gmbh Elektrische Zahnbürste
CN201223468Y (zh) * 2008-07-17 2009-04-22 叶万青 一种电动牙刷
EP2229916B1 (en) * 2009-03-19 2016-06-01 Braun GmbH Method for determining a pattern of use of an electric toothbrush and electric toothbrush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521426A (ja) 1997-04-24 2001-11-06 ブラウン ゲーエムベーハー 電動歯ブラシ用ブラシ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BR112014001624B1 (pt) 2021-02-09
EP2550936A1 (en) 2013-01-30
CA2842135C (en) 2016-03-15
PL2550936T3 (pl) 2015-05-29
AU2012288454B2 (en) 2014-12-18
US20140026337A1 (en) 2014-01-30
ZA201400278B (en) 2016-01-27
JP2013535308A (ja) 2013-09-12
AU2012288454A1 (en) 2014-02-20
RU2013158989A (ru) 2015-08-27
MX351182B (es) 2017-10-02
CN103702633A (zh) 2014-04-02
US9113987B2 (en) 2015-08-25
MX2014000987A (es) 2014-05-13
JP5373234B2 (ja) 2013-12-18
DK2550936T3 (en) 2015-03-23
ES2532334T3 (es) 2015-03-26
BR112014001624A2 (pt) 2017-11-14
EP2550936B1 (en) 2014-12-17
CA2842135A1 (en) 2013-01-31
KR20140028113A (ko) 2014-03-07
CN103702633B (zh) 2016-04-13
WO2013014624A1 (en) 2013-01-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60107B1 (ko) 구강 위생 기구 및 구강 위생 장치
US9003590B2 (en) Handle section of a small electric device and small electric device
KR101560105B1 (ko) 구강 위생 장치를 위한 구강 세정 도구
JP5277580B2 (ja) 電動歯ブラシ
US20130247311A1 (en) Vibrating toothbrush and a replaceable brush head for use with the same
KR20140028112A (ko) 구강 위생 장치를 위한 부착 섹션
ATE439814T1 (de) Einweg-kopfteil für eine nodal montierte zahnbürste
US10010390B2 (en) Oral care implement and oral care device
WO2007072192A2 (en) Electric toothbrush
US20090019649A1 (en) Electric toothbrush
KR101488126B1 (ko) 전기 구강 위생 장치의 세정 섹션
RU2575058C2 (ru) Приспособление для гигиены полости рта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гигиены полости рта
WO2012085844A2 (en) Cleaning section of an electric oral hygiene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8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