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53312B1 - 자전거의 방향 지시 장치 - Google Patents

자전거의 방향 지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53312B1
KR101553312B1 KR1020140083268A KR20140083268A KR101553312B1 KR 101553312 B1 KR101553312 B1 KR 101553312B1 KR 1020140083268 A KR1020140083268 A KR 1020140083268A KR 20140083268 A KR20140083268 A KR 20140083268A KR 101553312 B1 KR101553312 B1 KR 1015533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bicycle
lighting
acceleration sensor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832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기한
양희석
김용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단정보통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단정보통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단정보통신
Priority to KR10201400832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5331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533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533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6/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on cycles;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Circuits therefor
    • B62J6/05Direction indic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3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rear of vehicle, e.g. by means of reflecting surfa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3/00Acoustic signal devices; Arrangement of such devices on cy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45/00Electrical equipment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use as accessories on cy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J45/40Sensor arrangements; Mounting thereof
    • B62J45/41Sensor arrangements; Mounting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senso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Lighting Device Outwards From Vehicle And Optical Sign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전거에 설치되고, 방향 지시등을 이용하여 후방의 차량, 자전거 또는 사람 등에 회전 방향에 대한 신호를 제공하는 자전거의 방향 지시 장치에 관한 것으로, 간단한 방법으로 자전거에 탈부착 가능한 자전거의 방향 지시 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자전거의 회전 방향에 따라 해당 조명을 점등시켜 후방에 방향을 지시하고, 기 설정된 시간이 지나면 소등되고, 가속도 센서를 구비하여 가속도 센서에 의해 가속도 변화를 감지하여 도난 신호를 생성하는 라이팅부, 자전거의 전방부에 탈부착 가능하게 설치되어, 라이팅부의 점등 또는 소등을 제어하고, 도난 신호에 따라 경보음을 발생시키는 컨트롤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자전거의 방향 지시 장치{Direction indicator for bicycle}
본 발명은 방향 지시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자전거에 설치되고, 방향 지시등을 이용하여 후방의 차량, 자전거 또는 사람 등에 회전 방향에 대한 신호를 제공하는 자전거의 방향 지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전거는 놀이기구나 레저 스포츠로서 각광을 받고 있으며, 특히 최근에는 고유가 시대에 발맞추어 에너지 절약 차원에서 많이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자전거의 안전한 운행을 위한 자전거 전용 도로는 극히 일부 지역에만 설치되어 있다. 이에 따라 많은 자전거 운행자들은 차량이 운행하는 도로를 이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와 같이 자전거는 도로 및 좁은 골목길 등의 운행시 후방에서 자동차를 운행하는 운전자가, 자전거를 운행하는 운행자의 움직임을 미리 예측할 수 없어 크고 작은 사고들이 발생되고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최근에는 후방에서 자동차를 운행하는 운전자에게 방향을 지시하는 방향 지시등이 개발되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209368호에는 탈부착식 자전거용 방향지시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개시된 탈부착식 자전거용 방향지시장치는 자전거의 핸들바의 개방된 측방으로 통해 핸들바의 내부로 삽입되며, 내부에 건전지가 장착되는 파이프 형상의 건전지 케이싱, 건전지 케이싱으로부터 연장형성되고, 핸들바 보다 큰 외경을 갖으며, 외주면에 램프 노출공이 형성되는 원통형의 본체 케이싱, 본체 케이싱의 내부에 설치되며, 일측에 스위치가 설치된 인쇄회로기판, 인쇄회로기판 상에 설치되는 다수의 램프, 본체 케이싱의 외주면에 돌출형성되어, 사용자의 누름동작에 의해 스위치를 누르는 버튼, 투명재질로 이루어지며, 램프 노출공과 램프 사이에 설치되는 램프 커버, 플렉시블한 재질로 이루어지고, 건전지 케이싱의 외주면에 고정설치되어, 건전지 케이싱이 핸들바의 내부에 삽입될 경우, 형태가 변형되어 핸들바의 내주면에 밀착됨으로써, 건전지 케이싱을 핸들바에 고정하는 고정부재를 포함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자전거용 방향지시장치는 탈부착은 가능하지만, 핸들바의 측방을 통해 내부로 삽입되어 조립되기 때문에, 탈부착하는 과정이 복잡하고, 스위치를 이용하여 수동으로 점등된 방향지시등을 소등시키기 때문에 운전자가 방향지시등이 소등되었는지 인지 하지 못한 채로 주행하는 경우가 발생될 수 있다.
한편 최근에는 자전거의 보급이 확대되면서 선호도가 높아지고 일부의 자전거는 고급화 전략에 따라 더욱 가볍고 단단한 재질을 사용하며 다양한 부가 기능과 장치를 포함하기 때문에 비싼 가격으로 거래되므로 자전거 도난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간단한 방법으로 자전거에 탈부착 가능한 자전거의 방향 지시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점등된 방향 지시등을 회전이 완료된 후에 자동으로 소등시킬 수 있는 자전거의 방향 지시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자전거의 도난을 감지하고, 신속하게 대처할 수 있는 자전거의 방향 지시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자전거의 회전 방향에 따라 해당 조명을 점등시켜 후방에 방향을 지시하고, 기 설정된 시간이 지나면 소등되고, 가속도 센서를 구비하여 상기 가속도 센서에 의해 가속도 변화를 감지하여 도난 신호를 생성하는 라이팅부, 상기 자전거의 전방부에 탈부착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라이팅부의 점등 또는 소등을 제어하고, 상기 도난 신호에 따라 경보음을 발생시키는 컨트롤러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자전거의 방향 지시 장치에 있어서, 상기 라이팅부는 상기 컨트롤러와 무선 통신을 통해 상호 간에 신호를 주고 받는 제1 통신부, 상기 컨트롤러의 제어에 따라 해당 조명을 점등시켜 후방에 방향을 지시하는 방향 지시부, 상기 가속도 센서를 구비하고, 상기 자전거의 가속도 변화값에 따라 도난을 감지하는 가속 센서부, 상기 방향 지시부의 점등되는 조명에 따라 방향 지시음을 출력하고, 상기 가속 센서부에 의해 감지되는 도난 여부에 따라 경보음을 발생시키는 소리 출력부, 상기 방향 지시부의 소등 시간과, 상기 소리 출력부의 상기 방향 지시음 또는 상기 경보음을 정지시키는 시간을 설정하는 타이머부, 상기 제1 통신부를 통해 상기 컨트롤러의 제어 신호와 상기 타이머부로부터 설정된 상기 소등 시간을 통해 상기 방향 지시부를 제어하고, 상기 가속 센서부로부터 상기 가속도 변화값을 전달 받아 상기 도난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제1 통신부를 통해 상기 컨트롤러로 전달하고, 상기 도난 신호와 상기 타이머부로부터 설정된 상기 방향 지시음과 상기 경보음을 정지시키는 시간에 따라 상기 소리 출력부를 제어하는 제1 제어부, 상기 제1 통신부, 상기 방향 지시부, 상기 가속 센서부, 상기 소리 출력부, 상기 타이머부 또는 상기 제1 제어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를 구비하고, 상기 전원을 ON / OFF 시키는 제1 전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자전거의 방향 지시 장치에 있어서, 상기 방향 지시부는 좌측을 지시하는 조명을 점등하는 좌회전 표시부, 상기 좌회전 표시부와 일부가 중첩된 조명을 점등하여 우측을 지시하는 우회전 표시부, 상기 좌회전 표시부와 상기 우회전 표시부의 일부 또는 전부를 점등시키는 비상 표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자전거의 방향 지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 제어부는 주행 중에 상기 방향 지시부를 통해 방향을 지시하는 주행 모드와, 상기 가속 센서부에 의해 도난 신호를 생성하는 도난 방지 모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자전거의 방향 지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 제어부의 상기 주행 모드는 상기 컨트롤러의 제어에 의해 수동으로 상기 좌회전 표시부 또는 상기 우회전 표시부를 제어하는 수동 모드와, 상기 가속 센서부의 상기 가속도 센서를 통해 이동 방향을 센싱하여 자동으로 상기 좌회전 표시부 또는 상기 우회전 표시부를 제어하는 자동 모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자전거의 방향 지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 제어부는 상기 가속 센서부의 상기 가속도 센서에 의해 상기 자전거의 속도가 감소하였다고 판단되면, 상기 비상 표시부를 점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자전거의 방향 지시 장치에 있어서, 상기 라이팅부는 상기 자전거의 주변 밝기를 측정하는 조도 센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자전거의 방향 지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 제어부는 상기 조도 센서부로부터 측정되는 상기 자전거의 주변 밝기에 따라 상기 비상 표시부를 점등 또는 소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자전거의 방향 지시 장치에 있어서, 상기 라이팅부는 상기 자전거의 안장을 지지하는 지지대에 삽입되는 홀이 형성된 제1 브라켓에 의해 상기 지지대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자전거의 방향 지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라이팅부를 제어하기 위하여 제어 신호를 입력부, 상기 입력부로부터 입력된 신호를 무선 통신을 통해 상기 라이팅부로 전달하거나, 상기 라이팅부로부터 신호를 전달받는 제2 통신부, 상기 라이팅부의 상기 도난 신호에 따라 도난 메시지를 출력하는 출력부, 상기 입력부로부터 입력된 상기 제어 신호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제2 통신부를 통해 상기 라이팅부로 전달하고, 상기 제2 통신부를 통해 상기 라이팅부의 상기 도난 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출력부를 제어하는 제2 제어부, 상기 입력부, 상기 제2 통신부, 상기 출력부 또는 상기 제2 제어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를 구비하고, 상기 전원을 ON / OFF 시키는 제2 전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자전거의 방향 지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출력부의 상기 도난 메시지는 소리, 진동 또는 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자전거의 방향 지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복수의 홈을 갖는 밴드 형상의 몸체와, 상기 몸체의 일측에 고정되는 고정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고정부재를 상기 복수의 홈 중 하나에 삽입하여 상기 자전거의 핸들부에 고정되는 제2 브라켓에 의해 상기 핸들부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자전거의 방향 지시 장치는 밴드 형상으로 복수의 홈과 고정부재를 구비하고, 고정부재를 홈에 삽입하여 자전거의 핸들부에 고정되는 제2 브라켓을 구비하여 간단한 방법으로 자전거에 탈부착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자전거의 방향 지시 장치는 타이머부를 구비하여, 점등된 방향 지시부를 회전이 완료된 후에 자동으로 소등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자전거의 방향 지시 장치는 가속도 센서를 통해 가속도 변화를 감지하여 도난 신호를 생성하는 라이팅 부를 구비하고, 탈부착 가능하게 설치되어 도난 신호에 따라 경보음을 발생시키는 컨트롤러를 구비하여 자전거의 도난을 감지하고, 신속하게 대처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전거의 방향 지시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라이팅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라이팅부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향 지시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 제어부의 자동 모드의 기능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컨트롤러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컨트롤러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하기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만이 설명되며, 그 이외 부분의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흩트리지 않도록 생략될 것이라는 것을 유의하여야 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으로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전거의 방향 지시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향 지시 장치(100)는 자전거의 후방에 부착되어 도로 및 좁은 골목길 등의 운행시 후방에서 자동차를 운행하는 운전자, 보행자 등에게 후방에 회전 하는 방향을 미리 지시할 수 있는 라이팅부(20)와, 자전거의 전방에 설치되어 라이팅부(20)의 동작을 제어하는 컨트롤러(30)를 포함한다. 여기서 라이팅부(20)와 컨트롤러(30)는 자전거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라이팅부(20)와 컨트롤러(30)는 무선 통신을 통해 상호 간에 신호를 주고 받을 수 있다. 무선 통신으로는 RF(Radio Frequency)통신을 기반으로 한 FSK(frequency shift keying) 전송 방식을 사용할 수 있다. 하지만 이에 한정된 것은 아니고, IRDA(Infrared data association), 블루투스(bluetooth), 무선랜(Wireless lan), UWB(Ultra wideband) 등의 근거리 통신 방식을 사용할 수 있다.
라이팅부(20)는 자전거의 회전 방향에 따라 해당 조명을 점등시켜 후방에 방향을 지시하고, 기 설정된 시간이 지나면 소등된다. 또한 라이팅부(20)는 내부에 가속도 센서를 구비하여 가속도 센서에 의해 가속도 변화를 감지하여 도난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한편 컨트롤러(30)는 자전거의 전방부에 설치되고, 라이팅부(20)의 점등 또는 소등을 제어한다. 또한 컨트롤러(30)는 라이팅부(20)로부터 생성된 도난 신호를 무선 통신을 통해 전달받아, 도난 신호에 따라 경보음을 발생시킨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라이팅부(20)에 대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라이팅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라이팅부(20)는 제1 브라켓(21)에 의해 자전거의 안장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대(1)에 설치될 수 있다.
제1 브라켓(21)은 자전거의 안장을 고정하기 위한 지지대(1)에 삽입하기 위한 삽입홀(21a)이 형성되고, 지지대(1)가 삽입홀(21a)에 삽입된 상태에서 지지대(1)를 따라 이동하여 원하는 위치에 설치하기 위한 공간부(21b)가 형성된다. 제1 브라켓(21)은 자전거에 구비되는 안장을 해제한 후에 지지대(1)의 끝단부를 삽입홀(21a)에 삽입하여 지지대(1)에 위치할 수 있다. 지지대(1)에 위치한 제1 브라켓(21)은 공간부(21b)의 양측부를 고정부재(21c)로 조여 줌으로써 지지대(1)에 고정될 수 있다. 즉 공간부(21b)의 공간에 의해 지지대(1)에 이동 가능하게 위치한 제1 브라켓(21)은 고정부재(21c)에 의해 공간부(21b)의 공간을 조여줌으로써 지지대(1)에 고정될 수 있다. 여기서 고정부재(21c)는 나사와 너트로 이루어질 수 있다.
라이팅부(20)는 제1 브라켓(21)로부터 연장되어 제1 브라켓(21)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하지만 이에 한정된 것은 아니고, 라이팅부(20)와 제1 브라켓(21)은 각각 구비되어, 별도의 연결수단을 이용하여 결합될 수도 있다.
이하 본 실시예에 따른 라이팅부(20)의 내부 구성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라이팅부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향 지시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라이팅부(20)는 제1 통신부(28), 방향 지시부(22), 타이머부(23), 가속 센서부(24), 소리 출력부(29), 제1 제어부(25) 및 제1 전원부(26)를 포함한다.
제1 통신부(28)는 컨트롤러(30)로부터 방향 지시부(22)에 대한 제어 신호를 전달받을 수 있고, 제1 제어부(25)로부터 생성된 도난 신호를 컨트롤러(30)로 전달할 수 있다.
방향 지시부(22)는 복수의 다이오드로 형성되어, 컨트롤러(30)의 제어에 따라 해당 조명을 점등시켜 후방에 방향을 지시할 수 있다. 또한 방향 지시부(22)는 좌측을 지시하는 조명을 점등하는 좌회전 표시부(22a), 자전거가 우회전 시에, 우측을 지시하는 조명을 점등하는 우회전 표시부(22b), 비상 시에, 좌회전 표시부(22a)와 우회전 표시부(22b)의 일부 또는 전부를 점등시키는 비상 표시부(22c)를 포함한다.
좌회전 표시부(22a)는 복수개의 다이오드를 좌측으로 향하는 화살표 형상으로 점등하여 좌회전 시에 후방에 좌측을 지시할 수 있다.
우회전 표시부(22b)는 좌회전 표시부(22a)에 사용된 다이오드 중 일부와, 다른 다이오드를 우측으로 향하는 화살표 형상으로 점등하여 우회전 시에 후방에 우측을 지시할 수 있다. 즉 우회전 표시부(22b)는 좌측으로 향하는 화살표 형상의 좌회전 표시부(22a)에서 직선으로 점등되는 부분을 점등하고, 우측을 향하는 화살표 형상을 구현하기 위하여 우측에 구비된 나머지 다이오드를 점등시킬 수 있다.
비상 표시부(22c)는 좌회전 표시부(22a)와 우회전 표시부(22b)에 사용되는 다이오드를 모두 점등하여 비상 시에 방향을 지시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비상 표시부(22c)가 자회전 표시부(22a)와 우회전 표시부(22b)에 사용되는 다이오드를 모두 점등하도록 구성하였지만, 이에 한정된 것은 아니고, 일부만 점등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방향 지시부(22)는 점등되는 형태로 구현되었지만, 점멸되는 형태로 구현되어도 무방하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방향 지시부(22)은 최소한의 다이오드를 사용하여 좌회전 표시부(22a), 우회전 표시부(22b) 및 비상 표시부(22c)를 구현하기 때문에 자전거의 방향 지시 장치(100)의 크기를 최소화 할 수 있고, 원가를 절감할 수 있다.
점등된 방향 지시부(22)의 좌회전 표시부(22a)와 우회전 표시부(22b)는 타이머부(23)에 의해 기 설정된 시간이 지나면 소등될 수 있다.
타이머부(23)는 자전거의 회전이 완료된 후에 자동으로 소등될 수 있도록 시간을 지정할 수 있다. 또한 타이머부(23)는 소리 출력부(29)의 방향 지시음 또는 경보음을 정지시킬 수 있는 시간을 지정할 수 있다. 즉 타이머부(23)는 방향 지시부(22)의 소등 시간과, 방향 지시음의 정지 시간을 같이 설정하여 방향 지시부(22)와 방향 지시음이 동시에 소등 또는 정지될 수 있도록 설정할 수 있고, 경보음의 정지시간을 따로 설정할 수 있다.
타이머부(23)로는 입력 신호를 받아서 설정 시간 경과 후에 회로가 열리거나 닫히는 싱크로나이드 모터식, 트랜지스터식 등의 타이머(Timer)를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따른 자전거의 방향 지시 장치(100)는 타이머부(23)를 구비하여, 점등된 방향 지시부(22)를 회전이 완료된 후에 자동으로 소등시킬 수 있다.
한편 가속 센서부(24)는 가속도 센서를 구비하여 자전거의 가속도 변화값에 따라 도난을 감지할 수 있다. 또한 가속 센서부(24)는 도난 감지 뿐만 아니라 좌표 즉 방향에 따른 가속도를 측정할 수 있다. 여기서 가속도 센서로는 좌표에 따른 가속도를 측정할 수 있는 G-센서 또는 자이로 센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소리 출력부(29)는 제1 제어부(25)의 제어에 따라 방향 지시부(22)의 점등되는 조명에 따라 방향 지시음을 출력하고, 가속 센서부(24)에 의해 감지되는 도난 여부에 따라 경보음을 발생시킬 수 있다. 방향 지시음은 제1 제어부(25)에 의해 방향 지시부(22)의 좌회전 표시부(22a) 또는 우회전 표시부(22b)에 부합하는 소리를 출력할 수 있다. 예컨데 방향 지시음은 방향 지시부(22)의 좌회전 표시부(22a)가 점등될 경우, "좌회전 입니다", 우회전 표시부(22b)가 점등될 경우, "우회전 입니다" 와 같은 소리를 출력할 수 있다. 경보음은 가속 센서부(24)에 의해 감지되는 도난 여부에 따라 출력되고, 타이머부(23)로부터 설정된 시간이 지나면 정지될 수 있다. 경보음은 자전거 주변에 도난 여부를 알릴 수 있는 어떠한 소리가 되어도 무관하다. 소리 출력부(29)는 소리를 출력할 수 있는 스피커 또는 부저 등이 될 수 있다.
제1 제어부(25)는 라이팅부(20)의 전반적인 동작을 수행한다. 즉 제1 제어부(25)는 제1 통신부(28)를 통해 컨트롤러(30)의 제어 신호와 타이머부(23)로부터 설정된 소등 시간을 통해 방향 지시부(22)를 제어하고, 가속 센서부(24)로부터 가속도 변화값을 전달 받아 도난 신호를 생성하여 제1 통신부(28)를 통해 컨트롤러(30)로 전달하고, 도난 신호와 타이머부(23)로부터 설정된 방향 지시음과 경보음을 정지시키는 시간에 따라 소리 출력부(29)를 제어한다.
또한 제1 제어부(25)는 가속 센서부(24)의 가속도 센서에 의해 자전거의 속도가 감소하였다고 판단되면, 비상 표시부(22c)를 점등시킬 수 있다.
또한 제1 제어부(25)는 주행 중에 방향 지시부(22)를 통해 방향을 지시하는 주행 모드와, 가속 센서부(24)의 가속도 변화에 따라 도난을 감지하고, 도난 신호를 생성하여 도난 여부에 따라 도난 신호를 컨트롤러(30)로 전달하거나, 소리 출력부(29)로 전달하여 경보음을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도난 방지 모드를 포함할 수 있다. 주행 모드와 도난 방지 모드는 컨트롤러(30)에 의해 전환될 수 있다.
주행 모드는 컨트롤러(30)의 제어에 의해 수동으로 좌회전 표시부(22a) 또는 우회전 표시부(22b)를 제어하는 수동 모드와, 가속 센서부(24)의 가속도 센서를 통해 이동 방향을 센싱하여 자동으로 좌회전 표시부(22a) 또는 우회전 표시부(22b)를 제어하는 자동 모드를 포함할 수 있다. 주행 모드의 수동 모드와 자동 모드는 컨트롤러(30)에 의해 전환될 수 있다.
한편 제1 전원부(26)는 제1 통신부(28), 방향 지시부(22), 타이머부(23), 가속 센서부(24), 소리 출력부(29) 또는 제1 제어부(25)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를 구비하고, 전원을 ON / OFF 시킬 수 있다. 배터리로는 리튬이온 충전용 전지를 사용하여 장기간 교체없이 사용이 가능하면서, 1회 충전 대비 장시간 동안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하지만 이에 한정된 것은 아니고, 배터리로는 1회용 전지를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라이팅부(20)는 조도 센서부(2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조도 센서부(27)는 자전거의 주변 밝기를 측정할 수 있다. 조도 센서부(27)로는 조도를 측정할 수 있는 조도 센서를 사용할 수 있다. 조도 센서부(27)에 의해 측정된 조도는 제1 제어부(25)로 전달될 수 있다. 제1 제어부(25)는 조도 센서부(27)로부터 전달받은 조도를 통해 비상 표시부(22c)를 점등시키거나 소등시킬 수 있다. 즉 제1 제어부(25)는 야간과 주간에 대한 조도의 기준값을 설정하여, 야간이라고 판단되면 비상 표시부(22c)를 점등시키고, 주간이라고 판단되면 비상 표시부(22c)를 소등시킬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 제어부(25)의 자동 모드에 대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 제어부의 자동 모드의 기능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A ~ A1 구간은 등속 구간(X = 0, Y = 0)으로 가속도 센서의 X, Y, Z의 좌표에 따른 가속도값의 변화는 발생하지 않는다. A1 ~ B1 구간은 등속에서 감속으로 변화하는 구간으로 가속도 센서의 X 좌표는 -값을 Y 좌표는 +값을 가지게 된다. 즉 가속도 센서는 좌표에 따른 가속도 변화값을 이용하여 우측으로 회전하고 있음을 센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제어부(25)는 가속 센서부(24)에 의해 우측으로 회전(A1 ~ B1)하고 있다고 판단되면 방향 지시부(22)의 우회전 표시부(22b)를 점등시킬 수 있다. 그리고 B1 ~ B 구간은 감속구간에서 등속구간으로 변화하는 구간으로 X 좌표와 Y 좌표에서 가속도값이 다시 0이 된다. 즉 가속도 센서는 회전이 완료됨을 센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제어부(25)는 가속 센서부(24)에 의해 회전이 완료(B1 ~ B)되었다고 판단되면 점등된 우회전 표시부(22b)를 소등시킬 수 있다.
제1 제어부(25)가 좌회전 표시부(22a)를 소등 또는 점등시키는 방법은 상술한 우회전 표시부(22b)를 소등 또는 점등시키는 방법과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컨트롤러(30)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컨트롤러의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6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컨트롤러(30)는 제2 브라켓(31)에 의해 자전거의 핸들부(2)에 설치될 수 있다.
제2 브라켓(31)은 복수의 홀(31c)을 갖는 밴드 형상의 몸체(31a)와, 몸체(31a)의 일측에 고정되는 고정부재(31b)를 구비하고, 고정부재(31b)를 복수의 홀(31c) 중 하나에 삽입하여 자전거의 핸들부(2)에 고정될 수 있다. 몸체(31a)는 하부면이 자전거의 핸들부(2)를 감쌀 수 있도록 고무와 같은 탄성이 있는 재질을 사용할 수 있다. 몸체(31a)에 형성된 홀(31c)은 자전거의 종류에 따라 다양한 직경을 갖는 핸들부(2)에 설치될 수 있도록 복수개로 구비될 수 있다. 고정부재(31b)는 고리 형상으로 제작될 수 있다. 또한 고정부재(31b)는 약간의 탄성을 갖는 플라스틱 재질을 사용하여 복수의 홀(31c) 중 하나에 삽입되고, 삽입된 홀(31c)과 인접한 홈 사이의 공간에 끼움 결합될 수 있다.
컨트롤러(30)는 몸체(31a)의 상부면에 부착되어 제2 브라켓(31)과 일체로 제작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된 것은 아니고 컨트롤러(30)와 제2 브라켓(31)은 각각 분리될 수 있도록 제작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컨트롤러(30)의 내부 구성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컨트롤러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 및 도 7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컨트롤러(30)는 입력부(35), 제2 통신부(32), 출력부(33), 제2 제어부(34) 및 제2 전원부(36)를 포함한다.
입력부(35)는 라이팅부(20)를 제어할 수 있다. 즉 입력부(35)는 라이팅부(20)의 방향 지시부(22)를 제어하고, 제1 제어부(25)의 모드를 전환시킬 수 있다. 입력부(35)는 방향 지시부(22)의 좌회전 표시부(22a)를 점등시킬 수 있는 좌회전 입력부(35a)와, 우회전 표시부(22b)를 점등시킬 수 있는 우회전 입력부(35b)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입력부(35)는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제1 제어부(25)를 주행 모드 또는 도난 방지 모드로 전환 시킬 수 있는 모드 전환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컨데 입력부(35)는 모드 전환부에 의해 주행 모드로 전환되었을 경우, 좌회전 입력부(35a) 또는 우회전 입력부(35b)를 통해 주행 모드의 자동 모드 또는 수동 모드로 전환될 수 있도록 설정할 수 있다. 하지만 이에 한정된 것은 아니고, 입력부(35)는 모드 전환부를 구비하지 않고, 좌회전 입력부(35a)와 우회전 입력부(35b)를 통해 모드 전환을 할 수 있도록 설정하는 등 다양한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입력부(35)로부터 입력된 제어 신호는 제2 제어부(34)에 의해 전기적 신호로 변환되어 제2 통신부(32)를 통해 라이팅부(20)로 전달될 수 있다.
한편 제2 통신부(32)는 입력부(35)로부터 입력된 신호를 무선 통신을 통해 라이팅부(20)로 전달하거나, 라이팅부(20)로부터 신호를 전달받을 수 있다.
출력부(33)는 라이팅부(20)의 도난 신호에 따라 도난 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도난 메시지는 소리, 진동 또는 빛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컨트롤러(30)는 자전거에 탈부착하게 결합된다. 이에 따라 운전자가 컨트롤러(30)를 탈착하여 소지한 상태로 자전거로부터 이격될 경우, 컨트롤러(30)는 자전거에 부착되어 있는 라이팅부(20)에 의해 감지된 도난 신호에 따라 출력부(33)를 통해 소리, 진동 또는 빛을 출력할 수 있다. 출력부(33)는 스피커 또는 부저를 내장하여 소리를 출력하거나, 모터와 추를 내장하여 진동을 출력하거나, 내부에 LED 등 발광 소자를 설치하여 도난 신호에 따라 빛을 발광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제2 제어부(34)는 입력부(35)로부터 입력된 제어 신호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여 제2 통신부(32)를 통해 라이팅부(20)로 전달하고, 제2 통신부(32)를 통해 라이팅부(20)의 도난 신호를 전달받아 출력부(33)를 제어할 수 있다.
제2 전원부(36)는 입력부(35), 제2 통신부(32), 출력부(33) 또는 제2 제어부(34)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를 구비하고, 전원을 ON / OFF 시킬 수 있다. 배터리로는 리튬이온 충전용 전지를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전거의 방향 지시 장치(100)는 가속도 센서를 통해 가속도 변화를 감지하여 도난 신호를 생성하는 라이팅 부(20)를 구비하고, 탈부착 가능하게 설치되어 도난 신호에 따라 경보음을 발생시키는 컨트롤러(30)를 구비하여 자전거의 도난을 감지하고, 신속하게 대처할 수 있다.
한편, 본 도면에 개시된 실시예는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에 지나지 않으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20 : 라이팅부 21 : 제1 브라켓
22 : 방향 지시부 23 : 타이머부
24 : 가속 센서부 25 : 제1 제어부
26 : 제1 전원부 27 : 조도 센서부
28 : 제1 통신부 29 : 소리 출력부
30 : 컨트롤러 31 : 제2 브라켓
32 : 제2 통신부 33 : 출력부
34 : 제2 제어부 35 : 입력부
36 : 제2 전원부
100 : 방향 지시 장치

Claims (12)

  1. 자전거의 회전 방향에 따라 해당 조명을 점등시켜 후방에 방향을 지시하고, 기 설정된 시간이 지나면 소등되고, 가속도 센서를 구비하여 상기 가속도 센서에 의해 가속도 변화를 감지하여 도난 신호를 생성하는 라이팅부;
    상기 자전거의 전방부에 탈부착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라이팅부의 점등 또는 소등을 제어하고, 상기 도난 신호에 따라 경보음을 발생시키는 컨트롤러; 를 포함하고,
    상기 라이팅부는,
    상기 컨트롤러와 무선 통신을 통해 상호 간에 신호를 주고 받는 제1 통신부;
    상기 컨트롤러의 제어에 따라 해당 조명을 점등시켜 후방에 방향을 지시하는 방향 지시부;
    상기 가속도 센서를 구비하고, 상기 자전거의 가속도 변화값에 따라 도난을 감지하는 가속 센서부;
    상기 제1 통신부를 통해 상기 컨트롤러의 제어 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방향 지시부를 제어하는 제1 제어부;
    상기 방향 지시부는,
    좌측을 지시하는 조명을 점등하는 좌회전 표시부;
    상기 좌회전 표시부와 일부가 중첩된 조명을 점등하여 우측을 지시하는 우회전 표시부;
    상기 좌회전 표시부와 상기 우회전 표시부의 일부 또는 전부를 점등시키는 비상 표시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제어부는 주행 중에 상기 방향 지시부를 통해 방향을 지시하는 주행 모드와, 상기 가속 센서부에 의해 도난 신호를 생성하는 도난 방지 모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제어부의 상기 주행 모드는 상기 컨트롤러의 제어에 의해 수동으로 상기 좌회전 표시부 또는 상기 우회전 표시부를 제어하는 수동 모드와, 상기 가속 센서부의 상기 가속도 센서를 통해 이동 방향을 센싱하여 자동으로 상기 좌회전 표시부 또는 상기 우회전 표시부를 제어하는 자동 모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의 방향 지시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라이팅부는,
    상기 방향 지시부의 점등되는 조명에 따라 방향 지시음을 출력하고, 상기 가속 센서부에 의해 감지되는 도난 여부에 따라 경보음을 발생시키는 소리 출력부;
    상기 방향 지시부의 소등 시간과, 상기 소리 출력부의 상기 방향 지시음 또는 상기 경보음을 정지시키는 시간을 설정하는 타이머부;
    상기 제1 통신부, 상기 방향 지시부, 상기 가속 센서부, 상기 소리 출력부, 상기 타이머부 또는 상기 제1 제어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를 구비하고, 상기 전원을 ON / OFF 시키는 제1 전원부;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제어부는 상기 제1 통신부를 통해 상기 컨트롤러의 제어 신호와 상기 타이머부로부터 설정된 상기 소등 시간을 통해 상기 방향 지시부를 제어하고, 상기 가속 센서부로부터 상기 가속도 변화값을 전달받아 상기 도난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제1 통신부를 통해 상기 컨트롤러로 전달하고, 상기 도난 신호와 상기 타이머부로부터 설정된 상기 방향 지시음과 상기 경보음을 정지시키는 시간에 따라 상기 소리 출력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의 방향 지시 장치.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어부는 상기 가속 센서부의 상기 가속도 센서에 의해 상기 자전거의 속도가 감소하였다고 판단되면, 상기 비상 표시부를 점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의 방향 지시 장치.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라이팅부는 상기 자전거의 주변 밝기를 측정하는 조도 센서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의 방향 지시 장치.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어부는 상기 조도 센서부로부터 측정되는 상기 자전거의 주변 밝기에 따라 상기 비상 표시부를 점등 또는 소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의 방향 지시 장치.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라이팅부는 상기 자전거의 안장을 지지하는 지지대에 삽입되는 삽입홀이 형성된 제1 브라켓에 의해 상기 지지대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의 방향 지시 장치.
  10.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라이팅부를 제어하기 위하여 제어 신호를 입력하는 입력부;
    상기 입력부로부터 입력된 신호를 무선 통신을 통해 상기 라이팅부로 전달하거나, 상기 라이팅부로부터 신호를 전달받는 제2 통신부;
    상기 라이팅부의 상기 도난 신호에 따라 도난 메시지를 출력하는 출력부;
    상기 입력부로부터 입력된 상기 제어 신호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제2 통신부를 통해 상기 라이팅부로 전달하고, 상기 제2 통신부를 통해 상기 라이팅부의 상기 도난 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출력부를 제어하는 제2 제어부;
    상기 입력부, 상기 제2 통신부, 상기 출력부 또는 상기 제2 제어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를 구비하고, 상기 전원을 ON / OFF 시키는 제2 전원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의 방향 지시 장치.
  11.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부의 상기 도난 메시지는 소리, 진동 또는 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의 방향 지시 장치.
  1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복수의 홀을 갖는 밴드 형상의 몸체와, 상기 몸체의 일측에 고정되는 고정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고정부재를 상기 복수의 홀 중 하나에 삽입하여 상기 자전거의 핸들부에 고정되는 제2 브라켓에 의해 상기 핸들부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의 방향 지시 장치.
KR1020140083268A 2014-07-03 2014-07-03 자전거의 방향 지시 장치 KR1015533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3268A KR101553312B1 (ko) 2014-07-03 2014-07-03 자전거의 방향 지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3268A KR101553312B1 (ko) 2014-07-03 2014-07-03 자전거의 방향 지시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53312B1 true KR101553312B1 (ko) 2015-09-17

Family

ID=542483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83268A KR101553312B1 (ko) 2014-07-03 2014-07-03 자전거의 방향 지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53312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27792B1 (ko) * 2016-02-12 2018-02-09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사고발생 알림기능을 갖는 자전거 후미등 장치 및 그 구동방법
KR20180081962A (ko) * 2017-01-09 2018-07-18 아주자동차대학 산학협력단 자전거용 야간 보조 led 조명장치
WO2020054528A1 (ja) * 2018-09-11 2020-03-19 デジタルデザインスタジオ株式会社 自転車用ヘルメットおよび補助灯火装置
KR102192502B1 (ko) 2019-07-23 2020-12-17 김보경 자전거용 주행의사 표시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자건거
KR102198284B1 (ko) * 2019-08-30 2021-01-04 최대철 개인용 승용기구에 탈부착 가능한 안전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0402B1 (ko) * 2009-04-24 2009-08-04 엄경희 자전거용 방향 지시장치
JP2010100100A (ja) * 2008-10-21 2010-05-06 Honda Motor Co Ltd 自動二輪車の盗難防止装置
JP2011042285A (ja) * 2009-08-21 2011-03-03 Tokyo Bell Seisakusho:Kk 自転車用ハンドルへの取付器具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100100A (ja) * 2008-10-21 2010-05-06 Honda Motor Co Ltd 自動二輪車の盗難防止装置
KR100910402B1 (ko) * 2009-04-24 2009-08-04 엄경희 자전거용 방향 지시장치
JP2011042285A (ja) * 2009-08-21 2011-03-03 Tokyo Bell Seisakusho:Kk 自転車用ハンドルへの取付器具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27792B1 (ko) * 2016-02-12 2018-02-09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사고발생 알림기능을 갖는 자전거 후미등 장치 및 그 구동방법
KR20180081962A (ko) * 2017-01-09 2018-07-18 아주자동차대학 산학협력단 자전거용 야간 보조 led 조명장치
KR101886783B1 (ko) * 2017-01-09 2018-08-08 아주자동차대학 산학협력단 자전거용 야간 보조 led 조명장치
WO2020054528A1 (ja) * 2018-09-11 2020-03-19 デジタルデザインスタジオ株式会社 自転車用ヘルメットおよび補助灯火装置
KR102192502B1 (ko) 2019-07-23 2020-12-17 김보경 자전거용 주행의사 표시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자건거
KR102198284B1 (ko) * 2019-08-30 2021-01-04 최대철 개인용 승용기구에 탈부착 가능한 안전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53312B1 (ko) 자전거의 방향 지시 장치
US11014623B2 (en) Intelligent headlight system for bicycle
AU2022203430B2 (en) A Safety Helmet
KR100910402B1 (ko) 자전거용 방향 지시장치
JP6531299B2 (ja) 多機能スマートバックパック
US9157623B2 (en) Multiple beam light source
US10611422B2 (en) Systems, methods and techniques for intelligent accessories
US9387897B2 (en) Smart horn system and method
EP1394029A2 (en) Bicycle lighting system
WO2016203224A1 (en) An indicator light device for a vehicle with handlebar
KR101893880B1 (ko) 자전거용 스마트 전조등
KR101262926B1 (ko) 장갑과 가방의 연동형 방향표시장치
EP4370410A2 (en) Automated bicycle light system
EP3974300A1 (en) Portable light emitting signal apparatus
KR20100120736A (ko) 자전거의 주행 안전장치
US11975785B2 (en) Automated bicycle light system
WO2017021741A1 (en) Indicator device
KR101130763B1 (ko) 액세서리 겸 실시간 점등감지용 모형장치
TWM525892U (zh) 腳踏車輔助系統
JP2018097554A (ja) 視覚障がい者支援システム
KR100267878B1 (ko) 다기능 교통신호봉
KR20100003049U (ko) 방향지시 발광소자를 가지는 네비게이션 장치
KR200309296Y1 (ko) 후레쉬 겸용 안전표시등
BR202019000915U2 (pt) Disposição aplicada em capacete para ciclista com sinalização de direção por sensor de gestos.
KR20150124248A (ko) 안전등을 구비한 자전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14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