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50993B1 -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 - Google Patents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50993B1
KR101550993B1 KR1020130150892A KR20130150892A KR101550993B1 KR 101550993 B1 KR101550993 B1 KR 101550993B1 KR 1020130150892 A KR1020130150892 A KR 1020130150892A KR 20130150892 A KR20130150892 A KR 20130150892A KR 101550993 B1 KR101550993 B1 KR 1015509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yamide resin
resin composition
weight
acid
par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508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65495A (ko
Inventor
이성현
박수연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코오롱플라스틱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코오롱플라스틱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508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50993B1/ko
Publication of KR201500654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654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509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50993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77/00Compositions of polyamide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amide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77/02Polyamides derived from omega-amino carboxylic acids or from lactam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16Nitrogen-containing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51/00Compositions of graft polymers in which the grafted component i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51/04Compositions of graft polymers in which the grafted component i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grafted on to rubb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83/00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a linkage containing silicon with or without sulfur, nitrogen, oxygen or carbon only;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83/04Polysiloxan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폴리아미드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산변성 고무탄성체 3 ~ 10 중량부, 실리콘계 화합물 2 ~ 6 중량부 및 이형제 0.1 ~ 1 중량부를 포함하는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저온충격강도, 치수안정성, 낮은 마찰계수, 저비중 및 미려한 표면을 갖기에 슬라이딩용 부품으로 적합한 소재로 제공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은 자동차 헤드레스트 가이드에 더욱 적합하다.

Description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Polyamide resin composition}
본 발명은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폴리아미드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산변성 고무 탄성체 3 ~ 10 중량부, 실리콘계 화합물 2 ~ 6 중량부 및 이형제 0.1 ~ 1 중량부를 포함하여 저온충격강도, 치수안정성, 낮은 마찰계수, 저비중 및 미려한 표면을 갖는 슬라이딩 부품용으로 유용한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나일론계 수지는 대표적인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으로, 구조제를 비롯한 자동차의 내-외장제로 폭넓게 사용되고 있으나, 높은 수분 흡수성으로 인한 치수불안정과 낮은 저온 충격강도를 나타내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한편, 아크릴로니트릴(acrylonitrile)-부타디엔(butadiene)-스틸렌(styrene)(이하 ABS 함)로 이루어진 삼원 공중합체는 도장성과 내충격성이 우수한 열가소성 공중합체이다.
나일론 수지의 치수 불안정과 낮은 충격강도를 보농하기 위한 방안으로 고부질의 2 중합체인 ABS와의 블렌드(blend)하여 두 수지의 단점을 보완하고 장점을 극대화시키려는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그 중 헤드레스트 가이드용 폴리아미드(나일론 6) 소재의 경우 낮은 저온 충격 특성으로 인하여 동절기에는 깨짐 현상이 발생하는 문제가 발생되었으며 나일론 6 및 ABS 얼로이 조성물은 높은 마찰력으로 인한 작동성 저하 및 치수의 변형으로 헤드레스트 가이드 체결 부위에서 유격이 발생되었으며 그로 인한 떨림 소음으로 감성 문제가 지속적으로 지적되어 왔다.
한편 한국 공개특허 제2012-71208호는 폴리아마이드,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공중합체 및 변성 방향족 비닐계 화합물/말레이미드 공중합체 포함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ABS(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를 폴리아마이드(PA)에 적용하였으나 저온 충격특성을 만족하였지만 소재의 마찰력이 높고 그로 인해 장기간의 헤드레스트 가이드 사용시 치수 변화로 인해 유격이 발생되고 유격에 의한 소음 문제가 발생한다는 한계가 있다.
한국 공개특허 제2013-18265호는 폴리아마이드(PA)에 스티렌계 내충격제 및 유리 섬유를 도입하여 치수안정성 및 저온충격강도 향상을 목표로 하였지만 유리 섬유로 인한 비중 증가와 스티렌계 내충격제로 인한 충격 특성 개선이 효과 적이지 못하였다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내충격제, 내열제 및 슬립제의 도입으로 강성과 충격의 밸런스 유지가 우수하며, 치수 안정 특성이 확보된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이 필요한 실정이다.
1: 한국 공개특허 제2012-71208호 2: 한국 공개특허 제2013-18265호
이에 본 발명자들은 마찰력을 낮추어 장기간 작동 시에도 치수가 안정되고, 높은 저온 충격 및 저비중 특성이 확보된 폴리아미드 소재를 개발하던 중, 폴리아미드 수지에 산변성 고무 탄성체, 실리콘계 화합물, 이형제를 적절량 혼합하는 경우 저온 충격 특성 및 마찰 특성, 저비중, 치수 안정성이 우수한 물성적 특성을 갖는 다는 것을 알게 되어 본 발명을 개발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저온충격강도, 치수안정성, 낮은 마찰계수, 저비중 및 미려한 표면을 갖는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본 발명에 따른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로 제조된 성형품을 제공하는데 있다.
위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폴리아미드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산변성 고무 탄성체 3 ~ 10 중량부; 실리콘계 화합물 2 ~ 6 중량부; 및 이형제 0.1 ~ 1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은 마찰력을 낮추어 장기간 작동 시에도 치수가 안정되고 높은 저온 충격 및 저비중 특성이 확보되어 슬라이딩용 부품으로 적합한 소재로 제공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은 자동차 헤드레스트 가이드에 더욱 적합하다.
이하에서 본 발명을 하나의 구현예로서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폴리아미드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산변성 고무 탄성체 3 ~ 10 중량부; 실리콘계 화합물 2 ~ 6 중량부; 및 이형제 0.1 ~ 1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을 제공한다.
[A] 폴리아미드 수지
본 발명에 사용되는 폴리아미드 수지는 나일론 6, 나일론 66,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특히 상기 나일론 6, 나일론 66, 또는 이들의 혼합물은 상대점도 2.7 ~ 3.5 (20℃ 96 % 황산 100 ㎖ 중 나일론 6 수지 1 g 용액으로 측정한 값을 기준으로 함)인 것으로, 수평균 분자량이 20,000 내지 50,000인 것을 사용하여 우수한 기계적 강성, 치수안정성, 표면 특성 및 내영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대점도가 2.7 미만인 경우 강성, 충격강도 및 내열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고, 3.5 초과인 경우 성형기 내에서 스크류와 수지간의 과다한 마찰열이 발생하고 수기자 분해되거나 성형을 위해 고압의 압력이 필요하게 되기에 성형기와 금형에 무리가 되어 사출 성형이 어려워지는 문제가 있다. 아울러, 수평균 분자량이 20,000 미만인 경우 강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하고, 50,000 초과인 경우 높은 점도로 인해 흐름성이 좋지 않아 용융 혼련 시에 문제가 발생할 수 상기 범위 내의 폴리아미드 수지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아울러 본 발명의 폴리아미드 수지는 수지 조성물의 제조를 위해 칩(chip)형태로 만들어 제습형 건조기에서 충분히 건조하여 사용할 수 있다.
[B] 산변성 고무 탄성체
본 발명에 사용되는 산변성 고무 탄성체는 저온충격성 및 치수 안정성을 부여하기 위한 것으로, 고무탄성체에 100 중량부에 대해 α,β-불포화카르본산, 또는 α,β-불포화무수물이 또는 이들의 유도체가 0.5 내지 5 중량부가 그라프트된 산변성 고무 탄성체를 그라프트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고무탄성체는 에틸렌을 포함하는 α- 올레핀류, 아크릴산의 유도체, 방향족 비닐 단량체 및 디엔계 단량체로 이뤄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불포화 단량체로부터 제조된 것이다.
상기 α- 올레핀류는 에틸렌, 프로필렌, 부틸렌, 1-펜텐, 이소부틸렌, 이소프렌, 1- 헥센, 1,3-헥사디엔 및 1-헤텐과, 비닐아세테이트 및 프로피오네이트 등의 포화 카르본산의 비닐에스테르를 포함한다.
상기 아크릴산 또는 아크릴레이트 또는 이의 유도체는 메타크릴레이트, 메틸아크릴레이트, 부틸아크릴레이트, 그리시딜아크릴레이트, 에틸메타크릴레이트, 2- 에틸헥실메타크릴레이트, 하이드릴에틸메타크릴레이트, 아미노메타크릴레이트 및 그리시딜메타크릴레이트와, N-페닐말레이미드, N-메틸말레이미드 및 N- 사이클로헥실말레이미드 로 이루어진 1종 이상의 말레이미드 화합물을 포함한다.
상기 방향족 비닐 단량체는 스틸렌, α-메틸스틸렌, o-메틸스틸렌, p-메틸스틸렌, 테트라부틸스틸렌, 디메틸스틸렌, 클로로스틸렌, 디클로로스틸렌 및 비닐나프탈렌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한다.
상기 시안화 비닐 단량체는 아크릴로니트릴, 메타크릴로니트릴 및 푸마로니트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한다.
상기 디엔계 단량체는 부타디엔, 1.3-사이클로헥사디엔, 1,4-사이클로헥사디엔, 사이클로펜타디엔 및 2,4-헥사디엔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 종 이상을 포함한다.
또한, 그라프팅되는 α,β-불포화카르본산 또는 α,β-불포화무수물 또는 그 유도체는 아미드기와 반응성이 뛰어난 관능기로서, 말레인산, 이타콘산, 시트라콘산,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알릴숙신산, 2-디카르본산, 푸말산, 이들의 무수물 및 이들의 유도체(예를 들면, 에스테르계 화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알릴숙신산, 2-디카르본산, 말레인산, 푸말산, 말레인산디에틸, 말레인산디메틸, 말레산 무수물, 이타콘산 무수물, 시트라콘산 무수물, 알릴숙신산 무수물 및 4-메틸-4-사이클로헥센-1을 포함한다.
바람직한 본 발명에 따른 산변성 고무 탄성체는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에틸렌프로필렌디엔 공중합체, 스틸렌에틸렌부타디엔스틸렌 공중합체, 스틸렌부타디엔스틸렌 공중합체 및 에틸렌에틸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를 α,β-불포화카르본산 또는 α,β-불포화무수물 및 이들의 유도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카르보닐 화합물 또는 이들의 유도체가 0.5 ~ 5 중량부 그라프팅한 화합물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그라프트가 0.5 중량부 미만이면 폴리아미드 수지와의 상용성이 떨어지고 5 중량부를 초과하면 높은 점도 상승을 수반하여 혼련이 어렵게 되고 성형품의 외관 표면 품질이 불량하기에 상기 범위 내에서 그라프트시킨다.
이와 같은 그라프팅은 방법은 통상 용매상 또는 과산화물의 존재 하에 용융된 올레핀류 상에서 수행되며 이러한 그라프팅 기술은 공지되어 있다.
아울러, 산변성 고무 탄성체의 함량은 폴리아미드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3 ~ 10 중량부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산변성 고무 탄성체가 3 중량부 미만인 경우 충격 강도의 개선 효과가 미비하고, 10 중량부 초과인 경우 내열성 및 강성이 저하되고 성형 수축율이 커지며 제품 성형 시 표면이 불량해지는 문제가 발생하기에 상가 범위 내에서 사용하는 것이 좋다.
[C] 실리콘계 화합물
본 발명에 사용되는 실리콘계 화합물은 소재의 표면 특성과 슬립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슬립제로서, 실리콘계 화합물 만단에는 유기물이 존재하여 폴리머와 결합이 잘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는 다우코닝사의 상품명MB-50을 사용할 수 있다. 이는 폴리실록산을 주성분으로 하고 미려한 표면 특성 및 표면 마찰특성 저하시키는 특징을 갖는다.
상기 실리콘계 화합물은 폴리아미드와 반응성이 좋아 잘 용융되어 혼련되며, 표면 특성을 올려주는 역할을 한다. 이는 폴리아미드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해 2 ~ 6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리콘 화합물이 2 중량부 미만인 경우 표면 효과를 얻을 수 없고, 6 중량부 초과인 경우 수지 내에 과다로 포함되어 표면 및 마찰 특성을 저하시키는 문제가 있다.
[D] 이형제
본 발명에 사용되는 이형제는 소재 표면의 낮은 마찰 계수 특성을 향상 시키는 역할을 하며 스테어릭 이시드계(stearic acid) 이형제로서,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서는 에틸렌 비스 스테어아라미드(ethylene bis stearamide)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에틸렌 비스 스테어아라미드(ethylene bis stearamide)는 폴리아미드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해 0.1 ~ 1 중량부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이형제가 0.1 중량부 미만인 경우 마찰계수의 개선 및 제품의 가공 이형성 문제가 있고, 1 중량부 초과인 경우 제품 표면에 용출되어 표면 문제가 있기에 상기 범위 내에서 사용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에 따른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은 상술한 폴리아미드 수지, 산변성 고무 탄성체, 실리콘계 화합물, 및 이형제 이외에도 산화방지제, 열안정제, 광안정제, 안료(예를 들면, 카본블랙), 대전방지제 및 커플링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 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은 마찰력을 낮추어 장기간 작동 시에도 치수가 안정되고 높은 저온 충격 및 저비중 특성이 확보되어 슬라이딩용 성형품으로 적합한 소재로 제공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은 자동차 헤드레스트 가이드에 더욱 적합하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을 이용한 헤드레스트 가이드의 제조과정은 다음과 같다. 다만, 이는 당 분야에서 일반적인 것으로 사용되는 것으로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다음은 이축 스크류 압출기를 이용한 하나의 일례로서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구체적으로 자동차 헤드레스트 가이드를 제조하기 위해, 이축 스크류 압출기를 사용하며 일정 온도(240~265℃)를 갖는 실린더 배럴에서 제조한다. 상기 배럴 온도가 240℃ 미만인 경우 나일론 6의 녹는점과 거의 유사하여 압출기 내에서 충분한 용융 및 혼련이 이루어지지 못한다는 문제점이 있고, 265℃ 초과인 경우 첨가제나 나일론 6가 열분해 되거나 휘발되어, 목적하는 물성을 얻을 수 없고 색상이 투명하지 않게 되는 결과를 갖기에, 상기와 같이 수행하는 것이 목표로 하는 물성을 최대화할 수 있다.
아울러 투입구가 2개인 압출기를 이용할 수 있으며, 1차 투입구에는 폴리아미드 수지, 내열제 및 안료를, 2차 투입구에는 내충격제를 투입하는 것이 압출기 내에서 스크류의 쉐어에 의한 균일한 혼련 효과를 가져올 수 있기에 상기의 물질을 각각의 투입구에 넣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용융 및 혼련 시에 첨가제의 휘발을 줄이고 조성물의 물성을 최대화하며 투명도를 좋게 하기 위해서는 체류 시간을 최소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제조된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은 초기 저온충격강도가 6 ~ 12 ㎏/㎠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8 ~ 10 ㎏/㎠이다. 또한 마찰계수 값으로, 동마찰계수는 0.03 ~ 1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0.04 ~ 0.08이다. 또한 수축율이 14/1000 ~ 17/1000 이며, 표면 특성은 육안 판단을 했을 시 우수한 특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물성적 특성을 갖는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은 사출성형으로 가공되며, 전기, 전자, 자동차 부품에 적합하게 사용될 수 있으고, 자동차 헤드레스트 가이드용 소재로 더욱 적합하게 이용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를 통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비교예 실시예
하기 표 1의 구성 성분과 조성 비율에 따라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 및 함량(단위: 중량부)
구분 폴리아미드6 산변성
고무 탄성체1 )
실리콘계 혼합물2 ) 이형제3 )
실시예1 100 6 3 0.2
실시예2 100 4 3 0.2
실시예3 100 8 3 0.2
실시예4 100 6 2 0.2
실시예5 100 6 6 0.2
실시예6 100 6 3 0.5
실시예7 100 6 3 0.8
비교예1 100 0 3 0.2
비교예2 100 15 3 0.2
비교예3 100 6 8 0.2
비교예4 100 6 0 0.2
비교예5 100 6 3 0
비교예6 100 6 3 1.5
각주
1)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100 중량부에 무수말레인산 0.5 중량부 그라프트된 산변성 고무 탄성체
2) 다우코니사 제조, MB-50
3) 에틸렌 비스 스테어아라미드(ethylene bis stearamide)
실험예 : 물성 측정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한 조성물를 이용하여 각 시험법에 적합한 시험편을 제조하였다. 이에 대한 시험방법은 다음과 같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1) 저온 충격강도 측정: ASTM D256에 의거하여 1/4인치의 시편을 제작하고, 영하 40℃에서 4시간 에이징(aging)한 후 아이조드 노치(Izod Notched) 충격강도 측정하였다.
(2) 마찰계수 측정: ASTM D1894에 의거하여 사각형의 시편을 장치한 후 1000 g의 하중을 가하면서 200 mm/min의 속도로 시편을 이동시켜 발생되는 동마찰을 측정하여 마찰계수 평가를 정한다.
(3) 수축율 측정: ASTM D955에 의거하여 3T의 원판 시험편을 이용하여 수축율을 측정하였다.
(4) 표면 특성 측정: FMVSS 연소 시에 시험편을 이용하여 육안으로 관찰함으로써 측정하였다.
물성 측정 결과
구분 저온충격강도
(-40℃, kg·cm/cm)
동마찰계수 수축율 표면*
실시예1 10 0.056 15/1000
실시예2 6.7 0.038 17/1000
실시예3 12 0.084 14.5/1000
실시예4 9.8 0.054 15.3/1000
실시예5 10.2 0.056 16/1000
실시예6 10.4 0.055 15.8/1000
실시예7 9.4 0.052 15.3/1000
비교예1 2 0.029 19/1000
비교예2 17 1.14 12/1000 ×
비교예3 10.1 0.094 15.8/1000 ×
비교예4 9.7 0.013 15.4/1000 ×
비교예5 10 0.156 15.3/1000 ×
비교예6 10.8 0.068 16/1000 ×
* 표면 특성 판단 기준: ◎ 우수 ,  ○양호, ×  불량
상기 표 2를 통해, 본 발명에 따른 폴리아미드 조성물은 마찰력을 낮추어 장기간 작동 시에도 치수가 안정되고 높은 저온 충격 및 저비중, 미려한 표면 특성을 확보하여 슬라이딩용 부품으로 적합한 소재로 제공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실시예 1 내지 7은 저온충격강도 6 ~ 12 ㎏/㎠, 동마찰계수 0.03 ~ 1, 수축율 14/1000 ~ 17/1000이며, 표면 특성도 양호하기에 목표로 하는 물성적 특성을 만족시킨다. 반면에 비교예 1은 저온에서의 낮은 충격강도와 높은 수축율로 인해 동절기에는 깨짐 현상이 발생할 수 있으며, 비교예 2 내지 4 및 6은 외관상의 표면 특성을 만족시키지 못하고, 비교예 5는 높은 마찰계수로 인해 작동성 저하 및 치수 변형으로 인해 헤드레스트 가이드 체결 부위에 유격이 발생될 수 있고, 이로 인해 떨림 소음으로 감성 문제가 발현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은 폴리아미드 수지에, 내충격제, 내열제 및 슬립제를 도입함으로써, 종래의 문제점인 깨짐 현상과 치수 변경으로 인한 작동성 저하 문제를 해결할 수 있으며, 강성과 충격 밸런스가 우수하고 치수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었다.

Claims (11)

  1. 폴리아미드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산변성 고무 탄성체 3 ~ 10 중량부;
    실리콘계 화합물 2 ~ 6 중량부; 및
    에틸렌 비스 스테어아라미드(ethylene bis stearamide)의 이형제 0.1 ~ 1 중량부;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아미드 수지는 나일론 6, 나일론 66, 또는 이들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아미드 수지는 상대점도 2.7 ~ 3.5 (20℃ 96 % 황산 100 ㎖ 중 나일론 6 수지 1 g 용액으로 측정한 값을 기준으로 함)인 것으로, 수평균 분자량이 20,000 내지 50,00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산변성 고무탄성체는 폴리프로필렌 100 중량부에 대해 α,β-불포화카르본산, α,β-불포화무수물 및 이들의 유도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카르보닐 화합물 또는 이들의 유도체가 0.5 ~ 5 중량부로 그라프트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고무탄성체는 에틸렌을 포함하는 α- 올레핀류, 아크릴계 유도체, 방향족 비닐 단량체 및 디엔계 단량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불포화 단량체로부터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카르보닐 화합물 또는 이들의 유도체는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알릴숙신산, 2-디카르본산, 말레인산, 푸말산, 말레인산디에틸, 말레인산디메틸, 말레산 무수물, 이타콘산 무수물, 시트라콘산 무수물, 알릴숙신산 무수물 및 4-메틸-4-사이클로헥센-1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실리콘계 화합물은 폴리실록산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
  8. 삭제
  9.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은 저온충격강도가 6 ~ 12 ㎏/㎠, 동마찰계수가 0.03 ~ 1, 수축율이 14/1000 ~ 17/100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
  10.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한 항의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로 제조된 폴리아미드 수지 성형품.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성형품은 자동차 헤드레스트 가이드로 가공된 폴리아미드 수지 성형품.
KR1020130150892A 2013-12-05 2013-12-05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 KR1015509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50892A KR101550993B1 (ko) 2013-12-05 2013-12-05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50892A KR101550993B1 (ko) 2013-12-05 2013-12-05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65495A KR20150065495A (ko) 2015-06-15
KR101550993B1 true KR101550993B1 (ko) 2015-09-07

Family

ID=535043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50892A KR101550993B1 (ko) 2013-12-05 2013-12-05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50993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190317B1 (ko) 1994-12-13 1999-06-01 구광시 흐름특성이 우수한 폴리아미드 난연 수지조성물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190317B1 (ko) 1994-12-13 1999-06-01 구광시 흐름특성이 우수한 폴리아미드 난연 수지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65495A (ko) 2015-06-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00086B1 (ko)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아크릴계 공중합체 얼로이 고광택 조성물 및 성형품
KR101926740B1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되는 성형품
EP2125954B1 (en) Composite of nylon polymer
KR101676124B1 (ko) 내화학성이 우수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KR101486565B1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성형품
KR102171738B1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사출 성형품
KR101993516B1 (ko) 착색성 및 기계적 물성이 우수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KR20120059668A (ko) 내후성이 우수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열가소성 수지의 제조 방법
KR101466148B1 (ko) 아크릴계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성형품
KR102085760B1 (ko) 내화학성이 우수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KR101884972B1 (ko) 무광 및 유광이 우수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KR20150067478A (ko) 가공성이 우수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KR20090072651A (ko) 내후성이 우수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KR102072433B1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KR20190060432A (ko) 수지 조성물
KR102457383B1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KR20140099609A (ko) 외관품질과 대전방지성이 우수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KR101550993B1 (ko)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
KR101395272B1 (ko)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
CA2605425A1 (en) Polycarbonate compositions with modified resilience, related production methods and molded elements containing said compositions
KR102503041B1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EP3744785B1 (en)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preparation method therefor, and molded product comprising same
KR100749670B1 (ko) 내화학성이 우수한 스티렌계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KR20180077438A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KR20180068567A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사출 성형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7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