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49212B1 - 은닉된 피난처가 구비된 선박 - Google Patents

은닉된 피난처가 구비된 선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49212B1
KR101549212B1 KR1020130114785A KR20130114785A KR101549212B1 KR 101549212 B1 KR101549212 B1 KR 101549212B1 KR 1020130114785 A KR1020130114785 A KR 1020130114785A KR 20130114785 A KR20130114785 A KR 20130114785A KR 101549212 B1 KR101549212 B1 KR 1015492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artment
level sensor
hatch
cargo tank
outs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147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34560A (ko
Inventor
김태식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147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49212B1/ko
Publication of KR201500345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345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492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492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9/00Accommodation for crew or passeng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29/02Cabins or other living spaces; Construction or arrangement thereof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9/00Buildings, groups of buildings or shelters adapted to withstand or provide protection against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e.g. war-like action, earthquake or extreme climate
    • E04H9/04Buildings, groups of buildings or shelters adapted to withstand or provide protection against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e.g. war-like action, earthquake or extreme climate against air-raid or other war-like actions
    • E04H9/06Structures arranged in or forming part of buildings
    • E04H9/08Structures arranged underneath buildings, e.g. air-raid shelte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Burglar Alarm Systems (AREA)

Abstract

선박 내부의 화물탱크와 동일하게 위장하여 침입자들에게 노출되지 않아 선원들을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는 은닉된 피난처가 구비된 선박이 제공된다. 은닉된 피난처가 구비된 선박은, 선체 내부에 위치하며 외부와 격리되어 밀폐된 격실과, 격실의 일측 벽면이 관통되어 형성된 출입구와, 출입구를 밀폐하며 외측 테두리를 따라 복수의 볼트가 결합되고 내측에 잠금장치가 형성된 해치와, 격실의 일측 벽면을 관통하여 설치되며 외형이 레벨센서와 동일한 더미 레벨센서와, 더미 레벨센서의 내부를 통과하여 격실 내부와 외부를 연결하는 통신선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은닉된 피난처가 구비된 선박{Ship having hidden citadel}
본 발명은 은닉된 피난처가 구비된 선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선박 내부의 화물탱크와 동일하게 위장하여 침입자들에게 노출되지 않아 선원들을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는 은닉된 피난처가 구비된 선박에 관한 것이다.
예로부터 선박은 국가간 또는 대륙간 물류수송에 중추적인 역할을 하고 있다. 최근에는 항공기에 의한 물류수송량이 증가하고 있으나, 대량의 물류를 적은 비용으로 운반할 수 있다는 장점 때문에 선박에 의한 물류수송이 아직도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이러한 선박은 속도가 느리고 넓은 바다를 운항해야 하는 특성상 운항 중에 외부 침입자에 의한 공격을 받을 가능성이 높다. 최근에는 통신장비와 관측장비의 발달로 인하여, 외부에서 접근하는 괴선박을 미리 인지하고 도움을 청하여 위험에서 벗어날 수 있는 가능성이 높아졌다. 그러나, 해적과 같은 외부 침입자도 전문화되고 지능화되면서, 목표 선박에 은밀히 접근하여 매우 신속하게 침입을 하여, 선박의 승무원을 인질로 잡고 협상을 하는 일이 많아지고 있다. 따라서, 위험을 인지하고 도움을 요청하더라도, 구조인력이 도착하기 전에 이미 승무원이 인질로 잡히는 경우가 많아졌다.
특히, 대형 화물선이나 유조선 등과 같은 대형 선박은 작은 보트에 나누어 접근하는 침입자의 침입을 막는데 한계가 있다. 따라서, 침입자가 선박에 침입하였을 때, 구조인력이 도착할 때까지 승무원이 피난할 수 있는 피난처가 필요하게 되었으며, 피난처는 침입자에게 쉽게 인지되지 않도록 위장할 필요가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2-0066203호 2012.06.22.
이에,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선박 내부의 화물탱크와 동일하게 위장하여 침입자들에게 노출되지 않아 선원들을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는 은닉된 피난처가 구비된 선박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은닉된 피난처가 구비된 선박은, 선체 내부에 위치하며 외부와 격리되어 밀폐된 격실과, 상기 격실의 일측 벽면이 관통되어 형성된 출입구와, 상기 출입구를 밀폐하며 외측 테두리를 따라 복수의 볼트가 결합되고 내측에 잠금장치가 형성된 해치와, 상기 격실의 일측 벽면을 관통하여 설치되며 외형이 레벨센서와 동일한 더미 레벨센서와, 상기 더미 레벨센서의 내부를 통과하여 상기 격실 내부와 외부를 연결하는 통신선을 포함한다.
상기 더미 레벨센서는, 상기 격실의 외측에 위치하며 상기 레벨센서의 단자대와 동일한 내부 단자대를 포함하는 제1 유닛과, 상기 격실의 내측에 위치하며 상기 내부 단자대와 연결된 통신 중개 모듈 또는 전원 중개 모듈을 포함하는 제2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일단이 상기 내부 단자대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격실 외부의 통신유닛 또는 전력유닛과 연결되는 더미 센서 케이블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해치는 상기 선체 내부에 설치된 화물 탱크의 맨홀 커버와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볼트는 상기 격실의 벽면에 고정되지 않으며, 상기 복수의 볼트에 각각 해체 가능한 너트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격실은 화물 탱크에 인접하여 배치되며, 상기 해치 및 상기 더미 레벨센서는 상기 화물탱크의 맨홀 커버 및 상기 레벨센서와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해치가 결합된 상기 격실의 벽의 두께는 상기 맨홀 커버가 결합된 상기 화물 탱크의 벽의 두께보다 두껍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선박에 해적과 같은 침입자가 승무원이 피해있는 피난처를 쉽게 발견할 수 없어, 승무원의 안전을 보호할 수 있다. 특히, 선박에 의한 지식이 충분한 침입자라고 하더라도 승무원이 피해있는 피난처와 화물탱크의 구별이 쉽지 않아, 피난처를 쉽게 발견할 수 없다.
특히, 피난처와 화물탱크는 외형상 구별이 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피난처에 설치된 구성물을 일부 분해하거나 분리하더라도 화물탱크와 구별이 되지 않아 승무원의 안전을 보장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은닉된 피난처가 구비된 선박의 부분 제1 절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피난처와 화물탱크를 확대 도시한 부분 절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피난처의 해치를 개방한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의 피난처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2의 더미 레벨센서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과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들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단지 청구항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은닉된 피난처를 구비하는 선박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은닉된 피난처가 구비된 선박의 부분절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피난처와 화물탱크를 확대 도시한 부분 절개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은닉된 피난처가 구비된 선박(1)은 화물탱크로 위장한 피난처(10)를 포함한다. 본 명세서 상에서 선박(1)이라 함은, 단순히 화물탱크를 포함하고 있는 화물선만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고, 외부 침입자가 화물탱크를 포함하고 있을 것이라고 판단할 수 있는 모든 해상 구조물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화물탱크는 단순히 화물을 저장하는 탱크뿐만 아니라, 선박(1)에서 사용하는 연료를 저장하는 탱크일 수 있다. 따라서, 연료를 저장하는 탱크를 포함할 수 있는 모든 해상구조물은 선박(1)으로 통칭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선박(1)은 화물탱크(20)로 위장한 피난처(10)와, 실제 화물을 적재할 수 있는 화물탱크(20)를 포함한다. 피난처(10)는 실제 화물탱크(20)와 외형상 식별이 불가능하도록 실제 화물탱크(20) 중 일부를 개조하여 사용할 수 있다.
피난처(1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른 화물탱크(20)에 인접하게 설치되거나, 다른 화물탱크(20)와 이격된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피난처(10)는 선체 내부에 위치하며 외부와 격리되어 밀폐된 격실(101)과, 격실(101)을 출입할 수 있는 출입구(103), 출입구(103)를 밀폐하는 해치(100) 및, 피난처(10)를 화물탱크(20)로 위장하기 위한 더미(Dummy) 레벨센서(110)를 포함한다.
격실(101)은 선체 내부를 구획하는 벽에 의해 형성되며, 격실(101)의 일측 벽면(102)이 관통되어 형성된 출입구(103)를 제외하면 외부와 격리되어 밀폐된다. 격실(101)은 화물탱크(20)의 화물저장실(201)과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출입구(103)는 격실(101)의 일측 벽면(102)이 관통되어 형성되며, 승무원이 출입하는 통로가 된다. 이러한 출입구(103)는 화물탱크(20)의 맨홀(manhole)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으며, 출입구(103)는 외형상 화물탱크(20)의 맨홀커버(200)와 동일한 해치(100)로 밀폐된다.
해치(100)는 출입구(103)를 밀폐하여 외부와 격리하는 역할을 하며, 외측 테두리를 따라 복수의 볼트(108)가 결합되고 내측에는 잠금장치(107)가 형성되어 있다. 해치(100)의 구체적인 구조에 관해서는 구체적으로 후술한다. 해치(100)에 결합된 볼트(108)는 일종의 더미볼트로서, 해치(100)를 맨홀커버(200)로 위장하기 위한 것이다. 볼트(108)는 해치(100)에 고정되며, 해치(100)의 외측으로 너트(109)가 결합된다. 너트(109)는 볼트(108)와 마찬가지로 해치(100)를 맨홀커버(200)로 위장하기 위한 것으로서, 실제로 조이거나 풀리도록 형성하여 침입자가 실제 풀어보더라도 피난처용 해치인 것을 알 수 없도록 위장한다.
해치(100)는 내측에서 잠금장치(107)에 의해 고정되며, 힌지(106)로 결합되어 여닫이 형태로 여닫을 수 있다. 여기서, 힌지(106)는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격실(101)의 내부와 해치(100)의 내측 면을 연결한다. 힌지(106)는 단순하게 한점을 기준으로 회전하는 것뿐만 아니라, 복수 개의 링크로 연결되어 형성될 수도 있다.
더미 레벨센서(110)는 격실(101) 내부와 외부를 연결하는 통신선(119)을 은닉하여, 피난처(10)를 화물탱크(20)로 위장하도록 한다. 격실(101)은 외부와 완전히 밀폐된 구조로서, 피난처용으로 사용되기 위해서는 내부에서 승무원이 생존할 수 있는 필수품이 구비되어 있어야 한다. 예를 들어, 격실(101)의 내부에는 음식물과 같은 생필품과 화장실 등이 구비되어 있어야 하며, 외부와 통신할 수 있는 통신시설이 설치되어 있어야 한다.
생필품과 화장실 등은 반드시 외부와 연결될 필요는 없고, 격실(101) 내부에서 단독으로 기능을 충분히 할 수 있으며, 전원의 경우에도 격실(101) 내부에 배터리 등을 구비하면 반드시 외부와 연결될 필요는 없다. 그러나, 선박(1)의 격실(101)이 통상 철재로 구성된다는 점에서, 격실(101) 내부에서 외부와 무선통신으로 통신하기가 원활하지 않은 면이 있다. 따라서, 격실(101) 내부와 외부를 연결하는 통신선(119)이 필요할 수 있으며, 이러한 통신선(119)을 은닉하기 위하여 더미 레벨센서(110)를 이용할 수 있다. 한편, 액상의 화물을 저장하는 화물탱크(20)에는 각각 레벨센서(210)가 부착되어 있으며, 레벨센서(210)는 중앙의 통제실과 연결되는 센서 케이블(220)과 연결된다.
더미 레벨센서(110)는 실제 레벨센서(210)로부터 연장되는 센서 케이블(220)과 동일한 형상의 더미 센서 케이블(220)과 연결된다. 더미 센서 케이블(220)은 일종의 통신선으로, 외형은 실제 센서 케이블(220)과 동일하나 전달하는 신호는 격실(101) 내부의 통신기기와 연결된 통신선일 수 있다. 여기서, 더미 레벨센서(110)를 통하여 격실(101) 내부와 외부를 연결하는 통신선(119)은 반드시 통신 신호만을 위한 케이블로 한정할 것은 아니며, 전력선 통신 등을 이용할 경우 전력과 통신신호를 동시에 전달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필요에 따라 외부 전원이 필요할 경우, 통신선(119)은 전력선만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을 것이다.
즉, 통신선(119)은 반드시 통신신호만을 전달하기 위한 케이블에 한정될 것은 아니며, 전선 케이블을 통하여 전달할 수 있는 모든 신호를 전달하는 케이블을 포함하는 용어라고 할 것이다. 더미 레벨센서(110)에 관한 구체적인 구성은 구체적으로 후술한다.
한편, 피난처(10)는 격실(101)의 벽면(102)의 두께(t1)가 화물탱크(20)의 벽면의 두께(t2)보다 두껍게 형성될 수 있다. 통상 침입자가 소총이나 수류탄 또는 로켓 발사기와 같은 무기를 소지하고 침입한다는 점을 고려하여, 적어도 개인이 소지할 수 있는 소형 무기를 방어할 수 있을 정도로 격실(101)의 벽면(102)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격실(101)의 벽면(102)은 개인화기로 공격할 수 없도록 두꺼운 철판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격실(101)의 벽면(102)이 철판으로 이루어진다는 점을 고려하면, 침입자가 피난처(10)와 화물탱크(20)를 두드려보면서 차이점을 인지할 수도 있다.
이때, 격실(101)의 벽면(102)이 화물탱크(20)의 벽면보다 두껍게 형성되면, 외부에서 두드려보더라도 격실(101) 내부가 빈 상태를 쉽게 들키지 않을 수 있다.
도 3은 도 1의 피난처의 해치를 개방한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2의 피난처의 단면도이다.
도 3과 도 4를 참조하면, 해치(100)는 격실(101)의 벽면(102)과 동일한 두께로 형성될 수 있으며, 해치(100) 내측에는 잠금장치(107)가 형성된다. 잠금장치(107)는 해치(100)의 외측으로는 노출되지 않으며, 해치(100)의 내측에 형성되어 격실(101) 내부에서만 잠그거나 해제할 수 있다. 잠금장치(107)는 도 3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 가능한 바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에 한정될 필요는 없으며, 해치(100) 내측에서 개방과 폐쇄할 수 있는 구조의 다양한 잠금장치가 가능할 것이다.
격실(101)의 벽면(102)과 해치(100) 사이에는 개스킷(104)이 개재된다. 개스킷(104)은 통상 화물탱크(20)에서 맨홀을 통하여 내부의 액상 화물이 흘러나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구조와 동일하다. 그러나, 피난처(10)에 설치되는 개스킷(104)은 격실(101) 내부와 외부를 밀폐하기 위한 역할뿐만 아니라, 침입자가 해치(100)를 해정하는 과정에서 해치(100)가 맨홀커버(200)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도록 위장하는 역할을 한다. 예를 들어, 개스킷(104)은 침입자가 해치(100)의 너트(109) 중 일부 또는 전부를 풀고, 해치(100)와 격실(101)의 벽면(102) 사이에 공구 등을 넣었을 때, 피난처(10)를 화물탱크(20)로 오인하도록 한다.
한편, 해치(100)는 테두리 부분을 따라 복수의 볼트(108)가 결합되어 있으며, 복수의 볼트(108)에는 각각 해체 가능한 너트(109)가 결합될 수 있다. 볼트(108)는 해치(100)에 결합되어 있으며, 해치(100)의 양면을 관통하여 노출될 수 있다. 볼트(108)의 일측 단부는 격실(101)의 벽면(102)에 형성된 볼트홀(105)에 삽입되고, 타측은 외부로 노출되어 너트(109)가 결합된다. 이때, 볼트홀(105)은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지 않아, 볼트(108)가 단순하게 삽입될 수 있다. 즉, 볼트(108)는 격실(101)의 벽면(102)에는 일단부가 삽입되어 있으나, 해치(100)의 개방과 함께 그대로 이탈되도록 단순 삽입될 수 있다. 이러한 볼트(108)는 침입자가 격실(101)의 벽면(102)과 해치(100) 사이에 공구를 넣어보더라도 실제 맨홀커버(200)를 고정하기 위한 볼트와 구별할 수 없도록 한다.
반면에, 해치(100)의 외측으로 노출된 볼트(108)의 타측 부분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으며, 너트(109)가 고정될 수 있다. 너트(109)는 공구에 의해서 해체가 가능하게 결합되어, 실제 맨홀커버(200)를 고정하는 너트와 구별이 되지 않도록 한다.
도 5는 도 2의 더미 레벨센서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더미 레벨센서(110)는 화물탱크(20)의 실제 레벨센서(210)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형상으로 동일한 위치에 형성된다. 더미 레벨센서(110)는 격실(101)의 외측에 위치하는 제1 유닛(111)과, 격실(101)의 내측에 위치하는 제2 유닛(115)을 포함한다. 제1 유닛(111)과 제2 유닛(115)은 서로 결합되어, 그 일부가 격실(101)의 벽면(102)을 관통하여 고정되거나, 제1 유닛(111)과 제2 유닛(115)은 각각 격실(101)의 외측과 내측에 위치하며, 제1 유닛(111)과 제2 유닛(115)을 연결하는 통신선(119)만 격실(101)의 벽면(102)을 관통할 수 있다.
제1 유닛(111)은 레벨센서(210)의 단자대와 동일한 내부 단자대(112)를 포함한다. 내부 단자대(112)는 레벨센서(210)의 센싱 신호를 외부로 전달하는 단자대와 동일한 형상이며, 커넥터(114)를 통하여 더미 센서 케이블(220)과 연결되어 격실(101)의 내부와 외부 간의 통신신호를 주고 받을 수 있다. 제1 유닛(111)은 외형뿐만 아니라 내부 단자대(112)도 실제 레벨센서(210)와 동일하게 형성되어, 침입자가 제1 유닛(111)을 일부 분리하더라도 실제 레벨센서(210)와 구별할 수 없도록 한다.
제2 유닛(115)은 내부에 내부 단자대(112)와 통신선(119)으로 연결된 통신 중개 모듈(116)을 포함한다. 통신 중개 모듈(116)은 일반적인 통신 모뎀이나 전력선 모뎀이 될 수 있으며, 내부의 통신시설과 연결되어 통신 신호를 분배할 수 있다. 한편, 제2 유닛(115)에는 통신 중개 모듈(116)과 함께 또는 대신에 전원 중개 모듈이 포함될 수도 있다. 통신 중개 모듈(116)은 커넥터(117)를 통하여 내부 통신선(118)과 연결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도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 은닉된 피난처가 구비된 선박
10: 피난처 20: 화물탱크
100: 해치 101: 격실
102: 벽면 103: 출입구
104: 개스킷 105: 볼트홀
106: 힌지 107: 잠금장치
108: 볼트 109: 너트
110: 더미 레벨센서 111: 제1 유닛
112: 내부 단자대 113: 볼트
114: 컨넥터 115: 제2 유닛
116: 통신 중개 모듈 117: 커넥터
118: 내부 통신선 119: 통신선
200: 맨홀커버 201: 화물 저장실
210: 레벨센서 220: 센서 케이블

Claims (6)

  1. 선체 내부에 위치하며 외부와 격리되어 밀폐된 격실;
    상기 격실의 일측 벽면이 관통되어 형성된 출입구;
    상기 출입구를 밀폐하며 외측 테두리를 따라 복수의 볼트가 결합되고 내측에 잠금장치가 형성된 해치;
    상기 격실의 일측 벽면을 관통하여 설치되며 외형이 레벨센서와 동일한 더미 레벨센서; 및
    상기 더미 레벨센서의 내부를 통과하여 상기 격실 내부와 외부를 연결하며, 외형이 레벨센서에 연결되는 센서케이블과 동일한 통신선을 포함하되, 상기 더미 레벨센서는 상기 격실의 외측에 위치하며 상기 레벨센서의 단자대와 동일한 내부 단자대를 포함하는 제1 유닛과 상기 격실의 내측에 위치하며 상기 내부 단자대와 연결된 통신 중개 모듈 또는 전원 중개 모듈을 포함하는 제2 유닛을 포함하는 은닉된 피난처가 구비된 선박.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일단이 상기 내부 단자대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격실 외부의 통신유닛 또는 전력유닛과 연결되는 더미 센서 케이블을 더 포함하는 은닉된 피난처가 구비된 선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해치는 상기 선체 내부에 설치된 화물 탱크의 맨홀 커버와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볼트는 상기 격실의 벽면에 고정되지 않으며, 상기 복수의 볼트에 각각 해체 가능한 너트가 결합된 은닉된 피난처가 구비된 선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격실은 화물 탱크에 인접하여 배치되며, 상기 해치 및 상기 더미 레벨센서는 상기 화물탱크의 맨홀 커버 및 상기 레벨센서와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는 은닉된 피난처가 구비된 선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해치가 결합된 상기 격실의 벽면의 두께는 상기 맨홀 커버가 결합된 상기 화물 탱크의 벽면의 두께보다 두껍게 형성된 은닉된 피난처가 구비된 선박.
KR1020130114785A 2013-09-26 2013-09-26 은닉된 피난처가 구비된 선박 KR1015492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14785A KR101549212B1 (ko) 2013-09-26 2013-09-26 은닉된 피난처가 구비된 선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14785A KR101549212B1 (ko) 2013-09-26 2013-09-26 은닉된 피난처가 구비된 선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34560A KR20150034560A (ko) 2015-04-03
KR101549212B1 true KR101549212B1 (ko) 2015-09-03

Family

ID=530313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14785A KR101549212B1 (ko) 2013-09-26 2013-09-26 은닉된 피난처가 구비된 선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4921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799930A (zh) * 2021-10-27 2021-12-17 广船国际有限公司 一种船舶安全舱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34560A (ko) 2015-04-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837809B (zh) 一种国际航行防海盗船舶及防御方法
CN107458539B (zh) 船舶防海盗安全舱室及防海盗船舶
RU2514955C2 (ru) Морская система безопасности
US9334105B2 (en) Sea container that can be closed on all sides
KR101215593B1 (ko) 해적으로부터 선원을 보호하기 위한 안전선실을 구비하는 선박
CN202754129U (zh) 一种国际航行防海盗船舶
KR101549212B1 (ko) 은닉된 피난처가 구비된 선박
KR20130102272A (ko) 선원 대피용 도어장치 및 그 도어장치가 설치된 대피처
US20110073019A1 (en) Safe anchoring device
KR20140003418U (ko) 외부 경사 사다리의 해적침입 방지구조
KR20130011211A (ko) 선박의 복층형 선원대피처
KR200477411Y1 (ko) 해상 구조물의 비상탈출통로 구조
KR101542871B1 (ko) 선원 대피소 및 이를 갖는 선박
KR20140068435A (ko) 선박용 피난 대피처의 설치구조
KR20140075269A (ko) 에프엘엔지선의 엘엔지 비산방지구조
KR102065997B1 (ko) 선박의 대피 설비와 이의 운용 방법
KR101616305B1 (ko) 선박의 해상강도 대응방법
KR200492585Y1 (ko) 도어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KR20140049318A (ko) 해적 방어 시설
US20110277619A1 (en) Systems, devices and methods for ship defense
KR20150045276A (ko) 해적침입을 방지할 수 있도록 요새화된 조타실
CN112278148A (zh) 一种防海盗舵机舱及防海盗船舶
KR20120106375A (ko) 선원 대피소용 위장 출입구
KR20200126803A (ko) 구명 시스템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KR102254584B1 (ko) 방호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해양구조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31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