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49677B1 - 터치식 포브키 - Google Patents

터치식 포브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49677B1
KR101549677B1 KR1020140025826A KR20140025826A KR101549677B1 KR 101549677 B1 KR101549677 B1 KR 101549677B1 KR 1020140025826 A KR1020140025826 A KR 1020140025826A KR 20140025826 A KR20140025826 A KR 20140025826A KR 101549677 B1 KR101549677 B1 KR 1015496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uch
substrate
push button
fob key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258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염규화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코리아하이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코리아하이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코리아하이텍
Priority to KR10201400258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4967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496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496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1/00Power-actuated vehicle lo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1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actuating a signalling devic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9/00Electric permutation locks; Circuits therefor ; Mechanical aspects of electronic locks; Mechanical key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ush-Button Switc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터치식 포브 키에 관한 것으로, 그 주된 목적은 터치부의 터치동작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사용자들의 편의를 도모하고, 터치부를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포브 키 자체의 전원을 완전히 차단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배터리의 수명을 연장할수 있는 포브 키를 널리 공급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은,
전면커버와, 상기 전면커버에 구비된 다수의 터치부를 통해 입력되는 터치명령을 처리하는 터치 명령 처리부가 구비되는 기판과, 상기 기판 이면에 부착되는 방수커버와, 상기 기판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와, 상기 전면 커버와 결합하여 상기 기판 및 배터리를 수용하는 후면 커버로 이루어진 터치식 포브 키에 관한 것으로,
상기 전면커버는,
판재형상의 외형을 갖춘 중앙부위에 관통홀이 마련된 커버본체와;
상기 커버본체의 관통홀 내측에서 슬라이딩이 용이하도록 관통홀과 동일 형상으로 형성되며, 판재 형상으로 이루어진 일면에 다수의 터치부가 마련되는 푸쉬버튼을 포함하며;
상기 푸쉬버튼과 상기 기판 사이에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되는 탄성부재와;
상기 푸쉬버튼을 누름에 따라 상기 푸쉬버튼에 구비된 푸셔에 의해 작동하며 상기 기판의 전원을 ON/OFF시키는 스위치로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포브 키 터치부의 터치동작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사용자들의 편의를 도모하고, 터치부를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포브 키 자체의 전원을 완전히 차단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배터리의 수명을 연장할 수 있는 포브 키를 널리 공급하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터치식 포브키{TOUCH TYPE POB KEY}
본 발명은 포브키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각 부분 터치부의 터치동작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사용자들의 편의를 도모함과 동시에, 터치부를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포브 키 자체의 전원을 완전히 차단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배터리의 수명을 연장할 수 있는 터치식 포브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별도의 키 삽입 없이도 도어를 개폐하거나 시동을 걸 수 있는 차량용 전자키의 일종인 스마트형 포브키(Pob Key)에 대해서는 여러가지가 알려져 오고 있다.
예를 들면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2013년 05월 27일자 10-1270055호로 특허등록된 "터치식 포브 키 및 이를 이용한 차량의 제어방법"(이하, "포브 키"라 칭한다)이 그 대표적인 것으로, 그 내용은 다음과 같다.
도시한 바를 참조하면, 종래의 포브 키(PK)는 전면 커버(FC)와 기판(미도시)과 후면 커버(RC)로 이루어진다.
전면커버(FC)는 일면에 다수의 제 1, 2, 3, 4터치부(TA1,TA2,TA3,TA4)가 구비되며, 도시한 방향 기준하여 하부 일측 모서리에 잠금버튼(KB)이 구비된다.
잠금버튼(KB)는 전원이 인가되어 'ON'된 상태라도 상기한 제 1, 2, 3, 4터치부(TA1,TA2,TA3,TA4)가 임의로 터치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것이다.
각 제 1터치부(TA1)와 제 2, 3, 4터치부(TA2,TA3,TA4) 간에는 단면상 호형(弧形)의 홈부(YH)가 형성되어 손가락의 슬라이딩이 용이하도록 하였다.
상기한 홈부(YH)에는 구간별로 손가락 터치시 식별이 용이하도록 돌기(NP)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기판(미도시)에는 상기한 제 1, 2, 3, 4터치부(TA1,TA2,TA3,TA4)의 터치명령을 처리할 수 있도록 터치명령 처리부(미도시)가 구비된다.
상기한 전면커버(FC)의 제 1, 2, 3, 4터치부(TA1,TA2,TA3,TA4)의 구동방법을 살펴보면, 우선 잠금버튼(KB)을 눌러서 제 1, 2, 3, 4터치부(TA1,TA2,TA3,TA4)의 잠금상태를 해제한다.
이와 같이 잠금이 해제된 상태에서 제 1터치부(TA1)를 터치한 상태에서 홈을 따라 제 2터치부(TA2)를 터치하면 도시한 바와 같이, 차량의 도어(미도시)가 잠긴다.
마찬가지로 제 1터치부(TA1)를 터치한 상태에서 홈을 따라 제 3터치부(TA3)를 터치하면, 차량의 도어(미도시)가 열리게 되고,제 1터치부(TA1)를 터치한 상태에서 홈부(YH)를 따라 제 4터치부(TA4)를 터치하면, 트렁크 문이 열린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포브 키(PK)는 다수의 제 1, 2, 3, 4터치부(TA1)(TA2)(TA3)(TA4)의 동작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잠금버튼(KB)을 구비하고는 있지만, 포브 키(PK)는 계속 통전(通電)되므로 배터리의 수명이 짧아지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은 터치부를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포브 키 자체의 전원을 완전히 차단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배터리의 수명을 연장할수 있는 포브 키를 널리 공급하도록 하는데 있다.
이러한 목적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은,
전면커버와, 상기 전면커버에 구비된 다수의 터치부를 통해 입력되는 터치명령을 처리하는 터치 명령 처리부가 구비되는 기판과, 상기 기판 이면에 부착되는 방수커버와, 상기 기판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와, 상기 전면 커버와 결합하여 상기 기판 및 배터리를 수용하는 후면 커버로 이루어진 터치식 포브 키에 관한 것으로,
상기 전면커버는,
판재형상의 외형을 갖춘 중앙부위에 관통홀이 마련된 커버본체와;
상기 커버본체의 관통홀 내측에서 슬라이딩이 용이하도록 관통홀과 동일 형상으로 형성되며, 판재 형상으로 이루어진 일면에 다수의 터치부가 마련되는 푸쉬버튼을 포함하며;
상기 푸쉬버튼과 상기 기판 사이에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되는 탄성부재와;
상기 푸쉬버튼을 누름에 따라 상기 푸쉬버튼에 구비된 푸셔에 의해 작동하며 상기 기판의 전원을 ON/OFF시키는 스위치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푸쉬버튼은,
전원버튼인 제 1터치부와 차량의 제어명령을 입력 받는 제 2, 3, 4터치부 간의 경로의 표면에 사용자의 손가락이 슬라이딩 가능한 요부가 형성된다.
또한,상기 기판의 터치 명령 처리부는,
제 1터치부를 터치한 후에, 제 2, 3, 4터치부 중 어느 하나를 터치하는 명령을 수신하면 상기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제어명령을 차량측으로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커버본체는,
상기 관통홀의 내주 단부에 형성된 제 1플랜지를 포함하고.
상기 푸쉬버튼은,
상기 탄성부재에 의해 일측으로 탄성되되, 상기 커버본체의 제 1플랜지와 접촉하여 이탈이 방지되도록 외주 단부 테두리에 형성된 제 2플랜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푸쉬버튼은,
플라스틱 또는 유리 또는 세라믹 또는 목재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비전도성 물질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푸쉬버튼은,
투명성 폴리 카보네이트 재질로 이루어진 일측 전면(全面)을 소정 색상으로 코팅한 후, 레이져로 깎아 내어 상기 터치부 문양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탄성부재는,
압축코일 스프링 또는 비틀림 코일 스프링 또는 판스프링 또는 접시스프링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ON/OFF 스위치는,
택트(Tact)스위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각 부분 터치버튼의 터치동작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사용자들의 편의를 도모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터치버튼을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포브 키 자체의 전원을 완전히 차단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배터리의 수명을 연장할 수 있는 포브 키를 널리 공급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다수의 터치버튼이 마련되는 전면커버를 단순한 구조로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사출금형의 제조원가를 절감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포브 키의 외형을 보인 사시도이고,
도 2의 가)와 나)는 본 발명에 따른 포브 키의 전면커버를 발췌하여 보인 사시도로서 가)는 탄성부재에 의해 탄성되어 있는 상태를 보인 도면이고, 나)는 사용자에 의해 푸쉬버튼이 눌려진 상태를 모식적으로 보인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포브 키의 작용 효과를 설명하기 위해 단면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터치식 포브 키(1)(이하, "포브 키"라 칭한다)는 커버본체(100)와 푸쉬버튼(200)을 포함하는 전면커버(10)와 탄성부재(300)와 스위치(400)를 포함한다.(이하, 종래의 구성과 동일한 구성은 동일명칭을 붙여 설명하되 부호만 달리 붙여 설명하고, 종래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전면커버(10)는 커버본체(100)와 푸쉬버튼(200)을 포함한다.
커버본체(100)는 평면상 포브 키(1)의 형상을 갖춘 판재(板材)형상의 외형을 갖추며 중앙부위에 관통홀(110)이 마련된다.
이 관통홀(110)은 단면상 내주 단부에 제 1플랜지(111)가 형성되어 후술하는 푸쉬버튼(200)의 제 2플랜지(201)와 접촉이 용이하도록 하였다.
푸쉬버튼(200)은, 상기한 커버본체(100)의 관통홀(110) 내측에서 슬라이딩이 용이하도록 관통홀(110)과 동일 형상으로 형성되며, 평면판재 형상으로 이루어진 일면, 다시 말해서 도시한 방향 기준한 상면에 다수의 터치부(210)가 마련되어 있다.
터치부(210)는 제 1터치부(미도시), 제 2터치부(212), 제 3터치부(213) 및 제 4터치부(214)로 구성된다.
제1 터치부(미도시)에는 전원을 나타내는 심볼이 구비되며, 제2 터치부(212)에는 잠금을 나타내는 심볼이 배치되어, 상기 제2 터치부(212)에 사용자로부터의 터치가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터치식 포브 키(200)가 차량으로 차량의 도어 잠금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제3 터치부(213)에는 잠금 해제를 나타내는 심볼이 배치되어, 상기 제3 터치부(213)에 사용자로부터의 터치가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터치식 포브 키(200)가 차량으로 차량의 도어 오픈(open)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4 터치부(214)에는 차량의 트렁크의 오픈을 나타내는 심볼이 배치되어, 상기 제4 터치부(214)에 사용자로부터의 터치가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터치식 포브 키(200)가 차량으로 차량의 트렁크 도어 오픈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상기한 터치부(210)의 제 1, 2, 3, 4터치부(미도시, 212, 213, 214) 상호간의 경로 상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요홈(215)이 형성된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제1 터치부(211), 제2 터치부(212), 상기 제3 터치부(213)와 상기 제4 터치부(214)에도 요홈(215)이 형성될 뿐만 아니라, 제1 터치부(미도시)로부터 제2 터치부(212)간의 경로, 제1 터치부(미도시)로부터 제3 터치부(213)간의 경로, 제1 터치부(미도시)로부터 제3 터치부(213)간의 경로 그리고 제1 터치부(미도시)로부터 제4 터치부(214) 간의 경로의 표면에도 요홈(215)이 형성됨으로써, 사용자 손가락의 슬라이딩(sliding)이 용이하도록 구성된다.
이 터치부(210)에 대향하는 타면에 후술하는 스위치(400)를 작동시킬 수 있도록 다수의 푸셔(220)가 구비된다.
한편, 방수커버(30)에 구비된 전도체(31)는 기판(20)과 상기한 터치부(2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지만 전원은 차단된 상태이며, 후술하는 작용에서 상기한 푸셔(220)에 의해 스위치(400)가 작동하면 전원이 연결된다.
한편, 도시한 방향 기준하여 푸쉬버튼(200)의 하부 외측 단부에는 제 2플랜지(201)가 구비되어 상기한 커버본체(100)의 관통홀(110) 단면상 내주 단부에 형성된 제 1플랜지(111)와 엇갈린 방향으로 접촉함으로써, 후술하는 탄성부재(300)에 의해 탄성되는 푸쉬버튼(200)의 이탈을 방지한다.
한편, 푸쉬버튼(200)은 비전도성 물질, 다시 말해서, 플라스틱, 유리, 세라믹, 목재중 대표적으로 투명성(透明性) 플라스틱(PC:Poly Carbonate) 재질로 이루어지며, 전면(全面)을 소정 색상으로 전부 코팅한 뒤, 터치부(210)에 마련되는 문양("A"표시부위)만을 레이져로 깎아내어 기판(20)에 구비된 발광체(미도시)의 빛 투과가 용이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외에도 상기한 터치부(210)만 연질의 투명성(透明性) 합성수지, 다시 말해서, 폴리 우레탄(Poly Urethane) 또는 러버(Rubber)등의 연질 합성수지중 어느 하나를 PC(Poly Carbonate) 재질로 이루어진 상기 푸쉬버튼(200)과 일체로 형성하고, 그 상부에 문양("A"표시부위)을 인쇄함으로서, 사용자가 터치할 때, 눌러지는 감각도 느낄 수 있고, 빛의 투과도 용이하도록 하여도 본 발명 소기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와 같이, 상기한 PC재질로 이루어진 푸쉬버튼(200)과 연질 합성수지로 이루어진 터치부(210)를 일체로 형성하는 방법은 이중사출에 의해서 가능한데, 여기서, 이중사출에 대해 간단히 설명한다.
이중사출이란, 2종의 수지를 조합하여 하나의 부품을 구성할 수 있도록 사출하는 방식으로서, 사출성형기에 2세트의 금형을 설치하고, 먼저 1차 금형에서 1차 성형품(예를 들면, 푸쉬버튼(200))을 성형한 후, 이 1차 성형품을 2차로 성형할 수 있도록, 2차 금형의 캐비티와 1차 성형품 공간에 2차 수지를 주입하여 2차적으로 터치부(210)를 성형하여 일체화된 구성을 이룰 수 있다.
한편, 상기한 푸쉬버튼(200)과 기판(20)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탄성부재(300)가 구비되어 푸쉬버튼(200)을 일측으로 탄성시키는 것이다.
탄성부재(300)는 스프링(Spring)의 일종으로서, 압축코일 스프링(KS B 2400-82) 또는 비틀림 코일 스프링(KS B2399-82) 또는 판 스프링(KS B 2398-82) 또는 접시스프링(KS B 2404-81)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적용해도 무방하다.
한편, 스위치(400)는 택트 스위치(Tact Switch)로서, 상기 푸쉬버튼(200)을 누름에 따라 타면에 구비된 푸셔(220)의 압력에 의해 상기 기판(20)의 전원을 ON/OFF시키는 것이다.
즉, 택트 스위치란, 가장 일반적인 스위치의 일종으로서, 회로 방식은 대체적으로 1회로 1접점으로 이루어져, 한번 누르면 ON되고, 다시 한번 누르면 OFF되는 방식의 회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택트스위치는 크기가 작으므로, 소형 가전(휴대폰, MP3, PMP, Navigation, DMB등)에 많이 사용된다.
계속해서, 도시한 바를 참조로 하여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포함하는 본 발명에 따른 포브 키(1)의 작용 효과를 설명한다.
우선, 푸쉬버튼(200)은 탄성부재(300)에 의해 탄성되므로, 도 2의 가)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커버본체(100)의 관통홀(110) 내주에 구비된 제 1플랜지(111)와 푸쉬버튼(200)에 구비된 제 2플랜지(201)가 서로 엇갈리듯 지지되어 있으므로 이탈이 방지되며, 푸쉬버튼(200)의 타면에 마련된 푸셔(220)는 스위치(400)와는 소정거리 이격되어 있다.
이 때, 사용자가 상기한 푸시버튼(200)의 상측을 누르게 되면 이 푸쉬버튼(200)은 그 압력에 의해 하측으로 슬라이딩함에 따라 스위치(400)와 소정거리 이격되어 있던 푸셔(220)가 스위치(400)를 누름으로써 스위칭되며 배터리(40)의 전원이 연결되며, 나)에 도시한 바와 같이 푸쉬버튼(200)에 다수 구비된 각 터치부(210)가 작동할 수 있는 대기상태가 된다.
푸쉬버튼(200)의 배면에는 상기 각 제 1, 2, 3, 4터치부(미도시, 212, 213, 214)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도체(31)가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전도체(31)는 사용자가 제 1, 2, 3, 4터치부(미도시, 212, 213, 214)를 통한 터치 명령의 입력시에 기판(20)에 접속되며, 상기 기판(20) 상에는 도시한 바와 같이 터치 패턴부(23)가 구비되어 상기 전도체(31)와 접속된다.
그러므로, 제 1, 2, 3, 4터치부(미도시, 212, 213, 214)를 통해 입력되는 터치 명령은 기판(220)의 터치 명령 처리부로 전달된다.
이와 같은 대기 상태에서 사용자가 소망하는 터치부(210)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터치한 상태에서 슬라이딩하면 도시하지 않은 차량의 소정 기능, 즉, 시동이나 도어 개폐등의 기능이 작동한다.
또한, 사용이 완료되고, 포브 키(1)의 전원을 차단하기 위해서는 상기한 푸쉬버튼(200)을 한번 더 누르면 상기한 바와 같이, 푸셔(220)의 압력에 의해 스위치(400)가 OFF되며, 본 발명에 따른 포브 키(1)의 전원이 차단된다.
이상에서 상세하게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포브 키(1)는 커버본체(100)와 푸쉬버튼(200)과 탄성부재(300)와 스위치(400) 작용에 의해 각 부분 터치부(210)의 터치동작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사용자들의 편의를 도모하였으며, 터치부(210)를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포브 키(1) 자체의 전원을 완전히 차단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배터리(40)의 수명을 연장하였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 바람직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형실시는 본 발명의 청구범위 기재 범위 내에 있게 된다.
1 : 터치식 포브 키 10 : 전면커버
20 : 기판 30 : 방수커버
40 : 배터리 50 : 후면 커버
100 : 커버본체 110 : 관통홀
200 : 푸쉬버튼 113,201 : 제 1, 2플랜지
210 : 터치부 220 : 푸셔
300 : 탄성부재 400 : ON/OFF 스위치

Claims (8)

  1. 전면커버에 구비된 다수의 터치부를 통해 입력되는 터치명령을 처리하는 터치 명령 처리부가 구비되는 기판과, 상기 기판 이면에 부착되는 방수커버와, 상기 기판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와, 상기 전면 커버와 결합하여 상기 기판 및 배터리를 수용하는 후면 커버로 이루어진 터치식 포브 키에 있어서,
    상기 전면커버는,
    판재형상의 외형을 갖춘 중앙부위에 관통홀이 마련된 커버본체와;
    상기 커버본체의 관통홀 내측에서 슬라이딩이 용이하도록 관통홀과 동일 형상으로 형성되며, 판재 형상으로 이루어진 일면에 다수의 터치부가 마련되는 푸쉬버튼을 포함하며;
    상기 푸쉬버튼과 상기 기판 사이에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된 탄성부재와;
    상기 푸쉬버튼에 가해지는 압력에 따라 상기 푸쉬버튼에 마련된 푸셔의 압력으로 작동하며 상기 기판의 전원을 ON/OFF시키는 스위치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식 포브 키.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푸쉬버튼은.
    전원버튼인 제 1터치부와 차량의 제어명령을 입력 받는 제 2, 3, 4터치부간 경로의 표면에 사용자의 손가락이 슬라이딩 가능한 요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식 포브 키.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의 터치 명령 처리부는,
    제 1터치부를 터치한 후에, 제 2, 3, 4터치부 중 어느 하나를 터치하는 명령을 수신하면 상기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제어명령을 차량측으로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식 포브 키.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본체는,
    상기 관통홀의 내주 단부에 형성된 제 1플랜지를 포함하고.
    상기 푸쉬버튼은,
    상기 탄성부재에 의해 일측으로 탄성되되, 상기 커버본체의 제 1플랜지와 접촉하여 이탈이 방지되도록 외주 단부 테두리에 형성된 제 2플랜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식 포브 키.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푸쉬버튼은,
    플라스틱 또는 유리 또는 세라믹 또는 목재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비전도성 물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식 포브 키.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푸쉬버튼은,
    투명성 폴리 카보네이트 재질로 이루어진 일측 전면(全面)을 소정 색상으로 코팅한 후, 레이져로 깎아 내어 상기 터치부 문양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식 포브 키.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압축코일 스프링 또는 비틀림 코일 스프링 또는 판스프링 또는 접시스프링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식 포브 키.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ON/OFF 스위치는,
    택트(Tact)스위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식 포브 키.
KR1020140025826A 2014-03-05 2014-03-05 터치식 포브키 KR1015496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5826A KR101549677B1 (ko) 2014-03-05 2014-03-05 터치식 포브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5826A KR101549677B1 (ko) 2014-03-05 2014-03-05 터치식 포브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49677B1 true KR101549677B1 (ko) 2015-09-03

Family

ID=542470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25826A KR101549677B1 (ko) 2014-03-05 2014-03-05 터치식 포브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49677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29193A (ko) * 2015-09-07 2017-03-1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터치 입력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KR101734947B1 (ko) * 2016-05-09 2017-05-22 (주) 모토텍 스마트 키 시스템 및 상기 시스템에서의 해킹 방지 방법
WO2018070825A1 (ko) * 2016-10-14 2018-04-19 콘티넨탈 오토모티브 게엠베하 차량용 카드형 스마트키 및 그 제어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0055B1 (ko) * 2012-10-19 2013-05-31 문명일 터치식 포브 키 및 이를 이용한 차량의 제어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0055B1 (ko) * 2012-10-19 2013-05-31 문명일 터치식 포브 키 및 이를 이용한 차량의 제어 방법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29193A (ko) * 2015-09-07 2017-03-1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터치 입력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KR101722538B1 (ko) * 2015-09-07 2017-04-0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터치 입력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KR101734947B1 (ko) * 2016-05-09 2017-05-22 (주) 모토텍 스마트 키 시스템 및 상기 시스템에서의 해킹 방지 방법
WO2018070825A1 (ko) * 2016-10-14 2018-04-19 콘티넨탈 오토모티브 게엠베하 차량용 카드형 스마트키 및 그 제어 방법
KR20180041802A (ko) * 2016-10-14 2018-04-25 콘티넨탈 오토모티브 시스템 주식회사 차량용 카드형 스마트키 및 그 제어 방법
KR101883934B1 (ko) 2016-10-14 2018-08-01 콘티넨탈 오토모티브 시스템 주식회사 차량용 카드형 스마트키 및 그 제어 방법
US10773686B2 (en) 2016-10-14 2020-09-15 Continental Automotive Gmbh Card-type vehicle smart key and control method therefo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19054B2 (en) Active stylus with switching functions
KR102353456B1 (ko) 회전 인식 장치 및 그를 구비하는 전자 장치
US8686948B2 (en) Highly mobile keyboard in separable components
KR101549677B1 (ko) 터치식 포브키
CN105739712A (zh) 覆盖膜及电子装置
TWI532067B (zh) 鍵盤
TWM498913U (zh) 按鍵結構及鍵盤模組
US20140043264A1 (en) Touchscreen authentication unit with dynamic touch locations
KR101270055B1 (ko) 터치식 포브 키 및 이를 이용한 차량의 제어 방법
JP2004253384A (ja) 通信端末機のキーパッド及びその製造方法
JP2021106155A (ja) 収納装置
KR101796614B1 (ko) 차량용 포브 키
CN108390984A (zh) 具备游戏操纵按键的手机
CN102971817B (zh) 模块化键盘组件
KR101602141B1 (ko) 차량의 슬림형 스마트 카드키 및 그 제어방법
US8411423B2 (en) Keypad assembly and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
KR20150031968A (ko) 단말기
JP6688579B2 (ja) 静電容量式タッチスイッチ装置及び収納装置
JP6691205B2 (ja) 収納装置
US20160233861A1 (en) Keyboard device
JP2020170682A (ja) スイッチ装置
JP6691204B2 (ja) 収納装置
KR20150130929A (ko) 터치식 포브 키 및 이를 이용한 차량의 제어 방법
KR102023006B1 (ko) 이동 단말기
TW201239933A (en) Key and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