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48012B1 - 공동주택용 스위치 - Google Patents

공동주택용 스위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48012B1
KR101548012B1 KR1020150016331A KR20150016331A KR101548012B1 KR 101548012 B1 KR101548012 B1 KR 101548012B1 KR 1020150016331 A KR1020150016331 A KR 1020150016331A KR 20150016331 A KR20150016331 A KR 20150016331A KR 101548012 B1 KR101548012 B1 KR 1015480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reflection
light
reflected
swit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163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종필
김백수
Original Assignee
(주)경민건축사사무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경민건축사사무소 filed Critical (주)경민건축사사무소
Priority to KR10201500163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4801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480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480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05B37/02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4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4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 F21V23/0442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activated by means of a sensor, e.g. motion or photodetectors
    • F21V23/045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activated by means of a sensor, e.g. motion or photodetectors the sensor receiving a signal from a remote controller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8Mirrors
    • G02B5/10Mirrors with curved fac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13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in of light from the light source into the light guide
    • G02B6/0015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in of light from the light source into the light guide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light guide or in the bulk of i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rangement Of Elements, Cooling, Sealing, Or The Like Of Light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위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스위치의 온/오프에 의해 승강모터와 치(齒) 결합한 차단판의 승강을 통해 저채광구역의 조명으로 사용될 수 있게 광케이블로 조사되는 반사채광의 조사량을 조절하도록 함으로써, 저채광구역의 실내조명을 조절할 수 있는 공동주택용 스위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용 스위치는 외부에서 조사되는 자연채광이 투과되는 투광판, 상기 투광판 상부에 고정설치되어 상기 투광판의 손상을 방지하며 상기 투광판에 투과되는 자연채광의 간섭이 일어나지 않게 투명한 재질로 구비되는 보호판, 상기 투광판 하부에 위치되도록 구비되며 상기 투광판을 통해 투과되는 자연채광이 일 방향으로 반사될 수 있도록 곡면형상으로 이루어진 다수의 반사판, 상기 반사판과 이웃하게 구비되어 상기 반사판을 통해 일 방향으로 반사되는 반사채광을 수집하는 다수의 투광렌즈, 전체적으로 함 형상을 갖는 몸체와 상기 몸체에 다수 형성되며 상기 투광렌즈가 삽입설치되는 삽입공과 상기 몸체에 수직방향으로 길이를 갖도록 천공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승강홈으로 이루어진 설치함, 상기 승강홈을 통해 승강 가능하도록 상기 몸체 내부에 다수 설치되어 상기 반사판을 통해 상기 투광렌즈로 조사되는 반사채광을 차단하며 일측에는 제1기어가 형성된 차단판, 상기 차단판과 서로 치(齒) 결합하는 제2기어가 구동축에 형성되며 상기 구동축의 회전에 의해 각각의 상기 차단판을 승강시킬 수 있도록 상기 설치함 내부에 다수 구비되는 승강모터, 일단이 상기 삽입공에 삽입설치된 상기 투광렌즈와 근접하게 상기 몸체 후방에 고정설치되며, 상기 투광렌즈를 통해 조사되는 반사채광이 내부로 입사되어 저채광구역의 조명으로 사용하는 다수의 광케이블을 포함하는 공동주택건물에 있어서, 상기 공동주택건물은 저채광구역의 벽면 또는 기둥에 설치되는 온/오프 가능한 스위치를 포함하며, 상기 스위치는 외부에서 인가되는 전원에 의해 각각의 상기 승강모터에 전원을 인가하여 상기 차단판이 승강할 수 있도록 다수 구비되어 저채광구역의 조명으로 사용되는 상기 광케이블의 조도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공동주택용 스위치{Apartment house use switch}
본 발명은 스위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스위치의 온/오프에 의해 승강모터와 치(齒) 결합한 차단판의 승강을 통해 저채광구역의 조명으로 사용될 수 있게 광케이블로 조사되는 반사채광의 조사량을 조절하도록 함으로써, 저채광구역의 실내조명을 조절할 수 있는 공동주택용 스위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많은 인구밀집지역에는 저층/고층의 아파트나 빌딩 및 주거를 위한 단독주택이나 다세대 주택들과 같은 건축물이 서로 인접하게 설치되어 있으며, 이러한 인구밀집지역에는 그 밀집도에 따라 전력소비량도 인구비밀집구역보다 현저히 차이가 발생하게 된다.
이와 같은 인구밀집지역은 한정된 구역 이내에 많은 수의 건축물이 들어서야 하는 불편함으로 인해 몇몇의 건축물은 그 일조권을 다른 건물에 의해 빼앗겨야 하는 불편함이 있어 주간에도 실내를 밝힐 수 있도록 조명을 사용함으로써, 전력소비량이 현저히 높아지게 되므로 근래에는 전력소비를 방지할 수 있는 스위치들이 많이 안출되고 있다.
일 예로,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0759127호(2007.09.10) "공동주택의 전기제어스위치 구조"의 구성을 살펴보면, 전등에 와이어(1)를 풀거나 감을 수 있도록 된 권취기(70)와, 상기 권취기(70)에 연결된 제어유닛(100)와, 상기 제어유닛(100)에 연결된 마이크(80)와 감지스위치(90)를 구비하여, 사용자가 일정한 음향을 발생시킬 때만 와이어(1)를 풀어내려, 사용자가 와이어(1)를 잡고 전등을 점, 소등시킬 수 있도록 하므로써, 점등제어장치(20)에 연결된 와이어(1)에 의해 미관이 해쳐지거나 불편하게 되는 것을 방지하면서도, 필요에 따라 손쉽게 점등되는 전구(30)의 개수를 조절할 수 있는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기술은 점등되는 전구의 개수를 조절하여 전력소비를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은 있으나, 주간에 서로 다른 높이의 건물들로 인한 일조권 상실에 따른 저채광구역은 실질적으로 조명을 사용하여야 함으로써, 전력낭비의 효과는 여전히 존재하는 단점이 있다.
즉,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상과 수직으로 먼 거리에 있는 고층의 건물(B)은 자연채광(L)을 통해 실내의 조명으로 사용이 용이하지만 지상과 수직으로 인접한 그 건물의 저층은 일조권의 상실 즉, 다른 고층 또는 저층의 건물(B')에 자연채광이 가려져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주거하는 건물(B)의 실내에 자연채광의 조사량이 많은 고채광구역(B2)과 상대적으로 자연채광(L)의 조사량이 적은 저채광구역(B1)이 존재하여 주간에도 저채광구역(B1)을 밝힐 수 있도록 조명이 사용되어 전력을 낭비하는 결과를 초래하게 되는 것이다. 도 2에서 L'는 반사채광을 보인 것이다.
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제10-0759127호(2007.09.10.) "공동주택의 전기제어스위치 구조"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일조권의 상실로 인해 건물 내부에 존재하는 저채광구역에 전력을 이용한 조명의 사용하지 않고 자연채광을 상기 저채광구역으로 유입시켜 조명으로 사용할 수 있는 스위치를 제공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용 스위치는 외부에서 조사되는 자연채광이 투과되는 투광판, 상기 투광판 상부에 고정설치되어 상기 투광판의 손상을 방지하며 상기 투광판에 투과되는 자연채광의 간섭이 일어나지 않게 투명한 재질로 구비되는 보호판, 상기 투광판 하부에 위치되도록 구비되며 상기 투광판을 통해 투과되는 자연채광이 일 방향으로 반사될 수 있도록 곡면형상으로 이루어진 다수의 반사판, 상기 반사판과 이웃하게 구비되어 상기 반사판을 통해 일 방향으로 반사되는 반사채광을 수집하는 다수의 투광렌즈, 전체적으로 함 형상을 갖는 몸체와 상기 몸체에 다수 형성되며 상기 투광렌즈가 삽입설치되는 삽입공과 상기 몸체에 수직방향으로 길이를 갖도록 천공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승강홈으로 이루어진 설치함, 상기 승강홈을 통해 승강 가능하도록 상기 몸체 내부에 다수 설치되어 상기 반사판을 통해 상기 투광렌즈로 조사되는 반사채광을 차단하며 일측에는 제1기어가 형성된 차단판, 상기 차단판과 서로 치(齒) 결합하는 제2기어가 구동축에 형성되며 상기 구동축의 회전에 의해 각각의 상기 차단판을 승강시킬 수 있도록 상기 설치함 내부에 다수 구비되는 승강모터, 일단이 상기 삽입공에 삽입설치된 상기 투광렌즈와 근접하게 상기 몸체 후방에 고정설치되며, 상기 투광렌즈를 통해 조사되는 반사채광이 내부로 입사되어 저채광구역의 조명으로 사용하는 다수의 광케이블을 포함하는 공동주택건물에 있어서, 상기 공동주택건물은 저채광구역의 벽면 또는 기둥에 설치되는 온/오프 가능한 스위치를 포함하며, 상기 스위치는 외부에서 인가되는 전원에 의해 각각의 상기 승강모터에 전원을 인가하여 상기 차단판이 승강할 수 있도록 다수 구비되어 저채광구역의 조명으로 사용되는 상기 광케이블의 조도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종래와는 차별적으로 스위치의 온/오프에 의해 승강모터와 치(齒) 결합한 차단판의 승강을 통해 저채광구역의 조명으로 사용될 수 있게 광케이블로 조사되는 반사채광의 조사량을 조절하도록 함으로써, 저채광구역의 실내조명을 조절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지상에 설치된 다수의 건물을 보인 도면.
도 2는 지상에 설치된 건물에 자연채광이 조사되는 모습을 보인 도면.
도 3은 도 2에 대한 건물 내부의 고채광구역과 저채광구역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용 스위치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용 스위치의 투광판을 나타낸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용 스위치의 반사판을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용 스위치의 투광렌즈를 나타낸 도면.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용 스위치의 설치함을 나타낸 도면.
도 9는 도 8에 대한 설치함의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용 스위치의 승강모터와 차단판의 결합관계를 나타낸 도면.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용 스위치의 사용상태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용 스위치의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공동주택용 스위치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용 스위치는 크게 투광판(110), 반사판(120), 투광렌즈(130), 설치함(140), 차단판(150), 승강모터(160), 광케이블(170) 및 스위치(180)를 포함한다.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투광판(110)은 도 4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건물(B) 외부에 노출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건물(B) 내부에 구비된 반사판(120)을 보호하고, 태양으로부터 조사되는 자연채광(L)이 반사판(120)에 조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구성이다.
일 예로, 투광판(110)은 전체적으로 판 형상을 갖도록 형성되며, 건물(B) 내부에 구비된 반사판(120)이 외부환경에 의해 보호될 수 있도록 상기 건물(B) 외부에 수평 또는 소정의 각도를 갖는 거치대(미도시)에 고정설치되고, 자연채광(L)이 반사판(120)에 투과되어 조사될 수 있도록 설치된다. 이때 투광판(110)의 상면에는 투명재질 즉, 태양으로부터 조사되는 자연채광이 손실되지 않게 투광판(110)을 투과하여 반사판(120)에 조사될 수 있는 재질의 보호판(111)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반사판(120)은 도 4 및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투광판(110)에 투과되어 조사되는 자연채광을 일 방향 즉, 후술하는 투광렌즈(130)에 집중되어 조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구성이다.
예 컨데, 반사판(120)은 투광판(110) 하부에 위치하도록 건물(B) 내부에 설치되며, 소정의 지름 폭을 갖는 원반형상으로 이루어지되 투광판(110)을 통해 투과된 자연채광(L)이 일 방향으로 집약되어 조사될 수 있도록 호(弧) 형상의 곡면부가 형성된다. 이때 상술한 투광판(110) 또는 반사판(120)은 상/하/좌/우 방향으로 회동가능한 회동장치(121)에 설치되어 태양의 위치에 따라 자연채광의 조사량이 비율이 비교적 일정할 수 있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반사판(120)에는 자연채광의 빛을 감지할 수 있는 감지센서(123)가 구비되어 상기 감지센서(123)에 조사되는 자연채광의 조사량을 측정하며, 그 측정값을 제어부(190)에 전달하여 상기 제어부(190)를 통해 회동장치(121)가 동작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투광판(110)을 통해 반사판(120)으로 조사되는 자연채광의 최적의 조사위치를 판단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투광렌즈(130)는 도 4 및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반사판(120)을 통해 일 방향으로 조사되는 반사채광(L')이 건물(B) 내부에 설치된 광케이블(170)로 조사되어 상기 건물(B)의 조명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구성이다.
여기서 광케이블은 유리 섬유 또는 케이블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플라스틱류로 이루어진 섬유(케이블)를 사용할 수도 있고, 길이 방향으로 관통되어 비어 있는 내부 벽면(내주면)에 은(Ag) 또는 크롬(Cr) 등과 같이 빛을 반사시키는 물질이 균일하게 도포(도장)된 관(파이프) 형상을 사용할 수도 있다. 섬유와 선과 케이블은 휘어지기 쉬운 재질이고 같은 의미로 사용하기로 한다.
예 컨데, 투광렌즈(130)는 소정의 길이를 갖는 원통형으로 이루어지며, 회동하는 반사판(120)의 위치에 따라 조사되는 반사채광이 내부로 입사될 수 있도록 설치함(140)에 다수 설치된다. 이때 각각의 투광렌즈(130) 후방에는 광케이블(170)의 일단과 연통되게 설치되어 상기 투광렌즈(130)의 내부를 통해 조사되는 반사채광이 광케이블(170)로 조사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투광렌즈(130)는 반사판(120)을 통해 내부로 조사되는 반사채광이 외부로 조사되어 손실되지 않도록 내면에 반사물질이 도포된 원통형의 파이프(131) 내부에 관통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되며, 상기 파이프(131) 후단에는 광케이블(170)의 일측이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설치함(140)은 도 4, 도 8 및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투광렌즈(130)와 광케이블(170)의 일단이 결합하여 상기 투광렌즈(130)를 통해 조사되는 반사채광(L')이 광케이블(170)에 용이하게 조사될 수 있도록 하고, 후술하는 차단판(150)이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기 위한 구성으로 몸체(141), 삽입공(143) 및 승강홈(145)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몸체(141)는 전체적으로 사각의 함 형상을 갖도록 형성되며, 일측이 반사판(120)을 통해 조사되는 반사채광(L')의 손실없이 투광렌즈(130)에 조사될 수 있게 상기 반사판(120)과 이웃하게 건물(B)에 고정설치된다. 이때 몸체(141)는 반사판(120)의 회동각도에 상관없이 상기 반사판(120)을 통해 반사되는 반사채광이 투광렌즈(130)에 용이하게 조사될 수 있을 정도의 크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삽입공(143)은 다수의 투광렌즈(130)가 개별적으로 관통삽입되어 설치될 수 있도록 몸체(141)에 다수 형성된다. 이때 삽입공(143)은 반사판(120)의 회동각도에 상관없이 상기 반사판(120)을 통해 반사되는 반사채광이 용이하게 투광렌즈(130)에 조사될 수 있도록 몸체(141)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승강홈(145)은 일 예로, 반사판(120)과 투광렌즈(130) 사이에 수직방향으로 길이를 갖도록 몸체(141)에 다수 천공형성되며, 차단판(150)이 승강모터(160)에 의해 승강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승강홈(145)은 차단판(150)이 수직방향으로 승강할 수 있게 몸체(141)에 수직방향으로 길이를 갖도록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하며, 필요에 따라 차단판(150)이 수평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음에 유의한다.
그리고, 상기 차단판(150)은 설치함(140) 내부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어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투광렌즈(130)에 조사되는 반사판(120)의 자연채광(L)을 차단하기 위한 구성이다.
예 컨데, 차단판(150)은 전체적으로 판 형상을 갖도록 형성되며, 몸체(141) 내부에 구비된 승강모터(160)와 서로 치(齒) 결합하여 승강홈(145)을 통해 승강할 수 있도록 설치된다. 이때 차단판(150) 일측에는 승강모터(160)의 구동축과 서로 치(齒) 결합하는 제1기어(151)가 형성되어 상기 구동축(163)의 회전에 의해 차단판(150)이 승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차단판(150)은 몸체(141)에 구비된 투광렌즈(130) 일측을 전부 가릴 수 있을 정도의 크기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보다 효율적으로 투광렌즈(130)에 조사되는 자연채광을 차단할 수 있게 상기 몸체(141)에 다수가 각각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어 투광렌즈(130)로 조사되는 자연채광의 조사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승강모터(160)는 도 4 및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위치(180)의 온/오프에 따라 구동되어 차단판(150)이 승강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구성이다.
예 컨데, 승강모터(160)는 몸체(141) 내부에 승강 가능하게 구비된 각각의 차단판(150) 수에 맞게 상기 몸체(141)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차단판(150)에 형성된 제1기어(151)와 구동축(163)이 서로 치(齒) 결합할 수 있도록 구비되어 스위치(180)의 온/오프에 의해 동작될 수 있도록 설치된다. 이때 구동축(163) 외면에는 제1기어(151)와 서로 치(齒) 결합하는 제2기어(161)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광케이블(170)은 도 4 및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단이 투광렌즈(130)를 통해 조사되는 자연채광을 통해 건물(B) 내부의 조명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구성이다.
예 컨데, 광케이블(170)은 일단이 개방된 몸체(141) 타측을 통해 투광렌즈(130)의 파이프(131)에 삽입설치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상기 투광렌즈(130)를 통해 조사되는 반사채광이 용이하게 광케이블(170)로 조사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파이프(131)에 삽입설치되는 광케이블(170)의 일단은 투광렌즈(130)와 서로 근접할 수 있도록 삽입설치되어 상기 투광렌즈(130)를 통해 광케이블(170)로 조사되는 반사채광의 조사량이 손실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광케이블(170)은 건물(B) 내부의 저채광구역(B1)에 형성된 기둥 또는 벽면 등에 노출되도록 다수 구비되어 상기 광케이블(170)을 통해 조사되는 반사채광이 저채광구역(B1)의 조명으로 사용될 수 있도록 한다.(도 11 참조)
그리고, 상기 스위치(180)는 도 4, 도 11 및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인가되는 전원에 의해 승강모터(160)가 온/오프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구성이다.
예 컨데, 스위치(180)는 배전방을 거쳐 외부에서 인가되는 전원에 의해 승강모터(160)에 인가되는 전원을 온/오프 할 수 있는 형태의 것이 사용되며, 본 발명에서 말하는 스위치(180)는 바람직하게 건물(B) 내부의 저채광구역(B1)의 벽면 등에 설치된다. 이때 스위치(180)는 각각의 승강모터(160)를 개별적으로 동작시킬 수 있도록 상기 승강모터(160)의 수에 따라 다수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스위치(180)는 온/오프의 상태를 육안으로 식별할 수 있는 램프(181)가 구비되어 스위치(180)의 온/오프에 따라 점멸된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용 스위치는 종래와는 차별적으로 스위치(180)의 온/오프에 의해 승강모터(160)와 치(齒) 결합한 차단판(150)의 승강을 통해 저채광구역(B1)의 조명으로 사용될 수 있게 광케이블(170)로 조사되는 반사채광(L')의 조사량을 조절하도록 함으로써, 저채광구역(B1)의 실내조명을 조절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이상,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에 대하여 상술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는 이러한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변경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 가능하다는 것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므로,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하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110: 투광판 111: 보호판
120: 반사판 121: 회동장치
123: 감지센서 130: 투광렌즈
131: 파이프 140: 설치함
141: 몸체 143: 삽입공
145: 승강홈 150: 차단판
151: 제1기어 160: 승강모터
161: 제2기어 163: 구동축
170: 광케이블 180: 스위치
190: 제어부 L: 자연채광
L': 반사채광

Claims (1)

  1. 외부에서 조사되는 자연채광이 투과되는 투광판, 상기 투광판 상부에 고정설치되어 상기 투광판의 손상을 방지하며 상기 투광판에 투과되는 자연채광의 간섭이 일어나지 않게 투명한 재질로 구비되는 보호판, 상기 투광판 하부에 위치되도록 구비되며 상기 투광판을 통해 투과되는 자연채광이 일 방향으로 반사될 수 있도록 곡면형상으로 이루어진 다수의 반사판을 구비한 것에 있어서,
    상기 반사판과 이웃하게 구비되어 상기 반사판을 통해 일 방향으로 반사되는 반사채광을 수집하는 다수의 반사채광 수집렌즈;
    함 형상을 갖는 몸체와 상기 몸체에 다수 형성되며 상기 반사채광 수집렌즈가 삽입설치되는 삽입공과 상기 몸체에 수직방향으로 길이를 갖도록 천공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승강홈으로 이루어진 설치함;
    상기 승강홈을 통해 승강 가능하도록 상기 몸체 내부에 다수 설치되어 상기 반사판을 통해 상기 반사채광 수집렌즈로 조사되는 반사채광을 차단하며 일측에는 제1기어가 형성된 차단판;
    상기 차단판과 서로 치(齒) 결합하는 제2기어가 구동축에 형성되며 상기 구동축의 회전에 의해 각각의 상기 차단판을 승강시킬 수 있도록 상기 설치함 내부에 다수 구비되는 승강모터;
    건물 내부에 설치되며, 일단이 상기 삽입공에 삽입설치된 상기 반사채광 수집렌즈와 근접하게 상기 몸체 후방에 고정설치되며, 상기 반사채광 수집렌즈를 통해 조사되는 반사채광이 내부로 입사되어 저채광구역의 조명으로 사용하는 다수의 광케이블;
    상기 저채광구역의 벽면 또는 기둥에 설치되는 온/오프 가능한 스위치를 포함하며, 상기 스위치는 외부에서 인가되는 전원에 의해 각각의 상기 승강모터에 전원을 인가하여 상기 차단판이 승강할 수 있도록 다수 구비되어 저채광구역의 조명으로 사용되는 상기 광케이블의 조도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주택용 스위치.
KR1020150016331A 2015-02-02 2015-02-02 공동주택용 스위치 KR1015480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16331A KR101548012B1 (ko) 2015-02-02 2015-02-02 공동주택용 스위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16331A KR101548012B1 (ko) 2015-02-02 2015-02-02 공동주택용 스위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48012B1 true KR101548012B1 (ko) 2015-08-28

Family

ID=540621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16331A KR101548012B1 (ko) 2015-02-02 2015-02-02 공동주택용 스위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48012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96901B1 (ko) * 2011-05-13 2012-11-05 신안숙 빛의 반사각도조절이 가능한 채광 및 차광용 창호 조절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96901B1 (ko) * 2011-05-13 2012-11-05 신안숙 빛의 반사각도조절이 가능한 채광 및 차광용 창호 조절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28270B2 (en) Fiber optically illuminated surface
JP5022860B2 (ja) 演出用照明装置
US20200217713A1 (en) Sensor assembly and a device comprising such sensor assembly
TR201810805T4 (tr) Armatür denetleyicileri.
KR101548012B1 (ko) 공동주택용 스위치
RU2727991C1 (ru) Световой колодец
JP2009228222A (ja) 外光取込板
CN202757057U (zh) 一种导光管采光装置
TW201621214A (zh) 日光照明系統
KR101034477B1 (ko) 자연광을 이용하는 실내조명장치
CN217601980U (zh) 一种透光混凝土踢脚线
JP6006019B2 (ja) 照明装置
JP2001060407A (ja) 昼光利用システム
JP2008084751A (ja) 光ダクト用放光装置
JP2007120131A (ja) 躯体内温度管理システム
RU2236652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свещения солнечным светом помещений многоэтажного жилого дома
CN203731279U (zh) 一种集成电动遮阳功能的日光照明系统
KR101373445B1 (ko) 문화재 친환경저탄소 진열 시스템
JPS6337686Y2 (ko)
JP5038100B2 (ja) 採光装置
KR200455694Y1 (ko) 경관용 조명장치
JP2008084749A (ja) 光ダクト用放光装置
CN210462798U (zh) 一种超薄侧发光的led灯盘
KR101093453B1 (ko) 자연채광장치
KR100980458B1 (ko) 하이브리드 태양광 조명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5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