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50804B1 - 검색 결과 내에 첨부된 지도 정보에 기초하여 검색 결과를 정렬하고 선택된 지도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검색 결과 내에 첨부된 지도 정보에 기초하여 검색 결과를 정렬하고 선택된 지도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50804B1
KR101550804B1 KR1020100125412A KR20100125412A KR101550804B1 KR 101550804 B1 KR101550804 B1 KR 101550804B1 KR 1020100125412 A KR1020100125412 A KR 1020100125412A KR 20100125412 A KR20100125412 A KR 20100125412A KR 101550804 B1 KR101550804 B1 KR 1015508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rch
map
map information
search result
sor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254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87241A (ko
Inventor
이송희
이태호
Original Assignee
네이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네이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네이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1254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50804B1/ko
Publication of KR201200872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872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508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508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2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structured data, e.g. relational data
    • G06F16/29Geographical information databa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Remote Sensing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검색 결과 내에 첨부된 지도 정보에 기초하여 검색 결과를 정렬하고 선택된 지도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태양에 따르면, 검색 결과 정렬 및 제공 방법은 검색부에 의해, 사용자가 입력한 소정 검색어에 매칭되는 검색 결과를 추출하는 단계, 추출부에 의해, 상기 추출된 검색 결과에 첨부된 지도 정보가 존재하는지 판단하고, 판단결과 첨부되어 있는 경우 상기 검색결과에 첨부된 지도 정보 관련 데이터를 추출하는 단계, 및 정렬부에 의해, 상기 추출된 지도 정보 관련 데이터에 포함된 지도의 제목 또는 부가된 텍스트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상기 추출된 검색 결과의 제목이나 본문, 또는 상기 검색어 중 적어도 어느 하나 간의 매칭 정도를 반영하여 정렬 기준값을 결정하고, 상기 정렬 기준값에 기초하여 상기 추출된 검색 결과의 순위를 정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검색 결과 내에 첨부된 지도 정보에 기초하여 검색 결과를 정렬하고 선택된 지도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 {METHOD AND SYSTEM TO ALIGN SEARCH RESULT BASED ON MAP INFORMATION ATTACHED TO SEARCH RESULT AND TO PROVIDE SELECTED MAP INFORMATION}
본 발명은 검색 결과 내에 첨부된 지도 정보에 기초하여 검색 결과를 정렬하고 선택된 지도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유저가 입력한 특정 검색어에 대해 검색되어 추출된 하나 이상의 검색 결과 내에 첨부된 지도 정보에 기초하여, 하나 이상의 검색 결과의 순위를 정렬한 검색 리스트를 제공하고, 또한 정렬된 검색 리스트 중 어느 하나에 대한 지도 정보를 유저가 보고자 하는 경우 굳이 검색 결과의 내용까지 제공할 필요 없이 첨부된 지도 정보만을 제공하여 지도 정보에 특히 관심있는 유저에게 신뢰성 있으면서도 정확한 지도 정보를 제공하고, 편리하게 확인해 볼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검색 결과 정렬 및 선택된 지도 정보 제공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인터넷 등의 통신망 발달과 함께 다양한 정보의 교류 및 검색이 통신망을 통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특히, 상품 또는 서비스 또는 추천할만한 장소 등에 관해 인터넷 이용자 간의 지식을 교환하는 지식 서비스, 인터넷 이용자가 자신의 관심사에 따라 자유롭게 포스팅(posting)을 올릴 수 있는 웹사이트인 블로그, 그리고 자신과 동일 또는 유사한 관심사를 갖는 인터넷 이용자들끼리 모여 관련 정보 등에 대해 교류하는 웹사이트인 카페 등이 다양한 정보가 교류될 수 있는 주된 공간이면서도 다양한 정보를 찾고자 하는 검색 사용자들에게 있어서도 주요한 것임은 주지의 사실이다.
이 중 지식 서비스는 소정의 질문자가 입력한 질문에 대응하여 불특정인의 답변 정보가 제공되도록 하는 것으로, 특정 상품 또는 서비스에 대한 구체적인 문의에서부터 단순한 길찾기 관련 문의, 예를 들어 수원역에서 서울시청까지 가는 방법 요청, 등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질문과 이에 대한 다수의 객관적, 주관적인 답변이 제공될 수 있다. 그 밖에, 블로그 및 카페 또한 자신의 생각이나 경험에 기초한 정보들이 게재될 수 있다.
하지만, 지식 서비스를 비롯하여 블로그 및 카페는 모두 시스템 운영자가 직접 참여 및 관리하는 것이 아닌, 서비스를 사용하는 개별적인 사용자들의 지식과 경험에 맡기는 것으로 특정 질문에 대한 답변이나 게재되는 포스팅에 포함된 정보에 대한 정확성은 천차만별이다. 따라서, 정확성이 떨어지는 포스팅이 다수 존재하는 있는 경우, 검색을 통해 자신이 궁금한 정보를 찾아보려는 사용자들에게 이러한 포스팅이 제공될 수 있어 부정확한 정보에 따른 악영향을 미칠 수 있고, 따라서 서비스 자체에 대한 신뢰성 하락으로까지 이어질 수 있다.
이처럼 정확성이 떨어지는 정보들이 게재되는 것을 지양하기 위해, 사용자의 포스팅 작성시 시스템 운영자가 제공하여 주는 지도를 이용하여 특정 지역에 대한 지도를 호출하고, 호출된 지도에 필요시 적절한 편집을 수행한 후 포스팅 내에 첨부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또한 지식 서비스, 블로그 및 카페 서비스 등으로부터 단순히 검색어를 제공하는 검색 결과만을 추출하여 제공하였던 종래의 서비스가 아닌, 검색 결과 내에 첨부될 수 있는 지도 정보를 참조하여 정확한 정보를 포함한 검색 결과일수록 앞순위에 배치된 검색 리스트가 제공되도록 정렬하여 정렬된 검색 리스트의 정확성에 대한 신뢰성을 사용자들에게 제공하는 한편, 검색 리스트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검색 결과에 첨부된 지도 정보가 존재하는 경우 사용자가 해당 검색 결과 내용을 보지 않고서도 독립적으로 첨부된 지도 정보만을 선택하여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함으로써 검색어의 의도에 좀 더 걸맞고 정확성이 향상된 검색 리스트는 물론 사용자가 보고자 하는 지도 정보만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새로운 형태의 검색 리스트 제공 모델의 등장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위에서 언급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목적은 인터넷 이용자가 자유롭게 올리는 포스팅에 하나 이상의 지도 정보를 편집 및 첨부하여 제공할 수 있도록 제공하고, 사용자가 입력한 검색어를 이용한 검색 리스트 제공시, 검색 리스트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검색 결과로서 추출되는 포스팅에 지도 서버로부터 호출되고 필요시 적절한 편집이 가해진 지도 정보가 하나 이상 첨부되어 있는지 여부를 참조하고, 첨부되어 있는 경우 이를 고려하여, 보다 정확성이 향상되도록 검색 리스트를 정렬하고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추가적인 포스팅 수정이 없이도 지도 자체의 추가/변경/삭제시 이를 반영한 지도 서버로부터의 추출에 따라 가장 최신의 지도를 기반으로 한 지도 정보를 제공하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인터넷 이용자가 자유롭게 올리는 포스팅에 하나 이상의 지도 정보를 편집 및 첨부하여 제공할 수 있도록 제공하고, 사용자가 입력한 검색어를 이용한 검색 리스트 제공시, 검색 리스트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검색 결과로서 추출되는 포스팅에 첨부된 지도 정보가 하나 이상 존재하는 경우, 사용자가 직접 해당 검색 결과 내용까지 보지 않고서도 독립적으로 첨부된 지도 만을 선택하여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불필요한 포스팅 내용을 보지 않고서도 원하는 정보만을 검색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고, 후술하는 본 발명의 특유의 효과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적인 구성은 하기와 같다.
본 발명의 일 태양에 따르면, 검색 결과 정렬 및 제공 방법은 검색부에 의해, 사용자가 입력한 소정 검색어에 매칭되는 검색 결과를 추출하는 단계, 추출부에 의해, 상기 추출된 검색 결과에 첨부된 지도 정보가 존재하는지 판단하고, 판단결과 첨부되어 있는 경우 상기 검색결과에 첨부된 지도 정보 관련 데이터를 추출하는 단계, 및 정렬부에 의해, 상기 추출된 지도 정보 관련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추출된 검색 결과의 순위를 정렬하는 단계의 수행을 통해 얻어진다.
본 발명의 다른 태양에 따르면, 검색 결과 정렬 및 제공 시스템은 사용자가 입력한 소정 검색어에 매칭되는 검색 결과를 추출하는 검색부, 상기 추출된 검색 결과에 첨부된 지도 정보가 존재하는지 판단하고, 판단결과 첨부되어 있는 경우 상기 검색 결과에 첨부된 지도 정보 관련 데이터를 추출하는 추출부, 및 상기 추출된 지도 정보 관련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추출된 검색 결과의 순위를 정렬하는 정렬부를 포함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인터넷 이용자가 자유롭게 올리는 포스팅에 하나 이상의 지도 정보를 편집 및 첨부하여 제공할 수 있도록 제공할 수 있고, 사용자가 입력한 검색어를 이용한 검색 리스트 제공시, 검색 리스트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검색 결과로서 추출되는 포스팅에 지도 서버로부터 호출되고 필요시 적절한 편집이 가해진 지도 정보가 하나 이상 첨부되어 있는지 여부를 참조하고, 첨부되어 있는 경우 이를 고려하여, 보다 정확성이 향상되도록 검색 리스트를 정렬하고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추가적인 포스팅 수정이 없이도 지도 자체의 추가/변경/삭제시 이를 반영한 지도 서버로부터의 추출에 따라 가장 최신의 지도를 기반으로 한 지도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인터넷 이용자가 자유롭게 올리는 포스팅에 하나 이상의 지도 정보를 편집 및 첨부하여 제공할 수 있도록 제공할 수 있고, 사용자가 입력한 검색어를 이용한 검색 리스트 제공시, 검색 리스트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검색 결과로서 추출되는 포스팅에 첨부된 지도 정보가 하나 이상 존재하는 경우, 사용자가 직접 해당 검색 결과 내용까지 보지 않고서도 독립적으로 첨부된 지도 만을 선택하여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불필요한 포스팅 내용을 보지 않고서도 원하는 정보만을 검색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
도 1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검색 리스트 제공 시스템을 포함한 전체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검색 리스트 제공 시스템의 세부 구성도이다.
도 3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정렬된 검색어 리스트가 제공되고,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특정 검색 결과에 첨부된 지도 정보를 제공하는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포스팅을 작성하는 절차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5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의 검색어 입력시 정렬된 검색 리스트 및 지도 정보를 제공하는 절차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블로그에서 포스팅을 작성하는 화면과, 작성시 하나 이상의 지도 정보를 선택하여 편집 및 첨부할 수 있는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하나 이상의 지도 정보를 선택하여 편집하고 첨부하는 구체적인 화면들을 나타낸 도면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에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용어 "포스팅"은 인터넷 이용자가 지식 서비스, 블로그 또는 카페 등에 게재한 글을 모두 포함하는 광의의 의미로 해석되어야 한다. 포스팅에는 질문, 답변, 자신의 의견이나 설명, 감상 등 다양한 주제 및 정보가 포함되어 있을 수 있으며, 포스팅 작성시 지도 서버로부터 특정 위치를 기준으로 한 지도를 호출받아, 필요시 적절히 편집한 지도 정보를 포스팅 내에 첨부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용어 "지도 정보"는 인터넷 이용자가 포스팅 작성시, 이용자의 선택에 의해 지도 서버로부터 특정 질의어를 기초로 호출된 지도 및 이에 편집을 통해 부가되거나 수정될 수 있는 각종 정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는 광의의 의미로 해석되어야 한다. 부가되거나 수정될 수 있는 각종 정보로서는, 인터넷 이용자가 입력한 특정 질의어를 기초로 한 기본 제목, 기본 제목을 수정한 수정 제목, 지도의 축척, 지도 중심부의 좌표,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삽입될 수 있는 특정 아이콘, 텍스트, 그림 등을 모두 포함할 수 있으나 반드시 나열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용어 "검색 결과"는 인터넷 이용자가 특정 검색어를 입력한 결과로서 제공받는 검색 리스트에 포함된 각각의 개별적인 내용을 의미하는 광의의 의미로 해석되어야 한다. 따라서, 검색 결과는 특정 검색어와 연관된 지식 서비스의 포스팅일 수 있고, 특정 검색어와 연관된 블로그의 포스팅일 수 있으며 특정 검색어와 연관된 카페의 포스팅일 수 있으나 반드시 나열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용어 "검색 리스트"는 인터넷 이용자가 특정 검색어를 입력한 결과로서 제공받는 하나 이상의 검색 결과에 대한 집합을 포함하는 광의의 의미이며, 검색 리스트에 포함되는 각각의 검색 결과는 특정 조건에 의해 결정된 순위에 따라 나열된다. 검색 리스트에 포함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검색 결과 중 어느 검색 결과가 검색 리스트의 어느 순위에 제공되는지에 대해서는 후술하는 검색 리스트 정렬 방식에 의해 산출될 수 있다.
전체 시스템 구성
도 1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검색 리스트 제공 시스템을 포함한 전체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체 시스템은 데이터베이스(300)를 포함하고 있는 검색 리스트 제공 시스템(100) 및 지도 서버(200)가 통신망(400)을 통하여 복수의 사용자 단말장치(500)와 연결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검색 리스트 제공 시스템(100)은 사용자 단말장치(500)로부터 특정 포스팅의 작성 요청에 대해 이를 지원하여 포스팅을 작성하고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검색 리스트 제공 시스템(100)은 먼저 사용자 단말장치(500)로부터의 특정 포스팅의 작성 요청에 대해 이를 지원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장치(500)를 통해서 포스팅 내에 지도 정보 첨부하고자 할 때에는, 사용자 단말장치(500)로부터 입력받는 특정 질의어에 기반한 특정 위치에 해당하는 지도를 지도 서버(200)로부터 호출하여 제공하고, 사용자의 요청에 따른 소정의 편집과정을 거친 지도 정보를 포스팅 내에 첨부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한다. 추가적으로, 검색 리스트 제공 시스템(100)은 제목, 내용 등을 포함하는 일반적인 포스팅 작성을 더 지원할 수도 있다. 사용자 단말장치(500)로부터 사용자가 입력 또는 선택한 포스팅의 구체적인 내용인 제목, 답변, 작성글, 작성자 등을 비롯하여, 호출되어 첨부된 지도 자체와 편집 등을 통해 부가 또는 수정된 내용을 포함하는 지도 정보 등(이하, 통칭하여 '포스팅 정보'라 한다)에 대해 수신시, 검색 리스트 제공 시스템(100)은 수신된 포스팅 정보를 데이터베이스(300)에 저장하며, 데이터베이스(300)에 저장된 포스팅 정보는 이하에 상술하는 바와 같이 검색 리스트 제공 시스템(100)에 의해 검색 리스트를 정렬하여 제공하는 경우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검색 리스트 제공 시스템(100)은 사용자 단말장치(500)로부터 특정 검색어를 수신한 뒤, 데이터베이스(300)를 참조하여 하나 이상의 검색 결과를 추출하고, 추출된 하나 이상의 검색 결과 각각을 대상으로 첨부된 지도 정보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며, 지도 정보의 첨부 여부를 고려하여 추출된 하나 이상의 검색 결과를 포함하는 검색 리스트의 순위를 정렬한 뒤 사용자 단말 장치(500)로 제공하는 역할을 더 수행한다. 또한, 검색 리스트에 포함된 어느 한 검색 결과에 지도 정보가 첨부되어 있는 경우, 사용자에 의해 해당 지도 정보의 제공 요청을 수신하면 선택된 지도 정보만을 사용자 단말 장치(500)로 제공하는 역할 또한 수행한다. 이러한 검색 리스트 제공 시스템(100)의 세부 구성요소 및 구체적인 기능에 대해서는 후술하도록 한다.
앞서 설명한 검색 리스트 제공 시스템(100)의 다양한 역할은 물리적으로 하나의 장치 내에 구현되도록 설계될 수 있으며, 또는 당업자의 기술 수준 등에 의해 하나 이상의 역할을 수행하는 단위 기능으로 세분화하고 복수의 장치를 통해 통합적으로 구현되도록 설계될 수 있음은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도 서버(200)는 사용자가 검색 리스트 제공 시스템(100)에 접속하여 특정 포스팅을 작성하는 중에 포스팅 내에 지도 정보를 첨부하고자 하는 경우, 사용자에 의해 입력 또는 선택되는 소정의 질의어를 기초로 하여 특정 위치에 해당하는 지도를 호출하고, 필요시 편집을 통하여 소정의 부가 또는 수정을 가한 결과인 지도 정보를 생성하고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추출되는 지도는 검색 리스트 제공 시스템(100)의 기능과 별도로, 지리 정보의 계속적인 변화에 따라 주기적으로 갱신되어 그 내용이 추가/변경/삭제될 수 있다.
먼저 특정 위치에 해당하는 지도 호출에 사용될 수 있는 질의어의 일 예로서, 주소, 주요 상권이나 명소, 사용자의 접속 지역 파악을 통한 그 주변 지역, 디렉토리 방식을 통한 특정 업종이나 주소의 선택 등을 들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지도 서버(200)는 사용자가 특정 위치에 해당하는 지도를 호출한 뒤 호출된 지도에 편집을 통하여 소정의 부가 또는 수정을 가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한다. 이러한 편집의 일 예로서는, 첨부되는 지도의 제목 수정, 지도상의 특정 위치를 나타내는 목적지 표시 부가, 지도 상의 특정 위치 또는 지점에 텍스트 부가, 지도 상에 소정 형상의 도형 또는 화살표 등의 그림 부가, 지도 축척의 변경, 호출되는 지도의 어느 영역이 실제로 첨부될지를 선택하는 표시 영역 선택, 또는 포스팅 내에 지도를 표시할지 단지 링크만을 제공하고 링크의 선택에 의해 해당 지도로 연결되도록 하는지를 선택하기 위한 첨부 방식의 변경 등을 들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당업자의 선택에 의해 고려될 수 있는 지도의 다양한 편집 방안을 통한 다양한 지도 정보의 부가 또는 수정(이하, 편집된 내용을 '편집 정보'라 한다) 등이 본 발명에 적용될 수 있다. 부가 또는 수정 등의 편집은 지도상에서 이루어지므로 마치 호출된 지도와 편집 정보가 일체로 결합된 것으로 사용자에게 느껴질 수 있으나, 본래의 지도 상에 사용자별로 서로 다른 편집이 이루어질 수 있고 계속해서 변화하는 지리 정보를 반영한 가장 최신의 지도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도록 해야 하므로, 편집 정보는 호출된 지도와는 별도로 저장되며, 검색 결과를 통한 지도 정보 제공시, 호출된 지도 위에 좌표 및 축척을 맞추어 겹쳐서 제공되므로, 제공되는 지도 정보는 특정 위치의 이미지에 불과한 것이 아닌,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이동, 축소, 확대 등 일반적으로 제공되는 지도의 기능을 모두 활용할 수 있고 변화하는 지리 정보를 반영한 가장 최신의 지도를 바탕으로 편집 정보를 매핑한 지도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지도 서버(200)는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사용자의 필요시 편집을 거친 지도 정보를 저장하고, 사용자가 작성한 해당 포스팅과 연계하는 기능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지도 정보의 저장과 함께, 포스팅과 연계하는 기능의 일 예로서, 편집 정보 및 지도의 특정 위치를 포함하는 지도 정보를 나타내는 ID 값을 생성하고, 생성된 ID 값을 포스팅 작성을 지원하는 검색 리스트 제공 시스템(100)으로 제공하여 해당 포스팅을 저장할 때 같이 저장하여, 포스팅과 지도 정보가 연계되도록 하는 방법을 사용할 수 있으나, 반드시 이러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방식 또는 기술을 통해 저장된 지도 정보와 작성된 포스팅과의 연계가 이루어질 수 있음은 주지의 사실이다.
앞서 살펴본 검색 리스트 제공 시스템(100)과 지도 서버(200) 역시 당업자의 기술 수준과 선택에 따라 물리적으로 하나의 장치 내에 구현되거나 기능을 세분화하여 물리적으로 복수의 장치 내에 구현하고 세분화된 각 기능이 유기적으로 동작할 수 있도록 설계할 수 있는 것은 당업자에게 있어 자명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데이터베이스(300)는 검색 리스트 제공 시스템(100)에 의해 저장되고, 검색시 검색 결과로서 추출될 수 있는 포스팅 정보와, 포스팅 작성시 또는 지도 정보 요청시 지도 서버(200)에 의해 호출되는, 특정 위치에 해당하는 지도 및 편집 정보를 포함하는 지도 정보를 포함하여, 본 발명에 사용될 수 있는 다양한 정보가 저장되는 공간을 통칭하는 광의의 개념이다. 하지만, 특정 위치에 해당하는 지도 및 편집 정보를 일체로 결합하여 저장하게 되면 다양한 사용자에 의한 수정이 불가능하고, 이동, 축소, 확대 등 일반적으로 제공되는 지도의 기능을 활용할 수 없으며, 변화하는 지리 정보를 반영한 가장 최신의 지도를 제공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게는 지도 자체는 검색 리스트 제공 시스템(100)에 의한 직접적인 수정이 불가능하고 지도 서버(200)를 통해서만 추출 등 접근이 가능하도록 별도로 구분되어 저장될 수 있도록 데이터베이스(300)가 구성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상술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는 정보는 단지 일 예에 불과하므로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그 밖에도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앞서 나열한 종류 이외의 다른 종류에 해당하는 정보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데이터베이스(300) 내에 저장되는 정보의 종류에 따라 물리적으로 하나 이상의 데이터베이스 공간으로 나뉘어 관리될 수도 있고 데이터의 일부를 그룹으로 묶어 그룹별로 물리적인 데이터베이스 공간을 이용하는 등, 다양한 관리 방식에 의해 구현될 수 있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자명하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통신망(400)은 유선 및 무선 등과 같은 그 통신 양태를 가리지 않고 구성될 수 있으며, 단거리 통신망(PAN; Personal Area Network), 근거리 통신망(LAN; Local Area Network), 도시권 통신망(MAN; Metropolitan Area Network), 광역 통신망(WAN; Wide Area Network) 등 다양한 통신망으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장치(500)는 사용자가 특정 내용에 대한 포스에 지도 서버(200)로부터 특정 위치에 해당하는 지도를 호출하고 필요시 적절한 편집을 거친 뒤 첨부하여 저장하고, 특정 검색어에 관련된 검색 리스트를 제공받고 이중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첨부된 지도 정보를 제공받기 위하여 통신망(400)을 통하여 검색 리스트 제공 시스템(100)과 연결하기 위한 기능을 포함하는 입출력 장치를 의미하며, 데스크톱 컴퓨터뿐만 아니라 노트북 컴퓨터, 워크스테이션, 팜톱(palmtop) 컴퓨터, 개인 휴대 정보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웹 패드, 스마트 폰을 포함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 등과 같이 메모리 수단을 구비하고 마이크로 프로세서를 탑재하여 연산 능력을 갖춘 디지털 기기라면 얼마든지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장치(500)로서 채택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검색 리스트 제공 시스템(100)과 연결하고, 사용자가 포스팅에 하나 이상의 지도 정보를 선택 및 첨부하여 저장하며, 사용자가 검색하고자 하는 특정 검색어를 입력하여 그에 대한 검색 리스트를 제공받고 그 중 검색 결과에 포함된 지도 정보만을 제공받기 위하여 사용자 단말장치(500) 내의 웹 브라우저를 실행시키고 사용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검색 리스트 제공 시스템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검색 리스트 제공 시스템(100)의 세부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검색 리스트 제공 시스템(100)은 포스팅 작성 지원부(110), 검색부(120), 추출부(130), 정렬부(140) 및 지도 제공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스팅 작성 지원부(110)는 사용자 단말 장치(500)로부터 포스팅 정보 작성 요청을 수신시, 사용자가 지도 정보를 선택하여 포스팅 내에 하나 이상 첨부할 수 있는 유저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를 제공한다. 이러한 유저 인터페이스의 일 예는 도 6a의 영역 A에 도시되어 있다. 또한, 사용자가 도 6a의 영역 A를 선택하여 지도 첨부 요청을 수신하고 소정 위치를 선택하고 필요시 편집을 거친 후 첨부할 있도록 하는 유저 인터페이스 또한 제공할 수 있는 바, 이러한 유저 인터페이스의 일 예는 도 6b에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도 서버(200)는 포스팅 작성 지원부(110)로부터 포스팅 작성에 따른 지도 첨부 요청을 수신시, 도 6b와 같이 기본 설정된 위치와 축척의 지도를 제공하고 도 7a 좌측 상단부의 표시된 영역에서 예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찾고자 하는 위치를 직접 입력하거나 또는 도 7b의 우측 중단의 표시된 영역에서 예시된 바와 같이 지도상에서 특정 위치를 마우스 오른쪽 클릭 등에 의해 직접 선택하는 등 다양한 방식을 통해 질의어를 수신할 수 있다. 위와 같이 특정 위치를 입력 또는 선택한 경우 특정 위치를 기준으로 한 지도를 제공할 수 있는 바, 도 7c에서 예시적으로 제공되는 화면은 사용자가 질의어로 '국기원 입구'를 입력한 경우에 제공되는 지도에 해당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도 서버(200)는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질의어에 기초한 특정 위치를 기준으로 하여 제공된 지도에 편집 기능을 제공하여, 사용자의 의도에 알맞은 부가 또는 수정을 가할 수 있다. 편집 기능의 구체적인 예에 대해서는 도 7d에서 예시적으로 제공되는 화면을 통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첨부될 지도에는 좌측 상단부의 영역 A와 같이 제목이 포함될 수 있으며, 제목에는 사용자가 입력한 또는 선택한 질의어가 기본 설정으로 기재되도록 할 수 있으나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자유롭게 수정이 가능하다.
또한, 좌측의 영역 B와 같은 편집 툴 중 핀 표시 및 텍스트를 이용하여 우측에 도시되는 지도상의 특정 위치에 핀 모양에 해당하는 아이콘 및 특정 텍스트를 부가하거나 말풍선 기능을 이용하여 지도에 말풍선 및 그 내부에 특정 텍스트를 부가하거나, 그리기를 통해 지도에 다양한 도형을 부가하거나 또는 텍스트를 통해 지도에 특정 텍스트를 부가하는 등의 편집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우측의 영역 C에 제공되는 지도의 축척 조절 바를 이용하여 제공되는 지도의 축척을 사용자의 의도대로 수정하거나, 지도의 드래그를 통하여 표시되는 지도의 위치를 변경할 수도 있고, 또는 상단의 영역 D에 제공되는 첨부 방식을 이용하여 실제로 포스팅에 첨부되었을 때 보여지는 지도의 범위를 선택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도 7d에 있어서 우측의 지도 영역 중 상대적으로 밝게 표시되는 영역이 포스팅에 첨부되었을 때 보여지는 지도의 범위에 해당하며, 영역 D에서 기본형이 아닌 가로형, 세로형 또는 미니형 등의 선택을 통해 보여지는 지도의 범위를 변경할 수도 있는 것이다. 또는 첨부 방식을 텍스트형으로 하는 경우 포스팅 내에는 지도의 제목만이 첨부되고, 이를 선택하는 경우 지도로 연결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이렇듯, 도 7d를 통해서 예시적으로 설명한 편집 기능을 이용하여 편집한 결과는 도 7e에 나타나 있으며, 지도 서버(200)는 지도 및 편집 등을 통하여 부가, 수정된 편집 정보를 포함한 지도 정보를 데이터베이스(300)에 저장한다. 편집 정보는 호출된 지도와는 별도로 저장되며, 편집 정보에는 호출된 지도 상에 매핑되어 겹쳐서 제공될 수 있도록 지도의 위치 및/또는 축척을 포함하는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물론, 도 7a 내지 도 7e는 본 발명의 설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구체적인 일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당업자의 선택에 따라 설명된 내용 이외에도 다양한 UI(User Interface) 및 다양한 편집 툴을 취사 선택 및 적용하여 다양한 편집 정보를 포함하는 지도 정보가 생성되고 저장될 수 있음은 이해되어야 한다.
포스팅 작성 제공부(110)는 지도 정보를 첨부할 수 있도록 지원해주는 유저 인터페이스 및 기능 이외에도 포스팅의 제목이나 본문 등 구체적인 내용을 기입할 수 있는 글쓰기 툴을 부가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바, 이러한 글쓰기 툴의 일 예 역시 도 6a에서 확인할 수 있다. 지도 서버(200)를 이용하여 지도 정보가 생성되고 저장된 경우, 저장된 지도 정보를 첨부하는 포스팅과 연계하기 위해 포스팅 작성 지원부(110)는 지도 서버(200)로부터 저장된 지도 정보의 고유한 ID 값을 수신하고, 포스팅 작성이 완료되는 경우 작성자 정보, 사용자에 의해 부가적으로 입력 또는 선택할 수 있는 제목, 답변, 작성글 등과 함께, 지도 정보의 고유한 ID 값을 데이터베이스(300)에 저장할 수 있다. 당업자의 기술수준 및 취사 선택에 의해, 지도가 저장된 데이터베이스(300), 편집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300) 그리고 사용자에 의해 부가적으로 입력 또는 선택될 수 있는 제목, 답변 또는 작성글 및 지도 정보의 고유한 ID값을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300)는 물리적으로 하나 이상 구분되어 있을 수 있으며, 또는 하나 이상의 데이터베이스(300)에서 하나 이상의 테이블로 구분되어 저장될 수 있는 등 다양한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음은 이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검색부(120)는 사용자 단말 장치(500)로부터 수신한 검색어에 매칭되는 정보를 데이터베이스(300)로부터 검색한다. 검색을 통해 추출되는 하나 이상의 검색 결과는 이에 첨부된 지도 정보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더 판단하기 위해 추출부(130)로 전송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추출부(130)는 검색부(120)에 의해 검색된 하나 이상의 검색 결과를 수신하고, 검색 결과 내에 지도 정보가 첨부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만일 첨부된 지도 정보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지도 정보 관련 데이터를 추출한다. 추출부(140)에 의해 추출될 수 있는 지도 정보 관련 데이터로서는 해당 지도 정보를 가리키는 고유한 ID 값, 그리고 지도 정보 작성시 편집 기능에 의해 부가, 또는 수정될 수 있는 다양한 정보들인 지도 정보의 제목, 지도 정보의 축척 관련 정보, 지도 정보 정중앙의 좌표 정보, 삽입된 텍스트, 그림, 또는 특정 위치의 표시 방식이나 표시 위치에 해당하는 좌표 정보, 실제로 첨부될 지도상의 영역 관련 자료, 지도 첨부 방식 등을 포함하는 편집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당업자의 취사 선택에 의해 구현된 편집 툴에 의해 부가 또는 수정될 수 있는 다양한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는 것은 주지의 사실이다. 수신된 하나의 검색 결과 내에 복수의 지도 정보가 첨부되어 있는 경우 추출부(130)는 복수의 지도 정보에 대한 각각의 지도 정보 관련 데이터를 개별적으로 추출할 수 있다.
보다 정확한 검색 결과로부터 첨부된 지도 정보를 추출하기 위해, 추출부(130)는 검색부(120)로부터 수신된 검색 결과 중 특정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에 한하는 검색 결과만을 대상으로 첨부된 지도 정보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첨부된 지도 정보가 존재하는 경우에 지도 정보 관련 데이터를 추출할 수 있도록 특정 조건 만족 여부를 판단하는 기능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특정 조건의 일 예는 검색 결과가 작성된 시간을 기준으로 하는 경우이며, 이 경우 정보의 최신성을 유지하기 위해 검색 결과가 작성된 시점이 특정 일자, 예를 들어 현재 일자로부터 6개월 이내 등, 를 기준으로 또는 특정 기간을 그 기준으로 하여 그 일자 또는 기간 내에 포함되는 검색 결과만을 대상으로 하여 추출부(130)가 그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특정 조건의 또 다른 예로서, 정보의 정확성을 유지하기 위해 사용자가 입력한 검색어를 모두 포함하거나 일정 비율 (예를 들어, 50%) 이거나, 검색어를 순서대로 포함하는 검색 결과만을 대상으로 추출부(130)가 그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앞서 상술한 예시적인 특정 조건은 하나 이상이 동시에 적용될 수도 있으며, 그 외의 다른 특정 조건을 선택적으로 부가, 삭제 적용하여 다양한 방식으로 설정한 특정 조건을 만족하는 검색 결과만을 대상으로 추출부(130)가 그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것은 통상의 기술자에게 있어 자명할 것이다. 또한, 앞서 설명한 특정 조건 만족 여부를 판단하는 기능은 추출부(130)가 아닌 검색부(120)에 구현될 수도 있으며, 이 경우 추출부(130)가 검색부(120)로부터 수신하는 검색 결과는 검색어에 매칭되면서도 설정된 특정 조건을 만족하는 검색 결과에 해당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추출부(130)는 정렬부(140) 및/또는 지도 제공부(150)에 의해 참조될 수 있도록 추출된 관련 데이터를 임시적으로 또는 영구적으로 저장하는 기능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렬부(140)는 추출부(130)에 의해 추출되고 저장된 지도 정보 관련 데이터를 반영하여 하나 이상의 검색 결과를 포함하는 검색 리스트의 순위를 정렬하고, 정렬된 검색 리스트 전부 또는 일부(검색 리스트에 포함된 검색 결과의 수가 많은 경우, 페이지 단위로 나뉜 일부를 의미할 수 있으며, 또는 검색 결과가 특정 개수 이상인 경우 그 중 일부만을 검색 결과로서 제공할 수도 있다)를 사용자 단말장치(500)에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편의성을 위해 검색 리스트 내에 존재하는 검색 결과 중 지도 정보가 첨부된 경우에는 아이콘 등으로 지도 정보를 포함하고 있다는 별도의 표시를 더 구현할 수 있다.
특정 검색어에 대한 통합 검색 결과를 제공하는 공지의 기술에 있어서, 통합 검색 결과를 정렬하기 위한 정렬 기준의 구체적인 예로서 검색 결과의 정확성을 나타낼 수 있는 검색어와의 매칭도, 사용자에 의한 선택으로부터 간접적으로 정확한 정보임을 예측할 수 있게 하는 자료인 검색 결과의 클릭수, 최근 포스팅임을 나타낼 수 있는 검색 결과의 작성일 등이 사용되어 왔다. 하지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는, 검색 결과에 지도 정보가 첨부되어 있는 경우 이것 역시 검색 결과의 정확성에 영향을 미치는 정렬 기준의 하나라는 판단 하에 검색 결과에 지도 정보의 첨부 여부를 하나 이상의 검색 결과를 포함하는 검색 리스트의 정렬 기준으로서 독립적으로 또는 다른 기준들과 복합적으로 반영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보다 정확한 검색 리스트 정렬 결과를 도출하기 위해, 다른 다양한 정렬 기준들을 포함하여 지도 정보 첨부 여부에 관한 정렬 기준에도 상대적인 가중치를 부여할 수 있다. 가중치를 부여하는 구체적인 일 예에 있어서, 지도 정보 첨부 여부에 대한 정렬 기준을 포함하여 검색 결과 정렬에 사용할 수 있는 각각의 예시적인 정렬 기준인 검색어와의 매칭도, 검색 결과의 클릭수, 검색 결과의 작성일과 검색일 당일 간의 차이(이하, '최신도'라 한다)를 각각의 정렬 조건 C1, C2, C3 및 C4라고 하고 이 에 대한 가중치를 각각 α,β,γ,δ라고 하는 경우, 특정 검색 리스트에 대한 정렬은 다음의 수학식 1에 도시된 식을 이용하여 정렬 기준값을 산출하고 그 내림차순으로 정리될 수 있다.
Figure 112010081103918-pat00001
물론 이러한 정렬 기준값에는 앞서 설명한 일부 정렬 기준을 생략하거나 별도의 다른 정렬 기준을 추가할 수 있고, 이에 대한 가중치 역시 변경 또는 수 정될 수 있으며 각 정렬 기준에 대한 단순 가중치가 아닌 복수의 정렬 기준에 연계될 수 있는 복합 가중치 등을 적용할 수 있는 등 정렬 기준 값의 정확성을 높이기 위해 다양한 정렬 기준 및 다양한 가중치를 적용할 수 있음은 쉽게 이해될 수 있다.
포스팅 정보와 첨부된 지도 정보간의 연관성 계산
검색 결과에 지도 정보가 첨부되어 있는 경우, 추출된 검색 결과 그리고 검색 결과에 첨부된 지도 정보 모두가 사용자가 입력한 검색어에 매칭될 것이라는 가정은 일반적으로 타당할 수 있으나, 경우에 따라서는 검색 결과인 포스팅의 주요 내용과 해당 포스팅에 첨부된 지도 정보와의 연관성이 적거나 없는 경우도 존재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앞서 살펴본 수학식 1을 그대로 적용하게 되면, 매칭된 검색 결과에 지도 정보가 첨부된 경우 보다 높은 순위로 정렬될 것이나, 사용자가 실제로 확인시 검색 결과는 검색어와 매칭될 수 있으나 검색어와 전혀 관계없는, 첨부된 지도 정보가 사용자에게 함께 제공될 것이고, 이로 인해 사용자는 제공되는 검색 리스트의 신뢰성에 의문을 제기하게 될 것이다. 따라서, 이처럼 검색 결과로서 추출된 포스팅과 포스팅에 첨부된 지도 정보와의 연관성까지 추가적으로 고려하여 검색 리스트 정렬시의 정확성을 더욱 높이기 위한 기능이 필요하며, 검색 리스트 정렬부(140)는 이하의 실시예로 설명될 수 있는, 검색 리스트 정렬시 정확성을 더욱 향상시키는 기능을 더 구현할 수 있다.
포스팅 정보와 첨부된 지도 정보와의 연관성을 고려하는 일 예로서, 검색 결과로서 추출된 포스팅에 첨부된 지도 정보 중 제목 또는 제공되는 편집 툴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입력한 텍스트 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이 존재한다면 그 텍스트 정보를 이용하여 포스팅의 내용 또는 검색어 중 어느 하나 이상과 매칭되는지 여부를 추가적으로 수행하고, 그 결과를 통해 포스팅 정보, 첨부된 지도 정보 및 검색어간의 연관성이 높은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즉, 첨부된 지도 정보의 제목 또는 사용자가 입력한 텍스트 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이 포스팅의 내용, 즉 제목 또는 본문 또는 검색어에 매칭되는 경우에는 첨부된 지도 정보, 포스팅 정보 및 검색어가 서로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다고 판단할 수 있는 것이다. 변형된 예에 있어서는, 사용자가 편집 툴을 이용하여 첨부된 지도 정보의 제목을 임의로 수정할 수 있으므로 제목의 초기값, 즉 지도상에서 사용자에 의한 질의어의 입력 또는 선택을 통해서 결정된 지도 상의 특정 지점에 해당하는 장소의 명칭이 수정되지 않은 경우에 한하여 제목의 초기값을 이용하여 포스팅의 내용 또는 검색어 중 어느 하나 이상과 매칭되는지 여부를 수행하고 그 결과를 산출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처럼 다양한 예에 따라 산출된 매칭 결과를 퍼센티지 등의 수치로 환산하고, 일정 수치 이상(예를 들어, 70%)인 경우에만 포스팅, 첨부된 지도 정보 및 검색어 간에 연관되었다고 판단하여 정렬 기준값에 가중치를 부여할 수 있으며, 매칭되는 회수를 기준으로 가중치를 다르게 책정하거나 또는 매칭 결과로서 도출되는 수치를 여러 기준으로 세분화(예를 들어, 100%, 80% 이상, 50% 이상, 50% 미만 등)하고 각 세분화된 기준에 알맞은 다양한 가중치를 부여하여, 수정된 정렬 기준값을 계산할 수도 있다.
포스팅 정보와 첨부된 지도 정보와의 연관성을 고려하는 다른 예로서, 미리 설정된 트리 구조의 디렉토리(directory)를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사용자가 제공된 디렉토리 중 자신이 작성하는 포스팅과 가장 적합하다 생각하는 하부 디렉토리(예를 들어, 여행>국내여행>서울>서울성곽)를 선택하여 저장한 경우, 작성된 포스팅은 선택된 하부 디렉토리가 가지는 키워드(예를 들어, 서울성곽)와 연관된 포스팅 내용 및 지도 정보를 포함한다고 가정하고, 사용자가 입력한 검색어와 하부 디렉토리의 키워드가 매칭되는 경우 지도 정보를 첨부한 검색 결과 중 해당 디렉토리가 선택된 경우 디렉토리가 지정되지 않은 경우보다 높은 순위에 정렬될 수 있도록 다양한 가중치를 부여하여, 수정된 정렬 기준값을 계산할 수도 있다.
앞서 설명한 예 이외에도, 당업자의 취사선택에 따라 포스팅 작성시 또는 지도 정보 첨부시에 선택 또는 입력되도록 하는 추가 정보를 추가적으로 이용하여 포스팅 정보와 첨부된 지도 정보와의 연관성 정도를 계산하고, 이를 반영해서 보다 정확하게 검색 리스트를 정렬할 수 있는 다양한 방안을 고려해볼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도 제공부(150)에서는, 사용자가 입력한 검색어에 매칭되는 검색 리스트 중 특정 검색 결과에 첨부된 지도 정보를 보고자 하는 사용자의 요청을 사용자 단말장치(500)로부터 수신하는 경우 다양한 방법으로 특정 검색 결과에 첨부된 지도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제공 방법의 일 예로서, 지도 제공부(150)는 검색 결과에 첨부된 지도 정보가 존재한다는 표시를 클릭, 또는 마우스 오버 등 다양한 방식으로 선택하면 지도 제공부(150)는 해당 검색 결과의 포스팅 정보 중 첨부된 지도 정보에 해당하는 고유의 ID 값을 이용하여 지도 서버(200)로부터 지도 정보를 수신하고, 이를 Ajax 등의 공지의 기술을 이용하여 별도의 레이어를 통해 제공하거나 새로운 팝업창을 통해 제공하는 등 공지의 여러 방식으로 구현할 수 있다. 지도 제공부(150)는 그 구현예에 따라 지도 정보 중 지도 및 편집 정보를 별개로 수신받아 양자를 매핑하는 기능을 더 수행할 수 있고, 또는 지도 및 편집 정보가 매핑된 상태의 지도 정보를 수신받아 이를 제공할 수도 있다. 지도 제공부(150)는 또한, 사용자의 연이은 액션 (제공된 지도 정보의 일부를 클릭, 더블클릭, 드래그 등의)에 기초하여 별도의 화면으로 지도 정보 중 중심 영역의 좌표를 갖는 지도를 지도 서버(200)에의 연결을 통해 제공하거나 지도 정보를 포함한 검색 결과 전체를 제공하거나 보여지는 지도 화면을 이동하는 등 사용자가 일반적으로 이용하는 지도의 기능을 모두 이용할 수 있도록 지도 서버(200)와의 통신을 통해 추가적인 기능의 요청 및 이에 따른 정보를 수신하여 제공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있어 자명할 것이다.
정렬된 검색어 리스트 및 지도 정보 제공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정렬된 검색어 리스트가 제공되고,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특정 검색 결과에 첨부된 지도 정보를 제공하는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먼저, 도 3a는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장치(500)를 통하여 검색하고자 하는 특정 검색어를 입력한 결과 보여지는 화면을 도시한 도면으로, 이를 참조하면, 검색 결과 화면은 하나 이상의 검색 결과를 포함하는 검색 리스트가 제공되고, 제공되는 검색 결과 각각 중 지도 정보가 첨부되어 있는 경우 이를 표시하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도 3a의 예에 의하면, 사용자는 검색어로서 '부암동 자하손만두'를 입력하였으며, 이에 대한 결과로서 블로그에 대해서는 총 811건이 추출되었고 그 중 검색 리스트 정렬부(140)에서 산출된 정렬 기준값에 의해 정렬된 검색 리스트의 우선 순위에 따라 그 일부를 사용자 단말장치(500)를 통해 보여주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검색 리스트 정렬부(140)에서 산출된 정렬 기준값에 부여된 정렬 기준 중 지도 정보가 첨부되어 있는지 여부를 포함한 결과, 도 3a에서 제공된 다수의 검색 결과 중 B 영역에서 아이콘 및 '약도열기'란 텍스트로 표시한 바와 같이 지도 정보를 첨부하고 있는 검색 결과가 상대적으로 상위에 노출되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 중, 사용자가 지도 정보를 첨부하고 있는 최상단의 검색 결과로부터 지도 정보를 보기 위해 '약도 열기'를 클릭하는 경우, 도 3b의 예에서 제공되는 화면과 같이 해당 검색 결과의 지도 정보를 새로운 레이어로 하여 사용자 단말장치(500)로 제공한다. 제공된 지도 정보를 살펴보면, 지도 정보의 제목은 '서울특별시 종로구 부암동 245-2'이며 이는 검색어에 해당하는 위치인 '부암동 자하손만두'의 주소를 나타내는 제목으로, 제목 클릭시 원본 포스팅으로 이동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하고 있다. 또한, 지도의 특정 위치에 특정 아이콘과 함께 '자하손만두' 및 그 주소에 해당하는 텍스트가 기재되어 있으며, 우측 하단에 '지도 크게 보기' 및 '길찾기' 기능을 제공하여 선택시 새로운 지도 화면을 제공하고 해당 위치까지 오는 길을 검색할 수도 있다. 또한, 지도 정보 내의 지도는 지도 서버(200)를 통하여 제공되므로, 사용자는 드래그 등을 통하여 지도상의 다른 위치로 이동할 수도 있다.
비록 도 3b에 도시된 지도 정보에서는 원본 포스팅으로 이동, 지도 크게 보기, 길찾기, 지도 위치 이동에 대한 기능을 제공하고 있으나, 이는 일 예에 불과하며, 다양한 배열 및 배치 방식에 따라 부가적인 지도 정보를 제공할 수도 있고, 지도 정보와 연관될 수 있는 다른 정보에 대한 기능 역시 제공할 수 있는 것은 통상의 기술자에게 있어 주지의 사실이다.
포스팅의 작성에서 검색 리스트 및 지도 정보 제공까지의 절차
이하에서는, 실제로 포스팅이 작성되는 단계부터 시작하여 사용자의 검색어 입력에 따라 검색어 순위 및 첨부된 지도 정보가 제공될 때까지의 절차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포스팅을 작성하는 절차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특정 사용자가 지식인 서비스에서 특정 질문에 대한 답변 포스팅을 작성하기 위해, 또는 블로그 또는 카페에서 자신의 의견이나 생각을 나타내는 포스팅을 작성하기 위해 포스팅 작성을 선택시 포스팅 작성 지원부(110)는 포스팅 작성 선택을 수신(S110)하고,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장치(500)를 통한 포스팅 작성, 즉 지도 정보의 작성 및 첨부를 지원하기 위해 데이터베이스(300)로부터 지도를 호출 (S120)한다. 이 외에 부가적으로, 포스팅 작성 지원부(110)는 포스팅에 포함될 수 있는 제목이나 내용 등을 기재하기 위한 글쓰기 툴을 더 제공할 수 있다. 포스팅 작성 지원부(110)에 의해 제공되는 지도, 그리고 부가적으로 지원될 수 있는 글쓰기 툴의 일 예는 앞선 도 6a에 도시된 화면에 잘 나타나 있으며, 도 6a의 우측 A 영역에서는 "파일 첨부"라는 명칭 하에 지도를 선택하여 포스팅 내에 첨부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사용자 단말장치(500)를 통하여 사용자에 의해 지도 첨부에 대한 요청 수신시, 포스팅 작성 지원부(110)는 지도 서버(200)를 통하여 특정 위치에 해당하는 지도를 호출하고, 호출된 지도를 편집할 수 있는 편집 툴을 제공(S130)한다. 제공되는 편집 툴의 일 예는 앞서 설명한 도 7d에 도시된 화면에 잘 나타나 있다. 이러한 편집 툴을 통해 사용자는 지도 정보에 포함될 수 있는 다양한 정보를 부가 또는 수정할 수 있다.
사용자가 제공되는 편집 툴을 이용하여 지도 정보를 편집한 후, 첨부하기 위해 저장을 선택한 경우 포스팅 작성 지원부(110)는 편집되고 저장된 지도 정보와 작성중인 포스팅을 연계하기 위한 소정 정보를 지도 서버(200)로부터 수신(S140) 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사용자는 하나의 포스팅 내에 복수의 지도 정보를 첨부할 수 있다. 사용자가 필요시 포스팅의 내용 등 나머지 영역을 작성 완료한 뒤 저장을 선택하면 포스팅 작성 지원부(110)는 작성된 포스팅을 데이터베이스(300)에 저장(S150)한다. 데이터베이스(300)에 저장될 수 있는 데이터는 앞서 정의한, 작성된 포스팅에 대한 포스팅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특히 지도 정보와 연계하기 위해 지도 서버(200)로부터 수신한 소정 정보(예를 들어, 사용자에 의해 편집된 지도 정보의 고유한 ID 값)가 포함되어 있다.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 포스팅 작성 절차에 의해 작성되고 저장된 포스팅 정보는 사용자의 검색어 입력에 따른 정렬된 검색 리스트 및 지도 정보가 제공될 때 이용될 수 있는바, 이 절차는 도 5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의 검색어 입력시 정렬된 검색 리스트 및 지도 정보를 제공하는 절차를 나타낸 흐름도로서, 도 5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특정 정보를 검색하기 위해 사용자 단말장치(500)를 통하여 소정 검색어를 입력하는 경우, 검색 리스트 제공 시스템(100)의 검색부(120)는 수신한 소정 검색어에 매칭되는 정보를 데이터베이스(300)로부터 검색(S210)한다. 검색부(120)에 의해 검색되는 대상은 앞서 포스팅 작성 절차를 통해 작성되고 데이터베이스(300)에 저장된 포스팅일 수 있으며, 본 발명을 구현하는 당업자의 선택에 의해, 보다 정확한 정보만을 매칭하기 위해 검색시 특정 조건 - 포스팅이 작성된 시간에 따른 검색 대상을 제한하거나 검색어를 모두 포함하는 포스팅으로 검색 대상을 제한하는 등 - 을 더 부가할 수 있다. 검색 결과로서 도출되는 하나 이상의 검색 결과를 포함하는 검색 리스트는 추출부(130)에 제공될 수 있다.
다음으로, 추출부(130)는 단계 S220을 통해, 검색부(120)로부터 수신된 하나 이상의 검색 결과로부터 첨부된 지도 정보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첨부된 지도 정보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지도 정보 관련 데이터를 추출한다. 앞서 검색부(120)의 기능 중 하나로 설명된 특정 조건 부가는 당업자의 선택에 의해, 검색부(120)가 아닌 추출부(130)에서 구현될 수도 있음은 이해될 수 있다. 추출부(130)에 의해 추출된 지도 정보 관련 데이터의 일 예로서 해당 지도 정보를 가리키는 고유한 ID 값, 그리고 지도 정보 작성시 편집 툴에 의해 부가, 또는 수정될 수 있는 다양한 정보들인 지도 정보의 제목, 지도 정보의 축척 관련 정보, 지도 정보 정중앙의 좌표 정보, 삽입된 텍스트, 그림, 또는 특정 위치의 표시 방식이나 표시 위치에 해당하는 좌표 정보, 실제로 첨부될 지도상의 영역 관련 자료, 지도 첨부 방식 등의 편집 정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음은 앞서 설명한 바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추출부(130)는 정렬부(140) 및/또는 지도 제공부(150)에 의해 참조될 수 있도록 추출된 지도 정보 관련 데이터를 임시적으로 또는 영구적으로 저장할 수 있다.
정렬부(140)는 단계 S230을 통해 추출부(130)에 의해 추출되고 저장된 지도 정보 관련 데이터를 반영하여 하나 이상의 검색 결과를 포함하는 검색 리스트의 순위를 정렬한다. 검색 리스트의 순위 정렬시 해당되는 각 검색 결과에 지도 정보가 첨부되어 있는지 여부가 정렬 조건의 하나로 고려될 수 있으며, 순위 정렬 방식의 일 예로서 앞서 설명한 수학식 1의 정렬 기준값, 또는 검색 결과와 첨부된 지도 정보와의 연관성을 추가적으로 반영하여 수정된 정렬 기준값을 산출하고 그 내림차순 또는 오름차순으로 검색 리스트의 순위를 정렬할 수 있다.
단계 S230을 통해 검색 리스트가 정렬된 경우, 단계 S240를 통해 사용자 단말장치(500)로 정렬된 검색 리스트가 제공될 수 있다. 정렬된 검색 리스트의 일 예는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여질 수 있다.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장치(500)를 통하여 제공된 검색 리스트 내의 특정 검색 결과에 첨부된 지도 정보에 대한 요청을 수신(S250)한 경우, 지도 제공부(150)는 단계 S260을 통해 요청된 지도 정보를 사용자 단말장치(500)를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제공된 지도 정보의 일 예는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여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e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Claims (17)

  1. 검색부에 의해, 사용자가 입력한 소정 검색어에 매칭되는 검색 결과를 추출하는 단계,
    추출부에 의해, 상기 추출된 검색 결과에 첨부된 지도 정보가 존재하는지 판단하고, 판단결과 첨부되어 있는 경우 상기 검색결과에 첨부된 지도 정보 관련 데이터를 추출하는 단계, 및
    정렬부에 의해, 상기 추출된 지도 정보 관련 데이터에 포함된 지도의 제목 또는 부가된 텍스트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상기 추출된 검색 결과의 제목이나 본문, 또는 상기 검색어 중 적어도 어느 하나 간의 매칭 정도를 반영하여 정렬 기준값을 결정하고, 상기 정렬 기준값에 기초하여 상기 추출된 검색 결과의 순위를 정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검색 결과 정렬 및 제공 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추출된 검색 결과는,
    작성 일자가 소정 기간 내에 한정되는 시간 기준 또는 상기 검색어 중 일정 비율 이상 일치하는 경우에 한정하는 검색어 기준 중 어느 하나 이상을 더 만족하는, 검색 결과 정렬 및 제공 방법.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순위를 정렬하는 단계는,
    상기 추출된 검색 결과로부터 추출된 지도 정보 관련 데이터가 존재하는지 여부, 그리고 상기 추출된 검색 결과의 최신도, 클릭수, 상기 검색어와의 매칭도 중 어느 하나 이상에 각각 소정 가중치를 곱한 값들의 합으로 상기 정렬 기준값을 결정하는, 검색 결과 정렬 및 제공 방법.
  4. 삭제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정렬 기준값은,
    상기 추출된 검색 결과에 포함된, 설정된 하부 디렉토리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하부 디렉토리의 키워드와 상기 검색어간의 매칭 결과를 추가적으로 반영하는, 검색 결과 정렬 및 제공 방법.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정렬부에 의해, 순위가 정렬된 상기 검색 결과를 사용자 단말장치에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검색 결과 정렬 및 제공 방법.
  7. 청구항 6에 있어서,
    지도 제공부에 의해, 상기 제공되는 검색 결과에 첨부된 지도 정보에 대한 요청 수신시, 해당 지도 정보를 사용자 단말 장치에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검색 결과 정렬 및 제공 방법.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도 정보는,
    사용자에 의한 포스팅 작성 요청에 따라 호출된 지도 및 상기 호출된 지도상에 사용자에 의해 부가 또는 수정된 관련 데이터를 포함하는, 검색 결과 정렬 및 제공 방법.
  9. 청구항 제1항 내지 제3항 및 제5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방법의 각 단계를 컴퓨터 상에서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10. 사용자가 입력한 소정 검색어에 매칭되는 검색 결과를 추출하는 검색부,
    상기 추출된 검색 결과에 첨부된 지도 정보가 존재하는지 판단하고, 판단결과 첨부되어 있는 경우 상기 검색 결과에 첨부된 지도 정보 관련 데이터를 추출하는 추출부, 및
    상기 추출된 지도 정보 관련 데이터에 포함된 지도의 제목 또는 부가된 텍스트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상기 추출된 검색 결과의 제목이나 본문, 또는 상기 검색어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산의 매칭 정도를 반영하여 정렬 기준값을 결정하고, 상기 결정 기준값에 기초하여 상기 추출된 검색 결과의 순위를 정렬하는 정렬부를 포함하는,
    검색 결과 정렬 및 제공 시스템.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추출된 검색 결과는,
    작성 일자가 소정 기간 내에 한정되는 시간 기준 또는 상기 검색어 중 일정 비율 이상 일치하는 경우에 한정하는 검색어 기준 중 어느 하나 이상을 더 만족하는, 검색 결과 정렬 및 제공 시스템.
  12.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정렬부는,
    상기 추출된 검색 결과로부터 추출된 지도 정보 관련 데이터가 존재하는지 여부, 그리고 상기 추출된 검색 결과의 최신도, 클릭수, 상기 검색어와의 매칭도 중 어느 하나 이상에 각각 소정 가중치를 곱한 값들의 합으로 상기 정렬 기준값을 결정하는, 검색 결과 정렬 및 제공 시스템.
  13. 삭제
  14.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정렬 기준값은,
    상기 추출된 검색 결과에 포함된, 설정된 하부 디렉토리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하부 디렉토리의 키워드와 상기 검색어간의 매칭 결과를 추가적으로 반영하는, 검색 결과 정렬 및 제공 시스템.
  15.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정렬부는 순위가 정렬된 상기 검색 결과를 사용자 단말장치에 제공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검색 결과 정렬 및 제공 시스템.
  16.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제공되는 검색 결과에 첨부된 지도 정보에 대한 요청 수신시, 상기 지도 정보를 추출하여 사용자 단말 장치에 제공하는 지도 제공부를 더 포함하는, 검색 결과 정렬 및 제공 시스템.
  17.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은, 사용자에 의한 포스팅 작성 요청시 또는 상기 지도 제공부에 의한 지도 정보 요청시, 가장 최신의 지도 또는 상기 가장 최신의 지도를 기반으로 한 지도 정보를 제공하는 지도 서버를 더 포함하는, 검색 결과 정렬 및 제공 시스템.
KR1020100125412A 2010-12-09 2010-12-09 검색 결과 내에 첨부된 지도 정보에 기초하여 검색 결과를 정렬하고 선택된 지도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 KR1015508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5412A KR101550804B1 (ko) 2010-12-09 2010-12-09 검색 결과 내에 첨부된 지도 정보에 기초하여 검색 결과를 정렬하고 선택된 지도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5412A KR101550804B1 (ko) 2010-12-09 2010-12-09 검색 결과 내에 첨부된 지도 정보에 기초하여 검색 결과를 정렬하고 선택된 지도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87241A KR20120087241A (ko) 2012-08-07
KR101550804B1 true KR101550804B1 (ko) 2015-09-08

Family

ID=468728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25412A KR101550804B1 (ko) 2010-12-09 2010-12-09 검색 결과 내에 첨부된 지도 정보에 기초하여 검색 결과를 정렬하고 선택된 지도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5080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595271B (zh) * 2023-07-17 2023-09-12 湖南谛图科技有限公司 基于深度学习的空间地图信息推荐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7697B1 (ko) * 2006-03-21 2007-08-08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위치 정보가 삽입된 사진 또는 동영상을 이용하여 지도표시 블로그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100921246B1 (ko) * 2008-04-08 2009-10-12 엔에이치엔(주) 지역 정보 검색 시스템 및 방법
JP2009252070A (ja) 2008-04-09 2009-10-29 Yahoo Japan Corp 検索クエリに関するスコアを算出する方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7697B1 (ko) * 2006-03-21 2007-08-08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위치 정보가 삽입된 사진 또는 동영상을 이용하여 지도표시 블로그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100921246B1 (ko) * 2008-04-08 2009-10-12 엔에이치엔(주) 지역 정보 검색 시스템 및 방법
JP2009252070A (ja) 2008-04-09 2009-10-29 Yahoo Japan Corp 検索クエリに関するスコアを算出する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87241A (ko) 2012-08-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390144B2 (en) Objective and subjective ranking of comments
US20180004850A1 (en) Method for inputting and processing feature word of file content
AU2014259978B2 (en) Tagged search result maintenance
CN102142003B (zh) 兴趣点信息提供方法及装置
JP5550669B2 (ja) 検索装置、検索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6440650B2 (ja) ユーザレビュー提供方法、その装置及びその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US9558270B2 (en) Search result organizing based upon tagging
JP2008204444A (ja) データ処理装置、データ処理方法及び検索装置
US9542495B2 (en) Targeted content provisioning based upon tagged search results
TWI357002B (en) Methods of and systems for searching by incorporat
JP2009500764A (ja) 情報価値を反映した情報検索方法及びその装置
JP2009026249A (ja) 閲覧履歴編集端末及びプログラムおよびその方法
Oehrli et al. MapRank: Geographical search for cartographic materials in libraries
US9547713B2 (en) Search result tagging
JP5487475B2 (ja) 物件情報処理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JP6144799B2 (ja) 検索結果内に添付された情報データベースに基づいた検索リスト及び検索語順位の提供方法及びシステム
KR101550804B1 (ko) 검색 결과 내에 첨부된 지도 정보에 기초하여 검색 결과를 정렬하고 선택된 지도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
KR101391532B1 (ko) 위치 기반의 주변 검색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JP4979528B2 (ja) コンテンツ表示装置、コンテンツ表示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KR101810189B1 (ko) 사용자 리뷰 제공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
KR101449994B1 (ko) 사용자 성향에 따른 검색 서비스 제공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1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