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49402B1 - a consecutive presser and a plate fabricating method thereof - Google Patents

a consecutive presser and a plate fabricating method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49402B1
KR101549402B1 KR1020140055042A KR20140055042A KR101549402B1 KR 101549402 B1 KR101549402 B1 KR 101549402B1 KR 1020140055042 A KR1020140055042 A KR 1020140055042A KR 20140055042 A KR20140055042 A KR 20140055042A KR 101549402 B1 KR101549402 B1 KR 1015494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material
cutting
cut
connection pattern
conn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55042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인재
전용근
최병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진영정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진영정기 filed Critical 주식회사진영정기
Priority to KR10201400550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49402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494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4940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0PRESSES
    • B30BPRESSES IN GENERAL
    • B30B15/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presses; Auxiliary measures in connection with pressing
    • B30B15/30Feeding material to pre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0PRESSES
    • B30BPRESSES IN GENERAL
    • B30B13/00Methods of pressing not special to the use of presses of an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0PRESSES
    • B30BPRESSES IN GENERAL
    • B30B7/00Presses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arrangement of the pressing members
    • B30B7/02Presses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arrangement of the pressing members having several platens arranged one above the oth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ress Drives And Press Lines (AREA)

Abstra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continuous press machine includes: a plate material supply device which draws and cuts a roll plate material by a predetermined length and connects both lateral ends of the cut plate material together to supply the plate material to a product forming part; a plate material drawing part to supply the plate material wound in a roll shape at regular intervals; a connection pattern forming mold to form a pattern for connecting the plate materials together; and a cutting connection mold to cut the plate material, wherein the connection pattern has been formed, into a predetermined length. The cutting connection mold tilts an end upward in the transfer direction from a flat surface of the plate material at a predetermined angle of θ based on the horizontal transfer direction after cutting the plate material.

Description

연속 프레스기 및 연속 프레스기의 판소재 가공 방법 {a consecutive presser and a plate fabricating method thereof}[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tinuous press machine and a plate fabricating method,

본 발명은 연속 프레스기 및 연속 프레스기의 판소재 가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롤 형태의 판소재를 가공하여 연속 프레스 공정에 사용하는 연속 프레스기 및 연속 프레스기의 판소재 가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tinuous press machine and a continuous press machine. 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tinuous press machine and a continuous press machine.

연속 프레스기라 함은 복수의 단계적인 프레스 공정을 하나의 장치에 연속적으로 구현한 프레스 장치에 해당한다.
The continuous press unit corresponds to a press apparatus in which a plurality of stepwise press processes are successively implemented in one apparatus.

연속 프레스기의 최근 종래기술로는 동 출원인에 의한 한국등록특허 10-0752690호(이하, '690 특허'라 한다)를 고려할 수 있다. 본 출원은 상기 690 특허의 문제점을 개선한 것이므로 이하 690 특허의 주요 내용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As a recent prior art of continuous press machine, Korea Patent No. 10-0752690 (hereinafter referred to as " 690 patent ") by the same applicant can be considered. This application improves the problem of the '690 patent, so that the main contents of the' 690 patent will be described below.

도 2a 및 도 2b는 종래기술에 따른 연속 프레스기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평면도 및 측면도이다. 2A and 2B are a plan view and a side view showing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a continuous press according to the prior art.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690 특허에 따른 연속 프레스기(1)는 프레스본체(10)와, 프레스본체(10)의 길이방향 일측에서 판소재를 프레기본체의 폭방향으로 공급하는 판소재공급장치(20)와, 판소재공급장치(20)로부터 공급된 판소재의 판면에 이송연결패턴을 형성하는 이송연결패턴성형부(30)와, 이송연결패턴이 형성된 판소재를 프레스본체(10)의 길이방향으로 이송시키는 판소재이송장치(40)와, 이송연결패턴성형부(30) 인접영역으로부터 프레스본체(10)의 길이방향을 따라 마련되어 이송되는 판소재에 성형패턴을 형성하는 제품성형부(50)와, 프레스본체(10)와 판소재공급장치(20) 및 판소재이송장치(40)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미도시)를 기본적으로 포함한다.As shown in these drawings, the continuous press machine 1 according to the '690 patent includes a press main body 10, and a plate material supply unit 30 for supplying a plate material in a width direction of the press main body 10, A conveyance connection pattern forming section 30 for forming a conveyance connection pattern on the plate surface of the plate material supplied from the plate material supply device 20 and a plate material on which the conveyance connection pattern is formed, And a product forming unit 40 for forming a forming pattern on a plate material which is provid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press body 10 from a region adjacent to the transfer connecting pattern forming unit 30, And a control unit (not shown) for controlling the driving of the press body 10, the plate material supply unit 20 and the plate material transfer unit 40.

그리고, 프레스본체(10)는 일반적인 연속 프레스기(1)와 마찬가지로 상부 램(11)과 하부 베이스(13)에 길이방향을 따라 상하 금형홀더(15)가 결합되어 있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이 상하 금형홀더(15)에는 후술할 이송연결패턴성형부(30)와 제품성형부(50)가 마련된다.The press main body 10 has a structure in which upper and lower mold holders 15 are coupled to the upper ram 11 and the lower base 13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 the same manner as the general continuous press machine 1. The upper and lower mold holders 15 are provided with a transfer connection pattern forming section 30 and a product molding section 5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또한, 판소재공급장치(2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길이의 판소재가 롤형상으로 권취되어 있는 판소재권취롤(21)과, 프레스본체(10)의 판소재 유입영역에 인접하게 마련되어 판소재권취롤(21)에 권취된 판소재를 소정의 피치씩 프레스본체(10)로 공급하는 재료공급롤(23)로 이루어질 수 있다.As shown in Fig. 3, the plate material supply device 20 includes a plate material take-up roll 21 in which a plate material of a predetermined length is wound in a roll form, And a material supply roll 23 provided adjacently so as to supply the plate material wound on the plate material take-up roll 21 to the press body 10 by a predetermined pitch.

이 판소재공급장치(20)는 판소재권취롤(21)의 판소재 권취방향이 프레스본체(10)의 길이방향에 대해 직교하는 방향으로 배치된 상태에서 판소재권취롤(21) 또는 재료공급롤(23)의 회전구동에 의해 판소재를 프레스기의 폭방향 일측으로 소정의 피치씩 공급한다. 이때, 판소재권취롤(21)과 재료공급롤(23)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도시않은 스탭핑모터에 의해 판소재 공급피치에 대응하는 소정의 회전피치로 회전하여 판소재를 공급할 수 있다.
The plate material supply device 20 is a plate material material supply device in which the plate material take-up roll 21 is disposed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press body 10, And the plate material is fed to the one side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press machine at predetermined pitches by the rotational drive of the rolls 23. [ At this time, at least one of the sheet material take-up roll 21 and the material supply roll 23 can be rotated at a predetermined rotational pitch corresponding to the sheet material supply pitch by the unillustrated stepping motor to supply the sheet material.

이송연결패턴성형부(30)는 프레스본체(10)의 판소재 공급영역에서 공급되는 판소재에 이송패턴(5) 및 연결패턴(7)을 형성하는 이송연결패턴형성금형(31)과, 판소재를 미리 설정된 크기에 맞게 폭방향으로 컷팅함 동시에 앞선 판소재와 연결하는 컷팅연결금형(33)으로 이루어진다.The transfer connection pattern forming section 30 includes a transfer connection pattern forming mold 31 for forming a transfer pattern 5 and a connection pattern 7 on a plate material supplied from a plate material supply region of the press main body 10, And a cut connecting mold 33 for cutting the material in the width direction in accordance with a predetermined size and connecting the same to the preceding plate material.

이송연결패턴형성금형(31)은 이송패턴(5)과 연결패턴(7)에 대응하는 펀치(미도시)와 다이(미도시)를 갖는 상부금형과 하부금형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프레스본체(10)의 판소재 공급영역에서 적어도 프레스본체(10)의 폭방향 일측 상하금형홀더(15)에 설치되어 있다. 이 이송연결패턴형성금형(31)은 프레스본체(10)로 공급되는 판소재의 판면에 폭방향으로 이송패턴(5)을 형성하며, 공급되는 판소재의 폭방향 양단부에 연결패턴(7)을 형성한다.The transfer connection pattern forming mold 31 is composed of an upper mold and a lower mold having a punch (not shown) and a die (not shown) corresponding to the transfer pattern 5 and the connection pattern 7, In at least one widthwise upper and lower mold holder 15 of the press body 10 in the plate material supply area of the press body 10. [ The transfer pattern forming die 31 forms a transfer pattern 5 in the width direction on the plate surface of the plate material supplied to the press main body 10 and forms a connection pattern 7 at both ends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plate material to be supplied .

여기서, 이송패턴(5)은 후술할 판소재이송장치(40)에 의해 판소재가 제품성형부(50)로 원활하게 이송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성형패턴으로서, 공급되는 판소재의 폭방향을 따라 소정의 간격으로 요철형상이나 홀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 이송패턴(5)은 제품성형부(50)의 마지막 배출영역에서 컷팅 등의 방법으로 제거된다. 그리고, 연결패턴(7)은 도 4a의 확대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급되는 판소재의 폭방향 양단부에 상호 형상맞춤 구조로 대응되는 암수형상으로 각각 형성된다.Here, the transfer pattern 5 is a forming pattern for allowing the plate material to be smoothly conveyed to the product forming section 50 by the plate material conveying device 4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along the width direction of the plate material to be fed And can be formed in a concavo-convex shape or a hole shape at predetermined intervals. The transfer pattern 5 is removed from the final discharge area of the product forming part 50 by cutting or the like. As shown in the enlarged view of FIG. 4A, the connecting patterns 7 are formed in both male and female shapes at both ends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supplied plate material.

컷팅연결금형(33)은 이송연결패턴형성금형(31)에서 이송패턴(5)과 연결패턴(7)이 형성된 판소재를 미리 설정된 크기에 맞게 폭방향으로 컷팅하기 위한 펀치(미도시)와 다이(미도시)를 갖는 상부금형과 하부금형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 컷팅연결금형(33)은 프레스본체(10)의 판소재 공급영역에서 프레스본체(10)의 중앙에 위치함으로써, 후술할 제품성형부(50)의 성형금형들과 프레스본체(10)의 길이방향을 향해 일렬로 배치된다.
The cutting connecting mold 33 is provided with a punch (not shown) for cutting the plate material in which the conveying pattern 5 and the connecting pattern 7 are formed in the conveying connection pattern forming die 31 in the width direction in accordance with a predetermined size, (Not shown) and an upper mold. The cutting connecting mold 33 is positioned at the center of the press body 10 in the plate material supply region of the press body 10 so that the distance between the molding dies of the product molding section 50 and the length of the press body 10 Direction.

이때, 컷팅연결금형(33)의 다이(미도시) 상부에 위치하는 컷팅되지 않은 상태의 판소재 판면은 컷팅연결금형(33)에서 컷팅된 판소재의 판면에 비해 높게 위치하며, 프레스본체(10)의 상하금형홀더(15)가 접하여 컷팅연결금형(33)에서 판소재가 컷팅되면 컷팅된 판소재의 판면은 후술할 제품성형부(50)의 성형패턴형성금형(51)의 다이(미도시) 상부에 위치하는 판소재와 동일평면에 위치하게 된다.At this time, the plate material plate surface in the uncut state located on the die (not shown) of the cutting connecting die 33 is located higher than the plate surface of the plate material cut in the cutting connecting die 33, When the upper and lower mold holders 15 of the forming mold 50 contact the upper and lower mold holders 15 and cut the plate material from the cut connecting mold 33, the plate surface of the cut plate material is cut into a die ) Is located on the same plane as the plate material located on the upper side.

여기서, 컷팅전 판소재와 컷팅후 판소재의 높이 차이는 이송연결패턴형성금형(31)의 다이(미도시)에 탄성적으로 상향 부세되도록 마련된 공급소재리프트(35)의 상향 부세 높이가, 제품성형부(50)의 성형패턴형성금형(51) 다이(미도시)에 탄성적으로 상향 부세되도록 마련된 이송소재리프트(37)의 상향 부세 높이에 비해 높게 위치하는 것으로 구현되며, 이러한 컷팅전 판소재와 컷팅 후 판소재의 높이차이는 판소재가 컷팅되면서 앞서 컷팅된 판소재와 연결패턴(7)에 의해 상호 연결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Here, the height difference between the plate material before cutting and the plate material after cutting is determined such that the upward inclination height of the supply material lift 35, which is elastically upwardly biased to the die (not shown) of the transfer connection pattern forming die 31, Is formed so as to be positioned higher than the upward urging height of the conveying material lift 37 which is elastically upwardly urged to be urged upward in a die (not shown) of the forming die forming mold 51 of the forming part 50, And the height difference of the plate material after cutting is such that the plate material is cut and connected to the previously cut plate material by the connection pattern 7.

한편, 판소재이송장치(40)는 컷팅연결금형(33)에서 컷팅된 판소재를 제품성형부(50)로 이송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이송연결패턴성형부(30)와 제품성형부(50) 사이 영역을 소정의 간격으로 왕복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이 판소재이송장치(40)는 이송패턴(5)에 대해 맞물림 작용하여 판소재를 파지 및 파지 해제하면서 판소재를 소정의 피치씩 제품성형부(50)로 이송시킨다.
The plate material conveying device 40 is for conveying the plate material cut from the cut connecting mold 33 to the product forming section 50 and is provided between the conveying connection pattern forming section 30 and the product forming section 50 And is reciprocally movable in a predetermined interval. The plate material transferring device 40 engages with the transfer pattern 5 to transfer the plate material to the product forming part 50 at predetermined pitches while grasping and holding the plate material.

그리고, 제품성형부(50)는 이송연결패턴성형부(30) 인접영역으로부터 프레스본체(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하금형홀더(15)에 결합된 성형패턴형성금형(51)들에 의해 이루어진다. 이 성형패턴형성금형(51)은 일반적인 프레스금형과 마찬가지로 판소재의 판면에 형성될 성형패턴에 대응하는 펀치(미도시) 및 다이(미도시)를 갖는 상부금형과 하부금형에 의해 구성된다.
The product forming section 50 is formed by molding pattern forming dies 51 coupled to the upper and lower mold holders 15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press body 10 from the area adjacent to the transfer connecting pattern forming section 30 . The forming pattern forming mold 51 is constituted by an upper mold and a lower mold having a punch (not shown) and a die (not shown) corresponding to a forming pattern to be formed on a plate surface of a plate material, like a general press mold.

한편, 제어부(미도시)는 미리 입력되어 있는 성형제품 모델별 성형프로그램을 선택하여 선택된 성형프로그램에 대응하는 성형제품이 생산될 수 있도록 판소재공급장치(20)의 판소재 공급 피치 구동 및 프레스본체(10) 상부램(11)의 구동과, 이송연결패턴형성금형(31)의 펀치(미도시) 구동 및 컷팅연결금형(33)의 펀치(미도시) 구동과, 판소재이송장치(40)의 구동 및 성형패턴형성금형(51)의 펀치(미도시) 구동을 제어한다.
On the other hand, the control unit (not shown) selects a molding program for each molding product model inputted in advance and drives the plate material supply pitch of the plate material supply device 20 so that a molded product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molding program can be produced. (Not shown) of the transfer connecting pattern forming die 31 and driving of the punch (not shown) of the cutting connecting mold 33 and the driving of the plate material transferring device 40, (Not shown) of the mold-forming metal mold 51 is controlled.

그리고, 690 특허의 연속 프레스기(1)의 프레스 성형과정을 살펴본다.The press forming process of the continuous press machine 1 of the 690 patent will be described.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판소재공급장치(20)의 구동에 의해 판소재권취롤(21)에 권취된 판소재가 프레스본체(10)의 폭방향 측면에서 이송연결패턴성형부(30)로 공급된다. 이때, 판소재의 공급 간격 피치는 제어부(미도시)가 선택된 성형프로그램에 대응하도록 판소재공급장치(20)의 구동을 제어하여 판소재 공급간격 피치를 조절할 수 있다.The plate material wound on the plate material winding roll 21 by the driving of the plate material supply device 20 is moved from the widthwise side of the press body 10 to the conveyed connection pattern forming portion 30, . At this time, the supply interval pitch of the plate material can be controlled by controlling the driving of the plate material supply device 20 so that the controller (not shown) corresponds to the selected forming program.

이송연결패턴성형부(30)로 공급된 판소재는 도 4a 및 도 4b와 같이, 이송연결패턴형성금형(31)의 펀칭작용에 의해서 공급되는 판소재의 폭방향으로 이송패턴(5)이 형성되는데, 이 이송패턴(5)은 제품성형부(50)에서 판소재에 형성될 성형패턴의 양측 외곽 영역에 해당하는 영역의 판소재 판면에 형성되는 것이다.As shown in FIGS. 4A and 4B, the plate material supplied to the transfer link pattern forming section 30 is formed by the punching action of the transfer link pattern forming die 31, and the transfer pattern 5 is formed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plate material The transfer pattern 5 is formed on the plate material surface of the region corresponding to both outer side regions of the forming pattern to be formed on the plate material in the product forming section 50.

그리고, 이송연결패턴형성금형(31)의 펀칭작용에 의해 공급되는 판소재의 폭방향 양단부 영역, 즉, 양 이송패턴(5) 사이의 판소재 양단부영역에는 상호 형상맞춤되는 맞물림 구조의 연결패턴(7)이 형성된다.
The connecting pattern of an engaging structure that is mutually shaped is formed in both widthwise end regions of the plate material fed by the punching action of the feeding and connecting pattern forming die 31, that is, both end portions of the plate material between the two feeding patterns 5 7 are formed.

이송연결패턴형성금형(31)에서 이송패턴(5)과 연결패턴(7)이 형성된 다음, 프레스본체(10)의 상부램(11)이 하부베이스(13)로부터 이격되면 도 5a 및 도 5b와 같이, 판소재공급장치(20)는 판소재를 공급피치만큼 컷팅연결금형(33) 측으로 이동시킨다.After the transfer pattern 5 and the connection pattern 7 are formed in the transfer connection pattern forming mold 31 and then the upper ram 11 of the press body 10 is separated from the lower base 13, Similarly, the plate material supply device 20 moves the plate material to the cutting connecting mold 33 side by the supply pitch.

그러면, 판소재는 이송패턴(5)과 연결패턴(7)이 형성된 영역이 컷팅연결금형(33)의 다이(미도시) 상부영역에 위치하게 되고, 판소재권취롤(21)로부터 판소재의 새로운 영역이 이송연결패턴형성금형(31)의 다이(미도시) 상부영역으로 공급된다.The area of the plate material in which the transfer pattern 5 and the connection pattern 7 are formed is located in the upper region of the die of the cutting connecting mold 33, And a new area is supplied to the upper region of the die (not shown) of the transfer connection pattern forming mold 31. [

이 상태에서 프레스본체(10)의 상부램(11)이 도 5c 및 도 5d와 같이, 하부베이스(13)에 접하게 하강하면, 이송연결패턴형성금형(31)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판소재의 새로운 영역에 이송패턴(5)과 연결패턴(7)을 형성하게 되고, 컷팅연결금형(33)에서는 이송패턴(5)과 연결패턴(7)이 형성된 판소재를 도 6a 및 도 6b와 같이, 제품성형부(50)로 이송될 수 있도록 컷팅한다.When the upper ram 11 of the press main body 10 descends in contact with the lower base 13 as shown in Figs. 5C and 5D in this state, as described above, in the transfer connection pattern forming mold 31, The transfer pattern 5 and the connection pattern 7 are formed in the new area and the plate material in which the transfer pattern 5 and the connection pattern 7 are formed in the cutting connection mold 33 is formed as shown in FIGS. And is cut so as to be transported to the product forming section 50.

이때, 이송연결패턴형성금형(31)의 다이(미도시) 상부에 위치하는 컷팅되지 않은 상태의 판소재 판면은 컷팅연결금형(33)에서 컷팅된 판소재의 판면에 비해 높게 위치한다. 여기서 컷팅된 판소재의 판면은 후술할 성형패턴형성금형(51)에 위치하는 이송된 판소재의 판면과 동일면상에 위치하게 된다.
At this time, the plate material plate surface in the uncut state located on the die (not shown) of the transfer connection pattern forming die 31 is positioned higher than the plate surface of the plate material cut in the cut connecting mold 33. Here, the plate surface of the cut plate material is positioned on the same plane as the plate surface of the conveyed plate material located in the forming pattern forming die 51 to be described later.

컷팅연결금형(33)에서 컷팅된 판소재는 프레스본체(10)의 상부램(11)이 하부베이스(13)로부터 이격되면 판소재이송장치(40)의 구동에 의해 제품성형부(50)의 성형패턴형성금형(51) 다이(미도시) 상부로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이송연결패턴형성금형(31)에서 이송패턴(5)과 연결패턴(7)이 형성된 판소재 영역은 전술한 바와 같이, 컷팅연결금형(33)으로 이동하고 이송연결패턴형성금형(31)에는 다시 새로운 영역의 판소재가 공급된다.
The plate material cut in the cutting connecting mold 33 is pressed against the lower base 13 of the press body 10 by the driving of the plate material transfer device 40, The mold 51 is mov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mold (not shown). The plate material region in which the transfer pattern 5 and the connection pattern 7 are formed in the transfer connection pattern forming die 31 is moved to the cutting connection mold 33 and transferred to the transfer connection pattern forming die 31, The plate material of the new area is supplied again.

한편, 성형패턴형성금형(51)으로 이송된 판소재는 도 4a 및 도 4b와 같이, 이송방향의 후단부가 컷팅연결금형(33)에 위치하는 컷팅 전 판소재의 일단부와 소정의 높이 차이를 두고 동일선상에 위치하게 된다.4A and 4B, the plate material conveyed to the forming pattern forming metal mold 51 has a difference in height from the one end of the front plate material located in the cutting connecting metal mold 33 at the rear end in the conveying direction And are located on the same line.

이 상태에서 다시 프레스본체(10)의 상부램(11)이 도 5a 내지 도 5d와 같이, 하부베이스(13)로 접하게 하강하면 이송연결패턴형성금형(31)에 위치하는 판소재에 전술한 바와 같이 이송패턴(5) 및 연결패턴(7)이 형성되고, 컷팅연결금형(33)에 위치한 판소재는 컷팅된다.When the upper ram 11 of the press body 10 is again lowered in contact with the lower base 13 as shown in Figs. 5A to 5D in this state, the plate material, which is located in the transfer connection pattern forming die 31, The transfer pattern 5 and the connection pattern 7 are formed, and the plate material placed on the cutting connecting mold 33 is cut.

이때, 컷팅연결금형(33)에서 컷팅된 판소재는 도 6a 및 도 6b와 같이, 그 일단부의 연결패턴(7)이 인접한 성형패턴형성금형(51)에 위치하는 판소재 후단부의 연결패턴(7)과 상호 형상맞춤되도록 맞물린다.6A and 6B, the connection pattern 7 at one end of the plate material cut at the cutting connecting mold 33 is connected to the connection pattern 7 at the rear end of the plate material located at the adjacent formation pattern forming metal mold 51 To be mutually shaped.

그리고, 프레스본체(10)의 상부램(11)이 하부베이스(13)로부터 이격되면 판소재이송장치(40)는 성형패턴형성금형(51)에 위치한 앞선 판소재와, 컷팅연결금형(33)에서 컷팅되면서 앞선 판소재의 후단부에 연결된 판소재를 도 4a 및 도 4b와 같이, 성형패턴형성금형(51)으로 이송시킨다. 성형패턴형성금형(51)으로 이송되는 판소재는 일반적인 연속 프레스기(1)와 마찬가지로 이송된 영역의 성형패턴형성금형(51)에서 펀칭작용에 의해 해당 성형패턴이 형성된다.When the upper ram 11 of the press main body 10 is separated from the lower base 13, the plate material transfer device 40 transfers the leading plate material located in the forming pattern forming die 51, And the plate material connected to the rear end of the preceding plate material is fed to the forming pattern forming die 51 as shown in Figs. 4A and 4B. The plate material to be fed to the forming pattern forming die 51 is subjected to a punching action in the forming pattern forming die 51 of the conveyed area in the same manner as the ordinary continuous press machine 1 to form the corresponding forming pattern.

한편, 이송연결패턴형성금형(31)에서 이송패턴(5)과 연결패턴(7)이 형성된 판소재 영역은 전술한 바와 같이, 컷팅연결금형(33)으로 이동하고 이송연결패턴형성금형(31)에는 다시 새로운 영역의 판소재가 공급된다.On the other hand, the plate material region where the transfer pattern 5 and the connection pattern 7 are formed in the transfer connection pattern forming die 31 is moved to the cutting connection mold 33 and transferred to the transfer connection pattern forming die 31, The plate material of the new area is supplied again.

이러한 과정의 반복에 의해 프레스본체(10)의 측면으로 공급되는 판소재는 이송연결패턴성형부(30)에서 그 폭방향이 컷팅되고, 컷팅된 판소재는 앞선 판소재와 연결패턴(7)에 의해 연결되어 성형패턴형성부로 연속적으로 공급된다.The plate material to be fed to the side surface of the press body 10 by the repetition of this process is cut in the widthwise direction by the feed pattern 30 and the cut plate material is fed to the leading plate material and the connecting pattern 7 And is continuously supplied to the forming pattern forming portion.

이에 의해, 판소재권취롤(21)에 권취된 판소재는 길이방향으로 공급된 상태에서 이송연결패턴성형부(30)에서 폭방향이 길이방향의 변화되어 제품성형부(50)로 이송되어 제품으로 프레스 성형된다.Thus, the plate material wound on the plate material take-up roll 21 is f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widthwise direction is changed in the conveying connection pattern forming section 3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ransferred to the product forming section 50, .

이는 판소재권취롤(21)에 권취된 판소재가 길이방향이 권취방향으로 비교적 큰 굽힘응력이 발생되는 것에 비해서 판소재권취롤(21)에 권취된 상태에서 폭방향으로는 거의 굽힘응력이 발생하지 않는 것을 고려한 것으로서, 판소재가 굽힘응력에 의한 성능적인 특성이 변화되지 않은 상태로 제품성형부(50)에 연속적으로 공급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This is because the plate material wound around the plate material take-up roll 21 generates a relatively large bending stres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 the take-up direction, while a bending stress is almost generated in the width direction in the state of being wound around the plate material take- , It means that the plate material can be continuously supplied to the product forming section 50 without changing the performance characteristics due to the bending stress.

따라서, 연속 프레스기(1)에서 생산되는 성형제품이 소재의 성능적인 특성에 매우 민감한 성형제품일 경우 본 발명에 따른 연속 프레스기(1)에 의해 판소재의 성능적인 특성을 그대로 유지하면서 성형제품을 생산할 수 있다.
Therefore, when the molded product produced by the continuous press machine 1 is a molded article highly sensitive to the performance characteristics of the material, the continuous press machine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roduces a molded product while maintaining the performance characteristics of the plate material .

한편, 690 특허에 따른 연속 프레스기(1)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판소재공급장치(20)를 프레스본체(10) 일측 폭방향 양측에 한 쌍으로 마련할 수 있다. 이는 상이한 판소재를 이용하여 상이한 성형제품을 생산할 때, 판소재의 공급이 선택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프레스 성형제품의 생상선 향상과 상이한 판소재 공급의 편의성을 제공한다.On the other hand, the continuous press machine 1 according to the '690 patent can provide a pair of plate material supply devices 20 on both sides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press body 10, as shown in FIG. This allows the supply of plate material to be selectively performed when producing different molded products using different plate materials, which provides the convenience of improving the production line of press-formed products and supplying different plate materials.

물론, 판소재의 성능적 특성변화에 민감하지 않은 성형제품을 생산 할 경우도 있는데, 이는 도 8과 같이, 판소재공급장치(20)는 프레스본체(10) 일측 폭방향에 마련함과 동시에 이에 인접한 프레스본체(10)의 길이방향 일측에 판소재를 길이방향으로 공급하는 판소재공급장치(20)를 더 포함시킬 수도 있다.
As shown in FIG. 8, the plate material supply device 20 is provided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press body 10, and the plate material supply device 20 is provided adjacent to the press body 10 A plate material supply device 20 for supplying the plate material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o one side of the press body 1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may be further included.

이와 같이, 690 특허에 따른 연속 프레스기는 판소재의 공급방향이 판소재권취롤에 권취된 길이방향으로 프레스본체의 측면으로 공급되어 컷팅된 상태에서 폭방향이 길이방향으로 변환되어 제품성형부로 이송됨으로써, 권취 상태에서의 거의 굽힘응력이 발생하지 않은 영역의 판소재에 제품을 프레스 성형할 수 있다. 따라서, 판소재의 성능적인 특성을 그대로 유지하면서 제품을 프레스 성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Thus, in the continuous press machine according to the '690 patent, in a state in which the supply direction of the plate material is fed to the side surface of the press body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wound on the plate material take-up roll, the width direction is chang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 It is possible to press-mold a product on a plate material in an area where almost no bending stress is generated in the wound state. Therefore,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product can be press-molded while maintaining the performance characteristics of the plate material.

특히, 판소재의 성능적인 특성이 변하지 않는 상태로 제품을 프레스 성형함으로써, 판소재의 성능적인 특성에 매우 민감한 성형제품을 원활하게 생산할 수 장점이 있다.In particular, there is an advantage that a molded product that is highly sensitive to the performance characteristics of the plate material can be produced smoothly by press molding the product in a state in which the performance characteristics of the plate material do not change.

또한, 판소재공급장치를 프레스본체의 양측 폭방향과 길이방향에 마련함으로써, 두께나 크기 및 재질 등이 상이한 판소재를 이용하여 다른 종류의 성형 제품을 선택적으로 용이하게 생산할 수 장점이 있다.
In addition, by providing the plate material supply device in both widthwise and lengthwise directions of the press body, it is possible to selectively produce other kinds of molded products by using plate materials having different thicknesses, sizes and materials.

상술한 690 특허는 위와 같은 장점이 있음이 자명하지만, 구체적인 구동에 있어서 몇 가지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The above-mentioned 690 patent obviously has the above advantages, but there are some problems in specific driving.

첫 번째 문제점으로는 판소재에 형성된 연결패턴(7) 상호간의 오차를 들 수 있다.The first problem is the error between the connecting patterns 7 formed on the plate material.

판소재의 양측단부에 연결패턴(7)을 형성함에 있어서, 다음단계에서 컷팅연결금형(33)에 의하여 절단되는 절단부위 전후를 걸쳐서 연결패턴(7)을 형성하기 때문에, 절단 후 연결패턴(7)을 상호 결합함에 있어서 폭방향으로 오차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Since the connecting pattern 7 is formed before and after the cut portion cut by the cutting connecting metal mold 33 in the next step in forming the connecting pattern 7 at both side ends of the plate material, There is a problem that an error occurs in the width direction.

두 번째 문제점으로는, 절단되는 단위 판소재에 있어서 상, 하부 이송패턴(7) 사이의 오차를 들 수 있다.The second problem is an error between the upper and lower transfer patterns 7 in the unit plate material to be cut.

판소재에 형성된 이송패턴을 살펴보면 첫번째 단위 판소재의 상부와 그 다음 단위 판소재의 하부에 동시에 이송패턴을 형성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 경우, 판소재 인출됨에 있어서 폭방향으로 미세한 움직임이 발생될 경우 이러한 폭방향 움직임은 그대로 단위 판소재의 상, 하부 이송패턴 사이의 오차를 발생시키게 된다.
The transfer pattern formed on the plate material shows that the transfer pattern is simultaneously form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first unit plate material and the lower portion of the next unit plate material. In this case, when fine movement is generated in the width direction when the plate material is taken out, such a widthwise movement causes an error between the upper and lower transfer patterns of the unit plate material.

세 번째 문제점으로는, 컷팅연결금형(33)에 의하여 판소재를 절단하면서 절단된 판소재와 미리 절단되어 우측으로 이송된 상태의 판소재 사이의 연결패턴을 상호 압인시켜 연결하게 되는데, 이 과정에서 압인에 의하여 연결부위가 인장되어 연결부위 형성된 이송패턴의 피치 오차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The third problem is that the connection pattern between the plate material cut while cutting the plate material by the cutting connecting metal mold 33 and the plate material previously cut and conveyed to the right is connected to each other by abrading each other. There is a problem in that a pitch error of the transfer pattern formed at the connection site is generated due to the pulling-in of the connecting portion by the stamping.

네 번째 문제점으로는, 상술한 연결 패턴의 압인 과정에서 미세 가루가 발생되고, 상기 미세 가루가 판소재의 하면에 묻게 되며, 이송 후 연속 프레스 성형과정에서 상기 미세가루가 판소재에 있어서 프레스 성형의 대상이 되는 지점에 위치될 경우 완성품의 불량을 야기하는 문제점이 있다.
As a fourth problem, fine powder is generated in the process of depressing the above-mentioned connection pattern, and the fine powder is buried in the lower surface of the plate material. In the continuous press forming process after the transfer, the fine powder is press- There is a problem of causing defects in the finished product when it is located at a target point.

다섯 번째 문제점으로는, 커팅연결금형에 의해 절단된 판소재가 연속 프레스 성형 과정으로 이송되면서 절단 대기 중인 판소재와 상호간의 절단면 사이에서 상호 마찰을 일으켜 미세 가루를 발생시키고, 나아가 상술한 네 번째 문제점과 마찬가지로 이송 후 연속 프레스 성형과정에서 상기 미세가루가 성형 대상 지점에 위치될 경우 완성품의 불량을 야기하는 문제점이 있다.
The fifth problem is that the plate material cut by the cutting die for connection is transferred to the continuous press forming process to cause mutual friction between the plate material and the cut surfaces during cutting to generate fine powder, There is a problem that when the fine powder is placed in the molding target point in the continuous press forming process after the transfer, defects of the finished product are caused.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서, 절단된 판소재 이송과정에서 발생되는 절단 대기 중인 판소재와의 관계에서 발생되는 마찰에 따른 미세 가루를 미연에 방지하는 연속 프레스기 및 연속 프레스기의 판소재 가공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ontinuous press for preventing fine powder from occurring due to friction occurring in relation to a plate material being cut during the cutting process, And to provide a processing method.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안출된 본 발명에 따른 연속 프레스기는, 롤 형태의 판소재를 일정 길이 단위로 인출 및 절단하고 절단된 상기 판소재의 폭방향 양단을 상호 연결하여 제품성형부로 공급하는 판소재공급장치를 포함하는 것으로서, 롤 형태로 권취된 판소재를 일정 간격으로 공급하는 판소재 인출부; 상기 판소재의 폭방향 양단에 마련되고 상기 판소재 상호 간을 연결할 수 있는 연결패턴을 형성하는 연결패턴형성금형; 및 상기 연결패턴이 형성된 판소재를 일정 길이로 절단하는 커팅연결금형;를 포함하며, 상기 커팅연결금형은 상기 판소재를 절단함에 있어서, 상기 판소재의 절단 후 수평 이송 방향을 기준으로 이송 방향 측 단부를 판소재의 평면상에서 일정 각도 θ 만큼 상방으로 기울인 상태로 판소재를 절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continuous pres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ich comprises: a plate-like plate material which is drawn and cut in a unit of a predetermined length and which is connected to both ends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cut plate material, A plate material withdrawing portion including a material supplying device for supplying the plate material wound in a roll shape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 connection pattern forming die provided at both ends of the plate material in the width direction and forming a connection pattern connecting the plate materials; And a cutting connecting mold for cutting the plate material having the connecting pattern formed therein to a predetermined length, wherein the cutting connecting metal cuts the plate material, And cutting the plate material while inclining the end portion upward by a predetermined angle? On the plane of the plate material.

또한, 상기 판소재는 상기 연결패턴이 상호 연결됨에 있어서, 상기 연결패턴의 상부 또는 하부의 단부가 상기 θ 의 탄젠트 값에 비례하는 길이만큼 완전히 연결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lso, the plate material is characterized in that, when the connecting patterns are mutually connected, the upper or lower end of the connecting pattern is not completely connected by a length proportional to the tangent of?.

한편, 상기 판소재는 이송됨에 있어서, 절단 대기 중인 판소재와 이송되는 판소재 사이는 이격공간이 형성되어 상호 간의 마찰이 발생되지 않으며, 상기 이격공간의 폭은 (이송거리)*(tanθ) 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the meantime, when the plate material is fed, a space is formed between the plate material in the standby state for cutting and the plate material to be fed, so that no friction occurs between the plate material and the plate material, and the width of the spacing distance is .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판소재 가공 방법은, 롤 형태의 판소재를 일정 길이 단위로 인출 및 절단하고, 절단된 상기 판소재의 폭방향 양단을 상호 연결하여 제품성형부로 공급하는 것으로서, 상기 롤형태의 판소재를 일정 간격으로 인출하는 판소재인출단계; 상기 판소재의 폭방향 양단에, 상기 판소재 폭방향 상호 간을 연결할 수 있는 연결패턴을 형성하는 연결패턴형성단계; 및 상기 판소재를 일정 길이로 절단하는 판소재절단단계; 를 포함하며, 상기 판소재절단단계는, 상기 판소재를 절단함에 있어서, 상기 판소재의 절단 후 수평 이송 방향을 기준으로 이송 방향 측 단부를 판소재의 평면상에서 일정각도 θ 만큼 상방으로 기울인 상태로 판소재를 절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method of processing a plate materi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method of drawing and cutting a plate material of a roll shape by a predetermined length unit and connecting both ends of the cut plate material in the width direction to the product molding section A plate material drawing step of drawing the plate material of the roll shape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 connection pattern forming step of forming connection patterns at both ends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plate material so as to connect the plate material in the width direction; And a plate material cutting step of cutting the plate material to a predetermined length; Wherein cutting the plate material comprises cutting the plate material in a state that the end in the feed direction is inclined upward by a predetermined angle? On the plane of the plate material with reference to the horizontal feed direction after cutting the plate material And cutting the plate material.

그리고, 상기 판소재의 상기 연결패턴이 상호 연결되는 판소재연결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연결패턴의 상부 또는 하부의 단부가 상기 θ의 탄젠트 값에 비례하는 길이만큼 완전히 연결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a plate material connecting step in which the connecting patterns of the plate material are mutually connected, wherein the upper or lower end of the connecting pattern is not completely connected by a length proportional to the tangent of? do.

한편, 상기 연결된 판소재를 제품성형부로 이송하는 이송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이송단계에 있어서 절단 대기 중인 판소재와 이송되는 판소재 사이는 이격공간이 형성되어 상호 간의 마찰이 발생되지 않으며, 상기 이격공간의 폭은 (이송거리)*(tanθ) 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 transfer step of transferring the connected plate material to the product forming unit. In the transfer step, a space is formed between the plate material waiting to be cut and the plate material to be transferred, And the width of the spacing space is (transfer distance) * (tan?).

본 발명은, 판소재를 일정 각도 기울인 상태로 절단함으로써 절단된 판소재의 이송과정에서 절단 대기 중인 판소재와의 마찰을 근본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판소재 상호간의 마찰에 의해 발생하는 미세 가루를 방지함으로써 최종 성형 완성품의 불량률을 획기적으로 낮출 수 있는 효과가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can fundamentally prevent friction with a plate material in a cutting standby state in a process of transferring a cut plate material by cutting the plate material at a predetermined angle. Therefore, it is possible to significantly reduce the defective rate of the final molded product by preventing the fine powder generated by the friction between the plate materials.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연속 프레스기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2a, 도 2b 및 도2c는 종래기술에 따른 연속 프레스기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평면도 및 측면도
도 3은 도 2의 판소재 공급영역의 개략적인 확대사시도.
도 4a 및 도 4b, 도 5a 내지 도 5d, 도 6a 및 도 6b는 종재기술에 따른 연속프레스기의 판소재 공급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 및 측면도.
도 7은 종래기술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연속 프레스기의 개략적인 평면도.
도 8은 종래기술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연속 프레스기의 개략적인 평면도.
도 9는 종래기술에 따른 연결패턴형성금형을 나타내는 평면도.
도 10a 내지 도10e는 본 발명에 따른 연결패턴형성금형을 나타내는 평면도
도 11 내지 도 12은 본 발명에 따른 이송패턴형성금형 및 연결패턴형성금형을 나타내는 평면도
도 13는 본 발명에 따른 연결패턴형성금형을 나타내는 확대도.
도 14 및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판소재절단단계 및 이송단계를 나타내는 개념도.
도 16 및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연결패턴의 결합 관계를 나타내는 개념도.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판소재 가공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
1 is a schematic structural view of a continuous press according to the prior art;
FIGS. 2A, 2B and 2C are a plan view and a side view showing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a continuous press according to the prior art;
Fig. 3 is a schematic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the plate material supply region of Fig. 2; Fig.
Figs. 4A and 4B, Figs. 5A to 5D, Figs. 6A and 6B are a plan view and a side view for explaining the plate material supply process of the continuous press machine according to the termination technique.
7 is a schematic plan view of a continuous pres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ior art;
8 is a schematic plan view of a continuous pres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ior art;
9 is a plan view showing a connection pattern forming die according to a related art.
10A to 10E are plan views showing a connection pattern forming di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1 to 12 are plan views showing a transfer pattern forming metal mold and a connection pattern forming metal mol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3 is an enlarged view of a connection pattern forming di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S. 14 and 15 are conceptual diagrams showing a cutting step and a feeding ste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16 and 17 are conceptual diagrams showing a coupling relationship of a connection patter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8 is a flowchart showing a method of processing a plate materi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은 동 출원인에 의한 종래기술('690 특허')에 따른 연속 프레기스를 개선한 것으로서, '690 특허'로부터의 개선점을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is an improved version of the continuous press according to the prior art ('690 patent') by the applicant and will be described in detail, focusing on improvements from the '690 patent'.

도 10a 내지 도10e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패턴형성과정을 나타내는 개념도에 해당한다. 한편, 종래기술과의 비교를 위하여 종래기술에 대한 도 9를 간략히 설명하기로 한다.10A to 10E are conceptual diagrams illustrating a connection pattern forming proces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comparison with the prior art, FIG. 9 of the prior art will be briefly described.

도 9은 종래기술에 따른 연속 프레스기를 나타낸 평면도에 해당한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1 내지 도 8에서 나타낸 바 있는 이송연결패턴형성금형(31)은 연결패턴형성금형(32)과 이송패턴형성금형(34)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나누어 살펴볼 수 있다.9 is a plan view of a continuous press according to the prior art. As shown in FIG. 9, the transfer pattern forming mold 31 shown in FIGS. 1 to 8 may be more specifically divided into a connection pattern forming mold 32 and a transfer pattern forming mold 34.

도 9에 도시된 종래기술의 경우 연결패턴형성금형(32)에서 연결패턴(5)을 형성함에 있어서, 컷팅연결금형(33)에서 절단되어 나누어지는 절단라인을 포함한 상태로 연결패턴(5)을 형성하게 된다. 이에 따라, 절단될 개별 단위 판소재는 절반씩 총 2번의 연결패턴형성단계을 거쳐야 한다. 9, when forming the connection pattern 5 in the connection pattern forming die 32, the connection pattern 5 is formed in a state including the cutting line divided and divided in the cutting connection die 33 Respectively. Accordingly, the individual unit plate materials to be cut must pass through a total of two connection pattern formation steps in half.

이 과정에서 판소재 인출량이 매우 정교하지 않는 이상 필연적으로 오차가 발생하게 된다. 그리고 이러한 오차는 판소재 상호간의 연결을 어렵게 할 뿐만 아니라, 연결부위의 피치 오차를 추가적으로 야기하며, 경우에 따라서는 연결시 오차 부분에서 미세 가루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In this process, unless the sheet material extraction amount is very precise, an error necessarily occurs. These errors not only make the plate materials difficult to connect to each other but also cause a pitch error of the connecting portion, and in some cases fine powder is generated in the error portion at the time of connection.

특히 핵연료봉을 지지하는 이너스트랩과 같이 매우 정밀한 가공이 필요한 경우, 미세 오차가 결과적으로 최종 생산된 이너스트랩에 치명적인 결함을 야기시키게 된다.
Especially when very precise machining is required, such as an inner strap supporting a fuel rod, the micro-errors result in fatal defects in the final produced inner strap.

도 10a 내지 도 10e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한 본 발명에 따른 연속 프레스기를 나타낸 평면도에 해당한다.10A to 10E correspond to a plan view of a continuous pres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ich solves such problems.

본 발명의 일 실시예 따른 연속 프레스기는, 도 9a 내지 도 9e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판소재 권취부로부터 인출되는 판소재의 폭방향 양단에, 절단될 판소재 상호 간의 연결을 위한 연결패턴(5)을 형성하는 연결패턴형성금형(32)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연결패턴형성금형(32)은 절단 후 판소재 상호 간을 연결함에 있어서 연결패턴(5)의 오차를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컷팅연결금형(33)에서 절단되는 판소재 단위로 일체로서 연결패턴(5)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9A to 9E, a continuous pres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nnection pattern 5 for connection between plate materials to be cut, at both ends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plate material drawn out from the plate material winding portion Forming mold 32 for forming a connection pattern. The connection pattern forming metal mold 32 is integrally formed as a unit of plate material cut in the cut connecting mold 33 to prevent an error of the connection pattern 5 in connecting the plate materials after cutting. It is preferable to form the pattern 5.

보다 상세하게는, 이러한 연결패턴형성금형(32)은 상기 판소재의 상하 절단라인의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절단라인에 겹치지 않은 상태로 개별 단위 판소재 별도 독립적인 일체의 연결패턴(5)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도 9에 따른 종래기술의 경우 단위 판소재에 있어서 총 2번의 연결패턴형성단계를 거치로 첫번째 연결패턴형성단계에서 단위 판소재의 하부 연결패턴이 형성되고 그 다은 연결패턴형성과정에서 단위 판소재의 상부 연결패턴이 별개로 형성되어 합쳐지는 형태를 가지나, 본 발명의 경우, 상기 상부 연결패턴 및 하부 연결패턴이 한 번의 연결패턴형성과정으로 형성됨으로써, 연결패턴(5)이 합쳐짐에 따라 발생되는 오차를 미연에 방지하는 것이다.
More specifically, the connection pattern forming metal mold 32 is positioned between the upper and lower cut lines of the plate material, and the connection pattern 5 independent of the individual unit plate material in a state of not overlapping the cut line . That is, in the case of the prior art shown in FIG. 9, the lower connection pattern of the unit plate material is formed in the first connection pattern formation step by using the total of two connection pattern formation steps in the unit plate material, The upper connection pattern and the lower connection pattern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formed in a single connection pattern formation process, so that the connection patterns 5 are combined Thereby preventing an error that occurs.

한편,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송패턴형성금형(34) 및 연결패턴형성금형(32)을 나타내는 확대도에 해당한다. 11 is an enlarged view showing a transfer pattern forming die 34 and a connection pattern forming die 32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이송패턴형성금형(34)에 대하여 먼저 살펴보기로 한다.Hereinafter, the transfer pattern forming mold 34 will be described first.

도 9를 살펴보면 종래기술에 따른 이송패턴형성금형(34)은 연결패턴형성단계에 앞서, 절단라인 사이에의 그 상하의 이송패턴(7)을 먼저 형성하는 것을 살펴 볼 수 있다. 즉, 판소재에 형성된 이송패턴(7)을 살펴보면 첫 번째 단위 판소재의 상부와 그 다음 단위 판소재의 하부에 동시에 이송패턴(7)을 형성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9, it can be seen that the transfer pattern forming die 34 according to the prior art forms the upper and lower transfer patterns 7 between the cutting lines before the connection pattern forming step. That is, when the transfer pattern 7 formed on the plate material is examined, it can be seen that the transfer pattern 7 is simultaneously form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first unit plate material and the lower portion of the next unit plate material.

이 경우, 각 단위 판소재는 상하 2번의 이송패턴형성단계를 거치게 되므로, 첫번째 이송패턴(7) 형성 후 그 다음 이송패턴(7) 형성 사이에 판소재 인출됨에 있어서 미세한 움직임이 발생될 경우 이러한 움직임은 절단된 상태의 단위 판소재의 상, 하부 이송패턴(7) 사이의 오차를 발생시키게 된다.
In this case, since each unit plate material undergoes a transfer pattern forming process two times in the up and down direction, when a minute movement is generated during drawing of the plate material between the formation of the next transfer pattern 7 after the first transfer pattern 7 is formed, An error between the upper and lower transfer patterns 7 of the unit plate material in the cut state is generat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속 프레스기는 기본적으로 상기 절단된 판소재의 상단부 및 하단부에 폭방향의 일정 간격으로 복수 개의 이송패턴(7)을 형성하는 이송패턴연결금형을 더 포함한다. 이송패턴(7)이라 함은 상기 판소재가 절단된 후 연속 프레스 장치에서 일정 간격으로 이송될 수 있도록 하는 기준을 마련하는 홀을 의미한다. 상기 이송패턴(7)은 연속 프레스 공정의 각 세부 프레스 공정 사이의 거리에 대응하는 간격으로 형성된다. 1피치씩 이동됨에 따라 상기 연속 프레스 공정의 세부 공정을 1공정씩 거치게 된다.The continuous pres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asically includes a transfer pattern connecting mold for forming a plurality of transfer patterns 7 at regular intervals in the width direction at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cut plate material. The transfer pattern 7 means a hole for providing a reference for allowing the continuous press device to be transported at a constant interval after the plate material is cut. The transfer pattern 7 is formed at intervals corresponding to the distances between the respective sub-pressing processes of the continuous press process. And the detailed process of the continuous press process is performed one step at a time.

상기 이송패턴형성금형(34)은 홀을 형성할 수 있는 프레스 금형 내지 드릴 등 다양한 홀 형성 수단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The transfer pattern forming die 34 may be formed of various hole forming means such as a press die or a drill capable of forming holes.

상기 이송패턴형성금형(34)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결패턴형성금형(32) 동일한 위치에 형성되는 것을 고려할 수 있다. 여기서 동일한 위치라 함은 단위 판소재를 기준으로 한 것으로서 판소재의 양쪽 측면에 연결패턴형성금형(32)이 위치되는 상태에서 상기 이송패턴형성금형(34)이 단위 판소재의 상단 및 하단에 위치되게 됨을 의미한다. 이로써, 상기 이송패턴(7)은 각 단위 판소재 기준으로 상, 하부의 이송패턴(7)이 한 번에 형성될 수 있어, 첫 번째 이송패턴 형성 후 그 다음 이송패턴 형성 사이에 수행되는 이송에 따른 상, 하부 이송패턴의 오차를 방지할 수 있다.The transfer pattern forming die 34 may be formed at the same position as the connection pattern forming die 32, as shown in FIG. Here, the same position means that the transfer pattern forming die 34 is positioned at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unit plate material in a state where the connection pattern forming metal mold 32 is positioned on both side surfaces of the plate material, . As a result, the transfer pattern 7 can be formed on the upper and lower transfer patterns 7 at one time on the basis of each unit plate material, and can be transferred to the next transfer pattern formation after the first transfer pattern is formed It is possible to prevent an error of the upper and lower transfer patterns.

그리고, 상기 연결패턴형성금형(32)과 이송패턴형성금형(34)은 상대적인 위치가 상호 고정된 상태 연결패턴 형성과 이송패턴(7) 형성을 동시에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연결패턴(5)과 이송패턴(7) 사이에 발생될 수 있는 상대적인 위치의 오차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The connection pattern forming metal mold 32 and the transfer pattern forming metal mold 34 may preferably simultaneously form a state connecting pattern and a transfer pattern 7 in which relative positions are mutually fixed. Thereby, it is possible to prevent an error of a relative position that may be generated between the connection pattern 5 and the transfer pattern 7 in advance.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패턴형성금형(32)을 나타낸다. 그리고,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패턴형성금형(32)에 따른 판소재의 연결상태를 나타내며, 도 13은 연결패턴형성금형(32)의 구체적인 형상을 나타내는 정면도, 평면도, 측면도를 나타낸다.
Meanwhile, as described above, FIG. 11 shows a connection pattern forming die 32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shows a connection state of the plate material according to the connection pattern forming metal mold 32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3 is a front view, a plan view, and a side view showing a concrete shape of the connection pattern forming metal mold 32, Fig.

상기 연결패턴(5)을 상호 연결함에 있어서는 판소재의 단부에 형성된 연결패턴(5)을 상호 결합시키기 위한 압인 과정이 요구된다.In connecting the connection patterns 5, a pressing process is required to connect the connection patterns 5 formed at the end portions of the plate material.

이러한 압인 과정에서는 압인 과정에서는 연결패턴(5)을 상호 연결함에 있어서 마찰에 의하여 연결 부위에서 미세 가루가 발생된다. 이러한 미세 가루는 이송되는 판소재의 하면에 묻게 되고, 이송 후 연속 프레스 성형과정에서 상기 미세가루가 판소재에 있어서 프레스 성형의 대상이 되는 지점에 위치될 경우 완성품의 불량을 야기하는 문제점이 있었다.In this stamping process, in the stamping process, fine powder is generated at the connection site due to friction in interconnecting the connection patterns (5). Such fine powder is buried in the lower surface of the plate material to be conveyed, and when the fine powder is placed in the plate material at the point of press molding in the continuous press forming process after the transfer, there is a problem that the finished product is defective.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패턴형성금형(32)은 판소재 진행 방향을 기준으로 상부금형(32a), 중간부금형(32b), 하부금형(32c)으로 금형의 구간을 나누고, 상기 중간부금형(32b)은 상기 상부금형(32a) 및 하부금형(32c)에 비하여 판소재 내측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하여, 결과적으로 중간부금형(32b)에 대응되는 판소재의 연결패턴은 판소재를 연결함에 있어서 맞물리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the connection pattern forming metal mold 32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upper metal mold 32a, a middle metal mold 32b, and a lower metal mold 32c, The intermediate mold 32b is formed so as to protrude inwardly of the plate material as compared with the upper mold 32a and the lower mold 32c and consequently the plate material corresponding to the intermediate mold 32b, It is preferable that the connection pattern of the plate material is not engaged when connecting the plate material.

즉,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간부금형(32b)은 판소재의 내측으로 상부금형 및 하부금형에 비하여 돌출되어 있으며, 결과적으로 판소재의 연결패턴(5)에 있어서 함몰된 중간부패턴(5b)을 형성하게 된다.That is, as shown in FIG. 11, the intermediate mold 32b protrudes inwardly of the plate material compared to the upper mold and the lower mold. As a result, the intermediate pattern 32b, which is recessed in the connecting pattern 5 of the plate material, (5b).

그리고, 이러한 중간부패턴(5b)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판소재의 연결부위에 중간공극부(3b)를 형성하게 됨으로써 적어도 중간공극부(3b)에서의 미세 가루 생성을 억제하게 된다.As shown in Fig. 12, the intermediate part pattern 5b forms the intermediate void part 3b at the connection part of the plate material, thereby suppressing the generation of fine powder at least in the intermediate void part 3b.

연속 프레스기에 있어서, 판소재의 상부 및 하부는 이송패턴(7)을 형성하여 제품성형부로의 이송을 위한 것으로서 성형 후 절단되어 제거된다. 따라서, 상부 및 하부에서 미세 가루가 발생되더라도 최종 성형 완성품의 품질에는 영향을 미치는 가능성이 매우 낮다고 할 것이다.In the continuous press machine,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plate material form a transfer pattern 7 for transfer to a product molding section, which is cut off after molding and removed. Therefore, even if fine powder is generated in the upper part and the lower part, the possibility of affecting the quality of the final molded product is very low.

반면, 중간공극부(3b)가 위치된 판소재의 중간부분은 연속 프레스 성형이 이루어져 최종 완성품이 생성되는 부위에 해당하므로, 이 부분에서 미세 가루 생성되면 최종 제품에 치명적인 영향을 미치게 된다. On the other hand, the middle portion of the plate material in which the intermediate void portion 3b is located corresponds to a portion where continuous press forming is performed and the final finished product is produced, so that when fine powder is formed at this portion, the final product is seriously affected.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이 중간부금형(32b)을 판소재 내측으로 돌출되도록 마련함으로써 최종 성형 완성품의 불량을 현격히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Therefore, as described above, provision of the intermediate mold 32b to protrude inwardly of the plate material has the advantage of significantly reducing the defects of the final molded product.

한편, 상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패턴형성금형(32)은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면가이드부(32d)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측면가이드부(32d)는 연결패턴형성금형(32)의 상면 가장자리에 판소재의 이송방향과 평행하도록 돌출된 벽면을 형성하여, 상기 판소재가 인출됨에 있어서 폭방향 움직임을 감소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화 같이 판소재의 인출에 있어서 폭방향 움직임을 감소시킴으로써 특히 연결패턴(5) 및 이송패턴(7)의 형성과정에서 판소재의 폭방향 움직임에 따른 오차를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The connection pattern forming die 32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side guide portion 32d as shown in FIG. The side surface guide portion 32d forms a wall surface projecting on the upper edge of the connection pattern forming metal mold 32 so as to be parallel to the direction of conveyance of the plate material so as to reduce the movement in the width direction when the plate material is drawn out do. The movement of the plate material in the width direction during the drawing process of the plate material, in particular, prevents an error due to the movement of the plate material in the width direction during the process of forming the connection pattern 5 and the transfer pattern 7.

도 14 및 도 15는 커팅연결금형에서 절단되는 판소재의 절단 각도를 나타내는 평면도에 해당한다.Figs. 14 and 15 correspond to plan views showing cutting angles of the plate material cut in the cutting connecting mold.

종래기술의 경우, 판소재를 절단한 후 이송함에 있어서, 정확하게 수평방향으로 판소재를 절단하고, 아울러 수평방향으로 이송함에 따라서, 절단 대기중인 판소재외 이미 절단된 판소재 사이의 마찰이 발생되었다. 보다 상세하게는 절단 대기 중인 판소재의 하부와 이미 절단된 판소재의 상부가 서로 마찰되며, 이러한 마찰에 따라 불필요한 미세 가루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In the prior art, when the plate material is cut and transported, the plate material is accurately cut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as the plate material is transport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friction occurs between the already-cut plate material and the plate material waiting to be cut . More specifically, the lower portion of the plate material waiting to be cut and the upper portion of the already cut plate material are rubbed against each other, and unnecessary fine powder is generated according to such friction.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도 14 및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커팅연결금형(33)에서 상기 판소재를 절단함에 있어서, 판소재의 이송방향을 기준으로, 이송방향의 반대측 단부는 그대로 고정하고 이송방향의 단부를 일정 각도 θ 만큼 기울기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as shown in FIGS. 14 and 15, in cutting the plate material in the cutting connecting metal mold 33, the plate material is moved in the direction opposite to the feeding direc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end portion is fixed as it is, and the end portion in the transport direction is inclined by a predetermined angle?.

이 경우,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판소재가 이송됨에 따라서 이격공간(L)이 형성되어 결과적으로 절단 후 판소재를 이송함에 있어서 절단 대기중인 판소재와의 마찰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도 14는 설명을 돕기 위하여 다소 과장하여 나타낸 것이며, 매우 미세한 각도를 형성하여 충분히 구현할 수 있다 할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이격공간의 폭은 (이송거리)*(tanθ)에 해당한다.In this case, as shown in FIG. 15, as the plate material is fed, the spacing space L is formed. As a result, friction between the plate material and the plate material in the cutting standby state can be prevented. Meanwhile, FIG. 14 is exaggerated in somewhat exaggerated form in order to facilitate explanation, and a very fine angle can be formed and sufficiently implemented. Specifically, the width of the spacing space corresponds to (transfer distance) * (tan?).

그리고, 도 14 및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패턴(5)에 의해 연결된 판소재에 있어서 연결 부위의 평면상 상부와 하부에 절곡된 불규칙선이 형성된다. 즉, 상기 연결패턴(5)의 상부 또는 하부의 단부가 상기 θ 탄젠트 값에 비례하는 길이만큼 완전히 연결되지 않는 것이다. 이러한 부분은 향후 절단되어 버려지는 부분이므로 최종적인 성형 완성품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게 된다.
As shown in FIGS. 14 and 15, the plate material connected by the connection pattern 5 is formed with irregular lines bent at the upper and lower planes of the connection portion. That is, the upper or lower end of the connection pattern 5 is not completely connected by a length proportional to the? Tangent value. This part will be cut off and discarded in the future, so it will not affect the final molded product.

한편, 도 16 내지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패턴(5)의 연결관계를 나타내는 발췌도에 해당한다.16 to 17 correspond to excerpts showing connection relationships of the connection pattern 5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커팅연결금형에서 절단된 판소재는 연결패턴(5)을 통하여 상호 양단부가 연결되어 제품성형부(50)로 이송된다. 상기 연결패턴(5)을 상호 연결시킴에 있어서는 기 절단되어 우측으로 미리 이송된 판소재의 좌측 연결패턴(5)을 아래에 두고 새로이 절단한 판소재의 우측 연결패턴(5)을 얹은 상태에서 압인 과정을 거치게 된다. The plate material cut in the cutting connection mold is connected to both ends of the plate material through the connection pattern 5 and is conveyed to the product forming section 50. In connecting the connecting patterns 5, the right connecting pattern 5 of the plate material is placed on the left side of the left connecting pattern 5 of the plate material previously cut and transported to the right, .

종래기술의 경우, 각 피치 사이의 거리를 고려하여 연결패턴(5)의 형성 위치를 피치거리의 절반에 해당하도록 형성시킨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은 미세한 늘어남으로 인하여 연결되는 부위의 피치 거리가 다른 피치거리보다 증가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In the prior art, the formation position of the connection pattern 5 is formed to correspond to half of the pitch distance in consideration of the distance between each pitch. However, due to the fine elongation as described abov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pitch distance of the connected portion is increased compared to other pitch distances.

이에,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도 16 및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양단부에 형성된 연결패턴(5)의 양측 단부와 상기 양측 단부에 각각 최인접하는 이송패턴과의 거리의 합이, 상기 최인접 이송패턴 이외의 상호 인접하는 이송패턴 사이의 거리보다 일정 거리 짧게 형성하여, 연결패턴(5)의 상호 연결시 발생되는 연결부위의 늘어남을 미리 상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as shown in FIGS. 16 and 17, the sum of distances between the both side ends of the connection pattern 5 formed at the both ends and the transfer pattern closest to the both side ends, It is preferable that the distance between the adjacent transfer patterns other than the adjacent transfer pattern is formed to be shorter than the distance between the adjacent transfer patterns so as to cancel out the elongation of the connection portion generated at the time of mutual connection of the connection patterns 5 in advance.

즉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 전 상태인 x 및 y의 합을 피치 거리인 P 보다 작게 형성함으로써 결과적으로 압인 과정에서 연결부가 늘어나게 되어 최종적으로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x' 과 y'의 합이 피치거리 P와 같아지도록 하는 것이다.
That is, as shown in FIG. 16, the sum of x and y before connection is made smaller than P, which is the pitch distance. As a result, the connecting portion is enlarged in the process of indenting. As a result, So that the sum becomes equal to the pitch distance P.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에예 따른 연속 프레스기에 대하여 구성적인 특징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In the foregoing, the continuous press machi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focusing on its constituent features.

이하에서는, 본 발명을 판소재 가공 방법의 단계적인 측면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terms of steps of a plate material processing method.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속 프레스 장치의 판소재 가공 방법의 각 단계를 나타내는 순서도에 해당한다.FIG. 18 is a flowchart showing respective steps of a method of processing a plate material in a continuous press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판소재 가공 방법은 i) 판소재인출단계, ii) 연결패턴형성단계, iii) 이송패턴형성단계, iv) 판소재절단단계, v) 연결패턴연결단계, v) 이송단계를 포함한다.
18, a plate material process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i) a plate material withdrawing step, ii) a connection pattern forming step, iii) a transfer pattern forming step, iv) a plate material cutting step, v ) Connection pattern connection step, and v) transfer step.

상기 판소재 인출단계는 롤형태의 판소재를 일정 간격으로 인출하여 판소재 가공 장치로 제공하는 단계에 해당한다.The step of taking out the plate material corresponds to a step of taking out the plate material of the roll form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nd providing the same to the plate material processing apparatus.

그리고, 상기 연결패턴형성단계는 상기 판소재의 폭방향 양단에 상기 판소재 폭방향 상호 간을 연결할 수 있는 연결패턴을 형성하는 단계에 해당한다.The connection pattern forming step corresponds to a step of forming connection patterns connecting the widthwise sides of the plate material with each other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plate material.

한편, 상기 이송패턴형성단계는 판소재의 상부 및 하부에 판소재의 이송을 위한 이송패턴을 형성하는 단계에 해당한다.The transfer pattern forming step corresponds to a step of forming a transfer pattern for transferring the plate material to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plate material.

그리고, 상기 판소재절단단계는 이송패턴과 연결패턴이 형성된 판소재를 일정길이로 절단하는 단계에 해당한다.The step of cutting the plate material corresponds to a step of cutting the plate material having the transfer pattern and the connection pattern to a predetermined length.

한편, 상기 연결패턴연결단계는 상기 절단된 판소재의 일단에 형성된 연결패턴을 미리 절단된 판소재의 타단에 형성된 연결패턴에 연결하는 단계에 해당한다.The connection pattern connecting step corresponds to connecting the connection pattern formed at one end of the cut plate material to the connection pattern formed at the other end of the plate material cut in advance.

그리고, 상기 이송단계는, 연결된 판소재를 이송수단을 이용하여 제품성형부(50)로 이송시키는 단계에 해당한다.
The conveying step corresponds to a step of conveying the connected plate material to the product forming unit 50 using the conveying unit.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 별로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하며, 상술한 설명과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먼저, 본 발명의 판소재 가공 방법은 기본적으로 롤 형태의 판소재를 일정 길이 단위로 인출 및 절단하고, 절단된 상기 판소재의 폭방향 양단을 상호 연결하여 제품성형부로 공급하는 것으로서, 상기 롤형태의 판소재를 일정 간격으로 인출하는 판소재인출단계; 상기 판소재의 폭방향 양단에, 상기 판소재 폭방향 상호 간을 연결할 수 있는 연결패턴을 형성하는 연결패턴형성단계; 및 상기 판소재를 일정 길이로 절단하는 판소재절단단계;를 기본적으로 포함한다.
First, the plate material processing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basically draws and cuts a plate material of a roll type in a predetermined length unit, connects both ends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cut plate material to each other and supplies them to the product molding section, A plate material drawing step of drawing the plate material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 connection pattern forming step of forming connection patterns at both ends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plate material so as to connect the plate material in the width direction; And a plate material cutting step of cutting the plate material to a predetermined length.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연결패턴형성단계는 상기 판소재 절단단계에서 절단된 판소재 상호 간을 연결함에 있어서 연결패턴의 오차를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판소재 절단단계에서 절단될 상기 판소재의 상기 일정 길이 단위로 일체로서 연결패턴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connecting pattern forming ste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prevent an error of a connecting pattern in connecting the plate materials cut in the plate material cutting step, It is preferable that the connection pattern is integrally formed by the unit of the predetermined length of the connection pattern.

그리고, 상기 절단된 판소재의 상단부 및 하단부에 폭방향에 이송패턴을 형성하는 이송패턴형성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이송패턴형성단계와 연결패턴형성단계는 상기 이송패턴과 연결패턴 사이의 상호 오차를 방지하기 위하여 금형이 상호 고정된 상태로 동시에 수행된다.The transfer pattern forming step and the connecting pattern forming step may further include a transfer pattern forming step of forming a transfer pattern in the width direction at the upper end and the lower end of the cut plate material, So that the molds are mutually fixed.

한편, 상기 연결패턴형성단계 및 이송패턴형성단계는 상기 연결패턴 및 이송패턴을 형성함에 있어서, 상기 이송패턴은 일정 간격으로 형성된 볼 수개의 피치 홀로 이루어지며, 상기 연결패턴의 양측 단부와 상기 양측 단부에 각각 최인접하는 피치 홀의 거리의 합이, 상기 피치홀의 상기 일정 간격의 거리보다 짧게 형성하여, 상기 연결패턴의 상호 연결시 발생되는 연결부위의 늘어남을 상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connection pattern forming step and the transfer pattern forming step may include forming a connection pattern and a transfer pattern, wherein the transfer pattern is formed of a number of pitch holes formed at regular intervals, and both side ends of the connection pattern, And the distance of the pitch holes contacting each other in the pitch hole is shorter than the distance of the constant pitch of the pitch hole to cancel the elongation of the connection portion generated when the connection patterns are interconnected.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상기 연결패턴형성단계는 상기 연결패턴을 형성하는 연결패턴형성금형을 상기 판소재의 양단부에 마련하되, 상기 판소재의 인출 방향을 기준으로 연결패턴형성금형을 상부금형, 중간부금형 및 하부금형으로 나누고 상기 중간부금형은 상기 상부금형 및 중간부금형에 비하여 상기 판소재의 내측으로 돌출되도록 하여, 상기 판소재의 연결패턴의 중간부에 함몰된 중간부패턴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forming a connection pattern, the method comprising: forming a connection pattern forming die for forming the connection pattern on both end portions of the plate material, Wherein the intermediate mold is divided into an upper mold, a middle mold, and a lower mold, and the intermediate mold is protruded to the inside of the plate material as compared with the upper mold and the intermediate mold, .

여기서, 상기 중간부패턴은 상기 절단된 판소재가 상호 연결됨에 있어 상기 중간부패턴에 상호 마주보는 부분에 상호 연결되지 않는 중간공극부를 형성한다.Here, the intermediate part pattern forms an intermediate void part which is not mutually connected to the mutually facing part of the intermediate part pattern when the cut plate materials are mutually connected.

한편, 상기 연결패턴형성단계는 상기 연결패턴형성금형의 상면 가장자리에 상기 판소재의 인출방향과 평행하도록 상면으로 돌출된 벽면을 포함하는 측면가이드부 마련하여, 상기 판소재가 인출됨에 있어서 폭방향 움직임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connection pattern forming step may include a side surface guide portion having a wall surface protruding from the upper surface so as to be parallel to the drawing direction of the plate material on the upper surface edge of the connection pattern forming metal mold, .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판소재절단단계는 상기 판소재를 절단함에 있어서 상기 판소재의 절단 후 수평 이송 방향을 기준으로 이송 방향 측 단부를 판소재의 평면상에서 일정각도 θ 만큼 상방으로 기울인 상태로 판소재를 절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cutting a plate material, the method comprising cutting a plate material, cutting the plate material, It is preferable to cut the plate material in a state in which the plate material is inclined upward.

그리고, 상기 판소재의 상기 연결패턴이 상호 연결되는 판소재연결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연결패턴의 상부 또는 하부의 단부가 상기 θ의 탄젠트 값에 비례하는 길이만큼 완전히 연결되지 않게 된다.The plate material connecting step may further include a plate material connecting step in which the connecting patterns of the plate material are mutually connected. The upper or lower end of the connecting pattern is not completely connected by a length proportional to the tangent of?.

또한, 상기 연결된 판소재를 제품성형부로 이송하는 이송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이송단계에 있어서 절단 대기 중인 판소재와 이송되는 판소재 사이는 이격공간이 형성되어 상호 간의 마찰이 발생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이격공간의 폭은 (이송거리)*(tanθ) 으로 특정된다.
In addition, 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transferring the connected plate material to a product forming unit, wherein a space is formed between the plate material being waiting for cutting in the transfer step and the plate material to be transferred, . Specifically, the width of the spacing space is specified by (transfer distance) * (tan?).

1 : 연속 프레스기
3 : 판소재
3a : 상부연결부
3b : 중간공극부
3c : 하부연결부
5 : 연결패턴
5a : 상부패턴
5b : 중간부패턴
5c : 하부패턴
7 : 이송패턴
10 : 프레스본체
11 : 상부 램
13 : 하부 베이스
20 : 판소재공급장치
21 : 판소재권취롤
23 : 재료공급롤
30 : 이송연결패턴성형부
31 : 이송연결패턴형성금형
32 : 연결패턴형성금형
32a : 상부금형
32b : 중간부금형
32c : 하부금형
33 : 컷팅연결금형
34 : 이송패턴형성금형
35 : 공급소재리프트
37 : 이송소재리프트
40 : 판소재이송장치
50 : 제품성형부
51 : 성형패턴형성금형
1: continuous press
3: plate material
3a: Upper connection
3b:
3c: Lower connection
5: Connection pattern
5a: upper pattern
5b: intermediate pattern
5c: Lower pattern
7: Feed pattern
10: Press body
11: upper ram
13: Lower base
20: plate material supply device
21: Plate material winding roll
23: Material supply roll
30: conveying connection pattern forming part
31: Mold for forming a transfer connection pattern
32: Connection pattern forming mold
32a: upper mold
32b: intermediate mold
32c: Lower mold
33: Cutting connection mold
34: Transfer pattern forming mold
35: Supply material lift
37: Feed material lift
40: Sheet material conveying device
50: product molding section
51: forming pattern forming mold

Claims (8)

롤 형태의 판소재를 일정 길이 단위로 인출 및 절단하고 절단된 상기 판소재의 폭방향 양단을 상호 연결하여 제품성형부로 공급하는 판소재공급장치를 포함하는 연속 프레스기에 있어서,
롤 형태로 권취된 판소재를 일정 간격으로 공급하는 판소재 인출부;
상기 판소재의 폭방향 양단에 마련되고 상기 판소재 상호 간을 연결할 수 있는 연결패턴을 형성하는 연결패턴형성금형; 및
상기 연결패턴이 형성된 판소재를 일정 길이로 절단하는 커팅연결금형;를 포함하며,
상기 커팅연결금형은,
상기 판소재를 절단함에 있어서,
상기 판소재의 절단 후 수평 이송 방향을 기준으로 이송 방향 측 단부를 판소재의 평면상에서 일정 각도 θ 만큼 상방으로 기울인 상태로 판소재를 절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 프레스기.
And a plate material supply device for drawing and cutting the plate material in a roll unit in a predetermined length unit and connecting both ends of the plate material in the width direction to each other and supplying the cut material to the product forming unit,
A plate material withdrawing portion for supplying the plate material wound in a roll shape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 connection pattern forming die provided at both ends of the plate material in the width direction and forming a connection pattern connecting the plate materials; And
And a cutting connection mold for cutting the plate material having the connection pattern formed therein to a predetermined length,
The cutting connecting metal mold,
In cutting the plate material,
Wherein the plate material is cut in a state in which the end in the conveying direction is inclined upward by a predetermined angle? On the plane of the plate material with reference to the horizontal conveying direction after the plate material is cu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판소재는 상기 연결패턴이 상호 연결됨에 있어서,
상기 연결패턴의 상부 또는 하부의 단부가 상기 θ 의 탄젠트 값에 비례하는 길이만큼 완전히 연결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 프레스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In the plate material, when the connection patterns are mutually connected,
And an upper or lower end of the connection pattern is not completely connected by a length proportional to the tangent of?.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판소재는 이송됨에 있어서,
절단 대기 중인 판소재와 이송되는 판소재 사이는 이격공간이 형성되어 상호 간의 마찰이 발생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 프레스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In transferring the plate material,
Wherein a spacing space is formed between the plate material waiting to be cut and the plate material being fed so that friction between the plate material and the plate material is not generated.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이격공간의 폭은 (이송거리)*(tanθ)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 프레스기.
The method of claim 3,
And the width of the spacing space is (traverse distance) * (tan?).
롤 형태의 판소재를 일정 길이 단위로 인출 및 절단하고, 절단된 상기 판소재의 폭방향 양단을 상호 연결하여 제품성형부로 공급하는 연속 프레스기 판소재 가공 방법에 있어서,
상기 롤형태의 판소재를 일정 간격으로 인출하는 판소재인출단계;
상기 판소재의 폭방향 양단에, 상기 판소재 폭방향 상호 간을 연결할 수 있는 연결패턴을 형성하는 연결패턴형성단계; 및
상기 판소재를 일정 길이로 절단하는 판소재절단단계;
를 포함하며,
상기 판소재절단단계는,
상기 판소재를 절단함에 있어서,
상기 판소재의 절단 후 수평 이송 방향을 기준으로 이송 방향 측 단부를 판소재의 평면상에서 일정각도 θ 만큼 상방으로 기울인 상태로 판소재를 절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 프레스기의 판소재 가공 방법.
A continuous press machine plate material processing method for drawing and cutting a roll material in a predetermined length unit and connecting both ends of the cut material in the width direction to each other to supply the product to a product forming section,
A plate material drawing step of drawing the plate material of the roll shape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 connection pattern forming step of forming connection patterns at both ends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plate material so as to connect the plate material in the width direction; And
A plate material cutting step of cutting the plate material to a predetermined length;
/ RTI >
In the plate material cutting step,
In cutting the plate material,
Wherein the plate material is cut in a state in which the end in the conveying direction is inclined upward by a predetermined angle? On the plane of the plate material with reference to the horizontal conveying direction after the plate material is cut.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판소재의 상기 연결패턴이 상호 연결되는 판소재연결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연결패턴의 상부 또는 하부의 단부가 상기 θ의 탄젠트 값에 비례하는 길이만큼 완전히 연결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 프레스기의 판소재 가공 방법.
6. The method of claim 5,
And a plate material connecting step in which the connection patterns of the plate material are mutually connected,
Wherein an upper or lower end of the connection pattern is not completely connected by a length proportional to a tangent value of the < RTI ID = 0.0 >#.≪ / RTI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된 판소재를 제품성형부로 이송하는 이송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이송단계에 있어서,
절단 대기 중인 판소재와 이송되는 판소재 사이는 이격공간이 형성되어 상호 간의 마찰이 발생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 프레스기의 판소재 가공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And a transfer step of transferring the connected plate material to a product molding section,
In the transfer step,
Wherein a spacing space is formed between a plate material in a waiting state for cutting and a plate material to be fed so that friction between the plate material and the plate material is not generated.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이격공간의 폭은 (이송거리)*(tanθ)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 프레스기의 판소재 가공 방법.
8.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width of the spacing space is (transfer distance) * (tan?).
KR1020140055042A 2014-05-08 2014-05-08 a consecutive presser and a plate fabricating method thereof KR10154940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5042A KR101549402B1 (en) 2014-05-08 2014-05-08 a consecutive presser and a plate fabricating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5042A KR101549402B1 (en) 2014-05-08 2014-05-08 a consecutive presser and a plate fabricating method thereof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49402B1 true KR101549402B1 (en) 2015-09-02

Family

ID=542469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55042A KR101549402B1 (en) 2014-05-08 2014-05-08 a consecutive presser and a plate fabricating method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49402B1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2690B1 (en) 2007-04-26 2007-08-29 주식회사진영정기 Consecutive presser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2690B1 (en) 2007-04-26 2007-08-29 주식회사진영정기 Consecutive presse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132648B1 (en) Method of blanking elements of belt for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KR100658531B1 (en) Seat rail manufacture device and method
CN102452002A (en) Blanking method and system for automobile plate
JP2014512276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flanged drawn member by simultaneous cutting
KR101549403B1 (en) a consecutive presser and a plate fabricating method thereof
JP7081691B2 (en) Manufacturing method of press-molded products and press line
KR20130016305A (en) Bandolier with laterally offset and spaced work piece
KR100772170B1 (en) Mold device for forming eyelet and eyelet manufactureing for method
KR101549402B1 (en) a consecutive presser and a plate fabricating method thereof
KR101549405B1 (en) a consecutive presser and a plate fabricating method thereof
KR100752690B1 (en) Consecutive presser
KR101606324B1 (en) compound mold
KR101892715B1 (en) Drawing device that can prevent deformation in trimming process
JP3648683B2 (en) Profiled material manufacturing method for forming thin plates into thick plates with a punch press
KR101116625B1 (en) Guide pin combined lift pin and consecutive pressing apparatus using same
KR100655456B1 (en) Link member manufacturing method and manufacturing mold thereof
KR200241321Y1 (en) manufacturing device of separate tie for construction
KR101906112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composite film
JPH0459765B2 (en)
JP4798139B2 (en) Forging apparatus and forging method
CN104416043B (en) The porous punching of a kind of saw blade processes forming method without particle
JPH09321092A (en) Manufacture of carrier tape
KR101873250B1 (en) Method for forming a metal plate into waveform
JP2003033843A (en) Forging press equipped with device for spraying lubricant and method for spraying lubricant used for forging press equipped with device for spraying lubricant
JPH02255233A (en) Fixed size feeding and cutting device for fine wi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1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2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