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50316B1 - 스티어링 휠의 히팅 회로 - Google Patents

스티어링 휠의 히팅 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50316B1
KR101550316B1 KR1020140186380A KR20140186380A KR101550316B1 KR 101550316 B1 KR101550316 B1 KR 101550316B1 KR 1020140186380 A KR1020140186380 A KR 1020140186380A KR 20140186380 A KR20140186380 A KR 20140186380A KR 101550316 B1 KR101550316 B1 KR 1015503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ood
heating wire
leather
heating
steering whe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863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기용
홍영표
Original Assignee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863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5031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503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503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00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 B62D1/02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vehicle-mounted
    • B62D1/04Hand wheels
    • B62D1/06Rims, e.g. with heating means; Rim covers

Abstract

본 발명에서 스티어링 휠의 전반에 걸쳐 히팅 제어가 가능한 스티어링 휠의 히팅 회로를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회로는, 우드(WOOD)부와 가죽부로 이루어진 스티어링 휠의 발열을 위한 히팅 회로에 있어서, 우드부의 외주면 상으로 요철 형상의 우드부 열선, 가죽부의 외주면 상으로 요철 형상의 가죽부 열선을 포함하며; 상기 우드부의 열선은 우드부 상판 열선과 우드부 하판 열선으로 구성되어 상호 병렬시킨 구조를 갖고; 상기 우드부 열선 및 가죽부 열선은 각 열선의 과열을 방지하기 위한 온도센서가 부가되며, 상기 온도센서에 의해 적정 온도를 유지하도록 제어하는 열선 제어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스티어링 휠의 가죽부 및 우두(WOOD)부에 열선 히터를 장착하고, 부분별 히터를 운용하기 위한 유니트(UNIT)를 각각으로 장착함으로써, 스티어링 휠의 전반에 걸쳐 히팅이 가능한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스티어링 휠의 가죽부 및 우두부로 장착되는 열선에 대한 온도감지용 센서를 각각으로 운용하여, 히팅 시스템의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스티어링 휠의 히팅 회로{HEATING CIRCUIT FOR STEERING WHEEL}
본 발명은 스티어링 휠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스티어링 휠의 우드(WOOD)부의 상판 및 하판에 각각으로 열선을 설치하고, 열감지 센서에 의해 가죽부와 우드(WOOD)부를 균일하게 히팅할 수 있는 스티어링 휠의 히팅 회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 운전에 있어서 겨울철이나 혹한기의 경우에는 차가운 외기온에 의해 차량이 장시간 동안 소킹(Soaking)되고, 스티어링 휠(Steering Wheel)도 차가운 외기온에 의해 차가운 상태로 있게 된다. 이때, 운전자가 최초 운전을 하기 위하여 차가운 스티어링 휠을 잡거나 핸들을 조작할 경우, 스티어링 휠의 차가움 때문에 불쾌감을 가지게 되고, 핸들 조작시에 매우 불편함을 느끼게 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최근 출시되는 차량에는 스티어링 휠의 표면 온도를 제어할 수 있는 스티어링 휠 히팅 시스템(Steering Wheel Heating System)이 설치되어 있다. 이 스티어링 휠 히팅 시스템은 스티어링 휠 표면 내부에 열선을 내장하여 운전자의 의도에 따라 열선을 발열시켜 일정 시간동안 스티어링 휠 표면을 가열하여 운전자의 편의성을 증대시켜 주는 시스템이다.
근래에는, 차량의 전자동온도조절(FATC ; full auto temperature control) 시스템과 연계하여 스티어링 휠의 열선을 자동으로 제어하는 스티어링 휠 히팅 시스템이 개시되고 있으며, 이를 첨부된 특허문헌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종래 스티어링 휠 히팅 시스템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외부 공기 온도를 감지하는 외기온도센서(31)와, 차량의 실내 공기 온도를 감지하는 실내온도센서(32)와, 엔진 냉각수 온도를 감지하는 냉각수온센서(33)와, 전자동온도조절(FATC) 설정온도가 입력되는 온도설정스위치(34)와, 상기 외기온도센서(31)에서 감지된 외부 공기 온도와 상기 실내온도센서(32)에서 감지된 실내 공기 온도와 상기 냉각수온센서(33)에서 감지된 엔진 냉각수 온도와 상기 FATC 설정 온도를 이용하여 스티어링 휠의 열선(11)에 공급되는 전원을 온/오프하는 컨트롤러(35)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스티어링 휠의 열선 온도를 감지하여 컨트롤러(35)에 공급하는 열선온도감지센서(36)와, 운전자에 의해 수동으로 조작되는 열선조작수동스위치(37)를 더 포함한다. 운전자에 의해 열선조작수동스위치(37)가 온되면 타이머(14)가 일정 시간 동안 구동하며, 타이머(14)가 구동되는 동안 컨트롤러(35)가 열선(11)에 전원을 공급하여 스티어링 휠 표면을 가열하는 것은 종래기술과 동일하다.
컨트롤러(35)는 외부 공기 온도가 임계 외부 공기 온도보다 낮으며, 엔진 냉각수 온도가 하위 임계 냉각수 온도보다 낮고 실내 공기 온도가 임계 실내 공기 온도보다 낮으면 엔진의 시동과 동시에 열선(11)에 전원을 공급하여 스티어링 휠을 가열한다. 이후, 실내 공기 온도와 FATC 설정온도의 차이가 임계치 이내로 근접하면 열선(11)에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여 열선을 오프시킨다. 이 후, 실내 공기 온도가 임계 실내 공기 온도보다 낮아지고 냉각수 온도가 하위 임계 냉각수 온도보다 낮아지면 컨트롤러(35)는 열선(11)에 다시 전원을 공급한다.
아울러, 컨트롤러(35)는 열선온도센서(36)에서 감지되는 열선 온도가 상위 임계 열선 온도보다 높으면 열선(11)에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여 열선(11)을 오프시킨다. 이후, 열선 온도가 하위 임계 열선 온도보다 낮아지면 열선(11)에 전원을 공급하여 열선(11)을 온 시킨다. 따라서, 상기 외기온도센서(31)와, 실내온도센서(32)와, 냉각수온센서(33)와, 온도설정스위치(34)는 별도로 장착될 수도 있고, 차량의 전자동온도조절(FATC) 시스템에 장착된 대응되는 구성요소들을 연계하여 활용할 수도 있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이 종래 스티어링 히팅 시스템은 금속 또는 플라스틱 재질로 구성된 스티어링 휠의 하부인 가죽부을 발열시킴에 따라, 권취 빈도가 높은 우드부에는 열전달이 이루어지지 못하여 제품의 완성도가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1-0038291, 공개일자 2011년 04월 14일, 발명의 명칭 "스티어링 휠 히팅 시스템 및 방법"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스티어링 휠의 가죽부 및 우두(WOOD)부에 열선 히터를 장착하고, 부분별 히터를 운용하기 위한 유니트(UNIT)를 각각으로 장착함으로써, 스티어링 휠의 전반에 걸쳐 히팅이 가능한 스티어링 휠의 히팅 회로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스티어링 휠의 가죽부 및 우두부로 장착되는 열선에 대한 온도감지용 센서를 각각으로 운용하여, 히팅 시스템의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는 스티어링 휠의 히팅 회로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관점에 따른 스티어링 휠의 히팅 회로는, 우드(WOOD)부와 가죽부로 이루어진 스티어링 휠의 발열을 위한 히팅 회로에 있어서, 우드부의 외주면 상으로 요철 형상의 우드부 열선, 가죽부의 외주면 상으로 요철 형상의 가죽부 열선을 포함하며; 상기 우드부의 열선은 우드부 상판 열선과 우드부 하판 열선으로 구성되어 상호 병렬시킨 구조를 갖고; 상기 우드부 열선 및 가죽부 열선은 각 열선의 과열을 방지하기 위한 온도센서가 부가되며, 상기 온도센서에 의해 적정 온도를 유지하도록 제어하는 열선 제어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온도센서는, NTC(Negative Temperature Coefficient) 소자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우드부 열선은, 우드부 상판 및 하판으로 교번되게 설치하도록 설계함으로써, 어느 한 측의 열선이 훼손되더라도 상기 우드부의 발열 기능을 유지하며, 상기 우드부 열선은 요철 구조를 갖고 우드부 상판 및 하판에 각각으로 설치되며, 각 우드부 열선의 요철 부분을 상호 교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열선 제어부는, 모듈화된 구조로서, 상기 우드부 열선에 근접 설치된 온도센서의 검출값에 기초하여 규정화된 온도를 유지하도록 우드부 열선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우드부 열선제어부; 상기 가죽부 열선에 근접 설치된 온도센서의 검출값에 기초하여 규정화된 온도를 유지하도록 가죽부 열선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가죽부 열선제어부; 상기 우드부 열선 제어신호 및 가죽부 열선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우드부 열선 및 가죽부 열선으로 정격 전원을 공급하는 스위칭부; 및 차량의 이그니션(Ignition) 키 신호에 따라 인가된 차량 전원을 시스템 운용을 위한 정격 전원으로 변환 공급하는 레귤레이터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스위칭부는, 각 열선으로 공급되는 전력을 스위칭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고전력 트랜지스터 등의 무접점 스위치가 사용되며; 상기 무접점 스위치는 FET, BJT, MOSFET 소자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스티어링 휠의 히팅 회로는 스티어링 휠의 가죽부 및 우두(WOOD)부에 열선 히터를 장착하고, 부분별 히터를 운용하기 위한 유니트(UNIT)를 각각으로 장착함으로써, 스티어링 휠의 전반에 걸쳐 히팅이 가능한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스티어링 휠의 가죽부 및 우두부로 장착되는 열선에 대한 온도감지용 센서를 각각으로 운용하여, 히팅 시스템의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스티어링 휠 히팅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스티어링 휠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2에 적용되는 우드부 열선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3의 우드부 열선의 설치 패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스티어링 휠의 히팅 제어를 설명하기 위한 회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스티어링 휠은 휠의 상측 부분이 우드(WOOD)로 구성되고 하측 부분이 플라스틱 또는 금속재질로 이루어진 가죽부로 구성된다. 상기 가죽부는 플라스틱 또는 금속재질로 구성되며 그 외주면 상으로 가죽 커버가 밀착 도포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우드 타입의 스티어링 휠은 위급상황에서 운전자의 안정성을 확보하고, 그립감을 높일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한 우드 타입의 스티어링 휠의 외주면 상으로 열선을 장착하여 기존 가죽부의 히팅 효과와 더불어 우드(WOOD)부의 히팅 효과를 제공하며, 우드 타입의 스티어링 휠의 파지 가능한 부분으로 열선이 장착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우드 타입의 스티어링 휠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스티어링 휠(200)은 도면을 중심으로 상측부에 마련된 우드(WOOD)부(201)와, 도면을 중심으로 하측부에 마련된 가죽부(203)로 이루어지며, 상기 우드부(201)는 금속 또는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진 가죽부(203)의 원호를 따라 연장되는 구조이다. 상기 가죽부(203)는 스티어링 휠의 상판 및 하판으로 열선이 설치되며, 상기 열선은 요철 형상의 선형 구조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우드(WOOD)부 상판 및 하판(201)은 상기 가죽부 열선과는 달리 별도의 열선을 구비한다. 이러한 우드부 열선은 우드의 재질에 대응하는 발열량을 제어해야 하며, 우드부의 열선 또한 요철 형상의 선형적 구조를 갖는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우드부 열선을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우드부(201)의 외주면 상으로 요철 형상의 우드부 열선(301)이 배열된다.
상기 우드부 열선(301)은 우드부(201) 상판에 설치되거나, 또는 우드부(201) 하판에 설치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우드부(201)의 상판 및 하판에 설치된 후 병렬 접속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병렬 접속되는 우드부 열선 구조는 열선의 훼손이 발생하더라도 우드부(201)의 상판 및 하판 중 어느 한 측의 열선이 동작하도록 함에 있다.
필요에 따라, 상기 우드부 열선(301)은 우드부 상판 및 하판으로 교번되게 설치하도록 설계함으로써, 어느 한 측의 열선이 훼손되더라도 우드부(201)의 발열 기능을 유지도록 할 수 있을 것이다. 즉,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우드부 열선(301)은 요철 구조를 갖고 우드부 상판 및 하판에 각각으로 설치되는데, 각 우드부 열선의 요철 부분을 상호 교차하도록 한다.
이는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우드부 상판 열선과 우드부 하판 열선은 요철 형상으로 상호 교차되도록 설계되며, 우드부 상판 열선의 상부(도면 중심)와 우드부 하판 열선의 하부(도면 중심) 간의 길이는 스티어링 휠의 우드부 단면 원주 길이와 근접한다. 그리고, 상기 우드부 상판 열선과 우드부 하판 열선은 상호 병렬 접속됨에 따라, 어느 한 측의 열선이 훼손되더라도 스티어링 휠의 우드부 발열 기능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라 우드부 열선 및 가죽부 열선을 개별 제어함에 있어, 모듈화된 제어 시스템을 구축한다. 도 5는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열선 제어부를 도시한 것으로, 스티어링 휠의 우드부(201) 및 가죽부(203)는 각각으로 열선을 보유하며, 상기 우드부(201)의 열선은 우드부 상판 열선과 우드부 하판 열선을 상호 병렬시킨 구조를 갖는다.
또한, 우드부 열선 및 가죽부 열선은 각 열선의 과열을 방지하기 위한 온도센서가 부가되며, 온도센서에 의해 적정 온도를 유지한다. 상기 온도센서는 NTC(Negative Temperature Coefficient) 센서가 바람직하다.
상기한 열선 제어부(501)는 모듈화된 구조로서, 상기 우드부 열선에 근접 설치된 온도센서의 검출값에 기초하여 규정화된 온도를 유지하도록 우드부 열선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우드부 열선제어부(507)와, 상기 가죽부 열선에 근접 설치된 온도센서의 검출값에 기초하여 규정화된 온도를 유지하도록 가죽부 열선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가죽부 열선제어부(509)와, 상기 우드부 열선 제어신호 및 가죽부 열선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우드부 열선 및 가죽부 열선으로 정격 전원을 공급하는 스위칭부(505)와, 차량의 이그니션(Ignition) 키 신호에 따라 인가된 차량 전원을 시스템 운용을 위한 정격 전원으로 변환 공급하는 레귤레이터(511)로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열선 제어부(501)는 상기 우드부 열선제어부(511) 및 가죽부 열선제어부(509) 동작을 위한 히팅 스위치(Heating Switch)와 연동함으로써, 운전자의 선택에 따라 상기 스티어링 휠의 우드부 열선 및 가죽부 열선을 제어한다. 그리고, 상기 열선 제어부(501)는 각 열선의 동작 상태를 운전자에게 통지하기 위한 인디케이터(Indicator)와 접속하도록 단자를 구비한다.
상기 스위칭부(505)는 각 열선으로 공급되는 전력을 스위칭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고전력 트랜지스터 등의 무접점 스위치가 사용된다. 무접점 스위치의 예로서 FET, BJT, MOSFET 소자가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열선 제어부(501)는 이그니션 키 동작에 의거 차량의 전원이 공급된다. 상기 이그니션 키 동작은 이그니션 2단계(Ignition_2)에서 동작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이그니션 키 동작에 의한 전원 공급은 상기 레귤레이터(511)로 인가되고, 레귤레이터(5110는 열선 제어부(501)에서 필요로 하는 정격 전원으로 변환 출력한다.
따라서, 상기 열선 제어부(501)는 시스템 정상화 및 초기화가 이루어지고, 이후 열선 제어부(501)는 운전자로부터 히팅 스위치가 동작되는지를 판단한다. 상기 히팅 스위치는 스티어링 휠의 우드부 열선 및 가죽부 열선을 개별적으로 선택 제어할 수 있다.
즉, 상기 히팅 스위치로부터 가죽부 열선만을 동작 제어하고자 할 경우, 상기 가죽부 열선제어부(509)가 인에이블되며, 우드부 열선만을 동작 제어하고자 할 경우에는 우드부 열선제어부(507)가 인에이블된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우드부 열선 및 가죽부 열선을 동시 제어함을 실시 예로 하며, 히팅 스위치의 동작은 상기 우드부 열선제어부(507)와 가죽부 열선제어부(509)를 인에이블시킨다.
따라서, 상기 우드부 열선제어부(507) 및 가죽부 열선제어부(509)는 각각으로 열선 제어신호를 생성하며, 각 열선 제어신호는 상기 스위칭부(505)를 턴온 제어한다. 즉, 상기 각 열선 제어신호는 스위칭부(505)를 구성하는 스위칭 소자의 게이트로 인가되며, 따라서, 상기 스위칭부(505)는 정격 전원을 우드부 열선 및 가죽부 열선으로 공급한다.
이후, 상기 우드부 열선 및 가죽부 열선은 입력 전원에 의해 발열되며, 각 열선에 근접한 각각의 온도센서 즉, NTC 센서는 현재 측정되는 온도 측정값을 우드부 열선제어부(507) 및 가죽부 열선제어부(509)로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우드부 열선 및 가죽부 열선은 각각으로 적정온도가 설정되고 있으며, 각각의 적정온도는 동일 또는 상이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우드부 열선제어부(511)는 우드부에 설치된 온도센서의 측정값에 기초하여 기 설정된 적정온도에 도달하는지를 판단하며,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우드부 열선의 전원 공급을 제어한다. 또한, 상기 가죽부 열선제어부(509)는 가죽부에 설치된 온도센서의 측정값에 기초하여 기 설정된 적정온도에 도달하는지를 판단한 후, 판단 결과에 따라 가죽부 열선으로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 제어한다.
한편, 상기 열선통합 유니트(503)는 우드부 열선제어부(507) 및 가죽부 열선제어부(509)의 동작 상태가 인디케이터(INDICATOR)를 통해 표시되도록 운용함으로써, 운전자에 의해 열선의 동작 여부를 시각적으로 인지할 수 있도록 안내한다.
200 : 스티어링 휠 201 : 우드부
203 : 가죽부 301 : 우드부 열선
501 : 열선 제어부 503 : 열선통합 유니트
505 : 스위칭부 507 : 우드부 열선제어부
509 : 가죽부 열선제어부 511 : 레귤레이터

Claims (7)

  1. 우드(WOOD)부(201)와 가죽부(203)로 이루어진 스티어링 휠(200)의 발열을 위한 히팅 회로에 있어서,
    우드부(201)의 외주면 상으로 요철 형상의 우드부 열선, 가죽부(203)의 외주면 상으로 요철 형상의 가죽부 열선을 포함하며, 상기 우드부의 열선은 우드부 상판 열선과 우드부 하판 열선으로 구성되어 상호 병렬시킨 구조를 갖고, 상기 우드부 열선 및 가죽부 열선은 각 열선의 과열을 방지하기 위한 온도센서가 부가되며, 상기 온도센서에 의해 적정 온도를 유지하도록 제어하는 열선 제어부(501)로 이루어지며;
    상기 열선 제어부(501)는 모듈화된 구조로서, 상기 우드부 열선에 근접 설치된 온도센서의 검출값에 기초하여 규정화된 온도를 유지하도록 우드부 열선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우드부 열선제어부(507), 상기 가죽부 열선에 근접 설치된 온도센서의 검출값에 기초하여 규정화된 온도를 유지하도록 가죽부 열선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가죽부 열선제어부(509), 상기 우드부 열선 제어신호 및 가죽부 열선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우드부 열선 및 가죽부 열선으로 정격 전원을 공급하는 스위칭부(505), 차량의 이그니션(Ignition) 키 신호에 따라 인가된 차량 전원을 시스템 운용을 위한 정격 전원으로 변환 공급하는 레귤레이터(511)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티어링 휠의 히팅 회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센서는 NTC(Negative Temperature Coefficient) 소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티어링 휠의 히팅 회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우드부 열선(301)은 우드부 상판 및 하판으로 교번되게 설치하도록 설계함으로써, 어느 한 측의 열선이 훼손되더라도 상기 우드부(201)의 발열 기능을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티어링 휠의 히팅 회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우드부 열선(301)은 요철 구조를 갖고 우드부 상판 및 하판에 각각으로 설치되며, 각 우드부 열선의 요철 부분을 상호 교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티어링 휠의 히팅 회로.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열선 제어부(501)는 상기 우드부 열선제어부(511) 및 가죽부 열선제어부(509) 동작을 위한 히팅 스위치(Heating Switch)와 연동함으로써, 운전자의 선택에 따라 상기 스티어링 휠의 우드부 열선 및 가죽부 열선을 제어하며;
    각 열선의 동작 상태를 운전자에게 통지하기 위한 인디케이터(Indicator)와 접속하도록 단자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티어링 휠의 히팅 회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부(505)는 각 열선으로 공급되는 전력을 스위칭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고전력 트랜지스터 등의 무접점 스위치가 사용되며;
    상기 무접점 스위치는 FET, BJT, MOSFET 소자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티어링 휠의 히팅 회로.
KR1020140186380A 2014-12-22 2014-12-22 스티어링 휠의 히팅 회로 KR1015503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86380A KR101550316B1 (ko) 2014-12-22 2014-12-22 스티어링 휠의 히팅 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86380A KR101550316B1 (ko) 2014-12-22 2014-12-22 스티어링 휠의 히팅 회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50316B1 true KR101550316B1 (ko) 2015-09-07

Family

ID=542473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86380A KR101550316B1 (ko) 2014-12-22 2014-12-22 스티어링 휠의 히팅 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50316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06884B1 (ko) 1999-05-04 2001-09-13 김경태 자동차용 고급 스티어링 휠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06884B1 (ko) 1999-05-04 2001-09-13 김경태 자동차용 고급 스티어링 휠 및 그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683865B (zh) 转向盘
US7477969B2 (en) Temperature conditioned assembly having a controller in communication with a temperature sensor
DE60130989D1 (de) Sitz mit temperaturregelung und belueftung, und sicherheitssystem fuer ein fahrzeug
US7351934B2 (en) Low voltage warming blanket
JP5648476B2 (ja) 特にモーターサイクリング及びモーターレーシングにおいて用いられるタイヤ用のタイヤウォーマー
US20150284031A1 (en) Heated Fender Well Liner
CN205468672U (zh) 一种座椅
KR20110038291A (ko) 스티어링 휠 히팅 시스템 및 방법
NO151022B (no) Temperatur-reguleringssystem
US20160068044A1 (en) Radiant heater air-conditioning system
US6140609A (en) Heated automotive running board
CN104251508A (zh) 取暖器及其控制方法
CN201214443Y (zh) 汽车方向盘
KR101550316B1 (ko) 스티어링 휠의 히팅 회로
JP6817679B2 (ja) 暖房機および暖房機用のリモコン
KR101200157B1 (ko) 차량의 시트 냉난방장치의 온도 조절 장치 및 그 방법
KR100999668B1 (ko) 차량의 시트 냉난방장치의 온도 조절 장치 및 그 방법
JP6759036B2 (ja) ステアリングヒータ
KR100689775B1 (ko) 운전자의 체온에 따라 자동 조절 되는 차량용 온도 조절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20180072913A (ko) 차량용 복사열 히터 제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1689092B1 (ko) 자동차용 스티어링 휠 열선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040098290A (ko) 차량용 열선시트 어셈블리 및 그 동작방법
KR20170064326A (ko) 스티어링 휠의 히팅 장치 및 그 방법
KR101073584B1 (ko) 전열선의 온도 제어 장치
KR101452517B1 (ko) 차량의 냉난방 제어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7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