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50260B1 - 해상 풍력 발전기 관리선박용 전원 공급 시스템 - Google Patents

해상 풍력 발전기 관리선박용 전원 공급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50260B1
KR101550260B1 KR1020140035010A KR20140035010A KR101550260B1 KR 101550260 B1 KR101550260 B1 KR 101550260B1 KR 1020140035010 A KR1020140035010 A KR 1020140035010A KR 20140035010 A KR20140035010 A KR 20140035010A KR 101550260 B1 KR101550260 B1 KR 1015502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put
energy storage
storage unit
emergency
energ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350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흥태
Original Assignee
김흥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흥태 filed Critical 김흥태
Priority to KR10201400350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5026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502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502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9/00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4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14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for charging batteries from dynamo-electric generators driven at varying speed, e.g. on vehicl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30Hydrogen technology
    • Y02E60/50Fuel ce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Control Of Eletrric Gener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기에너지원을 다양화함으로써 선박에서 요구되는 전기 부하에 적응적으로 대응할 수 있고, 무접점 에너지 변환부의 열화를 최소화할 수 있는 해상 풍력 발전기 관리선박용 전원 공급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해상 풍력 발전기 관리선박용 전원 공급 시스템은, 연료 전지 출력과 풍력 발전 출력 그리고 태양광 발전 출력을 포함하는 전기에너지원; 상기 전기에너지원을 소정 레벨의 교류 출력으로 변환하는 에너지 변환부; 상기 에너지 변환부로부터 출력되는 전기에너지를 저장하는 에너지 저장부; 상기 에너지 저장부의 출력 전압이 소정 레벨 이하이면 전기 에너지를 출력하는 비상발전기; 상기 에너지 저장부의 출력 전압이 소정 레벨 이하이면, 상기 에너지 저장부의 출력을 차단하기 위한 차단 제어 신호와, 상기 비상발전기의 출력을 공급하기 위한 공급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 일반 부하와 비상 부하 - 상기 비상 부하는 상기 비상발전기와 적어도 두개의 전류 경로를 형성하도록 배치되는 제1 및 제2 비상 부하를 포함함 - 를 포함하는 부하; 상기 제1 비상부하와 접속되고, 상기 비상발전기의 출력을 소정 레벨의 교류 전압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제1 반도체 스위칭 소자; 상기 제2 비상부하와 접속되고, 상기 비상발전기의 출력을 소정 레벨의 교류 전압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제2 반도체 스위칭 소자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에너지 저장부의 전압이 소정 레벨 이상인지의 여부를 검출하여 검출 신호를 출력하는 에너지저장부전원검출부; 상기 검출신호에 응답하여 에너지 저장부 전원 단속용 제어신호와 비상발전기 전원 단속용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신호발생부; 상기 에너지 저장부 전원 단속용 제어신호에 제어되어 스위칭하는 에너지 저장부 전원단속부; 및 스위칭 평형을 위하여 상기 제1 및 제2 반도체 스위칭 소자와 각각 직렬연결된 저항을 포함한다.

Description

해상 풍력 발전기 관리선박용 전원 공급 시스템{POWER SUPPLY SYSTEM FOR VESSEL USED FOR MANAGING OFFSHORE WIND TURBINE}
본 발명은 해상 풍력 발전기 관리선박에 적용되는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부하의 변동에 맞도록 전기 발생원을 최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해상 풍력 발전기 관리선박용 전원 공급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해상을 운행하는 선박은 화석연료를 사용하는 터빈 엔진을 주된 에너지원으로 사용하며, 터빈 운전을 통해 발생되는 기계적 에너지를 이용하여 선박 추진동력으로 사용하고, 이 과정에서 발생되는 전기 에너지를 선박 운행에 필요한 다양한 전기장비에 사용한다. 이와 같은 엔진의 주된 원료로는 HFO(Heavy Fuel Oil), 전기, 천연가스(Natural Gas)가 많이 사용된다.
그런데, HFO가 선박 등의 연료로 사용되는 경우에는 HFO의 연소과정에서 발생하는 이산화탄소, NOx, 및 SOx 등으로 인하여 해양환경을 오염시키는 문제가 있다. 또한, HFO를 선박 등의 연료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HFO를 일정 온도로 가열하여 사용하게 되는바, 연료의 가열에 에너지의 낭비가 발생될 수 있으며, 천연가스 또한 화석연료이기 때문에, 이산화탄소의 배출 문제에서는 자유로울 수 없다.
최근에는 이와 같은 이산화탄소 배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선박의 전기공급을 위한 에너지원으로 서로 다른 형태의 에너지원, 예컨대 연료전지(燃料電池, Fuel Cell)와 천연가스 터빈 등을 함께 구성하여, 선박의 에너지원으로 사용하는 방법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특히, 연료전지는 이산화탄소의 배출이 없는 청정 에너지원으로 최근 들어 주목을 받고 있다. 연료전지는 산화에 의해서 생기는 화학에너지를 직접 전기 에너지로 변환시키는 전지를 말한다. 이 화학 반응은 촉매층 내에서 촉매에 의하여 이루어지며 일반적으로 연료가 계속적으로 공급되는 한 지속적으로 발전이 가능하다.
연료전지는 '전지'라는 말이 붙어있기는 하지만 일반적인 전지와는 다르다. 전지는 닫힌 계에 화학적으로 전기에너지를 저장하는 반면, 연료전지는 연료를 소모하여 전력을 생산한다. 또한 전지의 전극이 반응하여 충방전 상태를 달리하지만, 연료전지의 전극은 촉매작용을 하므로 상대적으로 안정하다.
연료와 산화제로는 여러 가지를 이용할 수 있다. 수소 연료전지는 수소를 연료로, 산소를 산화제로 이용하며, 그 외에 탄화수소, 알코올 등을 연료로, 공기, 염소, 이산화 염소 등을 산화제로 이용할 수 있다.
연료전지의 발전 효율은 40~60% 정도로 대단히 높으며, 반응 과정에서 나오는 배출열을 이용하면 전체 연료의 최대 80%까지 에너지화할 수 있다. 나아가 천연 가스와 메탄올, LPG(액화석유가스, propane gas), 나프타, 등유, 가스화된 석탄 등의 다양한 연료를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에너지 자원을 확보하기 쉽다. 또한 연료를 태우지 않기 때문에 환경보호에도 기여할 수 있다. 또한 질소산화물(NOx)과 이산화탄소의 배출량이 석탄 화력 발전의 각각 1/38과 1/3 정도이며, 소음도 화석에너지를 이용한 동력원에 비해 매우 적다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여전히 장치 소형화의 문제와 함께 연료전지의 특성상 디젤터빈 등과 같은 화석연료를 사용하는 전기 에너지원에 비해 응답특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어, 선박에 단독으로 사용하기에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전기에너지원을 다양화함으로써 선박에서 요구되는 전기 부하에 적응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해상 풍력 발전기 관리선박용 전원 공급 시스템을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무접점 에너지 변환부의 열화를 최소화할 수 있는 해상 풍력 발전기 관리선박용 전원 공급 시스템을 제공함에 다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해상 풍력 발전기 관리선박용 전원 공급 시스템은, 연료 전지 출력과 풍력 발전 출력 그리고 태양광 발전 출력을 포함하는 전기에너지원; 상기 전기에너지원을 소정 레벨의 교류 출력으로 변환하는 에너지 변환부; 상기 에너지 변환부로부터 출력되는 전기에너지를 저장하는 에너지 저장부; 상기 에너지 저장부의 출력 전압이 소정 레벨 이하이면 전기 에너지를 출력하는 비상발전기; 상기 에너지 저장부의 출력 전압이 소정 레벨 이하이면, 상기 에너지 저장부의 출력을 차단하기 위한 차단 제어 신호와, 상기 비상발전기의 출력을 공급하기 위한 공급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 일반 부하와 비상 부하 - 상기 비상 부하는 상기 비상발전기와 적어도 두개의 전류 경로를 형성하도록 배치되는 제1 및 제2 비상 부하를 포함함 - 를 포함하는 부하; 상기 제1 비상부하와 접속되고, 상기 비상발전기의 출력을 소정 레벨의 교류 전압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제1 반도체 스위칭 소자; 상기 제2 비상부하와 접속되고, 상기 비상발전기의 출력을 소정 레벨의 교류 전압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제2 반도체 스위칭 소자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에너지 저장부의 전압이 소정 레벨 이상인지의 여부를 검출하여 검출 신호를 출력하는 에너지저장부전원검출부; 상기 검출신호에 응답하여 에너지 저장부 전원 단속용 제어신호와 비상발전기 전원 단속용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신호발생부; 상기 에너지 저장부 전원 단속용 제어신호에 제어되어 스위칭하는 에너지 저장부 전원단속부; 및 스위칭 평형을 위하여 상기 제1 및 제2 반도체 스위칭 소자와 각각 직렬연결된 저항을 포함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어부는, 선박의 정박 중에는 상기 연료 전지의 출력을 차단하는 대신 상기 풍력 발전 출력과 태양광 발전 출력을 상기 에너지 저장부에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전기에너지원을 다양화함으로써 선박에서 요구되는 전기 부하에 적응적으로 대응할 수 있고, 비상 발전기용 무접점 전력 변환부의 열화를 최소화할 수 있는 해상 풍력 발전기 관리선박용 전원 공급 시스템을 제공함에 다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해상 풍력 발전기 관리선박용 전원 공급 시스템의 전체 블록도,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비상발전기 제어 장치의 전체 회로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으로서, 본 발명은 청구항의 기재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해상 풍력 발전기 관리선박용 전원 공급 시스템의 전체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원 공급 시스템이 적용되는 해상 풍력 발전기 관리선박은 해상에 설치되어 운용되는 풍력 발전기의 유지관리를 위하여 사용된다. 즉, 해상 풍력 발전기 관리선박은 먼거리를 신속하게 오가는 데에 목적이 있는 것이 아니라 해안에 설치된 풍력 발전기 타워에 안전하게 접안하고, 관리자가 불편함 없이 유지보수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함에 목적이 있다. 따라서, 엔진을 구동하지 않은 상태에서 유지보수 작업을 수행하는 것이 요구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해상 풍력 발전기 관리선박의 선미 부근에는 헬기 이착륙시설이 구비될 정도로 대형일 수 있다. 이에 풍력 발전 설비 및/또는 태양광 발전 설비가 해상 풍력 발전기 관리선박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연료전지의 효율은 다른 전기에너지원에 비해 우수하나, 디젤터빈을 사용하는 전기에너지원보다 응답특성이 늦기 때문에 연료전지와 아울러, 디젤터빈을 이용하는 비상발전기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해상 풍력 발전기 관리선박용 전원 공급 시스템은 전기에너지원(110), 에너지 변환부(120), 에너지 저장부(130), 비상발전기(140), 비상발전기용 에너지 변환부(150), 제어부(160), 및 부하(170)를 포함한다.
전기에너지원(110)은 연료전지(111), 풍력발전(112), 및 태양광발전(113)을 포함한다. 연료전지(111)는 연료와 산화제를 전기화학적으로 반응시켜 전기 에너지를 발생시키는 장치로서, 다양한 종류가 사용될 수 있다. 예컨대, 용융탄산염 연료전지 (Molten Carbonate Fuel Cell, MCFC)와 같은, 제 2 세대 연료전지를 사용할 수 있는데, 이 경우, 높은 열효율, 높은 환경친화성, 모듈화 특성 및 작은 설치공간이라는 장점을 갖는다. 또한, 용융탄산염 연료전지는 650℃의 고온에서 운전되기 때문에 인산형 연료전지(PAFC) 또는 고분자전해질 연료전지(PEMFC)와 같은 저온형 연료전지에서 기대할 수 없는 추가적인 장점이 있다. 반면, 용융탄산염 연료전지는 저온형 연료전지인 고분자전해질 연료전지에 비해 부하에 따른 응답속도가 다소 느린 특징이 있다. 따라서 분산발전용으로 사용될 경우, 정출력으로 발전하는데, 선박 등의 운송수단 동력원으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운항의 상황에서 발생하는 부하의 출력 특성에 추종하여 설계가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그 외에, 고분자전해질 연료전지(Polymer Electrolyte Membrane Fuel Cell, PEMFC)와 같이 수소이온을 투과시킬 수 있는 고분자막을 전해질로 사용하는 연료전지를 사용할 수도 있다. 고분자전해질 연료전지의 경우에는, 다른 형태의 연료전지에 비하여 전류밀도가 큰 고출력 연료전지로서, 100℃ 미만의 비교적 저온에서 작동되고 구조가 간단한 장점과, 빠른 시동과 응답특성, 우수한 내구성을 가지고 있으며, 수소 이외에도 메탄올이나 천연가스를 연료로 사용할 수 있어 자동차의 동력원으로서 많이 연구되고 있으며, 선박 등에도 충분히 적용 가능한 시스템이다.
또는, 고체산화물 연료전지(Solid Oxide Fuel Cell, SOFC)와 같은 제 3 세대 연료전지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고체산화물 연료전지 (SOFC)는 산소 또는 수소 이온을 투과시킬 수 있는 고체산화물을 전해질로 사용하는 연료전지로서, 현존하는 연료전지 중 가장 높은 온도(700 - 1000 ℃)에서 작동한다. 모든 구성요소가 고체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다른 연료전지에 비해 구조가 간단하고, 전해질의 손실 및 보충과 부식의 문제가 없다. 또한 고온에서 작동하기 때문에 귀금속 촉매가 필요하지 않으며, 직접 내부 개질을 통한 연료 공급이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고, 고온의 가스를 배출하기 때문에 폐열을 이용한 열 복합 발전이 가능하다는 장점도 지니고 있다.
에너지 변환부(120)는 연료 전지(111)의 교류 출력을 소정 레벨의 교류 출력으로 변환하는 제1 AC/AC 변환부(121), 풍력발전(112)의 교류 출력을 소정 레벨의 교류 출력으로 변환하는 제2 AC/AC 변환부(122), 및 태양광발전(113)의 직류 출력을 소정 레벨의 교류 출력으로 변환하는 DC/AC 변환부(123)를 포함한다.
여기서, 해상 풍력 발전용 관리선박은 항해 거리가 짧아 항해 시간은 짧은 대신 정박해 있는 시간이 상대적으로 월등히 길다. 따라서, 운항 중에는 연료전지를 전기에너지원으로 이용하고, 정박하여 해상 풍력 발전기를 수리하거나 부품을 교체하는 경우에는 태양광 발전이나 풍력 발전을 전기에너지원으로 이용한다.
에너지 저장부(130)는 전기에너지원(110)으로부터 발생된 전기에너지를 저장할 수 있도록 2차 전지를 포함한다. 전기에너지원(110)에서 생산되는 에너지들 중, 특히 연료전지(111)에서 생산되는 전기 에너지를 일시적으로 저장하여, 출력단으로 일정한 수준의 전기 에너지가 출력될 수 있도록 마련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에너지 저장부(130)에 저장되는 에너지는 전기 에너지로 마련되며, 연료전지(111)에서 출력되는 에너지 중, 부하에 비해 남게 되는 잉여 전기 에너지가 발생하였을 경우, 이를 내부에 저장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비상발전기(140)는 에너지 저장부(130)의 출력 전압이 소정 레벨 이하로 강하할 때, 에너지 저장부(130)의 출력을 차단하고, 비상부하에 대한 에너지를 공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비상발전기용 에너지 변환부(150)는 비상발전기(140)로부터 출력되는 교류 출력을 소정 레벨의 교류 출력으로 변환한다.
제어부(160)는 에너지 변환부(120) 및 비상발전기용 에너지 변환부(150)에 제어 신호를 출력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비상발전기 제어 장치의 전체 회로도로서, 에너지저장부전원검출부(210), 신호발생부(220), 에너지저장부전원단속부(230), 비상발전기전원단속부(240), 스위칭평형부(250), 및 직류전원발생부(260)를 포함한다.
에너지저장부전원검출부(210)는 에너지저장부전원이 제너전압 이상이면 광을 방출하는 포토다이오드(PD), 포토다이오드(PD)로부터 방출되는 광에 턴온되는 포토트랜지스터(PT)를 포함한다. 여기서 도면부호 LED1은 엘이디로서 에너지저장부전원이 제너전압 이상이면 광을 표출한다.
신호발생부(220)는 포토트랜지스터(PT)의 턴온에 따라 "L"레벨신호를 인가받아 에너지저장부전원단속부(230)를 턴온시키는 스위칭신호와, 비상발전기전원단속부(150)를 턴오프시키는 스위칭신호를 출력한다. 그리고, 포토트랜지스터(PT)가 턴오프되면 "H"레벨신호를 인가받아 에너지저장부전원단속부(230)를 턴오프시키는 스위칭신호와, 비상발전기전원단속부(240)를 턴온시키는 스위칭신호를 출력한다.
그런데, 비상발전기전원단속부(240) 내 반도체 스위칭 소자들은 릴레이에 비해 기계적 소음이 발생하지 않고, 전기적 노이즈가 발생하지 않고, 수명이 반영구적이라는 장점은 있으나, 비상부하1용 전류 경로를 위한 스위칭 소자(152)와, 비상부하2용 전류 경로를 위한 스위칭 소자(153)가 병렬 연결된 상태이므로 부하 전류 쏠림 현상이 나타난다.
구체적으로, 스위칭 소자(152)와 스위칭 소자(153)에 동일한 시점에 턴온 신호를 인가하더라도 두 스위칭 소자 중 어느 하나가 먼저 턴온되면 나중에 턴온되는 스위칭 소자로는 더 작은 부하전류가 흐르게 되고, 먼저 턴온되는 스위칭 소자에 열이 더 많이 발생하게 된다.
특히, 유도 부하가 심화되면 병렬 연결된 반도체 스위칭 소자인 트라이액(152, 153)이 파손에 이르게 된다. 이는 전류(轉流, dv/dt)에 의해 발생하는바, 인가전압의 위상보다 부하전류의 위상이 뒤진 상태로, 반도체 스위칭 소자를 흐르는 부하전류는 0인 반면, 트라이액 양단에는 높은 전압이 인가된다.
즉, 트라이액이 턴오프 되려는 시점에 트라이액 양단에 순시 선로전압이 회로의 표유용량(漂遊容量)과 트라이액의 용량을 제한하는 비율로 나타난다.
이와 같이 유도 부하가 심화되면, 트라이액(152, 153) 양단에 전류(轉流, dv/dt)시간과 그 크기가 다르게 나타나게 된다. 이는 트라이액의 턴오프 시점이 각기 다른 것을 의미하며, 개별 트라이액의 온도차를 유발한다. 트라이액의 온도 상승은 Turn-On Switching, Turn-Off 또는 전류(轉流, dv/dt) 통전 등이 요인으로, 그 중에서도 특히 Turn-Off 또는 전류(轉流, dv/dt) 능력은 온도에 크게 좌우되며, Turn-Off 기능이 불확실하게 된다.
따라서, 반도체 스위칭 소자(트라이액)의 Turn-On 시간과 온도를 통제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하여 접합부 내부의 열저항(熱抵抗)과 과도열 임피던스(過渡熱 Impedance)에 상응하는 저항(240, R1, R2, R3)을 트라이액에 직렬로 연결하여 Trun-On시 과도전류나 Ringing 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다.
결국, 스위칭평형부(240)를 통해 개별 트라이액의 턴온 시간차를 1㎐ 이내로 유지함으로써 트라이액의 온도 상승을 억제할 수 있다. 스위칭평형부(240) 내 각 상의 저항(R1, R2, R3)값은 트라이액의 열저항값과 과도 상태에서 발생하는 과도열 Impedance의 합의 범주내에서 부하 종류에 따라 설계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직류전원발생부(250)는 비상전원을 입력받아 직류전압으로 변환하는 정류부 및 정류부로부터 출력되는 소정 레벨의 직류전압을 제어부에서 사용할 전원전압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직류전압변환부를 포함한다.
도면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하여만 제한되고,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다양한 형태로 개량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개량 및 변경은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게 될 것이다.
110: 전기에너지원
120: 에너지 변환부
130: 에너지 저장부
140: 비상발전기
150: 비상발전기용 에너지 변환부
160: 제어부
170: 부하

Claims (6)

  1. 연료 전지 출력과 풍력 발전 출력 그리고 태양광 발전 출력을 포함하는 전기에너지원;
    상기 전기에너지원을 소정 레벨의 교류 출력으로 변환하는 에너지 변환부;
    상기 에너지 변환부로부터 출력되는 전기에너지를 저장하는 에너지 저장부;
    상기 에너지 저장부의 출력 전압이 소정 레벨 이하이면 전기 에너지를 출력하는 비상발전기;
    상기 에너지 저장부의 출력 전압이 소정 레벨 이하이면, 상기 에너지 저장부의 출력을 차단하기 위한 차단 제어 신호와, 상기 비상발전기의 출력을 공급하기 위한 공급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
    일반 부하와 비상 부하 - 상기 비상 부하는 상기 비상발전기와 적어도 두개의 전류 경로를 형성하도록 배치되는 제1 및 제2 비상 부하를 포함함 - 를 포함하는 부하;
    상기 제1 비상부하와 접속되고, 상기 비상발전기의 출력을 소정 레벨의 교류 전압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제1 반도체 스위칭 소자;
    상기 제2 비상부하와 접속되고, 상기 비상발전기의 출력을 소정 레벨의 교류 전압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제2 반도체 스위칭 소자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에너지 저장부의 전압이 소정 레벨 이상인지의 여부를 검출하여 검출 신호를 출력하는 에너지저장부전원검출부;
    상기 검출신호에 응답하여 에너지 저장부 전원 단속용 제어신호와 비상발전기 전원 단속용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신호발생부;
    상기 에너지 저장부 전원 단속용 제어신호에 제어되어 스위칭하는 에너지 저장부 전원단속부; 및
    스위칭 평형을 위하여 상기 제1 및 제2 반도체 스위칭 소자와 각각 직렬연결된 저항
    을 포함하는 해상 풍력 발전기 관리선박용 전원 공급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선박의 정박 중에는 상기 연료 전지의 출력을 차단하는 대신 상기 풍력 발전 출력과 태양광 발전 출력을 상기 에너지 저장부에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상 풍력 발전기 관리선박용 전원 공급 시스템.
KR1020140035010A 2014-03-26 2014-03-26 해상 풍력 발전기 관리선박용 전원 공급 시스템 KR1015502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5010A KR101550260B1 (ko) 2014-03-26 2014-03-26 해상 풍력 발전기 관리선박용 전원 공급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5010A KR101550260B1 (ko) 2014-03-26 2014-03-26 해상 풍력 발전기 관리선박용 전원 공급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50260B1 true KR101550260B1 (ko) 2015-09-07

Family

ID=542473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35010A KR101550260B1 (ko) 2014-03-26 2014-03-26 해상 풍력 발전기 관리선박용 전원 공급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5026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41461A (ko) * 2018-10-12 2020-04-22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하이브리드 선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11785A (ja) 2005-01-26 2006-08-10 Star Micronics Co Ltd 電源装置
KR101310312B1 (ko) * 2012-07-04 2013-09-23 주식회사 조앤파트너스 선박 전력 공급 시스템을 개조하는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11785A (ja) 2005-01-26 2006-08-10 Star Micronics Co Ltd 電源装置
KR101310312B1 (ko) * 2012-07-04 2013-09-23 주식회사 조앤파트너스 선박 전력 공급 시스템을 개조하는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41461A (ko) * 2018-10-12 2020-04-22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하이브리드 선박
KR102426890B1 (ko) * 2018-10-12 2022-07-28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하이브리드 선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31429B1 (ko) 연료전지를 포함한 선박 전기동력원의 전력 제어 시스템
KR101373874B1 (ko) 연료전지를 포함한 선박 전기동력원의 제어 시스템
US20040069251A1 (en) Energy system for watercraft
JP2009077457A (ja) 分散型電源の運転システムおよびその運転方法
KR20180075296A (ko) 선박
JP2006054976A (ja) 燃料電池搭載機器
KR101310312B1 (ko) 선박 전력 공급 시스템을 개조하는 방법
KR101827644B1 (ko) 전기 및 증기 공급 시스템을 위한 방법 및 그 시스템
US20220173612A1 (en) System for supplying energy to electrically operated mining machines
KR101550260B1 (ko) 해상 풍력 발전기 관리선박용 전원 공급 시스템
KR101192086B1 (ko) 연료전지를 포함한 선박 전기동력원의 제어 시스템
KR101418422B1 (ko) 선박용 연료전지의 단독 기동 시스템
KR101435388B1 (ko) 연료전지 평활 커패시터 초기 충전 시스템
KR20140038763A (ko) 액화천연가스 운반용 선박
Balsamo et al. A case study on high-temperature fuel cells for hybrid electric ship propulsion
KR101122567B1 (ko) 연료전지와 가스 내연기관을 혼용한 선박 발전장비
KR101292709B1 (ko) 연료 전지 시스템 및 이를 구비한 선박과 연료 전지시스템 가동방법
KR20180075285A (ko) 선박
KR101373487B1 (ko) 연료전지를 갖는 독립형 발전 시스템
KR100341435B1 (ko) 연료전지의 역전압 방지 장치 및 방법
KR102586062B1 (ko) Dc 배전시스템 및 배전방법
KR100746367B1 (ko) 연료전지와 2차전지를 이용한 하이브리드 동력 발생 장치와그 제어 방법
JP2011003449A (ja) 発電システム
KR20160131445A (ko) 에너지 공급선
KR101922024B1 (ko) 해양 구조물용 연료전지 공급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연료전지 공급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30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