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41258B1 - Usb 포트 잠금장치 - Google Patents

Usb 포트 잠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41258B1
KR101541258B1 KR1020140182189A KR20140182189A KR101541258B1 KR 101541258 B1 KR101541258 B1 KR 101541258B1 KR 1020140182189 A KR1020140182189 A KR 1020140182189A KR 20140182189 A KR20140182189 A KR 20140182189A KR 101541258 B1 KR101541258 B1 KR 1015412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b port
unit
identification code
lock unit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821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천수
Original Assignee
임천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천수 filed Critical 임천수
Priority to KR10201401821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4125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412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412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70Protecting specific internal or peripheral components, in which the protection of a component leads to protection of the entire computer
    • G06F21/78Protecting specific internal or peripheral components, in which the protection of a component leads to protection of the entire computer to assure secure storage of dat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의 USB 포드 잠금장치는 USB 포트에 삽입되어 상기 USB 포트를 잠금하는 잠금유닛과, 상기 잠금유닛을 USB 포트에서 분리하는 잠금 해제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잠금유닛에는 고유 식별코드가 부여된 IC 칩이 장착되고, 상기 잠금 해제유닛에는 상기 잠금유닛의 고유 식별 코드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가 구비되어, 잠금유닛을 USB 포트에 잠금하면 잠금 및 개방여부를 알려주고, 단말기의 고유 식별코드와 일치되는 IC 칩만 해당 단말기를 잠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보안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USB 포트 잠금장치{USB PORT SECURITY SYSTEM}
본 발명은 USB 포트를 통한 데이터 유출을 물리적으로 차단하고, USB 포트의 개폐 여부를 인식하여 정상 사용 여부를 감시하는 USB 포트 잠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USB(Universal Serial Bus)는 개인용 컴퓨터(Personal Computer, PC)와 주변장치를 접속하는 버스규격을 말하는 것으로 컴퓨터와 외부 장치와의 연결을 위한 인터페이스 수단을 의미한다.
이와 같은 USB는 컴퓨터 단말기를 개방하지 않고도 외부 장치를 컴퓨터에 쉽게 연결할 수 있다. 예컨대, USB는 표준 포트와 플러그 조합을 사용하여 프린터, 모뎀, 스캐너, 디지털 카메라 및 USB 메모리와 같은 외부 장치를 손쉽게 연결하는 장점이 있다.
USB 메모리는 컴퓨터 단말기에 설치된 USB 포트에 연결하여 손쉽게 컴퓨터 단말기에 저장된 데이터를 불법복제할 수 있기 때문에 현재 정보 유출의 대부분이 USB 메모리를 통해 이루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현재 USB 메모리를 통한 정보유출을 방지하기 위해 USB 포트를 물리적으로 잠금하는 USB 잠금장치가 사용되고 있다.
종래의 USB 포트 잠금장치는 한국등록특허공보 10-1323364(2013년 10월 23일)에 개시된 바와 같이, 전자 기기의 USB 포트에 대응되는 틀 형상의 외측프레임과, 상기 외측프레임의 내부에 설치되며 전방으로 노출된 키홀을 가지는 내부 구조물을 가지며, 상기 USB 포트에 삽입 결합되는 잠금부재와, 상기 USB 포트에 삽입된 잠금부재를 강제로 빼낼 수 있도록 상기 키홀 내부로 삽입되어 선택적으로 걸리거나 해제 가능한 걸쇠키를 가지는 해제키 유닛으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USB 포트 잠금장치는 잠금부재를 USB 포트에 삽입하여 잠금하고, 해제키 유닛을 사용하여 잠금부재를 USB 포트에서 인출하는 것으로, 해제키 유닛을 가지면 누구나 잠금부재를 USB 포트에서 빼낼 수 있기 때문에 보안이 취약한 문제가 있다.
또한, 종래의 USB 포트 잠금장치는 단순히 USB 포트만 잠금하기 때문에 USB 포트에서 잠금부재가 인출되어도 확인이 불가능하여 USB 포트 보안이 취약한 문제가 있다.
특허문헌 1: 한국등록특허공보 10-1323364(2013년 10월 23일)
본 발명의 목적은 USB 포트를 잠금유닛을 이용하여 물리적으로 잠금하고, 특정 잠금 해제유닛을 이용하여 잠금유닛의 잠금을 해제할 수 있는 USB 포트 잠금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잠금유닛에 고유 식별코드가 부여된 IC 칩이 구비되어 USB 포트의 잠금 및 개방여부를 관리서버로 전송하고, 단말기의 고유 식별코드와 일치되는 IC 칩만 해당 단말기를 잠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보안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USB 포트 잠금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USB 포트 잠금장치는 USB 포트에 삽입되어 상기 USB 포트를 잠금하는 잠금유닛과, 상기 잠금유닛을 USB 포트에서 분리하는 잠금 해제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잠금유닛에는 고유 식별코드가 부여된 IC 칩이 장착되고, 상기 잠금 해제유닛에는 상기 잠금유닛의 고유 식별 코드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잠금 해제유닛은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부재와, 상기 회전부재에 연결되어 같이 회전되고 상기 케이스의 일단에 돌출되게 배치되어 상기 잠금유닛에 결합되는 해제부재와, 상기 케이스의 일면에 배치되어 잠금유닛의 고유 식별코드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케이스의 타단에 설치되어 상기 잠금유닛이 삽입되는 잠금유닛 포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케이스 내부에는 잠금유닛 포트가 고정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잠금유닛이 잠금유닛 포트에 삽입되면 해당 잠금유닛의 고유 식별코드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PCB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케이스의 전면에는 빛을 밝혀주는 LED 램프가 설치되고, 상기 케이스의 측면에는 LED 램프를 온/오프하는 LED 램프 스위치 및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전원을 온/오프하는 전원 스위치가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해제부재는 그 끝부분에 상기 잠금유닛에 형성되는 결합홈에 결합되는 결합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결합돌기는 외면에 나사산을 갖는 숫나사부로 형성되고, 상기 결합홈은 내면에 나사산을 갖는 암나사부로 형성되며, 상기 숫나사부와 암나사부는 나사선의 치수 및 나사선의 형태를 일반 나사와 다르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잠금유닛은 상기 USB 포트에 삽입되도록 USB 포트와 동일한 사이즈를 갖는 본체와, 상기 본체 내부에 고정되고 고유 식별코드가 부여된 IC 칩과, 상기 본체의 일면에 고정되고 상기 결합홈이 형성되는 금속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잠금유닛은 상기 USB 포트에 삽입되도록 USB 포트와 동일한 사이즈를 갖는 본체와, 상기 본체 내부에 고정되고 고유 식별코드가 부여된 IC 칩과, 상기 본체의 일면에 고정되고 상기 결합홈이 형성되는 금속판을 포함하고, 상기 본체의 외면에는 상기 USB 포트에 영구 고정될 수 있도록 USB 포트에 걸림되는 걸림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잠금유닛은 상기 잠금유닛은 상기 USB 포트에 삽입되도록 USB 포트와 동일한 사이즈를 갖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일면에 고정되고 금속판을 포함하고, 상기 본체의 외면에는 상기 USB 포트에 영구 고정될 수 있도록 USB 포트에 걸림되는 걸림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USB 포트 잠금장치는 USB 포트를 잠금유닛을 이용하여 물리적으로 잠금하고, 잠금 해제유닛을 이용하여 잠금유닛의 잠금을 해제할 수 있도록 하여 USB 보안 성능을 향상시킨다.
또한, 본 발명의 USB 포트 잠금장치는 고유 식별코드가 부여된 IC 칩이 구비되어 USB 포트의 잠금 및 개방여부를 관리서버로 전송하고, 단말기의 고유 식별코드와 일치되는 IC 칩만 해당 단말기를 잠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보안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UBS 포트 잠금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잠금 해제유닛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잠금 해제유닛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해제부재의 결합돌기 및 잠금유닛의 결합홈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잠금유닛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잠금유닛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잠금유닛의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UBS 포트 잠금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잠금 해제유닛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잠금 해제유닛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USB 포트 잠금장치는 USB 포트(100)에 삽입되어 USB 포트(100)를 잠금하는 잠금유닛(10)과, 잠금유닛(10)을 USB 포트(100)에서 분리하는 잠금 해제유닛(20)을 포함한다.
잠금 해제유닛(20)은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22)와, 케이스(22)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부재(24)와, 회전부재(24)에 연결되어 같이 회전되고 케이스(22)의 일단에 돌출되게 배치되어 잠금유닛(10)에 결합되는 해제부재(26)와, 케이스(22)의 일면에 배치되어 잠금유닛(10)의 고유 식별코드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28)와, 케이스(22)의 타단에 설치되어 잠금유닛(10)이 삽입되는 잠금유닛 포트(30)를 포함한다.
케이스(22)는 상부 케이스(32), 상부 케이스(32)에 결합되는 하부 케이스(34) 및 상부 케이스(32) 및 하부 케이스(34)의 전방에는 결합되고 해제부재(26)가 인출되는 전방 케이스(36)를 포함한다. 그리고, 전방 케이스(36)에는 해제부재(26)를 보호하기 위한 덮개부재(28)가 분리 가능하게 장착된다.
회전부재(24)는 사용자가 회전시키기 용이하도록 일정 두께를 갖는 원판 형태로 형성되고, 그 중심에는 해제부재(26)가 연결된다. 따라서, 회전부재(24)를 회전시키면 해제부재(26)가 같이 회전되면서 잠금유닛(10)에 결합되거나 결합이 해제된다.
해제부재(26)는 그 끝부분에 잠금유닛(10)에 형성되는 결합홈(12)에 결합될 수 있는 결합돌기(40)가 형성된다.
여기에서, 결합돌기(40)는 해제부재(26)의 끝부분에 외면에 나사산을 갖는 숫나사부로 형성되고, 결합홈(12)은 내면에 나사산을 갖는 암나사부로 형성되어 해제부재(26)를 일방향으로 돌리면 해제부재(26)가 잠금유닛(10)에 결합되고, 타방향으로 돌리면 잠금유닛(10)과의 결합이 해제된다.
이때, 숫나사부와 암나사부의 나사선의 치수 및 나사선의 형태를 일반 나사와는 다르게 형성하여 해제부재(26) 이외의 다른 공구 및 볼트 등에 의해서는 잠금유닛(10)의 결합홈(12)에 결합되지 못하도록 한다.
특히, 숫나사부와 암나사부는 일반적인 나사의 조이거나 푸는 방향과는 반대로 왼쪽으로 돌리면 조여지고, 오른쪽으로 돌리면 풀리도록 형성한다.
이와 같이, 해제부재(26)의 결합돌기(40)와 잠금유닛(10)의 결합홈(12)은 특정 나사선 형태 및 특정 치수로 형성하여 잠금 해제유닛 이외에는 잠금유닛에 결합되지 못하도록 하여 보안 기능을 보강하였다.
그리고, 결합돌기(40) 및 결합홈(12)은 나사 형태 이외에,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돌기는 일자 돌기(40a)로 형성되고, 결합홈은 일자홈(12a)으로 형성되어 일자돌기(40a)를 일자홈(12a)에 삽입한 후 90도 회전시켜 일자돌기(40a)가 일자홈(12a) 내측에 걸림되도록 하는 방식이 사용될 수 있다.
이외에, 결합돌기와 결합홈은 십자돌기 또는 T 자 돌기 등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고, 잠금유닛에 결합될 수 있는 구조이면 어떠한 구조도 적용이 가능하다.
케이스(22)의 내부에는 잠금유닛 포트(30)가 고정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디스플레이부(28)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잠금유닛(10)이 잠금유닛 포트(30)에 삽입되면 해당 잠금유닛(10)의 고유 식별코드를 디스플레이부(28)에 표시하는 각종 회로부품이 실장되는 PCB(46)가 설치된다.
그리고, PCB(46)의 일측에는 USB 포트(100)가 어두울 경우 빛을 밝혀주는 LED 램프(48)가 장착된다. 그리고, 케이스(22)의 측면에는 전원 스위치(50) 및 LED 램프 스위치(52)가 설치된다.
LED 램프(48)는 해제부재(26)가 인출되는 전방 케이스(36)에 설치되어 해제부재(26)의 결합돌기(40)를 잠금유닛(10)의 결합홈(12)에 결합할 때 빛을 밝혀주는 역할을 한다.
케이스(22) 내부에는 PCB(46)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배터리(54)가 장착되고, 케이스(22)의 후방에는 배터리(54)를 교체할 때 분리하는 배터리 커버(56)가 장착된다.
잠금유닛(10)은 도 6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USB 포트(100)에 삽입되도록 USB 포트(100)와 동일한 사이즈를 갖는 본체(14)와, 본체(14) 내부에 고정되고 고유 식별코드가 부여된 IC 칩(16)과, 본체(14)의 일면에 고정되고 결합홈(12)이 형성되는 금속판(18)을 포함한다.
본체(14)는 IC 칩(16)이 고정되고 USB 포트에 설치되는 걸림편에 걸림되는 걸림홈(60)이 형성되는 하판부(62)와, 하판부(62)의 후방에 형성되어 금속판(18)이 결합되는 결합부(64)와, 하판부(62)의 양쪽 측면에 수직하게 형성되고 전방으로 갈수록 높이가 낮아지는 경사면(66)으로 형성되는 측면부(68)를 포함한다.
케이스(22)의 후면에는 잠금유닛(10)이 잠금유닛 포트(30)에 삽입되도록 개구된 삽입홈(70)이 형성되고, 삽입홈(70)은 잠금유닛(10)의 하판부(62)가 삽입되도록 하판부(62)의 두께와 동일한 두께로 형성되는 제1홈부(72)와, 제1홈부(72)의 양단에서 직각으로 형성되어 잠금유닛(10)의 측면부(68)가 삽입되는 제2홈부(74)로 형성된다.
이와 같이, 삽입홈(70)은 "ㄷ" 자 형태로 형성되어 본 발명의 잠금유닛(10) 이외 기존의 USB 등 다른 부품이 삽입될 수 없도록 한다. 그리고, 측면부(68)는 경사면(66)으로 형성되어 삽입홈(70)에 보다 쉽게 삽입될 수 있도록 한다.
IC 칩(16)은 잠금유닛(10)의 인출 및 인입된 상태를 파악하여 USB 포트(100)의 개폐 여부를 관리 시스템(160)으로 전달하는 기능을 갖는다. 즉, 사용자가 USB 포트(100)를 사용하기 위해 잠금유닛(10)을 USB 포트(100)에서 인출하면 IC 칩(16)은 USB 포트(100)의 개폐 여부를 관리 시스템으로 전달한다.
여기에서, IC 칩(16)에는 고유 식별코드가 부여되어 단말기의 고유식별코드와 일치되는 IC 칩만 잠금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이 구비된다. 즉, 각 IC 칩(16)에 의해 고유 식별코드가 부여된 잠금유닛(10)은 고유 식별코드와 일치되는 해당 단말기만 잠금이 가능하므로 고유 식별코드가 다르거나 고유 식별코드가 없는 잠금유닛을 USB 포트에 삽입할 경우 관리 시스템으로 그 신호를 전달하면 관리 시스템은 신호에 따라 보안 경고를 발생하면서 관리자에게 이를 통지한다.
IC 칩(16)은 고유 식별코드가 없는 타입도 적용이 가능하다. 즉, 잠금유닛(10)을 USB 포트(100)에 삽입하거나 인출하면 그 신호를 관리시스템으로 인가하는 USB 포트(100)의 개폐 여부만 감지하는 센싱유닛이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IC 칩(16)은 최초 생산시에는 고유 식별코드가 없는 상태이고, 사용자가 PC 등의 단말기에 있는 USB 포트에 삽입하면 고유 식별코드 입력창이 생성되어 사용자가 고유 식별코드를 부여할 수 있도록 하였다.
물론, 생산단계에서 IC 칩에 고유 식별코드를 부여하고 사용자에게 고유 식별코드를 알려주는 것도 가능하다.
잠금유닛(10)은 금형에 IC 칩(16) 및 금속판(18)을 배열한 후 인서트 사출에 의해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잠금유닛(10)은 IC 칩이 없는 형태도 가능하다. 즉, 잠금유닛(10)은 IC 칩이 없이 USB 포트를 단순히 잠금하는 기능만을 수행하는 구조이다.
잠금유닛은 다른 실시예로서,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이, USB 포트(100)에 삽입되도록 USB 포트(100)와 동일한 사이즈를 갖는 본체(80)와, 본체(80) 내부에 고정되고 고유 식별코드가 부여된 IC 칩과, 본체(80)의 일면에 고정되는 금속판(18)과, 본체(80)의 외면에 형성되어 USB 포트에 영구적으로 고정되도록 USB 포트에 걸림되는 걸림돌기(84)를 포함한다.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잠금유닛은 본체의 외면에 걸림돌기가 형성되어 잠금유닛을 USB 포트에 삽입하면 걸림돌기(84)가 USB 포트에 걸림되어 USB 포트에서 인출되지 않도록 고정한다.
이러한 잠금유닛은 PC 등의 단말기에 USB 포트가 다수개 설치될 경우 필요한 USB 포트 이외에 나머지 USB 포트를 잠금유닛으로 막아 사용을 못하게 하기 위해 사용된다.
이러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잠금유닛에는 IC 칩이 없는 형태도 가능하다. 즉, IC 칩이 없이 USB 포트를 막아주는 구조이다.
그리고, 잠금유닛의 본체는 경사면이 없이 직육면체 형태도 사용이 가능하고, 걸림돌기가 있는 형태, 걸림돌기가 없는 형태, IC 칩이 있는 형태, IC 칩이 없는 형태, 결합홈이 있는 형태, 결합홈이 없는 형태 중 다양한 형태로 조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잠금유닛은 또 다른 실시예로서, USB 포트(100)에 삽입되도록 USB 포트(100)와 동일한 사이즈를 갖는 본체(80)와, 본체(80) 내부에 고정되고 본체(80)를 USB 포트(100)에 삽입하면 USB 포트의 개폐 여부를 감지하여 그 신호를 관리서버로 전달하는 센싱유닛과, 본체(80)의 일면에 고정되는 금속판(18)을 포함한다.
센싱유닛은 USB 포트의 개폐 여부만을 감지하는 센서로서, 온/오프 스위치 형태 등 다양한 형태의 센서가 사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잠금유닛은 잠금유닛을 USB 포트에 삽입하면 센싱유닛이 이를 감지하여 관리서버나 해당 단말기로 그 신호를 인가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USB 포트 잠금장치의 작용을 다음에서 설명한다.
먼저, 잠금유닛(10)을 잠금 해제유닛(20)의 잠금유닛 포트(30)에 삽입하면 디스플레이부(28)에 해당 잠금유닛의 고유 식별코드가 표시된다. 작업자는 디스플레이부(28)에 표시된 고유 식별코드가 해당 단말기의 고유 식별코드와 일치하는지 확인한다.
즉, 잠금유닛(10)을 잠금유닛 포트(30)에 삽입하면 잠금유닛(10)에 설치된 고유식별 코드가 부여된 IC 칩(16)의 신호가 PCB(46)로 전달되고, PCB(46)에서 고유식별 코드를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잠금 해제유닛(20)에서 잠금유닛(10)의 고유 식별코드를 확인할 수 있어 잠금유닛(10)을 단말기에 삽입한 후 고유 식별코드가 일치되는지 확인작업을 해야되는 번거로움을 없앨 수 있어 사용이 편리하다.
그리고, 해당 잠금유닛(20)의 고유 식별코드가 일치되는 것으로 확인되면 해당 잠금유닛(10)을 단말기의 USB 포트에 삽입한다.
그러면, 제어유닛에서 잠금유닛(10)의 IC 칩(16)에서 인가되는 신호를 받아 USB 포트(100)의 개폐 여부를 판단한다. 그리고, 제어유닛은 USB 포트(100)의 개폐 여부를 관리서버로 전송하여 저장한다. 그리고, 관리서버에서 USB 포트(100)의 개폐 여부를 주기적으로 모니터링한다.
여기에서, IC 칩(16)에 고유 식별코드가 부여된 경우 해당 단말기의 고유 식별코드와 일치되는 IC 칩인 경우에만 해당 단말기를 잠금할 수 있고, 만일, 고유 식별 코드가 불일치되거나 고유 식별코드가 없는 경우 제어유닛은 이를 판단하여 보안경고를 발생시키고 관리자에게 통지한다.
그리고, 잠금유닛(10)이 USB 포트(100)에서 제거되면 보안경고를 발생시키고 이를 관리자에게 통지한다. 즉, 제어유닛은 IC 칩(16)에서 인가되는 신호에 따라 잠금유닛(10)이 USB 포트(100)에서 제거되어 USB 포트(100)가 개방된 경우 경고유닛(24)을 작동시켜 보안경고를 발생시킴과 아울러 관리자에게 이를 통지한다.
그리고, USB 포트(100)를 사용하기 위해 잠금유닛(10)을 USB 포트(100)에서 분리할 경우 잠금 해제유닛(20)의 해제부재(26)의 끝부분에 형성되는 결합돌기(40)를 잠금유닛(10)의 결합홈(12)에 결합한다.
즉, 회전부재(24)를 회전시키면 숫나사부 형태인 결합돌기(40)가 암나사부 형태인 결합홈(12)에 나사 결합된다. 이때, USB 포트(100)가 어두운 곳에 배치될 경우 LED 램프 스위치(52)를 온(ON)시켜 USB 램프(48)를 점등하여 빛을 밝혀준다.
그리고, 잠금 해제유닛(20)을 당기면 잠금유닛(10)이 USB 포트(100)에서 분리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
10: 잠금유닛 12: 결합홈
14: 본체 16: IC 칩
18: 금속판 20: 잠금 해제유닛
22: 케이스 24: 회전부재
26: 해제부재 28: 디스플레이부
30: 잠금유닛 포트 40: 결합돌기
46: PCB 48: LED 램프
100: USB 포트

Claims (9)

  1. USB 포트에 삽입되어 상기 USB 포트를 잠금하는 잠금유닛과, 상기 잠금유닛을 USB 포트에서 분리하는 잠금 해제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잠금유닛에는 고유 식별코드가 부여된 IC 칩이 장착되고, 상기 잠금 해제유닛에는 상기 잠금유닛의 고유 식별 코드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가 구비되고,
    상기 잠금 해제유닛은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부재와,
    상기 회전부재에 연결되어 같이 회전되고 상기 케이스의 일단에 돌출되게 배치되어 상기 잠금유닛에 결합되는 해제부재와,
    상기 케이스의 일면에 배치되어 잠금유닛의 고유 식별코드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케이스의 타단에 설치되어 상기 잠금유닛이 삽입되는 잠금유닛 포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USB 포트 잠금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 내부에는 잠금유닛 포트가 고정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잠금유닛이 잠금유닛 포트에 삽입되면 해당 잠금유닛의 고유 식별코드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PCB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USB 포트 잠금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전면에는 빛을 밝혀주는 LED 램프가 설치되고, 상기 케이스의 측면에는 LED 램프를 온/오프하는 LED 램프 스위치 및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전원을 온/오프하는 전원 스위치가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USB 포트 잠금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해제부재는 그 끝부분에 상기 잠금유닛에 형성되는 결합홈에 결합되는 결합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결합돌기는 외면에 나사산을 갖는 숫나사부로 형성되고, 상기 결합홈은 내면에 나사산을 갖는 암나사부로 형성되며,
    상기 숫나사부와 암나사부는 나사선의 치수 및 나사선의 형태를 일반 나사와 다르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USB 포트 잠금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유닛은 상기 USB 포트에 삽입되도록 USB 포트와 동일한 사이즈를 갖는 본체와,
    상기 본체 내부에 고정되고 고유 식별코드가 부여된 IC 칩과,
    상기 본체의 일면에 고정되고 상기 결합홈이 형성되는 금속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USB 포트 잠금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유닛은 상기 USB 포트에 삽입되도록 USB 포트와 동일한 사이즈를 갖는 본체와,
    상기 본체 내부에 고정되고 고유 식별코드가 부여된 IC 칩과,
    상기 본체의 일면에 고정되고 상기 결합홈이 형성되는 금속판을 포함하고,
    상기 본체의 외면에는 상기 USB 포트에 영구 고정될 수 있도록 USB 포트에 걸림되는 걸림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USB 포트 잠금장치.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유닛은 상기 잠금유닛은 상기 USB 포트에 삽입되도록 USB 포트와 동일한 사이즈를 갖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일면에 고정되고 금속판을 포함하고,
    상기 본체의 외면에는 상기 USB 포트에 영구 고정될 수 있도록 USB 포트에 걸림되는 걸림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USB 포트 잠금장치.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유닛은 상기 USB 포트에 삽입되도록 USB 포트와 동일한 사이즈를 갖는 본체와,
    상기 본체에 고정되고 USB 포트의 개폐 여부를 감지하는 센싱유닛과,
    상기 본체의 일면에 고정되는 금속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USB 포트 잠금장치.
KR1020140182189A 2014-12-17 2014-12-17 Usb 포트 잠금장치 KR1015412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82189A KR101541258B1 (ko) 2014-12-17 2014-12-17 Usb 포트 잠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82189A KR101541258B1 (ko) 2014-12-17 2014-12-17 Usb 포트 잠금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41258B1 true KR101541258B1 (ko) 2015-08-03

Family

ID=538731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82189A KR101541258B1 (ko) 2014-12-17 2014-12-17 Usb 포트 잠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4125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14426B1 (ko) * 2015-09-04 2017-03-09 (주) 투씨에스지 Usb 보안 시스템 및 usb 보안방법
KR20180021288A (ko) * 2016-08-18 2018-03-02 울산대학교 산학협력단 기계식 잠금 방식을 적용한 usb 보안잠금장치 및 그 usb 보안잠금장치를 이용한 usb 기계식 보안잠금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37476B2 (ja) 1992-12-15 2001-02-19 株式会社東芝 ゲートモニタ
KR101459243B1 (ko) 2013-08-12 2014-11-07 박종헌 Usb 소켓 잠금장치를 이용한 컴퓨터의 보안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37476B2 (ja) 1992-12-15 2001-02-19 株式会社東芝 ゲートモニタ
KR101459243B1 (ko) 2013-08-12 2014-11-07 박종헌 Usb 소켓 잠금장치를 이용한 컴퓨터의 보안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14426B1 (ko) * 2015-09-04 2017-03-09 (주) 투씨에스지 Usb 보안 시스템 및 usb 보안방법
KR20180021288A (ko) * 2016-08-18 2018-03-02 울산대학교 산학협력단 기계식 잠금 방식을 적용한 usb 보안잠금장치 및 그 usb 보안잠금장치를 이용한 usb 기계식 보안잠금방법
KR101966496B1 (ko) 2016-08-18 2019-04-08 울산대학교 산학협력단 기계식 잠금 방식을 적용한 usb 보안잠금장치 및 그 usb 보안잠금장치를 이용한 usb 기계식 보안잠금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09015B2 (en) Secure fiber optic network cassette assembly
US9646179B1 (en) Mechanical locking device for computer ports and portable storage devices
US9625058B2 (en) Grip-type locking device for terminal
TW200843271A (en) Cable management system
BR112014032648B1 (pt) Conjunto de conector de fibra ótica e conector de fibra ótica
TW201447086A (zh) 電子鎖定插銷
KR101541258B1 (ko) Usb 포트 잠금장치
US8545243B2 (en) Lock structure of plug of cable
WO2013042108A1 (en) Security plug for preventing access to a usb socket and secured usb device
KR101554626B1 (ko) Usb 보안 시스템 및 보안 방법
US7151666B2 (en) Safety detachable back panel
KR101714426B1 (ko) Usb 보안 시스템 및 usb 보안방법
US20080178275A1 (en) Method For Locking Computer And Device For The Same
US11641076B2 (en) Device based lock via electrical socket
EP3671520B1 (en) Data retention device
KR101714425B1 (ko) Usb 보안장치
HU224379B1 (hu) Biztosító készülék egy dugaszoló csatlakozás részére
KR101554625B1 (ko) Usb 보안 시스템 및 보안 방법
US20070177346A1 (en) Externally connected hard disk drive controlled by mechanic lock having information security function
CN108915402B (zh) 一种双重验证的指纹锁
TWI395383B (zh) 插頭防拔單元及傳收訊用電線
US6589064B1 (en) Connector securing device
JP7057409B1 (ja) 中継コネクタ
KR101396727B1 (ko) 유에스비 소켓 보안용 잠금장치
KR101646965B1 (ko) 보안기능이 강화된 컴퓨터와 이를 이용한 컴퓨터 보안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21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