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47954B1 - 반사체 검출 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반사체 검출 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47954B1
KR101547954B1 KR1020150059047A KR20150059047A KR101547954B1 KR 101547954 B1 KR101547954 B1 KR 101547954B1 KR 1020150059047 A KR1020150059047 A KR 1020150059047A KR 20150059047 A KR20150059047 A KR 20150059047A KR 101547954 B1 KR101547954 B1 KR 1015479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flector
vehicle
detecting
vehicle image
license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590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순현
Original Assignee
렉스젠(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렉스젠(주) filed Critical 렉스젠(주)
Priority to KR10201500590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4795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479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479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K9/3258
    • G06T7/0042
    • G06K2209/15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07/00Indexing scheme for image analysis or image enhancement
    • G06T2207/30Subject of image; Context of image processing
    • G06T2207/30248Vehicle exterior or interior
    • G06T2207/30252Vehicle exterior; Vicinity of vehic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반사체 검출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반사체 검출 시스템은, 차량을 촬영한 차량 영상으로부터 상기 차량의 특징 정보를 추출하는 특징 정보 추출부; 상기 특징 정보를 기초로 상기 차량 영상으로부터 번호판에 대한 후보 영역을 추정하는 후보 영역 추정부; 및 상기 추정한 후보 영역에 대한 픽셀 성분값을 분석하여 반사체를 검출하는 반사체 검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반사체 검출부는, 상기 차량 영상을 색 변환한 후 상기 픽셀 성분값들을 분석하여 특정 범위의 블루 성분을 갖는 픽셀 개수, 블랍(Blob) 개수 중 적어도 하나가 소정 개수 이상 검출되면, 상기 번호판에 상기 반사체가 부착되어 있는 것으로 판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효과적인 검출 프로세스를 통해 위법 차량에 대한 단속 효율을 높일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더욱이 이를 통해 위법 차량의 수를 현저히 줄일 수 있다. 특히, 검출 프로세스를 단순화하고, 과속 단속 시스템, 주정차 단속 시스템, 방범 감시 시스템 등의 시스템에 용이하게 적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설계 변경을 최소화하면서도 효과적으로 반사체 부착 차량을 검출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현장 단속을 위한 검문소나 근처 지구대 등에 빠르고 쉽게 반사체 부착 차량이 검출되었음을 알릴 수 있어, 보다 신속하게 반사체 부착 차량을 단속을 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Description

반사체 검출 시스템 및 그 방법{SYSTEM FOR DETECTING REFLECTOR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반사체 검출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 번호 식별을 저해하기 위해 차량 번호판 또는 그 주변에 반사체를 부착한 차량을 효율적으로 검출할 수 있는 반사체 검출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근래 차량을 이용한 위법 행위들이 증가하면서, 위법 행위들을 단속하거나 위법 행위 지역을 감시하기 위한 차량 번호 인식 시스템들이 생활 주변 곳곳에 다양하게 설치되고 있다.
차량 번호 인식 시스템(LPRS; License Plate Recognition System 또는 VPRS; Vehicle Plate Recognition System)은 설정된 구역 내를 통과하는 차량을 카메라로 촬영하여 차량 번호판을 검출하고, 검출한 차량 번호판으로부터 차량 번호를 인식하는 시스템으로, 과속 단속 시스템, 주정차 단속 시스템, 방범 감시 시스템 등에 다양하게 적용되어 있다.
최근 들어 특정 위법 행위 이후, 단속을 피하기 위해 차량 번호가 인식되지 않도록 차량 번호판을 개조, 변형하거나 차량 번호판에 특정 반사체들을 부착하는 사례가 꾸준히 늘고 있다. 특히, 주간보다 인식률이 떨어지는 야간에 많은 사례가 발생하고 있다. 예를 들면, 수원시의 경우 일일 대략 60만대 차량이 인식되고 있고, 이 중 야간 시간대에 18만대 정도 인식된다. 이때, 야간 인식 실패율이 5%~10% 내외로 가정하면, 9천대에서 1만8천여 대의 차량이 인식되지 못하는 실정이다.
이러한, 야간 인식률의 실패 이유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것이 반사체를 부착하여 차량 번호를 가리거나 훼손하는 경우이다.
이러한 상황임에도 불구하고, 기존의 차량 번호 인식 시스템들은 차량 번호판 영역을 검출한 후 차량 번호가 인식되지 않으면 미인식으로 분류할 뿐, 이러한 위반 차량에 대한 대처를 전혀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다양한 방식들의 차량 번호 인식 시스템들에서 위법 차량 번호판을 가진 차량을 검출하기 위한 노력을 하고 있지만, 위법 차량 번호판 검출율이 현저히 저조해 실질적으로 활용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은 한국등록특허 제10-0473170(2005.02.15 공고)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차량 번호 식별을 저해하기 위해 차량 번호판 또는 그 주변에 반사체를 부착한 차량을 효율적으로 검출할 수 있는 반사체 검출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반사체 검출 시스템은, 차량을 촬영한 차량 영상으로부터 상기 차량의 특징 정보를 추출하는 특징 정보 추출부; 상기 특징 정보를 기초로 상기 차량 영상으로부터 번호판에 대한 후보 영역을 추정하는 후보 영역 추정부; 및 상기 추정한 후보 영역에 대한 픽셀 성분값을 분석하여 반사체를 검출하는 반사체 검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반사체 검출부는, 상기 차량 영상을 색 변환한 후 상기 픽셀 성분값들을 분석하여 특정 범위의 블루 성분을 갖는 픽셀 개수, 블랍(Blob) 개수 중 적어도 하나가 소정 개수 이상 검출되면, 상기 번호판에 상기 반사체가 부착되어 있는 것으로 판단한다.
차량을 촬영한 차량 영상으로부터 번호판 영역을 검출하는 번호판 영역 검출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반사체 검출부는, 상기 검출한 번호판 영역 또는 상기 추정한 후보 영역에 대한 상기 픽셀 성분값을 분석하여 반사체를 검출할 수 있다.
상기 특징 정보는, 상기 차량의 라이트 모양, 라이트간 거리, 범퍼 라인, 그릴, 사이드 미러, 엠블럼, 상기 차량과 지면의 경계선, 상기 차량과 지면의 거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차량의 전면/후면 차량 영상을 촬영하여 상기 번호판 영역 검출부로 제공하는 촬영 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면 차량 영상에서 상기 반사체가 검출되면, 상기 후면 차량 영상과 상기 전면 차량 영상을 매칭하여 저장하는 저장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반사체를 검출하면, 기 등록된 무선 단말기, 운영 센터 장치 중 적어도 하나로 상기 반사체 검출을 알리는 메시지-여기서, 상기 메시지는 상기 차량 영상 및 상기 차량 영상의 메타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함-를 전송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차량에 부착된 반사체를 검출하는 장치의 반사체 검출 방법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차량 영상으로부터 상기 차량의 특징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특징 정보를 기초로 상기 차량 영상으로부터 차량 번호판에 대한 후보 영역을 추정하는 단계; 및 상기 추정한 후보 영역에 대한 픽셀 성분값을 분석하여 반사체를 검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반사체를 검출하는 단계는, 상기 차량 영상을 색 변환한 후 상기 픽셀 성분값들을 분석하여 특정 범위의 블루 성분을 갖는 픽셀 개수, 블랍(Blob) 개수 중 적어도 하나가 소정 개수 이상 검출되면, 상기 번호판에 상기 반사체가 부착되어 있는 것으로 판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반사체 검출 시스템은, 차량을 촬영한 차량 영상으로부터 번호판 영역을 검출하는 번호판 영역 검출부; 및 상기 검출된 번호판 영역 내 픽셀 성분값을 분석하여 반사체를 검출하는 반사체 검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반사체 검출부는, 상기 차량 영상을 색 변환한 후 상기 픽셀 성분값들을 분석하여 특정 범위의 블루 성분을 갖는 픽셀 개수, 블랍(Blob) 개수 중 적어도 하나가 소정 개수 이상 검출되면, 상기 번호판에 상기 반사체가 부착되어 있는 것으로 판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효과적인 검출 프로세스를 통해 위법 차량에 대한 단속 효율을 높일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더욱이 이를 통해 위법 차량의 수를 현저히 줄일 수 있다.
특히, 검출 프로세스를 단순화하고, 과속 단속 시스템, 주정차 단속 시스템, 방범 감시 시스템 등의 시스템에 용이하게 적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설계 변경을 최소화하면서도 효과적으로 반사체 부착 차량을 검출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현장 단속을 위한 검문소나 근처 지구대 등에 빠르고 쉽게 반사체 부착 차량이 검출되었음을 알릴 수 있어, 보다 신속하게 반사체 부착 차량을 단속을 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반사체 검출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반사체 검출 시스템에 대한 세부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2의 시스템을 이용한 반사체 검출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4a 내지 도 4c는 본 발명에 실시 예에 따른 반사체 검출 시스템의 차량 번호판 후보 영역 검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반사체 검출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차량을 촬영한 영상을 이용하여 차량 번호판 또는 그 주변에 부착한 반사체를 효율적으로 검출할 수 있도록 구현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반사체는, 빛을 반사할 수 있는 물체로, 반사 스프레이, 반사 테이프 등과 같이 차량 번호 인식을 저해하기 위하여 차량 번호 혹은 번호판 주변에 부착한 물체를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반사체 검출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반사체 검출 시스템(200)은 촬영 장치(100)로부터 차량 영상을 수신하며, 네트워크를 통해 운영 센터 장치(300)와 데이터를 송수신하고, 근거리 무선망(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Zigbee)을 통해 무선 단말기(400)와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운영 센터 장치(300)는 적어도 하나의 반사체 검출 시스템(200)로부터 차량 촬영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한 차량 촬영 정보를 관리자에게 제공한다. 여기서, 차량 촬영 정보는 전면 차량 영상, 후면 차량 영상, 각 영상의 메타 정보, 차량 번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촬영 장치(100)는 전면 촬영부(101) 및 후면 촬영부(102)를 포함하며, 전면 촬영부(101)은 차량의 전면을 촬영하고, 후면 촬영부(102)는 차량의 후면을 촬영한다. 이때, 후면 촬영부(102)는 필요시에만 사용할 수 있도록 탈착이 가능한 형태로 구현할 수 있다.
여기서, 전면 촬영부(101) 및 후면 촬영부(102) 각각은 차량을 촬영할 수 있는 카메라를 포함한다. 이때, 촬영부(101, 102) 각각은 야간 또는 터널 안과 같이 특정 조도값 이하의 환경에서 촬영하기 때문에 조명과 연동하여 차량을 촬영하도록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반사체 검출 시스템(200)은 촬영 장치(100)로부터 차량 영상을 수신하면, 차량 영상으로부터 차량 번호판 영역 검출 및 번호판 후보 영역 추정하여 영역 내 픽셀 성분값을 분석하며, 분석에 따라 반사체 부착 여부를 검출하고, 그에 대한 검출 결과를 운영 센터 장치(300)로 전송한다.
또한, 반사체 검출 시스템(200)는 반사체 부착 차량이 검출되면, 반사체 검출 알림 메시지를 생성하여 실시간으로 인접한 검문소, 지구대 등에 구비된 무선 단말기(400)로 전송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반사체 검출 시스템의 세부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반사체 검출 시스템(200)은 번호판 영역 검출부(201), 특징정보 추출부(202), 후보 영역 추정부(203), 반사체 검출부(204), 저장부(205) 및 제어부(206)을 포함한다.
번호판 영역 검출부(201)는 차량 영상에 전처리(Pre-processing)과정을 수행하여 차량 번호판 영역을 검출한다. 이때, 번호판 영역 검출부(201)은 차량 번호판 영역 검출을 실패하면(차량 번호판 영역을 검출하지 못하면), 해당 차량 영상을 특징 정보 추출부(202)로 전달한다.
여기서, 번호판 영역 검출부(201)은 촬영 장치(100)로부터 차량의 전면/후면을 촬영한 차량 영상을 수신하지만, 관리자 또는 차량 번호 인식 장치(미도시)로부터 차량 영상을 입력받을 수도 있다.
특징 정보 추출부(202)는 기 설정된 영상 처리 및 연산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차량 영상으로부터 특징 정보를 추출한다. 이때, 특징 정보는 차량의 전면부/후면부의 특징에 해당하는 것으로, 차량의 라이트 모양, 라이트간 거리, 범퍼 라인, 그릴, 사이드 미러, 엠블럼, 차량과 지면의 경계선, 차량과 지면의 거리 등을 포함한다.
후보 영역 추정부(203)은 특징 정보를 이용하여 차량 번호판에 대한 후보 영역을 추정한다. 후보 영역 추정부(203)의 기능은 도 3을 통해 상세히 후술하기로 한다.
반사체 검출부(204)는 기 설정된 반사체 검출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차량 번호 영역 또는 후보 영역 내 반사체 포함 여부를 판단한다. 이때, 반사체 검출 알고리즘은 픽셀 성분값(밝기, 대비, 색상 등)을 분석하여 차량 번호 영역 또는 후보 영역 내 반사체를 검출하는 알고리즘을 포함한다.
저장부(205)는 촬영 장치(100)에 의해 촬영된 차량 영상 및 각 부(201, 202, 203, 204, 206)의 처리과정에 의해 발생된 정보들을 차량 영상에 대응하여 저장한다. 또한, 저장부(205)는 차량 영상을 저장하는 경우에, 해당 차량 영상의 메타 정보를 저장한다. 여기서 메타 정보는 촬영 시간, 전/후면 촬영 정보(카메라 ID, 위치, 코딩 종류 등), 해상도, 사진 크기 등을 포함한다.
제어부(206)은 각 부(201, 202, 203, 204, 205)의 데이터 흐름을 제어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반사체 검출 시스템(200)은 차량 번호 인식부(미도시)를 추가로 구비하여 차량번호 인식과 반사체 검출을 동시에 수행 할 수도 있으며, 차량 번호 인식부에서 인식을 실패한 영상에 대해 재처리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 차량 번호 인식부는 차량 번호 인식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후면 차량 영상으로부터 차량 번호를 인식하게 된다.
여기서, 차량 번호 인식 알고리즘은 HSI(Hue, Saturation, Intensity), HSB(HSV; Hue, Saturation, Brightness(Value))등의 색공간, 체인 코드, Thickness 정보, 신경망 모델링 등을 이용하여 차량 번호를 인식하는 알고리즘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종래 다양하게 구현되어 있으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
이러한 본 발명의 반사체 검출 시스템(200)은 전면 차량 영상을 통해 반사체를 부착한 차량을 검출한 후, 후면 차량 영상을 통해 차량 번호를 인식하여 관리자에게 제공함으로써, 보다 정확하게 위법 차량에 대한 단속을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반사체 검출 시스템(200)은 무선 통신부(미도시함)를 추가적으로 더 구비할 수도 있다.
무선 통신부는 무선 통신을 위한 모듈을 구비하며, 반사체가 검출되면 AP(Access Point)를 통해 경찰서, 경찰차, 검문소 등에 설치된 무선 단말기(400)로 반사체 검출 알림 메시지를 전송한다. 이를 통해 반사체 검출 시스템(200)은 실시간 단속 가능한 시스템으로 활용할 수 있다.
여기서, 반사체 검출 알림 메시지는 전면 차량 영상, 후면 차량 영상, 차량 번호, 차선 정보, 도착 예상 시간 등을 적어도 하나 포함한다.
이때, 제어부(206)는 차량 번호 인식부에 의해 산출된 차량의 속도와 미리 설정된 검문소간의 거리 정보를 이용하여 도착 예상 시간을 계산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반사체 검출 시스템은 현장 단속을 위한 검문소나 검문하는 경찰 차량 등에 신속하게 전달하고, 부착 차량을 현장 단속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반사체 검출 시스템(200)는 도1에서 물리적으로 현장(Local)에 위치하는 것으로 도시 되었으나, 운영 센터 장치(300)가 존재하는 센터(Center)에 위치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즉, 도 1에서 반사체 검출 시스템(200)는 촬영 장치(100)로부터 수신한 촬영 영상을 이용하여 반사체를 검출하지만, 다수의 촬영장치(100)로부터 수신한 촬영 영상을 통합 저장하는 운영 센터 장치(300)내에 구비되어, 운영 센터 장치(300)내 저장된 촬영 영상으로부터 반사체를 부착한 차량을 검출할 수도 있다.
또한, 자체적으로 운영되어 관리자로부터 입력받은 촬영 영상을 통해 반사체를 검출하고, 이를 분석 처리하여 검출된 반사체 부착 차량을 관리자에게 제공할 수도 있다.
도 3은 도 2의 시스템을 이용한 반사체 검출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고, 도 4a 내지 도 4c는 본 발명에 실시 예에 따른 반사체 검출 시스템의 차량 번호판 후보 영역을 검출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전면 차량 영상을 중심으로 반사체 검출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물론, 후면 차량 영상도 동일 프로세스를 적용할 수 있다. 또한, 후면 차량 영상은 촬영 영상으로만 활용할 수도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촬영 장치(100)는 차량의 전면을 촬영한 전면 차량 영상을 반사체 검출 시스템(200)로 제공한다(S300).
반사체 검출 시스템(200)의 번호판 영역 검출부(201)은 전면 차량 영상으로부터 전처리(Pre-processing)과정을 수행하여 차량 번호판 영역을 검출한다(S302). 이때, 전처리 과정은 번호판의 엣지 검출, 윈도우 스캔 등의 방식을 이용한 영상 처리 과정을 포함한다.
그 후 번호판 영역 검출부(201)은 전면 차량 영상에서 차량 번호판 영역을 검출한다. 이때, 번호판 영역 검출부(201)은 차량 번호판 영역이 검출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304).
상기 S304 단계의 판단 결과, 차량 번호판 영역을 검출하면, 하기의 S310 단계를 수행한다.
상기 S304 단계의 판단 결과, 차량 번호판 영역을 검출하지 못하면, 번호판 영역 검출부(201)은 해당 차량 영상을 특징 정보 추출부(202)로 전송한다.
특징 정보 추출부(202)는 기 설정된 영상 처리 및 연산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전면 차량 영상으로부터 특징 정보를 추출한다(S306).
후보 영역 검출부(203)은 특징 정보 추출부(202)에 의해 추출된 특징 정보를 기초로 차량 번호판에 대한 후보 영역을 추정한다(S308).
도 4a 내지 도 4c를 참조하여 번호판 후보 영역을 검출하는 단계에 대한 예를 들면, 후보 영역 검출부(203)는 특징 정보를 기초로 좌,우 대칭구조의 라이트 영역을 검출하면, 좌, 우측 라이트의 중간 영역에 위치한 번호판 영역을 추정할 수 있다. 이때, 차량 영상의 가로, 세로 위치에 대응하는 특징 정보를 이용하여, 후보 영역을 추정한다.
또한, 차량의 한쪽 라이트가 검출되면, 검출된 라이트 위치를 기준으로 좌측의 하단 영역 또는 우측 하단 영역에 차량 번호판이 존재한다고 가정한 후, 특징 정보에 포함된 차량의 엣지, 노면과의 경계, 범퍼 라인, 사이트 미러 등을 이용하여 번호판의 후보 영역을 추정한다.
반사체 검출부(204)는 반사체 검출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차량 번호 영역 또는 후보 영역 내 반사체 부착(포함) 여부를 판단한다(S310).
구체적으로, 차량 번호 영역 또는 후보 영역 내 영상의 픽셀 성분값(밝기, 색상, 색대비 등)을 분석하여 특정 범위의 픽셀 성분값을 갖는 픽셀이 설정된 개수 이상 검출되는지 여부에 따라 반사체 포함 여부를 판단한다.
예를 들어, 픽셀 성분값 중 밝기로 반사체 부착(포함) 여부를 판단하는 경우, 차량 번호 영역 또는 후보 영역 내 특정 범위의 밝기값을 갖는 픽셀이 소정 개수 이상 검출되는지 여부에 따라 반사체 포함 여부를 판단한다.
또한, 픽셀 성분값 중 색상으로 반사체 부착(포함) 여부를 판단하는 경우, RGB(Red, Green, Blue) 색상 중에 블루(Blue)계열로 영상을 변환한 후, 차량 번호판 영역 또는 후보 영역에서 특정 범위의 블루 성분을 갖는 픽셀이 소정 개수 이상 검출되는지 여부에 따라 반사체 포함 여부를 판단한다.
이는, 카메라의 조명의 경우, 레드(RED) 성분이 강하여 반사되는 성분 역시 레드(RED) 계열로 반사되나, 소정 색 성분 예를 들어, 블루(BLUE) 계열로 이미지를 변환하면 일반 번호판 차량은 블루(BLUE) 성분이 검출이 되지 않고, 반사체가 부착된 차량은 블루(BLUE) 성분이 검출되기 때문이다.
물론, 이 외에도 픽셀 성분값 중 색대비값을 이용하여, 특정 범위의 색대비값을 갖는 픽셀이 소정 개수 이상 검출되는지 여부에 따라 반사체 포함 여부를 판단할 수도 있다.
한편, 반사체 검출부(204)는 차량 번호 영역 또는 후보 영역 내 영상의 픽셀 성분값(밝기, 색상, 색대비 등)을 분석하고, 블랍 레이블링(Blob Labeling)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특정 범위의 픽셀 성분값을 갖는 설정된 개수 이상의 블랍(Blob)이 검출되는지 여부에 따라 반사체 포함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물론, 픽셀 수와 블락 수를 혼용하여 반사체 포함 여부를 판단할 수도 있다.
여기서 특정 범위를 갖는 성분값의 픽셀 개수, 블랍(Blob) 개수 중 적어도 하나가 소정 개수 이상 검출되면, 반사체 검출부(204)는 반사체가 부착(포함)된 것으로 판단한다(S312).
상기 S310 단계의 판단 결과, 반사체를 포함하는 경우에, 반사체 검출부(204)는 해당 차량 영상을 반사체 검출 차량으로 분류하여 인덱스를 추가한 후, 후면 차량 영상, 전면 차량 영상, 메타 정보를 저장부(205)에 저장한다(S314).
한편, 무선 통신부(생략)가 구비된 경우에는, 검출된 반사체 부착 차량에 대한 차량 영상, 메타 정보를 주변 현장 단속 중인 검문소나 근처 지구대 등의 무선 단말기(400)로 알릴 수 있다. 물론, 후면 차량 영상으로 차량 번호를 인식한 경우에는, 전면 차량 영상, 후면 차량 영상, 도착 예상 시간 및 메타 정보와 함께 차량 번호를 포함하여 무선 단말기(400)로 알릴 수 있다.
상기 S310 단계의 판단 결과, 반사체를 포함하지 않는 경우에, 반사체 검출부(124)는 해당 차량 영상을 미인식 차량으로 결정한다(S316).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반사체 검출 시스템은 효과적이고 정확도 높게 반사체 부착 차량을 검출함으로써, 위법 차량에 대한 단속 효율을 크게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특히, 기존 차량 번호 인식 시스템 등에 용이하게 적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구성 변경을 최소화하면서도 효과적으로 반사체 부착 차량을 검출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더욱이 무선 통신부를 이용하여 주변 단속지의 무선 단말기로 반사체 부착 차량 검출 정보를 빠르게 제공함으로써, 현장 단속에서도 시스템을 활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 청구 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촬영 장치 101: 전면 촬영부
102: 후면 촬영부 200: 반사체 검출 시스템
221: 번호판 영역 검출부 222: 특징 정보 추출부
223: 후보 영역 추정부 224: 반사체 검출부
225: 저장부 226: 제어부
300: 운영 센터 장치 400: 무선 단말기

Claims (14)

  1. 차량을 촬영한 차량 영상으로부터 상기 차량의 특징 정보를 추출하는 특징 정보 추출부;
    상기 특징 정보를 기초로 상기 차량 영상으로부터 번호판에 대한 후보 영역을 추정하는 후보 영역 추정부; 및
    상기 추정한 후보 영역에 대한 픽셀 성분값을 분석하여 반사체를 검출하는 반사체 검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반사체 검출부는,
    상기 차량 영상을 색 변환한 후 상기 픽셀 성분값들을 분석하여 특정 범위의 블루 성분을 갖는 픽셀 개수, 블랍(Blob) 개수 중 적어도 하나가 소정 개수 이상 검출되면, 상기 번호판에 상기 반사체가 부착되어 있는 것으로 판단하는 반사체 검출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차량을 촬영한 차량 영상으로부터 번호판 영역을 검출하는 번호판 영역 검출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반사체 검출부는,
    상기 검출한 번호판 영역 또는 상기 추정한 후보 영역에 대한 상기 픽셀 성분값을 분석하여 반사체를 검출하는 반사체 검출 시스템.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특징 정보는,
    상기 차량의 라이트 모양, 라이트간 거리, 범퍼 라인, 그릴, 사이드 미러, 엠블럼, 상기 차량과 지면의 경계선, 상기 차량과 지면의 거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반사체 검출 시스템.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전면 또는 후면 차량 영상을 촬영하여 상기 번호판 영역 검출부로 제공하는 촬영 장치를 더 포함하는 반사체 검출 시스템.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전면 차량 영상에서 상기 반사체가 검출되면, 상기 후면 차량 영상과 상기 전면 차량 영상을 매칭하여 저장하는 저장부를 포함하는 반사체 검출 시스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반사체를 검출하면, 기 등록된 무선 단말기, 운영 센터 장치 중 적어도 하나로 상기 반사체 검출을 알리는 메시지-여기서, 상기 메시지는 상기 차량 영상 및 상기 차량 영상의 메타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함-를 전송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하는 반사체 검출 시스템.
  7. 차량에 부착된 반사체를 검출하는 장치의 반사체 검출 방법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차량 영상으로부터 상기 차량의 특징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특징 정보를 기초로 상기 차량 영상으로부터 차량 번호판에 대한 후보 영역을 추정하는 단계; 및
    상기 추정한 후보 영역에 대한 픽셀 성분값을 분석하여 반사체를 검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반사체를 검출하는 단계는,
    상기 차량 영상을 색 변환한 후 상기 픽셀 성분값들을 분석하여 특정 범위의 블루 성분을 갖는 픽셀 개수, 블랍(Blob) 개수 중 적어도 하나가 소정 개수 이상 검출되면, 상기 번호판에 상기 반사체가 부착되어 있는 것으로 판단하는 반사체 검출 방법.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차량을 촬영한 차량 영상으로부터 번호판 영역을 검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반사체를 검출하는 단계는,
    상기 검출한 번호판 영역 또는 상기 추정한 후보 영역에 대한 상기 픽셀 성분값을 분석하여 상기 반사체를 검출하는 반사체 검출 방법.
  9. 청구항 7 또는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특징 정보는,
    상기 차량의 라이트 모양, 라이트간 거리, 범퍼 라인, 그릴, 사이드 미러, 엠블럼, 상기 차량과 지면의 경계선, 상기 차량과 지면의 거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반사체 검출 방법.
  10.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번호판 영역을 검출하는 단계는,
    상기 차량의 전면 또는 후면을 촬영한 상기 차량 영상을 이용하여 상기 번호판 영역을 검출하는 반사체 검출 방법.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전면 차량 영상에서 상기 반사체가 검출되면, 상기 후면 차량 영상과 상기 전면 차량 영상을 매칭하여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반사체 검출 방법.
  12.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반사체를 검출하면, 기 등록된 무선 단말기 및 운영 센터 장치 중 적어도 하나로 상기 반사체 검출을 알리는 메시지-여기서, 상기 메시지는 상기 차량 영상 및 상기 차량 영상의 메타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함-를 전송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반사체 검출 방법.
  13. 차량을 촬영한 차량 영상으로부터 번호판 영역을 검출하는 번호판 영역 검출부; 및
    상기 검출된 번호판 영역 내 픽셀 성분값을 분석하여 반사체를 검출하는 반사체 검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반사체 검출부는,
    상기 차량 영상을 색 변환한 후 상기 픽셀 성분값들을 분석하여 특정 범위의 블루 성분을 갖는 픽셀 개수, 블랍(Blob) 개수 중 적어도 하나가 소정 개수 이상 검출되면, 상기 번호판에 상기 반사체가 부착되어 있는 것으로 판단하는 반사체 검출 시스템.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반사체를 검출하면, 기 등록된 무선 단말기 및 운영 센터 장치 중 적어도 하나로 상기 반사체 검출을 알리는 메시지-여기서, 상기 메시지는 상기 차량 영상 및 상기 차량 영상의 메타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함-를 전송하는 무선 통신부
    를 더 포함하는 반사체 검출 시스템.
KR1020150059047A 2015-04-27 2015-04-27 반사체 검출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5479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9047A KR101547954B1 (ko) 2015-04-27 2015-04-27 반사체 검출 시스템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9047A KR101547954B1 (ko) 2015-04-27 2015-04-27 반사체 검출 시스템 및 그 방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15451 Division 2014-09-0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47954B1 true KR101547954B1 (ko) 2015-08-27

Family

ID=540621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59047A KR101547954B1 (ko) 2015-04-27 2015-04-27 반사체 검출 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4795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42868A (ko) * 2021-04-15 2022-10-24 주식회사 대영아이오티 차량특성정보를 활용한 위조 차량번호판 식별시스템
KR20220142869A (ko) * 2021-04-15 2022-10-24 주식회사 대영아이오티 위조 차량번호판 식별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44952A (ja) 2001-05-22 2002-11-29 Fujitsu Ltd 車番認識装置及び方法
JP2008299645A (ja) 2007-05-31 2008-12-11 Panasonic Corp ナンバー読取装置
JP2012003493A (ja) 2010-06-16 2012-01-05 Fujitsu Ltd 監視装置、監視システム及び監視方法
JP2013196392A (ja) 2012-03-19 2013-09-30 Fujitsu Ltd 車両画像認識装置、及び車両画像認識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44952A (ja) 2001-05-22 2002-11-29 Fujitsu Ltd 車番認識装置及び方法
JP2008299645A (ja) 2007-05-31 2008-12-11 Panasonic Corp ナンバー読取装置
JP2012003493A (ja) 2010-06-16 2012-01-05 Fujitsu Ltd 監視装置、監視システム及び監視方法
JP2013196392A (ja) 2012-03-19 2013-09-30 Fujitsu Ltd 車両画像認識装置、及び車両画像認識方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42868A (ko) * 2021-04-15 2022-10-24 주식회사 대영아이오티 차량특성정보를 활용한 위조 차량번호판 식별시스템
KR20220142869A (ko) * 2021-04-15 2022-10-24 주식회사 대영아이오티 위조 차량번호판 식별장치
KR102638718B1 (ko) * 2021-04-15 2024-02-21 주식회사 대영아이오티 위조 차량번호판 식별장치
KR102638715B1 (ko) * 2021-04-15 2024-02-21 주식회사 대영아이오티 차량특성정보를 활용한 위조 차량번호판 식별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08587B1 (ko) 객체인식과 추적감시 및 이상상황 감지기술을 이용한 지능형 통합감시관제시스템
KR102122859B1 (ko) 교통 영상감시시스템의 멀티 표적 추적 방법
US8798314B2 (en) Detection of vehicles in images of a night time scene
KR101615206B1 (ko) 차량검출장치
US20150092989A1 (en) Vehicle external environment recognition device
KR101742490B1 (ko) 끼어들기 위반차량 단속 시스템 및 그 방법
GB2542686A (en) Video data analyzing method and apparatus and parking lot monitoring system
CN103106766A (zh) 林火识别方法与系统
CN108376246A (zh) 一种多人脸识别及跟踪系统及方法
KR100948382B1 (ko) 방범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KR101625573B1 (ko) 차량 번호판 인식과 차량 하부 검색을 동시에 이용한 입출차 보안 시스템
KR101298684B1 (ko) 무 감지센서 기반의 차량 번호 인식 시스템 및 그 동작방법
CN105825184A (zh) 车辆数据处理方法及装置
KR101756848B1 (ko) 불법 주정차 관리 시스템
KR102122850B1 (ko) 딥 러닝 기반의 교통분석 및 차량번호 인식 솔루션
CN105931467A (zh) 一种跟踪目标的方法及装置
KR101828271B1 (ko) 교통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547954B1 (ko) 반사체 검출 시스템 및 그 방법
US8229170B2 (en) Method and system for detecting a signal structure from a moving video platform
KR101432111B1 (ko) 불법 주정차 단속 장치 및 그 방법
CN113012199B (zh) 运动目标追踪的系统和方法
CN112668478A (zh) 一种井盖监控方法、装置、电子设备和存储介质
KR100969303B1 (ko) 메디안 필터 기반 다기능 차량번호 인식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434154B1 (ko) 영상감시시스템에서의 고속 이동물체의 위치 및 모션 캡쳐 방법
KR101453386B1 (ko) 차량 지능형 검색 시스템 및 그 동작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07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