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50401B1 - 단말 식별이 가능한 인터넷 주소 제공 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단말 식별이 가능한 인터넷 주소 제공 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50401B1
KR101550401B1 KR1020140036120A KR20140036120A KR101550401B1 KR 101550401 B1 KR101550401 B1 KR 101550401B1 KR 1020140036120 A KR1020140036120 A KR 1020140036120A KR 20140036120 A KR20140036120 A KR 20140036120A KR 101550401 B1 KR101550401 B1 KR 1015504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dress
domain name
internet address
internet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361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형배
이용환
이윤석
전선민
한영택
Original Assignee
플러스기술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플러스기술주식회사 filed Critical 플러스기술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361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5040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504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504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5Retrieval from the web
    • G06F16/958Organisation or management of web site content, e.g. publishing, maintaining pages or automatic linking
    • G06F16/972Access to data in other repository systems, e.g. legacy data or dynamic Web page gener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Abstract

단말 식별이 가능한 주소제공장치 및 그 방법에 개시된다. 주소제공장치는 도메인 이름을 포함하는 쿼리를 수신하면, 쿼리의 발신주소를 파악하고, 발신주소로부터 이전과 동일한 도메인 이름을 포함하는 쿼리를 수신하는 경우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도메인 이름과 각 도메인 이름별 적어도 둘 이상의 인터넷주소를 포함하는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이전과 다른 인터넷주소를 검색하여 발신주소를 목적지로 하여 전송한다.

Description

단말 식별이 가능한 인터넷 주소 제공 장치 및 그 방법{Apparatus of providing internet address capable of terminal identification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단말 식별이 가능하도록 도메인 이름에 대한 인터넷 주소를 제공하는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인터넷에서 각 단말은 고유의 IP(Internet Protocol) 주소를 할당받고, 그 IP 주소를 이용하여 서로 간에 통신을 수행한다. 그러나 인터넷 공유기를 이용하여 하나의 공인 IP 주소를 여러 단말이 공유하여 사용하는 경우 IP 주소를 이용한 각 단말의 식별은 불가능하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종래 방법으로, 사설 네트워크 내의 각 단말의 사설 IP를 획득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각 단말에 심거나, 각 단말을 구분하기 위한 고유정보를 쿠키나 플래쉬 쉐어드 오브젝트 등을 이용하여 단말에 심는 방법이 있다.
그러나 사설 IP를 획득하기 위해서는 단말에 별도의 프로그램이 설치되어야 하는 번거로움과 각 사용자가 이를 설치하지 아니한 경우에는 단말 식별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으며, 쿠키 등은 별도의 프로그램을 요구하지는 않으나 사용자에 의해 손쉽게 삭제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특허등록번호 제1002421호 특허공개번호 제2009-0041752호 특허공개번호 제2007-0006478호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단말의 인터넷 주소와 더불어 서버의 인터넷 주소를 이용하여 단말을 식별할 수 있도록 단말마다 서버의 인터넷 주소를 서로 상이하게 제공하는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주소 제공 장치의 일 예는, 도메인 이름을 포함하는 쿼리를 수신하는 쿼리 수신부; 상기 쿼리의 발신주소를 파악하는 발신주소 파악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도메인 이름과, 각 도메인 이름별 적어도 둘 이상의 인터넷주소를 포함하는 인터넷주소 풀; 상기 쿼리에 포함된 도메인 이름에 해당하는 인터넷 주소를 상기 인터넷주소 풀에서 검색하되, 동일한 발신주소로부터 적어도 두 번 이상 동일한 도메인 이름을 포함하는 쿼리를 수신하는 경우에 상기 발신주소로 이전에 전송했던 인터넷 주소와 다른 새로운 인터넷주소를 검색하는 인터넷주소 검색부; 및 상기 인터넷주소 검색부에서 검색된 인터넷 주소를 상기 발신주소로 전송하는 인터넷주소 전송부;를 포함한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단말 식별이 가능한 주소 제공 방법의 일 예는, 도메인 이름을 포함하는 쿼리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쿼리의 발신주소를 파악하는 단계; 상기 발신주소로부터 이전과 동일한 도메인 이름을 포함하는 쿼리를 수신하는 경우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도메인 이름과 각 도메인 이름별 적어도 둘 이상의 인터넷주소를 포함하는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이전과 다른 인터넷주소를 검색하는 단계; 및 상기 검색된 인터넷 주소를 상기 발신주소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단말 식별이 가능한 주소 제공 방법의 다른 일 예는, 공인 인터넷 주소를 공유하는 단말에서의 주소 제공 방법에 있어서, 상기 단말은 접속하고자 하는 서버의 도메인 이름에 대한 서버 인터넷 주소의 요청을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서버의 도메인 이름과 맵핑된 복수 개의 서버 인터넷 주소 중 상기 공인 인터넷 주소를 공유하는 다른 단말과 중복되지 아니한 서버 인터넷 주소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단말 식별을 위한 별도의 프로그램을 단말에 설치할 필요가 없으며, 사용자가 임의로 쿠키를 삭제하는 경우에도 정확한 단말 식별이 가능하다. 또한 사용자가 임의로 삭제한 쿠키를 다시 복원할 수 있어 실질적으로 지워지지 않는 지속가능한 쿠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제1 인터넷 접속 브라우저를 통해 인터넷 쇼핑몰 등에 접속하여 조회 또는 구매한 히스토리를 사용자가 제2 인터넷 접속 브라우저를 통해 접속하여도 동일하게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단말 식별이 가능한 인터넷 주소 제공을 위한 전체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주소 제공 장치의 상세 구성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키 관리 서버의 일 실시예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인터넷 단말의 일 예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단말 식별이 가능한 주소 제공 방법의 일 실시예의 흐름을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단말 식별이 가능한 주소 제공 방법을 사설 네트워크 내의 단말 식별에 적용한 일 예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단말 식별이 가능한 주소 제공을 위한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도메인 이름 풀과 인터넷 주소 풀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에 따라 단말에 부여되는 도메인 이름과 서버 인터넷 주소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 그리고,
도 10은 도 6에 도시된 각 단말을 구분하기 위한 단말키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단말 식별이 가능한 인터넷 주소 제공 장치 및 그 방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단말 식별이 가능한 인터넷 주소 제공을 위한 전체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전체 시스템은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인터넷에 접속가능한 단말(102)과, 단말(102)을 식별할 수 있는 인터넷 주소를 부여하는 주소제공장치(110), 단말이 접속하고자 하는 인터넷서버(120), 주소제공장치(110)를 통해 부여된 인터넷 주소를 이용하여 각 단말을 구분하는 단말키를 생성하고 저장하는 키관리서버(130)를 포함한다.
도 1의 경우, 단말(102)은 사설 IP 주소를 이용하는 사설 네트워크 내에 존재하는 경우로 도시하였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단말(102)은 공인 IP 주소를 이용하는 일반적인 단말 또는 사물 인터넷에서의 각 객체 등 인터넷에 접속가능한 모든 단말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단말(102)은 스마트폰, 인터넷 접속 가능한 IPTV, 인터넷 접속 가능한 홈 네트워크의 냉장고 등 다양한 종류를 포함한다.
인터넷서버(120)는 단말이 접속하는 모든 종류의 서버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인터넷서버(120)는 구글 등과 같은 포털 사이트나 관공서 사이트, 온라인 쇼핑몰 사이트 등을 제공하는 서버일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서, 인터넷서버(120)는 사물 인터넷에서 필요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일 수도 있다.
주소제공장치(110)는 단말(102)이 도메인 이름을 이용하여 인터넷 서버에 접속하고자 하는 경우 도메인 이름에 대한 인터넷 주소(예를 들어, IPv4, IPv6의 IP 주소 등)를 제공하는 장치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주소제공장치(110)는 동일한 공인 인터넷 주소를 공유하는 단말들을 식별할 수 있도록 단말들에게 서로 다른 서버 인터넷 주소를 제공한다. 주소제공장치(110)의 상세 구성은 도 2에 도시되어 있다.
여기서, 도메인 이름이란 www.abc.co.kr과 같이 호스트 이름(www)을 포함하는 이름 또는 호스트 이름(www)을 포함하지 아니한 이름(예를 들어, abc.co.kr)을 모두 포함하는 개념으로 정의한다. 다시 말해, 실시 예에 따라 본 발명에서 도메인 이름은 호스트 이름(www)을 포함하거나 포함하지 아니할 수 있다.
키관리서버(130)는 주소제공장치(110)가 각 단말에 제공하는 서버 인터넷 주소를 이용하여 각 단말을 구별하는 단말키를 생성하고 저장한다. 키관리서버(130)는 단말을 구분하여 제공하는 각종 서비스, 예를 들면 온라인 쇼핑몰에서의 사용자별 맞춤 정보 제공, 클릭 당 광고비용 산출을 위한 단말 구분, 공인 IP 주소를 공유하는 복수의 단말 대수 파악 등을 수행하는 인터넷 서버에 단말 구분을 위한 단말키를 제공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키관리서버(130)와 인터넷서버(120)를 각각 별개로 도시하였으나, 키관리서버(130)와 인터넷서버(120)를 하나의 서버로 구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다만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이하에서는 키 관리 서버를 별도로 표시하여 설명한다. 키관리서버(130)의 구체적인 구성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주소제공장치의 상세 구성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주소제공장치(110)는 쿼리 수신부(200), 발신주소 파악부(210), 도메인이름 파악부(220), 인터넷주소 검색부(230), 유효기간 설정부(240), 인터넷주소 전송부(250), 도메인 이름 풀(225)과 인터넷 주소 풀(235)을 포함하는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한다.
쿼리 수신부(200)는 단말로부터 도메인 이름에 대한 인터넷 주소를 문의하는 쿼리를 수신한다. 예를 들어, 쿼리 수신부(200)는 단말로부터 d1.das.co.kr과 같은 도메인 이름을 포함하는 쿼리를 수신한다.
발신주소 파악부(210)는 인터넷 주소를 문의하는 쿼리의 발신주소를 파악한다. 일반적으로 도메인 이름에 대한 인터넷 주소를 문의하는 단말의 실제 주소와 쿼리의 발신 주소는 일치하나, 공인 IP 주소를 공유하는 사설 네트워크 내의 단말의 경우, 단말의 실제 주소는 사설 IP 주소이나 쿼리의 발신 주소는 공인 IP 주소로서 서로 상이하다. 예를 들어, 사설 네트워크가 공유하는 공인 IP 주소가 1.2.3.4인 경우, 발신주소 파악부(210)는 쿼리의 발신주소로 1.2.3.4 만을 파악할 수 있을 뿐 사설 네트워크 내 단말의 사설 IP 주소를 파악할 수 없다. 그러므로 사설 네트워크의 외부에서는 사설 네트워크의 존재 자체도 파악이 되지 아니할 뿐만 아니라 사설 네트워크 내의 복수 단말을 전혀 식별할 수 없다.
이하의 실시 예에서는 특별한 혼동이 없는 한 발신주소를 의미하는 용어로 단말 인터넷 주소를 혼용하여 사용한다.
도메인 이름 풀(225)과 인터넷 주소 풀(235)은 논리적 또는 물리적으로 구분된 복수 개의 데이터베이스로 구현되거나 하나의 데이터베이스로 구현될 수 있다.
도메인 이름 풀(225)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도메인 이름을 포함한다. 도메인 이름이 하나만 존재하는 경우 도메인 이름 파악부(220)와 도메인 이름 풀(225)은 생략될 수 있다. 도메인 이름이 복수 개 존재하는 경우 도메인 이름 풀(225)은 동일한 인터넷 서버로의 접속이 가능한 도메인 이름들을 그룹으로 묶어 관리한다. 예를 들어, 서버 A에 부여된 복수 개의 도메인 이름(예를 들어, d1.das.co.kr, d2.das.co.kr, d3.das.co.kr 등)을 하나의 그룹으로 묶고, 서버 B에 접속 가능한 복수 개의 도메인 이름(예를 들어, d1.pls.co.kr, d2.pls.co.kr, d3.pls.co.kr 등)을 또 다른 그룹으로 묶는다.
인터넷 주소 풀(235)은 도메인 이름과 맵핑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인터넷 주소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인터넷 주소 풀(235)은 도메인 이름 d1.das.co.kr과 맵핑된 복수 개의 인터넷 주소 1.1.1.1, 1.1.1.2, 1.1.1.3 등을 저장한다. 따라서 단말이 도메인 이름 d1.das.co.kr에 해당하는 서버에 접속하고자 하는 경우, 주소제공장치(110)는 d1.das.co.kr과 맵핑된 여러 개의 인터넷 주소 중 어느 하나를 제공하며, 단말은 제공받은 서버의 인터넷 주소를 이용하여 해당 서버에 접속한다.
여기서, 도메인 이름 풀(225)과 인터넷 주소 풀(235)에서 저장 관리하는 도메인 이름과 인터넷 주소 등은 실제 해당 인터넷 서버에 부여된 도메인 이름과 인터넷 주소이다. 일 예로, 주소제공장치(110)의 도메인 이름 풀(225)과 인터넷 주소 풀(235)에 저장된 도메인 이름과 인터넷 주소는 키관리서버(130)에 부여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도메인 이름과, 각 도메인 이름별 맵핑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인터넷 주소일 수 있다. 도메인 이름 풀(225)과 인터넷 주소 풀(235)의 일 예는 도 8에 도시되어 있다.
도메인 이름 파악부(220)는 쿼리 수신부(210)에서 수신한 도메인 이름과 동일 그룹, 즉 동일한 서버에 접속 가능한 다른 도메인 이름을 검색한다. 예를 들어, 단말이 도메인 이름 d1.das.co.kr에 대한 인터넷 주소를 질의한 경우에, 도메인 이름 파악부(220)는 d1.das.co.kr과 동일한 그룹 내에 존재하는 도메인 이름 d2.das.co.kr를 파악한다. 일 예로, 도메인 이름 파악부(220)는 매번 새로운 도메인 이름을 파악하는 것이 아니라, 단말에게 제공한 서버 인터넷 주소의 유효기간이 경과한 경우에만 새로운 도메인 이름을 파악하는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인터넷 주소 검색부(230)는 도메인 이름과 맵핑된 인터넷 주소를 검색한다. 인터넷 주소 검색부(230)는 쿼리 수신부(200)가 수신한 도메인 이름과 맵핑된 인터넷 주소를 검색하거나 도메인 이름 파악부(210)에서 파악한 새로운 도메인 이름과 맵핑된 인터넷 주소를 검색한다. 인터넷 주소 검색부(230)는 발신주소 파악부(210)에서 파악된 발신주소로 동일 도메인 이름에 대한 인터넷 주소를 제공한 적이 있다면, 이미 단말로 제공한 인터넷 주소와 중복되지 아니한 새로운 인터넷 주소를 검색한다. 예를 들어, 단말에게 도메인 이름 d1.das.co.kr에 대한 인터넷 주소 1.1.1.1을 제공하였고, 이 후 다시 동일 단말(즉, 동일한 발신 주소, 사설 네트워크 내 서로 다른 단말)로부터 동일한 도메인 이름 d1.das.co.kr에 대한 인터넷 주소 요청이 있는 경우, 인터넷 주소 검색부는 이미 제공한 인터넷 주소 1.1.1.1이 아닌 다른 인터넷 주소 1.1.1.2를 검색한다. 인터넷 주소 검색부(230)의 인터넷 주소 검색 과정에 대해서는 도 5를 참조하여 상세히 살펴본다.
유효기간 설정부(240)는 도메인 이름에 대한 인터넷 주소를 검색하여 단말에 제공하는 경우 해당 인터넷 주소의 유효기간을 설정한다. 유효기간(일 예로, TTL(Time To Live))은 분/시간/일자 단위 등 다양하게 설정가능하다. 유효기간에 대한 정보와 함께 인터넷 주소를 제공받은 단말은 유효기간 내 동일 도메인 이름에 대한 인터넷 주소를 다시 문의하지 않고 이미 제공받은 인터넷 주소를 그대로 이용한다.
인터넷주소 전송부(250)는 인터넷주소 검색부(230)에서 검색된 인터넷 주소를 발신주소 파악부(210)에서 파악한 발신주소를 목적지로 하여 전송한다. 또한 인터넷주소 전송부(250)는 실시 예에 따라 단말의 인터넷 주소, 단말이 요청한 도메인 이름 또는 도메인 이름 파악부(220)에서 파악한 도메인 이름, 도메인 이름에 대한 서버의 인터넷 주소 등의 정보를 키관리서버(130)에 제공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키관리서버의 일 실시예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키관리서버(130)는 키 파악부(300), 주소 파악부(310), 키 생성부(320), 키 전송부(330), 키 보정부(340) 및 단말정보관리부(350)를 포함한다.
키 파악부(300)는 단말의 인터넷 접속 트래픽을 분석하여 단말 식별을 위한 단말키를 파악한다. 도 4에서 살펴보겠지만, 단말은 단말의 인터넷 주소(사설 네트워크 내의 단말인 경우에는 공인 IP 주소)와 주소제공장치(110)로부터 제공받은 서버의 인터넷 주소를 조합하여 구성된 단말키를 쿠키에 저장할 수 있다. 이 경우 키 파악부(300)는 단말의 쿠키에 저장된 단말키를 파악한다. 그러나 단말에서의 쿠키는 사용자에 의해 임의로 삭제가능한 문제점이 있으므로, 삭제시 이를 복구할 수 있는 방법이 필요하다.
주소 파악부(310)는 단말의 인터넷 주소와 단말이 접속하고자 하는 서버의 인터넷 주소를 파악한다. 주소 파악부(310)는 단말에게 인터넷 주소를 문의하여 수신할 수 있으며, 단말이 사설 네트워크 내의 단말인 경우 주소 파악부(310)는 단말로부터 단말의 사설 IP 주소가 아닌 공인 IP 주소를 수신한다.
키 생성부(320)는 키 파악부(300)에서 파악한 단말키를 저장하거나, 주소 파악부(310)에서 파악된 단말 인터넷 주소와 서버 인터넷 주소를 조합하여 단말키를 생성하고 저장한다. 또 다른 예로서, 주소제공장치(110)가 단말에게 서버의 인터넷 주소를 제공할 때 관련 정보를 키관리서버(130)에게 전송하는 경우, 키 생성부(320)는 주소제공장치(110)로부터 수신한 단말 인터넷 주소와 서버 인터넷 주소를 이용하여 미리 단말키를 생성하여 가지고 있을 수도 있다.
키 전송부(330)는 키 파악부(300)에 의해 단말에 단말키가 저장되어 있지 아니한 것으로 판단된 경우(사용자에 의해 임의 삭제되는 경우 포함)에 주소 파악부(310)에 의해 생성한 단말키를 단말에게 전송하여 쿠키에 저장되도록 한다. 따라서 단말의 쿠키에 저장된 단말키가 사용자 등에 의해 임의로 삭제되어도 단말에 다시 동일한 단말키가 저장되므로 실질적으로 지워지지 않는 지속가능한 쿠키를 만들 수 있다.
키 보정부(340)는 실제는 동일 단말이나 앞서 살핀 주소제공장치(110)에 의해 단말에 제공되는 서버의 인터넷 주소가 여러 가지 원인에 의해 달라지는 경우 이를 보정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단말에 제공한 서버의 인터넷 주소의 유효기간이 경과한 경우에, 단말은 주소제공장치(110)로부터 다시 서버의 인터넷 주소를 제공받으며, 이 경우 이전과 다른 서버 인터넷 주소를 제공받을 수 있다. 따라서 키 보정부(340)는 단말에 저장된 단말키, 예를 들어 단말의 쿠키에 저장된 단말키와 주소 파악부(310)에 의해 생성한 단말키가 서로 동일한지 파악한 후, 상이한 경우 두 개의 단말키 사이의 맵핑 관계를 설정한다.
예를 들어, 단말(단말의 공인 인터넷 주소가 1.2.3.4라고 가정)이 d1.das.co.kr에 대해 서버 인터넷 주소 1.1.1.1을 제공받은 경우, 단말에는 쿠키에 단말 인터넷 주소 + 서버 인터넷 주소, 즉 1.2.3.4 + 1.1.1.1의 단말키가 저장된다. 서버 인터넷 주소의 유효기간이 경과하여 단말이 주소제공장치(110)로부터 서버 인터넷 주소 1.1.1.2를 다시 제공받은 경우에 단말 인터넷 주소 + 서버 인터넷 주소는 1.2.3.4 + 1.1.1.2로써 쿠키에 저장된 단말키와 서로 상이하다. 이 경우 키 보정부(340)는 쿠키에 저장된 단말키 1.2.3.4 + 1.1.1.1과 키 생성부에서 생성한 단말키 1.2.3.4 + 1.1.1.2를 서로 맵핑하여 동일한 단말로 관리한다.
키 전송부(330)는 변경된 서버의 인터넷 주소에 따라 변경된 새로운 단말키를 단말로 전송하여 쿠키에 저장되도록 할 수 있으나, 반드시 필요한 과정은 아니다.
단말정보 관리부(350)는 단말키를 기준으로 단말에 대한 각종 정보(쿠키 정보 등)를 저장하고 관리한다. 예를 들어, 단말정보 관리부는 사용자가 온라인 쇼핑몰 등에 접속하여 조회한 상품이나 구매 이력에 관한 정보를 단말키를 기준으로 저장하거나 단말의 쿠키에 저장되는 정보 전체를 저장하고 관리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가 동일 인터넷 서버에 서로 다른 인터넷접속 브라우저를 이용하여 접속하더라도 동일한 쿠키 정보를 적용하여 동일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인터넷 단말의 일 예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인터넷 단말(102)은 쿼리 처리부(400) 및 단말키 저장부(410)를 포함한다.
쿼리 처리부(400)는 사용자가 접속하고자 하는 서버의 도메인 이름을 입력하는 경우, 해당 도메인 이름에 대한 인터넷 주소를 주소제공장치(110)에 요청한다.
단말키 저장부(410)는 주소제공장치(110)로부터 수신한 서버의 인터넷 주소를 수신하면, 단말의 인터넷 주소(공인 IP 주소)와 서버의 인터넷 주소를 조합하여 생성한 단말키를 저장한다. 단말키 저장부(410)는 단말키를 인터넷접속브라우저가 접근 가능한 저장공간인 쿠키에 저장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 예로, 단말키 저장부(410)는 별도의 저장소에 단말키를 저장한 후 키관리 서버(130) 등의 외부 서버로부터 단말키 정보의 요청이 있으면 별도의 저장소에 저장된 단말키를 제공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단말 식별이 가능한 주소 제공 방법의 일 실시예의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단말(102)로부터 단말이 접속하고자 하는 서버의 도메인 이름에 대한 인터넷 주소 질의를 수신하면(S500), 주소제공장치(110)는 인터넷 주소를 질의한 단말(102)의 인터넷 주소를 파악한다(S505). 단말(102)의 인터넷 주소는 하나의 공인 IP 주소를 공유하는 사설 네트워크 내의 단말인 경우 사설 IP 주소가 아닌 공인 IP 주소이다.
주소제공장치(110)는 동일한 단말 인터넷 주소에 제공한 서버 인터넷 주소의 유효기간(즉, TTL)이 경과하였는지를 파악한다(S510). 예를 들어, TTL이 1시간으로 설정되어 있고, 공인 IP를 공유하는 복수의 단말에게 70분 전, 40분 전, 30분 전에 동일 도메인 이름에 대한 인터넷 주소를 제공하였다면, 현 시점의 인터넷 주소 질의는 단말에게 인터넷 주소를 제공한 시점으로부터 70분이 경과되어 TTL을 경과한다.
서버 인터넷 주소의 유효기간이 경과한 경우, 주소제공장치(110)는 동일 서버에 접속 가능한 도메인 이름들로 구성된 그룹 내 다른 도메인 이름을 파악한다(S520). 예를 들어, 서버 A에 대한 도메인 이름 d1.das.co.kr에 대한 서버 인터넷 주소의 유효기간이 경과한 경우, 주소제공장치(110)는 서버 A에 대한 다른 도메인 이름 d2.das.co.kr를 파악한다. 서버 인터넷 주소의 유효기간이 경과한 경우, 주소제공장치(110)는 도메인 이름 자체를 변경하여 다시 처음부터 인터넷 주소를 각 단말에게 할당함으로써 일정 기간(예를 들어, 인터넷 주소의 유효기간)마다 각 단말에 부여되는 단말키를 리셋할 수 있어 단말 대수를 파악하거나 동일 단말을 파악하는 데 있어 보다 정확성을 높이고 그 과정을 단순화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도메인 이름 변경 과정은 필수적인 과정은 아니며 실시 예에 따라 생략될 수 있음을 물론이다.
주소제공장치(110)는 단말로부터 수신한 도메인 이름 또는 변경된 도메인 이름과 맵핑된 서버 인터넷 주소를 검색한다(S515, S525). 이때 주소제공장치(110)는 단말의 인터넷 주소에 이미 제공한 인터넷 주소가 아닌 다른 인터넷 주소를 검색한다.
주소제공장치(110)는 검색된 서버 인터넷 주소의 유효기간을 설정한 후(S530) 서버 인터넷 주소를 단말로 전송한다(S535). 단말(102)은 단말 인터넷 주소와 서버 인터넷 주소를 조합하여 생성한 단말키를 쿠키 등의 로컬 저장장소에 저장한다(S550). 단말이 주소제공장치(110)로부터 인터넷 주소를 수신할 때마다 바로 로컬에 저장된 단말키를 갱신하는 경우, 단말(102)에 부여된 이전 단말키와 현 단말키 사이의 맵핑 관계를 파악하기가 어려우므로, 단말이 인터넷 서버에 접속하는 과정에서 키관리서버(130)에 의해 단말(102)에 단말키가 저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주소제공장치(110)는 단말 인터넷 주소, 서버 인터넷 주소 등을 키관리서버(130)에 제공할 수 있다(S540).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단말 식별이 가능한 주소 제공 방법을 사설 네트워크 내의 단말 식별에 적용한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사설 IP 주소를 이용하는 사설 네트워크(100)는 단말1(600), 단말2(602), 단말3(604), IP 공유기(606)를 포함한다. 인터넷 서버(120)에는 복수 개의 인터넷 주소(서버IP1, 서버IP2, 서버IP3)가 부여되어 있다.
단말1(600)이 인터넷 서버에 접속하기 위하여 인터넷 서버(120)의 도메인 이름(예를 들어, d1.das.co.kr)에 대한 인터넷 주소를 주소제공장치(110)에 요청하면, 주소제공장치(110)는 유효기간(TTL)을 설정한 후 서버 IP1을 단말1(600)에게 제공한다. 단말1(600)에는 공인 IP와 서버 IP1을 조합한 단말키가 쿠키에 저장된다.
이후 단말2(602)가 동일한 인터넷 서버(d1.das.co.kr)에 접속하기 위하여 인터넷 주소를 주소제공장치(110)에 요청하면, 주소제공장치(110)는 인터넷 주소를 요청한 단말2의 인터넷 주소가 이전에 인터넷 주소를 요청한 단말1의 인터넷 주소와 동일함을 파악한다. 단말의 인터넷 주소가 동일하므로, 주소제공장치(110)는 이전 단말1(600)에 제공하였던 서버 IP1이 아닌 다른 서버 인터넷 주소, 즉 서버 IP2를 단말2(602)에게 제공한다.
다시 단말3(604)이 단말1,2가 요청했던 도메인 이름과 동일한 도메인 이름에 대한 서버 인터넷 주소를 요청하면, 주소제공장치(110)는 서버 IP3을 단말3(604)에게 제공한다.
이 경우, 단말1(600), 단말2(602), 단말3(604)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다른 단말키를 가지며, 인터넷 서버 등을 비롯한 각종 서버는 사설 네트워크 내의 단말들을 단말키를 이용하여 식별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단말 식별이 가능한 주소 제공을 위한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단말(700)이 도메인 이름에 대한 쿼리를 전송하면 주소제공장치(710)는 단말 식별이 가능한 서버 인터넷 주소를 단말(700)에게 전송한다. 단말이 주소제공장치(710)로부터 수신한 서버 인터넷 주소를 이용하여 인터넷 서버(730)에 접속하고자 하는 경우, 키관리서버(720)는 단말의 인터넷 접속 트래픽을 미러링하여 단말이 원래 접속하고자 하는 인터넷 서버(730)로 재접속을 요청하는 100% 프레임과 키관리서버(720)로 재접속을 요청하는 0% 프레임으로 응답한다. 단말(700)이 0% 프레임을 통해 키관리서버(720)로 재접속하면, 키관리서버(720)는 단말키를 파악하는 과정 등을 수행하며 특히 단말에 단말키가 저장되어 있지 아니한 경우 단말에 단말키를 저장한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도메인 이름 풀과 인터넷 주소 풀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도메인 이름 풀(225)은 동일 서버에 부여된 다수의 도메인 이름들을 포함한다. 다시 말해 도메인 이름 풀(225)은 하나의 서버에 부여된 다수의 도메인 이름 d1.das.co.kr, d2.das.co.kr, dn.das.co.kr을 포함한다. 또한 인터넷 주소 풀(225)은 각각의 도메인 이름에 대해 복수 개의 인터넷 주소를 포함한다. 실시 예에 따라 각 도메인 이름에 대해 하나의 인터넷 주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라 단말에 부여되는 도메인 이름과 서버 인터넷 주소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공인 인터넷 주소를 공유하는 단말들은 주소제공장치(110)로부터 도메인 이름 d1.das.co.kr에 대한 서버 인터넷 주소를 순차적으로 제공받는다. 다시 말해, 주소제공장치(110)는 동일한 단말 인터넷 주소로부터 순차적으로 수신한 인터넷 주소 요청에 대해 서버 인터넷 주소를 1씩 증가하여 순차적으로 제공한다.
서버 인터넷 주소의 유효기간이 경과한 경우, 주소제공장치(110)는 동일 서버에 접속 가능한 다른 도메인 이름, 즉 d2.das.co.kr의 인터넷 주소를 다시 순차적으로 단말에게 제공한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주소 제공 장치는 dn.das.co.kr의 인터넷 주소를 단말에게 제공하며, 다시 서버 인터넷 주소의 유효기간이 경과하면 d1.das.co.kr의 인터넷 주소를 제공한다.
도 10은 도 6에 도시된 각 단말을 구분하기 위한 단말키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사설 네트워크 내의 각 단말의 인터넷 주소는 모두 공인 IP 주소(1.2.3.4)로서 동일하나, 각각 서로 다른 서버 인터넷 주소를 부여받는다. 따라서 단말 인터넷 주소와 서버 인터넷 주소의 조합을 통해 사설 네트워크 내 각 단말을 식별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4)

  1. 도메인 이름을 포함하는 쿼리를 수신하는 쿼리 수신부;
    상기 쿼리의 발신주소를 파악하는 발신주소 파악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도메인 이름과, 각 도메인 이름별 적어도 둘 이상의 인터넷주소를 포함하는 인터넷주소 풀;
    상기 쿼리에 포함된 도메인 이름에 해당하는 인터넷 주소를 상기 인터넷주소 풀에서 검색하되, 동일한 발신주소로부터 적어도 두 번 이상 동일한 도메인 이름을 포함하는 쿼리를 수신하는 경우에 상기 발신주소로 이전에 전송했던 인터넷 주소와 다른 새로운 인터넷주소를 검색하는 인터넷주소 검색부; 및
    상기 인터넷주소 검색부에서 검색된 인터넷 주소를 상기 발신주소로 전송하는 인터넷주소 전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소 제공 서버.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새로운 인터넷 주소는 이전에 전송했던 인터넷 주소를 순차적으로 증가시킨 주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소 제공 서버.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발신주소로 전송한 인터넷 주소의 유효기간을 설정하는 유효기간 설정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인터넷주소 검색부는, 상기 발신주소로부터 상기 유효기간 내에 이전과 동일한 도메인 이름을 포함하는 쿼리를 수신하는 경우에, 이전에 전송했던 인터넷 주소와 다른 새로운 인터넷주소를 검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소 제공 서버.
  4. 제 1항에 있어서,
    적어도 둘 이상의 도메인 이름으로 구성된 그룹을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는 도메인이름 풀; 및
    상기 발신주소로부터 유효기간 경과 후에 이전과 동일한 도메인 이름을 포함하는 쿼리를 수신하는 경우에, 상기 쿼리에 포함된 도메인 이름이 속한 그룹 내의 다른 도메인 이름을 상기 도메인이름 풀에서 파악하는 도메인이름 파악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인터넷주소 검색부는, 상기 도메인이름 파악부에서 파악된 도메인 이름에 해당하는 인터넷 주소를 상기 인터넷주소 풀에서 검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소 제공 서버.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발신주소 및 상기 인터넷 주소 검색부에서 검색한 인터넷 주소를 포함하는 정보를 키 관리 서버에게 전송하는 키전송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소 제공 서버.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발신주소는 공인 인터넷 주소이고,
    상기 쿼리 수신부는 상기 공인 인터넷 주소를 공유하는 적어도 둘 이상의 단말로부터 동일한 도메인 이름을 포함하는 쿼리를 수신하고,
    상기 인터넷주소 검색부는 상기 인터넷주소 풀에서 서로 다른 인터넷 주소를 검색하고,
    상기 인터넷주소 전송부는 상기 인터넷주소 검색부에서 검색된 서로 다른 인터넷 주소를 상기 적어도 둘 이상의 단말에 각각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소 제공 서버.
  7. 도메인 이름을 포함하는 쿼리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쿼리의 발신주소를 파악하는 단계;
    상기 발신주소로부터 이전과 동일한 도메인 이름을 포함하는 쿼리를 수신하는 경우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도메인 이름과 각 도메인 이름별 적어도 둘 이상의 인터넷주소를 포함하는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이전과 다른 인터넷주소를 검색하는 단계; 및
    상기 검색된 인터넷 주소를 상기 발신주소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식별이 가능한 주소 제공 방법.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넷주소를 검색하는 단계는,
    기 설정된 검색결과의 유효기간 내에 상기 발신주소로부터 이전과 동일한 도메인 이름을 포함하는 쿼리를 수신하는 경우에, 이전과 다른 인터넷주소를 검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식별이 가능한 주소 제공 방법.
  9. 제 7항에 있어서,
    기 설정된 검색결과의 유효기간을 경과한 후에 상기 발신주소로부터 이전과 동일한 도메인 이름을 포함하는 쿼리를 수신하는 경우에, 적어도 둘 이상의 도메인 이름으로 구성된 그룹을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는 도메인이름 풀을 이용하여 상기 쿼리에 포함된 도메인 이름이 속한 그룹 내의 다른 도메인 이름을 파악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인터넷주소를 검색하는 단계는, 상기 파악된 다른 도메인 이름에 해당하는 인터넷 주소를 검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식별이 가능한 주소 제공 방법.
  10.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발신주소와 상기 검색된 인터넷 주소를 포함하는 정보를 키 관리 서버에게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식별이 가능한 주소 제공 방법.
  11. 공인 인터넷 주소를 공유하는 단말에서의 주소 제공 방법에 있어서,
    상기 단말은 접속하고자 하는 서버의 도메인 이름에 대한 서버 인터넷 주소의 요청을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서버의 도메인 이름과 맵핑된 복수 개의 서버 인터넷 주소 중 상기 공인 인터넷 주소를 공유하는 다른 단말과 중복되지 아니한 서버 인터넷 주소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주소 제공 방법.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요청을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서버의 도메인 이름에 대한 서버 인터넷 주소의 유효기간이 경과한 경우에 상기 서버 인터넷 주소의 요청을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소 제공 방법.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유효기간의 경과 후에 상기 서버 인터넷 주소를 요청하는 경우에, 상기 서버의 도메인 이름이 속한 그룹 내의 다른 서버의 도메인 이름과 맵핑된 서버 인터넷 주소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소 제공 방법.
  14. 제 7항 내지 제 13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KR1020140036120A 2014-03-27 2014-03-27 단말 식별이 가능한 인터넷 주소 제공 장치 및 그 방법 KR1015504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6120A KR101550401B1 (ko) 2014-03-27 2014-03-27 단말 식별이 가능한 인터넷 주소 제공 장치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6120A KR101550401B1 (ko) 2014-03-27 2014-03-27 단말 식별이 가능한 인터넷 주소 제공 장치 및 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50401B1 true KR101550401B1 (ko) 2015-09-08

Family

ID=542473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36120A KR101550401B1 (ko) 2014-03-27 2014-03-27 단말 식별이 가능한 인터넷 주소 제공 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5040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901451A (zh) * 2020-07-17 2020-11-06 中盈优创资讯科技有限公司 一种梳理专线用户域和地址池引用关系的方法及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5238B1 (ko) 2006-08-24 2007-10-0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단말의 dns 정보 획득방법 및 이를 위한이동통신단말기
JP2010166248A (ja) 2009-01-14 2010-07-29 Fuji Electric Retail Systems Co Ltd 通信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5238B1 (ko) 2006-08-24 2007-10-0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단말의 dns 정보 획득방법 및 이를 위한이동통신단말기
JP2010166248A (ja) 2009-01-14 2010-07-29 Fuji Electric Retail Systems Co Ltd 通信システム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901451A (zh) * 2020-07-17 2020-11-06 中盈优创资讯科技有限公司 一种梳理专线用户域和地址池引用关系的方法及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323350B1 (en) Method, computer program product and electronic device for hyper-local geo-targeting
US10587646B2 (en) Analyzing DNS requests for anomaly detection
CN106068639B (zh) 通过dns处理的透明代理认证
US10057208B2 (en) Visibility control for domain name system service discovery
JP4207065B2 (ja) 資産管理システム、資産管理方法、情報処理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CN104283723B (zh) 网络访问日志处理方法及装置
US20170011113A1 (en) System and Method for Identifying Users on a Network
CN107786678B (zh) 域名解析方法、装置及系统
CN105340243B (zh) 用于检测数字媒体设备存在于网络上的方法、系统和介质
CN102882791A (zh) 一种dns业务处理的方法及装置
WO2014201800A1 (zh) 一种联系人查询方法及装置
KR101550401B1 (ko) 단말 식별이 가능한 인터넷 주소 제공 장치 및 그 방법
JP6264625B2 (ja) 情報機器特定システム、情報機器特定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101591934B1 (ko) 인터넷 주소를 이용한 단말 식별 장치 및 그 방법
US9390136B2 (en) System and method of identifying relevance of electronic content to location or place
CN115794780A (zh) 网络空间资产的采集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JP6523768B2 (ja) 名前解決装置、名前解決方法及び名前解決プログラム
KR101528611B1 (ko) 서버 인터넷 주소를 이용한 공유 단말 검출 방법 및 그 장치
US10291612B2 (en) Bi-directional authentication between a media repository and a hosting provider
JP2014143573A (ja) アドレス解決システム及び方法
KR101005778B1 (ko) 도메인 네임 시스템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정보의 획득방법 및 장치
KR101869253B1 (ko) 통신 시스템에서 ip 어드레스를 이용한 디바이스 컨텍스트 관리 방법 및 장치
US20190075150A1 (en) Hosting provider hosting routes from a media repository
KR101603691B1 (ko) 인터넷 주소 제공 장치 및 그 방법과, 이를 이용한 단말 구분 장치 및 그 방법
CN117692173A (zh) 请求报文的处理方法、系统及相关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08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