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54626B1 - Usb 보안 시스템 및 보안 방법 - Google Patents

Usb 보안 시스템 및 보안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54626B1
KR101554626B1 KR1020140182172A KR20140182172A KR101554626B1 KR 101554626 B1 KR101554626 B1 KR 101554626B1 KR 1020140182172 A KR1020140182172 A KR 1020140182172A KR 20140182172 A KR20140182172 A KR 20140182172A KR 101554626 B1 KR101554626 B1 KR 1015546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b
usb port
unit
lock
identification c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821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주동
Original Assignee
김주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주동 filed Critical 김주동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546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546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70Protecting specific internal or peripheral components, in which the protection of a component leads to protection of the entire computer
    • G06F21/78Protecting specific internal or peripheral components, in which the protection of a component leads to protection of the entire computer to assure secure storage of dat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USB 보안 시스템은 USB 포트에 삽입되어 상기 USB 포트를 물리적으로 잠금하는 USB 잠금장치와, 상기 USB 잠금장치의 개폐 여부를 판단하는 제어부과, 상기 제어부에서 인가되는 신호에 따라 USB 포트의 개폐 여부를 주기적으로 모니터링하고 USB 포트가 개방되었을 경우 보안경고를 발생시킴과 아울러 관리자에게 통지하는 경고부와, 상기 USB 포트를 사용할 때 사용 승인을 해주고 불법 사용인 경우 이를 경고하는 사용 승인부와, 상기 USB 포트를 사용할 때 사용에 대한 모든 내용을 기록 저장하는 기록 저장부로 구성되어 보안성능을 향상시킨다.

Description

USB 보안 시스템 및 보안 방법{USB SECURITY SYSTEM AND SECURITY METHOD}
본 발명은 USB 포트를 통한 테이터 유출을 물리적으로 차단함과 아울러 USB 포트의 개폐 여부를 인식하여 정상 사용 여부를 감시하고 사용승인을 하는 관리를 동시에 구현하는 USB 보안 시스템 및 보안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USB(Universal Serial Bus)는 개인용 컴퓨터(Personal Computer, PC)와 주변장치를 접속하는 버스규격을 말하는 것으로 컴퓨터와 외부 장치와의 연결을 위한 인터페이스 수단을 의미한다.
이와 같은 USB는 컴퓨터 단말기를 개방하지 않고도 외부 장치를 컴퓨터에 쉽게 연결할 수 있다. 예컨대, USB는 표준 포트와 플러그 조합을 사용하여 프린터, 모뎀, 스캐너, 디지털 카메라 및 USB 메모리와 같은 외부 장치를 손쉽게 연결하는 장점이 있다.
USB 메모리는 컴퓨터 단말기에 설치된 USB 포트에 연결하여 손쉽게 컴퓨터 단말기에 저장된 데이터를 불법복제할 수 있기 때문에 현재 정보 유출의 대부분이 USB 메모리를 통해 이루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현재 USB 메모리를 통한 정보유출을 방지하기 위해 USB 포트를 물리적으로 잠금하는 물리적인 통제와, USB 메모리가 USB 포트에 접속되면 USB 메모리사용허가를 인증하는 논리적 통제가 사용되고 있다.
먼저, 물리적인 통제의 한 장치로서, 종래의 USB 포트 잠금장치는 한국등록특허공보 10-1323364(2013년 10월 23일)에 개시된 바와 같이, 전자 기기의 USB 포트에 대응되는 틀 형상의 외측프레임과, 상기 외측프레임의 내부에 설치되며 전방으로 노출된 키홀을 가지는 내부 구조물을 가지며, 상기 USB 포트에 삽입 결합되는 잠금부재와, 상기 USB 포트에 삽입된 잠금부재를 강제로 빼낼 수 있도록 상기 키홀 내부로 삽입되어 선택적으로 걸리거나 해제 가능한 걸쇠키를 가지는 해제키 유닛으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USB 포트 잠금장치는 잠금부재를 USB 포트에 삽입하여 잠금하고, 해제키 유닛을 사용하여 잠금부재를 USB 포트에서 인출하는 것으로, 해제키 유닛을 가지면 누구나 잠금부재를 USB 포트에서 빼낼 수 있기 때문에 보안이 취약한 문제가 있다.
논리적 통제의 일환으로, 종래의 USB 포트용 저장매체의 보안 관리 시스템은 한국 등록특허공보 10-10622916(2011년 08월 31일)에 개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단말별 저장매체 사용 권한을 설정하기 위한 보안관리프로그램을 설치하여 실행된 보안관리프로그램에 의해 관리자 로그인 후 사용자단말별 사용자정보를 입력받고, 입력된 사용자정보의 단말별 장착된 저장매체의 매체식별코드를 생성하며, 저장매체별 사용권한, 외부 반출/반입 권한 설정을 위한 저장매체별 매체정보를 생성하는 관리자단말과, 유에스비 단자에 장착된 저장매체의 보안/인증을 위한 사용자보안프로그램을 설치하여 실행된 사용자보안프로그램을 통하여 사용자 로그인을 수행하고, 유에스비 단자에 저장매체 장착시 해당 저장매체의 인증 요청하고, 저장매체의 매체식별코드 인증에 의해 인증받아 해당 저장매체에 설정된 사용권한에 따라 컨텐츠를 암호화/복호화 요청하거나 외부 반출/반입 요청하는 사용자단말과, 상기 보안관리프로그램을 통하여 생성된 매체식별코드 및 사용자 또는 관리자별 저장매체 사용권한 설정을 위한 매체정보를 전송받아 저장하고, 사용자 또는 관리자 로그인 인증을 위한 사용자정보를 저장하는 정책서버와, 상기 정책서버와 연동하며, 상기 사용자정보에 포함된 사용자 또는 관리자의 아이디/패스워드를 대칭키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암호화하여 저장하고, 사용자/관리자 로그인시 입력되어 전송된 아이디/패스워드를 복호화하여 인증하며, 저장매체별 매체식별코드 또는 매체정보를 대칭키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암호화하여 저장하고, 저장매체 인증시 기저장된 매체식별코드를 복호화하여 인증하며, 상기 사용자단말로부터 컨텐츠 암호화 요청시 해당 컨텐츠를 대칭키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암호화하여 전송하고, 암호화된 컨텐츠 복호화 요청시 기저장된 사용자 패스워드 인증에 의해 인증후 해당 컨텐츠를 복호화하여 전송하는 인증서버로 구성된다.
하지만, 종래의 USB 포트용 저장매체의 보안 관리 시스템은 인증된 저장매체만 사용하기 때문에 사용이 불편하고, USB 포트 자체는 물리적으로 개방된 상태이고, 보안관리프로그램에 의해만 보안이 이루어지므로 해킹 등에 취약한 문제가 있다.
특히, 종래의 USB 포트 잠금장치 및 종래의 USB 포트용 저장매체의 보안 관리 시스템은 잠금장치를 해제하거나 보안 관리시스템이 해킹되면 유출자료의 내용 및 유출자를 색출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한국등록특허공보 10-1323364(2013년 10월 23일) 한국 등록특허공보 10-10622916(2011년 08월 31일)
본 발명의 목적은 USB 포트를 물리적으로 잠금함과 아울러 USB 포트의 개폐 여부를 인식하여 정상 사용 여부를 감시하여 USB 보안 관리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USB 보안 시스템 및 보안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USB 포트를 사용하고자 할 경우 USB 포트의 사용승인을 받도록 함으로써, USB 포트가 불법으로 사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USB 보안 시스템 및 보안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USB 포트를 사용하는 시점부터 사용이 끝날 때까지 화면을 녹화하여 USB 메모리에 다운로드 되는 정보의 내용을 추적 가능하게 할 수 있는 USB 보안 시스템 및 보안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USB 보안 시스템은 USB 포트에 삽입되어 상기 USB 포트를 물리적으로 잠금하는 USB 잠금장치와, 상기 USB 잠금장치의 개폐 여부를 판단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에서 인가되는 신호에 따라 USB 포트의 개폐 여부를 주기적으로 모니터링하고 USB 포트가 개방되었을 경우 보안경고를 발생시킴과 아울러 관리자에게 통지하는 경고부와, 상기 USB 포트를 사용할 때 사용 승인을 해주고 불법 사용인 경우 이를 경고하는 사용 승인부와, 상기 USB 포트를 사용할 때 사용에 대한 모든 내용을 기록 저장하는 기록 저장부를 포함한다.
상기 USB 잠금장치는 USB 포트에 삽입되어 상기 USB 포트를 잠금하는 잠금유닛과, 상기 잠금유닛을 USB 포트에서 분리하는 잠금 해제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잠금유닛에는 고유 식별코드가 부여된 IC 칩이 장착되고, 상기 잠금 해제유닛에는 상기 잠금유닛의 고유 식별 코드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잠금 해제유닛은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부재와, 상기 회전부재에 연결되어 같이 회전되고 상기 케이스의 일단에 돌출되게 배치되어 상기 잠금유닛에 결합되는 해제부재와, 상기 케이스의 일면에 배치되어 잠금유닛의 고유 식별코드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케이스의 타단에 설치되어 상기 잠금유닛이 삽입되는 잠금유닛 포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케이스 내부에는 잠금유닛 포트가 고정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잠금유닛이 잠금유닛 포트에 삽입되면 해당 잠금유닛의 고유 식별코드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PCB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해제부재는 그 끝부분에 상기 잠금유닛에 형성되는 결합홈에 결합되는 결합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결합돌기는 외면에 나사산을 갖는 숫나사부로 형성되고, 상기 결합홈은 내면에 나사산을 갖는 암나사부로 형성되며, 상기 숫나사부와 암나사부는 나사선의 치수 및 나사선의 형태를 일반 나사와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잠금유닛은 상기 USB 포트에 삽입되도록 USB 포트와 동일한 사이즈를 갖는 본체와, 상기 본체 내부에 고정되고 고유 식별코드가 부여된 IC 칩과, 상기 본체의 일면에 고정되고 상기 결합홈이 형성되는 금속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잠금유닛은 상기 USB 포트에 삽입되도록 USB 포트와 동일한 사이즈를 갖는 본체와, 상기 본체 내부에 고정되고 고유 식별코드가 부여된 IC 칩과, 상기 본체의 일면에 고정되고 상기 결합홈이 형성되는 금속판을 포함하고, 상기 본체의 외면에는 상기 USB 포트에 영구 고정될 수 있도록 USB 포트에 걸림되는 걸림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사용 승인부는 사용자가 USB 사용 시간이 입력하면 사용시간을 체크하여 사용 시간이 경과되면 사용자에게 경고함과 아울러 관리자에게 통지할 수 있다.
상기 기록 저장부는 USB 메모리가 USB 포트에 삽입된 시점부터 제거될 때까지 사용자 단말기의 화면을 녹화한 녹화기록, 로그정보 및 USB 메모리에 저장되는 테이터 사본을 저장하고, USB 메모리가 USB 포트에 삽입되면 단말기에 설치된 카메라를 이용하여 사용자를 촬영한 촬영내용을 저장할 수 있다.
USB 보안 방법은 USB 잠금장치를 이용하여 USB 포트를 잠금하는 단계와, 상기 USB 잠금장치에 의한 USB 포트의 개폐 여부를 주기적으로 모니터링하고, 상기 USB 잠금장치가 USB 포트에서 제거되면 보안경고를 발생시키고 관리자에게 통지하는 단계와,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인증 정보 및 사용시간에 따라 사용 승인을 하고, USB 포트 사용시간을 체크하여 사용시간이 경과되면 사용자에게 알림과 아울러 관리자에게 통지하는 단계와, USB 메모리가 USB 포트에 삽입된 시점부터 제거될 때까지 USB 포트를 사용에 따른 모든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USB 사용에 따른 모든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는 사용자 단말기의 화면을 녹화한 녹화기록, 로그정보 및 USB 메모리에 저장되는 테이터 사본을 저장하고, USB 메모리가 USB 포트에 삽입되면 단말기에 설치된 카메라를 이용하여 사용자를 촬영한 촬영내용을 저장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USB 보안장치 및 보안방법은 USB 포트를 물리적으로 잠금함과 아울러 USB 포트의 개폐 여부를 인식하여 정상 사용 여부를 감시하여 USB 보안 관리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USB 보안장치 및 보안방법은 USB 포트를 사용하고자 할 경우 USB 포트의 사용승인을 받도록 함으로써, USB 포트가 불법으로 사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USB 보안장치 및 보안방법은 USB 포트를 사용하는 시점부터 사용이 끝날 때까지 화면을 녹화하여 USB 메모리에 다운로드 되는 정보의 내용을 추적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USB 보안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USB 보안장치의 블럭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UBS 잠금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잠금 해제유닛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잠금 해제유닛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해제부재의 결합돌기 및 잠금유닛의 결합홈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잠금유닛의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잠금유닛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잠금유닛의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USB 보안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USB 보안 시스템의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USB 보안 시스템의 블럭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USB 포트용 저장매체의 보안 시스템은 복수의 사용자 단말기(110,120,130)에 설치되는 USB 포트(100)에 삽입되어 USB 포트(100)를 물리적으로 잠금하는 USB 잠금장치(140)와, USB 잠금장치(140)에 의한 USB 포트(100)의 개폐 여부를 감시하여 정상 사용 여부를 감시하여 불법 사용인 경우 이를 경고하는 관리 시스템(160)을 포함한다.
USB 잠금장치는 도 3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USB 포트(100)에 삽입되어 USB 포트(100)를 잠금하는 잠금유닛(10)과, 잠금유닛(10)을 USB 포트(100)에서 분리하는 잠금 해제유닛(20)을 포함한다.
잠금 해제유닛(20)은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22)와, 케이스(22)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부재(24)와, 회전부재(24)에 연결되어 같이 회전되고 케이스(22)의 일단에 돌출되게 배치되어 잠금유닛(10)에 결합되는 해제부재(26)와, 케이스(22)의 일면에 배치되어 잠금유닛(10)의 고유 식별코드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28)와, 케이스(22)의 타단에 설치되어 잠금유닛(10)이 삽입되는 잠금유닛 포트(30)를 포함한다.
케이스(22)는 상부 케이스(32), 상부 케이스(32)에 결합되는 하부 케이스(34) 및 상부 케이스(32) 및 하부 케이스(34)의 전방에는 결합되고 해제부재(26)가 인출되는 전방 케이스(36)를 포함한다. 그리고, 전방 케이스(36)에는 해제부재(26)를 보호하기 위한 덮개부재(28)가 분리 가능하게 장착된다.
회전부재(24)는 사용자가 회전시키기 용이하도록 일정 두께를 갖는 원판 형태로 형성되고, 그 중심에는 해제부재(26)가 연결된다. 따라서, 회전부재(24)를 회전시키면 해제부재(26)가 같이 회전되면서 잠금유닛(10)에 결합되거나 결합이 해제된다.
해제부재(26)는 그 끝부분에 잠금유닛(10)에 형성되는 결합홈(12)에 결합될 수 있는 결합돌기(40)가 형성된다.
여기에서, 결합돌기(40)는 해제부재(26)의 끝부분에 외면에 나사산을 갖는 숫나사부로 형성되고, 결합홈(12)은 내면에 나사산을 갖는 암나사부로 형성되어 해제부재(26)를 일방향으로 돌리면 해제부재(26)가 잠금유닛(10)에 결합되고, 타방향으로 돌리면 잠금유닛(10)과의 결합이 해제된다.
이때, 숫나사부와 암나사부의 나사선의 치수 및 나사선의 형태를 일반 나사와는 다르게 형성하여 해제부재(26) 이외의 다른 공구 및 볼트 등에 의해서는 잠금유닛(10)의 결합홈(12)에 결합되지 못하도록 한다.
특히, 숫나사부와 암나사부는 일반적인 나사의 조이거나 푸는 방향과는 반대로 왼쪽으로 돌리면 조여지고, 오른쪽으로 돌리면 풀리도록 형성한다.
이와 같이, 해제부재(26)의 결합돌기(40)와 잠금유닛(10)의 결합홈(12)은 특정 나사선 형태 및 특정 치수로 형성하여 잠금 해제유닛 이외에는 잠금유닛에 결합되지 못하도록 하여 보안 기능을 보강하였다.
그리고, 결합돌기(40) 및 결합홈(12)은 나사 형태 이외에,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돌기는 일자 돌기(40a)로 형성되고, 결합홈은 일자홈(12a)으로 형성되어 일자돌기(40a)를 일자홈(12a)에 삽입한 후 90도 회전시켜 일자돌기(40a)가 일자홈(12a) 내측에 걸림되도록 하는 방식이 사용될 수 있다.
이외에, 결합돌기와 결합홈은 십자돌기 또는 T 자 돌기 등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고, 잠금유닛에 결합될 수 있는 구조이면 어떠한 구조도 적용이 가능하다.
케이스(22)의 내부에는 잠금유닛 포트(30)가 고정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디스플레이부(28)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잠금유닛(10)이 잠금유닛 포트(30)에 삽입되면 해당 잠금유닛(10)의 고유 식별코드를 디스플레이부(28)에 표시하는 각종 회로부품이 실장되는 PCB(46)가 설치된다.
그리고, PCB(46)의 일측에는 USB 포트(100)가 어두울 경우 빛을 밝혀주는 LED 램프(48)가 장착된다. 그리고, 케이스(22)의 측면에는 전원 스위치(50) 및 LED 램프 스위치(52)가 설치된다.
LED 램프(48)는 해제부재(26)가 인출되는 전방 케이스(36)에 설치되어 해제부재(26)의 결합돌기(40)를 잠금유닛(10)의 결합홈(12)에 결합할 때 빛을 밝혀주는 역할을 한다.
케이스(22) 내부에는 PCB(46)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배터리(54)가 장착되고, 케이스(22)의 후방에는 배터리(54)를 교체할 때 분리하는 배터리 커버(56)가 장착된다.
잠금유닛(10)은 도 8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USB 포트(100)에 삽입되도록 USB 포트(100)와 동일한 사이즈를 갖는 본체(14)와, 본체(14) 내부에 고정되고 고유 식별코드가 부여된 IC 칩(16)과, 본체(14)의 일면에 고정되고 결합홈(12)이 형성되는 금속판(18)을 포함한다.
본체(14)는 IC 칩(16)이 고정되고 USB 포트에 설치되는 걸림편에 걸림되는 걸림홈(60)이 형성되는 하판부(62)와, 하판부(62)의 후방에 형성되어 금속판(18)이 결합되는 결합부(64)와, 하판부(62)의 양쪽 측면에 수직하게 형성되고 전방으로 갈수록 높이가 낮아지는 경사면(66)으로 형성되는 측면부(68)를 포함한다.
케이스(22)의 후면에는 잠금유닛(10)이 잠금유닛 포트(30)에 삽입되도록 개구된 삽입홈(70)이 형성되고, 삽입홈(70)은 잠금유닛(10)의 하판부(62)가 삽입되도록 하판부(62)의 두께와 동일한 두께로 형성되는 제1홈부(72)와, 제1홈부(72)의 양단에서 직각으로 형성되어 잠금유닛(10)의 측면부(68)가 삽입되는 제2홈부(74)로 형성된다.
이와 같이, 삽입홈(70)은 "ㄷ" 자 형태로 형성되어 본 발명의 잠금유닛(10) 이외 기존의 USB 등 다른 부품이 삽입될 수 없도록 한다. 그리고, 측면부(68)는 경사면(66)으로 형성되어 삽입홈(70)에 보다 쉽게 삽입될 수 있도록 한다.
IC 칩(16)은 잠금유닛(10)의 인출 및 인입된 상태를 파악하여 USB 포트(100)의 개폐 여부를 관리 시스템(160)으로 전달하는 기능을 갖는다. 즉, 사용자가 USB 포트(100)를 사용하기 위해 잠금유닛(10)을 USB 포트(100)에서 인출하면 IC 칩(16)은 USB 포트(100)의 개폐 여부를 관리 시스템(160)으로 전달한다.
여기에서, IC 칩(16)에는 고유 식별코드가 부여되어 단말기의 고유 식별코드와 일치되는 IC 칩만 잠금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이 구비된다. 즉, 각 IC 칩(16)에 의해 고유 식별코드가 부여된 잠금유닛(10)은 고유 식별코드와 일치되는 해당 단말기만 잠금이 가능하므로 고유 식별코드가 다르거나 고유 식별코드가 없는 잠금유닛을 USB 포트(100)에 삽입할 경우 관리 시스템(160)으로 그 신호를 전달하면 관리 시스템(160)은 신호에 따라 보안 경고를 발생하면서 관리자에게 이를 통지한다.
IC 칩(16)은 고유 식별코드가 없는 타입도 적용이 가능하다. 즉, 잠금유닛(10)을 USB 포트(100)에 삽입하거나 인출하면 그 신호를 관리시스템(160)으로 인가하는 USB 포트(100)의 개폐 여부만 감지하는 센싱유닛이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IC 칩(16)은 최초 생산시에는 고유 식별코드가 없는 상태이고, 사용자가 PC 등의 단말기에 있는 USB 포트(100)에 삽입하면 고유 식별코드 입력창이 생성되어 사용자가 고유 식별코드를 부여할 수 있도록 하였다.
물론, 생산단계에서 IC 칩에 고유 식별코드를 부여하고 사용자에게 고유 식별코드를 알려주는 것도 가능하다.
잠금유닛(10)은 금형에 IC 칩(16) 및 금속판(18)을 배열한 후 인서트 사출에 의해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잠금유닛(10)은 IC 칩이 없는 형태도 가능하다. 즉, 잠금유닛(10)은 IC 칩이 없이 USB 포트를 단순히 잠금하는 기능만을 수행하는 구조이다.
잠금유닛은 다른 실시예로서,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USB 포트(100)에 삽입되도록 USB 포트(100)와 동일한 사이즈를 갖는 본체(80)와, 본체(80) 내부에 고정되고 고유 식별코드가 부여된 IC 칩과, 본체(80)의 일면에 고정되는 금속판(18)과, 본체(80)의 외면에 형성되어 USB 포트에 영구적으로 고정되도록 USB 포트에 걸림되는 걸림돌기(84)를 포함한다.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잠금유닛은 본체의 외면에 걸림돌기가 형성되어 잠금유닛을 USB 포트에 삽입하면 걸림돌기(84)가 USB 포트에 걸림되어 USB 포트에서 인출되지 않도록 고정한다.
이러한 잠금유닛은 PC 등의 단말기에 USB 포트가 다수개 설치될 경우 필요한 USB 포트 이외에 나머지 USB 포트를 잠금유닛으로 막아 사용을 못하게 하기 위해 사용된다.
이러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잠금유닛에는 IC 칩이 없는 형태도 가능하다. 즉, IC 칩이 없이 USB 포트를 막아주는 구조이다.
그리고, 잠금유닛의 본체는 경사면이 없이 직육면체 형태도 사용이 가능하고, 걸림돌기가 있는 형태, 걸림돌기가 없는 형태, IC 칩이 있는 형태, IC 칩이 없는 형태, 결합홈이 있는 형태, 결합홈이 없는 형태 중 다양한 형태로 조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잠금유닛은 또 다른 실시예로서, USB 포트(100)에 삽입되도록 USB 포트(100)와 동일한 사이즈를 갖는 본체(80)와, 본체(80) 내부에 고정되고 본체(80)를 USB 포트(100)에 삽입하면 USB 포트의 개폐 여부를 감지하여 그 신호를 관리서버로 전달하는 센싱유닛과, 본체(80)의 일면에 고정되는 금속판(18)을 포함한다.
센싱유닛은 USB 포트의 개폐 여부만을 감지하는 센서로서, 온/오프 스위치 형태 등 다양한 형태의 센서가 사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잠금유닛은 잠금유닛을 USB 포트에 삽입하면 센싱유닛이 이를 감지하여 관리서버나 해당 단말기로 그 신호를 인가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USB 잠금장치의 작용을 다음에서 설명한다.
먼저, 잠금유닛(10)을 잠금 해제유닛(20)의 잠금유닛 포트(30)에 삽입하면 디스플레이부(28)에 해당 잠금유닛의 고유 식별코드가 표시된다. 작업자는 디스플레이부(28)에 표시된 고유 식별코드가 해당 단말기의 고유 식별코드와 일치하는지 확인한다.
즉, 잠금유닛(10)을 잠금유닛 포트(30)에 삽입하면 잠금유닛(10)에 설치된 고유식별 코드가 부여된 IC 칩(16)의 신호가 PCB(46)로 전달되고, PCB(46)에서 고유식별 코드를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잠금 해제유닛(20)에서 잠금유닛(10)의 고유 식별코드를 확인할 수 있어 잠금유닛(10)을 단말기에 삽입한 후 고유 식별코드가 일치되는지 확인작업을 해야되는 번거로움을 없앨 수 있어 사용이 편리하다.
그리고, 해당 잠금유닛(20)의 고유 식별코드가 일치되는 것으로 확인되면 해당 잠금유닛(10)을 단말기의 USB 포트에 삽입한다.
그러면, 제어유닛에서 잠금유닛(10)의 IC 칩(16)에서 인가되는 신호를 받아 USB 포트(100)의 개폐 여부를 판단한다. 그리고, 제어부(150)는 USB 포트(100)의 개폐 여부를 기록저장부(162)로 전송하여 저장한다. 그리고, 관리서버에서 USB 포트(100)의 개폐 여부를 주기적으로 모니터링한다.
여기에서, IC 칩(16)에 고유 식별코드가 부여된 경우 해당 단말기의 고유 식별코드와 일치되는 IC 칩인 경우에만 해당 단말기를 잠금할 수 있고, 만일, 고유 식별 코드가 불일치되거나 고유 식별코드가 없는 경우 제어유닛은 이를 판단하여 보안경고를 발생시키고 관리자에게 통지한다.
그리고, 잠금유닛(10)이 USB 포트(100)에서 제거되면 보안경고를 발생시키고 이를 관리자에게 통지한다. 즉, 제어유닛은 IC 칩(16)에서 인가되는 신호에 따라 잠금유닛(10)이 USB 포트(100)에서 제거되어 USB 포트(100)가 개방된 경우 경고유닛(24)을 작동시켜 보안경고를 발생시킴과 아울러 관리자에게 이를 통지한다.
그리고, USB 포트(100)를 사용하기 위해 잠금유닛(10)을 USB 포트(100)에서 분리할 경우 잠금 해제유닛(20)의 해제부재(26)의 끝부분에 형성되는 결합돌기(40)를 잠금유닛(10)의 결합홈(12)에 결합한다.
즉, 회전부재(24)를 회전시키면 숫나사부 형태인 결합돌기(40)가 암나사부 형태인 결합홈(12)에 나사 결합된다. 이때, USB 포트(100)가 어두운 곳에 배치될 경우 LED 램프 스위치(52)를 온(ON)시켜 USB 램프(48)를 점등하여 빛을 밝혀준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USB 잠금장치(140)는 잠금유닛(10)이 USB 포트(100)에 삽입되어 USB 포트(100)를 잠금하고, 잠금 해제유닛(20)을 이용해서만 잠금유닛(10)의 잠금을 해제할 수 있어 USB 포트(100)의 물리적인 잠금이 가능하다.
관리 시스템(160)은 잠금유닛(10)의 IC 칩(16)에서 인가되는 신호를 받아 USB 포트(100)의 개폐 여부를 판단하는 제어부(150)과, 제어부(150)에서 인가되는 신호에 따라 USB 포트(100)의 개폐 여부를 주기적으로 모니터링하고 USB 포트(100)가 개방되었을 경우 보안경고를 발생시킴과 아울러 관리자에게 통지하는 경고부(166)와, USB 포트(100)를 사용할 때 사용 승인을 해주고 불법 사용인 경우 이를 경고하는 사용 승인부(164)와, USB 포트(100)를 사용할 때 사용에 대한 모든 내용을 기록 저장하는 기록 저장부(162)를 포함한다.
사용 승인부(164)는 사용자 단말기(110,120,130)를 통해 정상 사용자가 USB 사용 승인을 요청하면 사용 승인부(164)에서는 정상 사용자일 경우 이를 승인한다. 그리고, 사용자가 USB 사용 시간을 등록하면 사용 승인부(164)를 사용 시간을 체크하여 사용 시간이 경과될 경우 이를 사용자에게 경고함과 아울러 관리자에게 통보한다.
사용자 승인은 아이디/비밀번호 인증정보, 공개키 또는 개인키 등의 인증 정보를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기(110,120,130)의 요청에 따라 입력한다. 사용 승인부(164)는 사용자가 입력한 정보가 정확할 경우 USB 사용 승인을 하고, 정상 사용자가 아닐 경우 관리자에게 통보한다.
기록 저장부(162)는 사용자 단말기(110,120,130)의 화면을 녹화한 녹화기록, 로그정보, USB 메모리에 저장되는 테이터 사본 등 USB 포트(100)를 사용에 따른 모든 정보를 저장한다. 그리고, 사용자 단말기에 외장 카메라가 설치된 경우 외장 카메라를 통해 현재 사용자 단말기 사용자를 촬영하여 기록 저장부(162)에 저장한다.
이와 같이, USB 사용에 대한 모든 내용을 저장하고 사용자를 촬영함으로써, USB 메모리에 저장되는 내용 및 사용자를 확인할 수 있어 추후 보안 문제가 발생되었을 때 추적이 가능하여 증거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USB 보안 시스템의 USB 보안 방법을 다음에서 설명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USB 보안 방법의 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USB 보안 방법은 먼저, USB 잠금장치(140)를 이용하여 USB 포트(100)를 잠금한다(S10). 즉,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잠금 해제유닛(20)을 이용하여 잠금유닛(10)을 USB 포트(100)에 삽입하여 USB 포트(100)를 잠금한다.
그리고, USB 잠금장치(140)에 의한 USB 포트(100)의 개폐 여부를 주기적으로 모니터링한다(S20). 즉, 제어부(150)가 USB 잠금장치(140)에 구비된 IC 칩(16)에서 인가되는 신호를 받아 USB 포트(100)의 개폐 여부를 판단한다.
여기에서, IC 칩(16)에 고유 식별코드가 부여된 경우 해당 단말기의 고유 식별코드와 일치되는 IC 칩인 경우에만 해당 단말기를 잠금할 수 있고, 만일, 고유 식별 코드가 불일치되거나 고유 식별코드가 없는 경우 제어부(150)는 이를 판단하여 보안경고를 발생시키고 관리자에게 통지한다.
그리고, 잠금유닛(10)이 USB 포트(100)에서 제거되면 보안경고를 발생시키고 관리자에게 통지한다(S30). 즉, 제어부(150)는 IC 칩(16)에서 인가되는 신호에 따라 잠금유닛(10)이 USB 포트(100)에서 제거되어 USB 포트(100)가 개방된 경우 경고부(166)를 작동시켜 보안경고를 발생시킴과 아울러 관리자에게 이를 통지한다.
그리고, USB 포트(100) 사용 승인을 요청한다.(S40) 즉, 사용자가 단말기의 요청에 따라 아이디/비밀번호 인증정보, 공개키 또는 개인키 등의 인증 정보를 입력하여 사용 승인을 받고, USB 사용 시간을 입력한다. 그러면 사용 승인부(164)에서 정상 사용자인 경우 사용 승인을 하고, 불법 사용자인 경우 경고를 발생시킴과 아울러 이를 관리자에게 통지한다. 그리고, USB 사용 시간이 입력되면 이를 타이밍하여 사용 시간이 경과되면 사용자에게 경고함과 아울러 관리자에게 통지한다.
그리고, USB 메모리가 USB 포트(100)에 삽입된 시점부터 제거될 때까지 USB 포트(100)를 사용에 따른 모든 정보를 저장한다(S50). 즉, USB 메모리를 USB 포트(100)에 삽입한 시점부터 사용자 단말기의 화면을 녹화한 녹화기록, 로그정보 및 USB 메모리에 저장되는 테이터 사본 등을 기록 저장부에 저장한다.
그리고, 단말기에 외장카메라가 설치될 경우 단말기 사용자를 촬영하여, 촬영 내용을 기록 저장부에 기록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USB 보안 시스템 및 보안 방법은 USB 잠금장치를 이용하여 USB 포트를 물리적으로 잠금하고, 잠금유닛(10)이 USB 포트(100)에서 제거되면 보안경고를 발생시킴과 아울러 관리자에게 통지하며, USB 포트(100) 사용 승인및 사용시간을 체크하여 사용시간이 경과되면 경고하며, USB 메모리가 USB 포트(100)에 삽입된 시점부터 제거될 때까지 USB 포트(100)를 사용에 따른 모든 정보를 저장함으로써, 보안 성능을 향상시킨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
10: 잠금유닛 12: 결합홈
14: 본체 16: IC 칩
18: 금속판 20: 잠금 해제유닛
22: 케이스 24: 회전부재
26: 해제부재 28: 디스플레이부
30: 잠금유닛 포트 40: 결합돌기
46: PCB 48: LED 램프
100: USB 포트 110,120,130: 단말기
140: USB 잠금장치 150: 제어부
160: 관리 시스템 162: 기록 저장부
164: 사용 승인부 166: 경고부

Claims (12)

  1. USB 포트에 삽입되어 상기 USB 포트를 물리적으로 잠금하는 USB 잠금장치; 및
    상기 USB 잠금장치의 개폐 여부를 판단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에서 인가되는 신호에 따라 USB 포트의 개폐 여부를 주기적으로 모니터링하고 USB 포트가 개방되었을 경우 보안경고를 발생시킴과 아울러 관리자에게 통지하는 경고부;
    상기 USB 포트를 사용할 때 사용 승인을 해주고 불법 사용인 경우 이를 경고하는 사용 승인부; 및
    상기 USB 포트를 사용할 때 사용에 대한 모든 내용을 기록 저장하는 기록 저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USB 잠금장치는 USB 포트에 삽입되어 상기 USB 포트를 잠금하는 잠금유닛과, 상기 잠금유닛을 USB 포트에서 분리하는 잠금 해제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잠금유닛에는 고유 식별코드가 부여된 IC 칩이 장착되고, 상기 잠금 해제유닛에는 상기 잠금유닛의 고유 식별 코드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USB 보안 시스템.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 해제유닛은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부재와,
    상기 회전부재에 연결되어 같이 회전되고 상기 케이스의 일단에 돌출되게 배치되어 상기 잠금유닛에 결합되는 해제부재와,
    상기 케이스의 일면에 배치되어 잠금유닛의 고유 식별코드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케이스의 타단에 설치되어 상기 잠금유닛이 삽입되는 잠금유닛 포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USB 보안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 내부에는 잠금유닛 포트가 고정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잠금유닛이 잠금유닛 포트에 삽입되면 해당 잠금유닛의 고유 식별코드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PCB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USB 보안 시스템.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해제부재는 그 끝부분에 상기 잠금유닛에 형성되는 결합홈에 결합되는 결합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결합돌기는 외면에 나사산을 갖는 숫나사부로 형성되고, 상기 결합홈은 내면에 나사산을 갖는 암나사부로 형성되며,
    상기 숫나사부와 암나사부는 나사선의 치수 및 나사선의 형태를 일반 나사와 다르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USB 보안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유닛은 상기 USB 포트에 삽입되도록 USB 포트와 동일한 사이즈를 갖는 본체와,
    상기 본체 내부에 고정되고 고유 식별코드가 부여된 IC 칩과,
    상기 본체의 일면에 고정되고 상기 결합홈이 형성되는 금속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USB 보안 시스템.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유닛은 상기 USB 포트에 삽입되도록 USB 포트와 동일한 사이즈를 갖는 본체와,
    상기 본체 내부에 고정되고 고유 식별코드가 부여된 IC 칩과,
    상기 본체의 일면에 고정되고 상기 결합홈이 형성되는 금속판을 포함하고,
    상기 본체의 외면에는 상기 USB 포트에 영구 고정될 수 있도록 USB 포트에 걸림되는 걸림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USB 보안 시스템.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IC 칩은 고유 식별코드가 부여되어, 단말기의 고유 식별코드와 일치되는 IC 칩만 해당 단말기를 잠금할 수 있도록 하고,
    고유 식별코드가 불일치되거나 고유 식별코드가 없는 경우 보안 경고를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USB 보안 시스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 승인부는 사용자가 USB 사용 시간이 입력하면 사용시간을 체크하여 사용 시간이 경과되면 사용자에게 경고함과 아울러 관리자에게 통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USB 보안 시스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 저장부는 USB 메모리가 USB 포트에 삽입된 시점부터 제거될 때까지 사용자 단말기의 화면을 녹화한 녹화기록, 로그정보 및 USB 메모리에 저장되는 테이터 사본을 저장하고,
    USB 메모리가 USB 포트에 삽입되면 단말기에 설치된 카메라를 이용하여 사용자를 촬영한 촬영내용을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USB 보안 시스템.
  11. USB 잠금장치를 이용하여 USB 포트를 잠금하는 단계;
    상기 USB 잠금장치에 의한 USB 포트의 개폐 여부를 주기적으로 모니터링하고, 상기 USB 잠금장치가 USB 포트에서 제거되면 보안경고를 발생시키고 관리자에게 통지하는 단계;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인증 정보 및 사용시간에 따라 사용 승인을 하고, USB 포트 사용시간을 체크하여 사용시간이 경과되면 사용자에게 알림과 아울러 관리자에게 통지하는 단계; 및
    USB 메모리가 USB 포트에 삽입된 시점부터 제거될 때까지 USB 포트를 사용에 따른 모든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USB 보안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USB 사용에 따른 모든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는 사용자 단말기의 화면을 녹화한 녹화기록, 로그정보 및 USB 메모리에 저장되는 테이터 사본을 저장하고,
    USB 메모리가 USB 포트에 삽입되면 단말기에 설치된 카메라를 이용하여 사용자를 촬영한 촬영내용을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USB 보안 방법.
KR1020140182172A 2014-05-30 2014-12-17 Usb 보안 시스템 및 보안 방법 KR10155462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065845 2014-05-30
KR1020140065845 2014-05-3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54626B1 true KR101554626B1 (ko) 2015-09-24

Family

ID=542487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82172A KR101554626B1 (ko) 2014-05-30 2014-12-17 Usb 보안 시스템 및 보안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54626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14426B1 (ko) * 2015-09-04 2017-03-09 (주) 투씨에스지 Usb 보안 시스템 및 usb 보안방법
KR101855854B1 (ko) * 2017-05-12 2018-05-09 (주)하소인텍 데이터 보안모듈 및 이를 이용한 데이터 보안시스템
CN114328332A (zh) * 2021-11-30 2022-04-12 浪潮(山东)计算机科技有限公司 一种usb接口控制方法、装置、设备及可读存储介质
EP4312142A3 (en) * 2017-04-18 2024-03-20 Erkios Systems, Inc. Port security device for computing devices and methods of operating such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6202B1 (ko) 2013-02-01 2014-06-12 안창훈 Usb 포트 잠금장치
KR101459243B1 (ko) * 2013-08-12 2014-11-07 박종헌 Usb 소켓 잠금장치를 이용한 컴퓨터의 보안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6202B1 (ko) 2013-02-01 2014-06-12 안창훈 Usb 포트 잠금장치
KR101459243B1 (ko) * 2013-08-12 2014-11-07 박종헌 Usb 소켓 잠금장치를 이용한 컴퓨터의 보안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14426B1 (ko) * 2015-09-04 2017-03-09 (주) 투씨에스지 Usb 보안 시스템 및 usb 보안방법
EP4312142A3 (en) * 2017-04-18 2024-03-20 Erkios Systems, Inc. Port security device for computing devices and methods of operating such
KR101855854B1 (ko) * 2017-05-12 2018-05-09 (주)하소인텍 데이터 보안모듈 및 이를 이용한 데이터 보안시스템
CN114328332A (zh) * 2021-11-30 2022-04-12 浪潮(山东)计算机科技有限公司 一种usb接口控制方法、装置、设备及可读存储介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570588B (zh) 用於運算裝置之集中式保全技術
KR101554626B1 (ko) Usb 보안 시스템 및 보안 방법
US9626493B2 (en) Continuous digital content protection
JP4629060B2 (ja) 外部記憶媒体とそれに関連する装置
WO2017196319A1 (en) Electronic device access control
US11128618B2 (en) Edge data center security system that autonomously disables physical communication ports on detection of potential security threat
KR101554625B1 (ko) Usb 보안 시스템 및 보안 방법
JP2008005408A (ja) 記録データ処理装置
JP2013229031A (ja) アクセスコントロール装置
KR101714426B1 (ko) Usb 보안 시스템 및 usb 보안방법
KR101541258B1 (ko) Usb 포트 잠금장치
JP2009301539A (ja) セキュリティシステム
TW202248863A (zh) 用於機架侵擾偵測的系統與方法
EP1318444A2 (en) Data encipher/decipher system for a portable rack of a computer
TWI735375B (zh) 具有影像處理功能的保管設備
US11982108B2 (en) Security system having an electronic lock to control access to electronic devices
US10779432B1 (en) Modular edge data center that autonomously secures information technology components, computing workload, and data in response to unexpected loss of communication
TWI735373B (zh) 具有攝像裝置的保管設備
JP2010133182A (ja) アクセスコントロール装置
CN114003919A (zh) 计算设备及其安全管理方法、支持隐私计算的系统
JP2009529718A (ja) 無電力電子記憶ロック
US10229290B2 (en) Keyless method to secure physical access to information handling systems in a datacenter
JP4676473B2 (ja) 耐タンパ機能を有する上映装置
KR101646965B1 (ko) 보안기능이 강화된 컴퓨터와 이를 이용한 컴퓨터 보안시스템
JP7057409B1 (ja) 中継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9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