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53051B1 - Pivot mechanism and rehabilitation apparatus using the same - Google Patents

Pivot mechanism and rehabilitation apparatus us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53051B1
KR101553051B1 KR1020140092787A KR20140092787A KR101553051B1 KR 101553051 B1 KR101553051 B1 KR 101553051B1 KR 1020140092787 A KR1020140092787 A KR 1020140092787A KR 20140092787 A KR20140092787 A KR 20140092787A KR 101553051 B1 KR101553051 B1 KR 1015530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vot mechanism
main shaft
user
housing
elastic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92787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형태
Original Assignee
(주)카이로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카이로스 filed Critical (주)카이로스
Priority to KR10201400927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53051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530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5305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40Interfaces with the user related to strength training; Details thereof
    • A63B21/4041Interfaces with the user related to strength training;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movements of the interface
    • A63B21/4047Pivoting movemen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2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resilient force-resisters
    • A63B21/04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resilient force-resisters attached to static foundation, e.g. a user
    • A63B21/0407Anchored at two end points, e.g. installed within an apparatus
    • A63B21/0435One or both ends being anchored to a rotating elemen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2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resilient force-resisters
    • A63B21/055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resilient force-resisters extension element type
    • A63B21/0552Elastic ropes or band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ivot device used for a rehabilitation apparatus. The pivot device includes: a housing which is vertically moved according to motion of a first body portion of a user; a main shaft which is inserted in a rotational ball of the housing and is rotated by external force imposed by motion of a second body portion; a main roller which is fixated on the main shaft and rotates around the main shaft as a center axis as the main shaft rotates; and an elastic member in the shape of a string, which has one end portion, fixated on one point of the main roller, and the other end portion, which is fixated on one point of the inside of the housing and partially wound around the main roller as the main roller rotates.

Description

피봇 기구 및 그것이 적용된 재활 치료 장치 {Pivot mechanism and rehabilitation apparatus using the same}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ivot mechanism and a rehabilitation apparatus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사용자의 신체 부위의 움직임에 따라 상하 이동함과 동시에 회전하는 피봇 기구와 그것이 적용된 상체 재활 치료 장치 및 하체 재활 치료 장치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ivot mechanism that rotates while simultaneously moving up and down according to movement of a user's body part, and an upper body rehabilitation treatment apparatus and a lower body rehabilitation treatment apparatus to which the same is applied.

현대 사회에서 각종 질병 및 사고로 인하여 장애가 생긴 사람이 신체적 능력, 정신적 능력, 사회적 능력 등을 발달시켜 가능한 한 남에게 도움을 받지 않고 생활을 할 수 있도록 해주는 다양한 재활 치료가 서비스되고 있다. 특히, 신체 훈련 기구를 이용한 물리적인 재활 치료의 수요가 늘고 있으며, 이에 따라 다양한 종류의 재활 치료 장치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In modern society, a variety of rehabilitation treatments are provided to enable people with impairment due to various diseases and accidents to develop their physical ability, mental ability, social ability, and to live as much as possible without helping others. In particular, the demand for physical rehabilitation using physical training apparatus is increasing, and various types of rehabilitation treatment apparatuses are being developed and used.

그러나, 종래의 재활 치료 장치는 기어, 체인 등과 같이 소음을 유발할 뿐만 아니라 제조단가가 높은 부품들을 사용함으로써 장애로 인해 신경이 예민한 사용자에게 불쾌함을 유발할 뿐만 아니라 고가로 인해 사용자가 재활 치료 장치를 이용할 수 있는 기회가 한정되어 있었다. 또한, 기어, 체인 등과 같은 부품들에는 주기적으로 윤활유가 공급되어야 하기 때문에 재활 치료 장치의 유지보수가 용이하지 않았다.However, the conventional rehabilitation apparatus not only causes noises such as gears and chains, but also uses components with high manufacturing costs, which causes discomfort to the nervous user due to the trouble, and also causes the user to use the rehabilitation treatment apparatus There was limited opportunity. In addition, maintenance of the rehabilitation treatment apparatus is not easy since lubricating oil must be supplied periodically to parts such as gears, chains, and the like.

재활 치료 장치로부터 발생되는 소음이 없는 보다 쾌적한 환경에서 저렴한 비용으로 물리적인 재활 치료를 실시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한 번의 신체 동작만으로 여러 신체부위의 훈련이 동시에 이루어짐으로써 단시간에 효율적으로 안전하게 재활 치료를 실시할 수 있는 유지보수가 용이한 피봇 기구 및 그것이 적용된 재활 치료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Rehabilitation therapy can be performed at a low cost in a pleasant environment without noise generated from the rehabilitation treatment device, and it is possible to perform rehabilitation treatment efficiently and safely in a short time by simultaneous training of various body parts with only one body motion of the user And a rehabilitation treatment apparatus to which the pivot mechanism is applied.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라 재활 치료 장치에 사용되는 피봇 기구는 사용자의 제 1 신체 부위의 움직임에 따라 상하 이동되는 재활 치료 장치의 이동부재에 부착되어 상기 이동부재의 이동에 따라 상하 이동되는 박스 형태의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일면에 형성된 회전공에 삽입되어 사용자의 제 2 신체 부위의 움직임에 따라 가해지는 외력에 의해 회전공의 중심을 축으로 하여 회전하는 메인 샤프트;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위치하며 상기 메인 샤프트에 고정되어 상기 메인 샤프트의 회전에 따라 상기 메인 샤프트를 중심축으로 하여 회전하는 메인 롤러; 및 일단은 상기 메인 롤러의 일 지점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하우징의 내부 일 지점에 고정되며 상기 메인 롤러의 회전에 따라 일부가 상기 메인 롤러에 감기게 되는 스트링(string) 형태의 탄성부재를 포함한다.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ivot mechanism used in a rehabilitation treatment apparatus is attached to a moving member of a rehabilitation treatment apparatus that is moved up and down according to a movement of a user's first body part, A housing; A main shaft inserted into a rotation hole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housing and rotated about the center of the rotation hole by an external force exerted by the movement of the user's second body part; A main roller disposed inside the housing and fixed to the main shaft and rotating with the main shaft as a central axis in accordance with rotation of the main shaft; And an elastic member in the form of a string whose one end is fixed to one point of the main roller and the other end is fixed to an inner point of the housing and a part of which is wound on the main roller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main roller .

상기 메인 샤프트에 가해지는 외력에 의해 상기 메인 롤러가 회전하면 상기 메인 롤러에 상기 탄성부재가 신장되어 감기고, 상기 메인 샤프트에 가해지는 외력이 사라짐에 따라 상기 탄성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회전의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상기 메인 롤러가 회전하면 상기 탄성부재의 감김이 풀리면서 상기 탄성부재가 수축된다.When the main roller is rotated by an external force applied to the main shaft, the elastic member is stretched and wound on the main roller, and as the external force applied to the main shaft disappears, the direction of rotation When the main roller is rotated in the opposite direction, the elastic member is retracted and the elastic member is contracted.

상기 메인 롤러는 상기 탄성부재가 길이 방향으로 감길 수 있는 원형의 외주면을 갖고, 상기 메인 샤프트에 가해지는 외력이 없는 상태에서 상기 탄성부재의 일단이 고정된 메인 롤러의 외주면 상의 일 지점은 상기 탄성부재의 타단이 고정되는 하우징의 내부 일 지점과 상기 메인 롤러의 외주면간의 최단 거리에 위치할 수 있다. Wherein the main roller has a circular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n which the elastic member can be wou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one point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main roller to which one end of the elastic member is fixed in the state that there is no external force applied to the main shaft, May be located at a shortest distance between an inner point of the housing where the other end of the housing is fixed and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main roller.

상기 피봇 기구는 상기 메인 롤러의 일 지점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 일 지점 사이에 존재하는 탄성부재의 직선형 부분의 길이 방향의 양측에 대칭 위치하여 상기 탄성부재를 상기 메인 롤러 쪽으로 누름으로써 상기 탄성부재가 상기 메인 롤러에 밀착되어 감길 수 있도록 상기 탄성부재의 감김을 가이드하는 한 쌍의 가이드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Wherein the pivot mechanism is disposed symmetrically on both sides in a longitudinal direction of a straight portion of the elastic member existing between one point of the main roller and one point of the inside of the housing to push the elastic member toward the main roller, And a pair of guide members for guiding the winding of the elastic member so as to be closely attached to the main roller and wound therearound.

상기 피봇 기구는 상기 하우징의 상판과 하판 각각에 형성된 서로 대향하는 한 쌍의 결합공에 삽입되어 사용자의 외력에 의해 상기 한 쌍의 결합공의 중심들을 잇는 중심선을 축으로 하여 회전하는 회전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탄성부재가 고정되는 하우징의 내부 일 지점은 상기 회전부재의 외주면 상에 위치하여 상기 회전부재가 회전하면 상기 회전부재의 외주면에 상기 탄성부재의 타부가 감김으로써 상기 메인 롤러에 감기는 탄성부재의 탄성력이 증가되고, 상기 회전부재의 외주면에 상기 탄성부재의 타부가 감긴 길이만큼 탄성력이 증가된 탄성부재의 일부는 상기 메인 롤러의 회전에 따라 상기 메인 롤러에 감기게 될 수 있다.The pivot mechanism may include a rotating member which is inserted in a pair of mutually opposed coupling holes formed in the upper plate and the lower plate of the housing and rotates about a center line connecting the centers of the pair of coupling holes by an external force of the user And the inner point of the housing to which the elastic member is fixed is position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otary member. When the rotary member is rotated, the elastic member is woun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rotary member, The elastic force of the elastic member is increased and a part of the elastic member whose elasticity is increased by the length of the other portion of the elastic member is woun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rotary member may be wound on the main roller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main roller.

상기 피봇 기구는 상기 회전부재에 임계 간격 이하로 근접할 때에 상기 회전부재와 맞물림으로써 상기 회전부재를 고정시키는 고정판; 및 상기 회전부재와 상기 고정판 사이에 삽입되어 상기 회전부재에 상기 고정판을 밀착시키는 방향으로 복원력이 작용하는 스프링을 더 포함하고, 상기 스프링의 복원력에 대항하여 사용자에 의해 상기 회전부재가 상기 고정판으로부터 상기 임계 간격을 초과하여 이격되면 상기 회전부재가 회전 가능하게 될 수 있다. Wherein the pivot mechanism comprises: a fixing plate for fixing the rotating member by engaging with the rotating member when the pivot mechanism approaches the rotating member at a critical distance or less; And a spring inserted between the rotary member and the fixed plate to apply a restoring force in a direction to bring the fixed plate into close contact with the rotary member, wherein the rotary member is moved from the fixed plate to the fixed plate by the user against the restoring force of the spring. The rotary member can be made rotatable when it is spaced beyond the critical interval.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라 상기 피봇 기구가 적용된 상체 재활 치료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상기 피봇 기구; 상기 상체 재활 치료 장치가 설치된 공간의 바닥 또는 지면에 설치되는 바디; 및 상기 바디에 의해 지지되어 상기 바닥 또는 지면에 수직으로 세워져 설치되는 가이드폴을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피봇 기구 각각은 상기 하우징 외부에 노출된 메인 샤프트의 일단에 고정되며 사용자의 손에 잡혀 사용자의 팔의 움직임 및 손목의 움직임에 따라 상하 이동됨과 동시에 회전되는 손잡이;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폴에 의해 가이드되어 사용자의 팔의 움직임에 따라 상하 이동하는 이동부재를 더 포함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upper body rehabilitation apparatus to which the pivot mechanism is applied includes at least one pivot mechanism; A body installed on a floor or a floor of a space in which the upper body rehabilitation apparatus is installed; And a guide pole supported by the body and vertically installed on the floor or the ground, wherein each of the at least one pivot mechanism is fixed to one end of the main shaft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housing, A handle which is moved up and down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arm of the user and the movement of the wrist; And a moving member which is guided by the at least one guide pole and moves up and down according to a movement of a user's arm.

상기 가이드폴은 상기 바디의 좌측에 의해 지지되는 좌측 가이드폴과 상기 바디의 우측에 의해 지지되는 우측 가이드폴을 포함하고, 상기 피봇 기구는 상기 좌측 가이드폴에 의해 가이드되어 상하 이동하는 좌측 피봇 기구와 상기 우측 가이드폴에 의해 가이드되어 상하 이동하는 우측 피봇 기구를 포함하고, 상기 상체 재활 치료 장치는 일단은 상기 좌측 피봇 기구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우측 피봇 기구에 연결되는 와이어; 및 상기 와이어에 매달려 상기 좌측 피봇 기구의 상하 이동 및 상기 우측 피봇 기구의 상하 이동에 따라 상하 이동되는 무게추를 더 포함할 수 있다.Wherein the guide pawl includes a left guide pawl supported by a left side of the body and a right guide pawl supported by a right side of the body, the pivot mechanism including a left pivot mechanism guided by the left guide pole and moving up and down And a right pivot mechanism that is guided by the right guide pole and moves up and down, wherein the upper body rehabilitation treatment apparatus has a wire connected at one end to the left pivot mechanism and at the other end to the right pivot mechanism; And a weight which is moved up and down according to the up and down movement of the left pivot mechanism and the up and down movement of the right pivot mechanism by hanging from the wire.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라 상기 피봇 기구가 적용된 하체 재활 치료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상기 피봇 기구; 상기 하체 재활 치료 장치가 설치된 공간의 바닥 또는 지면에 설치되는 바디; 상기 바디에 의해 지지되어 상기 바닥 또는 지면에 대해 소정의 기울기로 기울어져 세워져 설치되는 가이드폴;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폴에 의해 가이드되어 사용자의 다리의 움직임에 따라 상하 이동하는 이동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피봇 기구 각각은 상기 하우징 외부에 노출된 메인 샤프트의 일단에 연결되며 사용자의 발에 밀려 사용자의 다리의 움직임 및 발목의 움직임에 따라 상하 이동됨과 동시에 회전되는 발판을 포함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lower body rehabilitation treatment apparatus to which the pivot mechanism is applied includes at least one pivot mechanism; A body installed on a floor or a floor of a space in which the lower body rehabilitation apparatus is installed; A guide pole supported by the body and erected at a predetermined inclination with respect to the floor or the ground; And a moving member which is guided by the at least one guide pole and moves up and down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a user's leg, wherein each of the at least one pivot mechanism is connected to one end of a main shaft exposed outside the housing, And a foot which is pushed by the foot and is moved up and down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user's legs and the ankle, and is simultaneously rotated.

상기 발판과 연결되는 메인 샤프트의 일단에는 상기 메인 샤프트의 횡방향으로 회전공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발판은 상기 메인 샤프트의 일단의 회전공과 회전 결합함으로써 사용자의 발목의 횡방향 회전에 따라 상기 메인 샤프트와 함께 상기 메인 샤프트의 횡방향으로 회전하고 사용자의 발목의 길이 방향 회전에 따라 상기 메인 샤프트의 길이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Wherein the main shaft is rotatably coupled to one end of the main shaft so that the main shaft is rotatably coupled to the main shaft, And may be rotat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main shaft according to the longitudinal rotation of the user's ankle.

기어, 체인 등과 같이 소음을 유발하고 제조단가가 높은 부품의 사용 없이 고무밴드, 롤러, 베어링 등과 같이 소음이 거의 없고 제조단가가 매우 낮은 부품들만을 사용한 단순한 구조의 피봇 기구에 의해 사용자의 팔과 손목 또는 다리와 발목 등과 같은 다양한 신체 부위에 대한 재활 치료가 이루어질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는 보다 쾌적한 환경에서 저렴한 비용으로 물리적인 재활 치료를 실시할 수 있다. 또한, 기어, 체인 등과 같은 부품과는 달리 고무밴드, 롤러, 베어링 등에는 윤활유가 거의 공급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재활 치료 장치의 유지보수가 용이하다.A simple structure pivot mechanism using only noise-free parts such as rubber bands, rollers, bearings, etc., which generates noise like gears and chains and does not have high manufacturing cost, Or rehabilitation of various body parts such as legs and ankles can be performed, so that the user can perform physical rehabilitation treatment at a lower cost in a pleasant environment. In addition, unlike parts such as gears, chains, etc., it is not necessary to supply lubricating oil to rubber bands, rollers, bearings, etc., and maintenance of the rehabilitation treatment apparatus is easy.

사용자는 손잡이를 상하 이동시킴과 동시에 회전시킴으로써 무게추의 중력이 팔과 어깨에 물리적 자극을 가함과 동시에 탄성부재의 탄성력이 손목에 물리적 자극을 가하게 되어 사용자의 한 번의 신체 동작만으로 팔 훈련과 손목 훈련이 동시에 이루어지게 되며, 결과적으로 단시간에 효율적으로 상체에 대한 재활 치료를 실시할 수 있다. As the user moves the knob up and down and simultaneously rotates, the gravity of the weight causes a physical stimulus to the arm and the shoulder, and the elastic force of the elastic member applies a physical stimulus to the wrist so that the user can perform the arm training and the wrist training As a result, the rehabilitation treatment on the upper body can be efficiently performed in a short time.

사용자는 발판을 상하 이동시킴과 동시에 가장 편안한 발목 각도에서 회전시킴으로써 이동 프레임의 중력이 다리와 허벅지에 물리적 자극을 가함과 동시에 탄성부재의 탄성력이 발목에 물리적 자극을 가하게 되어 사용자의 한 번의 신체 동작만으로 다리 훈련과 발목 훈련이 동시에 이루어지게 되며, 결과적으로 단시간에 효율적으로 하체에 대한 재활 치료를 실시할 수 있다. The user moves the foot plate up and down and simultaneously rotates at the most comfortable ankle angle so that the gravity of the moving frame gives physical stimulation to the legs and thighs and the elastic force of the elastic member applies a physical stimulus to the ankle, Leg training and ankle training are performed at the same time, and as a result, the lower body can be efficiently rehabilitated in a short tim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봇 기구(100)의 분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피봇 기구(100)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피봇 기구(100)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피봇 기구(100)의 정면도이다.
도 5는 도 1-4에 도시된 피봇 기구(100)의 손잡이 회전에 따른 피봇 기구(100)의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피봇 기구(200)의 사시도와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1-4에 도시된 피봇 기구(100)가 적용된 상체 재활 치료 장치(10)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상체 재활 치료 장치(10)의 정면도이다.
도 9는 도 7에 도시된 상체 재활 치료 장치(10)의 측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피봇 기구(300)의 분해도이다.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피봇 기구(300)의 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10에 도시된 피봇 기구(300)의 평면도이다.
도 13은 도 10에 도시된 피봇 기구(300)의 정면도이다.
도 14는 도 10-13에 도시된 피봇 기구(300)의 발판 회전에 따른 피봇 기구(300)의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피봇 기구(300)가 적용된 하체 재활 치료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6은 도 15에 도시된 하체 재활 치료 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17은 도 15에 도시된 하체 재활 치료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18은 도 1-4에 도시된 피봇 기구(100)의 변형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19는 도 1-4에 도시된 피봇 기구(100)의 변형 실시예의 평면도이다.
1 is an exploded view of a pivot mechanism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pivot mechanism 100 shown in FIG.
3 is a plan view of the pivot mechanism 100 shown in Fig.
4 is a front view of the pivot mechanism 100 shown in Fig.
5 is a view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pivot mechanism 100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handle of the pivot mechanism 100 shown in Figs. 1-4.
6 is a perspective view and a partial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of a pivot mechanism 2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upper body rehabilitation apparatus 10 to which the pivot mechanism 100 shown in Figs. 1-4 is applied.
8 is a front view of the upper body rehabilitation apparatus 10 shown in Fig.
9 is a side view of the upper body rehabilitation apparatus 10 shown in Fig.
10 is an exploded view of a pivot mechanism 3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pivot mechanism 300 shown in Fig.
12 is a plan view of the pivot mechanism 300 shown in Fig.
13 is a front view of the pivot mechanism 300 shown in Fig.
Fig. 14 is a view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pivot mechanism 300 according to the foot plate rotation of the pivot mechanism 300 shown in Figs. 10-13.
15 is a perspective view of a lower body rehabilitation treatment apparatus to which a pivot mechanism 3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16 is a front view of the lower body rehabilitation treatment apparatus shown in Fig.
17 is a side view of the lower body rehabilitation treatment apparatus shown in Fig.
18 is a perspective view of an alternative embodiment of the pivot mechanism 100 shown in Figs. 1-4.
19 is a plan view of a modified embodiment of the pivot mechanism 100 shown in Figs. 1-4.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은 사용자의 한 번의 신체 동작만으로 제 1 신체 부위의 훈련과 제 2 신체 부위의 훈련을 동시에 가능하도록 하는 피봇 기구와 이러한 피봇 기구가 적용된 재활 치료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피봇 기구가 상체용 재활 치료 장치에 적용된다면 제 1 신체 부위는 사용자의 팔이 될 수 있고, 제 2 신체 부위는 사용자의 손목이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피봇 기구가 하체용 재활 치료 장치에 적용된다면 제 1 신체 부위는 사용자의 다리가 될 수 있고, 제 2 신체 부위는 사용자의 발목이 될 수 있다.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relate to a pivot mechanism that enables simultaneous training of the first body part and training of the second body part with only one body motion of the user, and a rehabilitation treatment apparatus to which such pivot mechanism is applied. If the pivot mechanism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the rehabilitation apparatus for upper body, the first body part can be the user's arm and the second body part can be the user's wrist. If the pivot mechanism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the rehabilitation apparatus for the lower body, the first body part can be the user's leg and the second body part can be the user's ankl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봇 기구(100)의 분해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피봇 기구(100)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피봇 기구(100)의 평면도이고, 도 4는 도 1에 도시된 피봇 기구(100)의 정면도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피봇 기구(100)는 하우징(101), 상부 베어링홀더(102), 상부 베어링(103), 메인 롤러(104), 롤러 플랜지(105), 하부 베어링(106), 하부 베어링홀더(107), 메인 샤프트(108), 탄성부재(109), 한 쌍의 가이드부재(110), 상부 손잡이(111), 손잡이 플랜지(112), 하부 손잡이(113), 이동 파이프(114), 한 쌍의 가이드폴(guide pole) 베어링(115)으로 구성된다. 도 1-4에 도시된 피봇 기구(100)는 주로 사용자의 한 번의 신체 동작만으로 팔 훈련과 손목 훈련이 동시에 가능한 상체 재활 치료 장치에 사용된다. FIG. 1 is an exploded view of a pivot mechanism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pivot mechanism 100 shown in FIG. 1, and FIG. 3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pivot mechanism 100 shown in FIG. And Fig. 4 is a front view of the pivot mechanism 100 shown in Fig. 1-4, the pivot mechanism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housing 101, an upper bearing holder 102, an upper bearing 103, a main roller 104, a roller flange 105, The bearing 106, the lower bearing holder 107, the main shaft 108, the elastic member 109, the pair of guide members 110, the upper handle 111, the handle flange 112, the lower handle 113, A moving pipe 114, and a pair of guide pole bearings 115. The pivoting mechanism 100 shown in Figs. 1-4 is mainly used in an upper body rehabilitation treatment apparatus capable of simultaneously performing arm training and wrist training with only one body motion of the user.

상부 베어링홀더(102), 상부 베어링(103), 메인 롤러(104), 롤러 플랜지(105), 하부 베어링(106), 하부 베어링홀더(107), 한 쌍의 가이드부재(110), 및 탄성부재(109)는 하우징(101)의 내부에 위치하고, 상부 손잡이(111), 손잡이 플랜지(112), 및 하부 손잡이(113)는 하우징(101)의 외부에 위치한다. 한편, 메인 샤프트(108)의 일부는 하우징(101)의 내부에 위치하고, 메인 샤프트(108)의 양단 부분은 하우징(101)의 외부에 위치하여 메인 샤프트(108)는 하우징(101)의 내부에 위치하는 부품들과 하우징(101)의 외부에 위치하는 부품들을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The upper bearing holder 102, the upper bearing 103, the main roller 104, the roller flange 105, the lower bearing 106, the lower bearing holder 107, the pair of guide members 110, The upper handle 111, the handle flange 112 and the lower handle 113 are located outside the housing 101. The upper handle 111, the handle flange 112, and the lower handle 113 are located outside the housing 101. [ The main shaft 108 is located inside the housing 101 and both ends of the main shaft 108 are located outside the housing 101 so that the main shaft 108 is located inside the housing 101 And serves to connect the parts located on the outside of the housing 101 with the parts positioned there.

하우징(101)은 서로 다른 크기의 두 개의 박스가 서로 내부 공간이 통하도록 결합되어 있는 박스 형태의 하우징으로서 사용자의 팔의 움직임에 따라 상하 이동되는 재활 치료 장치의 이동부재에 부착되어 이동부재의 이동에 따라 상하 이동된다. 도 1-4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이동부재는 사용자의 팔의 움직임에 따라 상하 이동되는 이동 파이프(114)이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01)은 그 상부를 형성하는 보다 긴 직육면체 형상의 박스와 그 하부를 형성하는 보다 짧은 직육면체 형상의 박스가 서로 내부 공간이 통하도록 결합되어 있는 박스 형태를 갖는다. 이러한 하우징(101)의 다소 복잡한 형태는 하우징(101)이 이동 파이프(114)에 보다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상판(1011)과 하부 하판(1016)의 간격을 보다 넓히고자 하는 데에서 기인한다. 한편, 본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우징(101)이 보다 단순한 직육면체 형상의 박스 형태로 제조될 수도 있음을 이해할 수 있다. The housing 101 is a box-shaped housing having two boxes of different sizes coupled to each other so as to communicate with each other through an inner space. The housing 101 is attached to a moving member of the rehabilitation apparatus that moves up and down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user's arm, As shown in FIG. In the embodiment shown in Figs. 1-4, the moving member is a moving pipe 114 that is moved up and down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user's arm. As shown in Figs. 1-4, the housing 101 is formed in a box shape in which a box having a longer rectangular parallelepiped shape forming an upper portion thereof and a box having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shape forming a lower portion thereof are coupled to communicate with each other through an inner space . The somewhat more complicated form of the housing 101 is due to the fact that the gap between the upper plate 1011 and the lower lower plate 1016 is widened so that the housing 101 can be more stably fixed to the moving pipe 114 do. Meanwhile, it is understood that the housing 101 may be manufactured in a simpler rectangular-parallelepiped box shape if the person skilled in the art is familiar with the present embodiment.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하우징(101)은 외면에 피봇 기구(100)의 상하 이동을 위한 와이어의 일단이 연결되는 고리(1018)가 형성되어 있는 직사각판 형태의 상판(1011), 상판(1011)의 길이 방향의 양 단부에 결합되는 서로 다른 크기의 두 개의 직사각판이 일체로 결합된 형태의 두 개의 측판(1012), 상판(1011)의 전단부와 두 측판(1012)의 상부를 형성하는 보다 긴 직사각판의 전단부에 결합되는 직사각판 형태의 상부 전판(1013), 두 측판(1012)의 상부를 형성하는 보다 긴 직사각판의 전단부와 상부 전판(1013)의 하단부에 결합되는 직사각판 형태의 상부 하판(1015), 두 측판(1012)의 하부를 형성하는 보다 짧은 직사각판의 전단부와 상부 하판(1015)의 후단부에 결합되는 직사각판 형태의 하부 전판(1014), 두 측판(1012)의 하부를 형성하는 보다 짧은 직사각판의 하단부와 하부 전판(1014)의 하단부에 결합되는 직사각판 형태의 하부 하판(1016), 및 상판(1011)의 후단부와 두 측판(1012)의 후단부와 하부 하판(1016)의 후단부에 결합되는 직사각판 형태의 후판(1017)으로 구성된다. More specifically, the housing 101 includes a rectangular plate-shaped upper plate 1011 having a ring 1018 connected to one end of a wire for vertically moving the pivot mechanism 100 on an outer surface thereof, a top plate 1011, Two side plates 1012 in the form of integrally joined two rectangular plates of different sizes joined to both end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upper plate 1011, A rectangular upper plate 1013 in the form of a rectangular plate coupled to the front end of the rectangular plate, a rectangular plate-shaped upper plate 1013 coupled to the front end of the longer rectangular plate forming the upper portion of the two side plates 1012 and the lower end of the upper front plate 1013 A lower front plate 1014 in the form of a rectangular plate joined to the front end of a shorter rectangular plate and a rear end of the upper lower plate 1015 forming a lower portion of the two side plates 1012, The lower end of the shorter rectangular plate and the lower end of the shorter rectangular plate A rectangular lower plate 1016 in the form of a rectangular plate coupled to the lower end of the front plate 1014 and a rectangular plate 1016 coupled to the rear end of the upper plate 1011 and the rear end of the two side plates 1012 and the rear end of the lower lower plate 1016, Shaped plate 1017 as shown in Fig.

한편,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01)의 상판(1011)의 전방에는 직사각형 개구가 형성되어 있다. 즉, 상판(1011)은 직사각형 개구가 형성되어 있는 직사각판 형태의 평판과 이 개구를 덮기 위한 덮개로 구성될 수 있다. 덮개는 평판에 볼트 등을 이용하여 결합될 수 있고, 덮개를 열어 피봇 기구(100)의 고장 시에 피봇 기구(100)를 수리하거나 노후 부품 교체 등과 같은 피봇 기구(100)의 유지보수를 할 수 있다. 도 1-4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르면, 상부 하판(1015)의 내면에는 상판(1011)의 직사각형 개구의 4 개의 모서리를 향하는 4 개의 원기둥이 형성되어 있다. 각 원기둥의 중심에는 볼트가 결합될 수 있는 결합홈이 형성되어 있고 덮개의 모서리에는 볼트가 회전부재 크기의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다. 각 볼트는 덮개의 관통공을 관통하여 각 원기둥의 결합홈에 결합됨으로써 덮개는 4 개의 원기둥에 고정될 수 있다. 이 원기둥의 높이는 하우징(101)의 내부에 위치하는 상부 베어링홀더(102), 상부 베어링(103), 메인 롤러(104), 롤러 플랜지(105), 하부 베어링(106), 하부 베어링홀더(107)가 차례로 쌓여진 높이와 동일하다. 이러한 높이의 원기둥에 덮개가 고정되면 상기된 부품들이 서로 밀착되어 견고하게 조립될 수 있다. 1-4, a rectangular opening is formed in front of the upper plate 1011 of the housing 101. As shown in FIG. That is, the upper plate 1011 may be composed of a flat plate in the form of a rectangular plate having a rectangular opening and a lid for covering the opening. The lid can be coupled to the flat plate using bolts or the like and the lid can be opened to repair or maintain the pivot mechanism 100 such as repairing the pivot mechanism 100 or replacing old parts when the pivot mechanism 100 fails hav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shown in Figs. 1-4, four cylinders are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upper bottom plate 1015 so as to face the four corners of the rectangular opening of the top plate 1011. At the center of each cylinder is formed a coupling groove to which a bolt can be coupled, and a bolt is formed in the corner of the lid to form a through hole having a size of a rotary member. Each bolt penetrates the through hole of the lid and is coupled to the coupling groove of each column, so that the lid can be fixed to the four cylinders. The height of the cylinder is equal to the height of the upper bearing holder 102, the upper bearing 103, the main roller 104, the roller flange 105, the lower bearing 106, the lower bearing holder 107, Is equal to the height stacked in turn. When the cover is fixed to the cylinder of such a height, the above-mentioned parts can be tightly assembled to each other.

하우징(101)의 상판(1011)의 전방과 상부 하판(1015) 각각에는 서로 대향하는 한 쌍의 회전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각 회전공은 메인 샤프트(108)가 삽입되어 흔들림 없이 회전될 수 있는 크기를 갖는다. 하우징(101)의 상판(1011)의 후방과 하부 하판(1016) 각각에는 서로 대향하는 한 쌍의 결합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각 결합공은 이동 파이프(114)가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는 크기를 갖는다. 각 결합공과 이동 파이프(114)의 접촉 부위가 용접됨으로써 하우징(101)은 이동 파이프(114)에 부착될 수 있다. 상판(1011), 상부 전판(1013), 상부 하판(1015), 하부 전판(1014), 하부 하판(120), 및 후판(1017)은 서로 용접으로 결합될 수 있다. A pair of rotating holes facing each other are formed in the front of the upper plate 1011 of the housing 101 and the upper and lower plates 1015 of the housing 101. Each of the rotating holes is rotatable with the main shaft 108 inserted therein, Size. A pair of coupling holes are formed in the rear of the upper plate 1011 of the housing 101 and opposite to each other in the lower lower plate 1016. Each coupling hole has a size such that the moving pipe 114 can be inserted and coupled . The housing 101 can be attached to the moving pipe 114 by welding the contact portions of the engaging holes and the moving pipe 114. The upper plate 1011, the upper front plate 1013, the upper lower plate 1015, the lower front plate 1014, the lower lower plate 120 and the thick plate 1017 can be welded to each other.

마찬가지로, 두 개의 측판(1012) 중 어느 하나의 측판은 주위 판들과 용접으로 결합될 수 있다. 한편, 다른 측판, 예를 들어 우측판은 주위 판들과 볼트로 결합되어 피봇 기구(100)의 수리 및 유지보수를 위해 필요한 경우에 주위 판들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볼트가 우측판의 관통공들을 관통하여 상판(1011)과 상부 전판(1013)이 만나는 꼭지점 내부, 상판(1011)과 후판(1017)이 만나는 꼭지점 내부, 하부 전판(1014)과 하부 하판(1016)이 만나는 꼭지점 내부에 장착된 금속편의 결합공에 결합됨으로써 두 개의 측판(1012) 중 우측판은 주위 판들과 결합될 수 있다. Similarly, any one of the two side plates 1012 can be welded to the peripheral plates. On the other hand, another side plate, for example the right side plate, may be bolted to the peripheral plates and separated from the peripheral plates if necessary for repair and maintenance of the pivot mechanism 100. The bolt penetrates through the through holes of the right plate so that the inside of the vertex where the upper plate 1011 and the upper front plate 1013 meet, the inside of the vertex where the upper plate 1011 and the thick plate 1017 meet, the lower front plate 1014 and the lower lower plate 1016, The right side plate of the two side plates 1012 can be coupled with the peripheral plates.

상부 베어링홀더(102)는 하우징(101)의 상판(1011)의 내면 전방에 부착되는 원판 형태의 베어링홀더(bearing holder)이다. 하우징(101)의 상판(1011)의 내면 전방에 부착되는 상부 베어링홀더(102)의 일면은 평평한 반면, 타면은 원판 형태의 상부 베어링(103)이 압입될 수 있는 크기의 내경을 갖는 원형의 홈이 형성되어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의 상판(1011)의 전방에는 상부 베어링홀더(102)의 고정에 사용되는 3 개의 볼트가 회전부재 크기의 3 개의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부 베어링홀더(102)에는 이러한 3 개의 볼트가 결합되는 3 개의 결합홈이 형성되어 있고 각 결합홈의 내벽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다. 3 개의 볼트가 하우징의 상판(1011)의 관통공을 관통하여 상부 베어링홀더(102)의 결합홈에 결합됨으로써 상부 베어링홀더(102)는 하우징(101)의 상판(1011)의 내면에 고정될 수 있다. The upper bearing holder 102 is a disk-shaped bearing holder attach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plate 1011 of the housing 101. One surface of the upper bearing holder 102 attach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inner surface of the upper plate 1011 of the housing 101 is flat while the other surface of the upper bearing 103 has a circular groove having an inner diameter sized to be press- Respectively. As shown in FIG. 1, three bolts, which are used for fixing the upper bearing holder 102, are formed in the front of the upper plate 1011 of the housing. In the upper bearing holder 102, three coupling grooves for coupling the three bolts are formed, and the inner walls of the coupling grooves are formed with threads. The upper bearing holder 102 can be fix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upper plate 1011 of the housing 101 by the three bolts passing through the through holes of the upper plate 1011 of the housing and being coupled to the coupling grooves of the upper bearing holder 102 have.

상부 베어링(103)은 상부 베어링홀더(102)의 원형의 홈에 압입되는 원판 형태의 볼 베어링(ball bearing)이다. 상부 베어링홀더(102)의 원형 홈의 직경은 상부 베어링(103)의 외경보다 더 커야 하나 상부 베어링(103)이 상부 베어링홀더(102)에 압입될 수 있도록 상부 베어링홀더(102)의 원형 홈의 직경과 상부 베어링(103)의 외경간의 차이는 거의 없어야 한다. 상부 베어링(103), 하부 베어링(106) 등과 같은 볼 베어링은 외륜과 내륜 사이에 볼(ball)들이 삽입되어 있어 외륜과 내륜이 서로의 간섭 없이 회전하게 된다. 상부 베어링(103)의 외륜은 상부 베어링홀더(102)의 원형 홈에 압입되고 메인 샤프트(108)는 상부 베어링(103)의 내륜에 압입된다. 상부 베어링(103)은 내륜의 상면이 외륜의 상면보다 약간 들어간 형태로 형성되어 내륜의 상면은 상부 베어링홀더(102)의 하면으로부터 이격되어 위치하게 된다. 이에 따라, 메인 샤프트(108)는 상부 베어링홀더(102)의 간섭 없이 상부 베어링(103)의 내륜과 함께 원활하게 회전될 수 있다.The upper bearing 103 is a disk-shaped ball bearing which is press-fitted into a circular groove of the upper bearing holder 102. The diameter of the circular groove of the upper bearing holder 102 must be larger than the outer diameter of the upper bearing 103 but the diameter of the circular groove of the upper bearing holder 102 must be larger than that of the upper bearing 103, There should be little difference between the diameter and the outer diameter of the upper bearing (103). In the ball bearing such as the upper bearing 103 and the lower bearing 106, balls are inserted between the outer ring and the inner ring so that the outer ring and the inner ring rotate without interfering with each other. The outer ring of the upper bearing 103 is press-fitted into the circular groove of the upper bearing holder 102 and the main shaft 108 is press-fitted into the inner ring of the upper bearing 103. The upper bearing 103 is formed so that the upper surface of the inner ring is slightly inserted into the upper surface of the outer ring so that the upper surface of the inner ring is spaced apart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upper bearing holder 102. Thus, the main shaft 108 can be smoothly rotated together with the inner race of the upper bearing 103 without interfering with the upper bearing holder 102.

메인 롤러(104)는 메인 샤프트(108)에 고정되어 메인 샤프트(108)의 회전에 따라 메인 샤프트를 중심축으로 하여 회전하는 원판 형태의 롤러이다. 메인 롤러(104)의 중심에는 메인 샤프트(108)가 슬라이딩되어 회전부재 크기의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고, 이 관통공 주변에는 롤러 플랜지(105)와의 결합에 사용되는 볼트들이 슬라이딩되어 회전부재 크기의 주변 관통공들이 형성되어 있다. 메인 롤러(104)는 탄성부재(109)가 길이 방향으로 감길 수 있는 원형의 외주면을 갖고 있다. 메인 롤러(104)의 외주면에는 이 외주면의 둘레를 따라 탄성부재(109)의 너비보다 약간 더 넓은 너비의 홈이 형성되어 있다. 탄성부재(109)는 이러한 메인 롤러(104)의 외주면의 홈에 감김으로써 이탈 없이 메인 롤러(104)에 감길 수 있다. The main roller 104 is a disk-shaped roller which is fixed to the main shaft 108 and rotates about the main shaft as a central axis in accordance with rotation of the main shaft 108. [ A main shaft 108 is slid in the center of the main roller 104 to form a through hole having a size of a rotating member. Bolts used for coupling with the roller flange 105 are slid around the through hole, Through holes are formed. The main roller 104 has a circular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o which the elastic member 109 can be wou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Grooves having a width slightly larger than the width of the elastic member 109 are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main roller 104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 elastic member 109 can be wound on the main roller 104 without being loosened by being wound around the groove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main roller 104. [

도 5는 도 1-4에 도시된 피봇 기구(100)의 손잡이 회전에 따른 피봇 기구(100)의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메인 샤프트(108)에 가해지는 외력이 없는 상태에서 탄성부재(109)의 일단이 고정된 메인 롤러(104)의 외주면 상의 일 지점은 탄성부재(109)의 타단이 고정되는 하우징(101)의 내부 일 지점과 메인 롤러(104)의 외주면간의 최단 거리에 위치한다. 도 1-5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르면, 탄성부재(109)의 타단이 고정되는 하우징(101)의 내부 일 지점은 메인 롤러(104)의 외주면으로부터 최단 거리에 해당하는 이동 파이프(114)의 외주면 상의 지점이다. 5 is a view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pivot mechanism 100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handle of the pivot mechanism 100 shown in Figs. 1-4. 5, at one point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main roller 104 to which the one end of the elastic member 109 is fixed in a state in which there is no external force applied to the main shaft 108, the other end of the elastic member 109 is fixed Is located at the shortest distance between one point of the inside of the housing (101) and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main roller (104). 1-5, one point of the interior of the housing 101, to which the other end of the elastic member 109 is fixed, is connected to the end of the moving pipe 114 corresponding to the shortest distance from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main roller 104 Is a point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이에 따라, 메인 샤프트(108)에 가해지는 외력이 없는 상태에서 탄성부재(109)는 가장 이완된 상태에 놓이게 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손잡이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킬 때나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킬 때나 손잡이의 어떤 회전방향에 대해서도 회전각에 비례하는 힘이 동일하게 사용자의 손목에 가해지게 된다. 이것에 의해 사용자의 손목 근육에 대한 불균형한 물리적 자극이 방지되어 사용자의 손목 기능이 보다 빨리 회복 및 유지될 수 있게 된다. Thus, in a state in which there is no external force applied to the main shaft 108, the elastic member 109 is placed in the most relaxed state. As shown in Fig. 5, the user applies the force proportional to the rotation angle to the wrist of the user equally in the case of rotating the knob clockwise, counterclockwise, or in any direction of rotation of the knob. This prevents unbalanced physical stimulation of the user's wrist muscles and allows the user's wrist function to be recovered and maintained more quickly.

롤러 플랜지(105)는 메인 롤러(104)에 메인 샤프트(108)를 고정시키기 위하여 메인 롤러(104)의 하면에 부착되는 원판 형태의 플랜지(flange)이다. 롤러 플랜지(105)의 중심에는 메인 샤프트(108)가 슬라이딩되어 회전부재 크기의 하나의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고, 이 관통공 주위에는 메인 롤러(104)와의 결합에 사용되는 볼트들이 결합되는 결합홈들이 형성되어 있다. 메인 롤러(104)의 각 결합홈의 내측에는 각 볼트와의 결합을 위한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다. 3 개의 볼트가 메인 롤러(104)의 3 개의 주변 관통공을 관통하여 롤러 플랜지(105)의 3 개의 결합홈에 결합됨으로써 메인 롤러(104)와 롤러 플랜지(105)는 결합하게 된다. The roller flange 105 is a disc-shaped flange attach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main roller 104 to fix the main shaft 108 to the main roller 104. A main shaft 108 is slid in the center of the roller flange 105 to form a through hole having a size of a rotation member. A coupling groove is formed around the through hole to couple the bolts used for coupling with the main roller 104 Respectively. On the inner side of each engaging groove of the main roller 104, a thread for engaging with each bolt is formed. Three bolts pass through the three peripheral through holes of the main roller 104 and are engaged with the three engagement grooves of the roller flange 105 so that the main roller 104 and the roller flange 105 are engaged.

또한, 롤러 플랜지(105)의 측면에는 메인 샤프트(108)의 고정에 사용되는 멈춤나사가 결합되는 결합공이 형성되어 있고, 이 결합공의 내측에는 멈춤나사와의 결합을 위한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다. 롤러 플랜지(105)의 관통공에 메인 샤프트(108)를 관통시킨 상태에서 멈춤나사의 말단이 메인 샤프트(108)의 표면을 누를 때까지 롤러 플랜지(105)의 측면의 결합공의 안쪽으로 멈춤나사를 돌려서 전진시킴으로써 멈춤나사와 메인 샤프트(108)의 눌림 결합에 따른 마찰 저항에 의해 메인 샤프트(108)는 롤러 플랜지(105)에 고정되게 된다. 이에 따라, 메인 샤프트(108)가 회전하면 롤러 플랜지(105)와 이것에 결합된 메인 롤러(104)가 동시에 회전하게 된다. 메인 샤프트(108)의 고정에 사용되는 롤러 플랜지(105)의 측면 결합공과 멈춤나사는 한 개일 수도 있고, 여러 개일 수도 있다. The side surface of the roller flange 105 is formed with a coupling hole to which a detent screw used for fixing the main shaft 108 is coupled. On the inner side of the coupling hole, a thread for coupling with a detent screw is formed. In the state where the main shaft 108 is passed through the through hole of the roller flange 105, the stop screw is screwed into the engagement hole on the side of the roller flange 105 until the end of the stop screw presses the surface of the main shaft 108 The main shaft 108 is fixed to the roller flange 105 by the frictional resistance of the stop screw and the main shaft 108 due to the pressing engagement. Accordingly, when the main shaft 108 rotates, the roller flange 105 and the main roller 104 coupled thereto rotate simultaneously. The number of the side engagement holes and the setscrew of the roller flange 105 used for fixing the main shaft 108 may be one or more.

하부 베어링(106)은 하부 베어링홀더(107)의 원형의 홈에 압입되는 원판 형태의 볼 베어링이다. 하부 베어링홀더(107)의 원형 홈의 직경은 하부 베어링(106)의 외경보다 더 커야 하나 하부 베어링(106)이 하부 베어링홀더(107)에 압입될 수 있도록 하부 베어링홀더(107)의 원형 홈의 직경과 하부 베어링(106)의 외경간의 차이는 거의 없어야 한다. 하부 베어링(106)은 상부 베어링(103)과 함께 사용되어 메인 샤프트(108)가 흔들림 없이 회전될 수 있도록 메인 샤프트(108)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하부 베어링(106)의 외륜은 하부 베어링홀더(108)의 원형 홈에 압입되고 메인 샤프트(108)는 하부 베어링(106)의 내륜에 압입된다. 하부 베어링(106)은 내륜의 하면이 외륜의 하면보다 약간 들어간 형태로 형성되어 내륜의 하면은 하부 베어링홀더(108)의 상면으로부터 이격되어 위치하게 된다. 이에 따라, 메인 샤프트(108)는 하부 베어링홀더(102)의 간섭 없이 하부 베어링(106)의 내륜과 함께 원활하게 회전될 수 있다.The lower bearing 106 is a disk-shaped ball bearing which is press-fitted into a circular groove of the lower bearing holder 107. The diameter of the circular groove of the lower bearing holder 107 should be larger than the outer diameter of the lower bearing 106 but the diameter of the circular groove of the lower bearing holder 107 should be larger than that of the lower bearing 106, There should be little difference between the diameter and the outer diameter of the lower bearing 106. The lower bearing 106 is used together with the upper bearing 103 to support the main shaft 108 so that the main shaft 108 can be rotated without shaking. The outer ring of the lower bearing 106 is press-fitted into the circular groove of the lower bearing holder 108 and the main shaft 108 is press-fitted into the inner ring of the lower bearing 106. The lower bearing 106 is formed in a shape slightly lower than the lower surface of the outer ring so that the lower surface of the inner ring is spaced apart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bearing holder 108. Thus, the main shaft 108 can be smoothly rotated together with the inner race of the lower bearing 106 without interference of the lower bearing holder 102.

하부 베어링홀더(107)는 하우징(101)의 상부 하판(1015)의 내면 전방에 부착되는 원판 형태의 베어링홀더이다. 하우징(101)의 상부 하판(1015)의 내면 전방에 부착되는 하부 베어링홀더(107)의 일면은 평평한 반면, 타면은 상부 베어링(103)이 압입될 수 있는 크기의 내경을 갖는 원형의 홈이 형성되어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의 상부 하판(1015)에는 하부 베어링홀더(107)의 고정에 사용되는 3 개의 볼트가 회전부재 크기의 3 개의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하부 베어링홀더(107)에는 이러한 3 개의 볼트가 결합되는 3 개의 결합홈이 형성되어 있고 각 결합홈의 내벽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다. 3 개의 볼트가 하우징(101)의 상부 하판(1015)의 관통공을 관통하여 하부 베어링홀더(107)의 결합홈에 결합됨으로써 하부 베어링홀더(107)는 하우징(101)의 상부 하판(1015)의 내면에 고정될 수 있다. The lower bearing holder 107 is a disc-shaped bearing holder attach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upper lower plate 1015 of the housing 101. One surface of the lower bearing holder 107 attach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upper lower plate 1015 of the housing 101 is flat while the other surface is formed with a circular groove having an inner diameter sized to press the upper bearing 103 . As shown in FIG. 1, three bolts, which are used for fixing the lower bearing holder 107, are formed in the upper and lower plates 1015 of the housing. In the lower bearing holder 107, three coupling grooves for coupling the three bolts are formed, and the inner walls of the coupling grooves are formed with threads. Three bolts pass through the through holes of the upper lower plate 1015 of the housing 101 and are coupled to the engaging grooves of the lower bearing holder 107 so that the lower bearing holder 107 is engaged with the lower bearing holder 107 of the lower upper plate 1015 of the housing 101 It can be fixed inside.

한편, 상부 베어링(103)은 내륜의 하면이 외륜의 상면보다 약간 돌출된 형태로 형성되어 메인 롤러(104)의 상면은 상부 베어링(103)의 내륜의 하면에 밀착되게 되나 외륜의 하면과는 이격되어 위치하게 된다. 마찬가지로, 하부 베어링(106)은 내륜의 상면이 외륜의 상면보다 약간 돌출된 형태로 형성되어 메인 롤러(104)의 하면은 하부 베어링(106)의 내륜의 상면에 밀착되게 되나 외륜의 상면과는 이격되어 위치하게 된다. 이에 따라, 메인 롤러(104)는 상부 베어링홀더(102) 및 하부 베어링홀더(107)의 간섭 없이 상부 베어링(103)의 내륜, 하부 베어링(106)의 내륜 및 메인 샤프트(108)와 함께 흔들림 없이 회전될 수 있다.The upper bearing 103 is formed so that the lower surface of the inner ring is slightly protruded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outer ring so that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roller 104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lower surface of the inner ring of the upper bearing 103, . The lower bearing 106 is formed such that the upper surface of the inner ring is slightly protruded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outer ring so that the lower surface of the main roller 104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inner ring of the lower bearing 106, . Thus, the main roller 104 rotates together with the inner ring of the upper bearing 103, the inner ring of the lower bearing 106 and the main shaft 108 without interference between the upper bearing holder 102 and the lower bearing holder 107 Can be rotated.

메인 샤프트(108)는 하우징(101)의 일면에 형성된 회전공에 삽입되어 사용자의 손목의 움직임에 따라 가해지는 외력에 의해 회전공의 중심을 축으로 하여 회전한다. 도 1-4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메인 샤프트(108)는 하우징(101)의 상판(1011) 위에 위치하는 상부 손잡이(111)와 상부 하판(1015) 아래에 위치하는 하부 손잡이(113)에 함께 연결되기 때문에 하우징(101)의 상판(1011)과 상부 하판(1015) 각각에 형성된 서로 대향하는 한 쌍의 회전공에 삽입되어 사용자의 손목의 움직임에 따라 가해지는 외력에 의해 한 쌍의 회전공의 중심들을 잇는 중심선을 축으로 하여 회전하게 된다. 메인 샤프트(108)는 하우징(101)의 상판(1011), 상부 베어링홀더(102), 상부 베어링(103), 메인 롤러(104), 롤러 플랜지(105), 하부 베어링(106), 하부 베어링홀더(107), 상부 하판(1015)을 차례로 관통한다. 이에 따라, 메인 샤프트(108)의 일단과 타단은 하우징(101)의 상판(1011)과 상부 하판(1015)의 외부로 노출되어 있다.The main shaft 108 is inserted into a rotation hole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housing 101 and rotated around the center of the rotation hole by an external force applied in accordance with the movement of the user's wrist. 1-4, the main shaft 108 is connected to an upper handle 111 located on the upper plate 1011 of the housing 101 and a lower handle 113 located below the upper lower plate 1015 The upper and lower plates 1011 and 1015 of the housing 101 are inserted into a pair of opposite rotating holes formed in the upper plate 1011 and the lower plate 1015 of the housing 101, And is rotated about the center line connecting the centers. The main shaft 108 includes an upper plate 1011 of the housing 101, an upper bearing holder 102, an upper bearing 103, a main roller 104, a roller flange 105, a lower bearing 106, The upper plate 107, and the upper upper plate 1015 in this order. Thus, one end and the other end of the main shaft 108 are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upper plate 1011 and the upper lower plate 1015 of the housing 101.

탄성부재(109)는 일단이 메인 롤러(104)의 일 지점에 고정되고 타단이 하우징(101)의 내부 일 지점에 고정되며 메인 롤러의 회전에 따라 일부가 메인 롤러(104)에 감기게 되는 스트링(string) 형태의 탄성부재이다. 탄성부재(109)의 대표적인 예로는 스트링 형태의 고무밴드 또는 스프링 등을 들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탄성부재(109)의 타단이 고정되는 하우징(101)의 내부 일 지점은 메인 롤러(104)의 외주면으로부터 최단 거리에 해당하는 이동 파이프(114)의 외주면 상의 지점이다. 메인 샤프트(108)에 가해지는 외력에 의해 메인 롤러(104)가 회전하면 메인 롤러(104)의 회전에 따라 메인 롤러(104)에 탄성부재(109)가 신장되어 감기고, 메인 샤프트(108)에 가해지는 외력이 사라짐에 따라, 탄성부재(109)의 탄성력에 의해 탄성부재(109)가 감겼던 회전의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메인 롤러(104)가 회전하면 탄성부재(109)의 감김이 풀리면서 탄성부재(109)가 수축되어 신장되지 않았던 상태로 돌아오게 된다. The elastic member 109 is fixed to one end of the main roller 104 at one end and fixed at one point inside the housing 101 at the other end and is wound around the main roller 104 in accordance with rotation of the main roller. is an elastic member in the form of a string. Typical examples of the elastic member 109 include a rubber band or spring in the form of a string. The inner point of the housing 101 to which the other end of the elastic member 109 is fixed is a point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moving pipe 114 corresponding to the shortest distance from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main roller 104. [ When the main roller 104 is rotated by an external force applied to the main shaft 108, the elastic member 109 is stretched and wound on the main roller 104 in accordance with the rotation of the main roller 104, When the main roller 104 is rotated in the direction opposite to the rotation direction in which the elastic member 109 is wound by the elastic force of the elastic member 109 as the applied external force disappears, the elastic member 109 is unwound The elastic member 109 returns to a state in which the elastic member 109 is not contracted.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부재(109)의 일단은 메인 롤러(104)를 관통하여 외주면 홈 위에 위치하는 핀(pin)에 의해 고정됨으로써 메인 롤러(104)의 외주면에 있는 홈의 일 지점에 고정되게 되고, 타단은 메인 롤러(104)의 외주면으로부터 최단 거리에 해당하는 이동 파이프(114)의 외주면 상의 지점으로부터 돌출되어 있는 금속편에 의해 고정됨으로써 이동 파이프(114)의 외주면에 고정될 수 있다. 한편, 탄성부재(109)는 하나의 가늘고 긴 스트링의 양단이 서로 연결된 두 겹의 스트링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스트링이 메인 롤러(104)의 홈과 핀 사이를 통과하고 이동 파이프(114)의 금속편의 구멍을 통과하는 방식으로 탄성부재(109)의 양단은 고정될 수 있다. As shown in Figs. 1-4, one end of the elastic member 109 is fixed by a pin locat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groove through the main roller 104, so that the one end of the groove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main roller 104 And the other end is fixed to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moving pipe 114 by being fixed by a metal piece protruding from a point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moving pipe 114 corresponding to the shortest distance from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main roller 104 . On the other hand, the elastic member 109 can be formed in the form of a two-ply string in which both ends of one elongated string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his string passes between the groove of the main roller 104 and the pin, Both ends of the elastic member 109 can be fixed in such a manner as to pass through the hole of the metal piece.

한 쌍의 가이드부재(110)는 메인 롤러(104)의 일 지점과 하우징(101)의 내부 일 지점 사이에 존재하는 탄성부재(109)의 직선형 부분의 길이 방향의 양측에 대칭 위치하여 탄성부재(109)를 메인 롤러(104) 쪽으로 누름으로써 탄성부재(109)가 메인 롤러(104)에 밀착되어 감길 수 있도록 탄성부재(109)의 감김을 가이드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탄성부재(109)의 타단이 고정되는 하우징(101)의 내부 일 지점은 메인 롤러(104)의 외주면으로부터 최단 거리에 해당하는 이동 파이프(114)의 외주면 상의 지점이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가이드부재(110)는 상부 하판(1015)의 내면에 형성되어 탄성부재(109)의 길이 방향의 양측에 대칭 위치하는 2 개의 원기둥으로 구현될 수 있다. 탄성부재(109)의 신축이 보다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하여 한 쌍의 가이드부재(110)는 원기둥보다 슬라이딩 성능이 우수한 2 개의 롤러로 구현될 수도 있다. 이러한 가이드부재(110)는 탄성부재(109)가 메인 롤러(104)에 밀착되어 감기도록 함으로써 탄성부재(109)가 메인 롤러(104)의 외주면으로부터 이탈되어 감기는 것을 방지한다.The pair of guide members 110 are symmetrically positioned on both side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linear portion of the elastic member 109 existing between one point of the main roller 104 and one point of the interior of the housing 101, 109 to the main roller 104 to guide the winding of the elastic member 109 so that the elastic member 109 can be closely contacted to the main roller 104 and wound. The inner point of the housing 101 to which the other end of the elastic member 109 is fixed is a point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moving pipe 114 corresponding to the shortest distance from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main roller 104. [ 1-4, the pair of guide members 110 can be embodied as two cylinders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upper and lower plates 1015 and symmetrically positioned on both side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elastic member 109 have. In order to smoothly expand and contract the elastic member 109, the pair of guide members 110 may be realized by two rollers having better sliding performance than the cylindrical roller. The guide member 110 prevents the elastic member 109 from being detached from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main roller 104 and wound by making the elastic member 109 closely contact the main roller 104 to be wound.

상부 손잡이(111)는 하우징(101) 외부에 노출된 메인 샤프트(108)의 상단에 고정되며 사용자의 손에 잡혀 사용자의 팔의 움직임 및 손목의 움직임에 따라 상하 이동됨과 동시에 회전된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손잡이(111)는 사용자가 팔을 내린 상태로 팔 훈련 및 손목 훈련을 할 때에 사용자가 팔을 내린 상태에서 사용자의 손에 잡히기가 용이하도록 반구 형태의 손잡이로 구현될 수 있다. 상부 손잡이(111)를 메인 샤프트(108)의 상단에 고정시키기 위하여 상부 손잡이(111)는 손잡이 플랜지(112)에 결합되고, 손잡이 플랜지(112)는 메인 샤프트(108)의 상단에 고정된다. 상부 손잡이(111)와 손잡이 플랜지(112)는 메인 롤러(104)와 롤러 플랜지(105)의 결합 방식과 동일한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고, 손잡이 플랜지(112)는 롤러 플랜지(105)가 메인 샤프트에 고정되는 방식과 동일한 방식으로 고정될 수 있다.The upper handle 111 is fixed to the upper end of the main shaft 108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housing 101 and is held in the user's hand and is vertically moved and rotated simultaneously with movement of the user's arm and wrist. As shown in FIGS. 1-4, the upper knob 111 is provided with a hemispherical knob (not shown) so as to be easily held by the user while the arm is lowered when the user performs arm training and wrist training in a state in which the arm is lowered . ≪ / RTI > The upper handle 111 is coupled to the handle flange 112 and the handle flange 112 is fixed to the upper end of the main shaft 108 to fix the upper handle 111 to the upper end of the main shaft 108. [ The upper handle 111 and the handle flange 112 can be coupled in the same manner as the engagement of the main roller 104 and the roller flange 105 and the handle flange 112 is configured such that the roller flange 105 is coupled to the main shaft It can be fixed in the same way as fixed.

하부 손잡이(113)는 하우징(101) 외부에 노출된 메인 샤프트(108)의 하단에 고정되며 사용자의 손에 잡혀 사용자의 팔의 움직임 및 손목의 움직임에 따라 상하 이동됨과 동시에 회전된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손잡이(113)는 사용자가 팔을 올린 상태로 팔 훈련 및 손목 훈련을 할 때에 사용자가 팔을 내린 상태에서 사용자의 손에 잡히기가 용이하도록 사각틀 형태의 손잡이로 구현될 수 있다. 하부 손잡이(113)를 메인 샤프트(108)의 하단에 고정시키기 위하여 하부 손잡이(113)의 상단 연결부, 즉 원기둥 형태의 돌출부에는 메인 샤프트(108)가 삽입되는 삽입공과 멈춤나사가 결합되는 결합공이 형성되어 있다. 하부 손잡이(113)의 삽입공에 메인 샤프트(108)를 삽입한 상태에서 멈춤나사의 말단이 메인 샤프트(108)의 표면을 누를 때까지 하부 손잡이(113)의 삽입공의 안쪽으로 멈춤나사를 돌려서 전진시킴으로써 멈춤나사와 메인 샤프트(108)의 눌림 결합에 따른 마찰 저항에 의해 하부 손잡이(113)는 메인 샤프트(108)의 하단에 고정되게 된다. The lower knob 113 is fixed to the lower end of the main shaft 108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housing 101 and is held in the user's hand and is rotated up and down according to movement of the user's arm and wrist. As shown in FIGS. 1-4, the lower knob 113 has a rectangular-shaped knob 113 for easily performing the arm training and wrist training while the user is lifting his or her arm, . ≪ / RTI > A coupling hole is formed in the upper connecting portion of the lower knob 113 to fix the lower knob 113 to the lower end of the main shaft 108. The coupling hole is engaged with the insertion hole into which the main shaft 108 is inserted, . The main shaft 108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hole of the lower knob 113 and the stop screw is turned inside the insertion hole of the lower knob 113 until the distal end of the locking screw presses the surface of the main shaft 108 The lower knob 113 is fixed to the lower end of the main shaft 108 by the frictional resistance of the stop screw and the main shaft 108 due to the pressing engagement.

상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에 의해 상부 손잡이(111) 또는 하부 손잡이(113)가 상하 이동 및 회전을 하게 되면, 상부 손잡이(111) 또는 하부 손잡이(113)의 회전은 메인 샤프트(108)를 통해 메인 롤러(104)에 전달되고 메인 롤러(104)에 탄성부재(109)가 감기거나 풀리게 된다. 메인 롤러(104)에 감기거나 풀릴 때의 탄성부재(109)의 탄성력은 사용자의 손목 근육에 물리적 자극을 주게 되어 사용자의 손목에 대한 재활 치료가 이루어지게 된다. 기어, 체인 등과 같이 소음을 유발하고 제조단가가 높은 부품의 사용 없이 고무밴드, 롤러, 베어링 등과 같이 소음이 거의 없고 제조단가가 매우 낮은 부품들만을 사용한 단순한 구조의 피봇 기구(100)에 의해 이와 같은 손목 재활 치료가 이루어질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는 보다 쾌적한 환경에서 저렴한 비용으로 물리적인 재활 치료를 실시할 수 있다. 또한, 기어, 체인 등과 같은 부품과는 달리 고무밴드, 롤러, 베어링 등에는 윤활유가 거의 공급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상체 재활 치료 장치의 유지보수가 용이하다. As described above, when the upper or lower handle 111 or the lower handle 113 is moved up and down by the user, the rotation of the upper handle 111 or the lower handle 113 is transmitted to the main shaft 108 through the main shaft 108, And is transmitted to the roller 104 and the elastic member 109 is wound or unwound on the main roller 104. [ The elastic force of the elastic member 109 when the main roller 104 is wound or unwound gives a physical stimulus to the user's wrist muscles so that the user's wrist is rehabilitated. A pivot mechanism 100 of a simple structure using only parts having little noise and low manufacturing cost such as a rubber band, a roller, a bearing and the like without causing a noise such as a gear, a chain, and the like, Since wrist rehabilitation can be performed, the user can perform physical rehabilitation at a lower cost in a more pleasant environment. In addition, unlike parts such as gears, chains, etc., it is not necessary to supply lubricating oil to rubber bands, rollers, bearings, etc., so maintenance of the upper body rehabilitation treatment apparatus is easy.

이동 파이프(114)는 사용자의 팔의 움직임에 따라 상하 이동되며, 이동 파이프(114)에 하우징(101)은 부착되어 이동 파이프(114)가 상하 이동되면 하우징(101)도 함께 상하 이동된다. 가이드폴 베어링(115)은 이동 파이프(114)를 길이 방향으로 관통하여 이동 파이프(114)의 상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폴 상에서 이동 파이프(114)가 부드럽게 슬라이딩되어 이동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리니어 베어링(linear-motion bearing)이다. 가이드폴 베어링(115)은 이동 파이프(114)의 내부에 압입되어 이동 파이프(114)의 내벽에 밀착 결합하며, 가이드폴은 이동 파이프(114)에 압입된 가이드폴 베어링(115)을 관통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2 개의 가이드폴 베어링(115)이 이동 파이프(114)의 상부와 하부에 압입될 수 있다. 가이드폴과 접촉하게 되는 가이드폴 베어링(115)의 내면은 가이드폴이 슬라이딩되어 상하 이동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슬라이딩면과 가이드폴이 회전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다수의 볼들이 길이 방향으로 분할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이동 파이프(114)는 가이드폴을 따라 상하 이동하면서 가이드폴을 축으로 하여 회전할 수 있다. The moving pipe 114 is moved up and down in accordance with the movement of the user's arm and the housing 101 is attached to the moving pipe 114. When the moving pipe 114 is moved up and down, The guide pawl bearing 115 includes a linear bearing for linearly moving the movable pipe 114 on the guide pole which guides the movable pipe 114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rough the movable pipe 114, -motion bearing. The guide pawl 115 is press-fitted into the inside of the moving pipe 114 and tightly coupled to the inside wall of the moving pipe 114. The guide pawl passes through the guide pawl bearing 115 which is pushed into the moving pipe 114. As shown in FIG. 1, two guide pole bearings 115 can be press-fitted into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moving pipe 114. The inner surface of the guide pawl bearing 115, which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guide pawl, is divided into a sliding surface for sliding the guide pawl so that the guide pawl can be slid and a plurality of balls for rotating the guide pawl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reby, the moving pipe 114 can be rotated about the guide pawl as the axis while moving up and down along the guide pawl.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피봇 기구(200)의 사시도와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피봇 기구(200)는 탄성부재의 탄성력 조절을 위해 도 1-4에 도시된 피봇 기구(100)의 구성 외에 하우징(101)의 상판(1011)과 하부 하판(1016) 각각에 형성된 서로 대향하는 한 쌍의 결합공에 삽입되어 사용자의 외력에 의해 한 쌍의 결합공의 중심들을 잇는 중심선을 축으로 하여 회전하는 회전부재(201), 회전부재(201)에 임계 간격 이하로 근접할 때에 회전부재(201)와 맞물림으로써 회전부재(201)를 고정시키는 고정판(202), 및 회전부재(201)와 고정판(202) 사이에 삽입되어 회전부재(201)에 고정판(202)을 밀착시키는 방향으로 복원력이 작용하는 스프링(203)을 더 포함한다. 6 is a perspective view and a partial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of a pivot mechanism 2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n order to adjust the elastic force of the elastic member, the pivot mechanism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the upper plate 1011 of the housing 101 and the lower plate 1011 of the housing 101, A rotary member 201 inserted into a pair of mutually opposed coupling holes formed in the lower plate 1016 and rotated about the center line connecting the centers of the pair of coupling holes by the external force of the user, And a fixing plate 202 inserted between the rotary member 201 and the fixed plate 202 to fix the rotary member 201 to the rotary member 201 when the rotary member 201 is in contact with the rotary member 201 And a spring 203 to which a restoring force is exerted in a direction in which the fixed plate 202 is brought into close contact.

스프링(203)의 예로는 회전부재(201)와 고정판(202) 사이에 압축 삽입되어 회전부재(201)에 고정판(202)을 밀착시키는 방향으로 복원력이 작용하는 압축 코일 스프링을 들 수 있다. 스프링(203)의 복원력에 대항하여 사용자에 의해 회전부재(201)가 고정판(202)으로부터 임계 간격을 초과하여 이격되면 회전부재(201)가 회전 가능하게 된다. 이와 같이, 탄성부재(109)의 타단은 이동 파이프(114) 대신에 회전부재(201)의 외주면 상에 위치할 수 있다. 본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도 6에 도시된 실시예를 변형하여 이동 파이프(114)가 회전부재(201)의 형태로 설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다.An example of the spring 203 is a compression coil spring that is compressively inserted between the rotary member 201 and the fixed plate 202 to apply a restoring force in a direction to bring the fixed plate 202 into close contact with the rotary member 201. When the rotating member 201 is separated from the fixed plate 202 by a user in excess of the critical distance against the restoring force of the spring 203, the rotating member 201 becomes rotatable. Thus, the other end of the elastic member 109 may be position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otary member 201 instead of the movable pipe 114.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moving pipe 114 can be designed in the form of a rotating member 201 by modifying the embodiment shown in Fig.

탄성부재(109)가 고정되는 하우징(101)의 내부 일 지점은 회전부재(201)의 외주면 상에 위치하여 회전부재(201)가 회전부재(201)의 외주면에 메인 롤러(104)에 감기는 탄성부재(109)의 일부의 반대편에 해당하는 탄성부재(109)의 타부가 감김으로써 메인 롤러(104)에 감기는 탄성부재(109)의 탄성력이 증가되고, 회전부재(201)의 외주면에 탄성부재(109)의 타부가 감긴 길이만큼 탄성력이 증가된 탄성부재(109)의 일부는 메인 롤러(104)의 회전에 따라 메인 롤러에 감기게 된다. 탄성부재(109)가 메인 롤러(104)에 밀착되어 감길 수 있도록 탄성부재(109)의 감김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재(110)에 의해 회전부재(201)의 회전 방향과 관계없이 회전부재(201)의 회전은 탄성부재(109)의 탄성력 증가를 야기한다. 사용자의 연령, 손목 근육의 손상 정도, 치료 경과 등에 따라 사용자의 손목 재활 치료에 최적인 물리적 자극의 크기가 사용자마다 다를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실시예는 사용자가 탄성부재(109)의 탄성력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 각자에 최적인 물리적 자극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하였다.One point of the interior of the housing 101 to which the elastic member 109 is fixed is position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rotary member 201 so that the rotary member 201 is woun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rotary member 201 to the main roller 104 The elastic force of the elastic member 109 wound on the main roller 104 is increased by winding the other end of the elastic member 109 on the opposite side of a part of the elastic member 109, A part of the elastic member 109 whose elasticity is increased by the length of the other part of the member 109 is wound on the main roller as the main roller 104 rotates. The rotation member 201 is rotated by the guide member 110 guiding the winding of the elastic member 109 so that the elastic member 109 can be closely attached to the main roller 104 and wound, Rotation of the elastic member 109 causes an increase in elastic force. The size of the physical stimulus that is optimal for the user's wrist rehabilitation treatment may vary from user to user depending on the age of the user, degree of damage of the wrist muscle, and progress of the treatment. The embodiment shown in FIG. 6 allows the user to select the optimal physical stimulus for each user by allowing the user to adjust the elastic force of the elastic member 109.

도 6에 도시된 부분 확대 단면도를 참조하면, 회전부재(201)는 사용자의 손에 잡히어 회전되는 상부 원판(201a), 탄성부재(109)가 고정되는 원기둥 형태의 주기둥(201b), 상부 원판(201a)의 회전을 주기둥(201b)에 전달하는 원기둥 형태의 링크(201c), 및 상부 원판(201a)과 링크(201c)를 연결하는 연결부재(201d)로 구성된다. 도 6의 우측 부분 확대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원판(201a)과 링크(201c)는 볼트 등과 같은 연결부재(201d)에 의해 서로 이격되어 연결된다. 주기둥(201b)의 하단은 하우징(101)의 내부에 위치하는 부분의 직경보다 큰 직경의 원판 형태로 형성되어 돌출된 하단의 내측 둘레는 하부 하판(1016)의 외면과 볼트 등을 이용하여 결합된다. 마찬가지로, 주기둥의 외면으로부터 돌출된 고정판(202)의 하면 둘레는 상판(1011)의 외면과 볼트 등을 이용하여 결합된다. 6, the rotary member 201 includes an upper circular plate 201a which is held and rotated by a user's hand, a main column 201b having a cylindrical shape to which the elastic member 109 is fixed, A cylindrical link 201c for transmitting the rotation of the disk 201a to the main column 201b and a connecting member 201d for connecting the upper disk 201a and the link 201c. As shown in the enlarged right portion of Fig. 6, the upper disk 201a and the link 201c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by a connecting member 201d such as a bolt or the like. The lower end of the main column 201b is formed in the form of a disk having a diameter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portion located inside the housing 101 and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protruded lower end is coupled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lower lower plate 1016 do. Similarly, the bottom surface of the fixing plate 202 protruding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main column is join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top plate 1011 using bolts or the like.

회전부재(201)의 상부 원판(201a)의 하면의 둘레를 따라 다수의 돌출부들이 형성되어 있고, 고정판(202)의 상면의 둘레를 따라 회전부재(201)의 돌출부들과 맞물리는 요입부들이 형성되어 있다. 회전부재(201)의 돌출부들은 회전부재(201)에 고정판(202)이 임계 간격 이하로 근접할 때에 고정판(202)의 요입부들과 맞물리게 된다. 서로 연결된 상부 원판(201a)과 링크(201c)의 전체 길이는 고정판(202)과 주기둥(201b)의 홈 깊이의 전체 길이보다 짧다. 이에 따라, 회전부재(201)의 돌출부들이 고정판(202)의 요입부들과 맞물릴 때에 어떤 간섭도 없게 된다. A plurality of protrusions are formed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lower surface of the upper circular plate 201a of the rotary member 201 and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fixed plate 202 are formed recesses for engaging with the protrusions of the rotary member 201 . The protrusions of the rotary member 201 are engaged with the recesses of the fixing plate 202 when the fixing plate 202 is closer to the rotary member 201 than the critical gap. The total length of the upper disk 201a and the link 201c connected to each other is shorter than the total length of the groove depth of the fixing plate 202 and the main column 201b. Thereby, there is no interference when the protrusions of the rotary member 201 are engaged with the recesses of the fixed plate 202. [

회전부재(201)의 링크(201c)의 외면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돌출부들이 형성되어 있고, 링크(201c)가 삽입되는 주기둥(201b)의 홈 내측에는 이러한 돌출부들과 횡방향으로만 맞물리는 요입부들이 형성되어 있다. 링크(201c)가 주기둥(201b)의 홈에 삽입될 때에 링크(201c)의 돌출부들은 주기둥(201b)의 홈의 요입부들과 횡방향으로만 맞물리게 된다. 링크(201c)의 돌출부들은 주기둥(201b)의 홈의 요입부들과 길이 방향으로는 맞물리지 않기 때문에 링크(201c)는 주기둥(201b)의 홈 내부에서 상하 이동될 수 있다. 이러한 맞물림 결합에 의해 링크(201c)는 주기둥(201b)의 홈 내부에서 자유롭게 상하 이동되면서 링크(201c)가 회전할 때에 링크(201c)의 회전은 주기둥(201b)에 전달되어 주기둥(201b)도 함께 회전하게 된다.6 are provid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link 201c of the rotary member 201 and only the lateral portions of the projecting portions are formed on the inner side of the groove of the main column 201b into which the link 201c is inserted There are formed interlocking parts. When the link 201c is inserted into the groove of the main column 201b, the projections of the link 201c are engaged only in the transverse direction with the grooves of the groove of the main column 201b. Since the protrusions of the link 201c are not engaged with the recesses of the groove of the main column 201b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link 201c can be moved up and down in the groove of the main column 201b. The link 201c is freely moved up and down in the groove of the main column 201b so that the rotation of the link 201c is transmitted to the main column 201b when the link 201c is rotated so that the main column 201b ) Also rotate together.

회전부재(201)의 상부 원판(201a)의 중심에는 볼트 등과 같은 연결부재(201d)가 결합되는 결합공이 형성되어 있고, 고정판(202)의 중심에는 그 입구에 걸림턱을 갖는 회전공이 형성되어 있고, 회전부재(201)의 링크(201c)의 중심에는 연결부재(201d)가 결합되는 결합공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결합공들의 내측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볼트 등과 같은 연결부재(201d)가 상부 원판(201a)의 결합공에 나사 결합되면서 전진하여 고정판(202)을 관통하여 링크(201c)의 결합공에 나사 결합된다. 고정판(202)의 회전공 입구에 형성된 걸림턱과 링크 사이에 연결부재(201d)를 감싸는 형태로 스프링(203)이 압축되어 삽입된다. 이에 따라, 스프링(203)은 고정판(202)을 회전부재(201)의 상부 원판(201a) 쪽으로 밀어 올리게 된다. 사용자가 스프링(203)의 복원력에 대항하여 상부 원판(201a)을 들어 올려 회전시킴으로써 탄성부재(109)의 탄성력을 조절하고 상부 원판(201a)을 내려놓아 회전부재(201)가 고정판(202)에 고정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원하는 강도의 탄성력을 얻을 수 있다. A coupling hole for coupling a coupling member 201d such as a bolt or the like is formed at the center of the upper circular plate 201a of the rotary member 201. A rotation hole having a coupling step is formed at the center of the fixing plate 202 And a coupling hole for coupling the coupling member 201d is formed at the center of the link 201c of the rotary member 201. [ On the inside of these coupling holes, threads are formed. A connecting member 201d such as a bolt or the like is screwed to the coupling hole of the upper circular plate 201a and is advanced to be screwed to the coupling hole of the link 201c through the fixing plate 202 as shown in Fig. The spring 203 is compressed and inserted in the form of wrapping the connecting member 201d between the engaging jaw formed at the entrance of the rotating shaft of the fixing plate 202 and the link. Thus, the spring 203 pushes the fixing plate 202 toward the upper circular plate 201a of the rotary member 201. The user lifts the upper circular plate 201a against the restoring force of the spring 203 and rotates to adjust the elastic force of the elastic member 109 and lower the upper circular plate 201a so that the rotary member 201 rotates So that the elasticity of the strength desired by the user can be obtained.

도 7은 도 1-4에 도시된 피봇 기구(100)가 적용된 상체 재활 치료 장치(10)의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상체 재활 치료 장치(10)의 정면도이고, 도 9는 도 7에 도시된 상체 재활 치료 장치(10)의 측면도이다. 도 7-9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상체 재활 치료 장치(10)는 한 쌍의 피봇 기구(11), 바디(12), 한 쌍의 가이드폴(13), 와이어(14), 4 개의 와이어 롤러(15), 중간 롤러(16), 무게추(17), 착석부(18), 및 무릎 지지부(19)로 구성된다. 한 쌍의 피봇 기구(11) 각각은 도 1-4에 도시된 피봇 기구(100)와 동일하며, 좌측 가이드폴(13a)에 의해 가이드되어 상하 이동하는 좌측 피봇 기구(11a)와 우측 가이드폴(13b)에 의해 가이드되어 상하 이동하는 우측 피봇 기구(11b)로 구성된다. 이하에서는 한 쌍의 피봇 기구(11) 각각의 구성 요소에 대해 도 1에 도시된 도면 부호를 그대로 사용하기로 한다. 한편, 도 1-4에 도시된 피봇 기구(100) 대신에 도 6에 도시된 피봇 기구(200)가 한 쌍의 피봇 기구(11)로써 사용될 수도 있다.FIG. 7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upper body rehabilitation apparatus 10 to which the pivot mechanism 100 shown in FIGS. 1-4 is applied, FIG. 8 is a front view of the upper body rehabilitation apparatus 10 shown in FIG. 7, 7 is a side view of the upper body rehabilitation apparatus 10 shown in Fig. 7. Fig. 7 to 9, the upper body rehabilitation apparatus 1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pair of pivot mechanisms 11, a body 12, a pair of guide pawls 13, wires 14, A wire roller 15, an intermediate roller 16, a weight 17, a seating portion 18, and a knee support 19. Each of the pair of pivot mechanisms 11 is the same as the pivot mechanism 100 shown in Figs. 1-4 and includes a left pivot mechanism 11a guided by the left guide pawl 13a, And a right pivot mechanism 11b which is guided by the upper pivot mechanism 13b and moves up and down. Hereinafter, the constituent elements of each of the pair of pivot mechanisms 11 will be denoted by reference numerals as shown in FIG. Instead of the pivot mechanism 100 shown in FIGS. 1-4, the pivot mechanism 200 shown in FIG. 6 may be used as a pair of pivot mechanisms 11. FIG.

상술한 바와 같이, 상부 손잡이(111) 또는 하부 손잡이(113)는 사용자의 손에 잡혀 사용자의 팔의 움직임 및 손목의 움직임에 따라 상하 이동됨과 동시에 회전된다. 상부 손잡이(111) 또는 하부 손잡이(113)의 상하 이동에 따라 이동 파이프(114)는 가이드폴(13)에 의해 가이드되어 사용자의 팔의 움직임에 따라 상하 이동되며, 이동 파이프(114)에 하우징(101)은 부착되어 이동 파이프(114)가 상하 이동되면 하우징(101)도 함께 상하 이동된다. 즉, 사용자의 왼팔의 움직임에 따라 좌측 피봇 기구(11a)는 좌측 가이드폴(13a)에 의해 가이드되어 상하 이동하게 되고, 사용자의 오른팔의 움직임에 따라 우측 피봇 기구(11b)는 우측 가이드폴(13b)에 의해 가이드되어 상하 이동하게 된다.As described above, the upper knob 111 or the lower knob 113 is held in the user's hand and is rotated up and down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user's arm and the wrist. The moving pipe 114 is guided by the guide pawl 13 in accordance with the upward and downward movement of the upper handle 111 or the lower handle 113 and is moved up and down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user's arm, And the housing 101 is moved upward and downward together with the moving pipe 114 when the moving pipe 114 is moved up and down. That is, the left pivot mechanism 11a is guided by the left guide pawl 13a to move up and down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user's left arm, and the right pivot mechanism 11b is moved in the right guide pawl 13b So as to move up and down.

바디(12)는 상체 재활 치료 장치(10)가 설치된 공간의 바닥 또는 지면에 설치된다. 예를 들어, 도 7-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디(12)는 상면에 4 개의 와이어 롤러(15)가 장착되는 평판 형태의 상부 프레임(12a), 상체 재활 치료 장치(10)가 설치된 공간의 바닥 또는 지면에 설치되는 삼지창 형태의 하부 프레임(12b), 및 상단은 상부 프레임(12a)의 하면에 결합되고 하단은 하부 프레임(12b)의 상면에 결합되어 바닥 또는 지면에 수직으로 세워져 설치되는 수직 프레임(12c)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부 프레임(12a), 하부 프레임(12b), 및 수직 프레임(12c)은 볼트, 너트 등과 같은 연결부재를 이용하여 결합될 수도 있고 용접으로 결합될 수도 있다. The body 12 is installed on the floor or the floor of the space where the upper body rehabilitation apparatus 10 is installed. 7-9, for example, the body 12 includes an upper frame 12a in the form of a flat plate on which four wire rollers 15 are mounted on the upper surface, a space in which the upper body rehabilitation apparatus 10 is installed And the upper end of the lower frame 12a is coupl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upper frame 12a and the lower end of the lower frame 12b is coupl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frame 12b to be vertically installed on the floor or the ground And a vertical frame 12c. The upper frame 12a, the lower frame 12b, and the vertical frame 12c may be combined using a connecting member such as a bolt, a nut, or the like, or may be welded.

한 쌍의 가이드폴(13)은 바디(12)에 의해 지지되어 바닥 또는 지면에 수직으로 세워져 설치되며 이동 파이프(114)의 상하 이동을 가이드한다. 한 쌍의 가이드폴(13)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은 원형 막대로서 바디(12)의 좌측에 의해 지지되는 좌측 가이드폴과 바디(12)의 우측에 의해 지지되는 우측 가이드폴을 포함한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좌측 가이드폴(13)의 일단은 상부 프레임(12a)의 하면의 좌측단과 하부 프레임(12b)의 상면의 좌측단 사이에 수직으로 세워져 부착된다. 우측 가이드폴(13)의 일단은 상부 프레임(12a)의 하면의 우측단과 하부 프레임(12b)의 상면의 우측단 사이에 수직으로 세워져 부착된다. 이와 같이 수직으로 세워져 있는 한 쌍의 가이드폴(13)의 간격은 사용자의 어깨 넓이만큼 서로 평행하게 떨어져 있어 사용자가 한 쌍의 피봇 기구(11) 각각의 손잡이를 편하게 잡을 수 있도록 해준다. The pair of guide pawls 13 are supported by the body 12 so as to be vertically installed on the floor or the ground, and guide the moving pipe 114 up and down. The pair of guide pawls 13 includes a left guide pole supported by the left side of the body 12 and a right guide pole supported by the right side of the body 12 as a circular rod as shown in Fig. More specifically, one end of the left guide pawl 13 is vertically installed between the left end of the lower surface of the upper frame 12a and the left end of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frame 12b. One end of the right guide pawl 13 is vertically erected and attached between the right end of the lower surface of the upper frame 12a and the right end of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frame 12b. The spacing of the pair of guide pawls 13 standing vertically is parallel to the shoulder width of the user so that the user can easily grasp the handle of each pair of pivot mechanisms 11. [

와이어(14)의 일단은 좌측 피봇 기구(11a)에 연결되고 타단은 우측 피봇 기구(11b)에 연결된다. 도 7-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와이어(14)의 일단은 좌측 피봇 기구(11a)의 하우징(101)의 상판(1011)의 고리(1018)에 연결되고 타단은 우측 피봇 기구(11a)의 하우징(101)의 상판(1011)의 고리(1018)에 연결된다. 와이어(14)의 양단을 고리 형태로 형성하고 와이어(14)의 양단의 고리와 하우징(101)의 상판(1011)의 고리(1018)에 겹친 후에 고정핀을 삽입함으로써 와이어(14)의 양단은 하우징(101)의 상판(1011)의 고리(1018)에 연결될 수 있다. One end of the wire 14 is connected to the left pivot mechanism 11a and the other end is connected to the right pivot mechanism 11b. 7-9, one end of the wire 14 is connected to the ring 1018 of the upper plate 1011 of the housing 101 of the left pivot mechanism 11a and the other end is connected to the ring 1018 of the right pivot mechanism 11a And is connected to the ring 1018 of the upper plate 1011 of the housing 101. Both ends of the wire 14 are formed in the form of a ring and the both ends of the wire 14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y inserting the fixing pin after overlapping the ring at both ends of the wire 14 and the ring 1018 of the upper plate 1011 of the housing 101 And may be connected to the ring 1018 of the upper plate 1011 of the housing 101.

4 개의 와이어 롤러(15)는 2 개씩 상부 프레임(12a)의 상면 좌측단과 우측단에 설치된다. 중간 롤러(16)는 바디(12)에 의해 가이드되어 상하 이동되며 한 쌍의 가이드폴(13) 사이에 위치하는 와이어(14)에 매달려 좌측 피봇 기구(11a)의 상하 이동 및 우측 피봇 기구(11b)의 상하 이동에 따라 상하 이동된다. 도 7-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디(12)의 수직 프레임(12c)은 그 중앙에 길이 방향으로 중간 롤러(16)가 삽입되어 상하 이동될 수 있는 홈에 형성되어 있어 중간 롤러(16)는 이탈 없이 상하 이동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좌측 피봇 기구(11a)와 우측 피봇 기구(11b)의 메인 롤러(104)의 외주면에는 탄성부재(109)가 길이 방향으로 감길 수 있도록 회전되지 않는 홈이 형성되어 있는 반면, 4 개의 와이어 롤러(15)와 중간 롤러(16)의 외주면에는 와이어(14)가 원활하게 이동될 수 있도록 회전되는 레일 홈이 형성되어 있다.Four wire rollers 15 are provided at the left end and the right end of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frame 12a by two. The intermediate roller 16 is guided by the body 12 so as to be vertically moved and suspended from the wire 14 positioned between the pair of guide pawls 13 to move the left pivot mechanism 11a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the right pivot mechanism 11b In the vertical direction. 7-8, the vertical frame 12c of the body 12 is formed in a groove which can be moved up and down by inserting the intermediate roller 16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t the center thereof, so that the intermediate roller 16, Can be moved up and down without leaving. As described above,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main roller 104 of the left pivot mechanism 11a and the right pivot mechanism 11b, grooves which are not rotated so that the elastic member 109 can be wou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re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s of the wire rollers 15 and the intermediate rollers 16, there are formed rail grooves rotated so that the wire 14 can be smoothly moved.

좌측 피봇 기구(11a)의 고리(1018)에 연결된 와이어(14)는 상방을 향해 전진하여 상부 프레임(12a)의 상면 좌측단에 설치된 2 개의 와이어 롤러의 레일 홈(rail groove)을 만난다. 이어서, 이 와이어 롤러의 레일 홈을 통과한 와이어(14)는 하방을 향해 전진하여 바디(12)의 수직 프레임(12c)의 홈에 삽입된 중간 롤러(16)의 레일 홈을 만난다. 이어서, 중간 롤러(16)의 레일 홈을 통과한 와이어(14)는 상방을 향해 전진하여 상부 프레임(12a)의 상면 우측단에 설치된 2 개의 와이어 롤러의 레일 홈을 만난다. 이어서, 이 와이어 롤러의 레일 홈을 통과한 와이어(14)는 하방을 향해 전진하여 우측 피봇 기구(11b)의 고리(1018)에 연결되게 된다. 한편, 도 7-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러한 4 개의 와이어 롤러(15) 이외에 와이어(14)의 이동을 보다 정확하게 가이드하기 위하여 다른 와이어 롤러들이 추가될 수도 있다. The wire 14 connected to the ring 1018 of the left pivot mechanism 11a advances upward and meets a rail groove of the two wire rollers installed at the left end of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frame 12a. Then, the wire 14 passed through the rail groove of the wire roller advances downward to meet the rail groove of the intermediate roller 16 inserted in the groove of the vertical frame 12c of the body 12. Then, the wire 14 passed through the rail groove of the intermediate roller 16 advances upward to meet the rail grooves of the two wire rollers installed at the right end of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frame 12a. Then, the wire 14 having passed through the rail groove of the wire roller advances downward and is connected to the ring 1018 of the right pivot mechanism 11b. 7-9, other wire rollers may be added in order to more precisely guide the movement of the wire 14 in addition to the four wire rollers 15.

무게추(17)는 와이어(14)에 매달려 좌측 피봇 기구(11a)의 상하 이동 및 우측 피봇 기구(11b)의 상하 이동에 따라 상하 이동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 무게추(17)는 와이어(14)에 매달린 중간 롤러(16)의 하단에 부착됨으로써 와이어(14)에 매달리게 된다. 이와 같이, 무게추(17)가 매달린 하나의 와이어(14)가 좌측 피봇 기구(11a)와 우측 피봇 기구(11b)에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무게추(17)의 중력을 왼팔 및 오른팔에 적절하게 분배할 수 있고, 그 결과 좌측 피봇 기구(11a)에 의한 왼팔의 운동 및 우측 피봇 기구(11b)에 의한 오른팔의 운동의 균형을 양팔의 손상 정도의 차이 등을 고려하여 사용자가 스스로 조정할 수 있다. 사용자는 무게추(17)의 무게에 따른 중력에 대항하여 팔을 굽히거나 펴서 상부 손잡이(111) 또는 하부 손잡이(113)를 상하 이동시킴으로서 팔 관절 부위를 물리적으로 치료할 수 있다.The weight 17 is suspended from the wire 14 and moved up and down in accordance with the up-down movement of the left pivot mechanism 11a and the up-down movement of the right pivot mechanism 11b. 7,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weight 17 is attached to the lower end of the intermediate roller 16 suspended from the wire 14, thereby hanging on the wire 14. As shown in Fig. Thus, since one wire 14 suspended by the weight 17 is connected to the left pivot mechanism 11a and the right pivot mechanism 11b, the user can select the gravity of the weight 17 as appropriate for the left arm and right arm And as a result, a balance between the movement of the left arm by the left pivot mechanism 11a and the movement of the right arm by the right pivot mechanism 11b can be adjusted by the user in consideration of the degree of damage of both arms, etc. . The user can physically repair the arm joint portion by bending or rolling the arm against the gravity due to the weight of the weight 17 and moving the upper knob 111 or the lower knob 113 up and down.

착석부(17)는 바디(12)의 하부 프레임(12b)의 중간 지지대에 장착되며 사용자가 앉을 수 있는 메인 착석부와 바디(12)의 하부 프레임(12b)의 2 개의 사이드 지지대에 장착되며 사용자가 앉을 수 있는 2 개의 사이드 착석부로 구성된다. 사용자는 메인 착석부에 앉아서 한 쌍의 피봇 기구(11)를 이용하여 재활 치료를 실시할 수도 있고, 사이드 착석부에 앉아서 한 쌍의 피봇 기구(11) 중 어느 하나만을 이용하여 재활 치료를 실시할 수도 있다. 무릎 지지부(19)는 바디(12)의 하부 프레임(12b)의 중간 지지대에 메인 착석부보다 높게 장착되는 원통 형태의 쿠션재로서 사용자가 메인 착석부에 앉은 상태에서 사용자의 무릎을 지지함으로써 하체를 고정하여 상체 재활 치료에 집중할 수 있도록 돕는다.The seating portion 17 is mounted on the intermediate support of the lower frame 12b of the body 12 and is mounted on the two side supports of the lower seat 12b of the body 12, And two side seats capable of sitting on the seat. The user can sit on the main seating section and perform rehabilitation treatment using the pair of pivot mechanisms 11 or sit on the side seating section and perform rehabilitation therapy using only one of the pair of pivot mechanisms 11 It is possible. The knee supporting portion 19 is a cylindrical cushioning material which is mounted at a middle support portion of the lower frame 12b of the body 12 higher than the main seating portion. The knee supporting portion 19 supports the user's knee while the user is sitting on the main seating portion, So that they can focus on upper body rehabilitation treatment.

도 7-9에 도시된 상체 치료 장치의 사용례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사용자가 팔을 굽혀 한 쌍의 피봇 기구(11) 중 적어도 하나의 하부 손잡이(113)를 아래로 끌어내리면 피봇 기구(11)는 아래로 이동하게 된다. 피봇 기구(11)의 하향 이동에 따라 피봇 기구(11)에 연결된 와이어에 매달린 무게추(17)는 위로 이동하게 된다. 반대로, 사용자가 팔을 펴서 한 쌍의 피봇 기구(11) 중 적어도 하나의 하부 손잡이(113)를 위로 올리면 피봇 기구(11)는 위로 이동하게 된다. 피봇 기구(11)의 상향 이동에 따라 피봇 기구(11)에 연결된 와이어에 매달린 무게추(17)는 아래로 이동하게 된다. 상부 손잡이(111)에 대한 사용자의 조작에 해서도 마찬가지로 동작한다. 다만, 하부 손잡이(113)는 사용자가 어깨 높이 이상으로 팔을 올려 잡히게 되는 반면, 상부 손잡이(111)는 사용자가 어깨 높이 아래로 팔을 내려 잡히게 된다. An example of the use of the upper body treatment apparatus shown in Figs. 7-9 will be described below. When the user bends his / her arms and pulls down the at least one lower knob 113 of the pair of pivot mechanisms 11, the pivot mechanism 11 moves downward. As the pivot mechanism 11 moves downward, the weight 17 hanging on the wire connected to the pivot mechanism 11 moves upward. Conversely, when the user unfolds his or her arms and lifts at least one lower knob 113 of the pair of pivot mechanisms 11 upward, the pivot mechanism 11 moves upward. As the pivot mechanism 11 moves upward, the weight 17 hanging on the wire connected to the pivot mechanism 11 moves downward. The same operation is performed by the user's operation on the upper knob 111. [ However, the lower knob 113 is held by the user by raising the arm over the shoulder height, while the upper knob 111 is lowered by the user down the shoulder height.

이와 같이, 사용자는 하부 손잡이(113) 또는 상부 손잡이(111) 중 어느 것을 이용하여 재활 훈련을 하느냐에 따라 팔과 어깨에 서로 다른 물리적 자극을 줄 수 있어 보다 다양한 상체 부위에 대한 재활 치료를 실시할 수 있다. 무엇보다도, 사용자는 하부 손잡이(113) 또는 상부 손잡이(111)를 상하 이동시킴과 동시에 회전시킴으로써 무게추(17)의 중력이 팔과 어깨에 물리적 자극을 가함과 동시에 탄성부재(109)의 탄성력이 손목에 물리적 자극을 가하게 되어 사용자의 한 번의 신체 동작만으로 팔 훈련과 손목 훈련이 동시에 이루어지게 된다. 사용자는 이러한 동작을 연속적으로 반복함으로써 단시간에 효율적으로 상체에 대한 재활 치료를 실시할 수 있다.In this way, the user can give different physical stimuli to the arm and shoulder according to the rehabilitation training using either the lower knob 113 or the upper knob 111, so that the user can perform rehabilitation treatment on more various upper body parts have. Above all, the user moves the lower knob 113 or the upper knob 111 up and down and simultaneously rotates so that the gravity of the weight 17 applies a physical stimulus to the arms and shoulders, and the elastic force of the elastic member 109 Physical stimulation is applied to the wrist so that the arm training and the wrist training can be performed at the same time with only one body motion of the user. The user can perform the rehabilitation treatment on the upper body efficiently in a short time by continuously repeating such an operation.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피봇 기구(300)의 분해도이고,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피봇 기구(300)의 사시도이고, 도 12는 도 10에 도시된 피봇 기구(300)의 평면도이고, 도 13은 도 10에 도시된 피봇 기구(300)의 정면도이다. 도 10-1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피봇 기구(300)는 하우징(301), 상부 베어링홀더(302), 상부 베어링(303), 메인 롤러(304), 롤러 플랜지(305), 하부 베어링(306), 하부 베어링홀더(307), 메인 샤프트(308), 탄성부재(309), 한 쌍의 가이드부재(310), 발판(311), 발판 베어링(312), 발판 샤프트(313), 발판 고정핀(314), 및 고정 파이프(315)로 구성된다. 도 10-13에 도시된 피봇 기구(300)는 주로 사용자의 한 번의 신체 동작만으로 다리 훈련과 발목 훈련이 동시에 가능한 하체 재활 치료 장치에 사용된다. 한편, 도 10-13에 도시된 피봇 기구(300)는 탄성부재(309)의 탄성력을 조절하기 위한 도 6에 도시된 피봇 기구(200)의 구성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Fig. 10 is an exploded view of a pivot mechanism 3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1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pivot mechanism 300 shown in Fig. 10, Fig. 1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pivot mechanism 300 13 is a front view of the pivot mechanism 300 shown in Fig. 10-13, the pivot mechanism 3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housing 301, an upper bearing holder 302, an upper bearing 303, a main roller 304, a roller flange 305, A lower bearing holder 307, a main shaft 308, an elastic member 309, a pair of guide members 310, a foot plate 311, a foot plate bearing 312, a foot plate shaft 313, A fixing pin 314, and a fixing pipe 315. The pivot mechanism 300 shown in Figs. 10-13 is mainly used for a lower body rehabilitation treatment apparatus capable of performing leg training and ankle training simultaneously with only one body motion of the user. Meanwhile, the pivot mechanism 300 shown in Figs. 10-13 may further include a configuration of the pivot mechanism 200 shown in Fig. 6 for adjusting the elastic force of the elastic member 309. [

상부 베어링홀더(302), 상부 베어링(303), 메인 롤러(304), 롤러 플랜지(305), 하부 베어링(306), 하부 베어링홀더(307), 한 쌍의 가이드부재(310), 및 탄성부재(309)는 하우징(301)의 내부에 위치하고, 발판(311), 발판 베어링(312), 발판 샤프트(313), 발판 고정핀(314)은 하우징(301)의 외부에 위치한다. 한편, 메인 샤프트(308)의 일부는 하우징(301)의 내부에 위치하고, 메인 샤프트(308)의 타부는 하우징(301)의 외부에 위치하여 메인 샤프트(308)는 하우징(301)의 내부에 위치하는 부품들과 하우징(301)의 외부에 위치하는 부품들을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 The upper bearing holder 302, the upper bearing 303, the main roller 304, the roller flange 305, the lower bearing 306, the lower bearing holder 307, the pair of guide members 310, The foot plate 311, the foot plate bearing 312, the foot plate shaft 313 and the foot plate fixing pin 314 are located outside the housing 301. The foot plate 311 is located inside the housing 301, The main shaft 308 is located inside the housing 301 and the other end of the main shaft 308 is located outside the housing 301 so that the main shaft 308 is positioned inside the housing 301 And the parts that are located outside the housing 301 are connected to each other.

하우징(301)의 내부에 위치한 상부 베어링홀더(302), 상부 베어링(303), 메인 롤러(304), 롤러 플랜지(305), 하부 베어링(306), 하부 베어링홀더(307), 한 쌍의 가이드부재(310), 및 탄성부재(309)는 도 1-4에 도시된 하우징(101)의 내부에 위치한 상부 베어링홀더(102), 상부 베어링(103), 메인 롤러(104), 롤러 플랜지(105), 하부 베어링(106), 하부 베어링홀더(107), 한 쌍의 가이드부재(110), 및 탄성부재(109)와 동일한 구성을 갖기 때문에 하우징(301)의 내부에 위치한 구성 요소들에 대한 설명은 하우징(101)의 내부에 위치한 구성 요소들에 대한 설명으로 갈음하기로 한다. 하우징(301)의 구성도 하우징(101)의 구성과 거의 동일하기 때문에 하우징(310)에 대한 설명은 하우징(101)에 대한 설명으로 갈음하기로 한다. An upper bearing 303, a main roller 304, a roller flange 305, a lower bearing 306, a lower bearing holder 307, a pair of guides (not shown) The member 310 and the elastic member 309 are connected to the upper bearing holder 102, the upper bearing 103, the main roller 104, the roller flange 105 A description of the components located inside the housing 301 because it has the same configuration as the lower bearing 106, the lower bearing holder 107, the pair of guide members 110, and the elastic member 109 The description of the components located inside the housing 101 will be omitted. Since the configuration of the housing 301 is almost the same as that of the housing 101, the description of the housing 310 will be omitted.

다만, 본 실시예에 따른 피봇 기구(300)에는 피봇 기구(100)와는 달리 상부 손잡이(111), 손잡이 플랜지(112) 등과 같이 하우징(301)의 상판 외부의 요소들은 존재하지 않는다. 이에 따라, 메인 샤프트(308)의 일단이 하우징(301)의 상판 외부로 노출될 필요가 없기 때문에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301)의 상판에는 메인 샤프트(308)가 삽입되어 회전되는 회전공이 존재하지 않는다. Unlike the pivot mechanism 100, the pivot mechanism 3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does not include elements outside the top plate of the housing 301 such as the upper handle 111, the handle flange 112, and the like. 10, one end of the main shaft 308 does not need to be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upper plate of the housing 301, so that the upper plate of the housing 301 is rotated with the main shaft 308 inserted therein, There is no major.

또한, 도 1-4에 도시된 피봇 기구(100)에서 이동 파이프(114)는 사용자의 팔의 움직임에 따라 상하 이동되는 이동부재였으나, 고정 파이프(315)는 사용자의 어떤 움직임에 따라 이동되지 않으며 하우징(301)의 상판과 하부 하판의 결합공에 삽입되어 고정된다. 고정 파이프(315)는 오로지 탄성부재(309)를 고정시키기 위한 용도로만 사용된다. 고정 파이프(315)는 상하 이동하기 위한 구성을 제외하고 나머지 구성은 이동 파이프(114)와 동일하기 때문에 고정 파이프(315)에 대한 설명은 이동 파이프(114)에 대한 설명으로 갈음하기로 한다. In addition, in the pivot mechanism 100 shown in Figs. 1-4, the moving pipe 114 is a moving member which is moved up and down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user's arm, but the fixing pipe 315 is not moved according to any movement of the user And is inserted and fixed in the coupling hole of the upper plate and the lower lower plate of the housing 301. The fixing pipe 315 is used solely for fixing the elastic member 309 only. Since the fixing pipe 315 has the same structure as that of the moving pipe 114 except for the up and down movement, the description of the fixing pipe 315 will be omitted from the description of the moving pipe 114.

또한, 메인 샤프트(308)의 하단도 발판(311)과의 결합을 위해 도 1-4에 도시된 메인 샤프트(108)와는 다른 형태를 갖는다. 즉, 메인 샤프트(308)의 하단에는 메인 샤프트(108)의 횡방향으로 발판(311)이 메인 샤프트(108)의 길이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회전공이 형성되어 있다. 메인 샤프트(308)의 회전공 위에는 발판(311)이 메인 샤프트(108)의 길이 방향으로 회전하지 못하도록 발판(311)을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공이 형성되어 있다.The lower end of the main shaft 308 also has a shape different from that of the main shaft 108 shown in Figs. 1-4 for coupling with the foot plate 311. That is, at the lower end of the main shaft 308, a rotation hole is formed so that the foot plate 311 can rotat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main shaft 108 in the lateral direction of the main shaft 108. A fixing hole for fixing the foot plate 311 is formed on the rotation shaft of the main shaft 308 to prevent the foot plate 311 from rotat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main shaft 108. [

발판(311)은 하우징(301) 외부에 노출된 메인 샤프트(308)의 하단에 연결되며 사용자의 발에 밀려 사용자의 다리의 움직임 및 발목의 움직임에 따라 상하 이동됨과 동시에 회전된다. 도 10-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판(311)은 사용자가 발을 밀어 올리면서 발목을 비틀기 용이하도록 발바닥 모양과 유사한 사각판 형태의 발판으로 구현될 수 있다. 특히, 본 실시예에서 발판(311)은 메인 샤프트(308)의 하단의 회전공과 회전 결합함으로써 사용자의 발목의 횡방향 회전에 따라 메인 샤프트(308)와 함께 메인 샤프트(308)의 횡방향으로 회전하고 사용자의 발목의 각도, 즉 길이 방향 회전에 따라 메인 샤프트(308)의 길이 방향으로 회전한다. The foot plate 311 is connected to the lower end of the main shaft 308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housing 301 and is pushed by the user's foot and is rotated up and down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user's legs and ankles. 10-13, the foot plate 311 may be embodied as a foot plate in the form of a rectangular plate similar to a sole for facilitating the user to twist the ankle while pushing up the foot. Particularly, in this embodiment, the foot plate 311 rotates in the lateral direction of the main shaft 308 together with the main shaft 308 in accordance with the lateral rotation of the user's ankle by rotationally engaging with the rotational shaft of the lower end of the main shaft 308, And rotate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main shaft 308 in accordance with the angle of the user's ankle, that is, the longitudinal rotation.

이러한 발판(311)의 다양한 회전 동작을 위해, 발판(311)은 사용자의 발바닥이 접촉하게 되는 사각판(311a), 메인 샤프트(308)의 하단과 회전 결합하는 한 쌍의 반원판(311b), 및 길이 방향 회전을 제한하기 위한 회전 제한판(311c)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판들은 일체형으로 성형되어 제작될 수도 있고 용접 결합될 수도 있다. 발판(311)의 한 쌍의 반원판(311b) 각각에는 발판(311)을 메인 샤프트(308)의 하단과 회전 결합시키기 위한 발판 샤프트(314)가 결합되는 결합공이 형성되어 있고, 이 결합공 위에는 발판(311)을 메인 샤프트(308)에 고정시키기 위한 발판 고정핀(314)이 삽입되는 삽입공이 형성되어 있다. The foot plate 311 includes a rectangular plate 311a to which the user's foot is to be contacted, a pair of semi-circular plates 311b to be rotatably engaged with the lower end of the main shaft 308, And a rotation restricting plate 311c for restricting rotat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se plates may be integrally molded or welded. Each of the pair of semicircular plates 311b of the foot 311 is provided with a coupling hole to which a footplate 311 for coupling the foot plate 311 to the lower end of the main shaft 308 is coupled, There is formed an insertion hole into which a footrest fixing pin 314 for fixing the footrest 311 to the main shaft 308 is inserted.

회전 제한판(311c)은 한 쌍의 반원판(311b) 사이에 일정 각도로 설치된다. 사용자의 발목의 길이 방향 회전에 따라 반원판(311b)이 어느 각도 이상 회전하면, 회전 제한판(311c)이 메인 샤프트(308)의 외주면에 닿게 되어 반원판(311b)의 회전, 즉 발판(311)의 길이 방향 회전이 더 이상은 불가능하게 된다. 이와 같이, 회전 제한판(311c)은 발판(311)의 길이 방향 회전의 폭을 제한함으로써 발목의 과도한 비틀림으로 인한 발목의 손상을 방지한다. 메인 샤프트(308)의 외주면에 닿게 되는 회전 제한판(311c)의 일면에는 고무패드 등을 덧댐으로써 회전 제한판(311c)이 메인 샤프트(308)의 외주면에 닿을 때의 충격이 감소되도록 할 수도 있다. The rotation restricting plate 311c is installed at a certain angle between the pair of semi-circular plates 311b. The rotation restricting plate 311c comes into contact with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main shaft 308 when the semi-circular plate 311b rotates more than a certain angle in accordance with the longitudinal rotation of the user's ankle and the rotation of the semi-circular plate 311b, Is no longer possible. Thus, the rotation restricting plate 311c restricts the width of rotation of the foot plate 311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reby preventing the ankle from being damaged due to excessive torsion of the ankle. A rubber pad or the like may be overlapped on one surface of the rotation restricting plate 311c that comes into contact with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main shaft 308 so that the impact when the rotation restricting plate 311c touches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main shaft 308 may be reduced .

메인 샤프트(108)의 하단의 회전공에는 발판 샤프트(314)가 이 회전공 내에서 부드럽게 회전되도록 하기 위한 발판 베어링(312)이 압입된다. 발판 베어링(312)은 원판 형태의 볼 베어링으로서 외륜은 메인 샤프트(308)의 하단의 회전공의 내면에 밀착 결합되고 내륜은 발판 샤프트(314)의 외주면에 밀착 결합된다. 도 10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르면, 2 개의 볼 베어링 각각이 메인 샤프트(308)의 하단의 회전공의 양단에 압입된다. A foot bearing 312 is press-fitted into the rotating shaft at the lower end of the main shaft 108 to smoothly rotate the foot shaft 314 in the rotary shaft. The footrest bearing 312 is a disk-shaped ball bearing, and the outer ring is tightly coupl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rotating shaft at the lower end of the main shaft 308 and the inner ring is tightly coupled to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footrest shaft 314. According to the embodiment shown in Fig. 10, each of the two ball bearings is press-fitted into both ends of the rotation hole at the lower end of the main shaft 308. [

발판 샤프트(313)는 발판(311)의 한 쌍의 반원판(311b)의 일측, 메인 샤프트(108)의 회전공에 압입된 발판 베어링(312), 발판(311)의 한 쌍의 반원판(311b)의 타측의 순서로 압입된다. 이에 따라, 발판(311)의 한 쌍의 반원판(311b)과 메인 샤프트(308)의 하단은 회전 결합된다. 발판 고정핀(314)은 발판(311)의 한 쌍의 반원판(311b)의 일측, 메인 샤프트(108)의 고정공, 발판(311)의 한 쌍의 반원판(311b)의 타측의 순서로 삽입되어 결합된다. 이에 따라, 발판(311)의 한 쌍의 반원판(311b)과 메인 샤프트(308)의 하단은 한 개의 축인 아닌 두 개의 축으로 결합하게 되어 더 이상 회전될 수 없게 된다. The foot shaft 313 includes a pair of half discs 311b of the footplate 311, a footplate bearing 312 pressed into the turn hole of the main shaft 108, a pair of half discs 311b of the footplate 311, 311b. Thus, the pair of semi-circular disks 311b of the foot plate 311 and the lower ends of the main shaft 308 are rotationally coupled. The pedestal fixing pins 314 are arranged in the order of one side of a pair of semi-circular plates 311b of the pedestal 311, a fixing hole of the main shaft 108, and a pair of semi-circular plates 311b of the pedestal 311 Respectively. Accordingly, the pair of half disk 311b of the foot plate 311 and the lower end of the main shaft 308 are coupled to each other by two axes other than one axis, so that they can no longer be rotated.

도 14는 도 10-13에 도시된 피봇 기구(300)의 발판 회전에 따른 피봇 기구(300)의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의 (a)를 참조하면, 메인 샤프트(308)에 가해지는 외력이 없는 상태에서 탄성부재(309)의 일단이 고정된 메인 롤러(304)의 외주면 상의 일 지점은 탄성부재(309)의 타단이 고정되는 하우징(301)의 내부 일 지점과 메인 롤러(304)의 외주면간의 최단 거리에 위치한다. 도 10-14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르면, 탄성부재(309)의 타단이 고정되는 하우징(301)의 내부 일 지점은 메인 롤러(304)의 외주면으로부터 최단 거리에 해당하는 고정 파이프(315)의 외주면 상의 지점이다. Fig. 14 is a view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pivot mechanism 300 according to the foot plate rotation of the pivot mechanism 300 shown in Figs. 10-13. 14A, one point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main roller 304 to which one end of the elastic member 309 is fixed in a state in which there is no external force applied to the main shaft 308, And is located at the shortest distance between one point of the inside of the housing 301 to which the other end is fixed and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main roller 304. 10-14, one point of the interior of the housing 301, to which the other end of the elastic member 309 is fixed, is connected to the fixed pipe 315 corresponding to the shortest distance from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main roller 304 Is a point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이에 따라, 메인 샤프트(308)에 가해지는 외력이 없는 상태에서 탄성부재(309)는 가장 이완된 상태에 놓이게 된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발판(311)을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킬 때나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킬 때나 발판(311)의 어떤 회전방향에 대해서도 회전각에 비례하는 힘이 동일하게 사용자의 발목에 가해지게 된다. 이것에 의해 사용자의 발목 근육에 대한 불균형한 물리적 자극이 방지되어 사용자의 발목 기능이 보다 빨리 회복 및 유지될 수 있게 된다.Thus, in a state in which there is no external force applied to the main shaft 308, the elastic member 309 is placed in the most relaxed state. 14, when the user rotates the foot plate 311 clockwise, counterclockwise, or in any direction of rotation of the foot plate 311, the force proportional to the rotation angle is equally applied to the user's ankle As shown in FIG. This prevents unbalanced physical stimulation of the user's ankle muscles and allows the user's ankle function to be recovered and maintained sooner.

도 14의 (b)를 참조하면, 발판 고정핀(314)은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분리될 수도 있고 삽입될 수도 있기 때문에 사용자는 발목의 각도 조절을 이용한 재활 치료가 필요한 경우에만 발판 고정핀(314)을 삽입하면 된다. 이와 같이, 발목을 다양한 각도로 굽히거나 세운 상태로 발목의 회전 운동을 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의 발목 손상을 고려한 가장 적절한 발목 각도에서 재활 치료를 실시할 수 있다. 기어, 체인 등과 같이 소음을 유발하고 제조단가가 높은 부품의 사용 없이 고무밴드, 롤러, 베어링 등과 같이 소음이 거의 없고 제조단가가 매우 낮은 부품들만을 사용한 단순한 구조의 피봇 기구(300)에 의해 이와 같은 발목 재활 치료가 이루어질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는 보다 쾌적한 환경에서 저렴한 비용으로 물리적인 재활 치료를 실시할 수 있다. 또한, 기어, 체인 등과 같은 부품과는 달리 고무밴드, 롤러, 베어링 등에는 윤활유가 거의 공급될 필요가 없기 때문에 하체 재활 치료 장치의 유지보수가 용이하다.14 (b), since the scoop pin 314 can be separated or inserted according to the user's need, the user can use the scoop pin 314 only when rehabilitation using the angle of the ankle is necessary ). In this way, since the ankle can be rotated by bending or standing the ankle at various angles, it is possible to perform the rehabilitation treatment at the most appropriate ankle angle considering the ankle damage of the user. A pivot mechanism 300 of a simple structure using only parts having little noise such as rubber bands, rollers, bearings and the like and having a very low manufacturing cost without using parts having a high manufacturing cost and causing noise like gears, chains, Since ankle rehabilitation can be performed, the user can perform physical rehabilitation at a lower cost in a more pleasant environment. In addition, unlike parts such as gears, chains, etc., it is not necessary to supply lubricating oil to rubber bands, rollers, bearings, etc., and maintenance of the lower body rehabilitation treatment apparatus is easy.

도 1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피봇 기구(300)가 적용된 하체 재활 치료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16은 도 15에 도시된 하체 재활 치료 장치의 정면도이고, 도 17은 도 15에 도시된 하체 재활 치료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15-17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하체 재활 치료 장치는 피봇 기구(21), 바디(22), 한 쌍의 가이드폴(23), 이동 프레임(24), 착석부(25), 및 등받이(26)로 구성된다. 피봇 기구(21)는 도 10-13에 도시된 피봇 기구(300)와 동일하며, 한 쌍의 가이드폴(23)에 의해 가이드되어 상하 이동한다. 이하에서는 피봇 기구(21)의 구성 요소에 대해 도 10에 도시된 도면 부호를 그대로 사용하기로 한다. 피봇 기구(21) 한 개로는 사용자의 다리 한쪽에 대해서만 훈련이 가능하며 양쪽 다리 모두에 대한 훈련을 위해 하체 재활 치료 장치에 한 쌍의 피봇 기구(300)가 적용될 수도 있다. FIG. 15 is a perspective view of a lower body rehabilitation treatment apparatus to which a pivot mechanism 3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FIG. 16 is a front view of the lower body rehabilitation treatment apparatus shown in FIG. 15, Which is a side view of the lower body rehabilitation treatment apparatus. 15-17, a lower body rehabilitation treatment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pivot mechanism 21, a body 22, a pair of guide pawls 23, a moving frame 24, a seating section 25, And a back (26). The pivot mechanism 21 is the same as the pivot mechanism 300 shown in Figs. 10-13, and is guided by the pair of guide pawls 23 to move up and down. Hereinafter, the components shown in Fig. 10 will be used as they are for the components of the pivot mechanism 21. Fig. One pivot mechanism 21 can be trained only for one leg of the user and a pair of pivot mechanisms 300 may be applied to the lower body rehabilitation treatment device for training both legs.

도 15-17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하우징(301)이 부착되어 하우징(301)과 함께 상하 이동하는 이동부재는 사용자의 다리의 움직임에 따라 상하 이동되는 이동 프레임(24)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발판(311)은 사용자의 발에 밀려 사용자의 다리의 움직임 및 발목의 움직임에 따라 상하 이동됨과 동시에 회전된다. 발판(311)의 상하 이동에 따라 이동 프레임(24)은 가이드폴(23)에 의해 가이드되어 사용자의 다리의 움직임에 따라 상하 이동되며, 이동 프레임(24)에 하우징(301)은 부착되어 이동 프레임(24)이 상하 이동되면 하우징(301)도 함께 상하 이동된다. 즉, 사용자의 다리의 움직임에 따라 피봇 기구(21)는 가이드폴(23)에 의해 가이드되어 상하 이동하게 된다.15-17, the moving member having the housing 301 attached thereto and moving upward and downward together with the housing 301 is the moving frame 24 which is moved up and down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user's legs. As described above, the foot plate 311 is pushed by the user's foot and is vertically moved and rotated at the same time in accordance with the movement of the user's legs and the ankles. The movable frame 24 is guided by the guide pawl 23 and moved up and down in accordance with the movement of the user's leg so that the housing 301 is attached to the movable frame 24, The housing 301 is also moved up and down together. That is, the pivot mechanism 21 is guided by the guide pawls 23 to move up and down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user's legs.

바디(22)는 하체 재활 치료 장치(20)가 설치된 공간의 바닥 또는 지면에 설치된다. 예를 들어, 도 15-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디(22)는 하체 재활 치료 장치(20)가 설치된 공간의 바닥 또는 지면에 수직으로 세워져 설치되는 2 개의 막대 형태의 수직 프레임(22a), 바닥 또는 지면에 설치되는 삼지창 형태의 하부 프레임(22b), 및 상단은 2 개의 수직 프레임(22a)의 각각의 상단에 결합되고 하단은 하부 프레임(22b)의 2 개의 사이드 지지대 상면에 결합되어 바닥 또는 지면에 대해 소정의 기울기로 기울어져 세워져 설치되는 경사 프레임(22c)으로 구성될 수 있다. 수직 프레임(22a), 하부 프레임(22b), 및 경사 프레임(22c)은 볼트, 너트 등과 같은 연결부재를 이용하여 결합될 수도 있고 용접으로 결합될 수도 있다. The body 22 is installed on the floor or the floor of the space where the lower body rehabilitation treatment apparatus 20 is installed. For example, as shown in Figs. 15-17, the body 22 includes two rod-shaped vertical frames 22a vertically installed on the floor or the floor of the space where the lower body rehabilitation apparatus 20 is installed, A lower frame 22b in the form of a trident formed on the floor or the ground and an upper end joined to the upper ends of the two vertical frames 22a and a lower end joined to upper surfaces of the two side supports 22b of the lower frame 22b, And an inclined frame 22c which is erected and tilted at a predetermined inclination with respect to the ground. The vertical frame 22a, the lower frame 22b, and the inclined frame 22c may be combined using a connecting member such as a bolt, a nut, or the like and may be welded together.

한 쌍의 가이드폴(23)은 바디(22)에 의해 지지되어 바닥 또는 지면에 대해 소정의 기울기로 기울어져 세워져 설치되며 이동 프레임(24)의 상하 이동을 가이드한다. 한 쌍의 가이드폴(23)은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은 원형 막대로서 바디(22)의 좌측에 의해 지지되는 좌측 가이드폴과 바디(22)의 우측에 의해 지지되는 우측 가이드폴을 포함한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좌측 가이드폴(23)의 일단은 경사 프레임(22c)의 상부 좌측단과 경사 프레임(22c)의 하부 좌측단 사이에 경사 프레임(22c)과 평행하게 부착된다. 우측 가이드폴(13)의 일단은 경사 프레임(22c)의 상부 우측단과 경사 프레임(22c)의 하부 우측단 사이에 평행하게 된다. 이와 같이, 하나가 아닌 일정 간격 이상 떨어진 한 쌍의 가이드폴(23)에 의해 이동 프레임(24)은 흔들림 없이 안정적으로 상하 이동할 수 있다. The pair of guide pawls 23 are supported by the body 22 and are erected and inclined at a predetermined inclination with respect to the floor or the ground to guide up and down movement of the movable frame 24. [ The pair of guide pawls 23 includes a left guide pole supported by the left side of the body 22 and a right guide pole supported by the right side of the body 22 as a circular rod as shown in Fig. More specifically, one end of the left guide pawl 23 is attached in parallel with the oblique frame 22c between the upper left end of the oblique frame 22c and the lower left end of the oblique frame 22c. One end of the right guide pawl 13 is parallel between the upper right end of the oblique frame 22c and the lower right end of the oblique frame 22c. As described above, the movable frame 24 can be stably moved up and down by a pair of guide pawls 23 that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or more without staggering.

이동 프레임(24)은 한 쌍의 가이드폴(23)에 의해 가이드되어 사용자의 다리의 움직임에 따라 상하 이동하며, 이것의 양측에는 각 가이드폴(23)이 끼워진 후에 슬라이딩되어 이동될 수 있는 통로가 형성되어 있다. 예를 들어,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프레임(24)은 사각판과 이것의 하면 양측에 결합되며 각 가이드폴(23)의 외경에 대응하는 통로가 형성되어 있는 막대 형태의 프레임들로 구현될 수 있다. 이동 프레임(24)의 통로에는 롤러 등이 장착되어 이동 프레임(24)이 가이드폴(23) 상에서 보다 부드럽게 슬라이딩되어 이동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이동 프레임(24)의 사각판의 하면에 무게추(미도시)가 장착될 수도 있고 이동 프레임(24) 자체가 무거운 소재로 제작될 수도 있다. 사용자는 이러한 이동 프레임(24)의 무게에 따른 중력에 대항하여 다리를 굽히거나 펴서 발판(311)을 상하 이동시킴으로서 다리 관절 부위를 물리적으로 치료할 수 있다.The movable frame 24 is guided by the pair of guide pawls 23 and moves up and down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user's legs. On both sides of the movable frame 24, a passage through which the guide pawls 23 are slidable Respectively. For example, as shown in Fig. 15, the moving frame 24 is a rod-shaped frame which is coupled to both sides of the rectangular plate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rectangular plate and has a passage corresponding to the outer diameter of each guide pawl 23 Can be implemented. A roller or the like may be mounted on the passage of the movable frame 24 so that the movable frame 24 can be moved more smoothly on the guide pawl 23. [ A weight (not shown) may be mount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rectangular plate of the moving frame 24, and the moving frame 24 itself may be made of a heavy material. The user can physically treat the leg joint part by bending or spreading the leg against gravity according to the weight of the movable frame 24 and moving the foot plate 311 up and down.

착석부(25)는 바디(22)의 하부 프레임(22b)의 중간 지지대에 장착되며 이것에 사용자가 앉을 수 있다. 등받이(26)는 바디(22)의 하부 프레임(22b)의 중간 지지대에 장착되며 사용자의 등을 받친다. 등받이(26)의 하단은 하부 프레임(22b)의 중간 지지대과 힌지 결합하여 사용자의 등을 받치는 등받이(530)의 각도가 조절될 수 있다. 사용자는 착석부(25)에 안자 등받이(26)에 기댄 상태로 발판(311)을 밀어 올리거나 내릴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의 다리와 발목 이외의 다른 부위에는 물리적 자극을 주지 않으면서 안전하게 사용자의 다리와 발목에 대한 치료를 실시할 수 있다. The seating portion 25 is mounted on the intermediate support of the lower frame 22b of the body 22 and the user can sit on it. The backrest 26 is mounted on the middle support of the lower frame 22b of the body 22 and supports the back of the user. The lower end of the backrest 26 is hinged to the middle support of the lower frame 22b so that the angle of the backrest 530 supporting the back of the user can be adjusted. The user can push up and down the foot plate 311 in the sitting position 25 while leaning against the backrest 26. This allows the user to safely move the foot 311 with the user's legs and ankle The ankle can be treated.

도 15-17에 도시된 하체 치료 장치의 사용례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사용자가 다리를 굽혀 피봇 기구(21)의 발판(311)을 아래로 내리면 피봇 기구(21)는 아래로 이동하게 된다. 피봇 기구(21)의 하향 이동에 따라 피봇 기구(21)가 부착된 이동 프레임(24)은 아래로 이동하게 된다. 반대로, 사용자가 다리를 펴서 피봇 기구(21)의 발판(311)을 위로 올리면 피봇 기구(21)는 위로 이동하게 된다. 피봇 기구(21)의 상향 이동에 따라 피봇 기구(21)가 부착된 이동 프레임(24)은 위로 이동하게 된다. 이와 같이, 사용자는 발판(311)을 상하 이동시킴과 동시에 가장 편안한 발목 각도에서 회전시킴으로써 이동 프레임(24)의 중력이 다리와 허벅지에 물리적 자극을 가함과 동시에 탄성부재(309)의 탄성력이 발목에 물리적 자극을 가하게 되어 사용자의 한 번의 신체 동작만으로 다리 훈련과 발목 훈련이 동시에 이루어지게 된다. 사용자는 이러한 동작을 연속적으로 반복함으로써 단시간에 효율적으로 하체에 대한 재활 치료를 실시할 수 있다. Examples of use of the lower body treatment apparatus shown in Figs. 15-17 are as follows. When the user bends the leg and lowers the foot plate 311 of the pivot mechanism 21, the pivot mechanism 21 moves downward. As the pivot mechanism 21 moves downward, the moving frame 24 to which the pivot mechanism 21 is attached moves downward. Conversely, when the user unfolds the legs and lifts the foot plate 311 of the pivot mechanism 21 upward, the pivot mechanism 21 moves upward. The moving frame 24 to which the pivot mechanism 21 is attached moves upward as the pivot mechanism 21 moves upward. In this way, the user can move the foot plate 311 up and down and rotate at the most comfortable ankle angle so that the gravity of the moving frame 24 applies a physical stimulus to the legs and thighs while the elastic force of the elastic member 309 is applied to the ankles Physical stimulation is applied, so that the leg exercises and the ankle exercises can be performed at the same time by only one body motion of the user. The user can perform the rehabilitation treatment for the lower body efficiently in a short time by continuously repeating such an operation.

도 18은 도 1-4에 도시된 피봇 기구(100)의 변형 실시예의 사시도이고, 도 19는 도 1-4에 도시된 피봇 기구(100)의 변형 실시예의 평면도이다. 도 18-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1-4의 이동 파이프(114)와 가이드폴 베어링(115)은 두 쌍의 이동 롤러(116)와 고정 샤프트(117)로 대체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이동 파이프(114)는 그것에 압입된 가이드폴 베어링(115)에 의해 가이드되어 가이드폴을 따라 상하 이동한다. 이러한 부재는 가이드폴을 따라 회전하는 상하 이동하는 두 쌍의 이동 롤러(116)와 이것을 하우징(101)에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 샤프트(117)로 대체될 수 있다. 가이드폴 베어링(115)의 내면이 가이드폴에 접촉하는 면적보다 두 쌍의 이동 롤러(116)의 회전면이 가이드폴에 접촉하는 면적이 작고, 두 쌍의 이동 롤러(116)의 회전에 의해 마찰력이 감소되기 때문에 도 1-4에 도시된 실시예에 비해 상하 이동에 따른 소음이 감소될 수 있다.FIG. 18 is a perspective view of a modified embodiment of the pivoting mechanism 100 shown in FIGS. 1-4 and FIG. 19 is a plan view of a modified embodiment of the pivoting mechanism 100 shown in FIGS. 1-4. As shown in Figs. 18-19, the moving pipe 114 and the guide pawl bearing 115 of Figs. 1-4 may be replaced by two pairs of moving rollers 116 and a fixed shaft 117. [ As described above, the moving pipe 114 is guided by the guide-pawl bearing 115 press-fitted into it, and moves up and down along the guide pawl. This member can be replaced by two pairs of moving rollers 116 moving up and down along the guide pawl and a fixing shaft 117 for fixing it to the housing 101. The area of contact between the guide poles of the two pairs of the moving rollers 116 is smaller than the area where the inner surfaces of the guide pole bearings 115 contact the guide poles. The noise due to up-and-down movement can be reduced as compared with the embodiment shown in Figs. 1-4.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preferred embodiments.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Therefore, the disclosed embodiments should be considered in an illustrative rather than a restrictive sens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rather than by the foregoing description, and all differences within the scope of equivalents thereof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present invention.

100, 200, 300 ... 피봇 기구
101, 301 ... 하우징
1011 ... 상판
1012 ... 두 개의 측판
1013 ... 상부 전판
1014 ... 하부 전판
1015 ... 상부 하판
1016 ... 하부 하판
1017 ... 후판
1018 ... 고리
102, 302 ... 상부 베어링홀더
103, 303 ... 상부 베어링
104, 304... 메인 롤러
105, 305 ... 롤러 플랜지
106, 306 ... 하부 베어링
107, 307 ... 하부 베어링홀더
108, 308 ... 메인 샤프트
109, 309 ... 탄성부재
110, 310 ... 한 쌍의 가이드부재
111 ... 상부 손잡이
112 ... 손잡이 플랜지
113 ... 하부 손잡이
114 ... 이동 파이프
115 ... 가이드폴 베어링
201(201a, 201b, 201c, 201d) ... 회전부재
202 ... 고정판
203 ... 스프링
10 ... 상체 재활 치료 장치
11(11a, 11b),21 ... 피봇 기구
12(12a, 12b, 12c), 22(22a, 22b, 22c) ... 바디
13(13a, 13b), 23 ... 한 쌍의 가이드폴
14 ... 와이어
15 ... 4 개의 와이어 롤러
16 ... 중간 롤러
17 ... 무게추
18, 25 ... 착석부
19 ... 무릎 지지부
311(311a, 311b, 311c) ... 발판
312 ... 발판 베어링
313 ... 발판 샤프트
314 ... 발판 고정핀
315 ... 고정 파이프
20 ... 하체 재활 치료 장치
24 ... 이동 프레임
26 ... 등받이
100, 200, 300 ... pivot mechanism
101, 301 ... housing
1011 ... top plate
1012 ... two shrouds
1013 ... upper front plate
1014 ... lower front plate
1015 ... upper bottom plate
1016 ... lower plate
1017 ... plate
1018 ... ring
102, 302 ... upper bearing holder
103, 303 ... upper bearing
104, 304 ... main roller
105, 305 ... roller flange
106, 306 ... lower bearing
107, 307 ... lower bearing holder
108, 308 ... main shaft
109, 309 ... elastic member
110, 310 ... a pair of guide members
111 ... upper handle
112 ... handle flange
113 ... Lower handle
114 ... Movable pipe
115 ... Guide Pole Bearings
201 (201a, 201b, 201c, 201d)
202 ... fixed plate
203 ... spring
10 ... upper body rehabilitation treatment device
11 (11a, 11b), 21 ... pivot mechanism
12 (12a, 12b, 12c), 22 (22a, 22b, 22c)
13 (13a, 13b), 23 ... a pair of guide poles
14 ... wire
15 ... Four wire rollers
16 ... intermediate roller
17 ... weight chest
18, 25 ... seat portion
19 ... knee support
311 (311a, 311b, 311c)
312 ... footbed bearing
313 ... footstep shaft
314 ... Scaffold fixing pin
315 ... fixed pipe
20 ... lower body rehabilitation treatment device
24 ... movement frame
26 ... backrest

Claims (9)

재활 치료 장치에 사용되는 피봇 기구에 있어서,
사용자의 제 1 신체 부위의 움직임에 따라 상하 이동되는 재활 치료 장치의 이동부재에 부착되어 상기 이동부재의 이동에 따라 상하 이동되는 박스 형태의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일면에 형성된 회전공에 삽입되어 사용자의 제 2 신체 부위의 움직임에 따라 가해지는 외력에 의해 회전공의 중심을 축으로 하여 회전하는 메인 샤프트;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위치하며 상기 메인 샤프트에 고정되어 상기 메인 샤프트의 회전에 따라 상기 메인 샤프트를 중심축으로 하여 회전하는 메인 롤러;
일단은 상기 메인 롤러의 일 지점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하우징의 내부 일 지점에 고정되며 상기 메인 롤러의 회전에 따라 신장 또는 수축되어 일부가 상기 메인 롤러에 감기게 되는 스트링(string) 형태의 탄성부재; 및
상기 메인 롤러의 일 지점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 일 지점 사이에 존재하는 탄성부재의 직선형 부분의 길이 방향의 양측에 대칭 위치하여 상기 탄성부재를 상기 메인 롤러 쪽으로 누름으로써 상기 탄성부재가 상기 메인 롤러에 밀착되어 감길 수 있도록 상기 탄성부재의 감김을 가이드하는 한 쌍의 가이드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메인 롤러는 상기 탄성부재가 길이 방향으로 감길 수 있는 원형의 외주면을 갖고, 상기 메인 샤프트에 가해지는 외력이 없는 상태에서 상기 탄성부재의 일단이 고정된 메인 롤러의 외주면 상의 일 지점은 상기 탄성부재의 타단이 고정되는 하우징의 내부 일 지점과 상기 메인 롤러의 외주면간의 최단 거리에 위치하고,
상기 메인 샤프트에 가해지는 외력에 의해 상기 메인 롤러가 회전하면 상기 메인 롤러에 상기 탄성부재가 신장되어 감기고, 상기 메인 샤프트에 가해지는 외력이 사라짐에 따라 상기 탄성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회전의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상기 메인 롤러가 회전하면 상기 탄성부재의 감김이 풀리면서 상기 탄성부재가 수축되어 신장되지 않은 상태로 돌아오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봇 기구.
A pivot mechanism for use in a rehabilitation treatment apparatus,
A box-shaped housing attached to a moving member of the rehabilitation apparatus moved up and down according to a movement of a user's first body part and moved up and down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moving member;
A main shaft inserted into a rotation hole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housing and rotated about the center of the rotation hole by an external force exerted by the movement of the user's second body part;
A main roller disposed inside the housing and fixed to the main shaft and rotating with the main shaft as a central axis in accordance with rotation of the main shaft;
Shaped elastic member, one end of which is fixed to one point of the main roller and the other end of which is fixed to one point of the inside of the housing and is extended or contracted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main roller, ; And
The elastic member is positioned symmetrically with respect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linear portion of the elastic member existing between the one point of the main roller and the inner point of the housing to push the elastic member toward the main roller, And a pair of guide members for guiding the winding of the elastic member so as to be wound,
Wherein the main roller has a circular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n which the elastic member can be wou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one point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main roller to which one end of the elastic member is fixed in the state that there is no external force applied to the main shaft, Is located at a shortest distance between an inner point of the housing where the other end of the housing is fixed and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main roller,
When the main roller is rotated by an external force applied to the main shaft, the elastic member is stretched and wound on the main roller, and as the external force applied to the main shaft disappears, the direction of rotation Wherein when the main roller is rotated in the opposite direction, the elastic member is unwound and the elastic member is retracted to return to a non-stretched sta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상판과 하판 각각에 형성된 서로 대향하는 한 쌍의 결합공에 삽입되어 사용자의 외력에 의해 상기 한 쌍의 결합공의 중심들을 잇는 중심선을 축으로 하여 회전하는 회전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탄성부재가 고정되는 하우징의 내부 일 지점은 상기 회전부재의 외주면 상에 위치하여 상기 회전부재가 회전하면 상기 회전부재의 외주면에 상기 탄성부재의 타부가 감김으로써 상기 메인 롤러에 감기는 탄성부재의 탄성력이 증가되고, 상기 회전부재의 외주면에 상기 탄성부재의 타부가 감긴 길이만큼 탄성력이 증가된 탄성부재의 일부는 상기 메인 롤러의 회전에 따라 상기 메인 롤러에 감기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봇 기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rotating member which is inserted in a pair of coupling holes opposed to each other formed on the upper plate and the lower plate of the housing and rotates about a center line connecting the centers of the coupling holes by an external force of the user,
Wherein the elastic member is fix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otary member, and when the rotary member is rotated, the elastic member is woun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elastic member, Wherein a part of the elastic member whose elasticity is increased and whose elasticity is increased by the length of the other part of the elastic member is woun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rotary member is wound on the main roller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main roller.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재에는 다수의 돌출부들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돌출부들에 맞물리는 요입부들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회전부재에 상기 돌출부들과 상기 요입부들이 맞물릴 수 있는 임계 간격 이하로 근접할 때에 상기 회전부재와 맞물림으로써 상기 회전부재를 고정시키는 고정판; 및
상기 회전부재와 상기 고정판 사이에 삽입되어 상기 회전부재에 상기 고정판을 밀착시키는 방향으로 복원력이 작용하는 스프링을 더 포함하고,
상기 스프링의 복원력에 대항하여 사용자에 의해 상기 회전부재가 상기 고정판으로부터 상기 임계 간격을 초과하여 이격되면 상기 회전부재가 회전 가능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봇 기구.
5. The method of claim 4,
A plurality of protrusions are formed on the rotating member,
A fixing plate for fixing the rotation member by engaging with the rotation member when the projection is in contact with the rotation member at a distance equal to or less than a critical distance at which the projection and the projection are engaged with each other; And
Further comprising a spring interposed between the rotary member and the fixed plate to apply a restoring force in a direction to bring the fixed plate into close contact with the rotary member,
Wherein the rotating member is rotatable when the rotating member is spaced apart from the fixed plate by more than the critical distance by the user against the restoring force of the spring.
제 1 항의 피봇 기구가 적용된 상체 재활 치료 장치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제 1 항의 피봇 기구;
상기 상체 재활 치료 장치가 설치된 공간의 바닥 또는 지면에 설치되는 바디; 및
상기 바디에 의해 지지되어 상기 바닥 또는 지면에 수직으로 세워져 설치되는 가이드폴을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피봇 기구 각각은 상기 하우징 외부에 노출된 메인 샤프트의 일단에 고정되며 사용자의 손에 잡혀 사용자의 팔의 움직임 및 손목의 움직임에 따라 상하 이동됨과 동시에 회전되는 손잡이;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폴에 의해 가이드되어 사용자의 팔의 움직임에 따라 상하 이동하는 이동부재를 더 포함하는 상체 재활 치료 장치.
10. An upper body rehabilitation treatment apparatus to which the pivot mechanism of claim 1 is applied,
At least one pivoting mechanism of claim 1;
A body installed on a floor or a floor of a space in which the upper body rehabilitation apparatus is installed; And
And a guide pole supported by the body and vertically installed on the floor or the ground,
Wherein each of the at least one pivot mechanism is fixed to one end of a main shaft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housing and is held in a user's hand and rotated up and down according to movement of a user's arm and wrist; And
Further comprising a moving member that is guided by the at least one guide pole and moves up and down according to movement of a user's arm.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폴은 상기 바디의 좌측에 의해 지지되는 좌측 가이드폴과 상기 바디의 우측에 의해 지지되는 우측 가이드폴을 포함하고,
상기 피봇 기구는 상기 좌측 가이드폴에 의해 가이드되어 상하 이동하는 좌측 피봇 기구와 상기 우측 가이드폴에 의해 가이드되어 상하 이동하는 우측 피봇 기구를 포함하고,
일단은 상기 좌측 피봇 기구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우측 피봇 기구에 연결되는 와이어; 및
상기 와이어에 매달려 상기 좌측 피봇 기구의 상하 이동 및 상기 우측 피봇 기구의 상하 이동에 따라 상하 이동되는 무게추를 더 포함하는 상체 재활 치료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guide pawl includes a left guide pawl supported by a left side of the body and a right guide pawl supported by a right side of the body,
Wherein the pivot mechanism includes a left pivot mechanism guided by the left guide pole and moving up and down and a right pivot mechanism guided by the right guide pole to move up and down,
A wire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left pivot mechanism and the other end connected to the right pivot mechanism; And
Further comprising a weight attached to the wire to move up and down the left pivot mechanism and move up and down according to the upward and downward movement of the right pivot mechanism.
제 1 항의 피봇 기구가 적용된 하체 재활 치료 장치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제 1 항의 피봇 기구;
상기 하체 재활 치료 장치가 설치된 공간의 바닥 또는 지면에 설치되는 바디;
상기 바디에 의해 지지되어 상기 바닥 또는 지면에 대해 소정의 기울기로 기울어져 세워져 설치되는 가이드폴;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폴에 의해 가이드되어 사용자의 다리의 움직임에 따라 상하 이동하는 이동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피봇 기구 각각은 상기 하우징 외부에 노출된 메인 샤프트의 일단에 연결되며 사용자의 발에 밀려 사용자의 다리의 움직임 및 발목의 움직임에 따라 상하 이동됨과 동시에 회전되는 발판을 포함하는 하체 재활 치료 장치.
A lower body rehabilitation treatment apparatus to which the pivot mechanism of claim 1 is applied,
At least one pivoting mechanism of claim 1;
A body installed on a floor or a floor of a space in which the lower body rehabilitation apparatus is installed;
A guide pole supported by the body and erected at a predetermined inclination with respect to the floor or the ground; And
And a moving member that is guided by the at least one guide pole and moves up and down according to a movement of a user's leg,
Each of the at least one pivot mechanism is connected to one end of a main shaft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housing. The at least one pivot mechanism includes a foot which is pushed by a user's foot and is rotated up and down according to movement of a user's legs and ankles, Device.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발판과 연결되는 메인 샤프트의 일단에는 상기 메인 샤프트의 횡방향으로 회전공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발판은 상기 메인 샤프트의 일단의 회전공과 회전 결합함으로써 사용자의 발목의 횡방향 회전에 따라 상기 메인 샤프트와 함께 상기 메인 샤프트의 횡방향으로 회전하고 사용자의 발목의 길이 방향 회전에 따라 상기 메인 샤프트의 길이 방향으로 회전하는 하체 재활 치료 장치
9. The method of claim 8,
A rotation hole is formed in one end of the main shaft connected to the foot plate in the lateral direction of the main shaft,
The footrest is rotated in the lateral direction of the main shaft together with the main shaft according to the lateral rotation of the user's ankle by rotationally engaging with the rotational shaft of the one end of the main shaft, Lower body rehabilitation treatment device rotat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KR1020140092787A 2014-07-22 2014-07-22 Pivot mechanism and rehabilitation apparatus using the same KR10155305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2787A KR101553051B1 (en) 2014-07-22 2014-07-22 Pivot mechanism and rehabilitation apparatus us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2787A KR101553051B1 (en) 2014-07-22 2014-07-22 Pivot mechanism and rehabilitation apparatus using the sam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53051B1 true KR101553051B1 (en) 2015-09-15

Family

ID=542482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92787A KR101553051B1 (en) 2014-07-22 2014-07-22 Pivot mechanism and rehabilitation apparatus us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53051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779799B2 (en) 2020-11-12 2023-10-10 Proteus Motion Inc. Exercise handl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7827B1 (en) 2004-12-28 2008-03-31 가부시키가이샤 월드 윙 엔터프라이즈 Training apparatu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7827B1 (en) 2004-12-28 2008-03-31 가부시키가이샤 월드 윙 엔터프라이즈 Training apparatu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779799B2 (en) 2020-11-12 2023-10-10 Proteus Motion Inc. Exercise handl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167163B2 (en) Leg rehabilitation exercise apparatus
CN101415387B (en) Training device for physical therapy
JP3180637U (en) stretcher
US11058915B2 (en) Neckpillow
CN105641872A (en) Critical patient exercise device
KR20160107133A (en) Shoulder exercise equipment
JP2014528272A (en) Additive and sphincter reinforced composite exercise equipment
US9302150B2 (en) Training apparatus
KR101477957B1 (en) Apparatus for exercising trunk of human body
KR101252723B1 (en) Sliding sport apparatus to intensify lower body
KR101730089B1 (en) Sphincter exercise equipment
KR101553051B1 (en) Pivot mechanism and rehabilitation apparatus using the same
KR101776936B1 (en) Device for stretching ankles and calves
JP3112700U (en) Leg exercise equipment
JP2012192107A (en) Muscular force training device
KR101578447B1 (en) Lower body exercise equipment
KR101668041B1 (en) Sphincter training apparatus
KR101419187B1 (en) Arm exercising apparatus for rotator cuff
KR101974454B1 (en) Multi-purposed exercise apparatus
JP3145983U (en) A device for both walking and opening / closing movement
KR101239994B1 (en) Athletic apparatus
JP2017086725A (en) Chair with seat surface position adjustment mechanism
KR101632273B1 (en) Exercising Apparatus for the Lower Part
KR102252959B1 (en) Multi-function sporting equipment
KR101568617B1 (en) Rotation exercise equip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31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