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52744B1 - 중계국에서 시간 계산을 송신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중계국에서 시간 계산을 송신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52744B1
KR101552744B1 KR1020107015840A KR20107015840A KR101552744B1 KR 101552744 B1 KR101552744 B1 KR 101552744B1 KR 1020107015840 A KR1020107015840 A KR 1020107015840A KR 20107015840 A KR20107015840 A KR 20107015840A KR 101552744 B1 KR101552744 B1 KR 1015527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relay
station
time
transmission ti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158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96250A (ko
Inventor
하비쉬 쿠레파티
알리 에스. 캬이랄라
Original Assignee
텔레폰악티에볼라겟엘엠에릭슨(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텔레폰악티에볼라겟엘엠에릭슨(펍) filed Critical 텔레폰악티에볼라겟엘엠에릭슨(펍)
Publication of KR201000962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962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527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527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6/00Synchronisation arrangements
    • H04W56/004Synchronisation arrangements compensating for timing error of reception due to propagation delay
    • H04W56/0045Synchronisation arrangements compensating for timing error of reception due to propagation delay compensating for timing error by altering transmission tim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14Relay systems
    • H04B7/15Active relay systems
    • H04B7/155Ground-based stations
    • H04B7/15592Adapting at the relay station communication parameters for supporting cooperative relaying, i.e. transmission of the same data via direct - and relayed path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6/00Synchronisation arrangements
    • H04W56/0005Synchronisation arrangements synchronizing of arrival of multiple uplin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Radio Relay Systems (AREA)

Abstract

기지국(110) 및 이동국(130) 사이의 통신들은 중계국(120)을 사용함으로써 개선된다. 중계국으로부터 중계되는 신호들의 송신 타이밍은 기지국(110) 및 중계국(120)으로부터의 신호들이 사전 결정된 오차 한계 내에서 서로 정렬되어 이동국(130)에 도달한다.

Description

중계국에서 시간 계산을 송신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TRANSMIT TIME COMPUTATION AT RELAY STATION}
본 명세서의 양상은, 각각의 신호들이 이동국에 실질적으로 동시에 도달하도록, 기지국으로부터 그리고 중계국으로부터의 통신 신호 송신들을 타이밍(timing)하기 위한 시스템들 및 방법들에 관한 것이다.
중계국(relay station)을 사용하여 기지국 및 이동국 사이의 통신을 개선하는 기술들이 연구되어 왔다. 중계국은 시스템 내의 커버리지(coverage) 및 처리량을 개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중계국은 매우 불량한 신호 상태들을 체험할 수 있는 이동국과 통신할 때 기지국을 보조할 수 있어서, 네트워크 내의 커버리지가 개선되도록 한다. 처리량 개선들은 일반적으로 이동국으로의 링크의 용량을 증가시킴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중계국을 사용하여 통신들을 개선하는 하나의 특정 기술은 "협력 중계(cooperative relaying)"로서 칭해지는데, 이는 기지국 및 중계국으로부터 송신된 신호들의 이동국에서의 동시 수신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순환 지연 다이버시티(cyclic delay diversity)가 직교 주파수 분할 멀티플렉싱(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OFDM) 시스템에서 사용될 수 있고, 상기 시스템에서 중계국으로부터의 신호는 기지국으로부터의 신호의 순환 지연 버전이다. 이와 같은 기술들은 일반적으로 대략 동시에 이동국에 도착하는 기지국 및 중계국으로부터의 신호에 좌우되는데, 왜냐하면 임의의 시간 오정렬(misalignment)이 충분히 작아서 이동국의 수신기에 의해 수용되기 때문이다.
일반적으로, 중계국으로부터의 송신들은 이동국에서의 기지국으로부터의 송신들과 일치하고, 전파 거리 차이들로 인한 도착시간의 임의의 불일치들은 너무 작아서 어떤 특정한 문제들을 발생시키지 않는다고 가정한다. 예를 들어, OFDM 시스템에서, 기지국 및 중계국 신호들 사이의 이동국에서의 도착시간 차이는 송신의 순환 전치(cyclic prefix) 부분보다 더 작다고 일반적으로 가정한다.
신호들을 동시에 도착하도록 하는 이 목적을 달성하는 하나의 방법은 중계국에서의 신호 송신 시간을 중계국이 기지국으로부터 신호를 수신할 시간으로 설정하는 것이다. 이 예에서, 오정렬은 중계국 및 이동국 사이의 거리가 증가할수록 작아지게 되고, 이때 중계 및 이동국들이 같은 장소에 위치하면 완벽한 정렬이 달성된다.
두번째 해법은 중계국이 이동국에 대한 정확한 송신 시간을 계산할 수 있도록, 이동국이 시그널링 및 중계국과의 통신을 포함한 레인징 프로세스(ranging process)를 진행하는 것이다. 중계국은 신호를 이동국에 송신하여 이동국은 상기 신호의 도착시간을 측정하여 그것을 기지국으로부터의 송신의 도착시간과 비교할 수 있다. 그리고나서 이동국은 필요한 송신 시간에서의 정정을 다시 중계국으로 시그널링한다.
제 1 해법의 경우에, 도착시간의 차이가 충분히 작아서 성능이 영향을 받지 않는다는 가정은 모든 상황들에서 반드시 사실은 아니다. 기지국(110) 및 이동국들(130-1 및 130-2)에 통신 서비스들을 제공하는 중계국(120)을 포함하는 예시적인 무선 네트워크(100)를 도시하는 도 1에 도시된 시나리오 1을 고려하자. 또한 기지국(110), 중계국(120) 및 이동국들(130) 사이의 통신 링크들이 도시된다. 기지국(110) 및 중계국(120) 사이의 링크 상의 값(DBS)은 기지국(110)으로부터 중계국(120)으로 발생하는 신호의 전파 지연을 나타낸다. 각 지연 값의 첨자 문자는 상기 지연이 변수로 나타내는 링크 및 방향을 언급한다. 링크들의 전파 지연은 비가시선 효과를 포함한다고 가정된다. 또한, 전파 지연은 주로 환경의 작용이므로, 링크의 방향은 전파 지연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예를 들어, 기지국(110) 및 제 1 이동국(130-1) 사이의 전파 지연은 신호가 기지국(110)으로부터 이동국(130)으로, 또는 그 역으로 송신되는지 간에, 동일하다(즉, DBM = DMB).
전형적으로, 중계국(120)은 양 이동국들(130)을 향해 동시에 신호를 송신한다. 양 이동국들(130)이 중계국(120)으로부터 동일한 거리에 있을 확률은 매우 낮다. 그러므로, 중계국(120) 및 각각의 이동국들(130-1 및 130-2) 사이의 전파 지연들은 동일하지 않은, 즉 DRM ≠ DRM2이다. 그러므로, 중계국(120)이 양 이동국들(130)에 대하여 동일한 송신 시간을 사용한다면, 기지국(110) 및 중계국(120)으로부터의 송신이 이동국들(130)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해 정렬되지 않을 것이다. 이 문제는 이동국들(130)이 증가할수록 심화된다.
큰 셀에 대해서, 중계국(120) 및 이동국(130) 사이의 거리들은 대략 600 미터 이상일 수 있다. 이는 2 마이크로초의 전파 지연에 해당한다. 기지국(110) 및 중계국(120)에 관한 이동국(130)의 위치에 따라, ±2 마이크로초까지의 타이밍 오정렬의 결과가 발생한다. 약 4.69 마이크로초의 순환 전치 주기를 갖는 롱텀 에볼루션(Long Term Evolution: LTE) 시스템의 경우, 이는 중계국 이동국 채널의 지연 확산에 대하여 남은 여유가 현저하게 적을 것이다. 채널이 3 마이크로초의 경로 지연을 갖는다면, 이동국(130)이 중계국(120) 및 기지국(110)으로부터 결합된 신호를 수신할 때 경로는 순환 전치 주기에 포함되지 않을 것이다. 그러므로 제 1 해법은 불충분하다.
이동국(130) 및 중계국(120) 사이의 레인징 프로세스를 사용하는 제 2 해법의 단점은, 중계국(120)이 시스템 내의 프레임 구조(frame structure) 및 시그널링에 대한 최소 충격을 갖는 간소화된 시스템 해법들을 상기 해법이 배제한다는 것이다. 이동국은 새로운 기능 및 새로운 시그널링 메시지들을 구현할 필요가 있으므로, 오래된 이동국들과 작동하는 방식에 있는 레거시 시스템(legacy system)으로 중계국을 통합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이는 일부의 경우들에 중계국들의 사용의 이점들을 제한한다. 심지어 레거시 이동국들에 대한 그와 같은 호환성 요건이 존재하지 않는 시스템의 경우, 그와 같은 제어 절차들은 귀중한 시스템 자원들을 소비할 수 있다. 즉, 이 해법은 시스템의 복잡성을 심하게 증가시킬 수 있다.
실시예에서, 이동국(130)과 통신하는 방법이 개시된다. 상기 방법에서, 네트워크의 기지국(130)으로부터의 통신 신호(Sc)는 상기 네트워크의 중계국(120)에서 수신된다. 상기 신호(Sc)는 중계되는 신호(SR)로서 상기 중계국(120)으로부터 상기 이동국(130)으로 중계될 것이다. 상기 방법은 중계 송신 시간(tRM)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신호(SR)를 시간(tRM)에서 상기 중계국(120)으로부터 상기 이동국(130)으로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기지국(110)으로부터의 신호(Sc)는 또한 상기 이동국(130)으로 송신된다. 상기 중계 송신 시간(tRM)은 상기 중계국(120)으로부터의 상기 신호들(SR) 및 상기 기지국(110)으로부터의 신호(Sc)가 상기 이동국(130)에서 서로에 대해 사전 결정된 시간기간 내에 도달하도록 결정된다. 상기 사전 결정된 시간기간은, 예를 들어 협력 중계 기술들을 사용함으로써, 상기 이동국이 데이터 레이트(rate) 이득들을 달성 가능하다고 인식할 수 있음을 보장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하나의 양상에서, 신호들(Sc 및 SR)은 각각 하나 이상의 신호 프레임들 내에서 송신되고, 상기 시간(tRM)은, 상기 신호들(Sc 및 SR)의 프레임 경계들이 상기 이동국(130)에서 서로에 대하여 상기 사전 결정된 시간기간 내에 정렬되도록 결정된다. 각각의 신호 프레임은 보호기간 및 송신기간을 포함한다. 송신은 상기 송신기간 동안에 발생한다. 상기 사전 결정된 시간기간의 지속기간이 상기 보호기간의 지속기간과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으나, 상기 사전 결정된 시간기간은 상기 보호기간의 지속기간보다 더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시간(tRM)은 상기 신호(Sc)의 보호기간이 상기 이동국(130)에서 상기 신호(SR)의 보호기간의 적어도 일부를 오버랩(overlap)하도록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도, 상기 신호들(Sc 및 SR)의 프레임 경계들은 완전하게 정렬되고, 특히 상기 신호들의 보호기간들은 완전하게 오버랩된다.
더욱이, 상기 중계국(120)으로부터 중계되는 신호(SR)는 상기 기지국(110)으로부터의 통신 신호(Sc)의 프레임 지연 버전일 수 있어서 SR(n)=Sc(n-k)이다. 여기서 SR(n)은 시간프레임 n에서의 상기 중계되는 신호(SR)의 값을 나타내고, Sc(n-k)는 n 이전으로의 k 번째 수의 시간 프레임에서의 신호(Sc)의 값을 나타내고, k는 정수≥1이다.
다른 양상에서, 양 신호들(Sc 및 SR)은 OFDM 신호들로서 송신되고, 상기 중계 송신 시간(tRM)은 상기 신호들(Sc 및 SR)의 상기 시간 도메인 버스트(domain burst) 경계들이 상기 이동국(130)에서 서로에 대하여 상기 사전 결정된 시간기간 내에 정렬되도록 결정된다. 상기 사전 결정된 시간기간의 지속기간은 상기 신호들의 상기 순환 전치 기간의 지속기간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지만,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상기 시간(tRM)은 상기 신호(Sc)의 상기 순환 전치 기간이 상기 이동국(130)에서 상기 신호(SR)의 상기 순환 전치 기간의 적어도 일부를 오버랩하도록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상기 신호들의 시간 도메인 버스트 경계들이 완전하게 정렬되고 상기 신호들의 순환 전치 기간들이 완전하게 오버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중계되는 OFDM 심볼(SR)은 상기 통신 신호 OFDM 심볼(Sc)의 주기적으로 지연되는 버전일 수 있어서 SR(n)=Sc(n-k)이다. 여기서, SR(n)은 시간 n에서의 상기 신호(SR)의 값을 나타내고, Sc(n-k)는 순환 방식으로 결정된 k 번째 수의 샘플들에 의해 상쇄되는 시간 n에서의 신호(Sc)의 값을 나타내고, k는 정수이다.
상기 지연 송신 시간(tRM)을 결정하는 예시적인 단계가 개시된다. 상기 동작은 양들(rBR, DBR, rMR, K1, K2 및 K3)을 결정하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 양(rBR)은 상기 중계국(120)에서의 상기 기지국으로부터의 신호(Sc)의 수신 시간을 나타내고, 상기 양(DBR)은 상기 기지국(110) 및 상기 중계국(120) 사이의 신호 전파 지연을 나타내고, 상기 양(rMR)은 상기 중계국(120)에서의 상기 이동국(130)으로부터의 신호(SM)의 수신 시간을 나타내고, K1, K2 및 K3는 상기 중계국(120), 상기 기지국(110), 및 상기 이동국(130) 각각으로부터 송신들의 타이밍들과 관련된 상수들이다. 이 상수들은 상기 통신 시스템의 상기 프레임 구조에 의해 부과될 수 있다. 상기 동작은 상기 결정된 양들에 기반하여 상기 중계 송신 시간(tRM)을 계산하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 양들(rBR, DBR, rMR)은 상기 중계국(120)에 의해 직접적으로 측정되거나 결정된다. 중계 송신 시간(tRM)의 예시적인 계산은
Figure 112010045974037-pct00001
로 표현된다. 실시예에서, 상기 네트워크는 상기 양들(K1, K2 및 K3) 중 하나 이상이 실질적으로 0과 같도록, 즉 무시될 수 있도록 설정 또는 동작한다.
복수의 이동국들과 통신하는 예시적인 방법이 개시된다. 이 방법에서, 네트워크의 기지국(110)으로부터의 통신 신호(Sc)는 네트워크의 중계국(120)에서 수신된다. 각각의 이동국(130)에 대해서, 대응하는 중계 송신 시간(tRM)이 결정된다. 개별 중계 송신 시간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술한 바와 같은 예시적인 방법에 기반할 수 있다. 복수의 개별 중계 송신 시간들에 기반하여, 가장 양호하게 적합한 중계 송신 시간(tRM)이 결정되고 상기 중계되는 신호(SR)는 상기 시간(tRM - BEST)에 상기 복수의 이동국들로 송신된다. 상기 시간(tRM - BEST)은 서로에 대해 사전 결정된 시간기간 내에서 신호(SR) 및 신호(Sc)를 수신하는 이동국들의 수가 최적화되도록 결정된다. 다시, 사전 결정된 시간기간은 상기 이동국들이 예를 들어 협력 중계 기술을 사용하여, 데이터 레이트 이득들이 달성 가능하다고 인식할 수 있음을 보장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하나의 양상에서, 상기 시간(tRM - BEST)은 상기 이동국들의 개별 중계 송신 시간들의 범위를 오버랩하는 시간 윈도(window)의 중간 지점으로 설정되어 상기 시간 윈도 내에 해당하는 다수의 중계 송신 시간들이 최소화되도록 한다. 상기 시간 윈도의 지속기간은 상기 사전 결정된 기간과 등가일 수 있다. 가장 양호하게 적합한 중계 송신 시간을 결정하는 다른 간소화된 방식들은 상기 이동국들의 개별 중계 송신 시간들의 평균, 중간, 또는 최빈값(mode)을 취하는 것이다.
이동국(130)과 통신하도록 구성되는 무선 네트워크의 중계국(120)의 예시적인 실시예가 개시된다. 상기 이동국(130)은 기지국(110) 통신 유닛, 통신 제어 유닛 및 이동국(130) 통신 유닛을 포함한다. 상기 중계국(120) 통신 유닛은 기지국(110)으로부터 중계되는 신호(SR)로서 중계되기 위해 통신 신호(Sc)를 수신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통신 제어 유닛은 중계 송신 시간(tRM)을 결정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중계국(120) 통신 유닛은 상기 중계 송신 시간(tRM)에서 상기 신호(SR)를 상기 이동국(130)으로 송신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시간(tRM)은 상기 중계되는 신호(SR) 및 상기 통신 신호(Sc)가 상기 이동국(130)에서 서로에 대하여 사전 결정된 시간기간 내에 도달하도록 결정된다. 상기 사전 결정된 시간기간은 협력 중계 기술을 사용하여, 데이터 레이트 이득들이 달성 가능하다고 인식할 수 있음을 보장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기지국(110)으로부터의 신호(Sc)는 또한 이동국(130)으로 송신된다. 실시예에서, 중계국(120)의 컴포넌트들은 상술한 방법들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기지국(110) 및 중계국(120)을 포함할 수 있는 무선 네트워크(100)는 하나 이상의 이동국들에 통신 서비스들을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중계국(120)은 상술한 바와 같은 방법들을 구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술한 그리고 다른 목적들, 특성들 및 장점들은 첨부 도면들에 설명된 바와 같은 다음의 더욱 특정한 바람직한 실시예들의 기술로부터 명확해질 것이고, 도면들에서, 참조 문자들은 여러 도면들에 걸쳐 동일한 파트들을 나타낸다. 도면들은 반드시 축적대로는 아니고, 대신에 본 발명의 원리를 설명할 때 강조하여 배치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으로 인해 기지국 및 중계국으로부터의 송신이 이동국들에 대해 정렬되고, 채널이 경로 지연을 갖더라도 경로는 순환 전치 주기에 포함되며, 귀중한 시스템 자원들의 낭비가 방지되며, 시스템의 복잡성을 감소시킨다.
도 1은 하나 이상의 이동국들에 통신 서비스들을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예시적인 네트워크를 도시하고;
도 2는 중계국의 예시적인 실시예를 도시하고;
도 3은 이동국과 통신하는 예시적인 방법의 흐름도를 도시하고;
도 4a는 보호 및 송신기간들을 포함하는 신호 프레임의 예시적인 도면이고;
도 4b는 보호기간들의 오버랩을 도시하는 신호 프레임을 예시적인 경계 정렬들을 도시하고;
도 5a는 순화 전치 기간을 포함하는 OFDM 송신 버스트의 구조를 도시하고;
도 5b는 신호들의 순환 전치 기간들의 오버랩을 포함하는 두 OFDM 신호들의 경계들의 배열을 도시하고;
도 6은 신호의 중계 송신 시간이 중계국(120)으로부터 송신되는 것을 결정하는 예시적인 방법의 흐름도를 도시하고;
도 7은 통신 서비스들을 복수의 이동국들로 제공하는 예시적인 방법의 흐름도를 도시하고;
도 8은 가장 양호하게 적합한 중계 송신 시간을 결정하기 위한 상황을 도시한다.
다음의 설명에서, 설명하지만 제한하지 않을 목적으로, 특정한 아키텍처들, 인터페이스들, 기술들 등과 같은 특정한 세부사항들이 본 발명을 철저한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설명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 특정한 세부사항들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다른 실시예들이 실시될 수 있음이 당업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즉, 당업자들은 본원에 명시적으로 기술되거나 도시되지 않을지라도, 본 발명의 원리를 구현하고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양한 배열들을 발명할 수 있을 것이다. 일부 예들에서, 불필요한 설명으로 본 발명의 설명을 모호하게 하지 않도록, 널리 공지되어 있는 디바이스들, 회로들, 및 방법들의 상세한 설명들이 생략된다. 본 발명의 원리들, 양상들, 및 실시예들 뿐만 아니라 이들의 예들을 기술하는 모든 진술들은 이들의 구조 및 기능 이 둘 모두의 등가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추가적으로, 그와 같은 등가물들은 현재 공지되어 있는 등가물들뿐만 아니라 미래에 개발될 등가물들, 즉 구조와 관계없이 동일한 기능 수행하는 개발된 임의의 요소들을 포함하도록 의도된다.
그러므로, 예를 들어, 블록도가 본원에서 상기 기술의 원리들을 구현하는 예시적인 회로소자의 개념도를 나타낼 수 있음이 당업자에 의해 인식될 것이다. 유사하게, 임의의 흐름도, 상태전이도, 의사 코드 등은, 컴퓨터 또는 프로세서가 명시적으로 도시되거나 아닐지라도,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서 실질적으로 나타내고 따라서 컴퓨터 또는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다양한 프로세스들을 나타내는 것이 인식될 것이다.
"통신 유닛" 또는 "제어 유닛"으로 라벨링되거나 기술된 기능 블록들을 포함하는 다양한 요소들의 기능들은 전용 하드웨어뿐만 아니라 적절한 소프트웨어와 관련된 소프트웨어를 실행할 수 있는 하드웨어의 사용을 통해 제공될 수 있다. 케이퍼빌리티(capability)들은 단일 전용 프로세서, 단일 공유 프로세서, 또는 복수의 개별 프로세서들에 의해 제공될 수 있고, 이들 중 일부는 공유되거나 분배될 수 있다. 더욱이, 용어 "프로세서" 또는 "제어기"의 명시적인 사용은 소프트웨어를 실행할 수 있는 하드웨어를 배타적으로 언급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하고, 한정하지 않으면,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SP) 하드웨어, 소프트웨어를 저장하기 위한 판독 전용 메모리(ROM), 임의 액세스 메모리(RAM) 및 비휘발성 저장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 기술은 도 1의 통신 네트워크의 비제한적인 예시적인 맥락으로 기술된다. 협력 중계 기술에서, 이동국(130)은 기지국(110) 및 중계국(120) 이 둘 모두로부터 송신된 신호들을 수신한다. 도 1에서, 이동국들(130-1 및 130-2)의 각각은 기지국(110) 및 중계국(120)으로부터 신호를 수신한다. 설명의 간소화를 위해, 제 1 이동국(130-1)(간소하게 이동국(130)으로 칭한다)으로 제공되는 통신 서비스가 기술될 것이다. 상기 설명은 제 2 이동국(130-2) 마찬가지로 적용 가능할 것이다.
이동국(130)은 기지국(110)으로부터 통신 신호(Sc)를, 그리고 중계국(120)으로부터 중계되는 신호(SR)를 수신한다. 중계국(120)을 사용하여 달성될 수 있는 처리량 및 커버리지(coverage) 이득의 최대화를 위해, 신호(Sc 및 SR)는 이동국(130)에서 서로에 대하여 사전 결정된 기간 내에 도달해야만 한다. 사전 결정된 기간은, 오정렬에 대한 오차 량을 나타낼 수 있으므로, 시스템에 의해 사용되는 신호 설계 및/또는 네트워크(100)에 의해 고수되어야 하는 이동국 복잡성에 대한 제약에 기반하여 설정될 수 있다. 가장 바람직한 상황은 신호들(Sc 및 SR)이 이동국(130)에서 완벽하게 정렬될 때이다.
수학적으로, 양(rBM)은 기지국(110)에서 송신된 통신 신호(Sc)의 기지국(130)에서의 수신의 시간을 나타낸다고 가정하자. 유사하게, rBM은 중계국(120)에서 송신된 중계되는 신호(SR)의 이동국(130)에서의 수신의 시간을 나타낸다. 그리고나서 희망하는 결과는 다음과 같이 식 (0)을 표시될 수 있다.
Figure 112010045974037-pct00002
최상의 상황은 수신 시간들이 완벽하게 정렬될 때, 즉 서로 동일할 때 발생하므로, 식 (0)은 단지 이동국(130)에서의 신호들(Sc 및 SR)의 수신 시간이 서로에 대해 사전 결정된 시간기간 내에 있어야 함을 표시한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중계국에서의 중계되는 신호(Sc)의 송신 시간을 나타내는 중계 송신 시간(tRM)은 식 (0)이 만족하도록 설정된다.
도 2는 이동국(130)과 통신하도록 구성되는 예시적인 중계국(120)을 도시한다. 중계국(120)은 기지국(110)으로부터 통신 신호(Sc)(이는 중계되는 신호(SR)로서 이동국(130)으로 중계되어야 한다)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기지국 통신 유닛(210)을 포함한다. 중계국(120)은 또한 통신 제어 유닛(220)(동작적으로 기지국 통신 유닛(210)과 접속되고 중계 송신 시간(tRM)을 결정하도록 구성된)을 포함하고 이동국 통신 유닛(230)(동작적으로 통신 제어 유닛(220)과 접속되고 이동국(130)으로부터 신호들을 수신하고, 시간(tRM)에서 중계되는 신호(SR)를 이동국(130)으로 송신하도록 구성된)을 포함한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중계국(120)의 컴포넌트들은 식 (0)이 만족하는 하나 이상의 방법들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하나의 예시적인 방법(300)이 도 3에서 흐름도로서 도시된다. 방법(300)은, 무선 네트워크(100)의 중계국(120)에서, 중계국(120)으로부터 이동국(130)으로 중계되는 신호(SR)로서 중계될 통신 신호(Sc)를 네트워크(100)의 기지국(110)으로부터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단계(310)). 상기 방법(300)은 또한 중계 송신 시간(tRM)을 결정하는 단계(단계(320)), 및 상기 시간(tRM)에서 중계국(120)으로부터의 t신호를 이동국(130)으로 송신하는 단계(단계(330))를 포함한다. 중계 송신 시간(tRM)은 중계된 신호(SR) 및 통신 신호(Sc)가 이동국(130)에서 서로에 대하여 사전 결정된 시간기간 내에 도달하도록 결정된다. 더욱 바람직하게, 신호(SR 및 Sc)는 이동국(130)에서 서로에 대해 완벽하게 정렬된다. 사전 결정된 시간기간은 중계국(120)을 사용하여 처리량 및 커버리지 이득들이 최대화되는 것을 보장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양 신호들(Sc 및 SR)은 하나 이상의 신호 프레임들로 각각 송신될 수 있다. 도 4a는 예시적인 신호 프레임(400)의 구조를 도시한다. 각각의 프레임(400)은 보호기간(GP) 및 송신기간(TP)을 포함한다. 도 4a에서, 두 연속 신호 프레임들이 도시된다. 송신들은 전형적으로 TP 동안 발생한다. 각각의 GP는 연속 TP들을 분리한다. 그와 같은 보호기간들은 기지국들 및 이동국들이 동일한 주파수 채널 상에서 송신되나 시간에 있어서 분리되는 시분할 듀플렉스 시스템에서는 일반적이다. 보호기간은 이동국들 및 기지국들 사이의 가변하는 전파 거리들을 나타내고 기지국 일부 시간이 송신기 및 수신기 사이에서 전환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도록 제공된다. 보호기간은 기지국으로부터 가장 멀리 있는 이동국이 업링크 상에서 송신하는 가까운 이동국들로부터 어떠한 간섭을 경험하지 않고도 기지국으로부터 신호를 수신하도록 한다.
하나의 양상에서, 시간(tRM)을 결정하는 단계(320)는 신호들(Sc 및 SR)의 프레임 경계들이 기지국(130)에서 서로에 대하여 사전 결정된 시간기간 내에 정렬되도록 수행된다. 신호들의 그와 같은 정렬의 예가 도 4b에 도시되고, 여기서 사전 결정된 시간기간의 지속기간은 보호기간(GP)의 (바람직한) 지속기간과 실질적으로 같거나 더 작다고 가정한다. 식 (0)이 만족하는 경우, 이동국(130)에서의 신호들(Sc 및 SR)의 보호기간의 일부 오버랩이 존재해야 한다.
중계되는 신호(SR)가 기지국(110)으로부터 송신된 통신 신호(Sc)의 지연된 버전일 수 있음이 상기에 언급된다. 신호들(Sc 및 SR)이 하나 이상의 프레임들로 송신될 때, 중계되는 신호(SR)는 식 (1)에서 표현되는 바와 같이 통신 신호(Sc)의 프레임 지연 버전일 수 있다.
SR(n)=Sc(n-k) (1)
식 (1)에서, SR(n)은 시간프레임 n에서의 상기 중계되는 신호(SR)의 값을 나타내고, Sc(n-k)는 n 이전으로의 k 번째 수의 시간 프레임에서의 신호(Sc)의 값을 나타내고, k는 정수≥1이다.
다른 실시예에서, 신호들(Sc 및 SR)은 OFDM 심볼들로서 구현될 수 있다. 도 5a는 OFDM 심볼의 예시적인 시간 도메인 버스트(500)를 도시한다. OFDM 시간 도메인 버스트(500)는 순환 전치 기간(CP)을 포함한다. OFDM 심볼들이 포함되는 예시적인 상황에서, 중계 송신 시간(tRM)을 결정하는 단계(320)는 시간(tRM)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함으로써 신호들(Sc 및 SR)의 시간 도메인 버스트 경계들이 이동국(130)에서 서로에 대하여 사전 결정된 시간기간 내에서 정렬된다. 사전 결정된 시간기간의 지속기간은 상기 신호들의 순환 전치 기간들의 지속기간의 어는 정도의 일부분으로 설정될 수 있다. 식 (0)을 만족시키는 하나의 방법은 tRM을 설정하여 신호(Sc)의 순환 전치 기간이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국(130)에서 신호(SR)의 순환 전치 기간의 적어도 일부와 오버랩되도록 하는 것이다. 순환 전치 기간들이 완전하게 오버랩될 때 완전한 정렬이 발생한다.
지연된 신호는 식 (2)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통신 신호의 주기적으로 지연되는 버전일 수 있다.
SR(n)=Sc(n-k) (2)
식 (2)에서, SR(n)은 시간 n에서의 OFDM 심볼(SR)의 값을 나타내고, Sc(n-k)는 순환 방식으로 결정되는 n이 k 번째 수의 샘플들에 의해 상쇄된 시간에서의 신호(Sc)의 OFDM의 값을 나타내고, k는 정수이다. 괄호 안의 값들은 프레임들이기 보다는 오히려 시간 도메인 버스트 샘플들을 나타낸다.
식 (0)을 만족하는 많은 알고리즘들 중에 하나의 특수한 알고리즘이 개시된다. 이 알고리즘의 설명은 식 (3)과 같이 기지국(110)으로부터 송신되는 이동국(130)에서의 신호의 수신의 시간을 나타내는 것으로 시작한다.
rBM = tBM + DBM (3)
식 (3)에서, 양(rBM)은 이동국(130)에서 기지국으로부터의 수신의 시간이고, tBM은 기지국(110)에서 송신의 시간이고, DBM은 기지국(110) 및 이동국(130) 사이의 전파 지연이다. 도 1을 역으로 참조하면, DBM= DMB인데, 왜냐하면 이 둘 모두는 통일한 통신 링크를 칭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tBM(기지국(110)에서 이동국(130)으로의 신호의 송신의 시간)은 tMB(이동국(130)에서 기지국(110)으로의 신호의 송신을 시간)와 같지 않다. 유사하게, rBM은 rMB(기지국(110)에서 이동국(130)으로의 신호의 송신을 시간)와 같지 않다. 업링크 상의 송신 시간-tMB-은 기지국(110)으로부터의 다운링크 신호의 수신 시간-rBM- 및 흔히 타이밍 전진(timing advance)로서 칭해지고 기지국(110)에 의해 제공되는 타이밍 조정에 좌우된다. 타이밍 전진의 목적은 시간 정렬 방식으로 모든 이동국들(130)로부터의 신호들을 기지국(110)이 수신하는 것을 보장하는 것이다. 이동국(130)으로부터 기지국(110)으로의 송신을 위한 업링크 상의 송신 시간은 식 (4)와 같이 표현될 수 있다.
tBM = rBM + K1 - TMB (4)
식 (4)에서, 양(TMB)은 상기에 언급된 타이밍 전진이고, 양(K1)은 프레임 구조와 관련된 상수이다. 예를 들어, 시분할 듀플렉스 시스템에서, 프레임은 다운링크 및 업링크로 분리되고, 이때 업링크 서브프레임은 다운링크 서브 프레임 뒤의 시간 K1에서 시작한다. 타이밍 전진값은 다수의 이동국들(130)로부터 수신된 신호들이 기지국(110)에 동시에 도달하도록 기지국(110)에 의해서 설정된다. 이는 타이밍 전진을 식 (5)에 표시된 바와 같이 전파 지연의 두 배로 설정함으로써 달성된다.
TMB = 2DMB = 2DBM (5)
식들, (3), (4), 및 (5)로부터, 업링크 송신 시간(tMB)이 유도되고, 식 (6)으로 표현된다.
tMB = tBM + K1 - DMB (6)
중계국(120)은 실시예에서 기지국(110) 및 이동국(130) 모두로부터의 신호들을 수신할 수 있는 것으로 가정한다. 즉, 중계국(120)은 이동국(130) 및 기지국(110) 이 둘 모두로부터 신호들의 수신의 시간을 측정할 수 있다. 이 측정들은 식 7 및 8에서 표현된다.
rBR = tBR + DBR = tBM + K2 + DBR (7)
rMR = tMR + DMR = tMB + K3 + DMR (8)
식 (7)은 중계국(120)에서 기지국(110)으로부터 송신된 신호들의 수신의 시간(rBR)을 나타내고, 식 (8)은 중계국(120)에서 이동국(130)으로부터 송신된 신호들(SM)의 수신의 시간(rMR)을 나타낸다. 양(K2)은 기지국(110)에서 이동국(130) 및 중계국(120)으로 송신된 신호들의 송신 시간과 관련된 상수이고, 양(K2)은 이동국(130)으로부터의 송신을 위하여 유사하게 규정된 상수이다. K1에 대한 예와 유사하게, 양(K2 및 K3)은 프레임 내의 상이한 서브프레임들 사이의 지속기간으로부터 발생할 수 있다. K2는 기지국이 중계국으로 송신하는 서브프레임 및 기지국(110)이 이동국(130)으로 송신하는 서브프레임 사이의 시간차일 수 있다. K3는 유사하게 이동국(130)이 중계국으로 송신하는 서브프레임 및 이동국이 기지국(110)으로 송신하는 서브프레임 사이의 시간차일 수 있다. 이와 같은 서브프레임 규정들은 중계 동작에 필요하지 않으므로 양(K1, K2 및 K3)은 또한 결과적으로 영(0)일 수 있다. 그러므로, 상수(K2)는 기지국(110)으로부터 이동국(130)으로 송신된 신호가 수신 시간을 결정하도록 또한 중계국(120)에 의해 사용되는 경우 0으로 설정될 수 있다. 상수(K3)는 또한 유사하게 0으로 설정될 수 있다.
중계국(120)에 의해 송신되는 신호의 이동국(130)에서의 수신의 시간(rRM)은 식 (9)로 표현된다.
rRM = tRM + DRM = tRM + DMR (9)
중계국(120)에서 중계 송신 타이밍(tRM)을 계산하여 기지국(110) 및 중계국(120)으로부터의 신호들이 이동국(130)에서 동시에 수신되도록 하는 것이 목적이다. 즉, 식 (10)을 달성하는 것을 원한다.
rBM = rRM (10)
식 (10)은 완전한 정렬이 달성되는 식 (0)의 특수한 경우이다. 식 (3) 및 (10)으로부터 식 (11)이 유도된다.
tRM = tBM + (DBM - DMR) (11)
식 (11)은 계산될 중계 송신 시간(tRM)을 나타내지만, 상기 시간(tRM)은 중계국(120)에 의해 직접적으로 측정될 수 없는 일부 양과 관련되어 표현된다. 양들(rBR 및 rMR)은 중계국(120)에 의해 직접적으로 측정될 수 있고, 양(DBM)은 식 (5)를 사용하여 기지국(110)에 의해 중계국(120)에 제공되는 중계국(120)의 타이밍 전진값으로부터 유도될 수 있다. 이 양들에 의한 중계 송신 시간(tBM)은 다음과 같이 유도된다.
먼저, 식 (7)은 식 (12)로 다시 표현된다.
tBM = rBR - K2 - DBR (12)
식 (6) 및 (8)로부터, 식 (13)이 유도된다.
(DBM - DMR) = tBM + K1 + K3 - rMR (13)
식 (11), (12), 및 (13)으로부터, 중계 송신 시간(tRM)을 계산하는 식은 식 (14)로 유도된다.
tRM = 2(rBR - DBR - K2) + K1 + K3 - rMR (14)
식 (14)는 완전한 정렬을 달성하는 시간(tRM)을 표현한다. 어느 정도의 오정렬은 허용 가능하므로, 식 (14)은 식 (0)이 만족하도록 식 (15)로 재기록된다. 도착 시각을 측정하는데 있어서의 에러들에 의해 어느 정도의 오정렬이 발생할 것이 예상됨을 주목하라.
Figure 112010045974037-pct00003
식 (15)는 상수들(K1, K2, 및 K3)이 식 (16)을 야기하는 영(0)으로 설정될 수 있도록, 네트워크(100)가 프레임 구조와 같이 배열되고 동작할 수 있는 경우 식 (15)는 더욱 간소화될 수 있다.
Figure 112010045974037-pct00004
도 6은 식 14, 15 및 16에서 표현된 결과들을 달성하기 위한 예시적인 방법을 도시한다. 이 방법에서, 양들(rBR, DBR 및 rMR) 및 선택적으로 K1, K2, 및 K3가 결정되고(단계(610)) 중계 송신 시간(tRM)은 이 양들에 기반하여 계산된다(단계(620)). 양들(rBR, DBR 및 rMR)은 중계국(120)에 의해 직접적으로 측정되거나 결정될 수 있다.
도 7은 복수의 이동국(130)과 통신하는 예시적인 방법(700)을 도시한다. 상기 방법은, 무선 네트워크(100)의 중계국에서, 복수의 이동국(130)에 중계되는 신호(SR)로서 중계될 통신 신호(Sc)를 기지국(110)으로부터 수신하고(단계(710)), 및 복수의 이동국들(130) 각각에 대응하는 우선권이 있는 개별 중계 송신 시간들(tRM)이 예를 들어 식 (16)을 사용하여 결정된다(단계(720)). 개별 시간들(tRM)은 도 3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단계(320)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중계되는 신호(SR)에 대하여 단일한, 가장 양호하게 적합한 중계 송신 시간(tRM - BEST)은 상기 복수의 이동국들(130)에 대응하는 집합 시간들(tRM)에 기반하여 결정된다(단계(730)). 중계되는 신호(SR)는 시간(tRM - BEST)에서 중계국(120)으로부터 송신된다(단계(740)). 가장 양호하게 적합한 송신 시간(tRM - BEST)은 다수의 이동국(130)이 서로에 대하여 사전 결정된 시간기간 내에서 중계되는 신호(SR) 및 통신 신호(Sc)를 수신하는데 최적화하도록 결정된다. 다시, 사전 결정된 시간 주기는 중계국(120)을 사용하여 달성 가능한 처리량 및 커버리지 이득들이 최대화되는 것을 보장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하나의 양상에서, 시간(tRM - BEST)은 도 8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시간 윈도의 중간 지점으로 설정될 수 있다. 도 8에서, 복수의 이동국들(130)의 개별 중계 송신 시간들(t1 내지 t6)은 시간 라인에 따라 플롯팅(plotting)된다. 그러므로, 송신 시간들의 범위는 t1 내지 t6로 표현될 수 있다. 폭이 사전 결정된 시간기간과 등가인 시간 윈도는 원도 내에 해당하는 개별 중계 송신 시간들의 수를 최대화하도록 배치된다. 도 8에서, 윈도들(1 및 2)은, 모두 동일한 지속기간으로 도시된다. 윈도(1)는 윈도(2)보다 더 많은 개별 중계 송신 시간들을 오버랩한다. 그러므로, 가장 양호하게 적합한 중계 송신 시간(tRM - BEST)은 윈도(1)의 중간 지점으로 설정된다.
가장 양호한 중계 송신 시간들을 설정하거나 선택하는 다른 방법들이 존재한다. 이들은 tRM - BEST을 복수의 이동국들(130)의 개별 중계 송신 시간들의 평균, 중간 또는 최빈값으로 설정하는 것을 포함한다.
도 2에 도시된 중계국(120)의 컴포넌트들은 상술한 방법들 중 어느 방법을 구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술한 설명들이 많은 특성들을 포함할지라도, 이는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하고, 단지 현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의 일부의 설명들 제공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당업자에게 명확해질 수 있는 다른 실시예들을 완전하게 포함하고,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지 않음이 인식될 것이다.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있는 상술한 바람직한 실시예들의 요소에 대한 모든 구조적, 기능적 등가물들은 명백하게 본원에 참조로서 통합되고 이에 포함되도록 의도된다. 더욱이, 디바이스 또는 방법은 본원에 설명되거나 본 기술에 의해 해결되고자 하는 각각의 그리고 모든 문제들을 처리할 필요가 없는데, 왜냐하면 이는 이에 의해 포함되기 때문이다. 더욱이, 본 발명에서의 요소, 컴포넌트, 또는 방법 단계는 대중적으로 제공되도록 의도된다.

Claims (25)

  1. 무선 네트워크(100)에서 기지국(110) 및 이동국(130) 사이에 통신을 제공하는 방법(300)으로서, 중계국(120)에서,
    상기 중계국(120)으로부터 상기 이동국(130)으로 중계되는 신호(SR)로서 중계되어야 할 통신 신호(Sc)를 상기 기지국(110)으로부터 수신하는 단계(310);
    상기 중계되는 신호(SR)의 중계 송신 시간(tRM)을 결정하는 단계로서, 상기 tRM은 상기 중계국(120)에 의해 직접적으로 측정 가능하거나 또는 상기 중계국(120)에 공지되어 있는 파라미터만을 기반으로 하여 결정되는, 중계 송신 시간(tRM)을 결정하는 단계(320); 및
    상기 중계 송신 시간(tRM)에서, 상기 중계되는 신호(SR)를 상기 중계국(120)으로부터 상기 이동국(130)으로 송신하는 단계(330)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기지국 및 이동국 사이에 통신을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110)으로부터의 통신 신호(Sc)는 또한 상기 이동국(130)으로 송신되고, 상기 중계 송신 시간(tRM)은 상기 중계되는 신호(SR) 및 상기 통신 신호(Sc)가 상기 이동국(130)에서 서로에 대해 사전 결정된 시간기간 내에 도달하도록 결정되고,
    상기 중계되는 신호(SR)는 SR(n)=Sc(n-k)이도록 상기 통신 신호(Sc)의 프레임 지연 버전이고,
    SR(n)은 시간프레임=n에서의 상기 중계되는 신호(SR)의 값이고,
    Sc(n-k)는 n 이전으로의 k 번째 수의 시간 프레임에서의 신호(Sc)의 값이고,
    k는 1과 같거나 1보다 큰 정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및 이동국 사이에 통신을 제공하는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신호(Sc) 및 상기 중계되는 신호(SR) 이 둘 모두는 직교 주파수 분할 멀티플렉스트(OFDM) 신호(500)이고,
    상기 결정하는 단계(320)에서 상기 중계 송신 시간(tRM)은 상기 신호(Sc 및 SR)의 시간 도메인 버스트 경계가 상기 이동국(130)에서 서로에 대하여 상기 사전 결정된 시간기간 내에 정렬되도록 수행되고,
    상기 사전 결정된 시간기간의 지속기간은 상기 신호(Sc 및 SR)의 순환 전치 기간의 지속기간과 동일하거나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및 이동국 사이에 통신을 제공하는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중계되는 신호의 각각의 OFDM 심볼(SR)은 SR(n)=Sc(n-k)이도록 상기 통신 신호에서의 대응하는 OFDM 심볼(Sc)의 주기적으로 지연되는 버전이고,
    SR(n)은 시간 n에서의 상기 신호(SR)의 값이고,
    Sc(n-k)는 순환 방식으로 결정된 k 번째 수의 샘플에 의해 상쇄되는 시간 n에서의 신호(Sc)의 값을 나타내고,
    k는 정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및 이동국 사이에 통신을 제공하는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신호(Sc) 및 상기 중계되는 신호(SR)는 각각 하나 이상의 신호 프레임(400)으로 송신되고,
    상기 결정하는 단계(320)에서 상기 중계 송신 시간(tRM)은 상기 신호(Sc 및 SR)의 프레임 경계가 상기 이동국(130)에서 서로에 대하여 상기 사전 결정된 시간기간 내에 정렬되도록 수행되고,
    각각의 신호 프레임(400)은 보호기간 및 송신기간을 포함하고, 송신이 상기 송신 기간 동안 발생하고 상기 보호 기간 동안 발생하지 않고,
    상기 사전 결정된 시간 기간의 지속 기간은 상기 보호 기간의 지속 기간과 동일하거나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및 이동국 사이에 통신을 제공하는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중계 송신 시간(tRM)을 결정하는 단계(320)는:
    양(rBR, DBR, rMR)을 결정하는 단계(610); 및
    상기 양(rBR, DBR, rMR)에 기반하여 상기 중계 송신 시간(tRM)을 계산하는 단계(620)를 포함하고,
    상기 양(rBR)은 상기 중계국(120)에서 상기 기지국(110)으로부터의 상기 통신 신호(Sc)의 수신 시간을 나타내고,
    상기 양(DBR)은 상기 기지국(110) 및 상기 중계국(120) 사이의 신호 전파 지연을 나타내고,
    상기 양(rMR)은 상기 중계국(120)에서의 상기 이동국(130)으로부터의 신호(SM)의 수신 시간을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및 이동국 사이에 통신을 제공하는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양(rBR, DBR, rMR)은 상기 중계국(120)에 의해 직접적으로 측정되거나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및 이동국 사이에 통신을 제공하는 방법.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중계 송신 시간(tRM)을 계산하는 단계(620)는, K1, K2 및 K3가 통신 시스템의 프레임 구조에 의해 부과될 때 상기 중계국(120), 상기 기지국(110), 및 상기 이동국(130) 각각으로부터의 송신의 타이밍의 차이와 관련되는 상수가 되도록, 식
    Figure 112014099657881-pct00023
    에 기반하여 상기 중계 송신 시간을 계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및 이동국 사이에 통신을 제공하는 방법.
  8. 무선 네트워크(100)에서 기지국(110) 및 복수의 이동국(130) 사이의 통신을 제공하는 방법(700)으로서, 상기 무선 네트워크(110)의 중계국(120)에서,
    상기 중계국(120)으로부터 상기 복수의 이동국(130)으로 중계되는 신호(SR)로서 중계되어야 할 통신 신호(Sc)를 상기 기지국(110)으로부터 수신하는 단계(710);
    상기 복수의 이동국(130) 각각에 대응하는 개별 중계 송신 시간(tRM)을 결정하는 단계로서, 상기 tRM은 상기 중계국(120)에 의해 직접적으로 측정 가능하거나 또는 상기 중계국(120)에 공지되어 있는 파라미터만을 기반으로 하여 결정되는, 개별 중계 송신 시간(tRM)을 결정하는 단계(720);
    상기 복수의 이동국(130)에 대응하는 상기 개별 중계 송신 시간(tRM)에 기반하여 중계 송신 시간(tRM-BEST)을 결정하는 단계(730);
    상기 중계 송신 시간(tRM-BEST)에서 상기 중계되는 신호(SR)를 상기 복수의 이동국(130)으로 송신하는 단계(740)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기지국 및 복수의 이동국 사이의 통신을 제공하는 방법(700)에 있어서,
    상기 중계 송신 시간(tRM-BEST)은 또한 상기 복수의 이동국(130)으로 송신되고, 상기 중계 송신 시간(tRM-BEST)은 서로에 대해 사전 결정된 시간기간 내에서 상기 중계되는 신호(SR) 및 상기 통신 신호(Sc)를 수신하는 이동국의 수가 최대화되도록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및 복수의 이동국 사이의 통신을 제공하는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중계 송신 시간(tRM-BEST)은 상기 복수의 이동국의 중계 송신 시간(tRM)의 범위를 오버랩하는 시간 윈도의 중간 지점이어서, 상기 시간 윈도 내에 해당하는 다수의 중계 송신 시간(tRM)이 최소화되도록 하고,
    상기 시간 윈도의 지속기간은 상기 사전 결정된 시간 기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및 복수의 이동국 사이의 통신을 제공하는 방법.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중계 송신 시간(tRM-BEST)은 상기 복수의 이동국(130)의 상기 중계 송신 시간(tRM)의 평균, 중간, 또는 최빈값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및 복수의 이동국 사이의 통신을 제공하는 방법.
  11. 기지국(110) 및 이동국(130) 사이의 통신을 제공하기 위한 무선 네트워크(100)의 중계국(120)으로서,
    상기 기지국(110)으로부터 상기 이동국(130)으로 중계되는 신호(SR)로서 중계되어야 할 통신 신호(Sc)를 수신하는 기지국 통신 유닛(210);
    상기 기지국 통신 유닛(210)에 동작하도록 접속되고 상기 중계되는 신호(SR)의 중계 송신 시간(tRM)을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통신 제어 유닛(220)으로서, 상기 tRM은 상기 중계국(120)에 의해 직접적으로 측정 가능하거나 또는 상기 중계국(120)에 공지되어 있는 파라미터만을 기반으로 하여 결정되는, 통신 제어 유닛(220); 및
    상기 통신 제어 유닛(220)에 접속되고, 상기 이동국(130)으로부터 송신(SM)을 수신하고 상기 중계 송신 시간(tRM)에서 상기 이동국(130)으로 상기 중계되는 신호(SR)를 송신하는 이동국 통신 유닛(230)을 포함하는, 무선 네트워크의 중계국(120)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110)으로부터의 통신 신호(Sc)는 또한 상기 이동국(130)으로 송신되고, 상기 통신 제어 유닛(220)은 상기 중계되는 신호(SR) 및 상기 통신 신호(Sc)가 상기 이동국(130)에서 서로에 대하여 사전 결정된 시간기간 내에 도달하도록 상기 중계 송신 시간(tRM)을 결정하고,
    상기 중계되는 신호(SR)는 SR(n)=Sc(n-k)이도록 상기 통신 신호(Sc)의 프레임 지연 버전이고,
    SR(n)은 시간프레임=n에서의 상기 중계되는 신호(SR)의 값이고,
    Sc(n-k)는 t 이전으로의 k 번째 수의 시간 프레임에서의 신호(Sc)의 값이고,
    k는 1과 같거나 1보다 큰 정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네트워크의 중계국.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신호(Sc) 및 상기 중계되는 신호(SR) 이 둘 모두는 직교 주파수 분할 멀티플렉스트(OFDM) 신호(500)이고,
    상기 통신 제어 유닛(220)은 상기 신호(Sc 및 SR)의 시간 도메인 버스트 경계가 상기 이동국(130)에서 서로에 대하여 상기 사전 결정된 시간기간 내에 정렬되도록 상기 중계 송신 시간(tRM)을 결정하고,
    상기 사전 결정된 시간기간의 지속기간은 상기 신호(Sc 및 SR)의 순환 전치 기간의 지속 기간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네트워크의 중계국.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중계되는 신호의 각각의 OFDM 심볼(SR)은 SR(n)=Sc(n-k)이도록 상기 통신 신호에서의 대응하는 OFDM 심볼(Sc)의 주기적으로 지연되는 버전이고,
    SR(n)은 시간 n에서의 상기 신호(SR)의 값이고,
    Sc(n-k)는 순환 방식으로 결정된 k 번째 수의 샘플에 의해 상쇄되는 시간 n에서의 신호(Sc)의 값을 나타내고,
    k는 정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네트워크의 중계국.
  14.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신호(Sc) 및 상기 중계되는 신호(SR)는 각각 하나 이상의 신호 프레임(400)으로 송신되고,
    상기 통신 제어 유닛(220)은 상기 신호(Sc 및 SR)의 프레임 경계가 상기 이동국(130)에서 서로에 대하여 상기 사전 결정된 시간기간 내에 정렬되도록 상기 중계 송신 시간(tRM)을 결정하고,
    각각의 신호 프레임(400)은 보호 기간 및 송신 기간을 포함하고, 송신이 상기 송신 기간 동안 발생하고 상기 보호 기간 동안 발생하지 않고,
    상기 사전 결정된 시간 기간의 지속 기간은 상기 보호 기간의 지속 기간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네트워크의 중계국.
  15.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제어 유닛(220)은:
    양(rBR, DBR, rMR)을 결정하고;
    상기 양(rBR, DBR, rMR)에 기반하여 상기 중계 송신 시간(tRM)을 계산함으로써 상기 중계 송신 시간(tRM)을 결정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양(rBR)은 상기 중계국(120)에서의 상기 통신 신호(Sc)의 수신 시간을 나타내고,
    상기 양(DBR)은 상기 기지국(110) 및 상기 중계국(120) 사이의 신호 전파 지연을 나타내고,
    상기 양(rMR)은 상기 중계국(120)에서의 상기 이동국(130)으로부터의 신호(SM)의 수신 시간을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네트워크의 중계국.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양(rBR, DBR, rMR)은 상기 중계국(120)에 의해 직접적으로 측정되거나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네트워크의 중계국.
  17.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제어 유닛(220)은 K1, K2 및 K3가 통신 시스템의 프레임 구조에 의해 부과될 때 상기 중계국(120), 상기 기지국(110), 및 상기 이동국(130) 각각으로부터의 송신의 타이밍의 차이와 관련된 공지된 상수가 되도록, 식
    Figure 112014099657881-pct00024
    에 따라 상기 중계 송신 시간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네트워크의 중계국.
  18. 복수의 이동국(130)과 통신하기 위한 무선 네트워크(100)로서,
    통신 신호(Sc)를 상기 복수의 이동국(130) 및 중계국(120)으로 송신하기 위한 기지국(110); 및
    상기 통신 신호(Sc)를 중계되는 신호(SR)로서 상기 복수의 이동국(130)으로 중계하기 위한 중계국(120)을 포함하는 무선 네트워크(100)에 있어서,
    상기 중계국(120)은 기지국 통신 유닛(210), 통신 제어 유닛(220), 및 이동국 통신 유닛(230)을 포함하고,
    상기 통신 제어 유닛(220)은:
    상기 복수의 이동국(130) 각각에 대응하는 상기 중계되는 신호(SR)의 중계 송신 시간(tRM)을 결정하고, 상기 tRM은 상기 중계국(120)에 의해 직접적으로 측정 가능하거나 또는 상기 중계국(120)에 공지되어 있는 파라미터만을 기반으로 하여 결정되며,
    상기 복수의 이동국(130)에 대응하는 개별 중계 송신 시간(tRM)에 기반하여 중계 송신 시간(tRM-BEST)을 결정하고,
    상기 이동국 통신 유닛(230)은 상기 중계 송신 시간(tRM-BEST)에서 상기 중계되는 신호(SR)를 상기 복수의 이동국(130)으로 송신하고,
    상기 중계 송신 시간(tRM-BEST)은 서로에 대해 사전 결정된 시간기간 내에서 상기 중계되는 신호(SR) 및 상기 통신 신호(Sc)를 수신하는 이동국의 수가 최대화되도록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무선 네트워크.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중계 송신 시간(tRM-BEST)은 상기 복수의 이동국의 중계 송신 시간(tRM)의 범위를 오버랩하는 시간 윈도의 중간 지점이어서, 상기 시간 윈도 내에 해당하는 다수의 중계 송신 시간(tRM)이 최소화되도록 하고, 상기 시간 윈도의 지속기간은 상기 사전 결정된 시간 기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네트워크.
  20.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중계 송신 시간(tRM-BEST)은 상기 복수의 이동국(130)의 상기 중계 송신 시간(tRM)의 평균, 중간, 또는 최빈값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네트워크.
  2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이동국(130)의 각각에 대응하는 개별 중계 송신 시간(tRM)을 결정하는 단계(720)는 각각의 이동국(130)에 대해:
    양(rBR, DBR, rMR)을 결정하는 단계(620); 및
    상기 양(rBR, DBR, rMR)에 기반하여 상기 중계 송신 시간(tRM)을 계산하는 단계(620)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양(rBR)은 상기 중계국(120)에서 상기 기지국(110)으로부터의 상기 통신 신호(Sc)의 수신 시간을 나타내고,
    상기 양(DBR)은 상기 기지국(110) 및 상기 중계국(120) 사이의 신호 전파 지연을 나타내고,
    상기 양(rMR)은 상기 중계국(120)에서의 상기 이동국(130)으로부터의 신호(SM)의 수신 시간을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및 복수의 이동국 사이의 통신을 제공하는 방법.
  22. 제 21 항에 있어서,
    각각의 이동국(130)에 대한 개별 중계 송신 시간(tRM)을 계산하는 단계(620)는, K1, K2 및 K3가 통신 시스템의 프레임 구조에 의해 부과될 때 상기 중계국(120), 상기 기지국(110), 및 상기 이동국(130) 각각으로부터의 송신의 타이밍의 차이와 관련되는 상수가 되도록, 식
    Figure 112015026955322-pct00027
    에 기반하여 상기 중계 송신 시간을 계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및 복수의 이동국 사이의 통신을 제공하는 방법.
  23.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제어 유닛(200)은 식
    Figure 112014099657881-pct00026
    에 기반하여 상기 복수의 이동국(130)의 각각에 대응하는 상기 중계되는 신호(SR)의 상기 중계 송신 시간(tRM)을 결정하고,
    상기 양(rBR)은 상기 중계국(120)에서 상기 기지국(110)으로부터의 상기 통신 신호(Sc)의 수신 시간을 나타내고,
    상기 양(DBR)은 상기 기지국(110) 및 상기 중계국(120) 사이의 신호 전파 지연을 나타내고,
    상기 양(rMR)은 상기 중계국(120)에서의 상기 이동국(130)으로부터의 신호(SM)의 수신 시간을 나타내고,
    K1, K2 및 K3는, 통신 시스템의 프레임 구조에 의해 부과될 때 상기 중계국(120), 상기 기지국(110), 및 상기 이동국(130) 각각으로부터의 송신의 타이밍의 차이와 관련되는 상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네트워크.
  24. 삭제
  25. 삭제
KR1020107015840A 2007-12-17 2007-12-17 중계국에서 시간 계산을 송신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KR10155274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SE2007/051017 WO2009078768A1 (en) 2007-12-17 2007-12-17 System and method for transmit time computation at a relay stati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96250A KR20100096250A (ko) 2010-09-01
KR101552744B1 true KR101552744B1 (ko) 2015-09-18

Family

ID=407957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15840A KR101552744B1 (ko) 2007-12-17 2007-12-17 중계국에서 시간 계산을 송신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EP (1) EP2232730B1 (ko)
JP (1) JP5038507B2 (ko)
KR (1) KR101552744B1 (ko)
CN (1) CN101904113B (ko)
AU (1) AU2007362650B2 (ko)
CA (1) CA2708265A1 (ko)
IL (1) IL206324A (ko)
WO (1) WO200907876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3322B1 (ko) * 2009-08-25 2016-10-07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동기 제어 방법 및 데이터 송수신 동기를 위한 스테이션
KR101764888B1 (ko) 2010-02-16 2017-08-16 한국전자통신연구원 광대역 근거리 무선 통신 장치 및 방법
US8744340B2 (en) 2010-09-13 2014-06-03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of obtaining timing in a repeater
JP5777048B2 (ja) * 2011-02-18 2015-09-09 Kddi株式会社 無線基地局装置およびデータ送信タイミング制御方法
CN109417523B (zh) * 2016-05-13 2021-12-14 诺基亚通信公司 用于预留时间对准时段的方法、介质、装置及网络节点
CN108601079B (zh) * 2018-04-04 2021-11-23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定时方法、装置、通信节点设备及计算机存储介质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7108409A1 (ja) * 2006-03-17 2007-09-27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無線伝送システム及び無線伝送方法、並びにそれらに用いられる無線局及び送信局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11906B2 (ja) * 1996-07-17 2000-11-27 日本電気株式会社 無線基地局装置
KR20040020511A (ko) * 2002-08-30 2004-03-09 주식회사 현대시스콤 동기식 이동통신 기지국에서 송/수신 안테나 급전선과지피에스 안테나 급전선 공유장치
JP2005167791A (ja) * 2003-12-04 2005-06-23 Hitachi Kokusai Electric Inc 無線中継装置
WO2006121381A1 (en) * 2005-05-06 2006-11-16 Ericsson Ab Method and arrangement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using relaying
CN101322327B (zh) * 2005-11-29 2012-11-14 艾利森电话股份有限公司 用于在无线中继网络中中继信息的方法、设备和系统
CN101322329B (zh) * 2005-11-29 2011-10-12 艾利森电话股份有限公司 用于改进中继的方法和设备
BRPI0709240A2 (pt) * 2006-03-29 2011-06-28 Ericsson Telefon Ab L M Método para executar comunicação em um sistema de comunicação, transmissor, estação de rádio base, equipamento de usuário, e, nó de rádio de recepção
CN101411096B (zh) * 2006-03-29 2012-10-24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无线传输系统、无线电台及该无线电台所执行的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7108409A1 (ja) * 2006-03-17 2007-09-27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無線伝送システム及び無線伝送方法、並びにそれらに用いられる無線局及び送信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007362650A1 (en) 2009-06-25
KR20100096250A (ko) 2010-09-01
CN101904113A (zh) 2010-12-01
WO2009078768A1 (en) 2009-06-25
AU2007362650B2 (en) 2013-12-05
CA2708265A1 (en) 2009-06-25
EP2232730A4 (en) 2011-08-31
EP2232730B1 (en) 2012-10-31
CN101904113B (zh) 2014-02-05
JP5038507B2 (ja) 2012-10-03
IL206324A (en) 2015-02-26
JP2011507451A (ja) 2011-03-03
IL206324A0 (en) 2010-12-30
EP2232730A1 (en) 2010-09-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91201B2 (en) System and method for transmit time computation at a relay station
CN102084614B (zh) 用于通信系统中的帧检测的方法及设备
KR101496861B1 (ko) 주기적 프리픽스 길이의 표시를 제공하는 장치, 방법 및 컴퓨터-판독가능 매체
KR101552744B1 (ko) 중계국에서 시간 계산을 송신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US20120155341A1 (en) Base station device and interference suppression method
CN106165462B (zh) 数据传输方法及设备
US20120040685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 buffering scheme for otdoa based location positioning
CN113163481A (zh) 一种上行传输定时的确定方法、终端及基站
CN111629448B (zh) 随机接入方法和装置
EP3858046B1 (en) Interference management in wireless systems
WO2021098066A1 (en) A system and method of downlink-uplink timing relationship
WO2016141529A1 (zh) 一种数据传输设备、方法及系统
US10644852B2 (en) Method and device for transmitting discovery signal
EP3503659B1 (en) Sounding reference signal sending method and user equipment
CN112840583A (zh) 用于物理上行链路共享信道(pusch)的远程干扰缓解
KR20230034231A (ko) 다수의 안테나들을 사용하여 사이드링크를 통해 포지션을 결정하기 위한 기술들
US20120218945A1 (en) Method and Arrangement for Random Access Diversity
CN112771794A (zh) 用于无线通信系统中的干扰测量的方法和装置
KR101712914B1 (ko) 상향링크 자원을 이용한 릴레이 동작 방법 및 장치
CN102790636B (zh) 一种智能天线校准序列的发送方法
EP3337111A1 (en) Method for transmitting channel information and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ing the same
EP2207279A1 (en) Method for transmitting uplink data in a communications system
CN101754261B (zh) 一种信号检测方法、系统和设备
KR20230001449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다차원 구조를 갖는 prach 를 이용한 랜덤 액세스 방법 및 장치
WO2016159838A1 (en) Determination of reference signal length maximizing the channel capacit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8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