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57583B1 - 오토 립스틱 - Google Patents

오토 립스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57583B1
KR101557583B1 KR1020140054888A KR20140054888A KR101557583B1 KR 101557583 B1 KR101557583 B1 KR 101557583B1 KR 1020140054888 A KR1020140054888 A KR 1020140054888A KR 20140054888 A KR20140054888 A KR 20140054888A KR 101557583 B1 KR101557583 B1 KR 1015575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p ring
rotation
lipstick
lip
lif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548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감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태성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태성산업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태성산업
Priority to KR10201400548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5758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575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575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02Casings wherein movement of the lipstick or like solid is a sliding movement
    • A45D40/04Casings wherein movement of the lipstick or like solid is a sliding movement effected by a screw

Landscapes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입술 화장을 할때 사용하는 립스틱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입술연지의 인출방식을 개선하여 두손을 사용하지 않고 한 손만을 이용하여 입술연지를 인출 사용할 수 있도록하여 사용에 편리함을 제공한 발명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입술연지가 고정되어지는 입술연지홀더가 활동하는 보호관이 케이스본체에 고정설치되어지고, 이의 보호관으로부터 입술연지를 노출되게 하여 입술화장을 할 수 있도록 한 립스틱에 있어서, 입술연지가 고정되어지고, 그 하부에는 입술연지상승용회전체가 나사식 체결되어짐과 동시에 무회전 수직 상승이 가능하도록 회전방지키부재의 회전방지키가 근접되어지는 커팅면을 양쪽으로 포함하는 나사봉이 형성되어 있는 입술연지고정홀더와; 입술연지고정홀더의 저면으로 연장형성되어진 나사봉에 대하여 나사식 조립되어 회전체가동부재의 상단 결속구가 결속공으로 끼워져 상기 회전체가동부재에 의해 회전하는 입술연지상승용회전체와; 상기 입술연지상승용회전체의 결속공으로 끼워지는 결속구가 상부 양쪽으로 형성되어 있고, 하단 외측면에는 회전방지키부재의 치차에 대하여 시계반대방향 회전만 가능하도록 경사면을 가지는 치차들이 등간격을 이루며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입술연지상승용회전체에 상단이 지지된 반발스프링에 의해 회전방지키부재에 대하여 근접하여지는 회전체가동부재와; 무회전 수직 상승만 가능하도록 회전방지키가 입술연지고정홀더의 나사봉에 형성된 커팅면에 접촉하도록 관삽입 되어지고, 케이스본체의 내경에 대응하도록 확관 형성되어진 확관부의 외측면에 상기 회전체가동부재의 치차들에 긴밀하게 접촉되어져 회전체가동부재를 회전시키는 치차가 연속반복 형성되어 있는 회전방지키부재와; 상기 회전방지키부재의 말단으로 위치하고 케이스본체 말단으로 돌출되어지는 누름버튼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오토 립스틱{auto lipstick}
본 발명은 입술 화장을 할때 사용하는 립스틱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입술연지의 인출방식을 개선하여 두손을 사용하지 않고 한 손만을 이용하여 입술연지를 인출 사용할 수 있도록하여 사용에 편리함을 제공한 발명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여성들이 자신의 얼굴을 아름답게 가꾸는 화장품 중 하나인 립스틱은 스틱형으로 정형화된 것을 수동으로 승강되도록 하는 구조의 용기에 내장하고 사용 시에는 뚜껑을 열고 용기 내에서 돌출시켜 사용하는 것으로, 통상의 립스틱케이스는 보호관을 잡고 하부의 케이스본체를 돌리게 되면 내부의 회전통이 회전하게 되므로 입술연지가 삽입된 입술연지고정홀더의 안내 돌기가 안내통의 나선홈을 따라 상하로 승강하여 입술연지가 보호관 상단으로 출몰되는바, 사용자는 보호관의 상단으로부터 출몰된 립스틱을 입술에 발라 입술화장을 하게 된다.
상기에서 기술한 일반적인 기술의 립스틱으로써, 그 일예의 립스틱은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립스틱 홀더(2)에 립스틱(1)을 끼워서 고정하며 그의 외주연에는 돌기(3)가 형성되고, 케이스본체(4)에 끼움 결합되는 안내관(5)의 한쪽 측면에는 안내홈(6)이 형성되고, 안내홈(6) 안에는 상기 돌기(3)가 위치하도록 립스틱 홀더(2)가 삽입되며, 또한 회전관(7)의 내벽에는 나선홈(8)이 형성되고, 상기 돌기(3)가 상기 나선홈(8)에 끼워지도록 안내관(5)의 바깥쪽에는 회전관(7)을 결합하여 립스틱 용기를 구성한 후 상기 립스틱 용기의 상측 외부로 뚜껑(9)을 씌워서 된 것이다.
이와 같은 종래의 립스틱 용기를 사용하여 입술화장을 하려 할 때에는 우선 뚜껑(9)을 벗기고 한손으로는 회전관(7)을 잡고 다른 한손으로는 케이스본체(4)를 잡고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립스틱홀더(2)의 돌기(3)가 회전관(7)의 나선
홈(8)과 안내관(5)의 안내홈(6)에 가이드되어 위로 올라가게 되며 이 때 립스틱홀더(2)에 삽입되어 있는 립스틱("입술연지"라고도 함)(1)이 함께 위로 올라가게 되어 상기 립스틱(1)을 이용하여 입술화장을 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에서 기술하였듯이 종래의 립스틱 용기는 회전관과 케이스본체를 각각의 손으로 잡은 상태에서 서로 반대되는 방향으로 돌려야만 입술연지가 인출되어지는 것이서, 두손을 사용하여야 하는 번거러움이 있을 뿐만 아니라, 입술연지의 인출 길이를 제어하는 수단이 없어 사고력이 떨어지는 아이들에게 무방비로 노출되어졌을 때 아이들에 의한 입술연지 절단 사고가 발생하는 문제점도 내포하고 있다.
또한 사용자의 취향에 따라 다르겠으나, 입술연지를 회전관으로부터 지나치게 많이 노출시킨 상태에서 사용할 경우, 입술연지에 공기중의 이물질이 부착되어 위생적인 사용을 추구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본 발명은 종래 입술화장용 립스틱의 단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개발한 것으로, 입술연지가 고정되어지는 홀더의 구조를 개선함과 동시에 입술연지고정홀더(150)를 상승시켜 입술연지가 보호관(10)으로부터 인출되어 지도록 하는 가동수단을 개선한 것으로써, 입술화장에 사용되는 입술연지의 인출이 짧은 거리를 순차적으로 이동하면서 인출되어지도록 함에 따라 입술연지를 과도하게 인출사용함으로써, 공기중의 이물질이 입술연지에 묻어 오염되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고력이 떨어지는 아이들이들에 의한 입술연지 절단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고, 입술연지를 한손으로 인출사용이 가능하게 하여 양손으로 립스틱 용기를 잡고 입술연지를 인출해낸 후 입술화장을 해야 했던 종래 립스틱 용기의 불편함을 해소한 오토 립스틱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입술연지가 고정되어지는 입술연지홀더가 활동하는 보호관이 케이스본체에 고정설치되어지고, 이의 보호관으로부터 입술연지를 노출되게 하여 입술화장을 할 수 있도록 한 립스틱에 있어서,
입술연지가 고정되어지고, 그 하부에는 입술연지상승용회전체가 나사식 체결되어짐과 동시에 무회전 수직 상승이 가능하도록 회전방지키부재의 회전방지키가 근접되어지는 커팅면을 양쪽으로 포함하는 나사봉이 형성되어 있는 입술연지고정홀더와;
입술연지고정홀더의 저면으로 연장형성되어진 나사봉에 대하여 나사식 조립되어 회전체가동부재의 상단 결속구가 결속공으로 끼워져 상기 회전체가동부재에 의해 회전하는 입술연지상승용회전체와;
상기 입술연지상승용회전체의 결속공으로 끼워지는 결속구가 상부 양쪽으로 형성되어 있고, 하단 외측면에는 회전방지키부재의 치차에 대하여 시계반대방향 회전만 가능하도록 경사면을 가지는 치차들이 등간격을 이루며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입술연지상승용회전체에 상단이 지지된 반발스프링에 의해 회전방지키부재에 대하여 근접하여지는 회전체가동부재와;
무회전 수직 상승만 가능하도록 회전방지키가 입술연지고정홀더의 나사봉에 형성된 커팅면에 접촉하도록 관삽입 되어지고, 케이스본체의 내경에 대응하도록 확관 형성되어진 확관부의 외측면에 상기 회전체가동부재의 치차들에 긴밀하게 접촉되어져 회전체가동부재를 회전시키는 치차가 연속반복 형성되어 있는 회전방지키부재와;
상기 회전방지키부재의 말단으로 위치하고 케이스본체 말단으로 돌출되어지는 누름버튼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입술연지홀더의 나사봉 말단에는 회전방지키부재가 가조립된 상태에서 이탈되어지지 못하도록 하는 이탈방지걸림돌부가 절결홈을 갖고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회전방지키부재의 치차는 산에서 골을 이루는 경사면이 균등한 경사각을 이루며 연속 반복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오토 립스틱(100)은, 입술연지가 고정되어지는 입술연지고정홀더(150)의 구조를 개선함과 동시에 입술연지고정홀더(150)를 상승시켜 입술연지가 보호관(10)으로부터 인출되어 지도록 하는 가동수단을 개선한 것으로써,
첫째, 입술화장에 사용되는 입술연지의 인출이 짧은 거리를 순차적으로 이동하면서 인출되어지도록 함에 따라 입술연지를 과도하게 인출사용함으로써, 공기중의 이물질이 입술연지에 묻어 오염되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둘째, 사고력이 떨어지는 아이들이들에 의한 입술연지 절단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으며;
셋째, 입술연지를 한손으로 인출사용이 가능하게 하여 양손으로 립스틱 용기를 잡고 입술연지를 인출해낸 후 입술화장을 해야 했던 종래 립스틱 용기의 불편함을 해소한 매우 유용한 발명이 것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립스틱의 일 실시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오토 립스틱의 단면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오토 립스틱의 요부를 발췌한 분리 사시도.
도 4는 도 2를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오토 립스틱 단면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오토 립스틱의 작동상태의 예시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오토 립스틱은, 입술연지고정홀더가 활동하는 보호관(10)이 케이스본체(20)에 고정설치되어지고, 이의 보호관(10)으로부터 입술연지를 노출되게 하여 입술화장을 할 수 있도록 한 립스틱에 있어서,
상기 오토 립스틱(100)은 보호관(10)과, 상기 보호관(10)에서 상승하는 입술연지고정홀더(150)와, 상기 입술연지고정홀더(150)를 상승시키는 입술연지상승용회전체(110)와, 상기 입술연지고정홀더(150)가 무회전 상승 가능하도록하는 회전방지키부재(130)와, 상기 입술연지고정홀더(150)와, 입술연지상승용회전체(110)를 회전시키는 회전체가동부재(120) 및 누름누름버튼(4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입술연지고정홀더(150)은 입술연지가 고정되어지고, 그 하부에는 입술연지상승용회전체(110)가 나사식 체결되어짐과 동시에 무회전 수직 상승이 가능하도록 회전방지키부재(130)의 회전방지키(131)가 근접되어지는 커팅면(151a)을 양쪽으로 포함하는 나사봉(151)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상기 입술연지고정홀더(150)을 상승시키는 입술연지상승용회전체(110)는 술연지고정홀더(150)의 저면으로 연장형성되어진 나사봉(151)에 대하여 나사식 조립되어 회전체가동부재(120)의 상단 결속구(121)가 결속공(113)으로 끼워져 상기 회전체가동부재(120)에 의해 회전하도록 형성된 것이다.
회전체가동부재(120)는 상기 입술연지상승용회전체(110)의 결속공(113)으로 끼워지는 결속구(121)가 상부 양쪽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그의 하단 외측면에는 회전방지키부재(130)의 치차(132)에 대하여 시계반대방향 회전만 가능하도록 경사면(122a)을 가지는 치차(122)들이 등간격을 이루며 형성되어 있는 것으며, 상기 입술연지상승용회전체(110)에 상단이 지지된 반발스프링(160)에 의해 회전방지키부재(130)에 대하여 근접하여지도록 형성된 것이다.
입술연지고정홀더(150)가 무회전 수직 상승만 가능하게 하는 회전방지키부재(130)는, 회전방지키(131)가 입술연지고정홀더(150)의 나사봉(151)에 형성된 커팅면(151a)에 접촉하도록 관삽입 되어지고, 케이스본체(20)의 내경에 대응하도록 확관 형성되어진 확관부(133)의 외측면에 상기 회전체가동부재(120)의 치차(122)들에 긴밀하게 접촉되어져 회전체가동부재(120)를 회전시키는 치차(132)가 연속반복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누름누름버튼(140)은 상기 회전방지키부재(130)의 의 말단으로 위치하고 케이스본체(20) 말단에서 벗어나지 않은 상태에서 돌출되어지도록 걸림플랜지(141)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상기 입술연지고정홀더(150)의 나사봉(151) 말단에는 회전방지키부재(130)가 가조립된 상태에서 이탈되어지지 못하도록 하는 이탈방지걸림돌부(152)가 절결홈(153)을 갖고 형성되어 있다.
상기 회전방지키부재(130)의 치차(132)는 산에서 골을 이루는 경사면이 균등한 경사각을 이루며 연속 반복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전술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오토 립스틱(100)은 케이스본체(20)에 조립에 앞서 입술연지고정홀더(150)를 상승시키는 가동부재들을 아래에서와 같이 조립한다.
먼저, 입술연지고정홀더(150)의 나사봉(151)에 입술연지상승용회전체(110)를 나사식 체결한다. 이후, 반발스프링(160)을 위치시킨 상태에서 회전체가동부재(120)를 조립한다.
회전체가동부재(120)의 조립은 상부의 결속구(121)가 입술연지상승용회전체(110)의 결속구멍(113)에 위치하도록 조립한 다음 회전방지키부재(130)를 조립한다.
회전방지키부재(130)의 조립은 회전방지키(131)가 상기 나사봉(151)의 커팅면(151a)에 위치하도록 조립한다.
이때 나사봉(151) 말단으로 형성되어진 말단으로 형성된 이달방치돌부(152)는 절개홈(153)에 의해 탄성변형이 가능하여 조립이 가능하도록 하는 반면, 조립된 상태에서 이탈을 방지하는 역활을 하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입술연지고정홀더(150)에 입술연지상승용회전체(110)와 회전가동부재(120) 및 회전방지키부재(130)의 조립이 완료되어진 상태에서 케이스본체(20)의 말단에 위치하도록 누름버튼(140)을 조립한 후, 상기 케이스본체(20)에 조립하고, 상기 케이스본체(20) 상부에 보호관(10)을 조립하여 도2에서와 같이 조립하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조립되어진 본 발명의 오토 립스틱(100)의 입술연지를 이용하여 입술화장을 하고자할 때에는 뚜껑(도면에 특정부호로 표시하지 않았음)벗겨 낸후, 누름버튼(140)을 눌러 보호관(10) 내의 입술연지를 인출해 낸다.
상기 누름버튼(140)을 누르면, 회전방지키부재(130)가 무회전 수직 상승(전진)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상승되어지는 회전방지키부재(130)의 치차(132)에는 회전체가동부재(120)의 치차(122)가 이물림되어 있어 상기 회전체가동부재(120)는 상승과 함께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을 하게 된다.
상기의 회전체가동부재(120)가 상승할 수 있는 것은 결속구(121)의 사이로 위치하는 상면이 입술연지상승용회전체(110)의 저면에 대하여 이격된 상태를 이루고 있어 3.0mm까지 수직 상승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고, 상승과 함께 상기 입술연지상승용회전체(110)의 결속구멍(113)에 결속구(121)가 끼워져 있어 상기 입술연지상승용회전체(110)가 45도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을 하게 되ss 것이다.
회전하는 입술연지상승용회전체(110)는 입술연지고정홀더(150)의 나사봉(151)을 밀어 올리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누름버튼(140)을 1회 작동시켰을때 입술연지고정홀더(150)는 0.1mm 상승하게 된다.
상기한 상태에서 누름버튼(140)에 가해졌던 외력을 제거하면 상기 누름버튼(140)은 반발스프링(160)의 반발력에 의해 원래의 위치로 복원되어 지고, 재차 상기 누름버튼(140)을 누르면, 회전방치키부재(130)가 무회전 수직 운동을 하면서 그 치차(132)가 회전가동부재(120)를 회전시켜서 입술연지상승용회전체(110)를 재차 회전을시켜 이에 나사결합되어진 입술연지고정홀더(150)의 나사봉(151)이 위로 밀려올라가 보호관(10)으로부터 입술연지가 조금씩 인출되어지는 것이다.
100 : 오토 립스틱 110 : 입술연지상승용회전체
113 : 결속공 120 : 회전체가동부재
121 : 결속구 122,132 : 치차
130 : 회전방지키부재 131 : 회전방지키
133 : 확관부 140 : 누름버튼
150 : 입술연지고정홀더 151 : 나사봉
151a : 커팅면 152 : 이탈방지돌부
153 : 절개부

Claims (3)

  1. 입술연지고정홀더가 활동하는 보호관(10)이 케이스본체(20)에 고정설치되어지고, 이의 보호관(10)으로부터 입술연지를 노출되게 하여 입술화장을 할 수 있도록 한 립스틱에 있어서,
    입술연지가 고정되어지고, 그 하부에는 입술연지상승용회전체(110)가 나사식 체결되어짐과 동시에 무회전 수직 상승이 가능하도록 회전방지키부재(130)의 회전방지키(131)가 근접되어지는 커팅면(151a)을 양쪽으로 포함하는 나사봉(151)이 형성되어 있는 입술연지고정홀더(150)와;
    입술연지고정홀더(150)의 저면으로 연장형성되어진 나사봉(151)에 대하여 나사식 조립되어 회전체가동부재(120)의 상단 결속구(121)가 결속공(113)으로 끼워져 상기 회전체가동부재(120)에 의해 회전하는 입술연지상승용회전체(110)와;
    상기 입술연지상승용회전체(110)의 결속공(113)으로 끼워지는 결속구(121)가 상부 양쪽으로 형성되어 있고, 하단 외측면에는 회전방지키부재(130)의 치차(132)에 대하여 시계반대방향 회전만 가능하도록 경사면(122a)을 가지는 치차(122)들이 등간격을 이루며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입술연지상승용회전체(110)에 상단이 지지된 반발스프링(160)에 의해 회전방지키부재(130)에 대하여 근접하여지는 회전체가동부재(120)와;
    무회전 수직 상승만 가능하도록 회전방지키(131)가 입술연지고정홀더(150)의 나사봉(151)에 형성된 커팅면(151a)에 접촉하도록 관삽입 되어지고, 케이스본체(20)의 내경에 대응하도록 확관 형성되어진 확관부(133)의 외측면에 상기 회전체가동부재(120)의 치차(122)들에 긴밀하게 접촉되어져 회전체가동부재(120)를 회전시키는 치차(132)가 연속반복 형성되어 있는 회전방지키부재(130)와;
    상기 회전방지키부재(130)의 의 말단으로 위치하고 케이스본체(20) 말단으로 돌출되어지는 누름버튼(140)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오토 립스틱.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술연지고정홀더(150)의 나사봉(151) 말단에는 회전방지키부재(130)가 가조립된 상태에서 이탈되어지지 못하도록 하는 이탈방지걸림돌부(152)가 절결홈(153)을 갖고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오토 립스틱.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방지키부재(130)의 치차(132)는 산에서 골을 이루는 경사면이 균등한 경사각을 이루며 연속 반복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오토 립스틱.
KR1020140054888A 2014-05-08 2014-05-08 오토 립스틱 KR1015575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4888A KR101557583B1 (ko) 2014-05-08 2014-05-08 오토 립스틱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4888A KR101557583B1 (ko) 2014-05-08 2014-05-08 오토 립스틱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57583B1 true KR101557583B1 (ko) 2015-10-06

Family

ID=543452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54888A KR101557583B1 (ko) 2014-05-08 2014-05-08 오토 립스틱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5758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103335A1 (ko) * 2017-11-27 2019-05-31 펌텍코리아(주) 회전체의 회전 각도를 일정 각도로 제어하는 스틱형 화장품 용기
KR20210090837A (ko) 2020-01-13 2021-07-21 한재신 뚜껑과 일체형인 립스틱 용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60117A (ja) 2002-11-11 2004-06-10 Masayuki Kuzuu 口紅等が全て使い切る事ができる口紅等の収納容器
JP2009045303A (ja) 2007-08-22 2009-03-05 Takeuchi Kogyo Kk 口紅等の収納容器
US20130058700A1 (en) 2011-09-05 2013-03-07 Ming-Hsiung Liu Press lipstick assembly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60117A (ja) 2002-11-11 2004-06-10 Masayuki Kuzuu 口紅等が全て使い切る事ができる口紅等の収納容器
JP2009045303A (ja) 2007-08-22 2009-03-05 Takeuchi Kogyo Kk 口紅等の収納容器
US20130058700A1 (en) 2011-09-05 2013-03-07 Ming-Hsiung Liu Press lipstick assembly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103335A1 (ko) * 2017-11-27 2019-05-31 펌텍코리아(주) 회전체의 회전 각도를 일정 각도로 제어하는 스틱형 화장품 용기
US11523673B2 (en) 2017-11-27 2022-12-13 Pum-Tech Korea Co., Ltd Stick-type cosmetic container for controlling rotational angle of rotating body at predetermined angle
KR20210090837A (ko) 2020-01-13 2021-07-21 한재신 뚜껑과 일체형인 립스틱 용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323764B2 (ja) 二重排出手段を備えるチューブ型化粧品容器
US9386836B2 (en) Cosmetic case having sealing function
US11523673B2 (en) Stick-type cosmetic container for controlling rotational angle of rotating body at predetermined angle
BRPI0706657A2 (pt) recipiente para sólidos ou lìquido, e, método para abrir o mesmo
KR101201718B1 (ko) 브러쉬의 변형이 가능한 마스카라 용기
KR101557583B1 (ko) 오토 립스틱
US11071367B2 (en) Apparatus for applying cosmetics
US11406169B2 (en) Container for a cosmetic product and refill for such a container
KR200472287Y1 (ko) 화장용 퍼프
KR101782508B1 (ko) 회전형 립스틱 용기
KR100444387B1 (ko) 액형 립 펜슬의 용기
JP5212780B2 (ja) 化粧料容器
KR101606369B1 (ko) 스틱형 화장품용기
KR20160107137A (ko) 마스카라 화장품 케이스
KR200479043Y1 (ko) 텐션부재를 구비한 액상 내용물 용기
WO2019053862A1 (ja) 化粧品容器用パッキン及び化粧品容器
JP6998381B2 (ja) 化粧用塗布具
JP2001061545A (ja) 液状化粧料容器
JP6906364B2 (ja) 人のケラチン物質に化粧品を塗布するための器具
KR100917348B1 (ko) 화장품 용기의 배출구
KR101946238B1 (ko) 립스틱 케이스
KR101788465B1 (ko) 화장용 도구
KR200448156Y1 (ko) 사용 규제가 가능한 립스틱
KR20180006204A (ko) 립글로스 용기
WO2017075815A1 (zh) 化妆品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10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