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54280B1 - 입체 디스플레이의 광학 측정 장치 - Google Patents

입체 디스플레이의 광학 측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54280B1
KR101554280B1 KR1020130066957A KR20130066957A KR101554280B1 KR 101554280 B1 KR101554280 B1 KR 101554280B1 KR 1020130066957 A KR1020130066957 A KR 1020130066957A KR 20130066957 A KR20130066957 A KR 20130066957A KR 101554280 B1 KR101554280 B1 KR 1015542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ye image
right eye
left eye
display
im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669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69710A (ko
Inventor
김재홍
이돈규
임경호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669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54280B1/ko
Publication of KR201300697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697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542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542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11/00Testing of optical apparatus; Testing structures by optical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11/02Testing optical properti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Testing, Inspecting, Measuring Of Stereoscopic Televisions And Televis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입체 디스플레이의 광학 특성을 측정할 수 있도록 한 입체 디스플레이의 광학 측정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입체 디스플레이 광학 측정 장치는 3D 테스트 신호를 생성하는 테스트 영상 공급부; 상기 테스트 영상 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상기 3D 테스트 신호에 기초하여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을 공간적 또는 시간적으로 나누어 표시하는 3D 디스플레이; 상기 3D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상기 좌안 영상 및 상기 우안 영상을 선택적으로 투과시키는 편광 부재; 및 상기 편광 부재를 투과하는 영상의 강도 또는 컬러 정보를 측정하는 광 계측기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3D 디스플레이는 상기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을 공간적 또는 시간적으로 나누어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및 상기 3D 테스트 신호를 상기 좌안 영상 또는 상기 우안 영상으로 변환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에 표시하는 패널 구동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입체 디스플레이의 광학 측정 장치{APPARATUS FOR MEASURING OPTICAL OF STEREOSCOPIC DISPLAY DEVICE}
본 발명은 입체 디스플레이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입체 디스플레이의 광학 특성을 측정할 수 있도록 한 입체 디스플레이의 광학 측정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3D 방송의 실용화에 부응하여 입체 디스플레이가 차세대 디스플레이로 크게 주목을 받고 있다. 이에 따라, 입체 디스플레이의 광학 특성을 평가하고 제품의 우수성을 소비자에게 알릴 필요성도 커지고 있다.
그러나, 입체 디스플레이는 아직 시장 진입단계이고 객관적이고 표준화된 평가 시스템이 없기 때문에 객관적인 입체 디스플레이의 광학 특성을 소비자에게 제공하지 못하고 있다. 이로 인하여, 입체 디스플레이가 차세대 디스플레이로 크게 주목을 받고 있는데도 불구하고, 3D 방송의 활성화 및 입체 디스플레이의 보급이 지연되고 있다.
따라서, 입체 디스플레이의 광학 특성(예를 들어, 휘도, 평균 휘도, 양안 휘도차, 휘도 불균일도, 암실 고대비, 백색도, 색 재현율, 양안 색차, 색 불균일도, 또는 감마 값)을 객관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장치(시스템) 및 방법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입체 디스플레이의 광학 특성을 측정할 수 있도록 한 입체 디스플레이의 광학 측정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입체 디스플레이의 광학 측정 장치는 3D 테스트 신호를 생성하는 테스트 영상 공급부; 상기 테스트 영상 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상기 3D 테스트 신호에 기초하여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을 공간적 또는 시간적으로 나누어 표시하는 3D 디스플레이; 상기 3D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상기 좌안 영상 및 상기 우안 영상을 선택적으로 투과시키는 편광 부재; 및 상기 편광 부재를 투과하는 영상의 강도 또는 컬러 정보를 측정하는 광 계측기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3D 디스플레이는 상기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을 공간적 또는 시간적으로 나누어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및 상기 3D 테스트 신호를 상기 좌안 영상 또는 상기 우안 영상으로 변환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에 표시하는 패널 구동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패널 구동부는 프레임 단위로 상기 3D 테스트 신호를 상기 좌안 영상 또는 상기 우안 영상으로 변환하는 영상 변환부; 및 프레임 단위로 상기 좌안 영상과 상기 우안 영상 각각의 표시에 대응되는 셔터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송출하는 셔터 제어신호 생성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편광 부재는 상기 셔터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3D 디스플레이 패널에 표시되는 좌안 영상만을 투과시키는 좌안 안경; 및 상기 셔터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3D 디스플레이 패널에 표시되는 우안 영상만을 투과시키는 우안 안경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은 상기 좌안 영상과 상기 우안 영상을 교번적으로 표시하기 위한 복수의 좌안 영상 표시 라인과 복수의 우안 영상 표시 라인; 상기 좌안 영상 표시 라인에 표시되는 좌안 영상을 편광시키는 복수의 좌안 리타더 패턴; 및 상기 우안 영상 표시 라인에 표시되는 우안 영상을 편광시키는 복수의 우안 리타더 패턴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편광 부재는 상기 3D 디스플레이 패널에 표시되는 좌안 영상만을 투과시키는 좌안 안경; 및 상기 3D 디스플레이 패널에 표시되는 우안 영상만을 투과시키는 우안 안경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입체 디스플레이의 광학 측정 장치는 상기 광 계측기에 의해 측정된 상기 영상의 강도 또는 컬러 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3D 디스플레이의 광학 특성 정보를 생성하는 분석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광학 특성 정보는 상기 좌안 영상 및 상기 우안 영상에 대한 휘도, 평균 휘도, 양안 휘도차, 휘도 불균일도, 암실 고대비, 색 재현율, 백색도, 양안 색차, 색 불균일도, 및 감마 값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분석부는 상기 3D 디스플레이의 스크린 중앙부에 설정된 중앙 측정 포인트에서 상기 광 계측기에 의해 측정된 좌안 영상의 화이트 휘도에 기초하여 상기 좌안 영상의 휘도를 산출하고, 상기 중앙 측정 포인트에서 상기 광 계측기에 의해 측정된 우안 영상의 화이트 휘도에 기초하여 상기 우안 영상의 휘도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분석부는 상기 3D 디스플레이의 스크린에 설정된 복수의 측정 포인트에서 상기 광 계측기에 의해 측정된 좌안 영상의 측정 포인트별 화이트 휘도를 평균하여 좌안 영상의 평균 휘도를 산출하고, 상기 3D 디스플레이의 스크린에 설정된 복수의 측정 포인트에서 상기 광 계측기에 의해 측정된 우안 영상의 측정 포인트별 화이트 휘도를 평균하여 우안 영상의 평균 휘도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분석부는 상기 좌안 영상의 평균 휘도와 상기 우안 영상의 평균 휘도의 차이에 대응되는 양안 휘도차를 더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분석부는 상기 좌안 영상의 측정 포인트별 화이트 휘도에서 상기 좌안 영상의 평균 휘도를 감산하여 좌안 영상의 측정 포인트별 휘도 불균일도를 산출하고, 상기 우안 영상의 각 측정 포인트별 화이트 휘도에서 상기 우안 영상의 평균 휘도를 감산하여 우안 영상의 측정 포인트별 휘도 불균일도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분석부는 상기 3D 디스플레이의 스크린 중앙부에 설정된 중앙 측정 포인트에서 상기 광 계측기에 의해 측정된 좌안 영상 및 우안 영상 각각의 화이트 휘도 및 블랙 휘도에 기초하여 상기 3D 디스플레이의 암실 고대비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분석부는 상기 좌안 영상의 화이트 휘도를 상기 좌안 영상의 블랙 휘도로 나누어 좌안 영상의 암실 고대비, 및 상기 우안 영상의 화이트 휘도를 상기 우안 영상의 블랙 휘도로 나누어 우안 영상의 암실 고대비를 산출하고, 상기 좌안 영상의 암실 고대비와 상기 우안 영상의 암실 고대비를 평균하여 상기 3D 디스플레이의 암실 고대비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분석부는 상기 3D 디스플레이의 스크린 중앙부에 설정된 중앙 측정 포인트에서 상기 광 계측기에 의해 측정된 좌안 영상의 컬러 정보에 기초하여 좌안 영상의 색 재현율을 산출하고, 상기 3D 디스플레이의 스크린 중앙부에 설정된 중앙 측정 포인트에서 상기 광 계측기에 의해 측정된 우안 영상의 컬러 정보에 기초하여 우안 영상의 색 재현율을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좌안 영상의 컬러 정보 및 상기 우안 영상의 컬러 정보 각각은 상기 3D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풀 스크린 레드(Red) 영상, 상기 풀 스크린 그린 영상, 및 상기 풀 스크린 블루 영상 각각의 색 좌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분석부는 상기 3D 디스플레이의 스크린 중앙부에 설정된 중앙 측정 포인트에서 상기 광 계측기에 의해 측정된 좌안 영상의 색도 좌표에 기초하여 좌안 영상의 백색도를 산출하고, 상기 3D 디스플레이의 스크린 중앙부에 설정된 중앙 측정 포인트에서 상기 광 계측기에 의해 측정된 우안 영상의 색도 좌표에 기초하여 우안 영상의 백색도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분석부는 상기 좌안 영상의 백색도에서 상기 우안 영상의 백색도를 감산하여 양안 색차를 더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분석부는 상기 3D 디스플레이의 스크린에 설정된 중앙 및 복수의 가장자리 측정 포인트 각각에서 상기 광 계측기에 의해 측정된 좌안 영상의 측정 포인트별 색도 좌표에 기초하여 좌안 영상의 측정 포인트별 백색도를 산출하고, 상기 3D 디스플레이의 스크린에 설정된 중앙 및 복수의 가장자리 측정 포인트 각각에서 상기 광 계측기에 의해 측정된 우안 영상의 측정 포인트별 색도 좌표에 기초하여 우안 영상의 측정 포인트별 백색도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분석부는 상기 좌안 영상의 가장자리 측정 포인트별 백색도 각각에서 상기 좌안 영상의 중앙 측정 포인트 백색도를 감산하여 좌안 영상의 가장자리 측정 포인트별 색 불균일도를 산출하고, 상기 우안 영상의 가장자리 측정 포인트별 백색도 각각에서 상기 우안 영상의 중앙 측정 포인트 백색도를 감산하여 우안 영상의 가장자리 측정 포인트별 색 불균일도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좌안 영상 및 상기 우안 영상 중 어느 하나는 소정 프레임마다 풀 스크린 블랙 계조에서 풀 스크린 화이트 계조까지 소정 계조 단위로 변화되는 풀 스크린 계조 영상이고, 상기 좌안 영상 및 상기 우안 영상 중 나머지 하나는 풀 스크린 화이트 영상, 풀 스크린 블랙 영상, 또는 상기 풀 스크린 계조 영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분석부는 상기 3D 디스플레이의 스크린 중앙부에 설정된 중앙 측정 포인트에서 상기 광 계측기에 의해 측정된 상기 좌안 영상의 소정 계조별 휘도에 기초하여 좌안 영상의 감마 값을 산출하고, 상기 중앙 측정 포인트에서 상기 광 계측기에 의해 측정된 상기 우안 영상의 소정 계조별 휘도에 기초하여 우안 영상의 감마 값을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입체 디스플레이 장치의 광학 측정 장치는 3D 디스플레이에 좌안 영상 및/또는 우안 영상을 표시하고, 편광 부재를 통해 3D 디스플레이에 좌안 영상 또는 우안 영상을 선택적으로 투과시켜 편광 부재를 투과하는 좌안 영상 또는 우안 영상의 강도 또는 컬러 정보를 측정함으로써 3D 디스플레이의 광학 특성을 보다 객관적으로 측정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입체 디스플레이 장치의 광학 측정 장치를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광 계측기에 인접하게 거치된 편광 부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소정의 회전각을 가지도록 광 계측기에 인접하게 거치된 편광 부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복수의 측정 포인트에 대응되도록 이동 가능한 광 계측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3D 디스플레이에 설정되는 복수의 측정 포인트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광 계측기의 개구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사용되는 기호 및 기호의 아래 첨자의 정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a 및 도 8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분석부에 의한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의 감마 값을 산출하는 방법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입체 디스플레이 장치의 광학 측정 장치를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입체 디스플레이 장치의 광학 측정 장치는 테스트 영상 공급부(100), 3D 디스플레이(200), 편광 부재(300), 광 계측기(400), 및 분석부(5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테스트 영상 공급부(100)는 3D 디스플레이(200)의 광학 특성을 측정하기 위한 3D 테스트 신호를 생성하고, 생성된 3D 테스트 신호를 3D 디스플레이(200)에 공급한다. 여기서, 3D 디스플레이(200)의 광학 특성을 측정하기 위한 측정 항목(Measuring Item)은 휘도(Luminance), 평균 휘도(Average Luminance), 휘도 불균일도(Luminous Non-uniformity), 양안 휘도차(Interocular Luminance Difference), 암실 고대비(Dark-Room Contrast Ratio), 색 재현율(Colour Gamut), 백색도(White Chromaticity), 색 불균일도(White Chromatic Uniformity), 양안 색차(Interocular Chromatic Deference), 또는 감마 값(Gamma Value)이 될 수 있다.
3D 테스트 신호는 3D 디스플레이(200)에 공간적 또는 시간적으로 나누어져 표시되는 좌안 영상(L)과 우안 영상(R)을 포함한다. 이때, 좌안 영상(L)과 우안 영상(R)은, 하기의 표 1과 같이, 광 계측기(400)에서 측정하고자 하는 3D 디스플레이(200)의 광학 특성, 즉 측정 항목에 대응되도록 생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3D 디스플레이(200)의 휘도, 평균 휘도, 양안 휘도차, 및 휘도 불균일도를 측정할 경우, 좌안 영상(L)과 우안 영상(R) 중 어느 하나는 풀 스크린 화이트(Full Screen White) 영상이고, 좌안 영상(L) 및 우안 영상(R) 중 나머지 하나는 풀 스크린 화이트 영상 또는 풀 스크린 블랙(Full Screen Black) 영상이 된다.
다른 실시 예에 있어서, 3D 디스플레이(200)의 암실 고대비를 측정할 경우, 좌안 영상(L) 및 우안 영상(R)은 풀 스크린 화이트 영상 또는 풀 스크린 블랙 영상이 된다.
또 다른 실시 예에 있어서, 3D 디스플레이(200)의 색 재현율을 측정할 경우, 좌안 영상(L)과 우안 영상(R)은 풀 스크린 레드(Full Screen Red) 영상, 풀 스크린 그린(Full Screen Green) 영상, 또는 풀 스크린 블루(Full Screen Blue) 영상이 된다.
또 다른 실시 예에 있어서, 3D 디스플레이(200)의 백색도, 색 불균일도, 및 양안 색차를 측정할 경우, 좌안 영상(L) 및 우안 영상(R)은 풀 스크린 화이트 영상이 된다.
또 다른 실시 예에 있어서, 3D 디스플레이(200)의 휘도를 측정할 경우, 좌안 영상(L)과 우안 영상(R) 중 어느 하나는 풀 스크린 계조(Full Screen Gray) 영상이고, 좌안 영상(L) 및 우안 영상(R) 중 나머지 하나는 풀 스크린 화이트 영상 또는 풀 스크린 블랙 영상이 된다. 여기서, 풀 스크린 계조 영상은 소정 프레임마다 풀 스크린 블랙에서 풀 스크린 화이트 영상까지 소정 계조 단위로 변화되는 영상이 된다.
Figure 112013052018712-pat00001
3D 디스플레이(200)는 1 Lux 이하의 조도를 가지는 암실(미도시) 내부에 마련된 거치대(210)가 설치된다. 이때, 3D 디스플레이(200)는 거치대(210)에 의해 암실의 지면에 소정 높이를 가지도록 수직하게 거치되거나 소정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거치될 수 있다. 이러한, 3D 디스플레이(200)는 테스트 영상 공급부(100)로부터 공급되는 3D 테스트 신호에 기초하여 좌안 영상(L) 및/또는 우안 영상(R)을 공간적 또는 시간적으로 나누어 표시한다. 이를 위해, 3D 디스플레이(200)는 3D 디스플레이 패널(미도시), 및 패널 구동부(미도시)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3D 디스플레이 패널은 셔터 글라스(Shutter Glass) 방식 또는 패턴드 리타더(Patterned Retarder)에 기초하여 영상을 표시한다.
셔터 글라스 방식의 3D 디스플레이 패널은 복수의 단위 화소(미도시)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복수의 단위 화소 각각은 복수의 수평 라인과 복수의 수직 라인에 의해 교차되는 영역마다 형성되어 영상을 표시하는 레드, 그린 및 블루 서브 화소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패턴드 리타더 방식의 3D 디스플레이 패널은 복수의 단위 화소(미도시), 복수의 좌안 리타더 패턴, 및 복수의 우안 리타더 패턴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복수의 단위 화소 각각은 복수의 수평 라인과 복수의 수직 라인에 의해 교차되는 영역마다 형성되어 영상을 표시하는 레드, 그린 및 블루 서브 화소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복수의 수평 라인 또는 복수의 수직 라인은 좌안 영상 표시 라인과 우안 영상 표시 라인으로 구분된다. 일 예로써, 홀수번째 수평 라인은 좌안 영상 표시 라인으로 설정됨과 아울러, 짝수번째 수평 라인은 우안 영상 표시 라인으로 설정되거나 그 반대로 설정될 수 있다. 다른 예로써, 홀수번째 수직 라인은 좌안 영상 표시 라인으로 설정됨과 아울러, 짝수번째 수직 라인은 우안 영상 표시 라인으로 설정되거나 그 반대로 설정될 수도 있다.
복수의 좌안 리타더 패턴 각각은 상기의 좌안 영상 표시 라인에 대응되도록 형성되어 좌안 영상 표시 라인에 표시되는 좌안 영상(L)을 편광시킨다. 복수의 우안 리타더 패턴 각각은 상기의 우안 영상 표시 라인에 대응되도록 형성되어 우안 영상 표시 라인에 표시되는 우안 영상(R)을 편광시킨다. 이러한, 좌안 리타더 패턴과 우안 리타더 패턴은 서로 다른 광축을 갖는다.
패널 구동부는 3D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동 방식에 기초하여 테스트 영상 공급부(100)로부터 공급되는 3D 테스트 신호에 대응되는 좌안 영상(L) 및/또는 우안 영상(R)을 3D 디스플레이 패널에 표시한다.
셔터 글라스 방식의 3D 디스플레이 패널에 있어서, 패널 구동부는 테스트 영상 공급부(100)로부터 공급되는 3D 테스트 신호에 대응되는 좌안 영상(L) 및 우안 영상(R)을 한 프레임 단위로 교번적으로 표시한다. 이를 위해, 패널 구동부는 3D 테스트 신호를 좌안 영상(L) 및 우안 영상(R)으로 변환하는 영상 변환부(미도시); 및 3D 디스플레이 패널에 표시되는 좌안 영상(L) 또는 우안 영상(R)에 대응되는 셔터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송출하는 셔터 제어신호 생성부(미도시)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패턴드 리타더 방식의 3D 디스플레이 패널에 있어서, 패널 구동부는 테스트 영상 공급부(100)로부터 공급되는 3D 테스트 신호에 대응되는 좌안 영상(L)과 우안 영상(R)을 상기 좌안 영상 표시 라인 및 우안 영상 표시 라인에 표시한다. 이를 위해, 패널 구동부는 3D 테스트 신호를 좌안 영상(L) 및 우안 영상(R)으로 변환하는 영상 변환부(미도시)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한편, 3D 디스플레이 패널이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일 경우 3D 디스플레이는 3D 디스플레이 패널에 광을 조사하는 백 라이트 유닛(미도시)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편광 부재(300)는 3D 디스플레이(200)에 마주보도록 설치되어 3D 디스플레이(300)에 표시되는 좌안 영상(L) 및 상기 우안 영상을 선택적으로 투과시켜 광 계측기(400)에 입사되도록 한다. 이를 위해, 편광 부재(3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안 안경(310), 및 우안 안경(32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좌안 안경(310), 및 우안 안경(320) 각각은 3D 디스플레이(200)의 구동 방식에 최적화된 서로 다른 편광 축을 갖는다.
좌안 안경(310)은 3D 디스플레이(200)에 표시되는 좌안 영상(L)만을 투과시킨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3D 디스플레이(200)가 셔터 글라스 방식에 기초하여 좌안 영상(L)을 표시할 경우, 좌안 안경(310)은 3D 디스플레이(200)로부터 송출되는 셔터 제어신호에 따라 구동되어 좌안 영상(L)만을 투과시키는 액정층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다른 실시 예에 있어서, 3D 디스플레이(200)가 패턴드 리타더 방식에 기초하여 좌안 영상(L)을 표시할 경우, 좌안 안경(310)은 좌안 영상(L)만을 투과시키는 편광 필터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좌안 안경(310)은 3D 디스플레이(200)에 표시되는 좌안 영상(L)에 대한 광학 특성의 측정시 광 계측기(400)에 대향되도록 설치된다. 이때, 좌안 안경(310)은 광 계측기(400)에 인접하도록 안경 거치대(미도시) 또는 광 계측기(400)에 거치되되, 광 계측기(400)와 접촉되지 않도록 광 계측기(400)로부터 적어도 10mm 이상 이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우안 안경(320)은 3D 디스플레이(200)에 표시되는 우안 영상(R)만을 투과시킨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3D 디스플레이(200)가 셔터 글라스 방식에 기초하여 좌안 영상(L)을 표시할 경우, 우안 안경(320)은 3D 디스플레이(200)로부터 송출되는 셔터 제어신호에 따라 구동되어 우안 영상(R)만을 투과시키는 액정층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다른 실시 예에 있어서, 3D 디스플레이(200)가 패턴드 리타더 방식에 기초하여 우안 영상(R)을 표시할 경우, 우안 안경(320)은 우안 영상(R)만을 투과시키는 편광 필터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우안 안경(320)은 3D 디스플레이(200)에 표시되는 우안 영상(R)에 대한 광학 특성의 측정시 광 계측기(400)에 대향되도록 설치된다. 이때, 우안 안경(320)은 광 계측기(400)에 인접하도록 별도의 안경 거치대(미도시) 또는 광 계측기(400)에 설치된 안경 거치대(미도시)에 거치되되, 광 계측기(400)와 접촉되지 않도록 광 계측기(400)로부터 적어도 10mm 이상 이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편광 부재(3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 계측기(400)에 소정의 회전각(δ)을 가지도록 안경 거치대(미도시)에 거치될 수도 있다. 이는, 편광 부재(300)의 회전을 회전시켜 3D 디스플레이(200)의 광학 특성을 측정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회전각(δ)은 광 계측기(400)로부터 바라 보았을때 시계 방향, 3D 디스플레이(200)의 수평축을 기준으로 회전한 각도로 정의될 수 있다.
상술한 안경 거치대는 좌안 안경(310)과 우안 안경(320)을 번갈아 이동될 수 있도록 슬라이드(Slide) 구조 및/또는 좌안 안경(310)과 우안 안경(320)을 회전시키거나 기울일 수 있는 구조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른 한편, 상술한 편광 부재(300)는 필름 또는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되어 광 계측기(400)의 전면에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거나 부착될 수 있다.
도 1에서, 광 계측기(400)는 편광 부재(300)를 투과하는 영상의 강도 또는 컬러 정보를 측정한다. 이때, 광 계측기(400)는 3D 디스플레이(200)로부터 소정의 측정 거리(D)만큼 이격됨과 아울러 3D 디스플레이(200)와 서로 직각을 이루도록 암실 내에 설치된다. 여기서, 측정 거리(ℓM)는 2m 이상 또는 3L(단, L은 3D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높이(V), 너비(H), 대각 길이)이 될 수 있다.
한편, 광 계측기(400)는, 도 4 및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3D 디스플레이(200)의 스크린에 설정된 복수의 측정 포인트(P0 내지 P8) 각각과 동일 선상에 위치하도록 상하좌우 방향(Z축, X축)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때, 광 계측기(400)는 3D 디스플레이(200)에 설정된 각 측정 포인트(P0 내지 P8)에 직각을 이루도록 이동된다.
복수의 측정 포인트는 제 0 내지 제 8 측정 포인트(P0 내지 P8)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 0 측정 포인트(P0)는 3D 디스플레이(200)의 스크린 정 중앙부에 대응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제 1 내지 제 4 측정 포인트(P1 내지 P4) 각각은 3D 디스플레이(200)의 스크린 각 모서리 부분에 대응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내지 제 4 측정 포인트(P1 내지 P4) 각각은 풀 스크린의 높이(V) 및 너비(H) 각각의 1/10 길이만큼 이격되는 각 모서리 부분에 대응된다.
제 5 내지 제 8 측정 포인트(P5 내지 P8) 각각은 인접한 제 1 내지 제 4 측정 포인트(P1 내지 P4) 사이마다 동일 선상에 위치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5 내지 제 8 측정 포인트(P5 내지 P8) 각각은 풀 스크린의 높이(V) 및 너비(H) 각각의 1/10 길이만큼 이격되는 스크린의 높이(V) 및 너비(H)의 중심 선상에 대응된다.
상기의 광 계측기(400)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편광 부재(300)를 투과하는 영상이 입사되는 개구부(OA)를 포함하며, 개구부(OA)의 크기는 조리개 링(410)에 의해 좌안 안경과 우안 안경의 크기 이내로 조절된다. 또한, 상기의 개구부(OA)에 의해 광이 입사되는 광 계측기(400)의 대물렌즈(420)는 좌안 안경과 우안 안경의 크기보다 작은 크기를 가지도록 형성되어 개구부(OA)에 최대한 인접하게 위치한다.
이와 같은, 광 계측기(400)는 개구부(OA)와 대물렌즈(420)를 통해 입사되는 좌안 영상(L) 또는 우안 영상(R)의 강도 또는 컬러 정보를 측정하는 다양한 실시 예들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후술될 기호 및 기호의 아래 첨자는 도 7a 및 도 7b와 같이 정의하기로 한다.
제 1 및 제 2 실시 예에 따른 측정 방법에 있어서, 3D 디스플레이(200)의 휘도를 측정할 경우, 3D 디스플레이(200)에 표시되는 좌안 영상(L) 및 우안 영상(R) 중 어느 하나는 풀 스크린 화이트 영상(W)이고, 나머지 하나는 풀 스크린 화이트 영상(W) 또는 풀 스크린 블랙 영상(B)이 된다.
제 1 실시 예에 따른 광 계측기(400)는 제 0 측정 포인트(P0)에 대응되는 위치에서, 좌안 영상(L) 및 우안 영상(R) 중 좌안 안경(310)을 투과하여 입사되는 좌안 영상(L)의 화이트 휘도(LL0 , WW)를 측정하여 저장한다. 이때, 3D 디스플레이(200)에 표시되는 좌안 영상(L) 및 우안 영상(R)은 풀 스크린 화이트 영상이 된다.
그런 다음, 제 1 실시 예에 따른 광 계측기(400)는 제 0 측정 포인트(P0)에 대응되는 위치에서, 좌안 영상(L) 및 우안 영상(R) 중 우안 안경(320)을 투과하여 입사되는 우안 영상(R)의 화이트 휘도(LR0 , WW)를 측정하여 저장한다. 이때, 3D 디스플레이(200)에 표시되는 좌안 영상(L) 및 우안 영상(R)은 풀 스크린 화이트 영상이 된다.
제 2 실시 예에 따른 광 계측기(400)는 제 0 측정 포인트(P0)에 대응되는 위치에서, 좌안 영상(L) 및 우안 영상(R) 중 좌안 안경(310)을 투과하여 입사되는 좌안 영상(L)의 화이트 휘도(LL0 , WB)를 측정하여 저장한다. 이때, 좌안 영상(L)은 풀 스크린 화이트 영상이고, 우안 영상(R)은 풀 스크린 블랙 영상(B)이 된다.
그런 다음, 제 2 실시 예에 따른 광 계측기(400)는 제 0 측정 포인트(P0)에 대응되는 위치에서, 좌안 영상(L) 및 우안 영상(R) 중 우안 안경(320)을 투과하여 입사되는 우안 영상(R)의 화이트 휘도(LR0 , WB)를 측정하여 저장한다. 이때, 3D 디스플레이(200)에 표시되는 우안 영상(R)은 풀 스크린 화이트 영상(W)이고, 3D 디스플레이(200)에 표시되는 좌안 영상(L)은 풀 스크린 블랙 영상(B)이 된다.
제 3 내지 제 6 실시 예에 따른 측정 방법에 있어서, 3D 디스플레이(200)의 평균 휘도, 양안 휘도차, 및 휘도 불균일도 각각을 측정할 경우, 3D 디스플레이(200)에 표시되는 좌안 영상(L) 및 우안 영상(R) 중 어느 하나는 풀 스크린 화이트 영상(W)이고, 나머지 하나는 풀 스크린 화이트 영상(W) 또는 풀 스크린 블랙 영상(B)이 된다.
제 3 실시 예에 따른 광 계측기(400)는 제 0 내지 제 4 측정 포인트(P0 내지 P4) 각각에 대응되는 위치에서, 좌안 영상(L) 및 우안 영상(R) 중 좌안 안경(310)을 투과하여 입사되는 좌안 영상(L)의 제 0 내지 제 4 측정 포인트(P0 내지 P4)별 화이트 휘도(LL0 , WW 내지 LL4 , WW)를 측정하여 저장한다. 이때, 3D 디스플레이(200)에 표시되는 좌안 영상(L) 및 우안 영상(R)은 풀 스크린 화이트 영상(W)이 된다.
그런 다음, 제 3 실시 예에 따른 광 계측기(400)는 제 0 내지 제 4 측정 포인트(P0 내지 P4) 각각에 대응되는 위치에서, 좌안 영상(L) 및 우안 영상(R) 중 우안 안경(320)을 투과하여 입사되는 우안 영상(R)의 제 0 내지 제 4 측정 포인트(P0 내지 P4)별 화이트 휘도(LR0 , WW 내지 LR4 , WW)를 측정하여 저장한다. 이때, 3D 디스플레이(200)에 표시되는 좌안 영상(L) 및 우안 영상(R)은 풀 스크린 화이트 영상(W)이 된다.
제 4 실시 예에 따른 광 계측기(400)는 제 0 내지 제 4 측정 포인트(P0 내지 P4) 각각에 대응되는 위치에서, 좌안 영상(L) 및 우안 영상(R) 중 좌안 안경(310)을 투과하여 입사되는 좌안 영상(L)의 제 0 내지 제 4 측정 포인트(P0 내지 P4)별 화이트 휘도(LL0 , WB 내지 LL4 , WB)를 측정하여 저장한다. 이때, 3D 디스플레이(200)에 표시되는 좌안 영상(L)은 풀 스크린 화이트 영상(W)이 되고, 3D 디스플레이(200)에 표시되는 우안 영상(R)은 풀 스크린 블랙 영상(B)이 된다.
그런 다음, 제 4 실시 예에 따른 광 계측기(400)는 제 0 내지 제 4 측정 포인트(P0 내지 P4) 각각에 대응되는 위치에서, 좌안 영상(L) 및 우안 영상(R) 중 우안 안경(320)을 투과하여 입사되는 우안 영상(R)의 제 0 내지 제 4 측정 포인트(P0 내지 P4)별 화이트 휘도(LR0 , WB 내지 LR4 , WB)를 측정하여 저장한다. 이때, 3D 디스플레이(200)에 표시되는 우안 영상(R)은 풀 스크린 화이트 영상(W)이 되고, 3D 디스플레이(200)에 표시되는 좌안 영상(L)은 풀 스크린 블랙 영상(B)이 된다.
제 5 실시 예에 따른 광 계측기(400)는 제 0 내지 제 8 측정 포인트(P0 내지 P8) 각각에 대응되는 위치에서, 좌안 영상(L) 및 우안 영상(R) 중 좌안 안경(310)을 투과하여 입사되는 좌안 영상(L)의 제 0 내지 제 8 측정 포인트(P0 내지 P8)별 화이트 휘도(LL0 , WW 내지 LL8 , WW)를 측정하여 저장한다. 이때, 3D 디스플레이(200)에 표시되는 좌안 영상(L) 및 우안 영상(R)은 풀 스크린 화이트 영상(W)이 된다.
그런 다음, 제 5 실시 예에 따른 광 계측기(400)는 제 0 내지 제 8 측정 포인트(P0 내지 P8) 각각에 대응되는 위치에서, 좌안 영상(L) 및 우안 영상(R) 중 우안 안경(320)을 투과하여 입사되는 우안 영상(R)의 제 0 내지 제 8 측정 포인트(P0 내지 P8)별 화이트 휘도(LR0 , WW 내지 LR8 , WW)를 측정하여 저장한다. 이때, 3D 디스플레이(200)에 표시되는 좌안 영상(L) 및 우안 영상(R)은 풀 스크린 화이트 영상(W)이 된다.
제 6 실시 예에 따른 광 계측기(400)는 제 0 내지 제 8 측정 포인트(P0 내지 P8) 각각에 대응되는 위치에서, 좌안 영상(L) 및 우안 영상(R) 중 좌안 안경(310)을 투과하여 입사되는 좌안 영상(L)의 제 0 내지 제 8 측정 포인트(P0 내지 P8)별 화이트 휘도(LL0 , WB 내지 LL8 , WB)를 측정하여 저장한다. 이때, 3D 디스플레이(200)에 표시되는 좌안 영상(L)은 풀 스크린 화이트 영상(W)이 되고, 3D 디스플레이(200)에 표시되는 우안 영상(R)은 풀 스크린 블랙 영상(B)이 된다.
그런 다음, 제 6 실시 예에 따른 광 계측기(400)는 제 0 내지 제 8 측정 포인트(P0 내지 P8) 각각에 대응되는 위치에서, 좌안 영상(L) 및 우안 영상(R) 중 우안 안경(320)을 투과하여 입사되는 우안 영상(R)의 제 0 내지 제 8 측정 포인트(P0 내지 P8)별 화이트 휘도(LR0 , WB 내지 LR8 , WB)를 측정하여 저장한다. 이때, 3D 디스플레이(200)에 표시되는 우안 영상(R)은 풀 스크린 화이트 영상(W)이 되고, 3D 디스플레이(200)에 표시되는 좌안 영상(L)은 풀 스크린 블랙 영상(B)이 된다.
제 7 실시 예에 따른 측정 방법에 있어서, 3D 디스플레이(200)의 암실 고대비를 측정할 경우, 3D 디스플레이(200)에 표시되는 좌안 영상(L) 및 우안 영상(R)은 풀 스크린 화이트 영상(W) 또는 풀 스크린 블랙 영상(B)이 된다.
제 7 실시 예에 따른 광 계측기(400)는 제 0 측정 포인트(P0)에 대응되는 위치에서, 좌안 영상(L) 및 우안 영상(R) 중 좌안 안경(310)을 투과하여 입사되는 좌안 영상(L)의 화이트 휘도(LL0 , WW)를 측정하여 저장한다. 이때, 3D 디스플레이(200)에 표시되는 좌안 영상(L) 및 우안 영상(R)은 풀 스크린 화이트 영상(W)이 된다.
이어서, 제 7 실시 예에 따른 광 계측기(400)는 제 0 측정 포인트(P0)에 대응되는 위치에서, 좌안 영상(L) 및 우안 영상(R) 중 우안 안경(320)을 투과하여 입사되는 우안 영상(R)의 화이트 휘도(LR0 , WW)를 측정하여 저장한다. 이때, 3D 디스플레이(200)에 표시되는 좌안 영상(L) 및 우안 영상(R)은 풀 스크린 화이트 영상(W)이 된다.
그런 다음, 제 7 실시 예에 따른 광 계측기(400)는 제 0 측정 포인트(P0)에 대응되는 위치에서, 좌안 영상(L) 및 우안 영상(R) 중 좌안 안경(310)을 투과하여 입사되는 좌안 영상(L)의 블랙 휘도(LL0 , BB)를 측정하여 저장한다. 이때, 3D 디스플레이(200)에 표시되는 좌안 영상(L) 및 우안 영상(R)은 풀 스크린 블랙 영상(B)이 된다.
이어서, 제 7 실시 예에 따른 광 계측기(400)는 제 0 측정 포인트(P0)에 대응되는 위치에서, 좌안 영상(L) 및 우안 영상(R) 중 우안 안경(320)을 투과하여 입사되는 우안 영상(R)의 블랙 휘도(LR0 , BB)를 측정하여 저장한다. 이때, 3D 디스플레이(200)에 표시되는 좌안 영상(L) 및 우안 영상(R)은 풀 스크린 블랙 영상(B)이 된다.
제 8 실시 예에 따른 측정 방법에 있어서, 3D 디스플레이(200)의 색 재현율을 측정할 경우, 3D 디스플레이(200)에 표시되는 좌안 영상(L) 및 우안 영상(R)은 풀 스크린 레드 영상(Red), 풀 스크린 그린(Green), 또는 풀 스크린 블루(Blue) 영상이 된다. 이러한 좌안 영상(L) 및 우안 영상(R) 각각은 국제조명위원회(CIE) 1976 색좌표에 기초하여 생성된다.
제 8 실시 예에 따른 광 계측기(400)는 제 0 측정 포인트(P0)에 대응되는 위치에서, 좌안 영상(L) 및 우안 영상(R) 중 좌안 안경(310)을 투과하여 입사되는 좌안 영상(L)의 레드 색좌표 값(CL(u'Red, v'Red))을 측정하여 저장한다. 이때, 3D 디스플레이(200)에 표시되는 좌안 영상(L) 및 우안 영상(R)은 풀 스크린 레드 영상(Red)이 된다.
이어서, 제 8 실시 예에 따른 광 계측기(400)는 제 0 측정 포인트(P0)에 대응되는 위치에서, 좌안 영상(L) 및 우안 영상(R) 중 좌안 안경(310)을 투과하여 입사되는 좌안 영상(L)의 그린 색좌표 값(CL(u'Green, v'Green))을 측정하여 저장한다. 이때, 3D 디스플레이(200)에 표시되는 좌안 영상(L) 및 우안 영상(R)은 풀 스크린 그린 영상(Green)이 된다.
이어서, 제 8 실시 예에 따른 광 계측기(400)는 제 0 측정 포인트(P0)에 대응되는 위치에서, 좌안 영상(L) 및 우안 영상(R) 중 좌안 안경(310)을 투과하여 입사되는 좌안 영상(L)의 블루 색좌표 값(CL(u'Blue, v'Blue))을 측정하여 저장한다. 이때, 3D 디스플레이(200)에 표시되는 좌안 영상(L) 및 우안 영상(R)은 풀 스크린 블루 영상(Blue)이 된다.
그런 다음, 제 8 실시 예에 따른 광 계측기(400)는 제 0 측정 포인트(P0)에 대응되는 위치에서, 좌안 영상(L) 및 우안 영상(R) 중 우안 안경(320)을 투과하여 입사되는 우안 영상(R)의 레드 색좌표 값(CR(u'Red, v'Red))을 측정하여 저장한다. 이때, 3D 디스플레이(200)에 표시되는 좌안 영상(L) 및 우안 영상(R)은 풀 스크린 레드 영상(Red)이 된다.
이어서, 제 8 실시 예에 따른 광 계측기(400)는 제 0 측정 포인트(P0)에 대응되는 위치에서, 좌안 영상(L) 및 우안 영상(R) 중 우안 안경(320)을 투과하여 입사되는 우안 영상(R)의 그린 색좌표 값(CR(u'Green, v'Green))을 측정하여 저장한다. 이때, 3D 디스플레이(200)에 표시되는 좌안 영상(L) 및 우안 영상(R)은 풀 스크린 그린 영상(Green)이 된다.
이어서, 제 8 실시 예에 따른 광 계측기(400)는 제 0 측정 포인트(P0)에 대응되는 위치에서, 좌안 영상(L) 및 우안 영상(R) 중 우안 안경(320)을 투과하여 입사되는 우안 영상(R)의 블루 색좌표 값(CR(u'Blue, v'Blue))을 측정하여 저장한다. 이때, 3D 디스플레이(200)에 표시되는 좌안 영상(L) 및 우안 영상(R)은 풀 스크린 블루 영상(Blue)이 된다.
제 9 실시 예에 따른 측정 방법에 있어서, 3D 디스플레이(200)의 백색도 및 양안 색차 각각을 측정할 경우, 3D 디스플레이(200)에 표시되는 좌안 영상(L) 및 우안 영상(R)은 풀 스크린 화이트 영상(W)이 된다.
제 9 실시 예에 따른 광 계측기(400)는 제 0 측정 포인트(P0)에 대응되는 위치에서, 좌안 영상(L) 및 우안 영상(R) 중 좌안 안경(310)을 투과하여 입사되는 좌안 영상(L)의 색도 좌표(CL(u'0, v'0))를 측정하여 저장한다. 이때, 3D 디스플레이(200)에 표시되는 좌안 영상(L) 및 우안 영상(R)은 풀 스크린 화이트 영상(W)이 된다. 또한, 측정된 좌안 영상(L)의 색도 좌표(CL(u'0, v'0))는 국제조명위원회(CIE) 1976 UCS의 색도 좌표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런 다음, 제 9 실시 예에 따른 광 계측기(400)는 제 0 측정 포인트(P0)에 대응되는 위치에서, 좌안 영상(L) 및 우안 영상(R) 중 우안 안경(320)을 투과하여 입사되는 우안 영상(R)의 색도 좌표(CR(u'0, v'0))를 측정하여 저장한다. 이때, 3D 디스플레이(200)에 표시되는 좌안 영상(L) 및 우안 영상(R)은 풀 스크린 화이트 영상(W)이 된다. 또한, 측정된 우안 영상(R)의 색도 좌표(CR(u'0, v'0))는 국제조명위원회(CIE) 1976 UCS의 색도 좌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 10 및 제 11 실시 예에 따른 측정 방법에 있어서, 3D 디스플레이(200)의 색 불균일도를 측정할 경우, 3D 디스플레이(200)에 표시되는 좌안 영상(L) 및 우안 영상(R)은 풀 스크린 화이트 영상(W)이 된다.
제 10 실시 예에 따른 광 계측기(400)는 제 0 내지 제 4 측정 포인트(P0 내지 P4) 각각에 대응되는 위치에서, 좌안 영상(L) 및 우안 영상(R) 중 좌안 안경(310)을 투과하여 입사되는 좌안 영상(L)의 제 0 내지 제 4 측정 포인트(P0 내지 P4)별 색도 좌표(CL(u'i, v'i))(단, i는 제 0 내지 제 4 측정 포인트)를 측정하여 저장한다. 이때, 3D 디스플레이(200)에 표시되는 좌안 영상(L) 및 우안 영상(R)은 풀 스크린 화이트 영상(W)이 된다.
그런 다음, 제 10 실시 예에 따른 광 계측기(400)는 제 0 내지 제 4 측정 포인트(P0 내지 P4) 각각에 대응되는 위치에서, 좌안 영상(L) 및 우안 영상(R) 중 우안 안경(320)을 투과하여 입사되는 우안 영상(R)의 제 0 내지 제 4 측정 포인트(P0 내지 P4)별 색도 좌표(CR(u'i, v'i))(단, i는 제 0 내지 제 4 측정 포인트)를 측정하여 저장한다. 이때, 3D 디스플레이(200)에 표시되는 좌안 영상(L) 및 우안 영상(R)은 풀 스크린 화이트 영상(W)이 된다.
제 11 실시 예에 따른 광 계측기(400)는 제 0 내지 제 8 측정 포인트(P0 내지 P8) 각각에 대응되는 위치에서, 좌안 영상(L) 및 우안 영상(R) 중 좌안 안경(310)을 투과하여 입사되는 좌안 영상(L)의 제 0 내지 제 8 측정 포인트(P0 내지 P8)별 색도 좌표(CL(u'i, v'i))(단, i는 제 0 내지 제 8 측정 포인트)를 측정하여 저장한다. 이때, 3D 디스플레이(200)에 표시되는 좌안 영상(L) 및 우안 영상(R)은 풀 스크린 화이트 영상(W)이 된다.
그런 다음, 제 11 실시 예에 따른 광 계측기(400)는 제 0 내지 제 8 측정 포인트(P0 내지 P8) 각각에 대응되는 위치에서, 좌안 영상(L) 및 우안 영상(R) 중 우안 안경(320)을 투과하여 입사되는 우안 영상(R)의 제 0 내지 제 8 측정 포인트(P0 내지 P8)별 색도 좌표(CR(u'i, v'i))(단, i는 제 0 내지 제 8 측정 포인트)를 측정하여 저장한다. 이때, 3D 디스플레이(200)에 표시되는 좌안 영상(L) 및 우안 영상(R)은 풀 스크린 화이트 영상(W)이 된다.
제 12 실시 예에 따른 측정 방법에 있어서, 3D 디스플레이(200)의 감마 값을 측정할 경우, 3D 디스플레이(200)에 표시되는 좌안 영상(L) 및 우안 영상(R) 중 어느 하나는 소정 프레임마다 풀 스크린 블랙 계조에서 풀 스크린 화이트 계조까지 소정 계조 단위로 변화되는 풀 스크린 계조 영상(G)이고, 나머지 영상은 풀 스크린 화이트 영상(W) 또는 풀 스크린 블랙 영상(B)이 된다.
제 12 실시 예에 따른 광 계측기(400)는 제 0 측정 포인트(P0)에 대응되는 위치에서, 좌안 영상(L) 및 우안 영상(R) 중 좌안 안경(310)을 투과하여 입사되는 좌안 영상(L)의 소정 계조별 휘도(GLL0 , GW)를 측정하여 저장한다. 이때, 3D 디스플레이(200)에 표시되는 좌안 영상(L)은 풀 스크린 계조 영상(G)이고, 3D 디스플레이(200)에 표시되는 우안 영상(R)은 풀 스크린 화이트 영상(W)이 된다.
그런 다음, 제 12 실시 예에 따른 광 계측기(400)는 제 0 측정 포인트(P0)에 대응되는 위치에서, 좌안 영상(L) 및 우안 영상(R) 중 우안 안경(320)을 투과하여 입사되는 우안 영상(R)의 소정 계조별 휘도(GLR0 , GW)를 측정하여 저장한다. 이때, 3D 디스플레이(200)에 표시되는 우안 영상(R)은 풀 스크린 계조 영상이고, 3D 디스플레이(200)에 표시되는 좌안 영상(L)은 풀 스크린 화이트 영상(W)이 된다.
제 13 실시 예에 따른 광 계측기(400)는 제 0 측정 포인트(P0)에 대응되는 위치에서, 좌안 영상(L) 및 우안 영상(R) 중 좌안 안경(310)을 투과하여 입사되는 좌안 영상(L)의 소정 계조별 휘도(GLL0 , GB)를 측정하여 저장한다. 이때, 3D 디스플레이(200)에 표시되는 좌안 영상(L)은 풀 스크린 계조 영상(G)이고, 3D 디스플레이(200)에 표시되는 우안 영상(R)은 풀 스크린 블랙(B)이 된다.
그런 다음, 제 13 실시 예에 따른 광 계측기(400)는 제 0 측정 포인트(P0)에 대응되는 위치에서, 좌안 영상(L) 및 우안 영상(R) 중 우안 안경(320)을 투과하여 입사되는 우안 영상(R)의 소정 계조별 휘도(GLR0 , GB)를 측정하여 저장한다. 이때, 3D 디스플레이(200)에 표시되는 우안 영상(R)은 풀 스크린 계조 영상이고, 3D 디스플레이(200)에 표시되는 좌안 영상(L)은 풀 스크린 블랙(B)이 된다.
제 14 실시 예에 따른 광 계측기(400)는 제 0 측정 포인트(P0)에 대응되는 위치에서, 좌안 영상(L) 및 우안 영상(R) 중 좌안 안경(310)을 투과하여 입사되는 좌안 영상(L)의 소정 계조별 휘도(GLL0 , GG)를 측정하여 저장한다. 이때, 3D 디스플레이(200)에 표시되는 좌안 영상(L) 및 우안 영상(R)은 서로 동일한 풀 스크린 계조 영상(G)이 된다.
그런 다음, 제 14 실시 예에 따른 광 계측기(400)는 제 0 측정 포인트(P0)에 대응되는 위치에서, 좌안 영상(L) 및 우안 영상(R) 중 우안 안경(320)을 투과하여 입사되는 우안 영상(R)의 소정 계조별 휘도(GLR0 , GG)를 측정하여 저장한다. 이때, 3D 디스플레이(200)에 표시되는 좌안 영상(L) 및 우안 영상(R)은 서로 동일한 풀 스크린 계조 영상(G)이 된다.
다시 도 1에서, 분석부(500)는 광 계측기(400)에 의해 측정된 영상의 강도 또는 컬러 정보를 분석하여 3D 디스플레이(200)의 광학 특성 정보를 생성한다. 즉, 분석부(500)는 상술한 제 1 내지 제 14 실시 예에 따른 광 계측기(400)로부터 제공되는 광 측정 정보에 따라 휘도(LL, LR), 평균 휘도(LLav, LRav), 휘도 불균일도(ΔLLi, ΔLRi), 양안 휘도차(ΔLav,L-R), 암실 고대비(DRCR), 색 재현율, 백색도(CL(u', v'), CR(u', v')), 양안 색차(ΔLRu', ΔLRv'), 색 불균일도((Δu'Li, Δv'Li), (Δu'Ri,Δv'Ri)), 및 휘도 값(GVL, GVR) 중 적어도 하나를 산출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이러한, 분석부(500)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 1 실시 예에 따른 분석부(500)는 상술한 제 1 또는 제 2 실시 예에 따른 광 계측기(400)에 의해 제 0 측정 포인트(P0)에서 측정된 좌안 영상(L)의 화이트 휘도(LL0 , WW)(LL0 , WB)를 좌안 영상(L)의 휘도(LL)로 산출함과 아울러 우안 영상(R)의 화이트 휘도(LR0 , WW)(LR0 , WB)를 우안 영상(R)의 휘도(LR)로 산출한다.
제 2 실시 예에 따른 분석부(500)는 상술한 제 3 또는 제 4 실시 예에 따른 광 계측기(400)에 의해 제 0 내지 제 4 측정 포인트(P0 내지 P4) 각각에서 측정된 제 0 내지 제 4 측정 포인트(P0 내지 P4)별 좌안 영상(L)의 화이트 휘도(LL0 , WW 내지 LL4,WW)(LL0,WB 내지 LL4 , WB) 및 우안 영상(R)의 화이트 휘도(LR0 , WW 내지 LR4 , WW)(LR0 , WB 내지 LR4,WB)에 기초하여 좌안 영상(L)의 평균 휘도(LLav) 및 우안 영상(R)의 평균 휘도(LRav)를 산출한다. 이때, 제 2 실시 예에 따른 분석부(500)는 아래의 수학식 1의 연산을 통해 좌안 영상(L)의 평균 휘도(LLav) 및 우안 영상(R)의 평균 휘도(LRav)를 산출할 수 있다.
Figure 112013052018712-pat00002
제 3 실시 예에 따른 분석부(500)는 상술한 제 5 또는 제 6 실시 예에 따른 광 계측기(400)에 의해 제 0 내지 제 8 측정 포인트(P0 내지 P8) 각각에서 측정된 제 0 내지 제 8 측정 포인트(P0 내지 P8)별 좌안 영상(L)의 화이트 휘도(LL0 , WW 내지 LL8,WW)(LL0,WB 내지 LL8 , WB) 및 우안 영상(R)의 화이트 휘도(LR0 , WW 내지 LR8 , WW)(LR0 , WB 내지 LR8,WB)에 기초하여 좌안 영상(L)의 평균 휘도(LLav) 및 우안 영상(R)의 평균 휘도(LRav)를 산출한다. 이때, 제 3 실시 예에 따른 분석부(500)는 아래의 수학식 2의 연산을 통해 좌안 영상(L)의 평균 휘도(LLav) 및 우안 영상(R)의 평균 휘도(LRav)를 산출할 수 있다.
Figure 112013052018712-pat00003
한편, 제 3 실시 예에 따른 분석부(500)는 산출된 좌안 영상(L)의 평균 휘도(LLav)와 제 0 내지 제 8 측정 포인트(P0 내지 P8)별 좌안 영상(L)의 화이트 휘도(LL0 , WW 내지 LL8 , WW)(LL0 , WB 내지 LL8 , WB)에 기초하여 측정 포인트별 좌안 영상(L)의 휘도 불균일도(ΔLLi)를 산출함과 아울러, 산술된 우안 영상(R)의 평균 휘도(LRav)와 제 0 내지 제 8 측정 포인트(P0 내지 P8)별 우안 영상(R)의 화이트 휘도(LR0 , WW 내지 LR8,WW)(LR0,WB 내지 LR8 , WB)에 기초하여 측정 포인트별 우안 영상(R)의 휘도 불균일도(ΔLRi)를 산출한다. 이때, 제 3 실시 예에 따른 분석부(500)는 아래의 수학식 3의 연산을 통해 좌안 영상(L) 및 우안 영상(R)의 휘도 불균일도(ΔLLi, ΔLRi)를 산출할 수 있다.
Figure 112013052018712-pat00004
상기의 수학식 3에서 LLi 및 LRi는 제 1 내지 제 8 측정 포인트의 휘도를 의미한다.
다른 한편, 제 3 실시 예에 따른 분석부(500)는 산출된 좌안 영상(L)의 평균 휘도(LLav)와 산술된 우안 영상(R)의 평균 휘도(LRav)의 차이를 양안 휘도차(ΔLav,L-R)로 더 산출할 수 있다.
제 4 실시 예에 따른 분석부(500)는 상술한 제 7 실시 예에 따른 광 계측기(400)에 의해 측정된 좌안 영상(L)의 화이트 휘도(LL0 , WW), 좌안 영상(L)의 블랙 휘도(LL0 , BB), 우안 영상(R)의 화이트 휘도(LR0 , WW), 및 우안 영상(R)의 블랙 휘도(LR0 , BB)에 기초하여 좌안 영상(L)의 암실 고대비(DRCRL)와 우안 영상(R)의 암실 고대비(DRCRR)를 산출한다. 이때, 제 4 실시 예에 따른 분석부(500)는 아래의 수학식 4의 연산을 통해 좌안 영상(L)의 암실 고대비(DRCRL)와 우안 영상(R)의 암실 고대비(DRCRR)를 산출할 수 있다.
Figure 112013052018712-pat00005
그리고, 제 4 실시 예에 따른 분석부(500)는 좌안 영상(L)의 암실 고대비(DRCRL)와 우안 영상(R)의 암실 고대비(DRCRR)의 평균 값을 3D 디스플레이(200)의 암실 고대비(DRCR)로 산출한다.
제 5 실시 예에 따른 분석부(500)는 상술한 제 8 실시 예에 따른 광 계측기(400)에 의해 측정된 좌안 영상(L)의 레드, 그린 및 청색 색좌표 값(CL(u'Red, v'Red), CL(u'Green, v'Green), CL(u'Blue, v'Blue)) 각각을 직선으로 연결하여 좌안 영상(L)의 색 재현율을 산출함과 아울러, 우안 영상(R)의 레드, 그린 및 청색 색좌표 값(CR(u'Red, v'Red), CR(u'Green, v'Green), CR(u'Blue, v'Blue)) 각각을 직선으로 연결하여 우안 영상(R)의 색 재현율을 산출한다.
한편, 제 5 실시 예에 따른 분석부(500)는 색 재현율 산출시 국제조명위원회(CIE) 1931 색좌표계를 기준으로 색좌표 x, y를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색좌표 u', v'와 x, y는 하기의 수학식 5와 같은 관계를 갖는다.
Figure 112013052018712-pat00006
제 6 실시 예에 따른 분석부(500)는 상술한 제 9 실시 예에 따른 광 계측기(400)에 의해 측정된 좌안 영상(L)의 색도 좌표(CL(u'0, v'0))를 좌안 영상(L)의 백색도(CL(u', v'))로 산출함과 아울러, 우안 영상(R)의 색도 좌표(CR(u'0, v'0))를 우안 영상(R)의 백색도(CR(u', v'))로 산출한다. 여기서, 제 6 실시 예에 따른 분석부(500)는 백색도 산출시 국제조명위원회(CIE) 1931 색도도의 색좌표인 x, y를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색좌표 u', v'는 색좌표 x, y로부터 상기의 수학식 5에 의해 변환될 수 있다.
한편, 제 6 실시 예에 따른 분석부(500)는 산출된 좌안 영상(L)의 백색도(CL(u', v'))와 우안 영상(R)의 백색도(CR(u', v'))에 기초하여 3D 디스플레이(200)의 양안 색차(ΔLRu', ΔLRv')를 더 산출할 수 있다. 이때, 제 6 실시 예에 따른 분석부(500)는 아래의 수학식 6의 연산을 통해 양안 색차(ΔLRu', ΔLRv')를 산출할 수 있다.
Figure 112013052018712-pat00007
제 7 실시 예에 따른 분석부(500)는 상술한 제 10 실시 예에 따른 광 계측기(400)에 의해 측정된 제 0 내지 제 4 측정 포인트(P0 내지 P4)별 좌안 영상(L)의 색도 좌표(CL(u'i, v'i))와 제 0 내지 제 4 측정 포인트(P0 내지 P4)별 우안 영상(R)의 색도 좌표(CR(u'i, v'i))에 기초하여 좌안 영상(L)의 색 불균일도(Δu'Li, Δv'Li) 및 우안 영상(R)의 색 불균일도(Δu'Ri, Δv'Ri)를 산출한다. 이때, 제 7 실시 예에 따른 분석부(500)는 아래의 수학식 7의 연산을 통해 좌안 영상(L)의 색 불균일도(Δu'Li, Δv'Li) 및 우안 영상(R)의 색 불균일도(Δu'Ri, Δv'Ri)를 산출할 수 있다.
한편, 제 7 실시 예에 따른 분석부(500)는 색 불균일도 산출시 국제조명위원회(CIE) 1931 색도도의 색좌표인 x, y를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색좌표 u', v'는 색좌표 x, y로부터 상기의 수학식 5에 의해 변환될 수 있다.
Figure 112013052018712-pat00008
수학식 7에서, Li는 제 1 부터 제 4 까지의 정수를 의미하고, u'Li 및 u'Ri는 제 i 측정 포인트에서 측정된 색도 좌표(CL(u'i, v'i))의 u' 값이고, v'Li 및 v'Ri는 제 i 측정 포인트에서 측정된 색도 좌표(CL(u'i, v'i))의 v' 값을 의미한다.
제 8 실시 예에 따른 분석부(500)는 상술한 제 11 실시 예에 따른 광 계측기(400)에 의해 측정된 제 0 내지 제 8 측정 포인트(P0 내지 P8)별 좌안 영상(L)의 색도 좌표(CL(u'i, v'i))와 제 0 내지 제 8 측정 포인트(P0 내지 P8)별 우안 영상(R)의 색도 좌표(CR(u'i, v'i))에 기초하여 좌안 영상(L)의 색 불균일도(Δu'Li, Δv'Li) 및 우안 영상(R)의 색 불균일도(Δu'Ri, Δv'Ri)를 산출한다. 이때, 제 8 실시 예에 따른 분석부(500)는 아래의 수학식 8의 연산을 통해 좌안 영상(L)의 색 불균일도(Δu'Li, Δv'Li) 및 우안 영상(R)의 색 불균일도(Δu'Ri, Δv'Ri)를 산출할 수 있다.
Figure 112013052018712-pat00009
수학식 8에서, Li는 제 1 부터 제 8 까지의 정수를 의미하고, u'Li 및 u'Ri는 제 i 측정 포인트에서 측정된 색도 좌표(CL(u'i, v'i))의 u' 값이고, v'Li 및 v'Ri는 제 i 측정 포인트에서 측정된 색도 좌표(CL(u'i, v'i))의 v' 값을 의미한다.
한편, 제 8 실시 예에 따른 분석부(500)는 색 불균일도 산출시 국제조명위원회(CIE) 1931 색도도의 색좌표인 x, y를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색좌표 u', v'는 색좌표 x, y로부터 상기의 수학식 5에 의해 변환될 수 있다.
제 9 실시 예에 따른 분석부(500)는 상술한 제 12 내지 제 14 실시 예에 따른 광 계측기(400) 중 어느 하나에 의해 측정된 좌안 영상(L)의 소정 계조별 휘도(GLL0 , GW)(GLL0 , GB)(GLL0 , GG)에 기초하여 좌안 영상(L)의 감마 값(GVL)을 산출함과 아울러, 우안 영상(R)의 소정 계조별 휘도(GLR0 , GW)(GLR0 , GB)(GLR0 , GG)에 기초하여 우안 영상(R)의 감마 값(GVR)을 산출한다.
구체적으로, 제 9 실시 예에 따른 분석부(500)에 의한 감마 값의 산출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소정 계조별 좌안 영상(L)의 계조별 휘도(GL) 각각을 연결하여,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계조(V)에 따른 휘도 곡선(LC)을 구한다.
그런 다음, 각 계조 값을 로그(Log)화 하여 로그 계조 값(Log(V))을 산출한다.
그런 다음, 측정된 각 계조별 휘도(GL)에서 블랙 휘도(GL0)를 감산하여 각 계조별 휘도 차(GL-GL0)를 산출하고, 각 계조별 휘도 차(GL-GL0)를 로그화하여 로그 휘도 값(Log(GL-GL0))을 산출한다.
그런 다음, 산출된 로그 계조 값(Log(V))과 로그 휘도 값(Log(GL-GL0))에 따라,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감마 곡선(GC)을 구한다.
그런 다음, 구해진 감마 곡선(GC)에 대한 회귀 분석에 따른 회귀 방정식의 기울기를 산출함으로써 감마 곡선(GL)의 감마 값을 산출한다.
결과적으로, 제 9 실시 예에 따른 분석부(500)는 상술한 감마 값의 산출 방법을 통해 좌안 영상(L)의 감마 값(GVL) 및 우안 영상(R)의 감마 값(GVR)을 산출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입체 디스플레이 장치의 광학 측정 장치 및 방법은 3D 디스플레이(200)에 좌안 영상 및/또는 우안 영상을 표시하고, 편광 부재(300)를 통해 3D 디스플레이(200)에 좌안 영상 또는 우안 영상을 선택적으로 투과시켜 편광 부재(300)를 투과하는 좌안 영상 또는 우안 영상의 강도 또는 컬러 정보를 측정함으로써 3D 디스플레이(200)의 광학 특성을 보다 객관적으로 측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테스트 영상 공급부 200: 3D 디스플레이
300: 편광 부재 400: 광 계측기
500: 분석부

Claims (21)

  1. 3D 테스트 신호를 생성하는 테스트 영상 공급부;
    상기 테스트 영상 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상기 3D 테스트 신호에 기초하여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을 공간적 또는 시간적으로 나누어 표시하는 3D 디스플레이;
    상기 3D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상기 좌안 영상 및 상기 우안 영상을 선택적으로 투과시키는 편광 부재; 및
    상기 편광 부재를 투과하는 영상의 강도 또는 컬러 정보를 측정하는 광 계측기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3D 디스플레이는,
    상기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을 공간적 또는 시간적으로 나누어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및
    상기 3D 테스트 신호를 상기 좌안 영상 또는 상기 우안 영상으로 변환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에 표시하는 패널 구동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 디스플레이의 광학 측정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 구동부는,
    프레임 단위로 상기 3D 테스트 신호를 상기 좌안 영상 또는 상기 우안 영상으로 변환하는 영상 변환부; 및
    프레임 단위로 상기 좌안 영상과 상기 우안 영상 각각의 표시에 대응되는 셔터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송출하는 셔터 제어신호 생성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 디스플레이의 광학 측정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편광 부재는,
    상기 셔터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3D 디스플레이 패널에 표시되는 좌안 영상만을 투과시키는 좌안 안경; 및
    상기 셔터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3D 디스플레이 패널에 표시되는 우안 영상만을 투과시키는 우안 안경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 디스플레이의 광학 측정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은,
    상기 좌안 영상과 상기 우안 영상을 교번적으로 표시하기 위한 복수의 좌안 영상 표시 라인과 복수의 우안 영상 표시 라인;
    상기 좌안 영상 표시 라인에 표시되는 좌안 영상을 편광시키는 복수의 좌안 리타더 패턴; 및
    상기 우안 영상 표시 라인에 표시되는 우안 영상을 편광시키는 복수의 우안 리타더 패턴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 디스플레이의 광학 측정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편광 부재는,
    상기 3D 디스플레이 패널에 표시되는 좌안 영상만을 투과시키는 좌안 안경; 및
    상기 3D 디스플레이 패널에 표시되는 우안 영상만을 투과시키는 우안 안경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 디스플레이의 광학 측정 장치.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광 계측기에 의해 측정된 상기 영상의 강도 또는 컬러 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3D 디스플레이의 광학 특성 정보를 생성하는 분석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 디스플레이의 광학 측정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 특성 정보는 상기 좌안 영상 및 상기 우안 영상에 대한 휘도, 평균 휘도, 양안 휘도차, 휘도 불균일도, 암실 고대비, 색 재현율, 백색도, 양안 색차, 색 불균일도, 및 감마 값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 디스플레이의 광학 측정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분석부는,
    상기 3D 디스플레이의 스크린 중앙부에 설정된 중앙 측정 포인트에서 상기 광 계측기에 의해 측정된 좌안 영상의 화이트 휘도에 기초하여 상기 좌안 영상의 휘도를 산출하고,
    상기 중앙 측정 포인트에서 상기 광 계측기에 의해 측정된 우안 영상의 화이트 휘도에 기초하여 상기 우안 영상의 휘도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 디스플레이의 광학 측정 장치.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분석부는,
    상기 3D 디스플레이의 스크린에 설정된 복수의 측정 포인트에서 상기 광 계측기에 의해 측정된 좌안 영상의 측정 포인트별 화이트 휘도를 평균하여 좌안 영상의 평균 휘도를 산출하고,
    상기 3D 디스플레이의 스크린에 설정된 복수의 측정 포인트에서 상기 광 계측기에 의해 측정된 우안 영상의 측정 포인트별 화이트 휘도를 평균하여 우안 영상의 평균 휘도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 디스플레이의 광학 측정 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분석부는 상기 좌안 영상의 평균 휘도와 상기 우안 영상의 평균 휘도의 차이에 대응되는 양안 휘도차를 더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 디스플레이의 광학 측정 장치.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분석부는,
    상기 좌안 영상의 측정 포인트별 화이트 휘도에서 상기 좌안 영상의 평균 휘도를 감산하여 좌안 영상의 측정 포인트별 휘도 불균일도를 산출하고,
    상기 우안 영상의 각 측정 포인트별 화이트 휘도에서 상기 우안 영상의 평균 휘도를 감산하여 우안 영상의 측정 포인트별 휘도 불균일도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 디스플레이의 광학 측정 장치.
  12.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분석부는 상기 3D 디스플레이의 스크린 중앙부에 설정된 중앙 측정 포인트에서 상기 광 계측기에 의해 측정된 좌안 영상 및 우안 영상 각각의 화이트 휘도 및 블랙 휘도에 기초하여 상기 3D 디스플레이의 암실 고대비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 디스플레이의 광학 측정 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분석부는,
    상기 좌안 영상의 화이트 휘도를 상기 좌안 영상의 블랙 휘도로 나누어 좌안 영상의 암실 고대비, 및 상기 우안 영상의 화이트 휘도를 상기 우안 영상의 블랙 휘도로 나누어 우안 영상의 암실 고대비를 산출하고,
    상기 좌안 영상의 암실 고대비와 상기 우안 영상의 암실 고대비를 평균하여 상기 3D 디스플레이의 암실 고대비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 디스플레이의 광학 측정 장치.
  14.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분석부는,
    상기 3D 디스플레이의 스크린 중앙부에 설정된 중앙 측정 포인트에서 상기 광 계측기에 의해 측정된 좌안 영상의 컬러 정보에 기초하여 좌안 영상의 색 재현율을 산출하고,
    상기 3D 디스플레이의 스크린 중앙부에 설정된 중앙 측정 포인트에서 상기 광 계측기에 의해 측정된 우안 영상의 컬러 정보에 기초하여 우안 영상의 색 재현율을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 디스플레이의 광학 측정 장치.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좌안 영상의 컬러 정보 및 상기 우안 영상의 컬러 정보 각각은 상기 3D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풀 스크린 레드(Red) 영상, 상기 풀 스크린 그린 영상, 및 상기 풀 스크린 블루 영상 각각의 색 좌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 디스플레이의 광학 측정 장치.
  16.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분석부는,
    상기 3D 디스플레이의 스크린 중앙부에 설정된 중앙 측정 포인트에서 상기 광 계측기에 의해 측정된 좌안 영상의 색도 좌표에 기초하여 좌안 영상의 백색도를 산출하고,
    상기 3D 디스플레이의 스크린 중앙부에 설정된 중앙 측정 포인트에서 상기 광 계측기에 의해 측정된 우안 영상의 색도 좌표에 기초하여 우안 영상의 백색도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 디스플레이의 광학 측정 장치.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분석부는 상기 좌안 영상의 백색도에서 상기 우안 영상의 백색도를 감산하여 양안 색차를 더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 디스플레이의 광학 측정 장치.
  1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분석부는,
    상기 3D 디스플레이의 스크린에 설정된 중앙 및 복수의 가장자리 측정 포인트 각각에서 상기 광 계측기에 의해 측정된 좌안 영상의 측정 포인트별 색도 좌표에 기초하여 좌안 영상의 측정 포인트별 백색도를 산출하고,
    상기 3D 디스플레이의 스크린에 설정된 중앙 및 복수의 가장자리 측정 포인트 각각에서 상기 광 계측기에 의해 측정된 우안 영상의 측정 포인트별 색도 좌표에 기초하여 우안 영상의 측정 포인트별 백색도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 디스플레이의 광학 측정 장치.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분석부는,
    상기 좌안 영상의 가장자리 측정 포인트별 백색도 각각에서 상기 좌안 영상의 중앙 측정 포인트 백색도를 감산하여 좌안 영상의 가장자리 측정 포인트별 색 불균일도를 산출하고,
    상기 우안 영상의 가장자리 측정 포인트별 백색도 각각에서 상기 우안 영상의 중앙 측정 포인트 백색도를 감산하여 우안 영상의 가장자리 측정 포인트별 색 불균일도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 디스플레이의 광학 측정 장치.
  2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좌안 영상 및 상기 우안 영상 중 어느 하나는 소정 프레임마다 풀 스크린 블랙 계조에서 풀 스크린 화이트 계조까지 소정 계조 단위로 변화되는 풀 스크린 계조 영상이고,
    상기 좌안 영상 및 상기 우안 영상 중 나머지 하나는 풀 스크린 화이트 영상, 풀 스크린 블랙 영상, 또는 상기 풀 스크린 계조 영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 디스플레이의 광학 측정 장치.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분석부는,
    상기 3D 디스플레이의 스크린 중앙부에 설정된 중앙 측정 포인트에서 상기 광 계측기에 의해 측정된 상기 좌안 영상의 소정 계조별 휘도에 기초하여 좌안 영상의 감마 값을 산출하고,
    상기 중앙 측정 포인트에서 상기 광 계측기에 의해 측정된 상기 우안 영상의 소정 계조별 휘도에 기초하여 우안 영상의 감마 값을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 디스플레이의 광학 측정 장치.
KR1020130066957A 2013-06-12 2013-06-12 입체 디스플레이의 광학 측정 장치 KR1015542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66957A KR101554280B1 (ko) 2013-06-12 2013-06-12 입체 디스플레이의 광학 측정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66957A KR101554280B1 (ko) 2013-06-12 2013-06-12 입체 디스플레이의 광학 측정 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07078A Division KR101325988B1 (ko) 2010-10-29 2010-10-29 입체 디스플레이의 광학 측정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69710A KR20130069710A (ko) 2013-06-26
KR101554280B1 true KR101554280B1 (ko) 2015-09-18

Family

ID=488648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66957A KR101554280B1 (ko) 2013-06-12 2013-06-12 입체 디스플레이의 광학 측정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5428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15263B1 (ko) * 2015-12-18 2018-11-05 주식회사 생명과기술 디스플레이 광특성 계측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69710A (ko) 2013-06-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25988B1 (ko) 입체 디스플레이의 광학 측정 장치 및 방법
KR101282957B1 (ko) 입체 디스플레이의 광학 측정 장치 및 방법
US9541494B2 (en) Apparatus and method to measure display quality
CN102572458B (zh) 立体显示装置的左右眼亮度串扰值测量方法
CN105280148B (zh) 三维液晶显示装置及其驱动方法
KR101485253B1 (ko) 3d 디스플레이 제품에 대한 광학 테스팅 방법 및 시스템
CN102263985A (zh) 一种立体投影设备的质量评价方法、装置及系统
KR101981530B1 (ko) 입체영상 표시장치와 그 구동방법
US9081200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easuring picture quality of stereoscopic display device, and picture quality analyzing method using the same
KR101763942B1 (ko) 입체영상표시장치
CN104010187A (zh) 立体电视图像闪烁的评测装置及评测方法
KR101554280B1 (ko) 입체 디스플레이의 광학 측정 장치
CN103856773A (zh) 一种立体显示装置的左右眼亮度串扰值的测量方法
KR101839150B1 (ko) 3d 화질개선방법과 이를 이용한 입체영상 표시장치
CN202276428U (zh) 一种立体投影设备的质量评价装置
KR20130028363A (ko) 입체영상 표시장치의 크로스토크 평가방법 및 그 시스템
KR100819734B1 (ko) 디스플레이장치 및 이의 입체영상 구현방법
KR101843198B1 (ko) 멀티뷰 영상 생성방법과 이를 이용한 입체영상 표시장치
CN102137273A (zh) 三维色域数字电视测试图序列及测试方法
KR20130057767A (ko) 입체 디스플레이의 광학 측정 장치 및 방법
GB2484998A (en) Optical measurement of stereoscopic display device
CN203661217U (zh) 立体电视图像闪烁的评测装置
Zhang et al. A comparison of testing metrics between 3D LCD TV and 3D PDP TV
KR101888668B1 (ko) 입체영상 표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16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