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57211B1 - Water treatment apparatus combined precipitation and filtration function - Google Patents
Water treatment apparatus combined precipitation and filtration function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757211B1 KR101757211B1 KR1020160067667A KR20160067667A KR101757211B1 KR 101757211 B1 KR101757211 B1 KR 101757211B1 KR 1020160067667 A KR1020160067667 A KR 1020160067667A KR 20160067667 A KR20160067667 A KR 20160067667A KR 101757211 B1 KR101757211 B1 KR 10175721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ater
- sludge
- backwash
- filtration tank
- collecting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0012—Settling tanks making use of filters, e.g. by floating layers of particulate material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02—Settling tanks with single outlets for the separated liquid
- B01D21/04—Settling tanks with single outlets for the separated liquid with moving scrapers
- B01D21/06—Settling tanks with single outlets for the separated liquid with moving scrapers with rotating scrape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18—Construction of the scrapers or the driving mechanisms for settling tank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18—Construction of the scrapers or the driving mechanisms for settling tanks
- B01D21/20—Driving mechanism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30—Control equipment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4/00—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 B01D24/02—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with the filter bed stationary during the filtration
- B01D24/10—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with the filter bed stationary during the filtration the filtering material being held in a closed container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4/00—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 B01D24/46—Regenerating the filtering material in the filter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4/00—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 B01D24/46—Regenerating the filtering material in the filter
- B01D24/4631—Counter-current flushing, e.g. by air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08—Control or steering systems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subclass C02F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0—Devices for separating or removing fatty or oily substances or similar floating material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5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flocculation or precipitation of suspended impurities
Abstract
본 발명은 침전과 여과 기능을 병행하여 수행하는 침전 및 여과조를 통하여 최종 방류수 부유물의 제거 효율를 높이고 폭기조의 고농도 MLSS를 제공할 수 있으므로 많은 미생물 개체 수를 확보하여 수처리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침전 및 여과 기능이 병행되는 수처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침전 및 여과 기능이 병행되는 수처리 장치는 하폐수를 정수 처리하는 수처리 장치로서, 상기 침전 및 여과조(100)에는 구형체 또는 다각면체 형태로 이루어져, 하폐수에 포함된 슬러지가 부착될 수 있도록 공극이 형성된 수중부상형 여재(110)와; 상기 수중부상형 여재(110)를 수용하여 외부 이탈을 방지하는 여재 이탈방지망(115)과; 상기 수중부상형 여재(110)가 수용된 여재 이탈방지망(115)의 하부에 설치되어, 에어 스트리핑을 통하여 수중부상형 여재(110)에 부착된 슬러지를 탈리하는 부착슬러지 역세장치(130)와; 상기 침전 및 여과조(100)의 상부에 설치되어, 수중부상형 여재(110)를 통과한 처리수의 흐름을 균등하게 하여 처리수 이송관(125)을 통해 다음 공정으로 이송시키는 월류웨어장치(140)와; 상기 부착슬러지 역세장치(130)를 통하여 수중부상형 여재(110)에 부착된 슬러지를 탈리하는 역세 과정에서 발생하는 슬러지가 포함된 역세수를 수집하여 외부로 배출하는 역세수 이송장치(120);가 구비되어, 수처리 공정을 단축시켜 간단하면서도 안정적으로 양질의 수질을 확보할 수 있으며, 후단에 별도의 여과기를 설치하지 않아도 되므로 토목 구조물 및 설비를 감소시키고, 초기 투자비 및 평소 운전비용 또한 절감할 수 있도록 제공된다.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a high concentration MLSS of the aeration tank by increasing the removal efficiency of the suspended effluent through sedimentation and filtration in combination with the sedimentation and filtration functions. Therefore,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edimentation and filtration apparatus capable of securing a large number of microorganisms, To a water treatment apparatus in which filtration functions are performed in parallel.
The water treatment apparatus in which the precipitation and filtration function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performed is a water treatment apparatus for treating wastewater and water, and the precipitation and filtration tank 100 is formed in the form of a sphere or a polyhedron so that the sludge contained in the wastewater A water-phase supra-type filter medium 110 having voids; A filter material detachment prevention net 115 for receiving the water-phase supra-type filter material 110 and preventing the filter material from coming out; An attachment sludge backing device 130 installed at a lower portion of the filter material separation prevention network 115 in which the water-bearing topsheet 110 is accommodated and for removing sludge adhered to the water-bearing topsheet 110 through air stripping; And an overflow ware unit 140 installed on the upper part of the sedimentation and filtration tank 100 for transferring the flow of the treated water having passed through the water phase heterogeneous filter media 110 to the next process through the treated water transfer pipe 125 )Wow; A backwash water transfer device 120 for collecting backwash water containing sludge generated in a backwash process for desorbing the sludge adhered to the water phase heterogeneous filtration material 110 through the attached sludge backwash device 130 and discharging it to the outside; It is possible to shorten the water treatment process so as to secure a high quality water in a simple and stable manner and it is not necessary to provide a separate filter at the rear end so that the civil engineering structure and facilities can be reduced and the initial investment cost and normal operation cost can be reduced .
Description
본 발명은 하폐수 처리시설 공정 중 일반적인 개념의 침전조 기능에 여과 및 자동 역세 기능을 첨가하여 수행하는 침전조 다목적형 수처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침전과 여과 기능을 병행하여 수행하는 침전 및 여과조를 통하여 방류수의 부유물 제거 효율을 높이고, 전단계의 폭기조에 많은 미생물 개체 수를 확보하여 수처리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도록 폭기조의 고농도 MLSS(Mixed Liquor Suspended Solid)를 제공할 수 있는 침전 및 여과 기능이 병행되는 수처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ultipurpose type water treatment apparatus for sedimentation tank, which is performed by adding filtration and automatic backwashing function to a sedimentation tank function of a general concept in a wastewater treatment facility, and more particularly to a sedimentation and filtration tank (MLSS) (Mixed Liquor Suspended Solid) in the aeration tank to increase the efficiency of water treatment by securing the number of microorganisms in the aeration tank of the previous stage, ≪ / RTI >
현대 사회에 들어 산업화 및 도시화가 나날이 가속화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발생하는 환경오염은 현대 사회에서 해결해야 할 큰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특히 환경 오염원 중 가정이나 공장에서 배출되는 하수, 폐수, 오수 등의 하폐수에는 질소, 인, 유기물 등의 인체에 해로운 성분들이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이를 정화 처리하여 방류하는 시설이 필수적으로 적용되어야 한다. In the modern society, industrialization and urbanization are accelerating day by day, and the environmental pollution that is generated thereby becomes a big problem to be solved in the modern society. Especially, wastewater such as sewage, wastewater, and sewage discharged from households or factories of environment pollutants contains harmful components such as nitrogen, phosphorus, and organic substances, and therefore, a facility for purifying and discharging it must be essentially applied.
이러한 하폐수를 정화 처리하는 수처리 기술은 근래에 들어 많은 발전이 있었는데, 수처리 기술은 하폐수, 고농도유기성폐수, 각종 산업폐수, 비점오염원 저감시설, 중수도, 재이용수 분야 등 많은 분야에 이용되고 있다. Water treatment technology for purifying wastewater has been developed in recent years. Water treatment technology is used in many fields such as wastewater, high concentration organic wastewater, various industrial wastewater, non-point pollution abatement facilities, heavy water, and reusable water.
종래 수처리 기술로서 활성슬러지법이나 변법 등이 많이 사용되었는데, 이러한 활성슬러지법이나 변법 등에는 1, 2차 침전조가 필수 공정으로 많은 공정을 차지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방법은 동, 하절기와 하폐수의 유입량에 따라 슬러지의 부상 및 팽화 현상으로 부유물이 유출되어 하천 수계를 오염시키는 경우가 발생하게 되고, 이에 따라 후단 공정에 별도의 여과시설을 설치해야 하는 경제적인 부담과 시설물의 증가로 인한 관리상의 부담도 뒤따르는 문제점이 있다. Conventionally, activated sludge method and modified method have been widely used as water treatment techniques. In this activated sludge method and modified method, first and second settling tanks are essential processes and occupy many processes. However, this method has the disadvantage that the floatation of the sludge due to the floatation and expansion of the sludge depending on the flow rate of the wastewater during the winter season and the wastewater may pollute the river water system,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is accompanied by a burden of management and an administrative burden due to an increase in facilities.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는 여러 수처리 공법 중, 폭기조의 고농도 MLSS((Mixed Liquor Suspended Solid))를 형성, 유지하며, 여과 기능을 겸비한 공법으로 MBR(Membrane) 계열의 수처리 방법이 있다. 그러나 이러한 MBR 계열의 수처리 방법은 초기 투자비도 높을 뿐 아니라 평상시 유지 및 관리가 어렵고, 세밀한 주의가 매우 요구되고, 소모품 개념으로 주기적인 교체를 함으로써 추가적인 시설투자 비용이 계속적으로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Among the various water treatment methods that solve these problems, there is a MBR (Membrane) series water treatment method in which a high concentration MLSS (Mixed Liquor Suspended Solid) of an aeration tank is formed and maintained and a filtration function is combined. However, the water treatment method of the MBR series not only has a high initial investment cost, but also is difficult to maintain and manage at a normal time, requires careful attention, and has a problem in that additional facility investment costs are continuously incurred by periodically replacing it with the concept of consumables.
근래에는 하폐수 처리 방법에 있어 폭기조의 MLSS 조건을 고농도로 유지하는 것이 여러모로 유리하다고 판단하는 추세로서, 고농도 오염 폐수일수록 더욱 폭기조의 고농도 MLSS 형성이 필요하다. 따라서 침전 및 여과기능 및 폭기조의 고농도 MLSS 조건을 형성할 수 있는 시설로써, 단순화와 처리 효율성 및 경제성을 높일 수 있는 수처리 기술의 필요성이 점점 크게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In recent years, as a tendency to keep the MLSS condition of the aeration tank at a high concentration in the wastewater treatment method, it is necessary to form MLSS of the aeration tank more highly in the case of the high concentration polluted wastewater. Therefore, there is a growing demand for a water treatment technology that can simplify, improve the treatment efficiency and economical efficiency as a facility capable of forming a high concentration MLSS condition of the precipitation and filtration functions and the aeration tank.
본 발명은 상기 종래 수처리 기술에서 발생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초기 시설 투자비를 절감할 수 있고, 별도의 여과시설을 설치하지 않아도 부유 물질이 여과 처리된 맑고 깨끗한 처리수를 얻을 수 있으며, 폭기조의 고농도 MLSS를 형성하고, 효율적이고 안정적 운전이 유지되어, 수처리 시설의 전체적인 운영 공정과 호환성이 잘 이루어질 수 있도로 하는 수처리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s occurring in the conventional water treatment technology,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reduce the initial facility investment cost and to provide a clear and clean treatment in which floating matters are filtered,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water treatment apparatus capable of forming a high concentration MLSS of an aeration tank and maintaining an efficient and stable operation and being compatible with the overall operation process of the water treatment facility.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침전 및 여과 기능이 병행되는 수처리 장치는 침전 및 여과 기능이 병행되는 침전 및 여과조를 통하여 하폐수를 정수 처리하는 수처리 장치로서, 상기 침전 및 여과조에는 구형 또는 다각면체 형태로 이루어져, 하폐수에 포함된 슬러지가 부착될 수 있도록 공극이 형성된 수중부상형 여재와; 상기 수중부상형 여재를 수용하여 외부 이탈을 방지하는 여재 이탈방지망과; 상기 수중부상형 여재가 수용된 여재 이탈방지망의 하부에 설치되어, 에어 스트리핑을 통하여 수중부상형 여재에 부착된 슬러지를 탈리하는 부착슬러지 역세장치와; 상기 침전 및 여과조의 상부에 설치되어, 수중부상형 여재를 통과한 처리수의 흐름을 균등하게 하여 처리수 이송관을 통해 다음 공정으로 이송시키는 월류웨어장치와; 상기 부착슬러지 역세장치를 통하여 수중부상형 여재에 부착된 슬러지를 탈리하는 역세 과정에서 발생하는 슬러지가 포함된 역세수를 수집하여 외부로 배출하는 역세수 이송장치;가 구비된다. In order to accomplish the above object, the water treatment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water treatment apparatus for water treatment of wastewater through a precipitation and filtration tank in which precipitation and filtration functions are concurrently performed. The precipitation and filtration tank is provided with a spherical or multi- A water-phase supra-type filter medium having a cavity to allow the sludge contained in the wastewater to be adhered; A filter medium detachment prevention net for receiving the water-phase supra-type filter medium and preventing the water medium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filter medium; An adhesion sludge backing unit installed at a lower portion of the filter material separation preventing network accommodating the water-based topsheet and removing the sludge adhered to the water-phase topsheet through air stripping; An overflow warehouse installed in the upper part of the sedimentation and filtration tank to uniformly flow the treated water having passed through the water phase supersaturated material and transfer it to the next process through the treated water transfer pipe; And a backwash water transfer device for collecting backwash water containing sludge generated in backwashing process for desorbing the sludge adhered to the water-phase topsheet through the attached sludge backwash device and discharging it to the outside.
상기 수중부상형 여재는 공극율 0.9~0.95, 비중 0.82~0.95, 지름 3mm~10mm의 규격을 갖는 PP재질의 섬유상 여재 또는 천연 목재 재질의 다면체 형상의 여재로 이루어져, 단일 규격 또는 복수 규격이 혼합되어 여재 이탈방지망에 수용된다. The water-phase supra-type filter medium is composed of a fibrous filter material of PP material having a porosity of 0.9 to 0.95, a specific gravity of 0.82 to 0.95 and a diameter of 3 to 10 mm or a polyhedral filter material of natural wood, And is accommodated in the escape prevention network.
또한, 상기 여재 이탈방지망은 상하부가 격자 형태의 망으로 이루어지고 측면이 분리격판을 통해 구획되어 가로 및 세로가 1m~2m 크기로 이루어지는 복수의 여재 방을 형성하며, 상부에는 여재 방에 수중부상형 여재를 담을 수 있는 개폐 가능한 출입 덮개방이 형성되고, 측면 끝단 및 상하부에 이탈망지망이 형성되어, 상기 여재 방이 구획된 여재 이탈방지망의 내부에는 전체 체적 대비 50~70%의 비율로 수중부상형 여재가 균일하게 분포되어 수용되도록 한다. In addition, the filter material separation preventing network is composed of a grid-like net at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a plurality of filter media having a side and a side separated by a separating plate and having a size of 1 m to 2 m in width and a length, And a partition wall is formed at the side end and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partition wall. The interior of the partition wall for partitioning the filter media is provided with a water-based upper layer type filter medium Are uniformly distributed and accommodated.
상기 부착슬러지 역세장치는 소정 간격으로 다수의 원형 천공이 형성된 배관으로 이루어져, 상부 방향으로 공기가 분출되도록 설치되어 에어 스트리핑을 통하여 상부에 위치하는 수중부상형 여재의 표면에 부착된 슬러지를 제거하며, 상기 배관의 말단에 자동 전동밸브가 설치되어 주기적으로 전동밸브를 개폐시켜 배관 내부를 세척할 수 있도록 한다. The attached sludge backwashing device includes a plurality of circular perforations form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The installed sludge backwashing device is installed to spray air in an upward direction to remove sludge adhering to the surface of the water- An automatic electric valve is provided at the end of the pipe to periodically open and close the electric valve to clean the inside of the pipe.
그리고 상기 월류웨어장치는 침전 및 여과조의 용량에 따라 전체 면적을 2~20 등분 이상 나눈 격자 형태의 월류웨어로 이루어지되, 상기 월류웨어는 V자 홈이 연속된 형태로 이루어지며, 침전 및 여과조 최종 배출 부분으로부터 거리가 멀수록 얕고 가까울수록 깊게 형성되어 처리수의 흐름이 균일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overflow ware is composed of a lattice type overflow ware which has a total area divided by 2 to 20 equal parts or more depending on the capacity of the settling and filtration tank. The overflow ware has a continuous V-shaped groove, It is preferable that the distance from the discharge part is shallower as the distance is shallower, and the flow of treatment water is made uniform.
한편, 상기 역세수 이송장치는 역세 과정에서 발생한 슬러지를 포함하는 역세수가 수집되는 역세수 수집홈통과, 상기 역세수 수집홈통에 수집되는 역세수를 펌핑하여 역세수 이송관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하는 역세수 이송펌프와, 상기 역세수 이송관에 설치되어 개폐되는 역세수 자동 배출밸브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The reverse water washing conveying apparatus includes a reverse oily water collecting trough for collecting backwash water including sludge generated during a backwash process and a reverse osmosis water collecting trough for pumping backwater collected in the reverse oven water collecting trough and discharging the reverse oven water to the outside through a reverse osmosis water conveying pipe A water transfer pump, and a reverse water discharge automatic drain valve installed on the reverse water transfer pipe.
상기 부착슬러지 역세장치와 역세수 이송장치에 구비된 역세수 이송펌프 및 역세수 배출밸브는, 설정된 주기별 또는 침전 및 여과조에 설치된 수위 센서로부터 침전 및 여과조의 수위가 높아지는 것이 감지되는 경우 구동되어 역세 과정이 수행되도록 한다. The backwash water transfer pump and the reverse water discharge valve provided in the attached sludge backwash device and the backwash water transfer device are driven when the water level of the sedimentation and filtration tank is detected from the water level sensor installed in the set period or the settling and filtration tank, So that the process is performed.
또한, 상기 역세수 이송장치에 구비된 역세수 이송펌프 및 역세수 배출밸브는 부착슬러지 역세장치와 연동하여 구동되되, 상기 부착슬러지 역세장치의 구동에 선행하여 동작하고, 부착슬러지 역세장치의 동작이 완료된 후 후행하여 구동이 정지되어, 역세 과정 중에 역세수가 월류웨어장치를 통하여 월류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backwash water transfer pump and the backwater discharge valve provided in the backwater transfer device operate in conjunction with the attached sludge backwash device and operate prior to the driving of the adhesion sludge backwash device, After comple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driving is stopped and the backwash water is not allowed to flow over the overflow ware during the backwash process.
한편, 상기 침전 및 여과조의 중앙 상부에는 외부로부터 물이 유입되는 정류통이 형성되고, 상기 침전 및 여과조의 중앙 하부에는 침전되는 슬러지를 중앙으로 모으는 슬러지수집용 스크래퍼와 상기 슬러지수집용 스크래퍼에 의해 모아지는 슬러지를 수집하여 슬러지농축조로 인발 및 반송하는 슬러지 수집구가 형성되며, 상기 침전 및 여과조의 중앙 상부에는 슬러지수집용 스크래퍼를 구동시키는 슬러지수집용 구동감속기가 설치된다. A sludge collecting scraper collecting sludge at the center of the sediment and filtration tank is disposed at the center of the sediment and filtration tank, And a sludge collector for drawing and conveying the sludge to the sludge concentration tank is formed. A sludge collecting driving speed reducer for driving the sludge collecting scraper is installed at the center of the sedimentation and filtration tank.
다른 한편으로, 상기 장방향 침전 및 여과조의 일측 상부에는 외부로부터 물이 유입되는 정류통이 설치되고, 하부에는 침전되는 슬러지가 수집되어 슬러지농축조 인발 및 반송되는 슬러지 수집구가 형성되며, 상기 침전 및 여과조의 상부에는 벨트를 통하여 구동축과 연결되는 슬러지수집용 구동감속기가 설치되고, 상기 구동축에는 슬러지 인양체인이 복수의 로울러를 통하여 침전 및 여과조 내측을 감싸는 형태로 연결되며, 상기 슬러지 인양체인에는 체인 플레이트가 형성되어, 상기 구동축의 구동에 따라 체인 플레이트가 침전 및 여과조의 바닥에 침전되는 슬러지를 슬러지 수집구로 이송시키게 된다. On the other hand, a sludge collecting port is formed at the upper part of one side of the longitudinal precipitation and filtration tank, and a sludge collecting port is formed at the lower part for collecting sludge to collect and draw the sludge concentration tank. The sludge lifting chain is connected to the drive shaft through a plurality of rollers in such a manner as to surround the sediment and the inside of the filtration tank. The sludge lifting chain includes a chain plate And the sludge settling on the bottom of the filtration tank is transferred to the sludge collecting port by the chain plate as the drive shaft is driven.
본 발명에 따른 수처리 장치는 하나의 장치로 이루어진 침전 및 여과조를 통하여 침전 및 여과 기능을 병행하여 수행하면서 하폐수를 정수 처리함으로써, 후단에 별도의 여과기를 설치하지 않고 수처리 공정을 단축시켜 간단하면서도 안정적으로 수질을 확보할 수 있으며, 침전조 이전 공정인 폭기조의 고농도 MLSS 형성을 제공하여 더욱 효율적으로 하폐수를 처리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The water treatment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erforms purification and wastewater treatment while simultaneously performing sedimentation and filtration functions through a sedimentation and filtration tank constituted by one apparatus, thereby simplifying the water treatment process without providing a separate filter at the rear stage, It is possible to secure water quality and to provide a high concentration MLSS formation of the aeration tank, which is a process prior to the settling tank, so that the wastewater can be treated more efficiently.
또한, 본 발명은 침전 및 여과조를 자동으로 제어하여 수처리를 수행함으로써 운전이 편리하고, 기존 설치되었던 후단 여과기 대비 전력 소모가 적고 유지관리가 용이하며, 미생물의 고농도를 유도할 수 있기 때문에 폭기조 용량 감소 및 가압수조 등이 생략되어 종래 시설 부지에 비해 작은 부지에서도 설치가 가능하여 시설투자비를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convenient for operation by automatically controlling the sedimentation and filtration tank to perform water treatment, and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power consumption and maintenance of the downstream filter, and to induce a high concentration of microorganisms, And a pressurized water tank are omitted, so that it is possible to install even a small site compared with the existing facility site, thereby reducing the investment cost of the facility.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침전 및 여과 기능이 병행되는 수처리 장치인 침전 및 여과조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침전 및 여과조의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침전 및 여과조의 부분 수평 평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수중부상형 여재의 형상 일례,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여재 이탈방지망의 일례,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부착슬러지 역세장치의 구조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월류웨어장치의 설치 개념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장방형 침전 및 여과조의 구성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장방형 침전 및 여과조의 측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침전 및 여과조의 현장적용 실제 사진을 나타낸 것이다.1 is a schematic view of a sedimentation and filtration tank, which is a water treatment apparatus in which sedimentation and filtration functions are performed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top view of a settling and filtration tank according to the invention,
FIG. 3 is a partial horizontal flat cross-sectional view of the precipitation and filtration tan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the shape of the water-
5 shows an example of the filter material separation preventing n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structural view of an attached sludge back-
FIG. 7 is a conceptual view of installing the overflow war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rectangular precipitation and filtration tan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a rectangular settling and filtration tan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0 is a photograph showing the actual application of the sedimentation and filtration tan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field.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에 따른 수처리 장치에는 침전 및 여과 기능이 병행되는 하나의 침전 및 여과조가 구비되어 침전 및 여과 기능이 동시에 수행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데, 이러한 침전 및 여과조는 용도와 용량에 따라 원형, 장방형, 정사각형 등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The water treatment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single sedimentation and filtration tank in which the sedimentation and filtration functions are concurrently carried out so that the sedimentation and filtration functions can be performed at the same time. Such a sedimentation and filtration tank may be circular, rectangular, square And the like.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형 또는 사각형으로 이루어지는 침전 및 여과조의 구성도이고, 도 2는 침전 및 여과조의 최상부 평면도이며, 도 3은 침전 및 여과조의 역세장치 평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FIG. 2 is a top plan view of a sedimentation and filtration tank, and FIG. 3 is a top plan view of a sedimentation and filtration tank backwashing apparatus.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침전 및 여과조(100)의 중앙 상부에는 외부로부터 정수 처리되어야 하는 물이 유입되는 정류통(151)이 형성되는데, 이 정류통(151)을 통하여 유입되는 물은 침전 및 여과조(100) 내부를 채우게 되고, 침전 및 여과조(100)를 채우는 물에 포함된 비중이 높은 농축슬러지는 하부로 침전된다. 또한, 상기 침전 및 여과조(100)의 하부에는 침전되는 농축슬러지를 중앙으로 모으는 슬러지수집용 스크래퍼(152)가 형성되는데, 이 슬러지수집용 스크래퍼(152)는 정류통(151)의 상부에 설치되는 슬러지수집용 구동감속기(150)에 의해 구동되어 회전하면서 바닥에 침전되는 농축슬러지를 모아 중앙으로 수집하게 된다. 또한, 상기 슬러지수집용 스크래퍼(152)의 중앙 하부에는 슬러지 수집구(153)가 형성되는데, 이 슬러지 수집구(153)에 수집되는 농축슬러지는 슬러지 인발펌프에 의해 슬러지 농축조로 인발 또는 반송하게 된다. As shown in FIGS. 1 to 3, the upper part of the center of the sedimentation and
한편, 상기 침전 및 여과조(100)의 상부에는 하폐수에 포함된 부유물이 부착될 수 있도록 공극이 형성된 수중부상형 여재(110)와, 상기 수중부상형 여재(110)를 수용하여 외부 이탈을 방지하는 여재 이탈방지망(115)과, 상기 여재 이탈방지망(115)의 하부에 설치되어 에어 스트리핑을 통하여 수중부상형 여재(110)에 부착된 슬러지를 탈리하는 부착슬러지 역세장치(130)와, 상기 여재 이탈방지망(115)의 상부에 설치되어 수중부상형 여재(110)를 통과한 처리수의 흐름을 균등하게 하여 처리수 이송관을 통하여 다음 공정으로 이송시키는 월류웨어장치(140)가 구비된다. On the other hand, the upper part of the sedimentation and
또한, 침전 및 여과조(100)의 상부 측면에는 부착슬러지 역세장치(130)의 에어 스트리핑에 의해 수중부상형 여재(110)로부터 탈리되는 슬러지가 포함된 역세수를 수집하여 외부로 이송하는 역세수 이송장치(120)가 구비되는데, 이 역세수 이송장치(120)에는 역세수가 모아져 수집되는 역세수 수집홈통(122)과, 이 역세수 수집홈통(122)에 수집된 역세수를 역세수 이송관을 통하여 외부로 이송시키는 역세수 이송펌프(121) 및 수위센서(262)가 구비된다. The upper side of the sedimentation and
상기의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침전 및 여과조(100)는 정류통(151)을 통하여 유입되는 물에 포함된 슬러지가 침전되어, 슬러지수집용 구동감속기(150)에 의해 구동되는 슬러지수집용 스크래퍼(152)에 의해 슬러지 수집구(153)로 수집되어 외부로 배출하게 된다. 또한, 유입되는 물의 상등수는 부유물이나 협잠물 등의 슬러지가 여재 이탈방지망(115)에 수용된 수중부상형 여재(110)를 통하여 여과 처리된 후, 상부의 월류웨어장치(140)를 통하여 처리수 이송관(125)으로 배출되게 된다. In the sedimentation and
한편, 수중부상형 여재(110)에 부착된 슬러지는 역세장치(130)의 에어스트리핑을 통하여 여재(110)로부터 분리되어 역세수와 함께 역세수 수집홈통(122)으로 수집된 후, 역세수 이송펌프(121)의 구동에 의해 역세수 이송관(123)으로 통하여 유량조 또는 슬러지 농축조로 이송되게 된다, 이때, 역세장치(130)가 구동되는 역세 시점은 정규화된 시간이나 하루 단위의 역세 타임 등의 설정 시간별, 또는 부유물로 인한 여재(110) 막힘으로 수위가 높아져 침전 및 여과조(100)에 설치된 수위 센서(262))로부터 수위 변동이 감지되는 경우 자동으로 동작될 수 있다. 상기의 조건에 따라 자동 역세가 이루어지는 경우, 먼저 연속 운전이 진행되면서 역세수 이송펌프(121)가 가동된 후, 약 십여 초 후 역세장치(130)의 에어 스트리핑이 10~60초(역세수가 모두 배출되는 양을 산출하여 정해짐) 진행된다. 이러한 역세가 이루어지는 시간 동안은 역세수가 역세수 이송관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기 때문에 월류웨어장치(140)를 통하여 방류수조로 월류가 발생하지 않게 된다. On the other hand, the sludge adhered to the water-phase supra-
이하에서는 상기 침전 및 여과조(100)에 구비된 수중부상형 여재(110)와 여재 이탈방지망(115), 부착슬러지 역세장치(130) 및 월류웨어장치(140)에 대하여 보다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the submerged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중부상형 여재의 형상을 나타낸 것으로, 도 4의 (a)는 물에 부상하며 반영구적 사용이 가능한 폴리프로필렌(PP) 섬유 재질로 이루어져 하폐수 처리용으로 사용되는 구형체 형상의 수중부상형 여재 일례이고, 도 4의 (b)는 편백나무나 코르코(cork)나무 등 천연 목재 재질로 이루어진 정육면체 내지 정십이면체 형상의 여재 일례를 나타낸 것이다. 4 (a) is a perspective view of a water-based topshe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a) is a polypropylene (PP) Fig. 4 (b) shows an example of a filter medium in the shape of a cube or a regular tetrahedron made of a natural wood material such as a plain wood or a cork tree.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여재(100)는 이러한 PP 재질 또는 천연 목재 재질로 이루어지는 여재(110)로써 슬러지의 효율적인 부착을 위하여 PP 재질의 섬유상 여재는 공극율이 0.9~0.95로 형성되고, 물에 부상하기 위해 비중이 0.82~0.95로 형성되며, 규격은 지름 3mm~10mm로 이루어진다. 상기의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구형체의 수중부상형 섬유상 여재(110) 또는 천연 목재 재질로 이루어지는 정다면체의 여재(110)는 여러 단위 구형체나 정다면체를 유입수의 성상(하폐수, 상수도)과 목적에 따라서 단위별로 동일 규격 또는 여러 규격을 혼합하여 사용하게 된다.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상기 여재(110)에 부착되는 슬러지는 부착슬러지 역세장치(130)를 통한 에어 스트리핑에 의해 분리되어 역세수로서 슬러지 농축조 또는 유량조로 배출되게 된다. 종래 일반적인 여과개념 장치의 공통적인 문제가 장치 내부의 역세수 과다와 역세가 충분하지 못한 상태로 유지되는 경우가 많다는 것인데, 본 발명에서는 침전 및 여과조(100)의 역세가 공기로 하는 방식과 장치의 설치 위치 및 수위 선정 특성으로 인하여 소량의 역세수가 발생하여, 종래 일반적인 여과개념 장치(사여과기, 섬유상여과기)의 역세수 발생량에 비해 10배 이상의 역세수 발생 절감이 가능하게 된다.The sludge adhered to the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여재 이탈방지망의 일례를 나타낸 것이다. 5 illustrates an example of a filter material separation prevention n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여재 이탈방지망(115)은 여재(110)를 내측에 수용하여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장치이다. 상기 여재 이탈방지망(115)은 상하부가 격자 형태의 망으로 이루어지는데, 상부 망에는 여재(110)를 충전 또는 점검할 수 있도록 개폐 가능한 출입 덮개방(116)이 형성된다. 상기 상부 망 및 하부 망은 평면상 가로, 세로 1~2m 간격으로 망 상부에서 하부 수직 방향으로 분리격판 및 이탈방지망을 통해 구분되어 복수의 여재 방을 구획하여 여재(110)의 균일한 분포를 유도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As shown in FIG. 5, the filter material
이와 같이 복수의 여재 방이 구획된 여재 이탈방지망(115) 내부에는 전체 체적 대비 50~70%로 여재(110)가 충전되며, 충전된 여재(110)는 수중 부상 특성에 따라 부착슬러지 역세장치(130)에 의한 에어 스트리핑시 원활한 회전운동이 이루어져 폐생물막 등의 슬러지가 탈리되고 여재(110) 간 상호 위치 이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게 된다.The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부착슬러지 역세장치의 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6 shows a structure of an attached sludge backwash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부착슬러지 역세장치(130)는 에어 스트리핑을 통하여 여재(110)에 부착된 슬러지를 탈리하는 장치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부착슬러지 역세장치(130)는 처리 규모와 용량에 따라 50A~100A 스텐레스 배관에 2~4mm의 원형 천공을 20~40cm 간격으로 형성하여 상부 방향으로 공기가 분출되도록 설치되는데, 배관의 말단에 하부 방향으로 자동 전동밸브를 설치하여 배관 내부의 주기적인 자동 세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된다. As shown in FIG. 6, the attached
상기의 구성으로 이루어진 부착슬러지 역세장치(130)는 여재(110)에 슬러지가 부착되는 경우 송풍기로부터 공급되는 짧은 시간의 에어 스트리핑을 통하여 매우 쉽게 99% 이상의 탈리 효과를 낼 수 있게 된다. 이러한 탈리 횟수는 필요에 따라 일일 1~6회 자동으로 운전 가능하며, 점도가 높은 하폐수의 경우에는 횟수를 늘려 운전하고, 점도가 낮은 하폐수의 경우에는 횟수를 줄여서 운전할 수 있다. 또한, 역세장치(130) 배관의 최말단에 자동 배출밸브를 설치하여 공기가 공급되는 배관 내부에 막힘이 없도록 하여 내부 이물질 제거가 용이하게 이루어지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부착슬러지 역세장치(130)는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ㄷ'자 형태로 이루어진 배관이 복수개 배열되는 구조로 설치된다. When the sludge is attached to the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월류웨어장치의 설치 개념도를 나타낸 것이다. FIG. 7 is a conceptual view of installing the overflow ware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월류웨어장치(140)는 침전 및 여과조(100)의 상부에 설치되어 여재(110)를 통과한 처리수의 흐름을 균등하게 하여 최종배출구에 연결되는 처리수 이송관을 통해 다음 공정으로 이송되도록 하는 장치이다. 일반적으로, 처리수의 이동시 대용량이고 수면 표면적이 넓을수록 후속 공정으로의 이동시 편중된 흐름이 발생할 우려가 있기 때문에, 본 발명에서는 이를 방지하고자 V자 홈의 연속된 월류웨어장치(140)를 상부에 설치하여, 처리수 이동이 균등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고 있다. 7, the
상기 월류웨어장치(140)에는 용량에 따라 전체 면적을 2~20등분 이상의 격자 형태로 구분하는 복수의 월류웨어로 이루어지는데, 최종 배출 부분으로부터 가장 멀리 위치한 부분은 상대적으로 얕게 하고 최종 배출 부분에 가까워질수록 깊게 설치하여 전체적인 처리수의 흐름을 원할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였다. The
상기의 구성으로 이루어진 침전 및 여과조(100)는 침전 및 여과 기능을 동시에 수행하여, 유입되는 물에 포함되는 농축슬러지는 하부의 슬러지 수집구(153)를 통하여 슬러지농축조로 인발 및 반송하고, 상등수 물에 포함된 부유물질은 여재(110)를 통하여 여과시켜 깨끗한 처리수를 방류조로 배출하며, 여재(110)에 부착되는 슬러지는 역세장치(130)를 통하여 분리시켜 역세수로서 슬러지농축조 또는 유량조로 배출하게 된다. The sedimentation and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침전 및 여과조(100)는 처리 용량이나 설치 규모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변형되어 적용될 수 있다.The sedimentation and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장방향 침전 및 여과조의 구성도이고, 도 9는 장방향 침전 및 여과조의 측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FIG. 8 is a schematic view of a longitudinal sedimentation and filtration tank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9 is a side sectional view of a longitudinal sedimentation and filtration tank.
도 8과 도 9에 도시된 침전 및 여과조(100)는 정수 처리 용량이 큰 대규모 장방형 침전 및 여과조로서, 이 침전 및 여과조(100)의 장방형 구조체(265)의 상부 중앙부에는 유입되는 물을 정수 처리하기 위한 수중부상형 여재(110)와, 상기 여재(110)를 수용하는 여재 이탈방지망(115)과, 상기 여재(110)에 부착된 슬러지를 에어스트리핑을 통하여 탈리하는 부착슬러지 역세장치(130)와, 월류웨어 격판(264) 사이에 설치되는 월류웨어장치(140)가 설치된다. 또한, 설계 용량에 따라 상부의 중앙 및 좌, 우에는 역세수 이송장치(120)가 설치되는데, 이 역세수 이송장치(120)에는 역세수를 수집하는 역세수 수집홈통(122)과, 상기 역세수 수집홈통(122)에 수집되는 역세수를 역세수 이송관(123)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하는 역세수 배출밸브(124)가 구비된다. 한편, 상기 여재(110)를 통하여 정수 처리된 물은 월류웨어장치(140)를 통과한 후 처리수 이송관(125)으로 이송된다. The sedimentation and
또한, 상기 침전 및 여과조(100)의 일측 상부에는 외부로부터 정수 처리되어야 할 물이 유입되는 정류통(263)이 설치되고, 바닥에는 농축슬러지가 수집되는 슬러지 수집구(260)가 형성되는데, 이 슬러지 수집구(260)에 수집되는 농축슬러지는 슬러지 인발펌프(261)를 통하여 외부의 슬러지 농축조로 인발 및 반송된다. A sludge collector 260 for collecting concentrated sludge is formed on the bottom of the
또한, 상기 침전 및 여과조(100)에는 수위 센서(262)가 설치되어, 여재의 막힘으로 침전 및 여과조(100)의 수위가 기준 수위를 넘는 경우, 자동역세 과정이 수행되여 역세수가 역세수 이송관(123)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도록 함으로써 수위가 조절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역세수가 이송되는 역세수 이송관(123)에는 역세수 자동 배출밸브(124)가 구비되어, 이 역세수 배출밸브(124)의 조절을 통하여 역세수 배출 시점 및 양이 조절될 수 있다.In the sedimentation and
한편, 침전 및 여과조(100)의 일측 상부에는 슬러지수집용 구동감속기(150)가 설치되는데, 이 슬러지수집용 구동감속기(150)는 벨트를 통하여 구동축(251)과 연결되어 구동축(251)을 회전시키게 된다. 상기 구동축(251)에는 슬러지 인양체인(252)이 연결되는데, 이 슬러지 인양체인(252)은 복수의 로울러를 통하여 침전 및 여과조(100) 내측을 감싸는 형태로 연결되어 구동축(251)의 구동에 따라 침전 및 여과조(100)의 내측에서 회전하게 된다. 즉, 상기 슬러지 인양체인(252)은 정류통(263)과 월류웨어 격판(264) 사이, 그리고 반대편 월류웨어 격판(264)과 구조체(265)와의 사이에서 작동되게 된다. 또한, 상기 슬러지 인양체인(252)에는 체인 플레이트(253)가 설치되는데, 이 체인 플레이트(253)는 슬러지 인양체인(252)이 침전 및 여과조(100)의 바닥 상부에서 이동될 때 침전 및 여과조(100)의 바닥에 접촉하여 이동함으로써, 침전 및 여과조(100)의 바닥으로 침전되는 농축슬러지를 긁어 모아 슬러지 수집구(260)로 이송시키게 된다. The sludge collecting
상기의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침전 및 여과조(100)는 정류통(263)을 통하여 유입되는 물의 상등수는 여재(110)를 통하여 여과 처리한 후 월류웨어장치(140)를 통하여 처리수 이송관(125)으로 배출하여 다음 공정(방류조)으로 이송시킨다.In the sedimentation and
상기 기술된 원형/사각형 침전 및 여과조에서의 여재 특성, 여재 이탈방지망, 역세장치 원리, 월류웨어 개념은 장방향 침전 및 여과조에서도 중복되어 적용된다.The filter material, the filter material separation prevention net, the backwasher principle, and the overwear concept in the round / square precipitation and filtration tank described above are also applied in the longitudinal precipitation and filtration tank.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침전 및 여과조가 실제 설치된 현장 사진 일례를 나타낸 것으로, 본 발명에서는 침전 및 여과 기능을 동시에 병행하여 수행하는 침전 및 여과조(100)를 통하여 최종 방류수 부유물을 효율적으로 제거하고, 폭기조의 고농도 MLSS를 제공하여 많은 미생물 개체 수를 확보함으로써 수처리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게 된다. FIG. 10 shows an example of a site photograph where a sedimentation and filtration tan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actically installed.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final effluent suspension is efficiently supplied through a sedimentation and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침전 및 여과조는 처리 용량이나 설치 규모 등에 따라 적절하게 변경될 수 있는 것으로,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 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As described above, the precipitation and filtration tan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suitably changed according to the treatment capacity, the installation scale, and the like,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embodiments,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100 : 침전 및 여과조 110 : 수중부상형 여재
115 : 여재 이탈방지망 116 : 출입 덮개방
120 : 역세수 이송장치 121 : 역세수 이송펌프
122 : 역세수 수집홈통 123 : 역세수 이송관
124 : 역세수 배출밸브 125 : 처리수 이송관
130 : 역세장치 140 : 월류웨어장치
150 : 슬러지수집용 구동감속기 151 : 정류통
152 : 슬러지수집용 스크래퍼 153 : 슬러지 수집구
250 : 슬러지수집용 구동감속기 251 : 구동축
252 : 슬러지 인양체인 253 : 체인 플레이트
260 : 슬러지 수집구 261 : 슬러지 인발펌프
262 : 수위 센서 263 : 정류통
264 : 월류웨어 격판 265 : 구조체100: Precipitation and filtration tank 110:
115: Filter material release prevention net 116: Outlet cover room
120: reverse osmosis conveying device 121: reverse osmosis conveying pump
122: Collection of stationary water Gutter 123: Station transferring water
124: Reverse bleed drain valve 125: Treated water transfer pipe
130: backwash device 140: overflow ware device
150: Driving speed reducer for collecting sludge 151:
152: Scraper for collecting sludge 153: Sludge collecting port
250: Sludge collecting drive decelerator 251: Drive shaft
252: sludge lifting chain 253: chain plate
260: Sludge collecting port 261: Sludge drawing pump
262: Water level sensor 263:
264: overflow ware partition 265: structure
Claims (10)
상기 역세수 이송장치(120)는 역세 과정에서 발생한 슬러지를 포함하는 역세수가 수집되는 역세수 수집홈통(122)과, 상기 역세수 수집홈통(122)에 수집되는 역세수를 펌핑하여 역세수 이송관(123)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하는 역세수 이송펌프(121)와, 상기 역세수 이송관(123)에 설치되어 개폐되는 역세수 배출밸브(124)를 포함하며,
상기 역세수 이송펌프(121) 및 역세수 배출밸브(124)는 부착슬러지 역세장치(130)와 연동하여 구동되되, 상기 부착슬러지 역세장치(130)의 에어스트리핑에 선행하여 동작하고, 부착슬러지 역세장치(130)의 에어스트리핑 동작이 완료된 후 후행하여 구동이 정지되어, 역세 과정 중에 역세수가 월류웨어장치(140)를 통하여 월류되지 않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 장치.
A water-phase upper type filter medium 110 having a spherical or polygonal shape and having a cavity for adhering sludge contained in the wastewater; A filter material detachment prevention net 115 for receiving the water-phase supra-type filter material 110 and preventing the filter material from coming out; An attachment sludge backing device 130 installed at a lower portion of the filter material removal prevention network 115 accommodating the water-bearing topsheet 110 and desorbing the sludge adhered to the water-bearing topsheet 110 through air stripping; An overflow ware unit 140 installed on the upper part of the filtration tank 100 for transferring the flow of the treated water evenly through the water phase superhetery 110 to the next process through the treated water transfer pipe 125, ; A backwash water transfer device 120 for collecting backwash water containing sludge generated in a backwash process for desorbing the sludge adhered to the water phase heterogeneous filtration material 110 through the attached sludge backwash device 130 and discharging it to the outside; And a filtering and filtering function through the filtration tank 100. The water treatment apparatus includes:
The reverse water washing transfer device 120 includes a reverse osmosis water collecting trough 122 for collecting backwash water including sludge generated during a backwash process and a reverse osmosis water collecting trough 122 for pumping reverse osmosis water collected in the reverse oven water collecting trough 122, And a reverse water discharge valve (124) installed in the reverse water discharge pipe (123) to open and close the reverse water discharge pipe (123)
The backwatershed transfer pump 121 and the backwater discharge valve 124 are operated in conjunction with the attached sludge backwash device 130 and operate prior to the air stripping of the attached sludge backwash device 130, After the air stripping operation of the device (130) is completed, the driving is stopped to prevent the backwash water from swirling through the overflow ware device (140) during backwashing process.
상기 수중부상형 여재(110)는 공극율 0.9~0.95, 비중 0.82~0.95, 지름 3mm~10mm의 규격을 갖는 폴리프로필렌(PP) 재질의 구형체 섬유상 여재 또는 정육면체 내지 정십이면체 형상의 천연 목재 재질 여재로 이루어져, 동일 규격 또는 복수 규격이 혼합되어 여재 이탈방지망(115)에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water-based topological filter medium 110 is a spherical fibrous filter material made of polypropylene (PP) having a porosity of 0.9 to 0.95, a specific gravity of 0.82 to 0.95 and a diameter of 3 mm to 10 mm, or a natural wood material filter material And the same or a plurality of standards are mixed to be accommodated in the filter material detachment prevention net 115.
상기 여재 이탈방지망(115)은
상하부가 격자 형태의 망으로 이루어지고 측면이 분리격판을 통해 구획되어 가로 및 세로가 1m~2m 크기로 이루어지는 복수의 여재 방을 형성하며, 상부에는 여재 방에 수중부상형 여재(110)를 담을 수 있는 개폐 가능한 출입 덮개방(116)이 형성되고, 상·하부 및 측면에 이탈망지망이 형성되어,
상기 여재 방이 구획된 여재 이탈방지망(115)의 내부에는 전체 체적 대비 50~70%의 비율로 수중부상형 여재(110)가 균일하게 분포되어 수용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filter material detachment prevention network 115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are formed of a grid-like net and the side surfaces are divided by the partitioning plates to form a plurality of filter media having a size of 1 m to 2 m in width and a height of 100 m in the filter media. And an outflow network is formed on upper and lower sides and side surfaces thereof,
Wherein the water medium removing material (110) is uniformly distributed and accommodated in the interior of the filter material separation prevention network (115) partitioned by the filter material in a ratio of 50 to 70% of the total volume.
상기 부착슬러지 역세장치(130)는
소정 간격으로 다수의 원형 천공이 형성된 배관으로 이루어져, 상부 방향으로 공기가 분출되도록 설치되어 에어 스트리핑을 통하여 상부에 위치하는 수중부상형 여재(110)의 표면에 부착된 슬러지를 제거하며, 상기 배관의 말단에 전동밸브가 설치되어 주기적으로 전동밸브를 개폐시켜 배관 내부를 세척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attached sludge back-
And a sludge adhered to the surface of the water-phase supra-type filter medium 110 located at the upper part through air stripping is removed, Wherein a motorized valve is provided at an end of the pipe to periodically open and close the motorized valve to clean the inside of the pipe.
상기 월류웨어장치(140)는
상기 침전 및 여과조(100)의 용량에 따라 전체 면적을 2~20 등분 이상 나눈 격자 형태의 월류웨어로 이루어지되, 상기 월류웨어는 V자 홈이 연속된 형태로 이루어지며, 침전 및 여과조(100)의 최종 배출 부분으로부터 거리가 멀수록 얕고 가까울수록 깊게 형성되어 처리수의 흐름이 균일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overflow ware device (140)
The overflow weir has a continuous V-shaped groove, and the bottom of the bottom of the filtration tank and the bottom of the bottom of the filtration tank 100 is divided into two, Wherein the water is formed so as to be shallower and closer as the distance from the final discharge portion of the water discharging portion becomes shorter, so that the flow of treated water can be uniform.
상기 부착슬러지 역세장치(130)와 역세수 이송장치(120)에 구비된 역세수 이송펌프(121) 및 역세수 배출밸브(124)는, 설정된 주기별 또는 침전 및 여과조(100)에 설치된 수위 센서(262)로부터 침전 및 여과조(100)의 수위가 높아지는 것이 감지되는 경우 구동되어, 역세 과정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backwash water transfer pump 121 and the reverse water discharge valve 124 provided in the attached sludge backwashing device 130 and the reverse osmosis water conveyance device 120 are connected to the water level sensor installed in the set period or in the settling and filtration tank 100, And when the water level of the sedimentation and filtration tank (100) is detected to be increased, the backwashing process is performed.
상기 침전 및 여과조(100)는 원형 또는 사각형 형태로 이루어져, 중앙 상부에는 외부로부터 물이 유입되는 정류통(151)이 형성되고,
상기 침전 및 여과조(100)의 중앙 하부에는 침전되는 슬러지를 중앙으로 모으는 슬러지수집용 스크래퍼(152)와, 상기 슬러지수집용 스크래퍼(152)에 의해 모아지는 슬러지를 수집하여 외부로 반송하는 슬러지 수집구(153)가 형성되며,
상기 침전 및 여과조(100)의 중앙 상부에는 슬러지수집용 스크래퍼(152)를 구동시키는 슬러지수집용 구동감속기(150)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edimentation and filtration tank 100 is formed in a circular or rectangular shape, and a rectification column 151 through which water flows from the outside is formed in the center upper part,
A sludge collecting scraper 152 for collecting the sludge to be precipitated at the center of the sediment and filtration tank 100 at the center and a sludge collecting sludge collecting sludge collecting sludge collected by the sludge collecting scraper 152, (153)
And a sludge collecting driving speed reducer (150) for driving a sludge collecting scraper (152) is installed at the center of the sedimentation and filtration tank (100).
상기 침전 및 여과조(100)는 장방형 형태로 이루어져, 일측 상부에는 외부로부터 물이 유입되는 정류통(263)이 설치되고, 하부에는 침전되는 슬러지가 수집되어 외부로 배출되는 슬러지 수집구(260)가 형성되며,
상기 침전 및 여과조(100)의 상부에는 벨트를 통하여 구동축(251)과 연결되는 슬러지수집용 구동감속기(250)가 설치되고, 상기 구동축(251)에는 슬러지 인양체인(252)이 복수의 로울러를 통하여 침전 및 여과조(100) 내측을 감싸는 형태로 연결되어 상기 정류통(263)과 월류웨어 격판(264) 사이 또는 반대편 월류웨어 격판(264)과 구조체(265) 사이에서 작동하며, 상기 슬러지 인양체인(252)에는 체인 플레이트(253)가 형성되어, 상기 구동축(251)의 구동에 따라 체인 플레이트(253)가 침전 및 여과조(100)의 바닥에 침전되는 슬러지를 슬러지 수집구(260)로 이송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 장치.A water-phase upper type filter medium 110 having a spherical or polygonal shape and having a cavity for adhering sludge contained in the wastewater; A filter material detachment prevention net 115 for receiving the water-phase supra-type filter material 110 and preventing the filter material from coming out; An attachment sludge backing device 130 installed at a lower portion of the filter material removal prevention network 115 accommodating the water-bearing topsheet 110 and desorbing the sludge adhered to the water-bearing topsheet 110 through air stripping; An overflow ware unit 140 installed on the upper part of the filtration tank 100 for transferring the flow of the treated water evenly through the water phase superhetery 110 to the next process through the treated water transfer pipe 125, ; A backwash water transfer device 120 for collecting backwash water containing sludge generated in a backwash process for desorbing the sludge adhered to the water phase heterogeneous filtration material 110 through the attached sludge backwash device 130 and discharging it to the outside; And a filtering and filtering function through the filtration tank 100. The water treatment apparatus includes:
The sedimentation and filtration tank 100 has a rectangular shape, and a sludge collector 260 for collecting sludge to be settled and discharging the sludge to the outside is installed at a lower portion of the rectifying column 263, Lt; / RTI &
A sludge collecting driving speed reducer 250 connected to the driving shaft 251 through a belt is installed on the sedimentation and filtration tank 100. A sludge lifting chain 252 is connected to the driving shaft 251 through a plurality of rollers And is operatively connected between the rectifying column 263 and the overflow ware partition 264 or between the overflow ware partition 264 and the structure 265 so as to surround the sediment and filtration tank 100, The chain plate 253 is driven to drive the sludge settling on the bottom of the filtration tank 100 to the sludge collecting opening 260 by driving the drive shaft 251 Characterized by a water treatment device.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067667A KR101757211B1 (en) | 2016-05-31 | 2016-05-31 | Water treatment apparatus combined precipitation and filtration function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067667A KR101757211B1 (en) | 2016-05-31 | 2016-05-31 | Water treatment apparatus combined precipitation and filtration function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757211B1 true KR101757211B1 (en) | 2017-07-12 |
Family
ID=593529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067667A KR101757211B1 (en) | 2016-05-31 | 2016-05-31 | Water treatment apparatus combined precipitation and filtration function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757211B1 (en) |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813546B1 (en) | 2017-10-11 | 2017-12-29 | (주)효성엔바이로 | A sludge gathering apparatus in a circle settling basin |
CN108744620A (en) * | 2018-08-01 | 2018-11-06 | 大庆市福安石油科技有限公司 | A kind of novel double-layer filtrate filter tank applied to disposing polluted water in oil |
CN111888808A (en) * | 2020-08-04 | 2020-11-06 | 淮北市中芬矿山机器有限责任公司 | Speed detection device of central transmission thickener |
CN112870777A (en) * | 2021-02-07 | 2021-06-01 | 康健岚 | A skimming collection device for sewage treatment |
KR20220022173A (en) * | 2020-08-18 | 2022-02-25 | 박소민 | Immobilized carrier module for sewage treatment using wooden wool |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0005517A (en) * | 1998-06-24 | 2000-01-11 | Japan Organo Co Ltd | Washing method of long filament filter |
JP2003080193A (en) * | 2001-09-12 | 2003-03-18 | Toshiba Plant Kensetsu Co Ltd | Strainer for washing piping and cleaning method therefor |
KR200419211Y1 (en) * | 2006-03-28 | 2006-06-19 | (주)한맥기술 | Sedimentation Apparatus |
KR100712643B1 (en) * | 2004-12-28 | 2007-05-02 | 주식회사 태영건설 | Apparatus for treating organic material and nitrogen of wastewater by using air floatation type biofilter, and treatment method using the same |
KR100906453B1 (en) * | 2009-04-24 | 2009-07-08 |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 Storm runoff treatment apparatus with auto back washing for filter |
KR100975410B1 (en) * | 2010-04-21 | 2010-08-12 | 미라클워터 주식회사 | Filtration apparatus of sludge circulation type and backwash-water discharge type |
-
2016
- 2016-05-31 KR KR1020160067667A patent/KR101757211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0005517A (en) * | 1998-06-24 | 2000-01-11 | Japan Organo Co Ltd | Washing method of long filament filter |
JP2003080193A (en) * | 2001-09-12 | 2003-03-18 | Toshiba Plant Kensetsu Co Ltd | Strainer for washing piping and cleaning method therefor |
KR100712643B1 (en) * | 2004-12-28 | 2007-05-02 | 주식회사 태영건설 | Apparatus for treating organic material and nitrogen of wastewater by using air floatation type biofilter, and treatment method using the same |
KR200419211Y1 (en) * | 2006-03-28 | 2006-06-19 | (주)한맥기술 | Sedimentation Apparatus |
KR100906453B1 (en) * | 2009-04-24 | 2009-07-08 |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 Storm runoff treatment apparatus with auto back washing for filter |
KR100975410B1 (en) * | 2010-04-21 | 2010-08-12 | 미라클워터 주식회사 | Filtration apparatus of sludge circulation type and backwash-water discharge type |
Cited By (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813546B1 (en) | 2017-10-11 | 2017-12-29 | (주)효성엔바이로 | A sludge gathering apparatus in a circle settling basin |
CN108744620A (en) * | 2018-08-01 | 2018-11-06 | 大庆市福安石油科技有限公司 | A kind of novel double-layer filtrate filter tank applied to disposing polluted water in oil |
CN108744620B (en) * | 2018-08-01 | 2023-08-01 | 大庆市福安石油科技有限公司 | Double-layer filter material filter tank applied to oilfield sewage treatment |
CN111888808A (en) * | 2020-08-04 | 2020-11-06 | 淮北市中芬矿山机器有限责任公司 | Speed detection device of central transmission thickener |
CN111888808B (en) * | 2020-08-04 | 2021-11-09 | 淮北市中芬矿山机器有限责任公司 | Speed detection device of central transmission thickener |
KR20220022173A (en) * | 2020-08-18 | 2022-02-25 | 박소민 | Immobilized carrier module for sewage treatment using wooden wool |
KR102431620B1 (en) * | 2020-08-18 | 2022-08-10 | 박소민 | Immobilized carrier module for sewage treatment using wooden wool |
CN112870777A (en) * | 2021-02-07 | 2021-06-01 | 康健岚 | A skimming collection device for sewage treatment |
CN112870777B (en) * | 2021-02-07 | 2022-08-19 | 广西建工科净源生态环保产业投资有限公司 | A skimming collection device for sewage treatment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757211B1 (en) | Water treatment apparatus combined precipitation and filtration function | |
KR101601488B1 (en) | Removal apparatus of non-point source pollutants | |
CN102574031A (en) | High speed filtration device using porous media, and backwash method thereof | |
US5238560A (en) | Washable filter | |
US8734641B2 (en) | Tertiary wastewater filtration using inclined filter media and internal reverse flow backwashing of filter disks | |
KR101637562B1 (en) | Apparatus for treating rain water | |
KR101549161B1 (en) | Non-point sources pollutants removal facility | |
KR101126049B1 (en) | Membrane filtration system for treatment of drinking water and wastewater with efficient pretreatment and backwashed water treatment processes | |
US6692638B2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removing particulate contaminants from commercial laundry wastewater | |
KR101037888B1 (en) | Hybrid wastewater treatment equipment with sedimentation, biological degradation, filtration, phosphorus removal and uv disinfection system in a reactor | |
KR101585575B1 (en) | Apparatus for reusing rainwater | |
RO201400001U1 (en) | Device and method for biological treatment and post-treatment of waste water | |
KR101608043B1 (en) | The aequipmenr of reducing non-point pollution material in rainwater | |
KR101543548B1 (en) | Filtering apparatus and the use of total phosphorus filtering method | |
KR101198117B1 (en) | Apparatus for purging | |
KR101151908B1 (en) | Structure and method for treating early rainwater and polluted river at the same time | |
CN201470196U (en) | Purifier for sewage, waste water and reclaimed water | |
KR20100047042A (en) | Apparatus for treating rainwater | |
RU171607U1 (en) | Filter sump | |
CN109867377A (en) | A kind of sewage disposal system | |
CN205216392U (en) | Graphite alkene effluent treatment plant | |
CN104071963A (en) | Radial-flow air-flotation thickening apparatus for sludge | |
KR20030009799A (en) | Waterways purification apparatus and method of an upper-direction flowing type of multi-layers structure filling up a gravel and seramic element | |
KR200305743Y1 (en) | Backwashing apparatus of tertiary sewage treatment system | |
RU65493U1 (en) | THIN-LAYER SILVER UNIT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