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49990B1 - 데이터 관리 장치 - Google Patents

데이터 관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49990B1
KR101549990B1 KR1020140180508A KR20140180508A KR101549990B1 KR 101549990 B1 KR101549990 B1 KR 101549990B1 KR 1020140180508 A KR1020140180508 A KR 1020140180508A KR 20140180508 A KR20140180508 A KR 20140180508A KR 101549990 B1 KR101549990 B1 KR 1015499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data
server
esta
commun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805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종범
홍경진
백덕현
오종민
마선민
홍준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엠웍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엠웍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엠웍스
Priority to KR10201401805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4999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499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49990B1/ko
Priority to PCT/KR2015/013696 priority patent/WO2016099105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6Selective distribution of broadcast services, e.g. multimedia broadcast multicast service [MBMS]; Services to user groups; One-way selective calling services
    • H04W4/08User group manag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70Services for machine-to-machine communication [M2M] or machine type communication [MTC]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16Discovering, processing access restriction or access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1Allocation or use of connection identifi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18Service support devices; Network management devices

Abstract

본 발명의 데이터 관리 장치는 제2 단말기를 탐색하는 스캔부 및 서버를 거쳐 상기 제2 단말기와 통신하는 단말 통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데이터 관리 장치{APPARATUS FOR MANAGING DATA}
본 발명은 데이터의 제공 또는 데이터의 교환을 관리하는 데이터 관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신 시스템의 발달에 따라 각 노드 간에 교환되는 데이터의 관리에 대한 중요성이 증대하고 있다.
특히, 빈번하게 이루어지는 데이터 교환의 편의를 도모하는 방안이 요구되고 있다.
한국공개특허공보 제2006-0049956호에는 음성 데이터를 주문 정보로 이용하는 기술이 개시되고 있으나, 데이터 교환의 편의를 도모하는 방안은 언급되지 않고 있다.
한국공개특허공보 제2006-0049956호
본 발명은 사용자가 각종 데이터를 용이하게 교환할 수 있도록 하는 데이터 관리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데이터 관리 장치는 제2 단말기를 탐색하는 스캔부; 및 서버를 거쳐 상기 제2 단말기와 통신하는 단말 통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데이터 관리 장치는 단말기와 통신하는 서버 통신부 및 상기 단말기와의 통신을 통해 선택 데이터가 매칭된 이스타 아이디를 설정하는 설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데이터 관리 장치는 단말기와 통신하는 서버 통신부; 및 서로 통신하기를 희망하는 복수의 상기 단말기를 하나의 통신 그룹으로 설정하는 관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데이터 관리 장치는 제2 단말기를 탐색하는 스캔부를 통해 제2 단말기와 통신하는 대신 서버를 거쳐 제2 단말기와 통신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스캔부의 느린 통신을 대신하여 서버를 통한 고속 통신이 가능하므로 데이터의 교환을 신속하게 진행할 수 있다. 아울러, 서버를 통해 통신함으로써 통신상 문제가 적은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데이터 관리 장치는 사용자가 편집해서 송부할 내용을 서버를 통해 미리 이스타 아이디에 매칭시켜 놓을 수 있다. 이에 따르면, 통신 과정에서 거치게 되는 서버로 이스타 아이디만 제공하면 서버가 상대방에게 기 편집 내용을 송신할 수 있다. 사용자의 입장에서는 이스타 아이디만 상대방에게 제공하는 것으로 데이터의 제공이 완료되는 셈이 된다.
본 발명의 데이터 관리 장치는 서로 통신하기를 희망하는 복수의 단말기를 하나의 통신 그룹으로 설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N:N 교환, N:1 교환, N:0 교환과 같은 다양한 흐름의 데이터 교환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데이터 관리 장치를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데이터 관리 장치의 동작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데이터 관리 장치의 다른 동작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데이터 관리 장치에서 사용되는 이스타 아이디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데이터 관리 장치를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데이터 관리 장치에서 생성된 통신 그룹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데이터 관리 장치에 의해 이루어지는 데이터 교환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데이터 관리 장치에 의해 이루어지는 다른 데이터 교환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데이터 관리 장치에 의해 이루어지는 또다른 데이터 교환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10 내지 도 16은 단말기에서 다른 단말기로 선택 데이터를 제공하는 실시예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기술되는 이스타 아이디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데이터가 매칭된 아이디일 수 있다. 이스타 아이디는 특정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는 통신 어드레스로 기능할 수 있다. 문법적으로 이스타 아이디는 이벤트 네임, 구분자, 아이디 네임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데이터 관리 장치를 나타낸 블럭도이다.
데이터의 전송 또는 데이터의 교환은 현대 정보 사회에서 빈번하게 발생된다. 데이터의 전송 및 교환은 명함 등 종이 문서의 제공을 통해서 이루어지거나, 이메일 또는 메신저를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종이 명함의 교환은 연락처의 교환을 희망하는 사용자들이 서로 대면한 상태에서 명함을 주고받는 것이므로, 데이터 교환 과정에서 별다른 어려움이 없다. 그러나, 상대방으로부터 받은 명함의 내용을 직접 스마트폰에 입력해야 하는 불편함이 발생할 수 있다. 즉, 데이터 교환의 최종 노드(node)가 스마트폰과 같은 단말기(100)인 경우 종이 문서의 교환은 사용자에게 매우 불편한 상황을 초래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스마트폰에서 제공되는 근거리 무선 통신망 또는 이메일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일예로, 두 사용자가 서로 연락처를 교환하고자 하는 경우, 명함을 주고받는 대신 각 사용자가 소지한 스마트폰의 블루투스(Bluetooth) 또는 NFC(near field communication) 통신을 이용하여 연락처를 교환할 수 있다. 그런데, 각 통신망에서 요구하는 암호 입력의 문제, 느린 전송 속도의 문제, 상대 스마트폰의 인식률 문제, 교환 대상을 정확하게 그룹핑하는 문제 등에 의해 실제 사용이 힘들 수 있다.
다른 예로, 위의 두 사용자는 이메일 또는 메신저를 통해 서로의 연락처를 교환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선 우선 상대방의 이메일 주소 또는 메신저 아이디(ID)를 알아야 할 것이다. 그리고, 메일 또는 메시지의 형태로 자신의 연락처를 입력해서 상대방에게 전송할 수 있다. 그러나, 이 역시 명함 교환이라는 단순한 데이터 교환을 번거롭고 불편하게 구현하는 것일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본 발명의 데이터 관리 장치는 스캔부(110)와 단말 통신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스캔부(110)와 단말 통신부(130)는 제1 단말기(101) 등의 단말기(100)에 마련될 수 있다.
스캔부(110)는 통신하기를 희망하는 제2 단말기(102)를 탐색할 수 있다. 일예로, 스캔부(110)는 RFID 등을 통해 외부의 제2 단말기(102)를 탐지하는 센서를 포함하거나, 적외선, 블루투스, NFC(Near Field Communication)와 같은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스캔부(110)에 의해 이루어지는 탐색은 제2 단말기(102)의 식별 정보를 획득할 수 있는 수준인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이렇게 획득된 식별 정보는 추후 서버(200)에서 제2 단말기(102)와 통신하기 위한 수신 주소로 이용될 수 있으며, 정보 교환 대상의 그룹을 설정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참고로, 제1 단말기(101) 및 제2 단말기(102)는 서버(200)와 유무선으로 통신할 수 있는 퍼스널 컴퓨터, 스마트폰, 통신 기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단말 통신부(130)는 스캔부(110)에서 탐색된 제2 단말기(102)와 직접 통신하지 않을 수 있다. 대신, 단말 통신부(130)는 제2 단말기(102)와 통신 가능한 서버(200)와 통신할 수 있다.
앞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스캔부(110)는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스캔부(110)는 근거리 무선 통신망을 이용해 제2 단말기(102)와 통신할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스캔부(110)는 제2 단말기(102)의 탐색에만 근거리 무선 통신망을 이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는 이유는 앞에서 살펴본 근거리 무선 통신망의 불편함을 회피하기 위함이다.
단말 통신부(130)는 근거리 무선 통신망을 통해 제2 단말기(102)와 통신하는 대신 고속이며 신뢰성이 보장되는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3G(third generation mobile communication), 4G(fourth generation mobile communication), LTE(long term evolution) 등의 원거리 통신망을 이용해 서버(200)와 통신할 수 있다. 그리고 단말 통신부(130)는 해당 서버(200)를 통해 제2 단말기(102)와 통신할 수 있다. 물론, 이를 위해 서버(200)는 단말 통신부(130) 및 제2 단말기(102)와 통신할 수 있는 상태여야 할 것이다.
스캔부(110)는 제2 단말기(102)의 탐색을 통해 제2 단말기(102)의 식별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단말 통신부(130)는 스캔부(110)를 통해 획득한 제2 단말기(102)의 식별 정보, 입력부(미도시) 등을 통해 입력된 사용자의 제1 데이터를 서버(200)로 송신할 수 있다.
서버(200)는 제2 단말기(102)의 식별 정보를 분석함으로써 제2 단말기(102)의 통신상 주소를 파악하고, 해당 주소로 제1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서버(200)는 단말 통신부(130)와의 통신 과정에서 해당 단말 통신부(130)가 마련된 제1 단말기(101)의 식별 정보를 파악할 수 있다. 그리고 이렇게 파악된 제1 단말기(101)의 식별 정보도 제2 단말기(102)로 제공할 수 있다. 제2 단말기(102)로 제공된 제1 단말기(101)의 식별 정보는 추후 제2 단말기(102)에서 제1 단말기(101)의 수신 주소로 활용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스캔부(110) 및 단말 통신부(130)는 서로 모르는 사용자가 만나 명함을 주고 받는 상황 등에 적절하게 이용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데이터 관리 장치의 동작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사용자1이 2명의 손님과 만나 연락처를 교환하는 상황을 가정한다.
사용자1은 처음 만난 손님의 연락처를 전혀 모르는 상태이므로, 연락처 등의 제1 데이터를 손님에게 제공할 수 없다. 이때, 사용자1은 자신이 소지한 제1 단말기(101)의 스캔부(110) 및 단말 통신부(130)를 구동시킬 수 있다. 일예로, 스캔부(110)가 블루투스 모듈을 포함하는 경우 블루투스가 온 될 수 있다. 물론, 해당 블루투스에 의해 탐색되기 위해 손님들도 자신이 소지한 제2 단말기(102)의 블루투스를 온시켜야 할 것이다.
스캔부(110)에 의해 제2 단말기(102)의 식별 정보인 S101, S217이 제1 단말기(101)에 표시될 수 있다. 이와 아울러, 스캔부(110)의 탐색 범위에 포함된 다른 단말기(100)의 식별 정보인 K453도 표시될 수 있다. 한편, 제1 단말기(101)는 K135를 식별 정보로 가질 수 있다.
사용자1은 손님에게 구두로 문의하여 손님의 단말기(100)가 S101, S217인 것을 확인하고, S101, S217을 선택할 수 있다. 그리고, 'Enter'를 클릭하면 손님의 단말기(100)로 제1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제1 데이터의 전송은 단말 통신부(130)에 의해 서버(200)를 거쳐 이루어지므로, 블루투스 등의 연결이 끊어져도 별다른 문제가 없다.
그런데, 도 2를 살펴보면, 의도한 데이터 교환을 위해서는 손님의 단말기(100)가 S101, S217인 것을 확인할 필요가 있는데, 이러한 식별 정보를 확인하는 것이 어려울 수 있다. 또한, 손님의 단말기(100)가 S101, S217을 확인한다 하더라도 연락처 등의 제1 데이터를 추가로 작성해야 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S101, S217, K135는 스캔부(110)의 통신 규격에 적합할지 몰라도, 서버(200)에서 요구하는 통신 주소로 기능하지 못할 수 있다. 따라서, S101, S217을 서버(200)에 제공하더라도, 서버(200)는 손님의 단말기(100)로 제1 데이터를 제공하기 힘들 수 있다.
이러한 불안 요소를 해소하기 위해 이스타 아이디가 도입될 수 있다.
이스타 아이디는 서버(200)를 통해 각 사용자가 설정할 수 있으며, 단말기(100)의 식별 정보를 대신하여 통신상 송신처 또는 통신상 수신처가 되는 통신 주소로 이용될 수 있다. 아울러, 이스타 아이디에는 사용자에 의해 제1 데이터에 해당하는 선택 데이터가 매칭된 상태일 수 있다. 참고로, 선택 데이터는 연락처, 텍스트, 음성, 이미지, 동영상, URL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단말 통신부(130)는 제2 단말기(102)로 전송하고자 하는 연락처 등의 제1 데이터를 대신하여 제1 데이터에 매칭된 제1 이스타 아이디를 서버(2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렇게 서버(200)로 전송된 제1 이스타 아이디는 제2 단말기(102)로부터 전송된 제2 데이터의 수신 주소가 될 수 있다.
또한, 각 단말기(100)에는 제조사 등에서 부여된 식별 정보 대신 이스타 아이디가 부여될 수 있다. 이때, 단말기(100)에 이스타 아이디가 부여된다는 것은 해당 단말기(100) 상에서 사용자가 자신의 이스타 아이디를 이용해 서버(200)에 로그인한 상태를 의미할 수 있다. 또는, 서버(200)를 통해 해당 단말기(100)에 직접 이스타 아이디가 설정된 상태를 의미할 수도 있다. 전자의 경우는 사람에 이스타 아이디가 설정된 경우이고, 후자의 경우는 사물에 이스타 아이디가 설정된 경우이다. 이를 통해 이스타 아이디는 사람 뿐만 아니라 사물에도 부여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각 단말기(100)에 이스타 아이디가 부여된 경우, 스캔부(110)는 탐색을 통해 제2 단말기(102)에서 사용되는 제2 이스타 아이디를 획득할 수 있다. 이때, 단말 통신부(130)는 제2 이스타 아이디를 수신 주소로 하여 연락처 등의 제1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이스타 아이디가 도입된 경우, 연락처는 도 3과 같은 방식으로 상대방에게 제공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데이터 관리 장치의 다른 동작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새롭게 만난 사용자1과 사용자2가 서로 연락처를 주고받기를 원하는 상황을 가정한다.
사용자1은 제1 이스타 아이디 *user1이 부여된 제1 단말기(101)를 사용하는 상태이고, 사용자2는 제2 이스타 아이디 *user2가 부여된 제2 단말기(102)를 사용하는 상태일 수 있다.
또한, 사전에 사용자1은 서버(200)를 통해 *user1에 자신의 연락처를 매칭시켜 놓은 상태일 수 있다.
제1 단말기(101)의 스캔부(110)는 스캔을 통해 제2 단말기(102)를 탐색하고, 탐색 결과로 제2 단말기(102)에 부여된 제2 이스타 아이디 *user2를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1은 사용자2에게 *user2가 맞는지 확인할 수 있다. *user2는 사용자2가 설정한 것이므로, 자신의 이스타 아이디가 맞는지 쉽게 응답할 수 있다. 제조자에서 제공하는 식별 정보를 알기 어려운 환경에서 이스타 아이디를 통해 이루어지는 제2 단말기(102)의 식별은 사용자1 및 사용자2에게 큰 편의를 제공할 수 있다.
이후, 사용자1은 *user2를 선택한 후 전송을 의미하는 'Enter' 메뉴를 선택할 수 있다.
단말 통신부(130)는 사용자1이 연락처 등의 제1 데이터를 입력하는 것을 기다릴 필요 없이 서버(200)로 탐색 결과에 해당하는 제2 이스타 아이디 *user2를 송신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데이터를 대신하여 제1 데이터에 매칭된 제1 이스타 아이디 *user1을 서버(200)로 전송할 수 있다. 제1 이스타 아이디 *user1은 제1 단말기(101)에 부여된 상태이므로, 사용자1의 입력없이 단말 통신부(130)에 의해 자동으로 서버(200)로 송신될 수 있다.
해당 단말 통신부(130)에 의하면 서버(200)는 이스타 아이디 *user1, *user2를 수신할 수 있다.
서버(200)는 *user2를 수신 주소로 하여, *user1에 기매칭된 제1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다.
사용자1이 사전에 *user1에 제1 데이터로서 연락처에 해당하는 name: ABC, Tel: 123-4567, e-mail: YYY, address: ZZZZ를 매칭시켜둔 상태라면, 제2 단말기(102)에는 해당 연락처가 제공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제2 단말기(102)에는 제1 데이터와 함께 제1 이스타 아이디도 제공될 수 있다. 이렇게 제2 단말기(102)로 제공된 제1 이스타 아이디는 추후 제2 단말기(102)로부터 전송된 제2 데이터의 수신 주소가 될 수 있다.
사용자2도 위와 같은 방법으로 제1 단말기(101)로 자신의 연락처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2의 보안 설정상 허용되는 경우, 서버(200)는 제1 단말기(101)로부터 제2 이스타 아이디가 수신되면, 제1 단말기(101)로 제2 이스타 아이디에 매칭된 제2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1 단말기(101)의 단말 통신부(130)는 탐색을 통해 획득된 제2 단말기(102)의 제2 이스타 아이디를 서버(200)로 송신하고, 제2 이스타 아이디에 매칭된 제2 데이터를 서버(200)로부터 직접 수신할 수 있다.
즉, 사용자2가 도 3과 같은 방법을 수행하지 않아도 *user2를 서버(200)로 전송한 제1 단말기(101)는 *user2에 매칭된 연락처 등의 제2 데이터를 서버(200)로부터 직접 받을 수 있다. 이에 따르면, 제1 단말기(101)의 스캔부(110) 및 단말 통신부(130)를 구동시키는 것만으로, 사용자1과 사용자2 간의 연락처 교환이 완료될 수 있다.
도 3에 개시된 데이터 관리 장치의 동작을 살펴보면, 사용자는 스캔부(110)를 구동시키는 단계, 스캔부(110)에서 탐색된 이스타 아이디를 선택하는 단계만으로 다른 사용자에게 자신의 연락처를 제공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데이터 관리 장치에서 사용되는 이스타 아이디이다.
사용자는 자신의 선택에 의해 이스타 아이디를 자유롭게 생성할 수 있다. 다만, 서버(200)에서 요구하는 조건, 예를 들어 글자수의 제한, 금지어 등의 조건을 만족해야 할 것이다.
이렇게 서버(200)에서 생성된 이스타 아이디 ①은 아이디 네임 ②와 이벤트 네임 ④가 합쳐져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이스타 아이디 ①에는 아이디 네임 ②와 이벤트 네임 ④의 사이에 개재되는 구분자 ③이 마련될 수 있다. 구분자 ③은 다양한 문자로 형성될 수 있으며, 도 4에서는 '*'가 구분자 ③으로 이용되고 있다. 구분자 ③에 의해 아이디 네임 ②와 이벤트 네임 ④는 서로 구분될 수 있다.
아이디 네임 ②는 사용자 또는 단말기(100)를 지시할 수 있다. 즉, 아이디 네임은 단말기(100) 또는 서버(200) 내에서 사용자와 동일한 개념이 될 수 있다. 따라서, 아이디 네임은 기본적으로 한번 정해지면 변경이 불가능할 수 있다. 다만, 서버(200)의 정책에 따라 한 사용자가 복수의 아이디 네임을 생성하도록 할 수 있다. 물론, 아이디 네임 ②의 생성에는 서버(200)에서 요구하는 개인 정보의 입력이 요구될 수 있다.
일예로, 도 4에서 아이디 네임 ②는 'user1'이다. 이때, 사용자가 'user1'에 선택 데이터로 사진을 매칭시켜 둘 수 있다. 만약 사용자가 연락처를 매칭시키고 싶을 때 'user1'에 매칭시키면 기존의 사진은 매칭 상태가 해제될 수 있다. 이런 상황을 회피하고자 사용자는 사진이 매칭되는 'user1'과 다른 새로운 아이디 네임 'user1-card'를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새롭게 생성된 'user1-card'에 연락처를 매칭시킬 수 있다. 이후, 사용자는 명함 교환시 이스타 아이디를 나타내는 구분자 '*'를 붙인 '*user1-card'를 이용하면 된다.
일예로, 도 3의 경우 사용자1은 제1 단말기(101)에 제1 이스타 아이디로 '*user1-card'를 부여할 수 있다. 만약, 제1 단말기(101)에 '*user1'이 부여된 상태를 유지하고자 하는 경우, 서버(200)로 제2 이스타 아이디 '*user2'를 송신할 때, 사용자1은 추가 송신 내용으로 'user1-card'를 입력할 수 있다. 이 경우 서버(200)는 '*user1'에 매칭된 사진 대신 'user1-card'에 매칭된 연락처를 '*user2'로 제공할 수 있다.
이벤트 네임 ④는 아이디 네임 ②와 다르게 자유롭게 변경될 수 있다. 즉, 개인 정보 등의 입력 과정 없이 사용자가 언제라도 바꿀 수 있다. 이벤트 네임 ④를 빈 공백으로 놔두고 '*user1'만으로 이스타 아이디를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벤트 네임 ④는 소정의 목적을 위해 사용자가 자신의 아이디 네임 ②에 붙인 것일 수 있다.
이벤트 네임은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다양한 용도로 이용될 수 있다.
도 4에서 이벤트 네임 ④는 'camera'이다. 'camera'는 카메라 동호회 회원들이 공통으로 사용하는 이벤트 네임일 수 있다.
이때, 사용자는 이벤트 네임 ④로 'camera'가 붙은 모든 이스타 아이디로 자신의 '*user1'에 매칭된 선택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user1-card'와 같은 아이디 네임을 새롭게 생성하기 번거로운 경우, 이벤트 네임 ④를 이용해 새로운 아이디 네임을 대체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아이디 네임 ② 및 이벤트 네임 ④가 포함된 이스타 아이디 전체 ①에 사용자의 선택 데이터가 매칭될 수 있다. 물론, 아이디 네임 ②에도 선택 데이터가 매칭될 수 있다. 이때, 이스타 아이디 전체 ①에 매칭된 선택 데이터와 아이디 네임 ②에 매칭된 선택 데이터는 서로 다를 수 있다.
또한, 이벤트 네임은 단독으로 특정 데이터의 수신처가 될 수 있다. 일예로, 카메라 제조사는 이벤트 네임 ④에 해당하는 'camera'를 수신처로 하여 광고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이때의 수신처 이름은 구분자까지 포함해서 'camera*'가 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서버(200)에 의해 이벤트 네임 ④로 'camera'를 갖는 모든 이스타 아이디로 해당 광고 데이터가 전송될 수 있다. 정리하면, 이벤트 네임을 수신처로 하여 전송된 특정 데이터는 이벤트 네임을 포함하는 모든 이스타 아이디에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아이디 네임 ② 및 이벤트 네임 ④가 포함된 이스타 아이디 전체 ①도 통신 어드레스가 될 수 있다. 물론, 아이디 네임 ② 역시 통신 어드레스가 될 수 있다.
또한, 서버(200)는 이벤트 네임을 자동으로 설정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서버(200)의 관점에서 데이터 관리 장치를 살펴보도록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데이터 관리 장치를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데이터 관리 장치는 서버(200)일 수 있으며, 해당 서버(200)는 단말기(100)와 통신하는 서버 통신부(210) 및 설정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
설정부(230)는 단말기(100)와의 통신을 통해 선택 데이터가 매칭된 이스타 아이디를 설정할 수 있다.
서버 통신부(210)는 제1 단말기(101) 및 제2 단말기(102)와 통신할 수 있다.
그리고, 서버 통신부(210)는 제1 단말기(101)로부터 제2 이스타 아이디가 수신되면, 제2 이스타 아이디에 매칭된 제2 선택 데이터를 제1 단말기(101)로 송신할 수 있다. 즉, 사용자1의 요청에 의해 사용자2의 데이터를 서버(200)가 제공하는 것이므로, 사용자2의 보안이 문제될 수 있다. 따라서, 서버(200)에 의한 제2 선택 데이터의 제공 여부는 제2 이스타 아이디를 설정한 사용자2의 옵션 설정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이러한 동작은 특정 업체가 선택 데이터에 해당하는 광고 등의 선택 데이터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경우에 유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단말기(100)에 해당하는 스마트폰을 소지하는 경우, 박물관에서는 사용자에게 박물관 소개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하도록 요청할 수 있다. 그리고, 박물관에서는 각 전시물에 스캔부(110)에 의해 탐색될 수 있는 피탐색 모듈을 설치해 둘 수 있다. 또한, 각 피탐색 모듈에 서로 다른 이스타 아이디를 부여해둘 수 있다.
해당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면 스마트폰은 서버(200)와 통신하고 임시로 이스타 아이디 *ter001을 부여받을 수 있다. 또는, 이미 해당 스마트폰에 *ter001이 부여된 상태일 수 있다.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면 블루투스, NFC 등의 스캔부(110)가 동작될 수 있다. 또한, 단말 통신부(130)는 자동 모드로 실행될 수 있다.
*1001이 부여된 제1 전시물에 사용자가 접근하면 스캔부(110)에서는 *1001이 탐색되고, 단말 통신부(130)는 자동으로 서버(200)로 *1001과 해당 스마트폰에 부여된 이스타 아이디 *ter001을 송신할 수 있다.
서버(200)는 *1001과 *ter001이 수신되면, *1001에 매칭된 해당 전시물 소개 데이터를 *ter001로 송신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사용자는 각 전시물에 접근할 때마다 해당 전시물에 대한 소개 데이터를 고속으로 받아 볼 수 있다.
이와 다르게 제1 단말기(101)로부터 제1 이스타 아이디와 제2 이스타 아이디가 수신되면, 서버 통신부(210)는 제2 이스타 아이디를 수신 주소로 하여 제1 이스타 아이디에 매칭된 제1 선택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다. 이때, 제1 이스타 아이디는 제1 단말기(101)에 부여된 이스타 아이디이고, 제2 이스타 아이디는 제2 단말기(102)에 부여된 이스타 아이디일 수 있다.
박물관의 예를 들면, 박물관에서는 각 전시물에 스캔부(110)와 단말 통신부(130)를 설치할 수 있다. 만약, 사용자가 전시물에 설치된 스캔부(110)에 의해 탐색될 수 있는 블루투스, NFC 등을 온(on)시켜 둔 상태라면, 각 전시물은 인접한 스마트폰을 탐색할 수 있다.
그리고, *ter001이 탐색되면, 전시물에 설치된 단말 통신부(130)는 서버(200)로 *ter001과 전시물에 부여된 *1001을 송신할 수 있다.
이후, 서버(200)는 *1001에 매칭된 전시물 소개 데이터를 *ter001로 송신할 수 있다.
이 경우에도 사용자는 각 전시물에 접근할 때마다 해당 전시물에 대한 소개 데이터를 받아 볼 수 있다.
제1 이스타 아이디가 부여된 제1 단말기(101)로부터 전송된 제2 이스타 아이디는 제1 단말기(101)에 마련된 탐색부에 의해 탐색되거나, 제1 단말기(101)의 입력부(미도시)를 통해 입력된 것일 수 있다. 입력부를 이용하면, 사용자는 원거리에서도 *1001을 입력하는 것을 통해 해당 전시물의 소개 데이터를 받아볼 수 있다.
한편, 서버(200)는 서로 통신하기를 희망하는 복수의 단말기(100)를 하나의 통신 그룹으로 설정하는 관리부(25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서버 통신부(210)는 통신 그룹에 편입된 특정 단말기(100)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해당 통신 그룹에 포함된 모든 다른 단말기(100)로 송신할 수 있다.
이때의 통신 그룹은 관리부(250)에 의해 자동으로 생성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데이터 관리 장치에서 생성된 통신 그룹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일예로, 제1 이스타 아이디 *user1이 부여된 제1 단말기(101)와 제2 이스타 아이디가 부여된 제2 단말기(102) *user2가 있는 경우를 가정한다.
이때, 서버 통신부(210)에는 제1 단말기(101)로부터 제2 이스타 아이디 *user2가 수신되고, 제2 단말기(102)로부터 제1 이스타 아이디 *user1이 수신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이스타 아이디가 서로 교차 수신되면 관리부(250)는 제1 단말기(101)와 제2 단말기(102)를 포함하는 하나의 통신 그룹을 생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관리부(250)는 각 단말기(100)로부터 수신된 이스타 아이디를 이용해 통신 그룹을 설정할 수 있는데, 이렇게 설정된 통신 그룹은 복수일 수 있다.
이 경우 복수의 통신 그룹을 하나의 통신 그룹으로 통합하는 방안이 필요하다.
각 단말기(100)는 스캔부(110)를 통해 데이터 교환 대상을 찾을 수 있다. 이때 각 단말기(100)는 특성상 항상 모든 교환 대상을 100% 찾는다는 보장이 없다. 이러한 문제를 효과적으로 해결하기 위해 각 단말기(100)에서 검색한 교환 대상에 대하여 각각의 임시적인 통신 그룹을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각 통신 그룹에 속한 각 단말기(100)들을 임의의 채팅방으로 모두 초대(invite)하는 방식으로 하여 해당 단말기(100)들을 하나의 최종 통신 그룹으로 통합할 수 있다. 이는 마치 개별의 물방울들이 서로 합쳐져서 하나의 큰 물방울을 만들어 가는 것과 같은 원리를 채팅방의 초대 개념에 적용하는 것과 같은 것이다. 여기서 각 물방울들은 각 단말기(100)에서 스캔부(110)를 통해 형성된 하나의 각 통신 그룹이고, 각 단말기(100)에서 형성된 복수개의 통신 그룹이 최종적으로 하나의 최종 통신 그룹으로 통합되는 것일 수 있다.
이렇게 통합된 하나의 최종 통신 그룹이 형성되면 해당 통신 그룹 내에서는 다양한 통신 흐름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의 통신 흐름은 특정 단말기(100)에 의해 설정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데이터 관리 장치에 의해 이루어지는 데이터 교환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7에는 복수의 단말기(100)가 마련될 수 있다. 통신상으로 각 단말기(100) 사이에는 서버(200)가 위치하나 설명의 편의를 위해 서버(200)를 배제한 상태에서 통신 흐름선(실선 표시)을 나타내었다.
학교에서 선생님과 학생들 간의 연락처를 교환할 때, 학생과 선생님 간의 연락처 교환뿐만 아니라, 각 학생 간에도 연락처가 교환되는 것이 좋을 수 있다.
이때, 선생님의 단말기(100)에 제1 이스타 아이디 *user1이 부여되고, 특정 학생의 단말기(100)에 제2 이스타 아이디 *user2가 부여된 상태일 수 있다. 그리고, 다른 학생의 단말기(100)에는 제3 이스타 아이디가 *user3가 부여된 상태일 수 있다.
각 단말기(100)의 탐색부 및 단말 통신부(130)를 통해 서로의 이스타 아이디가 교차 송신되면, 서버(200)는 임시 네임 #45$13을 갖는 통신 그룹을 형성할 수 있다.
초기의 목적은 서로 연락처를 주고받는 것으로 교차 통신이 이루어진 것일 수 있으나, 통신 그룹이 형성됨으로써 추후 별다른 조치를 취하지 않더라도 서버(200)로 송신한 각종 선택 데이터는 다른 모든 단말기(100)로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통신 흐름을 N:N 교환 방식이라고 칭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데이터 관리 장치에 의해 이루어지는 다른 데이터 교환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8에는 제2 이스타 아이디가 부여된 제2 단말기(102)가 하나 이상 존재하고, 각 제2 단말기(102)는 하나의 제1 단말기(101)와 통신하고 있다.
제1 이스타 아이디에는 제1 선택 데이터가 매칭되고, 제2 이스타 아이디에는 제2 선택 데이터가 매칭된 상태일 수 있다.
이때, 서버 통신부(210)는 각 제2 단말기(102)로 제1 단말기(101)의 제1 선택 데이터를 제공하는 한편, 제1 이스타 아이디의 수신시 제2 단말기(102)의 제2 이스타 아이디를 파악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이스타 아이디를 수신처로 하여 제2 이스타 아이디에 매칭된 제2 선택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다.
이러한 모습은 강의가 이루어지는 환경에서 나타날 수 있다.
예를 들어 워드프로세서 강좌에서 강사는 수강생과 연락처를 교환하기를 희망할 수 있다. 이 경우 각 제2 단말기(102)는 스캔부(110)와 단말 통신부(130)를 구동시켜 강사의 제1 단말기(101)와 통신할 수 있다. 이와 다르게, 제1 단말기(101)의 스캔부(110)와 단말 통신부(130)를 통해 강사 연락처가 각 제2 단말기(102)로 제공되고, 이에 대한 반대 급부로 각 제2 단말기(102)의 연락처가 제1 단말기(101)로 제공될 수 있다.
이상의 모습은 하나의 이스타 아이디가 복수의 다른 이스타 아이디와 데이터를 상호 교환하는 모습으로, N:1 교환 방식이라 칭할 수 있다. N:1 교환 방식에서는 N에 해당하는 복수의 제2 단말기(102) 간에는 데이터의 교환이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데이터 관리 장치에 의해 이루어지는 또다른 데이터 교환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제1 이스타 아이디가 부여된 제1 단말기(101)로부터 제2 이스타 아이디가 부여된 제2 단말기(102)를 향해 일방적으로 선택 데이터가 제공되고 있다.
그 방법으로 서버(200)는 제1 단말기(101)의 스캔부(110)에서 탐색된 복수의 제2 단말기(102)를 향해 선택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
다른 방법으로 복수의 제2 단말기(102)가 제1 단말기(101)를 탐색하고 서버(200)로부터 직접 제1 단말기(101)의 선택 데이터를 제공받을 수 있다.
이러한 모습은 앞에서 살펴본, 연락처 교환의 예, 박물관의 예에서처럼 복수의 사용자가 특정 이스타 아이디의 선택 데이터를 받기만 하는 통신 흐름으로, 소위 N:0 교환 방식에 해당할 수 있다.
도 10 내지 도 16은 단말기(100)에서 다른 단말기(100)로 선택 데이터를 제공하는 실시예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이하에서는 N:0 교환 방식으로 동작하는 데이터 관리 장치가 개시된다.
단말기(100) A, B, C, D가 서로 연락처를 교환하기를 희망할 수 있다.
각 단말기(100)에서 스캔부(110)를 구동시켜, 다른 단말기(100)를 탐색할 수 있다. 도 10에는 정상적으로 탐색이 이루어진 상태가 개시된다.
구체적으로, A에서 B, C, D가 탐색되고, B에서는 A, C, D가, C에서는 A, B, D가 탐색될 수 있다. 그리고, D에서는 A, B, C가 탐색될 수 있다.
탐색이 완료되면 스캔부(110)의 구동이 중지되고, 각 단말기(100)에는 선택 데이터에 해당하는 연락처를 보낼 수 있는 시간이 카운트될 수 있다.
A에서 선택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해 'Enter'를 클릭하면, A의 연락처는 B, C, D로 제공될 수 있다. A의 연락처를 제공받은 B, C, D에는 A에 대해 'OK'란 메시지가 매칭되어 표시될 수 있다. 이 상태를 도 11에 나타내었다.
다음으로 C에서 'Enter'가 클릭되면, C의 연락처는 A, B, D로 제공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C의 연락처를 제공받은 A, B, D에는 C에 대해 'OK'란 메시지가 매칭되어 표시될 수 있다. 이 상태가 도 12에 개시된다.
다음으로 카운트 시간이 2초 남은 상태에서 B가 'Enter'를 클릭한 상태가 도 13에 도시된다.
그리고, 카운트 시간이 0초가 되면, 각 단말기(100)에는 데이터 교환의 이력 'log'가 도 14와 같이 표시될 수 있다.
도 14에는 카운트 시간이 0초가 되기 전에 D에서 'Enter'가 클릭되어, A, B, C, D 간의 연락처 교환이 정상적으로 완료된 상태가 개시된다.
그런데, 만약, 카운트 시간이 0초가 될 때까지 D에서 'Enter'가 클릭되지 않으면, 도 15의 log와 같이 A, B, C에는 D의 연락처가 수신되지 않은 상태가 될 수 있다.
이 경우, 도 16과 같이 다시 카운트 시간이 주어진 상태에서 데이터 전송 메뉴로 복귀할 수 있다. 이때 복귀된 메뉴의 카운트 시간은 최초 주어진 카운트 시간 보다 적을 수 있다. 일예로, 도 16에서는 최초 카운트 시간 30초보다 적은 25초가 카운트 시간으로 주어지고 있다.
만약, 도 16에서 A, B, C 중에서 'Cancel' 메뉴가 선택되면, D의 데이터 전송을 기다리지 않고, 도 10의 스캔 상태로 복귀될 수 있다.
이상의 도 10 내지 도 16을 살펴보면, N:0 통신 방식으로 A에 B, C, D가 엮이는 통신 그룹, B에 A, C, D가 묶이는 통신 그룹, C에 A, B, D가 묶이는 통신 그룹, D에 A, B, C가 묶이는 통신 그룹이 형성되는 것일 수 있다.
만약, N:N 통신 방식이 적용된다면, A, B, C, D가 포함된 하나의 통신 그룹만 형성되면 충분하다. 대신, N:0 통신 방식과 비교하여 원하지 않는 연락처가 유출될 수 있으므로 보안성은 떨어질 수 있는 점을 고려해야 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이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적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범위의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다음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단말기 101...제1 단말기
102...제2 단말기 110...스캔부
130...단말 통신부 200...서버
210...서버 통신부 230...설정부
250...관리부

Claims (15)

  1. 제2 단말기를 탐색하는 스캔부; 및
    서버를 거쳐 상기 제2 단말기와 통신하는 단말 통신부;를 포함하고,
    상기 스캔부는 상기 제2 단말기의 탐색을 통해 상기 제2 단말기의 식별 정보를 획득하며,
    상기 단말 통신부는 상기 제2 단말기로 전송하고자 하는 제1 데이터 및 상기 제2 단말기의 식별 정보를 상기 서버로 송신하는 데이터 관리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캔부는 근거리 무선 통신망을 이용해 상기 제2 단말기를 탐색하고,
    상기 단말 통신부는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망을 통해 상기 제1 데이터를 송신하는 대신 상기 서버를 통해 상기 제2 단말기로 상기 제1 데이터를 송신하는 데이터 관리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통신부는 상기 제1 데이터를 대신하여 상기 제1 데이터에 매칭된 제1 이스타 아이디를 상기 서버로 전송하는 데이터 관리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이스타 아이디는 상기 제2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제2 데이터의 수신 주소가 되는 데이터 관리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캔부는 상기 탐색을 통해 상기 제2 단말기의 식별 정보에 해당하는 제2 이스타 아이디를 획득하고,
    상기 단말 통신부는 상기 제2 이스타 아이디를 수신 주소로 하여 상기 제1 데이터를 전송하는 데이터 관리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통신부는 상기 제2 단말기의 식별 정보에 해당하는 제2 이스타 아이디를 상기 서버로 송신하고, 상기 제2 이스타 아이디에 매칭된 제2 데이터를 상기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데이터 관리 장치.
  7. 단말기와 통신하는 서버 통신부; 및
    상기 단말기와의 통신을 통해 선택 데이터가 매칭된 이스타 아이디를 설정하는 설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서버 통신부는 제1 단말기로부터 제1 이스타 아이디와 제2 이스타 아이디가 수신되면, 상기 제2 이스타 아이디를 수신 주소로 하여 상기 제1 이스타 아이디에 매칭된 제1 선택 데이터를 송신하고,
    상기 제1 이스타 아이디는 상기 제1 단말기에 부여된 이스타 아이디이며,
    상기 제2 이스타 아이디는 제2 단말기에 부여된 이스타 아이디인 데이터 관리 장치.
  8. 삭제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 통신부는 상기 제2 이스타 아이디에 매칭된 제2 선택 데이터를 상기 제1 단말기로 송신하는 데이터 관리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상기 제2 이스타 아이디는 상기 제1 단말기에 마련된 탐색부에 의해 탐색되거나, 상기 제1 단말기의 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것인 데이터 관리 장치.
  11. 단말기와 통신하는 서버 통신부; 및
    서로 통신하기를 희망하는 복수의 상기 단말기를 하나의 통신 그룹으로 설정하는 관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단말기는 제1 이스타 아이디가 부여된 제1 단말기와 제2 이스타 아이디가 부여된 제2 단말기를 포함하며,
    상기 관리부는 상기 제1 단말기로부터 상기 제2 이스타 아이디가 수신되고, 상기 제2 단말기로부터 상기 제1 이스타 아이디가 수신되면, 상기 제1 단말기와 상기 제2 단말기를 포함하는 상기 통신 그룹을 생성하는 데이터 관리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 통신부는 상기 통신 그룹에 편입된 특정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상기 통신 그룹에 포함된 다른 단말기로 송신하는 데이터 관리 장치.
  13. 삭제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부는 상기 각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이스타 아이디를 이용해 상기 통신 그룹을 설정하고,
    상기 이스타 아이디는 상기 각 단말기를 지시하는 아이디 네임, 임시로 부여되는 임시 네임이 합쳐져 형성되며,
    상기 임시 네임은 상기 관리부에서 자동으로 부여되며, 하나의 상기 통신 그룹에 편입된 상기 각 단말기에는 상기 임시 네임이 동일하게 부여되는 데이터 관리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임시 네임은 상기 각 단말기의 표시부에 미표시되고,
    상기 각 단말기가 상기 통신 그룹으로부터 탈퇴하면 자동으로 삭제되는 데이터 관리 장치.
KR1020140180508A 2014-12-15 2014-12-15 데이터 관리 장치 KR1015499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80508A KR101549990B1 (ko) 2014-12-15 2014-12-15 데이터 관리 장치
PCT/KR2015/013696 WO2016099105A1 (ko) 2014-12-15 2015-12-15 데이터 관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80508A KR101549990B1 (ko) 2014-12-15 2014-12-15 데이터 관리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49990B1 true KR101549990B1 (ko) 2015-09-04

Family

ID=542471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80508A KR101549990B1 (ko) 2014-12-15 2014-12-15 데이터 관리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549990B1 (ko)
WO (1) WO2016099105A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5327B1 (ko) * 2007-05-14 2008-07-10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버디 그룹을 생성하는 통신 단말기, 버디그룹 관리 장치 및그 방법
KR101156526B1 (ko) * 2011-03-16 2012-06-21 (주)아이트로닉스 근거리에 위치하는 스마트 전자기기 간의 사용자 정보 교환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88878A (ko) * 2006-02-27 2007-08-30 권순태 정보 교류 기능을 가진 단말기, 이를 이용한 정보 교류서버시스템 및 방법
KR20130082447A (ko) * 2010-05-27 2013-07-19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단말간 협력통신을 수행 또는 지원하기 위한 장치 및 그 방법
US9548870B2 (en) * 2012-07-09 2017-01-17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sam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5327B1 (ko) * 2007-05-14 2008-07-10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버디 그룹을 생성하는 통신 단말기, 버디그룹 관리 장치 및그 방법
KR101156526B1 (ko) * 2011-03-16 2012-06-21 (주)아이트로닉스 근거리에 위치하는 스마트 전자기기 간의 사용자 정보 교환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6099105A1 (ko) 2016-06-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315054B2 (en) Communication system, communication method, and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EP2801037B1 (en) Method and terminal for sharing content
KR101698044B1 (ko) 가상 공간들을 생성하는 것을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 및 방법
KR101999780B1 (ko) 가상 챗봇을 이용하여 인스턴트 메시징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 단말 및 방법
US20070067400A1 (en) User matching server, user matching method and user matching program
US20080005119A1 (en) Remotely updating a user status on a presence server
US20160105431A1 (en) Method of providing sns-group inviting service and sns server therefor
WO2010080668A2 (en) Stateful server based social networking using mobile devices
KR101045822B1 (ko) 휴대단말을 이용한 전자명함 처리 방법, 그 시스템 및 그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KR20170018577A (ko) 통신 세션상의 참가자들 중 일부를 위한 가상의 통신 세션을 제공하는 시스템 및 방법
KR101128623B1 (ko) 협업 문서 작성 시스템 및 방법
KR101196657B1 (ko) 다수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간에 호환매개기능을 가지는 메시지 전달 시스템
KR101549990B1 (ko) 데이터 관리 장치
CN105119977A (zh) 基于地理坐标和时间间隔的信息传递的方法及系统
KR20030037256A (ko) 휴대전화를 이용한 인접 지인 알림방법
KR101989174B1 (ko) 개인데이터 공유 장치 및 방법
TWI690190B (zh) 能以虛擬帳號管理隱私權之通訊方法
KR20120053446A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메시지 중개방법 및 메시지 중개시스템
KR101546011B1 (ko) 데이터 관리 장치
KR101135199B1 (ko) 이동 단말의 위치정보를 활용한 소셜 네트워크 온라인 교육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20210026215A (ko) 온라인 회의 관리 장치 및 방법
KR20200052517A (ko) Qr코드를 이용한 다자간 명함교환 방법
KR100494004B1 (ko) 위치정보를 이용한 미팅서비스의 운영방법 및 그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KR102101097B1 (ko) 실시간 내비게이션 경로 안내 시스템
KR20120122527A (ko) 스마트 컨퍼런스 관리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8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