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48296B1 - 이종 전이금속으로 도핑된 이산화티타늄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이종 전이금속으로 도핑된 이산화티타늄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48296B1
KR101548296B1 KR1020130161326A KR20130161326A KR101548296B1 KR 101548296 B1 KR101548296 B1 KR 101548296B1 KR 1020130161326 A KR1020130161326 A KR 1020130161326A KR 20130161326 A KR20130161326 A KR 20130161326A KR 101548296 B1 KR101548296 B1 KR 1015482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ition metal
tio
doped
hetero
titanium diox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613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73532A (ko
Inventor
박수진
이민상
이슬이
Original Assignee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301613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48296B1/ko
Publication of KR201500735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735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482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482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GCOMPOUNDS CONTAINING METALS NOT COVERED BY SUBCLASSES C01D OR C01F
    • C01G23/00Compounds of titanium
    • C01G23/04Oxides; Hydroxides
    • C01G23/047Titanium dioxide
    • C01G23/053Producing by wet processes, e.g. hydrolysing titanium sal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1/00Catalysts comprising the elements, oxides, or hydroxides of magnesium, boron, aluminium, carbon, silicon, titanium, zirconium, or hafnium
    • B01J21/06Silicon, titanium, zirconium or hafnium; Oxides or hydroxide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3/00Catalysts comprising metals or metal oxides or hydroxides, not provided for in group B01J21/00
    • B01J23/38Catalysts comprising metals or metal oxides or hydroxides, not provided for in group B01J21/00 of noble metals
    • B01J23/54Catalysts comprising metals or metal oxides or hydroxides, not provided for in group B01J21/00 of noble metals combined with metals, oxides or hydroxides provided for in groups B01J23/02 - B01J23/36

Abstract

본 발명은 이종 전이금속으로 도핑된 TiO2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이종 전이금속으로 코-도핑된 수처리용 TiO2 광촉매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이산화티타늄 나노분말에 이종의 전이금속을 담지시키고 소성과정을 통해 이종 전이금속 및 이산화티타늄의 산화물나노복합체를 제조함으로써, 종래 이산화티타늄보다 새롭게 발현되는 에너지 준위로 인한 낮은 밴드갭을 갖고 가시광선 영역에서의 광활성, 높은 광촉매 효율을 나타내며 종래 한 가지의 전이금속으로 도핑된 이산화티타늄에 비하여 정공-전자쌍의 재결합률이 감소되어 수용액 상의 오염물 처리에 있어 높은 광분해능을 나타내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이종 전이금속으로 도핑된 이산화티타늄의 제조방법{MANUFACTURING METHOD OF BIMETALLIC TRANSITION METAL DOPED TITANIUM DIOXIDE}
본 발명은 이종 전이금속으로 도핑된 TiO2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이종 전이금속으로 코-도핑된 수처리용 TiO2 광촉매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이산화티타늄(TiO2)은 자외선 영역에서의 우수한 광촉매 활성으로 인해 다양한 분야에 사용되고 있다. 특히, 높은 에너지 효율과 친환경적인 소재로의 이용 가능성으로 인해 수처리 분야에서 주목받는 소재이다.
TiO2에 UV 영역에 해당하는 빛을 조사하면 Valence band에 있는 전자가 Conduction band로 들뜨게 되어 전자-정공 쌍을 생성하게 된다. 전자-정공 쌍은 물, 산소 등과 반응하여 라디칼을 생성하며 생성된 라디칼은 유기물 분해 반응에 참여하게 된다. TiO2은 널리 사용되고 있지만 자외선보다 긴 파장영역인 가시광선 영역에서 광활성을 보이지 못한다는 단점으로 인해 실용적인 측면에서 어려움을 겪고 있다. 따라서, TiO2의 광활성 영역을 자외선 영역에서 가시광선 영역으로 이동시키는 방법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관련 선행기술로는 한국 등록특허 10-1307647(전이금속 도핑 이산화티탄 광촉매의 제조방법), 한국 등록특허 10-0401763(광촉매 특성을 가진 전이금속첨가 비정량 이산화티탄 및그 제조방법) 등이 있다.
한편, 최근 이에 대한 연구로서 광촉매에 전이금속을 도핑하는 다양한 연구들이 확인되고 있다. 니켈, 구리, 망간, 철 등 다양한 전이금속을 도핑한 광촉매의 연구가 보고되고 있으며, 전이금속의 도입방법도 수열합성, 담지법, 졸겔법 등 다양한 방법들이 보고되고 있다. 대부분의 전이금속으로 도핑된 TiO2 광촉매는 기존 TiO2보다 줄어든 Band gap으로 인해 가시광선 영역에서도 광활성을 보이지만, 전자-정공쌍의 재결합률은 효과적으로 감소시키지 못한다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가시광선 영역에서의 광활성과 낮은 전자-정공쌍의 재결합률을 갖는 이종의 전이금속이 도핑된 고효율의 새로운 이산화티타늄 광촉매 소재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1) TiO2 나노분말이 분산된 용액에 전이금속 전구체인 이종의 전이금속 수화물을 투입하고 전이금속 전구체 및 TiO2 혼합액을 제조하는 단계; (2) 상기 전이금속 전구체 및 TiO2 혼합액의 용매를 증발시켜 슬러리 상태의 전이금속 전구체 및 TiO2 혼합액을 제조하는 단계; 및 (3) 상기 슬러리 상태의 전이금속 전구체 및 TiO2 혼합액을 건조시킨 다음, 공기 분위기 하의 300 내지 950 ℃에서 소성공정을 통해 이종 전이금속이 도핑된 TiO2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종 전이금속으로 도핑된 TiO2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1)단계에서 전이금속 전구체는 도핑할 전이금속 두 가지를 선택하여 각 전이금속에 해당하는 전구체를 질산염(nitrate), 염화물(chloride) 또는 황산염(sulfate)의 수화물 형태로 투입하되, 전이금속의 담지량이 최종 이종 전이금속으로 도핑된 TiO2 복합체의 0.01 내지 30 wt.%가 되도록 전이금속 수화물을 첨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전이금속은 V, Cr, Mn, Fe, Co, Ni, Cu, Zn, Zr, Nb, Mo, Tc, Ru, Rh, Pd, Ag, Cd, La, Hf, Ta, W, Re Os, Ir, Pt, Au, Ce, Gd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2)단계는 전이금속 전구체 및 TiO2 혼합액을 물중탕하여 반응 온도 40 내지 90 ℃가 되도록 가열 및 교반하여 용매를 증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3)단계에서 건조 온도 및 시간은 40 내지 120 ℃ 및 12 내지 36 시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이산화티타늄 나노분말에 이종의 전이금속을 담지시키고 소성과정을 통해 이종 전이금속 및 이산화티타늄의 산화물나노복합체를 제조함으로써, 종래 이산화티타늄보다 새롭게 발현되는 에너지 준위로 인한 낮은 밴드갭을 갖고 가시광선 영역에서의 광활성, 높은 광촉매 효율을 나타내며 종래 한 가지의 전이금속으로 도핑된 이산화티타늄에 비하여 정공-전자쌍의 재결합률이 감소되어 수용액 상의 오염물 처리에 있어 높은 광분해능을 나타내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이종 전이금속 및 이산화티타늄의 산화물나노복합체는 수처리 분야에서 난분해성 유기물의 처리, 화장품, 태양전지, 반도체 등에 적용하여 고부가가치를 창출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이종 전이금속과 TiO2의 복합화를 통해 제조된 새로운 산화물나노복합체의 SEM 사진.
도 2는 이종 전이금속과 TiO2의 복합화를 통해 제조된 새로운 산화물나노복합체의 광 조사시간에 따른 메틸렌블루 분해 곡선.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1) TiO2 나노분말이 분산된 용액에 전이금속 전구체인 이종의 전이금속 수화물을 투입하고 전이금속 전구체 및 TiO2 혼합액을 제조하는 단계; (2) 상기 전이금속 전구체 및 TiO2 혼합액의 용매를 증발시켜 슬러리 상태의 전이금속 전구체 및 TiO2 혼합액을 제조하는 단계; 및 (3) 상기 슬러리 상태의 전이금속 전구체 및 TiO2 혼합액을 건조시킨 다음, 공기 분위기 하의 300 내지 950 ℃에서 소성공정을 통해 이종 전이금속이 도핑된 TiO2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종 전이금속으로 도핑된 TiO2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1)단계에서 전이금속 전구체는 도핑할 전이금속 두 가지를 선택하여 각 전이금속에 해당하는 전구체를 질산염(nitrate), 염화물(chloride) 또는 황산염(sulfate)의 수화물 형태로 투입하되, 전이금속의 담지량이 최종 이종 전이금속으로 도핑된 TiO2 복합체의 0.01 내지 30 wt.%가 되도록 전이금속 수화물을 첨가하며,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10 wt.%, 더욱 바람직하게는 0.05 내지 3 wt.%에 해당하는 조성을 갖도록 전이금속 수화물을 첨가하는 것이 최적의 효과를 나타낸다.
상기 전이금속으로는 주기율표 3 내지 12족의 d-구역 원소에 해당하는 V, Cr, Mn, Fe, Co, Ni, Cu, Zn, Zr, Nb, Mo, Tc, Ru, Rh, Pd, Ag, Cd, La, Hf, Ta, W, Re Os, Ir, Pt, Au, Ce, Gd가 있다.
상기 (2)단계에서 혼합액은 물중탕하여 반응 온도 40 내지 90 ℃가 되도록 조절하고, 가열로 인한 용매의 증발로 혼합액이 슬러리 상태가 될 때까지 교반과 가열을 진행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교반시킬 때의 온도는 용매의 증발이 어느 정도 일어나면서 너무 빠르게 슬러리 상태가 되지 않도록 60 내지 80 ℃의 온도로 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며, 주위 온도는 상온이고 밀폐되지 않은 반응기에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함침법을 통해 이종 전이금속을 TiO2 나노분말에 담지시키며, 함침법을 통해 전이금속의 함량과 종류를 쉽고 정밀하게 제어하여 담지량의 제어가 가능하다.
상기 (3)단계에서 건조 온도 및 시간은 40 내지 120 ℃ 및 12 내지 36 시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3)단계의 소성공정을 통해 anatase상과 rutile상 구조 비율의 제어가 가능하며 이산화티타늄 격자 내에 이종 전이금속이 도입되어 새로운 구조와 특성을 갖는 수처리용 이종 전이금속으로 도핑된 TiO2 광촉매가 제조된다. 또한, 좋은 광활성을 나타내기 위한 소성온도는 400 내지 600 ℃가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제조된 이종 전이금속 및 이산화티타늄 산화물나노복합체를 솔라시뮬레이터와 교반기를 이용하여 유기물을 광분해하고 향상된 광촉매 특성을 확인하였다. 더욱 구체적으로, 솔라시뮬레이터와 교반기를 반응기가 교반되면서 태양광에 조사될 수 있도록 설치하고, 직경이 5 내지 20 cm인 petri dish에 1 내지 1000 ppm의 메틸렌블루와 제조된 광촉매 0.01 내지 10 g을 넣은 다음, 50 내지 500 rpm 교반과 50 내지 1000 W m-2의 태양광 조사로 광분해시켜 이종 전이금속으로 도핑된 TiO2 광촉매 활성을 측정하였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실시예 1.
TiO2 나노분말 (P25, Degussa Co.) 2 g을 100 mL 증류수에 넣고, Ni과 Cu의 전구체에 해당하는 Ni(NO3)2와 Cu(NO3)2의 수화물을 Ni, Cu의 담지량이 최종 TiO2 복합체의 함량대비 각각 0.01 wt.%가 되도록 상기 TiO2 나노분말이 분산된 용액에 첨가하였다. 이렇게 제조된 전이금속 전구체 및 TiO2 혼합액을 물중탕하여 40 ℃의 온도로 가열과 함께 교반시켰다. 함침(impregnation) 과정은 용매로 사용된 물이 교반과 가열에 의해 증발하여 전이금속 전구체/TiO2 혼합액이 슬리러 상태가 될 때까지 실시하였다. 이후, 슬러리 상태가 된 혼합액을 오븐에 40 ℃의 온도로 약 12 시간 이상 건조시킨 다음, 완전히 건조되면 막자사발을 이용해 시료를 곱게 갈아주었다. 최종적으로 Ni, Cu와 TiO2 나노분말의 복합화로 제조된 수처리용 산화물나노복합체는 Air 분위기에서 2 ℃/분의 속도로 승온시켜 300 ℃에서 3 시간 동안 소성시켜 제조되었다.
실시예 2.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과정을 실시하되, Ni, Cu의 담지량을 최종 TiO2 복합체의 함량대비 각각 0.05, 1 wt.%가 되도록 하고, 함침온도는 50 ℃, 건조온도는 60 ℃로 하여 이종 전이금속과 TiO2의 복합화로 제조된 수처리용 산화물나노복합체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3.
상기 실시예 2와 동일하게 과정을 실시하되, Ni, Cu의 담지량을 최종 TiO2 복합체의 함량대비 각각 1, 0.05 wt.%가 되도록 하고, 소성온도는 450 ℃로 하여 이종 전이금속과 TiO2의 복합화로 제조된 수처리용 산화물나노복합체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4.
상기 실시예 3과 동일하게 과정을 실시하되, Ni, Cu의 담지량을 최종 TiO2 복합체의 함량대비 각각 0.3 wt.%가 되도록 하고, 함침온도는 70 ℃, 건조온도는 80 ℃로 하여 이종 전이금속과 TiO2의 복합화로 제조된 수처리용 산화물나노복합체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5.
상기 실시예 4와 동일하게 과정을 실시하되, Ni, Cu의 전구체를 각각 NiCl2, CuCl2의 수화물로 하여 이종 전이금속과 TiO2의 복합화로 제조된 수처리용 산화물나노복합체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6.
상기 실시예 5와 동일하게 과정을 실시하되, Ni, Cu의 담지량을 최종 TiO2 복합체의 함량대비 각각 5, 3 wt.%가 되도록 하여 이종 전이금속과 TiO2의 복합화로 제조된 수처리용 산화물나노복합체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7.
상기 실시예 5와 동일하게 과정을 실시하되, Ni, Cu의 전구체를 각각 NiSO4, CuSO4의 수화물로 하고, 함침온도는 80 ℃, 건조온도는 90 ℃, 소성온도는 700 ℃로 하여 이종 전이금속과 TiO2의 복합화로 제조된 수처리용 산화물나노복합체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8.
상기 실시예 7과 동일하게 과정을 실시하되, Ni, Cu의 담지량을 최종 TiO2 복합체의 함량대비 각각 15, 1 wt.%로 하고, 소성온도를 950 ℃로 하여 이종 전이금속과 TiO2의 복합화로 제조된 수처리용 산화물나노복합체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9.
상기 실시예 8과 동일하게 과정을 실시하되, Ni, Cu의 담지량을 최종 TiO2 복합체의 함량대비 각각 1, 15 wt.%가 되도록 하고, 함침온도를 90 ℃로 하여 이종 전이금속과 TiO2의 복합화로 제조된 수처리용 산화물나노복합체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1.
상기 실시예 4와 동일하게 과정을 실시하되, 전이금속 전구체를 담지시키지 않고 전이금속이 도핑되지 않은 TiO2 나노분말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2.
상기 실시예 4와 동일하게 과정을 실시하되, 오직 Ni(NO3)2의 수화물만 담지시켜 단일종 전이금속과 TiO2의 복합화로 제조된 수처리용 산화물나노복합체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3.
상기 실시예 4와 동일하게 과정을 실시하되, 오직 Cu(NO3)2의 수화물만 담지시켜 단일종 전이금속과 TiO2의 복합화로 제조된 수처리용 산화물나노복합체를 제조하였다.
측정예 1. 이종 전이금속/TiO 2 나노분말의 복합화로 제조된 고효율 수처리용 산화물나노복합체의 격자구조 관찰
X-ray diffraction (D2 PHASER, Bruker AXS, USA)을 통해 본 발명에서 제조한 이종 전이금속과 TiO2의 복합화로 제조된 고효율 수처리용 산화물나노복합체의 격자구조를 관찰하였다.
측정예 2. 이종 전이금속/TiO 2 의 복합화로 제조된 고효율 수처리용 산화물나노복합체의 광흡수 효율 분석
UV-vis diffuse reflectance spectroscopy (S-3100, SCINCO, Korea)를 통해 본 발명에서 제조한 이종 전이금속으로 도핑된 TiO2의 190 ~ 1100 nm 범위 파장의 빛에 해당하는 광흡수 영역을 관찰하였다.
측정예 3. 이종 전이금속과 TiO 2 의 복합화로 제조된 고효율 수처리용 산화물나노복합체의 광분해 능력 측정
이종 전이금속과 TiO2의 복합화로 제조된 고효율 수처리용 산화물나노복합체의 광분해 능력 측정을 위해, Solar simulator (Model 11000, Abet Technologies, USA)를 태양광 조사와 함께 교반이 될 수 있도록 설치하고, 외부의 빛이 들어오지 않는 암실 조건에서 메틸렌 블루와 제조된 시료를 광반응시켰다. 반응기는 직경이 9 cm인 petri dish를 사용했고 메틸렌 블루는 50 mL를 가했고 제조된 시료 0.03 g 만큼 넣어 태양광과 함께 교반시켜 메틸렌 블루를 광분해시켰다. 광분해율 측정을 위해 UV-Vis spectrophotometer (S-3100, SCINCO, Korea)를 사용하였고, 일정 시간마다 시료를 채취해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Figure 112013117634910-pat00001
Figure 112013117634910-pat00002
이상, 본 발명내용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인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실시태양일 뿐이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들과 그것들의 등가물에 의해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

Claims (5)

  1. (1) TiO2 나노분말이 분산된 용액에 전이금속 전구체인 이종의 전이금속 수화물을 투입하고 전이금속 전구체 및 TiO2 혼합액을 제조하는 단계;
    (2) 상기 전이금속 전구체 및 TiO2 혼합액을 물중탕하여 반응 온도 70 ℃가 되도록 가열 및 교반하여, 혼합액의 용매를 증발시켜 슬러리 상태의 전이금속 전구체 및 TiO2 혼합액을 제조하는 단계; 및
    (3) 상기 슬러리 상태의 전이금속 전구체 및 TiO2 혼합액을 80 ℃ 및 12 내지 36 시간으로 건조시킨 다음, 공기 분위기 하의 450 ℃에서 소성공정을 통해 이종 전이금속이 도핑된 TiO2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종 전이금속으로 도핑된 TiO2의 제조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1)단계에서 전이금속 전구체는 도핑할 전이금속 두 가지를 선택하여 각 전이금속에 해당하는 전구체를 질산염(nitrate), 염화물(chloride) 또는 황산염(sulfate)의 수화물 형태로 투입하되, 전이금속의 담지량이 최종 이종 전이금속으로 도핑된 TiO2의 0.01 내지 30 wt.%가 되도록 전이금속 수화물을 첨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 전이금속으로 도핑된 TiO2의 제조방법.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전이금속은 V, Cr, Mn, Fe, Co, Ni, Cu, Zn, Zr, Nb, Mo, Tc, Ru, Rh, Pd, Ag, Cd, La, Hf, Ta, W, Re Os, Ir, Pt, Au, Ce, Gd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 전이금속으로 도핑된 TiO2의 제조방법.
  4. 삭제
  5. 삭제
KR1020130161326A 2013-12-23 2013-12-23 이종 전이금속으로 도핑된 이산화티타늄의 제조방법 KR1015482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61326A KR101548296B1 (ko) 2013-12-23 2013-12-23 이종 전이금속으로 도핑된 이산화티타늄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61326A KR101548296B1 (ko) 2013-12-23 2013-12-23 이종 전이금속으로 도핑된 이산화티타늄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73532A KR20150073532A (ko) 2015-07-01
KR101548296B1 true KR101548296B1 (ko) 2015-08-28

Family

ID=537870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61326A KR101548296B1 (ko) 2013-12-23 2013-12-23 이종 전이금속으로 도핑된 이산화티타늄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4829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618044A (zh) * 2015-12-29 2016-06-01 长沙理工大学 一种银基钆掺杂三维海胆型二氧化钛纳米材料及其制备方法和应用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54792B1 (ko) * 2016-11-22 2019-03-07 (재)한국탄소융합기술원 단일 수열합성법을 이용한 금속 담지 이산화티타늄/그래핀 복합체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이산화티타늄/그래핀 복합체
KR102034758B1 (ko) * 2017-12-18 2019-10-21 광주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가시광 감응 광촉매가 결합된 축광성 인광안료의 제조방법
KR102222666B1 (ko) * 2020-09-18 2021-03-05 (주)젠텍 저백탁 및 발림성이 향상된 화장료 조성물용 이산화티탄 복합 안료 및 제조 방법, 이산화티탄 복합 안료를 이용한 화장료 조성물
CN115779881A (zh) * 2022-12-12 2023-03-14 昆明理工大学 一种可控合成不同形貌纳米二氧化钛光催化剂的制备方法及其应用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91585B1 (ko) * 2005-12-16 2007-03-12 (재)대구경북과학기술연구원 가시광에 감응하는 백금이온이 도핑된 이산화티탄 광촉매의제조 방법
KR101002929B1 (ko) 2008-12-09 2010-12-21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전이금속을 포함하는 광촉매 제조방법, 및 그를 포함하는 염료감응형 태양전지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91585B1 (ko) * 2005-12-16 2007-03-12 (재)대구경북과학기술연구원 가시광에 감응하는 백금이온이 도핑된 이산화티탄 광촉매의제조 방법
KR101002929B1 (ko) 2008-12-09 2010-12-21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전이금속을 포함하는 광촉매 제조방법, 및 그를 포함하는 염료감응형 태양전지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618044A (zh) * 2015-12-29 2016-06-01 长沙理工大学 一种银基钆掺杂三维海胆型二氧化钛纳米材料及其制备方法和应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73532A (ko) 2015-07-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Zaleska Doped-TiO2: a review
Hezam et al. Synthesis of heterostructured Bi2O3–CeO2–ZnO photocatalyst with enhanced sunlight photocatalytic activity
Yadav et al. Review on undoped/doped TiO2 nanomaterial; synthesis and photocatalytic and antimicrobial activity
Zheng et al. Metallic zinc-assisted synthesis of Ti 3+ self-doped TiO 2 with tunable phase composition and visible-light photocatalytic activity
Xie et al. Enhanced photocatalytic degradation of RhB driven by visible light-induced MMCT of Ti (IV)− O− Fe (II) formed in Fe-doped SrTiO3
Chen et al. In situ synthesis of V4+ and Ce3+ self-doped BiVO4/CeO2 heterostructured nanocomposites with high surface areas and enhanced visible-light photocatalytic activity
Jaramillo-Páez et al. Silver-modified ZnO highly UV-photoactive
Pany et al. Sulfate-anchored hierarchical meso–macroporous N-doped TiO2: a novel photocatalyst for visible light H2 evolution
Singh et al. Efficient photocatalytic degradation of organic compounds by ilmenite AgSbO3 under visible and UV light irradiation
Sun et al. Modification of TiO2 nanotubes by WO3 species for improving their photocatalytic activity
Munguti et al. Influence of annealing temperature on structural, optical and photocatalytic properties of ZnO–TiO2​ composites for application in dye removal in water
Quan et al. Simple preparation of Mn-N-codoped TiO2 photocatalyst and the enhanced photocatalytic activity under visible light irradiation
Wang et al. One-pot hydrothermal route to synthesize the Bi-doped anatase TiO2 hollow thin sheets with prior facet exposed for enhanced visible-light-driven photocatalytic activity
KR101548296B1 (ko) 이종 전이금속으로 도핑된 이산화티타늄의 제조방법
Verma et al. Hexagonal ceria located at the interface of anatase/rutile TiO2 superstructure optimized for high activity under combined UV and visible-light irradiation
Znad et al. Ta/Ti O 2-and Nb/Ti O 2-Mixed Oxides as Efficient Solar Photocatalysts: Preparation, Characterization, and Photocatalytic Activity
Haque et al. Synthesis, characterization and photocatalytic activity of visible light induced Ni-doped TiO2
Mioduska et al. The Effect of Calcination Temperature on Structure and Photocatalytic Properties of WO 3/TiO 2 Nanocomposites
EP3166724A1 (en) Photocatalytic hydrogen production from water over mixed phase titanium dioxide nanoparticles
Kang et al. Preparation of novel SrTiO3: Rh/Ta photocatalyst by spray pyrolysis and its activity for H2 evolution from aqueous methanol solution under visible light
KR20150108504A (ko) 탄소 나노튜브로 랩핑된 은-이산화티타늄을 함유하는 광촉매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allel et al. Novel (Ag, Y) doped TiO2 plasmonic photocatalyst with enhanced photocatalytic activity under visible light
Xu et al. Improved visible light photocatalytic activity for TiO 2 nanomaterials by codoping with zinc and sulfur
Naufal et al. Direct sunlight active Sm3+ doped TiO2 photocatalyst
Nagaraj et al. A Facile synthesis of anatase Ni2+ doped TiO2 nanorods with highly improved visible-light photocatalytic performan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17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