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50599B1 - 밸브 - Google Patents

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50599B1
KR101550599B1 KR1020130080396A KR20130080396A KR101550599B1 KR 101550599 B1 KR101550599 B1 KR 101550599B1 KR 1020130080396 A KR1020130080396 A KR 1020130080396A KR 20130080396 A KR20130080396 A KR 20130080396A KR 101550599 B1 KR101550599 B1 KR 1015505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inlet
working fluid
outlet
val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803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06675A (ko
Inventor
조완제
김재연
김용정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기아자동차 주식회사
인지컨트롤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기아자동차 주식회사, 인지컨트롤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803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50599B1/ko
Publication of KR201500066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66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505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50599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Temperature-Responsive Valves (AREA)

Abstract

밸브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밸브는 하나의 유입구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배출구가 각각 형성되며, 상기 유입구를 통하여 내부로 유체가 유입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장착되며, 유입된 작동유체의 온도에 따라 팽창 또는 수축이 이루어지면서 상기 배출구를 상기 유입구와 선택적으로 상호 연결하여 내부로 유입된 작동유체를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배출시키는 작동유닛을 포함하되, 상기 작동유닛은 양단이 개구되며, 상기 유입구와 상기 배출구에 대응하여 길이방향으로 서로 대응하는 양측에 제1, 제2 개구홀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슬라이딩 부재; 중앙에 관통홀이 형성되며, 상기 슬라이딩 부재의 내측 일단에 고정 장착되는 플랜지 부재; 상기 플랜지 부재의 관통홀에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로드; 상기 슬라이딩 부재의 내부에서 상기 로드의 일단부에 삽입된 상태로, 일단부가 상기 플랜지 부재의 관통홀에 고정되며, 작동유체의 온도에 따라 내부에서 팽창 또는 수축이 이루어지면서, 상기 로드 상에서 전, 후진되어 상기 슬라이딩 부재를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서 이동시키는 변형부재; 상기 하우징과 상기 변형부재의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로드 상에서 전, 후진되는 상기 변형부재에 의해 압축 또는 인장되면서 상기 변형부재에 탄발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 및 상기 하우징의 개구된 일단에 장착되며, 상기 로드의 타단을 지지하면서 상기 하우징의 내부를 폐쇄하는 엔드캡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밸브{VALVE}
본 발명은 밸브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간단한 구성으로 내부로 유입되는 유체의 온도에 따라 배출구를 선택적으로 개폐하여 유체의 흐름을 조절하는 밸브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밸브는 관로(管路)의 도중이나 용기에 설치하여 공기와 같은 기체나 물과 같은 액체를 포함하는 유체를 유입시키고, 유입된 유체를 외부로 배출하거나 배출을 차단하도록 유체의 유량과 압력 등의 제어를 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밸브는 보통 유체가 통과하는 밸브시트를 밸브 스템 및 핸들로 조작하여 유체의 흐름을 통제하거나, 서모스텟과 같은 별도의 온도조절장치를 사용하여 상기 밸브시트에 흐르는 유체의 온도를 감지하여 원격 조정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밸브는 별도의 온도조절장치를 적용해야만 유체의 온도에 따라 유체의 흐름을 제어하게 되는 바, 그 구조가 복잡해지고, 제작비용이 상승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유체의 온도에 따른 신속한 제어가 어렵고, 유체의 유량을 적절하게 제어하지 못하게 됨에 따라, 차량의 냉각 시스템에 적용될 경우, 냉각수의 유동이 원활하지 않아 냉각성능이 저하되고, 워터펌프의 소요동력이 증대되는 등의 부작용이 발생되는 단점도 있다.
또한, 온도조절장치의 고장 시에는 유지 보수가 어렵고, 밸브의 전체적인 크기와 중량이 증가되는 등의 문제점도 내포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간단한 구조로 유입된 유체의 온도에 따라 신속하게 배출구를 개폐하여 유체의 유동흐름을 조절함으로써, 종래에 비해 구성요소를 간소화하여 제작원가를 절감하는 동시에, 크기와 중량을 줄일 수 있으며, 유체의 온도에 따라 밸브 개폐의 응답성 향상 및 통수저항을 저감시켜 유체 배출량을 일정하게 유지함에 따라, 유량조절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밸브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밸브는 하나의 유입구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배출구가 각각 형성되며, 상기 유입구를 통하여 내부로 유체가 유입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장착되며, 유입된 작동유체의 온도에 따라 팽창 또는 수축이 이루어지면서 상기 배출구를 상기 유입구와 선택적으로 상호 연결하여 내부로 유입된 작동유체를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배출시키는 작동유닛을 포함하되, 상기 작동유닛은 양단이 개구되며, 상기 유입구와 상기 배출구에 대응하여 길이방향으로 서로 대응하는 양측에 제1, 제2 개구홀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슬라이딩 부재; 중앙에 관통홀이 형성되며, 상기 슬라이딩 부재의 내측 일단에 고정 장착되는 플랜지 부재; 상기 플랜지 부재의 관통홀에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로드; 상기 슬라이딩 부재의 내부에서 상기 로드의 일단부에 삽입된 상태로, 일단부가 상기 플랜지 부재의 관통홀에 고정되며, 작동유체의 온도에 따라 내부에서 팽창 또는 수축이 이루어지면서, 상기 로드 상에서 전, 후진되어 상기 슬라이딩 부재를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서 이동시키는 변형부재; 상기 하우징과 상기 변형부재의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로드 상에서 전, 후진되는 상기 변형부재에 의해 압축 또는 인장되면서 상기 변형부재에 탄발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 및 상기 하우징의 개구된 일단에 장착되며, 상기 로드의 타단을 지지하면서 상기 하우징의 내부를 폐쇄하는 엔드캡을 포함한다.
상기 변형부재는 일단부에 고정링이 장착되며, 상기 고정링에 의해 상기 플랜지 부재의 관통홀에 삽입된 상태로, 상기 플랜지 부재의 관통홀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변형부재는 상기 고정링이 끼워진 상태로 고정되도록 일단부에 외주면 둘레를 따라 링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변형부재는 그 재질이 작동유체의 온도에 따라 내부에서 수축과 팽창이 이루어지는 왁스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는 일단이 상기 슬라이딩 부재에 삽입된 상태로 상기 변형부재에 타단부에 지지되고, 타단은 상기 하우징의 폐쇄된 타단에 지지되는 코일 스프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엔드캡은 상기 하우징의 개구된 일단의 내주면에 고정 장착되는 장착링을 통하여 상기 하우징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장착링은 상기 하우징의 개구된 일단의 내주면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고정홈을 통하여 고정 장착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은 길이방향으로 일단은 개구되고, 타단이 폐쇄된 원통형 파이프 형상으로 형성되며, 개구된 일단에는 상기 작동유닛이 장착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배출구와 상기 유입구가 하나씩 구비되어 길이방향으로 양측에 각각 형성되되, 상기 배출구 측이 폐쇄되고, 상기 유입구 측이 개구되어 상기 작동유닛이 내부에 장착되는 2-Way 밸브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유입구가 한 개 구비되며, 상기 유입구를 사이에 두고, 상기 유입구의 반대측에서 각각 이격된 위치에 형성되어 상기 작동유닛에 의해 상기 유입구와 선택적으로 연결되는 제1, 제2 배출구를 포함하는 3-Way 밸브일 수 있다.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유입구가 한 개 구비되며, 상기 유입구와 이격된 위치에 형성되는 제1 배출구와, 상기 유입구와 상기 제1 배출구의 사이에서 상기 유입구의 반대측에 각각 이격된 위치에 각각 형성되어 작동유체를 배출하는 제2 배출구와, 작동유체가 리턴되는 리턴구를 포함하며, 상기 작동유닛에 의해 상기 제1, 제2 배출구와 리턴구가 선택적으로 연결되는 4-Way 밸브일 수 있다.
삭제
상기 하우징은 중앙에 각 상기 작동유닛의 탄성부재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재가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유입구로 유입된 작동유체가 유동되는 유동홀이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밸브에 의하면, 간단한 구조로 유입된 유체의 온도에 따라 팽창 또는 수축이 이루어지면서 신속하게 배출구를 개폐하여 유체의 유동흐름을 조절함에 따라, 종래에 비해 구성요소를 간소화하여 제작원가를 절감하고, 중량을 줄이는 효과가 있다.
또한, 유입되는 작동유체의 온도에 따라 밸브 개폐의 응답성을 향상시키고, 통수저항을 저감시켜 유체 배출량을 일정하게 유지함에 따라, 유량조절의 신뢰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도 있다.
또한, 차량의 냉각 시스템에 적용되어 작동유체가 냉각수일 경우, 냉각수의 유동을 원활하게 유지할 수 있어 차량의 냉각성능이 향상되고, 워터펌프의 소요동력을 저감시키는 효과도 있다.
또한, 구성요소를 간소화함에 따라, 밸브의 유지보수를 용이하게 하는 동시에, 수리비를 절감하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밸브의 투영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밸브에 적용되는 작동유닛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작동유닛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작동유닛의 작동 상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밸브의 단계별 작동 상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밸브의 투영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밸브의 단계별 작동 상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밸브의 투영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밸브의 단계별 작동 상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그리고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유닛”, “...수단”, “...부”, “...부재”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하는 포괄적인 구성의 단위를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밸브의 투영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밸브에 적용되는 작동유닛의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작동유닛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작동유닛의 작동 상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밸브(100)는 간단한 구조로 유입된 유체의 온도에 따라 신속하게 배출구를 개폐하여 유체의 유동흐름을 조절함으로써, 종래에 비해 구성요소를 간소화하여 제작원가를 절감하는 동시에, 크기와 중량을 줄일 수 있으며, 유체의 온도에 따라 밸브 개폐의 응답성 향상 및 통수저항을 저감시켜 유체 배출량을 일정하게 유지함에 따라, 유량조절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밸브(100)는, 도 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내부로 유입된 작동유체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것으로, 하우징(110)과 작동유닛(12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상기 하우징(110)은 하나의 유입구(111)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배출구(113)가 각각 형성되며, 상기 유입구(111)를 통하여 내부로 유체가 유입된다.
여기서, 상기 하우징(110)은 길이방향으로 일단은 개구되고, 타단이 폐쇄된 원통형 파이프 형상으로 형성되며, 개구된 일단에는 상기 작동유닛(120)이 장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하우징(110)은 길이방향으로 일측에 유입구(111)가 형성되며, 개구된 일단부로 장착된 작동유닛(120)에 대응하여 상기 유입구(111)와는 반대측에 이격되게 하나의 배출구(113)가 형성된다.
즉,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 상기 밸브(100)는 상기 유입구(111)와 상기 배출구(113)가 하나씩 구비되어 길이방향으로 양측에 각각 형성되되, 내부에 장착된 상기 작동유닛(120)에 의해 상기 유입구(111)와 배출구(113)가 선택적으로 연결되어 개폐되는 2-Way 밸브로 이루어 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작동유닛(120)은 상기 하우징(110)의 개구된 일단으로 삽입되어 상기 하우징(110)의 내부에 장착된다.
이러한 작동유닛(120)은 유입된 작동유체의 온도에 따라 팽창 또는 수축이 이루어지면서 상기 배출구(113)를 상기 유입구(111)와 선택적으로 상호 연결하여 내부로 유입된 작동유체를 상기 하우징(110)의 외부로 배출시키게 된다.
여기서, 상기 작동유닛(120)은,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슬라이딩 부재(121), 플랜지 부재(123), 로드(125), 변형부재(127), 탄성부재(129), 및 엔드캡(131)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이를 각 구성별로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슬라이딩 부재(121)는 양단이 개구되며, 상기 유입구(111)와 상기 배출구(113)에 대응하여 길이방향으로 서로 대응하는 양측에 제1, 제2 개구홀(122a, 122b)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110)의 내부에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삽입된다.
상기 플랜지 부재(123)는 중앙에 관통홀(124)이 형성되며, 상기 슬라이딩 부재(121)의 내측 일단에 고정 장착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로드(125)는 원형의 봉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플랜지 부재(123)의 관통홀(124)에 이동 가능하게 삽입된다.
그리고 상기 변형부재(127)는 상기 슬라이딩 부재(121)의 내부에서 상기 로드(125)의 일단부에 삽입된 상태로, 일단부가 상기 플랜지 부재(123)의 관통홀(124)에 고정된다.
이러한 변형부재(127)는 작동유체의 온도에 따라 내부에서 팽창 또는 수축이 이루어지면서, 상기 로드(125) 상에서 전, 후진되어 상기 플랜지 부재(123)를 통해 연결된 상기 슬라이딩 부재(121)를 상기 하우징(110)의 내부에서 이동시키게 된다.
여기서, 상기 변형부재(127)는 일단부에 고정링(126)이 장착되며, 상기 고정링(126)에 의해 상기 플랜지 부재(123)의 관통홀(124)에 삽입된 상태로, 상기 플랜지 부재(123)의 관통홀(124)에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변형부재(127)는 상기 고정링(126)이 끼워진 상태로 고정되도록 일단부에 외주면 둘레를 따라 링홈(128)이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고정링(126)은 상기 링홈(128)에 끼워져 고정됨으로써, 상기 플랜지 부재(123)에 삽입된 변형부재(127)가 상기 플랜지 부재(123)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이러한 상기 변형부재(127)는 그 재질이 작동유체의 온도에 따라 내부에서 수축과 팽창이 이루어지는 왁스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왁스소재는 온도에 따라 그 부피가 팽창되거나 수축이 이루어지는 것으로, 온도가 높아지면 부피가 팽창되었다가 온도가 낮아지면 다시 수축되어 초기 부피로 복원되는 성질을 갖는 소재이다.
이에 따라, 상기 변형부재(127)는 상기 유입구(111)를 통해 온도가 상승된 작동유체가 유입될 경우, 온도가 상승되어 내부에서 부피가 팽창됨으로써, 상기 로드(125)에 장착된 초기위치에서 상기 로드(125)를 따라 전진되어 위치가 변경된다.
이와는 반대로, 상기 변형부재(127)는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온도가 낮은 작동유체가 유입될 경우, 온도가 하강되어 그 부피가 수축됨으로써, 상기 로드(125) 상에서 후진되어 초기위치로 복귀된다.
또한, 상기 변형부재(127)는 상기 로드(125)에 장착된 초기상태에서 설정온도 이하의 작동유체가 유입될 경우에는 팽창 또는 수축이 발생되지 않아 위치의 가변이 이루어지지 않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탄성부재(129)는 상기 하우징(110)과 상기 변형부재(127)의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로드(125) 상에서 전, 후진되는 상기 변형부재(127)에 의해 압축 또는 인장되면서 상기 변형부재(127)에 탄발력을 제공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탄성부재(129)는 일단이 상기 슬라이딩 부재(121)에 삽입된 상태로 상기 변형부재(127)의 타단에 지지되고, 타단은 상기 하우징(110)의 폐쇄된 타단에 지지되는 코일 스프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엔드캡(131)은 상기 하우징(110)의 개구된 일단에 장착되며, 상기 로드(125)의 타단을 지지하면서 상기 하우징(110)의 개구된 일단을 막아 내부를 폐쇄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엔드캡(131)은 상기 하우징(110)의 개구된 일단의 내주면에 고정 장착되는 장착링(133)을 통하여 상기 하우징(110)에 고정될 수 있다.
이러한 장착링(133)은 상기 하우징(110)의 개구된 일단의 내주면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고정홈(112)을 통하여 고정 장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작동유닛(120)은,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유입구(111)를 통하여 하우징(100)으로 설정온도 이상의 작동유체가 유입되면, 상기 변형부재(127)가 내부에서 팽창되면서 상기 로드(125)로부터 전진된다.
이 때, 상기 변형부재(127)가 고정된 상기 플랜지 부재(123)에 의해 상기 슬라이딩 부재(121)가 상기 변형부재(127)와 함께 하우징(110)의 내부에서 슬라이드 이동되어 상기 제2 개구홀(122b)이 상기 배출구(113) 측에 위치된다.
따라서, 상기 유입구(111)와 배출구(113)는 상기 슬라이딩 부재(121)의 상기 제1, 제2 개구홀(122a, 122b)을 통하여 상호 연결된 상태가 됨으로써, 밸브(100)가 개방된다.
여기서, 상기 탄성부재(129)는 상기 엔드캡(131)에 타단이 지지된 로드(125) 상에서 전진되는 상기 변형부재(127)에 의해 압축된 상태가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유입구(111)로 설정온도 이하의 작동유체가 하우징(110)으로 유입되면, 상기 변형부재(127)는 수축 변형이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상기 변형부재(127)는 되어 상기 로드(125) 상에서 후진되어 다시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은 초기위치로 복귀된다.
이 때, 상기 탄성부재(129)는 압축된 상태에서, 상기 변형부재(127)에 탄성력을 제공하게 되며, 상기 변형부재(127)는 탄성부재(129)의 탄성력을 제공받아 보다 신속하게 상기 로드(125)를 따라 초기위치로 복귀될 수 있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밸브(100)의 작동 및 작용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밸브의 단계별 작동 상태도이다.
먼저, 상기 작동유닛(120)은 상기 슬라이딩 부재(121), 플랜지 부재(123), 로드(125), 변형부재(127), 및 탄성부재(129)가 전술한 바와 같이 조립되어 상기 하우징(110)의 개구된 일단으로 삽입된 상태로, 엔드캡(131)을 통해 장착이 완료된다.
이 때, 상기 슬라이딩 부재(121)는 제2 개구홀(122b)이 상기 배출구(113)에 위치되지 않은 상태로 장착됨에 따라, 상기 배출구(113)는 폐쇄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며, 상기 제1 개구홀(122a)은 유입구(111)에 위치된 상태가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유입구(111)를 통하여 설정온도 이하의 작동유체가 유입되면, 도 5의 (S1)과 같이, 상기 변형부재(127)는 변형이 이루어지지 않은 초기 장착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하우징(110)으로 유입된 작동유체는 상기 슬라이딩 부재(121)에 의해 폐쇄된 상태가 된 배출구(113)로 배출되는 것이 방지된다.
이와는 반대로, 상기 유입구(111)로 설정온도 이상의 작동유체가 유입되면, 도 5의 (S2)와 같이, 상기 변형부재(127)가 내부에서 팽창되면서 상기 로드(125) 상에서 전진하게 된다.
이와 동시에, 상기 변형부재(127)와 연결된 플랜지 부재(123)는 상기 변형부재(127)와 함께 전진되면서, 상기 슬라이딩 부재(121)가 상기 하우징(110)의 내부에서 슬라이드 이동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2 개구홀(122b)은 상기 배출구(113)에 정위치되어 상기 밸브(100)가 개방되며, 상기 유입구(111)에 위치된 제1 개구홀(122a)을 통하여 유입된 작동유체는 상기 제2 개구홀(122b)을 거쳐 상기 배출구(113)를 통해 상기 하우징(110)의 외부로 배출된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밸브(100)가 개방된 상태에서, 설정온도 이하의 작동유체가 유입되면, 상기 변형부재(127)가 내부에서 수축 변형되면서, 상기 탄성부재(129)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로드(125) 상에서 신속하게 후진하여 상기 제2 개구홀(122b)이 배출구(113)에 위치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상기 배출구(113)를 폐쇄하게 된다.
즉,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밸브(100)는 상기와 같은 작동을 통하여 작동유닛(120)의 변형부재(127)가 유입구(111)를 통해 유입된 작동유체의 온도에 따라 배출구(113)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도록 함으로써, 밸브(100)의 개폐 작동을 수행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밸브(100)를 적용하면, 간단한 구조로 유입된 유체의 온도에 따라 변형부재(127)의 팽창 또는 수축이 이루어지면서 신속하게 배출구(113)를 개폐하여 유체의 유동흐름을 조절함에 따라, 종래에 비해 구성요소를 간소화하여 제작원가를 절감하고, 중량을 줄일 수 있다.
또한, 유입되는 작동유체의 온도에 따라 변형부재(127)의 팽창 및 수축 변형과 함께, 탄성부재(129)의 탄성력을 이용하여 밸브 개폐의 응답성을 향상시키고, 통수저항을 저감시켜 유체 배출량을 일정하게 유지함에 따라, 유량조절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차량의 냉각 시스템에 적용되어 작동유체가 냉각수일 경우, 냉각수의 유동을 원활하게 유지할 수 있어 차량의 냉각성능이 향상되고, 워터펌프의 소요동력을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구성요소를 간소화함에 따라, 밸브(100)의 유지보수를 용이하게 하는 동시에, 수리비를 절감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밸브의 투영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밸브의 단계별 작동 상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밸브(200)는 간단한 구조로 유입된 유체의 온도에 따라 신속하게 배출구를 개폐하여 유체의 유동흐름을 조절함으로써, 종래에 비해 구성요소를 간소화하여 제작원가를 절감하는 동시에, 크기와 중량을 줄일 수 있으며, 유체의 온도에 따라 밸브 개폐의 응답성 향상 및 통수저항을 저감시켜 유체 배출량을 일정하게 유지함에 따라, 유량조절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밸브(200)는, 도 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내부로 유입된 작동유체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것으로, 하우징(210)과 작동유닛(22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상기 하우징(210)은 하나의 유입구(211)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배출구(213)가 각각 형성되며, 상기 유입구(211)를 통하여 내부로 유체가 유입된다.
여기서, 상기 하우징(210)은 길이방향으로 일단은 개구되고, 타단이 폐쇄된 원통형 파이프 형상으로 형성되며, 개구된 일단에는 상기 작동유닛(220)이 장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하우징(210)은 길이방향으로 일측에 유입구(211)가 형성되며, 상기 유입구(211)를 사이에 두고, 상기 유입구(211)의 반대측에서 각각 이격된 위치에 제1, 제2 배출구(213, 215)가 형성된다.
즉,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서 상기 밸브(200)는 하나의 유입구(211)와, 상기 유입구(211)의 반대측에서 각각 이격된 위치에 형성된 제1, 제2 배출구(213, 215)가 각각 구비되며, 내부에 장착된 상기 작동유닛(220)에 의해 상기 유입구(211)와 제1, 제2 배출구(213)가 각각 선택적으로 연결되어 개폐되는 3-Way 밸브로 이루어 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작동유닛(220)은 상기 하우징(210)의 개구된 일단으로 삽입되어 상기 하우징(210)의 내부에 장착된다.
이러한 작동유닛(220)은 유입된 작동유체의 온도에 따라 팽창 또는 수축이 이루어지면서 상기 제1, 제2 배출구(213, 215)를 상기 유입구(211)와 선택적으로 상호 연결하여 내부로 유입된 작동유체를 상기 하우징(210)의 외부로 배출시키게 된다.
여기서, 상기 작동유닛(220)은 전술한 제1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이하 그 구성 및 작동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밸브(200)의 작동 및 작용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밸브의 단계별 작동 상태도이다.
먼저, 상기 작동유닛(220)은 슬라이딩 부재(221), 플랜지 부재(223), 로드(225), 변형부재(227), 및 탄성부재(229)가 전술한 제1 실시예와 같이 조립되어 상기 하우징(210)의 개구된 일단으로 삽입된 상태로, 엔드캡(231)을 통해 장착이 완료된다.
이 때, 상기 슬라이딩 부재(221)는 제2 개구홀(222b)이 상기 제2 배출구(215)에 위치되지 않은 상태로 장착됨에 따라, 상기 제2 배출구(215)는 폐쇄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며, 상기 제1 배출구(213)에는 슬라이딩 부재(221)가 위치되지 않게 됨으로써, 상기 유입구(211)와 제1 배출구(213)가 제1 개구홀(222a)을 통해 상호 연결되어 개방된 상태가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유입구(211)를 통하여 설정온도 이하의 작동유체가 유입되면, 도 7의 (S10)과 같이, 상기 변형부재(227)는 변형이 이루어지지 않은 초기 장착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하우징(210)으로 유입된 작동유체는 상기 슬라이딩 부재(221)에 의해 폐쇄된 상태가 된 제2 배출구(215)로 배출되는 것이 방지되고, 상기 제1 개구홀(222a)을 통해 연결된 제1 배출구(213)로 배출된다.
이와는 반대로, 상기 유입구(211)로 설정온도 이상의 작동유체가 유입되면, 도 7의 (S20)와 같이, 상기 변형부재(227)가 내부에서 팽창되면서 상기 로드(225) 상에서 전진하게 된다.
동시에, 상기 변형부재(227)와 연결된 플랜지 부재(223)는 상기 변형부재(227)와 함께 전진되면서, 상기 슬라이딩 부재(221)가 상기 하우징(210)의 내부에서 슬라이드 이동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2 개구홀(222b)은 상기 제2 배출구(215)에 정위치되어 상기 유입구(211)와 제2 배출구(215)를 상호 연결하여 개방하게 되고, 상기 제1 배출구(213)는 전진 이동된 상기 슬라이딩 부재(221)에 의해 폐쇄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에 따라, 작동유체는 상기 유입구(211)에 위치된 제1 개구홀(222a)을 통하여 유입되어 상기 제2 개구홀(222b)을 거쳐 상기 제2 배출구(215)를 통해 배출된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밸브(200)의 변형부재(227)가 팽창 변형된 상태에서, 설정온도 이하의 작동유체가 유입되면, 상기 변형부재(227)가 내부에서 수축 변형된다.
그러면, 상기 변형부재(227)는 상기 탄성부재(229)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로드(225) 상에서 신속하게 후진하여 상기 제2 개구홀(222b)이 제2 배출구(215)에 위치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상기 제2 배출구(215)를 폐쇄하고, 다시 상기 제1 배출구(213)를 개방하게 된다.
즉,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밸브(200)는 상기와 같은 작동을 통하여 작동유닛(220)의 변형부재(227)가 유입구(211)로 유입된 작동유체의 온도에 따라 상기 제1, 제2 배출구(213, 215)를 슬라이딩 부재(221)의 제1, 제2 개구홀(222a, 222b)을 통하여 상기 유입구(211)와 선택적으로 연결해 개폐하도록 함으로써, 밸브(200)의 개폐 작동을 수행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밸브(200)를 적용하면, 간단한 구조로 유입된 유체의 온도에 따라 변형부재(227)의 팽창 또는 수축이 이루어지면서 신속하게 배출구(213)를 개폐하여 유체의 유동흐름을 조절함에 따라, 종래에 비해 구성요소를 간소화하여 제작원가를 절감하고, 중량을 줄일 수 있다.
또한, 유입되는 작동유체의 온도에 따라 변형부재(227)의 팽창 및 수축 변형과 함께, 탄성부재(229)의 탄성력을 이용하여 밸브 개폐의 응답성을 향상시키고, 통수저항을 저감시켜 유체 배출량을 일정하게 유지함에 따라, 유량조절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차량의 냉각 시스템에 적용되어 작동유체가 냉각수일 경우, 냉각수의 유동을 원활하게 유지할 수 있어 차량의 냉각성능이 향상되고, 워터펌프의 소요동력을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구성요소를 간소화함에 따라, 밸브(200)의 유지보수를 용이하게 하는 동시에, 수리비를 절감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밸브의 투영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밸브의 단계별 작동 상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밸브(300)는 간단한 구조로 유입된 유체의 온도에 따라 신속하게 배출구를 개폐하여 유체의 유동흐름을 조절함으로써, 종래에 비해 구성요소를 간소화하여 제작원가를 절감하는 동시에, 크기와 중량을 줄일 수 있으며, 유체의 온도에 따라 밸브 개폐의 응답성 향상 및 통수저항을 저감시켜 유체 배출량을 일정하게 유지함에 따라, 유량조절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밸브(300)는, 도 8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내부로 유입된 작동유체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것으로, 하우징(310)과 작동유닛(32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상기 하우징(310)은 하나의 유입구(311)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배출구(313)가 각각 형성되며, 상기 유입구(311)를 통하여 내부로 유체가 유입된다.
이러한 하우징(310)에는 상기 유입구(311)가 한 개 구비되며, 상기 유입구(311)와 이격된 위치에 형성되는 제1 배출구(313)와, 상기 유입구(311)와 상기 제1 배출구(313)의 사이에서 상기 유입구(311)의 반대측에 각각 이격된 위치에 각각 형성되어 작동유체를 배출하는 제2 배출구(315)와, 작동유체가 리턴되는 리턴구(317)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2 배출구(315)와 리턴구(317)는 미도시된 별도의 공급부와 연결되며, 공급부에 작동유체를 공급하거나 공급부로부터 작동유체가 리턴되며, 이러한 공급부는 컨덴서, 쿨러 등을 포함하는 열교환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하우징(310)은 양단이 개구된 원통형 파이프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유입구(311)와 상기 제1 배출구(313)를 연결하거나, 상기 유입구(311)를 상기 제2 배출구(315)와 상기 리턴구(317)에 각각 선택적으로 연결하도록 양측에 상기 작동유닛(320)이 각각 장착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서 상기 밸브(300)는 하나의 유입구(311)와, 상기 유입구(311)와 이격된 위치에 형성된 제1 배출구(313)와, 상기 유입구(311)의 반대측에서 상기 유입구(311)와 제1 배출구(313)의 사이에서 각각 이격된 위치에 형성된 제2 배출구(315)와 리턴구(317)가 각각 구비되며, 상기 하우징(310)의 내부에서 양측에 각각 장착된 상기 작동유닛(220)에 의해 상기 유입구(311)와 제1, 제2 배출구(313, 315), 및 리턴구(317)가 각각 선택적으로 연결되어 개폐되는 4-Way 밸브로 이루어 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작동유닛(320)은 상기 하우징(310)의 개구된 양단으로 각각 삽입되어 상기 하우징(310)의 내부에 장착된다.
이러한 작동유닛(320)은 유입된 작동유체의 온도에 따라 팽창 또는 수축이 각각 이루어지면서 상기 제1, 제2 배출구(313, 315)와 리턴구(317)를 상기 유입구(311)와 선택적으로 상호 연결하여 내부로 유입된 작동유체를 상기 하우징(110)의 외부로 배출시키게 된다.
여기서, 상기 작동유닛(320)은 전술한 제1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이하 그 구성 및 작동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서, 상기 하우징(310)은 내부 중앙에 각 상기 작동유닛(320)의 탄성부재(329)의 일단을 각각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재(340)가 고정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재(340)는 상기 하우징(310)으로 유입된 작동유체가 원활하게 유동되도록 작동유체가 유동되는 유동홀(341)이 형성된다.
즉, 작동유체는 상기 각 개폐부재(320)에 의해 상기 제2 배출구(315)와 리턴구(317)가 폐쇄된 상태일 경우, 상기 유입구(311)로 유입되어 상기 유동홀(341)을 통해 상기 제1 배출구(313)로 원활하게 배출된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밸브(300)의 작동 및 작용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밸브의 단계별 작동 상태도이다.
먼저, 상기 작동유닛(320)은 슬라이딩 부재(321), 플랜지 부재(323), 로드(325), 변형부재(327), 및 탄성부재(329)가 전술한 제1 실시예와 같이 조립되어 상기 하우징(310)의 개구된 일단으로 삽입된 상태로, 엔드캡(331)을 통해 장착이 완료된다.
이 때, 상기 하우징(310)의 양측에 각각 장착된 작동유닛(320)의 각 슬라이딩 부재(321)는 제2 개구홀(322b)이 상기 제2 배출구(315)와 리턴구(317)에 위치되지 않은 상태로 장착됨에 따라, 상기 제2 배출구(315)와 리턴구(317)는 폐쇄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1 배출구(313)에는 상기 유입구(311)의 반대측에서 상기 슬라이딩 부재(312)의 제1 개구홀(322a)이 위치됨으로써, 상기 유입구(211)와 제1 배출구(213)가 상기 각 제1 개구홀(322a)들을 통해 상호 연결되어 개방된 상태가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유입구(311)를 통하여 설정온도 이하의 작동유체가 유입되면, 도 9의 (S100)과 같이, 상기 변형부재(327)는 변형이 이루어지지 않은 초기 장착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하우징(310)으로 유입된 작동유체는 상기 각 슬라이딩 부재(321)에 의해 폐쇄된 상태가 된 제2 배출구(315)와 리턴구(317)로 배출되는 것이 방지되고, 상기 각 제1 개구홀(222a)을 통해 연결된 제1 배출구(213)로 배출된다.
이 때, 작동유체는 상기 지지부재(340)의 유동홀(341)을 통하여 상기 유입구(311)에서 제1 배출구(313)를 향하여 원활하게 유동된다.
이와는 반대로, 상기 유입구(311)로 설정온도 이상의 작동유체가 유입되면, 도 9의 (S200)와 같이, 양측에 장착된 각 작동유닛(320)의 각 변형부재(327)가 내부에서 팽창되면서 상기 로드(325) 상에서 각각 상기 하우징(310)의 중앙을 향하여 전진하게 된다.
동시에, 상기 변형부재(327)와 연결된 플랜지 부재(323)는 상기 변형부재(327)와 함께 전진되면서, 상기 슬라이딩 부재(321)가 상기 하우징(310)의 내부에서 각각 슬라이드 이동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2 개구홀(322b)들은 상기 제2 배출구(315)와 리턴구(317)에 각각 정위치되어 제2 배출구(315)와 리턴구(317)를 유입구(311)와 상호 연결하여 개방하게 된다.
이 때, 상기 제1 배출구(313)는 상기 슬라이딩 부재(321)가 전진 이동되더라도 상기 제1 개구홀(322a)에 위치되어 개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에 따라, 작동유체는 상기 유입구(311)에 위치된 제1 개구홀(322a)을 통하여 유입되어 상기 제2 개구홀(322b)을 거쳐 상기 제2 배출구(315)를 통해 미도시된 공급부로 배출된다.
공급부를 통과한 작동유체는 상기 리턴구(317)를 통해 다시 하우징(310)으로 유입되며, 상기 제1 배출구(313)를 통해 상기 하우징(310)의 외부로 배출된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밸브(300)의 변형부재(327)가 팽창 변형된 상태에서, 설정온도 이하의 작동유체가 유입되면, 상기 변형부재(327)가 내부에서 수축 변형된다.
그러면, 상기 변형부재(327)는 상기 탄성부재(329)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로드(325) 상에서 각각 신속하게 후진하여 상기 제2 개구홀(322b)이 제2 배출구(315)와 리턴구(317)에 위치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상기 제2 배출구(315)와 리턴구(317)를 폐쇄하게 된다.
즉,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밸브(300)는 상기와 같은 작동을 통하여 각 작동유닛(320)의 변형부재(327)가 유입구(311)로 유입된 작동유체의 온도에 따라 상기 제2 배출구(315)와 리턴구(317)를 각 슬라이딩 부재(321)의 제1, 제2 개구홀(222a, 222b)을 통하여 상기 유입구(311)와 제1 배출구(313)에 선택적으로 연결해 개폐하도록 함으로써, 밸브(300)의 개폐 작동을 수행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밸브(300)를 적용하면, 간단한 구조로 유입된 유체의 온도에 따라 변형부재(327)의 팽창 또는 수축이 이루어지면서 신속하게 배출구(313)를 개폐하여 유체의 유동흐름을 조절함에 따라, 종래에 비해 구성요소를 간소화하여 제작원가를 절감하고, 중량을 줄일 수 있다.
또한, 유입되는 작동유체의 온도에 따라 변형부재(327)의 팽창 및 수축 변형과 함께, 탄성부재(329)의 탄성력을 이용하여 밸브 개폐의 응답성을 향상시키고, 통수저항을 저감시켜 유체 배출량을 일정하게 유지함에 따라, 유량조절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차량의 냉각 시스템에 적용되어 작동유체가 냉각수일 경우, 냉각수의 유동을 원활하게 유지할 수 있어 차량의 냉각성능이 향상되고, 워터펌프의 소요동력을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구성요소를 간소화함에 따라, 밸브(300)의 유지보수를 용이하게 하는 동시에, 수리비를 절감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0, 200, 300 : 밸브
110, 210, 310 : 하우징
111, 211, 311 : 유입구
113 : 배출구
213, 313 : 제1 배출구
215, 315 : 제2 배출구
317 : 리턴구
120, 220, 320 : 작동유닛
121, 221, 321 : 슬라이딩 부재
122a, 222a, 322a : 제1 개구홀
122b, 222b, 322b : 제2 개구홀
123, 223, 323 : 플랜지 부재
125, 225, 325 : 로드
127, 227, 327 : 변형부재
129, 229, 329 : 탄성부재
131, 231, 331 : 엔드캡
133, 233, 333 : 장착링
340 : 지지부재
341 : 유동홀

Claims (14)

  1. 하나의 유입구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배출구가 각각 형성되며, 상기 유입구를 통하여 내부로 유체가 유입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장착되며, 유입된 작동유체의 온도에 따라 팽창 또는 수축이 이루어지면서 상기 배출구를 상기 유입구와 선택적으로 상호 연결하여 내부로 유입된 작동유체를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배출시키거나,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여 작동유체의 유동을 제어하는 작동유닛을 포함하되,
    상기 작동유닛은
    양단이 개구되며, 상기 유입구와 상기 배출구에 대응하여 길이방향으로 서로 대응하는 양측에 제1, 제2 개구홀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의 개구된 일단을 통하여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슬라이딩 부재;
    중앙에 관통홀이 형성되며, 상기 슬라이딩 부재의 내측 일단에 고정 장착되는 플랜지 부재;
    상기 플랜지 부재의 관통홀에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로드;
    상기 슬라이딩 부재의 내부에서 상기 로드의 일단부에 삽입된 상태로, 일단부가 상기 플랜지 부재의 관통홀에 고정되며, 작동유체의 온도에 따라 내부에서 팽창 또는 수축이 이루어지면서, 상기 로드 상에서 전, 후진되어 상기 슬라이딩 부재를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서 이동시키는 변형부재;
    상기 슬라이딩 부재의 내부에서 상기 하우징과 상기 변형부재의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로드 상에서 전, 후진되는 상기 변형부재에 의해 압축 또는 인장되면서 상기 변형부재에 탄발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 및
    상기 하우징의 개구된 일단에 장착되며, 상기 로드의 타단을 지지하면서 상기 하우징의 개구된 일단을 폐쇄하는 엔드캡;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변형부재는
    일단부에 고정링이 장착되며, 상기 고정링에 의해 상기 플랜지 부재의 관통홀에 삽입된 상태로, 상기 플랜지 부재의 관통홀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변형부재는
    상기 고정링이 끼워진 상태로 고정되도록 일단부에 외주면 둘레를 따라 링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변형부재는
    그 재질이 작동유체의 온도에 따라 내부에서 수축과 팽창이 이루어지는 왁스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일단이 상기 슬라이딩 부재에 삽입된 상태로 상기 변형부재에 타단부에 지지되고, 타단은 상기 엔드캡의 반대방향에서 상기 하우징의 폐쇄된 타단 내측면에 지지되는 코일 스프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엔드캡은
    상기 하우징의 개구된 일단의 내주면에 고정 장착되는 장착링을 통하여 상기 하우징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링은
    상기 하우징의 개구된 일단의 내주면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고정홈을 통하여 고정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길이방향으로 일단은 개구되고, 타단이 폐쇄된 원통형 파이프 형상으로 형성되며, 개구된 일단을 통하여 내부에 상기 작동유닛이 장착되어 개구된 일단을 폐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배출구와 상기 유입구가 하나씩 구비되어 길이방향으로 양측에 각각 형성되되, 상기 유입구가 위치되는 상기 하우징의 일단이 개구되어 상기 작동유닛이 내부에 장착되고, 상기 배출구가 위치되는 상기 하우징의 타단이 폐쇄되는 2-Way 밸브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유입구가 한 개 구비되며, 상기 유입구를 사이에 두고, 상기 유입구의 반대측에서 각각 이격된 위치에 형성되어 상기 작동유닛에 의해 상기 유입구와 선택적으로 연결되는 제1, 제2 배출구를 포함하는 3-Way 밸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유입구가 한 개 구비되며, 상기 유입구와 이격된 위치에 형성되는 제1 배출구와, 상기 유입구와 상기 제1 배출구의 사이에서 상기 유입구의 반대측에 각각 이격된 위치에 각각 형성되어 작동유체를 배출하는 제2 배출구와, 작동유체가 리턴되는 리턴구를 포함하며, 상기 작동유닛에 의해 상기 제1, 제2 배출구와 리턴구가 선택적으로 연결되는 4-Way 밸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
  12. 삭제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중앙에 각 상기 작동유닛의 탄성부재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재가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유입구로 유입된 작동유체가 유동되는 유동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
KR1020130080396A 2013-07-09 2013-07-09 밸브 KR1015505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80396A KR101550599B1 (ko) 2013-07-09 2013-07-09 밸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80396A KR101550599B1 (ko) 2013-07-09 2013-07-09 밸브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6675A KR20150006675A (ko) 2015-01-19
KR101550599B1 true KR101550599B1 (ko) 2015-09-07

Family

ID=525699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80396A KR101550599B1 (ko) 2013-07-09 2013-07-09 밸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50599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298277A (ja) 2007-06-04 2008-12-11 Chiyoda Kucho Kiki Kk バルブ装置及びバルブ装置のアダプター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298277A (ja) 2007-06-04 2008-12-11 Chiyoda Kucho Kiki Kk バルブ装置及びバルブ装置のアダプタ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6675A (ko) 2015-01-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29115B2 (en) Valve
KR101542989B1 (ko) 차량용 밸브
CN106246953B (zh) 用于车辆的阀
KR101703606B1 (ko) 차량용 열교환기
KR101987149B1 (ko) 차량용 밸브장치
JP6537941B2 (ja) 車両用オイルクーラー
JP5199257B2 (ja) 流体の流れを調整することによって流体に対する伝熱を調整するシステム及び方法
US20170220056A1 (en) Two-stage valve
US11193605B1 (en) Hot water recirculation valve
JP2008101773A (ja) スライド式の絞りチャンバを備えるバルブ・ユニット、およびこの種のバルブを有する回路
RU2301369C1 (ru) Терморегулирующая насадка для клапанов отопительных или охладительных агрегатов
US7451782B2 (en) Flow path control valve
KR101550599B1 (ko) 밸브
EP3267278B1 (en) Pressure balanced thermal actuator
KR101610177B1 (ko) 차량용 오일 쿨러
JP2008196774A (ja) 圧力制御弁
US9442493B2 (en) System for regulating pressure differentials on a fluid
KR102654462B1 (ko) 차량용 밸브 장치
KR101720174B1 (ko) 동결방지와 열수 배출 기능을 갖는 안전밸브장치
US2747800A (en) Heating and cooling system and control valve therefor
CN108730250B (zh) 液压系统的混合阀装置以及油冷却系统和压缩机系统
CN112413169A (zh) 温控阀及温控装置
US10678275B2 (en) Connection device for fluid circuits
JPS6260586B2 (ko)
PL205214B1 (pl) Nasadka termostatyczn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7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