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59469B1 - 경기의 이벤트 관련 가상 동영상을 생성 하는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방법 - Google Patents

경기의 이벤트 관련 가상 동영상을 생성 하는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59469B1
KR101559469B1 KR1020150029135A KR20150029135A KR101559469B1 KR 101559469 B1 KR101559469 B1 KR 101559469B1 KR 1020150029135 A KR1020150029135 A KR 1020150029135A KR 20150029135 A KR20150029135 A KR 20150029135A KR 101559469 B1 KR101559469 B1 KR 1015594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vent
virtual
information
generating
virtual mo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291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태훈
이윤주
Original Assignee
안태훈
이윤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태훈, 이윤주 filed Critical 안태훈
Priority to KR10201500291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5946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594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59469B1/ko
Priority to PCT/KR2016/001398 priority patent/WO2016140444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1Monomedia components thereof
    • H04N21/8126Monomedia components thereof involving additional data, e.g. news, sports, stocks, weather forecas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1Monomedia components thereof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1Monomedia components thereof
    • H04N21/8146Monomedia components thereof involving graphical data, e.g. 3D object, 2D graphics
    • H04N21/8153Monomedia components thereof involving graphical data, e.g. 3D object, 2D graphics comprising still images, e.g. texture, background ima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Abstract

경기 가상 동영상 생성 장치 및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경기 가상 동영상 생성 장치는 기 설정된 필드들로 인코딩된 경기의 이벤트 관련 데이터를 디코딩하여 상기 이벤트 정보를 추출하는 디코딩부; 경기장 내부의 객체들 각각에 상응하는 템플릿들이 저장된 데이터 베이스; 및 상기 이벤트 정보 및 상기 템플릿들에 기반하여 상기 이벤트에 상응하는 가상 동영상을 생성하는 동영상 생성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경기의 이벤트 관련 가상 동영상을 생성 하는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방법{APPARATUS FOR CREATING VIRTUAL VIDEO RELATED TO EVENT OF GAME AND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경기의 이벤트 관련 가상 동영상을 생성하는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축구 경기나 야구 경기 등 스포츠 경기의 인기가 점차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이에 따라 스포츠 중계 방송이나 분석 방송 등에서 경기 중에 발생한 이벤트에 관련된 영상을 방송하면서, 이에 대한 분석이 증가하고 있다.
최근에는 스포츠 경기를 관람하는 것을 즐기는 것을 넘어서 전문적으로 분석하는 경향이 증가하고 있다. 지금까지는 스포츠 경기를 분석하는데 있어 미리 촬영된 실제 영상을 다시 방송하는 것에 그치고 있다. 이는 다양한 방법으로 스포츠 경기를 분석하는 것을 저해하고 있으며, 오히려 이벤트에 관련된 가상 동영상을 이용하여 경기를 분석하는 것이 좀 더 다양한 방법으로 경기를 분석하는데 도움이 되고 있다.
다만, 종래의 기술들은 단순히 경기의 실제 영상을 참고하여 직접 렌더링하는 방식으로 가상 동영상을 생성하고 있어 불편한 점이 많다.
따라서, 경기 중의 이벤트에 관련된 가상 동영상을 좀 더 빠르게 생성하는 기술이 절실하게 대두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경기의 이벤트에 관련된 인코딩 데이터를 디코딩하여 추출된 이벤트 정보를 이용하여 좀 더 정교하고, 현실에 가까운 가상 동영상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객체에 상응하는 템플릿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이를 가상 동영상 생성에 이용함으로써 가상 동영상을 빠르게 생성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가상 동영상과 사운드를 동기화 함으로써, 좀 더 실감나는 가상 동영상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이벤트 관련 경기 가상 동영상 생성 장치는 기 설정된 필드들로 인코딩된 경기의 이벤트 관련 데이터를 디코딩하여 상기 이벤트 정보를 추출하는 디코딩부; 경기장 내부의 객체들 각각에 상응하는 템플릿들이 저장된 데이터 베이스; 및 상기 이벤트 정보 및 상기 템플릿들에 기반하여 상기 이벤트에 상응하는 가상 동영상을 생성하는 동영상 생성부를 포함한다.
이 때, 디코딩부는 상기 경기의 이벤트 관련 데이터에 포함된 상기 이벤트에 상응하는 정보를 디코딩하여 상기 이벤트의 종류 및 정보를 추출하는 이벤트 디코딩부; 및 상기 경기의 이벤트 관련 데이터에 포함된 센서들에 상응하는 정보를 디코딩하여 상기 센서들의 식별자 및 위치 정보들을 추출하는 센서 디코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센서 디코딩부는 상기 객체들에 상응하는 센서들의 식별자에 기반하여 상기 객체들 각각을 구별하는 객체 식별부; 및 상기 센서들의 위치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객체들 각각에 상응하는 위치 정보들을 추출하는 위치 정보 추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동영상 생성부는 상기 이벤트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데이터 베이스에서 상기 이벤트에 상응하는 배경 화면을 불러오는 배경 화면 생성부; 상기 객체들 각각에 상응하는 위치 정보들에 기반하여 상기 객체들 각각에 상응하는 상기 템플릿들을 상기 이벤트에 상응하는 배경화면에 배치하여 가상 화면들을 생성하는 가상 화면 생성부; 및 상기 가상 화면들을 순차적으로 합성하여 상기 이벤트에 상응하는 상기 가상 동영상을 생성하는 가상 동영상 생성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경기 가상 동영상 생성 장치는 상기 이벤트에 상응하는 기 촬영된 경기 영상에서 사운드를 추출하는 사운드 추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경기 가상 동영상 생성 장치는 상기 사운드 추출부에서 추출한 사운드와 상기 가상 동영상과 동기화 하는 동기화부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이 때, 경기 가상 동영상 생성 장치는 상기 동영상에 존재하는 객체들 각각을 확대, 축소 및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이 때, 상기 인코딩 된 이벤트 관련 데이터는 이벤트 아이디 필드(Event ID Field), 이벤트 속성 필드(Properties of Event Field), 관련된 센서 아이디 필드(Sensor ID Field associated with event), 센서 데이터 필드(Data field of Sensor)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고, 상기 필드들은 SOF(Start Of Field) 와 EOF(End Of Field) 사이에 존재하는 데이터 프레임을 가질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이벤트 관련 가상 동영상 생성 방법은 기 설정된 필드들로 인코딩된 경기의 이벤트 관련 데이터를 디코딩하여 이벤트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이벤트 정보 및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된 경기장 내부의 객체들 각각에 상응하는 템플릿들에 기반하여 상기 이벤트에 상응하는 가상 동영상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이벤트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는 상기 경기의 이벤트 관련 데이터에 포함된 상기 이벤트에 상응하는 정보를 디코딩하여 상기 이벤트의 종류 및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경기의 이벤트 관련 데이터에 포함된 센서들에 상응하는 정보를 디코딩하여 상기 센서들의 식별자 및 위치 정보들을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센서들의 식별자 및 위치 정보들을 추출하는 단계는 상기 객체들에 상응하는 센서들의 식별자에 기반하여 상기 객체들 각각을 구별하는 단계; 및 상기 센서들의 위치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객체들 각각에 상응하는 위치 정보들을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가상 동영상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이벤트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데이터 베이스에서 상기 이벤트에 상응하는 배경 화면을 불러오는 단계; 상기 객체들 각각에 상응하는 위치 정보들에 기반하여 상기 객체들 각각에 상응하는 상기 템플릿들을 상기 배경 화면에 배치하여 가상 화면들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가상 화면을 순차적으로 합성하여 상기 이벤트에 상응하는 상기 가상 동영상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경기 가상 동영상 생성 방법은 상기 이벤트에 상응하는 기 촬영된 경기 영상에서 사운드를 추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경기 가상 동영상 생성 방법은 상기 사운드와 상기 가상 동영상과 동기화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경기 가상 동영상 생성 방법은 상기 가상 동영상에 존재하는 객체들 각각을 확대, 축소 및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인코딩 된 이벤트 관련 데이터는 이벤트 아이디 필드(Event ID Field), 이벤트 속성 필드(Properties of Event Field), 관련된 센서 아이디 필드(Sensor ID Field associated with event), 센서 데이터 필드(Data field of Sensor)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고, 상기 필드들은 SOF(Start Of Field) 와 EOF(End Of Field) 사이에 존재하는 데이터 프레임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은 디코딩되어 추출된 이벤트 정보를 이용하여 좀 더 정교하고, 현실에 가까운 가상 동영상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객체에 상응하는 템플릿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이를 가상 동영상 생성에 이용함으로써 가상 동영상을 빠르게 생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가상 동영상과 사운드를 동기화 함으로써, 좀 더 실감나는 가상 동영상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벤트 관련 가상 동영상 생성 장치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동영상 생성부의 일실시예에 관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인코딩된 경기의 이벤트 관련 데이터가 갖는 데이터 프레임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상 동영상 생성 장치에서 객체들의 위치 정보를 추출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이벤트 관련 가상 동영상 생성 장치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 내지 도 13은 본 발명의 이벤트 관련 가상 동영상 생성 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벤트 관련 가상 동영상 생성 방법을 나타낸 동작 흐름도이다.
도 15는 도 14에 도시된 가상 동영상 생성에 관한 일 실시예를 나타낸 동작 흐름도이다.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반복되는 설명,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벤트 관련 가상 동영상 생성 장치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이벤트 관련 가상 동영상 생성 장치는 디코딩부(110), 동영상 생성부(120) 및 데이터베이스(130)로 구성되어 있다.
디코딩부(110)는 기 설정된 필드들로 인코딩 된 경기의 이벤트 관련 데이터를 디코딩하여 이벤트 정보를 추출한다.
이 때, 이벤트는 경기 중에 일어나는 사건을 의미하며, 예를 들면, 공과 선수의 근접하는 사건, 공이 골대 안으로 들어가는 사건, 선수의 성공적인 태클 사건, 세트 피스 사건, 패스 가로채기 사건, 공이 수비하는 선수 근처를 지났으나 성공적인 패스로 이어지는 사건, 역습이 진행되는 사건, 야구 경기에서 공이 펜스 뒤로 넘어가는 사건 등이 이벤트가 될 수 있다.
이 때, 이벤트 정보는 이벤트에 관한 정보들로서, 예를 들면, 이벤트가 일어난 시간, 이벤트의 종류, 이벤트가 지속된 시간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이 때, 이벤트 데이터는 기 설정된 필드로 구성된 데이터 프레임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대한 설명은 도 3에서 후술한다.
이 때, 도 1에 도시되지 않았지만 디코딩부(110)는 경기의 이벤트 관련 데이터에 포함된 상기 이벤트에 상응하는 정보를 디코딩하여 상기 이벤트의 종류 및 정보를 추출하는 이벤트 디코딩부와 경기의 이벤트 관련 데이터에 포함된 센서들에 상응하는 정보를 디코딩하여 상기 센서들의 식별자 및 위치 정보들을 추출하는 센서 디코딩부로 구성될 수 있다.
이 때, 이벤트 디코딩부는 이벤트 관련 정보를 추출할 수 있는데, 이벤트 관련 정보에는 이벤트가 일어난 시간, 이벤트의 종류, 지속 시간이 포함될 수 있음을 위에서 서술하였다.
이 때, 센서 디코딩부는 경기장 내부의 객체들에 상응하는 센서들의 식별자와 센서들의 위치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이 때, 경기장 내부의 객체들은 경기장 내부의 선수들, 선수들이 이용하는 운동 도구, 공 등이 포함될 수도 있다.
이 때, 객체들 각각에 하나 이상의 센서들을 설치하고, 미리 식별자를 설정해 놓은 경우, 디코딩하여 식별자를 추출하면, 객체들의 위치 정보를 파악할 수 있음을 이용하여 센서들의 위치 정보에서 객체들 각각에 상응하는 위치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축구 경기의 공격수에 설치된 센서 식별자가 001이고, 디코딩 된 이벤트 관련 데이터 내부에 센서 식별자가 001이고, 위치가 (0,10,100)이라면, 축구 경기의 공격수의 위치는 (0,10,100)이 될 수 있다.
이 때, 객체들 각각에 설치되는 센서의 개수에는 제한이 없다. 위치 정보를 정확하게 추출하기 위해 여러 개의 센서를 객체에 설치할 수도 있다.
데이터 베이스(130)는 경기장 내부의 객체들 각각에 상응하는 템플릿을 저장한다.
이 때, 객체들 각각에 상응하는 템플릿을 미리 저장하여 가상 동영상을 빠르게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축구 경기에서 선수들의 신체, 얼굴 등을 미리 렌더링하여 템플릿으로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선수들의 동작을 미리 렌더링을 하여 템플릿으로 저장할 수도 있다.
또 예를 들면, 경기장의 관중을 미리 렌더링하여 템플릿으로 저장하여 가상 동영상 생성시 좀 더 현실감 있는 동영상을 생성할 수도 있다.
동영상 생성부(120)는 이벤트 정보 및 템플릿들에 기반하여 이벤트에 상응하는 가상 동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동영상 생성부(120)에 관해서는 도 2에서 후술한다.
이 때, 생성된 동영상은 디바이스로 전송하고, 출력하여 사용자들이 동영상을 감상할 수도 있다.
이 때, 도 1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이벤트에 상응하는 촬영된 경기 영상에서 사운드를 추출하는 사운드 추출부 및 사운드 추출부에서 추출한 사운드와 가상 동영상간 동기화를 수행하는 동기화부도 포함될 수 있다.
이 때, 사운드를 추출하는 방법에는 제한이 없다. 경기 중계 화면에서 추출된 사운드가 될 수도 있고, 녹음을 수행하여 사운드를 추출할 수도 있다.
이 때, 동기화부는 사운드와 가상 동영상의 싱크를 맞춰주는 역할을 수행한다. 특정한 시간에 상응하는 사운드에 상응하는 가상 동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동영상 생성부의 일실시예에 관한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동영상 생성부(120)는 배경 화면 생성부(210), 가상 화면 생성부(220) 및 가상 동영상 생성부(230)로 구성되어 있다.
배경 화면 생성부(210)는 이벤트 정보에 기반하여 데이터 베이스에서 이벤트에 상응하는 배경 화면을 불러온다.
예를 들면, 골이 들어가는 이벤트의 경우, 공이 넘어간 골대와 골 에어리어 근처의 경기장 배경 화면을 데이터 베이스에서 불러올 수 있다.
가상 화면 생성부(220)는 객체들 각각에 상응하는 위치 정보들에 기반하여 객체들 각각에 상응하는 템플릿들을 배경 화면에 배치하여 가상 화면을 생성한다.
예를 들면, 골이 들어가는 이벤트에 해당하고, 이 때 골을 넣은 선수의 위치 정보가 3차원 좌표로 (0,1,10)로 추출되었고, 골기퍼에 해당하는 선수의 위치 정보가 (1,2,9)로 추출된 경우, 경기장 배경 화면에 두 선수에 해당하는 템플릿을 위치 정보에 상응하는 배경 화면의 위치로 합성을 하는 방법으로 가상 화면을 생성한다.
이 때, 추출된 이벤트 정보 중 시간 정보에 상응하는 가상 화면들을 생성할 수 있다.
가상 동영상 생성부(230)는 가상 화면 생성부(220)에서 생성한 가상 화면들을 순차적으로 합성하여 상기 이벤트에 상응하는 가상 동영상을 생성한다.
이 때, 순차적으로 합성한다는 의미는 시간의 흐름에 따라서 순서대로 합성한다는 의미이다.
이 때, 초당 합성 속도는 제한이 없다. 고 품질의 가상 동영상을 생성하기 위해서 더 많은 가상 화면들을 합성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인코딩된 경기의 이벤트 관련 데이터가 갖는 데이터 프레임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데이터 프레임은 시작 필드(Start of field, 310), 이벤트 아이디 필드(Event ID Field, 320), 이벤트 속성 필드(Properties of event field, 330), 이벤트와 연관된 센서 아이디 필드(Sensor ID field associated with the event, 340), 센서의 데이터 필드(Data Field of the sensor, 350), 종료 필드(End of field, 370)로 구성되어 있다.
시작 필드(Start of field, 310)는 데이터가 시작되는 필드이다.
이벤트 아이디 필드(Event ID Field, 320)는 이벤트의 종류에 관한 데이터 필드이다. 예를 들면, 축구 경기에서 골이 들어가는 이벤트의 경우 'ID:001'가 될 수 있고, 파울이 발생된 이벤트의 경우 'ID:010'가 될 수 있다. 역습이 시작되는 경우 'ID:011'이 될 수 있다.
이벤트 속성 필드(Properties of event field, 330)는 이벤트와 관련된 시간 정보, 위치 정보, 객체 정보가 포함된 데이터 필드이다.
이 때, 시간 정보는 이벤트 발생 시각, 이벤트 발생이전 일정 간격의 시각, 이벤트 발생 이후 일정 간격의 시각이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축구 경기에서 골이 들어가는 이벤트가 발생될 때 수집된 데이터의 경우, 골이 들어간 시각, 골이 들어간 시각 이전의 1분, 골이 들어간 시각 이후의 1분이라는 데이터가 시간 정보에 포함될 수 있다.
이 때, 위치 정보는 이벤트와 관련된 센서들의 경기장 내에 위치하고 있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축구 경기에서 골이 들어가는 이벤트가 발생할 때 수집된 데이터의 경우, 공을 중심으로 반지름이 5m인 원형 영역을 위치 정보에 포함될 수 있다.
이 때, 객체 정보는 이벤트와 관련된 센서들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축구 경기에서 골이 들어가는 이벤트가 발생할 때 수집된 데이터의 경우 공을 중심으로 반지름이 5m인 원형 영역 이내의 하나 이상의 센서들의 아이디가 포함된 정보가 객체 정보에 포함될 수 있다.
이벤트와 연관된 센서 아이디 필드(Sensor ID field associated with the event, 340)는 이벤트와 관련된 센서 아이디를 포함하는 데이터 필드이다.
센서의 데이터 필드(Data Field of the sensor, 350)는 바로 앞에 있는 센서 아이디 필드에 있는 센서 아이디에 상응하는 데이터가 포함되는 데이터 필드이다.
이 때, 이벤트와 관련된 센서는 하나 이상일 수도 있다. 이 경우 이벤트와 연관된 센서 아이디 필드(Sensor ID field associated with the event, 340), 센서의 데이터 필드(Data Field of the sensor, 350)가 순차적으로 반복되는데, 반복되는 데이터 필드들은 도 3에 도시된 360에 위치한다.
종료 필드(End of field, 370)는 이벤트 관련 데이터 필드가 종료되는 것을 의미하는 데이터가 위치하는 필드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상 동영상 생성 장치에서 객체들의 위치 정보를 추출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사각형으로 이루어진 경기장에서 4개의 꼭지점들(410, 420, 430, 440) 및 선수들(450, 460)로 구성되어 있다.
경기장 내부의 위치 정보를 표현하는 방법에는 제한이 없다. 도 4에서는 일반적으로 많이 사용되는 3차원 좌표 (x,y,z) 형식으로 표현하였다. X와 y는 경기장의 가로 방향 및 세로 방향에 대응되고, z의 경우 높이 정보를 표현할 수 있다.
도 4에서는 4개의 꼭지점들을 각각 (0,0,0), (500,0,0), (500,300,0), (0,300,0)으로 기준을 만들고, 경기장 내부의 객체들을 3차원 좌표로 표시하였다.
예를 들면, 선수(450)의 위치 정보는 (100, 150, 150)으로 표현될 수 있고, 다른 선수(460)의 위치 정보는 (120,150,50)으로 표현될 수 있다.
이 때, 좌표들을 동일한(uniform) 간격으로 나누어 표현 할 수도 있고, 다른 (non-uniform)간격으로 나누어 표현할 수도 있다. 이벤트가 많이 발생되는 골 에어리어 근방을 좁은 간격으로 좌표 간격을 정함으로써 더 정교한 위치 정보를 획득할 수도 있다.
도 5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이벤트 관련 가상 동영상 생성 장치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선수가 슛을 하는 이벤트에 관한 가상 동영상의 일부를 도시한 것이다.
이 때, 가상 동영상을 객체를 확대 또는 축소, 회전 등의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5 내지 도 8과 같이 가상 동영상을 시계 방향으로 회전을 수행 할 수 있다.
도 9 내지 도 13은 본 발명의 이벤트 관련 가상 동영상 생성 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 내지 도 13은 페널티 에어리어 내부에서 수비팀의 반칙으로 공격팀이 패널티킥을 수행하는 이벤트에 관련된 가상 동영상의 일부를 도시한 것이다.
도 9 내지 도 13을 순차적으로 합성하여 가상 동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패널티킥을 준비하는 가상 화면부터 시작하여 골기퍼가 패널티킥을 막아내는 가상 화면까지 생성하고 이를 시간 순서대로 합성하여 가상 동영상을 생성한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벤트 관련 가상 동영상 생성 방법을 나타낸 동작 흐름도이다.
먼저, 이벤트 관련 데이터를 디코딩하여 이벤트 정보를 추출한다(S1410).
이 때, 이벤트는 경기 중에 일어나는 사건을 의미하며, 예를 들면, 공과 선수의 근접하는 사건, 공이 골대 안으로 들어가는 사건, 선수의 성공적인 태클 사건, 세트 피스 사건, 패스 가로채기 사건, 공이 수비하는 선수 근처를 지났으나 성공적인 패스로 이어지는 사건, 역습이 진행되는 사건, 야구 경기에서 공이 펜스 뒤로 넘어가는 사건 등이 이벤트가 될 수 있다.
이 때, 이벤트 정보는 이벤트에 관한 정보들로서, 예를 들면, 이벤트가 일어난 시간, 이벤트의 종류, 이벤트가 지속된 시간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이 때, 이벤트 데이터는 기 설정된 필드로 구성된 데이터 프레임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대한 설명은 도 3에서 서술하였다.
또한, 이벤트 정보 및 템플릿에 기반하여 가상 동영상을 생성한다(S1420).
도 15는 도 14에 도시된 가상 동영상 생성에 관한 일 실시예를 나타낸 동작 흐름도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먼저 이벤트 정보에 기반하여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된 배경 화면을 로딩한다(S1510).
예를 들면, 골이 들어가는 이벤트의 경우, 공이 넘어간 골대와 골 에어리어 근처의 경기장 배경 화면을 데이터 베이스에서 불러올 수 있다.
또한, 배경 화면에 템플릿을 배치하여 가상 화면을 생성한다(S1520).
예를 들면, 골이 들어가는 이벤트에 해당하고, 이 때 골을 넣은 선수의 위치 정보가 3차원 좌표로 (0,1,10)로 추출되었고, 골기퍼에 해당하는 선수의 위치 정보가 (1,2,9)로 추출된 경우, 경기장 배경 화면에 두 선수에 해당하는 템플릿을 위치 정보에 상응하는 배경 화면의 위치로 합성을 하는 방법으로 가상 화면을 생성한다.
이 때, 추출된 이벤트 정보 중 시간 정보에 상응하는 가상 화면들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가상 화면들을 합성하여 가상 동영상을 생성한다(S1530).
이 때, 순차적으로 합성한다는 의미는 시간의 흐름에 따라서 순서대로 합성한다는 의미이다.
이 때, 초당 합성 속도는 제한이 없다. 고 품질의 가상 동영상을 생성하기 위해서 더 많은 가상 화면들을 합성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벤트 관련 가상 동영상 생성 장치 및 방법은 상기한 바와 같이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450, 460: 선수

Claims (16)

  1. 기 설정된 필드들로 인코딩된 경기의 이벤트 관련 데이터를 디코딩하여 상기 이벤트 정보를 추출하는 디코딩부;
    경기장 내부의 객체들 각각에 상응하는 템플릿들이 저장된 데이터 베이스; 및
    상기 이벤트 정보 및 상기 템플릿들에 기반하여 상기 이벤트에 상응하는 가상 동영상을 생성하는 동영상 생성부
    를 포함하고,
    상기 인코딩된 이벤트 관련 데이터는
    이벤트 아이디 필드(Event ID Field), 이벤트 속성 필드(Properties of Event Field), 관련된 센서 아이디 필드(Sensor ID Field associated with event), 센서 데이터 필드(Data field of sensor)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고, 상기 필드들은 SOF(Start of Field)와 EOF(End of field) 사이에 존재하는 데이터 프레임을 갖고,
    상기 이벤트 속성 필드는
    이벤트 발생 시각, 이벤트 발생 이전 일정 간격의 시각, 이벤트 발생 이후 일정 간격의 시각을 포함하는 시간 정보, 상기 이벤트에 상응하여 식별되는 중심 객체의 위치에 기반하여 특정 형상의 영역으로 지정되고, 상기 특정 형상의 영역은 상기 이벤트의 유형에 따라 설정되는 영역 정보를 포함하는 위치 정보, 상기 특정 형상의 영역 내의 하나 이상의 센서들의 아이디에 상응하는 객체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동영상 생성부는
    상기 영역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가상 동영상을 생성하되, 상기 이벤트의 발생 빈도에 따라 좌표 간격을 달리하여 상기 가상 동영상을 생성하고,
    상기 디코딩부는
    상기 경기의 이벤트 관련 데이터에 포함된 상기 이벤트에 상응하는 정보를 디코딩하여 상기 이벤트의 종류 및 정보를 추출하는 이벤트 디코딩부; 및
    상기 경기의 이벤트 관련 데이터에 포함된 센서들에 상응하는 정보를 디코딩하여 상기 센서들의 식별자 및 위치 정보들을 추출하는 센서 디코딩부를 포함하고,
    상기 센서 디코딩부는
    상기 객체들에 상응하는 센서들의 식별자에 기반하여 상기 객체들 각각을 구별하는 객체 식별부; 및
    상기 센서들의 위치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객체들 각각에 상응하는 위치 정보들을 추출하는 위치 정보 추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동영상 생성부는
    상기 이벤트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데이터 베이스에서 상기 이벤트에 상응하는 배경 화면을 불러오는 배경 화면 생성부;
    상기 객체들 각각에 상응하는 위치 정보들에 기반하여 상기 객체들 각각에 상응하는 상기 템플릿들을 상기 이벤트에 상응하는 배경화면에 배치하여 가상 화면들을 생성하는 가상 화면 생성부; 및
    상기 가상 화면들을 순차적으로 합성하여 상기 이벤트에 상응하는 상기 가상 동영상을 생성하는 가상 동영상 생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기 가상 동영상 생성 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경기 가상 동영상 생성 장치는
    상기 이벤트에 상응하는 기 촬영된 경기 영상에서 사운드를 추출하는 사운드 추출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기 가상 동영상 생성 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경기 가상 동영상 생성 장치는
    상기 사운드 추출부에서 추출한 사운드와 상기 가상 동영상과 동기화 하는 동기화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기 가상 동영상 생성 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경기 가상 동영상 생성 장치는
    상기 동영상에 존재하는 객체들 각각을 확대, 축소 및 제어하는 제어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기 가상 동영상 생성 장치.
  8. 삭제
  9. 기 설정된 필드들로 인코딩된 경기의 이벤트 관련 데이터를 디코딩하여 이벤트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이벤트 정보 및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경기장 내부의 객체들 각각에 상응하는 템플릿들에 기반하여 상기 이벤트에 상응하는 가상 동영상을 생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인코딩 된 이벤트 관련 데이터는
    이벤트 아이디 필드(Event ID Field), 이벤트 속성 필드(Properties of Event Field), 관련된 센서 아이디 필드(Sensor ID Field associated with event), 센서 데이터 필드(Data field of sensor)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고, 상기 필드들은 SOF(Start of Field)와 EOF(End of field) 사이에 존재하는 데이터 프레임을 갖고,
    상기 이벤트 속성 필드는
    이벤트 발생 시각, 이벤트 발생 이전 일정 간격의 시각, 이벤트 발생 이후 일정 간격의 시각을 포함하는 시간 정보, 상기 이벤트에 상응하여 식별되는 중심 객체의 위치에 기반하여 특정 형상의 영역으로 지정되고, 상기 특정 형상의 영역은 상기 이벤트의 유형에 따라 설정되는 영역 정보를 포함하는 위치 정보, 상기 특정 형상의 영역 내의 하나 이상의 센서들의 아이디에 상응하는 객체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가상 동영상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영역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가상 동영상을 생성하되, 상기 이벤트의 발생 빈도에 따라 좌표 간격을 달리하여 상기 가상 동영상을 생성하고,
    상기 이벤트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는
    상기 경기의 이벤트 관련 데이터에 포함된 상기 이벤트에 상응하는 정보를 디코딩하여 상기 이벤트의 종류 및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경기의 이벤트 관련 데이터에 포함된 센서들에 상응하는 정보를 디코딩하여 상기 센서들의 식별자 및 위치정보들을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센서들의 식별자 및 위치 정보들을 추출하는 단계는
    상기 객체들에 상응하는 센서들의 식별자에 기반하여 상기 객체들 각각을 구별하는 단계; 및
    상기 센서들의 위치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객체들 각각에 상응하는 위치 정보들을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가상 동영상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이벤트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데이터 베이스에서 상기 이벤트에 상응하는 배경 화면을 불러오는 단계;
    상기 객체들 각각에 상응하는 위치 정보들에 기반하여 상기 객체들 각각에 상응하는 상기 템플릿들을 상기 배경 화면에 배치하여 가상 화면들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가상 화면을 순차적으로 합성하여 상기 이벤트에 상응하는 상기 가상 동영상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기 가상 동영상 생성 방법.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경기 가상 동영상 생성 방법은
    상기 이벤트에 상응하는 기 촬영된 경기 영상에서 사운드를 추출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기 가상 동영상 생성 방법.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경기 가상 동영상 생성 방법은
    상기 사운드와 상기 가상 동영상과 동기화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기 가상 동영상 생성 방법.
  15.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경기 가상 동영상 생성 방법은
    상기 가상 동영상에 존재하는 객체들 각각을 확대, 축소 및 제어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기 가상 동영상 생성 방법.
  16. 삭제
KR1020150029135A 2015-03-02 2015-03-02 경기의 이벤트 관련 가상 동영상을 생성 하는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방법 KR1015594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9135A KR101559469B1 (ko) 2015-03-02 2015-03-02 경기의 이벤트 관련 가상 동영상을 생성 하는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방법
PCT/KR2016/001398 WO2016140444A1 (ko) 2015-03-02 2016-02-11 경기의 이벤트 관련 가상 동영상을 생성 하는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9135A KR101559469B1 (ko) 2015-03-02 2015-03-02 경기의 이벤트 관련 가상 동영상을 생성 하는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59469B1 true KR101559469B1 (ko) 2015-10-12

Family

ID=543473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29135A KR101559469B1 (ko) 2015-03-02 2015-03-02 경기의 이벤트 관련 가상 동영상을 생성 하는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559469B1 (ko)
WO (1) WO2016140444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33644B1 (ko) * 2016-11-25 2018-03-02 국방과학연구소 이벤트 정보, 그래픽 정보 및 템플릿 영상이 결합된 화면 녹화 시스템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051702A (zh) * 2020-10-29 2021-06-29 视伴科技(北京)有限公司 一种赛事活动运行仿真系统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51885A (ja) * 2005-03-08 2006-09-21 Kddi Corp スポーツ映像の分類装置およびログ生成装置
JP2008117042A (ja) * 2006-11-01 2008-05-22 Nomura Research Institute Ltd 仮想空間提供サーバ、仮想空間提供システム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KR101400923B1 (ko) 2012-06-07 2014-06-27 최종민 시뮬레이션을 이용한 스포츠 경기 중계 방법, 시스템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매체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10895A (ko) * 2005-07-20 2007-01-24 주식회사 팬택 스포츠 경기 데이터를 그래픽 영상으로 구현하는 방법 및이동 통신 단말기
KR20090118634A (ko) * 2008-05-14 2009-11-18 (주)비주얼 스포츠 운동경기의 자동분석 시스템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51885A (ja) * 2005-03-08 2006-09-21 Kddi Corp スポーツ映像の分類装置およびログ生成装置
JP2008117042A (ja) * 2006-11-01 2008-05-22 Nomura Research Institute Ltd 仮想空間提供サーバ、仮想空間提供システム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KR101400923B1 (ko) 2012-06-07 2014-06-27 최종민 시뮬레이션을 이용한 스포츠 경기 중계 방법, 시스템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매체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33644B1 (ko) * 2016-11-25 2018-03-02 국방과학연구소 이벤트 정보, 그래픽 정보 및 템플릿 영상이 결합된 화면 녹화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6140444A1 (ko) 2016-09-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388119B1 (en) Method, apparatus,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for view point selection assistance in free viewpoint video generation
US10810791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distinguishing objects in a natural setting to create an individually-manipulable volumetric model of an object
US8358346B2 (en) Video processing device, video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US10771760B2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control method of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and storage medium
CN103959802B (zh) 影像提供方法、发送装置以及接收装置
JP7303754B2 (ja) ユーザー固有コンテンツを映像制作に融合させる方法及びシステム
JP7132730B2 (ja) 情報処理装置および情報処理方法
US8988528B2 (en) Video processing device, video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US20110102678A1 (en) Key Generation Through Spatial Detection of Dynamic Objects
JP7334527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8306109B2 (en) Method for scaling video content based on bandwidth rate
CN107665231A (zh) 定位方法和系统
JP2020086983A (ja)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20170225077A1 (en) Special video generation system for game play situation
KR101559469B1 (ko) 경기의 이벤트 관련 가상 동영상을 생성 하는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방법
JP7384008B2 (ja) 映像生成プログラム、映像生成方法及び映像生成システム
CN111741325A (zh) 视频播放方法、装置、电子设备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JP5407708B2 (ja) 撮影映像処理装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13946210A (zh) 动作交互展示系统及方法
TW201038074A (en) Method for decomposition and rending of video content and user interface operating the method thereof
Han et al. A real-time augmented-reality system for sports broadcast video enhancement
JP6934052B2 (ja) 表示制御装置、表示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10137371B2 (en) Method of recording and replaying game video by using object state recording method
KR101573676B1 (ko) 메타데이터 기반의 객체기반 가상시점 방송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위한 기록매체
GB2555838A (en) An apparatus, computer program and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17

Year of fee payment: 4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