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48740B1 - 이동 단말기 및 콘텐츠 제공 시스템 - Google Patents

이동 단말기 및 콘텐츠 제공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48740B1
KR101548740B1 KR1020080103194A KR20080103194A KR101548740B1 KR 101548740 B1 KR101548740 B1 KR 101548740B1 KR 1020080103194 A KR1020080103194 A KR 1020080103194A KR 20080103194 A KR20080103194 A KR 20080103194A KR 101548740 B1 KR101548740 B1 KR 1015487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terminal
mobile terminal
wireless communication
broadcasting st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031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43931A (ko
Inventor
김종환
이주일
김미선
김성훈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1031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48740B1/ko
Publication of KR201000439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439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487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487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6Selective distribution of broadcast services, e.g. multimedia broadcast multicast service [MBMS]; Services to user groups; One-way selective calling services
    • H04W4/08User group manag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4Specialised client platforms, e.g. receiver in car or embedded in a mobile appliance
    • H04N21/41407Specialised client platforms, e.g. receiver in car or embedded in a mobile appliance embedded in a portable device, e.g. video client on a mobile phone, PDA, lapto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client for facilitating the reception of or the interaction with the content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the end-user or to the client device itself,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resolving scheduling conflicts
    • H04N21/462Content or additional data management, e.g. creating a master electronic program guide from data received from the Internet and a Head-end, controlling the complexity of a video stream by scaling the resolution or bit-rate based on the client capabilities
    • H04N21/4627Rights management associated to the cont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2Messaging; Mailboxes; Announc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6Terminal devices adapted for operation in multiple networks or having at least two operational modes, e.g. multi-mode termin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ultimedia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른 단말기와 동일한 콘텐츠를 동시에 플레이할 수 있는 이동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이동 단말기는, 콘텐츠를 공급하는 외부 방송국이 연결된 이동 통신망에 대한 무선 통신 채널을 형성하는 무선 통신 모듈; 콘텐츠를 플레이하기 위한 재생부; 및 동시 시청하려는 콘텐츠의 식별기호, 및 동시 시청하려는 단말기의 식별기호를 상기 방송국으로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이동 단말기 및 콘텐츠 제공 시스템{MOBILE TERMINAL AND CONTENTS PROVIDING SYSTEM}
본 발명은 다른 단말기와 동일한 콘텐츠를 동시에 플레이할 수 있는 이동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단말기는 이동 가능 여부에 따라 이동 단말기(mobile/portable terminal) 및 고정 단말기(stationary terminal)으로 나뉠 수 있다. 다시 이동 단말기는 사용자의 직접 휴대 가능 여부에 따라 휴대(형) 단말기(handheld terminal) 및 거치형 단말기(vehicle mount terminal)로 나뉠 수 있다.
이와 같은 단말기(terminal)는 기능이 다양화됨에 따라 예를 들어, 사진이나 동영상의 촬영, 음악이나 동영상 파일의 플레이, 게임, 방송의 수신 등의 복합적인 기능들을 갖춘 멀티미디어 기기(Multimedia player) 형태로 구현되고 있다.
이러한 단말기의 기능 지지 및 증대를 위해, 단말기의 구조적인 부분 및/또는 소프트웨어적인 부분을 개량하는 것이 고려될 수 있으며, 최근의 이동 단말기는 그 본래 기능인 통화 기능외에도, 멀티미디어로서 다양한 기능들을 가지도록 개선되고 있다.
예컨대, DMB 방송을 수신할 수 있으며, 전화 통화를 위한 무선 통신망(이하, 이동 통신망이라 약칭)을 통해 방송국이나 인터넷 웹사이트로부터 VOD 등 멀티미디어 콘텐츠 파일을 다운로드 받아 플레이할 수 있으며, iptv 방송국으로부터 iptv 콘텐츠를 수신받아 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이동 단말기는, 블루투스 통신 같은 근거리 무선 통신 수단을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 수단을 구비한 단말기들 간에 형성된 근거리 무선 통신 채널을 통해, 파일을 주고 받을 수 있다.
본 발명은 특정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다른 이동 단말기와 동시에 플레이할 수 있는 이동 단말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동일한 콘텐츠가 자신과 다른 이동 단말기에서 플레이되는 시간을 일치시킬 수 있는 이동 단말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방송국에서 전송받은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다른 단말기에 재배포할 수 있는 이동 단말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예와 관련된 이동 단말기는, 콘텐츠를 공급하는 외부 방송국이 연결된 이동 통신망에 대한 무선 통신 채널을 형성하는 무선 통신 모듈; 콘텐츠를 플레이하기 위한 재생부; 및 동시 시청하려는 콘텐츠의 식별기호, 및 동시 시청하려는 단말기의 식별기호를 상기 방송국으로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예와 관련된 이동 단말기는, 콘텐츠를 공급하는 외부 방송국으로부터 콘텐츠를 공급받기 위한 무선 통신 모듈; 콘텐츠를 플레이하기 위한 재생부; 근거리의 다른 단말기와 근거리 무선 통신 채널을 형성하기 위한 근거리 무선 통신부; 및 상기 재생부에서 플레이 중인 콘텐츠를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 채널을 통해 다른 단말기로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예와 관련된 이동 단말기는, 콘텐츠를 공급하는 외부 방송국이 연결된 이동 통신망에 대한 무선 통신 채널을 형성하는 무선 통신 모듈;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플레이하기 위한 재생부; 다른 단말기와 근거리 무선 통신 채널을 형성하기 위한 근거리 통신 모듈; 및 상기 외부 방송국의 요청에 따라, 상기 외부 방송국에서 전송받아 저장한 콘텐츠를 상기 근거리 통신 채널을 통해 다른 단말기로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예와 관련된 콘텐츠 제공 시스템은, 콘텐츠를 제공하는 방송국; 상기 방송국에서 제공하는 콘텐츠를 플레이하는 하나 이상의 슬레이브 이동 단말기; 및 상기 방송국에서 제공하는 콘텐츠를 근거리 무선 통신 채널을 이용하여 슬레이브 이동 단말기로 재배포하는 마스터 이동 단말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관련된 이동 단말기에 따르면, 특정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다른 단말기와 동시에 플레이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관련된 이동 단말기에 따르면, 방송국으로부터 전송받은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다른 단말기에 재배포할 수 있는 이점도 있다.
이하,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이동 단말기에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등이 포함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에 따른 구성은 이동 단말기에만 적용 가능한 경우를 제외하면, 디지털 TV, 데스크탑 컴퓨터 등과 같은 고정 단말기에도 적용될 수도 있음을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근거리 무선 통신 채널은, 50m 이내의 근거리에서 기지국과 같은 통신 설비의 매개없이 단말기와 단말기간에 직접 형성되는 무선 통신 채널로서, 블루투스(BT) 기술, UWB 기술 등을 적용할 수 있다. 하기 실시예들의 설명에서는 블루투스 기술을 적용한 경우로 구체화하여 기술하겠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방송국은 각 이동 단말기에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제공하는 서버로서, 이동 단말기의 통화를 위한 이동 통신망에 연결된 서버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예컨대, 방송국은, 인터넷 방송을 위한 서버, SDMB/TDMB 방송을 위한 방송국 설비, VOD 콘텐츠를 제공하는 인터넷 상의 서버 등이 될 수 있으며, 하기 실시예들의 설명에서는 상기 방송국을, iptv 방송국으로 구체화하여 기술하겠 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동시 시청' 용어는, 2개 이상의 단말기에서 동일한 콘텐츠를 싱크를 맞추어 플레이하는 것을 의미하며, 싱크를 맞춘다는 것은 동일한 시각에 동일한 부분을 플레이하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block diagram)이다.
상기 이동 단말기(100)는 무선 통신부(110), A/V(Audio/Video) 입력부(120), 사용자 입력부(130), 센싱부(140), 출력부(150), 메모리(160), 인터페이스부(170), 제어부(180) 및 전원 공급부(19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그보다 많은 구성요소들을 갖거나 그보다 적은 구성요소들을 갖는 이동 단말기가 구현될 수도 있다.
이하, 상기 구성요소들에 대해 차례로 살펴본다.
무선 통신부(110)는 이동 단말기(100)와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또는 이동 단말기(100)와 이동 단말기(100)가 위치한 네트워크 사이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부(110)는 방송 수신 모듈(111), 이동통신 모듈(112), 무선 인터넷 모듈(113), 근거리 통신 모듈(114) 및 위치정보 모듈(115)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방송 수신 모듈(111)은 방송 채널을 통하여 외부의 방송 관리 서버로부터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된 정보를 수신한다.
상기 방송 채널은 위성 채널, 지상파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리 서버는,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생성하여 송신하는 서버 또는 기 생성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제공받아 단말기에 송신하는 서버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방송 신호는, TV 방송 신호, 라디오 방송 신호, 데이터 방송 신호를 포함할 뿐만 아니라, TV 방송 신호 또는 라디오 방송 신호에 데이터 방송 신호가 결합한 형태의 방송 신호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방송 채널, 방송 프로그램 또는 방송 서비스 제공자에 관련한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이동통신망을 통하여도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상기 이동통신 모듈(112)에 의해 수신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다양한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의 EPG(Electronic Program Guide) 또는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의 ESG(Electronic Service Guide) 등의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상기 방송 수신 모듈(111)은, 예를 들어, DMB-T(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Terrestrial), DMB-S(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Satellite), MediaFLO(Media Forward Link Only),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 ISDB-T(Integrated Services Digital Broadcast-Terrestrial) 등의 디지털 방송 시스템을 이용하여 디지털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물론, 상기 방송 수신 모듈(111)은, 상술한 디지털 방송 시스템뿐만 아니라 다른 방송 시스템에 적합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방송 수신 모듈(111)을 통해 수신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는 메모리(160)에 저장될 수 있다.
이동통신 모듈(112)은,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상기 무선 신호는,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을 말하는 것으로, 이동 단말기(100)에 내장되거나 외장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WLAN(Wireless LAN)(Wi-Fi),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등이 이용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114)은 근거리 통신을 위한 모듈을 말한다. 근거리 통신(short range communication) 기술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ZigBee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위치정보 모듈(115)은 이동 단말기의 위치를 획득하기 위한 모듈로서, 그의 대표적인 예로는 GPS(Global Position System) 모듈이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A/V(Audio/Video) 입력부(12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것으로, 이에는 카메라(121)와 마이크(122) 등이 포함될 수 있 다. 카메라(121)는 화상 통화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될 수 있다.
카메라(121)에서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메모리(160)에 저장되거나 무선 통신부(110)를 통하여 외부로 전송될 수 있다. 카메라(121)는 사용 환경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도 있다.
마이크(122)는 통화모드 또는 녹음모드, 음성인식 모드 등에서 마이크로폰(Microphone)에 의해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아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통화 모드인 경우 이동통신 모듈(112)을 통하여 이동통신 기지국으로 송신 가능한 형태로 변환되어 출력될 수 있다. 마이크(122)에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잡음(noise)을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이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사용자가 단말기의 동작 제어를 위한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킨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 (dome switch), 터치 패드(정압/정전),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센싱부(140)는 이동 단말기(100)의 개폐 상태, 이동 단말기(100)의 위치, 사용자 접촉 유무, 이동 단말기의 방위, 이동 단말기의 가속/감속 등과 같이 이동 단말기(100)의 현 상태를 감지하여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센싱 신호를 발생시킨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가 슬라이드 폰 형태인 경우 슬라이드 폰의 개폐 여부를 센싱할 수 있다. 또한, 전원 공급부(190)의 전원 공급 여 부, 인터페이스부(170)의 외부 기기 결합 여부 등을 센싱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센싱부(140)는 근접 센서(141)를 포함할 수 있다.
출력부(150)는 시각, 청각 또는 촉각 등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 이에는 디스플레이부(151), 음향 출력 모듈(152), 알람부(153), 및 햅틱 모듈(154)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출력)한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가 통화 모드인 경우 통화와 관련된 UI(User Interface) 또는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표시한다. 이동 단말기(100)가 화상 통화 모드 또는 촬영 모드인 경우에는 촬영 또는/및 수신된 영상 또는 UI, GUI를 표시한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들 중 일부 디스플레이는 그를 통해 외부를 볼 수 있도록 투명형 또는 광투과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는 투명 디스플레이라 호칭될 수 있는데,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의 대표적인 예로는 TOLED(Transparant OLED) 등이 있다. 디스플레이부(151)의 후방 구조 또한 광 투과형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여, 사용자는 단말기 바디의 디스플레이부(151)가 차지하는 영역을 통해 단말기 바 디의 후방에 위치한 사물을 볼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의 구현 형태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51)이 2개 이상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에는 복수의 디스플레이부들이 하나의 면에 이격되거나 일체로 배치될 수 있고, 또한 서로 다른 면에 각각 배치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부(151)와 터치 동작을 감지하는 센서(이하, '터치 센서'라 함)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는 경우(이하, '터치 스크린'이라 함)에, 디스플레이부(151)는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예를 들어, 터치 필름, 터치 시트, 터치 패드 등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터치 센서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특정 부위에 가해진 압력 또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특정 부위에 발생하는 정전 용량 등의 변화를 전기적인 입력신호로 변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터치 되는 위치 및 면적뿐만 아니라, 터치 시의 압력까지도 검출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 센서에 대한 터치 입력이 있는 경우, 그에 대응하는 신호(들)는 터치 제어기로 보내진다. 터치 제어기는 그 신호(들)를 처리한 다음 대응하는 데이터를 제어부(180)로 전송한다. 이로써,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부(151)의 어느 영역이 터치 되었는지 여부 등을 알 수 있게 된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터치스크린에 의해 감싸지는 이동 단말기의 내부 영역 또는 상기 터치 스크린의 근처에 근접 센서(141)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근접 센서는 소정의 검출면에 접근하는 물체, 혹은 근방에 존재하는 물체의 유무를 전자계의 힘 또는 적외선을 이용하여 기계적 접촉이 없이 검출하는 센서를 말한다. 근 접 센서는 접촉식 센서보다는 그 수명이 길며 그 활용도 또한 높다.
상기 근접 센서의 예로는 투과형 광전 센서, 직접 반사형 광전 센서, 미러 반사형 광전 센서, 고주파 발진형 근접 센서, 정전용량형 근접 센서, 자기형 근접 센서, 적외선 근접 센서 등이 있다. 상기 터치스크린이 정전식인 경우에는 상기 포인터의 근접에 따른 전계의 변화로 상기 포인터의 근접을 검출하도록 구성된다. 이 경우 상기 터치 스크린(터치 센서)은 근접 센서로 분류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포인터가 접촉되지 않으면서 근접되어 상기 포인터가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위치함이 인식되도록 하는 행위를 "근접 터치(proximity touch)"라고 칭하고,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포인터가 실제로 접촉되는 행위를 "접촉 터치(contact touch)"라고 칭한다.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 포인터로 근접 터치가 되는 위치라 함은, 상기 포인터가 근접 터치될 때 상기 포인터가 상기 터치스크린에 대해 수직으로 대응되는 위치를 의미한다.
상기 근접센서는, 근접 터치와, 근접 터치 패턴(예를 들어, 근접 터치 거리, 근접 터치 방향, 근접 터치 속도, 근접 터치 시간, 근접 터치 위치, 근접 터치 이동 상태 등)을 감지한다. 상기 감지된 근접 터치 동작 및 근접 터치 패턴에 상응하는 정보는 터치 스크린상에 출력될 수 있다.
음향 출력 모듈(152)은 호신호 수신, 통화모드 또는 녹음 모드, 음성인식 모드, 방송수신 모드 등에서 무선 통신부(110)로부터 수신되거나 메모리(16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음향 출력 모듈(152)은 이동 단말기(100)에서 수행되는 기능(예를 들어, 호신호 수신음, 메시지 수신음 등)과 관련된 음향 신호 를 출력하기도 한다. 이러한 음향 출력 모듈(152)에는 리시버(Receiver),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알람부(153)는 이동 단말기(100)의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이동 단말기에서 발생 되는 이벤트의 예로는 호 신호 수신, 메시지 수신, 키 신호 입력, 터치 입력 등이 있다. 알람부(153)는 비디오 신호나 오디오 신호 이외에 다른 형태, 예를 들어 진동으로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다. 상기 비디오 신호나 오디오 신호는 디스플레이부(151)나 음성 출력 모듈(152)을 통해서도 출력될 수 있어서, 그들(151,152)은 알람부(153)의 일부로 분류될 수도 있다.
햅틱 모듈(haptic module)(154)은 사용자가 느낄 수 있는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킨다. 햅틱 모듈(154)이 발생시키는 촉각 효과의 대표적인 예로는 진동이 있다. 햅택 모듈(154)이 발생하는 진동의 세기와 패턴 등은 제어가능하다. 예를 들어, 서로 다른 진동을 합성하여 출력하거나 순차적으로 출력할 수도 있다.
햅틱 모듈(154)은, 진동 외에도, 접촉 피부면에 대해 수직 운동하는 핀 배열, 분사구나 흡입구를 통한 공기의 분사력이나 흡입력, 피부 표면에 대한 스침, 전극(eletrode)의 접촉, 정전기력 등의 자극에 의한 효과와, 흡열이나 발열 가능한 소자를 이용한 냉온감 재현에 의한 효과 등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킬 수 있다.
햅틱 모듈(154)은 직접적인 접촉을 통해 촉각 효과의 전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손가락이나 팔 등의 근 감각을 통해 촉각 효과를 느낄 수 있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햅틱 모듈(154)은 휴대 단말기(100)의 구성 태양에 따라 2개 이 상이 구비될 수 있다.
메모리(160)는 제어부(180)의 동작을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폰북, 메시지, 정지영상, 동영상 등)을 임시 저장할 수도 있다. 상기 메모리(160)는 상기 터치스크린 상의 터치 입력시 출력되는 다양한 패턴의 진동 및 음향에 관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16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는 인터넷(internet)상에서 상기 메모리(160)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와 관련되어 동작할 수도 있다.
인터페이스부(170)는 이동 단말기(100)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한다. 인터페이스부(170)는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이동 단말기(100) 내부의 각 구성 요소에 전달하거나, 이동 단말기(100)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유/무선 헤드셋 포트, 외부 충전기 포트, 유/무선 데이터 포트,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 이어폰 포트 등이 인터페이스부(170)에 포함될 수 있다.
식별 모듈은 이동 단말기(100)의 사용 권한을 인증하기 위한 각종 정보를 저장한 칩으로서, 사용자 인증 모듈(User Identify Module, UIM), 가입자 인증 모듈(Subscriber Identify Module, SIM), 범용 사용자 인증 모듈(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 USIM)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이하 '식별 장치')는, 스마트 카드(smart card) 형식으로 제작될 수 있다. 따라서 식별 장치는 포트를 통하여 단말기(100)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인터페이스부는 이동단말기(100)가 외부 크래들(cradle)과 연결될 때 상기 크래들로부터의 전원이 상기 이동단말기(100)에 공급되는 통로가 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상기 크래들에서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가 상기 이동단말기로 전달되는 통로가 될 수 있다. 상기 크래들로부터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 또는 상기 전원은 상기 이동단말기가 상기 크래들에 정확히 장착되었음을 인지하기 위한 신호로 동작될 수도 있다.
제어부(controller, 180)는 통상적으로 이동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음성 통화, 데이터 통신, 화상 통화 등을 위한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한다. 제어부(180)는 멀티 미디어 플레이을 위한 멀티미디어 모듈(181)을 구비할 수도 있다. 멀티미디어 모듈(181)은 제어부(180) 내에 구현될 수도 있고, 제어부(180)와 별도로 구현될 수도 있다.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 행해지는 필기 입력 또는 그림 그리기 입력을 각각 문자 및 이미지로 인식할 수 있는 패턴 인식 처리를 행할 수 있다.
전원 공급부(190)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여기에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예는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된 것을 이용하여 컴퓨터 또는 이와 유사한 장치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여기에 설명되는 실시예는 ASICs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 (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 (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 (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processors), 제어기(controllers),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s),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s), 기타 기능 수행을 위한 전기적인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일부의 경우에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이 제어부(180) 자체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절차 및 기능과 같은 실시예들은 별도의 소프트웨어 모듈들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소프트웨어 모듈들 각각은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하나 이상의 기능 및 작동을 수행할 수 있다. 적절한 프로그램 언어로 쓰여진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으로 소프트웨어 코드가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소프트웨어 코드는 메모리(160)에 저장되고, 제어부(180)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도 2a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 또는 휴대 단말기의 일 예를 전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개시된 휴대 단말기(100)는 바 형태의 단말기 바디를 구비하고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여기에 한정되지 않고, 2 이상의 바디들이 상대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슬라이드 타입, 폴더 타입, 스윙 타입, 스위블 타입 등 다양한 구조에 적용이 가능하다.
바디는 외관을 이루는 케이스(케이싱, 하우징, 커버 등)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케이스는 프론트 케이스(101)와 리어 케이스(102)로 구분될 수 있다. 프론트 케이스(101)와 리어 케이스(102)의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는 각종 전자부품들이 내장된다. 프론트 케이스(101)와 리어 케이스(102)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의 중간 케이스가 추가로 배치될 수도 있다.
케이스들은 합성수지를 사출하여 형성되거나 금속 재질, 예를 들어 스테인레스 스틸(STS) 또는 티타늄(Ti) 등과 같은 금속 재질을 갖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단말기 바디, 주로 프론트 케이스(101)에는 디스플레이부(151), 음향출력부(152), 카메라(121), 사용자 입력부(130/131,132), 마이크(122), 인터페이스(170) 등이 배치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프론트 케이스(101)의 주면의 대부분을 차지한다. 디스플레이부(151)의 양단부 중 일 단부에 인접한 영역에는 음향출력부(151)와 카메라(121)가 배치되고, 다른 단부에 인접한 영역에는 사용자 입력부(131)와 마이 크(122)가 배치된다. 사용자 입력부(132)와 인터페이스(170) 등은 프론트 케이스(101) 및 리어 케이스(102)의 측면들에 배치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휴대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명령을 입력받기 위해 조작되는 것으로서, 복수의 조작 유닛들(131,132)을 포함할 수 있다. 조작 유닛들(131,132)은 조작부(manipulating portion)로도 통칭 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촉각 적인 느낌을 가면서 조작하게 되는 방식(tactile manner)이라면 어떤 방식이든 채용될 수 있다.
제1 또는 제2조작 유닛들(131, 132)에 의하여 입력되는 내용은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조작 유닛(131)은 시작, 종료, 스크롤 등과 같은 명령을 입력받고, 제2 조작 유닛(132)은 음향출력부(152)에서 출력되는 음향의 크기 조절 또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터치 인식 모드로의 전환 등과 같은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다.
도 2b는 도 2a에 도시된 휴대 단말기의 후면 사시도이다.
도 2b를 참조하면, 단말기 바디의 후면, 다시 말해서 리어 케이스(102)에는 카메라(121')가 추가로 장착될 수 있다. 카메라(121')는 카메라(121, 도 2a 참조)와 실질적으로 반대되는 촬영 방향을 가지며, 카메라(121)와 서로 다른 화소를 가지는 카메라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카메라(121)는 화상 통화 등의 경우에 사용자의 얼굴을 촬영하여 상대방에 전송함에 무리가 없도록 저 화소를 가지며, 카메라(121')는 일반적인 피사체를 촬영하고 바로 전송하지는 않는 경우가 많기에 고 화소를 가지는 것이 바람 직하다. 카메라(121,121')는 회전 또는 팝업(pop-up) 가능하게 단말기 바디에 설치될 수도 있다.
카메라(121')에 인접하게는 플래쉬(123)와 거울(124)이 추가로 배치된다. 플래쉬(123)는 카메라(121')로 피사체를 촬영하는 경우에 피사체를 향해 빛을 비추게 된다. 거울(124)은 사용자가 카메라(121')를 이용하여 자신을 촬영(셀프 촬영)하고자 하는 경우에, 사용자 자신의 얼굴 등을 비춰볼 수 있게 한다.
단말기 바디의 후면에는 음향 출력부(152')가 추가로 배치될 수도 있다. 음향 출력부(152')는 음향 출력부(152, 도 2a 참조)와 함께 스테레오 기능을 구현할 수 있으며, 통화시 스피커폰 모드의 구현을 위하여 사용될 수도 있다.
단말기 바디의 측면에는 통화 등을 위한 안테나 외에 방송신호 수신용 안테나(124)가 추가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방송수신모듈(111, 도 1 참조)의 일부를 이루는 안테나(124)는 단말기 바디에서 인출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단말기 바디에는 휴대 단말기(10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부(190)가 장착된다. 전원공급부(190)는 단말기 바디에 내장되거나, 단말기 바디의 외부에서 직접 탈착될 수 있게 구성될 수 있다.
리어 케이스(102)에는 터치를 감지하기 위한 터치 패드(135)가 추가로 장착될 수 있다. 터치 패드(135) 또한 디스플레이부(151)와 마찬가지로 광 투과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에, 디스플레이부(151)가 양면에서 시각 정보를 출력하도록 구성된다면, 터치 패드(135)를 통해서도 상기 시각 정보를 인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양면에 출력되는 정보는 상기 터치 패드(135)에 의해 모두 제어될 수도 있다. 이와 달리, 터치 패드(135)에는 디스플레이가 추가로 장착되어, 리어 케이스(102)에도 터치 스크린이 배치될 수도 있다.
터치 패드(135)는 프론트 케이스(101)의 디스플레이부(151)와 상호 관련되어 작동한다. 터치 패드(135)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후방에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터치 패드(135)는 디스플레이부(151)와 동일하거나 작은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이하, 도 3a 및 3b를 참조하여 디스플레이부(151)와 터치 패드(135)의 서로 연관된 작동 방식에 대하여 살펴본다.
도 3a 및 3b는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일 작동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휴대 단말기의 정면도들이다.
디스플레이부(151)에는 다양한 종류의 시각 정보들이 표시될 수 있다. 이들 정보들은 문자, 숫자, 기호, 그래픽, 또는 아이콘 등의 형태로 표시될 수 있다.
이러한 정보의 입력을 위하여 상기 문자, 숫자, 기호, 그래픽 또는 아이콘 들 중 적어도 하나는 일정한 배열을 이루어 표시됨으로써 키패드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키패드는 소위 '소프트키'라 불릴 수 있다.
도 3a는 단말기 바디의 전면을 통해 소프트키에 가해진 터치를 입력받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전체 영역으로 작동되거나, 복수의 영역들로 나뉘어져 작동될 수 있다. 후자의 경우, 상기 복수의 영역들은 서로 연관되게 작동되도록 구 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151)의 상부와 하부에는 출력창(151a)과 입력창(151b)이 각각 표시된다. 출력창(151a)과 입력창(151b)은 각각 정보의 출력 또는 입력을 위해 할당되는 영역이다. 입력창(151b)에는 전화 번호 등의 입력을 위한 숫자가 표시된 소프트키(151c)가 출력된다. 소프트키(151c)가 터치되면, 터치된 소프트키에 대응되는 숫자 등이 출력창(151a)에 표시된다. 제1조작 유닛(131)이 조작되면 출력창(151a)에 표시된 전화번호에 대한 호 연결이 시도된다.
도 3b는 단말기 바디의 후면을 통하여 소프트키에 가해진 터치를 입력받는 것을 나타낸다. 도 3a가 단말기 바디를 세로로 배치시킨 경우(portrait)라면, 도 3b는 단말기 바디를 가로로 배치시킨 경우(landscape)를 나타낸다. 디스플레이부(151)는 단말기 바디의 배치 방향에 따라 출력 화면이 변환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3b는 휴대 단말기에서 텍스트 입력 모드가 작동되는 것을 나타낸다. 디스플레이부(151)에는 출력창(151a')과 입력창(151b')이 표시된다. 입력창(151b')에는 문자, 기호, 숫자들 중 적어도 하나가 표시된 소프트키(151c')들이 복수로 배열될 수 있다. 소프트키(151c')들은 쿼티(QWERTY)키의 형태로 배열될 수 있다.
터치 패드(135, 도 2b 참조)를 통하여 소프트키(151c')들이 터치 되면, 터치된 소프트키에 대응되는 문자, 숫자, 기호 등이 출력창(151a')에 표시되게 된다. 이와 같이, 터치 패드(135)를 통한 터치 입력은 디스플레이부(151)을 통한 터치 입력에 비하여 터치시 소프트키(151c')가 손가락에 의해 가려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 는 이점이 있다. 디스플레이부(151)와 터치 패드(135)가 투명하게 형성되는 경우에는, 단말기 바디의 후면에 위치한 손가락들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으므로, 보다 정확한 터치 입력이 가능하다.
이상의 실시예들에 개시된 입력 방식뿐만 아니라, 디스플레이부(151) 또는 터치 패드(135)는 스크롤(scroll)에 의해 터치 입력받도록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는 디스플레이부(151) 또는 터치 패드(135)를 스크롤 함으로써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된 개체, 예를 들어 아이콘 등에 위치한 커서 또는 포인터를 이동시킬 수 있다. 나아가, 손가락을 디스플레이부(151) 또는 터치 패드(135) 상에서 이동시키는 경우, 손가락이 움직이는 경로가 디스플레이부(151)에 시각적으로 표시될 수도 있다. 이는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되는 이미지를 편집함에 유용할 것이다.
디스플레이부(151)(터치 스크린) 및 터치 패드(135)가 일정 시간 범위 내에서 함께 터치되는 경우에 대응하여, 단말기의 일 기능이 실행될 수도 있다. 함께 터치되는 경우로는, 사용자가 엄지 및 검지를 이용하여 단말기 바디를 집는(clamping) 경우가 있을 수 있다. 상기 일 기능은,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151) 또는 터치 패드(135)에 대한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 등이 있을 수 있다.
(실시예 1)
도 4는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콘텐츠의 동시 시청을 수행할 수 있는 콘텐츠 제공 시스템의 일 실시예의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시한 바와 같은 콘텐츠 제공 시스템은, 콘텐츠를 제공하는 콘텐츠 제공 서버로서 iptv 방송국(11); 상기 iptv 방송국(11)에서 제공하는 콘텐츠를 플레이하는 하나 이상의 슬레이브 단말기(31, 41); 및 상기 iptv 방송국(11)에서 제공하는 콘텐츠를 플레이하되, 상기 슬레이브 단말기와 동시에 플레이하는 마스터 이동 단말기(21)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실시예의 iptv 방송국(11)은 셀룰러 이동 통신 등 이동 통화를 위한 이동 통신망에 연결되어, 상기 이동 통신망을 통해 상기 마스터 이동 단말기(21) 및 슬레이브 이동 단말기들(31, 41)이 상기 iptv 방송국(11)에 접속할 수 있다.
상기 iptv 방송국과 상기 마스터 이동 단말기는 이동 통신망을 경유하여 연결되지만, 상기 슬레이브 단말기는 이동 통신망을 경유하여 연결되거나 또는 유선 데이터 통신 채널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예컨대, 유선 데이터 통신 채널은 케이블 TV망을 이용하거나, 유선 인터넷 망을 이용한 것이다.
본 실시예의 마스터 이동 단말기(21)는, 접속된 상기 iptv 방송국(11)에 상기 슬레이브 단말기(31, 41)와 동시 시청을 요청하고, 상기 슬레이브 단말기(31, 41) 및 마스터 이동 단말기(21)가 상기 iptv 방송국(11)에 접속한 상태에서 동시 시청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상기 마스터 이동 단말기(21)는,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공급하는 상기 iptv 방송국에 접속할 수 있도록, 이동 통신망에 대한 무선 통신 채널을 형성하는 무선 통신 모듈; 콘텐츠를 플레이하기 위한 재생부; 및 특정 콘텐츠를 다른 단말기와 동시에 플레이하기 위해, 동시 시청하려는 콘텐츠의 식별기호, 및 동시 시청하려는 단말기들의 식별기호들을 포함하는 동시 시청 요청을 상기 iptv 방송국으로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재생부는 도 1의 이동 단말기의 멀티미디어 모듈(181)로 구현될 수 있으며, 상기 제어부는 도 1의 이동 단말기의 제어부(180)로 구현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동시 시청 요청은, 동시 시청방에 대한 생성 요청의 형식을 가질 수 있다. 여기서, 동시 시청방은 MSN등 기존의 메신저 서비스 서버에서 제공하는 채팅방(대화방)과 유사한 가상 공간으로서, 이동 단말기들이 로그인할 수 있으며, 멀티미디어 콘텐츠(특히, 동영상)를 상기 동시 시청방에 로그인된 모든 단말기에서 동시 시청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한다.
하나의 동시 시청방에는 하나의 마스터 이동 단말기와 다수개의 슬레이브 단말기들이 로그인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기 마스터 이동 단말기 및 슬레이브 단말기의 제어부는, 상기 콘텐츠를 플레이할 수 있는 메신저를 실행할 수 있으며, 상기 마스터 이동 단말기의 제어부는, 상기 특정 콘텐츠를 다른 단말기와 동시에 플레이할 수 있는 메신저 방으로서 동시 시청방을 상기 방송국에 생성하고, 상기 동시 시청방에 상기 동시 시청하려는 콘텐츠의 식별기호, 및 동시 시청하려는 단말기들의 식별기호들을 지정할 수 있다.
즉, 상기 iptv 방송국은, 메신저 서비스를 위한 서버의 역할을 함께 수행하며, 상기 마스터 이동 단말기의 동시 시청방 생성 요청에 따라, 동시 시청방 서비 스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iptv 방송국은 동시 시청방을 요청한 상기 마스터 이동 단말기의 사용자를 해당 동시 시청방의 방장 사용자로 임명한다. 이때, 방장 사용자로 임명되기 위해서 상기 iptv 방송국과 상기 방장 사용자간에 특수한 계약(예 : 프리미엄 서비스 가입)이 요구될 수 있다. 상기 iptv 방송국은 상기 동시 시청방에 대한 관리 및 이용 권한을 상기 마스터 이동 단말기의 사용자인 방장 사용자에게 할당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마스터 이동 단말기가 상기 방송국에 접속한 상태에서, 상기 마스터 이동 단말기의 사용자가 동시 시청을 위한 대화방 생성을 요청하면, 방송국은 대화방을 생성하고, 상기 대화방의 관리 권한을 가진 방장으로 상기 마스터 이동 단말기 사용자를 임명한다.
방장으로 임명된 상기 사용자는, 상기 마스터 이동 단말기를 이용하여, 상기 동시 시청방에 접속한 상태에서 소정의 콘텐츠를 동시 시청할 슬레이브 이동 단말기들을 지정하거나, 각 슬레이브 이동 단말기들의 상기 동시 시청방으로의 로그인을 허가/불허 한다. 상기 지정된 슬레이브 단말기들이 상기 대화방에 로그인한 상태에서, 상기 방장 사용자가 특정 iptv용 콘텐츠를 지정하여, 상기 동시 시청방 로그인된 슬레이브 단말기들에서 동시 시청을 명령할 수 있다.
상기 시스템에서 동시 시청방을 생성하여 동시 시청을 수행하는 과정을 사용자 관점에서 살펴보면, 먼저, 마스터 이동 단말기의 사용자는 방송국에 접속하여 동시 시청방 만들기를 수행한다.
상기 방만들기를 수행할 때, 상기 방장 사용자는 동시 시청방의 제목, 시청 인원수, 공개/비공개 여부(비공개인 경우 비밀번호), 카테고리, 태그항목, 시청방 인터페이스 스킨 등을 설정할 수 있다.
구현에 따라 상기 방장 사용자는, 관리 권한으로서, 동시 시청할 콘텐츠에 대한 방송자막 결정 권한, 시청자관리(강제퇴장, 채팅 일시 정지, 차단목록관리) 권한, 채팅방 방장으로서의 권한(대화 내용 저장, 대화 내용 지우기(편집), 채팅 금칙어 설정, 채팅 도배금지 설정), 동시 시청에 대한 제어 권한(동시시청시작, 동시시청종료, Pause, Replay), 기타 권한(자주쓰는 메뉴 아이콘 등록, 시청화면전창, 시청자리스트전창, 대화창전창 등) 등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동시 시청방도 일반적인 채팅방의 기능을 갖는 것이 바람직한 바, 상기 동시 시청방에서, 파일/이모티콘/플래시콘 전송 기능, 채팅 명령어(이모티콘/플래시콘 단축키, 공지, 귓속말 등) 설정 기능, 닉네임 변경 기능, 대화창 폰트 설정(폰트색상,폰트타입,폰트크기 등)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동시 시청방의 방장 사용자는, 일반적인 채팅방의 방장 사용자의 권한과 유사한 권한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슬레이브 단말기들의 사용자들이 상기 동시 시청방에 입장(로그인)하는 방법 중 하나로, 상기 방송국에 접속한 상태에서 방송 프로그램 항목(방송리스트 등에 존재)을 표시하는 화면에서 상기 동시 시청방에 입장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항목에 링크 등의 형태로 해당 방송 프로그램에 대한 동시 시청방이 존재함을 알리고, 입장을 유도하는 수단이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는, 상기 슬레이브 단말기들의 사용자들이, 상기 방송국에 생성되어 있는 다수의 동시 시청방 중 원하는 것을 직접 검색하여 입장할 수 있다. 상기 동시 시청방 검색을 위한 파라미터로서, 전화번호, 이름, 닉네임, 방송제목, 태그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상기 방송 시스템에서 방장 사용자가 수행할 수 있는 동시 시청 그룹 제어 방법에 대해서 살펴보겠다.
동시 시청 그룹의 콘텐츠 플레이시 싱크(동시 시청 그룹간에 시청하는 프로그램의 진행시간을 맞춤)를 맞추기 위해, 플레이의 시작을 방장 사용자가 일괄 제어할 수 있으며, 플레이 중에 마스터 이동 단말기가 간헐적으로 싱크가 정확한지 확인하여 재조정할 수 있다.
상기 iptv 방송국에 생성된 동시 시청방에서는, 로그인된 단말기들에 저장이 곤란한 스트리밍 형태로 콘텐츠를 전송할 수 있다. 스트리밍 형태로 전송시 별도의 싱크 신호(동시 시청 타이밍을 맞추기 위한 신호)없이도, 동시 시청을 달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콘텐츠 스트리밍의 타이밍은 마스터 이동 단말기에서 플레이되는 타이밍에 맞추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접속 장애가 발생한 슬레이브 이동 단말기는 장애가 있던 기간 동안의 콘텐츠를 시청할 수 없지만, 이는 저작권 보호 및 동시 시청의 편의성을 위해서 감수해야 할 것이다.
동시 시청 중 중지 기능(pause/replay)에 대해서는 몇가지 서로 다른 방안들이 존재한다.
첫째 방안은, 마스터 이동 단말기가 모든 단말기의 중지 기능에 대하여 일괄적인 제어권을 가지는 것이다. 이 경우, 특정 슬레이브 단말기의 재생기에 중지 버튼이 눌러져도 무시되거나, 중지후 플레이시 마스터 이동 단말기에서 플레이중인 지점으로 이동하여 플레이가 이루어진다.
둘째 방안은, 중지 기능을 수행할 때, 동시 시청 그룹의 모든 사용자로부터 동의(또는 방장 사용자의 동의)를 얻는 것이다. 이 경우, 어느 한 사용자가 재생기에서 중지 버튼을 누르면, 플레이 중인 모든 단말기(또는 마스터 이동 단말기)에는 중지에 동의할 것인가를 묻는 메시지가 출력되고, 모든 사용자가 동의를 표시하면 플레이가 일시 중지 된다. 이 경우 동의는 동의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고 나서 소정 시간이 경과하면 동의로 간주하는 묵시적 방식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셋째 방안은, 동시 시청 그룹의 모든 사용자가 자유롭게 동시 시청 중인 콘텐츠에 대하여 중지를 수행하는 것이다.
중지된 콘텐츠를 다시 플레이하는 경우에도 상기 중시시와 동일한 몇 가지 방안들이 존재한다.
한편, 상기 단말기들이 음성 및/또는 영상 통화를 수행할 수 있는 휴대 단말기 또는 고정 단말기인 경우, 음성 또는 영상을 통한 그룹간 통화, 또는 각 개별 사용자간의 통화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동시 시청방은 일반적인 메신저 프로그램의 방식을 따르므로, 텍스트를 이용한 그룹간(또는 개인간) 대화(채팅, 공지, 귓속말) 및 파일 전송EPG 정 보, 사진, 동영상, VOD, 아이템, 이모티콘, 플래시콘, 스킨 등)을 수행할 수 있다. 이 경우, 방장 사용자에게는 동시 시청하는 콘텐츠의 자막으로 자신의 메시지를 전달할 수 있는 권한을 부여할 수 있다.
저작권 보호를 위한 방안들이 다양하게 제시되고 있는 바,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방송 시스템에서도 제시된 저작권 보호를 위한 방안들을 적용할 수 있어야 한다.
방장 사용자 및 타 사용자들은 저작권이 있는 콘텐츠를 공동 구매를 통해 구입하거나, 방장 사용자가 일정 범위의 재배포 권한과 함께 콘텐츠를 구매하여야 한다. 이러한 경우에도, 상기 콘텐츠에 플레이할 수 있는 기간, 플레이 회수 등의 제한이 있다면, 상기 제한들을 마스터 이동 단말기에서 적용할 수 있어야 한다.
도 5는 본 실시예의 마스터 이동 단말기를 사용하여 동시 시청방을 생성하는 메뉴를 선택하였을때의 전개 과정을 도시한 것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소정의 메뉴 설정 과정을 통해 동시 시청방 만들기를 수행하는데, 생성하려는 동시 시청방에 대하여, 동시 시청방의 제목, 방송 카테고리, 설명 및 태그, 방송 속성, 인원수, 동시 시청방 스킨 등을 마스터 이동 단말기를 이용하여 설정할 수 있다.
상기 방송 카테고리의 세부 항목으로, DMB 재전송, VOD 플레이, iptv 프로그램 플레이 등이 될 수 있다.
도 6은 상기 과정의 결과로서 동시 시청방 만들기의 완료 화면을 도시한 것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마스터 이동 단말기의 디스플레이에는, 동시 시청하는 콘텐츠의 재생창(pd), 상기 동시 시청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플레이 제어바(cb), 동시 시청하는 시청자 리스트(또는 슬레이브 단말기 리스트)(ul), 채팅을 위한 대화창(cw), 자막 입력을 위한 자막 입력창(bw), 동시 시청방에 대한 공지 내용을 표시하기 위한 공지창(pb), 및 기타 동시 시청방 관리를 위한 설정 버튼들이 표시될 수 있다.
상기 요소들을 표시하고, 방장 사용자로부터 상기 요소들에 대한 입력을 접수하기 위해, 마스터 이동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는 터치스크린으로 구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7 및 도 8에서는 방송 콘텐츠 리스트에서 동시 시청방을 만들 수 있는 다른 메뉴 항목들을 사용한다.
도 7에서는 방송 리스트(방송 콘텐츠 리스트)를 표시하는 메뉴를 선택하였을 때의 전개 과정을 도시한 것이다.
상기 방송 콘텐츠 리스트는 마스터 이동 단말기가 플레이할 수 있는 방송 콘텐츠 항목들 중 동시 시청이 가능한(즉, 허용된) 콘텐츠 항목들만 포함할 수 있다.
마스터 이동 단말기의 사용자가 도시한 방송 콘텐츠 항목들 중 하나를 선택하면,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은 방 만들기 화면으로 전환된다. 상기 전환된 화면에 서, 동시 시청용 콘텐츠 항목이 이미 선택된 상태가 된다.
도 8은 방송 콘텐츠에 대한 검색을 위한 메뉴를 선택하였을 때의 전개 과정을 도시한 것이다. 이 경우 검색된 방송 콘텐츠 리스트는 마스터 이동 단말기가 플레이할 수 있는 방송 콘텐츠 항목들 중 동시 시청이 가능한 콘텐츠 항목들만 포함할 수 있다.
마스터 이동 단말기의 사용자가 검색된 방송 콘텐츠 항목들 중 하나를 선택하면,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은 방 만들기 화면으로 전환된다. 상기 전환된 화면에서, 동시 시청용 콘텐츠 항목이 이미 선택된 상태가 된다.
도 9a 및 9b는 동시 시청시 방장 사용자가 사용하는 마스터 이동 단말기와 슬레이브 단말기의 화면을 비교하기 위한 것이다.
도 9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마스터 이동 단말기의 화면에는, 동시 시청 시작, 종료, pause/replay 버튼을 가지는 제어바(cb) 및 플레이 중인 동영상에 직접 자막을 입력할 수 있는 자막 입력창을 구비한다.
한편, 도 9b에 도시한 슬레이브 이동 단말기에는 자막 입력창이 존재하지 않으며, 제어바(cb)는 동일한 형태이나 활성화되지 않는 상태로 존재한다. 이는 슬레이브 이동 단말기의 화면에 표시되는 제어바는 콘텐츠의 플레이를 제어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마스터 이동 단말기에 의한 콘텐츠의 플레이 상태를 확인하기 위한 것이기 때문이다.
도 10은 방장 사용자가 일방적으로 pause 기능을 수행하는 경우의 각 단말기들의 화면들을 도시한다.
동시 시청방에서 한 콘텐츠를 동시 시청 중, 방장 사용자가 pause 기능을 위한 버튼(p)을 누르면, 도시한 바와 같이 각 이동 단말기는, 공지창(pb)에 방장 사용자가 콘텐츠 플레이를 pause하였음을 통보하고, 재생창(pd)에서의 콘텐츠 플레이 작업을 일시 중지시킨다.
도 11은 방장 사용자가 일방적으로 pause 후 replay 기능을 수행하는 경우의 각 단말기들의 화면들을 도시한다.
동시 시청방에서 플레이 중인 콘텐츠의 일시 정지 중, 방장 사용자가 replay 기능을 위한 버튼(b2)을 누르면, 도시한 바와 같이 각 이동 단말기는, 공지창(pb)에 방장 사용자가 콘텐츠 플레이를 replay 하였음을 통보하고, 재생창(pd)에서의 일시정지되었던 콘텐츠를 다시 플레이한다.
도 12는 슬레이브 단말기의 사용자가 pause 기능의 수행을 요청하는 경우의 각 단말기들의 화면들을 도시한다.
동시 시청방에서 한 콘텐츠를 동시 시청 중, 슬레이브 단말기 사용자 중 하나가 pause 기능을 위한 버튼(b3)을 누르면, 도시한 바와 같이 마스터 이동 단말기는, 팝업창(pu2)에 상기 사용자가 콘텐츠 플레이 동작의 pause를 요청하였음을 통보한다. 이를 위해, 슬레이브 이동 단말기들의 제어바(cb) 중 pause 버튼(b3)은 활성화되어야 한다.
이후, 방장 사용자는 이를 거절할 수도 있으며, 만약 수락한다면 콘텐츠 플레이 작업은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은 과정으로 pause될 수 있다.
도 13은 방장 사용자가 동시 시청 중인 동영상 콘텐츠에 대한 자막 위치에 원하는 메시지를 전달하는 경우의 각 단말기들의 화면들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방장 사용자가 자막 입력창(bw)에 텍스트를 입력하면, 입력된 텍스트가 바로 콘텐츠 재생창(pd)에 자막 위치에 표시된다. 별도의 전송 지시 없이 상기 자막 입력창(bw)에 타이핑하는 형태 그대로 자막으로 표시되며, 확인 버튼(또는 return 키)를 누르면 상기 자막 입력창(bw) 내용이 클리어(clear)되도록 구현할 수 있다.
(실시예 2)
도 14는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콘텐츠의 동시 시청을 수행할 수 있는 콘텐츠 제공 시스템의 다른 실시예의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시한 바와 같은 콘텐츠 제공 시스템은, 콘텐츠를 제공하는 콘텐츠 제공 서버로서 iptv 방송국(12); 상기 iptv 방송국(12)에서 제공하는 콘텐츠를 플레이하는 하나 이상의 슬레이브 단말기(32, 42); 및 상기 iptv 방송국(12)에서 제공하는 콘텐츠를 플레이하며, 상기 슬레이브 단말기(32, 42)와 동시에 플레이하는 마스터 이동 단말기(22)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실시예의 iptv 방송국(12)은 셀룰러 이동 통신 등 이동 통화를 위한 이동 통신망에 연결되어, 상기 이동 통신망을 통해 상기 마스터 이동 단말기(22)가 상기 iptv 방송국(12)에 접속할 수 있다.
상기 슬레이브 단말기(32, 42)는 근거리 무선 통신 채널의 일예인 블루투스 채널을 통해 상기 마스터 이동 단말기(22)와 연결된다. 또한, 상기 슬레이브 단말기(32, 42)는 이동 통신망을 경유하여 연결되거나 또는 유선 데이터 통신 채널을 통해 상기 iptv 방송국(12)에 접속할 수 있는 단말기일 수도 있다. 상기 슬레이브 단말기(32, 42)는 본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에 가입하기 위하여 상기 iptv 방송국(12)에 접속할 수 있다.
상기 마스터 이동 단말기(22)는 상기 iptv 방송국(12)으로부터 전송받은 콘텐츠 중 소정의 콘텐츠를 상기 슬레이브 단말기들(32, 42)에 재배포할 수 있는 권한을 가진다. 상기 재배포는, 콘텐츠 파일의 전송과 같은 형태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1회 방송용 스트리밍 파일의 전송과 같은 형태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후자의 경우, 재배포되는 콘텐츠는 슬레이브 단말기(32, 42)에 저장되지 않고 스트리밍을 전송받은 즉시만 플레이가능하도록 구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상기 마스터 이동 단말기(22)(구체적으로 그 제어부)는, 상기 동시 시청하려는 콘텐츠에 대한 1회용 재생키를 생성하여, 상기 동시 시청하려는 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라 다수 개의 슬레이브 단말기들(32, 42)에서 동시에 플레이되는 콘텐츠로, SDMB, TDMB와 같은 모바일 방송, IPTV의 방송 프로그램, VOD 영상 데이터 등이 될 수 있다.
도 15a 및 도 15b는 본 실시예의 사상에 따라 동시 시청을 수행하는 마스터 이동 단말기의 화면을 도시한다. 상기 화면은 일반적인 이동 단말기의 동영상 플레이 화면과 유사하며, 동시 시청 중인 슬레이브 단말기들을 보기 위한 단말기 리스트 버튼(b7)을 구비한다.
사용자가 상기 단말기 리스트 버튼(b7)을 누르면, 도 15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동영상 플레이 화면에 단말기 리스트 테이블(t1)이 중복되어 표시될 수 있다. 상기 단말기 리스트 테이블(t1)에는 블루투스 통신 채널로 연결되어 콘텐츠를 동시 시청하는 단말기들에 대한, 사용자가 부여한 단말기 명칭, 하드웨어 식별번호, 통신 상태 등을 표시할 수 있다.
도 16 및 도 17은 인터넷 방송국에서 제공되는 콘텐츠를 본 발명의 사상에 따라 재배포하는 개념을 도시한 것이다. 상기 콘텐츠는 상기 인터넷 방송국에서 마스터 이동 단말기로 스트리임 형태나 VOD 등 파일 형태로 배포될 수 있다.
인터넷 방송국에서 제공되는 콘텐츠는 인터넷 망을 통해 PC에서 플레이되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도 17의 S1 시스템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인터넷 방송국에서 제공되는 콘텐츠는 이동 통신망을 통해 마스터 이동 단말기에 직접 제공될 수 있다. 물론, 파일형태의 콘텐츠의 경우, 도 17의 S2 시스템에 도시한 바와 같이, PC에서 마스터 이동 단말기로 유/무선 데이터 통신 채널(예 : 블루투스, USB)을 통해 전송될 수 있다.
도 18은 IPTV 프로그램 콘텐츠를 IPTV 수상기(92)를 경유하여 전송받아, 본 발명의 사상에 따라 재배포하는 개념을 도시한 것이다. 도면에서 IPTV 수상기(92) 와 마스터 이동 단말기(22-2)는 유무선 데이터 통신 채널(예: 블루투스 통신 채널, USB 통신 채널)을 통해 연결되어 있으며, 마스터 이동 단말기(22-2)와 슬레이브 단말기(32-2, 42-2, 52-2)는 근거리 무선 통신 채널(예 : 블루투스)을 통해 연결되어 있다.
도 19는 SDMB, TDMB와 같은 모바일 방송 콘텐츠를 슬레이브 단말기(32-3, 42-3, 52-3)로 전송하는 것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면에서, 마스터 이동 단말기(22-3)는 DMB 방송을 수신할 수 있는 이동 단말기이어야 하나, 슬레이브 단말기(32-3, 42-3, 52-3)는 DMB 방송을 수신할 수 없는 단말기여도 무방하다.
여기서, 상기 마스터 이동 단말기(22-3)는 DMB 수신 모듈을 구비하며, 상기 DMB 수신 모듈을 이용하여 DMB 방송을 수신하기 위한 무선 통신 채널을 형성한다. 상기 DMB 수신 모듈은 공지된 기술이므로 그 상세 설명은 생략하겠다.
상기 마스터 이동 단말기(22-3)에서 슬레이브 단말기(32-3, 42-3, 52-3)로의 방송 콘텐츠의 재배포는 양 단말기 간에 형성된 근거리 무선 통신 채널을 통해 수행되는 것이 비용면에서 바람직하지만, 이동 통화를 위한 무선 통신망을 통해 수행될 수도 있다.
도 20은 마스터 이동 단말기(22-4)가 인터넷의 메신저 대화방이나, 동영상 제공 서비스에 접속하여 전송받는 동영상 콘텐츠를, 근거리 무선 통신 채널에 연결된 슬레이브 단말기들(32-4, 42-4, 52-4)과 함께 동시 시청하는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이 경우, 마스터 이동 단말기(22-4)의 화면에는 접속한 인터넷 서비스를 수 행하는 화면이 상기 동시 시청되는 콘텐츠와 함께 표시되지만, 슬레이브 단말기들(32-4, 42-4, 52-4)의 화면에는 상기 동시 시청되는 콘텐츠만 표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시예 3)
도 21에 도시한 바와 같은 본 실시예의 콘텐츠 제공 시스템은, 콘텐츠를 제공하는 콘텐츠 제공 서버로서 iptv 방송국(13); 상기 iptv 방송국(13)에서 제공하는 콘텐츠를 플레이하는 슬레이브 이동 단말기(33); 및 상기 iptv 방송국(13)에서 제공하는 콘텐츠를 근거리 무선 통신 채널을 이용하여 슬레이브 이동 단말기(33)로 재배포하는 마스터 이동 단말기(23)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콘텐츠 제공 시스템은, 도 22에 도시한 인터넷 상의 P2P 서비스와 유사하게, 무선 통신망에서 P2P 서비스를 구현한 것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우선 슬레이브 이동 단말기(33)의 사용자가 방송국(13)에 접속한 상태에서, 특정 콘텐츠에 대한 전송을 요청하면, 상기 방송국(13)은 상기 슬레이브 이동 단말기(33)와 블루투스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이동 단말기를 검색한다.
상기 블루투스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이동 단말기를 검색하는 구체적인 일 방법으로는, 상기 슬레이브 이동 단말기(33)가 근처의 블루투스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이동 단말기들에 대한 리스트를 상기 방송국(22)으로 전송하고, 상기 방송국(22)에서 상기 리스트에 속한 이동 단말기 중 본 실시예의 사상에 따라 콘텐 츠 재배포를 할 수 있고, 해당 콘텐츠를 저장하고 있는 마스터 이동 단말기를 검색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해당 콘텐츠를 저장하고 있는 마스터 이동 단말기를 찾는 과정은, 상기 리스트에 속한 각 이동 단말기들에, 자신이 보유하여 재배포할 수 있는 콘텐츠에 대한 리스트를 송부하도록 요청하고, 이에 따라 마스터 이동 단말기는, 자신이 저장하고 있는 콘텐츠에 대한 리스트를 방송국으로 전송하고, 상기 콘텐츠 리스트로부터 해당 콘텐츠를 저장하고 있는 마스터 이동 단말기를 결정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결정된 마스터 이동 단말기는, 자신이 저장하고 있는 콘텐츠를, 상기 방송국의 콘텐츠 재배포 지시에 따라, 근거리 무선 통신 채널을 이용하여 상기 슬레이브 이동 단말기(33)에 전송한다.
다른 방법으로, 상기 마스터 이동 단말기 및 슬레이브 이동 단말기는, 근처의 블루투스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이동 단말기들에 대한 리스트 및/또는 자신이 저장하여 재배포할 수 있는 콘텐츠에대한 리스트를, 주기적으로 상기 방송국(22)으로 전송하도록 구현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구성에 따르면, 방송국에서는 콘텐츠 다운로드로 인한 서버나 네트워크의 부하를 줄일 수 있는 이점이 있으므로, 상기 마스터 이동 단말기의 사용자에게는, 요금 감면등의 혜택을 부여할 수 있다.
이 경우, 콘텐츠의 재배포가 방송국 사업자 관리하에 이루어지는 것으므로, 상기 슬레이브 단말기의 사용자에게 재배포에 대한 과금을 방송국이 직접 징수할 수 있는 점에, 상기 제1/제2 실시예와 사업 측면에서의 차이점이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콘텐츠의 재배포가 완료되지 않은 상태에서, 양 단말기간의 근거리 무선 통신 채널이 종료되면, 슬레이브 단말기에서는 방송국으로부터 나머지 부분을 계속 다운로드받을 수 있다. 이 경우, 마스터 이동 단말기의 사용자에게는 재배포 실패 및 그에 따른 과금의 변경을 통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무료인 콘텐츠의 경우에도, 슬레이브 단말기들이 별도로 다운로드하는데 통신망의 부하 및 통신 비용이 필요한 바, 본 발명의 사상에 따라 마스터 이동 단말기로부터 근거리 무선 통신 채널로 재배포받으면, 상기 부하 부담을 줄이고 통신 비용을 절감할 수 있게 된다.
iptv 방송국, 인터넷 방송국, U-tube 서버 등의 형태로 저작권 보호장치(DRM)가 구비된 콘텐츠를 제공하는 다양한 매체들에 본 실시예의 사상을 적용할 수 있으며, 또한, 마스터 이동 단말기의 통화를 위한 무선 통신망을 통해 다운로드 받거나, 마스터 이동 단말기 근처의 iptv세트나 PC로부터 다운로드 받을 수 있는 등 다양한 콘텐츠 배포 방법에 본 실시예의 사상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전술한 방법은, 프로그램이 기록된 매체에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 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상기와 같이 설명된 다른 단말기와 동일한 콘텐츠를 동시에 플레이할 수 있는 이동 단말기는 상기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block diagram).
도 2a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전면 사시도.
도 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후면 사시도.
도 3a 및 3b는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일 작동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휴대 단말기의 정면도들.
도 4는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콘텐츠의 동시 시청을 수행할 수 있는 콘텐츠 제공 시스템의 일 실시예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실시예의 마스터 이동 단말기를 사용하여 동시 시청방을 생성하는 메뉴를 선택하였을때의 전개 과정을 도시한 도면.
도 6은 상기 과정의 결과로서 동시 시청방 만들기의 완료 화면을 도시한 도면.
도 7은 방송 콘텐츠 리스트를 표시하는 메뉴를 선택하였을 때의 전개 과정을 도시한 화면.
도 8은 방송 콘텐츠에 대한 검색을 위한 메뉴를 선택하였을 때의 전개 과정을 도시한 화면.
도 9a 및 9b는 동시 시청시 방장 사용자가 사용하는 마스터 이동 단말기와 슬레이브 단말기의 화면.
도 10은 방장 사용자가 일방적으로 pause 기능을 수행하는 경우의 각 단말기 들의 화면.
도 11은 방장 사용자가 일방적으로 pause 후 replay 기능을 수행하는 경우의 각 단말기들의 화면.
도 12는 슬레이브 단말기의 사용자가 pause 기능의 수행을 요청하는 경우의 각 단말기들의 화면.
도 13은 방장 사용자가 동시 시청 중인 동영상 콘텐츠에 대한 자막 위치에 원하는 메시지를 전달하는 경우의 각 단말기들의 화면.
도 14는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콘텐츠의 동시 시청를 수행할 수 있는 콘텐츠 제공 시스템의 다른 실시예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15a 및 15b는 도 14의 동시 시청을 수행하는 마스터 이동 단말기의 화면.
도 16 및 도 17은 인터넷 방송국에서 제공되는 콘텐츠를 동시 시청하는 개념을 도시하기 위한 구조도.
도 18은 IPTV 프로그램 콘텐츠를 IPTV 수상기를 경유하여 전송받아, 동시 시청하는 개념을 도시한 구조도.
도 19는 SDMB, TDMB와 같은 모바일 방송 콘텐츠를 동시 시청하는 개념을 도시한 구조도.
도 20은 마스터 이동 단말기가 인터넷의 메신저 대화방이나, 동영상 제공 서비스에 접속하여 전송받는 동영상 콘텐츠를 동시 시청하는 개념을 도시한 구조도.

Claims (16)

  1. 콘텐츠를 공급하는 외부 방송국이 연결된 이동 통신망에 대한 무선 통신 채널을 형성하는 무선 통신 모듈
    콘텐츠를 플레이하기 위한 재생부; 및
    동시 시청하려는 콘텐츠의 식별기호, 및 동시 시청하려는 단말기의 식별기호를 상기 방송국으로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입력되는 메시지를 상기 동시 시청하려는 단말기에 제공하되, 상기 메시지를 상기 동시 시청하려는 콘텐츠의 자막으로 상기 동시 시청하려는 단말기에 제공하는 이동 단말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콘텐츠를 다른 단말기와 동시에 플레이할 수 있는 메신저를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콘텐츠를 다른 단말기와 동시에 플레이할 수 있는 메신저 대화방을 상기 방송국에 생성하고,
    상기 메신저 대화방에 상기 동시 시청하려는 콘텐츠의 식별기호, 및 동시 시청하려는 단말기들의 식별기호들을 지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4. 콘텐츠를 공급하는 외부 방송국으로부터 콘텐츠를 공급받기 위한 무선 통신 모듈;
    콘텐츠를 플레이하기 위한 재생부;
    근거리의 다른 단말기와 근거리 무선 통신 채널을 형성하기 위한 근거리 무선 통신부; 및
    상기 재생부에서 플레이 중인 콘텐츠를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 채널을 통해 다른 단말기로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다른 단말기는,
    상기 재생부에서 플레이 중인 콘텐츠를 동시 시청하려는 단말기이고,
    상기 제어부는,
    입력되는 메시지를 상기 동시 시청하려는 단말기에 제공하되, 상기 메시지를 상기 재생부에서 플레이 중인 콘텐츠의 자막으로 상기 동시 시청하려는 단말기에 제공하는 이동 단말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동시 시청하려는 콘텐츠를 동시 시청하려는 단말기로 스트리밍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콘텐츠와 함께, 동시 시청 타이밍을 맞추기 위한 싱크 신호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동시 시청하려는 단말기에, 동시 시청하려는 콘텐츠에 대한 플레이 권한을 부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동시 시청하려는 콘텐츠에 대한 1회용 재생키를 생성하여, 상기 동시 시청하려는 단말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9.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통신 모듈은,
    이동 통화를 위한 이동 통신망에 대한 무선 통신 채널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0.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통신 채널은,
    DMB 방송을 수신하기 위한 DMB 수신 모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1. 콘텐츠를 공급하는 외부 방송국이 연결된 이동 통신망에 대한 무선 통신 채널을 형성하는 무선 통신 모듈;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플레이하기 위한 재생부;
    다른 단말기와 근거리 무선 통신 채널을 형성하기 위한 근거리 통신 모듈; 및
    상기 외부 방송국의 요청에 따라, 상기 외부 방송국에서 전송받아 저장한 콘텐츠를 상기 근거리 통신 채널을 통해 다른 단말기로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 채널이 형성되는 다른 단말기의 리스트, 또는 상기 저장한 콘텐츠 중 재배포의 대상이 되는 콘텐츠의 리스트를 상기 외부 방송국에 주기적으로 전송하는 이동 단말기.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근거리 통신 채널을 통해 다른 단말기로 전송되는 콘텐츠에 대한 권한 을, 상기 외부 방송국에서 규정한 규칙에 따라, 해당 다른 단말기에 부여하는 것을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다른 이동 단말기로의 콘텐츠 재배포의 완료를 상기 방송국으로부터 통지받지 않으면, 상기 콘텐츠 재배포를 다시 시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4.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다른 이동 단말기로부터, 근거리 무선 통신 채널의 형성가능에 대한 문의를 받아, 그 응답을 상기 방송국으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5. 콘텐츠를 제공하는 방송국;
    상기 방송국에서 제공하는 콘텐츠를 플레이하는 하나 이상의 슬레이브 이동 단말기; 및
    상기 방송국에서 제공하는 콘텐츠를 근거리 무선 통신 채널을 이용하여 슬레이브 이동 단말기로 재배포하는 마스터 이동 단말기를 포함하고,
    상기 슬레이브 이동 단말기는,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 채널을 통하여 근거리 무선 통신이 수행되는 이동 단말기들에 대한 리스트를 상기 방송국으로 전송하고,
    상기 방송국은,
    상기 리스트에 포함되는 이동 단말기 중 상기 콘텐츠를 저장하는 이동 단말기를 검색하고, 검색된 이동 단말기를 상기 마스터 이동 단말기로 결정하고, 상기 마스터 이동 단말기가 상기 콘텐츠를 상기 슬레이브 이동 단말기에 재배포하도록 상기 마스터 이동 단말기에 재배포 지시를 전송하는 콘텐츠 제공 시스템.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국은,
    상기 마스터 이동 단말기의 콘텐츠 재배포에 대하여, 상기 마스터 이동 단말기 사용자의 서비스 이용 요금을 감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제공 시스템.
KR1020080103194A 2008-10-21 2008-10-21 이동 단말기 및 콘텐츠 제공 시스템 KR1015487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03194A KR101548740B1 (ko) 2008-10-21 2008-10-21 이동 단말기 및 콘텐츠 제공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03194A KR101548740B1 (ko) 2008-10-21 2008-10-21 이동 단말기 및 콘텐츠 제공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43931A KR20100043931A (ko) 2010-04-29
KR101548740B1 true KR101548740B1 (ko) 2015-08-31

Family

ID=422188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03194A KR101548740B1 (ko) 2008-10-21 2008-10-21 이동 단말기 및 콘텐츠 제공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4874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132060A (ko) 2011-05-27 2012-12-05 삼성전자주식회사 스트리밍 음악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1335506B1 (ko) * 2011-12-28 2013-12-02 주식회사 씨제이헬로비전 메신저 서비스 연동 방송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101294147B1 (ko) * 2011-12-28 2013-08-08 주식회사 씨제이헬로비전 타 서비스 사용자와 인터랙션을 제공하는 방송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101977317B1 (ko) * 2012-10-10 2019-05-10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용자 단말 장치, sns 제공 서버 및 그들의 컨텐츠 제공 방법
KR101298571B1 (ko) * 2012-12-03 2013-08-22 전지은 부가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부가 정보 제공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87090A (ja) 2001-12-13 2003-07-04 Sony Corp 情報提供システム、情報提供装置および方法、情報処理装置および方法、記録媒体、並びにプログラム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87090A (ja) 2001-12-13 2003-07-04 Sony Corp 情報提供システム、情報提供装置および方法、情報処理装置および方法、記録媒体、並びにプログラ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43931A (ko) 2010-04-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51630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의 영상 변환 방법
KR101505688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정보 처리 방법
KR101608763B1 (ko) 이동 단말기 및 이것의 인터랙티브 서비스 참여방법, 및 인터넷 프로토콜 텔레비전 단말기 및 통신 시스템
KR20130044770A (ko) 검색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채용한 휴대 전자 기기
KR20110131439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917696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KR20140055804A (ko) 이동 단말기 및 이의 제어 방법
KR101690330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락이 설정된 대기화면에서 어플리케이션 실행방법 및 이를 이용한 이동 통신 단말기
KR20140020577A (ko)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방법
KR101548740B1 (ko) 이동 단말기 및 콘텐츠 제공 시스템
CN105872573A (zh) 一种视频播放方法及装置
KR101685974B1 (ko) 단말기, 통신 시스템 및 이것들의 방송 관련 대화 서비스 수행 방법
KR101537690B1 (ko)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인스턴트 메시지 서비스 제공방법
KR20130062437A (ko)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KR20130034885A (ko) 이동 단말 및 이의 지능형 정보 검색 방법
KR101883373B1 (ko) 이동 단말기 및 이의 제어방법
KR101650579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증강현실을 이용한 메신저 제공방법
KR101657116B1 (ko) 이동 단말기 및 이것의 방송 제어 방법
KR20120081886A (ko) 이동단말기 및 그의 잠금 해제 방법
KR101598226B1 (ko) 방송 콘텐츠 관련 데이터 전송 방법, 방송 콘텐츠 표시 방법 및 이를 적용한 이동 통신 단말기
KR101559777B1 (ko) 이동 단말기 및 이것의 방송 제어 방법
KR101677623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CN115348240B (zh) 共享文档的语音通话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KR101556153B1 (ko) 이동 단말기 및 이것의 방송 제어 방법
KR101811607B1 (ko) 이동 단말기의 동작 제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24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