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51485B1 - 회전부재를 가진 진동조립체 - Google Patents

회전부재를 가진 진동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51485B1
KR101551485B1 KR1020140164797A KR20140164797A KR101551485B1 KR 101551485 B1 KR101551485 B1 KR 101551485B1 KR 1020140164797 A KR1020140164797 A KR 1020140164797A KR 20140164797 A KR20140164797 A KR 20140164797A KR 101551485 B1 KR101551485 B1 KR 1015514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brating body
vibration
vibrating
main body
connecting membe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647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44674A (ko
Inventor
박정열
Original Assignee
(주) 대동이엔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대동이엔지 filed Critical (주) 대동이엔지
Priority to PCT/KR2014/011762 priority Critical patent/WO2016056704A1/ko
Priority to CN201480001976.9A priority patent/CN105683613B/zh
Publication of KR201401446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44674A/ko
Priority to JP2017519559A priority patent/JP6526187B2/ja
Priority to AU2015328981A priority patent/AU2015328981A1/en
Priority to CA2964074A priority patent/CA2964074A1/en
Priority to EP15848647.2A priority patent/EP3205779A4/en
Priority to BR112017007210A priority patent/BR112017007210A2/pt
Priority to PCT/KR2015/007326 priority patent/WO2016056734A1/ko
Priority to US15/517,952 priority patent/US20170306586A1/en
Priority to SG11201702892XA priority patent/SG11201702892XA/en
Priority to RU2017111500A priority patent/RU2661940C1/ru
Priority to CN201580000231.5A priority patent/CN105683450B/zh
Priority to MX2017004668A priority patent/MX2017004668A/es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514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51485B1/ko
Priority to PH12017500652A priority patent/PH12017500652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5/0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systems; Means or arrangements for avoiding or reducing out-of-balance forces, e.g. due to motion
    • F16F15/02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FRAIL VEHICLE SUSPENSIONS, e.g. UNDERFRAMES, BOGIES OR ARRANGEMENTS OF WHEEL AXLES; RAIL VEHICLES FOR USE ON TRACKS OF DIFFERENT WIDTH; PREVENTING DERAILING OF RAIL VEHICLES; WHEEL GUARDS, OBSTRUCTION REMOVERS OR THE LIKE FOR RAIL VEHICLES
    • B61F5/00Constructional details of bogies; Connections between bogies and vehicle underframes; Arrangements or devices for adjusting or allowing self-adjustment of wheel axles or bogies when rounding curves
    • B61F5/02Arrangements permitting limited transverse relative movements between vehicle underframe or bolster and bogie; Connections between underframes and bogies
    • B61F5/04Bolster supports or mountings
    • B61F5/10Bolster supports or mountings incorporating fluid spr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5/00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for special purposes
    • E02F5/30Auxiliary apparatus, e.g. for thawing, cracking, blowing-up, or other preparatory treatment of the soil
    • E02F5/32Ripp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5/0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systems; Means or arrangements for avoiding or reducing out-of-balance forces, e.g. due to motion
    • F16F15/02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 F16F15/04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using elastic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pparatuses For Generation Of Mechanical Vibr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회전부재를 가진 진동조립체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와 진동체지지유닛에 결합되어 진동하는 진동체를 구비하며, 상기 진동체지지유닛은 진동체 또는 진동체를 지지하기 위한 본체부에 회전가능하게 회전부재가 설치되고, 상기 본체부에 대해 진동체를 지지할 수 있도록 회전부재의 회전중심을 기준으로 상하부측과 본체부 또는 진동체를 회전가능하게 각각 연결되는 제 1,2연결부재가 구비되어 상기 본체부에 대해 진동체의 진동 시 상기 회전부재가 회전하여 진동에 따른 제1,2연결부재와 진동체의 결합위치 변화를 보상한다.

Description

회전부재를 가진 진동조립체{vibration assembly having rotating members}
본 발명은 진동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진동체가 한정된 진폭의 범위 내에서 적어도 일측의 연결부재의 회전에 의한 길이를 보상하여 진동체가 상하방향으로 진동이 가능하게 한 회전부재를 가진 진동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건설기계, 굴삭기, 진동리퍼, 자동차 등에는 다양한 형상으로 진동모델이 제안되어 실용화되고 있다. 진동(振動) 특성은 일반적으로 부하질량의존성과 입력 의존성이 있다. 부하질랑 의존성은 하중-변위 특성의 곡률과 관계가 있으며, 입력 의존성은 하중-변위특성의 히스테리시스와 관계가 있다.
예컨대, 굴삭기, 유압브레이커, 진동리퍼, 다짐기, 컷터, 항타기 등은 진동발생원으로부터 발생되는 진동을 활성화시키고, 아울러 이 진동이 붐대 또는 차체에 전해지는 것을 방지하는 제진 유닛에는 금속 스프링, 공기스프링, 방진고무, 쇽업쇼바 등이 사용되고 있다.
진동체로부터 발생되는 진동을 활성화시키기 위해 지지하는 지지체는 방진고무, 스프링과 같은 탄성부재가 이용되거나 한정된 길이를 가지는 링크가 이용되고 있다. 방진고무나 소프트한 스프링을 사용하면, 공진점(resonance point)은 저주파 쪽으로 이동하지만 진동전달률이 높아진다. 공진점의 전달률을 낮추려면, 댐퍼의 감쇠비를 크게 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제진유닛 즉, 진동기의 감쇠비를 크게 하면 고주파의 전달률이 높아지므로, 종래의 수동적인 진동모델에서는 그 성능에 한계가 발생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 10-1202636호에는 링크와 방진고무를 이용하여 진동체를 지지하는 구조가 게시되어 있으며,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 10-741245호에는 진동체의 일측을 힌지축에 의해 결합하고, 타측을 방진고무를 이용하여 지지시킨 굴삭기용 리퍼가 게시되어 있으며,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 10-2014-0010771호에는 슬라이딩장치와 방진고무를 이용하여 진동체를 진동할 수 있도록 지지하는 구성이 게시되어 있다. 그리고 대한민국 등록 특허 제 10-0331934호에는 자기스프링을 이용한 진동기구가 게시되어 있으며,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 0161564호에는 유압브레이커 완충장치가 게시되어 있다.
대한민국 등록 특허 제 10-0331934호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 0161564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 10-1202636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 10-741245호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 10-2014-0010771호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진동발생유닛으로부터 발생되는 진동이 상하 방향으로 진동될 수 있도록 지지할 수 있으며, 측방향으로 가하여지는 외력에 의해 진동체의 좌우방향으로의 이동을 최소화 할 수 있는 회전부재를 가진 진동조립체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기술적 과제는 진동체의 진폭을 진동발생유닛의 진동강도에 관계없이 진동체의 진폭을 일정하게 하여 진동체의 진동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회전부재를 가진 진동조립체를 제공는데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회전부재를 가진 진동조립체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와 진동체지지유닛에 결합되어 진동하는 진동체를 구비하며,
상기 진동체지지유닛은 진동체 또는 진동체를 지지하기 위한 본체부에 회전가능하게 회전부재가 설치되고, 상기 본체부에 대해 진동체를 지지할 수 있도록 회전부재의 회전중심을 기준으로 상하부측과 본체부 또는 진동체를 회전가능하게 각각 연결되는 제 1,2연결부재가 구비되어 상기 본체부에 대해 진동체의 진동 시 상기 회전부재가 회전하여 진동에 따른 제1,2연결부재와 진동체의 결합위치 변화를 보상한다.
본 발명에 있으서, 상기 회전부재는 진동체에 진동방향과 직각 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제 1,2연결부재는 회전부재의 양측에 각각 설치되어 진동체가 상하방향으로 진동한다.
대안으로 상기 기술적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회전부재를 가진 진동조립체는
회전부재가 진동체에 진동방향과 직각 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회전부재의 회전중심의 상하부측과 본체부를 각각 회전가능하게 연결하여 진동체가 상기 본체부에 대해 상하방향으로 진동가능하게 지지하는 제 1,2연결부재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진동체에는 진동발생유닛이 더 구비되며, 상기 회전부재와 연결되는 제 1,2연결부재의 일측은 회전중심의 수직 상하부에 각각 회전가능하게 연결된다.
대안으로 상기 기술적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회전부재를 가진 진동조립체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와 진동체지지유닛에 결합되어 진동하는 진동체를 구비하며,
상기 진동체지지유닛은 상기 본체부에 대해 상기 진동체가 진동할 수 있도록 지지할 수 있는 것으로, 본체부에 일측단부가 힌진축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고정되고 타측단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제1편심캠이 진동체에 설치된 힌지축과 편심되게 결합된 제1진동링크와
상기 제 1진동링크와 대응되도록 본체부에 일측단부가 힌진축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고정되고 타측단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제2편심캠이 진동체에 설치된 힌지축과 편심되게 결합된 제2진동링크를 구비한다.
대안으로 상기 기술적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회전부재를 가진 진동조립체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와 진동체지지유닛에 결합되어 진동하는 진동체를 구비하며,
상기 진동체지지유닛은 상기 본체부에 대해 상기 진동체가 진동할 수 있도록 지지할 수 있는 것으로, 진동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회전부재와, 상기 본체부와 일측과 상기 회전부재의 회전중심의 상하부측을 각각 연결하는 제1연결부재와 제 2연결부재를 구비하여 상기 진동체의 상하 진동 시 상기 회전부재가 회전하여 진동에 따른 제1,2연결링크와 진동체의 결합위치 변화를 보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진동체의 하면에 유압브레이커 또는 퀵커플러가 설치된다.
본 발명의 회전부재를 가진 진동조립체는 진동체의 진동이 일방향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현가시킬 수 있으며, 진동체의 진동력이 커지더라도 균일한 진폭으로 진동시킬 수 있다. 또한 제1,2연결부재의 일측이 회전체에 의해 지지되어 있으므로 본체부에 대한 진동체의 지지력의 안정성을 도모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진동조립체는 상하방향의 진동에 방향성을 한정함으로써 진동을 이용하는 장비의 진동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회전부재를 가진 진동조립체의 일부절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회전부재를 가진 진동조립체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정면도,
도 3는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회전부재를 가진 진동조립체의 일부절제 사시도,
도 4a, 4b 회전부재와 제 1,2연결부재의 설치상태를 나태내 보인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회전부재를 가진 진동조립체의 다른 실시예들을 나타내 보인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화전부재 복원유닛의 일 실시예를 발췌하여 도시한 일부절제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회전부재를 가진 진동조립체의 다른 실시예들을 나타내 보인 일부절제 사시도,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진동 조립체의 측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진동조립체의 작동상태를 나타내 보인 도면,
도 10는 본 발명에 따른 회전부재를 가진 진동조립체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정면도,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진동조립체의 측면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회전부재를 가진 진동조립체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 보인 사시도,
도 13는 도 11에 도시된 진동조립체의 일부절제 측면도,
본 발명에 따른 회전부재를 가진 진동조립체의 실시예를 도 1 내지 도 5에 나타내 보였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회전부재를 가진 진동조립체(10)는 진동체(20)와, 상기 진동체(20)를 지지하기 위한 본체부(30)와, 상기 본체부(30)에 대해 진동체(20)가 진동할 수 있도록 지지하는 진동체지지유닛(40)을 구비한다.
상기 본체부(30)는 진동체(10)의 진동공간부(31)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본체부(3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부(30)의 상부측 또는 측면측에 운용장비와 결합을 위한 지지브라켓부(32)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진동공간부(31)을 형성하기 위하여 양측으로 연장되는 제 1,2지지프레임부재(33)(34)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본체부(30)는 반드시 구획된 진동공간부(31)가 별도로 형성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본체부(30)는 상술한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지 않고, 진동체(20)를 진동체지지유닛(40)에 의해 진동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는 구조이면 가능하다.
상기 진동체(20)는 본체부(30)에 대해 진동지지유닛(40)에 의해 지지되어 소정의 진폭을 진동하는 것으로, 진동발생유닛(200)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진동발생유닛(200)은 하우징에 편심웨이트가 부착된 두 개의 구동축이 평행하게 설치되고, 이 회전축에 각각 상호 치합되는 기어가 각각 설치된다. 상기 구동축에 설치된 편심웨이트는 상하방향으로 진동을 극대화 시킬 수 있도록 회전축에 대해 동일방향으로 있도록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에는 두 개의 구동축중 적어도 하나의 구동축을 구동시키기 위한 액튜에이터가 설치된 구성을 가진다. 이러한 구성은 본 발명인이 출원하여 등록받은 특허등록 제 0878296호에 게시되어 있다. 상기 진동발생유닛은 상술한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지 않고, 본체부(30)와 같이 진동시킬 수 있는 구조이면 가능하다.
상기 진동체지지유닛(40)은 상기 본체부(30)에 대해 상기 진동체(20)가 진동할 수 있도록 지지할 수 있는 것으로, 진동체(20)에 적어도 하나의 회전부재(41)가 설치되고, 이 회전부재(41)의 회전중심과 어긋나도록 일측단부가 회전부재(41)의 회전중심의 상하부측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본체부(30)에 타측단부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2연결부재(50)(60)를 구비한다.
상기 회전부재(41)는 각각 진동체(20)의 진동방향과 직각 방향으로 설치될 수 있으며, 본체부(30)의 상하부에 수직축선상에 위치될 수 있도록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회전부재(41)는 각각 진동체(20)를 관통하여 양단부가 양측으로 돌출될 수 있으며, 진동체(20)에 대해 정역회전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베어링 지지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회전부재(41)가 진동체(20)를 관통하지 않고, 대응되는 양측면에 각각 설치될 수 있는데, 이 경우, 상기 회전부재(41)의 중심은 동일 축선상에 위치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회전부재(41)는 진동체(20)의 상부측에 형성된 별도의 브라켓(21)에 설치될 수 있으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진동체의 상부측에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도면에는 회전부재(41)에 진동체(20)에 설치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며, 본체부에 회전부재가 설치되고, 진동체와 회전부재가 상술한 바와 가이 제1,2연결부재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진동체(20)의 진폭은 회전부재(41)의 회전중심을 기준으로 한 수평선의 상부측과 하부측에 힌지축에 의해 결합된 제1,2연결부재(50)(60)의 결합위치에 따라 조절될 수 있다. 즉, 상기 제 1,2연결부재(50)(60)와 회전부재(41)의 회전중심으로부터 상부 또는 하방으로 멀어질수록 진동체의 진동폭이 커지고, 근접될수록 진동폭이 좁아진다.
상기 진동체지지유닛(40)의 제1,2연결부재(50)(60)의 일측단부는 도 1 내지 도 4a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부재(41)의 회전중심의 상하부에 각각 힌지축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제 1,2연결부재의 타측단부는 본체부(30)에 힌지축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데, 상기 제 1,2연결부재(50)(60)은 수평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연결부재의 본체부(30)의 힌지축에 의한 연결부위는 회전부재(41)의 연결부위보다 하부에 위치되고, 제2연결부재의 본체부(30)의 힌지축에 의한 연결부위는 회전부재(41)의 회전중심 하부에 힌지축에 의해 연결된 부위보다 하부에 위치된다.
상기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제 1,2연결부재(50)(60)의 길이는 동일하지 않고, 회전부재(41)(42)의 회전각도 및 제1,2연결부재(50)(60)의 힌지결합위치를 감안하여 서로 다르게 형성할 수 있다. 제1,2연결부재(50)(60)을 서로 다르게 형성하는 경우 진동체를 수직축선을 따라 상하방향으로 진동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회전부재(41)와 소정간격 이격되는 부위, 예컨대 회전부재(41)의 수직하부측에는 상기 진동체(20)와 본체부에 양단부가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진동에 동조하는 동조연결부재(65)를 더 구비한다. 상기 동조연결부재(65)와 진동체(20)의 회전가능하게 힌지축에 의해 연결되는 연결부위는 진동체(20)의 승강 시 진동체의 회전을 감안하여 회전부재(41)의 중심과 수직 축선상에 위치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회전부재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진동체(20)의 상하부측에 각각 설치되고, 이 회전부재(41)(42)들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제 1,2연결부재(50a,60a)와, 제 3,4연결부재(50b,60b)가 각각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진동체(20)와 본체부(30)의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의 방진부재(70)가 설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진동체(20)은 본체부에 대해 방진부재(70)에 의해 지지될 수 있으며, 별도의 본체부와 별도의 부재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진동체(20)와 본체부(30)의 사이에는 방진부재(70)가 설치될 수 있는데, 이 방진부재(70)는 탄성고무재로 이루어지거나 탄성스프링 등의 탄성체가 설치될 수 있는데,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방진부재(70)는 진동체유닛(200)으로부터 발생된 진동을 활성화 시킬 수 있으며, 진동체(20)의 소정의 폭을 진동 시 진동을 위한 복원력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방진부재(70)는 진동체(20)의 상면측과 본체부(30)의 하면 사이에 설치될 수 있으며, 진동체(20)와 제 1지지프레임부재(33) 및 진동체(20)와 제 2지지프레임부재(34)의 사이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방진부재(70)는 진동체(20)의 상면측과 본체부(30)의 하면 및 진동체(20)와 제 1,2지지프레임부재(33)(34)의 사이에 각각 설치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회전부재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부재(41)의 회전 시를 원위치로 복원시키기 위한 회전부재복원유닛(80)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회전부재복원유닛(80)은 회전부재의 지지축(81)을 감싸며 본체부(30)에 설치되는 하우징(82)과 상기 회전부재의 지지축(81)의 외주면과 하우징(82)의 내주면 사이에 설치되어 지지축(81)의 회전을 복원시키기 위한 탄성부재(83)가 설치될 수 있다. 이때에 상기 지지축(81)의 외주면은 다각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회전부재복원유닛은 상술한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지 않고, 회전부재지지축의 외주면에 복원돌기를 형성하고, 상기 하우징과 복원돌기 사이에 탄성스프링이 설치되어 이루어질 수동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회전부재복원유닛을 구비한 경우 본체부(30)과 진동체(20)의 사이에 별도의 방지부재가 반드시 설치될 필요는 없다.
한편, 도 7 내지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회전에 의한 길이보상 부재를 이용한 진동조립체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 보였다. 상기 실시예와 동일한 도면부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가리킨다.
도면을 참조하며, 본체부(30)에 대해 진동체(20)를 지지하는 진동체 지지유닛(40)이 수평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열되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진동체(20)에 두 개의 제1,2회전부재(43)(44)가 수평방향으로 배열설치 된다. 상기 제1,2회전부재(43)(44)는 본체부(30)에 설치될 수도 있으며, 상기 제1,2회전부재는 두 개 이상이 설치될 수도 있다.
그리고 진동체(20)에 설치되는 제1,2회전부재(43)(44)들에는 각각 회전중심과 어긋나도록 일측 단부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본체부(30)에 타측단부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2,3,4연결부재(51)(61)(52)(62) 들을 구비한다. 즉, 일측의 제1회전부재(43)에 제1,2연결부재(51)(61)의 일측단부가 상호 대응되게 설치되고, 상기 제2회전부재(44)에는 제 3,4연결부재(52)(62)의 일측단부가 대응되게 설치되며, 상기 제 1,2연결부재(51)(61)의 타측단부는 상기 본체부(30)에 힌지축에 의해 연결되고, 상기 제 3,4연결부재(52)(62)의 타측단부는 상기 본체부(30)에 힌지축에 의해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제 1,2회전부재(43)(44)는 이들의 회전을 동기시키기 위한 동조링크(90)이 더 구비될 수 있다.(도 8 및 도 9참조), 이러한 동조링크는 진동체의 일측에 편하중이 작용할 때 진동의 트러블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본체부(30)는 양측에 상기 제1,2,3,4연결부재의 결합을 위한 별도의 축수부(30a)(30b)가 형성된다. 상기 제1,2,3,4연결부재의 일측단부와 제 1,2회전부재의 연결은 상술한 실시예와 동일하다. 그리고 상기 본체부(30)과 진동체(20)의 사이에는 방진부재(70)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 1,2회전부재(43)(44)에는 이를 원위치로 복원시키기 위한 별도의 회전부재복원유닛이 설치될 수 있는데, 상기 회전위치복원 유닛은 상술한 실시예와 동일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회전에 의한 길이보상 부재를 이용한 진동조립체(10)는 진동체(20)에 설치된 진동발생유닛 또는 진동체와 결합된 어태치먼트에 설치된 진동발생유닛의 구동으로 진동체(20)가 상하방향으로 진동하게 된다.
상기 진동체(20)을 지지하는 진동체지지유닛(40)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
상기 진동체(20)가 진동발생유닛(100)의 작용으로 상방향으로의 이동 시 진동체(20)의 상하부측에 설치되는 회전부재(41)가 회전(도 9참조)되면서 상기 진동체(20)가 상승함에 따른 제 1,2연결부재(50)(60) 단부의 회전으로 인한 길이 변화량을 보상하게 된다. 즉, 상기 본체부(20)에 대해 제 1,2연결부재(50)(60)에 의해 지지된 진동체(20)가 수직 상방향으로 진동하게 되면, 제1,2연결부재(50)(60)의 회전으로 제1,2연결부재(50)(60)의 단부는 원호의 궤적을 그리게 되는데, 이때에 상기 회전부재(41)가 회전하면서 제1,2연결부재(50)(60)의 단부가 본체부(30) 측으로 이동되는 이동량을 보상하게 된다. 따라서 진동체(20)는 본체부(30)의 진동공간부(31)에서 진동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진동체(20)가 하강하는 경우, 진동체(20)가 수직 하방향으로 진동하게 되면, 제1,2연결부재(50)(60)의 역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제1,2연결부재(50)(60)의 단부는 원호의 궤적을 그리게 되는데, 이때에 상기 회전부재(41)가 회전하면서 제1,2연결부재(50)(60)의 단부가 본체부(30)로부터 멀어지게 되는데, 멀어지는 변화량을 회전부재(41)에 의해 흡수하게 된다. 따라서 진동체(20)는 상하방향으로 진동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진동이 이루어는 과정에서 본체부(30)에 설치되는 제 1,2연결부재(50)(60)중 하부측에 위치되는 제 2연결부재(60)(도 1 및 도 3)의 길이를 제 1연결부재(50)보다 길게 형성함으로써 진동체(20)의 수직축선을 따라 진동이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0 및 도 11에는 본 발명에 따른 회전에 의한 길이보상 부재를 이용한 진동조립체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 보였다.
도면을 참조하면,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회전에 의한 길이보상 부재를 이용한 진동조립체는 진동체(20)와 상기 진동체(20)를 지지하기 위한 본체부(30)와, 상기 본체부(30)에 대해 진동체(20)가 진동할 수 있도록 지지하는 진동체지지유닛(90)을 구비한다.
상기 본체부(30)는 진동체(10)의 진동공간부(31)를 가질 수 있는데, 이 진동공간부(31)을 형성하기 위하여 양측으로 연장되는 제 1,2지지프레임부재(33)(34)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진동체(20)는 본체부(30)에 대해 상기 실시예에서 언급한 진동발생유닛(200)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진동체지지유닛(90)은 상기 본체부(30)에 대해 상기 진동체(20)가 진동할 수 있도록 지지할 수 있는 것으로, 본체부(30)에 일측단부가 힌진축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고정되고 진동체(20)에 타측단부가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는 제1,2진동링크(55)(65)를 구비하는데, 진동체(20)에 설치되어 제 1,2진동링크(56)(66)의 타측단부를 진동체(20)에 고정시키는 힌지축(101a)(102a)들은 상기 본체부(30)에 대해 진동체(20)의 진동 시 제 1,2진동링크(56)(66)의 회전에 따른 위치변동을 보상하기 위한 위치보상유닛인 제 1,2편심캠(101)(102)에 각각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제1진동부재(56)의 타측단부에 설치되는 제 1편심캠(101)과 제2진동부재(56)의 타측단부에 설치되는 제 2편심캠(102)는 베어링지지되어 정역회전이 원활하게 이루어진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진동체(20)의 하부 또는 이와 연결되는 리퍼블레이드가 브라켓과 본체부(30)에 양단부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동조연결부재(65)가 더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제 1,2편심캠(101)(102)에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이들의 회전을 동조시키기 위해 별도의 동조링크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진동체지지유닛(90)는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2진동부재가 진동체의 상부측과 하부측에 각각 설치될 수 있으며, 도 12 및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2진동부재들이 수평방향으로 힌지축들에 설치될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본체부(30)와 진동체(20)의 사이에는 방진 또는 완충을 위한 방진유닛(70)이 설치된다. 상기 방진유닛(70)은 상술한 바와 같이 탄성고무, 스프링, 에어쇼바, 에어스프링들중 선택된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상기 진동체의 하면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퀵커플러, 리퍼블레이드, 치즐, 별도의 굴삭기 어태치먼트(유압브레이커, 진동리퍼, 진동버켓, 진동채버켓, 밀링커터, 콤펙터, 중 선택된 하나)가 설치될 수 있다. 여기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별도의 어태치먼트가 별도의 진동발생유닛을 가지고 있지 않은 경우 상기 진동체에 설치되는 진동발생유닛을 설치하여 진동시킬 수 있음은 당연하다.
본 발명에 따른 회전에 의한 길이보상 부재를 이용한 진동조립체는 진동체(20)에 설치된 진동발생유닛 또는 진동체와 결합된 어태치먼트에 설치된 진동발생유닛의 구동으로 진동체(20)가 상하방향으로 진동하게 된다.
상기 진동체(20)가 진동발생유닛(200)의 작용으로 상방향으로의 이동 시 진동체(20)와 연결된 제 1,2진동링크(56)(66)의 제1,2편심캠(101)(102)가 회전(도 9참조)되면서 상기 진동체(20)가 상승함에 따른 제 1,2진동링크(56)(66)의 회전으로 인한 길이 변화량을 보상하게 된다. 즉, 상기 본체부(20)에 대해 제 1,2진동링크(56)(66)에 의해 지지된 진동체(20)가 수직 상방향으로 진동하게 되면, 제1,2진동링크(56)(66)의 회전으로 제1,2진동링크(56)(66)의 단부는 원호의 궤적을 그리게 되는데, 이때에 상기 제1,2편심캠(101)(102)이 회전하면서 제 1,2진동링크(56)(66)에 각각 설치된 힌지축(101a)(102a)의 이동량을 보상하게 된다. 따라서 진동체(20)는 본체부(30)에 진동가능하게 된다.
이러한 과정에서 상기 방진부재(70)는 진동체(20)을 탄성지지함과 아울러 진동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게 되므로 진동체(20)의 진동을 활성화 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진동조립체는 진동체(20)가 수직 상방향으로 진동하게 됨으로써 진동발생유닛을 가지고 있는 진동버켓, 진동리퍼, 진동채버켓, 콤펙터, 유압브레이커, 밀링커터 중 선택된 하나가 설치되는 진동을 활성화 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이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등록 청구 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회전에 의한 길이보상 부재를 이용한 진동조립체는 건설기계, 굴삭기, 산업기계, 자동차 등의 진동감쇄에 널리 적용 가능하면, 특히 굴삭기 및 중장비의 어태치먼트들에 적용함으로써 어태치먼트의 설계자유도를 높일 수 있다.

Claims (12)

  1. 본체부(30)와;
    상기 본체부(30)와 진동체지지유닛(40)에 결합되어 진동하는 진동체(20)가 구비되며,
    상기 진동체지지유닛(40)은 진동체(20) 또는 진동체(20)를 지지하기 위한 본체부(30)에 회전가능하게 회전부재(41)가 설치되고, 상기 본체부(30)에 대해 진동체(20)를 진동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회전부재(41)의 회전중심을 기준으로 상하부측과 본체부(30) 또는 진동체(20)에 양단부가 회전가능하게 각각 연결되는 제 1,2연결부재(50)(60)가 구비되어 상기 본체부(30)에 대해 진동체(20)의 진동 시 상기 회전부재(41)가 회전하여 진동에 따른 제1,2연결부재(50)(60)와 진동체(20)의 결합위치 변화가 보상되며,
    상기 진동체(20)의 하면에 유압브레이커, 진동버켓, 진동리퍼, 리퍼 블레이드, 퀵커플러중 선택된 하나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부재를 가진 진동조립체.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재(41)는 진동체(20)에 진동방향과 직각 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제 1,2연결부재(50)(60)는 회전부재(41)의 양측에 각각 설치되어 진동체(20)가 상하방향으로 진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부재를 가진 진동조립체.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체에는 진동발생유닛(200)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부재를 가진 진동조립체.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체(20) 또는 본체부(30)와 회전부재(41)에 설치되어 상기 회전부재(41)의 회전을 원위치로 복원시키기 위한 회전부재복원유닛(80)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부재를 가진 진동조립체.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재(41)와 연결되는 제 1,2연결부재(50)(60)의 일측은 회전중심의 수직 상하부에 각각 회전가능하게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부재를 가진 진동조립체.
  7. 삭제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재(41)와 소정간격 이격되도록 상기 진동체(20)와 본체부(30)에 양단부가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진동에 동조하는 동조연결부재(65)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부재를 가진 진동조립체.
  9. 삭제
  10. 삭제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체(20)와 본체부(30)의 사이에 적어도 하나의 탄성체(70)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부재를 가진 진동조립체.

  12. 삭제
KR1020140164797A 2014-10-07 2014-11-24 회전부재를 가진 진동조립체 KR1015514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4/011762 WO2016056704A1 (ko) 2014-10-07 2014-12-03 회전부재를 가진 진동조립체
CN201480001976.9A CN105683613B (zh) 2014-10-07 2014-12-03 具有旋转部件的振动组件
BR112017007210A BR112017007210A2 (pt) 2014-10-07 2015-07-15 ripper vibrante
SG11201702892XA SG11201702892XA (en) 2014-10-07 2015-07-15 Vibrating ripper
CA2964074A CA2964074A1 (en) 2014-10-07 2015-07-15 Vibrating ripper
EP15848647.2A EP3205779A4 (en) 2014-10-07 2015-07-15 Vibrating ripper
JP2017519559A JP6526187B2 (ja) 2014-10-07 2015-07-15 振動リッパー
PCT/KR2015/007326 WO2016056734A1 (ko) 2014-10-07 2015-07-15 진동리퍼
US15/517,952 US20170306586A1 (en) 2014-10-07 2015-07-15 Vibrating ripper
AU2015328981A AU2015328981A1 (en) 2014-10-07 2015-07-15 Vibrating ripper
RU2017111500A RU2661940C1 (ru) 2014-10-07 2015-07-15 Виброрыхлитель
CN201580000231.5A CN105683450B (zh) 2014-10-07 2015-07-15 振动破碎机
MX2017004668A MX2017004668A (es) 2014-10-07 2015-07-15 Desgarrador vibratorio.
PH12017500652A PH12017500652A1 (en) 2014-10-07 2017-04-07 Vibrating ripp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35313 2014-10-07
KR20140135313 2014-10-0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44674A KR20140144674A (ko) 2014-12-19
KR101551485B1 true KR101551485B1 (ko) 2015-09-08

Family

ID=526748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64797A KR101551485B1 (ko) 2014-10-07 2014-11-24 회전부재를 가진 진동조립체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1551485B1 (ko)
CN (1) CN105683613B (ko)
WO (1) WO2016056704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82375A (ko) * 2018-06-29 2018-07-18 (주) 대동이엔지 수목제거 및 지뢰 제거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84718B1 (ko) * 2017-05-31 2021-07-3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17851B1 (ko) * 2017-12-21 2019-09-04 김억수 진동 저감이 가능한 퀵 클램프장치
KR102260704B1 (ko) * 2019-06-06 2021-06-03 (주)에스엔씨 충격을 방지하는 리미트댐퍼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4110B1 (ko) 2014-02-12 2014-08-01 (주) 대동이엔지 고하중 진동완충기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81563A (ja) * 1993-09-17 1995-03-28 Tokico Ltd 車両用制振装置
US8276681B2 (en) * 2007-08-16 2012-10-02 Jeong Yel Park Nipper
KR101158101B1 (ko) * 2011-09-09 2012-06-22 (주) 대동이엔지 진동 리퍼
KR20130063166A (ko) * 2011-12-06 2013-06-14 박철민 진동 리퍼
CN202831028U (zh) * 2012-09-28 2013-03-27 张桂添 一种多功能振击锤
KR101532666B1 (ko) * 2012-12-10 2015-06-30 (주)티앤에치코퍼레이션 유압 진동리퍼
US11353084B2 (en) * 2013-03-15 2022-06-07 Clearmotion Acquisition I Llc Rotary actuator driven vibration isolation
KR101562185B1 (ko) * 2014-07-08 2015-10-20 (주) 대동이엔지 고하중 진동완충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4110B1 (ko) 2014-02-12 2014-08-01 (주) 대동이엔지 고하중 진동완충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82375A (ko) * 2018-06-29 2018-07-18 (주) 대동이엔지 수목제거 및 지뢰 제거장치
KR102140832B1 (ko) * 2018-06-29 2020-08-11 (주)대동이엔지 수목제거 및 지뢰 제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44674A (ko) 2014-12-19
WO2016056704A1 (ko) 2016-04-14
CN105683613A (zh) 2016-06-15
CN105683613B (zh) 2018-05-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618794C1 (ru) Виброгаситель для высоких нагрузок
KR101551485B1 (ko) 회전부재를 가진 진동조립체
KR101585233B1 (ko) 진동리퍼
KR101532666B1 (ko) 유압 진동리퍼
KR100878296B1 (ko) 진동 니퍼
KR101853430B1 (ko) 직진운동 가능한 진동리퍼 및 터널굴착공법
KR20170103720A (ko) 방진지지유닛과 이를 이용한 진동리퍼
KR101562185B1 (ko) 고하중 진동완충기
KR101713234B1 (ko) 방진지지유닛과 이를 이용한 진동리퍼
KR20140095885A (ko) 샹크 링크 회전 방식의 진동 리퍼
KR20100056924A (ko) 중장비용 고주파 진동 니퍼
KR20160073240A (ko) 유압브레이커
WO2016093801A1 (en) Vibration isolation for compactor
KR101545331B1 (ko) 진동리퍼
JP6526187B2 (ja) 振動リッパー
US5301814A (en) Increasing the relative motion of a screen deck
JP2006009458A (ja) 振動式転圧機
KR20160071963A (ko) 진동니퍼
KR20140134468A (ko) 중장비용 진동리퍼
KR20170077075A (ko) 점검기능을 가지는 진동리퍼
KR100895705B1 (ko) 유압실린더의 진동을 감쇄하기 위한 굴삭기용 동흡진기
KR20170011193A (ko) 진동체를 지지하는 링크조립체
JP2012123725A (ja) 作業機械の操作レバ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5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