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59120B1 - Portable self-scoring apparatus for racket sports - Google Patents

Portable self-scoring apparatus for racket sport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59120B1
KR101559120B1 KR1020140093962A KR20140093962A KR101559120B1 KR 101559120 B1 KR101559120 B1 KR 101559120B1 KR 1020140093962 A KR1020140093962 A KR 1020140093962A KR 20140093962 A KR20140093962 A KR 20140093962A KR 101559120 B1 KR101559120 B1 KR 1015591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score
sensor
sensor unit
g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93962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엄성렬
Original Assignee
엄성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엄성렬 filed Critical 엄성렬
Priority to KR10201400939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59120B1/en
Priority to PCT/KR2015/000234 priority patent/WO2016013737A1/en
Priority to JP2017504091A priority patent/JP6431178B2/en
Priority to CN201580039137.0A priority patent/CN107073326B/en
Priority to TW104123560A priority patent/TWI584851B/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591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5912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7/00Sporting games or accessories therefor,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3B1/00 - A63B65/00
    • A63B67/04Table games physically beneficial for the human body, modelled on outdoor sports, e.g. table tenni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63B71/0619Displays, user interfaces and indic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port equipment, e.g. display mounted on treadmill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7/00Sporting games or accessories therefor,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3B1/00 - A63B65/00
    • A63B67/18Badminton or similar games with feathered missil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63B71/0619Displays, user interfaces and indic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port equipment, e.g. display mounted on treadmills
    • A63B2071/0658Position or arrangement of display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0/00Measuring of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 A63B2220/80Special sensors, transducers or devices therefo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 Toy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self-scoring device for racket sports. The mobile self-scoring device includes: (1) a first display unit displaying game scores; (2) a second display unit displaying the same scores displayed on the first display unit and arranged on the opposite surface of the first display unit; (3) a sensor unit which senses an object or a human body to transmit a detection signal to a control unit; (4) the control unit which controls the device to add scores when the detection signal from the sensor unit remains more than a predetermined period; and (5) a power supply unit supplying power to each of the uni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mobile self-scoring device for racket sports enables a player to easily keep scores on her or his own, thereby preventing the game from being delayed by score calculation, the game flow from being interrupted, and the concentration of the players in the game from dropping. The device can be used in sport games conducted by two teams facing each other while having a net between the two teams such as a badminton game, a handler (or pad-minton) game, or a table tennis game.

Description

라켓스포츠용 휴대용 셀프 스코어링 장치{PORTABLE SELF-SCORING APPARATUS FOR RACKET SPORTS}[0001] PORTABLE SELF-SCORING APPARATUS FOR RACKET SPORTS [0002]

본 발명은 네트를 사이에 두고 하는 라켓스포츠에 사용되는 휴대용 셀프 스코어링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rtable self-scoring device for use in racquet sports across a net.

네트를 사이에 두고 점수를 획득하여 승패를 가리는 방식의 라켓스포츠 경기(예컨대, 배드민턴, 탁구 등)에는 점수를 기록하는 스코어보드가 필수적으로 필요하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스코어보드는 쌍방의 점수카드를 넘기는 방식으로 되어 있는데, 탁상에 올려두고 손으로 넘기는 방식이 공식적으로 사용되며 경우에 따라 목에 점수판을 걸고 카운트하는 방식, 그리고 철재 스탠드에 고정 설치되어 있는 방식 등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카드식 스코어보드는 점수 낱장의 파손과 망실이 빈번하여 관리상의 주의를 요하며, 비록 휴대할 수 있다 하더라도 그 크기가 크고 무거워서 휴대하기 불편한 점이 있다.A scorecard that records scores is essential for racket sporting events (eg, badminton, table tennis, etc.) in which the winner or loser is scored by obtaining scores across the net. Generally used scoreboards are handed over to both sides of the score card. They are put on the table and handed over by hand. In some cases, the scoreboard is put on the neck and counted. . However, such a card type score board requires careful attention due to frequent breakage and loss of the score sheet, and even though it can be carried, it is large and heavy and inconvenient to carry.

또한 이러한 기존 방식의 낱장 점수 카드형 스코어보드는 선수 이외의 제3자가 조작하여야 하므로 전문 선수들이 참여하는 공식대회가 아닌, 일반인들이 참여하는 생활체육의 일상 경기시 등, 경기 참여 선수외 제3자인 심판 혹은 스코어 기록자를 두고 진행할 수 없는 대부분의 경우에는 경기스코어보드를 이용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In addition, such conventional score card type scoreboards must be operated by a third party other than the athlete, so it is not an official competition in which professional athletes participate, but in the case of daily sports events in which the general public participates, The disadvantage is that in most cases the referee or scorer will not be able to proceed with the scorecard.

심판 혹은 기록자를 두어서 스코어링을 하기 위해서는 네트 옆의 코트 밖에 기록자를 위한 여유공간이 확보되어야 하는데, 생활체육의 경우 여러 코트를 동시에 운용하며 코트간 거리가 가까운 특성상, 모든 코트에 스매시 등 강한 타구로부터 기록자를 위한 안전한 여유 공간을 확보하기에 어려운 실정이다.In order to score by putting a referee or a recorder, it is necessary to secure space for the recorder besides the net beside the net. In the case of daily sports, it operates several coats at the same time. Due to the close distance between the coats, It is difficult to secure a secure free space for the recorder.

따라서, 경기자들 간에 매번 점수를 기억하며 구두로 점수를 부르면서 경기를 진행하나, 경기에 몰입하다 보면 경기자들이 점수를 잊어버리거나 착각하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하며 심한 경우에는 서로 옳다고 주장하다가 다툼으로까지 이르는 경우도 있어, 이는 곧 원활한 경기 진행과 경기력에 바람직하지 않은 영향을 미치게 된다.Therefore, the players will remember the score each time and play the game while singing the score verbally. However, when the players are immersed in the game, they frequently forget the score or mistake the score, There is also the case that this will have an undesirable effect on the smooth progress of the game and the performance.

또한 생활체육 운동경기에서 비록 심판 혹은 기록자를 두고 스코어보드를 사용하는 경우이더라도 가끔 기록자가 오조작할 경우 다른 사람이 오조작 사실을 알려 주어야만 이를 정정할 수 있기 때문에 신속하고 정확함을 요구하는 운동경기의 점수 게시 특성을 충분히 반영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In addition, even if a scoreboard is used with a referee or a recorder in a sport for athletic athletics, sometimes, if the recorder is erroneously operated, it can be corrected if another person informs the operator of the erroneous operation. It has a disadvantage that it can not sufficiently reflect the score posting characteristic.

위와 같이 점수에 대한 빈번한 시비로 동호인들이 스트레스를 받는 상황은 생활체육의 목적과 효과를 반감시키는 결과를 낳는다. 라켓스포츠의 경우 점수가 경기의 중요한 부분인 만큼 이러한 시비상황이 일어나지 않도록 하기 위한 바람직한 방안이 필요하다.As mentioned above, the frequent application of the score to the stressors of the clubs results in a decrease in the purpose and effect of sports. In the case of racquet sports, the score is an important part of the game.

상기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선수(생활체육인)가 리모컨을 이용하여 점수를 기록하는 전자식 무선 스코어보드가 제안되고 있으나, 리모컨은 시작, 모드 선택, 증가키, 감소키, 리셋키 등 구성이 복잡하기 때문에 선수(생활체육인)가 경기 도중 직접 리모컨을 사용하기에 불편하며, 특히 배드민턴, 탁구 등과 같은 진행속도가 빠른 운동경기일 경우 선수에 의한 리모컨 조작은 경기가 지연되고, 경기 흐름 및 경기 집중력이 저하된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땀이 많이 나는 경기의 특성상 리모컨 휴대는 위생문제 및 경기시 소지의 불편을 야기할 수 있으며 리모컨의 분실 우려 등이 있을 수 있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 there has been proposed an electronic wireless scoreboard in which a player (athletic athlete) records a score using a remote controller, but the remote controller is complicated in configuration such as start, mode selection, increase key, Therefore, it is inconvenient for the athlete (athletic athlete) to use the remote controller directly during the game. Especially when the athletic game such as badminton or table tennis is fast, the manipulation of the remote control by the athlete is delayed, . Also, due to the nature of the sweaty game, the remote control can cause discomfort of hygiene problems and possession during the game, and may cause loss of remote control.

본 발명은 휴대가 간편하고, 선수(생활체육인)에 의한 간단한 조작으로 경기 점수를 스코어링할 수 있는 라켓스포츠용 휴대용 셀프 스코어링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The present invention seeks to provide a portable self-scoring device for racket sports which is portable and can score a competition score by a simple operation by a player (a living athletic person).

본 발명은 (1) 경기 점수를 표시하는 제1 표시부, (2) 제1 표시부와 동일한 점수를 표시하며, 제1 표시부와는 다른 면에 배치된 제2 표시부, (3) 물체 또는 인체를 감지하여 감지된 검출신호를 제어부로 전송하는 센서부, (4) 센서부로부터의 검출신호가 일정 시간 이상 지속시 점수를 가산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및 (5) 각 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라켓스포츠용 휴대용 셀프 스코어링 장치를 제공한다.(2) a second display portion which displays the same score as the first display portion and is disposed on a different surface from the first display portion, (3) a second display portion which is disposed on a surface different from the first display portion, (4)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addition of the score when the detection signal from the sensor unit continues for a predetermined time or longer, and (5) a power unit for supplying power to each uni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ortable self-scoring apparatus for racket sports.

상기 (1) 제1 표시부 및 (2) 제2 표시부는 FND(Flexible Numeric Display), LED(Light Emitting Diode), LCD(Liquid Crystal Display),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 및 E-Paper(Electronic Paper) 등의 디스플레이 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The first display unit and the second display unit may be a flexible numeric display (FND), a light emitting diode (LED), a liquid crystal display (LCD), a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 May be used.

상기 (3) 센서부는 센서부 전방 90cm 이내, 바람직하게는 센서부 전방 70cm 이내, 더 바람직하게는 센서부 전방 30cm 이내 및 입사각 20°, 바람직하게는 입사각 10°, 더 바람직하게는 입사각 5° 이내의 범위의 물체 또는 인체를 감지하는 센서를 사용할 수 있으며, LED 광 센서, 초음파 센서, 근접 센서, 바람직하게는 IR(Infrared Ray) LED 센서가 사용될 수 있다.The sensor unit (3) is disposed within 90 cm forward of the sensor unit, preferably within 70 cm forward of the sensor unit, more preferably within 30 cm forward of the sensor unit and at an incident angle of 20 °, preferably at an incident angle of 10 °, And an LED light sensor, an ultrasonic sensor, a proximity sensor, and preferably an IR (infrared ray) LED sensor may be used.

또한, 상기 (3) 센서부는 발광 수단 및 수광 수단을 가지며, 상기 수광 수단은 가로×세로폭 0.7~1㎜×3~4.5㎜의 상하로 긴 개구부를 구비하여, 상기 개구부를 통하여 물체 또는 인체로부터 반사된 광원을 수광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3) The sensor unit has a light emitting means and a light receiving means, and the light receiving means has an upper opening and a lower opening with a width and a width of 0.7 to 1 mm x 3 to 4.5 mm, And may have a structure for receiving a reflected light source.

상기 (4) 제어부는 상기 센서부로부터의 검출신호가 일정 시간 이상 감지시 득점된 것으로 연산하여 제어부 내부에 구비된 메모리에 갱신된 점수를 저장하고, 제1 표시부 및 제2 표시부에 갱신된 점수 정보의 표시를 지시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부로부터의 검출신호가 0.7초 이상 지속시 득점된 것으로 연산하여 점수 정보의 갱신 및 표시를 지시한다.(4) The control unit calculates the score obtained when the detection signal from the sensor unit is detected for a predetermined time or more, stores the updated score in the memory provided in the control unit, and updates the score information . More preferably, the control unit computes that the detection signal from the sensor unit has been scored when it is continued for 0.7 seconds or more, and instructs to update and display the score information.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라켓스포츠용 휴대용 셀프 스코어링 장치는 제1 표시부와 제2 표시부가 동일한 한 팀의 점수만 나타낼 수 있다.In addition, the portable self-scoring apparatus for racket spor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display scores of only one team in which the first display unit and the second display unit are the same.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라켓스포츠용 휴대용 셀프 스코어링 장치는 센서일시정지버튼 및 점수조정버튼을 포함하는 수동 입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portable self-scoring apparatus for racket spor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manual input unit including a sensor pause button and a point adjusting button.

본 발명에 따른 라켓스포츠용 휴대용 셀프 스코어링 장치는 두 팀이 네트를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하여 경기하는 형태의 라켓스포츠 경기, 특히 배드민턴 경기, 핸들러(일명 패드민턴) 경기, 탁구 경기에서 매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The portable self-scoring device for racket spor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in a racket sport game in which two teams play each other with a net between them, particularly in a badminton game, a handler (aka pad dance game), a table tennis game .

본 발명에 따른 라켓스포츠용 휴대용 셀프 스코어링 장치가 배드민턴 경기 또는 핸들러 경기용인 경우, 본 발명에 따른 라켓스포츠용 휴대용 셀프 스코어링 장치는 2개의 장치를 나란히 연결하기 위한 연결 수단을 추가로 구비할 수 있다.When the portable self-scoring device for racket spor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badminton game or a handler game, the portable self-scoring device for racket spor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connecting means for connecting two devices side by side.

본 발명에 따른 라켓스포츠용 휴대용 셀프 스코어링 장치가 탁구 경기용인 경우, 본 발명에 따른 라켓스포츠용 휴대용 셀프 스코어링 장치는 탁구 경기용 중앙 네트의 한쪽 끝에 체결하기 위한 결합 수단을 추가로 구비할 수 있다.When the portable self-scoring apparatus for racket spor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for a table tennis game, the portable self-scoring apparatus for racket spor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coupling means for fastening to one end of a central net for a table tennis game.

본 발명에 따른 라켓스포츠용 휴대용 셀프 스코어링 장치는 종래의 스코어보드 등과는 달리 경기장 내, 바람직하게는 경기장 내 네트 중앙하부 또는 네트 한쪽 끝에 위치하여 양 팀의 득점 상황을 선수들이 경기에 지장을 받지 않고 쉽고 빠르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하며, 또한, 경기 중에 선수가 직접 간편하게 스코어링 할 수 있도록 하여, 제3자인 조작자 필요 없이 선수들이 스스로 신속하고 간편하게 조작하는 장점을 가진다. The portable self-scoring device for racket spor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located in the stadium, preferably at the lower end of the net in the stadium or at one end of the net, unlike the conventional scoreboard and the like, It is also possible to easily and quickly identify the player, and also allows the player to easily scorch during the game so that the player can quickly and easily operate the player himself / herself without requiring a third party operator.

종래 선수들이 직접 스코어링하는 스코어보드를 이용한 스코어링시 리모컨 등 장치를 통한 조작의 불편함을 제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라켓스포츠용 휴대용 셀프 스코어링 장치는 점수 계산에 따른 경기 흐름 및 경기 집중력 저하를 막는 작용효과를 갖는다. 본 발명에 따른 라켓스포츠용 휴대용 셀프 스코어링 장치는 특히, 배드민턴, 핸들러, 탁구 경기에서 매우 유리하게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생활 체육의 보급 및 전파를 도와 국민 건강 향상에도 이바지할 수 있다. The portable self-scoring device for racket spor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liminates the inconvenience of operation through a device such as a remote controller in scoring using a scoreboard in which a player directly scores, Effect. The portable self-scoring device for racquet spor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articularly applicable to a badminton, a handler, It can be very advantageously used in games.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can contribute to improvement of public health by helping spread and spread of daily sport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라켓스포츠용 휴대용 셀프 스코어링 장치의 한 실시예의 전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라켓스포츠용 휴대용 셀프 스코어링 장치의 한 실시예의 배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라켓스포츠용 휴대용 셀프 스코어링 장치의 한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라켓스포츠용 휴대용 셀프 스코어링 장치의 한 실시예의 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라켓스포츠용 휴대용 셀프 스코어링 장치의 한 실시예의 제어 구성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라켓스포츠용 휴대용 셀프 스코어링 장치의 동작 흐름도의 한 예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라켓스포츠용 휴대용 셀프 스코어링 장치의 사용 모습의 한 예를 나타낸 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라켓스포츠용 휴대용 셀프 스코어링 장치에 있어서 라켓 최대 인지거리에 대한 센서 인식 범위(거리 및 각도)를 나타낸 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라켓스포츠용 휴대용 셀프 스코어링 장치에 있어서 선수가 무의식으로 접근시 인체 접근 거리 및 이때의 센서 인식 범위(거리 및 각도)를 나타낸 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라켓스포츠용 휴대용 셀프 스코어링 장치에 있어서 수광 수단의 구조의 바람직한 일 형태를 나타낸 도이다.
1 is a front view of an embodiment of a portable self-scoring device for racquet spor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rear view of an embodiment of a portable self-scoring device for racquet spor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erspective view of one embodiment of a portable self-scoring device for racquet spor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perspective view of one embodiment of a portable self-scoring device for racquet spor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control block diagram of an embodiment of a portable self-scoring device for racket spor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 is an example of an operation flow chart of a portable self-scoring apparatus for racket spor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view illustrating an example of the use of the portable self-scoring apparatus for racket spor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8 is a view showing a sensor recognition range (distance and angle) with respect to a maximum recognition distance of a racket in a portable self-scoring apparatus for racket spor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9 is a view showing a human body approaching distance and a sensor recognition range (distance and angle) at the time of a player's unconscious approach in a portable self-scoring apparatus for racket spor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view showing a preferred form of the structure of the light receiving means in the portable self-scoring apparatus for racket spor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른 라켓스포츠용 휴대용 셀프 스코어링 장치는 (1) 경기 점수를 표시하는 제1 표시부, (2) 제1 표시부와 동일한 점수를 표시하되, 제1 표시부와는 다른 면에 배치된 제2 표시부, (3) 물체 또는 인체를 감지하여 제어부로 검출신호를 전송하는 센서부, (4) 센서부로부터의 검출신호가 일정 시간 이상 지속시 점수를 가산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및 (5) 각 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를 필수적으로 포함하여 구성된다.A portable self-scoring apparatus for racket spor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1) a first display unit for displaying a competition score; (2) a second display unit for displaying the same score as the first display unit, (3) a sensor unit for detecting an object or a human body and transmitting a detection signal to the control unit, (4)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score to be added when the detection signal from the sensor unit is maintained for a predetermined time or longer, and And a power supply unit for supplying the power supply unit.

이하, 본 발명의 라켓스포츠용 휴대용 셀프 스코어링 장치의 각각의 구성에 대하여, 본 발명의 일 구현 형태인 도 1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the respective constitutions of a portable self-scoring apparatus for racket spor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1 to 10, which is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 제1 표시부(1) First display section

제1 표시부(111)는 제어부(201)의 제어 하에 경기 점수 정보를 표시한다. 상기 제1 표시부(111)는 어느 한 팀의 점수를 표시하며, 상기 점수는 점수 정보를 나타낼 수 있는 숫자, 문자, 기호 등으로 표시될 수 있다.The first display unit 111 displays game score information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201. The first display unit 111 displays a score of a team, and the score may be displayed by a number, a letter, a symbol, or the like, which can represent score information.

또한, 상기 제1 표시부(111)는 센서 인식 대기시간 및 센서 인지거리 조정에 대한 상황을 표시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경기시간을 표시하는 시간 표시부, 세트 상황을 나타내는 세트 표시부, 배터리의 충전 잔량을 표시하는 충전량 표시부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display unit 111 can display a status of the sensor recognition wait time and the sensor recognition distance adjustment. The first display unit 111 may include a time display unit for displaying a competition time, a set display unit for indicating a set situation, And a charge amount display unit for displaying the charge amount display unit.

(2) 제2 표시부(2) Second display section

제2 표시부(121)는 제1 표시부(111)와 다른 면에 배치되는 것을 제외하고는 기본적으로 상기 제1 표시부(111)와 동일한 구성을 가진다. 즉, 제2 표시부(121)는 제어부(201)의 제어 하에 제1 표시부(111)와 동일하게 경기 점수를 표시하며, 상기 점수는 점수 정보를 나타낼 수 있는 숫자, 문자, 기호 등으로 표시될 수 있다.The second display unit 121 basically has the same configuration as that of the first display unit 111 except that the second display unit 121 is disposed on the other side of the first display unit 111. In other words, the second display unit 121 displays a match score in the same manner as the first display unit 111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201, and the score can be displayed in numbers, letters, symbols, have.

제1 표시부(111)가 어느 한 팀의 점수 정보를 표시하는 경우, 제2 표시부(121)는 제1 표시부(111)와 동일한 한 팀의 점수 정보를 표시한다. 이 경우, 바람직하게는 제1 표시부(111)와 제2 표시부(121)는 서로 다른 색의 조명으로 표시된다.When the first display unit 111 displays the score information of a certain team, the second display unit 121 displays the score information of the same team as the first display unit 111. [ In this case, preferably, the first display unit 111 and the second display unit 121 are displayed with lights of different colors.

또한, 제2 표시부(121)는 센서 인식 대기시간 및 센서 인지거리 조정에 대한 상황을 표시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경기시간을 표시하는 시간 표시부, 세트 상황을 나타내는 세트 표시부, 배터리의 충전 잔량을 표시하는 충전량 표시부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cond display unit 121 can display a status of the sensor recognition waiting time and the sensor recognition distance adjustment. The second display unit 121 may include a time display unit for displaying a competition time, a set display unit for indicating a set situation, A charge amount display unit for displaying the charge amount, and the like.

본 발명에 따른 라켓스포츠용 휴대용 셀프 스코어링 장치의 표시부(디스플레이부)는, 상기한 제1 표시부(111)와, 제2 표시부(121)를 포함하여 최소 2개의 표시부로 구성된다. 제1 표시부(111)가 스코어링 장치의 일 면에 배치되는 경우, 제2 표시부(121)는 제1 표시부(111)가 배치되지 않은 다른 면에 배치된다. 바람직하게는, 제1 표시부(111)는 스코어링 장치의 전면에, 제2 표시부(121)는 스코어링 장치의 후면 또는 배면에 배치된다.The display unit (display unit) of the portable self-scoring apparatus for racket spor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osed of at least two display units including the first display unit 111 and the second display unit 121 described above. When the first display portion 111 is disposed on one side of the scoring device, the second display portion 121 is disposed on the other side where the first display portion 111 is not disposed. Preferably, the first display portion 111 is dispos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scoring device, and the second display portion 121 is disposed on the rear surface or back surface of the scoring device.

상기 표시부로는 FND(Flexible Numeric Display), LED(Light Emitting Diode), LCD(Liquid Crystal Display),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 및 E-Paper(Electroinc Paper) 등의 디스플레이 장치가 사용될 수 있으며, 비용 및 기능을 고려할 때 FND가 바람직하게 사용된다.The display unit may be a display device such as a flexible numeric display (FND), a light emitting diode (LED), a liquid crystal display (LCD), a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and an electronic paper And the FND is preferably used when considering the function.

(3) 센서부(3)

센서부(112)는 어느 한 팀의 득점을 입력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센서부 전방의 일정 범위 내의 물체(라켓) 또는 인체를 감지한다. 상기 센서부(112)는 일정 범위로 빛을 발광하는 발광 수단, 상기 발광 수단에 의해 발광된 빛 중 물체나 인체에 의해 반사되는 반사광을 수광하는 수광 수단 및 수광 유무를 나타내는 검출신호를 제어부로 출력하는 신호 출력 수단을 포함한다. 상기 발광 수단과 수광 수단은 본 발명의 라켓스포츠용 휴대용 셀프 스코어링 장치의 전면부에 상호 근접하여 또는 이격하여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센서부(112)는 일례로 적외선 센서로서, 일정 파장의 적외선을 송신하는 적외선 송신 수단, 상기 송신된 적외선이 물체나 인체에 의해 반사되는 적외선을 수신하는 적외선 수신 수단 및 적외선 수신 유무를 나타내는 검출신호를 제어부로 출력하는 신호 출력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센서부에 있어서 광원 대신 음파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며, 이 경우, 음파 송신 수단 및 음파 수신 수단이 사용될 수 있다. The sensor unit 112 is a means for inputting a score of a team, and detects an object (racket) or a human body within a certain range in front of the sensor unit. The sensor unit 112 includes a light emitting unit that emits light in a predetermined range, a light receiving unit that receives reflected light that is reflected by an object or a human body among light emitted by the light emitting unit, and a detection signal that indicates whether or not light is received, And a signal output means for outputting the signal. The light emitting means and the light receiving means may be arranged close to or spaced from each other on the front face of the portable self-scoring apparatus for racket spor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ensor unit 112 is, for example, an infrared sensor, which includes infrared transmitting means for transmitting infrared rays of a certain wavelength, infrared receiving means for receiving the infrared rays transmitted by the object or the human body, And a signal output means for outputting a detection signal indicating the detected signal to the control unit. It is also possible to use a sound wave in place of the light source in the sensor unit, and in this case, sound wave transmitting means and sound wave receiving means can be used.

상기 센서부(112)는 제1 표시부(111)와 동일한 면에 배치되어, 경기 중인 선수가 손이나 발, 라켓 등을 뻗어 인식시킬 수 있는 범위, 바람직하게는 센서부 전방으로 90cm이내, 보다 바람직하게는 70cm이내, 더욱 바람직하게는 30cm이내의 입사각 최대 20°, 바람직하게는 10°, 더욱 바람직하게는 5°로 빛 또는 음파를 전송하여, 반사되어 수신되는 반사광 또는 음파를 감지함으로써 물체 또는 인체를 감지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 형태로서, 인식 대상이 라켓 등과 같은 물체인 경우 센서 인지거리는 센서부 전방으로 30cm이내인 것이 바람직하며, 인식 대상이 인체, 신발, 바지 등인 경우 90cm이내, 더 바람직하게는 70cm이내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자의 행동모델 시험 결과에 따르면, 센서에 의한 라켓의 인지거리를 최대 30cm로 설정하고, 90cm 이상의 거리, 더 바람직하게는 70cm 이상의 거리의 인체나 옷, 신발 등은 센서가 인식하지 못하도록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도 8 참조). 이에 의하여, 경기 중인 선수가 장치에 무의식적으로 가까이 접근시 인체나 선수의 하의 등을 인식하여 잘못 스코어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도 9 참조). 상기 센서 인지거리는 발광 수단 또는 음파 송신 수단에서 보내는 광원 또는 음파의 세기 등을 조절하여 조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경기 중인 선수는 득점시 적정 위치에서 상기 인식 범위 내로 손이나 발, 라켓 등을 뻗어 손쉽게 득점을 스코어링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배드민턴 경기, 핸들러 경기, 탁구 경기에서 득점시 서비스 공격 위치에서 라켓을 뻗어 손쉽게 득점을 스코어링 할 수 있다.The sensor unit 112 is disposed on the same plane as the first display unit 111 and is positioned within a range capable of recognizing a player's hand, foot, racket, or the like, preferably within 90 cm forward of the sensor unit The light or sound wave is transmitted at a maximum angle of incidence of 20 degrees, preferably 10 degrees, more preferably 5 degrees, within 70 cm, more preferably within 30 cm, of the object or human body Lt; / RTI > In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object to be recognized is an object such as a racket or the like, it is preferable that the sensor recognition distance is within 30 cm in front of the sensor portion, and within 90 cm, more preferably within 70 cm . According to the behavioral model test results of the present inventor, the recognition distance of the racket by the sensor is set at a maximum of 30 cm, and the human body, clothes, and shoes having a distance of 90 cm or more, more preferably 70 cm or more, (See Fig. 8). Thereby,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player who is in the game from accidentally scoring by recognizing the human body, the lower part of the athlete, etc. when the player unconsciously approaches the apparatus (see FIG. 9). The sensor recognition distance can be adjusted by adjusting the intensity of a light source or a sound wave sent from the light emitting means or the sound wave transmitting means. Accordingly, a running athlete can easily score a score by extending a hand, a foot, or a racket within the recognition range at a proper position at the time of scoring. Preferably, the badminton game, the handler game, and the ping pong game can be easily scored by extending the racket in the service attack position at the time of scoring.

상기 발광 수단 또는 음파 송신 수단은 당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수단으로서, 예컨대, LED 광원, IR LED 광원, 초음파 센서(송신부)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수광 수단 또는 음파 수신 수단은 당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수단으로서, 예컨대, 광 트랜지스터, 광 다이오드, 초음파센서(수신부) 등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The light emitting means or the sound wave transmitting means may be an LED light source, an IR LED light source, an ultrasonic sensor (transmitting portion), or the like. The light receiving means or the sound wave receiving means may be a conventional means in the art For example, a phototransistor, a photodiode, an ultrasonic sensor (receiver), or the like can be used,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발광 수단 또는 음파 송신 수단은 센서부 전방의 일정 범위에 대하여 빛 또는 음파를 방출하며, 상기 일정 범위 내에 물체 또는 인체가 존재하는 경우 발광 수단 또는 음파 송신 수단으로부터 방출된 빛 또는 음파는 상기 물체 또는 인체에 의해 반사되어 수광 수단 또는 음파 수신 수단에 수광 또는 수신된다. 수광 수단 또는 음파 수신 수단은 포착된 반사광 또는 반사된 음파를 전기신호로 전환하여 신호 출력 수단을 통해 제어부(201)로 검출신호를 전달한다. 발광 수단 또는 음파 송신 수단에 의해 방출되는 빛 또는 음파의 범위는 예컨대, LED 광원의 세기 및 각도, 주파수 등을 조정함으로써 결정될 수 있다.The light emitting means or the sound wave transmitting means emits light or sound waves in a certain range in front of the sensor portion and light or sound waves emitted from the light emitting means or the sound wave transmitting means in the case where an object or a human body exists within the certain range, And is received or received by the light receiving means or the sound wave receiving means. The light receiving means or the sound wave receiving means converts the reflected light or the reflected sound wave into an electric signal and transmits the detection signal to the control unit 201 through the signal output means. The range of the light or sound wave emitted by the light emitting means or the sound wave transmitting means can be determined, for example, by adjusting the intensity and angle of the LED light source, the frequency, and the like.

센서에 무의식적 접근시 센서의 인식에 의한 잘못된 스코어링을 피하기 위해서는, 피사체의 크기, 피사체 표면의 반사도 등의 영향을 최소화하여 센서가 일정한 거리 내의 피사체 만을 인지할 수 있어야 한다. 그러나, 적외선은 빛의 일종이기에 피사체의 크기와 표면의 반사도, 센서에 대한 반사면의 각도 등에 따라 피사체에 대한 인지거리가 달라질 수 있다는 한계가 있다. 예를 들어, 선수가 스코어링을 위해 장치에 접근하여 라켓을 센서 앞에 대는 동작을 할 때의 센서와 라켓(반사율이 상대적으로 낮은 피사체임)과의 거리를 기준으로 센서의 감응 정도를 설정하게 되면, 선수의 다리(반사율이 상대적으로 높은 피사체임)의 위치 또는 그 이상의 먼 거리에 대해서까지도 다리를 인식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는 경기 중에 센서로부터 상당히 떨어진 거리에서도 센서 앞을 무의식적으로 오고 갈 경우 센서가 이를 인식하여 점수를 기록하는 오류가 발생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이에 본 발명자는 상기 수광 수단에 대하여 특정 구조를 채택함으로써 라켓 및 라켓의 거트부분(라켓줄)과 같이 피사체의 부피가 극히 작은 대상과 인체와 같이 피사체의 부피가 큰 대상 사이에 인지거리의 차이를 최소화할 수 있음을 발견하였다. 구체적으로, 상기 수광 수단에 있어서 가로×세로폭 0.5~2㎜×2~6㎜, 보다 바람직하게는 0.7~1㎜×2~4.5㎜, 가장 바람직하게는 0.7㎜×2㎜의 세로로 긴 형태의 개구부를 형성하여 상기 개구부를 통해 반사된 빛을 수광하도록 함으로써(도 10 참조), 광원의 세기 등을 조절하지 않고도 라켓(물체)의 인지거리를 최대 30cm로 설정하는 동시에, 인체 등과 같이 부피가 큰 피사체는 70cm이내 거리에서만 인지할 수 있도록 하여, 70cm를 초과하는 거리에 위치한 대상은 센서가 인식하지 못하도록 설정하는 것이 가능함을 발견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센서부의 가장 바람직한 한 실시형태로서, 상기 수광 수단은 가로×세로폭 0.5~2㎜×2~6㎜, 보다 바람직하게는 0.7~1㎜×3~4.5㎜, 가장 바람직하게는 0.7㎜×3㎜의 세로로 긴 개구부를 통해 반사된 광원을 수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센서부의 수광 수단이 상기 구조를 갖는 경우 수광 수단과 발광 수단은 일정 거리 이격되어 배치되며, 바람직하게는 상하 동일선 상에 이격되어 배치된다. 도 10은 상기 수광 수단의 특정 구조의 일례를 나타낸 도로서, 도 10에 있어서 원형의 파선은 개구부 내측에 배치된 통상의 원형 구조의 수광장치를 가상으로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술한 센서부(112)의 구성 외에 모션감지 센서, 근접 센서 등 당 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센서 역시 사용될 수 있다.In order to avoid false scoring by recognizing the sensor when unconscious approaching the sensor, the influence of the size of the subject and the reflectivity of the subject surface is minimized so that only the subject within a certain distance It should be recognizable. However, since infrared rays are a type of light, there is a limitation that the perceived distance to the subject can be changed depending on the size of the subject, the reflection of the surface, and the angle of the reflection surface with respect to the sensor. For example, when the player sets the degree of sensitivity of the sensor based on the distance between the sensor and the racket (the object having a relatively low reflectance) when the player approaches the device for scoring and puts the racket in front of the sensor, There may arise a problem of recognizing the legs even at the position of the player's legs (the object having a relatively high reflectance) or even at a farther distance therefrom. This means that if the player unconsciously comes to the front of the sensor even at a considerable distance from the sensor during the game, the sensor may recognize the error and record the score. By adopting a specific structure for the light receiving means, the inventor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found that by using a specific structure for the light receiving means,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difference in the perceived distance between a target having a very small volume of a subject such as a racket or a racket and a target having a large volume such as a human body It can be minimized. Specifically, the light-receiving means has a vertically elongated shape with a width and a width of 0.5 to 2 mm x 2 to 6 mm, more preferably 0.7 to 1 mm x 2 to 4.5 mm, and most preferably 0.7 mm x 2 mm (See FIG. 10), the recognition distance of the racket (object) is set to a maximum of 30 cm without adjusting the intensity of the light source, and at the same time, the volume of the object It has been found that a large subject can be recognized only within a distance of 70 cm, so that objects located at distances greater than 70 cm can be set so that the sensor is not recognized. Therefore, as a most preferred embodiment of the sensor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ight receiving means has a width and a width of 0.5 to 2 mm x 2 to 6 mm, more preferably 0.7 to 1 mm x 3 to 4.5 mm, And receives the light reflected through the vertically elongated opening of 0.7 mm x 3 mm. When the light-receiving means of the sensor portion has the above structure, the light-receiving means and the light-emitting means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are preferably arranged on the same vertical line. Fig. 10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the specific structure of the light receiving means. In Fig. 10, a circular broken line is a virtual imaginary light receiving device of a circular structure disposed inside the opening. In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to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of the sensor unit 112, a sensor commonly used in the art such as a motion detection sensor and a proximity sensor may be used.

(4) 제어부(4)

제어부(201)는 센서부(112) 또는 수동 입력부(150)로부터 전달되는 신호를 연산하고, 갱신된 정보를 메모리에 저장하고, 필요한 동작모드를 수행하도록 제어하며, 점수 정보가 갱신된 경우 갱신된 점수 정보를 제1 표시부(111), 제2 표시부(121) 및 선택적으로 음향 출력부(203)에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The control unit 201 calculates a signal transmitted from the sensor unit 112 or the manual input unit 150, stores the updated information in a memory, controls to perform a necessary operation mode, So that the score information is displayed on the first display unit 111, the second display unit 121 and, optionally, the sound output unit 203.

제어부(201)는 제어부 내부에 메모리, 카운터 및 내부 연산기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입력된 신호의 해독 작업, 신호처리, 각 동작모드로의 제어 등을 수행한다.The control unit 201 includes a memory, a counter, and an internal arithmetic unit in the control unit. The control unit 201 decodes input signals, processes signals, and controls each operation mode.

특히, 본 발명의 라켓스포츠용 휴대용 셀프 스코어링 장치에 있어서, 제어부(201)는 상기 센서부(112)로부터 전송된 검출신호가 일정 시간 이상의 지속 여부를 판독하여 점수 정보의 갱신 여부를 제어한다. 즉, 제어부(201)는 상기 센서부(112)로부터 전송된 검출신호가 일정 시간 이상 지속시, 득점된 것으로 연산한다. 본 발명자는 많은 반복시험을 통하여, 센서가 0.7초 이상 지속적으로 물체나 인체를 인지한 경우 점수가 가산되도록 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한 것을 확인하였다. 경기 도중 선수가 스코어링 장치에 근처로 다가와 잘못 스코어링 되는 것을 방지하고, 본 발명의 스코어링 장치가 가장 효과적으로 작동하도록 하기 위하여는 센서부(112)로부터의 검출신호가 0.7초 이상 지속시 득점을 연산하도록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보다 정확한 스코어링을 위하여 그 이상의 지속 시간인 경우 득점으로 연산하도록 설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In particular, in the portable self-scoring apparatus for racket spor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unit 201 reads whether or not the detection signal transmitted from the sensor unit 112 continues for a predetermined time or longer and controls whether or not the score information is updated. That is, when the detection signal transmitted from the sensor unit 112 continues for a predetermined time or longer, the control unit 201 computes a score. The inventor has confirmed through repeated iterations that it is most preferable to have the score added when the sensor continuously recognizes an object or a human body for 0.7 seconds or more. In order to prevent the player from approaching the scoring device and scoring incorrectly during the game and to ensure that the scor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works most effectively, However, for more accurate scoring, it is also possible to set the calculation to a score in the case of a longer duration.

(5) 전원부(5)

상기 전원부(202)는 입력되는 전원을 이용해서 제품에서 필요로 하는 크기의 전원을 발생시키고, 상기 전원부(202)에서 발생된 전원은 본체 내부(200)에서 전원을 필요로 하는 각종 전기소자들, 즉 제1 표시부(111), 제2 표시부(121), 제어부(201), 센서부(112) 등으로 공급된다. The power source unit 202 generates a power source of a size required by the product using an input power source and the power source generated by the power source unit 202 includes various electric devices, I.e., the first display unit 111, the second display unit 121, the control unit 201, the sensor unit 112, and the like.

상기 전원부(202)는 건전지, AC 교류전원, 충전용 배터리 등을 이용하여 제품에 필요한 전원을 발생할 수 있다. 충전용 배터리의 충전을 위한 충전 수단은 배터리 충전에 사용되는 모든 수단을 사용할 수 있으며, AC 어댑터, USB 커넥터 등이 있으며, USB 커넥터는 USB 플러그 및 포트를 포함한다.The power supply unit 202 may generate a power required for a product using a battery, an AC power source, a rechargeable battery, or the like. The charging means for charging the rechargeable battery can use any means used for charging the battery, such as an AC adapter, a USB connector, and the like, and the USB connector includes a USB plug and a port.

(6) 기타 수단(6) Other means

본 발명에 따른 라켓스포츠용 휴대용 셀프 스코어링 장치는 상기한 제1 표시부(111), 제2 표시부(121), 센서부(112), 제어부(201) 및 전원부(202)에 추가로 하기의 구성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The portable self-scoring device for racket spor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the following components in addition to the first display portion 111, the second display portion 121, the sensor portion 112, the control portion 201, and the power source portion 202 And the like.

본 발명에 따른 라켓스포츠용 휴대용 셀프 스코어링 장치는 수동 입력부(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수동 입력부(150)는 센서일시정지버튼(151), 점수조정버튼(+/-)(152a, 152b)을 포함하는 수동 조작 버튼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센서일시정지버튼(151)은 일정 시간 이상 누르고 있는 경우 전원 버튼으로 작용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수동 조작 버튼은 또한 경기 진행을 시작 또는 일시 정지시키는 스타트/포즈키, 점수를 초기화시키는 리셋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수동 입력부(150)는, 물체 또는 인체가 수동 조작 버튼의 조작을 위하여 접근시 센서부(112)에 의한 감지를 피하거나 최소화할 수 있는 위치에 구비되며, 바람직하게는 스코어링 장치의 상부에 구비된다.The portable self-scoring apparatus for racquet spor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manual input unit 150. The manual input unit 150 includes a manual operation button including a sensor pause button 151 and a point adjustment button (+/-) 152a and 152b. The sensor pause button 151 may be configured to act as a power button when the sensor pause button 151 is pressed for a predetermined time or longer. The manual operation button may also include a start / pause key for starting or pausing a game progress, a reset key for initializing a score, and the like. The manual input unit 150 is provided at a position where an object or a human body can avoid or minimize the detection by the sensor unit 112 when approaching for the operation of the manual operation button and is preferably provid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scoring apparatus .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 형태에 있어서, 점수조정버튼 중 (-)버튼(152b)을 3초 이상 길게 누르면 센서의 인지거리 조정 기능이 작동하며, 최초로 작동시 기본 설정거리인 30cm가 깜빡이며 나타나고, 이후 숫자가 제1 표시부 또는 제2 표시부에 깜빡이는 상황에서 점수조정버튼(+/-)(152a, 152b)을 짧게 눌러 ±5cm씩 인지거리를 조정할 수 있다. 이후 (-)버튼(152b)을 3초 이상 길게 누르면 새로이 세팅된 숫자가 표시된다. 이와 같이 인지거리는 상황에 맞게 적절히 조정될 수 있다. In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 button 152b of the point adjustment button is pressed for 3 seconds or more, the sensor's recognition distance adjustment function is activated. When the number is flickered on the first display unit or the second display unit, the user can adjust the recognition distance by ± 5 cm by shortly pressing the score adjustment buttons (+/-) 152a and 152b. When the (-) button 152b is pressed for 3 seconds or longer, the newly set number is displayed. Thus, the recognition distance can be appropriately adjusted to the situation.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구현 형태에 있어서, 점수조정버튼 중 (+)버튼(152a)을 3초 이상 길게 누르면 득점 스코어링을 위한 물체 또는 인체의 인식 지속시간 조정 기능이 작동하며, 최초로 작동시 기본 설정시간인 0.7초가 깜빡이며 나타나고, 이후 숫자가 제1 표시부 또는 제2 표시부에 깜빡이는 상황에서 점수조정버튼(+/-)(152a, 152b)을 짧게 눌러 ±0.1초씩 인식 시간을 조정할 수 있다. 이후 (+)버튼(152a)을 3초 이상 길게 누르면 새로이 세팅된 숫자가 표시된다. 이와 같이 인식 시간은 현장 상황에 맞게 적절히 조정될 수 있다.In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 button 152a of the score adjustment button is held for 3 seconds or longer, the recognition duration adjustment function of the object or the human body for score scoring is operated. (0.7 seconds) is blinking. Then, in a situation where the number is blinking on the first display unit or the second display unit, it is possible to adjust the recognition time by ± 0.1 second by shortly pressing the score adjustment buttons (+/-) 152a and 152b. If the (+) button 152a is pressed longer than 3 seconds, the newly set number is displayed. In this way, the recognition time can be appropriately adjusted to suit the situation in the field.

본 발명에 따른 라켓스포츠용 휴대용 셀프 스코어링 장치는 센서가 대상 물체 또는 인체를 인식하고 있음을 나타내는 램프 출력부(11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램프 출력부는 경기자가 라켓이나 신체를 센서 전방에 인식시킬 때 센서가 해당 물체(라켓) 또는 인체를 인식중임을 나타내는 기능을 수행한다. 램프 출력부(113)는 센서부(112)가 위치한 면과 동일한 면에 위치한다.The portable self-scoring apparatus for racquet spor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lamp output unit 113 indicating that the sensor recognizes a target object or a human body. The lamp output unit performs a function indicating that the sensor recognizes the object (racket) or the human body when the player recognizes the racket or the body in front of the sensor. The lamp output section 113 is located on the same plane as the surface on which the sensor section 112 is located.

본 발명에 따른 라켓스포츠용 휴대용 셀프 스코어링 장치는 음향 출력부(203)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portable self-scoring apparatus for racquet spor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n audio output unit 203.

음향 출력부(203)는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득점된 상황을 음향으로 선수들에게 알리기 위한 것으로서, 점수 정보 등에 관하여 미리 녹음하여 저장부에 저장해 둔 상태에서 점수가 변경될 때마다 제어부에 의해 구동되어 특정 음향이나 음성 정보들을 재생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음향 출력부(203)는 앰프, 스피커 및 음향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The sound output unit 203 is used to notify the players of the scored situation in an acoustic manner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The sound output unit 203 is driven by the control unit every time the score is changed while the score information or the like is recorded in advance in the storage unit And plays back specific sound or voice information. The sound output unit 203 may include an amplifier, a speaker, and an acoustic driver.

본 발명에 따른 라켓스포츠용 휴대용 셀프 스코어링 장치는 경기 점수 상황을 표시하는 제1 표시부(111)와 제1 표시부와 동일한 면에 배치된 센서부(112), 제1 표시부(111)와 이면에 배치되는 제2 표시부(121)를 구비하며, 바닥과 접하며 장치가 구르거나 흐르는 것을 방지하는 바닥면부(130), 수동 조작 버튼이 배치된 수동 입력부(150)를 장치 외부에 구비한다. 수동 입력부(150)는 수동 조작 버튼의 조작을 위한 물체나 인체의 접근시 센서부(112)에 의한 물체 또는 인체의 인식을 최소화하기 위한 위치, 바람직하게는 스코어링 장치의 상면부에 위치한다. The portable self-scoring device for racket spor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display portion 111 for displaying a competition score status, a sensor portion 112 disposed on the same surface as the first display portion, a first display portion 111, A bottom surface portion 130 contacting the floor and preventing the apparatus from rolling or flowing, and a manual input unit 150 having a manual operation button disposed thereon. The manual input unit 150 is located at a position for minimizing the recognition of an object or a human body by the sensor unit 112 when the object or the human body approaches the manual operation button, preferably the upper surface of the scoring apparatus.

본 발명에 따른 라켓스포츠용 휴대용 셀프 스코어링 장치는 또한 일 측면 또는 일 모서리에 휴대의 편의성을 제공하기 위한 고리 수단(141)을 가질 수 있다. 고리 수단은 열쇠고리끈이나, 장식품을 연결할 수 있는 열쇠고리 또는 휴대폰 고리와 같은 구조를 가질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The portable self-scoring apparatus for racquet spor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also have a ring means 141 for providing convenience of carrying on one side or one corner. The ring means may have a structure such as a key ring string, a key ring or a cell phone ring to which ornaments can be connected, but is not limited thereto.

본 발명에 따른 라켓스포츠용 휴대용 셀프 스코어링 장치는 어느 한 측면에 USB 충전부 또는 외부 전원 연결부를 가질 수 있다.The portable self-scoring device for racquet spor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have a USB charging unit or an external power connection on either side.

본 발명에 따른 라켓스포츠용 휴대용 셀프 스코어링 장치가 배드민턴 또는 패드민턴 경기용인 경우, 본 발명에 따른 라켓스포츠용 휴대용 셀프 스코어링 장치는, 다른 본 발명에 따른 라켓스포츠용 휴대용 셀프 스코어링 장치와 자기적 또는 물리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연결 수단(204), 즉 2개의 라켓스포츠용 휴대용 셀프 스코어링 장치를 자기적 또는 물리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연결 수단(204)을 일 측면에 가질 수 있다. 연결 수단(204)은 라켓스포츠용 휴대용 셀프 스코어링 장치의 본체 내 내장된 마그네틱 등이거나, 물리적으로 연결할 수 있는 임의의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자석과 같은 내장형 연결 수단이 이용된다. 특히, 연결 수단(204)은 본 발명에 따른 라켓스포츠용 휴대용 셀프 스코어링 장치가 어느 한 팀의 점수 만을 나타내는 제1 표시부(111) 및 제2 표시부(121)를 갖는 구조인 경우에 바람직하게 채택되며, 이러한 연결 수단(204)을 통해 2개의 라켓스포츠용 휴대용 셀프 스코어링 장치가 자기적 또는 물리적으로 나란히 연결되어 일체화된 스코어링 장치는 양 팀의 점수를 함께 표시하게 된다.When the portable self-scoring device for racket spor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for a badminton or a paddington game, the portable self-scoring device for racket spor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a portable self- (204) for connecting the portable self-scorching device (204) for magnetically or physically connecting two racquet sports portable self-scoring devices. The connecting means 204 may be a magnet built in the body of a portable self-scoring device for racket sports, or may have any structure that is physically connectable. Preferably, built-in connecting means such as magnets are used. In particular, the connecting means 204 is preferably employed when the portable self-scoring device for racquet spor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first display portion 111 and a second display portion 121, , The scoring device integrated with two racket sports portable self-scoring devices connected magnetically or physically side by side through this connecting means 204 will display the score of both teams together.

본 발명에 따른 라켓스포츠용 휴대용 셀프 스코어링 장치가 탁구 경기용인 경우, 본 발명에 따른 라켓스포츠용 휴대용 셀프 스코어링 장치는, 탁구 경기대의 중앙 네트의 한쪽 끝에 물리적 또는 자기적으로 체결하기 위한 결합 수단을 일 측면에 가질 수 있다. 상기 결합 수단은 라켓스포츠용 휴대용 셀프 스코어링 장치를 탁구대 중앙의 네트 한쪽 끝에 체결 또는 결합하기 위한 임의의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구조의 예로는 마그네틱, 집게형 체결구, 핀형 체결구, 네트 좌·우 끝의 바를 끼울 수 있는 홈 등 다양한 수단이 채택될 수 있다. 이러한 결합 수단을 이용하여 본 발명에 따른 라켓스포츠용 휴대용 셀프 스코어링 장치를 탁구 경기대 중앙 네트 한쪽 끝에 거치함으로써 경기 중에 손쉽게 점수 상황을 확인하고, 득점을 스코어링 할 수 있다.When the portable self-scoring apparatus for racket spor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for a table tennis game, the portable self-scoring apparatus for racquet spor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upling means for physically or magnetically fastening one end of a central net of a ping- Side. The engaging means may have any structure for fastening or coupling the racket sports portable self-scoring device to one end of the net at the center of the table rack. As an example of such a structure, various means can be adopted, such as a magnet, a forceps type fastener, a pin type fastener, and a groove into which the bar at the left and right ends of the net can be inserted. By using such a coupling means, the portable self-scoring device for racket spor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ounted at one end of the center net of the ping-pong game center, so that the score can be easily checked during scoring and the score can be scored.

본 발명에 따른 라켓스포츠용 휴대용 셀프 스코어링 장치의 본체는 휴대가 가능한 구조를 가진다. 본 발명에 따른 라켓스포츠용 휴대용 셀프 스코어링 장치가 배드민턴 또는 패드민턴 경기용인 경우, 바(bar), 보다 바람직하게는 삼각 기둥 구조, 즉, 기본적으로 세 개의 면을 갖는 바(bar) 구조를 가지며, 각 모서리는 제1 표시부(111), 제2 표시부(112), 바닥면부(130), 상부의 수동 조작 버튼의 특성을 해하지 않는 범위에서 평면 또는 곡면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라켓스포츠용 휴대용 셀프 스코어링 장치가 탁구 경기용인 경우, 직사각형, 정사각형 등의 판상 구조를 가진다. 본 발명에 따른 라켓스포츠용 휴대용 셀프 스코어링 장치의 구조는 기본적 기능을 상실하지 않는 범위 안에서 다양한 형태로 변형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라켓스포츠용 휴대용 셀프 스코어링 장치는 네트를 사이에 두고 두 팀이 서로 마주하는 다른 구역에서 경기하는 형태의 라켓스포츠 경기, 바람직하게는 배드민턴 경기나 패드민턴(핸들러) 경기시 네트 중앙 아래에 위치시켜 두고 경기를 진행하며, 탁구 경기시에는 중앙 네트 한쪽 또는 양쪽 끝에 체결하여 두고 경기를 진행함으로써, 각 선수는 득점시 경기 중간마다 득점 상황을 즉시 입력하여 편리하게 점수를 스코어링 할 수 있으며, 또한, 각 팀은 자신의 팀의 점수, 상대 팀의 점수, 또는 양 팀의 점수를 경기의 집중도를 흐리지 않고 빠르고 편리하게 확인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라켓스포츠용 휴대용 셀프 스코어링 장치가 어느 한 팀의 점수만을 표시하는 장치인 경우 경제성, 소형화, 휴대편의성 등의 측면에서 바람직하다.The main body of the portable self-scoring apparatus for racquet spor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portable structure. When the portable self-scoring device for racket spor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badminton or a paddington game, it has a bar structure, more preferably a triangular column structure, that is, a bar structure having basically three surfaces, Each corner may have a flat or curved surface structure within a range that does not detract from the characteristics of the first display portion 111, the second display portion 112, the bottom surface portion 130, and the upper manual operation button. When the portable self-scoring apparatus for racquet spor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table tennis game, it has a plate-like structure such as a rectangle or a square. The structure of the portable self-scoring device for racket spor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odified into various forms within a range that does not lose its basic function. The portable self-scoring device for racket spor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racket sport game in which two teams play in opposite areas facing each other with a net therebetween, preferably a badminton game or a pad minton (handler) , And in the table tennis game, the players are fastened to one or both ends of the central net so that each player can easily score the score by inputting the score situation immediately in the middle of the game at the time of scoring, In addition, each team can quickly and conveniently check the score of their team, the score of the opponent team, or the score of both teams, without disturbing the game's focus. Particularly, the portable self-scoring device for racket spor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eferable in terms of economy, miniaturization, and portable convenience in the case of a device displaying only a score of a certain team.

본 발명에 따른 라켓스포츠용 휴대용 셀프 스코어링 장치의 다른 구현 형태로서, 본 발명은 (1) 2 팀에 대한 경기 점수를 함께 표시하는 제1 표시부, (2) 제1 표시부와 동일하게 점수를 표시하며, 제1 표시부와는 다른 면에 배치된 제2 표시부, (3) 물체(라켓) 또는 인체를 감지하여 제어부로 검출신호를 전송하는 센서부, (4) 센서부로부터의 검출신호가 일정 시간 이상 지속시 점수를 가산하는 제어부 및 (5) 각 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라켓스포츠용 휴대용 셀프 스코어링 장치를 제공한다.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ortable self-scoring device for racquet spor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1) a first display part for displaying together the competition scores for two teams; (2) A second display portion disposed on a surface different from the first display portion, (3) a sensor portion for detecting an object (racket) or a human body and transmitting a detection signal to the control portion, (4) (5) a power supply unit for supplying power to each unit. The portable self-scoring apparatus for a racquet spor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상기 제1 표시부는 각 팀의 점수를 표시하며, 각 팀의 점수는 동일하거나 다른 색의 조명으로 표시될 수 있으나, 서로 다른 색의 조명으로 표시되는 것이 각 팀의 점수 상황의 신속한 파악을 위하여 바람직하다.The first display unit displays the score of each team, and the score of each team may be displayed with the same or different colors of light. However, it is preferable that the display of each team is performed with lights of different colors, Do.

상기 제2 표시부는 제1 표시부와 다른 면에 배치되는 것을 제외하고는 기본적으로 상기 제1 표시부와 동일한 구성을 가진다. 즉, 제2 표시부는 제어부의 제어 하에 제1 표시부와 동일하게 경기 점수를 표시한다. 각 팀의 점수는 동일하거나 다른 색의 조명으로 표시될 수 있으나, 서로 다른 색의 조명으로 표시되는 것이 각 팀의 점수 상황의 신속한 파악을 위하여 바람직하다. 각 팀의 점수는 상기 제1 표시부의 조명 색과는 상이한 방식 또는 상반된 방식으로 각 팀의 점수 정보를 표시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The second display portion has basically the same configuration as the first display portion except that the second display portion is disposed on the other surface of the first display portion. That is, the second display unit displays the competition score in the same manner as the first display unit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The score of each team may be displayed with the same or different colors of illumination, but it is desirable to display the score of each team in a different color so as to quickly understand the score situation of each team. It is more preferable that the score of each team is displayed in a manner different from or different from the illumination color of the first display unit.

상기 센서부는 각 팀의 득점 정보의 입력을 위하여 제1 표시부와 같은 면 및 제2 표시부와 같은 면에 각각 배치된다. 따라서, 각 팀 선수는 자신의 득점을 각자 직접 스코어링 할 수 있다.The sensor unit is disposed on the same surface as the first display unit and on the same surface as the second display unit for inputting score information of each team. Thus, each team player can directly score his or her own score.

상기한 본 발명에 따른 라켓스포츠용 휴대용 셀프 스코어링 장치의 다른 구현 형태에 있어서 기타 구성은 본 명세서의 다른 기재에 따른다. Other configurations of other embodiments of the portable self-scoring device for racquet spor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are according to another description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라켓스포츠용 휴대용 셀프 스코어링 장치의 동작 과정에 대해서 설명한다.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portable self-scoring apparatus for racket spor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라켓스포츠용 휴대용 셀프 스코어링 장치의 동작 흐름도이다.6 is a flowchart of a portable self-scoring apparatus for racket spor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른 라켓스포츠용 휴대용 셀프 스코어링 장치의 전원 스위치가 ON되어 전원부(202)의 전원이 공급되면, 전원부(202)의 전원이 본체 내부(200)의 각 회로소자에 공급되고, 각 회로소자들은 동작을 할 수 있는 대기상태가 된다.When the power switch of the portable self-scorching apparatus for racket sports is turned on and the power of the power source unit 202 is supplied, the power of the power source unit 202 is supplied to each circuit element of the inside of the main body 200, Are in a standby state in which they can operate.

제어부(201)는 최초 전원 인가 후 초기 상태로 세팅(초기화)을 우선 수행한다(제310 단계). 상기 초기 세팅 후 제어부는 각 회로소자들의 연결 상태를 점검하며, 초기 정보가 제어부(201) 내부의 메모리에 저장된다.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데이터는 필요에 의해서 읽혀져서 신호처리에 이용된다. 초기화된 정보는 제1 표시부(111) 및 제2 표시부(121)에 표시된다(제320 단계).The control unit 201 first performs setting (initialization) to an initial state after initial power-on (step 310). After the initial setting, the control unit checks the connection state of each circuit element, and the initial information is stored in the memory inside the control unit 201. The data stored in the memory is read as needed and used for signal processing. The initialized information is displayed on the first display unit 111 and the second display unit 121 (operation 320).

제어부(201)는, 수동 입력부(150)를 통해서 버튼 선택에 의한 키신호가 입력되는지를 판단한다. 또는 센서부(112)를 통해서 물체 또는 인체에 대한 신호가 있는지 확인한다. 상기 과정에서 신호가 존재할 때, 입력신호 또는 센서부로부터의 검출신호를 읽어온다(제330 단계).The control unit 201 determines whether a key signal by button selection is inputted through the manual input unit 150. [ Or whether there is a signal for an object or a human body through the sensor unit 112. When the signal is present in the process, the input signal or the detection signal from the sensor unit is read (operation 330).

상기 제330 단계에서 읽어온 신호가 존재할 때(제340 단계), 제어부(201)는 입력된 신호가 센서동작일시정지 모드에 관한 신호인지를 판단한다(제350 단계).If there is a signal read in operation 330, the controller 201 determines whether the input signal is a signal related to a sensor operation suspend mode in operation 350.

상기 제350 단계의 조건을 만족하면, 제어부(201)는 이전동작모드가 센서동작모드일 때는 센서동작정지로 전환하고, 이전동작모드가 센서동작정지모드일 때는 센서동작모드로 전환하는 동작을 제어한다(제351 단계).If the condition of step 350 is satisfied, the controller 201 switches to stop the sensor operation when the previous operation mode is the sensor operation mode and controls the operation to switch to the sensor operation mode when the previous operation mode is the sensor operation stop mode (Step 351).

상기 제340 단계에서 읽어온 신호가 존재하고, 상기 제350 단계의 조건을 만족하지 못했을 때, 입력된 신호가 점수조정(+/-) 신호의 입력인지를 확인한다(제360 단계).If the signal read in step 340 is present and the condition of step 350 is not satisfied, it is confirmed whether the input signal is an input of a scoring (+/-) signal (operation 360).

상기 제360 단계의 입력 신호가 (+)신호인 경우, 제어부(201)는 저장된 득점 정보에 점수를 단위 점수만큼 가산하고, 입력 신호가 (-)신호인 경우, 제어부(201)는 저장된 득점 정보에 점수를 단위 점수만큼 차감하도록 점수 정보를 갱신한다(제380 단계). 상기 단위 점수는 보통 1점으로 세팅되며, 경기 종목에 따라 해당하는 단위 점수로 조정될 수 있다. 갱신된 점수 정보는 제어부의 메모리에 저장되며, 제어부(201)는 갱신된 점수 정보를 확인하여 제1 표시부와 제2 표시부에 갱신된 점수 정보를 표시하도록 제어한다(제380 단계). 제380 단계에서 갱신된 점수 정보는 제어부의 메모리에 저장된다.If the input signal in step 360 is a positive signal, the control unit 201 adds the score to the stored score information by a unit score. If the input signal is a negative signal, the control unit 201 stores the stored score information The score information is updated so as to subtract the score from the unit score (Step 380). The unit score is usually set to one point and can be adjusted to the corresponding unit score according to the event. The updated score information is stored in the memory of the control unit, and the control unit 201 checks the updated score information and controls the first display unit and the second display unit to display updated score information (Step 380). The score information updated in operation 380 is stored in the memory of the control unit.

다음, 상기 제360 단계의 조건도 만족하지 않은 경우, 입력 신호가 센서(112)를 통해 감지된 검출신호가 일정 시간 이상인지를 확인한다(제370 단계). 입력 신호가 센서를 통해 감지되는 검출신호인 경우 제어부(201)는 램프 출력부(113)에 검출신호가 감지되고 있음을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상기 제370 단계의 물체 또는 인체의 인식 검출신호가 0.7초 이상 지속되는 경우, 제어부(201)는 저장된 득점 정보에 점수를 단위 점수만큼 가산하고, 점수 정보를 갱신한다(제380 단계). 제380 단계에서 갱신된 점수 정보는 제어부의 메모리에 저장된다.If the condition of step 360 is not satisfied,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detection signal detected by the input signal sensor 112 is greater than a predetermined time (step 370). If the input signal is a detection signal sensed through the sensor, the control unit 201 controls the lamp output unit 113 to indicate that the detection signal is being sensed. If the detection signal of the object or the human body in step 370 continues for 0.7 seconds or more, the controller 201 adds the score to the stored score information by the unit score, and updates the score information (step 380). The score information updated in operation 380 is stored in the memory of the control unit.

상기와 같은 과정으로 입력된 신호의 해독 작업 후, 제어부(201) 내의 카운터 및 내부 연산기를 통한 신호처리가 이루어지면, 각각의 동작모드에서의 표시 제어가 이루어진다. 즉, 상기 스코어링 장치 내에서 상기 제380 단계에서 신호처리 및 갱신된 값은 표시신호로 출력된다(제390 단계).After the signal input through the above process is decoded, signal processing is performed through the counter and the internal arithmetic unit in the control unit 201, and display control is performed in each operation mode. That is, the signal processing and updated values in step 380 of the scoring apparatus are output as a display signal (step 390).

상기 신호 표시는 표시되고자 하는 점수에 해당하는 글자 부분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의해 표시되며, 바람직하게는, 해당하는 숫자는 FND 장치를 통해 표시가 수행된다.The signal display is displayed by the display device of the character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score to be displayed, and preferably, the corresponding number is displayed through the FND device.

상기 제390 단계까지 수행되는 과정에서 연산된 값들은 제어부(201) 내의 메모리에 백업 저장되어, 이후 동일 경기를 진행하는 동안 신호처리를 수행할 때 이용된다.The values calculated in the process up to step 390 are stored in the memory in the control unit 201 and used for signal processing during the same game.

또한 제380 단계에서, 음향 출력부(203)를 통해서 각종 음성신호, 득점 인식 신호, 득점을 알리는 신호, 현재 점수를 알리는 음성신호에 따른 신호 출력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음향 출력부(203)를 통해서 출력되는 음향 신호들은 제어부(201) 내의 메모리에 각 동작모드에 맞게 저장된다.In operation 380, various audio signals, a score recognition signal, a signal indicating a score, and a signal output according to a voice signal indicating a current score can be output through the sound output unit 203. [ The sound signals output through the sound output unit 203 are stored in the memory in the control unit 201 for each operation mode.

상기 제390 단계가 수행된 후, 제330 단계로 복귀되어 동일 경기 내에서 상기 제어 루틴을 반복해서 수행하게 된다. 상기 제어 루틴의 반복처리는 전원버튼에 의해 OFF 신호 입력되기까지 이루어진다.After the step 390, the control routine is returned to step 330 and the control routine is repeatedly performed in the same game. The repetitive processing of the control routine is performed until the OFF signal is input by the power button.

100 본체 외부
110 전면부
111 제1 표시부
112 센서부
113 램프 출력부
120 후면부
121 제2 표시부
130 바닥면부
141 고리부
150 수동 입력부
151 센서일시정지버튼
152a 점수조정버튼(+)
152b 점수조정버튼(-)
200 본체 내부
201 제어부
202 전원부
203 음향 출력부
204 연결 수단
100 Body outside
110 front portion
111 first display section
112 sensor unit
113 Lamp Output Section
120 Rear
121 second display section
130 bottom surface
141 Cylinders
150 manual input
151 Sensor Pause Button
152a Score Adjustment Button (+)
152b Score Adjustment Button (-)
200 inside the body
201 control unit
202 Power supply unit
203 acoustic output unit
204 connecting means

Claims (13)

(1) 경기 점수를 표시하는 제1 표시부, (2) 제1 표시부와 동일한 점수를 표시하며, 제1 표시부와는 다른 면에 배치된 제2 표시부, (3) 물체 또는 인체를 감지하여 감지된 검출신호를 제어부로 전송하는 센서부, (4) 센서부로부터의 검출신호가 일정 시간 이상 지속시 점수를 가산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및 (5) 각 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센서부는 센서부 전방 70cm 이내의 범위의 대상을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켓스포츠용 휴대용 셀프 스코어링
(2) a second display portion which displays the same score as the first display portion and is disposed on a surface different from the first display portion, (3) a second display portion which detects an object or a human body, (4)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addition of a score when the detection signal from the sensor unit continues for a predetermined time or longer, and (5) a power supply unit for supplying power to each unit,
Wherein the sensor unit senses an object within a range of 70 cm in front of the sensor unit. The portable self-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표시부 및 제2 표시부는 FND(Flexible Numeric Display) 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켓스포츠용 휴대용 셀프 스코어링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rst display unit and the second display unit are FND (Flexible Numeric Display) devices.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센서부 전방 30cm 이내 및 입사각 10° 이내의 범위의 물체를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켓스포츠용 휴대용 셀프 스코어링 장치.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the sensor unit senses an object within a range of 30 cm in front of the sensor unit and within an incident angle of 10 °.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센서부 전방 70cm 이내 및 입사각 10° 이내의 범위의 인체를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켓스포츠용 휴대용 셀프 스코어링 장치.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the sensor unit detects a human body within a range of 70 cm in front of the sensor unit and within an incident angle of 10 [deg.].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발광 수단 및 수광 수단을 가지며, 상기 수광 수단은 가로×세로폭 0.7~1㎜×3~4.5㎜의 상하로 긴 개구부를 구비하고, 상기 개구부를 통하여 물체 또는 인체로부터 반사된 광원을 수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켓스포츠용 휴대용 셀프 스코어링 장치.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the sensor unit has a light emitting means and a light receiving means, and the light receiving means has a vertically long opening portion having a width and a width of 0.7 to 1 mm x 3 to 4.5 mm, and receives a light source reflected from an object or a human body through the opening Wherein said portable self-scoring device is a portable self-scoring device for racquet sports.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IR(Infrared Ray) 센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켓스포츠용 휴대용 셀프 스코어링 장치.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the sensor unit is an infrared ray (IR) sensor.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부로부터의 검출신호가 0.7초 이상 지속시 득점을 지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켓스포츠용 휴대용 셀프 스코어링 장치.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the control unit instructs a score when the detection signal from the sensor unit continues for 0.7 seconds or more.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제1 표시부와 제2 표시부가 동일한 한 팀의 점수만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켓스포츠용 휴대용 셀프 스코어링 장치.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only the score of a team having the same first display portion and the second display portion is displayed.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센서일시정지버튼 및 점수조정버튼을 포함하는 수동 입력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켓스포츠용 휴대용 셀프 스코어링 장치.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A sensor pause button, and a score adjusting button. The portable self-scoring device for racquet sports according to claim 1,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센서부의 전방 물체의 인지거리가 30cm 또는 센서부의 전방 인체의 인지거리 70cm로 기본 설정되어 있고, 센서부로부터의 검출신호가 0.7초 이상 지속시 제어부가 득점을 지시하도록 기본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켓스포츠용 휴대용 셀프 스코어링 장치.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The sensor unit is basically set to have a recognition distance of 30 cm or a recognition distance of 70 cm of the front human body of the sensor unit and the control unit is basically set to indicate a score when the detection signal from the sensor unit lasts for 0.7 seconds or more Portable self-scoring device for racquet sports.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배드민턴 경기 또는 핸들러 경기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켓스포츠용 휴대용 셀프 스코어링 장치.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A badminton game or a handler game.
제 11 항에 있어서,
2개의 장치를 나란히 연결하기 위한 연결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켓스포츠용 휴대용 셀프 스코어링 장치.
12. The method of claim 11,
And a connecting means for connecting the two devices side by side.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탁구 경기용이며, 라켓스포츠용 휴대용 셀프 스코어링 장치를 중앙 네트 한쪽 끝에 체결하기 위한 결합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켓스포츠용 휴대용 셀프 스코어링 장치.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And a coupling means for coupling the portable self-scoring device for racket sports to one end of the central net for ping-pong competition.
KR1020140093962A 2014-07-24 2014-07-24 Portable self-scoring apparatus for racket sports KR101559120B1 (en)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3962A KR101559120B1 (en) 2014-07-24 2014-07-24 Portable self-scoring apparatus for racket sports
PCT/KR2015/000234 WO2016013737A1 (en) 2014-07-24 2015-01-09 Portable self-scoring device for racket sports
JP2017504091A JP6431178B2 (en) 2014-07-24 2015-01-09 Portable self-scoring device for racket sports
CN201580039137.0A CN107073326B (en) 2014-07-24 2015-01-09 Racket moves portable voluntarily device for scoring
TW104123560A TWI584851B (en) 2014-07-24 2015-07-21 Portable self-scoring apparatus for racket sport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3962A KR101559120B1 (en) 2014-07-24 2014-07-24 Portable self-scoring apparatus for racket sport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59120B1 true KR101559120B1 (en) 2015-10-13

Family

ID=543483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93962A KR101559120B1 (en) 2014-07-24 2014-07-24 Portable self-scoring apparatus for racket sports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6431178B2 (en)
KR (1) KR101559120B1 (en)
CN (1) CN107073326B (en)
TW (1) TWI584851B (en)
WO (1) WO2016013737A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8153610A (en) * 2017-03-16 2018-10-04 スン ジェ キムSung Jai KIM Score board device for various kinds of sport competitions
KR102603700B1 (en) * 2023-04-03 2023-11-17 이성빈 Motion-Sensing Moving Scoreboard and Driving Method Thereof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534235B (en) * 2022-03-23 2022-10-25 湖州师范学院 Automatic ball serving training result judging and displaying device and using method thereof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91649B2 (en) 1995-12-01 2001-07-23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Point neighborhood discrimination method
KR101081121B1 (en) 2011-04-18 2011-11-07 (주) 골프존 Method for recording golf score, golf score recording device providing the same, and server providing application providing the same
KR101418461B1 (en) 2013-02-05 2014-07-14 박장수 Electronic scoreboard for tennis game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48743U (en) * 1992-12-18 1994-07-05 株式会社ケイエスエス Badminton score indicator
CN2253994Y (en) * 1996-03-19 1997-05-14 游志豪 Automatic scoring apparatus for table tennis tournament
US6270431B1 (en) * 1997-04-21 2001-08-07 Steven D. Martin Control grid for table tennis scorekeeping device with audio and visual display
US6012995A (en) * 1997-04-21 2000-01-11 Martin; Steven D. Scorekeeping racket device with audio and visual display
JP3685741B2 (en) * 2001-06-13 2005-08-24 ヒロセ電機株式会社 Momentum measuring device
US7285061B2 (en) * 2003-08-04 2007-10-23 Ervin Wagner Sports skills training method and apparatus
CN2732306Y (en) * 2004-07-17 2005-10-12 许惠泉 Intelligent scoring system of racket ball or tennis exercising gymnasium
JP2008055136A (en) * 2006-08-03 2008-03-13 Molten Corp Display unit
JP5055548B2 (en) * 2007-03-12 2012-10-24 新世代株式会社 Exercise support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AU2009101201B4 (en) * 2009-10-23 2010-03-25 Chiron Ip Holdco Pty Ltd Electronic scoring system, method and armour for use in martial arts
TWM386101U (en) * 2009-10-23 2010-08-11 rong-bin Ling Electronic scoreboard for table tennis
KR20110105603A (en) * 2010-03-19 2011-09-27 홍성열 An electronic scoreboard
TW201135216A (en) * 2010-04-08 2011-10-16 Univ Nat Formosa Sensing device for non-contact measuring ball-type falling object
JP5241807B2 (en) * 2010-12-02 2013-07-17 株式会社コナミデジタルエンタテインメント GAME DEVICE, GAME DEVICE CONTROL METHOD, AND PROGRAM
US20120256373A1 (en) * 2011-04-07 2012-10-11 Wilson Tam Portable electronic scoreboard for officiating a sporting game
JP5536732B2 (en) * 2011-10-07 2014-07-02 セイコータイムシステム株式会社 Score display device, score display system, score display method, and score display program
CN104689544A (en) * 2013-12-09 2015-06-10 青岛新动力文化传媒有限公司 Table tennis table with electronic screens capable of rotating automatically and displaying scores
CN203598455U (en) * 2013-12-17 2014-05-21 陈润锋 Portable tennis training and game scoring devic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91649B2 (en) 1995-12-01 2001-07-23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Point neighborhood discrimination method
KR101081121B1 (en) 2011-04-18 2011-11-07 (주) 골프존 Method for recording golf score, golf score recording device providing the same, and server providing application providing the same
KR101418461B1 (en) 2013-02-05 2014-07-14 박장수 Electronic scoreboard for tennis gam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8153610A (en) * 2017-03-16 2018-10-04 スン ジェ キムSung Jai KIM Score board device for various kinds of sport competitions
KR102603700B1 (en) * 2023-04-03 2023-11-17 이성빈 Motion-Sensing Moving Scoreboard and Driving Method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I584851B (en) 2017-06-01
WO2016013737A1 (en) 2016-01-28
JP6431178B2 (en) 2018-11-28
JP2017521193A (en) 2017-08-03
CN107073326A (en) 2017-08-18
CN107073326B (en) 2019-04-05
TW201609227A (en) 2016-03-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461402B2 (en) Exercise band with removable modules
US9474953B1 (en) System, method and processor-readable medium for wirelessly tracking basketball shots
US20050167907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ortable exercise system with electronic targets
KR101559120B1 (en) Portable self-scoring apparatus for racket sports
US20090221337A1 (en) Physical activity-promoting game utilizing networked modules
KR200470344Y1 (en) Electronic scoreboard
US9782661B2 (en) Athletic timing device
US6424598B1 (en) Interval timing apparatus for athletic events
US20120021811A1 (en) Sequence memory gam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22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