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17348B1 - 화장품 용기의 배출구 - Google Patents

화장품 용기의 배출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17348B1
KR100917348B1 KR1020070093759A KR20070093759A KR100917348B1 KR 100917348 B1 KR100917348 B1 KR 100917348B1 KR 1020070093759 A KR1020070093759 A KR 1020070093759A KR 20070093759 A KR20070093759 A KR 20070093759A KR 100917348 B1 KR100917348 B1 KR 1009173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p
opening
contents
container
dischar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937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28277A (ko
Inventor
전진구
Original Assignee
(주)영진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영진팩 filed Critical (주)영진팩
Priority to KR10200700937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17348B1/ko
Publication of KR200900282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282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173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173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45D34/04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 e.g. using roller or ball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18Casings combined with other objec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14Non-removable lids or covers
    • B65D43/24Devices for retaining in open pos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20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comprising hand-operated members for controlling discharge
    • B65D47/2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comprising hand-operated members for controlling discharge with poppet valves or lift valves, i.e. valves opening or closing a passageway by a relative motion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plane of the seat
    • B65D47/241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comprising hand-operated members for controlling discharge with poppet valves or lift valves, i.e. valves opening or closing a passageway by a relative motion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plane of the seat the valve being opened or closed by actuating a cap-like element
    • B65D47/242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comprising hand-operated members for controlling discharge with poppet valves or lift valves, i.e. valves opening or closing a passageway by a relative motion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plane of the seat the valve being opened or closed by actuating a cap-like element moving helicall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06/00Special receptacle or package
    • Y10S206/823Cosmetic, toilet, powder puf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장품 용기의 개구부에 설치되는 배출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화장액이 수용된 용기의 개구부에 체결된 내용물유출부재에 대하여 나사식 캡핑된 캡을 약간 풀어 주면 배출공이 개방되어져 용기에 수용된 화장액을 적당량 배출 사용할 수 있게 한 이사건 출원인이 실용신안등록 제20-0398615호로 등록받은 선등록고안을 보완 개선한 발명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개구부(12)의 외주면에 인발 형성된 회전방지돌부(13)가 하나 이상 형성되어 있고, 상기 회전방지돌부(13)의 상단부와 동일선상을 이루며 내용물유출부재고정환테(14)가 형성되어 있으며, 캡(30)의 승강위치 확인이 용이하게 하는 캡승강위치확인돌부(11)가 어깨부분에 형성되어 있는 용기몸체(10)와; 상기 용기몸체(10)의 회전방지돌부(13)에 끼워지는 회전방지홈(22a)이 내부의 결합관체(22)에 절개 형성되어 있고, 상기 결합관체(22)의 상부로 연장형성된 돌출관(23)에는 리브살을 경계로하여 유출구멍(23a)이 형성됨은 물론 상기 리브살을 매개로 캡(30)의 배출공(33)을 차단 또는 개방시키는 개폐봉(23b)이 형성되어 있는 내용물유출부재(20)와; 상기 내용물유출부재(20)의 외체(21) 외주면에 형성된 안내환테(21b)에 걸림과 동시에 안내환테(21b)가 단락되어서 형성된 승하강안내홈((21b')을 따라 이동하는 선형안내돌기(31a)가 측벽(31) 내주면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안내환테(21b)와 이웃하는 상부에 형성된 버팀환테(21a)에 대하여 버팀지지되어지는 버팀단턱(31c)이 선형안내돌기(31a)의 상부로 형성되어 있으며, 화장솜의 긴밀한 접촉이 가능하도록 외측에서 내측으로 오목한 곡면(32)을 이루고 그 중앙에 내용물유출부재(20)의 개폐봉(23b)에 의해서 선택적으로 개방 또는 차단되어지는 배출공(33)이 형성되어 있고, 외측면에 정위치확인돌부(34)가 형성되어 있는 캡(30)으로 구성된 화장품 용기의 배출구에 의하여 달성될 수 있는 것이다.
용기몸체, 캡승강위치확인돌부, 회전방지돌부, 내용물유출부재, 안내환테, 승하강안내홈, 결합관체, 회전방지홈, 유출구멍, 캡, 선형안내돌기, 버팀단턱, 배출공

Description

화장품 용기의 배출구{An outlet of cosmetic case}
본 발명은 화장품 용기의 개구부에 설치되는 배출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화장액이 수용된 용기의 개구부에 체결된 내용물유출부재에 대하여 나사식 캡핑된 캡을 약간 풀어 주면 배출공이 개방되어져 용기에 수용된 화장액을 적당량 배출 사용할 수 있게 한 이사건 출원인이 실용신안등록 제20-0398615호로 등록받은 선등록고안을 보완 개선한 발명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네일리무버, 클렌징워터, 엣센스워터, 립앤아이 리무버(이하 "화장액"이라 한다)등이 수용되어 있는 용기의개구부에는 화장액에 지나치게 많이 배출되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수단으로 배출부재가 설치되어진다.
상기 배출부재는 개구부의 내측으로 결합부가 끼워져 장착되고, 상부에 배출공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상기 용기의 개구부에 설치된 배출부재를 통해 화장액을 배출시켜 사용하고자할 때에는 개구부에 나사 결합된 캡을 분리한 후 용기를 기울여 배출구부재의 배출공을 통해 배출 사용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용기로부터 화장액을 배출시켜 사용하는 화장액은 사용 용도에 따라 손바닥에 적당량의 화장액을 덜어 쓰는 화장액이 있는가 하면, 화장솜에 묻혀 사용하는 화장액이 있다.
상기에서 기술한 화장액 들은 화장솜에 적당량의 화장액을 묻힌 상태에서 사용하는 것들로써, 화장을 지우거나 펴 바르는 것이다.
화장을 지울 때 사용하는 화장액을 실예로 들어 설명하여 보면 아래와 같다.
여성들은 자신을 아름답게 표현하기 위한 수단의 하나로 손톱이나 발톱을 매니큐어를 이용하여 색조화장을 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매니큐어를 이용하여 손톱 또는 발톱 화장을 하여 아름다움을 추구할 수 있는 반면, 손톱 또는 발톱에 매니큐어를 지속적으로 바르고 있을 경우, 손톱 및 발톱 건강을 해칠 수 있으므로 외출 후에는 매니큐어를 지워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손톱 및 발톱에 바른 매니큐어를 지울 때에는 네일리무버(아세톤)를 이용하여 지우게 된다.
손톱 및 발톱에 화장된 매니큐어를 지울 때에는 네일리무버용기에 수용되어 있는 네일리무버를 화장솜에 묻힌 다음 네일리무버가 묻은 화장품을 손톱 및 발톱에 문지르면 매니큐어가 지워지게 된다.
상기와 같이 네일리무버용기로부터 네일리무버를 배출시켜 사용할 수 있도록된 기존의 네일리무버용기는 그 배출방식이 다양하다.
그중 몇 가지를 예를 들어보면 다음과 같다.
현재 사용되어 지고 있는 대표적인 네일리무버용기로는 네일리무버용기에 펌 프장치를 설치한 것이 있다.
상기 펌프장치에 의해 네일리무버를 배출 사용할 수 있도록된 종래 네일리무버용기는 가격이 고가인 펌프장치를 포함하고 있어 제품의 소비자 가격이 상승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적당량의 네일리무버가 배출되어질 수 있도록 된 유출구를 개구부에 부가 설치한 것이 있는데, 이는 네일리무버용기로부터 캡을 완전하게 분리해 내야 하고, 네일리무버용기를 거꾸로 세운 상태에서 화장솜에 배출구를 톡톡쳐야 네일리무버가 배출되어지는 것이어서 사용상의 불편함이 있다.
한편, 네일리무버용기에 압축력을 가해 네일리무버가 외부로 배출되어지도록 된 튜브타입의 네일리무버용기가 있으나, 이 역시 캡을 분리해내야 하는 불편함은 물론 네일리무버용기를 과도한 힘으로 가압할 경우 필요 이상으로 네일리무버가 배출되어지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상기에서 기술한 종래의 네일리무버용기는, 공히 화장솜이 용기로부터 이격된 상태에서 네일리무버를 묻혀 사용하는 것이어서 화장솜에 네일리무버가 어느 정도 묻었는지 알 수 없고, 그로 인하여 네일리무버의 불필요한 낭비를 초래하게 되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은 상기에서 실예를 들어 설명한 네일리무버에서만 나타나는 것이 아니라, 솜을 이용하여 사용하도록된 화장액이 수용된 화장품 용기에서도 동일한 문제점들이 나타나고 있다.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 사건출원인은 실용실안등록 제제20- 0398615호로 "화장품 용기의 배출구 구조"를 등록받은 바 있다.
상기의 선등록 발명은 용기의 개구부에 결합 고정된 내용물유출부재에 대하여 나사결합된 캡을 상승시키면, 캡의 배출공이 내용물유출부재의 개폐봉으로부터 벗어나 개방되어지게 되고, 배출공이 개방되어진 상태에서 긴밀한 접촉이 가능하도록 곡면을 이루는 상부판에 화장솜을 접촉시킨 상태에서 용기를 거꾸로 세워 화장솜에 화장액을 묻혀 사용할 수 있도록 된 것이어서 사용중에 화장액이 외부로 유출되는 일이 없을 뿐만 아니라, 화장액이 화장솜에 묻혀지는 상태를 손으로 느낄 수 있어 적당량의 화장액을 배출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고, 캡을 완전하게 분리해내지 않은 상태에서 화장액의 배출 사용이 가능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장점을 가지고 있는 선등록발명은 내용물유출부재에 대하여 캡이 나사식 체결되어진 것이어서 사고력이 떨어지는 아이들도 쉽게 캡을 회전시킬 수 있어 내용물의 불필요한 낭비를 초래함은 물론, 어린 아이들이 내용물을 먹어 소화기 장애를 입게되는 문제점을 초래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그 목적은 화장액이 수용되어 있는 용기의 개구부에 장착되어 있는 내용물유출부재로부터 캡을 약간 풀어 내면 화장액이 캡에 형성된 배출공이 개방되어져 내용물을 배출 사용할 수 있도록 된 선등록발명의 내용물유출부재에서 캡이 승하게 되는 구조를 개선하여 사고력이 떨어지는 어린 아이들이 쉽게 캡을 상승시켜 배출공을 통해 내용물을 배출 시키는 것을 방지함과 더불어 캡 회전에 의해 내용물유출부재가 용기의 개구부로부터 쉽게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화장품 용기의 배출구 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용기의 개구부에 체결됨과 동시에 캡의 배출공을 선택적으로 개폐시키는 개폐봉을 구비한 내용물유출부재와; 상기 내용물유출부재의 외측으로 결합되어서 승하강에 의해 배출공이 내용물유출부재의 개폐봉으로부터 벗어내 개방됨과 동시에 개폐봉에 끼워져 차단되는 화장품 용기의 배출구에 있어서,
개구부(12)의 외주면에 인발 형성된 회전방지돌부(13)가 하나 이상 형성되어 있고, 상기 회전방지돌부(13)의 상단부와 동일선상을 이루며 내용물유출부재고정환테(14)가 형성되어 있으며, 캡(30)의 승강위치 확인이 용이하게 하는 캡승강위치확인돌부(11)가 어깨부분에 형성되어 있는 용기몸체(10)와;
상기 용기몸체(10)의 회전방지돌부(13)에 끼워지는 회전방지홈(22a)이 내부의 결합관체(22)에 절개 형성되어 있고, 상기 결합관체(22)의 상부로 연장형성된 돌출관(23)에는 리브살을 경계로하여 유출구멍(23a)이 형성됨은 물론 상기 리브살을 매개로 캡(30)의 배출공(33)을 차단 또는 개방시키는 개폐봉(23b)이 형성되어 있는 내용물유출부재(20)와;
상기 내용물유출부재(20)의 외체(21) 외주면에 형성된 안내환테(21b)에 걸림과 동시에 안내환테(21b)가 단락되어서 형성된 승하강안내홈((21b')을 따라 이동하 는 선형안내돌기(31a)가 측벽(31) 내주면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안내환테(21b)와 이웃하는 상부에 형성된 버팀환테(21a)에 대하여 버팀지지되어지는 버팀단턱(31c)이 선형안내돌기(31a)의 상부로 형성되어 있으며, 화장솜의 긴밀한 접촉이 가능하도록 외측에서 내측으로 오목한 곡면(32)을 이루고 그 중앙에 내용물유출부재(20)의 개폐봉(23b)에 의해서 선택적으로 개방 또는 차단되어지는 배출공(33)이 형성되어 있고, 외측면에 정위치확인돌부(34)가 형성되어 있는 캡(30)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용기의 배출구에 의하여 달성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용기몸체(10)의 개구(12) 외주면에 형성된 회전방지돌부(13)에 내용물유출부재(20)의 결합관체(22)에 형성된 회전방지홈(22a)이 끼워져 위치함으로써, 캡(30)을 회전시킬 때 발생하는 회전력에 내용물유출부재(20)로 전해지더라도 풀림현상이 일어나지 않아 내용물유출부재(20)가 용기몸체(10)로부터 느슨해져 발생하는 내용물의 누유현상을 방지함으로 물론, 내용물유출부재(20)의 외측으로 장착되는 캡(30)이 나사식 개폐되는 것에서 탈피하여 내용물유출부재(20)의 외체(21) 외주면에 형성된 안내환테(21b)에 걸림과 더불어 상부쪽으로 당김력이 가해졌을 때 안내환테(21b)가 단락되어서 형성된 승하강안내홈(21b')을 캡(30)의 선형선형안내돌기(31a)가 통과하면서 배출공(33)이 개폐봉(23b)으로부터 이격되어 내용물의 배출 사용이 가능하도록 구조를 개선함에 따라 사고력이 떨어지는 어린 아이들이 쉽게 캡(30)을 상승시켜 배출공(33)을 통한 내용물의 불필요한 낭비를 초래하게 되는 문제점을 해소함은 물론, 어린 아이들이 내용 물을 먹어 소화기 장애와 같은 인체 상해를 입게 되는 문제점을 해소시 킨 이점이 있다.
이하,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 내지 도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화장품 용기의 배출구 구조는, 용기몸체(10) 상부로 형성된 개구부(12)에 대하여 언더컷 장착되는 내용물유출부재(20)와, 상기 내용물유출부재(20)에서 상,하강하는 캡(30)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용기몸체(10)의 어깨부분에 캡승강위치확인돌부(11)가 형성되어 있고, 개구부(12)의 외주면 양쪽에는 회전방지돌부(13)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회전방지돌부(13)의 상단부와 동일선상을 이루는 내용물유출부재고정환테(14)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용기몸체(10)의 개구부(12)로 장착되는 내용물유출부재(20)는, 용기몸체(10)의 회전방지돌부(13)에 끼워지는 회전방지홈(22a)이 내부의 결합관체(22)에 절개 형성되어 있고, 상기 결합관체(22)의 내주면에는 용기몸체(10)의 개구부(12) 외주면에 형성된 내용물유출부재고정환테(14)에 걸림 고정되는 고정테(22b)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결합관체(22)의 상부로 연장형성된 돌출관(23)에는 리브살을 경계로하여 유출구멍(23a)이 형성됨은 물론 상기 리브살을 매개로 캡(30)의 배출공(33)을 차단 또는 개방시키는 개폐봉(23b)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내용물유출부재(20)의 외체(21) 외주면에는 캡(30)의 측벽(31) 내주면으로 형성된 선형안내돌기(31a)가 회전방향으로 안내되어 짐과 동시에 상기 선형안내돌기(31a)가 상,하로 넘나드는 승하강안내홈(21b')을 포함하는 안내환테(21b)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안내환테(21b)의 상부에는 캡(30)의 측벽(31) 내주면으로 형성된 버팀단턱(31c)이 상면으로 버팀지지 됨과 더불어 캡(30) 상승시 캡(30)의 선형안내돌기(31a)가 걸림규제되어지는 버팀환테(21a)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내용물유출부재로부터 승하강되어지는 캡(30)은, 내용물유출부재(20)의 외체(21) 외주면에 형성된 안내환테(21b)에 걸림과 동시에 안내환테(21b)가 단락되어서 형성된 승하강안내홈((21b')을 따라 이동하는 선형안내돌기(31a)가 측벽(31) 내주면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안내환테(21b)와 이웃하는 상부에 형성된 버팀환테(21a)에 대하여 버팀지지되어지는 버팀단턱(31c)이 선형안내돌기(31a)의 상부로 형성되어 있고, 화장솜의 긴밀한 접촉이 가능하도록 외측에서 내측으로 오목한 곡면(32)을 이루고 그 중앙에 내용물유출부재(20)의 개폐봉(23b)에 의해서 선택적으로 개방 또는 차단되어지는 배출공(33)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상기 캡(30)의 외측면에 정위치확인돌부(34)가 형성되어 있다.
전술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화장품 용기의 배출구 구조는, 화장액이 충진되어진 용기몸체(10)에 장착 사용하게 된다.
상기 용기몸체(10)에 장착하기에 앞서 내용물유출부재(20)와 캡(30)을 장착 하게 된다.
상기 내용물유출부재(20)에 캡(30)을 조립할 때에는 캡(30)의 측벽(31) 내주면으로 형성된 선형안내돌기(31a)가 내용물유출부재(20)의 외체(21) 외주면으로 안내환테(21b)의 승하강안내홈(21b')과 일치되도록 한 상태에서 캡(30)의 윗쪽과 내용물유출부재(20)의 아래쪽을 잡고 마주하는 방향으로 밀어주면, 캡(30)의 선형선형안내돌기(31a)가 버팀환테(21a)를 넘어섬과 동시에 캡(30)의 선형안내돌기(31a)는 승하강안내홈(21b')을 따라 안내되어서 안내환테(21b)의 아래쪽으로 위치하여지게 된다.
도 3은 내용물유출부재의 승하강안내홈을 기준으로 절단한 단면도로써, 캡(30)의 선형안내돌기(31a)가 버팀환테(21a)를 넘어섬과 동시에 선형안내돌기(31a)가 승하강안내홈(21b')을 따라 안내되어서 안내환테(21b)의 아래쪽에 위치한 상태의 예이고, 도 4는 내용물유출부재의 안내환테의 절단면이 표현되어지도록 절단한 단면도로써, 선형안내돌기(31a)가 안내환테(21b)에 걸려있는 상태를 보인 예시도 있다.
상기와 같이 캡(30)이 장착되어진 내용물유출부재(20)를 용기몸체(10)에 장착할 때에는 화장액이 충진되어진 용기몸체(10)의 개구부(12)에 결합관체(22)를 이용하여 장착하게 된다.
상기 내용물유출부재(20)를 개구부(12)에 장착할 때에는 결합관체(22)가 개구부(12)의 외측으로 위치하도록 한 상태에서 밀어 넣으면, 상기 개구부(12)에 형성된 내용물유출부재고정환테(13)를 고정테(22b)가 넘어서게 된다.
상기와 같이 결합관체(22)의 고정테(22b)가 개구부(12)의 내용물유출부재고정환테(13)를 넘어설 때 결합관체(22)는 절개 형성된 회전방지홈(22a)에 의해 일시적인 탄성 변형이 일어나 조립이 용이하게 이루어지게 됨은 물론 상기 회전방지홈(22a)은 회전방지돌부(13)에 끼워져 캡의 회전력이 내용물유출부재(20)에 가해지더라도 회전이 발생하지 않고 안정적으로 장착유지되어 지게 된다.
상기와 같이 결합관체(22)에 의해 용기몸체(10)의 개구부(12)에 장착되어질 때 돌출관(23)의 하부로 형성된 안내관체(23c)가 개구부(12)의 내측으로 삽입 위치하게 된다.
내용물유출부재(20)와 캡(30)의 조립으로 이루어진 화장액 배출구가 장착되어진 용기몸체(10)로부터 화장액을 배출 사용하고자 할 때에는 도5a에서와 같이 캡(30)이 용기몸체(10)로부터 회전되어져 선형안내돌기(31a)가 내용물유출부재(20)의 안내환테(21b)가 걸림되어 상기 캡(30)의 배출공(33)이 내용물유출부재(20)의 개폐봉(23b)에 의해 안정되게 캡핑되어 있는 상기의 캡(30)을 상승시켜 배출공을 개방하게 된다.
상기 캡(30)의 배출공(33)을 개방할 때에는 캡(30)을 회전시켜 캡(30)의 측벽(31) 외주면으로 형성된 정위치확인돌부(34)를 용기몸체(10)에 형성된 캡승강위치확인돌부(11)와 일치시킨다.
상기와 같이 정위치확인돌부(34)를 캡승강위치확인돌부(11)에 일치시키면, 캡(30)의 선형안내돌기(31a)가 내용물유출부재(20)의 승하강안내홈(21b')에 도5b에서와 같이 위치한 상태가 된다.
이후, 캡(30)을 상부로 당기면 선형안내돌기(31a)가 승하강안내홈(21b')을 따라 안내되어져 상기 안내환테(21b)의 상부로 위치하여짐과 동시에 내용물유출부재(20)의 버팀환테(21a)에 저면에 버팀지지 되어지게 된다.
상기한 상태는 캡(30)의 배출공(33)이 개폐봉(23b)으로부터 이격되어 화장액을 배출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상기 캡(30)의 상승으로 배출공(33)이 개방되어진 상태에서 곡면을 갖는 캡(30)의 상부판(34)에 화장솜을 접촉시킨 상태에서 도5에서와 같이 용기(10)를 거꾸로 세운다.도5c에서와 같이 용기를 꺼꾸로 유출구멍(26)으로 화장액이 배출되어질 수 있는 상태가 된다.
상기와 같이 내용물유출부재(20)로부터 캡(30)이 상승하여서 배출공(33)이 개방되어진 상태에서 곡면을 갖는 캡(30)의 상부판의 곡면(32)에 화장솜을 접촉시킨 상태에서 도5c서와 같이 용기몸체(10)를 거꾸로 세운다.
용기몸체(10)를 거꾸로 세우면, 네일리무버가 유출구멍(23a)을 거쳐 캡(30)의 배출공(33)을 통해 배출되어지게 되고, 배출되어지는 화장액이 화장솜에 스며들게 되는 것이다.
상기 화장솜에 화장액이 적당량 스며들면 용기몸체(10)를 세우게 되고, 화장솜에 묻은 화장액을 이용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한 방법에 의해 화장액을 화장솜에 묻혀 사용한 후에는 용기몸체(10)에 남아 있는 화장액이 휘발되어 날아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캡(30)을 내용물유출구(20)에 캡핑시켜 캡(30)의 상부판에 형성된 배출공(33)을 개폐봉(23b)으로 차 단시키게 된다.
배출공(33)을 차단시킬 때에는 캡(30)의 정위치확인돌부(34)를 내용물유출부재(20)의 캡승강위치확인돌부(11)에 일치시킨 상태에서 살짝 아래로 눌러주면 상기의 배출공(33)에 개폐봉(23b)에 의해 차단되어지게되고, 불필요한 개방을 차단할 수 있도록 캡(30)을 살짝 돌려 캡(30)의 선형안내돌기(31a)가 내용물유출부재(20)의 안내환테(21b)의 아랫쪽으로 위치시킨다.
상기와 같이 선형안내돌기(31a)가 안내환테(21b)의 아랫쪽으로 위치할 때 상기 선형안내돌기(31a)의 상부로 형성된 버팀단턱(31c)dl 내용물유출부재(20)의 버팀환테(21a)의 상부에 버팀지지되어 잠긴상태가 안정되게 유지되어진다.
상기와 같이 캡(30)의 배출공(33)를 차단함으로써 용기(10)에 수용된 화장액이 휘발되어 손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의 배출구를 예시한 분리 사시도.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의 분리 단면도.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의 부분 확대 단면도로써, 내용물유출부재의 승하강안내홈을 기준으로 절단한 단면도.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의 부분 확대 단면도로써,내용물유출부재의 안내환테의 절단면이 표현되어지도록 절단한 단면도
도5a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의 요부를 발췌한 확대도로써, 캡의 선형안내돌기가 내용물유출부재의 안내환테에 걸림 고정되어 배출공이 개폐봉에 의해 안정되게 차단되어 있는 상태의 예시도.
도5b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의 요부를 발췌한 확대도로써, 캡의 선형안내돌기를 내용물유출부재의 안내환테의 사이로 형성된 승하강안내홈과 일치하도록 위치시킨 상태의 예시도.
도5c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의 요부를 발췌한 확대도로써, 캡을 당겨 선형안내돌기가 내용물유출부재의 승하강안내홈을 따라 이동하여 내용물유출부재의 개폐봉에 의해 차단되어 있던 캡의 배출공을 개방시켜 내용물을 배출 사용하는 상태의 예를 보인 예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용기몸체 11 : 캡승강위치확인돌부
13 : 회전방지돌부 14 : 내용물유출부재고정환테
20 : 내용물유출부재 21 : 외체
21a : 버팀환테 21b : 안내환테
21b' : 승하강안내홈 22 : 결합관체
22a : 회전방지홈 22b : 고정테
23 : 돌출관 23a : 유출구멍
23b : 개폐봉 23c : 안내관체
30 : 캡 31 : 측벽
31a : 선형안내돌기 31c : 버팀단턱
32 : 곡면 33 : 배출공

Claims (1)

  1. 용기의 개구부에 체결됨과 동시에 캡의 배출공을 선택적으로 개폐시키는 개폐봉을 구비한 내용물유출부재와; 상기 내용물유출부재의 외측으로 결합되어서 승하강에 의해 배출공이 내용물유출부재의 개폐봉으로부터 벗어내 개방됨과 동시에 개폐봉에 끼워져 차단되는 화장품 용기의 배출구에 있어서,
    개구부(12)의 외주면에 인발 형성된 회전방지돌부(13)가 하나 이상 형성되어 있고, 상기 회전방지돌부(13)의 상단부와 동일선상을 이루며 내용물유출부재고정환테(14)가 형성되어 있으며, 캡(30)의 승강위치 확인이 용이하게 하는 캡승강위치확인돌부(11)가 어깨부분에 형성되어 있는 용기몸체(10)와;
    상기 용기몸체(10)의 회전방지돌부(13)에 끼워지는 회전방지홈(22a)이 내부의 결합관체(22)에 절개 형성되어 있고, 상기 결합관체(22)의 상부로 연장형성된 돌출관(23)에는 리브살을 경계로하여 유출구멍(23a)이 형성됨은 물론 상기 리브살을 매개로 캡(30)의 배출공(33)을 차단 또는 개방시키는 개폐봉(23b)이 형성되어 있는 내용물유출부재(20)와;
    상기 내용물유출부재(20)의 외체(21) 외주면에 형성된 안내환테(21b)에 걸림과 동시에 안내환테(21b)가 단락되어서 형성된 승하강안내홈((21b')을 따라 이동하는 선형안내돌기(31a)가 측벽(31) 내주면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안내환테(21b)와 이웃하는 상부에 형성된 버팀환테(21a)에 대하여 버팀지지되어지는 버팀단턱(31c)이 선형안내돌기(31a)의 상부로 형성되어 있으며, 화장솜의 긴밀한 접촉이 가능하도록 외측에서 내측으로 오목한 곡면(32)을 이루고 그 중앙에 내용물유출부재(20)의 개폐봉(23b)에 의해서 선택적으로 개방 또는 차단되어지는 배출공(33)이 형성되어 있고, 외측면에 정위치확인돌부(34)가 형성되어 있는 캡(30)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용기의 배출구.
KR1020070093759A 2007-09-14 2007-09-14 화장품 용기의 배출구 KR1009173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93759A KR100917348B1 (ko) 2007-09-14 2007-09-14 화장품 용기의 배출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93759A KR100917348B1 (ko) 2007-09-14 2007-09-14 화장품 용기의 배출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28277A KR20090028277A (ko) 2009-03-18
KR100917348B1 true KR100917348B1 (ko) 2009-09-15

Family

ID=406955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93759A KR100917348B1 (ko) 2007-09-14 2007-09-14 화장품 용기의 배출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1734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2166B1 (ko) * 2010-11-24 2011-09-05 김경미 액상 화장품 도포용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92211B1 (ko) * 2010-09-17 2012-10-17 (주)연우 회전개폐형 브러시 튜브형 화장품용기
KR102003537B1 (ko) * 2019-06-10 2019-07-25 (주)하진 화장품 용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59334A (ja) 2000-11-27 2002-06-04 Yoshida Industry Co Ltd 吐出量調節機能付きチューブ容器
KR200367744Y1 (ko) 2004-08-31 2004-11-12 주식회사 요진코스메플라스트 화장품 용기
KR200398615Y1 (ko) 2005-07-15 2005-10-13 전진구 화장품 용기의 배출구 구조
KR200439647Y1 (ko) 2007-06-22 2008-04-25 (주)아모레퍼시픽 화장품 용기 캡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59334A (ja) 2000-11-27 2002-06-04 Yoshida Industry Co Ltd 吐出量調節機能付きチューブ容器
KR200367744Y1 (ko) 2004-08-31 2004-11-12 주식회사 요진코스메플라스트 화장품 용기
KR200398615Y1 (ko) 2005-07-15 2005-10-13 전진구 화장품 용기의 배출구 구조
KR200439647Y1 (ko) 2007-06-22 2008-04-25 (주)아모레퍼시픽 화장품 용기 캡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2166B1 (ko) * 2010-11-24 2011-09-05 김경미 액상 화장품 도포용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28277A (ko) 2009-03-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808829B2 (ja) 化粧品容器
KR101363349B1 (ko) 이중 배출수단을 갖는 튜브형 화장품용기
KR100840555B1 (ko) 진공 차단이 가능한 화장품 용기의 노즐팁
KR100917348B1 (ko) 화장품 용기의 배출구
KR20120007725U (ko) 스포이드형 화장품 용기
KR200430516Y1 (ko) 화장액 분출용 에어리스 튜브
KR200417147Y1 (ko) 마스카라액 제거구
CN208715859U (zh) 按压排出式节约型容器
KR200478920Y1 (ko) 승강 개폐장치를 갖는 클렌징용 액상 화장용기
KR20130137331A (ko) 마사지 기능이 구비된 화장품용기
KR200436166Y1 (ko) 페인팅 솔이 구비된 튜브형 화장품용기
KR200398615Y1 (ko) 화장품 용기의 배출구 구조
KR200430507Y1 (ko) 화장액 분출용 에어리스 용기
CN211469340U (zh) 一种便携式冷泡装置
KR20140022616A (ko) 화장용 주걱을 갖는 화장품 용기
EP1281628A2 (en) Automatically opening cover for containers
KR101557583B1 (ko) 오토 립스틱
KR100586796B1 (ko) 승강식 마스카라
KR200260204Y1 (ko) 화장품 용기
CN209331787U (zh) 一种开盖方便的水壶
KR200432018Y1 (ko) 진공 차단이 가능한 화장품 용기의 노즐팁 구조
KR20160134093A (ko) 브러시가 구비된 튜브형 화장품용기
KR200466321Y1 (ko) 마사지 기능을 갖는 롤온 타입 화장품 용기
KR20100006908U (ko) 기능성 화장품용기
KR200462574Y1 (ko) 화장품 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6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0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5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