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57003B1 - 전자, 전기 및 스마트 기기를 포함하는 장치를 위한 회선 접속판, 접속 유닛 및 회선 접속모듈 - Google Patents

전자, 전기 및 스마트 기기를 포함하는 장치를 위한 회선 접속판, 접속 유닛 및 회선 접속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57003B1
KR101557003B1 KR1020140042439A KR20140042439A KR101557003B1 KR 101557003 B1 KR101557003 B1 KR 101557003B1 KR 1020140042439 A KR1020140042439 A KR 1020140042439A KR 20140042439 A KR20140042439 A KR 20140042439A KR 101557003 B1 KR101557003 B1 KR 1015570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panel
unit
electrically coupled
protru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424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원민
임경태
탁형석
전상원
Original Assignee
(주)이산솔루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이산솔루션 filed Critical (주)이산솔루션
Priority to KR10201400424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5700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570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570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9/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e.g. terminal strips or terminal blocks; Terminals or binding posts mounted upon a base or in a case; Bases therefor
    • H01R9/22Bases, e.g. strip, block, panel
    • H01R9/28Terminal boar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50Fixed connections
    • H01R12/51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515Terminal blocks providing connections to wires or cables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회선 접속판, 접속 유닛 및 회선 접속모듈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회선 접속모듈는 회선 접속판과 그 회선 접속판에 끼워져 결합하는 접속 유닛을 구비하며, 회선 접속판에 복수 개의 접속 유닛을 결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회선접속판에 접속하는 복수 개의 접속 유닛에서 동일한 회선 연결이 이루어지도록 하한다. 또한, 접속 유닛의 결합 방향에 관계없이 전기적으로 여러 쌍의 회선이 혼선되지 않고 동일한 회선 접속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Description

전자, 전기 및 스마트 기기를 포함하는 장치를 위한 회선 접속판, 접속 유닛 및 회선 접속모듈{Line Connecting Module for Apparatus which comprise Electronics Device, Electrics Device and Smart Device, and the Line Connecting Panel and Unit therefor}
본 발명은 회선 접속판에 복수 개의 접속 유닛을 결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회선접속판에 접속하는 복수 개의 접속 유닛에서 동일한 회선 연결이 이루어지도록 함과 동시에, 회선 연결이 접속 유닛의 결합 방향에 무관하게 동일하도록 하는 회선 접속모듈에 관한 것이다.
스마트 폰에 외부 장치를 연결하거나 로보트에 외부 단말기를 연결하는 것처럼, 두 개의 장치를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해서는 상호 기구적으로 접속할 수 있는 두 개의 기구물, 즉 회선 접속모듈이 필요하다. 이들은 소위 '커넥터(Connector)'라고 불린다.
오디오 커넥터와 같은 스틱(Stick)형 회선 접속모듈을 제외하고, 종래에 알려진 대부분의 회선 접속모듈은 좌우방향이든 전후 방향이든 방향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체결시 반드시 방향을 고려하여 접속하여야 하며 다른 방향으로 접속할 경우 회선이 혼선되거나 전기적으로 단락(Short)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대부분의 회선 접속모듈들은 정해진 방향으로만 체결할 수 있도록 기구적으로 고려되어 있다.
또한, 하나의 회선 접속모듈은 한 쌍의 장치들만 상호 연결하고 여러 개의 장치를 동시에 연결할 수 없도록 구조화되어 있는 것이 일반적이다. 특허공개번호 제 10- 2013-0068940호는 여러 개의 전자부품을 연결하도록 구조화된 조립식 전자회로 블록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블록은 기구적으로 여러 개의 단위 부품을 연결할 수 있도록 배치되어 있기는 하나, 전선과 전자부품을 꽂아 전자회로를 꾸미기 위한 것이지, 여러 개의 회선을 연결하는 회선 접속모듈은 아니다.
[관련 기술 문헌]
1. 조립식 전자회로 블록(특허공개번호 제 10- 2013-0068940호)
본 발명의 목적은, 회선 접속판에 복수 개의 접속 유닛을 결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회선접속판에 접속하는 복수 개의 접속 유닛에서 동일한 회선 연결이 이루어지도록 함과 동시에, 회선 연결이 접속 유닛의 결합 방향에 무관하게 동일하도록 하는 회선 접속모듈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그 회선 접속모듈을 위한 회선 접속판과 접속 유닛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라, 각종 회선 접속을 위한 단자가 형성되는 회선 접속모듈은, 회선 접속판과 접속유닛을 구비한다.
회선 접속판은 베이스 패널과, 상기 베이스 패널상에 전후좌우 간격이 일정한 가상 격자의 교차점에 기둥형태로 돌출된 복수 개의 패널-돌출부를 포함한다. 접속 유닛은 가장자리가 사각형인 내부 공간부가 상기 복수 개의 패널-돌출부에 끼워짐으로써 상기 회선 접속판에 전기적으로 접속할 수 있으며, 상기 내부 공간부의 상면에 형성된 a 단자와, 상기 내부 공간부의 측면에 형성된 b 단자를 구비한다.
상기 회선 접속판은 상기 패널-돌출부의 상면에 형성되어 상기 a 단자와 전기적으로 결합하는 제1 단자와, 상기 패널-돌출부의 측면 중에서 상기 내부 공간부의 내측면과 접촉하는 부분에 형성되어 상기 b 단자와 전기적으로 결합하는 제2 단자를 포함한다.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접속 유닛은 상기 내부 공간부의 상면으로부터 수직하게 기둥 형상으로 형성된 c 단자를 더 포함하고, 그에 대응하여 상기 회선 접속판은 상기 베이스 패널 상에 마련되고 상기 c 단자와 전기적으로 결합하는 제3 단자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접속 유닛이 상기 내부 공간부의 중심에 기둥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내부 공간부에 끼워진 복수 개의 패널-돌출부와 외접하는 유닛-돌출부와 상기 유닛-돌출부의 측면에 형성된 d 단자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회선 접속판은, 상기 패널-돌출부의 측면 중에서 상기 유닛-돌출부와 외접하는 부분에 형성되어, 상기 d 단자와 전기적으로 결합하는 제4 단자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하나의 패널-돌출부에 상기 제2 단자와 제4 단자가 상호 교번적으로 4 개씩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 단자와 제4 단자는, 상기 패널-돌출부의 상면에 노출 형성되어 상기 a 단자 또는 d 단자와 전기적으로 접촉하는 전극부와, 상기 패널-돌출부 내의 공간부에 삽입되어 상기 접속 유닛이 끼워져 결합할 때 상기 a 단자 또는 d 단자에 의해 가압되는 상기 전극부를 탄성 지지하는 탄성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회선 접속모듈을 이용하면, 하나의 회선 접속판에 복수 개의 접속 유닛을 동시에 꽂아 동일한 회선 접속을 구현할 수 있다. 따라서 접속 유닛을 일측에 구비한 여러 개의 장비를 하나의 회선 접속판에 동시에 꽂아 사용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접속 유닛을 회선 접속판에 꽂아 연결할 때 그 접속 방향을 고려하지 않아도 되며, 그 접속 방향에 관계없이 회선 접속판과 접속 유닛 사이에 동일한 회선 접속이 이루어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회선 접속모듈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회선 접속모듈의 단속 접속상태를 도시한 개념도,
도 3은 도 2의 x-x'의 절개 단면도, 그리고,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접속 유닛의 저면도이다.
<도면의 부호의 설명>
110: 회선 접속판 111: 베이스 패널
113: 패널-돌출부 115: 제1 단자
117: 제2 단자 119: 제3 단자
121: 제4 단자 130: 접속 유닛
131: 내부 공간부 133: 유닛-돌출부
135: a 단자 137: b 단자
139: c 단자 141: d 단자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회선 접속모듈(100)는 회선 접속판(110)과, 회선 접속판(110)에 끼움으로써 전기적으로 결합하는 적어도 하나의 접속 유닛(130)을 구비한다.
우선, 회선 접속판(110)은 베이스 패널(111)과, 베이스 패널(111)상에 형성된 복수 개의 패널-돌출부(113)를 포함한다. 복수 개의 패널-돌출부(113)가 베이스 패널(111)의 상면에 전후좌우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된 가상 격자의 교차점(또는 격자점)에 기둥형태로 돌출됨으로써, 회선 접속판(110)은 마치 레고 블록(Lego Block)과 같은 형태를 가진다. 패널-돌출부(113)는 단면의 크기가 일정한 원기둥 또는 다각형의 기둥(예컨대 8각 기둥) 형태를 가질 수 있으나, 원기둥이 바람직하다.
접속 유닛(130)은 커넥터의 일종이므로, 특정 장치의 부착되거나 그 장치로부터 회선을 통해 연장된 단말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접속 유닛(130)은 아래쪽이 개방된 내부 공간부(131)를 구비한 캡(Cap)의 형상을 가지며, 회선 접속판(110)상에 마련된 적어도 하나의 패널-돌출부(113)가 내부 공간부(131)에 삽입되어 끼워짐으로써 접속 유닛(130)이 회선 접속판(110)과 전기적으로 접속한다. 내부 공간부(131)의 개방된 가장자리는 4각형의 형태를 가진다.
접속 유닛(130)은 적어도 하나의 패널-돌출부(113)에 끼워지면 족하므로, 예를 들어, 도 1처럼 4 개의 패널-돌출부(113)가 내접하는 크기의 내부 공간부(131)를 가질 수도 있고, 아래의 도 4에서 설명하는 것처럼 2 개의 패널-돌출부(113)와 결합하거나, 또는 하나의 패널-돌출부(113)와 결합하는 크기의 내부 공간부(131)를 가질 수도 있다. 한편, 복수 개의 접속 유닛(130)이 연접하여 회선 접속판(110)에 접속할 수 있도록, 내부 공간부(131)를 형성하는 벽의 두께는 패널-돌출부(113) 간격의 절반을 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접속 유닛(130)의 내부 공간부(131)는 다양한 형상일 있다. 다만, 개방된 가장자리는 사각형이고, 가장자리로부터 이어지는 내측면은 복수 개의 패널-돌출부(113)가 내접해야 하므로 수직한 평면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내부 공간부(131)는 사각형의 개방된 가장자리로부터 연장된 육면체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접속 유닛(130)에는 내부 공간부(131)의 상면 중심에서 연장되어 패널-돌출부(113)의 외측면과 외접하는 파이프 형상의 유닛-돌출부(133)가 마련된다. 패널-돌출부(113)가 원기둥인 경우, 유닛-돌출부(133)도 원기둥이어야 하며, 패널-돌출부(113)가 8각 기둥인 경우, 유닛-돌출부(133)도 8각 기둥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회선 접속판(110)과 접속 유닛(130)의 각 단자를 설명한다. 우선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4 개의 패널-돌출부(113)가 내접하는 크기의 내부 공간부(131)를 가지는 접속 유닛(130)을 기초로 설명하지만, 다른 크기의 접속 유닛에도 그대로 적용할 수 있다.
회선 접속판(110)의 제1 내지 제4 단자(115, 117, 119, 121)는 접속 유닛(130)의 내부 공간부(131)에 마련된 a 단자(135), b 단자(137), c 단자(139) 및 d 단자(141)와 각각 결합한다. 제1 내지 제4 단자(115, 117, 119, 121)와 a 내지 d 단자(135, 137, 139, 141)는 다른 설명이 없는 한, 내부에 개별적으로 마련된 전기적 도선과 각각 연결된다. 또한 접속 유닛(130)의 a 내지 d 단자(135, 137, 139, 141) 중 일부의 위치는 접속 유닛(130)의 크기에 따라 일부 변경될 수 있으나, 회선 접속판(110)의 제1 내지 제4 단자(115, 117, 119, 121)의 위치는 변하지 않는다.
제1 단자(115)는 회선 접속판(110)의 패널-돌출부(113)의 기둥 상면 중앙에 마련되며, 접속 유닛(130)이 회선 접속판(110)에 결합한 때에 접속 유닛(130)의 내부 공간부(131)의 상면에 형성된 a 단자(135)와 접촉한다.
제1 단자(115)는 회선 접속판(110)의 패널-돌출부(113)마다 형성되며, 모든 제1 단자(115)는 전기적으로 공통 단자가 된다. 도 2에서처럼, 접속 유닛(130)이 4 개의 패널-돌출부(113)에 끼워짐으로써 접속 유닛(130)이 4 개의 제1 단자(115)와 대향하게 되더라도, 접속 유닛(130)이 4 개의 a 단자(135)를 구비할 필요가 없고 하나만을 구비하면 족하다.
a 단자(135)는 유닛-돌출부(133)처럼, 내부 공간부(131)의 상면에서 수직으로 연장된 기둥 형태를 가지며, 그 길이는 회선 접속판(110)에 끼워졌을 때, 패널-돌출부(13) 상면의 제1 단자(115)에 닿거나 제1 단자(115)를 가압할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a 단자(135)는 내부 공간부(131)에 노출된 부분 전체가 도전성 소재의 금속으로 성형하거나, 최단부만이 도전성소재의 금속으로 성형할 수 있다.
제2 단자(117)는 접속 유닛(130)의 b 단자(137)와 접촉한다. 제2 단자(117)는 패널-돌출부(113)의 기둥 외측면 중에서 접속 유닛(130)의 내부 공간부(131)의 내측면과 내접하는 부분에 마련된다. 도 1 및 도 2에서처럼 패널-돌출부(113)가 원기둥의 형상인 경우, 패널-돌출부(113)의 외측면 중에서 접속 유닛(130)의 내부 공간부(131)의 내측면과 내접하는 부분은 도면을 기준으로 0°, 90°, 180° 및 270°부분의 4 부분이므로, 제2 단자(117)는 각 패널-돌출부(113)마다 4 부분이 형성되고, 4 개의 제2 단자(117)는 모두 전기적으로 공통 단자가 된다.
b 단자(137)는 회선 접속판(110)의 패널-돌출부(113)의 외측면이 내접하는 내부 공간부(131)의 내측면에 마련된다. 도 2에서처럼, 접속 유닛(130)이 4 개의 패널-돌출부(113)에 끼워짐에 따라 접속 유닛(130)이 8 개의 제2 단자(117)와 접촉하게 되더라도, 접속 유닛(130)은 8 개의 b 단자(137)를 구비할 필요가 없고 하나만을 구비하면 족하다.
제3 단자(119)는 접속 유닛(130)의 c 단자(139)와 접촉한다. 제3 단자(119)는 베이스 패널(111)의 상면 중에서 앞서 언급한 인접한 4개 격자점의 중심부분마다 마련된다.
제3 단자(119)가 베이스 패널(111)의 상면에 마련되므로, c 단자(139)는 접속 유닛(130)의 내부 공간부(131)의 상면 중심, 즉 유닛-돌출부(133)의 중심으로부터 아랫쪽으로 수직으로 연장된 기둥형상으로 마련된다. 회선 접속판(110)에 결합하였을 때에 c 단자(139)가 제3 단자(119)에 접촉하여야 하므로, c 단자(139)는 접속 유닛(130)보다 아래로 좀 더 길게 연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c 단자(139)도 a 단자(135)처럼 내부 공간부(131)에 노출된 부분 전체가 도전성 소재의 금속으로 성형하거나, 최단부만이 도전성소재의 금속으로 성형할 수 있다.
제4 단자(121)는 접속 유닛(130)의 d 단자(141)와 접촉한다. 제4 단자(121)는 패널-돌출부(113) 기둥의 외측면 중에서 유닛-돌출부(133)와 외접하는 부분에 형성된다. 도 1 및 도 2에서처럼 패널-돌출부(113)가 원기둥의 형상인 경우, 패널-돌출부(113)의 외측면 중에서 유닛-돌출부(133)와 외접하는 부분은 도면을 기준으로 45°, 135°, 225° 및 315°부분의 4 부분이므로, 제4 단자(121)는 각 패널-돌출부(113)마다 4 부분이 형성되고, 4 개의 제4 단자(121)는 모두 전기적으로 공통 단자가 된다. 이로써, 도 1에서처럼, 하나의 패널-돌출부(113)에는 4개의 제2 단자(117)와 4개의 제4 단자(121)가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교번적으로 형성된다.
제4 단자(121)가 접속하는 접속 유닛(130)의 d 단자(141)는 회선 접속판(110)의 패널-돌출부(113)가 외접하는 유닛-돌출부(133)의 외측면에 마련된다. 도 2를 기준으로 하면, d 단자(141)는 유닛-돌출부(133)의 외측면 중에서 패널-돌출부(113)와 외접하는 45°, 135°, 225° 및 315°의 4 부분에 마련된다. 제4 단자(121)가 패널-돌출부(113)에 일정한 간격으로 4개가 배치되고 접속 유닛(130)이 4 개의 패널-돌출부(113)에 끼워지는 경우, 접속 유닛(130)은 4 개의 제4 단자(121)와 접촉하게 되지만, d 단자(141)는 유닛-돌출부(133)의 4 개 부분 모두에 마련될 필요가 없으며 그 중 어느 한 부분에만 마련되면 족하다.
이상의 방법으로, 회선 접속판(110)의 제1 내지 제4 단자(115, 117, 119, 121)와 접속 유닛(130)의 a 내지 d 단자(135, 137, 139, 141)를 형성할 수 있다.
한편, 두 개 장치가 전기적으로 연결되기 위해서는 적어도 한 쌍의 회선이 필요하므로, 제1 내지 제4 단자(115, 117, 119, 121) 중에서 2 개의 회선씩 전기적으로 쌍을 이루도록 배치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예컨대, 제1 단자(115)는 통신용 Tx 회선, 제2 단자(117)는 통신용 Rx, 제3 단자(119)는 전원전압 Vcc, 그리고 제4 단자(121)는 전원용 GND 단자로 배치할 수 있다.
이 경우, 본 발명의 접속 유닛(130)은 그 결합 방향에 무관하게 어떤 방식으로 결합하여도 동일한 회선 연결이 이루어지는 특징이 있다. 도 2의 (b)에는 도 2의 (a)의 접속 유닛(130)을 그대로 결합한 예(130-1), 90°회전시켜 결합한 예(130-2), 180°회전시켜 결합한 예(130-3), 그리고 270°회전시켜 결합한 예(130-4)가 각각 도시되어 있다. 그러나, 제1 단자(115)는 여전히 접속 유닛(130)의 a 단자(135)와 접촉하고, 제2 단자(117)는 접속 유닛(130)의 b 단자(137)와 접촉한다.
이처럼, 본 발명에 의하면, 접속 유닛(130)을 회선 접속판(110)에 결합할 때 그 결합의 방향을 고려하지 않더라도 동일한 회선 접속이 이루어지며, 회선이 혼선되거나 단락(Short) 되는 위험이 없다.
이상에서의 설명에서, 회선 접속판(110)의 모든 제1 단자(115)가 전기적으로 상호 연결된 공통 단자이며, 모든 제2 단자(117)도 전기적으로 상호 연결된 공통 단자인 것으로 설명하였다. 제3 단자(119)와 제4 단자(121)도 마찬가지다.
그러나, 실시 예에 따라, 당연히, 회선 접속판(110)을 복수 개의 구역으로 나누고, 그 구역 내에서만 상호 공통인 것으로 배선할 수도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제1 구역(미도시)에서 제1 단자(115)가 통신용 Tx 회선으로 배선하였더라도, 제2 구역(미도시)의 제1 단자(115)는 다른 통신용 Tx1 회선으로 배선할 수 있는 것이다.
<제1 단자와 제3 단자의 구조>
실시 예에 따라, 제1 단자(115)와 제3 단자(119)의 결합력을 높이기 위하여 탄성 구조의 단자로 형성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제1 단자(115)는, 패널-돌출부(113)의 상면에 노출 형성되어 a 단자(135)와 직접 접촉하는 전극부(31)와, 전극부(31)를 탄성 지지하는 탄성지지부(33)를 포함한다. 제1 단자(115)를 위한 회선은 전극부(31)에 연결되거나 도전성 탄성지지부(33)에 연결될 수 있다.
탄성지지부(33)는 패널-돌출부(113) 내의 공간부에 삽입되어, 접속 유닛(130)이 끼워져 결합할 때 a 단자(135)에 의해 가압되는 전극부(31)를 탄성 지지한다. 전극부(31)는 내부에 마련된 별도의 도선(미도시)에 연결된다.
제3 단자(119)도 제1 단자(115)와 같은 구조를 가진다. 따라서 제3 단자(119)도 전극부(35)와 탄성지지부(37)를 구비한다. 여기서, 전극부(35)와 탄성지지부(37)는 전극부(31) 및 탄성지지부(33)와 동일한 구조를 가지고 동일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제1 단자(115)와 제3 단자(119)가 이상의 탄성 구조를 가지는 대신에, a 단자(135)와 c 단자(139)가 이상의 탄성 구조, 즉 전극부(31)와 탄성지지부(33)와 동일한 구조를 가질 수도 있다.
<접속 유닛의 다른 실시 예>
도 1 내지 도 3의 접속 유닛(130)은 4개의 패널-돌출부(113)에 끼워져 결합하는 형태를 가지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접속 유닛(400)은 2 개의 패널-돌출부(113)에 끼워져 결합하는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이때, 접속 유닛(400)이 2 개의 패널-돌출부(113)에 끼워지므로, 유닛-돌출부(401)는 잘려진 파이프 형상이 된다.
a 단자(403)는 제1 단자(115)와 대향하는 2 개 부분 중 어느 한 부분에만 마련되면 족하고, b 단자(405)는 2 개의 패널-돌출부(113)와 내접하는 내벽의 6개 부분 중 어느 하나에 배치되면 족하다. 내부 공간부(407)를 형성하는 벽의 두께가 두 개 패널-돌출부(113) 사이 간격의 절반인 경우, c 단자(409)는 내부 공간부(131)를 형성하는 장벽에 마련되어야 한다. d 단자(411)는 유닛-돌출부(401)의 외면 중에서 패널-돌출부(113)와 외접하는 2 부분 중 하나에 마련될 수 있다. 이처럼, a 내지 d 단자(403, 405, 407, 411)는 도 1 및 도 2의 접속 유닛(130)의 그것과 동일한 조건에서 위치 선택하여 생성하면 된다. 다만 c 단자(409)는 그 위치가 접속 유닛(400)의 장벽에 해당함을 고려하면 된다.
도 4의 접속 유닛(400)도 어느 방향으로 회전 접속판(110)에 결합하더라도 동일한 회선 접속이 이루어지며, 회선이 혼선되거나 단락(Short) 되는 위험이 없다.
당연히, 접속 유닛이 하나의 패널-돌출부(113)에 끼워지는 형태를 가질 수도 있으며, 이때도 동일한 방법으로 a 내지 d 단자가 마련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Claims (12)

  1. 각종 회선 접속을 위한 단자가 형성되는 회선 접속모듈에 있어서,
    베이스 패널과, 상기 베이스 패널상에 전후좌우 간격이 일정한 가상 격자의 교차점에 기둥형태로 돌출된 복수 개의 패널-돌출부를 포함하는 회선 접속판; 및
    가장자리가 사각형인 내부 공간부가 상기 복수 개의 패널-돌출부에 끼워짐으로써 상기 회선 접속판에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접속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접속 유닛은, 상기 내부 공간부의 상면에 형성된 a 단자와, 상기 내부 공간부의 측면에 형성된 b 단자를 구비하고,
    상기 회선 접속판은, 상기 패널-돌출부의 상면에 형성되어 상기 a 단자와 전기적으로 결합하는 제1 단자와, 상기 패널-돌출부의 측면 중에서 상기 내부 공간부의 내측면과 접촉하는 부분에 형성되어 상기 b 단자와 전기적으로 결합하는 제2 단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선 접속모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 유닛은, 상기 내부 공간부의 상면으로부터 수직하게 기둥 형상으로 형성된 c 단자를 더 포함하고,
    상기 회선 접속판은, 상기 베이스 패널 상에 마련되고, 상기 c 단자와 전기적으로 결합하는 제3 단자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선 접속모듈.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 유닛은, 상기 내부 공간부의 중심에 파이프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내부공간부에 끼워진 복수 개의 패널-돌출부와 외접하는 유닛-돌출부와, 상기 유닛-돌출부의 측면에 형성된 d 단자를 더 포함하고,
    상기 회선 접속판은, 상기 패널-돌출부의 측면 중에서 상기 유닛-돌출부와 외접하는 부분에 형성되어, 상기 d 단자와 전기적으로 결합하는 제4 단자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선 접속모듈.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단자와 제4 단자가 상호 교번적으로 4 개씩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선 접속모듈.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자와 제2 단자가 전기적으로 한 쌍이고, 상기 제3 단자와 제4 단자가 전기적으로 다른 한 쌍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선 접속모듈.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a 단자는 상기 내부 공간부의 상면에 마련된 돌기 형상이며,
    상기 제1 단자는,
    상기 패널-돌출부의 상면에 노출 형성되어 상기 a 단자와 전기적으로 접촉하는 전극부; 및
    상기 패널-돌출부 내의 공간부에 삽입되어, 상기 접속 유닛이 끼워져 결합할 때 상기 a 단자에 의해 가압되는 상기 전극부를 탄성 지지하는 탄성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선 접속모듈.
  7. 각종 전기적 회선 접속을 위한 단자가 형성되는 회선 접속판에 있어서,
    베이스 패널; 및
    상기 베이스 패널상에 전후좌우 간격이 일정한 가상 격자의 교차점에 기둥형태로 돌출되고, 상대 접속 유닛의 내부 공간부(가장자리가 사각형)에 복수 개가 끼워짐으로써 상기 접속 유닛과 결합하는 복수 개의 패널-돌출부;
    상기 패널-돌출부의 기둥 상면에 형성되어, 상기 내부 공간부의 상면에 형성된 a 단자와 전기적으로 결합하는 제1 단자; 및
    상기 패널-돌출부의 측면 중에서 상기 접속 유닛의 내부 공간부의 내측면과 접촉하는 부분에 형성되어, 상기 내부 공간부의 내측면에 형성된 b 단자와 전기적으로 결합하는 제2 단자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선 접속판.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패널 상에 마련되고, 상기 접속 유닛의 c 단자와 전기적으로 결합하는 제3 단자를 더 포함하되,
    상기 c 단자는 상기 내부 공간부의 상면으로부터 수직하게 기둥 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선 접속판.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돌출부의 측면 중에서 상기 접속 유닛의 유닛-돌출부와 외접하는 부분에 형성되어, 상기 유닛-돌출부의 측면에 형성된 d 단자와 전기적으로 결합하는 제4 단자를 포함하되,
    상기 유닛-돌출부는 상기 접속 유닛의 내부 공간부 내에 기둥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내부 공간부에 끼워진 복수 개의 패널-돌출부와 외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선 접속판.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단자와 제4 단자가 상호 교번적으로 4 개씩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선 접속판.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자와 제2 단자가 전기적으로 한 쌍이고, 상기 제3 단자와 제4 단자가 전기적으로 다른 한 쌍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선 접속판.
  12. 제7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자는,
    상기 패널-돌출부의 상면에 노출 형성되어 상기 a 단자와 전기적으로 접촉하는 전극부; 및
    상기 패널-돌출부 내의 공간부에 삽입되어, 상기 접속 유닛이 끼워져 결합할 때 상기 a 단자에 의해 가압되는 상기 전극부를 탄성 지지하는 탄성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선 접속판.


KR1020140042439A 2014-04-09 2014-04-09 전자, 전기 및 스마트 기기를 포함하는 장치를 위한 회선 접속판, 접속 유닛 및 회선 접속모듈 KR1015570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2439A KR101557003B1 (ko) 2014-04-09 2014-04-09 전자, 전기 및 스마트 기기를 포함하는 장치를 위한 회선 접속판, 접속 유닛 및 회선 접속모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2439A KR101557003B1 (ko) 2014-04-09 2014-04-09 전자, 전기 및 스마트 기기를 포함하는 장치를 위한 회선 접속판, 접속 유닛 및 회선 접속모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57003B1 true KR101557003B1 (ko) 2015-10-02

Family

ID=543416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42439A KR101557003B1 (ko) 2014-04-09 2014-04-09 전자, 전기 및 스마트 기기를 포함하는 장치를 위한 회선 접속판, 접속 유닛 및 회선 접속모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57003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9691B1 (ko) 2014-04-15 2014-12-05 (주)이산솔루션 로봇, 스마트 기기 및 전기, 전자 장치의 연결을 위한 회선 접속모듈 및 그 모듈을 위한 회선 접속판과 접속 유닛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9691B1 (ko) 2014-04-15 2014-12-05 (주)이산솔루션 로봇, 스마트 기기 및 전기, 전자 장치의 연결을 위한 회선 접속모듈 및 그 모듈을 위한 회선 접속판과 접속 유닛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45463B1 (ko) 완구 조립 세트용 조립판 및 이러한 조립판을 구비하는 완구 조립 세트
KR101160274B1 (ko) 커넥터를 구비하는 단자 블록
WO2017198484A9 (de) Stromsammelschienensystem
US7012196B2 (en) Apparatus, method and system for interfacing electronic circuits
WO2016069570A3 (en) Circular power connectors
TW201724660A (zh) 連接器系統
US9837217B2 (en) Capacitor module
CN207572652U (zh) 电连接器
TWI702077B (zh) 塑膠間隙塊及其製造方法
KR101557003B1 (ko) 전자, 전기 및 스마트 기기를 포함하는 장치를 위한 회선 접속판, 접속 유닛 및 회선 접속모듈
US3353139A (en) Panel provided with a number of socket contacts which are arranged in a definite pattern
RU2017114999A (ru) Гибридный электрический соединитель
WO2002043299A3 (en) A daughter board for a prototyping system
US20120111702A1 (en) Tilt switch preventing soldering material from enterning interior thereof
KR101604046B1 (ko) 무방향성 접속부를 구비한 로봇용 모듈과, 그 모듈을 이용한 조립식 로봇
KR101469691B1 (ko) 로봇, 스마트 기기 및 전기, 전자 장치의 연결을 위한 회선 접속모듈 및 그 모듈을 위한 회선 접속판과 접속 유닛
JP6704066B2 (ja) 分離回路の部品の集積接続の実現方法及び回路
US9728872B2 (en) Connector plug, connector socket, and connector
US9799972B2 (e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a plurality of sockets attached to an interior cross structure and exterior peripheral structure of a frame
JP2014212152A (ja) ブレッドボード
CN104143710B (zh) 具有旋转式音频插头的电子设备
JP2003051235A (ja) ブレーカの端子装置
JP2012048897A (ja) ジョイントコネクタ
JP6511762B2 (ja) 発光素子実装基板
KR102317944B1 (ko) 리셉터클 커넥터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