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08694B1 - Apparatus for filtering rainwater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filtering rainwate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208694B1 KR101208694B1 KR1020120058574A KR20120058574A KR101208694B1 KR 101208694 B1 KR101208694 B1 KR 101208694B1 KR 1020120058574 A KR1020120058574 A KR 1020120058574A KR 20120058574 A KR20120058574 A KR 20120058574A KR 101208694 B1 KR101208694 B1 KR 10120869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iltration
- unit
- rainwater
- filtered
- additional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1914 filtration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91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2
- 238000011001 backwash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9
- 238000005406 wash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3
- 239000012528 membran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2
- 238000005192 parti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4
- 230000000844 anti-bacterial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9000002244 precipitate Substances 0.000 claims 1
- 238000002347 injection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7
- 239000007924 injection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7
- 239000012530 fluid Substances 0.000 abstract 3
- 230000001580 bacterial Effects 0.000 description 10
- 239000010802 sludg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8
- 241000894006 Bacteria Species 0.000 description 6
- 241000195493 Cryptophyta Specie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0845 anti-microbial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4064 recyc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4140 clea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0356 contamin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3344 environmental pollut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9000010419 fine partic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1100000719 pollutant Toxicity 0.000 description 4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3673 ground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4576 san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4062 sediment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125000000129 anionic group Chemical group 0.000 description 2
- 150000001450 anion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599 antimicrob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706 filtr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575 sto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698 Polyethylene (P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273 ae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749 cleanlin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09 contamin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950 deficien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611 electric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030 lamina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1 polyethyl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573 polyethyl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865 sewag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87 sol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07 spray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5000020679 tap water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399 tap 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4—Devices for separating liquid or solid substances from sewage, e.g. sand or sludge traps, rakes or grat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Other filtering devices;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2—Filters adapted for location in special places, e.g. pipe-lines, pumps, stop-cocks
-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0—Collecting-tanks; Equalising-tanks for regulating the run-off; Laying-up basins
- E03F5/101—Dedicated additional structures, interposed or parallel to the sewer system
-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0—Collecting-tanks; Equalising-tanks for regulating the run-off; Laying-up basins
- E03F5/105—Accessories, e.g. flow regulators or cleaning devices
- E03F5/108—Cleaning devices providing a flushing surg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21/00—Applications of separation devices
- B01D2221/12—Separation devices for treating rain or storm water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우수의 여과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장마 또는 집중호우시 배수용량 이상으로 과다하게 유입된 우수를 저류하여 여과하는 우수의 여과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ainwater filtering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rainwater filtering device for storing and filtering rainwater excessively introduced beyond a drainage capacity during a rainy or heavy rain.
일반적으로 장마철이나 집중호우시 유입되는 우수는 그대로 하천으로 흘러가버리기 때문에 물 부족 국가에서 이의 이용이 절실하여, 시설물의 법규등 정부 차원에서 대책을 마련하고 있는 실정이다.Generally, the rainwater flowing in during the rainy season or the heavy rains flows into the rivers as it is, so it is urgent to use them in water-deficient countries, and the government is preparing measures such as the regulations of the facilities.
도시나 농촌의 마을에서 빗물을 이용할 수 있는 시설이 미비하여 하천으로 유입됨에 따라 이를 재활용할 수 없어 가뭄시나 폭서기시 생활용수나 농업용수 이용에 부족함을 느끼고 있다.As rainwater is not available in urban or rural villages, it can not be recycled as it flows into rivers, so it is not enough to use living or agricultural water during drought or aeration.
또, 대규모 시설에서 수돗물을 그대로 이용할 경우 많은 경비 지출이 초래되어 부담으로 작용하기 때문에 지하수 개발이나 우수를 저장하였다가 필요한 곳에 적절히 공급하여 사용하고자 하고 있다.In addition, if the tap water is used as it is in large-scale facilities, a lot of expenses are incurred and it acts as a burden.
그러나, 지하수 개발에 의한 상수시설은 무분별한 지하수 개발로 인해 점점지하수가 고갈되어 자연환경파괴 및 전기요금의 부담으로 점점 폐쇄되고 있어, 주로 우수를 정수하고 여과하여 사용하고 있는 실정이다.However, the water supply facilities by groundwater development are gradually being closed due to the groundwater depletion due to indiscriminate groundwater development and the destruction of the natural environment and the burden of electricity bills.
종래의 우수 여과장치는 장마철이나 단시간내의 폭우시 바로 하천으로 흘러가는 우수를 여과 집수하여 높은 청정도를 요하지 않는 수세식 화장실, 청소용수, 소방용수, 세차용수, 옷의 세탁, 식기의 세척, 샤워수 등의 용도로 주택이나 연수원, 아파트, 빌딩 등에서 이용할 수 있도록 우수를 여과하게 된다.The conventional rainwater filtering device collects rainwater that flows directly into a river during rainy season or during a short time of rain, so it does not require high cleanliness. Rainwater is filtered for use in housing, training centers, apartments, and buildings.
이러한 종래의 우수 여과장치에서는 여과하기 위해 모래 및 자갈 등의 여재를 적층하거나, 또는 저수탱크 내를 구획하여 모래 및 자갈 등을 구획한 각각의 공간에 보관하고 우수를 통과시켜 재활용수로 사용하도록 이루어져 있으나 이는 장마철이나 폭우시에는 저수용량이 부족하여 여과기능을 발휘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In the conventional rainwater filtering device to filter the sand and gravel, such as laminating, or to separate the inside of the reservoir tank and stored in each space partitioned sand and gravel, etc. and pass through the rainwater to be used as recycled water However, there is a problem that can not exhibit the filtration function due to the lack of low capacity during the rainy season or heavy rain.
또한, 우수 여과장치는 장기간의 사용으로 인해 여과에 사용되는 모래 및 자갈 등의 교체작업이 어려우며, 그로 인해 안정적인 여과기능을 수행하지 못 한다는 문제점도 있다.In addition, the rainwater filtering device is difficult to replace the sand and gravel used for filtration due to long-term use, there is also a problem that does not perform a stable filtration function.
특히, 종래의 우수 저류시설의 맨홀에는 빗물과 함께 유입된 비점오염원의 여과를 위한 별도의 여과수단이 설치되지 않았거나 여과수단이 설치되었다 하더라도 그 유지관리가 용이하게 이루어지지 못함으로써 맨홀에서 비점오염원의 충분한 여과가 이루어지지 못한 상태에서 저류조에 빗물이 모이게 되었다. In particular, the manhole of the conventional stormwater storage facility does not have a separate filtration means for filtration of the nonpoint pollutant introduced with rainwater, or even if the filtration means is not easily maintained, the nonpoint source of nonpoint pollutants in the manhole. Rainwater collected in the reservoir without sufficient filtration.
따라서 여재의 폐색이 빈번하여 여과효율이 저하되고, 이에 따라 빈번한 역세척이 요구되고, 하천수의 오염을 방지하기 위한 우수 저류시설의 기능이 제대로 수행되지 못하게 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Therefore, the blockage of the filter media is frequent, the filtration efficiency is lowered, there is a need for frequent backwashing, there was a problem such that the function of storm water storage facilities to prevent the contamination of the river water is not properly performed.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우수의 여과효율 및 재활용도를 향상시킬 수 있고, 역세척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고, 제1 여과부의 역세척시 및 저류부의 세척시 세척수의 배출을 용이하게 하는 동시에 바닥면에 슬러지의 침전을 감소시킬 수 있고, 별도의 동력없이 우수의 추가적인 여과를 할 수 있고, 바닥면에 침천된 침전물의 재부상을 방지하여 배출되는 우수의 오염을 저감하며, 우수에 포함된 조류 또는 박테리아성 오염물질로 인한 세균증식을 억제하거나 세균을 제거할 수 있고, 여과수의 여과상태에 따라 조경용수, 화장실 및 청소용수나 하천유지 용수 등과 같이 다양한 용도로 재활용할 수 있는 우수의 여과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conventional problems as described above, can improve the excellent filtration efficiency and recycling degree, can improve the backwashing efficiency, during the backwashing of the first filtration unit and the washing of the reservoir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sludge sedimentation on the bottom surface while facilitating the drainage of washing water at the same time, to perform additional filtration of rainwater without additional power, and to prevent the re-injury of sediment deposited on the floor surface. It can reduce pollution, suppress bacterial growth caused by algae or bacterial contaminants contained in rainwater, or remove bacteria, and can be used for various purposes such as landscaping water, toilet and cleaning water or river maintenance water depending on the filtration state of the filtered water.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recyclable rainwater filtering device.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우수가 유입되는 유입부; 상기 유입부의 하류에 설치되어 우수가 하부에서 상향으로 유입되어 유동상 여재에 의해 여과되는 제1 여과부; 상기 제1 여과부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유동상 여재를 역세척시키는 역세척부; 상기 제1 여과부의 하류에 설치되어 여과된 우수가 저류되는 저류부; 및 상기 저류부의 측면에 설치되어 저류된 우수가 여과막에 의해 여과되는 제2 여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inlet is rainwater is introduced; A first filtration part installed downstream of the inlet part and the rainwater flowing upward from the lower part to be filtered by the fluidized bed medium; A back washing unit installed on the first filtration unit to back wash the fluidized bed filter medium; A storage portion installed downstream of the first filtration portion to store filtered rainwater; And a second filtration unit installed on the side of the storage unit and the rainwater stored in the storage unit is filtered by the filtration membrane.
본 발명의 상기 제1 여과부는, 하부 거름망과 상부 거름망 사이에 유동상 여재가 설치되며, 상기 하부 거름망의 상부에는 상기 역세척부의 역세척시 에어에 의해 유동상 여재를 교란시키도록 에어주입구가 설치되어 있다.The first filtration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luidized bed filter is installed between the lower sieve and the upper sieve, the air inlet is install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lower sieve to disturb the fluidized bed filter by the air at the time of backwashing of the backwashing unit. It is.
본 발명의 상기 제1 여과부와 상기 저류부는, 바닥의 세척이 용이하도록 바닥면이 하류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제2 여과부의 여과막은, 상기 저류부와 상기 제2 여과부 사이에 형성된 격벽에 설치되어 있다.The first filter portion and the reservoir por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ottom surface is formed to be inclined in the downstream direction to facilitate the bottom washing. The filtration membrane of the said 2nd filtration part of this invention is provided in the partition formed between the said storage part and the said 2nd filtration part.
본 발명의 상기 제2 여과부에서 여과된 여과수는, 상기 저류부의 상부에 설치된 세척수 공급부로 이송되어 상기 역세척부에 사용되는 역세척수 또는 상기 저류부에 사용되는 세척수로 재활용된다.The filtered water filtered in the second filtration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ransferred to the washing water supply unit installed on the storage unit and recycled to the backwashing water used in the backwashing unit or the washing water used in the storage unit.
본 발명의 상기 저류부의 측면에는 침전물의 재부상을 방지하도록 받침판이 하방으로 경사지게 설치되어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저류부에는 항균타일이 설치되어 있다.On the side of the reservoir of the present invention, a support plate is inclined downward to prevent re-injury of the deposit. The storage por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n antibacterial tile.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2 여과부의 하류에 설치되어 여과수를 저류하는 하나 이상의 추가 저류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one or more additional storage unit is installed downstream of the second filtration unit for storing the filtered water.
본 발명의 상기 추가 저류부에는 저류된 여과수가 여과막에 의해 추가로 여과되는 추가 여과부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추가 저류부에는 항균타일이 설치되어 있다.The additional storage par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dditional filtration parts in which the filtered filtration water is further filtered by the filtration membrane. The additional reservoi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n antibacterial tile.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우수를 제1 여과부와 제2 여과부에 의해 여과하고, 여과된 여과수를 역세척수 또는 세척수로 재활용함으로써, 우수의 여과효율 및 재활용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to filter the rainwater by the first filtration unit and the second filtration unit, and by recycling the filtered filtration water backwash or wash water, the effect of improving the filtration efficiency and recycling degree of rainwater To provide.
제1 여과부에서 여과시 유동상 여재를 사용하여 여과하고, 역세척시 교란을 위해 에어주입구를 형성함으로써, 여과효율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역세척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In the first filtration unit, the filtration is performed using the fluidized bed filter medium, and an air inlet is formed for the disturbance during backwashing, thereby improving the filtration efficiency and improving the backwashing efficiency.
제1 여과부와 저류부의 바닥면을 경사지게 형성함으로써, 제1 여과부의 역세척시 및 저류부의 세척시 세척수의 배출을 용이하게 하는 동시에 바닥면에 슬러지의 침전을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By inclining the bottom surfaces of the first filtration unit and the reservoir, it is possible to facilitate the discharge of the washing water during backwashing of the first filtration unit and during the washing of the reservoir, and at the same time,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sedimentation of sludge on the bottom.
제2 여과부의 여과막을 저류부와 제2 여과부 사이의 격벽에 설치함으로써, 별도의 동력없이 우수의 추가적인 여과를 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By providing the filtration membrane of the second filtration unit in the partition wall between the reservoir and the second filtration unit, it provides the effect of further excellent filtration without additional power.
저류부에 받침판과 항균타일을 설치함으로써, 바닥면에 침천된 침전물의 재부상을 방지하여 배출되는 우수의 오염을 저감하며, 우수에 포함된 조류 또는 박테리아성 오염물질로 인한 세균증식을 억제하거나 세균을 제거할 수 있게 된다. By installing the supporting plate and antibacterial tile in the reservoir, it prevents the re-injury of sediment settled on the bottom surface and reduces the discharge of rainwater, and suppresses the growth of bacteria by the algae or bacterial pollutants contained in the rainwater. Can be removed.
저류부의 하류에 추가 저류부와 추가 여과부를 설치함으로써, 여과수의 여과상태에 따라 조경용수, 화장실 및 청소용수나 하천유지 용수 등과 같이 다양한 용도로 재활용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By installing an additional reservoir and an additional filtration downstream of the reservoir, it provides an effect that can be recycled for various purposes, such as landscaping water, toilet and cleaning water or river maintenance water, depending on the filtration state of the filtrat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우수의 여과장치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우수의 여과장치를 나타내는 확대구성도.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filter device of rainwa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enlarged configuration showing a filtration device of rainwa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우수의 여과장치를 나타내는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우수의 여과장치를 나타내는 확대구성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rainwater filter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enlarged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a rainwater filter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한 우수의 여과장치는 유입부(10), 제1 여과부(20), 역세척부(30), 저류부(40), 제2 여과부(50), 에어주입부(60) 및 세척수 공급부(70)로 이루어져 유입되는 우수를 여과하게 된다.As shown in FIG. 2, the rainwater filter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n
유입부(10)는, 지상의 우수가 하수관로 등의 배관을 통해서 유입되어 저장되는 저장조로서, 유입조(11), 유입구(12), 유출구(13) 및 비상배출구(14)로 이루어져 있다. The
유입조(11)는, 지상의 우수가 유입되어 저장되는 우수저장조로 형성되며 유입조(11)의 상부 일단에는 지상의 우수가 유입되도록 유입구(12)가 설치되어 있고, 유입조의 하부 일단에는 유입조(11)에 저장된 우수를 배출하도록 유출구(13)가 형성되어 있다. The
또한, 유입조(11)의 상부 타단에는 유입조(11)의 우수의 유입이 과다하여 유입이 불가능한 경우에 후속 공정으로 우수를 직접 배출하기 위한 비상배출구(14)가 형성되어 있다. In addition, the upper end of the
제1 여과부(20)는, 유입부의 하류에 설치되어 우수가 하부에서 상향으로 유입되어 유동상 여재에 의해 여과되는 여과조로서, 제1 여과조(21), 바닥면(22), 배출구(23), 세척수밸브(24), 하부 거름망(25), 유동상 여재(26) 및 상부 거름망(27)으로 이루어져 있다.The
제1 여과조(21)는, 유입부(10)에서 유입된 우수가 여과되는 처리조로서, 우수가 하부에서 상향으로 유입되어 여과된다. 바닥면(22)은, 제1 여과부(20)의 역세척시 역세척수의 배수가 용이하도록 하류방향으로 소정각도(α) 하방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다.The first filtration tank 21 is a treatment tank in which rainwater introduced from the
배출구(23)는, 제1 여과조(21)의 상단 일방에 형성되어 제1 여과조(21)에서 여과된 여과수를 저류부(40)로 배출시키거나, 유입부(10)에 과다하게 유입되어 비상배출구(14)를 통해서 배출된 우수를 저류부(40)로 배출시키게 된다.The
세척수밸브(24)는, 바닥면(22)의 일단에 저류부(40)와 연통되도록 설치되어 역세척시 오염된 세척수의 배출을 제어하는 밸브로서, 전동밸브로 이루어져 제어가 가능하게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하부 거름망(25)은 제1 여과조(21)의 하부에 설치되고, 상부 거름망(27)은 여과조(21)의 상부에 설치되어 있고, 하부 거름망(25)과 상부 거름망(27) 사이에 유동상 여재(26)가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유동상 여재(26)로는 P.E.(polyethylene)로 이루어지며, 5~8㎜의 직경의 볼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또한, 하부 거름망(25)의 상부에는 역세척부(30)의 역세척시 에어에 의해 유동상 여재(26)를 교란시키도록 복수개의 에어주입구(63)가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a plurality of
이러한 에어주입구(63)는 에어주입부(60)로부터 에어가 주입되며, 에어주입부(60)는 에어 공급원으로서 블로워(61)에 의해 발생된 에어가 에어배관(62)을 통해서 에어주입구(63)로 송풍되어 제1 여과부(20)에 에어를 주입하게 된다.Air is injected into the
역세척부(30)는, 제1 여과부(20)의 상부에 설치되어 유동상 여재(26)를 역세척수에 의해 역세척하는 역세척수단으로서, 역세척 배관(31)과 역세척 노즐(32)로 이루어져 있다.The
역세척 배관(31)은 제1 여과부(20)의 상부에 상방으로 소정거리 이격되어 설치되며, 이러한 역세척 배관(31)의 하부에는 복수개의 역세척 노즐(32)이 배관의 길이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이격 형성되어 있다.The
저류부(40)는, 제1 여과부(20)의 하류에 설치되어 여과된 우수가 저류되는 저류조로서, 저류조(41), 바닥면(42), 슬러지 저장홈(43), 배출펌프(44), 받침판(45) 및 항균타일(46)로 이루어져 있다.The
저류조(41)는 제1 여과부(20)에서 여과된 우수가 저장되는 저장조로서, 제1 여과부(20)의 배출구(23)를 통해 유입된 우수를 저류하여 여과된 우수에 포함된 미립자를 자중에 의해 자연낙하시키도록 저류하게 된다.The
바닥면(42)은 저류부(40)의 세척시 세척수의 배수가 용이하도록 하류방향으로 소정각도(β) 하방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다.The
슬러지 저장홈(43)은 저류부(40)의 바닥면(42)의 하류 일단에 함몰 형성되어 저류조(41)의 세척시 발생된 슬러지 등의 고형물이 잔류하게 되고, 이러한 슬러지 저장홈(43)에는 슬러지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출펌프(44)가 설치되어 있다.The
받침판(45)은 저류부(40)의 측면에 일단이 하방으로 경사지게 설치되어, 저류부(40)의 바닥면(43)에 침천된 침전물의 재부상을 방지하게 되므로, 제2 여과부(50)로 배출되는 우수의 오염을 저감할 수 있게 된다. The supporting
항균타일(46)은 저류부(40)의 내면에 설치되어, 저류조(41)에 저류된 우수에 포함된 조류 또는 박테리아성 오염물질로 인한 세균증식을 억제하거나 세균을 제거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항균타일(46)로는 항균 음이온 타일이나 음이온 가공석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 여과부(50)는, 저류부(40)의 하류 측면에 설치되어 저류된 우수가 여과막에 의해 여과되는 추가적인 여과조로서, 제2 여과조(51), 여과막(52), 배수펌프(53), 배수구(54)로 이루어져 있다.The
제2 여과조(51)는, 저류부(40)의 저류조(41)와 격벽을 경계로 분리된 여과조로서, 저류조(41)에 저류된 우수가 격벽에 형성된 연통부위를 통해서 측방으로 유입된다. The
여과막(52)은, 저류부(40)와 제2 여과부(50) 사이에 형성된 격벽의 연통부위 설치되며, 저류조(41)에서 제2 여과조(51)로 유입되는 우수에 포함된 미세입자를 추가적으로 여과하게 된다. 또한, 이러한 여과막(52)으로는 끈상 여재 또는 섬유질 여재로 이루어진 여과막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배수펌프(53)는, 제2 여과조(51)의 하부에 설치되어 여과막(52)에 의해 여과된 여과수를 저류부(40)의 상부에 설치된 세척수 공급부(70)로 펌핑 이송하여, 역세척부(30)에 사용되는 역세척수 또는 저류부(40)의 세척시 사용되는 세척수로 재활용하게 된다.The
이러한 세척수 공급부(70)는, 제2 여과부(50)에서 여과된 여과수를 세척수로 재활용하도록 공급펌프(71), 역세척관(72), 세척관(73) 및 세척노즐(74)로 이루어져 있다.The washing
공급펌프(71)는 제2 여과부(50)에서 여과된 여과수를 세척수로 사용하도록 세척수를 펌핑하여 공급하게 된다. 역세척관(72)은, 공급펌프(71)와 역세척부(30) 사이에 연결되어 역세척수를 공급하게 된다. 세척관(73)은 공급펌프(71)과 저류부(40) 사이에 연결되어 세척수를 공급하게 되며, 세척관(73)의 단부에는 저류조(41)에 세척수를 분사하는 세척노즐(74)이 설치되어 있다.The
배수구(54)는, 제2 여과조(51)의 상부에 설치되어 여과막(52)에 의해 여과된 여과수가 제2 여과조(51) 내에 충만한 경우에 외부로 배수하여 제2 여과조(51)의 유량을 일정하게 유지시키게 된다.The
또한, 본 실시예의 우수의 여과장치는, 제2 여과부(50)의 하류에 설치되어 제2 여과부(50)에서 여과된 여과수를 저류하는 하나 이상의 추가 저류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가능함은 물론이다.In addition, it is a matter of course that the filtration device of the present embodiment may further include one or more additional storage units installed downstream of the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추가 저류부는, 제2 여과부(50)의 하류에 연결된 제1 추가 저류부(80)와 제2 추가 저류부(100)와 같이 2개의 추가 저류부로 이루어져 있으나, 여기에 한정되지 않고 제1 추가 저류부(80)만으로 1개의 추가 저류부가 설치되거나 3개 이상의 추가 저류부가 설치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As shown in FIG. 1, the additional storage portion of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two additional storage portions, such as the first
제1 추가 저류부(80)에는 제1 추가 저류조(81)에 저류된 우수가 여과막에 의해 추가로 여과되는 제1 추가 여과부(90)가 설치되어 있고, 제2 추가 저류부(100)에는 제2 추가 저류조(101)에 저류된 우수가 여과막에 의해 추가로 여과되는 제2 추가 여과부(110)가 설치되어 있다. The first
또한, 제1 추가 저류부(80)의 제1 추가 저류조(81)의 내면에는 항균타일(82)이 설치되어, 제1 추가 저류조(81)에 저류된 우수에 포함된 조류 또는 박테리아성 오염물질로 인한 세균증식을 억제하거나 세균을 제거할 수 있게 된다. In addition, an antibacterial tile 82 is install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first
제2 추가 저류부(100)의 제2 추가 저류조(101)의 내면에도 항균타일(102)이 설치되어, 제2 추가 저류조(101)에 저류된 우수에 포함된 조류 또는 박테리아성 오염물질로 인한 세균증식을 억제하거나 세균을 제거할 수 있게 된다. The
이러한 항균타일(82, 102)로는 항균 음이온 타일이나 음이온 가공석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s the
제1 추가 여과부(90)는, 제1 추가 저류부(80)의 하류 측면에 설치되어 저류된 우수가 여과막에 의해 여과되는 추가적인 여과조로서, 제1 추가 여과조(91), 여과막(92), 배수펌프(93), 배수구(94)로 이루어져 있다.The first
제1 추가 여과조(91)는, 제1 추가 저류부(80)의 제1 추가 저류조(81)와 격벽을 경계로 분리된 여과조로서, 제1 추가 저류조(81)에 저류된 우수가 격벽에 형성된 연통부위를 통해서 측방으로 유입된다. The first
여과막(92)은, 제1 추가 저류부(80)와 제1 추가 여과부(90) 사이에 형성된 격벽의 연통부위 설치되며, 제1 추가 저류조(81)에서 제1 추가 여과조(91)로 유입되는 우수에 포함된 미세입자를 추가적으로 여과하게 된다. 또한, 이러한 여과막(92)으로는 끈상 여재 또는 섬유질 여재로 이루어진 여과막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배수펌프(93)는, 제1 추가 여과조(91)의 하부에 설치되어 여과막(92)에 의해 여과된 여과수를 외부로 펌핑 이송하여 조경용수, 화장실 및 청소용수 등으로 재활용하게 된다.The
배수구(94)는, 제1 추가 여과조(91)의 상부에 설치되어 여과막(92)에 의해 여과된 여과수가 제1 추가 여과조(91) 내에 충만한 경우에 제2 추가 저류부(100)로 배수하여 제1 추가 여과조(91)의 유량을 일정하게 유지시키게 된다.The
제2 추가 여과부(110)는, 제2 추가 저류부(100)의 하류 측면에 설치되어 저류된 우수가 여과막에 의해 여과되는 추가적인 여과조로서, 제2 추가 여과조(111), 여과막(112), 배수펌프(113), 배수구(114)로 이루어져 있다.The second
제2 추가 여과조(111)는, 제2 추가 저류부(100)의 제2 추가 저류조(101)와 격벽을 경계로 분리된 여과조로서, 제2 추가 저류조(101)에 저류된 우수가 격벽에 형성된 연통부위를 통해서 측방으로 유입된다. The second
여과막(112)은, 제2 추가 저류부(100)와 제2 추가 여과부(110) 사이에 형성된 격벽의 연통부위 설치되며, 제2 추가 저류조(101)에서 제2 추가 여과조(111)로 유입되는 우수에 포함된 미세입자를 추가적으로 여과하게 된다. 또한, 이러한 여과막(112)으로는 끈상 여재 또는 섬유질 여재로 이루어진 여과막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배수펌프(113)는, 제2 추가 여과조(111)의 하부에 설치되어 여과막(112)에 의해 여과된 여과수를 외부로 펌핑 이송하여 하천유지 용수 등으로 재활용하게 된다.The
배수구(114)는, 제2 추가 여과조(111)의 상부에 설치되어 여과막(112)에 의해 여과된 여과수가 제2 추가 여과조(111) 내에 충만한 경우에 외부로 배수하여 제2 추가 여과조(111)의 유량을 일정하게 유지시키게 된다.The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본 발명은 우수를 제1 여과부와 제2 여과부에 의해 여과하고, 여과된 여과수를 역세척수 또는 세척수로 재활용함으로써, 우수의 여과효율 및 재활용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filtering the rainwater by the first filtration unit and the second filtration unit, and recycling the filtered filtration water to backwash or wash water, the filtration efficiency and recycling degree of rainwater can be improved. It can be effective.
또한, 제1 여과부에서 여과시 유동상 여재를 사용하여 여과하고, 역세척시 교란을 위해 에어주입구를 형성함으로써, 여과효율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역세척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In addition, by filtration in the first filtration unit using the fluidized bed filter medium, and by forming an air inlet for disturbance during backwashing,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filtration efficiency and at the same time backwashing efficiency.
또한, 제1 여과부와 저류부의 바닥면을 경사지게 형성함으로써, 제1 여과부의 역세척시 및 저류부의 세척시 세척수의 배출을 용이하게 하는 동시에 바닥면에 슬러지의 침전을 감소시킬 수 있게 되고, 제2 여과부의 여과막을 저류부와 제2 여과부 사이의 격벽에 설치함으로써, 별도의 동력없이 우수의 추가적인 여과를 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In addition, by forming the bottom surface of the first filtration unit and the reservoir inclined, it is possible to facilitate the discharge of the washing water during backwashing of the first filtration unit and during the washing of the reservoir, and at the same time reduce the sedimentation of sludge on the bottom. By installing the filtration membrane of the 2 filtration part in the partition between the storage part and the 2nd filtration part, the effect which can perform the additional filtration of rainwater without separate power is provided.
저류부에 받침판과 항균타일을 설치함으로써, 바닥면에 침천된 침전물의 재부상을 방지하여 배출되는 우수의 오염을 저감하며, 우수에 포함된 조류 또는 박테리아성 오염물질로 인한 세균증식을 억제하거나 세균을 제거할 수 있게 된다. By installing the supporting plate and antibacterial tile in the reservoir, it prevents the re-injury of sediment settled on the bottom surface and reduces the discharge of rainwater, and suppresses the growth of bacteria by the algae or bacterial pollutants contained in the rainwater. Can be removed.
저류부의 하류에 추가 저류부와 추가 여과부를 설치함으로써, 여과수의 여과상태에 따라 조경용수, 화장실 및 청소용수나 하천유지 용수 등과 같이 다양한 용도로 재활용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By installing an additional reservoir and an additional filtration downstream of the reservoir, it provides an effect that can be recycled for various purposes, such as landscaping water, toilet and cleaning water or river maintenance water, depending on the filtration state of the filtrate.
이상 설명한 본 발명은 그 기술적 사상 또는 주요한 특징으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른 여러 가지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실시예는 모든 점에서 단순한 예시에 지나지 않으며 한정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can be embodied in many other form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main features thereof. Therefore, the above embodiments are merely examples in all respects and should not be interpreted limitedly.
10: 유입부 20: 제1 여과부
30: 역세척부 40: 저류부
50: 제2 여과부 60: 에어주입부
70: 세척수 공급부 80: 제1 추가 저류부
90: 제1 추가 여과부 100: 제2 추가 저류부
110: 제2 추가 여과부10: inlet 20: first filtration unit
30: backwash 40: reservoir
50: second filtration unit 60: air injection unit
70: wash water supply unit 80: first additional storage unit
90: first additional filtration section 100: second additional storage section
110: second additional filtration unit
Claims (10)
상기 유입부의 하류에 설치되어 우수가 하부에서 상향으로 유입되어 유동상 여재에 의해 여과되는 제1 여과부;
상기 제1 여과부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유동상 여재를 역세척시키는 역세척부;
상기 제1 여과부의 하류에 설치되어 여과된 우수가 저류되는 저류부; 및
상기 저류부에 설치되어 저류된 우수가 여과막에 의해 여과되는 제2 여과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여과부와 상기 저류부는, 바닥의 세척이 용이하도록 바닥면이 하류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수의 여과장치.An inlet that rainwater flows into;
A first filtration part installed downstream of the inlet part and the rainwater flowing upward from the lower part to be filtered by the fluidized bed medium;
A back washing unit installed on the first filtration unit to back wash the fluidized bed filter medium;
A storage portion installed downstream of the first filtration portion to store filtered rainwater; And
And a second filtration unit installed in the storage unit and the rainwater stored in the storage unit is filtered by a filtration membrane.
The first filtering portion and the reservoir portion, the bottom surface is formed to be inclined in the downstream direction to facilitate the washing of the bottom, excellent filter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상기 제1 여과부는, 하부 거름망과 상부 거름망 사이에 유동상 여재가 설치되며, 상기 하부 거름망의 상부에는 상기 역세척부의 역세척시 에어에 의해 유동상 여재를 교란시키도록 에어주입구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수의 여과장치.The method of claim 1,
The first filtration unit, the fluidized bed medium is installed between the lower sieve and the upper sieve, and the upper portion of the lower sieve is provided with an air inlet so as to disturb the fluidized bed media by air during backwashing of the backwashing unit. Filtration device of rainwater, characterized by.
상기 제2 여과부의 여과막은, 상기 저류부와 상기 제2 여과부 사이에 형성된 격벽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수의 여과장치.The method of claim 1,
The filtration membrane of the said 2nd filtration part is provided in the partition formed between the said storage part and the said 2nd filtration part, The filtration apparatus of the storm excellent characterized by the above-mentioned.
상기 제2 여과부에서 여과된 여과수는, 상기 저류부의 상부에 설치된 세척수 공급부로 이송되어 상기 역세척부에 사용되는 역세척수 또는 상기 저류부에 사용되는 세척수로 재활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수의 여과장치.The method of claim 1,
The filtered water filtered by the second filtration unit is transferred to the washing water supply unit installed in the upper portion of the reservoir is recycled to the backwash water used for the backwashing unit or the wash water used for the storage unit, characterized in that .
상기 저류부의 측면에는 침전물의 재부상을 방지하도록 받침판이 하방으로 경사지게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수의 여과장치.The method of claim 1,
On the side of the reservoir portion of the excellent filter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support plate is installed to be inclined downward to prevent re-injury of the precipitate.
상기 저류부에는 항균타일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수의 여과장치.The method of claim 1,
Filtration device of the excellent, characterized in that the reservoir is provided with an antibacterial tile.
상기 제2 여과부의 하류에 설치되어 여과수를 저류하는 하나 이상의 추가 저류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수의 여과장치.The method of claim 1,
And at least one additional reservoir installed downstream of the second filtration unit for storing filtered water.
상기 추가 저류부에는 저류된 여과수가 여과막에 의해 추가로 여과되는 추가 여과부가 각각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수의 여과장치.The method of claim 8,
The additional storage part is provided with an additional filtration unit, each of which is further filtered by the filtration membrane stored in the filtered water is installed.
상기 추가 저류부에는 항균타일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수의 여과장치.The method of claim 8,
The additional reservoir is an excellent filtra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antibacterial tile is installed.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058574A KR101208694B1 (en) | 2012-05-31 | 2012-05-31 | Apparatus for filtering rainwate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058574A KR101208694B1 (en) | 2012-05-31 | 2012-05-31 | Apparatus for filtering rainwater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208694B1 true KR101208694B1 (en) | 2012-12-05 |
Family
ID=479069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20058574A KR101208694B1 (en) | 2012-05-31 | 2012-05-31 | Apparatus for filtering rainwater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208694B1 (en)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436281B1 (en) | 2014-03-12 | 2014-08-29 | 씨앤씨주식회사 | Rain water treatment apparatus |
KR101532275B1 (en) * | 2014-09-23 | 2015-06-29 | 계룡환경주식회사 | A water storage tank which can discharge sludge |
KR101565593B1 (en) * | 2015-03-12 | 2015-11-03 | 에코엔텍(주) | Non-point source contaminant treatment device |
KR101566953B1 (en) * | 2013-12-30 | 2015-11-09 | (주)에이엔티이십일 | Liquid treatment facility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461997B1 (en) * | 2004-07-15 | 2004-12-17 | 주식회사 현진기업 | Simplicity Purifier Auto System Tank use of a Reverse Wash |
KR100849017B1 (en) | 2008-05-06 | 2008-07-30 | 구석본 | Filtering device |
KR100988635B1 (en) | 2009-10-01 | 2010-10-18 | 주식회사 태명 | Water treatment system |
-
2012
- 2012-05-31 KR KR1020120058574A patent/KR101208694B1/en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461997B1 (en) * | 2004-07-15 | 2004-12-17 | 주식회사 현진기업 | Simplicity Purifier Auto System Tank use of a Reverse Wash |
KR100849017B1 (en) | 2008-05-06 | 2008-07-30 | 구석본 | Filtering device |
KR100988635B1 (en) | 2009-10-01 | 2010-10-18 | 주식회사 태명 | Water treatment system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566953B1 (en) * | 2013-12-30 | 2015-11-09 | (주)에이엔티이십일 | Liquid treatment facility |
KR101436281B1 (en) | 2014-03-12 | 2014-08-29 | 씨앤씨주식회사 | Rain water treatment apparatus |
KR101532275B1 (en) * | 2014-09-23 | 2015-06-29 | 계룡환경주식회사 | A water storage tank which can discharge sludge |
KR101565593B1 (en) * | 2015-03-12 | 2015-11-03 | 에코엔텍(주) | Non-point source contaminant treatment device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911819B1 (en) | Apparatus of reducing non-point pollution material | |
KR101243415B1 (en) | Rainwater purification apparatus | |
KR101242275B1 (en) | Back washing type apparatus for disposing non-point pollution source using power | |
KR101160567B1 (en) | Rainwater filtering apparatus with fluidized media and purification system using it | |
KR101266939B1 (en) | Rain water filtration and collection equipment with waste of first catchment, backwashing and heavy rain overflow functions without power | |
KR101078773B1 (en) | Nonpoint pollution reducing system | |
KR101136385B1 (en) | Apparatus for treating rainwater and method for treating rainwater | |
KR20090033663A (en) | Purification treatment device of rainwater | |
KR100601908B1 (en) | First Flushing Stormwater Treatment and waterside Creation by reservoir | |
KR20160117384A (en) | Pond circulation system utilizing rain water storage | |
KR101208694B1 (en) | Apparatus for filtering rainwater | |
KR101812917B1 (en) | A Non-Point Pollution Treatment Facility Of Driving Type Having Stagnating Water Fiter Bath | |
CN108797756A (en) | Rain penetration purifies savings system in a kind of landscape planting | |
KR101738952B1 (en) | Polymer poly ethylene filter treatment apparatus of rainwater | |
KR101741449B1 (en) | Apparatus for treating rainwater and overflow water of confluent water drainage | |
KR100767754B1 (en) | Storm water treatment facility washing with water using storaged treated water and that method | |
KR100817610B1 (en) | Apparatus for removal of nonpoint source pollutant using hydrodynamic and filtration | |
KR101404215B1 (en) | Rainwater Storage Assembly | |
KR100920007B1 (en) | Slope structure for purifying polluted water and method of purifying polluted water in the slope structure | |
JP6621653B2 (en) | Storage and purification system | |
KR101764398B1 (en) | Nonpoint pollution control facilities using the backwash facilities and stagnant water may exclude | |
JP4320758B2 (en) | Wastewater treatment facility | |
KR101527494B1 (en) | The Water Purification Apparatus Using the Flowing of Water | |
CN207761000U (en) | Online Processing System with precipitation and filtering function | |
KR101608043B1 (en) | The aequipmenr of reducing non-point pollution material in rainwate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1111 Year of fee payment: 4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