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59503B1 - 밀착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배설물 처리장치 - Google Patents

밀착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배설물 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59503B1
KR101559503B1 KR1020150111605A KR20150111605A KR101559503B1 KR 101559503 B1 KR101559503 B1 KR 101559503B1 KR 1020150111605 A KR1020150111605 A KR 1020150111605A KR 20150111605 A KR20150111605 A KR 20150111605A KR 101559503 B1 KR101559503 B1 KR 1015595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gion
unit
contact
thigh
fastening mea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116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훈상
이호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큐라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큐라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큐라코
Priority to KR10201501116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5950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595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59503B1/ko
Priority to PCT/KR2016/008654 priority patent/WO2017026752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9/00Bed-pans, urinals or other sanitary devices for bed-ridden persons; Cleaning devices therefor, e.g. combined with toilet-urinals

Abstract

본 발명은 배설물 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배설물 처리장치와 이에 설치되는 밀착부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설물 처리장치에 결합되는 밀착부재는 인체와 접촉하는 밀착유닛; 및 상기 밀착유닛에 부착되며 상기 밀착유닛보다 경질소재로 형성되는 결합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결합유닛은 상기 배설물 처리장치와 탈부착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밀착부재에 손상이 발생하였을 경우, 사용자는 밀착부재를 교체할 수 있어, 별도로 수리를 맡길 필요가 없게 되며, 오염이 발생하였을 경우, 사용자는 배설물 처리장치에서 밀착부재만을 분리하여 세척할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의성이 향상된다.

Description

밀착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배설물 처리장치{CONTACT MEMBER AND APPARATUS FOR TREATING EXCREMENT COMPRISING THE SAME}
본 발명은 배설물 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배설물 처리장치와 이에 설치되는 밀착부재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평균수명의 증가로 인해 와병생활을 하는 노인이나 환자가 늘어나고 있다. 와병환자는 거동이 불편하여 스스로 배설물을 처리할 수 있는 능력이 없어, 항상 보호자나 간병인이 주변에 상주해야 한다. 이러한 번거로움을 해소하기 위해 인체에 직접적으로 접촉시켜 배설물을 수거하는 배설물 처리장치가 개발되었으며, 배설물 처리장치에 관한 선행기술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093444호가 있다.
배설물 처리장치는 사용 시 배설물의 유출을 막기 위해, 인체와의 접촉되는 부분에 밀착부재가 형성된다. 그런데 종래의 배설물 처리장치는 밀착부재가 배설물 처리장치에서 분리되지 않도록 고정된 형태여서, 밀착부재에 손상이 발생하였을 경우에 사용자는 배설물 처리장치 자체의 수리를 의뢰해야 했다. 또한, 밀착부재가 오염되었을 경우에도 사용자는 배설물 처리장치 자체를 세척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이러한 점은 사용자에게 불편함으로 작용하게 되었으며, 밀착부재에 손상 또는 오염이 발생하였을 때, 수리가 간편하고 세척이 용이한 배설물 처리장치에 대한 요구가 생기게 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사용자의 요구를 반영한 것으로, 배설물 처리장치로부터 분리될 수 있는 밀착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배설물 처리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설물 처리장치에 결합되는 밀착부재는 인체와 접촉하는 밀착유닛; 및 상기 밀착유닛에 부착되며 상기 밀착유닛보다 경질소재로 형성되는 결합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결합유닛은 상기 배설물 처리장치와 탈부착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밀착유닛은 사용자의 둔부에 접촉되는 둔부 접촉영역; 상기 둔부 접촉영역의 일단에서 연장되고 사용자의 대퇴부 내측에 접촉되는 제1대퇴부 접촉영역; 및 상기 둔부 접촉영역의 타단에서 연장되고 사용자의 대퇴부 내측에 접촉되는 제2대퇴부 접촉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결합유닛은 상기 둔부 접촉영역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제1영역; 상기 제1영역의 일단에서 연장되며 상기 제1대퇴부 접촉영역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제2영역; 및 상기 제1영역의 타단에서 연장되며 상기 제2대퇴부 접촉영역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제3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제1영역, 제2영역 및 제3영역의 연결 시 외측 둘레 및 내측 둘레를 갖는 곡선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제2영역 및 제3영역은 각각 연장된 방향의 단부에, 상기 배설물 처리장치와의 결합을 위한 제1체결수단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제2영역 및 제3영역은 각각 상기 밀착유닛이 부착된 면의 이면으로부터 돌출되며 중앙에 함몰부가 형성된 지지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지지유닛은 상기 이면으로부터 수평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안착판; 상기 안착판의 일단에서 연장되어 형성되는 제1지지대; 상기 안착판의 타단에서 연장되어 형성되는 제2지지대; 및 상기 제1지지대 및 상기 제2지지대의 연장된 방향의 단부를 연결하는 제3지지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제1영역은 상기 외측 둘레의 일영역에 상기 배설물 처리장치와의 결합을 위한 제2체결수단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둔부 접촉영역은 제1영역의 내측 둘레를 감싸도록 연장 형성된 방지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설물 처리장치는 인체의 둔부 방향으로 개방되며, 인체로부터 배출되는 배설물의 수용공간을 포함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와 연결되며 상기 수용공간의 둘레를 따라 인체의 둔부의 굴곡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는 안착부; 상기 수용공간과 연통되어 상기 수용공간의 배설물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출유로; 및 상기 안착부와 탈부착이 가능한 밀착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밀착부재는 인체와 접촉하는 밀착유닛; 및 상기 밀착유닛과 부착되고, 상기 밀착유닛 보다 경질소재이며, 외측 둘레 및 내측 둘레를 갖는 곡선형태로 형성되는 결합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안착부는 둔부의 굴곡에 대응되는 형상의 둔부 굴곡영역; 대퇴부의 굴곡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상기 둔부 굴곡영역의 일단에서 연장되어 형성되는 제1대퇴부 굴곡영역; 및 대퇴부의 굴곡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상기 둔부 굴곡영역의 타단에서 연장되어 형성되는 제2대퇴부 굴곡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결합유닛은 일단과 타단에 각각 제1체결수단이 형성되고, 상기 제1대퇴부 굴곡영역 및 제2대퇴부 굴곡영역은 각각 상기 연장된 방향의 단부에 제3체결수단이 형성되며, 상기 제1체결수단은 상기 제3체결수단과 체결되어, 상기 결합유닛이 상기 제1대퇴부 굴곡영역 및 제2대퇴부 굴곡영역에 고정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결합유닛은 상기 밀착유닛이 부착된 면의 이면으로부터 수평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안착판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대퇴부 굴곡영역 및 제2대퇴부 굴곡영역은 상기 둔부 굴곡영역과의 경계 부분에 수평방향으로 단차지게 형성되는 안착면을 더 포함하며, 상기 안착판은 상기 안착면 상에 위치하여, 상기 결합유닛이 상기 제1대퇴부 굴곡영역 및 제2대퇴부 굴곡영역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결합유닛은 외측 둘레의 일영역에 형성된 제2체결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둔부 굴곡영역은 외측 둘레의 일영역에서 내측 둘레 방향으로 형성되는 제4체결수단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2체결수단은 상기 제4체결수단과 체결되어, 상기 결합유닛이 상기 둔부 굴곡영역에 고정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본체부는 상기 둔부 굴곡영역으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둔부 굴곡영역과의 경계 부분에 분리홈이 형성된 연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밀착부재에 손상이 발생하였을 경우, 사용자는 밀착부재를 교체할 수 있어, 별도로 수리를 맡길 필요가 없게 되며, 오염이 발생하였을 경우, 사용자는 배설물 처리장치에서 밀착부재만을 분리하여 세척할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의성이 향상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밀착부재(100)가 결합된 배설물 처리장치(200)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밀착부재(100)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결합유닛(120)의 세부 구성요소들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설물 처리장치(200)의 안착부(210)를 중심으로 확대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밀착부재(100)와 배설물 처리장치(200)의 결합형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밀착부재(160)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밀착부재(160)가 결합된 배설물 처리장치(200)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또한, 본 발명에서 인체의 성기부라 함은 남녀의 성기 주위 영역을 뜻하며, 둔부는 상기 성기부와 연결되고 항문의 주위 영역을 뜻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밀착부재(100)가 결합된 배설물 처리장치(200)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배설물 처리장치(200)는 본체부(201), 배출유로(202) 및 통과홀(203)을 포함한다.
본체부(201)는 인체로부터 배출되는 배설물을 처리하는 구성요소로서, 성기부 및 둔부를 향해 개방되고 소변 및 대변을 포함하는 배설물을 받을 수 있도록 소정의 부피를 가진 수용공간(204)이 형성된다. 수용공간(204)은 인체의 성기부에 대응되는 소변처리부와 인체의 둔부에 대응되는 대변처리부로 구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수용공간(204)의 개방된 방향 측을 전방으로, 반대 방향을 후방으로, 소변처리부가 구비된 방향을 상부로, 반대 방향을 하부로 정의하도록 한다.
배출유로(202)는 본체부(201)의 수용공간(204)의 일영역에 구비되어 배설물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구성요소로서, 연결된 외부 연결관(미도시)을 통해 배설물을 배출시킨다. 본 발명에서 외부 연결관은 별도의 흡입장치를 이용하여 배설물을 흡입하도록 연결된 배설물 유동관, 세정수를 공급하는 세정수 유동관으로 구성될 수 있다. 통과홀(203)은 외부 연결관이 수용공간(204) 내측으로 인입될 수 있도록 통로를 형성하는 구성요소에 해당한다.
이외에도 배설물 처리장치(200)에는 세정수를 분사하는 세정수 분사부, 건조풍을 분사하는 건조풍 분사부가 포함될 수 있다.
밀착부재(100)는 본체부(201)의 개방된 부분과 결합되어 인체와 배설물 처리장치(200)가 이격되지 않도록 밀착시키는 구성요소이다. 사용자는 본체부(201)를 다리 사이에 두고 밀착부재(100)를 인체에 밀착시키며 본체부(201)의 양측으로 다리를 뻗어 배설물 처리장치(200)를 착용하게 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설물 처리장치(200)에 결합되는 밀착부재(100)에 대해 자세히 설명한다. 특히, 배설물 처리장치(200)의 수용공간(204) 중 대변처리부의 위치에 결합되는 밀착부재(100)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밀착부재(100)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에서는 양 단부가 존재하고 전체적으로 곡선형으로 형성되는 ‘U’자형의 밀착부재(100)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2의 밀착부재(100)는 밀착유닛(110)과 결합유닛(120)을 포함한다.
밀착유닛(110)은 인체와 접촉하는 구성요소로서, 밀착유닛(110)의 일면은 인체와 접촉하고 타면은 결합유닛(120)에 부착된다. 밀착유닛(110)은 인체와의 밀착 및 착용감을 위해 고무, 실리콘 등의 연질 소재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밀착유닛(110)은 둔부 접촉영역(111), 제1대퇴부 접촉영역(112) 및 제2대퇴부 접촉영역(113)으로 구성된다. 배설물 처리장치(200) 사용 시, 둔부 접촉영역(111)은 인체의 둔부와 접촉하고, 제1대퇴부 접촉영역(112) 및 제2대퇴부 접촉영역(113)은 인체의 대퇴부 내측에 접촉하게 되며, 각각의 접촉영역(111, 112, 113)은 인체 부위의 굴곡 경사도에 대응되는 경사도를 갖도록 형성된다. 즉, 각각의 접촉영역(111, 112, 113)의 단면은 좌우 방향으로 연장된 수평선으로부터 일정 각도만큼 경사진 형태로 형성된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접촉영역(111, 112, 113)과 인체와의 밀착을 강화시켜 배설물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게 된다.
제1대퇴부 접촉영역(112) 및 제2대퇴부 접촉영역(113)은 각각 둔부 접촉영역(111)의 일단과 타단에서 상부로 연장된 형태로 형성된다. 둔부 접촉영역(111), 제1대퇴부 접촉영역(112) 및 제2대퇴부 접촉영역(113)은 분리 공간 없이 연속적으로 형성되며, 각 접촉영역(111, 112, 113)의 경계선은 사용자에 따라 가변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둔부 접촉영역(111)의 폭은 제1대퇴부 접촉영역(112) 및 제2대퇴부 접촉영역(113)의 폭보다 길게 형성된다. 사용자가 배설물 처리장치(200)를 착용하고 정자세로 누울 경우, 제1대퇴부 접촉영역(112) 및 제2대퇴부 접촉영역(113)보다 둔부 접촉영역(111)에서 배설물이 유출될 가능성이 크다. 따라서, 둔부 접촉영역(111)의 외측 둘레(114)에서 내측 둘레(115)까지의 폭(W1)을 제1대퇴부 접촉영역(112) 및 제2대퇴부 접촉영역(113)의 외측 둘레(114)에서 내측 둘레(113)까지의 폭(W2)보다 크게 형성하여, 배설물의 유출을 보다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게 한다.
결합유닛(120)은 밀착부재(100)를 배설물 처리장치(200)와 탈부착하는 구성요소로서, 밀착유닛(110)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본 발명에서 결합유닛(120)은 밀착유닛(110)보다 넓은 면적으로 형성되며, 밀착유닛(110)의 하부에 위치하여 밀착유닛(110)을 지지하도록 형성된다. 즉, 결합유닛(120)의 일면은 밀착유닛(110)이 부착되고, 밀착유닛(110)이 부착되는 면의 이면은 배설물 처리장치(200)와 탈부착 할 수 있는 구성을 갖게 된다. 결합유닛(120)은 플라스틱, 금속 등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밀착유닛(110)보다 경질소재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결합유닛(120)의 세부 구성요소들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의 결합유닛(120)은 둔부 접촉영역(111)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제1영역(121), 제1대퇴부 접촉영역(112) 및 제2대퇴부 접촉영역(113)에 대응되는 제2영역(122) 및 제3영역(123)을 포함한다. 제2영역(122) 및 제3영역(123)은 각각, 제1영역(121)의 일단과 타단에서 상부 방향으로 연장된 형태로 형성된다.
도 3의 (a)에는 결합유닛(120)에 형성된 제2체결수단(133)과 밀착유닛(110)에 형성된 방지턱(134)이 도시되어 있다. 제2체결수단(133)은 제1영역(121)에서 결합유닛(120)과 배설물 처리장치(200) 간의 결합을 잠금 또는 해제하는 구성요소로서, 돌기, 홈, 자석, 버튼 형태 등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하에서는 버튼 형태의 제2체결수단(133)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제2체결수단(133)은 버튼부(171), 버튼부(171)의 일단 및 타단에 형성되어 있는 제1홈(172) 및 제2홈(173), 버튼부(171)와 결합유닛(120)의 본체 사이에 형성되는 제3홈(174)을 포함한다. 제1홈(172) 및 제2홈(173)은 이하에서 설명할 배설물 처리장치(200)의 안착부와 결합하여 결합유닛(120)이 배설물 처리장치(200)의 안착부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한다. 버튼부(171)가 제3홈(174) 측으로 일정 압력을 받을 경우, 결합유닛(120) 자체의 탄성으로 인해 제3홈(174) 측으로 버튼부(171)가 밀리면서 제1홈(172) 및 제2홈(173)과 안착부와의 결합이 해제된다.
방지턱(134)은 배설물 처리장치(200)와 결합유닛(120) 사이 공간을 통해 배설물이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차단하는 구성요소이다. 방지턱(134)은 밀착유닛(110)이 결합유닛(120)의 하부로 연장된 형태로서 결합유닛(120)의 내측 둘레를 감싸도록 형성된다. 이를 통해, 배설물 처리장치(200)와 결합유닛(120) 사이로 배설물이 흘러들어간다고 하더라도 결합유닛(120)의 내측 둘레에 형성된 방지턱(134)이 배설물 처리장치(200)와 밀착되어 배설물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게 된다.
도 3의 (b)는 결합유닛(120)에 제1체결수단(131) 및 지지유닛(132)이 형성된 형태를 도시하고 있다. 결합유닛(120)과 배설물 처리장치(200)의 결합 시, 제1체결수단(131)은 제2영역(122) 및 제3영역(123)에서 결합유닛(120)이 배설물 처리장치(200)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제1체결수단(131)은 돌기, 홈, 자석 등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하에서는 돌기 형태의 제1체결수단(131)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제1체결수단(131)은 제2영역(122) 및 제3영역(123)의 단부에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제1체결수단(131)은 제2영역(122)과 제3영역(123)이 상부 방향으로 연장된 단부에서, 상부 방향으로 돌출된 형태로 형성된다.
지지유닛(132)은 사용자가 배설물 처리장치(200)를 착용하고 정자세로 누울 경우, 결합유닛(120)이 배설물 처리장치(200)에서 미끄러져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구성요소이다. 지지유닛(132)은 제2영역(122)과 제3영역(123)에서 밀착유닛(110)이 부착된 면의 이면에 돌출되어 형성된다. 지지유닛(132)은 상기 이면으로부터 수평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안착판(141), 안착판(141)의 일단에서 연장되어 형성되는 제1지지대(142), 안착판(141)의 타단에서 연장되어 형성되는 제2지지대(143) 및 제1지지대(142)와 제2지지대(143)의 연장된 방향의 단부를 연결하는 제3지지대(144)를 포함한다. 전체적으로, 지지유닛(132)은 안착판(141), 제1지지대(142), 제2지지대(143) 및 제3지지대(144)로 구성되고 내부에 함몰부를 갖는 기둥 형태로 형성된다. 지지유닛(132)은 이하에서 설명할 배설물 처리장치(200)의 안착부에 삽입되어 밀착부재(100)가 배설물 처리장치(200)에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도록 한다.
도 3의 (c)는 밀착유닛(110)의 부착된 면의 이면의 결합유닛(120)을 도시하고 있다. 본 발명에서 제1영역(121)의 폭(W3)은 제2영역(122) 및 제3영역(123)의 폭(W4)보다 길게 형성된다. 밀착유닛(110)과 마찬가지로 사용자가 배설물 처리장치(200)를 착용하고 정자세로 누울 경우, 제2영역(122) 및 제3영역(123)보다 제1영역(121)에서 배설물이 유출될 가능성이 커서, 제1영역(121)의 외측 둘레(116)에서 내측 둘레(117)까지의 폭(W3)을 제2영역(122) 및 제3영역(123)의 외측 둘레(116)에서 내측 둘레(117)까지의 폭(W4)보다 크게 형성하여, 배설물의 유출을 보다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게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설물 처리장치(200)의 안착부(210)를 중심으로 확대한 도면이다.
도 4는 배설물 처리장치(200)에서 결합유닛(120)이 부착되는 자리에 형성되는 안착부(210)를 도시하고 있다. 안착부(210)는 인체의 접촉 부분의 굴곡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며, 개방된 형태로 구성되어 밀착부재(100)의 결합유닛(120)과 결합한다. 안착부(210)는 둔부의 굴곡에 대응되는 형상을 갖는 둔부 굴곡영역(211), 대퇴부의 굴곡에 대응되는 형상을 갖는 제1대퇴부 굴곡영역(212) 및 제2대퇴부 굴곡영역(213)을 포함한다. 제1대퇴부 굴곡영역(212) 및 제2대퇴부 굴곡영역(213)은 각각 둔부 굴곡영역(211)의 일단과 타단에서 상부로 연장된 형태로 형성된다.
본 발명에서 제1대퇴부 굴곡영역(212) 및 제2대퇴부 굴곡영역(213)에는 소정의 삽입공간(225)이 형성되며, 안착부(210)와 결합유닛(120)의 결합 시, 삽입공간(225)에 결합유닛(120)의 지지유닛(132)이 끼움 결합된다.
또한, 제1대퇴부 굴곡영역(212) 및 제2대퇴부 굴곡영역(213)에는 제3체결수단(221) 및 안착면(222)이 형성된다. 제3체결수단(221)은 홈, 돌기, 자석 등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하에서는 홈 형태의 제3체결수단(221)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제3체결수단(221)은 결합유닛(120)의 제1체결수단(131)과 끼움 결합하여, 결합유닛(120)이 배설물 처리장치(200)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구성요소이다. 제3체결수단(221)은 결합판(226)과 결합홈(227)으로 구성되며, 결합판(226)은 둔부 굴곡영역(211)에서 제1대퇴부 굴곡영역(212)과 제2대퇴부 굴곡영역(213)으로 연장되는 방향의 단부에서, 상기 연장된 방향과 수직하여 돌출되어 형성된다. 결합홈(227)은 결합판(226)의 일영역에 형성되며, 상기 결합홈(277)에 결합유닛(120)의 제1체결수단(131)이 끼움 결합될 경우, 제2영역(122) 및 제3영역(123)의 단부가 결합판(226)에 맞닿게 되어 밀착부재(100)가 배설물 처리장치(200)에 안정적으로 위치하게 된다.
안착면(222)은 결합유닛(120)이 본체부(201)에서 미끄러지지 않도록 지지하는 구성요소로서, 삽입공간(225)을 구성하는 복수의 내면들 중 하부면에 해당한다. 안착면(222)은 둔부 굴곡영역(211)과 제1대퇴부 굴곡영역(212) 및 제2대퇴부 굴곡영역(213)의 경계부분에 수평방향으로 단차지게 형성된다. 밀착부재(100)를 배설물 처리장치(200)와 결합하는 경우, 지지유닛(132)에서 수평방향으로 형성된 안착판(141)이 안착면(222)과 맞닿게 되고, 안착면(222)이 안착판(141)을 지지하게 되어 결합유닛(120)이 배설물 처리장치(200)에서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지지유닛(132)을 구성하는 제1지지대(142), 제2지지대(143) 및 제3지지대(144)는 삽입공간(225)의 내면들에 접촉하여 결합유닛(120)이 배설물 처리장치(200)에 더욱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에서 둔부 굴곡영역(211)은 제4체결수단(223) 및 분리홈(224)을 포함한다. 제4체결수단(223)은 둔부 굴곡영역(211)에서 결합유닛(120)을 안착부(210)와 결합시키는 구성요소로서, 돌기, 홈, 자석, 버튼 형태 등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하에서는 버튼 형태의 제4체결수단(223)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 제4체결수단(223)은 제1돌출부(228)와 제2돌출부(229)로 구성된다. 제1돌출부(228)는 둔부 굴곡영역(211)의 외측 둘레(241)의 일영역에 위치하며, 내측 둘레(240) 측(후방)으로 돌출되는 판상으로 형성된다. 제1돌출부(228)의 일영역에는 제2체결수단(133)의 제1홈(172) 및 제2홈(173)에 대응되도록 돌출된 형태의 제2돌출부(229)가 형성된다. 제2돌출부(229)는 제2체결수단(133)의 제1홈(172) 및 제2홈(173)에 삽입되어 결합유닛(120)과 배설물 처리장치(200)를 결합시키게 된다.
본 발명에서 본체부(201)는 분리홈(224)이 형성된 연장부(20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연장부(205)는 안착부(210)로부터 연장되고 인체의 둔부에 접촉되도록 형성되어, 배설물 처리장치(200)를 인체에 더욱 안정적으로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즉, 안착부(210)와 연장부(205)는 전체적으로 인체의 성기부로부터 둔부의 치골에 이르기까지 전체적으로 굴곡을 따라 감싸는 형태로 형성되어 내부의 배설물이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인체에 밀착시킨다. 또한, 연장부(205)는 인체의 둔부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후방에서 전방으로 갈수록 높이가 낮아지도록 형성된다.
본 발명에서 연장부(205)와 제4체결수단(223)이 연결되는 위치에는 U자형의 분리홈(224)이 형성된다. 사용자는 결합유닛(120)을 안착부(210)로부터 분리할 때, 분리홈(224)을 통해 제2체결수단(133)에 일정 압력을 가하게 되고, 이 때, 제4체결수단(223)의 제2돌출부(229)에 걸려있던 제2체결수단(133)이 이탈되면서 안착부(210)와 결합유닛(120)이 분리된다.
안착부(210)와 결합유닛(120)의 결합 순서를 설명하면, 결합유닛(120)의 제1체결수단(131)을 제3체결수단(221)에 삽입하여 결합하고, 지지대(142, 143, 144)를 제1대퇴부 굴곡영역(212) 및 제2대퇴부 굴곡영역(213)의 삽입공간(225)에 삽입되도록 하여, 안착면(222)에 안착판(141)을 위치시킨 후, 제2체결수단(133)을 제4체결수단(223)에 결합시킨다. 분리는 결합 순서와 반대 순서로 이루어진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밀착부재(100)와 배설물 처리장치(200)의 결합형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4는 배설물 처리장치(200)의 대변처리부 측의 밀착부재(100)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도 5에서는 소변처리부 측의 밀착부재(150)까지 확장하여 설명한다.
도 5는 대변처리부의 밀착부재(100)와 소변처리부의 밀착부재(150)를 도시하고 있으며, 소변처리부의 밀착부재(150)도 대변처리부의 밀착부재(100)와 마찬가지로 밀착유닛과 결합유닛으로 구성될 수 있다. 즉, 소변처리부의 밀착부재(150)도 결합유닛을 중심으로 일면에는 밀착유닛이 부착되고 타면에는 배설물 처리장치(200)와 탈착 가능한 수단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밀착부재(150)는 배설물 처리장치(200)에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도록, 대변처리부의 밀착부재(100)의 제1체결수단(131), 지지유닛(132) 및 제2체결수단(133)에 대응하는 구성요소들을 포함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소변처리부의 안착부(230)에는 대변처리부의 안착부(210)의 제3체결수단(221), 삽입공간(225) 및 제4체결수단(223)에 대응하는 구성요소들이 형성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밀착부재(160)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6의 실시예를 도 5의 실시예와 비교하면, 도 5의 실시예는 소변처리부의 밀착부재와 대변처리부의 밀착부재가 분리된 형태인 것에 반해, 도 6의 실시예는 소변처리부의 밀착부재와 대변처리부의 밀착부재가 일체형인 형태에 해당한다. 밀착부재(160)는 밀착유닛(161)과 결합유닛(162)으로 구성되며, 타원형의 폐곡선 형태로 형성된다. 결합유닛(162)을 중심으로 결합유닛(162)의 일면에는 밀착유닛(161)이 부착되고, 타면에는 본체부(201)와의 결합 수단이 형성된다. 도 6은 결합유닛(162)의 외측 둘레의 일영역에 제2체결수단(163)이 형성된 형태를 도시하고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제2체결수단(163)은 복수개가 형성될 수 있으며, 이 때 제2체결수단(163)은 결합유닛(162)의 최상단과 최하단의 외측 둘레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결합유닛(162)에서 밀착유닛(161)이 부착되는 면의 이면에는 배설물 처리장치(200)와의 안착 결합을 위해 돌출된 형태의 안착수단이 형성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밀착부재(160)가 결합된 배설물 처리장치(200)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배설물 처리장치(200)에 밀착부재(160) 결합 시, 사용자는 소변처리부의 안착부부터 결합을 실시하여 대변처리부의 안착부에서 결합을 완료하게 된다. 이 때, 밀착부재(160)의 최상단과 최하단에 위치하는 제2체결수단(163)은 배설물 처리장치(200)의 대응되는 위치에 설치된 결합수단과 결합하여 양 측에서 밀착부재(160)를 고정시키게 된다. 또한, 결합유닛(162)에 형성된 안착수단은 배설물 처리장치(200)의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 삽입공간에 삽입되어 밀착부재(160)를 배설물 처리장치(200)에 안정적으로 고정시키게 된다.
본 발명의 밀착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배설물 처리장치를 이용하면, 밀착부재에 손상이 발생하였을 경우, 사용자는 밀착부재를 교체할 수 있어, 별도로 수리를 맡길 필요가 없게 되며, 오염이 발생하였을 경우, 사용자는 배설물 처리장치에서 밀착부재만을 분리하여 세척할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의성이 향상된다.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 예를 사용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많은 수정과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100 : 밀착부재
110 : 밀착유닛
111 : 둔부 접촉영역
112 : 제1대퇴부 접촉영역
113 : 제2대퇴부 접촉영역
114 : 밀착유닛의 외측 둘레
115 : 밀착유닛의 내측 둘레
120 : 결합유닛
121 : 제1영역
122 : 제2영역
123 : 제3영역
171 : 버튼부
131 : 제1체결수단
132 : 지지유닛
133 : 제2체결수단
134 : 방지턱
141 : 안착판
142 : 제1지지대
143 : 제2지지대
144 : 제3지지대
150, 160 : 밀착부재
161 : 밀착유닛
162 : 결합유닛
163 : 제2체결수단
172 : 제1홈
173 : 제2홈
174 : 제3홈
200 : 배설물 처리장치
201 : 본체부
202 : 배출유로
203 : 통과홀
204 : 수용공간
205 : 연장부
210 : 안착부
211 : 둔부 굴곡영역
212 : 제1대퇴부 굴곡영역
213 : 제2대퇴부 굴곡영역
221 : 제3체결수단
222 : 안착면
223 : 제4체결수단
224 : 분리홈
225 : 삽입공간
226 : 결합판
227 : 결합홈
228 : 제1돌출부
229 : 제2돌출부
230 : 안착부
240 : 안착부의 내측 둘레
241 : 안착부의 외측 둘레

Claims (14)

  1. 인체의 배설물을 받는 공간이 형성된 배설물 처리장치에 결합되는 밀착부재에 있어서,
    인체와 접촉하는 밀착유닛; 및
    상기 밀착유닛에 부착되며 상기 밀착유닛보다 경질소재로 형성되는 결합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결합유닛은 상기 배설물 처리장치와 탈부착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착부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밀착유닛은
    사용자의 둔부에 접촉되는 둔부 접촉영역;
    상기 둔부 접촉영역의 일단에서 연장되고 사용자의 대퇴부 내측에 접촉되는 제1대퇴부 접촉영역; 및
    상기 둔부 접촉영역의 타단에서 연장되고 사용자의 대퇴부 내측에 접촉되는 제2대퇴부 접촉영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착부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유닛은
    상기 둔부 접촉영역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제1영역;
    상기 제1영역의 일단에서 연장되며 상기 제1대퇴부 접촉영역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제2영역; 및
    상기 제1영역의 타단에서 연장되며 상기 제2대퇴부 접촉영역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제3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제1영역, 제2영역 및 제3영역의 연결 시 외측 둘레 및 내측 둘레를 갖는 곡선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착부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영역 및 제3영역은
    각각 연장된 방향의 단부에, 상기 배설물 처리장치와의 결합을 위한 제1체결수단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착부재.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영역 및 제3영역은
    각각 상기 밀착유닛이 부착된 면의 이면으로부터 돌출되며 중앙에 함몰부가 형성된 지지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착부재.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유닛은
    상기 이면으로부터 수평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안착판;
    상기 안착판의 일단에서 연장되어 형성되는 제1지지대;
    상기 안착판의 타단에서 연장되어 형성되는 제2지지대; 및
    상기 제1지지대 및 상기 제2지지대의 연장된 방향의 단부를 연결하는 제3지지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착부재.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영역은
    상기 외측 둘레의 일영역에 상기 배설물 처리장치와의 결합을 위한 제2체결수단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착부재.
  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둔부 접촉영역은
    상기 제1영역의 내측 둘레를 감싸도록 연장 형성된 방지턱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착부재.
  9. 인체의 둔부 방향으로 개방되며, 인체로부터 배출되는 배설물의 수용공간을 포함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와 연결되며 상기 수용공간의 둘레를 따라 인체의 둔부의 굴곡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는 안착부;
    상기 수용공간과 연통되어 상기 수용공간의 배설물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출유로; 및
    상기 안착부와 탈부착이 가능한 밀착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밀착부재는
    인체와 접촉하는 밀착유닛; 및
    상기 밀착유닛과 부착되고, 상기 밀착유닛 보다 경질소재이며, 외측 둘레 및 내측 둘레를 갖는 곡선형태로 형성되는 결합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설물 처리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부는
    둔부의 굴곡에 대응되는 형상의 둔부 굴곡영역;
    대퇴부의 굴곡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상기 둔부 굴곡영역의 일단에서 연장되어 형성되는 제1대퇴부 굴곡영역; 및
    대퇴부의 굴곡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상기 둔부 굴곡영역의 타단에서 연장되어 형성되는 제2대퇴부 굴곡영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설물 처리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유닛은 일단과 타단에 각각 제1체결수단이 형성되고,
    상기 제1대퇴부 굴곡영역 및 제2대퇴부 굴곡영역은 각각 상기 연장된 방향의 단부에 제3체결수단이 형성되며,
    상기 제1체결수단은 상기 제3체결수단과 체결되어, 상기 결합유닛이 상기 제1대퇴부 굴곡영역 및 제2대퇴부 굴곡영역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설물 처리장치.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유닛은 상기 밀착유닛이 부착된 면의 이면으로부터 수평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안착판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대퇴부 굴곡영역 및 제2대퇴부 굴곡영역은 상기 둔부 굴곡영역과의 경계 부분에 수평방향으로 단차지게 형성되는 안착면을 더 포함하며,
    상기 안착판은 상기 안착면 상에 위치하여, 상기 결합유닛이 상기 제1대퇴부 굴곡영역 및 제2대퇴부 굴곡영역에 의해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설물 처리장치.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유닛은 외측 둘레의 일영역에 형성된 제2체결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둔부 굴곡영역은 외측 둘레의 일영역에서 내측 둘레 방향으로 형성되는 제4체결수단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2체결수단은 상기 제4체결수단과 체결되어, 상기 결합유닛이 상기 둔부 굴곡영역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설물 처리장치.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상기 둔부 굴곡영역으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둔부 굴곡영역과의 경계 부분에 분리홈이 형성된 연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설물 처리장치.
KR1020150111605A 2015-08-07 2015-08-07 밀착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배설물 처리장치 KR1015595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1605A KR101559503B1 (ko) 2015-08-07 2015-08-07 밀착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배설물 처리장치
PCT/KR2016/008654 WO2017026752A1 (ko) 2015-08-07 2016-08-05 밀착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배설물 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1605A KR101559503B1 (ko) 2015-08-07 2015-08-07 밀착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배설물 처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59503B1 true KR101559503B1 (ko) 2015-10-14

Family

ID=543577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11605A KR101559503B1 (ko) 2015-08-07 2015-08-07 밀착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배설물 처리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559503B1 (ko)
WO (1) WO2017026752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26752A1 (ko) * 2015-08-07 2017-02-16 주식회사 큐라코 밀착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배설물 처리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3229B1 (ko) 2012-06-12 2013-09-30 주식회사 이노메카 자동 배설물 처리장치, 자동 배설물 처리장치의 배설물 수집 기저귀 및 그 등 받침 매트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85272A (ko) * 2008-02-04 2009-08-07 이진용 환자용 배설물 처리장치의 천커버
KR101210932B1 (ko) * 2011-02-28 2012-12-11 근로복지공단 자동 배설물 처리장치
KR101544566B1 (ko) * 2013-11-04 2015-08-21 이훈상 밀착부재를 포함하는 배설물 처리장치
KR101559503B1 (ko) * 2015-08-07 2015-10-14 주식회사 큐라코 밀착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배설물 처리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3229B1 (ko) 2012-06-12 2013-09-30 주식회사 이노메카 자동 배설물 처리장치, 자동 배설물 처리장치의 배설물 수집 기저귀 및 그 등 받침 매트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26752A1 (ko) * 2015-08-07 2017-02-16 주식회사 큐라코 밀착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배설물 처리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7026752A1 (ko) 2017-0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108774A (ko) 간호용 배설물 처리 장치에서의 배설물 받이구
US10004630B2 (en) Wearable toilet seat
US20150135423A1 (en) External Voiding Apparatus and System
JP2008029758A (ja) 自動排便処理装置
RU2506934C2 (ru) Стомный мешок
JP2003514620A (ja) とりわけ寝たきりの人用のトイレット装置
JP2008142243A (ja) 排泄補助具およびクッションパッドならびに排泄物処理システム
US20220370231A1 (en) Wearable waste removal and cleansing apparatus
JP2008043501A (ja) 自動排便処理装置
JP4116652B2 (ja) 自動排便処理装置
KR20090039120A (ko) 자동배설물 처리장치 및 자동배설물 처리방법
KR101559503B1 (ko) 밀착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배설물 처리장치
KR101544566B1 (ko) 밀착부재를 포함하는 배설물 처리장치
KR100829524B1 (ko) 자동 배변 처리장치
KR100905530B1 (ko) 자동배설물 처리장치
JP2007097886A (ja) 排泄カップおよびその着用カバー
TWM458926U (zh) 自封阻溢式尿具及其套件
JP7053307B2 (ja) 排泄物受け具、及び固定具
TW201200116A (en) Automatic excrement processing device
CN110338693A (zh) 一种医疗护理用坐便器
JP7250187B2 (ja) 排泄処理具
JP2020171470A (ja) 介護用排泄物受けユニット及び介護用ガーター
JP2008029759A (ja) 自動排便処理装置
JP2000210322A (ja) 排泄物処理装置
TWI771200B (zh) 方便安裝的排尿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1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