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52702B1 - 착용이 용이한 도복띠 - Google Patents

착용이 용이한 도복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52702B1
KR101552702B1 KR1020130086661A KR20130086661A KR101552702B1 KR 101552702 B1 KR101552702 B1 KR 101552702B1 KR 1020130086661 A KR1020130086661 A KR 1020130086661A KR 20130086661 A KR20130086661 A KR 20130086661A KR 101552702 B1 KR101552702 B1 KR 1015527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not
sewing point
passage
band
sew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866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11567A (ko
Inventor
이석광
정관선
Original Assignee
이석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석광 filed Critical 이석광
Priority to KR10201300866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52702B1/ko
Publication of KR201500115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115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527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527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FGARMENT FASTENINGS; SUSPENDERS
    • A41F9/00Belts, girdles, or waistbands for trousers or skirts
    • A41F9/007Belt loop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8Body-protectors for players or sportsmen, i.e. body-protecting accessories affording protection of body parts against blows or collis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44/00Sports without balls
    • A63B2244/10Combat spor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Gar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정의 길이를 갖고 매듭을 묶어 도복 위에 착용하는 공지의 도복띠에 있어서, 상기 도복띠의 중간부에는 허리벨트부를 형성하고, 상기 허리벨트부의 양측으로는 매듭부가 형성되도록 하며, 상기 매듭부의 양측으로는 날개부가 형성되도록 하되, 상기 도복띠 일측의 허리벨트부와 매듭부 사이에는 제1재봉지점을 형성하고, 상기 매듭부와 날개부 사이에도 제1재봉지점이 형성되도록 하여 상기 제1재봉지점과 제1재봉지점이 서로 맞댄 상태로 재봉되어 도복띠 매듭의 절반부분을 형성하도록 구성되는 착용이 용이한 도복띠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효과로는 도복띠의 일측에 이미 매듭의 절반부분, 즉 제1통공부와 제2통공부가 형성된 상태여서 상기 제1통공부와 제2통공부에 도복띠의 다른 쪽 끝단을 끼워 넣고 당기는 것만으로도 매듭이 형성되어 유아나 어린아이라 하더라도 도복띠의 착용 및 분리를 손쉽게 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이처럼 초보자(유아나 어린아이)들이 혼자 힘으로 도복띠를 매듭지을 수 있게 되어 지도자(사범) 등이 많은 아이들의 도복띠를 묶어주는데 소비되는 쓸데없는 시간을 줄일 수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Description

착용이 용이한 도복띠{Belt for a suit for military arts}
본 발명은 착용이 용이한 도복띠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초보자들이 제대로 착용하기 힘들어 하는 도복띠를 쉽고 간편하게 착용할 수 있도록 하는 착용이 용이한 도복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태권도, 합기도, 특공무술, 검도 등은 주변에서 흔히 접할 수 있는 무술운동이며 이러한 무술운동을 위해서는 각 운동들에 맞는 도복과 도복띠(도복용 허리띠)가 사용된다. 기존의 도복용 허리띠의 경우 보통 긴 줄 형태로 일체형을 이루고 있으며 양단부를 허리에 감고 중앙에 매듭을 형성하는 구조를 갖는다.
대개 도복용 허리띠는 매듭을 형성함에 있어 긴 줄 형태의 허리띠는 정확한 중심을 잡아서 매듭을 형성해야 함에 있어 좌,우 대칭을 잘 이루지 못해 미관상 보기가 좋지 않으며 매듭형성을 위해 적지않은 시간을 소모해야 한다.
또한 긴 줄 형태의 허리띠는 올바른 매듭을 형성하더라도 운동을 하는 과정에서 잘 풀리도록 형성된 매듭 법이며 자주 허리띠가 풀리고, 풀리지 않으려고 강한 힘을 주어 묶게 되면 풀기가 어렵고 복부의 압박으로 인하여 큰 불편함을 느끼기도 한다.
따라서 이러한 도복띠는 청소년, 성인일 경우 큰 문제는 없으나 요즘의 무술운동의 대부분 수련생들이 지능이 덜 성숙한 어린 유아나 아동들로 구성되어있어 이를 착용함에 있어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다.
따라서 사범 등이 많은 아이들의 도복띠를 묶어주는데 있어 쓸데없는 시간을 소비하게 되어 실제 지도하는 시간은 줄어드는 등 많은 문제점을 갖는다.
[선행기술문헌]
1. 등록실용신안 : 제20-0302800호
2. 국내실용신안공개공보 : 제20-2012-0007750호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도복띠를 묶어 매듭을 형성함에 있어 도복띠의 한쪽에만 매듭의 절반, 즉 제1통공부와 제2통공부를 형성하고, 상기 제1통공부와 제2통공부에 도복띠의 다른 쪽 끝단을 끼워 넣고 당기는 것만으로 매듭이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초보자라 하더라도 도복띠의 착용 및 분리를 손쉽게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성취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해결수단을 살펴보면,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소정의 길이를 갖고 매듭을 묶어 도복 위에 착용하는 공지의 도복띠에 있어서, 상기 도복띠의 중간부에는 허리벨트부를 형성하고, 상기 허리벨트부의 양측으로는 매듭부가 형성되도록 하며, 상기 매듭부의 양측으로는 날개부가 형성되도록 하되, 상기 도복띠 일측의 허리벨트부와 매듭부 사이에는 제1재봉지점을 형성하고, 상기 매듭부와 날개부 사이에도 제1재봉지점이 형성되도록 하여 상기 제1재봉지점과 제1재봉지점이 서로 맞댄 상태로 재봉되어 도복띠 매듭의 절반부분을 형성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상기 도복띠 일측의 허리벨트부와 매듭부 사이의 제1재봉지점에는 인접한 위치에 제2재봉지점이 형성되도록 하고, 상기 매듭부와 날개부 사이에는 제2재봉지점이 형성되도록 하며, 상기 제2재봉지점와 제2재봉지점 사이에는 제1재봉지점이 형성되도록 하여 상기 제1재봉지점은 제1재봉지점과, 제2재봉지점은 제2재봉지점과 서로 맞대진 상태로 재봉되어 도복띠 매듭의 절반부분을 형성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소정의 길이를 갖고 매듭을 묶어 도복 위에 착용하는 공지의 도복띠에 있어서, 상기 도복띠의 일단을 접어 도복띠의 타측이 관통할 수 있는 제1통공부와 제2통공부가 형성되도록 하되, 서로 맞대고 있는 도복띠의 어느 일부분을 서로 재봉하여 상기 제1통공부와 제2통공부가 풀리지 않고 말아진 형태를 그대로 유지할 수 있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착용이 용이한 도복띠의 효과로는 도복띠의 일측에 이미 매듭의 절반부분, 즉 제1통공부와 제2통공부가 형성된 상태여서 상기 제1통공부와 제2통공부에 도복띠의 다른 쪽 끝단을 끼워 넣고 당기는 것만으로도 매듭이 형성되어 유아나 어린아이라 하더라도 도복띠의 착용 및 분리를 손쉽게 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이처럼 초보자(유아나 어린아이)들이 혼자 힘으로 도복띠를 매듭지을 수 있게 되어 지도자(사범) 등이 많은 아이들의 도복띠를 묶어주는데 소비되는 쓸데없는 시간을 줄일 수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평면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있어서 제1재봉부끼리 재봉한 상태를 보인 참고도.
도 3은 본 발명에 있어서 제1재봉부끼리 재봉한 다음 제2재봉부끼리의 재봉을 위해 도복띠를 말기 위한 상태를 보이기 위한 참고도.
도 4는 본 발명에 있어서 제2재봉부끼리 재봉한 상태를 보인 참고도.
도 5는 본 발명에 있어서 매듭절반, 즉 제1통공부와 제2통공부를 형성한 상태를 보인 참고도.
도 6 내지 도 9는 본 발명 도복띠를 이용해 매듭을 형성하는 단계를 순서대로 보이기 위한 참고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착용이 용이한 도복띠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아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에 관계없이 동일한 부재번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지칭하며, "및/또는"은 언급된 아이템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인 "아래(below)", "아래(beneath)", "하부(lower)", "위(above)", "상부(upper)" 등은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나의 구성 요소와 다른 구성 요소들과의 상관관계를 용이하게 기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방향에 더하여 사용시 또는 동작시 구성요소들의 서로 다른 방향을 포함하는 용어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면,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구성요소를 뒤집을 경우, 다른 구성요소의 "아래(below)" 또는 "아래(beneath)"로 기술된 구성요소는 다른 구성요소의 "위(above)"에 놓여질 수 있다. 따라서, 예시적인 용어인 "아래"는 아래와 위의 방향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구성 요소는 다른 방향으로도 배향될 수 있고, 이에 따라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들은 배향에 따라 해석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평면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있어서 제1재봉부끼리 재봉한 상태를 보인 참고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있어서 제1재봉부끼리 재봉한 다음 제2재봉부 끼리의 재봉을 위해 도복띠를 말기 위한 상태를 보이기 위한 참고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있어서 제2재봉부끼리 재봉한 상태를 보인 참고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있어서 매듭절반, 즉 제1통공부와 제2통공부를 형성한 상태를 보인 참고도이고, 도 6 내지 도 9는 본 발명 도복띠를 이용해 매듭을 형성하는 단계를 순서대로 보이기 위한 참고도이다.
우선,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 또는 부품들은 가능한 동일한 참조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소정의 길이를 갖고 매듭을 묶어 도복 위에 착용하는 공지의 도복띠(100)에 있어서, 상기 도복띠의 중간부에는 허리벨트부(110)를 형성하고, 상기 허리벨트부(110)의 양측으로는 매듭부(120,120a)가 형성되도록 하며, 상기 매듭부(120,120a)의 양측으로는 날개부(130,130a)가 형성되도록 하되, 상기 도복띠 일측의 허리벨트부(110)와 매듭부 (120,120a)사이에는 제1재봉지점(102)을 형성하고, 상기 매듭부(120,120a)와 날개부(130,130a) 사이에도 제1재봉지점(102)이 형성되도록 하여 상기 제1재봉지점(102)과 제1재봉지점(102)이 서로 맞댄 상태로 재봉되어 도복띠 매듭의 절반부분을 형성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도복띠의 일단에는 매듭의 절반부분, 하부와 상부에 도복띠가 관통할 수 있는 구멍이 형성된 구조가 되고 결국 도복띠의 타단을 하부에 형성된 구멍을 관통시킨 다음 잇달아 다시 상부에 형성된 구멍을 관통시킨 다음 잡아당기면 도복띠 매듭이 형성되는 구조이다
또 본 발명은 상기 도복띠 일측의 허리벨트부(110)와 매듭부 사이의 제1재봉지점(102)에는 인접한 위치에 제2재봉지점(101)이 형성되도록 하고, 상기 매듭부(120,120a)와 날개부(130,130a) 사이에는 제2재봉지점(101)이 형성되도록 하며, 상기 제2재봉지점(101)과 제2재봉지점(101) 사이에는 제1재봉지점(102)이 형성되도록 하여 상기 제1재봉지점(102)은 제1재봉지점(102)과, 제2재봉지점(101)은 제2재봉지점(101)과 서로 맞대진 상태로 재봉되어 도복띠 매듭의 절반부분을 형성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때 인접한 위치라 함은 약 1mm~2cm의 길이를 의미한다. 이는 1mm이하의 경우 너무 좁아 재봉이 곤란하게 되고, 2cm이상일 경우 매듭을 형성하기 위해 도복띠의 타단을 관통시키기 구멍의 크기가 너무 커져 매듭이 예쁘게 형성되지 않는 단점을 갖기 때문이다.
또 본 발명은 소정의 길이를 갖고 매듭을 묶어 도복 위에 착용하는 공지의 도복띠에 있어서, 상기 도복띠의 일단을 접어 제1통공부(103)와 제2통공부(104)가 형성되도록 하고, 서로 맞대고 있는 도복띠의 어느 일부분을 서로 재봉하여 상기 제1통공부(103)와 제2통공부(104)가 통공(通孔) 형상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되 도복띠의 타단이 제1통공부(103)를 관통하고 다시 제2통공부(104)를 관통한 다음 잡아당기기만 하면 매듭이 형성되는 구조이다.
상술 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들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 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할 것이다.
100: 본 발명 도복띠
101: 제2재봉지점 102: 제1재봉지점
103: 제1통공부 104; 제2통공부
110: 허리벨트부 120,120a: 매듭부
130,130a: 날개부

Claims (3)

  1. 소정의 길이를 갖고 매듭을 묶어 도복 위에 착용하는 공지의 도복띠에 있어서,
    상기 도복띠의 중간부에는 허리벨트부를 형성하고, 상기 허리벨트부의 양측으로는 매듭부가 형성되도록 하며, 상기 매듭부의 양측으로는 날개부가 형성되도록 하되, 상기 도복띠 일측의 허리벨트부와 매듭부 사이에는 제1재봉지점을 형성하고, 상기 매듭부와 날개부 사이에도 제1재봉지점이 형성되도록 하여 상기 제1재봉지점과 제1재봉지점이 서로 맞댄 상태로 재봉되어 도복띠 매듭의 절반부분을 형성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착용이 용이한 도복띠.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도복띠 일측의 허리벨트부와 매듭부 사이의 제1재봉지점에는 인접한 위치에 제2재봉지점이 형성되도록 하고, 상기 매듭부와 날개부 사이에는 제2재봉지점이 형성되도록 하며, 상기 제2재봉지점와 제2재봉지점 사이에는 제1재봉지점이 형성되도록 하여 상기 제1재봉지점은 제1재봉지점과, 제2재봉지점은 제2재봉지점과 서로 맞대진 상태로 재봉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착용이 용이한 도복띠.
  3. 소정의 길이를 갖고 매듭을 묶어 도복 위에 착용하는 공지의 도복띠에 있어서,
    상기 도복띠의 일단을 접어 제1통공부와 제2통공부가 형성되도록 하고, 서로 맞대고 있는 도복띠의 어느 일부분을 서로 재봉하여 상기 제1통공부와 제2통공부가 통공 형상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되 도복띠의 타단이 제1통공부를 관통하고 다시 제2통공부를 관통한 다음 당기게 되면 매듭이 형성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착용이 용이한 도복띠.

KR1020130086661A 2013-07-23 2013-07-23 착용이 용이한 도복띠 KR1015527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86661A KR101552702B1 (ko) 2013-07-23 2013-07-23 착용이 용이한 도복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86661A KR101552702B1 (ko) 2013-07-23 2013-07-23 착용이 용이한 도복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11567A KR20150011567A (ko) 2015-02-02
KR101552702B1 true KR101552702B1 (ko) 2015-09-16

Family

ID=524879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86661A KR101552702B1 (ko) 2013-07-23 2013-07-23 착용이 용이한 도복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52702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2800Y1 (ko) 2002-11-07 2003-01-29 강영도 도복용 띠
KR200420747Y1 (ko) 2006-04-26 2006-07-05 최원교 도복용 띠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2800Y1 (ko) 2002-11-07 2003-01-29 강영도 도복용 띠
KR200420747Y1 (ko) 2006-04-26 2006-07-05 최원교 도복용 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11567A (ko) 2015-0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819865B1 (en) Garment with radiused zipper path
US20190200694A1 (en) Adjustable maternity pant expander
US9078476B2 (en) GI with tangle-proof drawstring
US20130031698A1 (en) Sporting apparel
US9814276B2 (en) Convertible garment and method of converting same
US20090210996A1 (en) Lower garment assembly with suspender device
KR101552702B1 (ko) 착용이 용이한 도복띠
JP2009007722A (ja) 腰ゴム入りボトムス及びその製造方法
KR200493454Y1 (ko) 매듭 없는 타이
US20110179554A1 (en) Low profile concealed belt
US20160235259A1 (en) Sports towel
KR102254490B1 (ko) 목도리용 결속구
JP2013127143A (ja) 簡単袴
CN202800207U (zh) 一种保护衣
US20180177253A1 (en) Stretchable waist with draw chord
JP2001055601A (ja) 着付けが簡単な着物セット
JP2018131725A (ja) 上衣の身八つ口の下方において前身頃と後身頃とが離れた二部式着物及び着付け方法
JP3199068U (ja) 首回りのサイズ調整が可能な上衣
CN212994470U (zh) 一种自带腰带的流苏披风
KR200491422Y1 (ko) 의류의 품 조절을 위한 품 조절 띠
RU2399348C1 (ru) Элемент защитной одежды от вредных биологических факторов
JP3214998U (ja) 後紐に柄を形成した袴
JP3172484U (ja) 居合道着や和服の腰帯用補助下帯
JP3190352U (ja) 結束具付きズボン
JP3188290U (ja) ふんど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