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22616A - 화장용 주걱을 갖는 화장품 용기 - Google Patents

화장용 주걱을 갖는 화장품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22616A
KR20140022616A KR1020120088931A KR20120088931A KR20140022616A KR 20140022616 A KR20140022616 A KR 20140022616A KR 1020120088931 A KR1020120088931 A KR 1020120088931A KR 20120088931 A KR20120088931 A KR 20120088931A KR 20140022616 A KR20140022616 A KR 201400226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smetic
coupling
container
coupled
scoo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889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91237B1 (ko
Inventor
조성렬
Original Assignee
(주)에스엔피월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에스엔피월드 filed Critical (주)에스엔피월드
Priority to KR10201200889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91237B1/ko
Publication of KR201400226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226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912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912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45D34/04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 e.g. using roller or ball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18Casings combined with other object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26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pasty paint, e.g. using roller, using a bal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0005Containers or packages provided with a piston or with a movable bottom or partition having approximately the same section as the container
    • B65D83/0027Containers or packages provided with a piston or with a movable bottom or partition having approximately the same section as the container piston co-operating with a screw-thread in the side wall of the container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D
    • A45D2200/05Details of containers
    • A45D2200/054Means for supplying liquid to the outlet of the contain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장용 주걱을 갖는 화장품 용기에 있어서, 특히 나사식으로 결합된 화장용 주걱 장착부재를 180도 회전시켜서 화장용액이 화장용 주걱을 통해 외부로 토출되도록하고, 화장용액의 사용이 끝나면 다시 180도 회전시켜서 화장용 주걱의 화장액 토출 통로를 폐쇄시키도록하여 화장품 용기의 사용 효율을 극대화시키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용 주걱을 갖는 화장품 용기에 관한 것으로,
용기본체와; 상기 용기본체의 상부에 결합되며 화장 내용물이 통과되는 수단을 구비하고 또한 스토퍼 수단 및 임시멈춤수단을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화장 내용물 통과부재와; 상기 화장 내용물 통과부재의 상부에 결합되어 화장 내용물 통과부재의 상부에 접면되어 화장 내용물을 통과시키거나 폐쇄시키는 역할을 하며 또한 상기 화장 내용물 통과부재의 외측을 회전하면서 스토퍼 수단 및 임시 멈춤수단에 걸리는 움직임 제한수단을 구비하여 180도로 정확하게 회전되는 화장 내용물 통과 결정부재와; 중간 결합체와; 상기 중간 결합체의 내측에 결합되는 화장용 주걱 결합체와; 상기 화장용 주걱 결합체의 상부에 결합되며 토출관을 통해 출력되는 화장 내용물을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홀을 형성하며, 상기 배출홀을 통해 배출되는 화장용액을 표면에 뭍힌 상태로 화장이 가능토록 하는 화장용 주걱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특징이다.

Description

화장용 주걱을 갖는 화장품 용기{A Cosmetic Container Having Cosmetic Scoop}
본 발명은 화장용 주걱을 갖는 화장품 용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나사식으로 결합된 화장용 주걱 장착부재를 180도 회전시켜서 화장용액이 화장용 주걱을 통해 외부로 토출되도록하고, 화장용액의 사용이 끝나면 다시 180도 회전시켜서 화장용 주걱의 화장액 토출 통로를 폐쇄시키도록하여 화장품 용기의 사용 효율을 극대화시키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용 주걱을 갖는 화장품 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장품(化粧品)은 사람의 얼굴 모발 손 손톱 발톱 등을 아름답게 하거나 건강하게 유지하기 위해 조제된 물질이고, 이러한 물질을 용기에 담아서 보관하거나 운반하고 있다.
이러한 화장품 용기는 점도가 높아 흐르지 않는 젤 형상의 매질에 대한 것, 비교적 점도가 낮아 흐르지만 젤 형상인 매질, 그리고 액상인 매질 등으로 화장품이 성질에 따라 구별하여 담을 수 있다.
화장품을 사용하기 위하여 사용자가 직접 손으로 화장품 용기 속의 내용물을 찍어서 사용하는 경우에는 이물질이 들어가서 내용물을 더럽히거나 변질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사용자가 화장품 용기 속의 내용물을 찍어서 사용할 수 있는 주걱이 제안된 바 있다.
도 1 및 도 2는 공개 실용신안공보 제 20-2008-0000681로써, 종래 주걱의 일 실시예를 표현한 것으로, 화장품용 주걱은 손잡이부(200), 제1주걱부(100) 및 제2주걱부(300)로 구성된다.
상기 손잡이부(200)는 기다란 직육면체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사용자가 파지하는 부분이다.
상기 제1주걱부(100)는 상기 손잡이부(200)의 일단부에 형성되는데,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부를 향하여 확장되는 사다리꼴 형상이다. 또한 선단부를 향하여 두께가 얇게 형성되며 상기 손잡이부(200)와 일체를 이룬다.
이와 같이 사다리꼴 모양을 하고 선단부가 얇은 상기 제1주걱부(100)는 화장품 용기의 바닥 근처 구석진 부분에 잔존하는 내용물을 용이하게 수거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2주걱부(300)는 상기 손잡이부(200)의 타단부에 형성되는데,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다란 타원형으로 이루어져서 화장품 용기에 있는 내용물을 퍼서 사용하는 부분이다.
즉 화장품 용기에서 내용물을 인출하는 경우에는 상기 제2주걱부(300)를 사용하여 이물질이 들어가서 내용물을 변질시키거나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제1주걱부(100)는 화장품 용기 바닥 구석진 부분의 잔존하는 내용물을 수거하는데 사용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일반적인 주걱형 화장품은 주걱을 이용하여 화장용액을 퍼내서 사용해야 하므로 매우 불편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코자 하는 것으로, 화장용 주걱을 용기본체 상부에 설치하고 상기 화장용 주걱에 화장용 토출홀을 형성하여 용기본체로부터 직접 화장용 토출홀을 통해 화장용액이 토출되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화장용 주걱 장착부재를 통해 화장액이 토출되도록 하되 화장용 주걱 장착부재를 정확하게 180도 회전시키고 이 과정에서 스토퍼 수단에 의해서 움직임이 정지되도록하여 보다 안정된 상태에서 화장용기로부터 화장액을 화장용 주걱의 표면으로 토출하여 보다 용이하게 화장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하고 용기의 사용효율을 극대화시키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본 발명은 내부에 화장용액을 담을 수 있는 공간부가 형성되며 상부에 타장치와의 결합을 위한 개구부(110)가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용기본체(100)와; 상기 용기본체의 상부에 결합되며 화장 내용물이 통과되는 수단을 구비하고 또한 스토퍼 수단 및 임시멈춤수단을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화장 내용물 통과부재(200)와; 상기 화장 내용물 통과부재의 상부에 결합되어 화장 내용물 통과부재의 상부에 접면되어 화장 내용물을 통과시키거나 폐쇄시키는 역할을 하며 또한 상기 화장 내용물 통과부재의 외측을 회전하면서 스토퍼 수단 및 임시 멈춤수단에 걸리는 움직임 제한수단을 구비하여 180도로 정확하게 회전되는 화장 내용물 통과 결정부재(300)와; 상기 화장 화장 내용물 통과 결정부재 상부에 결합되는 중간 결합체(400)와; 상기 중간 결합체의 내측에 결합되는 화장용 주걱 결합체(500)와; 상기 화장용 주걱 결합체(500)의 상부에 결합되며 화장 내용물을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홀(610)을 형성하며, 상기 배출홀(610)을 통해 배출되는 화장용액을 표면에 뭍힌 상태로 화장이 가능토록 하는 화장용 주걱(6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특징이다.
또한, 상기 화장 내용물 통과부재(200)는, 상기 용기본체(100)의 개구부(110)에 결합되는 결합관체(210)와; 상기 결합관체(210)의 외주연에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플렌지형 지지체(220)와; 상기 결합관체(220)의 중심부에 일체형으로 형성하되 배출홀(231)을 갖는 배출부재(230)와; 상기 배출부재의 중심에 보강리브를 통해 형성되는 개폐봉(240)과; 상기 결합관체(210)의 외측에 형성되는 나선형 돌기(250)와; 상기 결합관체(220)의 상부 내주연 양측에 형성하되 결합관체의 중심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스토퍼(260a, 260b)와; 상기 스토퍼에 일정거리 이격되어 형성하되 결합관체의 중심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임시멈춤부재(270a, 270b) 및; 상기 스토퍼와 임시멈춤부재 사이에 형성되는 삽입홈(280a, 280b)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특징이다.
상기 화장 내용물 통과 결정부재(300)는, 상기 결합관체(300)의 외측에 결합되며 상부가 폐쇄된 원통형 형상의 결합체(310)와; 상기 결합체의 외주연에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플렌지형 지지체(320)와; 상기 결합체의 내주연에 형성되며 결합관체의 나선형 돌기와 슬라이딩 결합되어 결합관체를 중심으로 결합체가 승하강되도록 유도하기 위한 나사산 형태의 결합수단(330)과; 상기 결합체의 중심부에 홀을 형성하여 이루어지되 결합체가 승하강시에 개폐봉에 의해 폐쇄되거나 개방되어 화장내용물을 외부로 출력하거나 중지시키기 위한 토출부재(340)와; 상기 결합체의 상부 폐쇄면의 하부쪽으로 돌출 형성하여 결합체를 회전시킬때 스토퍼 및 임시멈춤부재 사이의 삽입홈에 결합되도록하여 결합체가 180도로 회전되는 것을 결정하기 위한 움직임 제한부재(350)로 이루어지는 것이 특징이다.
또한, 상기 스토퍼(260a, 260b) 및 임시멈춤부재는(270a, 270b), 가상의 수평 중심라인을 기준으로 배치하되 임시멈춤부재(270a, 270b)는 수평 중심라인의 상부 또는 하부에 배치하고, 이에 대응하여 스토퍼(260a, 260b)는 수평 중심라인의 하부 또는 상부에 배치하여 이루어진 것이 특징이다.
또한, 상기 주걱 결합체의 배출홀(610)은, 수직한 일자 형태의 홀 또는 끝부분이 라운드진 형태의 홀로 이루어진 것이 특징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화장용 주걱을 용기본체 상부에 설치하고 상기 화장용 주걱에 화장용 토출홀을 형성하여 용기본체로부터 직접 화장용 토출홀을 통해 화장용액이 토출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화장용 주걱 장착부재를 통해 화장액이 토출되도록 하되 화장용 주걱 장착부재를 정확하게 180도 회전시키고 이 과정에서 스토퍼 수단에 의해서 움직임이 정지되도록하여 보다 안정된 상태에서 화장용기로부터 화장액을 화장용 주걱의 표면으로 토출하여 보다 용이하게 화장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하고 용기의 사용효율을 극대화시키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 및 도 2는 종래의 화장용 주걱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화장용 주걱을 갖는 화장품 용기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화장용 주걱을 갖는 화장품 용기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단면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의 동작을 나타내는 단면 구성도.
도 7은 본 발명의 요부 분해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요부 동작도.
도 9a는 본 발명에 있어서 화장용 주걱의 배출홀 일실시예도.
도 9b는 본 발명에 있어서 화장용 주걱의 배출홀 다른 실시예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그리고 후술 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설정된 용어들로서 이는 생산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화장용 주걱을 갖는 화장품 용기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화장용 주걱을 갖는 화장품 용기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단면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의 동작을 나타내는 단면 구성도.
도 7은 본 발명의 요부 분해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요부 동작도.
도 9a는 본 발명에 있어서 화장용 주걱의 배출홀 일실시예도.
도 9b는 본 발명에 있어서 화장용 주걱의 배출홀 다른 실시예도로서,
본 발명의 구성요소는 크게 용기본체(100)와, 화장 내용물 통과부재(200)와, 화장 내용물 통과 결정부재(300)와, 중간 결합체(400)와, 화장용 주걱 결합체(500)와, 화장용 주걱(600) 및 뚜껑(70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용기본체(100)는 내부에 화장용액을 담을 수 있는 공간부가 형성되며 상부에 타장치와의 결합을 위한 개구부(110)가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개구부(110)는 외측에 나사산을 형성하거나 언더컷이 형성되어 타장치와 나사결합하거나 원터치 결합을 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상기 화장 내용물 통과부재(200)는, 상기 용기본체(100)의 개구부(110)에 결합되는 것으로, 원통형 구조로서 개구부에 결합되는 결합관체(210)와, 상기 결합관체(210)의 외주연에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플렌지형 지지체(220)와, 상기 결합관체(220)의 중심부에 일체형으로 형성하되 배출홀(231)을 갖는 배출부재(230)와, 상기 배출부재의 중심에 보강리브를 통해 형성되는 개폐봉(240)과, 상기 결합관체(210)의 외측에 형성되는 나선형 돌기(250)와, 상기 결합관체(220)의 상부 내주연 양측에 형성하되 결합관체의 중심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스토퍼(260)와, 상기 스토퍼에 일정거리 이격되어 형성하되 결합관체의 중심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임시멈춤부재(270) 및, 스토퍼(260)와 임시멈춤부재(270) 사이에 형성되는 삽입홈(28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화장 내용물 통과 결정부재(300)는, 상기 결합관체(300)의 외측에 결합되며 상부가 폐쇄된 원통형 형상의 결합체(310)와, 상기 결합체의 외주연에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플렌지형 지지체(320)와, 상기 결합체의 내주연에 형성되며 결합관체의 나선형 돌기와 슬라이딩 결합되어 결합관체를 중심으로 결합체가 승하강되도록 유도하기 위한 나사산 형태의 결합수단(330)과, 상기 결합체의 중심부에 홀을 형성하여 이루어지되 결합체가 승하강시에 개폐봉에 의해 폐쇄되거나 개방되어 화장내용물을 외부로 출력하거나 중지시키기 위한 토출부재(340)와, 상기 결합체의 상부 폐쇄면의 하부쪽으로 돌출 형성하여 결합체를 회전시킬때 스토퍼에 걸리도록하여 결합체가 180도로 회전되는 것을 결정하기 위한 움직임 제한부재(350)로 이루어진다.
상기 중간 결합체(400)는 상기 화장 내용물 통과 결정부재(300)의 상부에 결합된다.
상기 화장용 주걱 결합체(500)는 상기 중간 결합체(400)의 상부에 결합된다.
상기 화장용 주걱(600)은 화장용 주걱 결합체(500)의 상부에 결합되며 토출부재(340)를 통해 출력되는 화장 내용물을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홀(610)을 형성하며, 상기 배출홀(610)을 통해 배출되는 화장용액을 표면에 뭍힌 상태에서 얼굴화장을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주걱 결합체의 배출홀(610)은, 수직한 일자 형태의 홀 또는 끝부분이 라운드진 형태의 홀로 되도록 구성할 수 있는바, 끝부분이 라우드진 형태인 홀(610a)로 구성하게 되면 사용중 토출압력에 의해서 주걱의 반대방향으로 흘러 넘어가지 않는 특징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배출홀(610)을 구성시에 끝부분이 라운드진 형태의 홀로 구성하게 되면 도면에서 상부 방향으로는 화장액이 흘러가지 않고 하부 방향으로만 화장액이 토출되는 것이다(도 9a 및 도 9b에 상세히 도시함).
상기 뚜껑(700)은 화장용 주걱을 보호하기 위해 용기본체에 결합되는 것으로 화장 내용물 통과부재(200)의 플렌지형 지지체(220) 외측 일단에 삽입되었다가 사용시에 플렌지형 지지체로부터 분리시킨다.
이하에서 본 발명이 동작에 대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용기본체(100)는 통상적인 화장용기의 형태이며 공간부를 확보하고 있어 여기에 화장용액을 담는다. 또한 용기본체(100)의 상부에는 개구부(110)를 일체형으로 형성하고 있으며, 상기 개구부(110)의 외주연에는 나사산을 형성하거나 언더컷을 형성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용기본체(100)의 상부에는 화장 내용물 통과부재(200)와, 화장 내용물 통과 결정부재(300)와, 중간 결합체(400)와, 화장용 주걱 결합체(500)와, 화장용 주걱(600)이 순차적으로 결합되어 이루어진다.
이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용기본체(100)의 개구부(110)를 통해 화장 내용물 통과부재(200)를 구성하는 결합관체(210)가 상호 결합되고, 또한, 결합관체(210)의 상부에는 화장 내용물 통과 결정부재(300)를 구성하는 결합체(310)가 상호 결합되며, 또한, 결합체(310)의 상부에는 클렌징폼(600)이 결합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결합관체(210)의 외주연에는 나선형 돌기(250)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나선형 돌기(250)에 결합체(310)의 결합수단(330)이 슬라이딩 결합되어 결합체(310)가 회전하면 상하로 승하강 작동을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결합관체(210)에 결합체(310)가 승하강하는 동작에 의해서 결합체(310)에 형성된 토출부재(340)의 토출홀(341)이 결합관체(210)의 개폐봉(241)에 의해서 닫히거나 열리게 되며, 본 발명에서는 결합체(310)를 180도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동작에 의해서 결합관체(210)의 플렌지형 지지체(220)로부터 상승하면서 토출홀(341)과 개폐봉(240)이 이격되면서 용기본체(100)에 존재하는 화장내용물이 토출부재(340)를 통해 토출될 수 있도록 하고, 또한 결합체(310)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동작에 의해서 결합관체(210)의 플렌지형 지지체(220)로 하강하면서 토출홀(341)에 개폐봉(240)이 밀착되어 화장내용물이 더이상 토출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결합체(310)를 회전시켜 결합관체(210)의 나선형 돌기(250)를 따라 승하강할때 정확하게 180도에서 멈추도록 장치를 제안하였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결합체(310)가 결합관체(210)를 따라 승하강할때 180도의 회전상황에서 정확하게 멈추는 구성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6 내지 도 8에는 본 발명에서 결합체(310)가 결합관체(210)를 따라 승하강할때 180도의 회전상황에서 정확하게 멈추는 구성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상기와 같이 결합체(310)가 결합관체(210)를 따라 승하강할때 멈춤동작에 사용되는 구성요소로는 결합관체(210)의 스토퍼(260)와 임시멈춤부재(270)이 관여하고, 이에 대응하여 결합체(310)의 움직임 제한부재(350)가 상호작용을 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즉, 본 발명에서 결합관체(210)는 용기본체(100)의 상부에 고정되도록 설계되고 상기 결합관체(210)의 상부에 결합되는 결합체(310)는 결합관체(210)의 외주연에서 움직이도록 설계되는바, 결합체(310)를 움직일때 움직임 제한부재(350)가 동시에 움직이게 된다.
그리고, 움직임 제한부재(350)는 임시멈춤부재(270)를 접면하면서 통과하게 되고 스토퍼(260)지점에서 완전히 멈춘다.
본 발명에서는 결합관체(210)의 상부 내주연에 임시멈춤부재(270)와 스토퍼(260)가 쌍으로 배치하되 일정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한쌍의 임시멈춤부재(270a, 270b)와 스토퍼(260a, 260b)는 가상의 수평 중심라인을 기준으로 배치하되 임시멈춤부재(270a, 270b)는 수평 중심라인의 상부 또는 하부에 배치하고 스토퍼(260a, 260b)는 수평 중심라인의 하부 또는 상부에 배치한다.
상기와 같이 가상의 수평 중심라인을 기준으로 임시멈춤부재(270a, 270b)를 상부에 배치하고 스토퍼(260a, 260b)를 하부에 배치하면 그 중앙의 삽입홈(280)은 상호 180도 간격으로 위치하게 되며, 상기 삽입홈(280)에 본 발명의 움직임 제한부재(350)가 결합되는바, 정확히 180도 간격으로 움직일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결합체(310)가 결합관체(210)를 따라 승하강할때 180도의 회전상황에서 정확하게 멈추는 동작을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서 결합관체(210)에 결합체(310)가 결합된 상태에서 결합체(310)를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결합체(310)가 결합관체(210)의 나선형 돌기(250)를 타고 슬라이딩 유동되면서 상승하게 된다. 이때 결합체(310)의 폐쇄면 하부에 일체로 형성된 움직임 제한부재(350)가 동시에 움직인다.
그리고, 움직임 제한부재(350)는 삽입홈(280)을 벗어남과 동시에 제 1 임시멈춤부재(270a)를 벗어나게 되며, 이후 임시멈춤부재(270a, 270b) 및 스토퍼(260a, 260b)가 존재하지 않은 구간을 자연스럽게 회전한다.
그리고, 결합체(310)를 180도 위치까지 회전하게 되면 움직임 제한부재(350)는 제 2 임시멈춤부재(270b)를 타고넘어가서 삽입홈(280)에 결합되며, 삽입홈(280)에 이르게 되면 제 2 스토퍼(260b)가 더이상의 움직임을 제한하여 더이상 움직이지 않고 고정된다.
이때에는 개폐봉(240)과 토출홀(340a)이 일정거리 이격되어 화장품 용액이 외부로 출력될 수 있는 상황이 되며, 사용자는 용기본체(100)를 손으로 압박하여 용기본체(100) 내부에 존재하는 화장 내용물이 결합관체(210)와 결합체(310)를 통과하면서 클렌징폼(600)에 이르도록하여 자신이 원하는 신체부위에 화장내용물을 투입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에서 움직임 제한부재(350)는 제 2 임시멈춤부재(270b)와 제 2 스토퍼(260b) 사이의 삽입홈(280)에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기 때문에 편리하게 화장 내용물을 사용할 수 있다. 이는 종래의 기술에서 정확하게 결합체가 멈추도록하는 부재가 없어서 조그마한 충격에도 결합체가 다시 닫힐 수 있는 것과는 차별화된 기술이다.
실제로 사용자는 움직임 제한부재(350)가 임시멈춤부재(270a, 270b)를 타고 넘어가면서 '딸깍'하는 느낌을 받기 때문에 더이상 결합체(310)를 회전시키지 않고 곧바로 화장 내용물을 용기본체(100)로부터 짜내서 사용하면 된다.
만약에 임시멈춤부재(270a, 270b)가 없으면 어디까지 회전시켜야할지 몰라서 과도한 회전힘을 가할 수 있게 되며, 그러면 화장용기(100)의 충격이 심하게 가해져서 부셔질 수도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임시멈춤부재(270a, 270b)를 타고 넘으면서 '딸깍'하는 느낌을 받기 때문에 과도하게 회전시키지 않게 되어 결합관체 (210)및 결합체(310)를 보호할 수 있게 된다.
이후, 화장 내용물의 사용이 끝나면 결합체(310)를 시계방향으로 움직여서 결합관체(210)를 중심으로 결합체(310)가 이동하면 결합체(310)가 하강하게 되고, 이때 움직임 제한부재(350)는 제 2 삽입홈(280b)을 빠져나옴과 동시에 제 2 임시멈춤부재(270b)를 타고 넘어가서 최종적으로 제 1 임시멈춤부재(270a)에 이르게 되며, 상기 제 1 임시멈춤부재(270a)를 강제로 타고 넘어가서 제 1 임시멈춤부재(270a)와 제 1 스토퍼(260a) 사이의 제 1 삽입홈(280a)에 이르게 된다. 물론 이후에는 제 1 스토퍼(260a)가 가로막고 있기 때문에 더이상의 결합체 (310) 회전은 일어나지 않게 되며, 이와 동시에 개폐봉(240)과 토출홀(341)이 밀착되어 더이상의 화장 내용물 토출은 중지된다.
결국, 본 발명을 이용하게 되면 결합체에 형성된 움직임 제한부재(350)가 임시멈춤부재(270a, 270b)와 스토퍼(260a, 260b) 사이의 삽입홈(280a, 280b)에 임시로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기 때문에 보다 편리하게 클렌징용 화장품을 이용할 수 있게 된다.
100: 용기본체
110: 개구부
200: 화장 내용물 통과부재
210: 결합관체
220: 플렌지형 지지체
230: 배출부재
231: 배출홀
240: 개폐봉
250: 나선형 돌기
260: 스토퍼
270: 임시멈춤부재
300: 화장 내용물 통과 결정부재
310: 결합체
320: 플렌지형 지지체
330: 결합수단
340: 토출부재
350: 움직임 제한부재
400: 중간 결합체
500: 화장용 주걱 결합체
600: 화장용 주걱
610: 배출홀
700: 뚜껑

Claims (5)

  1. 내부에 화장용액을 담을 수 있는 공간부가 형성되며 상부에 타장치와의 결합을 위한 개구부(110)가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용기본체(100)와;
    상기 용기본체의 상부에 결합되며 화장 내용물이 통과되는 수단을 구비하고 또한 스토퍼 수단 및 임시멈춤수단을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화장 내용물 통과부재(200)와;
    상기 화장 내용물 통과부재의 상부에 결합되어 화장 내용물 통과부재의 상부에 접면되어 화장 내용물을 통과시키거나 폐쇄시키는 역할을 하며 또한 상기 화장 내용물 통과부재의 외측을 회전하면서 스토퍼 수단 및 임시 멈춤수단에 걸리는 움직임 제한수단을 구비하여 180도로 정확하게 회전되는 화장 내용물 통과 결정부재(300)와;
    상기 화장 화장 내용물 통과 결정부재 상부에 결합되는 중간 결합체(400)와;
    상기 중간 결합체의 내측에 결합되며, 중앙에 토출관(510)을 형성한 화장용 주걱 결합체(500)와;
    상기 화장용 주걱 결합체(500)의 상부에 결합되며 토출관(510)을 통해 출력되는 화장 내용물을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홀(610)을 형성하며, 상기 배출홀(610)을 통해 배출되는 화장용액을 표면에 뭍힌 상태로 화장이 가능토록 하는 화장용 주걱(6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용 주걱을 갖는 화장품 용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 내용물 통과부재(200)는,
    상기 용기본체(100)의 개구부(110)에 결합되는 결합관체(210)와;
    상기 결합관체(210)의 외주연에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플렌지형 지지체(220)와;
    상기 결합관체(220)의 중심부에 일체형으로 형성하되 배출홀(231)을 갖는 배출부재(230)와;
    상기 배출부재의 중심에 보강리브를 통해 형성되는 개폐봉(240)과;
    상기 결합관체(210)의 외측에 형성되는 나선형 돌기(250)와;
    상기 결합관체(220)의 상부 내주연 양측에 형성하되 결합관체의 중심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스토퍼(260a, 260b)와;
    상기 스토퍼에 일정거리 이격되어 형성하되 결합관체의 중심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임시멈춤부재(270a, 270b) 및;
    상기 스토퍼와 임시멈춤부재 사이에 형성되는 삽입홈(280a, 280b)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용 주걱을 갖는 화장품 용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 내용물 통과 결정부재(300)는,
    상기 결합관체(300)의 외측에 결합되며 상부가 폐쇄된 원통형 형상의 결합체(310)와;
    상기 결합체의 외주연에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플렌지형 지지체(320)와;
    상기 결합체의 내주연에 형성되며 결합관체의 나선형 돌기와 슬라이딩 결합되어 결합관체를 중심으로 결합체가 승하강되도록 유도하기 위한 나사산 형태의 결합수단(330)과;
    상기 결합체의 중심부에 홀을 형성하여 이루어지되 결합체가 승하강시에 개폐봉에 의해 폐쇄되거나 개방되어 화장내용물을 외부로 출력하거나 중지시키기 위한 토출부재(340)와;
    상기 결합체의 상부 폐쇄면의 하부쪽으로 돌출 형성하여 결합체를 회전시킬때 스토퍼 및 임시멈춤부재 사이의 삽입홈에 결합되도록하여 결합체가 180도로 회전되는 것을 결정하기 위한 움직임 제한부재(35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용 주걱을 갖는 화장품 용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260a, 260b) 및 임시멈춤부재는(270a, 270b),
    가상의 수평 중심라인을 기준으로 배치하되 임시멈춤부재(270a, 270b)는 수평 중심라인의 상부 또는 하부에 배치하고, 이에 대응하여 스토퍼(260a, 260b)는 수평 중심라인의 하부 또는 상부에 배치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용 주걱을 갖는 화장품 용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주걱 결합체의 배출홀(610)은,
    수직한 일자 형태의 홀 또는 끝부분이 라운드진 형태의 홀로 이루어진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용 주걱을 갖는 화장품 용기.
KR1020120088931A 2012-08-14 2012-08-14 화장용 주걱을 갖는 화장품 용기 KR1013912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8931A KR101391237B1 (ko) 2012-08-14 2012-08-14 화장용 주걱을 갖는 화장품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8931A KR101391237B1 (ko) 2012-08-14 2012-08-14 화장용 주걱을 갖는 화장품 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22616A true KR20140022616A (ko) 2014-02-25
KR101391237B1 KR101391237B1 (ko) 2014-05-02

Family

ID=502684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88931A KR101391237B1 (ko) 2012-08-14 2012-08-14 화장용 주걱을 갖는 화장품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9123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47681A (ko) 2015-10-23 2017-05-08 코웨이 주식회사 스패츌러를 포함하는 화장품 용기
WO2018093040A1 (ko) * 2016-11-17 2018-05-24 (주)연우 회전 개폐형 화장품 용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8736Y1 (ko) * 2018-10-26 2019-03-12 주식회사 한국화장품제조 화장품 용기에 결합되는 스패츌러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5931B1 (ko) 2006-09-28 2007-07-06 임효빈 화장품 공급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도구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47681A (ko) 2015-10-23 2017-05-08 코웨이 주식회사 스패츌러를 포함하는 화장품 용기
WO2018093040A1 (ko) * 2016-11-17 2018-05-24 (주)연우 회전 개폐형 화장품 용기
KR20180055550A (ko) * 2016-11-17 2018-05-25 (주)연우 회전 개폐형 화장품 용기
CN109963480A (zh) * 2016-11-17 2019-07-02 株式会社衍宇 旋转开闭型化妆品容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91237B1 (ko) 2014-05-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17512719A (ja) 回転開閉式チューブ容器
KR101559078B1 (ko) 회전 토출식 화장품 용기
US20100006606A1 (en) Pumping device with collapsible nozzle
JP6323764B2 (ja) 二重排出手段を備えるチューブ型化粧品容器
US9579262B2 (en) Cap and bottle
KR101597115B1 (ko) 버튼형 펜슬 화장품 용기
US20180146765A1 (en) Liquid contents discharge container having absorption member
JP5199175B2 (ja) 計量塗布栓
KR102016670B1 (ko) 화장품 용기
KR101456609B1 (ko) 브라켓 망퍼프가 장착된 클렌징 화장용기
KR101391237B1 (ko) 화장용 주걱을 갖는 화장품 용기
JP7083207B2 (ja) 化粧品用三角容器
KR101636268B1 (ko) 이종 내용물 저장 용기
KR200478920Y1 (ko) 승강 개폐장치를 갖는 클렌징용 액상 화장용기
US20180127171A1 (en) Mixing container for heterogeneous content
JP5541568B2 (ja) 継続使用容器と詰め替え容器の組合せ
KR101231628B1 (ko) 원 핸드 마스카라 용기
KR101646641B1 (ko) 정량토출이 가능한 화장료용 튜브용기
KR200477973Y1 (ko) 화장품 용기
CN211703763U (zh) 自动吸液滴管装置
KR20120002277U (ko) 화장브러쉬를 포함한 튜브용기의 배출장치
KR200260204Y1 (ko) 화장품 용기
KR101221412B1 (ko) 액상물질 내용물의 개폐장치 및 그 개폐장치가 구비된 화장품 용기
KR20090028277A (ko) 화장품 용기의 배출구
KR200485347Y1 (ko) 승강 개폐장치 및 돔타입 화장용 퍼프가 구비된 액상 화장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9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