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57971B1 - 휴대용 저주파 발생 패드 - Google Patents

휴대용 저주파 발생 패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57971B1
KR101557971B1 KR1020140188373A KR20140188373A KR101557971B1 KR 101557971 B1 KR101557971 B1 KR 101557971B1 KR 1020140188373 A KR1020140188373 A KR 1020140188373A KR 20140188373 A KR20140188373 A KR 20140188373A KR 101557971 B1 KR101557971 B1 KR 1015579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witch
low frequency
main body
substrate
electr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883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승철
이재철
유상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파이오메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파이오메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파이오메드
Priority to KR10201401883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5797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579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57971B1/ko
Priority to PCT/KR2015/014249 priority patent/WO2016105154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02Details
    • A61N1/04Electro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lectrotherapy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일체형으로 구성되어 휴대가 가능하도록 하고 사용이 편리하도록 하는 휴대용 저주파 발생 패드에 관한 것으로, 본체 내부에 저주파트랜즈, 치료전극부, 스위치 및 제어부가 수용되도록 구성되므로, 일체형으로 구성될 수 있어, 휴대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체를 손목에 접착시키고 스위치에 압력을 가하면, 치료전극부가 저주파를 손목의 정중신경으로 전달하게 되어, 항암치료 및 약물치료의 부작용으로 나타나는 오심과 구토를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멀미, 입덧 또는, 그 외에 의한 오심과 구토를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휴대용 저주파 발생 패드{PAD WITH LOW FREQUENCY GENERATOR}
본 발명은 휴대용 저주파 발생 패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일체형으로 구성되어 휴대가 가능하도록 하고 사용이 편리하도록 하는 휴대용 저주파 발생 패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임신부들이 경험하는 입덧은 주로 임신 초기에 나타나며, 그 원인은 태반에서 분비되는 호르몬(HCG)의 증가 또는 임신으로 인한 정신적인 불안감이나 스트레스라고 알려져 있다. 보통 구토,메스꺼움, 구역질, 식욕부진, 음식물의 기호변화 등의 증후군으로 나타나지만, 정상적인 경우 5개월 이내에 대부분 증상이 없어진다.
임신부들의 입덧 경험에 대한 조사에 따르면 임신부의 연령, 초산 또는 경산, 직업의 유무, 학력수준, 수입정도, 거주지역에 따라 입덧 경험이나 경감이 달랐으며, 경험하는 증상도 임신으로 인한 스트레스나 가족 구성, 출생아의 성별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
이러한 입덧으로 인하여 임신부는 냄새에 예민해져서 특정 음식에 대한 선호도가 떨어지거나 식용이 없어지게 되며, 그 결과 음식물 섭취가 불규칙하게 되어 체중이 감소되기도 한다. 또한, 구토가 심해지게 되면, 몸속의 수분이나 미네랄을 잃게 되고, 때에 따라서 탈수상태가 되는 경우도 있다. 이는 임신공포증 또는 기타 정신적인 갈등과 함께 태아의 발육과 영양상태에 나쁜 영향을 줄 수 있으므로, 입덧의 증세가 심할 때는 반드시 임상적, 영양적 관리를 해야한다.
입덧 증상 완화를 위한 해결 방안을 살펴보면, 주로 한약이나 양약, 또는 정맥주사를 이용하고 있으며, 비타민 B6를 투여하여 구토와 메스꺼움이 심한 임신부들의 증세를 완화하기도 한다. 그러나 이러한 보충제를 포함한 약의 남용은 음주나 흡연과 마찬가지로 태아에게 바람직하지 않은 결과를 초래할 수도 있어, 약 처방은 의사의 지도 하에 제한적으로 사용되어야 한다.
한편,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01-0032517호를 참조하면, 입덧을 치료하기 위한 장치는 아니지만, 저주파 전류를 생체에 인가하여 구토나 메스꺼움 등을 치료하도록 하는 치료 장치가 공지된 바 있다. 이러한 종래 치료 장치는 하나의 기기 형태로서, 저주파를 발진시키기 위한 발진기와, 발진기와 연결되어 발진기로부터 발진되는 저주파를 신체로 전달하는 치료전극을 포함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치료 장치는 발진기와 치료전극이 각각 개별적으로 구비되는바, 그 크기가 커서 병원 등의 지정된 장소에 설치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런데 임신부가 구토나 메스꺼움 등의 입덧 증상이 나타날 때마다 신속하게 병원에 방문하여 종래 치료 장치를 이용하기에는 현실적으로 불가능하여, 종래 치료 장치를 이용하여 입덧을 치료하기에는 곤란성이 있다. 따라서 발진기와 치료전극을 일체형으로 하여 휴대가 가능하도록 하고 사용이 편리하도록 하는 치료 장치의 개발이 시급한 실정이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01-0032517호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저주파를 발생시키는 저주파발생부와, 저주파를 신체로 전달하는 전극부가 하나의 본체에 일체로 구비되도록 하여 휴대가 가능하도록 하고 사용이 편리하도록 하는 휴대용 저주파 발생 패드를 제공하도록 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내부에 공간이 구비되는 본체; 상기 본체 내부에 구비되며 저주파를 발생시키는 저주파발생부; 일측은 상기 저주파발생부와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본체 외부로 노출되어 상기 저주파를 신체로 전달하는 한 쌍의 치료전극부; 상기 본체에 구비되며 스위치신호를 발생하는 스위치; 상기 본체에 구비되며 상기 스위치신호를 전송받아 상기 저주파발생부가 저주파를 발생시키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본체에 구비되며 상기 저주파발생부, 상기 치료전극부, 상기 스위치 및 상기 제어부로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저주파 발생 패드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본체의 저면에는 상기 치료전극부가 노출되도록 노출공이 형성되되, 상기 노출공이 형성되지 않은 부분에는 접착테이프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저주파 발생 패드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스위치는 상기 본체의 내벽과 대향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본체의 외부에서 상기 본체의 내벽 방향으로 가해지는 외부 압력이 상기 스위치로 전달되면, 상기 스위치는 스위치신호를 발생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저주파 발생 패드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스위치의 일측은 상기 본체의 내벽과 대향되고, 상기 스위치의 타측에는 상기 스위치로 전달되는 외부 압력을 완충시키도록 완충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저주파 발생 패드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스위치는: 상기 본체의 내벽과 대향되는 작동부; 상기 작동부와 이격되도록 배치되되 상기 제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기판부; 및 상기 작동부와 상기 기판부가 이격되도록 상기 작동부와 상기 기판부의 일측 사이에 배치되는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의 외부에서 상기 본체의 내벽 방향으로 가해지는 외부 압력이 상기 작동부로 전달되면, 상기 작동부는 상기 기판부와 접촉되고, 상기 작동부와 접촉된 상기 기판부는 스위치신호를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저주파 발생 패드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기판부와 마주보는 상기 작동부의 내면에는 상기 작동부의 내면의 테두리를 따라 구비되는 접착부와, 상기 작동부의 내면의 테두리의 안쪽에 구비되는 도전부를 포함하고, 상기 작동부와 마주보는 상기 기판부의 내면에는 상기 도전부의 일측과 대향되도록 배치되는 제 1 스위치전극과, 상기 도전부의 타측과 대향되도록 배치되는 제 2 스위치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작동부가 상기 기판부와 접촉될 때, 상기 접착부에 의하여 상기 작동부와 상기 기판부가 상호 접착되고, 상기 도전부의 일측은 상기 제 1 스위치전극과 통전되고, 상기 도전부의 타측은 상기 제 2 스위치전극과 통전되어, 상기 기판부가 스위치신호를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저주파 발생 패드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제 1 스위치전극과 상기 제 2 스위치전극 사이에는 상기 제 1 스위치전극과 상기 제 2 스위치전극이 상호 독립되도록 경계패턴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저주파 발생 패드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작동부의 일측과 상기 기판부의 일측 사이에 상기 지지부가 배치되어, 상기 작동부의 일측과 상기 기판부의 일측이 이격되고, 상기 작동부의 타측에는 상기 기판부의 타측 방향으로 절곡부가 형성되어, 상기 작동부의 타측과 상기 기판부의 타측이 이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저주파 발생 패드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절곡부의 단면은 'V'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저주파 발생 패드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오심 또는 구토를 차단하는 목적으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저주파 발생 패드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저주파 발생 패드는 본체 내부에 저주파트랜즈, 치료전극부, 스위치 및 제어부가 수용되도록 구성되므로, 일체형으로 구성될 수 있어, 휴대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체로 가해지는 외부 압력이 본체 내부의 스위치로 전달되어 스위치가 온 되도록 구성되므로, 스위치를 본체 내부에 구비할 수 있어, 본체의 외형이 미려해지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체를 손목에 접착시키고 스위치에 압력을 가하면, 치료전극부가 저주파를 손목의 정중신경으로 전달하게 되어, 항암치료 및 약물치료의 부작용으로 나타나는 오심과 구토를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멀미, 입덧 또는, 그 외에 의한 오심과 구토를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스위치의 작동부와 기판부의 이격 상태가 견고하게 유지되므로, 작동부와 기판부가 운반 도중 또는 사용하기 전에 임의로 접촉되지 않게 되어, 외부 압력 없이는 스위치가 임의로 작동하지 않게 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저주파 발생 패드를 상부에서 바라본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저주파 발생 패드를 하부에서 바라본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저주파 발생 패드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저주파 발생 패드의 내부를 분해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저주파 발생 패드의 내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저주파 발생 패드의 스위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저주파 발생 패드의 스위치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저주파 발생 패드의 스위치에 구비되는 작동부와 기판부의 내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저주파 발생 패드의 스위치에 구비되는 작동부와 기판부가 상호 접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저주파 발생 패드를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저주파 발생 패드를 상부에서 바라본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저주파 발생 패드를 하부에서 바라본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저주파 발생 패드(10)는 사용자의 손목 등에 접촉되어 저주파를 발생시키는 것으로, 본체(100), 저주파트랜스(200: 도 3 도시) 및 치료전극부(300)를 포함한다.
본체(100)는 그 내부에 공간이 구비되도록 형성되는 케이스(110)와, 케이스(110)의 개방된 하측을 커버하는 커버부(120)를 포함한다. 그리고 케이스(110)의 개방된 하측의 테두리에는 테두리부(110a)가 구비된다. 그리고 테두리부(110a)와 커버부(120) 사이에는 후술하는 회로기판(800)이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케이스(110)와 회로기판(800)과 커버부(120) 사이는 수밀하게 결합되어, 본체(100) 내부가 방수 기능을 갖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커버부(120)의 저면에는 후술하는 치료전극부(300)가 삽입되도록 한 쌍의 노출공(122)이 형성되고, 커버부(120)의 저면의 노출공(122)이 형성되지 않은 부분에는 접착테이프(124)가 구비된다. 접착테이프(124)는 본체(100)가 사용자의 신체, 예를 들면, 사용자의 손목을 지나가는 정중신경에 용이하게 접착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인체에 유해하지 않은 인체용 접착테이프(124)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접착테이프(124)에는 이형지(미도시)가 부착되어, 접착테이프(124)와 치료전극부(300)를 보호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본체(100)가 사용자의 신체에 부착되지 전에 상기 이형지는 제거된다.
저주파트랜스(200: 도 3 도시)는 본체(100)의 내부 공간에 수용되는 것으로, 발진코일 등을 이용하여 일정 범위의 주파수의 전자파 펄스를 발진한다. 이러한 저주파트랜스(200)는 대략 28㎐ 내지 33㎐의 저주파 펄스를 발생시키며, 이렇게 발생된 저주파 펄스는 후술하는 치료전극부(300)로 전달된다.
치료전극부(300)는 커버부(120)의 한 쌍의 노출공(122)에 삽입되도록 제 1 치료전극(310)과 제 2 치료전극(320)을 포함한다. 이러한 제 1, 2 치료전극(310, 320)의 일측은 커버부(120)의 상면에 구비되는 회로기판(800)과 연결되고, 그 타측은 본체(100)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구성된다. 이때, 제 1, 2 치료전극(310, 320)의 일측은 후술하는 회로기판(800)에 의하여 저주파트랜스(200)와 연결되고, 제 1, 2 치료전극(310, 320)의 타측은 도전성을 높이고 인체와의 저항성을 낮추도록 금 등으로 도금 처리될 수 있다. 그리고 치료전극부(300)에는 접착 재질이 코팅될 수도 있다. 그리고 본체(100)의 커버부(120)의 저면이 사용자의 신체의 손목에 접착된 상태에서, 저주파트랜스(200)가 저주파를 발생시키게 되면, 치료전극부(300)는 저주파트랜스(200)가 발생시키는 저주파를 전달받고, 이를 다시 손목의 정중신경으로 전달한다. 그리고 손목의 정중신경으로 전달된 저주파는 정중신경을 자극하게 되고, 이어서 정중신경을 따라 중추신경계로 전달된다. 그러면 중추신경계에서는 오심과 구토의 신호를 차단해주고 비정상적인 위장운동을 다시 정상적으로 작동하도록 자극을 보낸다.
이처럼 본 발명은 저주파를 손목의 정중신경으로 전달하게 되어, 항암치료 및 약물치료의 부작용으로 나타나는 오심과 구토를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멀미, 입덧 또는 그 외에 의한 오심과 구토를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한편, 저주파트랜스(200)가 발생시키는 저주파는 본체(100)의 내부에 구비되는 스위치(400)와 제어부(500)에 의하여 치료전극부(300)로 전달되는데, 이는 하기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이처럼 본 발명은 본체(100) 내부에 저주파트랜스(200), 치료전극부(300), 스위치(400) 및 제어부(500)가 수용되도록 구성되므로, 일체형으로 구성될 수 있어, 휴대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저주파 발생 패드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휴대용 저주파 발생 패드(10)는 저주파트랜스(200)를 제어하기 위하여 스위치(400) 및 제어부(500)를 포함한다.
스위치(400)는 외부 자극에 의하여 온 또는 오프되면서 스위치신호를 발생하는 것으로, 본체(100) 내부에 구비되며, 그 세부 구성은 하기 도 6에서 설명하기로 한다.
제어부(500)는 마이컴(Micom) 등으로 구성되는 것으로, 스위치(400) 및 저주파트랜스(2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스위치신호를 전송받아 제어신호를 생성하며, 생성된 제어신호는 저주파트랜스(200)로 전송하여, 저주파트랜스(200)가 저주파를 발생하도록 제어한다. 그러면 저주파트랜스(200)는 저주파를 발생하고, 이렇게 발생된 저주파는 치료전극부(300)로 전달한다. 그리고 치료전극부(300)는 저주파트랜스(200)로부터 저주파를 전달받고 이를 신체로 전달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저주파 발생 패드의 내부를 분해하여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저주파 발생 패드의 내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체(100)는 케이스(110)와 커버부(120)를 포함한다. 케이스(110)는 내부에 공간이 구비되고, 그 하부는 개방되도록 테두리부(110a)가 구비된다. 커버부(120)는 테두리부(110a)를 커버하도록 구성된다.
케이스(110) 내부에는 회로기판(800), 저주파트랜스(200), 스위치(400), 제어부(500) 및 배터리(700)가 구비된다. 회로기판(800)은 커버부(120)의 상면에 안착되는 것으로, PCB 등으로 구성되어, 회로 패턴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회로기판(800)의 상부 일측에는 저주파트랜스(200)가 실장되고 회로기판(800)의 상부 타측에는 제어부(500)가 실장된다. 또한, 커버부(120)에는 한 쌍의 노출공(122)이 형성되고, 상기 한 쌍의 노출공(122)에 치료전극부(300)의 제 1 치료전극(310)과 제 2 치료전극(320)이 삽입된다. 상기 치료전극부(300)의 상측은 회로기판(800)의 하부와 대향되어, 회로기판(800)의 하부에 실장되고, 치료전극부(300)의 하측은 노출공(122)을 통하여 외부로 노출된다.
배터리(700)는 제어부(500)의 상부에 구비되며, 수은전지 등의 코인배터리로 구성될 수도 있으며, 리튬이온배터리, 망간배터리 등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배터리(700)는 회로기판(800)과 연결되어 있으며, 회로기판(800)과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연결된 저주파트랜스(200), 치료전극부(300), 스위치(400) 및 제어부(500)로 전원을 공급한다.
스위치(400)는 제어부(500)의 상부에 구비되는 것으로, 케이블 등의 연결부(600)를 통하여 회로기판(800)과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스위치(400)의 상부는 커버부(120)의 상면의 내벽과 대향되도록 구성되어, 커버부(120)의 상면으로 가해지는 외부 압력이 스위치(400)로 전달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스위치(400)는 상기 외부 압력을 전달받아 스위치신호를 발생하며, 발생된 스위치신호는 회로기판(800)을 통하여 제어부(500)로 전달된다. 스위치(400)의 세부 구성은 하기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스위치(400)와 제어부(500) 사이에는 완충부(90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완충부(900)는 스펀지 등의 탄성 재질 등으로 구성되어, 스위치(400)로 가해지는 외부 압력을 완충하는 역할을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저주파 발생 패드의 스위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저주파 발생 패드의 스위치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스위치(400)는 커버부(120)의 상면의 내벽과 대향되며 판형으로 형성되는 작동부(410)와, 상기 작동부(410)의 하부 방향으로 이격되도록 배치되되 상술한 연결부(600)에 의하여 회로기판(80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기판부(420)와, 작동부(410)와 기판부(420)의 일측 사이에 배치되어 작동부(410)와 기판부(420)가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탄성 재질의 지지부(430)를 포함한다. 그리고 작동부(410)와 기판부(420)의 일측 사이에 지지부(430)가 구비될 때, 작동부(410)와 기판부(420)의 타측 사이에는 절곡부(412)가 구비되는데, 상기 절곡부(412)는 예를 들면 작동부(410)의 타측에서 기판부(420)의 타측 방향으로 절곡되도록 그 단면이 'V' 형상으로 형성되어, 작동부(410)의 타측 기판부(420)의 타측이 이격된 상태를 보다 견고하게 유지하도록 한다. 이처럼 작동부(410)와 기판부(420) 사이에는 지지부(430) 및 절곡부(412)가 구비되므로, 작동부(410)의 기판부(420)는 보다 견고하게 이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처럼 작동부(410)와 기판부(420)의 이격 상태가 견고하게 유지되면, 작동부(410)와 기판부(420)가 운반 도중 또는 사용하기 전에 임의로 접촉되지 않게 되어, 외부 압력 없이는 스위치(400)가 임의로 작동하지 않게 되는 효과가 있다. 한편, 상기 절곡부(412)는 기판부(420)의 타측에서 작동부(410)의 타측 방향으로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그리고 사용자가 손으로 본체(100)의 외부에서 스위치(400) 방향으로 압력을 가하게 되어, 스위치(400)의 작동부(410)와 대향되는 커버부(120)의 내벽에 외부 압력이 가해지면, 커버부(120)의 내벽이 하부로 함몰되면서 커버부(120)의 내벽과 대향 위치되는 작동부(410)를 가압하게 된다. 그러면 작동부(410)는 기판부(420)와 접촉되면서 기판부(420)의 후술하는 제 1 스위치전극(422)과 제 2 스위치전극(424)이 통전되도록 하고, 이처럼 제 1 스위치전극과 제 2 스위치전극(424)이 통전되면, 기판부(420)는 온 되어 스위치신호를 제어부(500)로 출력하게 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저주파 발생 패드의 스위치에 구비되는 작동부와 기판부의 내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저주파 발생 패드의 스위치에 구비되는 작동부와 기판부가 상호 접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기판부(420)와 상호 마주보는 작동부(410)의 내면에는 작동부(410)의 내면의 테두리를 따라 구비되는 접착성을 가지는 접착부(416)와, 작동부(410)의 내면의 테두리의 안쪽에 구비되는 도전성을 가지는 도전부(414)를 포함한다. 그리고 작동부(410)의 내면과 상호 마주보는 기판부(420)의 내면에는 도전부(414)의 일측과 대향되도록 배치되는 제 1 스위치전극(422)과, 도전부(414)의 타측과 대향되도록 배치되는 제 2 스위치전극(424)을 포함한다. 그리고 도전부(414)에는 접착 재질이 코팅될 수도 있다.
그리고 외부 압력이 가해져서 작동부(410)가 기판부(420) 방향으로 가압되면, 작동부(410)의 내면이 기판부(420)의 내면과 접촉되는데, 이때, 접착부(416)에 의하여 작동부(410)와 기판부(420)의 내면이 상호 견고하게 접착된다. 그리고 도전부(414)의 일측은 제 1 스위치전극(422)과 통전되고, 도전부(414)의 타측은 제 2 스위치전극(424)과 통전되어, 기판부(420)가 온 되고, 이어서 기판부(420)는 스위치신호를 제어부(500)로 전달한다. 그리고 스위치신호를 전달받은 제어부(500)는 저주파트랜스(200)로 제어신호를 전달하고, 제어신호를 전달받은 저주파트랜스(200)는 저주파를 발생하여 치료전극부(300)로 전달한다.
이처럼 본 발명의 스위치(400)는 외부 압력이 가해지면 온 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하게 되어 일회용으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한번 접착된 도전부(414)와 기판부(420)는 임의로 떨어지지 않으므로, 배터리(700)가 방전되기 전까지는 저주파트랜스(200)에서 발생되는 저주파가 치료전극부(300)를 통하여 신체로 지속적으로 전달된다.
또한, 본체(100)로 가해지는 외부 압력이 본체(100) 내부의 스위치(400)로 전달되어 스위치(400)가 온 되도록 구성되므로, 스위치(400)를 본체(100) 내부에 구비할 수 있어, 본체(100)의 외형이 미려해지게 되는 효과가 있다.
한편, 기판부(420)의 제 1 스위치전극(422)과 제 2 스위치전극(424) 사이에는 제 1 스위치전극(422)과 제 2 스위치전극(424)이 상호 독립되도록 경계패턴부(426)가 더 구비될 수 있다. 경계패턴부(426)는 상호 인접한 제 1 스위치전극(422)과 제 2 스위치전극(424) 사이가 이격되도록 지그 재그 형태의 패턴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이에 따라 제 1 스위치전극(422)과 제 2 스위치전극(424) 사이의 경계가 어느 한 방향으로 치우치지 않게 된다. 그 결과, 외부 압력에 의하여 작동부(410)와 기판부(420)가 상호 접착될 때, 외부 압력이 작동부(410)의 어느 한 방향으로 치우쳐져서 작동부(410)와 기판부(420)가 어느 한 방향으로 치우쳐진 상태로 접착된다 할지라도, 제 1 스위치전극(422)과 제 2 스위치전극(424)의 경계는 어느 한 방향으로 치우쳐지지 않도록 구성되므로, 도전부(414)의 어느 한 부분은 제 1 스위치(400)와 접촉되고, 도전부(414)의 다른 한 부분은 제 2 스위치(400)와 접촉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서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을 이로 한정하지 않음은 당연하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범주에 속하는 것이라면 그 기술사상 역시 본 발명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
10: 휴대용 저주파 발생 패드
100: 본체 110: 케이스
110a: 테두리부 120: 커버부
122: 노출공 124: 접착테이프
200: 저주파트랜스 300: 치료전극부
310: 제 1 치료전극 320: 제 2 치료전극
400: 스위치 410: 작동부
412: 절곡부 414: 도전부
416: 접착부 420: 기판부
422: 제 1 스위치전극 424: 제 2 스위치전극
426: 경계패턴부 430: 지지부
500: 제어부 600: 연결부
700: 배터리 800: 회로기판
900: 완충부

Claims (10)

  1. 내부에 공간이 구비되는 본체;
    상기 본체 내부에 구비되며 저주파를 발생시키는 저주파발생부;
    일측은 상기 저주파발생부와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본체 외부로 노출되어 상기 저주파를 신체로 전달하는 한 쌍의 치료전극부;
    상기 본체에 구비되며 스위치신호를 발생하는 스위치;
    상기 본체에 구비되며 상기 스위치신호를 전송받아 상기 저주파발생부가 저주파를 발생시키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본체에 구비되며 상기 저주파발생부, 상기 치료전극부, 상기 스위치 및 상기 제어부로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를 포함하고,
    상기 스위치는 상기 본체의 내벽과 대향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본체의 외부에서 상기 본체의 내벽 방향으로 가해지는 외부 압력이 상기 스위치로 전달되면, 상기 스위치는 스위치신호를 발생하고,
    상기 스위치는:
    상기 본체의 내벽과 대향되는 작동부;
    상기 작동부와 이격되도록 배치되되 상기 제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기판부; 및
    상기 작동부와 상기 기판부가 이격되도록 상기 작동부와 상기 기판부의 일측 사이에 배치되는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의 외부에서 상기 본체의 내벽 방향으로 가해지는 외부 압력이 상기 작동부로 전달되면, 상기 작동부는 상기 기판부와 접촉되고, 상기 작동부와 접촉된 상기 기판부는 스위치신호를 발생하고,
    상기 기판부와 마주보는 상기 작동부의 내면에는 상기 작동부의 내면의 테두리를 따라 구비되는 접착부와, 상기 작동부의 내면의 테두리의 안쪽에 구비되는 도전부를 포함하고,
    상기 작동부와 마주보는 상기 기판부의 내면에는 상기 도전부의 일측과 대향되도록 배치되는 제 1 스위치전극과, 상기 도전부의 타측과 대향되도록 배치되는 제 2 스위치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작동부가 상기 기판부와 접촉될 때, 상기 접착부에 의하여 상기 작동부와 상기 기판부가 상호 접착되고, 상기 도전부의 일측은 상기 제 1 스위치전극과 통전되고, 상기 도전부의 타측은 상기 제 2 스위치전극과 통전되어, 상기 기판부가 스위치신호를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저주파 발생 패드.
  2. 내부에 공간이 구비되는 본체;
    상기 본체 내부에 구비되며 저주파를 발생시키는 저주파발생부;
    일측은 상기 저주파발생부와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본체 외부로 노출되어 상기 저주파를 신체로 전달하는 한 쌍의 치료전극부;
    상기 본체에 구비되며 스위치신호를 발생하는 스위치;
    상기 본체에 구비되며 상기 스위치신호를 전송받아 상기 저주파발생부가 저주파를 발생시키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본체에 구비되며 상기 저주파발생부, 상기 치료전극부, 상기 스위치 및 상기 제어부로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를 포함하고,
    상기 스위치는 상기 본체의 내벽과 대향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본체의 외부에서 상기 본체의 내벽 방향으로 가해지는 외부 압력이 상기 스위치로 전달되면, 상기 스위치는 스위치신호를 발생하고,
    상기 스위치는:
    상기 본체의 내벽과 대향되는 작동부;
    상기 작동부와 이격되도록 배치되되 상기 제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기판부; 및
    상기 작동부와 상기 기판부가 이격되도록 상기 작동부와 상기 기판부의 일측 사이에 배치되는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의 외부에서 상기 본체의 내벽 방향으로 가해지는 외부 압력이 상기 작동부로 전달되면, 상기 작동부는 상기 기판부와 접촉되고, 상기 작동부와 접촉된 상기 기판부는 스위치신호를 발생하고,
    상기 작동부의 일측과 상기 기판부의 일측 사이에 상기 지지부가 배치되어, 상기 작동부의 일측과 상기 기판부의 일측이 이격되고,
    상기 작동부의 타측에는 상기 기판부의 타측 방향으로 절곡부가 형성되어, 상기 작동부의 타측과 상기 기판부의 타측이 이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저주파 발생 패드.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저면에는 상기 치료전극부가 노출되도록 노출공이 형성되되, 상기 노출공이 형성되지 않은 부분에는 접착테이프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저주파 발생 패드.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의 일측은 상기 본체의 내벽과 대향되고, 상기 스위치의 타측에는 상기 스위치로 전달되는 외부 압력을 완충시키도록 완충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저주파 발생 패드.
  5. 삭제
  6. 삭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스위치전극과 상기 제 2 스위치전극 사이에는 상기 제 1 스위치전극과 상기 제 2 스위치전극이 상호 독립되도록 경계패턴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저주파 발생 패드.
  8. 삭제
  9.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절곡부의 단면은 'V'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저주파 발생 패드.
  10. 제 1 항, 제 2 항, 제 7 항 및 제 9 항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한 항 기재의 휴대용 저주파 발생 패드는 오심 또는 구토를 차단하는 목적으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저주파 발생 패드.
KR1020140188373A 2014-12-24 2014-12-24 휴대용 저주파 발생 패드 KR1015579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88373A KR101557971B1 (ko) 2014-12-24 2014-12-24 휴대용 저주파 발생 패드
PCT/KR2015/014249 WO2016105154A1 (ko) 2014-12-24 2015-12-24 휴대용 저주파 발생 패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88373A KR101557971B1 (ko) 2014-12-24 2014-12-24 휴대용 저주파 발생 패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57971B1 true KR101557971B1 (ko) 2015-10-08

Family

ID=543467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88373A KR101557971B1 (ko) 2014-12-24 2014-12-24 휴대용 저주파 발생 패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557971B1 (ko)
WO (1) WO2016105154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05154A1 (ko) * 2014-12-24 2016-06-30 주식회사 파이오메드 휴대용 저주파 발생 패드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5735Y1 (ko) * 2003-05-26 2003-09-17 주식회사 에프앤필 휴대용 디지털 저주파 치료기
KR100915320B1 (ko) * 2008-09-29 2009-09-03 (주)메디룬 생리통완화를 위한 휴대용 조합자극기
KR20120003116U (ko) * 2010-10-27 2012-05-07 주식회사 파이오메드 구토 제어 장치
KR101248190B1 (ko) * 2011-01-28 2013-03-27 오영교 몸체 부착 패치형 모듈, 이를 포함하는 통신 의료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원격 의료 시스템
KR101106834B1 (ko) * 2011-04-08 2012-01-19 황주영 오심·구토 제어용 저주파 전기 자극 신호 발생장치
KR101557971B1 (ko) * 2014-12-24 2015-10-08 주식회사 파이오메드 휴대용 저주파 발생 패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05154A1 (ko) * 2014-12-24 2016-06-30 주식회사 파이오메드 휴대용 저주파 발생 패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6105154A1 (ko) 2016-06-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197613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enabling a patient to achieve a weight loss objective using an electrical dermal patch
US10188859B2 (en) Portable one-piece therapeutical apparatus with dual heating and low-frequency treatment functions
US10765863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using a transcutaneous electrical stimulation device to deliver titrated therapy
US10335302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using transcutaneous electrical stimulation to enable dietary interventions
CN108271363B (zh) 使用电极皮肤贴实现食欲调节和/或改善饮食依从性的系统和方法
US9956393B2 (en) Systems for increasing a delay in the gastric emptying time for a patient using a transcutaneous electro-dermal patch
US20210128906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Using Transcutaneous Electrical Stimulation to Enable Dietary Interventions
US20180318595A1 (en) Insole Electromagnetic Therapy Device
CN111818964A (zh) 电刺激设备
CN103997994A (zh) 用于治疗高血压的方法和设备
EP3191182B1 (en) Apparatus for providing hyperthermia therapy
US10967182B2 (en) Devices and methods for reducing inflammation using electrical stimulation
KR101548693B1 (ko) 비염개선용 마사지기
AU2020313858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delivering therapy using an auricular stimulation device
WO2017205047A2 (en) Systems and methods for increasing a delay in the gastric emptying time for a patient using a transcutaneous electro-dermal patch
KR101652169B1 (ko) 복부벨트
US20200253822A1 (en) Module and device for emitting electromagnetic waves
KR20180015998A (ko) 수중 헬스케어용 저주파 자극기
KR101557971B1 (ko) 휴대용 저주파 발생 패드
JP2020534124A (ja) 電磁波を送信するための装置
US20080091254A1 (en) Healthcare Device
KR20080011360A (ko) 진동 자극 패드 및 그 제어방법
WO2018081423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using a transcutaneous electrical stimulation device to deliver titrated therapy
KR100775675B1 (ko) 진동 자극 패드 및 그 제어방법
KR20190008005A (ko) 저주파 자극 운동기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30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