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57767A - 입체 디스플레이의 광학 측정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입체 디스플레이의 광학 측정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57767A
KR20130057767A KR1020110123678A KR20110123678A KR20130057767A KR 20130057767 A KR20130057767 A KR 20130057767A KR 1020110123678 A KR1020110123678 A KR 1020110123678A KR 20110123678 A KR20110123678 A KR 20110123678A KR 20130057767 A KR20130057767 A KR 201300577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display panel
display
optical
viewing ang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236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66291B1 (ko
Inventor
김민욱
김의만
강병균
최종진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1236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66291B1/ko
Publication of KR201300577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577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662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662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7/00Diagnosis, testing or measuring for television systems or their details
    • H04N17/004Diagnosis, testing or measuring for television systems or their details for digital television system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 G02B30/2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 G02B30/22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of the stereoscopic type
    • G02B30/25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of the stereoscopic type using polarisation techniqu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20Image signal gener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esting, Inspecting, Measuring Of Stereoscopic Televisions And Televis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3D 디스플레이의 주 시청거리 및 시야각을 측정할 수 있는 3D 디스플레이의 광학 측정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입체 디스플레이의 광학 측정 방법은 편광 부재가 장착된 광 계측기를 3D 디스플레이 패널의 상단부와 수평이 되도록 배치시키고, 광 계측기를 0°~ 90° 범위에서 소정 각도 단위로 각도를 변경하여 상기 상단부를 기준으로 한 3D 영상의 크로스 토크를 산출하는 단계; 편광 부재가 장착된 광 계측기를 3D 디스플레이 패널의 하단부와 수평이 되도록 배치시키고, 광 계측기를 0°~ 90° 범위에서 소정 각도 단위로 각도를 변경하여 상기 하단부를 기준으로 한 3D 영상의 크로스 토크를 산출하는 단계; 상기 상단부를 기준으로 한 3D 영상의 크로스 토크 및 상기 하단부를 기준으로 한 3D 영상의 크로스 토크가 10% 이하인 시야각을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3D 영상의 크로스 토크가 10% 이하인 하단부의 시야각과 상단부의 시야각이 중복되는 영역을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입체 디스플레이의 광학 측정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MEASURING OPTICAL OF STEREOSCOPIC DISPLAY}
본 발명은 입체(3D) 디스플레이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3D 디스플레이의 주 시청거리 및 시야각을 측정할 수 있는 3D 디스플레이의 광학 측정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3D(3 Dimension) 방송의 실용화에 부응하여 3D 디스플레이 장치가 차세대 디스플레이 장치로 크게 주목을 받고 있다. 이에 따라, 3D 디스플레이의 광학 특성을 평가하고 제품의 우수성을 소비자에게 알릴 필요성이 커지고 있다.
그러나, 3D 디스플레이는 아직 시장 진입 단계이고, 객관적이고 표준화된 광학 특성 평가 시스템이 없기 때문에, 객관적인 3D 디스플레이의 광학 특성을 소비자(시청자)에게 제공하지 못하고 있다. 이로 인하여, 3D 디스플레이가 차세대 디스플레이로 크게 주목을 받고 있는데도 불구하고, 3D 방송의 활성화 및 3D 디스플레이 장치의 보급이 지연되고 있다.
3D 디스플레이 장치는 시청자의 양안 시차를 이용하여 3D 영상을 구현하는 것으로, 셔터 글라스(SG: shutter glass) 방식과 필름 타입 편광 지연(FPR: Film type Patterned Retarder) 방식이 개발되었다.
이중 셔터 글라스 방식은 디스플레이 패널에서 시간에 따라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을 순차적으로 영상을 표시하고, 셔터 글라스를 통해 순차적으로 표시되는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을 선택적으로 투과시켜 3D 영상을 구현한다.
FPR 방식은 디스플레이 패널에서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이 표시되는 영역을 공간적으로 분할하여 표시하고, 편광 필름 안경을 통해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을 선택적으로 투과시켜 3D 영상을 구현한다.
FPR 방식의 3D 디스플레이의 광학 특성에 의해 일정 범위의 시야각 및 시청 거리 내에서 시청자가 영상을 바라보았을 때, 3D 영상으로 인식되게 된다. 따라서, 시청자에게 FPR 방식의 3D 디스플레이의 광학 특성 정보가 제공되어야 한다.
그러나, 현재 FPR 방식의 3D 디스플레이의 3D 시야각 측정 방법은 기존의 2D 영상의 콘트라스트 비(CR: contrast ratio)를 측정하던 방법을 그대로 이용하고 있다.
이러한 종래 기술에 따른 3D 디스플레이의 시야각 측정 방법은 3D 시야각과 실제 3D 영상을 시청할 수 있는 영역간에 갭(gap)을 발생시킨다. 또한, 3D 시야각은 FPR 디스플레이 장치의 토탈 피치(Total Pitch)와 주 시청거리에 따라서 달라질 수 있으나, 종래 기술은 FPR 디스플레이 장치의 성능 및 시청 거리와 무관하게 항상 동일한 3D 시야각을 나타내게 된다.
결과적으로, 3D 시야각이 측정 되더라도, 실제 시청자가 3D 영상을 느끼는 시야각과 측정된 시야각에는 차이가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시청자가 3D 영상을 느끼는 시야각보다 좁은 영역에서 3D를 시청할 수 있으며, 시청자는 3D 영상의 시야각이 좁다고 인식하게 된다.
이와 같이, 종래 기술에 따른 3D 디스플레이의 광학 특성 측정 방법은 3D 디스플레이의 광학 특성을 정확하게 측정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3D 영상을 시청할 수 있는 시야각과 3D 영상을 인지할 수 있는 최적의 시청거리(주 시청거리)를 명확하게 측정하고, 측정 결과에 따른 3D 디스플레이의 광학 특성 정보를 시청자에게 제공하여야 하지만 현재까지 3D 디스플레이의 광학 특성을 객관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방법(시스템)이 제안되고 있지 않다. 또한, 감성적으로 표현하던 3D 시청영역을 명확하게 수치화하여 시청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3D 디스플레이의 광학 측정 장치 및 방법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3D 디스플레이의 광학 특성을 측정할 수 있는 3D 디스플레이의 광학 측정 방법(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3D 디스플레이의 주 시청거리를 측정할 수 있는 3D 디스플레이의 광학 측정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3D 디스플레이의 시야각을 측정할 수 있는 3D 디스플레이의 광학 측정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시청자가 3D 영상을 정상적으로 시청할 수 있는 시청거리 및 시야각을 측정하고, 측정된 3D 디스플레이의 광학 정보를 정량화된 수치로 표현할 수 있는 3D 디스플레이의 광학 측정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입체 디스플레이의 광학 측정 방법은 편광 부재가 장착된 광 계측기를 3D 디스플레이 패널의 상단부와 수평이 되도록 배치시키고, 광 계측기를 0°~ 90° 범위에서 소정 각도 단위로 각도를 변경하여 상기 상단부를 기준으로 한 3D 영상의 크로스 토크를 산출하는 단계; 편광 부재가 장착된 광 계측기를 3D 디스플레이 패널의 하단부와 수평이 되도록 배치시키고, 광 계측기를 0°~ 90° 범위에서 소정 각도 단위로 각도를 변경하여 상기 하단부를 기준으로 한 3D 영상의 크로스 토크를 산출하는 단계; 상기 상단부를 기준으로 한 3D 영상의 크로스 토크 및 상기 하단부를 기준으로 한 3D 영상의 크로스 토크가 10% 이하인 시야각을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3D 영상의 크로스 토크가 10% 이하인 하단부의 시야각과 상단부의 시야각이 중복되는 영역을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입체 디스플레이의 광학 측정 장치는 3D 영상 테스트 신호를 생성하는 테스트 영상 공급부; 상기 테스트 영상 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상기 3D 영상 테스트 신호에 기초하여 좌안 영상 및/또는 우안 영상을 표시하는 3D 디스플레이 패널; 상기 3D 디스플레이 패널에 마주보도록 설치되어 상기 3D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상기 좌안 영상 및 상기 우안 영상을 선택적으로 투과시키는 편광 부재; 상기 편광 부재를 투과하는 영상의 휘도를 측정하는 광 계측기; 및 상기 광 계측기의 휘도 측정 결과에 기초하여 3D 영상의 광학 특성 정보를 생성하는 분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3D 디스플레이의 광학 특성을 측정할 수 있는 3D 디스플레이의 광학 측정 방법(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3D 디스플레이의 주 시청거리를 측정할 수 있는 3D 디스플레이의 광학 측정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3D 디스플레이의 시야각을 측정할 수 있는 3D 디스플레이의 광학 측정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시청자가 3D 영상을 정상적으로 시청할 수 있는 시청거리 및 시야각을 측정하고, 측정된 3D 디스플레이의 광학 정보를 정량화된 수치로 표현할 수 있는 3D 디스플레이의 광학 측정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소비자(시청자)에게 3D 디스플레이의 광학 특성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입체 디스플레이의 광학 측정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디스플레이 패널에서 표시되는 영상 패턴을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입체 디스플레이에 설정되는 복수의 측정 포인트를 나타내는 도면.
도 4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입체 디스플레이의 광학 측정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
본 발명은 3D 디스플레이의 여러 가지 광학 특성들 중에서 시청자가 3D 영상을 정상적으로 시청할 수 있는 주 시청거리 및 시야각을 측정하고, 측정된 광학 정보를 수치화하여 소비자(시청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3D 디스플레이의 광학 측정 장치 및 방법(시스템)을 제안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3D 디스플레이의 광학 측정방법은 아래의 3D 영상 표시 방식들에 적용될 수 있다.
1. 화면 공간 분할이 가능한 필름 타입 패턴 리타더를 포함하는 FPR 방식의 3D 디스플레이 패널과, 선형 편광 필름 안경 또는 원형 편광 필름 안경으로 구성된 입체 영상 표시 방식.
2. 시간에 따라 순차적으로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와, 시간 분할 셔터 글라스(SG: shutter glass)으로 구성된 입체 영상 표시 방식.
3. 화면 전환이 가능한 시간 분할 편광판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와, 선형 편광 필름 안경 또는 원형 편광 필름 안경으로 구성된 입체 영상 표시 방식.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3D 디스플레이의 광학 측정 방법의 전부 또는 일부 사상은 상기 입체 영상 표시 방식들 이외의 다른 입체 영상 표시 방식들에도 적용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3D 디스플레이의 광학 측정 장치 및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입체 디스플레이의 광학 측정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입체 디스플레이의 광학 측정 장치는 테스트 영상 공급부(100), 3D 디스플레이 패널(200), 편광 부재(300), 광 계측기(400), 및 분석부(5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구성을 포함하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입체 디스플레이의 광학 측정 장치는 3D 디스플레이의 광학 특성을 측정하고, 측정된 값을 수치화하여 시청자(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3D 디스플레이의 광학 특성을 측정하기 위한 측정 항목(Measuring Item)은 시청자(사용자)가 3D 영상을 정상적으로 시청할 수 있는 시야각 및 주 시청거리가 될 수 있다. 이때, 3D 영상의 크로스 토크(C/T)가 10% 이하인 경우의 시야각 및 주 시청거리를 측정한다.
3D 영상의 크로스 토크는 백색 패턴 화면과 검은색 패턴 화면 사이에서 발생되는 좌안과 우안 간의 간섭에 의해 발생되는 것으로 3D 영상의 화질을 측정하는데 중요한 항목이다.
일 예로서, 3D 영상의 크로스 토크는 좌안 영상 또는 우안 영상이 풀 스크린 화이트 영상인 경우와, 좌안 영상 또는 우안 영상이 풀 스크린 블랙 영상인 경우의 크로스 토크를 포함한다. 또한, 좌안 영상이 블랙이고, 우안 영상이 화이트 인 경우 및 좌안 영상이 화이트이고, 우안 영상이 블랙인 경우의 크로스 토크를 포함한다.
테스트 영상 공급부(100)는 3D 디스플레이 패널(200)의 광학 특성을 측정하기 위한 3D 영상 테스트 신호를 생성하고, 생성된 3D 영상 테스트 신호를 3D 디스플레이 패널(200)에 공급한다.
3D 디스플레이 패널(200)은 공간 분할이 가능한 필름 타입 패턴 리타더를 포함하여 3D 영상을 표시한다.
도 2를 참조하면, 3D 디스플레이 패널(200)은 테스트 영상 공급부(100)로부터의 3D 영상 테스트 신호에 기초하여 3D 테스트 영상을 표시한다.
3D 영상 테스트 신호는 3D 디스플레이 패널(200)에서 공간적 또는 시간적으로 나누어져 표시되는 좌안 영상(L)과 우안 영상(R)을 포함한다. 이때,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은, 광 계측기(400)에서 측정하고자 하는 3D 디스플레이 패널(200)의 광학 특성, 즉 시야각 및 주 시청거리를 측정하기 위한 테스트 영상으로 표시된다.
이때, 3D 테스트 영상은 제1 패턴 영상 내지 제4 패턴 영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제1 패턴 영상은 좌안 영상 및 우안 영상을 화이트로 표시(L_white R_white)하는 풀 화이트 영상이다.
제2 패턴 영상은 좌안 영상은 블랙을 표시하고, 우안 영상은 화이트를 표시(L_black - R_white)하는 영상이다.
제3 패턴 영상은 좌안 영상은 화이트를 표시하고, 우안 영상은 블랙을 표시(L_white - R_black)하는 영상이다.
제4 패턴 영상은 좌안 영상 및 우안 영상을 블랙으로 표시(L_black - R_black)하는 풀 블랙 영상이다.
여기서, 제1 패턴 영상 내지 제4 패턴 영상을 모두 이용하여 3D 테스트 영상을 구성할 수도 있고, 일부만을 이용하여 3D 테스트 영상을 구성할 수도 있다. 일 예로서, 제2 패턴 영상 내지 제4 패턴 영상을 이용하여 3D 테스트 영상을 구성할 수도 있다.
3D 디스플레이 패널(200)은 거치대(210)에 설치될 수 있다. 이때, 3D 디스플레이 패널(200)은 거치대(210)에 의해 지면으로부터 소정 높이를 가지도록 수직하게 거치됨과 아울러, 소정 방향(수평 방향 및 수직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거치될 수 있다.
이러한, 3D 디스플레이 패널(200)은 테스트 영상 공급부(100)로부터 공급되는 3D 영상 테스트 신호에 기초하여 좌안 영상(L) 및/또는 우안 영상(R)을 공간적 또는 시간적으로 나누어 표시할 수 있다.
FPR 방식의 3D 디스플레이 패널(200)은 복수의 단위 화소(미도시), 복수의 좌안 리타더 패턴, 및 복수의 우안 리타더 패턴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복수의 단위 화소 각각은 복수의 수평 라인과 복수의 수직 라인에 의해 교차되는 영역마다 형성되어 영상을 표시하는 레드, 그린 및 블루의 서브 화소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복수의 수평 라인 또는 복수의 수직 라인은 좌안 영상 표시 라인과 우안 영상 표시 라인으로 구분된다. 일 예로써, 홀수 번째 수평 라인은 좌안 영상 표시 라인으로 설정되고, 짝수 번째 수평 라인은 우안 영상 표시 라인으로 설정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의 경우와 반대로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의 표시 라인이 설정될 수도 있다.
다른 예로써, 홀수 번째 수직 라인은 좌안 영상 표시 라인으로 설정되고, 짝수 번째 수직 라인은 우안 영상 표시 라인으로 설정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의 경우와 반대로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의 표시 라인이 설정될 수도 있다.
복수의 좌안 리타더 패턴 각각은 상기의 좌안 영상 표시 라인에 대응되도록 형성되어 좌안 영상 표시 라인에 표시되는 좌안 영상(L)을 편광시킨다.
복수의 우안 리타더 패턴 각각은 상기의 우안 영상 표시 라인에 대응되도록 형성되어 우안 영상 표시 라인에 표시되는 우안 영상(R)을 편광시킨다.
이러한, 좌안 리타더 패턴과 우안 리타더 패턴은 서로 다른 광축, 일 예로서 90°의 위상차를 가질 수 있다.
패널 구동부는 3D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동 방식에 기초하여 테스트 영상 공급부(100)로부터 공급되는 3D 영상 테스트 신호에 대응되는 좌안 영상(L) 및/또는 우안 영상(R)을 3D 디스플레이 패널에 표시한다.
FPR 방식의 3D 디스플레이 패널(200)에 있어서, 패널 구동부는 테스트 영상 공급부(100)로부터 공급되는 3D 영상 테스트 신호에 대응되는 좌안 영상(L)과 우안 영상(R)을 상기 좌안 영상 표시 라인 및 우안 영상 표시 라인에 표시한다.
이를 위해, 패널 구동부는 3D 영상 테스트 신호를 좌안 영상(L) 및 우안 영상(R)으로 변환하는 영상 변환부(미도시)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한편, 3D 디스플레이 패널(200)이 액정 디스플레이(LCD) 패널일 경우 3D 디스플레이는 3D 디스플레이 패널에 광을 조사하는 백라이트 유닛(미도시)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편광 부재(300)는 3D 디스플레이 패널(200)에 마주보도록 설치되어 3D 디스플레이(300)에 표시되는 좌안 영상(L) 및 상기 우안 영상을 선택적으로 투과시켜 광 계측기(400)에 입사되도록 한다. 이를 위해, 편광 부재(300)는 좌안 안경 및 우안 안경으로 구성될 수 있다.
좌안 안경은 3D 디스플레이 패널(200)에서 시간적 또는 공전적으로 나뉘어 표시되는 좌안 영상(L) 및 우안 영상(R) 중에서 좌안 영상(L)만을 투과시킨다.
3D 디스플레이 패널(200)이 FPR 방식에 기초하여 좌안 영상(L)을 표시할 경우, 좌안 안경은 좌안 영상(L)만을 투과시키는 편광 필터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좌안 안경은 3D 디스플레이 패널(200)에 표시되는 좌안 영상(L)에 대한 광학 특성의 측정 시 광 계측기(400)에 대향되도록 설치된다. 이때, 좌안 안경은 광 계측기(400)에 인접하도록 안경 거치대(미도시) 또는 광 계측기(400)에 거치될 수 있으며, 광 계측기(400)와 접촉되지 않도록 광 계측기(400)로부터 적어도 10mm 이상 이격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우안 안경은 3D 디스플레이 패널(200)에 표시되는 우안 영상(R)만을 투과시킨다.
3D 디스플레이 패널(200)이 FPR 방식에 기초하여 우안 영상(R)을 표시할 경우, 우안 안경은 우안 영상(R)만을 투과시키는 편광 필터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우안 안경은 3D 디스플레이 패널(200)에 표시되는 우안 영상(R)에 대한 광학 특성의 측정 시 광 계측기(400)에 대향되도록 설치된다. 이때, 우안 안경은 광 계측기(400)에 인접하도록 별도의 안경 거치대(미도시) 또는 광 계측기(400)에 설치된 안경 거치대(미도시)에 거치될 수 있으며, 광 계측기(400)와 접촉되지 않도록 광 계측기(400)로부터 적어도 10mm 이상 이격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편광 부재(300)는, 광 계측기(400)에 소정의 회전각(δ)을 가지도록 안경 거치대(미도시)에 거치될 수도 있다. 이는, 편광 부재(300)의 회전을 회전시켜 3D 디스플레이 패널(200)의 광학 특성을 측정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회전각(δ)은 광 계측기(400)로부터 바라 보았을 때 시계 방향, 3D 디스플레이 패널(200)의 수평축을 기준으로 회전한 각도로 정의될 수 있다.
다른 한편, 상술한 편광 부재(300)는 필름 또는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되어 광 계측기(400)의 전면에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될 수도 있다.
도 1에서, 광 계측기(400)는 편광 부재(300)를 투과하는 좌안 영상 및 우안 영상의 휘도를 측정한다.
이때, 광 계측기(400)는 3D 디스플레이 패널(200)로부터 소정의 측정 거리만큼 이격됨과 아울러, 3D 디스플레이 패널(200)와 서로 직각을 이루도록 설치된다. 또한, 광 계측기(400)는 3D 디스플레이 패널(200)와 수평 및/또는 수직 방향에서 소정 각도 차이를 가지도록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광 계측기(400)와 3D 디스플레이 패널(200) 간의 거리 즉, 측정 거리(ℓM)는 2m 이상 또는 3L(단, L은 3D 디스플레이 화면 높이(V), 너비(H), 대각 길이 중 하나)이 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광 계측기(400)는 3D 디스플레이 패널(200)에 설정된 복수의 측정 포인트(P1 내지 P9) 각각과 동일 선상에 위치하도록 설치된다. 이때, 광 계측기(400)는 3D 디스플레이 패널(200)에 설정된 각 측정 포인트(P1 내지 P9)에 직각을 이루도록 설치될 수 있다. 또한, 광 계측기(400)는 3D 디스플레이 패널(200)에 설정된 각 측정 포인트(P1 내지 P9)에 대해 수평 및/또는 수직 방향으로 소정 각도 차이를 가지도록 설치될 수 있다.
복수의 측정 포인트는 제0 내지 제9 측정 포인트(P1 내지 P9)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1 측정 포인트(P1)는 3D 디스플레이 패널(200)의 정 중앙부에 대응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제2 측정 포인트(P2)는 3D 디스플레이 패널(200)의 중앙부 상단에 대응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제3 측정 포인트(P3)는 3D 디스플레이 패널(200)의 중앙부 하단에 대응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제4 측정 포인트(P4)는 3D 디스플레이 패널(200)의 중앙부 좌측에 대응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제5 측정 포인트(P5)는 3D 디스플레이 패널(200)의 중앙부 우측에 대응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제6 측정 포인트(P6) 내지 제9 측정 포인트(P9)는 3D 디스플레이 패널(200)의 각 모서리 부분에 대응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광 계측기(400)는 입사되는 좌안 영상(L) 및/또는 우안 영상(R)의 휘도를 측정한다.
분석부(500)는 광 계측기(400)에 의해 측정된 좌안 영상 및/또는 우안 영상의 휘도를 분석하여 3D 디스플레이 패널(200)의 광학 특성 정보를 생성한다. 여기서, 광학 특성 정보는 좌안 영상 및 우안 영상의 크로스 토크 즉, 3D 영상의 크로스 토크, 시야각 및 주 시청거리를 포함한다.
도 4를 참조하면, 분석부(500)는 광 계측기(400)로부터 제공되는 영상의 휘도 정보를 이용하여 3D 영상의 크로스 토크를 측정하고, 크로스 토크가 10% 이하인 경우에 한하여 시야각 및 주 시청거리를 측정한다. 그리고, 측정된 광학 특성 결과에 의해 3D 영상을 시청할 수 있는 영역에 대한 정보를 수치화하여 이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도 4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입체 디스플레이의 광학 측정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도 4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입체 디스플레이의 광학 측정 방법을 설명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3D 디스플레이 패널(200)에서 표시되는 영상의 양안(좌안 및 우안) 크로스 토크를 측정할 수 있다. 이때, 3D 디스플레이 패널(200)은 좌안 영상 및 우안 영상을 공간적으로 나누어 표시한다.
이때, 3D 디스플레이 패널(200)은 도 2에 도시된 테스트 영상의 제1 내지 제4 패턴 영상에 따라 좌안 영상 및 상기 우안 영상 중 어느 하나를 풀 스크린 화이트(Full Screen White) 영상으로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좌안 영상 및 상기 우안 영상 중 나머지 하나는 풀 스크린 화이트 영상 또는 풀 스크린 블랙(Full Screen Black) 영상으로 표시할 수 있다.
또한, 3D 디스플레이 패널(200)은 좌안 영상 및 상기 우안 영상을 풀 스크린 블랙 영상으로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풀 스크린 화이트 영상은 100% 백색 영상을 의미하고, 풀 스크린 블랙 영상은 100% 검은색 영상을 의미한다.
3D 영상이 시청 가능한 영역은 3D 전광 특성 치 중에서, 3D 시야각으로 대변할 수 있다. 3D 시야각을 측정하기 위해서는, 도 2에 도시된 패턴 영상들을 3D 디스플레이 패널(200)에서 표시한다.
그리고, 3D 안경 역할을 하는 필터(Filter) 즉, 편광 안경을 광 계측기(400)에 장착하여 휘도 값이 최소가 되도록 한다. 이후, 3D 디스플레이 패널(200)의 정 중앙을 기준으로 상/하로 1˚ 간격으로 휘도를 측정하여, 3D C/T값이 10% 이하가 되는 범위를 산출한다. 또한, 3D 디스플레이 패널(200)의 정 중앙을 기준으로 좌/우로 1˚ 간격으로 휘도를 측정하여, 3D C/T값이 10% 이하가 되는 범위를 산출한다.
일 예로서, 편광 부재(300)가 장착된 광 계측기(400)를 3D 디스플레이 패널(200)의 상단부와 수평이 되도록 배치시키고, 광 계측기(400)를 0°~ 90°범위에서 소정 각도 단위(일 예로서, 1° 단위)로 각도를 변경하여 상기 상단부를 기준으로 한 3D 영상의 크로스 토크를 산출한다.
그리고, 편광 부재(300)가 장착된 광 계측기(400)를 3D 디스플레이 패널(200)의 하단부와 수평이 되도록 배치시키고, 광 계측기(400)를 0°~ 90° 범위에서 소정 각도 단위(일 예로서, 1° 단위)로 각도를 변경하여 상기 하단부를 기준으로 한 3D 영상의 크로스 토크를 산출한다.
이때, 3D 영상의 크로스 토크는 좌안 영상 및 우안 영상에 대하여 각각 측정된 결과를 이용하여 산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좌안을 기준으로 한 대한 3D 크로스 토크[%]을 산출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3D 디스플레이 패널(200)은 좌안 영상으로 풀 스크린 화이트(full screen white) 영상을 표시하고, 우안 영상으로 풀 스크린 블랙(full screen black) 영상을 표시한다. 이때, 광 계측기(400)를 편광 부재(300)의 좌안 안경에 정렬시키고, 3D 디스플레이 패널(200)의 스크린 정 중앙(P1)의 휘도를 측정한다. 그리고, 측정된 휘도의 정보를 제1 휘도 값으로 기록하고, 제1 휘도 값을 분석부(500)에 제공한다.
여기서, 제1 휘도 값은 좌안 화이트 영상, 우안 블랙 영상에 따른 좌안 기준의 휘도 값을 의미한다.
이어서, 3D 디스플레이 패널(200)에서 표시되는 영상 신호를 바꾸어, 좌안 영상으로 풀 스크린 블랙 영상을 표시하고, 우안 영상으로 풀 스크린 화이트 영상을 표시한다. 이때, 광 계측기(400)를 편광 부재(300)의 좌안 안경에 정렬시키고, 3D 디스플레이 패널(200)의 스크린 정 중앙(P1)의 휘도를 측정한다. 그리고, 측정된 휘도의 정보를 제2 휘도 값으로 기록하고, 제2 휘도 값을 분석부(500)에 제공한다.
여기서, 제2 휘도 값은 좌안 블랙 영상, 우안 화이트 영상에 따른 좌안 기준의 휘도 값을 의미한다.
이어서, 3D 디스플레이 패널(200)에서 표시되는 영상 신호를 바꾸어, 좌안 영상 및 우안 영상으로 풀 스크린 블랙 영상을 표시한다. 이때, 광 계측기(400)를 편광 부재(300)의 좌안 안경에 정렬시키고, 3D 디스플레이 패널(200)의 스크린 정 중앙(P1)의 휘도를 측정한다. 그리고, 측정된 휘도의 정보를 제3 휘도 값으로 기록하고, 제3 휘도 값을 분석부(500)에 제공한다.
여기서, 제3 휘도 값은 좌안 블랙 영상 및 우안 블랙 영상에 따른 좌안 기준의 휘도 값을 의미한다.
분석부(500)는 광 계측기(400)로부터 제공된 상기 제1 휘도 값 내지 제3 휘도 값을 이용하여 좌안을 기준으로 3D 크로스 토크[%]을 산출한다.
구체적으로, 제2 휘도 값에서 제3 휘도 값을 감산하여 얻어진 제1 기준 값을, 제1 휘도 값에서 제3 휘도 값을 감산하여 얻어진 제2 기준 값으로 제산(divide)하여 좌안을 기준으로 한 3D 크로스 토크[%]를 산출한다.
이를 통해, 시청자가 편광 부재(300)를 착용하여 3D 영상을 시청할 시, 좌안 안경을 투과하여 인지되는 좌안 영상에 대해 우안 영상이 얼마만큼 간섭을 일으켰는지를 측정할 수 있다.
이어서, 우안을 기준으로 한 3D 크로스 토크[%]을 산출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3D 디스플레이 패널(200)은 우안 영상으로 풀 스크린 화이트(full screen white) 영상을 표시하고, 좌안 영상으로 풀 스크린 블랙(full screen black) 영상을 표시한다. 이때, 광 계측기(400)를 편광 부재(300)의 우안 안경에 정렬시키고, 3D 디스플레이 패널(200)의 스크린 정 중앙(P1)의 휘도를 측정한다. 그리고, 측정된 휘도의 정보를 제4 휘도 값으로 기록하고, 제4 휘도 값을 분석부(500)에 제공한다.
여기서, 제4 휘도 값은 우안 화이트 영상, 좌안 블랙 영상에 따른 우안 기준의 휘도 값을 의미한다.
이어서, 3D 디스플레이 패널(200)에서 표시되는 영상 신호를 바꾸어, 우안 영상으로 풀 스크린 블랙 영상을 표시하고, 좌안 영상으로 풀 스크린 화이트 영상을 표시한다. 이때, 광 계측기(400)를 편광 부재(300)의 우안 안경에 정렬시키고, 3D 디스플레이 패널(200)의 스크린 정 중앙(P1)의 휘도를 측정한다. 그리고, 측정된 휘도의 정보를 제5 휘도 값으로 기록하고, 제5 휘도 값을 분석부(500)에 제공한다.
여기서, 제5 휘도 값은 우안 블랙 영상, 좌안 화이트 영상에 따른 우안 기준의 휘도 값을 의미한다.
이어서, 3D 디스플레이 패널(200)에서 표시되는 영상 신호를 바꾸어, 우안 영상 및 좌안 영상으로 풀 스크린 블랙 영상을 표시한다. 이때, 광 계측기(400)를 편광 부재(300)의 우안 안경에 정렬시키고, 3D 디스플레이 패널(200)의 스크린 정 중앙(P1)의 휘도를 측정한다. 그리고, 측정된 휘도의 정보를 제6 휘도 값으로 기록하고, 제6 휘도 값을 분석부(500)에 제공한다.
여기서, 제6 휘도 값은 좌안 블랙 영상 및 우안 블랙 영상에 따른 좌안 기준의 휘도 값을 의미한다.
분석부(500)는 광 계측기(400)로부터 제공된 상기 제4 휘도 값 내지 제6 휘도 값을 이용하여, 우안을 기준으로 3D 크로스 토크[%]를 산출한다.
구체적으로, 제5 휘도 값에서 제6 휘도 값을 감산하여 얻어진 제3 기준 값을, 제4 휘도 값에서 제6 휘도 값을 감산하여 얻어진 제4 기준 값으로 제산(divide)하여 우안을 기준으로 한 3D 크로스 토크[%]를 산출한다.
이를 통해, 시청자가 편광 부재(300)를 착용하여 3D 영상을 시청할 시, 우안 안경을 투과하여 인지되는 우안 영상에 대해 좌안 영상이 얼마만큼 간섭을 일으켰는지를 측정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통해, 3D 디스플레이의 3D 크로스 토크 객관적으로 측정하고, 측정된 3D 크로스 토크의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좌안 및 우안을 기준으로 측정되는 3D 영상의 크로스 토크는 3D 디스플레이 패널(200)의 제1 측정 포인트(P1)뿐만 아니라, 나머지 제2 측정 포인트(P2) 내지 제9 측정 포인트(P9)에 대해서도 동일하게 측정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3D 크로스 토크의 측정은 3D 디스플레이 패널(200)와 편광 부재(300)가 일정 시간 동안 에이징이 이루어진 이후에 수행될 수 있다.
이어서, 3D 크로스 토크가 10% 이하인 경우에 한하여 시야각 및 주 시청 거리를 측정하여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3D 영상을 정상적으로 시청할 수 있는 3D 시청 영역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3D 디스플레이 패널(200)의 정 중앙(P1)을 기준으로 상/하 또는 좌/우로 1˚ 간격으로 각도를 변경하면서 영상의 휘도를 측정하여 3D 크로스 토크 값이 10% 이하가 되는 각도(범위)를 산출한다. 이를, 중앙부의 시야각(제1 시야각)으로 정의한다.
여기서, 시야각의 수평 각도(θH) 및 수직 각도(θV)는 0° 내지 90°의 범위 내에서 자유롭게 변경될 수 있다.
일 예로서, 수평 각도(θH)는 0°를 기준으로 ±1° 단위로 변경하고, 3D 디스플레이 패널(200)에서 표시되는 3D 영상의 크로스 토크가 10% 이하인 수평 시야각을 측정할 수 있다.
수직 각도(θV)도 마찬가지로, 0°를 기준으로 ±1° 단위로 변경하고, 3D 디스플레이 패널(200)에서 표시되는 3D 영상의 크로스 토크가 10% 이하인 수직 시야각을 측정할 수 있다.
한편, 3D 디스플레이 패널(200)의 정 중앙(P1)만을 기준으로 시야각을 측정하면 측정된 시야각과 실제의 시야각에 오차가 발생될 수 있다. 하기와 같이, 3D 디스플레이 패널(200)의 중앙부 상단 및 중앙부 하단을 기준으로 시야각을 더 측정하여 시야각의 오차를 줄인다.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3D 영상을 정상적으로 시청할 수 있는 범위는 3D 디스플레이 패널(200)의 상단 및 하단의 시야각을 포함하여야 한다. 따라서, 상기 제1 시야각을 산출하는 방법과 유사하게, 3D 디스플레이 패널(200)의 중앙부 상단 및 중앙부 하단을 기준으로 한 시야각을 측정한다.
구체적으로, 3D 디스플레이 패널(200)의 중앙부 상단 즉, 도 3에 도시된 제2 측정 포인트(P2)와 수평이 되도록 광 계측기(400)를 배치하고, 0°를 기준으로 ±1° 단위로 다운(down)시키면서 3D 디스플레이 패널(200)에서 표시되는 3D 영상의 크로스 토크가 10% 이하인 각도(범위)를 산출할 수 있다. 이를, 상단부의 시야각(제2 시야각)으로 정의한다.
이어서, 3D 디스플레이 패널(200)의 중앙부 하단 즉, 도 3에 도시된 제3 측정 포인트(P3)와 수평이 되도록 광 계측기(400)를 배치하고, 0°를 기준으로 ±1° 단위로 업(up)시키면서 3D 디스플레이 패널(200)에서 표시되는 3D 영상의 크로스 토크가 10% 이하인 각도(범위)를 산출할 수 있다. 이를, 하단부의 시야각(제3 시야각)으로 정의한다.
한편, 수직 각도뿐만 아니라 수평 각도도 동일하게 0°를 기준으로 ±1°단위로 좌측 및 우측으로 변경하여, 3D 디스플레이 패널(200)의 상단부 및 하단부의 좌/우 시야각을 측정할 수 있다. 이때, 3D 영상의 크로스 토크도 10% 이하로 설정된다.
이와 같이, 3D 영상의 크로스 토크가 10% 이하인 조건에서 측정된, 중앙부의 시야각(제1 시야각), 상단부의 시야각(제2 시야각) 및 상단부의 시야각(제3 시야각)이 중복되는 영역을 시청자가 3D 영상을 정상적으로 시청할 수 있는 3D 시청 영역으로 정의한다.
도 4에 도시된, 3D 시청 영역 중에서 상단부 시야각과 하단부 시야각이 중복되는 영역이 가장 넓은 영역이다. 그리고, 수직 시야각(Viewing Height)이 최대가 되는 시청거리가 된다. 따라서, 수직 시야각(Viewing Height)이 최대가 되는 지점으로부터 3D 디스플레이 패널(200)까지의 거리(D1)를 3D 주 시청 거리로 정의한다. 즉, 3D 영상의 주 시청 거리에서의 3D 영상의 시청이 가능 상하의 높이를 수직 시야각(Viewing Height)으로 정의할 수 있다.
상술한 입체 디스플레이의 광학 측정 장치 및 방법을 통해 3D 디스플레이 패널(200)에서 표시되는 3D 영상을 정상적으로 시청할 수 있는 최적의 시청범위(시야각 및 주 시청거리)를 측정하여, 이를 시청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3D 영상을 최적의 화질로 시청할 수 있는 주 시청 거리 및 수평 시야각 및 수직 시야각(Viewing Height)을 측정하고, 이를 개관적인 수치로 표현하여 시청자가 3D 디스플레이 장치를 선택하여 구매하는 기준으로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광 계측기(400)를 소정 각도로 회전시켜 상기 수평 및 수직 시야각의 변경시킬 수도 있다. 또한, 3D 디스플레이 패널(200)을 수평 및 수직 방향으로 소정 각도 회전시켜 상기 수평 및 수직 시야각의 변경시킬 수도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시야각 별 3D 크로스 토크의 측정은 3D 디스플레이 패널(200)와 편광 부재(300)가 일정 시간 동안 에이징이 이루어진 이후에 수행될 수 있다.
상술한 설명에서는 제1 측정 포인트(P1), 제2 측정 포인트(P2) 및 제3 측정 포인트(P3)를 기준으로 시야각 및 주 시청거리를 측정하고, 이를 수치화하여 시청자에게 정보를 제공하는 것으로 설명하였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여러 실시 예들 중에서 하나의 실시 예를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로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4 측정 포인트(P4) 내지 제9 측정 포인트(P9)에서의 시야각 및 주 시청 거리를 추가로 측정하고, 이를 수치화하여 시청자에게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테스트 영상 공급부
200: 3D 디스플레이 패널
300: 편광 부재
400: 광 계측기
500: 분석부

Claims (10)

  1. 편광 부재가 장착된 광 계측기를 3D 디스플레이 패널의 상단부와 수평이 되도록 배치시키고, 광 계측기를 0°~ 90°범위에서 소정 각도 단위로 각도를 변경하여 상기 상단부를 기준으로 한 3D 영상의 크로스 토크를 산출하는 단계;
    편광 부재가 장착된 광 계측기를 3D 디스플레이 패널의 하단부와 수평이 되도록 배치시키고, 광 계측기를 0°~ 90°범위에서 소정 각도 단위로 각도를 변경하여 상기 하단부를 기준으로 한 3D 영상의 크로스 토크를 산출하는 단계;
    상기 상단부를 기준으로 한 3D 영상의 크로스 토크 및 상기 하단부를 기준으로 한 3D 영상의 크로스 토크가 10% 이하인 시야각을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3D 영상의 크로스 토크가 10% 이하인 하단부의 시야각과 상단부의 시야각이 중복되는 영역을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 디스플레이의 광학 측정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3D 영상의 크로스 토크가 10% 이하인 하단부의 시야각과 상단부의 시야각이 중복되는 영역을 3D 시청 영역으로 정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 디스플레이의 광학 측정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상단부 시야각과 상기 하단부 시야각이 중복되는 영역을 수직 시야각(Viewing Height)으로 정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 디스플레이의 광학 측정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 시야각이 최대가 되는 지점으로부터 상기 3D 디스플레이 패널까지의 거리를 3D 영상의 주 시청 거리로 정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 디스플레이의 광학 측정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상단부를 기준으로 한 3D 영상의 크로스 토크 및 상기 하단부를 기준으로 한 3D 영상의 크로스 토크가 10% 이하인 범위, 시야각 및 주 시청거리를 수치화된 데이터로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 디스플레이의 광학 측정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3D 디스플레이 패널은,
    좌안 영상 및 우안 영상을 화이트로 표시하는 제1 패턴 영상, 좌안 영상은 블랙을 표시하고 우안 영상은 화이트를 표시하는 제2 패턴 영상, 좌안 영상은 화이트를 표시하고 우안 영상은 블랙을 표시하는 제3 패턴 영상 및 좌안 영상 및 우안 영상을 블랙으로로 표시하는 제4 패턴 영상을 표시하고,
    상기 제1 패턴 영상 내지 제4 패턴 영상 중 적어도 3개의 패턴 영상을 3D 테스트 영상으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 디스플레이의 광학 측정 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광 계측기는 상기 3D 디스플레이 패널에 설정된 복수의 측정 포인트 각각과 동일 선상에 위치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3D 디스플레이 패널에서 표시되는 영상의 광 특성을 측정하고,
    상기 복수의 측정 포인트는,
    상기 3D 디스플레이 패널의 정 중앙부에 대응되도록 설정된 제1 측정 포인트,
    상기 3D 디스플레이 패널의 중앙부 상단에 대응되도록 설정된 제2 측정 포인트,
    상기 3D 디스플레이 패널의 중앙부 하단에 대응되도록 설정된 제3 측정 포인트,
    상기 3D 디스플레이 패널의 중앙부 좌측에 대응되도록 설정된 제4 측정 포인트,
    상기 3D 디스플레이 패널의 중앙부 우측에 대응되도록 설정된 제5 측정 포인트 및
    상기 3D 디스플레이 패널의 각 모서리 부분에 대응되도록 설정된 제6 측정 포인트 내지 제9 측정 포인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 디스플레이의 광학 측정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광 계측기는 상기 3D 디스플레이 패널에 설정된 제1 측정 포인트 내지 제9 측정 포인트에 대하여 수평 또는 수직 방향으로 소정 각도 차이를 가지도록 설치되어 상기 3D 디스플레이 패널에서 표시되는 영상의 광 특성을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 디스플레이의 광학 측정 방법.
  9. 3D 영상 테스트 신호를 생성하는 테스트 영상 공급부;
    상기 테스트 영상 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상기 3D 영상 테스트 신호에 기초하여 좌안 영상 및/또는 우안 영상을 표시하는 3D 디스플레이 패널;
    상기 3D 디스플레이 패널에 마주보도록 설치되어 상기 3D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상기 좌안 영상 및 상기 우안 영상을 선택적으로 투과시키는 편광 부재;
    상기 편광 부재를 투과하는 영상의 휘도를 측정하는 광 계측기; 및
    상기 광 계측기의 휘도 측정 결과에 기초하여 3D 영상의 광학 특성 정보를 생성하는 분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 디스플레이의 광학 측정 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분석부는 상기 광학 특성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3D 디스플레이 패널의 상단부를 기준으로 한 3D 영상의 크로스 토크가 10% 이하인 범위, 상기 3D 디스플레이 패널의 하단부를 기준으로 한 3D 영상의 크로스 토크가 10% 이하인 범위, 3D 영상의 시야각 및 주 시청거리를 수치화된 데이터로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 디스플레이의 광학 측정 장치.
KR1020110123678A 2011-11-24 2011-11-24 입체 디스플레이의 광학 측정 장치 및 방법 KR1018662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3678A KR101866291B1 (ko) 2011-11-24 2011-11-24 입체 디스플레이의 광학 측정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3678A KR101866291B1 (ko) 2011-11-24 2011-11-24 입체 디스플레이의 광학 측정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57767A true KR20130057767A (ko) 2013-06-03
KR101866291B1 KR101866291B1 (ko) 2018-06-12

Family

ID=488572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23678A KR101866291B1 (ko) 2011-11-24 2011-11-24 입체 디스플레이의 광학 측정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6629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989798A (zh) * 2018-08-16 2018-12-11 上海玮舟微电子科技有限公司 显示装置串扰度值的确定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89197A (ko) * 2007-03-30 2008-10-06 가부시키가이샤 아리사와 세이사쿠쇼 입체 표시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89197A (ko) * 2007-03-30 2008-10-06 가부시키가이샤 아리사와 세이사쿠쇼 입체 표시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989798A (zh) * 2018-08-16 2018-12-11 上海玮舟微电子科技有限公司 显示装置串扰度值的确定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66291B1 (ko) 2018-06-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82957B1 (ko) 입체 디스플레이의 광학 측정 장치 및 방법
US8760505B2 (en) Image display device for displaying two-dimensional plane image and three-dimensional stereoscopic image
US9441953B2 (en) Optical measuring apparatus and method of stereoscopic display device
US8519908B2 (en) Image display device
JP5215261B2 (ja) 映像表示装置
US9052519B2 (en) Image display device
US8633974B2 (en) Image display device
EP2682790B1 (en) Stereoscopic image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US20120008055A1 (en) Autostereoscopic Display Device
CN102768437B (zh) 立体影像显示装置
JP5633084B2 (ja) 立体映像表示装置、立体映像表示装置用光学フィルタ、立体映像観察用偏光メガネおよび立体映像の品質改善方法
KR101763942B1 (ko) 입체영상표시장치
KR101866291B1 (ko) 입체 디스플레이의 광학 측정 장치 및 방법
KR101910963B1 (ko) 편광안경방식 입체영상표시장치
KR20130114376A (ko) 입체 영상 표시 장치
KR101554280B1 (ko) 입체 디스플레이의 광학 측정 장치
KR20120068432A (ko) 입체영상표시장치와 이의 제조방법
KR101279662B1 (ko) 영상표시장치
KR101843180B1 (ko) 입체영상표시장치
Boher et al. Characterization of autostereoscopic 3D displays using Fourier optics instrument
GB2484998A (en) Optical measurement of stereoscopic display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