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47226B1 - 폐플라스틱고체연료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폐플라스틱고체연료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47226B1
KR101547226B1 KR1020130130759A KR20130130759A KR101547226B1 KR 101547226 B1 KR101547226 B1 KR 101547226B1 KR 1020130130759 A KR1020130130759 A KR 1020130130759A KR 20130130759 A KR20130130759 A KR 20130130759A KR 101547226 B1 KR101547226 B1 KR 1015472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lid fuel
plastic
fuel material
discharge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307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49786A (ko
Inventor
박철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인성알에스
박철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인성알에스, 박철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인성알에스
Priority to KR10201301307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47226B1/ko
Publication of KR201500497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497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472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472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50/00Technologies for the production of fuel of non-fossil origin
    • Y02E50/10Biofuels, e.g. bio-diese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50/00Technologies for the production of fuel of non-fossil origin
    • Y02E50/30Fuel from waste, e.g. synthetic alcohol or diesel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Solid Fuels And Fuel-Associated Substa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폐플라스틱고체연료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폐플라스틱부터 효과적으로 이물질을 제거하여 수분을 제거함으로써 고효율의 연료 에너지원이 될 수 있는 고형연료(SRF)를 재생 플라스틱 생산과 함께 제조하며, 또한 배출되는 고형연료재료에 포함된 많은 양의 수분을 배출과정 중에 수행되도록 함으로써 배출 및 수분제거의 작용이 함께 이루어지게 하는 폐플라스틱고체연료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특징은 플라스틱의 세척으로 발생되는 고형연료재료(60)를 이용하여 고형연료를 제조하는 폐플라스틱고체연료 제조장치에 있어서, 플라스틱 세척으로 장치 몸체 저부로 위치되는 작은 크기의 고형연료재료(602)를 장치몸체 일측으로 이송시키는 연료수평이송스크류(61); 상기 연료수평이송스크류(61)로 장치 몸체 일측으로 이송된 고형연료재료(60)를 장치 몸체 외부로 배출되게 경사지게 설치된 경사연료재료배출배수관(6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폐플라스틱고체연료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MANUFACTURING SYSTEM AND METHOD FOR SOLID REFUSE RUEL OF WASTE VINYL}
본 발명은 폐플라스틱고체연료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작은 넓이에 수로 길이를 길게 하여 폐플라스틱의 이물질인 고형연료재료를 제거하는 세척과정을 거치고 또한 고형연료재료를 수분제거와 함께 배출하여 고형연료를 제조하는 폐플라스틱고체연료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플라스틱제품의 병,용기 등의 플라스틱은 대부분 1회 사용하고 난 후 폐기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즉 두께가 얇고 지면이나 제품을 감싸는 용도로 대부분 사용되기 때문에 쉽게 찢어지기 때문에 원래 형태가 변형되어 다시 사용하는 경우가 거의 없다. 따라서 대부분 플라스틱 버려지기 때문에 이를 수거하여 다시 폐플라스틱을 수거하여 재사용해야만 환경을 보호하고 재활용할 필요가 있다.
이처럼 폐플라스틱을 제거해야 하는 과정에서는 우선 폐플라스틱부터 플라스틱이 아닌 이물질을 제거해야만 플라스틱재만으로 하는 재활용 과정이 이루어질 수 있다.
하지만 종래기술에서 대부분 플라스틱 재활용장치는 단지 플라스틱을 세척하여 재활용하기 위한 장치만 제공될 뿐이어서 다른 활용을 위한 후속의 과정이 제시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플라스틱 세척과정으로 발생되는 이물질을 단지 폐기하기 때문에 진정한 재활용이라고 할 수 없어 이들 이물질의 재활용 방안이 제시되어야 할 것이다.
실용신안출원 제20-1990-0010301호 실용신안출원 제20-2004-0003566호 특허출원 제10-2004-0033636호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본 발명은 폐플라스틱에 부착된 이물질을 효과적으로 제거하여 수분을 제거함으로써 고효율의 연료 에너지원이 될 수 있는 고형연료(SRF)를 제조하는 것이 주요 목적인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배출되는 고형연료재료에 포함된 많은 양의 수분을 배출과정 중에 수행되도록 함으로써 배출 및 수분제거의 작용이 함께 이루어지게 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고형연료재료를 배출하는 중에 수면 상부에서는 다수 봉형상으로 관을 형성하여 관 내부면에 돌기를 형성하게 하여 스크류에 의한 횡방향 힘의 작용으로 고형연료재료로부터 효과적으로 수분을 제거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수분이 제거된 고형연료재료가 다수 봉형상의 관 내부를 봉형상의 종방향을 따라 손쉽게 이동되어 배출되게 하는 것이다.
나아가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소정의 지름을 갖는 다수 봉형상의 관을 형성하게 함으로써 한번 배수된 물이 다시 고형연료재료로 침투되지 않도록 하여 수분제거 능력이 향상되게 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플라스틱의 세척으로 발생되는 고형연료재료(60)를 이용하여 고형연료를 제조하는 폐플라스틱고체연료 제조장치에 있어서, 플라스틱 세척으로 장치 몸체 저부로 위치되는 작은 크기의 고형연료재료(602)를 장치몸체 일측으로 이송시키는 연료수평이송스크류(61); 상기 연료수평이송스크류(61)로 장치 몸체 일측으로 이송된 고형연료재료(60)를 장치 몸체 외부로 배출되게 경사지게 설치된 경사연료재료배출배수관(6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플라스틱고체연료 제조장치를 제공한다.
이에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경사연료재료배출배수관(62)은, 연료수평이송스크류(61) 일측 끝단 부분에 아래가 연결되고 저부가 다공으로 형성되는 경사진 저부배출다공관(63); 및 상기 저부배출다공관(63) 상부에 연이어져 상향으로 경사지며, 저부에 길게 형성된 종방향의 줄모양으로 길게 틈이 형성된 상부배출종봉관(64)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플라스틱고체연료 제조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상부배출종봉관(64)은, 경사지게 형성되며 종방향으로 줄모양으로 길게 형성된 봉형상의 다수 개의 배수종봉(641); 및 다수 개의 상기 배수종봉(641)들로 틈새를 이루어 종방향으로 길게 틈을 이루는 종봉사이배수공간(64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플라스틱고체연료 제조장치를 제공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배수종봉(641)은 10 mm ~ 25 mm의 배수종봉지름(a)으로 이루어지고, 다수 개의 상기 배수종봉(641) 사이의 종봉사이배수공간(642)은 0.5mm ~ 2mm의 배수간격(b)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플라스틱고체연료 제조장치를 제공한다.
나아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투입세척부(30)에 작은 크기를 이루는 플라스틱(11)을 투입하는 플라스틱투입단계; 투입된 플라스틱(11)을 투입세척부(30)에 의해 세척되는 플라스틱세척단계; 물에 부유된 세척된 플라스틱(11)이 부유되면서 재생플라스틱재생플라스틱수거부(40)에서 배출되는 재생플라스틱배출단계; 플라스틱의 세척으로 장치 몸체 아래로 위치되는 고형연료재료(60)를 장치 몸체 일측으로 이송시키는 고형연료재료수평이송단계; 고형연료재료(60)를 수분을 제거하면서 이송시키는 고형연료재료수분제거단계; 고형연료재료(60)를 수분을 제거하면서 외부로 배출하는 고형연료재료배출단계; 및 고형연료재료(60)를 건조시켜 함수율 5~15%로 되도록 하는 고형연료건조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플라스틱고체연료 제조방법를 제공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은 폐플라스틱부터 효과적으로 이물질을 제거하여 수분을 제거함으로써 고효율의 연료 에너지원이 될 수 있는 고형연료(SRF)를 재생 플라스틱 생산과 함께 제조하는 탁월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효과는, 배출되는 고형연료재료에 포함된 많은 양의 수분을 배출과정 중에 수행되도록 함으로써 배출 및 수분제거의 작용이 함께 이루어지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또 다른 효과는, 고형연료재료를 배출하는 중에 수면 상부에서는 다수 봉형상으로 관을 형성하여 관 내부면에 돌기를 형성하게 하여 스크류에 의한 횡방향 힘의 작용으로 고형연료재료로부터 효과적으로 수분이 제거되는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수분이 제거된 고형연료재료가 다수 봉형상의 관 내부를 봉형상의 종방향을 따라 손쉽게 이동되어 배출되는 것이다.
나아가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소정의 지름을 갖는 다수 봉형상의 관을 형성하게 함으로써 한번 배수된 물이 다시 고형연료재료로 침투되지 않도록 하여 수분제거 능력이 향상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폐플라스틱고체연료 제조장치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폐플라스틱고체연료 제조장치에서 투입세척부에 대한 정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폐플라스틱고체연료 제조장치에 대한 정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폐플라스틱고체연료 제조장치의 경사연료재료배출배수관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폐플라스틱고체연료 제조장치의 경사연료재료배출배수관에 대한 상세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폐플라스틱고체연료 제조장치의 상부배출종봉관에 대한 횡방향 단면의 예시도이다.
이하 첨부되는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폐플라스틱고체연료 제조장치(10)는 첨부된 도 1 내지 도 6 등에서와 같이, 사용을 한 플라스틱을 세척함에 의해 발생되는 고형연료재료(60)를 이용하여 고형연료를 제조하는 폐플라스틱고체연료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플라스틱을 작게 자른 후, 플라스틱에서 세척으로 제거되는 이물질을 이용하는 것이다.
이를 위한 폐플라스틱고체연료 제조장치(10)는, 상기 세척흐름부(20)로 플라스틱(11)이 투입되게 하고 원통형의 세척관(31)을 지나는 플라스틱(11)이 세척되게 하는 투입세척부(30)가 마련되는 세척부재들을 구비하는 것이다.
그리고 폐플라스틱고체연료 제조장치(10)의 몸체 상부의 수로를 따라 플라스틱(11)이 지나는 세척흐름부(20)가 마련되고, 세척된 플라스틱(11)을 수거하기 위한 재생플라스틱수거부(40)를 이용하여 세척된 플라스틱을 모으게 된다.
이러한 폐플라스틱고체연료 제조장치(10)의 상세구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즉 첨부된 도면에서와 같이 폐플라스틱고체연료 제조장치(10)의 몸체는 내측에 공간을 가지며 몸체의 내부 공간에 물이 채워지는 것이다.
그리고 폐플라스틱고체연료 제조장치(10)는 내부 저부에는 중앙으로 하향경사지도록 형성되어 플라스틱에서 분리된 이물질인 고형연료재료(60)가 중앙으로 쌓이게 한 것이다.
또한 폐플라스틱고체연료 제조장치(10)의 상부에는 투입세척부(30)의 원통형 세척관(31)이 구비된다. 세척관(31)은 상부의 후방측에 투입구(311)를 형성하며, 하측의 일부가 물에 잠기도록 설치된다. 그리고 세척관(31)의 내부에는 플라스틱세척수단이 구비되는바, 이 플라스틱세척수단은 중심축(321)의 일단이 폐플라스틱고체연료 제조장치(10)의 몸체 일측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세척관(31) 내부에 위치되어 회전에 의해 플라스틱을 1차 세척한다.
여기서 플라스틱세척수단은 중심축(321)의 일측에 설치되어 세척관(31)으로 투입된 플라스틱(11)을 이송하는 이송날개(322)가 형성되며, 중심축(321)의 다른 측에는 이송날개(322)에 의해 이송된 플라스틱(11)을 타격하는 타격판(323)을 형성하여 이물질인 고형연료재료(60)를 플라스틱(11)로부터 분리한다.
나아가 폐플라스틱고체연료 제조장치(10)에 있어서 투입세척부(30) 부근, 또는 세척흐름부(20)의 일측으로는 플라스틱 또는 세척수를 좀더 빠르고 안정적이면서 수로 중앙으로 흐르게 하는 날개부재 또는 풍차형 회전날개 등의 부수적 장치가 더 구비될 수도 있을 것이다.
그리고 폐플라스틱고체연료 제조장치(10)의 수로에는 다수의 수로격벽(21)이 설치되며, 이 수로격벽(21)들은 일측이 개방되어 다른 수로로 세척수 및 플라스틱이 흐를 수 있게 한다.
이러한 수로격벽(21))은 세척관(31)내에서 회전되는 이송날개(322), 타격판(323) 등에 의해 발생되는 풍력 및 물의 흐름에 의해 주위로 물이 퍼지지않도록 차단하여 이송날개(322), 타격판(323) 등에 의한 풍력 및 물의 흐름으로 물 및 플라스틱(11)이 재생플라스틱수거부(40)로 흐르도록 구비되는 것이다.
재생플라스틱수거부(40)에는 수로를 따라 이동한 플라스틱을 수거하기 위한 것으로, 내부에 수거스크류(41)가 마련되고 수거관(42)의 일측 아래가 물에 잠기고 경사지게 마련된다. 그리하여 수거스크류(41)의 회전으로 수거관(42) 내부로 유입된 플라스틱을 수거하게 된다.
또한 폐플라스틱고체연료 제조장치(10) 내측 아래에는 경사진 아래로 모인 고형연료재료(60)를 배출하기 위한 연료수평이송스크류(61), 경사연료재료배출배수관(62), 연료배출스크류(65) 등이 마련된다.
이에 연료수평이송스크류(61)는 폐플라스틱고체연료 제조장치(10)의 내부 저부에 위치되어 내측의 경사진 부분의 아래에 모인 고형연료재료(60)를 경사연료재료배출배수관(62)으로 이송시키고, 연료배출스크류(65)에 의해 외부로 고형연료재료(60)를 배출한다.
아울러 이러한 연료수평이송스크류(61), 경사연료재료배출배수관(62), 연료배출스크류(65) 등에 의하여 고형연료재료(60)를 폐플라스틱고체연료 제조장치(10) 내부 아래의 일측으로 모으는 방식은, 폐플라스틱고체연료 제조장치(10)의 몸체 일측으로 고형연료재료(60)를 모으는 일측이송방식과 몸체 중앙으로 고형연료재료(60)를 모으는 중앙집중이송방식 등으로 실시될 수도 있다. 이에 첨부된 도면의 예에서는 일측이송방식의 예를 보이고 있으며, 이를 응용하여 중앙집중이송방식도 이용될 수 있다.
즉 폐플라스틱고체연료 제조장치(10) 내측 아래에는 경사진 부분에 모인 고형연료재료(60)를 배출하기 위해 일측으로 모으는 연료수평이송스크류(61) 및 상기 연료수평이송스크류(61)에 의해 일측에 모인 고형연료재료(60)를 경사연료재료배출배수관(62)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하는 연료배출스크류(65) 등이 마련되는 것이다.
상기 연료수평이송스크류(61)의 실시 양태에 따라 일측이송방식은 폐플라스틱고체연료 제조장치(10) 일측방향으로 고형연료재료(60)를 모으는 것이다. 따라서 일측으로 모아진 고형연료재료(60) 도면에서처럼 폐플라스틱고체연료 제조장치(10) 몸체 일측에 마련된 경사연료재료배출배수관(62) 및 연료배출스크류(65) 등에 의해 외부로 배출된다.
또는 중앙집중이송방식은 연료수평이송스크류(61)가, 일측에 정방향스크류날개와 타측의 역방향스크류날개가 형성된 정역방향이송스크류날개 날개방향이 반대로 형성되어 실시되는 것으로, 이러한 역방향스크류날개 및 정역방향이송스크류날개 등에 의해 중앙으로 고형연료재료(60)를 모으는 것이다. 그리하여 몸체 중앙의 아래 부분에 경사연료재료배출배수관(62) 및 연료배출스크류(65)의 하측으로 고형연료재료(60)가 모이게 되어, 연료배출스크류(65) 작동으로 외부로 배출된다.
이와 같이 마련되는 본 발명에 따른 폐플라스틱고체연료 제조장치(10)에 있어서 작은 조각으로 만들어져 투입되는 플라스틱(11)을 세척하고, 이러한 세척과정으로 장치 몸체 저부에 모인 고형연료재료(60)를 배출하는 과정 및 세부 구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즉 플라스틱의 세척으로 발생되는 고형연료재료(60)를 이용하여 고형연료(SRF, Solid Refuse Fuel)를 제조하는 폐플라스틱고체연료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우선 플라스틱 세척으로 장치 몸체 저부로 위치되는 작은 크기의 고형연료재료(602)를 장치몸체 일측으로 이송시키는 연료수평이송스크류(61) 및 상기 연료수평이송스크류(61)로 장치 몸체 일측으로 이송된 고형연료재료(60)를 장치 몸체 외부로 배출되게 경사지게 설치된 경사연료재료배출배수관(62) 등을 포함하는 것이다.
그리하여 고형연료재료(60)를 외부로 배출하게 된다.
특히 이러한 구성 중에서 상기 경사연료재료배출배수관(62)은, 연료수평이송스크류(61) 일측 끝단 부분에 아래가 연결되고 저부가 다공으로 형성되는 경사진 저부배출다공관(63)이 아래 부분에 마련된다.
즉 저부배출다공관(63)은 후술되는 상측의 상부배출종봉관(64)과 함께 경사연료재료배출배수관(62)을 형성하는 것으로, 장치 몸체 아래에 모인 고형연료재료(60)를 경사진 연료배출스크류(65) 및 경사연료재료배출배수관(62)과 함께 고형연료재료(60)를 외부로 배출하기 시작하는 부분에 해당된다.
특히 저부배출다공관(63)의 아래 부분에는 다수의 배수구멍이 형성되어 연료배출스크류(65) 및 경사연료재료배출배수관(62)으로 유입되는 고형연료재료(60)와 함께 유입된 물이 저부배출다공관(63) 외부로 자연스럽게 흐르면서 배출하여 될 수 있도록 하여 될 수 있으면 물을 덜 포함되도록 하는 것이다.
아울러 상기 저부배출다공관(63) 상부에 연이어져 상향으로 경사지며, 저부에 길게 형성된 종방향의 줄모양으로 길게 틈이 형성된 상부배출종봉관(64)이 마련된다. 이러한 상부배출종봉관(64)은 대부분이 수면 위로 형성된 것이며, 따라서 상부배출종봉관(64)을 지나는 고형연료재료(60)에서 수분을 될 수 있으면 많이 제거된다.
특히 상기 상부배출종봉관(64)은, 경사지게 형성되며 종방향으로 줄모양으로 길게 형성된 봉형상의 다수 개의 배수종봉(641)이 마련된다.
따라서 다수 개의 배수종봉(641)들이 모여서 원형을 이룸으로써 하나의 상부배출종봉관(64)을 형성하는 것이다. 또한 이처럼 상부배출종봉관(64)의 종방향으로 길게 배수종봉(641)들이 설치됨으로써, 내부를 지나는 수분을 포함하여 젤처럼 이루어진 고형연료재료(60)가 손쉽게 상부로 잘 이송될 수 있는 것이 주요 특징인 것이다.
더욱이 다수 개의 상기 배수종봉(641)들로 틈새를 이루어 종방향으로 길게 틈을 이루는 종봉사이배수공간(642)이 마련된다. 따라서 이러한 종봉사이배수공간(642) 사이로 많은 물방울 및 수분이 배수된다.
이러한 상기 배수종봉(641)은 소정의 지름을 갖아 결국 상부배출종봉관(64)의 전체적인 두께를 이루는 것이다. 이러한 배수종봉(641)은 10 mm ~ 25 mm의 배수종봉지름(a)으로 이루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15mm ~ 20mm 의 지름을 이룸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다수 개의 상기 배수종봉(641) 사이의 종봉사이배수공간(642)은 0.1mm ~ 2mm의 배수간격(b)을 이루는 것이며, 또한 1mm 이하로 이룸이 바람직하다.
그리하여 배출되는 고형연료재료(60)의 크기가 너무 작아 고형연료(SRF)로 사용하기 어려운 이물질은 고형연료로 사용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즉 너무 작은 재료는 거의 분말 형태를 갖기 때문에 연료로의 사용이 어려울 수도 있을 것이다. 반면 소정의 크기 이상은 대부분 고형연료(SRF)로 사용할 수 있으며, 이로써 대부분 고형연료(SRF)는 5cm 이하로 이룸이 바람직하고, 만약 제조 과정 중에 5cm 이상의 이물질이 보인다면 선별과정에서 추출될 수 있을 것이다.
특히 배수종봉(641) 및 종봉사이배수공간(642) 등은 상부배출종봉관(64)의 종방향으로 길게 나열됨으로써, 횡방향으로는 도 6에서처럼 내부면이 울퉁불퉁한 형상을 이룬다.
반면 수분으로 인해 젤 타입을 이루는 고형연료재료(60)를 상부배출종봉관(64) 상부로 이송시키게 하는 연료배출스크류(65)는 상부배출종봉관(64) 내부에서 횡방향으로 힘을 가하게 된다. 그리하여 횡방향으로 울퉁불퉁하게 내부면이 형성된 배수종봉(641)의 돌기부분으로 연료배출스크류(65)가 고형연료재료(60)를 횡방향으로 가압하는 기술적 구성을 갖기 때문에 결국 고형연료재료(60)가 압착되어 수분을 배출하게 되고 이에 많은 양의 수분이 종봉사이배수공간(642)을 따라 외부로 배수된다.
이에 종봉사이배수공간(642) 사이로 배수된 물은 일단 상부배출종봉관(64) 외부면을 따라 내려오는 것이며, 이는 결국 배수종봉(641)들 외부면을 따라 아래로 흐르는 것이다. 이에 배수종봉(641) 소정의 지름인 배수종봉지름(a)을 이루기 때문에 일단 배수종봉(641) 외부면으로 배수된 물은 다시 상부배출종봉관(64) 내부로 들어가지 않게 된다. 만약 종래의 기술들에서처럼 얇은 판재로 이루어진 관을 사용하면서 단순한 통공만 형성된 경우라면 관의 외부면으로 배수된 물이라 하여도 다시 관 내부로 투입되어 배수 효율을 저하시킬 수도 있을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상부배출종봉관(64)의 아래 부분을 다수 개의 배수종봉(641)을 종방향으로 길게 형성하였기 때문에 한번 배출된 물은 결코 관 내부로 다시 유입되지 않기 때문에 배수효율이 더욱 증대되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마련되는 본 발명에 따른 폐플라스틱고체연료 제조장치를 이용한 제조방법을 살펴보면 아래와 같이 실시될 수 있다.
우선 플라스틱 세척을 위하여, 투입세척부(30)에 작은 크기를 이루는 플라스틱(11)을 투입하는 플라스틱투입단계를 수행한다.
그리고 투입된 플라스틱(11)을 투입세척부(30)에 의해 세척되는 플라스틱세척단계를 수행하는 것이다.
아울러 물에 부유된 세척된 플라스틱(11)이 부유되면서 재생플라스틱수거부(40)에서 배출되는 재생플라스틱배출단계를 수행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장치로 투입된 작은 크기의 플라스틱(11)은 세척되어 외부로 배출되고 다시 재생의 과정을 거쳐 다른 재생 플라스틱 제품으로 이용되는 것이다.
이에 플라스틱의 세척으로 장치 몸체 아래로 위치되는 고형연료재료(60)를 장치 몸체 일측으로 이송시키는 고형연료재료수평이송단계를 수행하는 것이다.
또한 경사연료재료배출배수관(62)의 저부배출다공관(63) 등을 통하여, 고형연료재료(60)를 수분을 제거하면서 이송시키는 고형연료재료수분제거단계를 수행하는 것이다. 그리하여 장치 몸체 일측으로 이송된 고형연료재료(60)는 아직까지 물 속에서 이동되는 것이며, 또한 고형연료재료수평이송단계 및 고형연료재료수분제거단계를 거치면서 동일 부피 내에서 수분 보다는 고형연료재료(60)의 부피비율을 점차로 증대되게 하는 것이다.
아울러 고형연료재료(60)를 수분을 제거하면서 외부로 배출하는 고형연료재료배출단계를 수행하는 것이다. 특히 상부배출종봉관(64)의 배수종봉(641)을 고형연료재료(60)를 지나게 함으로써 많은 양의 수분을 외부로 배출하면서 이송되게 하는 것이다. 이에 배수종봉(641)의 봉 형상은 횡방향으로 힘을 가하는 연료배출스크류(65)의 가압력에 대응되어 돌기 역할을 하기 때문에 고형연료재료(60)로부터 더욱 효과적으로 수분을 제거하게 된다.
이후 고형연료재료(60)를 건조시켜 고형연료(SRF)의 함수율 5~15%로 되도록 하는 고형연료건조단계를 수행하는 것이다. 특히 고품질의 고형연료(SRF)의 함수량이 5% 이하로 건조시키는 것이 더욱 바람직할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플라스틱 소재를 재활용하기 위하여 플라스틱제품을 잘게 자르고, 잘게 잘린 플라스틱의 플라스틱(11)을 폐플라스틱고체연료 제조장치(10)의 투입세척부(30)로 지나게 함으로써 세척되게 하고, 이후 배출하여 재생플라스틱제품으로 제조하여 재활용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플라스틱 플라스틱(11)의 세척으로 분리되는 이물질인 고형연료재료(60)를 폐플라스틱고체연료 제조장치의 몸체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구성으로, 장치 몸체 아래에 모인 고형연료재료(60)를 일측으로 모으고, 경사진 경사연료재료배출배수관(62)을 지나서 배출되시키면서 효과적으로 수분을 제거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후의 건조과정 중에 수분 함량이 적은 고형연료재료(60)를 건조하기 때문에 건조에 소용되는 전기에너지, 화석연료(석탄, 석유, 가스 등)의 소모를 줄이면서 건조시간도 단축하는 탁월한 효과가 있는 것이다.
또는 경사연료재료배출배수관(62) 중 수면 상부로 위치되는 상부배출종봉관(64)이 다수 개의 봉형상인 배수종봉(641)이 관의 종방향으로 길개 배치되게 설치하여 전체적으로 관 형상을 이루게 하는 것이다. 특히 이러한 배수종봉(641)의 내변은 결국 돌기 형상을 갖기 때문에 고형연료재료(60)를 이송시키는 연료배출스크류(65)에 의한 가압력이 더욱 효과적으로 작용하여 수분제거 능력을 향상시킨다.
반면 배수종봉(641)이 관의 종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것이기 때문에 비록 수분이 제거되어 잘 움직이지 않을 수도 있을 것으로 생각되지만, 종방향으로 배수종봉(641)이 형성되었기 때문에, 배수종봉(641)을 따라 잘 이송되어 수분이 제거된 고형연료재료(60)가 손쉽게 배출되는 것이다.
아울러 배수종봉(641)은 소정의 지름을 갖기 때문에 결국 상부배출종봉관(64)도 소정의 두께를 이루어 한번 배수된 물이 다시 고형연료재료(60)로 흡수될 수 없는 것이다. 이처럼 고형연료재료(60)를 효과적이면서 손쉽게 이송되게 함과 함께 수분제거 능력도 뛰어난 탁월한 효과를 갖는 것이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일실시예를 기재한 것이므로, 상기 실시예의 기재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10 : 폐플라스틱고체연료 제조장치 11 : 플라스틱
20 : 세척흐름부 21 : 수로격벽
30 : 투입세척부 31 : 세척관
40 : 수거부 60 : 고형연료재료
61 : 연료수평이송스크류 62 : 경사연료재료배출수배수관
63 : 저부배출다공관 64 : 상부배출종봉관
641 : 배수종봉 65 : 연료배출스크류

Claims (5)

  1. 플라스틱의 세척으로 발생되는 고형연료재료(60)를 이용하여 고형연료를 제조하는 폐플라스틱고체연료 제조장치에 있어서,
    플라스틱 세척으로 장치 몸체 저부로 위치되는 작은 크기의 고형연료재료(602)를 장치몸체 일측으로 이송시키는 연료수평이송스크류(61);
    상기 연료수평이송스크류(61)로 장치 몸체 일측으로 이송된 고형연료재료(60)를 장치 몸체 외부로 배출되게 경사지게 설치된 경사연료재료배출배수관(6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플라스틱고체연료 제조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연료재료배출배수관(62)은,
    연료수평이송스크류(61) 일측 끝단 부분에 아래가 연결되고 저부가 다공으로 형성되는 경사진 저부배출다공관(63);
    상기 저부배출다공관(63) 상부에 연이어져 상향으로 경사지며, 저부에 길게 형성된 종방향의 줄모양으로 길게 틈이 형성된 상부배출종봉관(64);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플라스틱고체연료 제조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배출종봉관(64)은,
    경사지게 형성되며 종방향으로 줄모양으로 길게 형성된 봉형상의 다수 개의 배수종봉(641); 및
    다수 개의 상기 배수종봉(641)들로 틈새를 이루어 종방향으로 길게 틈을 이루는 종봉사이배수공간(642);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플라스틱고체연료 제조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종봉(641)은 10 mm ~ 25 mm의 배수종봉지름(a)으로 이루어지고,
    다수 개의 상기 배수종봉(641) 사이의 종봉사이배수공간(642)은 0.5mm ~ 2mm의 배수간격(b)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플라스틱고체연료 제조장치.
  5. 투입세척부(30)에 작은 크기를 이루는 플라스틱(11)을 투입하는 플라스틱투입단계;
    투입된 플라스틱(11)을 투입세척부(30)에 의해 세척되는 플라스틱세척단계;
    물에 부유된 세척된 플라스틱(11)이 부유되면서 재생플라스틱재생플라스틱수거부(40)에서 배출되는 재생플라스틱배출단계;
    플라스틱의 세척으로 장치 몸체 아래로 위치되는 고형연료재료(60)를 장치 몸체 일측으로 이송시키는 고형연료재료수평이송단계;
    고형연료재료(60)를 수분을 제거하면서 이송시키는 고형연료재료수분제거단계;
    고형연료재료(60)를 수분을 제거하면서 외부로 배출하는 고형연료재료배출단계; 및
    고형연료재료(60)를 건조시켜 함수율 5~15%로 되도록 하는 고형연료건조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플라스틱고체연료 제조방법.
KR1020130130759A 2013-10-31 2013-10-31 폐플라스틱고체연료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KR1015472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30759A KR101547226B1 (ko) 2013-10-31 2013-10-31 폐플라스틱고체연료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30759A KR101547226B1 (ko) 2013-10-31 2013-10-31 폐플라스틱고체연료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49786A KR20150049786A (ko) 2015-05-08
KR101547226B1 true KR101547226B1 (ko) 2015-08-25

Family

ID=533878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30759A KR101547226B1 (ko) 2013-10-31 2013-10-31 폐플라스틱고체연료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47226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312162A (ja) 2005-04-07 2006-11-16 Sanei:Kk 分離処理装置
KR100748704B1 (ko) 2006-07-18 2007-08-13 주식회사 청일화학 폐비닐 세척장치
KR101325543B1 (ko) 2013-07-23 2013-11-20 박철우 폐비닐세척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312162A (ja) 2005-04-07 2006-11-16 Sanei:Kk 分離処理装置
KR100748704B1 (ko) 2006-07-18 2007-08-13 주식회사 청일화학 폐비닐 세척장치
KR101325543B1 (ko) 2013-07-23 2013-11-20 박철우 폐비닐세척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49786A (ko) 2015-05-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5649921U (zh) 一种组合式高效固液分离机
CN203060942U (zh) 滚筛式固液分离机
CN111054727B (zh) 一种基于资源再利用的餐厨废弃物处理装置
CN106269217A (zh) 一种废旧纸铝塑复合包装材料纸塑分离的工艺
CN202752307U (zh) 纸浆分离机
CN109354372B (zh) 一种污泥无害化脱水干化设备
CN108480032B (zh) 垃圾分选水池
KR101547226B1 (ko) 폐플라스틱고체연료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KR101325543B1 (ko) 폐비닐세척장치
CN212236259U (zh) 一种排污池用固液分离装置
CN211365677U (zh) 一种带有沥水和分料功能的接收料仓
CN208629016U (zh) 一种方便排屑及回收切削液的立式加工中心
CN202179997U (zh) 淘沙机
CN212594368U (zh) 一种用于沼液沼渣处理系统中的液渣分离机
CN203152266U (zh) 一种节能型淡水蛋白质分离器
CN210358006U (zh) 一种废旧电池破碎物筛分装置
CN204194354U (zh) 多功能滚筒筛洗机
CN103125433A (zh) 节能型淡水蛋白质分离器
CN204034380U (zh) 一种高效固液分离装置
CN203125776U (zh) 废塑料清洗用的多功能磨蹭分离装置
CN105731757A (zh) 一种生化净化处理排泄物方法及装置
KR101576805B1 (ko) 폐비닐 세척장치
CN205095933U (zh) 碳化硅分级装置
CN203661967U (zh) 玉米粒清洗装置
CN207930917U (zh) 一种回收料洗料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13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