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53471B1 - L-도파 캡핑 금나노입자 제조방법 및 l-도파 캡핑 금나노입자를 이용한 망간이온 검출방법 - Google Patents

L-도파 캡핑 금나노입자 제조방법 및 l-도파 캡핑 금나노입자를 이용한 망간이온 검출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53471B1
KR101553471B1 KR1020140026616A KR20140026616A KR101553471B1 KR 101553471 B1 KR101553471 B1 KR 101553471B1 KR 1020140026616 A KR1020140026616 A KR 1020140026616A KR 20140026616 A KR20140026616 A KR 20140026616A KR 101553471 B1 KR101553471 B1 KR 1015534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pa
gold nanoparticles
capping
manganese ions
mangane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266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현호
카난 배드리
Original Assignee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400266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5347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534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534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FWORKING METALLIC POWDER; MANUFACTURE OF ARTICLES FROM METALLIC POWDER; MAKING METALLIC POWDER;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ETALLIC POWDER
    • B22F9/00Making metallic powder or suspensions thereof
    • B22F9/02Making metallic powder or suspensions thereof using physical processes
    • B22F9/06Making metallic powder or suspensions thereof using physical processes starting from liquid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FWORKING METALLIC POWDER; MANUFACTURE OF ARTICLES FROM METALLIC POWDER; MAKING METALLIC POWDER;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ETALLIC POWDER
    • B22F1/00Metallic powder; Treatment of metallic powder, e.g. to facilitate working or to improve properties
    • B22F1/05Metallic powder characterised by the size or surface area of the particles
    • B22F1/054Nanosized p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FWORKING METALLIC POWDER; MANUFACTURE OF ARTICLES FROM METALLIC POWDER; MAKING METALLIC POWDER;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ETALLIC POWDER
    • B22F2207/00Aspects of the compositions, gradients
    • B22F2207/11Gradients other than composition gradients, e.g. size gradi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FWORKING METALLIC POWDER; MANUFACTURE OF ARTICLES FROM METALLIC POWDER; MAKING METALLIC POWDER;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ETALLIC POWDER
    • B22F2301/00Metallic composition of the powder or its coating
    • B22F2301/25Noble metals, i.e. Ag Au, Ir, Os, Pd, Pt, Rh, Ru
    • B22F2301/255Silver or gold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Nanotechnology (AREA)
  • 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Chemical Reac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L-도파 수용액에 금전구체를 첨가하여 교반하는 단계; 및 상기 교반한 용액을 실온으로 냉각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L-도파 캡핑 금나노입자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따라서 저비용이고, 친환경적이며, 유해한 화학물질을 포함하지 않고 생체적합성이 뛰어난 L-도파 캡핑 금나노입자를 제조할 수 있으며, L-도파 캡핑 금나노입자는 망간이온에 대한 비색 검출법을 실시할 수 있다. 또한 농도가 알려진 망간에 대해 550 내지 700 ㎚에서의 L-도파 캡핑 금나노입자의 흡광비율은 용액 중의 망간이온의 농도를 측정할 수 있다.

Description

L-도파 캡핑 금나노입자 제조방법 및 L-도파 캡핑 금나노입자를 이용한 망간이온 검출방법{Preparing method of L-doppa capping gold nanopaticles and detection method of manganese ions using thereof}
본 발명은 친환경적인 원-팟 공정으로 L-도파(L-3,4-dihydroxyphenylalanine) 캡핑 금나노입자를 제조할 수 있는 방법 및 제조된 L-도파 캡핑 금나노입자를 이용하여 망간이온을 용이하게 검출할 수 있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나노물질은 100 ㎚이하의 나노입체물질을 말하며, 광학적, 전기적, 전자기적 및 촉매 활성에 있어서 이들의 벌크 물질과는 다른 독특한 성질을 나타낸다. 이러한 성질 때문에 금속이온과 같은 무기 분석물질 또는 DNA, 항체, 아미노치올(aminothiols), 단백질, 암세포, 및 신경세포와 같은 유기 분석물질을 검출하는 방법의 활용에 있어서 더 없이 유력한 물질이다.
금나노입자(AuNPs)는 보고된 바에 의하면, 이들의 독특한 형태와 크기에 의존하는 광학적 성질뿐만 아니라, 생체적합성 및 낮은 세포독성으로 인하여 매우 넓게 사용되고 있다. 금나노입자를 이용한 금속이온을 검출하기 위하여 원자 흡수 분광법(atomic absorption spectroscopy; AAS) 또는 유도 결합 플라스마 방출 분광법(inductively coupled plasma-optical emission spectroscopy; ICP-OES)이 시도되어 왔으며, 몇 가지 분석방법은 형광성, 색깔, 표면플라즈마분광(surface plasma resonance; SPR)과 같은 금속 나노입자의 성질을 이용하여 왔다.
또한 금속 나노입자를 바탕으로 하는 비색 검출 방법은 간편함, 휴대성 및 실시간 검출로 인하여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비색법의 일례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022806호에서 생체물질을 분석할 수 있는 방법을 개시하나 금나노입자의 응집 또는 분산에 따른 색깔의 변화를 이용하여 금속이온을 검출하는 방법은 전혀 개시되지 않았으며, 또한 동식물의 중요한 탄수화물대사 또는 유기산의 대사의 많은 효소 반응을 활성화 시키는 망간이온(Mn2+)을 검출하는 방법에 대해서는 개시된 바가 없어서 간단한 방법으로 망간이온을 검출하는 방법이 여전히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원-팟 공정으로 L-도파 캡핑된 금나노입자를 제조하여, 탄수화물, 유기산, 질소 및 황의 대사에 있어서 효소 반응을 활성화시킬 수 있는 망간이온을 간편하게 검출할 수 있는 L-도파 캡핑된 금나노입자 제조방법 및 망간이온을 정량적으로 검출하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L-도파 수용액에 금전구체를 첨가하여 교반하는 단계; 및 상기 교반한 용액을 실온으로 냉각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L-도파 캡핑 금나노입자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금 전구체는 염화 금산(chloroauric acid, HAuCl4)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교반은, 70 내지 80 ℃에서, 20 내지 30 분간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의하면, 망간 이온을 함유한 검체에 청구항 1항 내지 청구항 3항 중 어느 한 한의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된 L-도파 캡핑 금나노입자를 첨가하는 단계; 실온에서 8 내지 10분 동안 반응시키는 단계; 및 상기 반응시킨 반응물의 색변화를 평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망간 이온 검출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반응물의 색변화를 평가하는 단계는 자외선분광광도계(UV-Vis spectroscopy)를 이용하여, 550 ㎚에서 흡광도 감소와 700 ㎚에서 흡광도 증가로 인한 붉은 빛에서 보라색을 띤 파란 빛으로 색변화를 감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L-도파 캡핑 금나노입자 제조방법에 의하면 저비용이고, 친환경적이며, 유해한 화학물질을 포함하지 않는 생체적합성이 뛰어난 L-도파 캡핑 금나노입자를 제조할 수 있으며, L-도파 캡핑 금나노입자를 이용하여 망간이온에 대한 비색검출법을 실시하여 효과적으로 망간이온을 검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L-도파 캡핑 금나노입자의 자외선분광(UV-Vis spectrum)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L-도파 용액 및 L-도파 캡핑 금나노입자의 적외선분광(fourier transform infrared spectroscopy; FTIR)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L-도파 캡핑 금나노입자의 X-선회절분석(X-ray diffraction; XRD)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L-도파 캡핑 금나노입자 함유 용액에 각각 다른 농도의 망간이온을 첨가하여 이에 따른 자외선분광(UV-Vis spectrum)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L-도파 캡핑 금나노입자 함유 용액의 전자투과현미경(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e; TEM) 이미지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L-도파 캡핑 금나노입자와 망간이온의 결합과정을 나타낸 이미지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L-도파 캡핑 금나노입자의 입자직경 및 제타전위를 망간이온의 농도에 따라 나타낸 그래프이다.
본 발명자는 L-도파를 이용하여 금나노입자를 원-팟 공정으로 제조하고, 일련의 L-도파 캡핑 금나노입자를 가지고 망간이온(Mn2+)을 정량적으로 분석할 수 있는 방법을 찾아내어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L-도파를 이용하여 금나노입자를 제조하기 위하여 L-도파 수용액에 금전구체를 첨가하여 교반하였다.
상기 금 전구체는 염화 금산(chloroauric acid, HAuCl4)일 수 있다.
상기 교반은 70 내지 80 ℃에서, 20 내지 30 분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조건을 벗어나는 경우 금나노입자가 형성되지 않거나, 너무 응집되어 L-도파가 캡핑된 금나노입자를 제조할 수 없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의하면 망간 이온을 함유한 검체에 제1항 내지 제3항에서 제조된 L-도파 캡핑 금나노입자를 첨가하는 단계; 실온에서 8 내지 10분 동안 반응시키는 단계; 및 상기 반응시킨 반응물의 색변화를 평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망간 이온 검출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반응물의 색변화를 평가하는 단계는 자외선분광광도계(UV-Vis spectroscopy)를 이용하여, 550 ㎚에서 흡광도 감소와 700 ㎚에서 흡광도 증가로 인한 붉은 빛에서 보라색을 띤 파란 빛으로 색변화를 감지할 수 있다.
이하, 하기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내용을 구체화하기 위한 설명일 뿐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L-도파 캡핑 금나노입자의 제조
L-도파(L-3,4-dihydroxyphenylalanine)와 염화망간은 시그마-알드리치(Sigma-Aldrich)사에서 구매하였다. 염화금산(HAuCl4)은 알파에이사(Alfa Aesar Korea)에서 구매하였다. 모든 물은 이온화된 초순수(Milli-Q, 18.2Ω)를 사용하였다.
전체 50 ㎖의 수용성 L-도파 수용액(100 μM)에 6 mM의 염화금산을 1.5 ㎖ 취하여 첨가하고, 80 ℃에서 30 분간 교반하였다. 상온에서 냉각시켜 도파 작용기가 형성된 금나노입자를 제조하여 L-도파 캡핑 금나노입자를 완성하였다. 제조된 콜로이드 용액상태로 물성을 분석하였다.
<실시예 2> L-도파 캡핑 금나노입자 물성
금이온이 금나노이온으로 환원되는 것은 분광광도계(UV-VIs spectrophotometer, Beckman Coulter DU-730) 및 시각적 관찰로 평가하였다. 부가적으로 제조된 L-도파 캡핑 금나노입자의 형태 및 크기는 전자투과현미경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e; TEM, Hitachi, H-7600)분석을 통해 이루어졌으며, 관찰 전에 탄소 코팅 구리 격자판에 배치하고 건조된 시료는 120kV의 전압의 가속상태에서 관찰하였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L-도파 캡핑 금나노입자의 자외선분광(UV-Vis spectrum)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L-도파용액을 산화시키기 위해 염화금산(HAuCl4)을 투입하였을 때, 용액의 색깔은 표면플라즈마분광(surface plasma resonance)을 이용하여 548 ㎚ 피크에서 붉은 빛을 띠는 것을 확인하였다. 금나노입자의 붉은 빛은 단순분산된 금나노입자의 형성을 확인하는 것이다. 도파의 오르토자리(ortho position)의 디하이드록실기는 금속이온의 환원에 관여한다. 금나노입자의 제조에 있어서, 도파 분자의 디하이드록실기는 퀴논 분자를 형성하기 위해 두 개의 전자를 잃는다. 디하이드록실기는 시클로도파(cyclodopa)를 형성하고 단분산된 금나노입자를 형성하기 위해 금나노입자의 표면에 흡착된다.
한편 나노입자의 크기, 표면 전하 및 입자 상호간 작용을 관찰하기 위하여 동적광산란법(dynamic light scattering; DLS)을 이용하였다. L-도파 캡핑 금나노입자의 분말상태 입도와 제타 전위는 헬륨-네온 레이저(λ = 633 ㎚)가 구비된 분석기(Zetasizer, Malvern Instrument)에서 173°의 산란각으로 측정하였다.
X-선 회절분석(X-ray diffraction; XRD)는 금나노입자의 결정성을 측정하기 위하여 사용되었으며, 분말화된 나노입자를 X-선 회절분석기의 전달모드로 Cu Kα1(λ = 1.54178 Å)을 갖는 분말 XRD (PANalytical X'pert PRO MPD)를 이용하여 분석을 수행하였다(전류 30mA, 전압 40 kV). 시료는 2θ 영역의 30 내지 85°에서 측정하였다.
도 3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L-도파 캡핑 금나노입자의 XRD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XRD 패턴은 면심 입방구조(fcc) 금의 (111), (200), (220), (311) 및 (222)의 Bragg 반사에 대응하였다.
또한 적외선 분광법(fourier transform infrared spectroscopy; FTIR)을 이용하여 L-도파 캡핑 금나노입자의 구조내의 작용기를 분석하였다. 용액중의 L-도파 캡핑 금나노입자는 20분간 고속에서 원심분리하여 수득하였다.(25,000 × g) 이후에 초이온수를 이용하여 2회 세척하고, KBr로 펠릿을 제조한 이후에 분광광도계(Jasco, FTIR 5300)을 이용하였으며, 투과율은 4000 내지 400 ㎝- 1 로 하였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L-도파 용액 및 L-도파 캡핑 금나노입자의 FTIR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파의 스펙트럼은 작은 분자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작은 피크를 보여주며, 여기서 1615 ㎝-1의 피크와 3420 ㎝-1의 피크는 각각 방향고리의 신축진동 및 카테콜 OH- 작용기를 나타내었다.
<실시예 3> 망간 이온 검출
L-도파 캡핑 금나노입자를 이용한 금속이온에 대한 검출을 확인하기 위하여여 10 mM 염화망간 용액을 준비하였다. 실시예 1에서 제조된 붉은 빛의 L-도파 캡핑 금나노입자 용액에 각각 5, 10, 20, 50 및 100 μM의 다양한 농도의 망간이온이 첨가된 10 mM 염화망간용액을 첨가하고, 10 분간 상온에서 반응시켰다.
다양한 농도의 망간이온(Mn2+)을 첨가한 이후에 금속이온의 감지를 확인하기 위해 시각적인 관찰 및 광학적 검사는 300 내지 900 ㎚의 범위에서 분광광도계를 이용하여 측정되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L-도파 캡핑 금나노입자 함유 용액에 각각 다른 농도의 망간이온 첨가에 따른 자외선분광(UV-Vis spectrum)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망간이온이 없는 상태에서 금나노입자는 548 ㎚에서 유일하게 날카로운 피크를 나타내어 붉은 빛임을 확인하였다.
망간이온의 농도를 증가시킴에 따라 보라색을 띤 짙은 파란 빛으로 변하였으며, 응집에 따른 700 ㎚ 주변에서 또 다른 피크의 증가에 수반하여 548 ㎚에서 흡수가 감소되었다. 700 ㎚에서 500 ㎚으로 흡수된 소멸비율(A700/A550)은 5 내지 100 ㎛ 범위의 망간 이온의 온도에 대응하여 선형으로 나타났으며, 보정곡선(calibration curve)은 하기 식 1로 계산하였다.
[식 1]
A700/A550 = 0.09561 + 0.00751 × CMn(R = 0.99)
보정곡선을 통하여 망간 이온의 농도를 알아낼 수 있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L-도파 캡핑 금나노입자 함유 용액의 TEM 이미지이다. TEM 이미지는 단분산된 평균직경이 13.7 ㎚인 구형의 나노입자의 형상을 보여주었다. 망간이온의 존재 하에서 붉은 빛깔의 금나노입자는 단분산된 나노입자의 응집에 의해 십분 경과 후 보라색을 띤 파랑색으로 변화하는 것을 보여주었으며, 또한 망간이온이 첨가될수록 응집이 더 일어나는 것을 보여주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L-도파 캡핑 금나노입자와 망간이온의 결합과정을 나타낸 이미지이다. 망간이온은 망간-산소(Mn-O) 간의 상호작용에 따라 도파를 작용기로 가지는 금나노입자와 상호 반응하였다. 도파와 망간이온 사이의 결합에너지에 따라 L-도파 캡핑 금나노입자는 서로 가까워지려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입자 상호간 거리가 축소되어 응집이 진행되었다. 금나노입자의 광학적 성질의 변화로 보라색을 띤 파란색을 나타내었다.
그러나 2가 양이온인 망간이온(Mn2+)이 킬레이트제(EDTA)와 함께 첨가되었을 때는 색깔의 변화를 보이지 않았으므로, EDTA에 의해 킬레이트된 망간이온은 도파와 금나노입자와의 상호작용을 막는 것을 확인하였다.
DLS 분석은 용액 중에 망간이온의 농도가 높을수록 응집되는 금나노입자가 증가되는 것을 나타내었다. 입자 상호간의 거리가 금나노입자의 평균직경보다 큰 경우 붉은 빛으로 나타난 반면에, 금나노입자의 평균직경보다 작은 경우 보라색을 띤 파란 빛으로 변화하였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L-도파 캡핑 금나노입자의 입자직경 및 제타전위를 망간이온의 농도에 따라 나타낸 그래프이다.
한편 입자의 전하는 콜로이드 용액의 물리적 안정성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이기 때문에 입자의 전하는 용액중의 나노입자 상호간에 존재하는 전기적 힘의 척도인 제타 전위(ζ)로 정량화되었다. 응집은 나노입자의 표면전하에 영향을 받으며, 용액 중 망간이온의 농도가 증가할수록 제타 전위의 점진적인 감소와, 증가된 유체역학적 크기와 함께 나노입자의 집합은 점차 증가하였다. 또한 망간이온의 첨가고 표면전위는 양에서 음으로 변화하였으며, 망간이온의 더 많은 증가는 음의 전하의 감소를 가져왔다.
망간이온은 비색 검출법에 의해 보라색을 띤 파랑색으로 변화하여 명확한 상호작용을 나타내는 것으로 확인하였다.
이상으로 본 발명에 따르면, 생체적합성이 높고, 저렴한 비용으로 제조되고, 친환경적이며, 유해한 화학물질을 포함하지 않는 L-도파 캡핑 금나노입자를 제조하였다. 제조된 L-도파 캡핑 금나노입자를 가지고 망간이온에 대한 비색 검출 방법으로 망간이온을 효과적으로 검출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청구범위의 균등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Claims (5)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L-도파 수용액에 염화 금산(chloroauric acid, HAuCl4)을 첨가하여 70 내지 80 ℃에서 20 내지 30 분간 교반하는 단계;
    상기 교반한 용액을 실온으로 냉각시켜 L-도파 캡핑 금나노입자를 제조하는 단계;
    망간 이온을 함유한 검체에 상기 L-도파 캡핑 금나노입자를 첨가하고, 실온에서 8 내지 10 분 동안 반응시키는 단계; 및
    상기 반응시킨 반응물의 색변화를 평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망간 이온 검출방법.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반응물의 색변화를 평가하는 단계는 붉은 빛에서 보라색을 띤 파란 빛으로 색변화를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망간 이온 검출방법.
KR1020140026616A 2014-03-06 2014-03-06 L-도파 캡핑 금나노입자 제조방법 및 l-도파 캡핑 금나노입자를 이용한 망간이온 검출방법 KR1015534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6616A KR101553471B1 (ko) 2014-03-06 2014-03-06 L-도파 캡핑 금나노입자 제조방법 및 l-도파 캡핑 금나노입자를 이용한 망간이온 검출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6616A KR101553471B1 (ko) 2014-03-06 2014-03-06 L-도파 캡핑 금나노입자 제조방법 및 l-도파 캡핑 금나노입자를 이용한 망간이온 검출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53471B1 true KR101553471B1 (ko) 2015-09-16

Family

ID=542483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26616A KR101553471B1 (ko) 2014-03-06 2014-03-06 L-도파 캡핑 금나노입자 제조방법 및 l-도파 캡핑 금나노입자를 이용한 망간이온 검출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53471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598471A (zh) * 2016-03-22 2016-05-25 西安近代化学研究所 一种核壳结构超级铝热剂的制备方法
CN107297496A (zh) * 2017-06-23 2017-10-27 西安近代化学研究所 一种核‑壳型碳包覆微纳米锆粉的制备方法
CN112683900A (zh) * 2020-11-09 2021-04-20 西安医学院 一种手性多巴检测专用纸芯片及检测分析方法
CN113607702A (zh) * 2021-07-21 2021-11-05 南京工业大学 一种基于锰离子诱导的比率型荧光反应检测碱性磷酸酶、心肌钙蛋白活性的方法和应用
CN115248308A (zh) * 2022-07-01 2022-10-28 浙江大学 聚左旋多巴纳米颗粒在制备免疫层析检测试纸条中的应用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논문: Anal. Chem.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598471A (zh) * 2016-03-22 2016-05-25 西安近代化学研究所 一种核壳结构超级铝热剂的制备方法
CN105598471B (zh) * 2016-03-22 2017-09-08 西安近代化学研究所 一种核壳结构超级铝热剂的制备方法
CN107297496A (zh) * 2017-06-23 2017-10-27 西安近代化学研究所 一种核‑壳型碳包覆微纳米锆粉的制备方法
CN112683900A (zh) * 2020-11-09 2021-04-20 西安医学院 一种手性多巴检测专用纸芯片及检测分析方法
CN112683900B (zh) * 2020-11-09 2024-03-01 西安医学院 一种手性多巴检测专用纸芯片及检测分析方法
CN113607702A (zh) * 2021-07-21 2021-11-05 南京工业大学 一种基于锰离子诱导的比率型荧光反应检测碱性磷酸酶、心肌钙蛋白活性的方法和应用
CN115248308A (zh) * 2022-07-01 2022-10-28 浙江大学 聚左旋多巴纳米颗粒在制备免疫层析检测试纸条中的应用
CN115248308B (zh) * 2022-07-01 2024-05-31 浙江大学 聚左旋多巴纳米颗粒在制备免疫层析检测试纸条中的应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53471B1 (ko) L-도파 캡핑 금나노입자 제조방법 및 l-도파 캡핑 금나노입자를 이용한 망간이온 검출방법
Nidya et al. Structural, morphological and optical studies of L-cysteine modified silver nanoparticles and its application as a probe for the selective colorimetric detection of Hg2+
Yu et al. Lignin-mediated green synthesis of functionalized gold nanoparticles via pulsed laser technique for selective colorimetric detection of lead ions in aqueous media
Prathna et al. Biomimetic synthesis of silver nanoparticles by Citrus limon (lemon) aqueous extract and theoretical prediction of particle size
Rao et al. Gamma irradiation route to synthesis of highly re-dispersible natural polymer capped silver nanoparticles
Jiang et al. Peroxidase-like activity of chitosan stabilized silver nanoparticles for visual and colorimetric detection of glucose
Sousa et al. Biocompatible magnetic fluid precursors based on aspartic and glutamic acid modified maghemite nanostructures
Chen et al. Chitosan-capped silver nanoparticles as a highly selective colorimetric probe for visual detection of aromatic ortho-trihydroxy phenols
Thatai et al. Trace colorimetric detection of Pb2+ using plasmonic gold nanoparticles and silica–gold nanocomposites
Dasary et al. Alizarin dye based ultrasensitive plasmonic SERS probe for trace level cadmium detection in drinking water
Aswathy et al. Synthesis of β-cyclodextrin functionalized gold nanoparticles for the selective detection of Pb 2+ ions from aqueous solution
Mi et al. Preparation of a silver nanoparticle-based dual-functional sensor using a complexation–reduction method
Wu et al. Colorimetric determination of hexavalent chromium with ascorbic acid capped silver nanoparticles
Liu et al. Self-assembly of noble metallic spherical aggregates from monodisperse nanoparticles: their synthesis and pronounced SERS and catalytic properties
CN110243801B (zh) 一种修饰的磁性复合纳米颗粒的制备方法及其在农药检测中的应用
Zannotti et al. Tuning of hydrogen peroxide etching during the synthesis of silver nanoparticles. An application of triangular nanoplates as plasmon sensors for Hg2+ in aqueous solution
Amourizi et al. Polyvinylalcohol-citrate-stabilized gold nanoparticles supported congo red indicator as an optical sensor for selective colorimetric determination of Cr (III) ion
Liu et al. Red to brown to green colorimetric detection of Ag+ based on the formation of Au-Ag core-shell NPs stabilized by a multi-sulfhydryl functionalized hyperbranched polymer
Khan et al. Nanoscale water soluble self-assembled zero-valent iron: role of stabilizers in their morphology
Zhang et al. Impacts of titanium dioxide nanoparticles on transformation of silver nanoparticles in aquatic environments
Liu et al. Selective and sensitive detection of copper (II) based on fluorescent zinc-doped AgInS2 quantum dots
Liu et al. An unusual red-to-brown colorimetric sensing method for ultrasensitive silver (I) ion detection based on a non-aggregation of hyperbranched polyethylenimine derivative stabilized gold nanoparticles
Yao et al. Sulfhydryl functionalized carbon quantum dots as a turn-off fluorescent probe for sensitive detection of Hg 2+
Meng et al. Fluorescence probe based on boron-doped carbon quantum dots for high selectivity “on-off-on” mercury ion sensing and cell imaging
Rakhimol et al. Casein mediated synthesis of stabilized metal/metal-oxide nanoparticles with varied surface morphology through pH alter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8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