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47140B1 - 휴대 단말기를 이용한 운동량 분석이 가능한 밸런스 다이어트 스프링 신발 - Google Patents

휴대 단말기를 이용한 운동량 분석이 가능한 밸런스 다이어트 스프링 신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47140B1
KR101547140B1 KR1020140021280A KR20140021280A KR101547140B1 KR 101547140 B1 KR101547140 B1 KR 101547140B1 KR 1020140021280 A KR1020140021280 A KR 1020140021280A KR 20140021280 A KR20140021280 A KR 20140021280A KR 101547140 B1 KR101547140 B1 KR 1015471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ring
shoe
balance
plate
sho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212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동혁
Original Assignee
(주)아이젝스티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이젝스티비 filed Critical (주)아이젝스티비
Priority to KR10201400212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4714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471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471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5/00Footwear for sporting purpose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02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A43B13/12Soles with several layers of different material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13/18Resilient soles
    • A43B13/181Resiliency achieved by the structure of the sole
    • A43B13/182Helicoidal spring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5/00Footwear for sporting purposes
    • A43B5/16Skating boots
    • A43B5/1641Skating boots characterised by the sole ; characterised by the attachment of the skate
    • A43B5/1658Skating boots characterised by the sole ; characterised by the attachment of the skate provided with resilient means in the sole or between the chassis and the sole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32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shock-absorbing mea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를 이용하여 스프링 신발을 착용한 착용자의 운동량을 분석하고 이를 통해 스프링 신발의 편중된 밸런스를 조정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착용자의 잘못된 걷기와 뛰기 습관을 교정하며 착용자가 걷고 뛸 때 더 편하고 안전한 착용감을 제공하는 휴대 단말기를 이용한 운동량 분석이 가능한 밸런스 다이어트 스프링 신발에 관한 것으로서, 신발의 뒤축에 코일형 스프링을 구비하여 상기 신발의 착용자에 의한 디딤력에 대응하는 탄성력을 부가하는 스프링 신발에 있어서, 상기 코일형 스프링(420)의 상부 및 하부에 각각 네 개씩 90도 간격으로 장착되고 서로 마주보는 두 개가 한 쌍으로 이루어져, 상기 디딤력에 의해 발생하는 상기 코일형 스프링(420)의 전후좌우 변형에 따라, 변화하는 서로간의 이격거리를 각각 측정하는 밸런스센서(480); 및 휴대 단말기가 상기 밸런스센서(480)에서 측정한 이격거리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코일형 스프링(420)의 전후좌우에 가해지는 디딤력을 산출하고 화면에 상기 코일형 스프링(420)의 디딤력 분포를 표시하도록, 상기 밸런스센서(480)에 인접하게 장착되어, 상기 휴대 단말기로 상기 이격거리 데이터를 무선으로 전송하는 무선전송센서(490);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를 이용한 운동량 분석이 가능한 밸런스 다이어트 스프링 신발을 제공한다.

Description

휴대 단말기를 이용한 운동량 분석이 가능한 밸런스 다이어트 스프링 신발{Spring Shoes for analyzing momentum and balance diet using mobile phone}
본 발명은 스프링 신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휴대 단말기를 이용하여 스프링 신발을 착용한 착용자의 운동량을 분석하고 이를 통해 스프링 신발의 편중된 밸런스를 조정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착용자의 잘못된 걷기와 뛰기 습관을 교정하며 착용자가 걷고 뛸 때 더 편하고 안전한 착용감을 제공하는 휴대 단말기를 이용한 운동량 분석이 가능한 밸런스 다이어트 스프링 신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스프링 신발은, 신발의 저면에 스프링에 제공되는 것으로 사람이 걸을 때 지면으로부터 받는 충격력을 흡수하게 된다. 스프링 신발은 신발을 착용하고 걷거나 뛸 때 스프링 탄성력에 의한 도약력이 제공될 수 있는 것으로 종래에는 어린이들에 의해 유희용으로 적용되어 왔으나, 동일한 시간 동안 동일한 움직임을 반복하는 경우 일반적인 운동화 착용 시 보다 많은 운동량을 얻을 수 있어 최근에는 운동시간이 부족한 성인층에 의해 운동 또는 다이어트 용으로 많은 호응을 얻고 있다.
또한, 최근의 스프링 신발을 보면 다양한 아이디어 제시를 통해 다양한 구조로 변화되고 있으나 대부분이 신발의 밑창과 지면에 밀착되는 밑판 사이에 스프링을 위치시킨 후 상기 스프링의 중심 위치에서 볼트 등의 체결구를 통해 신발의 밑창 저부 또는 밑판에 결합시키는 방법을 취하고 있어 최초 신발의 제조 시에는 스프링의 장착이 가능하나, 출고 후 스프링 등이 훼손되었을 때에는 보수 및 교체 작업이 힘든 문제점이 있었다.
즉, 종래의 스프링 신발은 스프링의 상하단부를 지지하도록 신발 밑창의 후방 저면과 밑판에 제공되는 고정판이 분리 가능하도록 나사를 통해 체결되도록 하고, 이 고정판에 스프링의 단부가 억지끼움 방식으로 끼워져 고정되도록 함으로써, 신발의 밑창과 밑판이 과도하게 틀어지는 경우 스프링의 단부가 이탈될 수 있어 안전성이 다소 결여되고, 스프링의 상하단부가 고정상태로 신발 밑창과 밑판에 결합되어 있어 스프링의 교체 또는 자신의 체형에 맞도록 스프링 밸런스를 조절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를 해결하고자 신발의 밑창과 지면에 지지되며 스프링을 고정하는 밑판이 스프링의 하단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음은 물론 스프링의 하단으로부터 간편하게 분리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가 간편하게 분리 및 교체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고, 더불어 스프링을 지지하는 밑판이 신발의 밑창 전방과 분리 가능하게 연결됨은 물론 밑창 전방으로부터 회동될 수 있도록 하여 보행 시 스프링이 발의 뒤꿈치를 안정되게 지지할 수 있도록 하는 스프링 신발이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947670호인 "스프링 신발"에 제시된 바 있다.
상기 스프링 신발의 경우, 외관의 미려함은 물론 조립 및 교체 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나, 스프링 신발 착용 후 보행 시 회동 부위 등에서 소음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를 해결하고자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056200호에는 "교정 밸런스 스프링 신발"이 개시되어 있다. 도 1에 상기 교정 밸런스 스프링 신발의 사시도를 간략히 도시하였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교정 밸런스 스프링 신발은 신발 갑피(100)의 저면 후방측에 결합되며, 그 후방에 십자홈을 갖는 결합홈이 하향 개방되게 형성되고, 그 전방에 돌출된 중간키 및 상기 중간키를 중심으로 한 좌우 양쪽에 나사홈이 형성되는 신발 후방 밑판(200); 상기 신발 갑피(100)의 저면 전방측에 결합되는 신발 전방 밑판(300); 하측으로부터 상측으로 폭이 점차적으로 좁아지는 코일형 스프링과 그 상단에 일체로 성형된 상측 홀더판과 그 하측에 일체로 성형되는 하측 홀더판으로 이루어진 스프링 홀더(400); 상기 신발 갑피(100)를 통과하며 머리부가 상기 신발 갑피(100)에 걸림된 상태에서 상기 스프링 홀더(400)를 고정하는 체결구; 일측이 절곡되어 절곡단이 형성되며 상기 절곡단에 상기 중간키가 끼워지도록 키홈이 형성되고 양쪽에 상기 나사홈에 각각 나사결합되는 볼트가 통과하도록 볼트홀이 형성되며, 타측이 상기 하측 홀더판의 저면에 일체형으로 결합되는 바닥판(6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교정 밸런스 스프링 신발은 소음의 발생을 제거하고 반복된 수직 하중에 대해 안정된 탄성 지지력을 제공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교정 밸런스 스프링 신발의 경우에도 착용자가 자신의 걷기 및 뛰기 습관과 같은 운동정보를 알 수가 없으며, 착용자의 걷기 및 뛰기 습관에 따라 저마다 다르게 작용하는 하중까지 고려하여 신발의 밸런스를 보정해 주지는 못하는 아쉬움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947670호(2010. 03. 08. 등록)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056200호(2011. 08. 04. 등록)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휴대 단말기를 통해 운동량을 분석하고, 분석된 운동량에 따라 스프링 신발 착용 후 착용자의 잘못된 걷기와 뛰기 습관에 따라 뒤틀리는 신발 축을 바로잡아 밸런스를 조정할 수 있는 휴대 단말기를 이용한 운동량 분석이 가능한 밸런스 다이어트 스프링 신발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스프링에 가해지는 착용자의 디딤력을 휴대 단말기를 통해 분석하고, 분석된 디딤력에 따라 스프링의 디딤각을 교정하여 디딤력을 스프링 전체에 고르게 분배함으로써 착용자가 걷고 뛸 때 더 편하고 안전한 착용감을 줄 수 있는 휴대 단말기를 이용한 운동량 분석이 가능한 밸런스 다이어트 스프링 신발을 제공하는데 있다.
삭제
삭제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를 이용한 운동량 분석이 가능한 밸런스 다이어트 스프링 신발은, 신발의 뒤축에 스프링부재를 구비하여 경질의 합성수지 소재로 이루어져 신발 갑피(100)의 저면 후방측에 결합되며, 후방 저면에 결합홈(220)이 하향 개방되게 형성되는 신발 후방 밑판(200); 후방측이 상기 신발 후방 밑판(200)의 전방측을 감싸는 형태로 상기 신발 갑피(100)의 저면 전방측에 결합되는 신발 전방 밑판(300); 하측으로부터 상측으로 폭이 점차적으로 좁아지는 형태의 코일형 스프링(420)과, 상기 코일형 스프링(420)의 상단에 일체로 성형되며 상기 결합홈(220)에 회전 방지 상태로 삽입되는 상측 홀더판(440)과, 상기 코일형 스프링(420)의 하단이 수평을 유지하도록 일체로 성형되는 하측 홀더판(460)으로 이루어진 스프링 홀더(400); 상기 신발 갑피(100) 및 상기 결합홈(220) 중심을 순차적으로 통과하며 머리부가 상기 신발 갑피(100)에 걸림된 상태에서 상기 상측 홀더판(440)의 중심에 형성된 나사홈(444)에 끼워져 결합되는 체결구(500); 연질의 합성수지 소재로 이루어지며, 일측이 절곡단(620)이 형성되어 상기 신발 후방 밑판(20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하측 홀더판(460)의 저면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하측 홀더판(460)의 일부가 끼움 고정되는 도킹부(610)가 상면의 일측에 형성된 바닥판(600); 상기 상측 홀더판(440)의 저면 및 상기 상측 홀더판(440)의 저면과 대응하는 상기 바닥판(600)의 상면에 90도 각도를 이루며 네 개가 각각 장착되고, 서로 마주보는 두 개가 한 쌍으로 이루어져, 상기 신발을 신은 착용자의 디딤력에 의해 발생하는 상기 코일형 스프링(420)의 전후좌우 변형에 따라 변화 변화하는 서로간의 이격거리를 각각 측정하는 네 쌍의 밸런스센서(480); 및 휴대 단말기가 상기 밸런스센서(480)에서 측정한 이격거리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코일형 스프링(420)의 전후좌우에 가해지는 디딤력을 산출하고 화면에 상기 코일형 스프링(420)의 디딤력 분포를 표시하도록, 상기 밸런스센서(480)에 인접하게 장착되어, 상기 휴대 단말기로 상기 이격거리 데이터를 무선으로 전송하는 무선전송센서(490);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를 이용한 운동량 분석이 가능한 밸런스 다이어트 스프링 신발은, 상기 결합홈(220)의 표면에는 디딤각조정홈(222)이 형성되고, 상기 상측 홀더판(440)의 상측 표면에는 디딤각조정돌기(442)가 형성되어 서로 결합시 회전이 방지되고 분리 후 상기 코일형 스프링(420)의 회전각을 미세하게 조정하여 결합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를 이용한 운동량 분석이 가능한 밸런스 다이어트 스프링 신발은, 상기 신발 후방 밑판(200)의 전방측 저면에 돌출 형태의 중간키(242) 및 상기 중간키(242)를 중심으로 한 좌우 양쪽에 나사홈(252)이 형성되며, 상기 바닥판(600)의 절곡단(620)에 상기 중간키(242)가 끼워지도록 키홈(622)이 형성되고 양쪽에 상기 나사홈(252)에 각각 나사결합되는 볼트(660)가 통과하도록 볼트홀(624)이 형성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를 통해 운동량을 분석하고, 분석된 운동량에 따라 스프링 신발 착용 후 착용자의 잘못된 걷기와 뛰기 습관에 따라 뒤틀리는 신발 축을 바로잡아 밸런스를 조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스프링 신발 착용 후 착용자의 잘못된 걷기와 뛰기 습관에 따라 뒤틀리는 신발 축을 바로잡아 밸런스를 조정함으로써 착용자의 잘못된 걷기와 뛰기 습관을 휴대 단말기를 이용하여 간편하게 교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스프링에 가해지는 착용자의 디딤력을 휴대 단말기를 통해 분석하고, 분석된 디딤력에 따라 스프링의 디딤각을 교정하여 디딤력을 스프링 전체에 고르게 분배함으로써 착용자가 걷고 뛸 때 더 편하고 안전한 착용감과 안정감을 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교정 밸런스 스프링 신발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를 이용한 운동량 분석이 가능한 밸런스 다이어트 스프링 신발의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스프링 신발의 분리 사시도,
도 4는 도 2의 저면 사시도,
도 5는 도 4에서 신발 후방 밑판의 저면도,
도 6은 도 3 및 도 4에서 스프링 홀더와 바닥판이 결합된 상태의 평면도,
도 7은 도 4에서 스프링 홀더의 저면 사시도,
도 8은 도 7의 스프링 홀더의 측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를 이용한 운동량 분석이 가능한 밸런스 다이어트 스프링 신발의 운동량 분석 및 밸런스 정보 제공 과정을 나타낸 도면,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를 이용한 운동량 분석이 가능한 밸런스 다이어트 스프링 신발의 운동량 및 밸런스 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휴대 단말기의 응용프로그램 화면의 일례를 보인 도면.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의 상세한 설명이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들은 가능한 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들을 나타내고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하기 설명에서 구체적인 특정 사항들이 나타나고 있는데,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 제공된 것일뿐,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상세한 설명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도 2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를 이용한 운동량 분석이 가능한 밸런스 다이어트 스프링 신발의 구성 및 결합상태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를 이용한 운동량 분석이 가능한 밸런스 다이어트 스프링 신발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스프링 신발의 분리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2의 저면 사시도이다.
또한, 도 5는 도 4에서 신발 후방 밑판의 저면도이고, 도 6은 도 3 및 도 4에서 스프링 홀더와 바닥판이 결합된 상태의 평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를 이용한 운동량 분석이 가능한 밸런스 다이어트 스프링 신발은, 발에 착용되는 신발 갑피(100)와, 신발 갑피(100)의 후방 저면에 결합되는 신발 후방 밑판(200)과, 신발 갑피(100)의 전방 저면에 결합되는 신발 전방 밑판(300)과, 상기 신발 후방 밑판(200)의 저면에 결합되는 스프링 홀더(400), 상기 신발 후방 밑판(200)에 상기 스프링 홀더(400)를 결합시키는 체결구(500), 일단이 신발 후방 밑판(200)의 일측에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스프링 홀더(400)의 저면을 받치면서 상기 스프링 홀더(400)의 일부를 끼움 고정시키는 도킹부(610)를 일체로 구비한 바닥판(600)으로 구성된다.
상기 신발 갑피(100)는, 발에 착용되어 발을 보호하는 통상의 신발을 말하며 발바닥의 저면 중심을 기준으로 하여 전후방으로 분리 설명될 수 있다.
상기 신발 후방 밑판(200)은, 경질의 합성수지 소재로 이루어지며, 신발 갑피(100)의 저면 후방측에 접착제 등 공지의 접착방식을 통해 일체형으로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신발 후방 밑판(200)의 후방 저면에는 디딤각조정홈(222)을 갖는 결합홈(220)이 하향 개방되게 형성되고, 그 전방에는 중간키(242) 및 상기 중간키(242)를 중심으로 한 좌우 양쪽에 나사홈(252)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신발 후방 밑판(200)을 이루는 결합홈(220)의 중심에는 상기 체결구(500)가 통과하도록 볼트홀(260)이 형성된다.
상기 신발 전방 밑판(300)은, 합성수지 소재로 이루어지며 후방측이 상기 신발 후방 밑판(200)의 전방측을 감싸는 형태로 상기 신발 갑피(100)의 저면 전방측에 접착제 등 공지의 접착 방식을 통해 일체형으로 결합된다.
상기 스프링 홀더(400)는, 착용자에게 탄성력을 부여하기 위한 것이며, 하측으로부터 상측으로 폭이 점차적으로 좁아지는 코일형 스프링(420)과, 상기 코일형 스프링(420)의 상단에 일체로 성형되며 상기 결합홈(220)에 삽입되어 상기 디딤각조정홈(222)에 끼워져 결합되도록 상면에 디딤각조정돌기(442)를 갖는 상측 홀더판(440)과, 상기 코일형 스프링(420)의 하단이 수평을 유지하도록 일체로 성형되는 하측 홀더판(460)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하측 홀더판(460)과 상기 상측 홀더판(440)은 상하 위치에서 평행하게 위치되며 상기 코일형 스프링(420)의 상하측에 일체형으로 결합된다.
상기 상측 및 하측 홀더판(440)(460)은 성형 시 상기 코일형 스프링(420)에 결합된 상태로 성형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디딤각조정홈(222)은, 조정홈(222a) 및 상기 조정홈(222a)의 가장자리로부터 외측방향으로 형성된 다수개의 삼각홈(222b)을 말하고, 또한, 상기 디딤각조정돌기(442)는, 돌기(442a) 및 상기 돌기(442a)의 가장자리로부터 외측으로 돌출 형성된 다수개의 삼각돌기(442b)를 말한다.
이에 따라, 상기 디딤각조정홈(222)의 홈(222a)에 디딤각조정돌기(442)의 돌기(442a)가 끼워맞춤되면서 다수개의 삼각돌기(442b)가 삼각홈(222b)에 끼워져 회전이 방지되는 것으로서, 이는, 견고한 고정력 및 간편한 고정력을 확보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디딤각조정홈(222)의 홈(222a)에 디딤각조정돌기(442)의 돌기(442a)가 끼워맞춤될 시, 다수개의 삼각돌기(442b)가 삼각홈(222b)에 끼워짐으로써, 하기에서 설명할 밸런스 조정 시 상기 스프링 홀더(400)를 분리 후 회전시켜 결합할 시 미세한 디딤각의 조정이 가능하다.
상기 체결구(500)는, 상기 신발 갑피(100) 및 상기 디딤각조정홈(222)의 중심을 순차적으로 통과하며 머리부가 상기 신발 갑피(100)의 바닥면에 걸림된 상태에서 상기 디딤각조정돌기(442)의 중심에 형성된 나사홈(444)에 끼워져 결합된다.
상기 바닥판(600)은, 경질 또는 연질의 합성수지 소재로 이루어지며, 일측이 절곡되어 절곡단(620)이 형성되며 상기 절곡단(620)에 상기 중간키(242)에 끼워지도록 키홈(622) 돌출 형성되고 양쪽에 상기 나사홈(252)에 각각 나사결합되는 볼트(660)가 통과하도록 볼트홀(624)이 형성되며, 타측이 상기 하측 홀더판(460)의 저면에 일체형으로 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절곡단(620) 부위는 연질의 소재로 이루어지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바닥판(600)에는 상기 스프링 홀더(400)의 하측 홀더판(460)의 일부가 끼움 고정되는 도킹부(610)가 더 구비된다. 상기 도킹부(610)는 밸런스 조정이 필요한 경우, 상기 스프링 홀더(400)를 상기 바닥판(600)으로부터 분리하여 디딤각을 회전시켜 재 결합시키기 위한 것이다.
도 7은 도 4에서 스프링 홀더의 저면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7의 스프링 홀더의 측단면도를 나타낸 것으로서,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상측 홀더판(440)의 하면과 상기 하측 홀더판(460)이 상기 도킹부(610)에 결합될 시 상기 하측 홀더판(460)에 둘러싸이는 바닥판(600) 상면에는 상기 코일형 스프링(420)에 가해지는 압력을 수치화하여 휴대 단말기(미도시함)에게 전송하는 다수의 센서들(480, 490)이 구비된다.
상기 다수의 센서들(480, 490)은 상기 상측 홀더판(440)의 하면 및 바닥판(600)에 각각 쌍으로 설치되는 4쌍의 밸런스센서(480)와 상기 상측 홀더판(440)의 하면 또는 바닥판(600)의 일측에 설치되는 무선전송센서(490)를 포함한다. 상기 밸런스센서(480)는 90도 각도로 4개가 상기 상측 홀더판(440)의 하면 및 바닥판(600)에 각각 설치되는데, 상하로 서로 대응되는 두 개의 밸런스센서(480)가 한 쌍을 이루어 신발 착용자의 디딤력에 따라 변형되는 상기 코일형 스프링(420)의 상하 거리를 각각 측정한다.
상기 밸런스센서(480)가 측정한 거리에 따라 상기 코일형 스프링(420)에 가해지는 디딤력의 밸런스 변화를 산출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하기에서 설명할 휴대 단말기의 화면에 착용자의 운동량을 비롯한 밸런스 정보가 표시된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를 이용한 운동량 분석이 가능한 밸런스 다이어트 스프링 신발의 운동량 분석 및 밸런스 정보 제공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를 이용한 운동량 분석이 가능한 밸런스 다이어트 스프링 신발의 운동량 및 밸런스 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휴대 단말기의 응용프로그램 화면의 일례를 보인 도면이다.
도 7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를 이용한 운동량 분석이 가능한 밸런스 다이어트 스프링 신발은, 신발을 착용한 사용자의 디딤력에 따라 상기 코일형 스프링(420)이 변형되는데, 이때 상기 상측 홀더판(440)의 하면과 상기 바닥판(600)의 상면에 설치된 네 쌍의 밸런스센서(480)가 각기 상기 코일형 스프링(420)의 변형에 따라 변화되는 전후좌우의 거리를 감지한다(901). 이에 따라, 상기 밸런스센서(480)는 변화된 거리를 시시각각으로 감지하여 상기 무선전송센서(490)로 전달하고, 상기 무선전송센서(490)는 상기 밸런스센서(480)로부터 수신한 거리정보를 휴대 단말기(700)로 무선 전송한다(903).
이때, 상기 밸런스센서(480)와 상기 무선전송센서(490)는 하나의 센서로 구현될 수도 있으며, 상기 거리정보는 전송 데이터의 양을 줄이기 위해 기 설정된 기본 거리에서 변화된 데이터만을 전송할 수도 있다.
상기 무선전송센서(490)로부터 거리정보를 수신한 휴대 단말기(700)는 수신한 거리정보로부터 거리 변화를 누적하여 기록하고(905), 이를 전후좌우의 압력변화에 대한 비율로 변환하여(907) 도 10과 같이 사용자에게 운동량 및 밸런스에 대한 분석 정보를 표시한다(911). 상기 휴대 단말기(700)는 스마트폰 또는 휴대형 무선데이터통신 단말이 될 수 있다.
상기 도 10과 같이 제공되는 밸런스 정보에 따라, 사용자는 신발의 스프링 홀더(400)를 바닥판(610)의 도킹부(610)로부터 분리시켜 상기 디딤각조정홈(222)과 디딤각조정돌기(442)의 결합에 의하여 미세하게 회전시키면서 자신의 디딤력과 균형을 이루는 디딤각을 찾아 재 결합시킴으로써, 자신에게 맞도록 신발의 밸런스를 보정할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를 이용한 운동량 분석이 가능한 밸런스 다이어트 스프링 신발의 밸런스 정보를 살펴보면, 밸런스 정보를 나타내는 동심원에 표시된 4개의 점은 동심원의 중심으로부터 각 점에 이르는 직선은 전후좌우를 기준으로 각 방향에 가해지는 디딤력의 크기를 비율적으로 나타내며, 동심원상에 위치한 각 점의 위치는 전후좌우를 기준으로 디딤각이 각 방향에 대해 틀어진 각도를 나타낸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를 이용한 운동량 분석이 가능한 밸런스 다이어트 스프링 신발은 스프링 신발 착용 후 착용자의 걷기와 뛰기 습관에 따라 뒤틀리는 신발 축을 휴대 단말기를 통해 제공되는 밸런스정보에 따라 밸런스를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스프링에 가해지는 착용자의 무게를 스프링 전체에 고르게 분배함으로써 착용자가 걷고 뛸 때 더욱 편하고 안정적인 착용감을 갖도록 스프링 신발의 밸런스를 보정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서 정해져야 한다.

Claims (5)

  1. 삭제
  2. 삭제
  3. 신발의 뒤축에 스프링부재를 구비하여 경질의 합성수지 소재로 이루어져 신발 갑피(100)의 저면 후방측에 결합되며, 후방 저면에 결합홈(220)이 하향 개방되게 형성되는 신발 후방 밑판(200);
    후방측이 상기 신발 후방 밑판(200)의 전방측을 감싸는 형태로 상기 신발 갑피(100)의 저면 전방측에 결합되는 신발 전방 밑판(300);
    하측으로부터 상측으로 폭이 점차적으로 좁아지는 형태의 코일형 스프링(420)과, 상기 코일형 스프링(420)의 상단에 일체로 성형되며 상기 결합홈(220)에 회전 방지 상태로 삽입되는 상측 홀더판(440)과, 상기 코일형 스프링(420)의 하단이 수평을 유지하도록 일체로 성형되는 하측 홀더판(460)으로 이루어진 스프링 홀더(400);
    상기 신발 갑피(100) 및 상기 결합홈(220) 중심을 순차적으로 통과하며 머리부가 상기 신발 갑피(100)에 걸림된 상태에서 상기 상측 홀더판(440)의 중심에 형성된 나사홈(444)에 끼워져 결합되는 체결구(500);
    연질의 합성수지 소재로 이루어지며, 일측이 절곡단(620)이 형성되어 상기 신발 후방 밑판(20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하측 홀더판(460)의 저면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하측 홀더판(460)의 일부가 끼움 고정되는 도킹부(610)가 상면의 일측에 형성된 바닥판(600);
    상기 상측 홀더판(440)의 저면 및 상기 상측 홀더판(440)의 저면과 대응하는 상기 바닥판(600)의 상면에 90도 각도를 이루며 네 개가 각각 장착되고, 서로 마주보는 두 개가 한 쌍으로 이루어져, 상기 신발을 신은 착용자의 디딤력에 의해 발생하는 상기 코일형 스프링(420)의 전후좌우 변형에 따라 변화 변화하는 서로간의 이격거리를 각각 측정하는 네 쌍의 밸런스센서(480); 및
    휴대 단말기가 상기 밸런스센서(480)에서 측정한 이격거리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코일형 스프링(420)의 전후좌우에 가해지는 디딤력을 산출하고 화면에 상기 코일형 스프링(420)의 디딤력 분포를 표시하도록, 상기 밸런스센서(480)에 인접하게 장착되어, 상기 휴대 단말기로 상기 이격거리 데이터를 무선으로 전송하는 무선전송센서(490)를 포함하며;
    상기 결합홈(220)의 표면에는 디딤각조정홈(222)이 형성되고, 상기 상측 홀더판(440)의 상측 표면에는 디딤각조정돌기(442)가 형성되어 서로 결합시 회전이 방지되고 분리 후 상기 코일형 스프링(420)의 회전각을 조정 가능하게 결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를 이용한 운동량 분석이 가능한 밸런스 다이어트 스프링 신발.
  4. 삭제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신발 후방 밑판(200)의 전방측 저면에 돌출 형태의 중간키(242) 및 상기 중간키(242)를 중심으로 한 좌우 양쪽에 나사홈(252)이 형성되며; 상기 바닥판(600)의 절곡단(620)에 상기 중간키(242)가 끼워지도록 키홈(622)이 형성되고 양쪽에 상기 나사홈(252)에 각각 나사결합되는 볼트(660)가 통과하도록 볼트홀(624)이 형성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를 이용한 운동량 분석이 가능한 밸런스 다이어트 스프링 신발.
KR1020140021280A 2014-02-24 2014-02-24 휴대 단말기를 이용한 운동량 분석이 가능한 밸런스 다이어트 스프링 신발 KR1015471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1280A KR101547140B1 (ko) 2014-02-24 2014-02-24 휴대 단말기를 이용한 운동량 분석이 가능한 밸런스 다이어트 스프링 신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1280A KR101547140B1 (ko) 2014-02-24 2014-02-24 휴대 단말기를 이용한 운동량 분석이 가능한 밸런스 다이어트 스프링 신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47140B1 true KR101547140B1 (ko) 2015-08-25

Family

ID=540619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21280A KR101547140B1 (ko) 2014-02-24 2014-02-24 휴대 단말기를 이용한 운동량 분석이 가능한 밸런스 다이어트 스프링 신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47140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60334A (ko) * 2015-11-24 2017-06-01 권동혁 체험 공유를 통한 포인트 취득 및 사용 그리고 다이어트 가능한 스프링 신발의 앱을 이용한 다이어트 체험 시스템
KR20200027670A (ko) 2018-09-05 2020-03-13 권동혁 맞춤형 신발을 통한 사용자 중심의 코인 적립 및 사용 시스템
KR20230057826A (ko) * 2021-10-22 2023-05-02 정명수 하지 훈련용 신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6200B1 (ko) * 2010-12-08 2011-08-11 권동혁 교정 밸런스 스프링 신발
JP2011524207A (ja) * 2008-06-13 2011-09-01 ナイキ インコーポレーティッド センサシステムを有するフットウェア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524207A (ja) * 2008-06-13 2011-09-01 ナイキ インコーポレーティッド センサシステムを有するフットウェア
KR101056200B1 (ko) * 2010-12-08 2011-08-11 권동혁 교정 밸런스 스프링 신발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60334A (ko) * 2015-11-24 2017-06-01 권동혁 체험 공유를 통한 포인트 취득 및 사용 그리고 다이어트 가능한 스프링 신발의 앱을 이용한 다이어트 체험 시스템
KR20200027670A (ko) 2018-09-05 2020-03-13 권동혁 맞춤형 신발을 통한 사용자 중심의 코인 적립 및 사용 시스템
KR20230057826A (ko) * 2021-10-22 2023-05-02 정명수 하지 훈련용 신발
KR102559080B1 (ko) * 2021-10-22 2023-07-25 정명수 하지 훈련용 신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608369B2 (ja) バランスの取れた二足姿勢を検出するための動的姿勢器具
KR101948760B1 (ko) 스마트 하체운동기
CN107411215B (zh) 带传感器系统的鞋
KR101547140B1 (ko) 휴대 단말기를 이용한 운동량 분석이 가능한 밸런스 다이어트 스프링 신발
KR101447652B1 (ko) 신발 인솔, 이를 구비하는 신발 및 걸음걸이 형태 교정 시스템
US20100004566A1 (en) Intelligent orthotic insoles
KR101056200B1 (ko) 교정 밸런스 스프링 신발
KR20090052132A (ko) 수준기가 구비된 골프화
CN103476283A (zh) 带传感器系统的鞋子
US20220386736A1 (en) Fatigue relief method using smart footwear and operation method for user terminal
US20210387054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resistance calibration and digitization for exercise equipment
CN204447143U (zh) 压力感测蹬腿机
TW201315400A (zh) 一種可調整足底壓力分佈之方法
CN111867414B (zh) 用于测量、评估以及用于模拟鞋的方法、装置和系统
KR101625591B1 (ko) 신발형 운동기구
CN108697205A (zh) 用于控制鞋子零件生产机器的系统和方法
KR101923676B1 (ko) 샌들 기반의 자세교정 장치
KR102116071B1 (ko) 스마트 운동용 리프팅화
KR101918566B1 (ko) 체험 공유를 통한 포인트 취득 및 사용 그리고 다이어트 가능한 스프링 신발의 앱을 이용한 다이어트 체험 시스템
Eguchi et al. Accessible ground reaction force estimation using insole force sensors without force plates
KR101201965B1 (ko)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신체활동지수 계측기 및 이를 포함하는 신발깔창
KR20200087585A (ko) 체중측정 및 체형교정용 기능성 체중계
KR20190118265A (ko) 보행 자세 측정 장치 및 보행 자세 측정 방법
KR102036577B1 (ko) 쿠션조절과 스마트기능이 구비된 신발
KR200451526Y1 (ko) 족저압 측정을 위한 인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3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05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