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46979B1 - 압력 매체 유동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밸브의 밸브부 - Google Patents

압력 매체 유동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밸브의 밸브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46979B1
KR101546979B1 KR1020107000919A KR20107000919A KR101546979B1 KR 101546979 B1 KR101546979 B1 KR 101546979B1 KR 1020107000919 A KR1020107000919 A KR 1020107000919A KR 20107000919 A KR20107000919 A KR 20107000919A KR 101546979 B1 KR101546979 B1 KR 1015469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ve
control piston
control
hollow chamber
conn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009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49539A (ko
Inventor
존 스톨맨
Original Assignee
섀플러 테크놀로지스 아게 운트 코. 카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섀플러 테크놀로지스 아게 운트 코. 카게 filed Critical 섀플러 테크놀로지스 아게 운트 코. 카게
Publication of KR201000495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495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469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469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1/00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 F16K11/02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with all movable sealing faces moving as one unit
    • F16K11/06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with all movable sealing faces moving as one unit comprising only sliding valves, i.e. sliding closure elements
    • F16K11/065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with all movable sealing faces moving as one unit comprising only sliding valves, i.e. sliding closure elements with linearly sliding closure members
    • F16K11/07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with all movable sealing faces moving as one unit comprising only sliding valves, i.e. sliding closure elements with linearly sliding closure members with cylindrical slides
    • F16K11/0716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with all movable sealing faces moving as one unit comprising only sliding valves, i.e. sliding closure elements with linearly sliding closure members with cylindrical slides with fluid passages through the valve memb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1/00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 F16K11/02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with all movable sealing faces moving as one unit
    • F16K11/06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with all movable sealing faces moving as one unit comprising only sliding valves, i.e. sliding closure elements
    • F16K11/065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with all movable sealing faces moving as one unit comprising only sliding valves, i.e. sliding closure elements with linearly sliding closure members
    • F16K11/07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with all movable sealing faces moving as one unit comprising only sliding valves, i.e. sliding closure elements with linearly sliding closure members with cylindrical slides
    • F16K11/0708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with all movable sealing faces moving as one unit comprising only sliding valves, i.e. sliding closure elements with linearly sliding closure members with cylindrical slides comprising means to avoid jamming of the slide or means to modify the flow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LCYCLICALLY OPERATING VALVES FOR MACHINES OR ENGINES
    • F01L1/00Valve-gear or valve arrangements, e.g. lift-valve gear
    • F01L1/34Valve-gear or valve arrangements, e.g. lift-valve gear characterised by the provision of means for changing the timing of the valves without changing the duration of opening and without affecting the magnitude of the valve lift
    • F01L1/344Valve-gear or valve arrangements, e.g. lift-valve gear characterised by the provision of means for changing the timing of the valves without changing the duration of opening and without affecting the magnitude of the valve lift changing the angular relationship between crankshaft and camshaft, e.g. using helicoidal gear
    • F01L1/3442Valve-gear or valve arrangements, e.g. lift-valve gear characterised by the provision of means for changing the timing of the valves without changing the duration of opening and without affecting the magnitude of the valve lift changing the angular relationship between crankshaft and camshaft, e.g. using helicoidal gear using hydraulic chambers with variable volume to transmit the rotating for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LCYCLICALLY OPERATING VALVES FOR MACHINES OR ENGINES
    • F01L1/00Valve-gear or valve arrangements, e.g. lift-valve gear
    • F01L1/34Valve-gear or valve arrangements, e.g. lift-valve gear characterised by the provision of means for changing the timing of the valves without changing the duration of opening and without affecting the magnitude of the valve lift
    • F01L1/344Valve-gear or valve arrangements, e.g. lift-valve gear characterised by the provision of means for changing the timing of the valves without changing the duration of opening and without affecting the magnitude of the valve lift changing the angular relationship between crankshaft and camshaft, e.g. using helicoidal gear
    • F01L1/3442Valve-gear or valve arrangements, e.g. lift-valve gear characterised by the provision of means for changing the timing of the valves without changing the duration of opening and without affecting the magnitude of the valve lift changing the angular relationship between crankshaft and camshaft, e.g. using helicoidal gear using hydraulic chambers with variable volume to transmit the rotating force
    • F01L2001/34423Details relating to the hydraulic feeding circuit
    • F01L2001/34426Oil control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LCYCLICALLY OPERATING VALVES FOR MACHINES OR ENGINES
    • F01L1/00Valve-gear or valve arrangements, e.g. lift-valve gear
    • F01L1/34Valve-gear or valve arrangements, e.g. lift-valve gear characterised by the provision of means for changing the timing of the valves without changing the duration of opening and without affecting the magnitude of the valve lift
    • F01L1/344Valve-gear or valve arrangements, e.g. lift-valve gear characterised by the provision of means for changing the timing of the valves without changing the duration of opening and without affecting the magnitude of the valve lift changing the angular relationship between crankshaft and camshaft, e.g. using helicoidal gear
    • F01L1/3442Valve-gear or valve arrangements, e.g. lift-valve gear characterised by the provision of means for changing the timing of the valves without changing the duration of opening and without affecting the magnitude of the valve lift changing the angular relationship between crankshaft and camshaft, e.g. using helicoidal gear using hydraulic chambers with variable volume to transmit the rotating force
    • F01L2001/34423Details relating to the hydraulic feeding circuit
    • F01L2001/34426Oil control valves
    • F01L2001/3443Solenoid driven oil control valv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37/00Fluid handling
    • Y10T137/8593Systems
    • Y10T137/86493Multi-way valve unit
    • Y10T137/86574Supply and exhaust
    • Y10T137/8667Reciprocating valve
    • Y10T137/86694Piston valve
    • Y10T137/86702With internal flow passa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gnetically Actuated Valves (AREA)
  • Valve Device For Special Equipments (AREA)
  • Fluid-Driven Val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압력 매체 유동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밸브의 밸브부에 관한 것이며, 상기 밸브부는 축방향으로 연장된 제1 실린더 자켓 섹션(35) 및 축방향에 대해 수직으로 연장된 제1 실린더 베이스 섹션을 구비한 실린더형 밸브 하우징(2)을 포함하고 제1 실린더 자켓 섹션과 제1 실린더 베이스 섹션은 한쪽 측면이 개방된 밸브 하우징 중공 챔버(4)를 제한하며, 이 경우 제1 실린더 자켓 섹션에는 제1 작동 연결부(A)와, 제2 작동 연결부(B)와, 압력 연결부(P)가 제공되고 이들은 각각 밸브 하우징 중공 챔버 내로 통하며, 상기 밸브부는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밸브 하우징 중공 챔버에 수용된 실린더형 제어 피스톤(3)을 포함하고, 제어 피스톤은 축방향으로 연장된 제2 실린더 자켓 섹션 및 축방향에 대해 수직으로 연장된 제2 실린더 베이스 섹션을 구비하며, 제2 실린더 자켓 섹션과 제2 실린더 베이스 섹션은 한쪽 측면이 개방된 제어 피스톤 중공 챔버를 제한하고, 이 경우 제2 실린더 자켓 섹션에는 제어 피스톤 중공 챔버 내로 통하는 반경 방향 배출 연결부(T)가 제2 실린더 베이스 섹션에 인접하게 제공되며, 제어 피스톤은 제어 피스톤의 축방향 이동에 의해 작동 연결부들이 선택적으로 압력 연결부 및 배출 연결부와 유체 안내식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밸브부는 제어 피스톤의 배출 연결부가 하나 이상의 경사 개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경사 개구의 벽 방향은 축방향에 대해 90°보다 작은 각을 취한다.

Description

압력 매체 유동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밸브의 밸브부{VALVE PART FOR A CONTROL VALVE FOR CONTROL OF PRESSURE MEDIUM FLOWS}
본 발명은 제어 밸브의 기술적 분야에 대한 것으로, 그 유형에 따르면 액추에이터에 의해 작동되며 청구범위 제1항의 전제부에 따라 압력 매체 유동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밸브의 밸브부에 관한 것이다.
내연 기관에서 가스 교환 밸브는 크랭크 샤프트에 의해 회전하는 캠 샤프트의 캠에 의해 작동하며, 가스 교환 밸브의 제어 시간은 캠의 배치 및 형태에 의해 목표한대로 정해질 수 있다. 캠 샤프트와 크랭크 샤프트 사이의 상대 회전 위치에 의해 사전 설정된 가스 교환 밸브의 제어 시간이 내연 기관의 작동중 내연 기관의 회전수 또는 부하와 같은 현재 작동 상태에 따라 영향을 받는 것이 열역학적 프로세스의 측면에서 바람직한 것으로 입증되었다. 캠 샤프트와 크랭크 샤프트 사이의 상대 회전 위치를 변동시키고 고정하기 위한, 일반적으로 "캠 샤프트 조절기"로 불리우는 장치의 사용은 충분히 공지되어 있다.
캠 샤프트 조절기는 통상적으로 구동 휠에 의해 크랭크 샤프트에 회전 불가능하게 연결된 구동부와, 캠 샤프트에 고정된 피동부와, 구동부와 피동부 사이에 연결되며 구동부로부터 피동부로 토크를 전달해서 구동부와 피동부 사이의 상대 회전 위치가 고정되고 조절될 수 있도록 하는 예컨대 유압 액추에이터를 포함한다.
유압 캠 샤프트 조절기들은 통상적으로 축방향 피스톤 조절기 또는 회전 피스톤 조절기로서 형성된다. 축방향 피스톤 조절기의 경우 구동부는 헬리컬 기어에 의해 피스톤에 맞물리며 피스톤은 헬리컬 기어에 의해 피동부에 맞물린다. 구동부와 피동부 사이에는 피스톤에 의해 2개의 압력 챔버로 분할되는 압력실이 형성된다. 회전 피스톤 조절기의 경우 외부 회전자("고정자")의 형태로 형성된 구동부와 내부 회전자("회전자")의 형태로 형성된 피동부는 동심으로, 서로 간에 회전 조절 가능하게 배치된다. 고정자와 회전자 사이의 반경 방향 사이 공간에는 압력실이 형성된다. 상기 각각의 압력실에서 회전자에 연결된 베인이 연장되므로 각각의 압력실은 2개의 압력 챔버로 분할된다. 해당 압력실의 압력 챔버에 의도한 대로 압력이 제공됨으로써, 즉 해당 압력실의 압력 챔버 쌍에 의해 압력차가 형성됨으로써 피동부에 반대되게 구동부가 선회할 수 있으므로 캠 샤프트가 회전하고 그 결과 캠 샤프트와 크랭크 샤프트 사이의 상대 회전 위치가 변동한다. 다른 한편으로 상대 회전 위치는 압력실의 2개의 압력 챔버들에 상응하게 동일한 압력이 제공됨으로써 유지될 수 있다.
유압 캠 샤프트 조절기는 개별 압력 챔버로의 또는 개별 압력 챔버로부터의 압력 매체의 유입 및 배출을 검출된 내연 기관의 특성 데이터를 기초로 제어하는 제어 유닛에 의해 제어된다. 압력 매체 유동은 제어 유닛에 의해 제어된 제어 밸브(비례 밸브)에 의해 조절된다.
캠 샤프트 조절기를 위한 압력 매체 유동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밸브는 그러한 유형의 밸브로서 충분히 공지되어 있으며 예컨대 출원인의 유럽 특허 출원 제1 596 041 A1호와 독일 공개 공보 제102 39 207 A1호에 설명되어 있다. 제어 밸브는 액추에이터와, 통상적으로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며 태핏을 구비한 아마추어 및 코일 권선이 중공 챔버 내에 배치된 중공 실린더형 자기 하우징을 구비한 전자석과,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제어 피스톤이 중공 챔버 내에 수용된 중공 실린더형 밸브 하우징을 구비한 유압 밸브부를 실질적인 부품들로서 포함한다. 아마추어에 전류가 공급된 경우 밸브부의 제어 피스톤 상에 태핏이 작용하며, 이로써 제어 피스톤은 압력 매체 유동을 조절하기 위해 압축 스프링의 압축력에 반대되게 축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통상적인 구성 방식에서 밸브 하우징의 외주연에는 축방향으로 이격되어 있는 복수의 환형 그루브가 제공되며, 밸브 하우징의 중공 챔버 내로 통하면서 압력 연결부와 작동 연결부로서 사용되는 반경 방향 보어들이 각각 상기 환형 그루브 내에 형성된다. 제어 피스톤은 한쪽 측면이 개방된 중공 챔버를 구비한 중공 피스톤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으며 중공 챔버의 개구는 배출 연결부로서 사용된다. 제어 피스톤의 중공 챔버 개구가 태핏 반대편 단부에 위치하면, 중공 챔버 개구는 축방향 개구로서 구성될 수 있다. 그러나 제어 피스톤의 중공 챔버 개구가 태핏 쪽 단부에 위치하면, 태핏이 충분한 작업면을 제어 피스톤에 제공하도록 중공 챔버 개구는 반경 방향 개구로서 구성되어야 한다. 상기 유형의 밸브부의 예시적 구조는 도 4에 도시되어 있다.
따라서 전체적으로 도면 부호 100으로 표시된 전자기 제어 밸브의 밸브부는 중공 실린더형 밸브 하우징(101)을 포함하며, 밸브 하우징은 축방향 중공 챔버 개구(121)를 구비한 밸브 하우징 중공 챔버(103)를 둘러싼다. 제어 피스톤(102)은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밸브 하우징 중공 챔버(103)에 수용된다. 도 4에서 제어 피스톤(102)의 좌측 정면(105)에는 부분적으로만 도시된 태핏(104)이 작용하며, 태핏은 도 4에 도시되지 않은 전자석의 아마추어에 단단히 고정된다. 아마추어에 전류가 공급되면, 태핏은 축방향으로 밸브부(100)를 향해 이동하고 압축 스프링(106)의 스프링력에 반대되게 제어 피스톤(102)을 이동시킨다. 압축 스프링(106)의 하나의 단부는 태핏 반대편 제어 피스톤(102)의 단부에 접하며 이를 위해 제1 축방향 환형 스텝(107) 내에 수용된다. 압축 스프링(106)의 다른 단부는 축방향에 대해 수직으로 방향 설정된 밸브 하우징 중공 챔버(103)의 제2 축방향 환형 스텝(108)의 베이스면(109)에 지지된다.
밸브 하우징(101)의 외주연에는 축방향으로 이격된 3개의 환형 그루브들 즉, 제1 환형 그루브(124), 제2 환형 그루브(125) 및 제3 환형 그루브(126)가 제공된다. 환형 그루브들에는 제1 반경 방향 보어(110), 제2 반경 방향 보어(111) 또는 제3 반경 방향 보어(112)가 원주 둘레로 균일하게 배분되게 형성되고 반경 방향 보어들은 각각 밸브 하우징 중공 챔버(103) 내로 통한다. 도시된 축방향 섹션에서 환형 그루브는 반경 방향 보어로 바로 이어지므로, 도면 상에서 반경 방향 보어는 환형 그루브와 구별되지 않는다. 화살표로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반경 방향 보어(110)를 갖는 제1 환형 그루브(124)는 제1 작동 연결부(A)로서, 제2 반경 방향 보어(111)를 갖는 제2 환형 그루브(125)는 압력 연결부(P)로서, 제3 반경 방향 보어(112)를 갖는 제3 환형 그루브(126)는 제2 작동 연결부(B)로서 사용된다.
제어 피스톤(102)은 중공 피스톤의 형태로 형성되며, 제어 피스톤 중공 챔버(118)는 밸브 하우징(101)의 정면(109) 쪽으로 개방된 블라인드 보어로 형성된다. 제어 피스톤(102)의 외주연에는 3개의 환형 그루브들 즉, 제4 환형 그루브(114), 제5 환형 그루브(115) 및 제4 환형 그루브와 제5 환형 그루브 사이에 위치한 제6 환형 그루브(113)가 형성된다. 제4 환형 그루브(114)에는 원주 둘레에 균일하게 배분된 제4 반경 방향 보어(116)가, 제5 환형 그루브(115)에는 원주 둘레에 균일하게 배분된 제5 반경 방향 보어(117)가 제공되며 반경 방향 보어들은 각각 제어 피스톤 중공 챔버(118) 내로 통한다. 또한 제어 피스톤(102)의 태핏 측 단부 섹션에는 원주 둘레에 배분되게 배치된 제6 반경 방향 보어(119)가 제공되며, 이는 이중으로 스텝화되고 밸브 하우징(101)의 중공 챔버 개구(121) 내로 통하는 제3 축방향 환형 스텝(120)에 제어 피스톤 중공 챔버(118)를 유체 안내식으로 연결한다. 중공 챔버 개구(121)는 배출 연결부(T)로서 사용된다.
제6 환형 그루브(113)에 인접하게 제1 환형 랜드(122) 및 제2 환형 랜드(123)가 위치하며, 환형 랜드의 원주면은 제어 피스톤(102)의 축방향 이동 시 제1 및 제3 반경 방향 보어(110, 112)를 오버랩하거나 개방할 수 있도록 형성되므로, 개구 횡단면의 변동에 의해 압력 매체의 유량이 조절될 수 있다.
이로써 제어 피스톤(102)의 축방향 위치에 따라 제1 작동 연결부(A)와 제2 작동 연결부(B)는 선택적으로 압력 연결부(P) 또는 탱크 연결부(T)에 유체 안내식으로 연결될 수 있다. 도 4에는 제1 작동 연결부(A)가 탱크 연결부(T)에 연결된 반면, 제2 작동 연결부(B)는 압력 연결부(P)에 연결된 상황이 도시된다. (파선의 화살표로 도시된 바와 같이), 압력 매체가 제어 피스톤 중공 챔버(118) 내로 유입되면, 반경 방향 내부를 향한 압력 매체 유동은 제어 피스톤 중공 챔버(118)의 태핏 측 단부를 향한 축방향 압력 매체 유동으로 편향되며, 축방향 압력 매체 유동은 실질적으로 제어 피스톤 중공 챔버(19)의 중앙으로 유동한다. 후속해서 축방향 압력 매체 유동은 반경 방향 외부를 향한 압력 매체 유동으로 편향되어 배출 연결부(T) 내로 배출된다. 이 경우 축방향 압력 매체 유동의 편향에 의해 제어 피스톤 중공 챔버(118)의 정면에 동적 압력이 형성되며, 동적 압력은 압축 스프링(106)의 스프링력과 동일한 (도 4에서 좌측으로) 방향으로 제어 피스톤(102)에 하중을 가한다. 또한 축방향 압력 매체 유동의 편향 시 유동 와류가 발생한다. 그 결과 이러한 작용은 무엇보다 제어 피스톤(102)의 중앙에서 압축력의 불균형을 초래하며 이는 제어 피스톤(102)의 소정의 축방향 이동에 대해 바람직하지 못한 힘 곡선을 형성한다. 더욱이 전자석에 의해 작동하는 태핏(104)은 보다 높은 저항에 대항해서 제어 피스톤(102)을 이동시켜야 하므로, 이를 위해 보다 큰 세기의 전류가 요구되는 경우 증가한 열 발생을 견뎌내도록 전자석은 충분히 견고하게 구성되어야 한다.
이에 반해 본 발명의 목적은, 축방향 압력 매체 유동의 편향에 수반되는 앞서 언급한 단점들을 방지할 수 있는, 압력 매체 유동을 조절하기 위한 전자기 제어 밸브의 밸브부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 및 또 다른 목적은 본 발명의 제안에 따라 독립항의 특징을 갖는, 특히 내연 기관의 유압 캠 샤프트 조절기를 위해 압력 매체 유동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밸브의 밸브부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은 종속항들의 특징부에 기재된다.
본 발명에 따라 특히 유압 캠 샤프트 조절기의 압력 매체 유동을 제어하기 위해 사용되는 압력 매체 유동 제어용 제어 밸브(유압 밸브)의 밸브부가 제시된다.
상기 밸브부는 (밸브 종방향 또는 실린더 축에 대해) 축방향으로 연장된 제1 실린더 자켓 섹션을 구비한 (중공) 실린더형 밸브 하우징을 포함한다. 제1 실린더 자켓 섹션은 밸브 하우징 중공 챔버를 포함한다. 밸브 하우징은 축방향에 대해 수직으로 연장된 제1 실린더 베이스 섹션을 추가로 포함한다. 상기 실시예에서 제1 실린더 자켓 섹션과 제1 실린더 베이스 섹션은 한쪽 측면이 개방된 밸브 하우징 중공 챔버를 공통으로 제한한다. 제1 실린더 자켓 섹션에는 예컨대 반경 방향 개구가 형성되어 있는 환형 그루브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는 (반경 방향) 제1 작동 연결부(A)가 제공되며 반경 방향 개구는 밸브 하우징 중공 챔버 내로 통한다. 제1 작동 연결부(A)는 예컨대 유압 캠 샤프트 조절기의 압력실의 2개의 압력 챔버들 중 하나에 연결되도록 제공된다. 제1 실린더 자켓 섹션에는 예컨대 반경 방향 개구가 형성되어 있는 환형 그루브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는 (반경 방향) 제2 작동 연결부(B)가 또한 제공되며 반경 방향 개구는 밸브 하우징 중공 챔버 내로 통한다. 제2 작동 연결부(B)는 예컨대 유압 캠 샤프트 조절기의 압력실의 2개의 압력 챔버들 중 다른 하나에 연결되도록 제공된다. 또한 제1 실린더 자켓 섹션에는 예컨대 반경 방향 개구가 형성되어 있는 환형 그루브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는 (반경 방향) 압력 연결부(P)가 제공되며 반경 방향 개구는 밸브 하우징 중공 챔버 내로 통한다. 압력 연결부(P)는 예컨대 압력 매체 펌프에의 연결을 위해 제공된다. 제1 작동 연결부(A), 제2 작동 연결부(B) 및 압력 연결부(P)는 각각 밸브 하우징 중공 챔버 내로 통한다.
밸브부는, 축방향으로 연장된 제2 실린더 자켓 섹션 및 축방향에 대해 수직으로 연장된 제2 실린더 베이스 섹션을 구비하며 밸브 하우징 중공 챔버에서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수용된 실린더형 제어 피스톤을 또한 포함한다. 제2 실린더 자켓 섹션과 제2 실린더 베이스 섹션은 제어 피스톤 중공 챔버를 공통으로 제한한다. 제어 피스톤 중공 챔버는 예컨대 한쪽 측면이 개방되게 실시될 수 있으나, 연결부들을 제외하고 폐쇄되게 실시될 수도 있다. 제2 실린더 자켓 섹션에는 제어 피스톤 중공 챔버 내로 통하며 압력 매체 탱크에의 연결을 위한 배출 연결부(T)가 제2 실린더 베이스 섹션에 인접하게 제공된다.
제어 피스톤은 2개의 작동 연결부들(A, B)이 제어 피스톤의 축방향 이동에 의해 선택적으로 압력 연결부(P)와 배출 연결부(T)에 유체 안내식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상응하는 제어 섹션을 이용하여 형성된다. 따라서 제1 작동 연결부(A)는 압력 연결부(P)에 유체 안내식으로 연결될 수 있는 반면, 제2 작동 연결부(B)는 배출 연결부(T)에 유체 안내식으로 연결된다. 마찬가지로 제2 작동 연결부(B)는 압력 연결부(P)에 유체 안내식으로 연결될 수 있는 반면, 제1 작동 연결부(A)는 배출 연결부(T)에 유체 안내식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로써 캠 샤프트 조절기의 압력실의 2개의 압력 챔버들 중 하나는 하나의 작동 연결부에 의해 압력 매체 펌프에 연결될 수 있는 반면, 압력실의 다른 하나의 압력 챔버는 다른 하나의 작동 연결부에 의해 배출 연결부 및 후속하는 압력 매체 탱크에 연결되므로 구동부 및 피동부는 유압식으로 회전할 수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제어 피스톤은 2개의 작동 연결부(A, B)를 유압식으로 폐쇄할 수 있으므로, 구동부와 피동부 사이의 상대적 회전 위치는 유압식으로 고정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밸브부는 실질적으로, 제어 피스톤의 제2 실린더 자켓 섹션에 제공된 배출 연결부(T)가 제어 피스톤 중공 챔버 내로 통하는 하나 이상의 경사 개구(예컨대 원형 또는 직사각형 개구 횡단면을 가짐)를 포함하고, 경사 개구의 벽 방향은 축방향에 대해(제2 실린더 베이스 섹션을 향한 축방향에 대해) 90°보다 작은(그리고 0°보다 큰) 각을 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경사 개구의 벽 방향은 축방향에 대해 20°내지 60°의 범위에 있는 각, 예컨대 30°의 각을 취한다.
제어 피스톤의 제2 실린더 베이스 섹션을 향한 축방향으로 압력 매체가 유동하면, 이로써 압력 매체 유동의 동적 압력은 감소하며 와류 발생은 바람직하게 줄어들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밸브부의 특히 바람직한 실시예의 경우 제어 피스톤의 제2 실린더 베이스 섹션에는 제어 피스톤 중공 챔버 내로 돌출되는 유동 안내 구조부(예컨대 원추부 또는 쐐기 형태)가 제공되며 상기 유동 안내 구조부는 유입되는 축방향 압력 매체 유동을 반경 방향 배출 연결부(T)의 하나 이상의 경사 개구 쪽 방향으로 편향시키는 하나 이상의 유동 안내면을 포함한다. 이 경우 하나 이상의 유동 안내면이 제어 피스톤의 배출 연결부(T)의 하나 이상의 경사 개구로 이어지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며, 특히 하나 이상의 유동 안내면과 하나 이상의 경사 개구는 축방향에 대해 동일한 각으로 정렬된다.
압력 매체가 축방향으로 제어 피스톤의 제2 실린더 베이스 섹션 쪽으로 유동하면, 이로써 바람직하게 압력 매체 유동의 동적 압력은 계속 감소하며 와류 발생은 더욱 줄어든다.
본 발명에 따른 밸브부의 특히 바람직한 또 다른 실시예의 경우, 제어 피스톤 중공 챔버는 제어 피스톤의 제2 실린더 베이스 섹션 쪽을 향해 있는 노즐의 형태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형성된다. 노즐은 바람직하게 제어 피스톤의 제2 실린더 베이스 섹션 쪽으로 가늘어진 원뿔대 형태를 갖는다. 노즐은 제어 피스톤의 제2 실린더 자켓 섹션의 내주면에 제어 피스톤 중공 챔버 내로 돌출되는 노즐 구조부가 형성됨으로써 형성된다.
본 발명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밸브부와 특히 전자석 형태의 액추에이터를 포함하는, 특히 내연 기관의 유압 캠 샤프트 조절기를 위한 압력 매체 제어용 제어 밸브도 포함한다. 액추에이터는 예컨대 태핏 형태의 조절 부재를 포함하며, 조절 부재는 압축 스프링의 스프링력에 반대되게 제어 피스톤이 축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밸브부의 제어 피스톤과 상호 작용한다.
또한 본 발명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제어 밸브를 구비한 유압 캠 샤프트 조절기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축방향 압력 매체 유동의 편향 시에 형성되는 동적 압력 및 와류 발생이 줄어드는 장점을 갖는, 압력 매체 유동을 조절하기 위한 전자기 제어 밸브의 밸브부가 제공된다.
이제 본 발명은 실시예를 토대로 더 자세히 설명되며, 첨부된 도면들이 참조된다. 동일하거나 동일하게 작용하는 요소들은 도면에서 동일한 도면 부호로 표시하였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밸브부의 제1 실시예에 상응하는 밸브부의 축방향 단면도이다.
도 2A 내지 도2D는 본 발명에 따른 밸브부의 제2 실시예에 상응하는 제어 피스톤의 사시도 및 복수의 단면도들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밸브부의 제3 실시예에 상응하는 밸브부의 축방향 단면도이다.
도 4는 종래 기술에 공지된 일반적인 전자기 제어 밸브의 밸브부의 축방향 단면도이다.
종래의 일반적인 전자기 제어 밸브의 밸브부가 도시되어 있는 도 4는 명세서 도입부에서 이미 자세히 설명하였으므로 여기서는 부언하지 않는다.
도 1 내지 도 3에는 내연 기관의 캠 샤프트 조절기의 전자기 제어 밸브의 본 발명에 따른 밸브부에 대한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우선 도 1을 보자면, 본 발명에 따른 밸브부의 제1 실시예가 축방향 단면도로 도시된다. 전체적으로 도면 부호 1로 표시된, 특히 내연 기관의 유압 캠 샤프트 조절기의 압력 매체 조절을 위한 전자기 제어 밸브의 밸브부(1)는 축방향[실린더 축(34)에 평행]으로 배치된 제1 실린더 자켓 섹션(35)과 실린더 축(34)에 대해 수직으로 연장된 단부 섹션인 제1 실린더 베이스 섹션(36)을 구비한 실질적으로 중공 실린더형의 밸브 하우징(2)을 포함한다. 제1 실린더 자켓 섹션(35)과 제1 실린더 베이스 섹션(36)은, 한쪽 측면이 개방되며 축방향 중공 챔버 개구(22)를 구비한 밸브 하우징 중공 챔버(4)를 제한한다.
밸브 하우징 중공 챔버(4) 내에는 실질적으로 중공 실린더형의 제어 피스톤(3)이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실린더 축(34)에 대해 동축으로 수용된다. 중공 피스톤 형태로 형성된 제어 피스톤(3)은 축방향[실린더 축(34)에 평행]으로 배치된 제2 실린더 자켓 섹션(37)과 실린더 축(34)에 대해 수직으로 연장된 단부 섹션인 제2 실린더 베이스 섹션(25)을 포함한다. 제2 실린더 자켓 섹션(37)과 제2 실린더 베이스 섹션(25)은 도 1에 자세히 도시되지 않은 축방향 중공 챔버 개구를 밸브 하우징(2)의 제1 실린더 베이스 섹션(36)의 측면 상에 구비한 제어 피스톤 중공 챔버(19)를 제한하며, 상기 제어 피스톤 중공 챔버는 한쪽 측면이 개방되어 있다.
도 1에서 제어 피스톤(3)의 제2 실린더 베이스 섹션(25)의 좌측 정면(6)에는 부분적으로만 도시되어 있는 태핏(5)이 작용하며, 태핏은 도 1에 도시되지 않은 전자석(전자기 액추에이터)의 아마추어에 단단히 고정된다. 아마추어에 전류가 공급되면, 태핏(5)은 축방향으로 밸브부(1)를 향해 이동하고 압축 스프링(7)의 스프링력에 반대되게 제어 피스톤(3)을 축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이를 위해 압축 스프링(7)의 하나의 단부는 태핏 반대편 제어 피스톤(3)의 단부에 접하며, 반경 방향으로 확장된 제어 피스톤(3)의 제1 축방향 환형 스텝(8) 내에 수용된다. 압축 스프링(7)의 다른 단부는 밸브 하우징 중공 챔버(4)의 제2 축방향 환형 스텝(9) 내에 수용되며 축방향(40)에 대해 수직으로 방향 설정된 밸브 하우징(2)의 제1 실린더 베이스 섹션(36)의 베이스면(10)에 지지된다. 본 실시예에서 압축 스프링(7)은 코일 스프링으로서 형성되지만, 적합한 다른 모든 스프링 형태일 수도 있다. 태핏(5)이 전자석에 의해 작동되지 않도록 아마추어에 전류가 공급되지 않으면, 압축 스프링(7)은 제어 피스톤(3)을 복귀시킨다(도 1에서 좌측으로).
밸브 하우징(2)의 제1 실린더 자켓 섹션(35)의 제1 외피면(30)에는 축방향으로 서로 이격된 3개의 순환 형태의 환형 그루브들 즉, 제1 환형 그루브(31), 제2 환형 그루브(32) 및 제3 환형 그루브(33)가 형성된다. 제1 환형 그루브(31)에는 원주 둘레에 균일하게 배분되게 제1 반경 방향 보어(11)가 형성된다. 마찬가지로 제2 환형 그루브(32)에는 원주 둘레에 균일하게 배분되게 제2 반경 방향 보어(12)가 형성되며, 제3 환형 그루브(33)에는 원주 둘레에 균일하게 배분되게 제3 반경 방향 보어(13)가 형성된다. 제1, 제2 및 제3 반경 방향 보어들은 각각 밸브 하우징 중공 챔버(4) 내로 통해야 한다. 도 1에 도시된 축방향 단면도로 볼 때 환형 그루브들은 각각 반경 방향 보어들로 바로 이어지므로, 도면 상에서 환형 그루브들과 반경 방향 보어들 사이는 구별되지 않는다.
화살표로 표시된 바와 같이, 제1 반경 방향 보어(11)를 갖는 제1 환형 그루브(31)는 제1 작동 연결부(A)로서, 제2 반경 방향 보어(12)를 갖는 제2 환형 그루브(32)는 압력 연결부(P)로서, 제3 반경 방향 보어(13)를 갖는 제3 환형 그루브(33)는 제2 작동 연결부(B)로서 사용된다.
제어 피스톤(3)의 제2 실린더 자켓 섹션(37)의 제2 외피면(38)에는 축방향으로 서로 이격된 3개의 순환 형태의 환형 그루브들 즉, 제4 환형 그루브(14), 제5 환형 그루브(15) 및 제4 환형 그루브와 제5 환형 그루브 사이에 위치한 제6 환형 그루브(16)가 형성된다. 제4 환형 그루브(14)에는 원주 둘레에 균일하게 배분되게 제4 반경 방향 보어(17)가 형성되며 이는 각각 제어 피스톤 중공 챔버(19) 내로 통한다. 마찬가지로 제5 환형 그루브(15)에는 원주 둘레에 균일하게 배분되게 제5 반경 방향 보어(18)가 형성되며 이는 각각 제어 피스톤 중공 챔버(19) 내로 통한다. 제6 환형 그루브(16)는 제어 피스톤(3)의 위치에 따라 제1 반경 방향 보어(11)를 제2 반경 방향 보어(12)에 연결하거나 제3 반경 방향 보어(13)를 제2 반경 방향 보어(12)에 연결하기 위한 압력 매체 채널로서 사용된다.
제어 피스톤(3)의 제2 실린더 자켓 섹션(37)에는 제어 피스톤 중공 챔버(19) 내로 통하는 원형의 경사 개구(20)(경사 보어)가 제5 환형 그루브(15)의 태핏 측으로 제어 피스톤(3)의 제2 실린더 베이스 섹션(25)에 인접하게 형성된다. 제어 피스톤 중공 챔버(19)는 경사 개구(20)에 의해 제어 피스톤(3)의 외부측으로 개방되며, 경사 개구(20)는 예컨대 배출 연결부(T)로서 사용된다.
도 1에 도시된 연결부 배치에서 제4, 제5 및 제6 환형 그루브들(14 내지 16)에 의해, 그리고 제4 환형 그루브(14) 내에 형성된 제4 반경 방향 보어(17)와 제5 환형 그루브(15) 내에 형성된 제5 반경 방향 보어(18)에 의해, 제1 작동 연결부(A)와 제2 작동 연결부(B)는 제어 피스톤(3)의 축방향 위치에 따라 선택적으로 압력 연결부(P) 또는 탱크 연결부(T)에 유체 안내식으로 연결되거나 분리될 수 있다. 도 1에는 제1 작동 연결부(A)가 탱크 연결부(T)에, 제2 작동 연결부(B)는 압력 연결부(P)에 유체 안내식으로 연결된 제어 피스톤(3)의 위치가 도시된다. 태핏(5)의 작용에 의해 제어 피스톤(3)이 압축 스프링(7)의 스프링력에 반대되게 축방향으로 더욱 이동하면(도 1에서 우측으로), 제2 작동 연결부(B)는 탱크 연결부(T)에, 제1 작동 연결부(A)는 압력 연결부(P)에 유체 안내식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제어 피스톤(3)은 2개의 작동 연결부들(A, B) 중 어느 것도 압력 연결부(P) 또는 탱크 연결부(T)에 유체 안내식으로 연결되지 않는 중간 위치에 올 수 있다.
특히 밸브 하우징(2) 내에서의 제어 피스톤(3)의 축방향 안내에 사용되는 제1 환형 랜드(23)와 제2 환형 랜드(24)가 제6 환형 그루브(16)에 인접하게 형성된다. 2개의 환형 랜드(23, 24)의 원주면은 제어 피스톤(3)의 축방향 이동 시 제1 반경 방향 보어(11) 또는 제3 반경 방향 보어(13)를 밀봉 방식으로 오버랩하거나 개방할 수 있도록 형성되므로, 개구 횡단면의 변동에 의해 압력 매체(예컨대 오일)의 유량이 조절될 수 있다. 제1 반경 방향보어(11) 또는 제3 반경 방향 보어(13)의 개구 횡단면은 2개의 환형 랜드(23, 24)의 제어 에지들에 의해 즉, 제1 환형 랜드(23)의 태핏 반대편 제1 제어 에지(26)와 태핏 쪽 제2 제어 에지(27)에 의해 또는 제2 환형 랜드(24)의 태핏 반대편 제3 제어 에지(28)와 태핏 쪽 제4 제어 에지(29)에 의해 조정된다.
제어 피스톤(3)의 제2 실린더 자켓 섹션(37)에서 원형의 경사 개구(20)는 실린더 축(34)에 의해 사전 설정된 제어 피스톤(3)의 축방향(40)에 대해 경사지게 연장된다. 더 정확히 표현하자면, 경사 개구(20)를 형성하는 경사 개구 벽(39)의 벽 방향(41)은 축방향(40)에 대해 경사지며, 벽 방향(41)은 축방향(40)에 대해 각(θ)을 취하고 상기 각은 0°보다 크고 90°보다 작다. 도 1의 실시예에서 상기 각(θ)은 태핏(5) 또는 제어 피스톤(3)의 제2 실린더 베이스 섹션(25)을 향한 축방향(40)과 관련하여 도시된다. 각(θ)은 바람직하게 20°와 60°사이의 각 범위에 있으며 상기 실시예의 경우 대략 30°이다.
도 1의 실시예에서 제어 피스톤(3)의 제2 실린더 베이스 섹션(25)은 원추형으로 구성되고, 원추부(42)는 태핏 반대편 제어 피스톤(3)의 측면 쪽으로 제어 피스톤 중공 챔버(19) 내로 돌출된다. 원추부(42)는 축방향 단면도에서 동일 평면으로 그리고 일직선으로 경사 개구(20)로 이어지는 원추면(43)에 의해 제한되며, 이 경우 축방향 단면도에서 경사 개구(20)의 원추면(43)과 벽 방향(41)은 축방향(40)에 대해 동일한 각을 취한다.
제1 작동 연결부(A)가 탱크 연결부(T)에 유체 안내식으로 연결된 도 1에 도시된 제어 피스톤(3)의 위치에서 압력 유체는 제1 반경 방향 보어(11)와 제4 반경 방향 보어(17)에 의해 제어 피스톤 중공 챔버(19) 내로 유입될 수 있다. 반경 방향 내부를 향한 압력 매체 유동은 제2 실린더 베이스 섹션(25)을 향한 축방향 압력 매체 유동으로 편향되며, 축방향 압력 매체 유동은 실질적으로 제어 피스톤 중공 챔버(19)의 중앙으로 유동한다.
축방향 압력 매체 유동은 원추부(42)의 원추면(43)에 도달하며 유동 안내면으로서 작용하는 원추면(43)으로부터 경사 개구(20) 쪽으로 편향되고, 이 경우 동적 압력은 (축방향에 대해 수직인) 종래의 유동 안내면에 비해 바람직하게 감소하고 와류 발생은 줄어들 수 있다.
이제, 캠 샤프트 조절기를 위한 전자기 제어 밸브의 본 발명에 따른 밸브부의 또 다른 실시예들이 도시되어 있는 도 2A 내지 도 2D와 도 3을 언급하기로 한다. 불필요한 반복을 피하기 위해,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밸브부의 제1 실시예와 다른 점만을 각각 설명한다. 그 외의 내용은 앞서 도 1의 실시예에서 실행된 구성을 참조하기로 한다.
우선 도 2A 내지 도 2D를 관찰하면, 전자기 제어 밸브의 본 발명에 따른 밸브부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제어 피스톤의 사시도 및 복수의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2A 내지 도 2D에는 제어 피스톤이 도 1에 도시된 밸브 하우징 내에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수용되는 점은 도시되어 있지 않다.
특히 도 2A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제어 피스톤(3)에는 제5 환형 그루브(15)의 태핏 측으로 제어 피스톤(3)의 제2 실린더 베이스 섹션(25)에 인접하게, 실린더 자켓 섹션(37)의 벽을 관통하는 실질적으로 직사각형인 2개의 경사 개구(44)가 제공된다. 경사 개구(44)는 각각 제어 피스톤 중공 챔버(19) 내로 통하므로, 제어 피스톤 중공 챔버(19)는 제어 피스톤(3)의 외부측에 유체 안내식으로 연결된다. 경사 개구(44)는 배출 연결부(T)로서 사용된다.
도 2의 실시예에서 제어 피스톤(3)의 제2 실린더 베이스 섹션(25)은 쐐기 형태로 구성되며, 쐐기(46)는 태핏 반대편 제어 피스톤(3)의 측면 쪽으로 제어 피스톤 중공 챔버(19) 내로 돌출된다. 쐐기(46)는 각각 경사 개구(44)로 이어지는 2개의 쐐기면(45)을 제어 피스톤 중공 챔버(19)에서 형성하므로, 경사 개구(44)의 태핏 측 벽 섹션은 쐐기면(45)의 부분이다. 경사 개구(44)의 태핏 측 벽 섹션의 벽 방향(47) 또는 쐐기면(45)은 축방향(40)에 대해 경사지게 정렬되고, 이 경우 태핏(5) 쪽 또는 제어 피스톤(3)의 제2 실린더 베이스 섹션(25) 쪽을 향한 축방향(40)에 대해 각(θ)이 제시된다. 각(θ)은 바람직하게 20°내지 60°사이의 각 범위에 있으며 상기 실시예에서 대략 30°이다.
축방향 압력 매체 유동이 쐐기면(45)에 도달하면, 압력 매체 유동은 유동 안내면으로서 작용하는 쐐기면(45)에 의해 경사 개구(44) 쪽으로 편향되며, 이 경우 발생하는 동적 압력은 축방향에 대해 수직인 종래의 유동 안내면에 비해 바람직하게 감소하고 와류 발생은 줄어들 수 있다.
이제 도 3을 관찰하면, 전자기 제어 밸브의 본 발명에 따른 밸브부의 제3 실시예에 상응하는 밸브부의 축방향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3에 도시된 밸브부는, 제2 실린더 베이스 섹션(25) 쪽을 향해 있는 노즐이 제어 피스톤 중공 챔버(19) 내에 형성된다는 점에서 도 1에 도시된 밸브부와 구별된다. 이를 위해 제2 실린더 자켓 섹션(37)의 중공 챔버 측으로 제2 실린더 자켓 섹션(37)의 내주면(51)에는 제어 피스톤 중공 챔버(19)를 축소시키는 노즐 구조부(48)가 순환 형태로 형성된다. 노즐 구조부(48)는 가장 좁은 노즐 직경을 규정하는 노즐 에지(52)의 양측으로 제1 노즐면(49)과 제2 노즐면(50)을 갖는다. 제1 노즐면(49)은 제2 실린더 베이스 섹션(25) 방향으로 노즐 에지(52)까지 제어 피스톤 중공 챔버(19)를 원뿔대형으로 가늘어지게 한다. 제2 노즐면(50)은 축방향 단면도에서 원형의 경사 개구(20)로 직선으로 이어지며, 제2 노즐면(50)과 경사 개구(20)의 벽은 축방향 단면도에서 축방향(40)에 대해 동일한 각을 취한다. 노즐 구조부(48)는 노즐 에지(52)의 가장 좁은 지점에서 제어 피스톤 중공 챔버(19)의 직경을 수치(D1)에서 수치(D2)(D2 < D1)로 축소시킨다.
축방향 압력 매체 유동이 노즐 구조부(48)에 의해 형성된 노즐 내로 유입되면, 노즐 작용에 의해 유속이 증가한다. 가속화된 축방향 압력 매체 유동이 원추부(42)의 원추면(43)에 도달하면, 압력 매체 유동은 유동 안내면으로서 작용하는 원추면(43)과 유동 안내면으로서 작용하는 제2 노즐면(50)에 의해 원형의 경사 개구(20) 쪽으로 편향되며, 이 경우에 발생하는 동적 압력은 축방향에 대해 수직인 종래의 유동 안내면에 비해 바람직하게 감소하고 특히 유속 증가로 인한 와류 발생은 방지될 수 있다.
상기 실시예들에는 전자석을 이용하여 작동하는 태핏(5)에 의해 제어 피스톤(3)이 이동하는 이동 메카니즘이 도시되나, 예컨대 전기 액추에이터와 같이 태핏(5)의 작동을 위한 다른 액추에이터가 동일하게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원추부(42)와 쐐기(46)에 의해 형성된 유동 안내면 대신에, 적합하게 형성된 다른 유동 안내면이 제공될 수 있다.
내연 기관의 캠 샤프트 조절기를 위한 압력 매체 제어에 대한 사용예와 관련해서 밸브부와 해당 제어 밸브를 설명하였지만, 밸브부 또는 제어 밸브는 다른 장치들에서의 압력 매체 유동의 제어에도 동일하게 사용될 수 있다.
1 : 밸브부
2 : 밸브 하우징
3 : 제어 피스톤
4 : 밸브 하우징 중공 챔버
5 : 태핏
6 : 정면
7 : 압축 스프링
8 : 제1 환형 스텝
9 : 제2 환형 스텝
10 : 베이스면
11 : 제1 반경 방향 보어
12 : 제2 반경 방향 보어
13 : 제3 반경 방향 보어
14 : 제4 환형 그루브
15 : 제5 환형 그루브
16 : 제6 환형 그루브
17 : 제4 반경 방향 보어
18 : 제5 반경 방향 보어
19 : 제어 피스톤 중공 챔버
20 : 원형 경사 개구
21 : 제3 환형 스텝
22 : 중공 챔버 개구
23 : 제1 환형 랜드
24 : 제2 환형 랜드
25 : 제2 실린더 베이스 섹션
26 : 제1 제어 에지
27 : 제2 제어 에지
28 : 제3 제어 에지
29 : 제4 제어 에지
30 : 제1 외피면
31 : 제1 환형 그루브
32 : 제2 환형 그루브
33 : 제3 환형 그루브
34 : 실린더 축
35 : 제1 실린더 자켓 섹션
36 : 제1 실린더 베이스 섹션
37 : 제2 실린더 자켓 섹션
38 : 제2 외피면
39 : 경사 개구 벽
40 : 축방향
41 : 벽 방향
42 : 원추부
43 : 원추면
44 : 직사각형 경사 개구
45 : 쐐기면
46 : 쐐기
47 : 벽 방향
48 : 노즐 구조부
49 : 제1 노즐면
50 : 제2 노즐면
51 : 내주면
52 : 노즐 에지
100 : 밸브부
101 : 밸브 하우징
102 : 제어 피스톤
103 : 밸브 하우징 중공 챔버
104 : 태핏
105 : 정면
106 : 압축 스프링
107 : 제1 환형 스텝
108 : 제2 환형 스텝
109 : 베이스면
110 : 제1 반경 방향 보어
111 : 제2 반경 방향 보어
112 : 제3 반경 방향 보어
114 : 제4 환형 그루브
115 : 제5 환형 그루브
116 : 제4 반경 방향 보어
117 : 제5 반경 방향 보어
118 : 제어 피스톤 중공 챔버
119 : 제6 반경 방향 보어
120 : 제3 환형 스텝
121 : 중공 챔버 개구
122 : 제1 환형 랜드
123 : 제2 환형 랜드
124 : 제1 환형 그루브
125 : 제2 환형 그루브
126 : 제3 환형 그루브

Claims (16)

  1. 압력 매체 유동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밸브의 밸브부(1)이며,
    상기 밸브부는 축방향(40)으로 연장되고 밸브 하우징 중공 챔버(4)를 포함하는 제1 실린더 자켓 섹션(35)을 구비한 실린더형 밸브 하우징(2)을 포함하고, 이 경우 제1 실린더 자켓 섹션(35)에는 제1 작동 연결부(A)와, 제2 작동 연결부(B)와, 압력 연결부(P)가 제공되며 상기 연결부들은 각각 밸브 하우징 중공 챔버(4) 내로 통하고,
    상기 밸브부는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밸브 하우징 중공 챔버(4)에 수용된 실린더형 제어 피스톤(3)을 포함하며, 제어 피스톤은 축방향(40)으로 연장된 제2 실린더 자켓 섹션(37) 및 축방향(40)에 대해 수직으로 연장된 제2 실린더 베이스 섹션(25)을 구비하며, 제2 실린더 자켓 섹션과 제2 실린더 베이스 섹션은 제어 피스톤 중공 챔버(19)의 주변부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제한하고, 이 경우 제2 실린더 자켓 섹션(37)에는 제어 피스톤 중공 챔버(19) 내로 통하는 배출 연결부(T)가 제2 실린더 베이스 섹션(25)에 인접하게 제공되며, 제어 피스톤(3)은 제어 피스톤(3)의 축방향 이동에 의해 작동 연결부들(A, B)이 선택적으로 압력 연결부(P) 및 배출 연결부(T)와 유체 안내식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압력 매체 유동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밸브의 밸브부에 있어서,
    제어 피스톤(3)의 배출 연결부(T)는 하나 이상의 경사 개구(20, 44)를 포함하며, 경사 개구의 벽 방향(41, 47)은 축방향(40)에 대해 90°보다 작은 각(θ)을 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 매체 유동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밸브의 밸브부.
  2. 제1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경사 개구(20, 44)의 벽 방향(41, 47)은 축방향(40)에 대해 20°내지 60°의 각 범위에 있는 각(θ)을 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 매체 유동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밸브의 밸브부.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제어 피스톤(3)의 배출 연결부(T)의 하나 이상의 경사 개구(20)는 원형 개구 횡단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 매체 유동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밸브의 밸브부.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제어 피스톤(3)의 배출 연결부(T)의 하나 이상의 경사 개구(44)는 직사각형 개구 횡단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 매체 유동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밸브의 밸브부.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제어 피스톤(3)의 제2 실린더 베이스 섹션(25)에는 제어 피스톤 중공 챔버(19) 내로 돌출되는 유동 안내 구조부(42, 46)가 제공되며, 유동 안내 구조부는 유입되는 압력 매체 유동을 배출 연결부(T)의 하나 이상의 경사 개구(20, 44) 쪽 방향으로 편향시키는 하나 이상의 유동 안내면(43, 45)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 매체 유동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밸브의 밸브부.
  6. 제5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유동 안내면(43, 45)은 제어 피스톤(3)의 배출 연결부(T)의 하나 이상의 경사 개구(20, 44)로 이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 매체 유동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밸브의 밸브부.
  7. 제6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유동 안내면(43, 45)과 하나 이상의 경사 개구(20, 44)는 축방향(40)에 대해 동일한 각으로 정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 매체 유동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밸브의 밸브부.
  8. 제5항에 있어서, 유동 안내 구조부는 원추부(42)의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 매체 유동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밸브의 밸브부.
  9. 제5항에 있어서, 유동 안내 구조부는 쐐기(46)의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 매체 유동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밸브의 밸브부.
  10.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제어 피스톤 중공 챔버(19)는 제어 피스톤(3)의 제2 실린더 베이스 섹션(25) 쪽을 향해 있는 노즐의 형태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 매체 유동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밸브의 밸브부.
  11. 제10항에 있어서, 노즐은 제어 피스톤(3)의 제2 실린더 베이스 섹션(25) 쪽으로 가늘어진 원뿔대 형태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 매체 유동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밸브의 밸브부.
  12. 제10항에 있어서, 제어 피스톤(3)의 제2 실린더 자켓 섹션(37)의 내주면(51)에는 제어 피스톤 중공 챔버(19) 내로 돌출되는 노즐 구조부(48)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 매체 유동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밸브의 밸브부.
  13. 제1항에 있어서, 밸브 하우징(2)은 축방향(40)에 대해 수직으로 연장된 제1 실린더 베이스 섹션(36)을 포함하며, 제1 실린더 베이스 섹션(36)과 제1 실린더 자켓 섹션(35)은 한쪽 측면이 개방된 밸브 하우징 중공 챔버(4)를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 매체 유동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밸브의 밸브부.
  14. 제1항에 있어서, 제2 실린더 자켓 섹션(37)과 제2 실린더 베이스 섹션(25)은 한쪽 측면이 개방된 제어 피스톤 중공 챔버(19)를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 매체 유동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밸브의 밸브부.
  15. 액추에이터와, 액추에이터에 의해 작동하는 제1항 또는 제2항에 따른 밸브부를 포함하는 제어 밸브.
  16. 제15항에 따른 제어 밸브를 구비한 캠 샤프트 조절기.
KR1020107000919A 2007-07-18 2008-05-28 압력 매체 유동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밸브의 밸브부 KR10154697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95048707P 2007-07-18 2007-07-18
US60/950,487 2007-07-1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49539A KR20100049539A (ko) 2010-05-12
KR101546979B1 true KR101546979B1 (ko) 2015-08-24

Family

ID=397370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00919A KR101546979B1 (ko) 2007-07-18 2008-05-28 압력 매체 유동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밸브의 밸브부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8118060B2 (ko)
EP (1) EP2179204B1 (ko)
KR (1) KR101546979B1 (ko)
CN (1) CN101755154B (ko)
AT (1) ATE534857T1 (ko)
WO (1) WO200901033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311686A1 (en) * 2009-10-15 2011-04-20 Hyva International B.V. Tip valve
DE102010015152A1 (de) * 2010-04-16 2011-10-20 Knorr-Bremse Systeme für Schienenfahrzeuge GmbH Regelventil für einen öleingespritzten Schraubenverdichter
US8567758B2 (en) * 2010-08-18 2013-10-29 Agco Corporation Double solenoid valve
DE102011080667A1 (de) 2011-08-09 2013-02-14 Robert Bosch Gmbh Schieberventil mit einem Ventilschieber
US20150204167A1 (en) * 2012-03-13 2015-07-23 Fmc Technologies, Inc. Method and device for interfacing with subsea production equipment
DE102012214247A1 (de) * 2012-08-10 2014-02-13 Robert Bosch Gmbh Schieberventil mit einem Gehäuse und einem Ventilschieber mit mindestens einer schieberseitigen Steuerkante
US9328835B2 (en) * 2012-10-23 2016-05-03 Hamilton Sundstrand Corporation High pressure relief valve piston
ITMO20120277A1 (it) * 2012-11-14 2014-05-15 Tecnord S R L Valvola proporzionale a controllo elettromeccanico
DE102012224019A1 (de) * 2012-12-20 2014-06-26 Robert Bosch Gmbh Schieberventil, insbesondere zur Steuerung eines Kraftfahrzeug-Automatikgetriebes
US9657749B2 (en) 2013-03-11 2017-05-23 Hydraforce, Inc. Hydraulic suspension for vehicle and multi-functional proportional control valve for the same
DE102013104575B4 (de) * 2013-05-03 2018-03-08 Hilite Germany Gmbh Hydraulikventil und Schwenkmotorversteller
TWI535960B (zh) * 2013-07-01 2016-06-01 Winner Hydraulics Corp Regulator valve
DE102013114595A1 (de) * 2013-12-20 2015-06-25 Gea Farm Technologies Gmbh Sicherheitsventil
WO2016128642A1 (fr) * 2015-02-09 2016-08-18 Peugeot Citroen Automobiles Sa Ensemble moteur turbocompresse a deux conduits d'echappement avec ligne de recirculation
FR3032487B1 (fr) * 2015-02-09 2017-02-17 Peugeot Citroen Automobiles Sa Ensemble moteur turbocompresse a deux conduits d’echappement avec ligne de recirculation et dispositif de regulation
DE102016119416A1 (de) * 2016-10-12 2018-04-12 Linde Hydraulics Gmbh & Co. Kg Druckbegrenzungsventil eines hydrostatischen Antriebssystems
CN108223820B (zh) * 2017-06-12 2024-03-15 襄阳航力机电技术发展有限公司 一种动作阀阀杆
JP7308642B2 (ja) * 2019-03-29 2023-07-14 日立Astemo株式会社 流路切替弁
CN110486480B (zh) * 2019-09-10 2024-04-26 浙江大成模具有限公司 一种气阀装置
US11852051B2 (en) * 2020-06-14 2023-12-26 Schaeffler Technologies AG & Co. KG Recirculating hydraulic fluid control valve
CN111946861B (zh) * 2020-09-27 2022-03-08 兰州理工大学 一种液压伺服阀中的抗冲蚀功率级滑阀
US11873846B2 (en) * 2022-05-19 2024-01-16 Hamilton Sundstrand Corporation Pressure regulating valv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189007A (en) 1986-04-08 1987-10-14 Moog Inc A liquid flow control valve
US6860291B2 (en) 2001-04-17 2005-03-01 Bucher Hydraulics Gmbh Directional control valve comprising an internal pressure regulator
EP1596041A2 (de) 2004-05-14 2005-11-16 INA-Schaeffler KG Steuerventil für eine Vorrichtung zur Veränderung der Steuerzeiten einer Brennkraftmaschine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964023A (en) * 1957-07-30 1960-12-13 Pneumo Dynamics Corp Flow force compensated valve
DE2557235C3 (de) * 1975-12-19 1979-04-19 O & K Orenstein & Koppel Ag, 1000 Berlin Schieberkolben für hydraulische Mehrwegeventile
US4155535A (en) * 1977-03-09 1979-05-22 The Johns Hopkins University Low axial force servo valve spool
US4457341A (en) * 1982-03-04 1984-07-03 Vickers, Incorporated Variable pressure drop proportional motor controlled hydraulic directional valve
JP3666072B2 (ja) * 1995-09-13 2005-06-29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切替弁
CN2277013Y (zh) * 1996-05-14 1998-03-25 宋秀峰 气体管线自动关闭阀
DE10239207A1 (de) 2002-08-27 2004-03-11 Ina-Schaeffler Kg Elektromagnetisches Hydraulikventil, insbesondere Proportionalventil zur Steuerung einer Vorrichtung zur Drehwinkelverstellung einer Nockenwelle gegenüber einer Kurbelwelle einer Brennkraftmaschine
CN1189671C (zh) * 2002-12-20 2005-02-16 株洲南方阀门制造有限公司 液控换向阀
DE10346443A1 (de) * 2003-10-07 2005-05-04 Daimler Chrysler Ag Hydraulischer Nockenwellenversteller für eine Brennkraftmaschin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189007A (en) 1986-04-08 1987-10-14 Moog Inc A liquid flow control valve
US6860291B2 (en) 2001-04-17 2005-03-01 Bucher Hydraulics Gmbh Directional control valve comprising an internal pressure regulator
EP1596041A2 (de) 2004-05-14 2005-11-16 INA-Schaeffler KG Steuerventil für eine Vorrichtung zur Veränderung der Steuerzeiten einer Brennkraftmaschin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755154A (zh) 2010-06-23
EP2179204A1 (de) 2010-04-28
US8118060B2 (en) 2012-02-21
WO2009010331A1 (de) 2009-01-22
KR20100049539A (ko) 2010-05-12
ATE534857T1 (de) 2011-12-15
EP2179204B1 (de) 2011-11-23
CN101755154B (zh) 2012-06-27
US20090020718A1 (en) 2009-01-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46979B1 (ko) 압력 매체 유동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밸브의 밸브부
US20090020178A1 (en) Valve part of a hydraulic control valve
US8662040B2 (en) Oscillating-motor camshaft adjuster having a hydraulic valve
KR101591554B1 (ko) 압력 매체 흐름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밸브
JP6369967B2 (ja) 揺動形アクチュエータのための中央バルブ
US8757114B2 (en) Control valve for controlling pressure-medium flows comprising an integrated check valve
US20180363514A1 (en) Oil control valve to control a cam phaser with a spool positioned by external actuator
US20070169730A1 (en) Camshaft adjuster
US11834971B2 (en) Hydraulic oil control valve and valve timing adjusting device
CN201763711U (zh) 液压比例控制阀
JP2020159203A (ja) 作動油制御弁
WO2019044759A1 (ja) 電磁弁
EP3283738B1 (en) Actuator for axial displacement of an object
KR20040101349A (ko) 전자석 유압밸브로서, 특히 내연기관 내 캠 샤프트의회전각도 조정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비례밸브 및 그 생산방법
US10760454B2 (en) Oil control valve to control a cam phaser with a spool positioned by an external actuator and having a groove
US8776744B2 (en) Camshaft adjusting assembly
US9909466B2 (en) Central valve for a camshaft adjuster having central locking
JP5911269B2 (ja) 特に自動車用オートマチックトランスミッションのクラッチを制御するための圧力制御弁
WO2016167716A1 (en) Pneumatic actuator for an engine valve
EP3464839B1 (en) Variable cam timing phaser having two central control valves
US20210340888A1 (en) Pressurized oil reservoir for camshaft phaser
JP2022085243A (ja) ノーマルオープン型電磁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