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49161B1 - Non-point sources pollutants removal facility - Google Patents
Non-point sources pollutants removal facility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549161B1 KR101549161B1 KR1020150019909A KR20150019909A KR101549161B1 KR 101549161 B1 KR101549161 B1 KR 101549161B1 KR 1020150019909 A KR1020150019909 A KR 1020150019909A KR 20150019909 A KR20150019909 A KR 20150019909A KR 101549161 B1 KR101549161 B1 KR 10154916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eramic carrier
- tank
- carrier layer
- pipe
- functional ceramic
- Prior art date
Links
- 239000003344 environmental pollutant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9
- 231100000719 pollutant Toxicity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9
- 239000000919 ceramic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9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4
- 238000004062 sedimenta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4
- IJGRMHOSHXDMSA-UHFFFAOYSA-N Atomic nitrogen Chemical compound N#N IJGRMHOSHXDMSA-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6
- 238000005192 parti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7
- 239000003921 oil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5
- OAICVXFJPJFONN-UHFFFAOYSA-N Phosphorus Chemical compound [P] OAICVXFJPJFONN-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3
- 229910052757 nitrogen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3
- 229910052698 phosphorus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3
- 239000011574 phosphorus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3
- 235000015097 nutrients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2
- 230000009467 reduct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
- 239000002245 particl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39000013049 sediment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8000012546 transfer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9000003599 detergent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9000000758 substrat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9000010802 sludg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9000000945 fille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03466 weld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0000004044 response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07664 blowing Methods 0.000 claims 1
- 238000009835 boiling Methods 0.000 claims 1
- 230000009977 du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1
- 239000007787 solid Substances 0.000 claims 1
- 238000005507 spraying Methods 0.000 claims 1
- 244000005700 microbiome Species 0.000 abstract description 10
- 238000012423 maintenance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6
- 238000011001 backwashing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39000008213 purified water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38000001223 reverse osmosis Methods 0.000 description 11
- 239000013618 particulate mat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3403 water pollut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4927 cla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0151 deposi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0635 electron micrograph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2530 fl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3973 irrig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262 irrig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203 mixtur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41000588625 Acinetobacter sp.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0589774 Pseudomonas sp.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0000004808 Saccharomyces cerevisiae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0831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29910021536 Zeolit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463 adsorb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356 contamin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021 deposi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61 develop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HNPSIPDUKPIQMN-UHFFFAOYSA-N dioxosilane;oxo(oxoalumanyloxy)alumane Chemical compound O=[Si]=O.O=[Al]O[Al]=O HNPSIPDUKPIQMN-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304 fir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194 fraction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484 grav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1385 heavy met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379 molasse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5416 organic mat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515 penet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556 precipit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321 preserv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150 reinforced concre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3839 salt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3535 sea 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865 sewag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125000006850 spacer group Chemical group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959 ste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860 storag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44 upstream manufactur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351 waste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457 zeoli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4—Devices for separating liquid or solid substances from sewage, e.g. sand or sludge traps, rakes or grat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15/00—Separating processes involving the treatment of liquids with solid sorbents; Apparatus therefor
- B01D15/08—Selective adsorption, e.g. chromatography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4/00—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 B01D24/46—Regenerating the filtering material in the filter
- B01D24/4605—Regenerating the filtering material in the filter by scrapers, brushes, nozzles or the like placed on the cake-side of the stationary filtering material and only contacting the external layer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9/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
- B01D29/002—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9/00—Filtering material for liquid or gaseous fluids
- B01D39/14—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 B01D39/20—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of inorganic material, e.g. asbestos paper, metallic filtering material of non-woven wires
- B01D39/2068—Other inorganic materials, e.g. ceramics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5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flocculation or precipitation of suspended impurit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Geology (AREA)
- Biological Treatment Of Waste Wa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비점오염 저감시설에 관한 것으로, 그 목적은 비점오염원으로 유입되는 유류는 유류분해 미생물을 활용하여 제거가능하도록 함과 아울러, 총질소와 총인을 포함하는 영양염류는 기능성 세라믹을 활용하여 흡착할 뿐만 아니라 오염물질의 저감과정에서 폐색될 우려가 있는 세라믹 담체는 기포를 발생시켜 역세효율을 높임으로서 그 기능이 유지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유지관리가 용이하도록 하는 것에 있으며, 이러한 목적은 일면 상부로 비점오염물질을 유입시켜 타면 하부측으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구비되는 침전조와, 상기 침전조로부터 유입된 비점오염물질에 포함된 질소 및 인을 제거할 뿐만 아니라 영양염류와 유분들을 제거 및 분해가능하도록 기능성 세라믹 담체층과 다공성 세라믹 담체층이 바닥면으로부터 복층으로 설치되어 구비되는 담체충진조와, 상기 담체충진조에 의해 정화된 물을 임시 저장 후 배수가능하게 구비되는 역세수조가 전단분할벽과 후단분할벽에 의해 분할 형성되되, 상기 기능성 세라믹 담체층은 담체충진조의 바닥면으로부터 이격되어 설치되고, 상기 다공성 세라믹 담체층은 기능성 세라믹 담체층의 상단면으로부터 이격되어 설치되는 것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에 의해 달성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non-point pollution abatement facility, and its object is to provide a non-point pollution abatement facility capable of eliminating oil flowing into non-point pollution sources by utilizing oil-fractionated microorganisms, In addition, the ceramic carrier, which may be obstructed in the course of the reduction of pollutants, generates bubbles to improve the backwashing efficiency so that the function can be maintained and maintenance is facilitated. A sedimentation tank provided so as to allow the non-point pollutant to flow into the lower part of the sedimentation tank; and a functional ceramic support for removing and decomposing nutrients and oils as well as nitrogen and phosphorus contained in the non- Layer and the porous ceramic carrier layer are provided in a double layer from the bottom surface And a backwash water tank which is provided so as to be capable of draining after temporarily storing the purified water by the carrier filling tank is divided by a front end partition wall and a rear end partition wall. The functional ceramic carrier layer is divided into a bottom wall And the porous ceramic carrier layer is provided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functional ceramic carrier layer.
Description
본 발명은 비점오염 저감시설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도시, 도로, 농지, 산지, 공사장, 공장 등을 포함하는 불특정 장소에서 불특정하게 배출되는 수질 오염물질에 포함된 입자상 물질의 저감효율을 높이고 아울러 저감이 까다로웠던 유류 및 영양염류까지도 동시에 제거가 가능하면서 유지관리를 효과적으로 할 수 있도록 한 비점오염 저감시설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non-point pollution abatement facility, and more particularly, to a non-point pollution abatement facility that improves the efficiency of abatement of particulate matter contained in water pollutants that are unspecifically discharged at unspecified locations including cities, roads, farmland, mountainous areas, The present invention also relates to a non-point pollution abatement facility capable of simultaneously removing oil and nutrients, which were difficult to reduce, and performing maintenance efficiently.
주지하는 바와 같이 비점오염원(非點汚染源)이란, 도시, 도로, 농지, 산지, 공사장 등 불특정 장소에서 불특정하게 수질 오염물질을 배출하는 배출원을 말한다.(수질 및 수 생태계 보전에 관한 법률 제2조제2호)As is well known, a nonpoint pollution source is a source of emission of water pollutants unspecified at unspecified sites such as cities, roads, farmland, mountainous areas, and construction sites. (Article 2 of the Act on the Preservation of Water Quality and Aquatic Ecosystems 2)
비점오염원은 건기 시 토지표면에 축적된 다양한 오염물질의 일종인 유기물, 영양염류, 유류, 중금속, 입자상 물질, 각종 유해 화학물질 등이 강우유출수와 함께 유출되어 수질 및 토양오염을 일으키는 배출원으로서 오염물질의 유출 및 배출경로가 명확하지 않아 차집이 어렵고, 발생량, 배출량이 기상조건과 유역특성에 의해 크게 좌우되기 때문에 적정 처리용량 및 처리방식의 결정이 쉽지 않을 뿐만 아니라 불규칙한 강우사상으로 인하여 저감시설의 유지관리에 어려움을 겪고 있었다.Non-point pollution sources are sources of pollutants such as organic matter, nutrients, oil, heavy metals, particulate matter, and harmful chemical substances, which are accumulated in the surface of dry land during the dry season. It is difficult to determine the appropriate treatment capacity and treatment method because the outflow and discharge route of the irrigation and discharge route is not clear and the generation amount and the discharge amount depend greatly on the weather conditions and the watershed characteristics. I was having difficulty in management.
이러한 비점오염원이 가지고 있는 불특정 특성으로 인하여 비점오염원을 저감하고자 하는 기술의 개발은 배출되는 전체 오염물질을 저감하기 보다는 주로 입자상물질의 저감기술로 한정되어 침전, 여과, 침투 기작에 의한 장치형 저감시설이 주를 이루고 있으며 설치된 저감시설은 효과적으로 관리되고 있지 못한 실정이다.Due to the unspecific characteristics of these non-point pollutants, the development of technologies to reduce non-point pollutants is limited to the reduction of particulate matter rather than reduction of the total pollutants discharged. And the installed abatement facilities are not effectively managed.
최근 들어 비점오염원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기능성 여재 혹은 흡착제를 이용하여 입자상물질 뿐만 아니라 다른 오염물질 까지도 저감하기 위한 연구들이 진행되고 있으며 유지관리를 수월하게 할 수 있는 방안들이 제시되어지고 있다.In recent years, interest in nonpoint pollution sources has been increasing, and studies have been conducted to reduce not only particulate matter but also other pollutants by using functional filter media or adsorbents, and suggestions for facilitating maintenance have been proposed.
일 예로 특허출원번호 10-2012-0047328호에 비점오염 저감 시설이 개시된 바 있다.For example, a non-point pollution abatement facility has been disclosed in Patent Application No. 10-2012-0047328.
살펴보면, 종래의 일반적인 비점오염 저감 시설은 일측으로 유입관이 연결되며 스크린과 필터부가 구비된 제1오염저감부와, 상기 제1오염저감부에 이웃하게 위치하여 하측제1관통공을 통하여 제1오염저감부와 연통되고 집수필터수단을 설치한 제2오염저감부와, 상기 제2오염저감부에 이웃하게 위치하여 하측제2관통공을 통하여 제2오염저감부에 연통되고 처리조와의 사이에 필터체가 설치된 제3오염저감부와, 상기 제3오염저감부에 이웃하게 위치하며 오염 감소한 우수를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배출관이 연결된 처리조와, 상기 집수필터수단의 상부로 위치하며 제1오염저감부로 유입되는 우수가 제3오염저감부로 직접 이동되는 통로가 되는 바이패스관을 포함하되, 상기 바이패스관의 상류 쪽 단부는 필터부의 상단보다 높게 위치하며, 상기 하측제1관통공은 집수필터수단보다 높게 위치하도록 형성되며 하측제2관통공은 집수필터수단의 상단보다 낮은 위치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In general, the conventional non-point pollution abatement facility includes a first pollution abatement unit having a screen and a filter unit connected to an inlet pipe on one side, and a second pollution abatement unit disposed adjacent to the first pollution abatement unit, A second pollution abatement portion communicating with the pollution abatement portion and provided with a water collecting filter means and a second pollution abatement portion adjacent to the second pollution abatement portion and communicating with the second pollution abatement portion through the lower second penetration hole, A third pollution abatement portion provided with a filter body; a treatment tank disposed adjacent to the third pollution abatement portion and connected to a discharge pipe so as to discharge pollutant reduced in pollution to the outside; Wherein the upstream end of the bypass pipe is positioned higher than the upper end of the filter unit, and the lower end of the bypass pipe is located higher than the upper end of the filter unit, The first through hole is formed to be positioned higher than the water collecting filter means and the lower second through hole is formed at a position lower than the upper end of the water collecting filter means.
그러나, 이와 같이 이루어진 종래의 일반적인 비점오염 저감시설은 상기한 바와 같이 제1오염저감부에 구비된 필터부에 의해 질소나 인은 제거할 수 있으나, 불특정 장소에서 불특정하게 유입된 수질 오염물질에 포함된 유류의 제거는 이루어질 없는 단점이 있다.However, in the conventional non-point pollution abatement facility, nitrogen or phosphorus can be removed by the filter unit provided in the first pollution abatement unit, but it is not included in the water pollutants introduced at unspecified locations There is a disadvantage that the removal of the oil is not done.
또한, 상기한 종래의 일반적인 비점오염 저감시설은, 장시간 사용함에 따른 제1오염저감부의 스크린과 필터부 및 집수필터부의 필터수단 그리고 제3오염저감부의 필터체에 콜로이드성 입자들이 적층되므로 일정 주기마다 이를 제거하기 위한 작업이 매우 어렵고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colloidal particles are deposited on the screen of the first pollution reduction unit, the filter unit of the filter unit, the collecting filter unit and the filter unit of the third pollution reduction unit according to the long-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is very difficult and time-consuming to remove it.
이에,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비점오염원으로 유입되는 유류는 유류분해 미생물을 활용하여 제거가능하도록 함과 아울러, 총질소와 총인을 포함하는 영양염류는 기능성 세라믹을 활용하여 흡착할 뿐만 아니라 오염물질의 저감과정에서 폐색될 우려가 있는 세라믹 담체는 기포를 발생시켜 역세효율을 높임으로서 그 기능이 유지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유지관리가 용이하도록 한 비점오염 저감시설을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order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non-point source pollutant which can be removed by utilizing oil-fractionated microorganisms and nutrients including total nitrogen and total phosphorus, The ceramic carrier which is not only adsorbed but also is likely to be obstructed in the course of the reduction of pollutants is provided with a nonpoint pollution abatement facility which can maintain its function by generating bubbles to improve backwash efficiency, It has its purpose.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침전조를 이중관구조로 구성함으로써, 김전거리를 늘려 짧은 체류시간 동안 입자상 물질의 침전효율을 상승시킬 수 있도록 한 비점오염 저감시설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It is 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non-point pollution abatement facility capable of increasing sedimentation efficiency of particulate matter during a short residence time by increasing the distance of irrigation by constructing a sedimentation tank with a double pipe structure.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은 기술이 진행되면서 명확해질 것이다.
Other obj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apparent as the description proceeds.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비점오염 저감시설에 있어서, 일면 상부로 비점오염물질을 유입시켜 타면 하부측으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구비되는 침전조와, 상기 침전조로부터 유입된 비점오염물질에 포함된 질소 및 인을 제거할 뿐만 아니라 영양염류와 유분들을 제거 및 분해가능하도록 기능성 세라믹 담체층과 다공성 세라믹 담체층이 바닥면으로부터 복층으로 설치되어 구비되는 담체충진조와, 상기 담체충진조에 의해 정화된 물을 임시 저장 후 배수가능하게 구비되는 역세수조가 전단분할벽과 후단분할벽에 의해 분할 형성되되, 상기 기능성 세라믹 담체층은 담체충진조의 바닥면으로부터 이격되어 설치되고, 상기 다공성 세라믹 담체층은 기능성 세라믹 담체층의 상단면으로부터 이격되어 설치되는 것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nonpoint pollution abatement facility, comprising: a sedimentation tank provided to allow a nonpoint pollutant to flow into an upper part of a surface of a sedimentation tank, A carrier filling tank provided with a functional ceramic carrier layer and a porous ceramic carrier layer provided in a multilayer from the bottom so as to remove nitrogen and phosphorus as well as to remove and decompose nutrients and oils; A backwash water tank which is provided so as to be able to be drained after provisional storage is divided by a front end partition wall and a rear end partition wall, wherein the functional ceramic carrier layer is spaced apart from a bottom surface of the carrier filling tank, and the porous ceramic carrier layer comprises: And a plurality of spacers disposed apart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layer It is gong.
또한, 상기한 담체충진조의 바닥면과 기능성 세라믹 담체층의 저면 사이에는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구동하는 압축공기발생부로부터 발생된 압축공기를 분사하여 시간 경과에 따른 담체충진조에 퇴적된 퇴적물과 다공성 세라믹 담체층은 기능성 세라믹 담체층에 부착된 이물질을 자동 탈리시켜 배출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역세수블로워수단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between the bottom surface of the carrier filling tank and the bottom surface of the functional ceramic carrier layer, compressed air generated from a compressed air generating portion driven by the control of the control portion is sprayed to deposit the sediments deposited in the carrier filling tank over time, And the carrier layer is further provided with reverse detergent blower means capable of automatically discharging foreign matter adhering to the functional ceramic carrier layer to be discharged.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비점오염 저감시설에 따르면, 비점오염원으로 유입되는 유류는 유류분해 미생물을 활용하여 제거가능하도록 함과 아울러, 총질소와 총인을 포함하는 영양염류는 기능성 세라믹을 활용하여 흡착할 뿐만 아니라 오염물질의 저감과정에서 폐색될 우려가 있는 세라믹 담체는 기포를 발생시켜 역세효율을 높임으로서 그 기능이 유지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유지관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nonpoint pollution abatement facility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il introduced into the nonpoint pollution source can be removed by utilizing the oil fractionation microorganisms, and the nutrients including total nitrogen and total phosphorus are utilized by using functional ceramics The ceramic carrier which is not only adsorbed but may be obstructed in the process of reducing the pollutants generates bubbles to improve the backwash efficiency and thus the function thereof can be maintained and the maintenance can be facilitated.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비점오염 저감시설에 따르면, 침전조를 이중관구조로 구성함으로써, 침전거리를 늘려 짧은 체류시간 동안 입자상 물질의 침전효율을 상승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nonpoint pollution abatement facility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dimentation tank has a double pipe structure, thereby increasing sedimentation distance and raising sedimentation efficiency of particulate matter during a short residence tim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비점오염 저감시설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비점오염 저감시설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비점오염 저감시설의 분리판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비점오염 저감시설의 역세수 배출 에어리프트를 도시한 확대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비점오염 저감시설의 역세수 유입관을 도시한 확대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비점오염 저감시설의 기능성 세라믹 담체의 단면을 도시한 전자현미경 사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비점오염 저감시설의 다공성 담체에 유류분해 미생물이 포괄고정된 상태를 도시한 전자현미경 사진이다.1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nonpoint pollution abatement facilit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lan view showing a nonpoint pollution abatement facilit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eparation plate of a nonpoint pollution abatement facilit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n enlarged view showing a reverse water discharge air lift of the nonpoint pollution abatement facilit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n enlarged view showing a reverse water inflow pipe of the nonpoint pollution abatement facilit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 is an electron micrograph showing a cross section of a functional ceramic carrier of a nonpoint pollution abatement facilit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n electron micrograph showing a state in which oil-decomposing microorganisms are collectively fixed on a porous carrier of a non-point pollution abatement facilit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비점오염 저감시설의 일실시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an embodiment of the non-point pollution abatement facilit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우선,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 또는 부품들은 가능한 한 동일한 참조부호를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한다. First, it should be noted that, in the drawings, the same components or parts have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s much as possible.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incorporated herein will be omitted so as not to obscure the gist of the invention.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비점오염 저감시설(100)은, 일면 상부로 비점오염물질을 유입시켜 타면 하부측으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구비되는 침전조(110)와, 상기 침전조(110)로부터 유입된 비점오염물질에 포함된 질소 및 인을 제거할 뿐만 아니라 영양염류와 유분들을 제거 및 분해가능하도록 기능성 세라믹 담체층(124)과 다공성 세라믹 담체층(126)이 바닥면으로부터 복층으로 설치되어 구비되는 담체충진조(120)와, 상기 담체충진조(120)에 의해 정화된 물을 임시 저장 후 배수가능하게 구비되는 역세수조(130)가 전단분할벽(103)과 후단분할벽(104)에 의해 분할 형성되되, 상기 기능성 세라믹 담체층(124)은 담체충진조(120)의 바닥면으로부터 이격되어 설치되고, 상기 다공성 세라믹 담체층(126)은 기능성 세라믹 담체층(124)의 상단면으로부터 이격되어 설치되는 것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As shown in the drawing, the non-point
또한, 상기한 담체충진조(120)의 바닥면과 기능성 세라믹 담체층(124)의 저면 사이에는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구동하는 압축공기발생부(140)로부터 발생된 압축공기를 분사하여 시간 경과에 따른 담체충진조(120)에 퇴적된 퇴적물과 다공성 세라믹 담체층(126)은 기능성 세라믹 담체층(124)에 부착된 이물질을 자동 탈리시켜 배출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역세수블로워수단이 더 구비된다.
Between the bottom surface of the
이하에서, 상기한 본 발명에 따른 비점오염 저감시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the non-point pollution reduction facilit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먼저, 상기한 본 발명에 따른 비점오염 저감시설의 침전조(110)는 첨부된 도면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단분할벽(103)에 의해 담체충진조(120)와 분할된 별도의 공간부를 형성하되, 전면 상단에는 강우와 함께 비점오염물질을 유입시킬 수 있도록 우수유입관(101)이 형성되고, 상면에는 부유물질과 침전입자를 주기적으로 제거가능하도록 맨홀(102)이 형성되어 구비된다.1 and 2, the
또한, 상기한 침전조(110)에는 강우와 함께 유입된 비점오염물질의 침전거리를 늘릴 수 있도록 전단분할벽(103)의 내측면 상단에 고정된 비상월류관(107)을 통하여 담체충진조(120)의 상부와 일단이 연통되고, 타단은 침전조(110)의 바닥면측으로 절곡되어 배관된 외부관(111)과, 상기 외부관(111)의 내측으로 일단이 삽입되고, 타단은 전단분할벽(103)의 하단에 고정된 통수슬리브(109)를 통하여 담체충진조(120)의 하부와 연통가능하게 배관된 내부관(112)이 복수개로 설치되어 구비된다.In addition, the
즉, 상기한 침전조(110) 내측으로 강우와 함께 비점오염물질이 유입되는 과정에서 침전입자의 침전속도는 입자직경의 제곱에 비례하며 수면적부하율에도 비례한다. 따라서 침전입자는 침전속도가 표면부하율 이상인 입자에 대해서는 제거효율이 높지만 침전속도가 표면부하율 이하인 입자들은 침전효율을 장담할 수 없게 된다.That is, the precipitation rate of the precipitated particles in proportion to the square of the particle diameter is proportional to the water surface area loading rate in the process of introducing the non-point pollutant into the
그러므로 표면적을 크게 하여 완전침전 한계속도를 낮추게 되면 침전가능한 한계입자의 크기 또한 침전속도의 제곱근에 비례하여 작아질 수 있으므로 표면적을 크게 하기 위한 하나의 방법으로 본 발명에서는 이중관을 이용하여 침전거리를 늘림으로서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였다.Therefore, if the surface sedimentation rate is lowered to lower the total sedimentation limiting velocity, the size of the sedimentable limiting particles may be reduced in proportion to the square root of the sedimentation velocity. Thus,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edimentation distance is increased Thereby solving the above problem.
보다 더 상세히 설명하자면, 상기 우수 유입관(101)을 통해 유입된 침전입자는 중력침전과 유체흐름을 따라 침전조(110)의 후단 하부방향으로 서서히 이동하여 내부관(112)의 하단에서 내부관(112)와 외부관(111)의 사이를 회전하면서 상승하게 되고 이로인해 침전거리는 증가하며 부력이 중력과 유체 마찰저항보다 큰 입자들만 부상되어 내부관(112)의 안쪽 면을 따라 담체충진조(120)으로 이동하고 나머지 입자들은 다시 침강되어 침전조(110)의 하단에 퇴적된 후 점검 및 관리맨홀(102)를 통해 주기적으로 제거된다.More specifically, the sediment particles introduced through the
상기의 침전효율을 증가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설치되는 외부관(111)과 내부관(112)는 각각 쌍을 이루어 복수로 설치되며, 내부관(112)의 연장길이는 목표수위와 일치하여야 하며 외부관(111)의 연장길이는 내부관(112)의 수평부분에 최대한 근접해야 한다.The
또한, 상기한 외부관(111) 상부는 전단분할벽(103) 상단에 목표수위보다 충분히 높게 고정되어 설치하며 비상월류관(107)에 의해 담체충진조(120)와 통수될 수 있는 구조로서 설계유량 이상으로 유입 시 침전조(110)으로 부터 담체충진조(120)으로 배수하는 기능을 수행한다.The upper part of the
그리고, 상기한 내부관(112)은 전단분할벽(103) 하단에서 퇴적물에 묻히지 않을 만큼의 충분한 높이에 설치되지만 후술할 기능성 세라믹 담체충진부 지지판(122) 보다는 하단에 설치되어 있어 내부관(112)의 상부로 부터 유입된 우수가 통수슬리브(109)를 통해 원할하게 담체충진조(120) 하단으로 공급될 수 있는 구조로 고정된다.The
상기한 담체충진조(120)는 전단분할벽(103)에 의해 침전조(110)의 후단에 형성되어 내부관(112)을 통하여 유입되는 비점오염물질에 포함된 질소 및 인을 제거할 뿐만 아니라 영양염류와 유분들을 제거 및 분해가능하도록 구비된다.The
즉, 상기한 담체충진조(12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침전조(110)의 후단에 형성되어 상면에는 맨홀(102-1)이 형성되고, 바닥면에는 일단이 고정되어 세워진 다수의 담체지지부(121)를 관통시켜 용접 또는 스크류를 매개로 고정되는 것에 의해 담체충진조(120)의 바닥면으로부터 이격되어 내부관(112)을 통하여 유입되는 비점오염물질에 포함된 질소 및 인을 제거가능하도록 기능성 세라믹 담체 지지판(122)과 기능성 세라믹 담체충진망에 기능성 세라믹 담체가 충진된 기능성 세라믹 담체층(124)이 형성되며, 상기 기능성 세라믹 담체층(124)의 상부에 공간(123)을 형성하여 위치되게 상기 다수의 담체지지부(121)의 상단면에 저면이 용접 또는 스크류를 매개로 고정되어 영양염류와 유분들을 제거 및 분해가능하도록 다공성 세라믹 담체 지지판(125)과 다공성 세라믹 담체충진망에 다공성 세라믹 담체가 충진된 다공성 세라믹 담체층(126)이 형성되어 이루어진다.1 and 2, the
또한, 상기한 담체충진조(120)에는 기능성 세라믹 담체층(124) 다공성 세라믹 담체층(126)을 일단이 관통되게 설치되어 상기 담체충진조(120)의 바닥면에 침전된 슬러지를 인발관(미도시함)을 통하여 인발할 수 있도록 인발용안내관(129)이 더 구비된다.The sludge settles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여기서, 상기한 기능성 세라믹 담체 지지판(122)과 다공성 세라믹 담체 지지판(125)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수 및 통기가 가능하면서 기능성 세라믹 담체충진망과 다공성 세라믹 담체충진망을 각각 지지할 수 있도록 다수의 홀이 타공된 타공판으로 구비된다.3, the functional ceramic
그리고, 상기한 기능성 세라믹 담체층(124)의 기능성 세라믹 담체충진망에 충진된 기능성 세라믹 담체는 비점오염물질에 포함된 질소 및 인을 제거가능하도록 구성되는 바, 이러한 기능성 세라믹 담체는 이물질이 제거된 황토와 점토를 6:4 비율로 혼합한 혼합물60~70중량부와, 제기슬러지5~18%중량부와, 당밀5~18중량부와, 제올라이트15~20중량부와 점결제2~3중량부를 혼련하여 소성기를 통하여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공성으로 소성되어 제조되는 바, 이러한 기능성 세라믹 담체는 상기 구성물로 이루어지는 것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공지의 것을 사용하여도 된다. The functional ceramic carrier filled in the functional ceramic
또한, 상기한 다공성 세라믹 담체층(126)의 다공성 세라믹 담체충진망에 충진된 다공성 세라믹 담체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한 기능성 세라믹 담체층(124)의 기능성 세라믹 담체를 유류분해 미생물 즉, 아시네토박터(Acinetobacter sp.) 또는 슈도모나스(Pseudomonas sp.) 또는 효모(Yeast) 중 어느 하나의 유류분해 미생물에 20시간 내지 30시간 딥핑시켜 유류분해 미생물이 기능성 세라믹 담체에 포괄고정되어 구성된다.As shown in FIG. 7, the porous ceramic carrier packed in the porous ceramic carrier filler network of the porous
한편, 상기한 담체 지지부(121)는 기능성 세라믹담체(124)와 그 상부의 유류분해 미생물 고정 다공성 세라믹 담체(126)을 충분히 지지할 수 있을 정도의 견고한 구조로 이루어지며 실시조건에 따라 철근콘크리트, 무근콘크리트, 강재구조물, 플라스틱 구조물 등 다양한 재질로 구성될 수 있으며 그 높이는 유류분해 미생물 고정 다공성 세라믹 지지판(125)까지 연장된다.Meanwhile, the
또한, 상기한 기능성 세라믹 담체층(124)과 다공성 세라믹 담체층(126) 사이에 공간(123)을 형성하여 설치되는 것은, 역세수블로워수단의 작동시 역세수와 역세공기에 의해 유동되는 기능성세라믹담체(124)의 팽창공간을 충분히 확보하기 위해서이다.The
상기한 인발용안내관(129)은 담체충진조(120) 하부에 퇴적된 침전슬러지를 기계적으로 인발하는 인발관을 안내하는 기능을 수행할 뿐만 아니라 담체충진조(120)의 유지보수를 위하여 저장된 우수를 배출하기 위해서도 응용될 수 있다.The drawing
상기와 역세수조(13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단분할벽(104)에 의해 담체충진조(120)의 후단에 형성되고 상면에는 맨홀(102-2)이 형성되며, 후단분리벽(104) 상단에는 담체충진조(120)에 의해 처리된 처리수를 유입시킬 수 있도록 처리수월류관(106)이 설치되며, 상기 후단분리벽(104)에 배향되는 벽체에는 처리수를 배출가능하도록 유출관(105)이 형성되어 구비된다.As shown in FIGS. 1 and 2, the sewage
상기한 역세수블로워수단은 본 발명에 따른 비점오염 저감시설을 통하여 비점오염물질을 장시간 처리함에 따른 침전조(110)에서 완전히 제거되지 못한 콜로이드성 입자들과 기능 성세라믹 담체층(124)과 다공성 세라믹 담체층(126)에서 과다 증식된 미생물 생체들이 기능성 세라믹 담체층(124)과 다공성 세라믹 담체층(126)의 담체 외부를 감싸며 담체층을 폐색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압축공기를 담체충진조(120)의 바닥면측으로 분사가능하도록 구비된다.The reverse centrifugal blower means that the non-point pollutant is treated with the non-point pollution reducing facilit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 long time, the colloidal particles which are not completely removed from the
즉, 상기한 역세수블로워수단은, 도 1 및 도 2 그리고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자가 조작함에 따른 제어부(141)의 제어에 대응되게 구동하여 압축공기를 공급가능하게 구비되는 압축공기발생부(140)와,That is, as shown in FIGS. 1 and 2, and FIGS. 4 and 5, the reverse detergent blower is driven in response to the control of the
상기 압축공기발생부(140)의 출구측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은 역세수조(130)의 바닥면으로 배관된 압축공기 이송관(142)과,A compressed
상기 압축공기 이송관(142)의 타단에 일단이 연결되어 압축공기와 함께 역세수조(130)에 저장된 처리수를 공급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역세수 에어리프트(133)와,A reverse
상기 역세수 에어리프트(133)의 타단에 일단이 역지밸브(134)를 매개로 연결되되, 타단은 담체충진조(120)에 설치된 기능성 세라믹 담체층(124)의 하부에 다수의 역세수 분출구(132)를 형성하여 배관되는 것에 의해 압축공기와 함께 처리수를 분사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역세수관(131)으로 구성된다.One end of the reverse
또한, 상기한 압축공기 이송관(142)으로 분기되는 압축공기 이송분기관(142-1)의 타단에 일단이 고정 연결되는 것에 의해 담체충진조(120)의 다공성 세라믹 담체층(126) 상부에 일단이 위치되고 타단은 외부로 배관되어 탈리된 이물질들을 외부로 배출가능하도록 역세수 배출 에어리프트(128)가 더 설치된다.One end is fixedly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compressed air transfer pipe 142-1 branched to the compressed
이때, 상기한 역세수 배출 에어리프트(128)의 하단부는 탈리된 이물질의 포집을 원할하게 하기 위하여 캐노피(127) 형상으로 구비된다.At this time, the lower end of the reverse water
한편, 상기한 역세수 에어리프트(133)와 역세수 배출 에어리프트(128)는 각각 짝을 이루어 동일 규격으로 설치되며, 시설의 규모에 따라 복수개로 설치된다.Meanwhile, the reverse water
상기에서 역세수 분출구(132)는 담체충진조(120)의 바닥면을 향하게 됨으로서 역세수관(131)의 관내부에 퇴적물이 침적하는 것을 방지하고 퇴적물을 유동시켜 고착화시키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The
상기와 같이 구성된 역세수블로워수단의 작동은 수동으로 제어부(141)을 작동시키면 압축공기발생부(140)으로부터 압축공기가 발생되며, 이때 발생된 압축공기는 압축공기 이송관(142)를 따라 역세수 에어리프트(133)에 유입되어 강한 공기흐름을 형성한다.When the
상기 공기흐름은 주변의 압력을 저하시키므로 역세수조(130) 하부에 배관된 역세수 에어리프트(133) 주변의 물이 압력차에 의해 역세수 에어리프트(133) 내부로 빨려들어 압축공기와 함께 역세수관(131)으로 유입되어 담체충진조(120)의 바닥면에 대하여 수직하부방향으로 설치된 역세수분출구(132)을 통해 담체충진조(120) 하부로 배출되게 되고, 이후 강한 상승기류를 형성하면서 기능성 세라믹 담체층(124)과 다공성 세라믹 담체층(126) 사이를 유동시키며 상기 기능성 세라믹 담체층(124)과 다공성 세라믹 담체층(126)에 부착된 이물질들을 탈리시킨다.Since the air flow lowers the pressure of the surrounding air, the water around the reverse
상기에서 역세수 분출구(132)는 하부방향을 향하게 됨으로서 역세수관(131) 관내부에 퇴적물이 침적하는 것을 방지하고 역세수관(131)하부의 퇴적물을 유동시켜 고착화시키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The backwash
또한, 역세수 에어리프트(133) 하단에는 역지밸브(134)가 설치되어 있어 비 역세시에는 우수가 담체충진조(120)으로부터 역세수조(130)로 역류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A
상기에서 탈리된 이물질들은 상승기류에 편승하여 담체충진조(120) 상부로 이동되며, 상부에서는 다시 역세수 배출 에어리프트(128)에 의해 캐노피(127)로 빨려들어 역세수 배출관(도면부호 생략)을 따라 비점오염시설의 외부로 배출되어 진다.In the upper part, the foreign matter discharged from the upper part is sucked into the
또한, 역세 시에는 이물질이 탈리되어 강한 상승류와 함께 담체충진조(120) 상부로 상승하는데 자칫 처리수월류관(106)을 따라 역세수조(130)로 유입될 우려가 있으므로 역세공기는 역세수 에어리프트(133)와 동시에 역세수 배출 에어리프트(128)에 공급됨으로서 이물질이 포함된 역세수가 다시 역세수조(130)로 넘치지 아니하고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During the backwashing, the foreign matter is desorbed and rises to the upper portion of the
그리고 역세수 배출 에어리프트(128)은 통수슬리브(106)보다 하단에 설치 됨으로서 탈리된 이물질이 포함된 역세수가 역세수조(130)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The backwash water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The foregoing description is merely illustrativ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intended to illustrate rather than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construed according to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scope of equivalents should be construed as falling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 비점오염저감시설 110 : 침전조
120 : 담체충진조 130 : 역세수조
101 : 유입관 102 : 맨홀
103 : 전단분할벽 104 : 후단분할벽
105 : 방류관 106 : 처리수월류관
107 : 비상월류관 108 : 역세수유입
109 : 통수슬리브 111 : 외부관
112 : 내부관 121 : 지지대
122 : 기능성 세라믹 담체 지지판 123 : 공간
124 : 기능성 세락믹 담체 125 : 유류고정 미생물담체 지지판
126 : 유류고정 미생물 담체 127 : 역세수배출관 유입구
128 : 역세수배출 에어리프트 129 : 인발용안내관
131 : 역세수 유입관 132 : 역세수 분출구
133 : 역세수유입 에어리프트 134 : 역세수유입관 역지밸브
140 : 압축공기발생부 141 : 제어부
142 : 압축공기 이송관100: Nonpoint pollution abatement facility 110: Settling tank
120: Carrier filling tank 130: Backwash water tank
101: inlet pipe 102: manhole
103: shear partition wall 104: rear partition wall
105: discharge pipe 106: treated water fall pipe
107: Emergency sewer pipe 108: Reverse sewerage inflow
109: water supply sleeve 111: outer tube
112: inner tube 121: support
122: Functional ceramic support support plate 123: Space
124: Functional ceramics carrier 125: Oil-immobilized microorganism carrier support plate
126: Oil-immobilized microorganism carrier 127: Reverse osmosis effluent inlet
128: Discharge of stationary water Air lift 129: Drawing guide tube
131: Reverse osmosis water inlet pipe 132: Reverse osmosis water outlet port
133: Reverse osmosis inflow air lift 134: Reverse osmosis inflow inlet check valve
140: compressed air generator 141:
142: Compressed air transfer pipe
Claims (8)
일면 상부로 비점오염물질을 유입시켜 타면 하부측으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구비되는 이중관 침전조(110)와;
상기 이중관 침전조(110)로부터 유입된 비점오염물질에 포함된 질소 및 인을 제거할 뿐만 아니라 영양염류와 유분들을 제거 및 분해가능하도록 기능성 세라믹 담체층(124)과 다공성 세라믹 담체층(126)이 바닥면으로부터 복층으로 설치되어 구비되는 담체충진조(120)와;
상기 담체충진조(120)에 의해 정화된 물을 임시 저장 후 배수가능하게 구비되는 역세수조(130)가 전단분할벽(103)과 후단분할벽(104)에 의해 분할 형성되되,
상기 기능성 세라믹 담체층(124)은 담체충진조(120)의 바닥면으로부터 이격되어 설치되고, 상기 다공성 세라믹 담체층(126)은 기능성 세라믹 담체층(124)의 상단면으로부터 이격되어 설치되며,
상기 이중관 침전조(110)는, 전단분할벽(103)에 의해 담체충진조(120)와 분할된 별도의 공간부를 형성하되, 전면 상단에는 강우와 함께 비점오염물질을 유입시킬 수 있도록 우수유입관(101)이 형성되고, 상면에는 부유물질과 침전입자를 주기적으로 제거가능하도록 맨홀(102)이 형성되며, 강우와 함께 유입된 비점오염물질의 침전거리를 늘릴 수 있도록 전단분할벽(103)의 내측면 상단에 고정된 비상월류관(107)을 통하여 담체충진조(120)의 상부와 일단이 연통되고, 타단은 이중관 침전조(110)의 바닥면측으로 절곡되어 배관된 외부관(111)과, 상기 외부관(111)의 내측으로 일단이 삽입되고, 타단은 전단분할벽(103)의 하단에 고정된 통수슬리브(109)를 통하여 담체충진조(120)의 하부와 연통가능하게 배관된 내부관(112)이 복수개로 설치되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점오염 저감시설.
In a nonpoint pollution abatement facility,
A double pipe sedimentation tank 110 provided to allow the non-point pollutant to flow into the upper part of the one surface and to discharge the non-point pollutant to the lower part of the surface;
The functional ceramic carrier layer 124 and the porous ceramic carrier layer 126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to remove nitrogen and phosphorus contained in the non-point pollutant introduced from the dual-pipe-settling tank 110, as well as to remove and decompose nutrients and oils, A carrier filling tank 120 provided in a multiple layer from a surface;
A backwash water tank 130 provided to be able to temporarily store and purify water purified by the carrier filling tank 120 is divided by the front end partition wall 103 and the rear end partition wall 104,
The functional ceramic carrier layer 124 is spaced apart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carrier filling tank 120. The porous ceramic carrier layer 126 is spaced apart from the top surface of the functional ceramic carrier layer 124,
The duplex pipe settling tank 110 is formed with a separate space portion separated from the carrier filling tank 120 by the front end dividing wall 103 and has an excellent inflow pipe A manhole 102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so as to periodically remove suspended solids and sediment particles. In order to increase the settling distance of the nonpoint pollutant introduced along with the rainfall, An outer pipe 111 connected to one end of the upper part of the carrier filling tank 120 through an emergency sidewall pipe 107 fixed to the side upper end and bent at the other end to the bottom surface side of the double pipe settling tank 110, The other end of the inner tube is connect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carrier filling tank 120 through a water supply sleeve 109 fixed to the lower end of the front end dividing wall 103 112) are provided in a plurality of Point Pollution Reduction Facility.
상기 담체충진조(120)의 바닥면과 기능성 세라믹 담체층(124)의 저면 사이에는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구동하는 압축공기발생부(140)로부터 발생된 압축공기를 분사하여 시간 경과에 따른 담체충진조(120)에 퇴적된 퇴적물과 다공성 세라믹 담체층(126)은 기능성 세라믹 담체층(124)에 부착된 이물질을 자동 탈리시켜 배출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역세수블로워수단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점오염 저감시설.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Between the bottom surface of the carrier filling tank 120 and the bottom surface of the functional ceramic carrier layer 124, compressed air generated from the compressed air generating portion 140 driven by the control of the control portion is injected, Wherein the sediment deposited on the tank (120) and the porous ceramic carrier layer (126) are further provided with reverse detergent blower means capable of automatically discharging foreign matter adhering to the functional ceramic carrier layer (124) Pollution abatement facility.
일면 상부로 비점오염물질을 유입시켜 타면 하부측으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구비되는 이중관 침전조(110)와;
상기 이중관 침전조(110)로부터 유입된 비점오염물질에 포함된 질소 및 인을 제거할 뿐만 아니라 영양염류와 유분들을 제거 및 분해가능하도록 기능성 세라믹 담체층(124)과 다공성 세라믹 담체층(126)이 바닥면으로부터 복층으로 설치되어 구비되는 담체충진조(120)와;
상기 담체충진조(120)에 의해 정화된 물을 임시 저장 후 배수가능하게 구비되는 역세수조(130)가 전단분할벽(103)과 후단분할벽(104)에 의해 분할 형성되되,
상기 기능성 세라믹 담체층(124)은 담체충진조(120)의 바닥면으로부터 이격되어 설치되고, 상기 다공성 세라믹 담체층(126)은 기능성 세라믹 담체층(124)의 상단면으로부터 이격되어 설치되며,
상기한 담체충진조(120)는 이중관 침전조(110)의 후단에 형성되어 상면에는 맨홀(102-1)이 형성되고, 바닥면에는 일단이 고정되어 세워진 다수의 담체지지부(121)를 관통시켜 고정되는 것에 의해 담체충진조(120)의 바닥면으로부터 이격되어 내부관(112)을 통하여 유입되는 비점오염물질에 포함된 질소 및 인을 제거가능하도록 기능성 세라믹 담체 지지판(122)과 기능성 세라믹 담체충진망에 기능성 세라믹 담체가 충진된 기능성 세라믹 담체층(124)이 형성되며, 상기 기능성 세라믹 담체층(124)의 상부에 공간(123)을 형성하여 위치되게 상기 다수의 담체지지부(121)의 상단면에 저면이 용접 또는 스크류를 매개로 고정되어 영양염류와 유분들을 제거 및 분해가능하도록 다공성 세라믹 담체 지지판(125)과 다공성 세라믹 담체충진망에 다공성 세라믹 담체가 충진된 다공성 세라믹 담체층(126)이 형성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점오염 저감시설.
In a nonpoint pollution abatement facility,
A double pipe sedimentation tank 110 provided to allow the non-point pollutant to flow into the upper part of the one surface and to discharge the non-point pollutant to the lower part of the surface;
The functional ceramic carrier layer 124 and the porous ceramic carrier layer 126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to remove nitrogen and phosphorus contained in the non-point pollutant introduced from the dual-pipe-settling tank 110, as well as to remove and decompose nutrients and oils, A carrier filling tank 120 provided in a multiple layer from a surface;
A backwash water tank 130 provided to be able to temporarily store and purify water purified by the carrier filling tank 120 is divided by the front end partition wall 103 and the rear end partition wall 104,
The functional ceramic carrier layer 124 is spaced apart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carrier filling tank 120. The porous ceramic carrier layer 126 is spaced apart from the top surface of the functional ceramic carrier layer 124,
The carrier filling vessel 120 is formed at the rear end of the dual pipe settling tank 110 and has a manhole 102-1 formed on the upper surface thereof and a plurality of carrier supports 121, The functional ceramic carrier supporting plate 122 and the functional ceramic carrier supporting net 122 are separated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carrier filling tank 120 so that nitrogen and phosphorus contained in the non- And a space 123 is formed in the upper portion of the functional ceramic carrier layer 124 so as to be position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plurality of carrier supports 121 The porous ceramic carrier support plate 125 and the porous ceramic carrier filler mesh are filled with the porous ceramic carrier so that the bottom surface is fixed by welding or screw to remove and decompose nutrients and oils Castle ceramic substrate layer (126) having a boiling point pollution abatement facility,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is formed.
상기 담체충진조(120)에는 기능성 세라믹 담체층(124) 다공성 세라믹 담체층(126)을 일단이 관통되게 설치되어 상기 담체충진조(120)의 바닥면에 침전된 슬러지를 인발관을 통하여 인발할 수 있도록 인발용안내관(129)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점오염 저감시설.
5. The method of claim 4,
The sludge settles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carrier filling tank 120 through one end of the porous ceramic carrier layer 126 of the functional ceramic carrier layer 124 and is drawn through the drawing tube Wherein the guide pipe (129) is further provided with a guide pipe (129).
일면 상부로 비점오염물질을 유입시켜 타면 하부측으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구비되는 이중관 침전조(110)와;
상기 이중관 침전조(110)로부터 유입된 비점오염물질에 포함된 질소 및 인을 제거할 뿐만 아니라 영양염류와 유분들을 제거 및 분해가능하도록 기능성 세라믹 담체층(124)과 다공성 세라믹 담체층(126)이 바닥면으로부터 복층으로 설치되어 구비되는 담체충진조(120)와;
상기 담체충진조(120)에 의해 정화된 물을 임시 저장 후 배수가능하게 구비되는 역세수조(130)가 전단분할벽(103)과 후단분할벽(104)에 의해 분할 형성되되,
상기 기능성 세라믹 담체층(124)은 담체충진조(120)의 바닥면으로부터 이격되어 설치되고, 상기 다공성 세라믹 담체층(126)은 기능성 세라믹 담체층(124)의 상단면으로부터 이격되어 설치되며,
상기 담체충진조(120)의 바닥면과 기능성 세라믹 담체층(124)의 저면 사이에는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구동하는 압축공기발생부(140)로부터 발생된 압축공기를 분사하여 시간 경과에 따른 담체충진조(120)에 퇴적된 퇴적물과 다공성 세라믹 담체층(126)은 기능성 세라믹 담체층(124)에 부착된 이물질을 자동 탈리시켜 배출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역세수블로워수단이 더 구비되고,
상기 역세수블로워수단은, 제어부(141)의 제어에 대응되게 구동하여 압축공기를 공급가능하게 구비되는 압축공기발생부(140)와, 상기 압축공기발생부(140)의 출구측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은 역세수조(130)의 바닥면으로 배관된 압축공기 이송관(142)과, 상기 압축공기 이송관(142)의 타단에 일단이 연결되어 압축공기와 함께 역세수조(130)에 저장된 처리수를 공급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역세수 에어리프트(133)와, 상기 역세수 에어리프트(133)의 타단에 일단이 역지밸브(134)를 매개로 연결되되, 타단은 담체충진조(120)에 설치된 기능성 세라믹 담체층(124)의 하부에 다수의 역세수 분출구(132)를 형성하여 배관되는 것에 의해 압축공기와 함께 처리수를 분사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역세수관(131)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점오염 저감시설.
In a nonpoint pollution abatement facility,
A double pipe sedimentation tank 110 provided to allow the non-point pollutant to flow into the upper part of the one surface and to discharge the non-point pollutant to the lower part of the surface;
The functional ceramic carrier layer 124 and the porous ceramic carrier layer 126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to remove nitrogen and phosphorus contained in the non-point pollutant introduced from the dual-pipe-settling tank 110, as well as to remove and decompose nutrients and oils, A carrier filling tank 120 provided in a multiple layer from a surface;
A backwash water tank 130 provided to be able to temporarily store and purify water purified by the carrier filling tank 120 is divided by the front end partition wall 103 and the rear end partition wall 104,
The functional ceramic carrier layer 124 is spaced apart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carrier filling tank 120. The porous ceramic carrier layer 126 is spaced apart from the top surface of the functional ceramic carrier layer 124,
Between the bottom surface of the carrier filling tank 120 and the bottom surface of the functional ceramic carrier layer 124, compressed air generated from the compressed air generating portion 140 driven by the control of the control portion is injected, The sediment deposited on the tank 120 and the porous ceramic carrier layer 126 are further provided with reverse detergent blower means capable of automatically discharging foreign matter adhering to the functional ceramic carrier layer 124 to be discharged,
The reverse detergent blowing means includes a compressed air generating unit 140 which is driven in response to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141 so as to be capable of supplying compressed air and one end connected to the outlet side of the compressed air generating unit 140 The other end of which is connected to the bottom of the backwash water tank 130 and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compressed air transfer pipe 142 so as to be stored in the backwash water tank 130 together with the compressed air, And the other end is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backwash air lift 133 via the check valve 134. The other end of the air lift 133 is connected to the carrier filling tank 120 And a backwash water pipe (131) provid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installed functional ceramic carrier layer (124) so as to be capable of spraying treated water together with compressed air by forming a plurality of reverse water washout openings (132) Pollution abatement facility.
상기 압축공기 이송관(142)으로 분기되는 압축공기 이송분기관(142-1)의 타단에 일단이 고정 연결되는 것에 의해 담체충진조(120)의 다공성 세라믹 담체층(126) 상부에 일단이 위치되고 타단은 외부로 배관되어 탈리된 이물질들을 외부로 배출가능하도록 역세수 배출 에어리프트(128)가 더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점오염 저감시설.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One end is fixedly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compressed air transfer branch pipe 142-1 branched to the compressed air transfer pipe 142 so that one end is positioned at the upper portion of the porous ceramic carrier layer 126 of the carrier filling tank 120 And the other end is further provided with a reverse water discharge air lift (128) for discharging the foreign substances discharged to the outside.
상기 역세수 배출 에어리프트(128)의 하단부는 탈리된 이물질의 포집을 원할하게 하기 위하여 캐노피(127) 형상으로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점오염 저감시설.
8.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lower end of the backwater discharge air lift (128) is provided in the form of a canopy (127) in order to facilitate collection of foreign matter that has been desorbed.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019909A KR101549161B1 (en) | 2015-02-10 | 2015-02-10 | Non-point sources pollutants removal facility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019909A KR101549161B1 (en) | 2015-02-10 | 2015-02-10 | Non-point sources pollutants removal facility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549161B1 true KR101549161B1 (en) | 2015-09-02 |
Family
ID=542469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0019909A KR101549161B1 (en) | 2015-02-10 | 2015-02-10 | Non-point sources pollutants removal facility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549161B1 (en)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692678B1 (en) * | 2016-08-10 | 2017-01-03 | 주식회사 동인 | Apparatus with Fliter and Back Wash Function of Non-point Pollutants removal facility |
RU183671U1 (en) * | 2018-06-14 | 2018-10-01 | федеральное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автономное образовательное учреждение высшего образования "Санкт-Петербургский политехнический университет Петра Великого" (ФГАОУ ВО "СПбПУ") | Filter cartridge |
KR101935506B1 (en) * | 2017-09-25 | 2019-04-03 | 우광티엔씨(주) | Treatment facility for nonpoint pollution |
KR102255972B1 (en) * | 2021-02-10 | 2021-05-25 | (주) 유성환경개발 | Rainwater treatment device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964596B1 (en) * | 2009-10-22 | 2010-06-21 | 주식회사 엔포텍디에스 | Rainwater purifying apparatus using multistory filter media |
KR101243415B1 (en) * | 2012-07-04 | 2013-03-13 | 최중철 | Rainwater purification apparatus |
-
2015
- 2015-02-10 KR KR1020150019909A patent/KR101549161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964596B1 (en) * | 2009-10-22 | 2010-06-21 | 주식회사 엔포텍디에스 | Rainwater purifying apparatus using multistory filter media |
KR101243415B1 (en) * | 2012-07-04 | 2013-03-13 | 최중철 | Rainwater purification apparatus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692678B1 (en) * | 2016-08-10 | 2017-01-03 | 주식회사 동인 | Apparatus with Fliter and Back Wash Function of Non-point Pollutants removal facility |
KR101935506B1 (en) * | 2017-09-25 | 2019-04-03 | 우광티엔씨(주) | Treatment facility for nonpoint pollution |
RU183671U1 (en) * | 2018-06-14 | 2018-10-01 | федеральное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автономное образовательное учреждение высшего образования "Санкт-Петербургский политехнический университет Петра Великого" (ФГАОУ ВО "СПбПУ") | Filter cartridge |
KR102255972B1 (en) * | 2021-02-10 | 2021-05-25 | (주) 유성환경개발 | Rainwater treatment device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382006B1 (en) | Apparatus for treating rainwater and overflow water of confluent water drainage | |
KR100904177B1 (en) | Device and method for purifying the first rainwater containing non-point source | |
KR101757211B1 (en) | Water treatment apparatus combined precipitation and filtration function | |
KR101549161B1 (en) | Non-point sources pollutants removal facility | |
KR100848011B1 (en) | Pollutant removal device in rainwater using upflow filter tank | |
CN105435495A (en) | Efficient rainwater filter | |
KR101812917B1 (en) | A Non-Point Pollution Treatment Facility Of Driving Type Having Stagnating Water Fiter Bath | |
CN105013244A (en) | Multistage rainwater purification treatment device | |
KR100817610B1 (en) | Non-point pollutant treatment device using hydraulic flow and filtration | |
KR100605267B1 (en) | Storm water treatment device | |
CN203877995U (en) | Water taking and water purification integrated device for surface water source | |
KR101608043B1 (en) | The aequipmenr of reducing non-point pollution material in rainwater | |
CN207761000U (en) | Online Processing System with precipitation and filtering function | |
KR101208694B1 (en) | Apparatus for filtering rainwater | |
CN110847332B (en) | Highway bridge deck runoff purification emergency system | |
KR20130033738A (en) | Modular infiltration trench combined with filter cartridges | |
RU115776U1 (en) | INSTALLATION OF CLEANING OF STRAIN STRAINS FROM OIL PRODUCTS AND WEIGHTED PARTICLES | |
RU154652U1 (en) | INSTALLATION OF CLEANING OF LIVING STRAINS FROM IMPURITIES OF OIL PRODUCTS | |
KR101532191B1 (en) | Filter backwash function blocks system for nonpoint pollution and construction method | |
KR101151908B1 (en) | Structure and method for treating early rainwater and polluted river at the same time | |
KR101198117B1 (en) | Apparatus for purging | |
KR101621030B1 (en) | Water treatment apparatus and Water treatment methods using the same | |
KR101543548B1 (en) | Filtering apparatus and the use of total phosphorus filtering method | |
KR101694827B1 (en) | the water treatment device of reducing the non point source pollutants of initial rain | |
KR200405662Y1 (en) | Road drainage purification device using soil microorganism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50210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150304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50210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5052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50817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5082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5082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821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082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00401 |
|
PR0401 | Registration of restoration |
Patent event code: PR04011E01D Patent event date: 20200401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Resto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40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R401 | Registration of resto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825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917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804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1224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