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49353B1 - 생체 음원 인식 기능을 갖는 스마트 와치 - Google Patents

생체 음원 인식 기능을 갖는 스마트 와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49353B1
KR101549353B1 KR1020140160464A KR20140160464A KR101549353B1 KR 101549353 B1 KR101549353 B1 KR 101549353B1 KR 1020140160464 A KR1020140160464 A KR 1020140160464A KR 20140160464 A KR20140160464 A KR 20140160464A KR 101549353 B1 KR101549353 B1 KR 1015493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unit
user
sound source
detection sen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604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성용
Original Assignee
조성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성용 filed Critical 조성용
Priority to KR10201401604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4935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493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49353B1/ko
Priority to PCT/KR2015/011351 priority patent/WO2016080669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Abstract

생체 음원 인식 기능을 갖는 스마트 와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생체 음원 인식 기능을 갖는 스마트 와치는 사용자의 신체에 착용하는 하우징부; 상기 하우징부에 설치되고, 사용자의 피부와 접촉하여 사용자가 입력하는 생체 음원 신호를 검출하는 감지 센서부; 사용자 신체의 접촉 위치에 대응하는 키패드 화면이 표시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감지 센서부에서 검출한 생체 음원 신호를 분석하여 상기 생체 음원 신호가 발생된 위치에 대응하는 접촉 위치를 검색하며, 상기 검색된 접촉 위치의 키패드 데이터가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의 제어 신호에 따라 키패드 화면과, 상기 검색된 접촉 위치의 키패드 데이터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생체 음원 인식 기능을 갖는 스마트 와치{smart watch with recognition function of bio sound source}
본 발명은 생체 음원 인식 기능을 갖는 스마트 와치에 관한 것이다. 더 구체적으로는 생체 음원 인식 기능을 갖는 스마트 와치를 착용한 사용자의 신체 일부를 이용하여 데이터의 입력이 가능하도록 인터페이스 하는 생체 음원 인식 기능을 갖는 스마트 와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휴대 단말기는 전자부품의 고감도 소형화 및 경량화 추세에 따라 가고 있으며, 제 1 세대로 바타입(Bar Type)의 휴대 단말기가 보편화 되었고, 제 2 세대로 플립 타입(Flip Type)의 휴대 단말기가 일반화 되었으며, 현재에는 플립 타입과 제 3 세대의 폴더 타입(Folder Type)의 휴대 단말기가 공존한 후 최근에는 제 4 세대의 터치 스크린(touch screen) 즉 스마트폰이 보편화된 추세에 있다.
그리고, 사용자의 신체 또는 손목이나 의류 등에 착용하는 와치 타입(Watch Type) 및 웨어러블 타입(Wearable Type)의 휴대 단말기가 개발되었다.
상기 와치 타입 휴대 단말기 및 웨어러블 타입 휴대 단말기는 사용자의 신체 또는 손목에 착용함으로써, 휴대성이 기존의 휴대 단말기보다 향상되고, 분실의 위험을 방지하며, 부주의한 실수로 사용중에 낙하거나 충격으로 인해 휴대 단말기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 것이다.
이러한 와치 타입 휴대 단말기는 대한민국 공개특허번호 제10-2000-0060420호(발명의 명칭: 손목에 차는 휴대폰 단말기)와, 대한민국 공개특허번호 제10-2011-0066741호(발명의 명칭: 와치형 휴대 단말기) 등에 관련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의 와치 타입 휴대 단말기는 주로 사용자의 손목에 고정시키는 구조이고, 사용자의 휴대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와치 타입 휴대 단말기의 전체적인 크기를 일정 크기 이상 증가시키는 것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와치 타입 휴대 단말기는 작은 디스플레이 화면으로 인해 디스플레이 화면에 설치된 터치 패드를 이용한 문자 등의 데이터 입력이 매우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특허청 공개특허번호 제10-2000-0060420호(발명의 명칭: 손목에 차는 휴대폰 단말기) 대한민국 특허청 공개특허번호 제10-2011-0066741호(발명의 명칭: 와치형 휴대 단말기)
본 발명은 생체 음원 인식 기능을 갖는 스마트 와치를 착용한 사용자의 신체 일부를 이용하여 데이터의 입력이 가능하도록 인터페이스 하는 생체 음원 인식 기능을 갖는 스마트 와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생체 음원 인식 기능을 갖는 스마트 와치로서, 사용자의 신체에 착용하는 하우징부; 상기 하우징부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피부와 접촉하고, 사용자가 신체의 일부를 접촉하여 사용자가 입력하는 생체 음원 신호를 검출하는 감지 센서부; 사용자 신체의 접촉 위치에 대응하는 키패드 화면이 표시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감지 센서부에서 검출한 생체 음원 신호를 분석하여 상기 생체 음원 신호가 발생된 위치에 대응하는 접촉 위치를 검색하며, 상기 검색된 접촉 위치의 키패드 데이터가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의 제어 신호에 따라 키패드 화면과, 상기 검색된 접촉 위치의 키패드 데이터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스마트 와치는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임의의 통신 단말기와 접속하여 상기 입력되는 키패드 데이터가 상기 통신 단말기로 전송되도록 하는 데이터 통신부를 더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사용자의 신체 접촉 위치는 손등 및 아래팔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생체 음원 신호는 사용자의 피부와 접촉해서 발생하는 소리 신호 및 사용자의 피부를 통해 전달되는 근전도 신호 중 적어도 하나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감지 센서부는 하우징의 저면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피부와 접촉해서 발생하는 소리 신호를 검출하는 음원 감지 센서부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감지 센서부는 하우징부의 저면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피부를 통해 전달되는 근전도 신호를 검출하는 제 1 감지 센서부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감지 센서부는 하우징부의 저면에 상기 제 1 감지 센서부와 일정 거리 이격되어 사용자의 피부를 통해 전달되는 근전도 신호를 검출하는 제 2 감지 센서부를 더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제어부는 감지 센서부에서 검출된 생체 음원 신호를 증폭하고 상기 증폭된 신호를 필터링하여 출력하는 신호 검출부; 상기 신호 검출부에서 출력되는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ADC(Analog-to-Digital Converter); 상기 ADC에서 변환된 디지털 신호를 분석하여 생체 음원 신호가 발생된 위치를 분석하고, 상기 분석된 생체 음원 신호의 발생 위치에 대응하는 키패드 데이터를 저장부에서 검색하여 표시되도록 제어하며,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키패드 데이터가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일정 포맷으로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신호 분석부; 및 미리 설정된 일정 포맷의 키패드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신호 분석부는 생체 음원 신호의 전도 속도, 주파수의 특성, 패턴, 시간차, 경로차 및 위상차 및 피부 표면의 근전도 신호 변화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비교하여 상기 생체 음원 신호의 발생 위치를 분석한다.
본 발명은 생체 음원 인식 기능을 갖는 스마트 와치를 착용한 사용자의 신체 일부를 이용하여 데이터의 입력이 가능하도록 인터페이스 함으로써, 데이터 입력을 쉽게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생체 음원 인식 기능을 갖는 스마트 와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생체 음원 인식 기능을 갖는 스마트 와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생체 음원 인식 기능을 갖는 스마트 와치의 제어부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생체 음원 인식 기능을 갖는 스마트 와치의 생체 음원 입력 위치를 나타낸 예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생체 음원 인식 기능을 갖는 스마트 와치의 디스플레이 화면을 나타낸 예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생체 음원 인식 기능을 갖는 스마트 와치의 사용예를 나타낸 예시도이며,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및 첨부하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의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지칭함을 전제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서 어느 하나의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당해 구성요소만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한정되어 해석되지 아니하며, 다른 구성요소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서 "~수단", "~부", "~모듈", "~블록"으로 명명된 구성요소들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들 각각은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또는 이들의 결합에 의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생체 음원 인식 기능을 갖는 스마트 와치가 구현된 일 예를 특정한 실시예를 통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생체 음원 인식 기능을 갖는 스마트 와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생체 음원 인식 기능을 갖는 스마트 와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생체 음원 인식 기능을 갖는 스마트 와치의 제어부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생체 음원 인식 기능을 갖는 스마트 와치(100)는 하우징부(110)와, 입력부(120)와, 감지 센서부(130)와, 제어부(140)와, 디스플레이부(150)와, 데이터 통신부(1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하우징부(110)는 외관을 이루는 몸체가 합성 수지로 형성되거나 스테인레스 스틸(STS) 또는 티타늄(Ti) 등과 같은 금속 재질로 형성되고, 사용자의 손목이나 팔 등 신체에 착용될 수 있도록 복수의 밴드부(101)와, 상기 밴드부(101)가 체결되도록 버클 형태의 결합부(102)가 설치된다.
상기 밴드부(101)는 가죽, 고무, 플라스틱, 금속 재질 등으로 형성될 수 있고, 단일 형상의 띠 또는 다수의 부품이 연결된 띠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부(110)의 내부에 형성된 공간에는 감지 센서부(130)와, 제어부(140)와 디스플레이부(150)와, 데이터 통신부(160)가 설치된다.
또한, 상기 하우징부(110)의 일측에는 스마트 와치(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명령을 입력받기 위해 조작되는 장치로서 입력부(120)가 설치되고, 상기 입력부(120)는 푸시 또는 터치 조작에 의해 정보를 입력받는 돔, 버튼, 터치 패드 등의 스위치 또는 사용자의 음성 정보를 입력받는 마이크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감지 센서부(130)는 하우징부(110)의 저면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피부와 접촉하고, 사용자가 손등(310), 아래팔(330) 등의 신체 일부를 접촉하여 입력하는 생체 음원 신호를 검출하는 구성으로서, 음원 감지 센서부(131)와, 제 1 감지 센서부(132)와 제 2 감지 센서부(133)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생체 음원 신호는 사용자의 피부와 접촉해서 발생하는 소리 신호 및 사용자의 피부를 통해 전달되는 근전도 신호 중 적어도 하나의 신호를 포함한다.
상기 음원 감지 센서부(131)는 사용자의 피부와 접촉해서 발생하는 소리를 검출하는 구성으로서, 예를 들면 손가락으로 손등의 임의의 위치를 터치할 경우 손의 내부 뼈와 살을 통해 접촉이 발생한 위치에서 전달되는 소리의 주파수, 진폭, 진동, 음색 등을 검출하여 제어부(140)로 전송한다.
즉 접촉이 발생된 위치에 따라 서로 다른 소리의 주파수, 진폭, 진동, 음색이 발생하므로 위치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제 1 및 제 2 감지 센서부(132, 133)는 하우징부(110)의 저면에 서로 평행하게 설치되어 사용자가 피부를 접촉하여 발생되는 피부 표면의 미세한 전기적인 생체 음원 신호를 검출하는 구성으로서, 바람직하게는 사용자의 피부를 통해 전달되는 근전도 신호를 검출한다.
또한, 상기 제 1 및 제 2 감지 센서부(132, 133) 중 어느 하나 또는 양쪽 모두에 음원 감지 센서부(131)와 동일한 위치에 설치될 수도 있다.
상기 제 1 감지 센서부(132)는 하우징부(110)의 저면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피부를 통해 전달되는 근전도 신호를 검출하는 구성으로서, 은(Ag) 또는 염화은(AgCl)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된다.
상기 제 2 감지 센서부(133)는 제 1 감지 센서부(132)와 일정 거리 이격되어 하우징부(110)의 저면에 설치되며, 사용자의 피부를 통해 전달되는 근전도 신호를 검출하는 구성으로서, 은(Ag) 또는 염화은(AgCl)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된다.
상기 제 1 및 제 2 감지 센서부(132, 133)는 제 1 및 제 2 감지 센서부(132, 133)간에 소리 신호의 전도 속도와 주파수의 특성, 경로차, 시간차, 위상차 등과 근전도 신호의 차이를 효과적으로 분석하기 위하여 일정 간격으로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음원 감지 센서부(131)와 제 1 및 제 2 감지 센서부(132, 133)를 통해 터치를 통한 음원 신호의 발생 위치 인식의 정확도를 증가시킬 수 있도록 함께 구성하였으나, 음원 감지 센서부(131)만 설치하거나, 제 1 및 제 2 감지 센서부(132, 133)만 개별적으로 설치하여 음원 신호의 발생 위치를 검출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제어부(140)는 스마트 와치(100)가 이동통신 단말기 및 시계로 동작할 수 있도록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며, 메신저 등의 문자 데이터를 입력하기 위해 동작할 경우 디스플레이부(150)를 통해 사용자 신체의 접촉 위치에 대응하는 키패드 화면이 표시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감지 센서부(130)에서 검출한 생체 음원 신호를 분석하여 상기 생체 음원 신호가 발생된 위치에 대응하는 접촉 위치를 검색하며, 상기 검색된 접촉 위치의 키패드 데이터가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구성으로서, 신호 검출부(141)와, ADC(Analog-to-Digital Converter, 142)와, 신호 분석부(143)와, 저장부(14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신호 검출부(141)는 감지 센서부(130)에서 검출된 생체 음원 신호 즉 소리 신호 및 근전도 신호를 증폭하고, 분석에 필요한 주파수 대역을 필터링하여 출력한다.
상기 ADC(142)는 신호 검출부(141)에서 출력되는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상기 신호 분석부(143)는 ADC(142)에서 변환된 디지털 신호를 분석하여 사용자가 피부 접촉을 통해 발생시킨 생체 음원 신호의 발생 위치를 분석하고, 상기 분석된 생체 음원 신호의 발생 위치에 대응하는 키패드 데이터를 저장부(144)에서 검색하여 표시되도록 제어하며, 상기 저장부(144)에 저장된 키패드 데이터가 디스플레이부(150)를 통해 일정 포맷으로 표시되도록 제어한다.
즉 상기 신호 분석부(143)는 감지 센서부(130)에서 검출한 소리 신호의 주파수, 진폭, 진동 및 음색을 비교 분석하여 음원이 발생한 위치를 분석한다.
또한, 감지 센서부(130)에서 검출한 소리 신호가 근육을 통해 전달될 때 발생하는 굴정, 감쇄, 반사, 음향 임피던스 등을 고려하여 소리 신호의 전도 속도와 주파수의 특성, 경로차, 시간차, 위상차를 비교 분석하고, 피부를 통해 전달되는 근전도 신호의 변화를 분석하여 음원이 발생한 위치를 추정한다.
상기 저장부(144)는 스마트 와치(100)의 동작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과 디스플레이부(150)를 통해 표시할 미리 설정된 일정 포맷의 키패드 데이터를 저장한다.
상기 디스플레이부(150)는 스마트 와치(100)의 동작 상태가 표시되도록 하는 구성으로서, 제어부(140)의 제어 신호에 따라 키패드 화면과 상기 검색된 접촉 위치의 키패드 데이터가 표시되도록 한다.
상기 데이터 통신부(160)는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하여 이동통신 기지국과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거나 또는 휴대폰, 스마트폰, 태블릿 PC 등의 통신 단말기(200)와 접속하여 데이터 신호를 송/수신하는 무선 통신모듈이다.
다음은 본 발명에 따른 생체 음원 인식 기능을 갖는 스마트 와치의 동작 과정을 설명한다.
최초 실행시 제어부(140)는 사용자의 프로파일을 생성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로 하여금 손등(310)이나 아래팔(330) 등의 신체 일부의 특정 위치들을 순차 접촉하도록 함으로써, 각 위치 접촉시 신호 검출부(141)에 의하여 출력되는 생체 음원 신호를 저장한다.
신체 일부의 특정 위치들을 반복적으로 접촉함으로써 캘리브레이션이 완료되면, 사용자 프로파일로 저장한다.
향후 신체 일부에 대한 접촉에 의해 생체 음원 신호가 출력되면, 제어부(140)는 기 저장된 사용자 프로파일과 대비하여 접촉 위치를 정확히 판정할 수 있다.
기 저장된 각 위치별 생체 음원 신호와 실제 출력된 생체 음원 신호를 비교하여 가장 가까운 위치의 접촉이 있었던 것으로 판정할 수 있다.
이후, 스마트 와치(100)의 동작시 제어부(140)는 제 1 디스플레이 화면(151)이 디스플레이부(150)를 통해 표시되도록 한다.
이때 데이터 통신부(160)를 통해 메신저 등이 수신되면, 제어부(140)는 문자 데이터 입력을 위해 사용자가 입력부(120)를 통한 음성 입력 또는 손을 이용한 생체 음원 신호의 입력 중 어느 하나로 상기 데이터를 입력하는지 확인한다.
상기 입력부(120)를 통한 음성 입력이 있는 경우 상기 제어부(140)는 입력되는 음성 신호를 음성 인식 프로그램을 통해 인식하여 대응하는 문자 데이터가 표시되도록 한다.
손을 이용한 데이터 입력이 있는 경우 상기 제어부(140)는 감지 센서부(130)를 통해 예를 들면, 사용자가 손등(310)의 임의의 위치를 두 개의 손가락으로 동시에 접촉하는 신호를 입력하는지 확인한다.
손을 이용한 데이터의 입력이 확인되면, 제어부(140)는 저장부(144)에 저장된 제 2 디스플레이 화면(152)이 디스플레이부(150)를 통해 표시되도록 한다.
상기 제 2 디스플레이 화면(152)은 손등(310) 또는 아래팔(330)의 가상 접촉점의 위치에 해당하는 키패드 화면에 디스플레이하는 것으로 사용자는 제 2 디스플레이 화면(152)의 키패드 위치를 보면서 직관적으로 쉽게 손등 또는 아래팔(330)의 해당 위치를 접촉하여 문자를 입력할 수 있게 한다.
즉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본 문자키 입력은 3행 3열 9키로 설정하고, 접촉 위치는 손등(310) 또는 아래팔(330) 중 편한 곳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예를 들어, 손등(310)을 입력 위치로 사용할 경우 손등 입력 위치(311)는 사용자가 눈으로 손등을 보지 않고도 접촉 위치를 쉽게 인식할 수 있도록 중앙(K5)을 중심으로 좌/우/상/하, 한 번씩만 움직여 접촉하면, 해당 키패드의 데이터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입력되는 데이터는 표시창(152a)을 통해 표시한다.
또한, 손가락이 굽혀지는 관절 중 6개의 관절을 기능키로 사용할 수 있으며, 소지는 제 1 기능키 입력 위치(320), 약지는 제 2 기능키 입력 위치(321), 중지는 제 3 기능키 입력 위치(322), 검지는 제 4 기능키 입력 위치(323), 엄지 손가락의 두개의 관절은 제 5 기능키 입력 위치(324)와 제 6 기능키 입력 위치(325)로 선택하여 해당 키패드의 데이터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아래팔(330)을 입력 위치로 사용할 경우 아래팔 입력 위치(331)에서 사용자의 접촉을 통해 해당 키패드의 데이터를 입력할 수도 있다.
또한, 도 5(a)의 한글 입력 화면(153)이나, 도 5(b)의 영문 입력 화면(154)과 같이, 다양한 나라의 언어 입력이 가능하게 되고, 표시창(153a, 154a)을 통해 입력되는 데이터가 표시된다.
또한, 도 6과 같이 스마트 와치(100)의 작은 디스플레이부(150)를 통해 피아노 게임 등의 제 3 디스플레이 화면(155)이 출력되어도 가상의 생체 키패드(332)를 통해 신호를 입력받을 수 있다.
따라서 스마트 와치(100)를 벗지 않고 편안한 자세로 문자 데이터를 입력하거나 게임 등을 즐길 수 있게 된다.
이상 몇 가지의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재사항으로부터 상기 살펴본 실시예를 다양하게 변형하거나 변경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또한, 비록 명시적으로 도시되거나 설명되지 아니하였다 하여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재사항으로부터 본 발명에 의한 기술적 사상을 포함하는 다양한 형태의 변형을 할 수 있음은 자명하며, 이는 여전히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첨부하는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된 상기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기술된 것이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러한 실시예에 국한되지 아니한다.
100 : 스마트 와치 101 : 밴드부
102 : 결합부 110 : 하우징부
120 : 입력부 130 : 감지 센서부
131 : 음원 감지 센서부 132 : 제 1 감지 센서부
133 : 제 2 감지 센서부 140 : 제어부
141 : 신호 검출부 142 : ADC
143 : 신호 분석부 144 : 저장부
150 : 디스플레이부 151 : 제 1 디스플레이 화면
152 : 제 2 디스플레이 화면 152a : 표시창
153 : 한글 입력 화면 153a : 표시창
154 : 영문 입력 화면 154a : 표시창
155 : 제 3 디스플레이 화면 160 : 데이터 통신부
200 : 통신 단말기 300 : 손
310 : 손등 311 : 손등 입력 위치
320 : 제 1 기능키 입력 위치 321 : 제 2 기능키 입력 위치
322 : 제 3 기능키 입력 위치 323 : 제 4 기능키 입력 위치
324 : 제 5 기능키 입력 위치 325 : 제 6 기능키 입력 위치
330 : 아래팔 331 : 아래팔 입력 위치
332 : 생체 키패드

Claims (9)

  1. 사용자의 신체에 착용하는 하우징부(110);
    상기 하우징부(110)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피부와 접촉하고, 사용자가 신체의 일부를 접촉하여 입력하는 생체 음원 신호를 검출하는 감지 센서부(130);
    사용자 신체의 접촉 위치에 대응하는 키패드 화면이 표시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감지 센서부(130)에서 검출한 생체 음원 신호를 분석하여 상기 생체 음원 신호가 발생된 위치에 대응하는 접촉 위치를 검색하며, 상기 검색된 접촉 위치의 키패드 데이터가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140); 및
    상기 제어부(140)의 제어 신호에 따라 키패드 화면과, 상기 검색된 접촉 위치의 키패드 데이터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150);를 포함하되,
    상기 감지 센서부(130)는 상기 하우징부(110)의 저면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피부와 접촉해서 발생하는 소리 신호를 검출하는 음원 감지 센서부(131); 또는 상기 하우징부(110)의 저면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피부를 통해 전달되는 근전도 신호를 검출하는 제 1 감지 센서부(132);를 더 포함하는 생체 음원 인식 기능을 갖는 스마트 와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와치는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임의의 통신 단말기(200)와 접속하여 상기 입력되는 키패드 데이터가 상기 통신 단말기(200)로 전송되도록 하는 데이터 통신부(160)를 더 포함하는 생체 음원 인식 기능을 갖는 스마트 와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신체 접촉 위치는 손등(310) 및 아래팔(33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인 생체 음원 인식 기능을 갖는 스마트 와치.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생체 음원 신호는 사용자의 피부와 접촉해서 발생하는 소리 신호 및 사용자의 피부를 통해 전달되는 근전도 신호 중 적어도 하나인 생체 음원 인식 기능을 갖는 스마트 와치.
  5. 삭제
  6. 삭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 센서부(130)는 하우징부(110)의 저면에 상기 제 1 감지 센서부(133)와 일정 거리 이격되어 사용자의 피부를 통해 전달되는 근전도 신호를 검출하는 제 2 감지 센서부(133)를 더 포함하는 생체 음원 인식 기능을 갖는 스마트 와치.
  8.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140)는 감지 센서부(130)에서 검출된 생체 음원 신호를 증폭하고 상기 증폭된 신호를 필터링하여 출력하는 신호 검출부(141);
    상기 신호 검출부(141)에서 출력되는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ADC(Analog-to-Digital Converter, 142);
    상기 ADC(142)에서 변환된 디지털 신호를 분석하여 생체 음원 신호가 발생된 위치를 분석하고, 상기 분석된 생체 음원 신호의 발생 위치에 대응하는 키패드 데이터를 저장부(144)에서 검색하여 표시되도록 제어하며, 상기 저장부(144)에 저장된 키패드 데이터가 디스플레이부(150)를 통해 일정 포맷으로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신호 분석부(143); 및
    미리 설정된 일정 포맷의 키패드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부(144)를 포함하는 생체 음원 인식 기능을 갖는 스마트 와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분석부(143)는 생체 음원 신호의 전도 속도, 주파수의 특성, 패턴, 시간차, 경로차 및 위상차 및 피부 표면의 근전도 신호 변화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비교하여 상기 생체 음원 신호의 발생 위치를 분석하는 생체 음원 인식 기능을 갖는 스마트 와치.
KR1020140160464A 2014-11-18 2014-11-18 생체 음원 인식 기능을 갖는 스마트 와치 KR1015493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0464A KR101549353B1 (ko) 2014-11-18 2014-11-18 생체 음원 인식 기능을 갖는 스마트 와치
PCT/KR2015/011351 WO2016080669A1 (ko) 2014-11-18 2015-10-27 생체 음원 인식 기능을 갖는 스마트 와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0464A KR101549353B1 (ko) 2014-11-18 2014-11-18 생체 음원 인식 기능을 갖는 스마트 와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49353B1 true KR101549353B1 (ko) 2015-09-02

Family

ID=542469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60464A KR101549353B1 (ko) 2014-11-18 2014-11-18 생체 음원 인식 기능을 갖는 스마트 와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549353B1 (ko)
WO (1) WO201608066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753436B2 (en) 2013-06-11 2017-09-05 Apple Inc. Rotary input mechanism for an electronic device
JP6345782B2 (ja) 2013-08-09 2018-06-20 アップル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電子デバイス用のタクタイルスイッチ
US10048802B2 (en) 2014-02-12 2018-08-14 Apple Inc. Rejection of false turns of rotary inputs for electronic devices
KR102340088B1 (ko) 2014-09-02 2021-12-15 애플 인크. 웨어러블 전자 디바이스
KR102163612B1 (ko) 2015-03-08 2020-10-08 애플 인크. 회전 및 병진 가능한 입력 메커니즘을 갖는 시계
US10061399B2 (en) 2016-07-15 2018-08-28 Apple Inc. Capacitive gap sensor ring for an input device
US10019097B2 (en) * 2016-07-25 2018-07-10 Apple Inc. Force-detecting input structure
US10962935B1 (en) 2017-07-18 2021-03-30 Apple Inc. Tri-axis force sensor
US11360440B2 (en) 2018-06-25 2022-06-14 Apple Inc. Crown for an electronic watch
US11561515B2 (en) 2018-08-02 2023-01-24 Apple Inc. Crown for an electronic watch
CN211293787U (zh) 2018-08-24 2020-08-18 苹果公司 电子表
US11181863B2 (en) 2018-08-24 2021-11-23 Apple Inc. Conductive cap for watch crown
CN209625187U (zh) 2018-08-30 2019-11-12 苹果公司 电子手表和电子设备
US11194298B2 (en) 2018-08-30 2021-12-07 Apple Inc. Crown assembly for an electronic watch
US11194299B1 (en) 2019-02-12 2021-12-07 Apple Inc. Variable frictional feedback device for a digital crown of an electronic watch
US11550268B2 (en) 2020-06-02 2023-01-10 Apple Inc. Switch module for electronic crown assembly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87869A (ja) 2001-03-26 2002-10-04 System Lsi Kk 筋電位信号の識別方式および筋電位信号を用いた入力装置
JP2013121369A (ja) 2011-12-09 2013-06-20 Sony Corp 入力装置及び校正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06044B1 (ko) * 2012-12-10 2021-01-21 삼성전자주식회사 뱅글 타입의 모바일 디바이스와 그 제어 방법 및 ui 표시 방법
KR101440059B1 (ko) * 2013-02-28 2014-09-17 주식회사메디아나 근전도 신호를 이용한 정보 입력 장치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87869A (ja) 2001-03-26 2002-10-04 System Lsi Kk 筋電位信号の識別方式および筋電位信号を用いた入力装置
JP2013121369A (ja) 2011-12-09 2013-06-20 Sony Corp 入力装置及び校正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6080669A1 (ko) 2016-05-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49353B1 (ko) 생체 음원 인식 기능을 갖는 스마트 와치
US9978261B2 (en) Remote controller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system
KR102330655B1 (ko) 자동 제스처 및 손가락 인식을 위한 정맥 스캐닝 디바이스
KR102310776B1 (ko) 광학 센서를 사용해 검출된 모션 제스처 입력
KR100680023B1 (ko) 생체신호를 이용한 착용형 휴대폰 입력 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0793079B1 (ko) 손목착용형 사용자 명령 입력 장치 및 그 방법
US20170215768A1 (en) Wearable controller for wrist
CN203852342U (zh) 一种基于智能腕带的通信系统
EP3246768B1 (en) Watch type terminal
US9619024B2 (en) Virtual input device and virtual input method
US10488937B2 (en) Doppler ultrasound probe for noninvasive tracking of tendon motion
WO2011055326A1 (en) Universal input/output human user interface
RU2689430C1 (ru) Система и способ управления сенсорным экраном с помощью двух костяшек пальцев
CN109101106B (zh) 电子设备
KR20050047329A (ko) 손가락 움직임을 이용한 정보 입력장치 및 방법
KR20170111931A (ko) 전자장치 및 그 동작 방법
US20050148870A1 (en) Apparatus for generating command signals to an electronic device
KR101227052B1 (ko) 손가락 자판 입력 시스템 및 그 방법
CN210442754U (zh) 基于智能手环的操控设备
CN114153334A (zh) 电子设备及其控制方法和控制装置
KR20090032208A (ko) 가상 메뉴 맵을 이용한 원격 제어 시스템 및 방법
KR102263815B1 (ko) 제스쳐인식 웨어러블 디바이스
CN217443748U (zh) 一种智能手表
CN109478131A (zh) 音频输入输出方法和终端设备
CN108268236A (zh) 一种音量控制方法、终端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