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52006B1 - 조립형 빗물저류조 - Google Patents

조립형 빗물저류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52006B1
KR101552006B1 KR1020130048568A KR20130048568A KR101552006B1 KR 101552006 B1 KR101552006 B1 KR 101552006B1 KR 1020130048568 A KR1020130048568 A KR 1020130048568A KR 20130048568 A KR20130048568 A KR 20130048568A KR 101552006 B1 KR101552006 B1 KR 1015520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storage tank
water storage
shaft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485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29800A (ko
Inventor
나상철
이대석
나현덕
Original Assignee
나상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나상철 filed Critical 나상철
Priority to KR10201300485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52006B1/ko
Publication of KR201401298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298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520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520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20/00Water conservation; Efficient water supply; Efficient water use
    • Y02A20/108Rainwater harvesting

Landscapes

  • Sewage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조립형 빗물저류조에 관한 것으로, 그 목적은 건축물에 타워식 또는 매립식으로 설치조건 및 사용량에 따라 용이하게 조립 설치되어 우천 시 건축물의 옥상에 축적되는 빗물을 저장하여 상시에는 청소수, 정원수, 소방수 및 세척수로 사용하고, 비상시에는 음용수로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폭우 시에는 도심홍수방제역할도 할 수 있는 조립형 빗물저류조를 제공하는 것이며, 그 구성은 건축물에 설치되어 우천시 빗물을 저장하고, 저장된 빗물을 각종 생활용수로 사용하는 빗물저류조에 있어서, 상기 빗물저류조는 물을 저장하는 물저장탱크탑과; 'U'자 형상의 배관으로써, 일단부는 상기 물저장탱크탑의 상단부에 구비된 입수구와 연통되게 연결되고, 타단부는 건축물의 옥상 배수구와 연통되게 연결되는 배수관조립체와; 상기 물저장탱크탑의 하단부와 연통되게 연결되어 상기 물저장탱크탑내에 저장된 저장우수를 필요장소로 송수하는 송수배관과; 상기 송수배관상에 장착되어 물저장탱크탑내의 저장우수를 펌핑하는 워터펌프와; 상기 물저장탱크탑과 연통되게 연결되어 물저장탱크탑내에 저장된 저장우수를 정수 및 살균하여 음용수로 공급하는 고도정수장치와; 상기 물저장탱크탑과 연통되게 연결되어 저장우수를 정원용수 및 세차수로 사용하기 위한 살수호스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조립형 빗물저류조{An assembling type rainwater recycling facility}
본 발명은 조립형 빗물저류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건축물에 타워식 또는 매립식으로 설치조건 및 사용량에 따라 용이하게 조립 설치되어 우천 시 건축물의 옥상에 축적되는 빗물을 저장하여 상시에는 청소수, 정원수, 소방수 및 세척수로 사용하고, 비상시에는 음용수로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폭우 시에는 도심홍수방제역할도 할 수 있는 구조를 갖도록 한 조립형 빗물저류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종래의 빗물저류조는 일정규격의 저장용량을 갖도록 제작된 빗물저장탱크와, 건축물의 옥상배수구와 빗물저장탱크를 연결하여 옥상의 빗물을 빗물저장탱크내로 유입시키는 배관부와, 필요시에 상기 빗물저장탱크내에 저장된 빗물을 펌핑하는 급수펌프로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빗물저류탱크는 빗물저장탱크가 기성으로 제작되어 있기 때문에 해당 건축물에 적합한 용량을 갖는 빗물저장탱크를 구비하기 위해서는 별도로 빗물저장탱크를 제작하여 사용하여야하기 때문에 설치단가가 높고, 비점오염물질로 오염된 초기우수를 배제하는 수단을 구비하고 있지 않아 빗물저장탱크내의 비점요염물질로 오염된 저장수를 그대로 사용함으로 인해 2차 오염이 발생될 수 있으며, 용접에 의한 배관연결작업을 실시함으로 설치작업에 긴시간이 소요됨은 물론 설치비용도 비싸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고려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설치대상 건축물에 대한 설치조건 및 사용량에 따라 용이하게 조립 설치되어 우천 시 건축물의 옥상에 축적되는 빗물을 저장하여 상시에는 청소수, 정원수, 소방수 및 세척수로 사용하고, 비상시에는 음용수로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폭우 시에는 도심에서의 홍수방제역할도 할 수 있는 구조를 갖도록 한 조립형 빗물저류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은 건축물에 설치되어 우천시 빗물을 저장하고, 저장된 빗물을 각종 생활용수로 사용하는 빗물저류조에 있어서, 상기 빗물저류조는 물을 저장하는 물저장탱크탑과; 'U'자 형상의 배관으로써, 일단부는 상기 물저장탱크탑의 상단부에 구비된 입수구와 연통되게 연결되고, 타단부는 건축물의 옥상 배수구와 연통되게 연결되는 배수관조립체와; 상기 물저장탱크탑의 하단부와 연통되게 연결되어 상기 물저장탱크탑내에 저장된 저장우수를 필요장소로 송수하는 송수배관과; 상기 송수배관상에 장착되어 물저장탱크탑내의 저장우수를 펌핑하는 워터펌프와; 상기 물저장탱크탑과 연통되게 연결되어 물저장탱크탑내에 저장된 저장우수를 정수 및 살균하여 음용수로 공급하는 고도정수장치와; 상기 물저장탱크탑과 연통되게 연결되어 저장우수를 정원용수 및 세차수로 사용하기 위한 살수호스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형 빗물저류조에 의해 달성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조립형 빗물저류조는 요구되는 우수 사용량에 알맞게 물저장탱크의 용량을 갖도록 간편하고 신속하게 조립하여 사용할 수 있고, 비상시에는 음용수로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폭우 시에는 도심에서의 홍수방제기능을 할 수 있어 상수도의 절수 및 홍수방제 효과가 매우 크면서도 설치비용을 현저히 낮출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형 빗물저류조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설치상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형 빗물저류조의 구성요소 중 물저장탱크탑의 상단블록을 도시한 정면도 및 저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형 빗물저류조의 구성요소 중 물저장탱크탑의 하단블록을 도시한 정면도 및 평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형 빗물저류조의 구성요소 중 물저장탱크탑의 용량조절블록을 도시한 정면도 및 평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형 빗물저류조의 구성요소 중 물저장탱크탑의 수질관찰블록을 도시한 정면도 및 평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형 빗물저류조의 구성요소 중 배관조립체에 장착되는 개폐수단의 일 실시예를 단면하여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형 빗물저류조의 구성요소 중 배관조립체에 장착되는 개폐수단의 다른 실시예를 단면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형 빗물저류조의 다른 실시 예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설치상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조립형 빗물저류조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조립형 빗물저류조(10)는 물저장탱크탑(20)과, 배수관조립체(30)와, 송수배관(40)과, 워터펌프(50)와, 고도정수장치(60)와, 살수호스(70)로 구성된다.
상기 물저장탱크탑(20)은 우천 시 건축물(100) 옥상의 빗물을 저장하기 위한 조립형태의 물탱크로로써, 하단블록(21)과, 수질관찰블록(22)과, 상단블록(23)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용량조절블록(24)로 구성된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하단블록(21)은 상면이 개방되고, 상단부를 따라 플랜지(21a)가 형성된 통으로써, 하부 측면에, 송수용 배수구(21b)와, 유지관리배수구(21c)와, 살수호스용 배수구(21d)와, 고도정수장치용 배수구(21e)를 구비한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수질관찰블록(22)은 상하면이 개방되고, 상하단부를 따라 각기 플랜지(22a)가 형성된 통으로써, 측면부에 수질을 관찰할 수 있는 수질표시창(22b)을 갖고, 상기 하단블록(21)의 상단부에 적층되어 수밀하게 조립된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상단블록(23)은 하면이 개방되고, 하단부를 따라 플랜지(23a)가 형성된 통으로써, 상부에 입수구(23b)를 갖는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용량조절블록(24)은 상하면이 개방되고, 상하단부를 따라 각기 플랜지(24a)가 형성된 통으로써, 상기 수지관찰블록(22)과 상단블록(23) 사이에 순차적으로 적층되고, 수밀하게 조립된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배수관조립체(30)는 'U'자 형상의 배관으로써, 일단부는 상기 물저장탱크탑(20)의 상단부에 구비된 입수구와 연통되게 연결되고, 타단부는 건축물(100)의 옥상 배수구와 연통되게 연결되어 건축물(100) 옥상에서 배수구를 통해 배수되는 빗물을 상기 물저장탱크탑(20)으로 유입시키는 동시에 배수량이 소량인 오염된 초기우수는 배제시켜 오염된 초기우수로 인해 상기 물저장탱크탑(20)내에 저장된 빗물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며, 제1배수관(31)과, 개폐수단(32)과, 제2배수관(33)과, 필터파이프(34)로 구성된다.
상기 제1배수관(31)은 파이프로써, 상단부는 건출물 옥상의 배수구와 연통되게 연결되고, 하단부에는 초기우수를 배제하기 위해 연장형성되는 초기우수배출구(31a)와, 하단부 상측의 측면에 분기되는 분기구(31b)를 구비한다.
상기 초기우수배출구(31a)는 하단부가 좁고, 상단부가 넓은 깔대기 형상을 갖으며, 하단부 내주면을 따라 나사부가 형성된다.
상기 개폐수단(32)은 상기 제1배수관(31)의 초기우수배출구(31a)의 하단부에 착탈가능하게 장착되어 초기우수배출구(31a)를 개폐한다.
상기 제2배수관(33)은 파이프로써, 상단부가 상기 물저장탱크탑(20)의 입수구(23b)와 연통되게 연결된다.
상기 필터파이프(34)는 내부에 필터가 충전된 파이프로써, 상기 제1배수관(31)의 분기구(31b)와 제2배수관(33)의 하단부 사이에 연통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제1배수관(31)의 분기구(31b)를 통해 상기 물저장탱크탑(20) 내로 유입되는 우수를 필터링한다.
상기 개폐수단(32)의 일 실시예는 하우징(32a)과, 개폐부재(32b)와, 탄성부재(32c)로 구성된다.
상기 하우징(32a)은 상면이 개방되고, 하면 중앙부에 역원뿔대 형상의 배수공(32a1)을 갖는 관형상으로써, 상단부 외주면에 형성되어 상기 초기우수배출구(31a)의 하단부에 착탈가능하게 나사결합되는 나사부(32a2)와, 중앙부에 축작동공(32a3) 및 축작동공 주변에 대수개의 배수공(32a4)을 갖는 축지지부(32a5)를 구비한다.
상기 개폐부재(32b)는 상기 축작동공(32a3)에 작동가능하게 조립되는 작동축(32b1)과, 역원뿔대 형상을 갖고, 상기 작동축(32b1)의 하단부에 장착되어 상기 하우징(32a)의 배수공(32a1)을 개폐하는 개폐구(32b2)와, 원판으로써, 상기 작동축(32b1)의 상단부에 장착되어 수압이 발생되었을 때 상기 작동축(32b1)을 하방으로 누르는 수압감지판(32b3)을 구비한다.
상기 탄성부재(32c)는 상기 수압감지판(32b3)과 상기 하우징(32a)의 축지지부(32a5) 사이의 작동축(32b1)에 조립되어 상기 작동축(32b1)을 상방으로 탄성지지한다.
상기 개폐수단(32)의 다른 실시예는 하우징(32d)과, 개페부재(32e)로 구성된다.
상기 하우징(32d)은 상면이 개방되고, 하면 중앙부에 원뿔대 형상의 배수공(32d1)을 갖는 관형상으로써, 상단부 외주면에 형성되어 상기 초기우수배출구(31a)의 하단부에 착탈가능하게 나사결합되는 나사부(32d2)와, 중앙부에 축작동공(32d3) 및 축작동공 주변에 대수개의 배수공(32d4)을 갖는 축지지부(32d5)를 구비한다.
상기 개폐부재(32e)는 상기 축작동공(32d3)에 작동가능하게 조립되는 작동축(32e1)과, 원뿔대 형상을 갖고, 상기 작동축(32e1)의 하단부에 장착되어 상기 하우징(32d)의 배수공(32d1)을 개폐하는 개폐구(32e2)와, 내부에 공기를 갖는 부레로써, 상기 작동축(32e1)의 상단부에 장착되어, 배수량이 증가하여 상기 초기우수배출구(31a)에서부터 우수가 제1배수관(31)내로 차오름에 따른 부력에 의해 상방으로 상승하면서 상기 작동축(32e1)을 상방으로 당겨 하우징(32d)의 배수공(32d1)을 차단시키고, 배수량이 줄어들어 부력이 약해졌을 때 작동축(32e1) 및 개폐구(32e2)가 자중에 의해 하방으로 낙하하여 상기 하우징(32d)의 배수공(32d1)을 개방하는 부력구(32e3)를 구비한다.
상기 송수배관(40)은 상기 물저장탱크탑(20)의 하단부와 연통되게 연결되어 상기 물저장탱크탑(20내에 저장된 저장우수를 필요장소로 송수한다.
상기 워터펌프(50)는 상기 송수배관(40)상에 장착되어 물저장탱크탑(20)내의 저장우수를 펌핑한다.
상기 고도정수장치(60)는 상기 물저장탱크탑(20)과 연통되게 연결되어 물저장탱크탑(20)내에 저장된 저장우수를 정수 및 살균하여 음용수로 공급한다.
상기 살수호스(70)는 상기 물저장탱크탑(20)과 연통되게 연결되어 저장우수를 정원용수 및 세차수로 사용한다.
도 8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조립형 빗물저류조(10)의 다른 실시 예는 물저장탱크(90)와, 배수관조립체(30)와, 송수관(81)과, 워터펌프(50)와, 살균장치(80)와, 우수유출구(82)로 구성된다.
상기 물저장탱크(90)는 지중에 매설되어 물을 저장하는 것으로써, 일단면이 개방되고, 개방된 일단면 단부를 따라 플랜지가 형성된 통으로써, 외주면 일측에, 우수유출공(92a)을 갖는 일단블록(92)과, 일단면이 개방되고, 개방된 일단면의 단부를 따라 플랜지가 형성된 통으로써, 외주면 일측에 입수구(91a)를 갖고, 개방된 단면이 마주보도록 상기 일단블록(92)과 대향되게 설치되는 타단블록(91)과, 양 단면이 개방되고, 개방된 양 단면의 단부를 따라 각기 플랜지가 형성된 통으로써, 상기 일단 및 타단블록(92)(91) 사이에 일축으로 수밀하게 결합되는 하나 이상의 용량조절블록(93)으로 구성되며, 상기 하나 이상의 용량조절블록(93) 중 어느 하나에는 상기 송수관(81)이 장착되는 관조립공(93a)을 갖는다.
상기 배수관조립체(30)는 배관으로써, 일단부는 상기 물저장탱크(90)에 구비된 입수구와 연통되게 연결되고, 타단부는 건축물의 옥상 배수구와 연통되게 연결되는 파이프로써, 상단부는 건출물(100) 옥상의 배수구와 연통되게 연결되고, 하단부에는 초기우수를 배제하기 위해 연장형성되는 초기우수배출구(31a) 및 하단부 상측의 측면에 분기되는 분기구(31b)를 구비한 제1배수관(31)과, 상기 제1배수관(31)의 초기우수배출구(31a)의 하단부에 착탈가능하게 장착되어 초기우수배출구(31a)를 개폐하는 개폐수단(32)과, 파이프로써, 일단부가 상기 물저장탱크(90)의 입수구(91a)와 연통되게 연결되는 제2배수관(33)과, 내부에 필터가 충전된 파이프로써, 상기 제1배수관(31)의 분기구(31b)와 제2배수관(33)의 타단부 사이에 연통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제1배수관(31)의 분기구(31b)를 통해 상기 물저장탱크(90) 내로 유입되는 우수를 필터링하는 필터파이프(34)로 구성되며, 상기 개폐수단(32)은 상기된 것과 동일한 구성을 갖는다.
상기 송수관(81)은 배관으로써, 일단부는 상기 물저장탱크(90)의 내부중공에 내장되고, 타단부는 지상으로 연장형성된다.
상기 위터펌프(50)는 상기 송수관(81)상에 장착되어 상기 물저장탱크(90)내에 저장된 우수를 펌핑한다.
상기 살균장치(80)는 상기 배수관조립체(30)상에 장착되어 상기 배수관조립체(30)를 통해 상기 물저장탱크(90)내로 유입되는 우수를 살균하는 것으로써, 우수를 살균시킬 수 있는 것이면 어떤것을 사용하여도 좋다.
상기 우수유출구(82)는 상기 물저장탱크(90)의 일측에 내부중공과 연통되게 연결되어 물저장탱크(90)내로 우수가 과다하는 유입될 때 물저장탱크(90)내의 우수를 오버플로우(Overflow) 시킨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형 빗물저류조(10)는 저렴한 비용으로 건축물에 알맞은 용량에 맞도록 신속하고 견고하게 설치될 수 있으면서도 빗물을 생활용수 및 비상시 음용수로 이용할 수 있어 절수효과가 크면서도 초기유수를 별도의 동력 없이 배제시켜 저장된 빗물이 오염된 초기우수에 의해 오염디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함은 물론 장마 및 태풍 시에 홍수방제기능도 할 수 있는 것이다.
10: 조립형 빗물저류조 20: 물저장탱크탑
21: 하부블록 22: 수질관찰블록
23: 상부블록 24: 용량조절블록
30: 배수관조립체 31: 제1배수관
32: 개폐수단 33: 제2배수관
34: 필터파이프 40: 송수배관
50: 위터펌프 60: 고도정수장치
70: 살수호스 80: 살균장치
90: 물저장탱크 100: 건축물

Claims (8)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물을 저장하는 물저장탱크탑(20)과; 'U'자 형상의 배관으로써, 일단부는 상기 물저장탱크탑(20)의 상단부에 구비된 입수구와 연통되게 연결되고, 타단부는 건축물의 옥상 배수구와 연통되게 연결되는 파이프로써, 상단부는 건출물 옥상의 배수구와 연통되게 연결되고, 하단부에는 초기우수를 배제하기 위해 연장형성되는 초기우수배출구(31a)와, 하단부 상측의 측면에 분기되는 분기구(31b)를 구비한 제1배수관(31)과, 상기 제1배수관(31)의 초기우수배출구(31a)의 하단부에 착탈가능하게 장착되어 초기우수배출구(31a)를 개폐하는 개폐수단(32)과, 파이프로써, 상단부가 상기 물저장탱크탑(20)의 입수구(23b)와 연통되게 연결되는 제2배수관(33)과, 내부에 필터가 충전된 파이프로써, 상기 제1배수관(31)의 분기구(31b)와 제2배수관(33)의 하단부 사이에 연통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제1배수관(31)의 분기구(31b)를 통해 상기 물저장탱크탑(20) 내로 유입되는 우수를 필터링하는 필터파이프(34)로 구성되는 배수관조립체(30)와; 상기 물저장탱크탑(20)의 하단부와 연통되게 연결되어 상기 물저장탱크탑(20)내에 저장된 저장우수를 필요장소로 송수하는 송수배관(40)과; 상기 송수배관(40)상에 장착되어 물저장탱크탑(20)내의 저장우수를 펌핑하는 워터펌프(50)와; 상기 물저장탱크탑(20)과 연통되게 연결되어 물저장탱크탑(20)내에 저장된 저장우수를 정수 및 살균하여 음용수로 공급하는 고도정수장치(60)와; 상기 물저장탱크탑(20)과 연통되게 연결되어 저장우수를 정원용수 및 세차수로 사용하기 위한 살수호스(70)로 구성되는 조립형 빗물저류조에 있어서,
    상기 초기우수배출구(31a)는,
    하단부가 좁고, 상단부가 넓은 깔대기 형상을 갖으며, 하단부 내주면을 따라 나사부가 형성되며;
    상기 개폐수단(32)은,
    상면이 개방되고, 하면 중앙부에 역원뿔대 형상의 배수공(32a1)을 갖는 관형상으로써, 상단부 외주면에 형성되어 상기 초기우수배출구(31a)의 하단부에 착탈가능하게 나사결합되는 나사부(32a2)와, 중앙부에 축작동공(32a3) 및 축작동공 주변에 대수개의 배수공(32a4)을 갖는 축지지부(32a5)를 구비하는 하우징(32a)과;
    상기 축작동공(32a3)에 작동가능하게 조립되는 작동축(32b1)과, 역원뿔대 형상을 갖고, 상기 작동축(32b1)의 하단부에 장착되어 상기 하우징(32a)의 배수공(32a1)을 개폐하는 개폐구(32b2)와, 원판으로써, 상기 작동축(32b1)의 상단부에 장착되어 수압이 발생되었을 때 상기 작동축(32b1)을 하방으로 누르는 수압감지판(32b3)을 구비한 개폐부재(32b)와;
    상기 수압감지판(32b3)과 상기 하우징(32a)의 축지지부(32a5) 사이의 작동축(32b1)에 조립되어 상기 작동축(32b1)을 상방으로 탄성지지하는 탄성부재(32c)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형 빗물저류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수단(32)은,
    상면이 개방되고, 하면 중앙부에 원뿔대 형상의 배수공(32d1)을 갖는 관형상으로써, 상단부 외주면에 형성되어 상기 초기우수배출구(31a)의 하단부에 착탈가능하게 나사결합되는 나사부(32d2)와, 중앙부에 축작동공(32d3) 및 축작동공 주변에 대수개의 배수공(32d4)을 갖는 축지지부(32d5)를 구비하는 하우징(32d)과;
    상기 축작동공(32d3)에 작동가능하게 조립되는 작동축(32e1)과, 원뿔대 형상을 갖고, 상기 작동축(32e1)의 하단부에 장착되어 상기 하우징(32d)의 배수공(32d1)을 개폐하는 개폐구(32e2)와, 내부에 공기를 갖는 부레로써, 상기 작동축(32e1)의 상단부에 장착되어, 배수량이 증가하여 상기 초기우수배출구(31a)에서부터 우수가 제1배수관(31)내로 차오름에 따른 부력에 의해 상방으로 상승하면서 상기 작동축(32e1)을 상방으로 당겨 하우징(32d)의 배수공(32d1)을 차단시키고, 배수량이 줄어들어 부력이 약해졌을 때 작동축(32e1) 및 개폐구(32e2)가 자중에 의해 하방으로 낙하하여 상기 하우징(32d)의 배수공(32d1)을 개방하는 부력구(32e3)를 구비한 개폐부재(32e)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형 빗물저류조.
  6. 삭제
  7. 삭제
  8. 삭제
KR1020130048568A 2013-04-30 2013-04-30 조립형 빗물저류조 KR1015520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48568A KR101552006B1 (ko) 2013-04-30 2013-04-30 조립형 빗물저류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48568A KR101552006B1 (ko) 2013-04-30 2013-04-30 조립형 빗물저류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29800A KR20140129800A (ko) 2014-11-07
KR101552006B1 true KR101552006B1 (ko) 2015-09-09

Family

ID=524549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48568A KR101552006B1 (ko) 2013-04-30 2013-04-30 조립형 빗물저류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5200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487371A (zh) * 2018-04-03 2018-09-04 卢宣竹 一种高层楼房建筑过程中的雨水再利用临时系统
CN110158753B (zh) * 2019-06-19 2024-02-02 毅康科技有限公司 一种海绵城市用雨水处理系统
CN112647558A (zh) * 2020-11-26 2021-04-13 南通勘察设计有限公司 一种有效降低室内温度的楼房雨水回收利用系统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73034A (ja) * 1999-12-20 2001-06-26 Takiron Co Ltd 簡易貯水タンク
JP2011032686A (ja) * 2009-07-30 2011-02-17 Sanyo Electric Co Ltd 雨水散水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73034A (ja) * 1999-12-20 2001-06-26 Takiron Co Ltd 簡易貯水タンク
JP2011032686A (ja) * 2009-07-30 2011-02-17 Sanyo Electric Co Ltd 雨水散水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29800A (ko) 2014-1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63853B1 (ko) 건축물용 우수 포집 및 재활용 시스템
KR101511219B1 (ko) 우수 처리 및 재활용 장치
CN201762757U (zh) 一种屋面雨水利用系统
CN102400477A (zh) 一种屋面雨水利用系统
AU2007264390A1 (en) Rainwater irrigation apparatus
CN205328717U (zh) 一种能够储存反渗透净水机中非饮用水的装置及其净水机系统
KR101552006B1 (ko) 조립형 빗물저류조
KR20160117384A (ko) 빗물 저류조를 활용한 연못 순환 시스템
KR100511208B1 (ko) 재활용 및 홍수방지용 빗물저수조 시스템
CN101269854A (zh) 折流式饮水机专用净水器
CN106836440B (zh) 一种雨污分流自控装置
WO2010128283A2 (en) Rainwater harvesting system
KR20130011103A (ko) 빗물관리시설장치
KR100749400B1 (ko) 우수의 중수 재활용 시스템
RU2634952C1 (ru) Система для приема и очистки ливневой сточной воды
KR20110033529A (ko) 빗물의 저수설비장치
KR100927459B1 (ko) 빗물처리장치
US11549250B1 (en) Freshwater conservation drain system
PL176565B1 (pl) Budowla przenośna z elementów prefabrykowanych z żelbetu lub z materiału zastępczego
AU2014330107B2 (en) Filtration system and method for filtering a liquid
CN210507607U (zh) 一种水利工程用环保型雨水收集装置
JP2011038295A (ja) 雨水排水構造
CN213221679U (zh) 一种用于处理工业废水的管式超滤膜结构
CN209742047U (zh) 一种屋顶雨水弃流装置
CN203230028U (zh) 清污分流自动切换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3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