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53142B1 - 경부 심부굴곡근 강화를 위한 휴대용 자가 저항운동기 및 이를 이용한 자가 운동방법 - Google Patents

경부 심부굴곡근 강화를 위한 휴대용 자가 저항운동기 및 이를 이용한 자가 운동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53142B1
KR101553142B1 KR1020140017282A KR20140017282A KR101553142B1 KR 101553142 B1 KR101553142 B1 KR 101553142B1 KR 1020140017282 A KR1020140017282 A KR 1020140017282A KR 20140017282 A KR20140017282 A KR 20140017282A KR 101553142 B1 KR101553142 B1 KR 1015531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neck
socket
user
self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172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96170A (ko
Inventor
이충휘
용준형
임원빈
Original Assignee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400172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53142B1/ko
Publication of KR201500961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961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531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531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2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the head or the nec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9/00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specific reflex points of the body for physical therapy, e.g. acupuncture
    • A61H39/04Devices for pressing such points, e.g. Shiatsu or Acupress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1Constructive details
    • A61H2201/0157Constructive details portab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0Devices f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4Devices f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neck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tolaryngology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본원발명은 경부 심부굴곡근 강화를 위한 휴대용 자가 저항운동기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목에 설치되어 경부 심부굴곡근 강화를 위한 운동기에 있어서, 사용자의 목 둘레를 감싸도록 착용되어 상기 사용자의 경추를 보호하는 것으로 상부 일측에 장착홈이 생성되어 있는 넥 밴드와, 넥 밴드가 사용자의 목에 설치 시 사용자의 턱이 맞닿을 수 있도록 넥 밴드의 장착홈에 설치되는 것으로 사용자 턱의 운동에 의하여 상부가 상,하로 움직이는 경부운동부와, 일단이 경부운동부에 연결되어 전력이 공급되면 신호를 내는 것으로 넥 밴드의 내부 일측에 설치되는 신호부 및, 일단이 경부운동부에 연결되고, 타단이 신호부의 타단에 연결되어 신호부에 전력을 공급하는 것으로 넥 밴드의 내부 일측에 설치되는 전원으로 구성되되, 상기 경부운동부는 상기 장착홈에 설치되는 받침판과, 벽사이에 공간이 있는 이중벽 형태의 관 형상의 부재로 일단이 상기 받침판의 상부면 일측에 결합되는 하부소켓과, 일단이 상기 하부소켓을 관통하여 상기 받침판의 상면에 안착되는 탄성체 및, 타단이 막힌 관 형상의 도체성질 부재로 일단이 상기 하부소켓의 타단으로 삽입되도록 설치되되 상기 탄성체의 타단이 타단 내부의 공간에 안착되는 상부소켓으로 구성되고, 상기 전원과 상기 신호부의 일단이 상기 하부소켓의 일단에 서로 일정간격을 두고 각각 결합되어 있어 상기 경부운동부의 상부가 상기 사용자의 턱에 의하여 아랫방향으로 움직일 때 도체성질의 상기 상부소켓의 일단이 상기 하부소켓의 타단으로 삽입되되, 상기 상부소켓의 일단이 상기 하부소켓의 이중벽 사이의 공간으로 삽입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전원과 상기 신호부의 일단에 접촉되어 상기 전원의 전력이 상기 신호부에 전달되어 신호가 발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원발명은 경부 심부굴곡근 강화를 위한 휴대용 자가 저항운동기를 이용한 자가 운동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목에 설치된 경부 심부굴곡근 강화를 위한 운동기를 이용한 자가 운동방법에 있어서, (a) 상부 일측에 장착홈이 생성되어 있는 넥 밴드와, 넥 밴드의 장착홈에 설치되는 것으로 사용자 턱의 운동에 의하여 상부가 상,하로 움직이는 경부운동부와, 일단이 경부운동부에 연결되어 전력이 공급되면 신호를 내는 것으로 넥 밴드의 내부 일측에 설치되는 신호부 및 일단이 경부운동부에 연결되고, 타단이 신호부의 타단에 연결되어 신호부에 전력을 공급하는 것으로 넥 밴드의 내부 일측에 설치되는 전원으로 구성되는 자가 저항운동기가 사용자의 목 둘레를 감싸도록 설치되는 단계와, (b) 넥 밴드에 설치된 경부운동부가 상기 사용자의 턱에 맞닿을 수 있도록 상기 넥 밴드를 조정하는 단계 및, (c) 전원의 전력이 신호부에 전달되어 신호가 발생되도록 사용자가 턱을 목 쪽으로 당겼다 놓았다 반복하여 운동하는 단계로 구성되되, 상기 경부운동부는 상기 장착홈에 설치되는 받침판과, 벽사이에 공간이 있는 이중벽 형태의 관 형상의 부재로 일단이 상기 받침판의 상부면 일측에 결합되는 하부소켓과, 일단이 상기 하부소켓을 관통하여 상기 받침판의 상면에 안착되는 탄성체 및 타단이 막힌 관 형상의 도체성질 부재로 일단이 상기 하부소켓의 타단으로 삽입되도록 설치되되 상기 탄성체의 타단이 타단 내부의 공간에 안착되는 상부소켓으로 구성되고, 상기 전원과 상기 신호부의 일단이 상기 하부소켓의 일단에 서로 일정간격을 두고 각각 결합되어 있어 상기 사용자의 턱의 운동에 의하여 도체성질의 상기 상부소켓의 일단이 상기 하부소켓의 타단으로 삽입되되, 상기 상부소켓의 일단이 상기 하부소켓의 이중벽 사이의 공간으로 삽입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전원과 상기 신호부의 일단에 접촉되어 상기 전원의 전력이 상기 신호부에 전달되어 신호가 발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경부 심부굴곡근 강화를 위한 휴대용 자가 저항운동기 및 이를 이용한 자가 운동방법 { A self-resistance exercise device for strengthening neck deep flexor muscles and self-exercise method using it }
본 발명은 경부 심부굴곡근 강화를 위한 휴대용 자가 저항운동기 및 이를 이용한 자가 운동방법에 관한 것이다.
스마트폰의 보급은 현대인에게 새로운 생활양식과 예전에 없던 편리함과 새로운 장르의 여가를 제공하고 있다. 모바일쇼핑의 시장규모도 2009년 대비 400배 증가하여(중앙일보, 2013), IT산업에 혁신적인 활력을 불어넣고 있다. 그러나 이런 장점에도 불구하고 반복적인 나쁜 자세로 인하여 경추(목뼈) 질환 발생이 증가하는 부정적 측면도 있다.
경추질환은 퇴행성질환의 일종으로 주로 40~50대에게서 나타났지만, 최근에는 20~30대의 젊은층에서 급격히 늘고 있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에 따르면 경추질환으로 진료를 받은 환자는 2012년 약 280만명 정도로 5년 전에 비해 30% 이상 증가하였다. 과거의 경추질환은 퇴행성질환으로 40~50대에게 주로 나타났지만, 최근에는 20~30대에서 급격히 늘고 있다. 자생한방병원(보건복지부 지정 척추전문병원)에서 경추질환으로 내원한 환자 4만명을 분석한 결과, 2004년 24%였던 30대 이하의 경추질환자들이 2011년에는 50%까지 증가했다. 반면 2004년 76%에 달했던 40대 이상 경추질환자들은 2011년에 49%로 크게 감소한 것으로 확인됐다(세계일보, 2012).
스마트폰과 컴퓨터와 같은 생활전자기기의 과도한 사용은 경추 질환의 원인으로 여겨지고 있으며, 의료비는 물론 그에 따른 사회경제적 간접비용의 증가를 초래하여 국가경쟁력을 낮추는 원인으로 지적되고 있다. 따라서 이들의 과사용에 대한 사회적 고려와 경추 질환 예방에 대한 다양한 방안이 필요하다.
상기와 같은 경추 질환자들을 치료하기 위하여 많은 장치와 방법이 발명되어 소개되어 왔으나 기존 기술은 환자가 일정한 장소에 가서 치료를 받아야 하거나 누운 자세에서 운동을 해야 하는 등 많은 불편한 점이 있다. 또한 일반적으로 경부 심부굴곡근 강화를 위하여 소개되고 있는 목 운동은 일정한 기준이 없어 사용자가 어느 정도로 운동을 해야 하는지 모호한 문제가 있고, 잘못된 운동을 하면서도 그것을 인지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았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12-0129155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173164호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장소를 가리지 않고 사용자가 손쉽게 경부 심부굴곡근 강화를 위한 운동을 할 수 있도록 경추보조기에 탄성체와 신호기를 설치하여 사용자가 피드백을 받으면서 스스로 경부 심부굴곡근 강화 운동을 손쉽게 할 수 있도록 하는 휴대용 자가 저항운동기 및 이를 이용한 자가 운동방법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원발명은 사용자의 목에 설치되어 경부 심부굴곡근 강화를 위한 자가 저항운동기에 있어서, 사용자의 목 둘레를 감싸도록 착용되어 상기 사용자의 경추를 보호하는 것으로 상부 일측에 장착홈이 생성되어 있는 넥 밴드와, 넥 밴드가 사용자의 목에 설치시 사용자의 턱이 맞닿을 수 있도록 넥 밴드의 장착홈에 설치되는 것으로 사용자 턱의 운동에 의하여 상부가 상,하로 움직이는 경부운동부와, 일단이 경부운동부에 연결되어 전력이 공급되면 신호를 내는 것으로 넥 밴드의 내부 일측에 설치되는 신호부 및, 일단이 경부운동부에 연결되고, 타단이 신호부의 타단에 연결되어 신호부에 전력을 공급하는 것으로 넥 밴드의 내부 일측에 설치되는 전원으로 구성되되, 상기 경부운동부는 상기 장착홈에 설치되는 받침판과, 벽사이에 공간이 있는 이중벽 형태의 관 형상의 부재로 일단이 상기 받침판의 상부면 일측에 결합되는 하부소켓과, 일단이 상기 하부소켓을 관통하여 상기 받침판의 상면에 안착되는 탄성체 및, 타단이 막힌 관 형상의 도체성질 부재로 일단이 상기 하부소켓의 타단으로 삽입되도록 설치되되 상기 탄성체의 타단이 타단 내부의 공간에 안착되는 상부소켓으로 구성되고, 상기 전원과 상기 신호부의 일단이 상기 하부소켓의 일단에 서로 일정간격을 두고 각각 결합되어 있어 상기 경부운동부의 상부가 상기 사용자의 턱에 의하여 아랫방향으로 움직일 때 도체성질의 상기 상부소켓의 일단이 상기 하부소켓의 타단으로 삽입되되, 상기 상부소켓의 일단이 상기 하부소켓의 이중벽 사이의 공간으로 삽입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전원과 상기 신호부의 일단에 접촉되어 상기 전원의 전력이 상기 신호부에 전달되어 신호가 발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부 심부굴곡근 강화를 위한 휴대용 자가 저항운동기를 제공한다.
또한, 본원발명은 사용자의 목에 설치된 경부 심부굴곡근 강화를 위한 자가 저항운동기를 이용한 자가 운동방법에 있어서, (a) 상부 일측에 장착홈이 생성되어 있는 넥 밴드와, 넥 밴드의 장착홈에 설치되는 것으로 사용자 턱의 운동에 의하여 상부가 상,하로 움직이는 경부운동부와, 일단이 경부운동부에 연결되어 전력이 공급되면 신호를 내는 것으로 넥 밴드의 내부 일측에 설치되는 신호부 및 일단이 경부운동부에 연결되고, 타단이 신호부의 타단에 연결되어 신호부에 전력을 공급하는 것으로 넥 밴드의 내부 일측에 설치되는 전원으로 구성되는 자가 저항운동기가 사용자의 목 둘레를 감싸도록 설치되는 단계와, (b) 넥 밴드에 설치된 경부운동부가 상기 사용자의 턱에 맞닿을 수 있도록 상기 넥 밴드를 조정하는 단계 및, (c) 전원의 전력이 신호부에 전달되어 신호가 발생되도록 사용자가 턱을 목 쪽으로 당겼다 놓았다 반복하여 운동하는 단계로 구성되되, 상기 경부운동부는 상기 장착홈에 설치되는 받침판과, 벽사이에 공간이 있는 이중벽 형태의 관 형상의 부재로 일단이 상기 받침판의 상부면 일측에 결합되는 하부소켓과, 일단이 상기 하부소켓을 관통하여 상기 받침판의 상면에 안착되는 탄성체 및 타단이 막힌 관 형상의 도체성질 부재로 일단이 상기 하부소켓의 타단으로 삽입되도록 설치되되 상기 탄성체의 타단이 타단 내부의 공간에 안착되는 상부소켓으로 구성되고, 상기 전원과 상기 신호부의 일단이 상기 하부소켓의 일단에 서로 일정간격을 두고 각각 결합되어 있어 상기 사용자의 턱의 운동에 의하여 도체성질의 상기 상부소켓의 일단이 상기 하부소켓의 타단으로 삽입되되, 상기 상부소켓의 일단이 상기 하부소켓의 이중벽 사이의 공간으로 삽입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전원과 상기 신호부의 일단에 접촉되어 상기 전원의 전력이 상기 신호부에 전달되어 신호가 발생되는 것을 특징으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부 심부굴곡근 강화를 위한 휴대용 자가 저항운동기를 이용한 자가 운동방법을 제공한다.
이상의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본 발명은 사용자의 목 부위에 간단히 설치하여 운동할 수 있는 휴대용 운동기로 장소에 구애받지 않을뿐더러 앉거나 서있는 기능적 자세 이외에도 누운자세에서 경부 심부굴곡근 강화운동을 할 수 있다.
둘째, 본 발명은 사용자가 정확하게 경부 심부굴곡근 운동을 할 때 소리가 발생되게 하여 사용자가 정확한 운동을 할 수 있게 해준다. 즉, 사용자가 정확한 자세로 운동을 할 때 소리가 발생되게 하여 사용자에게 올바른 경부 심부굴곡근 강화운동을 하기 위하여 피드백을 해주는 발명으로 자세교정에 있어 효과적이다.
셋째, 본 발명은 경부를 감싸는 형태로 되어 있어 사용자가 심부굴곡근 강화운동을 하는 동안 경부 좌우 근육의 균형을 유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1은 본원발명의 자가 저항운동기에 관한 사시도이다.
도2는 도1의 경부운동부의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3 내지 도5는 사용자의 턱 형상에 따라 경부운동부가 운동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6은 본원발명의 자가 운동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경부 심부굴곡근 강화를 위한 휴대용 자가 저항운동기 및 이를 이용한 자가 운동방법의 구체적인 내용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1은 본원발명의 자가 저항운동기에 관한 사시도이고, 도2는 도1의 경부운동부의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3 내지 도5는 사용자의 턱 형상에 따라 경부운동부가 운동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원발명은 경부 심부굴곡근 강화를 위한 휴대용 자가 저항운동기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목에 설치되어 경부 심부굴곡근 강화를 위한 운동기에 있어서, 사용자의 목 둘레를 감싸도록 착용되어 상기 사용자의 경추를 보호하는 것으로 상부 일측에 장착홈(110)이 생성되어 있는 넥 밴드(100)와, 넥 밴드(100)가 사용자의 목에 설치 시 사용자의 턱이 맞닿을 수 있도록 넥 밴드(100)의 장착홈(110)에 설치되는 것으로 사용자 턱의 운동에 의하여 상부가 상,하로 움직이는 경부운동부(200)와, 일단이 경부운동부(200)에 연결되어 전력이 공급되면 신호를 내는 것으로 넥 밴드(100)의 내부 일측에 설치되는 신호부(300) 및, 일단이 경부운동부(200)에 연결되고, 타단이 신호부(300)의 타단에 연결되어 신호부(300)에 전력을 공급하는 것으로 넥 밴드(100)의 내부 일측에 설치되는 전원(400)으로 구성되되, 경부운동부(200)의 상부가 사용자의 턱에 의하여 아랫방향으로 움직일 때 전원(400)의 전력이 신호부(300)에 전달되어 신호가 발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원발명은 넥 밴드(100), 경부운동부(200), 신호부(300), 전원(400)으로 구성되는 것으로 사용자의 목에 설치되어 간단한 동작만으로도 사용자의 경부 심부굴곡근을 강화시킬 수(치료할 수) 있는 휴대용 자가 저항운동기(10)에 관한 것이다.
스마트폰의 보급은 현대인에게 새로운 생활양식과 예전에 없던 편리함과 새로운 장르의 여가를 제공하고 있다. 모바일쇼핑의 시장규모도 2009년 대비 400배 증가하여(중앙일보, 2013), IT산업에 혁신적인 활력을 불어넣고 있다. 그러나 이런 장점에도 불구하고 반복적인 나쁜 자세로 인하여 경추(목뼈) 질환 발생이 증가하는 부정적 측면도 있다.
경추질환은 퇴행성질환의 일종으로 주로 40~50대에게서 나타났지만, 최근에는 20~30대의 젊은층에서 급격히 늘고 있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에 따르면 경추질환으로 진료를 받은 환자는 2012년 약 280만명 정도로 5년 전에 비해 30% 이상 증가하였다. 과거의 경추질환은 퇴행성질환으로 40~50대에게 주로 나타났지만, 최근에는 20~30대에서 급격히 늘고 있다. 자생한방병원(보건복지부 지정 척추전문병원)에서 경추질환으로 내원한 환자 4만명을 분석한 결과, 2004년 24%였던 30대 이하의 경추질환자들이 2011년에는 50%까지 증가했다. 반면 2004년 76%에 달했던 40대 이상 경추질환자들은 2011년에 49%로 크게 감소한 것으로 확인됐다(세계일보, 2012).
스마트폰과 컴퓨터와 같은 생활전자기기의 과도한 사용은 경추 질환의 원인으로 여겨지고 있으며, 의료비는 물론 그에 따른 사회경제적 간접비용의 증가를 초래하여 국가경쟁력을 낮추는 원인으로 지적되고 있다. 따라서 이들의 과사용에 대한 사회적 고려와 경추 질환 예방에 대한 다양한 방안이 필요하다.
상기와 같은 경추 질환자들을 치료하기 위하여 많은 장치와 방법이 발명되어 소개되어 왔으나 기존 기술은 환자가 일정한 장소에 가서 치료를 받아야 하거나 누운 자세에서 운동을 해야 하는 등 많은 불편한 점이 있다. 또한 일반적으로 경부 심부굴곡근 강화를 위하여 소개되고 있는 목 운동은 일정한 기준이 없어 사용자가 어느 정도로 운동을 해야 하는지 모호한 문제가 있고, 잘못된 운동을 하면서도 그것을 인지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았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장소를 가리지 않고 사용자가 손쉽게 경부 심부굴곡근 강화를 위한 운동을 할 수 있도록 경추보조기에 탄성체와 신호기를 설치하여 사용자 피드백을 받으면서 스스로 경부 심부굴곡근 강화 운동을 손 쉽게 할 수 있도록 하는 휴대용 자가 저항운동기 및 이를 이용한 자가 운동방법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즉, 본 발명은 사용자의 목 부위에 간단히 설치하여 운동할 수 있는 휴대용 운동기로 장소에 구애받지 않을뿐더러 앉거나 서있는 기능적 자세 이외에도 누운자세에서 경부 심부굴곡근 강화운동을 할 수 있고, 사용자가 정확하게 경부 심부굴곡근 운동을 할 때 소리가 발생되게 하여 사용자가 정확한 운동을 할 수 있게 해준다. 즉, 사용자가 정확한 자세로 운동을 할 때 소리가 발생되게 하여 사용자에게 올바른 경부 심부굴곡근 강화운동을 하기 위하여 피드백을 해주는 발명으로 자세교정에 있어 효과적이다. 또한, 본 발명은 경부를 감싸는 형태로 되어 있어 사용자가 심부굴곡근 강화운동을 하는 동안 경부 좌우 근육의 균형을 유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는 발명이다.
넥 밴드(100)는 사용자의 목 둘레를 감싸도록 착용되어 상기 사용자의 경추를 보호하는 것으로 상부 일측에 장착홈(110)이 생성되어 있는 구성이다. 넥 밴드는 경부를 감싸는 형태로 되어 있어 사용자가 경부 심부굴곡근 강화운동을 하는 동안 경부 좌,우 근육의 균형을 유지할 수 있게 해준다. 넥 밴드(100)는 경추를 보호하기 위하여 환자가 사용되는 통상의 제품이 사용된다. 장착홈은 넥 밴드(100) 상부 일측에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뒤에서 설명하는 경부운동부(200)가 설치되는 홈이다. 장착홈은 넥 밴드(100) 상부에서 사각형 등 경부운동부(200)가 안정하게 설치될 수 있도록 다양한 형태로 홈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경부운동부(200)는 넥 밴드(100)가 사용자의 목에 설치 시 사용자의 턱이 맞닿을 수 있도록 넥 밴드(100)의 장착홈(110)에 설치되는 것으로 사용자 턱의 운동에 의하여 상부가 상,하로 움직이는 구성이다. 경부운동부(200)는 사용자가 턱을 목쪽으로 당겼다 놓았다 할 때 상부가 사용자의 턱에 의해서 아랫방향으로 상,하 운동하는 구성이다. 또한, 이때 경부운동부(200)의 상부가 사용자의 턱에 의해서 아래로 눌려질 때 신호부(300)가 전원(400)으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신호가 발생됨으로 인해 사용자가 올바르게 경부 심부굴곡근 강화 운동을 매뉴얼에 맞게 운동하고 있다는 피드백을 받을 수 있는 구성이다.
경부운동부(200)는 장착홈(110)에 설치되는 받침판(210)과, 관 형상의 부재로 일단이 받침판(210)의 상부면 일측에 결합되는 하부소켓(220)과, 일단이 하부소켓(220)을 관통하여 받침판(210)의 상면에 안착되는 탄성체(230) 및 타단이 막힌 관 형상의 도체성질 부재로 일단이 하부소켓(220)의 타단으로 삽입되도록 설치되되 탄성체(230)의 타단이 타단 내부의 공간에 안착되는 상부소켓(240)으로 구성되고, 전원(400)과 신호부(300)의 일단이 하부소켓(220)의 일단에 서로 일정간격을 두고 각각 결합되어 있어 사용자의 턱의 운동에 의하여 도체성질의 상부소켓(240)이 하부소켓(220)에 삽입되어 전원(400)과 신호부(300)의 일단에 접촉되어 전원(400)의 전력이 신호부(300)에 전달되어 신호가 발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받침판(210)은 넥 밴드(100)의 장착홈에 설치되는 경부운동부(200)의 기초판에 해당하는 것으로 경부운동부(200)가 넥 밴드(100)의 상부에 용이하게 설치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받침판(210)은 연질의 넥 밴드(100)의 상부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턱 운동에 따라 상부소켓(240)이 하부소켓(220)을 따라 용이하게 움직이게 지지할 수 있으면 다양한 종류의 판이 사용될 수 있다.
하부소켓(220)은 관 형상의 부재로 일단이 받침판(210)의 상부면 일측에 결합되는 구성이다. 상부소켓(240)은 타단이 막힌 관 형상의 도체성질 부재로 일단이 하부소켓(220)의 타단으로 삽입되도록 설치되는 구성이다. 상부소켓(240)은 하부소켓(220)의 내부로 삽입될 수도 있고, 하부소켓(220)이 상부소켓(240)의 내부로 삽입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하부소켓(220)과 상부소켓(240)은 단면이 같은 형상을 하고 있는 구성으로 원형, 사각형 등 다양한 형상으로 되어 있을 수 있다. 하부소켓(220)과 상부소켓(240)은 사용자의 상황에 따라 받침판(210)의 상면에 다수개가 설치될 수 있는데 일례로 하부소켓(220)과 상부소켓(240)이 받침판(210)의 상면에 1개 내지 5개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하부소켓(220)은 벽사이에 공간이 있는 이중벽 형태의 관 형상의 부재로 일단이 상기 받침판(210)의 상부면 일측에 결합되고, 상부소켓(240)의 일단이 하부소켓(220)의 타단으로 삽입되되, 상부소켓(240)의 일단이 상기 하부소켓(220)의 이중벽 사이의 공간으로 삽입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즉, 하부소켓(220)은 관을 이루는 벽이 이중벽으로 되어 있되 벽 사이에 일정간격을 있도록 형상으로 되어 있는 것으로 하부소켓(220)의 타단에 벽 사이의 공간으로 상부소켓(240)의 일단이 삽입되도록 형성되어 있는 부재일 수 있다.
탄성체는 일단이 하부소켓(220)을 관통하여 받침판(210)의 상면에 안착되고, 타단이 상부소켓(240)의 타단 내부의 공간에 안착되도록 설치되어 사용자의 턱 운동에 따라 상부소켓(240)이 하부소켓(220)의 벽을 따라 상,하로 움직일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이다. 즉, 탄성체는 사용자의 턱에 의하여 상부소켓(240)이 하부소켓(220)의 아랫방향(일단)으로 눌려진 후 사용자가 턱을 떼면 다시 상부소켓(240)이 원위치로 복원될 수 있게 하는 구성이다. 탄성체는 소요되는 탄성력이 있으면 다양한 재료가 사용될 수 있는데 일례로 스프링이 사용될 수 있다.
하부소켓(220), 탄성체(230)와 상부소켓(240)이 받침판(210)의 상면에 다수개가 독립적으로 운동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즉, 사용자의 턱이 움직여서 턱이 닿는 상부소켓(240) 부분만 독립적으로 운동하도록 되어 있어 사용자들의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진 턱에 대응할 수 있다.
또한, 경부운동부(200)는 상부소켓(240)을 감싸는 덮개(25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덮개는 상부소켓(240)의 상부를 감싸는 방법으로 설치되어 사용자가 턱을 좀 더 안전하게 운동하기 위한 구성이다. 덮개는 사용자의 턱이 움직여 상부소켓(240)에 움직임이 용이하게 전달될 수 있도록 연질의 재료로 구성되어 있다.
신호부(300)는 일단이 경부운동부(200)에 연결되어 전력이 공급되면 신호를 내는 것으로 넥 밴드(100)의 내부 일측에 설치되는 구성이다. 신호부(300)는 전력이 공급되면 신호 즉, 진동, 소리 등 다양한 신호를 낼 수 있는 구성이다. 일례로 신호부(300)가 소리가 발생되는 장치인 경우 전력이 공급되면 소리가 발생되게 하여 사용자가 자신의 운동에 대한 피드백을 바로바로 받을 수 있도록 해준다.
전원(400)는 일단이 경부운동부(200)에 연결되고, 타단이 신호부(300)의 타단에 연결되어 신호부(300)에 전력을 공급하는 것으로 넥 밴드(100)의 내부 일측에 설치되는 구성이다. 전원(400)은 신호부(300)에 전력을 공급하는 것으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건전지(충전지, 수은전지 등)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전원(400)은 외부의 전력으로 공급될 수 있다.
신호부(300)와 전원(400)의 일단이 각각 경부운동부(200)에 연결되어 있고, 타단끼리 서로 연결되어 있어 경부운동부(200)의 상부가 사용자의 턱에 의하여 아랫방향으로 움직일 때 전원(400)의 전력이 신호부(300)에 전달되어 신호가 발생된다. 상세한 설명은 경부운동부(200)에서 설명되어진 것으로 한다.
신호부(300)와 전원(400)은 하부소켓(220), 탄성체(230)와 상부소켓(240)이 받침판(210)의 상면에 다수개가 설치되어 있는 경우, 전원(400)과 신호부(300)의 일단이 받침판(210)에 설치된 다수개의 하부소켓(220) 중 어느 하나의 하부소켓(220)의 일단에 서로 일정간격을 두고 각각 결합되어 있을 수 있다. 즉, 신호부(300)와 전원(400)의 일단이 하부소켓(220)의 일단에 결합되어 있고 타단끼리 서로 연결되어 있어, 사용자의 정확한 경부 심부굴곡근 강화운동에 의하여 도체의 상부소켓(240)의 일단이 내려와 신호부(300)와 전원(400)의 일단에 접촉되어 전원(400)의 전력이 신호부(300)에 이동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올바른 동작으로 상부소켓(240)을 정확하게 눌러야만 상부소켓(240)의 일단이 전원(400)과 신호부(300)의 일단에 닿아 전원(400)의 전력이 신호부(300)에 전달되도록 하여 사용자가 올바른 경부 심부굴곡근 강화 운동을 할 수 있다.
도6은 본원발명의 자가 운동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본원발명은 심부굴곡근 강화를 위한 휴대용 자가 저항운동기(10)를 이용한 자가 운동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목에 설치된 경부 심부굴곡근 강화를 위한 자가 저항운동기를 이용한 자가 운동방법에 있어서, (a) 상부 일측에 장착홈(110)이 생성되어 있는 넥 밴드(100)와, 넥 밴드(100)의 장착홈(110)에 설치되는 것으로 사용자 턱의 운동에 의하여 상부가 상,하로 움직이는 경부운동부(200)와, 일단이 경부운동부(200)에 연결되어 전력이 공급되면 신호를 내는 것으로 넥 밴드(100)의 내부 일측에 설치되는 신호부(300) 및 일단이 경부운동부(200)에 연결되고, 타단이 신호부(300)의 타단에 연결되어 신호부(300)에 전력을 공급하는 것으로 넥 밴드(100)의 내부 일측에 설치되는 전원(400)으로 구성되는 자가 저항운동기(10)가 사용자의 목 둘레를 감싸도록 설치되는 단계와, (b) 넥 밴드(100)에 설치된 경부운동부(200)가 상기 사용자의 턱에 맞닿을 수 있도록 상기 넥 밴드(100)를 조정하는 단계 및, (c) 전원(400)의 전력이 신호부(300)에 전달되어 신호가 발생되도록 사용자가 턱을 목 쪽으로 당겼다 놓았다 반복하여 운동하는 단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원발명은 (a)단계 내지 (c)단계로 구성되는 것으로 휴대용 자가 저항운동기(10)가 사용자의 목에 설치되어 간단한 동작만으로도 사용자의 경부 심부굴곡근을 강화시킬수(치료할 수) 있는 경부 심부굴곡근 강화를 위한 휴대용 자가 저항운동기(10)를 이용한 자가 운동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서 설명되지 않는 휴대용 자가 저항운동기(10)에 관한 상세한 구성은 상기 위(휴대용 자가 저항운동기(10)에 관한 설명)에서 설명된 것으로 한다.
(a)단계는 자가 저항운동기(10)를 사용자의 경부에 설치되는 단계이다. 즉, 상세하게는 상부 일측에 장착홈(110)이 생성되어 있는 넥 밴드(100)와, 넥 밴드(100)의 장착홈(110)에 설치되는 것으로 사용자 턱의 운동에 의하여 상부가 상,하로 움직이는 경부운동부(200)와, 일단이 경부운동부(200)에 연결되어 전력이 공급되면 신호를 내는 것으로 넥 밴드(100)의 내부 일측에 설치되는 신호부(300) 및 일단이 경부운동부(200)에 연결되고, 타단이 신호부(300)의 타단에 연결되어 신호부(300)에 전력을 공급하는 것으로 넥 밴드(100)의 내부 일측에 설치되는 전원(400)으로 구성되는 자가 저항운동기(10)가 사용자의 목 둘레를 감싸도록 설치되는 단계이다.
경부운동부(200)는 장착홈(110)에 설치되는 받침판(210)과, 관 형상의 부재로 일단이 받침판(210)의 상부면 일측에 결합되는 하부소켓(220)과, 일단이 하부소켓(220)을 관통하여 받침판(210)의 상면에 안착되는 탄성체(230) 및, 타단이 막힌 관 형상의 도체성질 부재로 일단이 하부소켓(220)의 타단으로 삽입되도록 설치되되 탄성체(230)의 타단이 타단 내부의 공간에 안착되는 상부소켓(240)으로 구성되고, 전원(400)과 신호부(300)의 일단이 하부소켓(220)의 일단에 서로 일정간격을 두고 각각 결합되어 있어 사용자의 턱의 운동에 의하여 도체성질의 상부소켓(240)이 하부소켓(220)에 삽입되어 전원(400)과 신호부(300)의 일단에 접촉되어 전원(400)의 전력이 신호부(300)에 전달되어 신호가 발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하부소켓(220), 탄성체(230)와 상부소켓(240)이 받침판(210)의 상면에 다수개가 설치되되, 전원(400)과 신호부(300)의 일단이 받침판(210)에 설치된 다수개의 상기 하부소켓(220) 중 어느 하나의 하부소켓(220)의 일단에 서로 일정간격을 두고 각각 결합될 수 있다. 즉, 신호부(300)와 전원(400)의 일단이 하부소켓(220)의 일단에 결합되어 있고 타단 끼리 서로 연결되어 있어, 사용자의 정확한 경부 심부굴곡근 강화운동에 의하여 도체의 상부소켓(240)의 일단이 내려와 신호부(300)와 전원(400)의 일단에 접촉되어 전원(400)의 전력이 신호부(300)에 이동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올바른 동작으로 상부소켓(240)을 정확하게 눌러야만 상부소켓(240)의 일단이 전원(400)과 신호부(300)의 일단에 닿아 전원(400)의 전력이 신호부(300)에 전달되도록 하여 사용자가 올바른 경부 심부굴곡근 강화 운동을 할 수 있다.
하부소켓(220)은 벽사이에 공간이 있는 이중벽 형태의 관 형상의 부재로 일단이 상기 받침판(210)의 상부면 일측에 결합되고, 상부소켓(240)의 일단이 하부소켓(220)의 타단으로 삽입되되, 상부소켓(240)의 일단이 하부소켓(220)의 이중벽 사이의 공간으로 삽입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b)단계는 넥 밴드(100)에 설치된 경부운동부(200)가 사용자의 턱에 맞닿을 수 있도록 넥 밴드(100)를 조정하는 단계이다. (b)단계는 사용자가 정확하게 운동할 수 있도록 넥 밴드(100)를 조정하는 단계이다.
(c)단계는 전원(400)의 전력이 신호부(300)에 전달되어 신호가 발생되도록 사용자가 턱을 목 쪽으로 당겼다 놓았다 반복하여 운동하는 단계이다. (c)단계는 사용자가 올바른 동작으로 상부소켓(240)을 정확하게 누르는 방법으로 신호를 발생시켜 운동에 관한 피드백을 받아 올바른 경부 심부굴곡근 강화운동을 하게 하는 단계이다.
이상으로 본 발명에 따른 경부 심부굴곡근 강화를 위한 휴대용 자가 저항운동기 및 이를 이용한 자가 운동방법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시하였으나 이는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로서 설명되는 것이며, 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구성 및 작용이 제한되지는 아니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가 도면 또는 도면을 참조한 설명에 의해 한정/제한되지는 아니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발명의 개념과 실시예가 본 발명의 동일 목적을 수행하기 위하여 다른 구조로 수정하거나 설계하기 위한 기초로써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사용되어질 수 있을 것인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한 수정 또는 변경된 등가 구조는 특허청구범위에서 기술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구속되는 것으로서, 특허청구범위에서 기술한 발명의 사상이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화, 치환 및 변경이 가능한 것이다.
10 : 자가 저항운동기
100 : 넥 밴드 110 : 장착홈
200 : 경부운동부
210 : 받침판 220 : 하부소켓
230 : 탄성체 240 : 상부소켓
250 : 덮개
300 : 신호부
400 : 전원

Claims (10)

  1. 사용자의 목에 설치되어 경부 심부굴곡근 강화를 위한 운동기에 있어서,
    사용자의 목 둘레를 감싸도록 착용되어 상기 사용자의 경추를 보호하는 것으로 상부 일측에 장착홈(110)이 생성되어 있는 넥 밴드(100);
    상기 넥 밴드(100)가 상기 사용자의 목에 설치 시 상기 사용자의 턱이 맞닿을 수 있도록 상기 넥 밴드(100)의 상기 장착홈(110)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사용자 턱의 운동에 의하여 상부가 상,하로 움직이는 경부운동부(200);
    일단이 상기 경부운동부(200)에 연결되어 전력이 공급되면 신호를 내는 것으로 상기 넥 밴드(100)의 내부 일측에 설치되는 신호부(300); 및
    일단이 상기 경부운동부(200)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신호부(300)의 타단에 연결되어 상기 신호부(300)에 전력을 공급하는 것으로 상기 넥 밴드(100)의 내부 일측에 설치되는 전원(400)으로 구성되되,
    상기 경부운동부(200)는
    상기 장착홈(110)에 설치되는 받침판(210);
    벽사이에 공간이 있는 이중벽 형태의 관 형상의 부재로 일단이 상기 받침판(210)의 상부면 일측에 결합되는 하부소켓(220);
    일단이 상기 하부소켓(220)을 관통하여 상기 받침판(210)의 상면에 안착되는 탄성체(230); 및
    타단이 막힌 관 형상의 도체성질 부재로 일단이 상기 하부소켓(220)의 타단으로 삽입되도록 설치되되 상기 탄성체(230)의 타단이 타단 내부의 공간에 안착되는 상부소켓(240)으로 구성되고,
    상기 전원(400)과 상기 신호부(300)의 일단이 상기 하부소켓(220)의 일단에 서로 일정간격을 두고 각각 결합되어 있어 상기 경부운동부(200)의 상부가 상기 사용자의 턱에 의하여 아랫방향으로 움직일 때 도체성질의 상기 상부소켓(240)의 일단이 상기 하부소켓(220)의 타단으로 삽입되되, 상기 상부소켓의 일단이 상기 하부소켓(220)의 이중벽 사이의 공간으로 삽입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전원(400)과 상기 신호부(300)의 일단에 접촉되어 상기 전원(400)의 전력이 상기 신호부(300)에 전달되어 신호가 발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부 심부굴곡근 강화를 위한 휴대용 자가 저항운동기.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소켓(220), 상기 탄성체(230)와 상기 상부소켓(240)이 상기 받침판(210)의 상면에 다수개가 설치되되,
    상기 전원(400)과 상기 신호부(300)의 일단이 상기 받침판(210)에 설치된 다수개의 상기 하부소켓(220) 중 어느 하나의 하부소켓(220)의 일단에 서로 일정간격을 두고 각각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부 심부굴곡근 강화를 위한 휴대용 자가 저항운동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소켓(220), 상기 탄성체(230)와 상기 상부소켓(240)이 상기 받침판(210)의 상면에 1개 내지 5개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부 심부굴곡근 강화를 위한 휴대용 자가 저항운동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경부운동부(200)는 상기 상부소켓(240)을 감싸는 덮개(25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부 심부굴곡근 강화를 위한 휴대용 자가 저항운동기.
  6. 삭제
  7. 사용자의 목에 설치된 경부 심부굴곡근 강화를 위한 자가 저항운동기를 이용한 자가 운동방법에 있어서,
    (a) 상부 일측에 장착홈(110)이 생성되어 있는 넥 밴드(100)와, 상기 넥 밴드(100)의 상기 장착홈(110)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사용자 턱의 운동에 의하여 상부가 상,하로 움직이는 경부운동부(200)와, 일단이 상기 경부운동부(200)에 연결되어 전력이 공급되면 신호를 내는 것으로 상기 넥 밴드(100)의 내부 일측에 설치되는 신호부(300) 및 일단이 상기 경부운동부(200)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신호부(300)의 타단에 연결되어 상기 신호부(300)에 전력을 공급하는 것으로 상기 넥 밴드(100)의 내부 일측에 설치되는 전원(400)으로 구성되는 자가 저항운동기(10)가 사용자의 목 둘레를 감싸도록 설치되는 단계;
    (b) 상기 넥 밴드(100)에 설치된 경부운동부(200)가 상기 사용자의 턱에 맞닿을 수 있도록 상기 넥 밴드(100)를 조정하는 단계; 및
    (c) 상기 전원(400)의 전력이 상기 신호부(300)에 전달되어 신호가 발생되도록 사용자가 턱을 목 쪽으로 당겼다 놓았다 반복하여 운동하는 단계로 구성되되,
    상기 경부운동부(200)는
    상기 장착홈(110)에 설치되는 받침판(210);
    벽사이에 공간이 있는 이중벽 형태의 관 형상의 부재로 일단이 상기 받침판(210)의 상부면 일측에 결합되는 하부소켓(220);
    일단이 상기 하부소켓(220)을 관통하여 상기 받침판(210)의 상면에 안착되는 탄성체(230); 및
    타단이 막힌 관 형상의 도체성질 부재로 일단이 상기 하부소켓(220)의 타단으로 삽입되도록 설치되되 상기 탄성체(230)의 타단이 타단 내부의 공간에 안착되는 상부소켓(240)으로 구성되고,
    상기 전원(400)과 상기 신호부(300)의 일단이 상기 하부소켓(220)의 일단에 서로 일정간격을 두고 각각 결합되어 있어 상기 사용자의 턱의 운동에 의하여 도체성질의 상기 상부소켓(240)의 일단이 상기 하부소켓(220)의 타단으로 삽입되되, 상기 상부소켓의 일단이 상기 하부소켓(220)의 이중벽 사이의 공간으로 삽입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전원(400)과 상기 신호부(300)의 일단에 접촉되어 상기 전원(400)의 전력이 상기 신호부(300)에 전달되어 신호가 발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부 심부굴곡근 강화를 위한 휴대용 자가 저항운동기를 이용한 자가 운동방법.
  8. 삭제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소켓(220), 상기 탄성체(230)와 상기 상부소켓(240)이 상기 받침판(210)의 상면에 다수개가 설치되되,
    상기 전원(400)과 상기 신호부(300)의 일단이 상기 받침판(210)에 설치된 다수개의 상기 하부소켓(220) 중 어느 하나의 하부소켓(220)의 일단에 서로 일정간격을 두고 각각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부 심부굴곡근 강화를 위한 휴대용 자가 저항운동기를 이용한 자가 운동방법.
  10. 삭제
KR1020140017282A 2014-02-14 2014-02-14 경부 심부굴곡근 강화를 위한 휴대용 자가 저항운동기 및 이를 이용한 자가 운동방법 KR1015531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7282A KR101553142B1 (ko) 2014-02-14 2014-02-14 경부 심부굴곡근 강화를 위한 휴대용 자가 저항운동기 및 이를 이용한 자가 운동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7282A KR101553142B1 (ko) 2014-02-14 2014-02-14 경부 심부굴곡근 강화를 위한 휴대용 자가 저항운동기 및 이를 이용한 자가 운동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96170A KR20150096170A (ko) 2015-08-24
KR101553142B1 true KR101553142B1 (ko) 2015-09-14

Family

ID=540587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17282A KR101553142B1 (ko) 2014-02-14 2014-02-14 경부 심부굴곡근 강화를 위한 휴대용 자가 저항운동기 및 이를 이용한 자가 운동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53142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01646A (en) * 1994-08-26 1996-03-26 W. G. Miller Associates Jaw, face and neck muscle exercise apparatus
KR200195726Y1 (ko) * 2000-03-22 2000-09-15 김학재 졸음경보장치가 부설된 목 보호대
JP2005319285A (ja) 2005-04-01 2005-11-17 Ishigaki Tomoe 首掛け式顎支持装置
CN102068789A (zh) 2009-11-20 2011-05-25 欧丽雅 颈部锻炼器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01646A (en) * 1994-08-26 1996-03-26 W. G. Miller Associates Jaw, face and neck muscle exercise apparatus
KR200195726Y1 (ko) * 2000-03-22 2000-09-15 김학재 졸음경보장치가 부설된 목 보호대
JP2005319285A (ja) 2005-04-01 2005-11-17 Ishigaki Tomoe 首掛け式顎支持装置
CN102068789A (zh) 2009-11-20 2011-05-25 欧丽雅 颈部锻炼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96170A (ko) 2015-08-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72291B2 (en) Knee flexion and extension therapy device and method of use
US9005146B2 (en) Massage roller
US8678984B1 (en) Hand, wrist, arm and fingers therapy and exercising device
US20190224523A1 (en) Core strengthening exercise equipment
US20070287618A1 (en) Abdominal exercise chair with flexible back bar and rotating seat
US20100255967A1 (en) Antigravity Muscle Exerciser and Methods of Using Same
US20120179201A1 (en) Chiropractic spinal manipulation boards
KR101776936B1 (ko) 종아리와 발목 스트레칭 기구
KR101553142B1 (ko) 경부 심부굴곡근 강화를 위한 휴대용 자가 저항운동기 및 이를 이용한 자가 운동방법
KR101946465B1 (ko) 하체 근력을 강화하기 위한 복합 기능을 포함하는 멀티 스트레칭 운동 장치
WO2018123997A1 (ja) 美容の施術支援装置
RU159697U1 (ru) Тренажер для рук
KR101638601B1 (ko) 휴대용 척추 운동 기구
KR101675979B1 (ko) 목운동 기구
KR200454037Y1 (ko) 윗몸일으키기 운동기구
KR20160106902A (ko) 목운동의자
KR101451528B1 (ko) 경부 심부굴곡근 강화를 위한 휴대용 자가운동기 및 이를 이용한 자가 운동방법
KR101074688B1 (ko) 무릎 근육을 발달시키는 운동기구
US11833381B2 (en) Stretching exercise equipment
CN209221429U (zh) 一种股四头肌训练器
JP2019088746A (ja) マウス操作による疲労を改善する装置
KR200457928Y1 (ko) 방석운동기구
KR20180043957A (ko) 아령 기능을 구비하는 악력기
KR101696171B1 (ko) 네발걷기 운동기구
KR20140023480A (ko) 근력운동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7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