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49105B1 - 합성수지 베개 - Google Patents

합성수지 베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49105B1
KR101549105B1 KR1020140086017A KR20140086017A KR101549105B1 KR 101549105 B1 KR101549105 B1 KR 101549105B1 KR 1020140086017 A KR1020140086017 A KR 1020140086017A KR 20140086017 A KR20140086017 A KR 20140086017A KR 101549105 B1 KR101549105 B1 KR 1015491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llow
engaging
elastic body
portions
elast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860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상준
Original Assignee
박상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상준 filed Critical 박상준
Priority to KR10201400860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4910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491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491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9/00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 A47G9/10Pillow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9/00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 A47G9/10Pillows
    • A47G9/1009Rigid frame constructi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Bedding I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합성수지 베개를 개시한 것으로, 이러한 본 발명은 주름띠로 평행한 상태를 유지하는 상부몸체를 구성하고, 하부몸체의 바닥면에는 수면용 음원재생장치(예; MP3) 및/또는 아로마 방향제가 수용되는 적어도 하나의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한편, 상,하부 몸체가 최소한의 결합벽과 결합홈 및 결합돌기에 의해 지지되도록 함으로서, 합성수지 베개의 상면에 제공되는 연속된 주름부를 통해 베개의 중앙부분에 대한 처짐을 방지하면서도, 처짐방지 목적으로 설치되는 보강리브를 인체 접촉면에서 배제하여 베개를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함몰부위가 신속하게 복원될 수 있고, 베개 사용시에는 사용자의 피부에 지나친 압박이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여 숙면을 취할 때 편안하고 안정된 자세가 유지될 수 있도록 한 합성수지 베개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Description

합성수지 베개 {FUNCTIONAL PILLOW}
본 발명은 합성수지 베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합성수지 베개의 상면에 제공되는 연속된 주름부를 통해 베개의 중앙부분에 대한 처짐을 방지하면서도, 처짐방지 목적으로 설치되는 보강리브를 인체 접촉면에서 배제함으로서 베개를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함몰부위가 신속하게 복원될 수 있고, 베개 사용시에는 사용자의 피부에 지나친 압박이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여 숙면을 취할 때 편안하고 안정된 자세가 유지될 수 있도록 한 합성수지 베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베개는 누울 때 목을 보호하여 편안한 자세를 유지하거나 취침시 충분한 숙면이 이루어지도록 사용되는 것으로, 섬유를 소재로 하는 쿠션형 베개가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이 밖에도 대나무나 목재를 소재로 한 목침과 함께, 돌침, 곡침, 합성수지 베개 등이 이용자 취향에 따라 다양하게 사용되고 있다.
이들 중 쿠션형 베개는 더운 여름철 취침시에 두피에서 발생하는 다량의 땀이 베개에 흡착되어 각종 피부질환과 유해성 세균에 의한 호흡기질환을 유발하게 되는 것이며, 이로 인해 일반 목재를 소재로 한 목침이나 대나무발로 제조된 목침의 대체 사용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그러나, 상기한 목침은 적합한 소재 확보의 어려움과 함께 그 가공비가 많이 소요되며, 더욱이 그 형상을 일일이 수작업으로 가공하며 생산하여야 하는 것이어서 대량생산이 어렵고, 또한 소재의 특성상 표면이 딱딱하여 피부에 닿을때 촉감이 크게 떨어져 사용자에 따라서는 부분적으로 통증을 느끼게 되는 문제점이 야기되고 있어 그 수요는 크게 늘어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본원 출원인은 공개실용신안공보 제 2000-0006372 호(공개일 2000.04.15), 실용신안등록 제 20-322098 호(공고일 2003.07.31), 공개특허공보 제 10-2009-0005939 호(공개일 2009.01.14)에서와 같은 '합성수지 베개' 를 제안하기에 이르렀다.
상기 선행기술들은 모두 절개홈을 통해 탄성날개 또는 탄성띠를 형성하고, 상기 탄성띠의 처짐을 방지하도록 저면에 보강리브를 각각 설치하는 공통된 구조를 가지고 있는 것이다.
그러나, 선행기술들은 절개된 탄성날개 또는 탄성띠가 반복 사용으로 인해 개별 탄성띠가 함몰되어 복원력을 상실하는 단점이 있고, 복원력을 높이도록 각각의 탄성띠 저면에 설치되는 보강리브는 또한 사용자의 피부에 지나친 압박으로 전달되어 통증을 유발하는 단점을 가지고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것으로, 주름띠로 평행한 상태를 유지하는 상부몸체를 구성하는 한편, 상,하부 몸체가 최소한의 결합벽과 결합홈 및 결합돌기에 의해 지지되도록 하면서 탄성체를 통해 베개의 중앙부분에 대한 처짐이 방지되도록 구성함으로써, 베개를 사용시 함몰을 최소화시키면서 사용자의 피부에 지나친 압박이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여 숙면을 취할 때 숙면자세를 교정시키면서 편안하고 안정된 자세가 유지될 수 있도록 하고, 베개를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함몰부위가 신속하게 복원될 수 있도록 하는 합성수지 베개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다시말해, 본 발명은 합성수지 베개의 상면에 제공되는 연속된 주름부를 통해 베개의 중앙부분에 대한 처짐을 방지하면서도, 처짐방지 목적으로 설치되는 보강리브를 인체 접촉면에서 배제함으로서 베개를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함몰부위가 신속하게 복원될 수 있고, 베개 사용시에는 사용자의 피부에 지나친 압박이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여 숙면을 취할 때 편안하고 안정된 자세가 유지될 수 있도록 한 합성수지 베개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하부몸체의 바닥면에는 수면용 음원재생장치(예; MP3) 및/또는 아로마 방향제가 수용되는 적어도 하나의 수용공간을 형성하여, 사용자의 깊은 숙면을 유도하면서 사용자의 건강을 증진시킬 수 있도록 하는 합성수지 베개를 제공함에 또 다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기 목적 달성을 위한 본 발명 합성수지 베개는, 길이방향으로 성형되는 일자형의 함몰부와 사용자의 피부가 접촉하는 수평접촉부를 반복되게 구성하여 연속되는 복수개의 주름띠를 평행하게 형성하고 있고, 수평접촉부 상면에 복수개의 통기홀을 천공하고 있으며, 상기 주름띠의 하부 좌우측에 결합돌기를 돌출시킨 한 쌍의 상부 결합부와, 양단에 제 1 단차부를 가진 상부 결합벽을 형성한 상부몸체; 외측 좌우에 상기 결합돌기의 끼움이 이루어지는 결합홈을 가진 한 쌍의 하부 결합부와, 상기 제 1 단차부에 대응하는 제 2 단차부를 가진 하부 결합벽을 형성한 하부몸체; 및, 상기 상부몸체와 하부몸체가 결합시, 상기 상부 및 하부 결합부의 사이 내부 공간에 수용되어 베개의 중앙부 처짐을 방지시키는 탄성체; 를 포함하며, 상기 상부몸체의 하부 중앙에는, 상기 탄성체의 거치를 위해 상기 탄성체를 가압 또는 상기 탄성체에 결합되는 걸림연장돌기를 돌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면에 따라, 길이방향으로 성형되는 일자형의 함몰부들 사이에 형성되는 수평접촉부로 이루어지는 상기 주름띠는 중앙으로부터 좌우측을 향하여 점진적으로 그 폭이 넓어지도록 구성함이 바람직하며, 상기 제 1,2 단차부는 베개의 눌림을 보상하도록 간극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삭제
본 발명의 또 다른 일면에 따라, 상기 탄성체는 베개의 횡방향으로 설치되는 원통형의 고무봉 또는 탄성파이프 중 어느 하나가 사용될 수 있다. 이같은 상기 탄성체는 복수개의 압축스프링을 설치하여도 그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면에 따라, 상기 하부몸체의 바닥면에는 수면용 음원재생장치 또는 아로마 방향제가 수용되는 하나 이상의 수용공간를 형성한 것이다. 상기 수용공간은 개폐 가능한 덮개에 의해 밀폐되도록 구성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면에 따라, 상기 상부몸체의 상면에는 통기홀이 형성되는 지압돌기를 돌설 구성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면에 따라, 상기 하부몸체의 바닥면 일단에는 적어도 2이상의 경사유지용 삽입홈을 형성하고, 상기 삽입홈에는 경사형성용 핀 또는 볼을 결합 구성한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주름띠로 평행한 상태를 유지하는 상부몸체를 구성하고, 하부몸체의 바닥면에는 수면용 음원재생장치(예; MP3) 및/또는 아로마 방향제가 수용되는 적어도 하나의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한편, 상,하부 몸체가 최소한의 결합벽과 결합홈 및 결합돌기에 의해 지지되도록 하면서 탄성체를 통해 베개의 중앙부분에 대한 처짐이 방지되도록 구성한 것으로, 이를 통해 베개를 사용시 함몰을 최소화시키면서 사용자의 피부에 지나친 압박이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여 숙면을 취할 때 숙면자세를 교정시키면서 편안하고 안정된 자세가 유지될 수 있도록 하고, 베개를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함몰부위가 신속하게 복원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사용자의 깊은 숙면을 유도하면서 사용자의 건강을 증진시키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 합성수지 베개의 구조를 보인 결합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 합성수지 베개의 구조를 보인 결합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 상부몸체의 구조를 보인 단면 개략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 압축스프링으로 이루어진 탄성부를 적용한 합성수지 베개의 구조를 보인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 압축스프링으로 이루어진 탄성부를 적용한 합성수지 베개의 구조를 보인 정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 합성수지 베개의 구조를 보인 결합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 합성수지 베개의 구조를 보인 결합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 상부몸체의 구조를 보인 단면 개략도를 도시한 것이다.
첨부된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합성수지 베개는 상부몸체(10), 하부몸체(20), 그리고 탄성체를 포함하여 구성한 것이다.
상기 상부몸체(10)는 길이방향으로 성형되는 일자형의 함몰부와 사용자의 피부가 접촉하는 수평접촉부를 반복되게 구성하여 연속되는 복수개의 주름띠(11)를 평행하고도 연속적으로 배열하여 구성한 것으로, 연속되는 상기 주름띠(11)의 하부 좌우측에는 결합돌기(12a)를 돌출시킨 한 쌍의 상부 결합부(12)와, 제 1 단차부(13a)를 형성한 상부 결합벽(13)을 일정간격을 두고 형성한다.
이때, 길이방향을 따라 일자형으로 제공되는 각 함몰부는 그 성형 두께로 인하여서 사용자의 피부가 접촉하는 수평접촉부로부터 벗어난 위치에서 보강리브의 기능을 수행하게 되는 것이며, 따라서 상기 상부몸체(10)의 국부적인 처짐을 방지하는 기능을 담당하게 된다.
여기서, 길이방향으로 성형되는 일자형의 함몰부들 사이에 형성되는 수평접촉부로 이루어지는 상기 주름띠(11)는 첨부된 도 3에서와 같이, 중앙으로부터 좌우측으로 연속 형성시 중앙에서 좌우측으로 진행할 수도록 그 폭(중앙으로부터 1.0cm→1.5cm→2.0cm)이 넓어지도록 구성한다.
그리고, 상기 상부몸체(10)의 하부 중앙에는 상기 탄성체의 거치를 위해 상기 탄성체를 가압 또는 상기 탄성체(30)에 결합되는 걸림연장돌기(14)를 돌출 형성하는 한편, 상기 상부몸체(10)를 이루는 주름띠(11)의 상면에는 통기홀(15a)이 형성되는 지압돌기(15)를 돌설 구성한 것이다.
상기 하부몸체(20)는 외측 좌우에 상기 결합돌기(12a)의 끼움이 이루어지는 결합홈(21a)을 형성하면서 상기 상부 결합부(12)와 마주하는 한 쌍의 하부 결합부(21)가 형성됨은 물론, 상기 제 1 단차부(13a)에 대응하는 제 2 단차부(22a)를 형성하면서 상기 상부 결합벽(13)과 마주하는 하부 결합벽(22)을 일정간격을 두고 형성한 것이다.
여기서, 상기 제 1,2 단차부(13a)(22a)는 상하부몸체(10)(20)의 각 단부가 통상의 상태에서 일정한 정도의 간극(d1)을 형성함으로서, 베개의 눌림시 형상의 변형을 보상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하부몸체(20)의 바닥면에는 수면용 음원재생장치(예; MP3) 또는 아로마 방향제가 수용되는 하나 이상의 수용공간(A1)(A2)이 형성되며, 상기 수용공간(A1)(A2)은 개폐 가능한 덮개(23)에 의해 밀폐되도록 구성한다.
그리고, 상기 하부몸체(20)의 바닥면 일단에는 또한, 적어도 2이상의 경사유지용 삽입홈(24)이 형성되도록 구성하고, 상기 삽입홈(24)에는 경사형성용 핀(또는 볼)(40)이 선택적으로 결합되도록 구성한다.
상기 탄성체는 상기 상부몸체(10)와 하부몸체(20)가 결합시, 상기 상부 및 하부 결합부(12)(21)의 사이 내부 공간에 수용되어 베개의 중앙부 처짐을 방지하는동시에 눌리었던 상하부몸체(10)(20)가 신속히 펼쳐져서 최기의 부피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탄성체는 베개의 횡방향으로 설치되는 원통형의 고무봉(31) 또는 탄성파이프 중 어느 하나이거나, 또는 첨부된 도 4 및 도 5에서와 같이 복수개의 압축스프링(32)을 상하방향으로 삽입하여 이로 인해 신속한 눌림 복원력을 가지도록 구성할 수도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합성수지 베개는 첨부된 도 1 내지 도 4에서와 같이, 우선 주름띠(11)의 형상을 평행하게 연속 연결하여 상부몸체(10)를 구성하는 한편, 상기 상부몸체(10)의 하부 즉, 연속되는 상기 주름띠(11)의 하부 좌우측에 각각 결합돌기(12a)를 돌출시킨 한 쌍의 상부 결합부(12)와 제 1 단차부(13a)를 형성한 상부 결합벽(13)을 일정간격을 두고 형성하는 한편, 상기 상부몸체(10)의 하부 중앙에는 상기 탄성체의 거치를 위해 상기 탄성체인 원통형의 고무봉(31)을 가압 또는 상기 탄성체인 압축스프링(32)에 결합되는 걸림연장돌기(14)를 돌출 형성하고, 상기 상부몸체(10)를 이루는 주름띠(11)의 상면에는 통기홀(15a)이 형성되는 지압돌기(15)를 돌설한다.
다음으로, 외측 좌우에 상기 결합돌기(12a)의 끼움이 이루어지는 결합홈(21a)을 형성하면서 상기 상부 결합부(12)와 마주하는 한 쌍의 하부 결합부(21)가 형성됨은 물론, 상기 제 1 단차부(13a)에 대응하는 제 2 단차부(22a)를 형성하면서 상기 상부 결합벽(13)과 마주하는 하부 결합벽(22)을 일정간격을 두고 형성한 하부몸체(20)를 구성한 후, 상기 상부몸체(10)와 하부몸체(20)를 결합시킨다.
그러면, 상기 상부몸체(10)의 상부결합부(12)에 형성된 결합돌기(12a)는 하부몸체(20)의 하부결합부(21)에 형성되는 결합홈(21a)에 끼움 결합이 이루어지고, 상기 상부몸체(10)의 상부 결합벽(13)에 형성된 제 1 단차부(13a)는 하부몸체(20)의 하부결합벽(22)에 형성된 제 2 단차부(22a)에 결합이 이루어지며, 이때 상기 제 1,2 단차부(13a)(22a)에서는 간극(d1)이 형성되도록 하였다.
다음으로, 상기 상부몸체(10)와 하부몸체(20)의 내부 중앙부위에 탄성체로서, 첨부된 도 1,2에서와 같이 원통형의 고무봉(31) 또는 첨부된 도 4 및 도 5에서와 같이 압축스프링(32)을 수용하게 되면, 상기 탄성체인 고무봉(31) 또는 압축스프링(32)은 상기 상부몸체(10)의 하부에 돌출된 걸림연장돌기(14)에 의해 가압 또는 걸림이 이루어진다.
다음으로, 상기 하부몸체(20)의 바닥면에는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수용공간(A1)(A2)에 각각 수면용 음원재생장치(예; MP3) 및/또는 아로마 방향제를 수용한 후, 상기 수용공간(A1)(A2)을 덮개(23)로 밀폐시킨다.
다음으로, 상기 하부몸체(20)의 바닥면 일단에 형성된 적어도 2이상의 경사유지용 삽입홈(24)에 경사형성용 핀(또는 볼)(40)을 결합 구성하면, 본 발명이 달성하고자 하는 합성수지 베개가 완성된다.
그러면, 상기와 같이 완성된 합성수지 베개의 상부몸체(10)에 사용자의 머리가 올려질 때, 상기 상부몸체(10)의 중앙부위는 탄성체인 원통형 고무봉(31) 또는 압축스프링(32)에 의해 처짐이 방지되고, 아울러 상부 및 하부 결합벽(13)(22)의 제 1,2 단차부(13a)(22a)에 형성된 간극(d1)에 의해 상,하부몸체(10)(20)의 눌림을 보상하게 되면서, 사용자의 머리부를 안정적으로 받힐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 하부몸체(20)의 바닥면에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수용공간(A1)(A2)에 각각 수면용 음원재생장치(예; MP3)와 아로마 방향제가 수용되어 있으므로, 상기 음원재생장치를 동작시키게 되면, 사용자는 베개에 머리부를 올려 놓은 상태에서 음악을 들으면서 아로마 방향제에서 발산되는 아로마향에 의해 깊은 숙면을 취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합성수지 베개에 대한 기술사상을 첨부도면과 첨부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발명의 가장 양호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내에 있게 된다.
10; 상부몸체 11; 주름띠
12; 상부결합부 12a; 결합돌기
13; 상부결합벽 13a; 제 1 단차부
14; 걸림연장돌기 15; 지압돌기
15a; 통기홀 20; 하부몸체
21; 상부결합부 21a; 결합홈
22; 상부결합벽 22a; 제 2 단차부
23; 덮개 24; 삽입홈
31; 고무봉 32; 압축스프링
40; 핀 또는 볼

Claims (6)

  1. 길이방향으로 성형되는 일자형의 함몰부와 사용자의 피부가 접촉하는 수평접촉부를 반복되게 구성하여 연속되는 복수개의 주름띠를 평행하게 형성하고 있고, 수평접촉부 상면에 복수개의 통기홀을 천공하고 있으며, 상기 주름띠의 하부 좌우측에 결합돌기를 돌출시킨 한 쌍의 상부 결합부와, 양단에 제 1 단차부를 가진 상부 결합벽을 형성한 상부몸체;
    외측 좌우에 상기 결합돌기의 끼움이 이루어지는 결합홈을 가진 한 쌍의 하부 결합부와, 상기 제 1 단차부에 대응하는 제 2 단차부를 가진 하부 결합벽을 형성한 하부몸체; 및,
    상기 상부몸체와 하부몸체가 결합시, 상기 상부 및 하부 결합부의 사이 내부 공간에 수용되어 베개의 중앙부 처짐을 방지시키는 탄성체; 를 포함하며,
    상기 상부몸체의 하부 중앙에는, 상기 탄성체의 거치를 위해 상기 탄성체를 가압 또는 상기 탄성체에 결합되는 걸림연장돌기를 돌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 베개.
  2. 제 1 항에 있어서,
    길이방향으로 성형되는 일자형의 함몰부들 사이에 형성되는 수평접촉부로 이루어지는 상기 주름띠는 중앙으로부터 좌우측을 향하여 점진적으로 그 폭이 넓어지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 베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체는, 베개의 횡방향으로 설치되는 원통형의 고무봉 또는 탄성파이프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 베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몸체의 바닥면에는 수면용 음원재생장치 또는 아로마 방향제가 수용되는 하나 이상의 수용공간를 형성하고, 상기 수용공간은 개폐 가능한 덮개에 의해 밀폐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 베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몸체의 바닥면 일단에는 적어도 2이상의 경사유지용 삽입홈을 형성하고, 상기 삽입홈에는 경사형성용 핀 또는 볼을 결합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 베개.
KR1020140086017A 2014-07-09 2014-07-09 합성수지 베개 KR1015491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6017A KR101549105B1 (ko) 2014-07-09 2014-07-09 합성수지 베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6017A KR101549105B1 (ko) 2014-07-09 2014-07-09 합성수지 베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49105B1 true KR101549105B1 (ko) 2015-09-01

Family

ID=542468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86017A KR101549105B1 (ko) 2014-07-09 2014-07-09 합성수지 베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4910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74828B1 (ko) * 2015-09-15 2016-11-09 박상준 합성수지 베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61470B2 (ja) 1991-05-31 2001-04-25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部品認識装置、部品実装機およびデータ作成機
KR200241279Y1 (ko) 2000-09-05 2001-09-13 최주락 다용도 베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61470B2 (ja) 1991-05-31 2001-04-25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部品認識装置、部品実装機およびデータ作成機
KR200241279Y1 (ko) 2000-09-05 2001-09-13 최주락 다용도 베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74828B1 (ko) * 2015-09-15 2016-11-09 박상준 합성수지 베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74197Y1 (ko) 지압 베개
KR101912076B1 (ko) 기능성 숙면 베개
JP2011512968A (ja) 発泡体クッション要素を含むインターフェース
KR20180106252A (ko) 유아용 베개
KR101549105B1 (ko) 합성수지 베개
KR101820357B1 (ko) 지압돌기가 구비되는 안마베개
KR101851721B1 (ko) 기능성 베개
KR200392947Y1 (ko) 베개
KR101641303B1 (ko) 높이조절이 가능한 라텍스 베개
KR101674828B1 (ko) 합성수지 베개
KR200487240Y1 (ko) 머리카락 눌림이 없게 하는 베개
KR20160004194U (ko) 베개
KR200322098Y1 (ko) 합성수지 베개
KR20160000888U (ko) 숙면베개
KR20140026740A (ko) 나무 경침 베개
KR101703326B1 (ko) 등받이 쿠션
KR200420653Y1 (ko) 기능성 목·등받이 베개
KR200185101Y1 (ko) 대나무발 외피를 갖는 숯 내장형 베게
KR102102538B1 (ko) 기능성 베개
KR101738108B1 (ko) 옵션층을 구비한 매트리스
JP2014045890A (ja) 睡眠用枕
KR200334887Y1 (ko) 메모리폼베개
KR102366370B1 (ko) 통기성을 구비하고 귀 눌림과 눈가 세로주름이 방지되는 기능성 베개
KR100906382B1 (ko) 합성수지 베개
KR200466100Y1 (ko) 팔베개 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1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12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