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55620B1 - 수/배전반용 자동소화 설비 유닛 - Google Patents

수/배전반용 자동소화 설비 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55620B1
KR101555620B1 KR1020150023774A KR20150023774A KR101555620B1 KR 101555620 B1 KR101555620 B1 KR 101555620B1 KR 1020150023774 A KR1020150023774 A KR 1020150023774A KR 20150023774 A KR20150023774 A KR 20150023774A KR 101555620 B1 KR101555620 B1 KR 1015556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temperature
fire extinguishing
extinguishing agent
electronic componen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237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행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신화에프이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신화에프이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신화에프이원
Priority to KR10201500237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5562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556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556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26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02B1/28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00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 A62C3/16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in electrical installations, e.g. cablewa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Fire-Extinguishing By Fire Departments, And Fire-Extinguishing Equipment And Control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배전반용 자동소화 설비 유닛을 제공한다. 상기 수/배전반용 자동소화 설비 유닛은 내부에 전자 부품들(10)이 배치되는 함체부(100)와; 상기 함체부(100)를 개폐하는 도어부(200)와; 상기 함체부(100) 및 상기 도어부(200)의 내부에 일정의 냉각 온도를 이루는 냉각수를 순환시키는 냉각부(300)와; 상기 함체부(100) 내부에 배치되는 상기 전자 부품들(10)의 온도를 측정하고, 상기 전자 부품들(10) 각각으로 냉풍을 공급하여 상기 전자 부품들(10)의 온도가 기설정된 과열 온도 이하를 이루도록 제어하는 냉풍 공급부(400); 및 상기 함체부(100) 내부에 화재로 인해 발생되는 연기를 감지하여, 상기 함체부(100) 내부에 소화제를 공급하여 소화시키는 소화부(500)를 포함하는 수/배전반용 자동소화 설비 유닛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수/배전반용 자동소화 설비 유닛{AUTO FIRE EXTINGUISHING UNIT FOR INCOMING AND DISTRIBUTING BOARD}
본 발명은 수/배전반용 자동소화 설비 유닛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배전반의 내부의 전자 부품들의 온도가 과열되는 것을 방지하여 화재를 미연에 방지함과 아울러, 화재 발생시 연기를 외부로 급속히 배출하고, 소화제를 분사하여 자동으로 소화시킬 수 있는 수/배전반용 자동소화 설비 유닛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기가 일반 가정까지 전달되는 과정은 예를 들어, 발전소-1차변전소-2차변전소-자가용변전실-수전반-변압기-배전반-동별분전반-계량기함-세대분전반-스위치-전등의 순으로 전달된다.
상기 수전반(受電盤)은 말 그대로 전기를 받는 패널로서, 수전반은 변압기 이전의 패널이고, 그리고 배전반(配電盤)은 전기를 나누어 주는 패널로서, 배전반은 변압기 이후의 패널이다.
이러한 수전반 및 배전반(이하, '수배전반'이라 함)은 과전류나 과부하 또는 단락 등에 의하여 전기 과열로 화재 발생의 위험이 내재되어 있다. 이러한 수배전반의 화재 발생에 대비하여 수배전반 내에 열감지기와 연기감지기 등이 장착되고,
또한, 외부로부터 소화 약제, 예를 들어, 하론(HALON)이나 이산화탄소(CO2) 등이 분사되는 분사노즐이 구비되어 있다.
더욱이 수배전반의 상단에 소화 약제 등이 구비된 소화장치가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수배전반의 화재에 대비하여 초기 진화를 목적으로 설치되는 소화장치는 통상 2~3m에 달하는 수배전반의 상단에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소화장치는 주기적으로 소화 약제의 압력상태나 인가되는 구동전원의 전압 및 수ㅇ배전반 내부의 온도를 점검을 하여야 한다.
그러나 소화장치가 수배전반의 상단에 설치되어 있어 이를 확인하기가 용이하지 않았다. 즉 소화장치 내에 구비된 소화 약제의 일측에 압력을 표시하는 표시기가 장착되어 있어 소화장치를 개방시킨 다음에 압력을 점검하거나 감시창을 통하여 내부의 표시기를 확인하여야 하는 불편이 있었다. 더욱이 소화장치의 구동전원의 전압도 확인하기가 용이하지 않았으며, 수배전반 내부의 온도도 일일이 온도계로 측정하여야 하는 등의 불편이 있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선행문헌으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 공개번호 제 10-2011-0087537호(2011.08.03)가 있으며, 상기 선행문헌에는 자동확산 소화기가 설치된 배전반에 대한 기술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배전반의 내부의 전자 부품들의 온도가 과열되는 것을 방지하여 화재를 미연에 방지함과 아울러, 화재 발생시 연기를 외부로 급속히 배출하고, 소화제를 분사하여 자동으로 소화시킬 수 있는 수/배전반용 자동소화 설비 유닛를 제공함에 있다.
바람직한 양태에 있어서, 본 발명은 수/배전반용 자동소화 설비 유닛을 제공한다.
상기 수/배전반용 자동소화 설비 유닛은 내부에 전자 부품들(10)이 배치되는 함체부(100)와; 상기 함체부(100)를 개폐하는 도어부(200)와; 상기 함체부(100) 및 상기 도어부(200)의 내부에 일정의 냉각 온도를 이루는 냉각수를 순환시키는 냉각부(300)와; 상기 함체부(100) 내부에 배치되는 상기 전자 부품들(10)의 온도를 측정하고, 상기 전자 부품들(10) 각각으로 냉풍을 공급하여 상기 전자 부품들(10)의 온도가 기설정된 과열 온도 이하를 이루도록 제어하는 냉풍 공급부(400); 및 상기 함체부(100) 내부에 화재로 인해 발생되는 연기를 감지하여, 상기 함체부(100) 내부에 소화제를 공급하여 소화시키는 소화부(500)를 포함하는 수/배전반용 자동소화 설비 유닛을 제공한다.
상기 냉각부(300)는, 상기 함체부(100)에 매설되며, 냉각수를 순환시키는 제 1냉각수 순환관(310)과, 상기 도어부(200)에 매설되며, 냉각수를 순환시키는 제 2냉각수 순환관(320)과, 상기 제 1,2냉각수 순환관(310,320)에 일정의 냉각 온도를 이루는 냉각수를 공급하는 냉각수 공급부(330)를 구비한다.
상기 냉풍 공급부(400)는, 상기 함체부(100)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전자 부품들(10)의 화상을 측정하고, 상기 화상을 이미지 처리하여 상기 전자 부품들(10)의 온도 분포를 산출하는 화상 온도 측정기(410)와, 상기 함체부(100)의 다수 위치에 관통되도록 연결되며, 상기 전자 부품들(10) 각각으로 냉풍을 공급하는 다수의 냉풍 공급 튜브(420)와, 상기 다수의 냉풍 공급 튜브(420) 각각에 설치되며, 냉풍의 유량을 조절하는 다수의 냉풍팬(430)과, 외기를 유입하여 일정의 온도로 냉각되도록 열교환 후, 상기 다수의 냉풍 공급 튜브(420)에 공급하는 냉풍 공급기(440)와, 산출된 상기 온도 분포를 기초로, 기설정된 과열 온도 이하를 이루도록 상기 다수의 냉풍팬(430) 각각을 독립적으로 구동을 제어하여, 상기 전자 부품들(10) 각각으로 냉풍의 유량을 서로 다르게 공급하는 제어기(450)를 구비한다.
상기 소화부(500)는, 상기 함체부(100)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함체부(100)의 내부에 발생되는 연기를 감지하고, 연기 감지에 대한 신호를 상기 제어기(450)로 전송하는 연기 감지 센서(510)와, 상기 함체부(100)의 내부에 설치되며, 외부로부터 공급받는 액상 또는 분말 형태의 소화제를 상기 함체부(100)의 내부에 분사하는 소화제 분사기들(520)과, 상기 함체부(100) 내부에 발생되는 연기를 외부로 강제 배출하는 배출부(530)를 구비한다.
상기 배출부(530)는, 상기 함체부(100)의 내부를 외부로 잇는 배출관(531)과, 상기 배출관(531)에 설치되어 상기 제어기(450)로부터 제어 신호를 받아 펌핑 동작되는 배출 펌프(532)를 구비한다.
상기 제어기(450)는, 상기 연기 감지 센서(510)로부터 상기 연기 감지 신호를 전송 받으면, 상기 소화제 분사기들(520)을 구동시켜 상기 함체부(100)의 내부에 상기 소화제를 분사하도록 한다.
상기 함체부(100)의 내측벽과, 상기 도어부(200)의 내측벽에는, 소화제 층(600)이 더 형성되고, 상기 소화제 층(600)은, 일정 두께의 고체 상의 소화제가 코팅 처리되어 형성되고, 상기 함체부(100)의 내측벽과, 상기 도어부(200)의 내측벽에는, 다수의 홀(H)이 형성되고, 상기 다수의 홀(H)에는 일정 두께의 플라스틱(F)이 형성되고, 상기 플라스틱(F)은, 상기 과열 온도 이상의 환경에 노출되면 녹아 내려, 상기 다수의 홀(H)을 개방하고, 상기 함체부(100)와 상기 도어부(200)의 내부에는, 저장 공간(1)에 형성되고. 상기 저장 공간(1)에는, 액상의 소화제가 밀폐 저장되고, 상기 다수의 홀(H)이 개방되는 경우, 상기 액상의 소화제는 상기 함체부(100)의 내부 공간으로 유출된다.
본 발명은, 배전반의 내부의 전자 부품들의 온도가 과열되는 것을 방지하여 화재를 미연에 방지함과 아울러, 화재 발생시 연기를 외부로 급속히 배출하고, 소화제를 분사하여 자동으로 소화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수/배전반용 자동소화 설비 유닛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함체부, 도어부의 내측면에 소화제 층이 더 형성되는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함체부, 도어부의 저장 공간에 액상의 소화제가 충전되는 것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수/배전반용 자동소화 설비 유닛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수/배전반용 자동소화 설비 유닛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2는 함체부, 도어부의 내측면에 소화제 층이 더 형성되는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3은 함체부, 도어부의 저장 공간에 액상의 소화제가 충전되는 것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 하면, 본 발명의 수/배전반용 자동소화 설비 유닛은 내부에 전자 부품들(10)이 배치되는 함체부(100)와; 상기 함체부(100)를 개폐하는 도어부(200)와; 상기 함체부(100) 및 상기 도어부(200)의 내부에 일정의 냉각 온도를 이루는 냉각수를 순환시키는 냉각부(300)와; 상기 함체부(100) 내부에 배치되는 상기 전자 부품들(10)의 온도를 측정하고, 상기 전자 부품들(10) 각각으로 냉풍을 공급하여 상기 전자 부품들(10)의 온도가 기설정된 과열 온도 이하를 이루도록 제어하는 냉풍 공급부(400); 및 상기 함체부(100) 내부에 화재로 인해 발생되는 연기를 감지하여, 상기 함체부(100) 내부에 소화제를 공급하여 소화시키는 소화부(500)를 포함하는 수/배전반용 자동소화 설비 유닛을 제공한다.
상기 냉각부(300)는, 상기 함체부(100)에 매설되며, 냉각수를 순환시키는 제 1냉각수 순환관(310)과, 상기 도어부(200)에 매설되며, 냉각수를 순환시키는 제 2냉각수 순환관(320)과, 상기 제 1,2냉각수 순환관(310,320)에 일정의 냉각 온도를 이루는 냉각수를 공급하는 냉각수 공급부(330)를 구비한다.
상기 냉풍 공급부(400)는, 상기 함체부(100)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전자 부품들(10)의 화상을 측정하고, 상기 화상을 이미지 처리하여 상기 전자 부품들(10)의 온도 분포를 산출하는 화상 온도 측정기(410)와, 상기 함체부(100)의 다수 위치에 관통되도록 연결되며, 상기 전자 부품들(10) 각각으로 냉풍을 공급하는 다수의 냉풍 공급 튜브(420)와, 상기 다수의 냉풍 공급 튜브(420) 각각에 설치되며, 냉풍의 유량을 조절하는 다수의 냉풍팬(430)과, 외기를 유입하여 일정의 온도로 냉각되도록 열교환 후, 상기 다수의 냉풍 공급 튜브(420)에 공급하는 냉풍 공급기(440)와, 산출된 상기 온도 분포를 기초로, 기설정된 과열 온도 이하를 이루도록 상기 다수의 냉풍팬(430) 각각을 독립적으로 구동을 제어하여, 상기 전자 부품들(10) 각각으로 냉풍의 유량을 서로 다르게 공급하는 제어기(450)를 구비한다.
상기 소화부(500)는, 상기 함체부(100)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함체부(100)의 내부에 발생되는 연기를 감지하고, 연기 감지에 대한 신호를 상기 제어기(450)로 전송하는 연기 감지 센서(510)와, 상기 함체부(100)의 내부에 설치되며, 외부로부터 공급받는 액상 또는 분말 형태의 소화제를 상기 함체부(100)의 내부에 분사하는 소화제 분사기들(520)과, 상기 함체부(100) 내부에 발생되는 연기를 외부로 강제 배출하는 배출부(530)를 구비한다.
상기 배출부(530)는, 상기 함체부(100)의 내부를 외부로 잇는 배출관(531)과, 상기 배출관(531)에 설치되어 상기 제어기(450)로부터 제어 신호를 받아 펌핑 동작되는 배출 펌프(532)를 구비한다.
상기 제어기(450)는, 상기 연기 감지 센서(510)로부터 상기 연기 감지 신호를 전송 받으면, 상기 소화제 분사기들(520)을 구동시켜 상기 함체부(100)의 내부에 상기 소화제를 분사하도록 한다.
도 2를 참조 하면, 상기 함체부(100)의 내측벽과, 상기 도어부(200)의 내측벽에는, 소화제 층(600)이 더 형성된다.
상기 소화제 층(600)은, 일정 두께의 고체 상의 소화제가 코팅 처리되어 형성된다.
도 3을 참조 하면, 함체부(100)의 내측벽과, 상기 도어부(200)의 내측벽에는, 다수의 홀(H)이 형성된다.
상기 다수의 홀(H)에는 일정 두께의 플라스틱(F)이 형성된다.
상기 플라스틱(F)은, 상기 과열 온도 이상의 환경에 노출되면 녹아 내려, 상기 다수의 홀(H)을 개방한다.
상기 함체부(100)와 상기 도어부(200)의 내부에는, 저장 공간(1)에 형성된다.
상기 저장 공간(1)에는, 액상의 소화제가 밀폐 저장되고, 상기 다수의 홀(H)이 개방되는 경우, 상기 액상의 소화제는 상기 함체부(100)의 내부 공간으로 유출된다.
상기 구성을 통해, 본 발명에 따르는 실시예는 배전반의 내부의 전자 부품들의 온도가 과열되는 것을 방지하여 화재를 미연에 방지함과 아울러, 화재 발생시 연기를 외부로 급속히 배출하고, 소화제를 분사하여 자동으로 소화시킬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수/배전반용 자동소화 설비 유닛에 관한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는 여러 가지 실시 변형이 가능함은 자명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에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전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즉, 전술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그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함체부
200 : 도어부
300 : 냉각부
400 : 냉풍 공급부
500 : 소화부
600 : 소화제 층

Claims (5)

  1. 내부에 전자 부품들(10)이 배치되는 함체부(100);
    상기 함체부(100)를 개폐하는 도어부(200);
    상기 함체부(100) 및 상기 도어부(200)의 내부에 일정의 냉각 온도를 이루는 냉각수를 순환시키는 냉각부(300);
    상기 함체부(100) 내부에 배치되는 상기 전자 부품들(10)의 온도를 측정하고, 상기 전자 부품들(10) 각각으로 냉풍을 공급하여 상기 전자 부품들(10)의 온도가 기설정된 과열 온도 이하를 이루도록 제어하는 냉풍 공급부(400); 및
    상기 함체부(100) 내부에 화재로 인해 발생되는 연기를 감지하여, 상기 함체부(100) 내부에 소화제를 공급하여 소화시키는 소화부(500)를 포함하고,
    상기 냉각부(300)는, 상기 함체부(100)에 매설되며, 냉각수를 순환시키는 제 1냉각수 순환관(310)과, 상기 도어부(200)에 매설되며, 냉각수를 순환시키는 제 2냉각수 순환관(320)과, 상기 제 1,2냉각수 순환관(310,320)에 일정의 냉각 온도를 이루는 냉각수를 공급하는 냉각수 공급부(330)를 구비하고,
    상기 냉풍 공급부(400)는,
    상기 함체부(100)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전자 부품들(10)의 화상을 측정하고, 상기 화상을 이미지 처리하여 상기 전자 부품들(10)의 온도 분포를 산출하는 화상 온도 측정기(410)와, 상기 함체부(100)의 다수 위치에 관통되도록 연결되며, 상기 전자 부품들(10) 각각으로 냉풍을 공급하는 다수의 냉풍 공급 튜브(420)와, 상기 다수의 냉풍 공급 튜브(420) 각각에 설치되며, 냉풍의 유량을 조절하는 다수의 냉풍팬(430)과, 외기를 유입하여 일정의 온도로 냉각되도록 열교환 후, 상기 다수의 냉풍 공급 튜브(420)에 공급하는 냉풍 공급기(440)와, 산출된 상기 온도 분포를 기초로, 기설정된 과열 온도 이하를 이루도록 상기 다수의 냉풍팬(430) 각각을 독립적으로 구동을 제어하여, 상기 전자 부품들(10) 각각으로 냉풍의 유량을 서로 다르게 공급하는 제어기(450)를 구비하고,
    상기 함체부(100)의 내측벽과, 상기 도어부(200)의 내측벽에는, 소화제 층(600)이 더 형성되고,
    상기 소화제 층(600)은, 일정 두께의 고체 상의 소화제가 코팅 처리되어 형성되고,
    상기 함체부(100)의 내측벽과, 상기 도어부(200)의 내측벽에는, 다수의 홀(H)이 형성되고,
    상기 다수의 홀(H)에는 일정 두께의 플라스틱(F)이 형성되고,
    상기 함체부(100)와 상기 도어부(200)의 내부에는, 액상의 소화제가 밀폐 저장되는 저장 공간(1)이 형성되고,
    상기 플라스틱(F)은, 상기 과열 온도 이상의 환경에 노출되면 녹아 내려, 상기 다수의 홀(H)을 개방하고,
    상기 다수의 홀(H)이 개방되는 경우, 상기 저장 공간에 저장되는 상기 액상의 소화제는 개방되는 상기 다수의 홀을 통해 상기 함체부(100)의 내부 공간으로 유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배전반용 자동소화 설비 유닛.
  2. 삭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소화부(500)는,
    상기 함체부(100)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함체부(100)의 내부에 발생되는 연기를 감지하고, 연기 감지에 대한 신호를 상기 제어기(450)로 전송하는 연기 감지 센서(510)와,
    상기 함체부(100)의 내부에 설치되며, 외부로부터 공급받는 액상 또는 분말 형태의 소화제를 상기 함체부(100)의 내부에 분사하는 소화제 분사기들(520)과,
    상기 함체부(100) 내부에 발생되는 연기를 외부로 강제 배출하는 배출부(530)를 구비하되,
    상기 배출부(530)는, 상기 함체부(100)의 내부를 외부로 잇는 배출관(531)과, 상기 배출관(531)에 설치되어 상기 제어기(450)로부터 제어 신호를 받아 펌핑 동작되는 배출 펌프(532)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기(450)는, 상기 연기 감지 센서(510)로부터 상기 연기 감지 신호를 전송 받으면, 상기 소화제 분사기들(520)을 구동시켜 상기 함체부(100)의 내부에 상기 소화제를 분사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배전반용 자동소화 설비 유닛.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소화제 층(600)은, 일정 두께의 고체 상의 소화제가 코팅 처리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배전반용 자동소화 설비 유닛.
KR1020150023774A 2015-02-17 2015-02-17 수/배전반용 자동소화 설비 유닛 KR1015556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3774A KR101555620B1 (ko) 2015-02-17 2015-02-17 수/배전반용 자동소화 설비 유닛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3774A KR101555620B1 (ko) 2015-02-17 2015-02-17 수/배전반용 자동소화 설비 유닛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55620B1 true KR101555620B1 (ko) 2015-09-24

Family

ID=542490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23774A KR101555620B1 (ko) 2015-02-17 2015-02-17 수/배전반용 자동소화 설비 유닛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55620B1 (ko)

Cited By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86459B1 (ko) * 2017-05-23 2017-10-17 (주)전인씨엠건축사사무소 화재 확산 방지구조를 갖는 공동주택의 배전반
KR101866686B1 (ko) 2017-03-02 2018-06-11 박정배 마이크로 캡슐 기반의 자동 소화 기능을 구비한 배전반 시스템, 그리고 이를 위한 자동 소화 기능을 구비한 마이크로 캡슐 모듈
KR101925876B1 (ko) * 2018-04-03 2018-12-07 주식회사 동도이엔씨 공동주택에 설치되는 소방시설 제어장치
CN110568237A (zh) * 2019-10-17 2019-12-13 广东电网有限责任公司 一种小型电量计量箱
KR20200015320A (ko) 2018-08-03 2020-02-12 심근보 부착형 소화패치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00019539A (ko) 2018-08-14 2020-02-24 심근보 소화용 수지 분말을 포함하는 IoT 열 감지 센서 및 이를 이용한 IoT 화재 감지 시스템
KR102143237B1 (ko) 2020-02-12 2020-08-10 주식회사 파이어캅 온도반응형 자동확산소화기
KR102174978B1 (ko) * 2020-05-28 2020-11-05 주식회사 동경기술단 154kv 이상급 변전소용 보호배전반
KR102174980B1 (ko) * 2020-05-29 2020-11-05 주식회사 동경기술단 전력 계통의 보호가 용이한 154kv 이상급 변전소 설비
KR102177562B1 (ko) * 2020-05-26 2020-11-11 윤은수 설비 이상 경보가 가능한 154kv 이상급 변전소의 변전설비
KR102177564B1 (ko) * 2020-05-21 2020-11-11 윤은수 154kv 이상급 변전소에 구비되는 변전소 정전 방지장치
KR102228409B1 (ko) * 2020-05-27 2021-03-16 주식회사 성운엔지니어링 안전기능이 향상된 154kv 이상급 변전소 주변압기의 보호배전반
KR102228407B1 (ko) * 2020-05-20 2021-03-16 주식회사 성운엔지니어링 154kv 이상급 변전소용 원격감시 가능 변전설비
CN112843540A (zh) * 2021-01-08 2021-05-28 杨明芹 一种机房能耗自动化检测调节设备
KR102287661B1 (ko) * 2020-05-25 2021-08-10 (주)수호전력 화재진압 기능이 구비된 수배전반
CN113453513A (zh) * 2021-07-01 2021-09-28 刘明 一种电气自动化设备的防火散热结构
CN114142358A (zh) * 2021-11-17 2022-03-04 江西明正变电设备有限公司 一种防护型高低压开关柜
CN114221240A (zh) * 2021-12-17 2022-03-22 中光高科(北京)节能工程管理股份有限公司 一种空调风机节能控制柜
KR102466139B1 (ko) 2021-06-29 2022-11-14 심효정 자동 소화 기능을 구비한 배전함
KR102509865B1 (ko) * 2022-02-14 2023-03-15 주식회사 종합건축사사무소창 보안 기능을 갖는 전기함 장치
KR102509175B1 (ko) * 2022-10-11 2023-03-15 주식회사 하이플랜 화재확산방지기능을 갖는 배전반
KR102537323B1 (ko) 2022-11-18 2023-05-30 지종식 화재 감지 및 예방 기능이 있는 배전반의 제어 방법, 장치 및 시스템
KR102561624B1 (ko) * 2022-06-27 2023-07-31 주식회사 이앤에스 공동주택 전기의 안전 통합관리 시스템
KR20230142295A (ko) 2022-04-01 2023-10-11 주식회사 엠오디텍 배전반 내부 자동소화 장치
CN117154577A (zh) * 2023-09-12 2023-12-01 山东高速建筑设计有限公司 一种变配电站安全监测系统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6819Y1 (ko) * 2006-03-02 2006-05-22 조봉기 배전반 소화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6819Y1 (ko) * 2006-03-02 2006-05-22 조봉기 배전반 소화장치

Cited By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6686B1 (ko) 2017-03-02 2018-06-11 박정배 마이크로 캡슐 기반의 자동 소화 기능을 구비한 배전반 시스템, 그리고 이를 위한 자동 소화 기능을 구비한 마이크로 캡슐 모듈
KR101786459B1 (ko) * 2017-05-23 2017-10-17 (주)전인씨엠건축사사무소 화재 확산 방지구조를 갖는 공동주택의 배전반
KR101925876B1 (ko) * 2018-04-03 2018-12-07 주식회사 동도이엔씨 공동주택에 설치되는 소방시설 제어장치
KR20200015320A (ko) 2018-08-03 2020-02-12 심근보 부착형 소화패치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00019539A (ko) 2018-08-14 2020-02-24 심근보 소화용 수지 분말을 포함하는 IoT 열 감지 센서 및 이를 이용한 IoT 화재 감지 시스템
CN110568237A (zh) * 2019-10-17 2019-12-13 广东电网有限责任公司 一种小型电量计量箱
CN110568237B (zh) * 2019-10-17 2024-03-26 广东电网有限责任公司 一种小型电量计量箱
KR102143237B1 (ko) 2020-02-12 2020-08-10 주식회사 파이어캅 온도반응형 자동확산소화기
KR102228407B1 (ko) * 2020-05-20 2021-03-16 주식회사 성운엔지니어링 154kv 이상급 변전소용 원격감시 가능 변전설비
KR102177564B1 (ko) * 2020-05-21 2020-11-11 윤은수 154kv 이상급 변전소에 구비되는 변전소 정전 방지장치
KR102287661B1 (ko) * 2020-05-25 2021-08-10 (주)수호전력 화재진압 기능이 구비된 수배전반
KR102177562B1 (ko) * 2020-05-26 2020-11-11 윤은수 설비 이상 경보가 가능한 154kv 이상급 변전소의 변전설비
KR102228409B1 (ko) * 2020-05-27 2021-03-16 주식회사 성운엔지니어링 안전기능이 향상된 154kv 이상급 변전소 주변압기의 보호배전반
KR102174978B1 (ko) * 2020-05-28 2020-11-05 주식회사 동경기술단 154kv 이상급 변전소용 보호배전반
KR102174980B1 (ko) * 2020-05-29 2020-11-05 주식회사 동경기술단 전력 계통의 보호가 용이한 154kv 이상급 변전소 설비
CN112843540A (zh) * 2021-01-08 2021-05-28 杨明芹 一种机房能耗自动化检测调节设备
KR102466139B1 (ko) 2021-06-29 2022-11-14 심효정 자동 소화 기능을 구비한 배전함
CN113453513A (zh) * 2021-07-01 2021-09-28 刘明 一种电气自动化设备的防火散热结构
CN113453513B (zh) * 2021-07-01 2024-01-30 刘明 一种电气自动化设备的防火散热结构
CN114142358A (zh) * 2021-11-17 2022-03-04 江西明正变电设备有限公司 一种防护型高低压开关柜
CN114142358B (zh) * 2021-11-17 2024-03-01 江西明正变电设备有限公司 一种防护型高低压开关柜
CN114221240A (zh) * 2021-12-17 2022-03-22 中光高科(北京)节能工程管理股份有限公司 一种空调风机节能控制柜
KR102509865B1 (ko) * 2022-02-14 2023-03-15 주식회사 종합건축사사무소창 보안 기능을 갖는 전기함 장치
KR20230142295A (ko) 2022-04-01 2023-10-11 주식회사 엠오디텍 배전반 내부 자동소화 장치
KR102561624B1 (ko) * 2022-06-27 2023-07-31 주식회사 이앤에스 공동주택 전기의 안전 통합관리 시스템
KR102509175B1 (ko) * 2022-10-11 2023-03-15 주식회사 하이플랜 화재확산방지기능을 갖는 배전반
KR102537323B1 (ko) 2022-11-18 2023-05-30 지종식 화재 감지 및 예방 기능이 있는 배전반의 제어 방법, 장치 및 시스템
CN117154577A (zh) * 2023-09-12 2023-12-01 山东高速建筑设计有限公司 一种变配电站安全监测系统
CN117154577B (zh) * 2023-09-12 2024-03-29 山东高速建筑设计有限公司 一种变配电站安全监测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55620B1 (ko) 수/배전반용 자동소화 설비 유닛
US4616694A (en) Fireproof cabinet system for electronic equipment
AU741673B2 (en) Switch cabinet with a fire extinguishing system
US8817471B2 (en) Overheat suppression systems and methods for an electrical housing
KR101434968B1 (ko) 방연막을 구비한 건물 방화문
KR101556948B1 (ko) 공동주택 변전실용 과열방지 및 무인 온도감지설비
KR102068978B1 (ko) 건축물 화재 초기 진압 소방 장치
US11365910B2 (en) Cooling module
KR101720102B1 (ko) 공동주택 전기기기의 소방 장치
CN216603874U (zh) 一种储能电池簇两级消防灭火系统
KR102188666B1 (ko) 전기판넬 화재 관리장치
KR20090042878A (ko) 소화 시스템을 구비한 공기조화기
KR20140085408A (ko) 수배전반 또는 전동기 제어반용 온도 및 습도 최적 상태 유지 장치
KR102172697B1 (ko) 화학물질 또는 가스 공급시스템에 구성되는 다중화된 자동 소화 시스템
US20210077842A1 (en) Sprinkler manifold for energy storage systems
US11359359B2 (en) Apparatus, methods and articles of manufacture for dry pipe sprinkler system
CN113555777A (zh) 一种化工制药工程用电控柜及电控柜散热系统
KR101506871B1 (ko) 열교환기가 구비된 물 가열기기의 내부누수 감지에 따른 제어방법
KR101783683B1 (ko) 건축물의 전기장치를 이용한 소방 설비 점검 장치
KR102173033B1 (ko) 주거용 주방소화 시스템
KR101775793B1 (ko) 전기설비함의 방열공 자동닫힘장치
KR101523513B1 (ko) 냉각장치를 구비한 통신 단자함
KR100828028B1 (ko) 화재방지 장치를 구비한 냉장고 및 그의 제어방법
KR20210020443A (ko) 배터리 케이스
KR101393795B1 (ko) 덕트 소화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2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