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46671B1 - 휴대단말기용 단말기커버 - Google Patents

휴대단말기용 단말기커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46671B1
KR101546671B1 KR1020140026074A KR20140026074A KR101546671B1 KR 101546671 B1 KR101546671 B1 KR 101546671B1 KR 1020140026074 A KR1020140026074 A KR 1020140026074A KR 20140026074 A KR20140026074 A KR 20140026074A KR 101546671 B1 KR101546671 B1 KR 1015466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tton
hole
side wall
presser plate
pres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260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교학
김원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노웍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노웍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노웍스
Priority to KR10201400260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4667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466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466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2011/002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for portable handheld communication devices, e.g. mobile phone, pager, beeper, PDA, smart phon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C

Landscapes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 디스플레이면이 노출되도록 바닥본체 및 테두리 측벽으로 이루어진 커버체(10)와;
커버체의 길이 측벽에 지지되는 음량버튼 누름구(20)와;
케이스의 폭 측벽(14)에 지지되는 온오프버튼 누름구(30)로 이루어지며; 음량버튼 누름구(20)는 길이 측벽의 외부 버튼공으로 노출되는 증가버튼(21) 및 감소버튼(22), 이들을 일체로 지지하며 증가버튼(21) 및 감소버튼(22)의 노출 직경보다 큰 폭을 가지는 버튼누름판(23)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버튼누름판(23)은 길이 측벽의 누름판 끼움공에 끼움 고정되도록 구성하고; 상기, 길이 측벽의 음량버튼 누름구 대응 내벽부위는 버튼누름판의 테두리 사이의 크기보다 작으나 버튼누름판이 일부 접혀 통과 가능한 내부 버튼공(12-3)을 형성하고; 대응 내부 버튼공과 외부 버튼공 사이의 두께부에는 상기 버튼누름판(23)을 끼움 고정하는 누름판 끼움공(12-22)을 형성하고; 음량버튼누름구(20)의 버튼누름판(23) 내면에는 음량버튼을 눌러주는 내부누름구(24)를 형성하며; 상기, 내부 버튼공(12-3)의 장공 직경이 외측 외부 버튼공(12-1)(12-2) 사이의 거리보다 작도록 구성하고, 내부 버튼공(12-3)을 이루는 버튼누름판 지지턱(12-4)은 증가버튼(21) 및 감소버튼(22) 누름 작용시 지지력을 제공하도록 한다.

Description

휴대단말기용 단말기커버{Cover with push buttons for communication terminals}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용 단말기커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스마트폰 등을 비롯한 비교적 고가의 휴대 단말기들은 외부의 충격이나 이물질의 침투로부터 휴대단말기를 안전하게 보호하기 위해 보호 케이스(혹은, '보호 커버'라고도 함)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보호 케이스는 휴대 단말기의 보호 기능뿐만 아니라 미관을 개선하거나, 사용자의 편의를 도모하는 방향으로 진화를 거듭하고 있으며, 근래에는 미려하고 인체 공학적인 디자인으로 사용자에게 우수한 편리성을 제공하면서도 견고하고 튼튼한 제품들이 출시되고 있다.
보호 케이스는 휴대 단말기를 가죽 또는 직물 등으로 제작된 수납공간에 수납하여 보관하는 파우치형과, 가죽을 재단하여 그 내부에 휴대 단말기를 수납하는 공간을 형성하고 덮개를 통해 휴대 단말기의 전면을 개폐하는 지갑형과, 실리콘, 플라스틱, 열가소성 폴리우레탄(Thermoplastic Polyurethane, TPU),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수지 등과 같이 연성이 우수한 재질로 이루어져 내부 수납공간에 휴대 단말기를 끼워 탄력적으로 긴밀하게 밀착시켜 보관하는 케이스형 등이 제작되고 있다.
하지만, 파우치형, 지갑형, 케이스형 보호 케이스와 같이 휴대 단말기의 전면을 제외한 후면과 측면 전체를 감싸는 수납형 형태의 케이스들은 휴대 단말기의 로고와 고유한 디자인을 가리는 문제가 있었다. 일례로 애플사의 아이폰(i-Phone)은 후면에 로고를 도드라지게 표시함과 동시에 그 고유의 디자인을 살리고 있는데, 이러한 스마트폰에 수납함 형태의 케이스를 사용하면 고유한 디자인 및 로고를 가리게 된다.
이에 따라, 근래에는 휴대 단말기의 고유한 디자인과 로고가 가리지 않도록 휴대 단말기의 전면뿐만 아니라 후면을 개방하는 범퍼 케이스가 제안되었다. 범퍼 케이스는 휴대 단말기의 전면과 후면이 개방된 프레임 구조로 이루어져 있으며, 실리콘 등과 같은 연성 재질로 이루어져 탄력적으로 휴대 단말기의 측부를 감싸 결합한다.
범퍼 케이스는 전술한 바와 같이 통상 실리콘 등과 같은 합성수지로 이루어지고, 휴대 단말기의 고유한 디자인을 훼손시키지 않으면서 일체감을 강화시키기 위해 비교적 얇은 두께로 제작될 필요가 있지만, 그 재질의 특성상 얇은 두께로 제작이 어렵고, 두께가 얇아지는 경우 재질이 갖는 탄성이나 내구성의 한계로 인하여 쉽게 변형이 일어나 쉽게 파손되거나, 휴대 단말기가 탈리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실리콘 등과 같은 합성수지 대신에 범퍼 케이스를 금속으로 제작하는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다. 금속은 사출 성형을 적용하는 실리콘이나 플라스틱 재질에 비해서는 두께를 얇게 하기가 비교적 용이하고, 얇은 두께로도 충분한 강성을 가지기 때문에 보호 케이스의 재질로 적합한 측면이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금속 재질의 범퍼 케이스는 실리콘, 플라스틱 등의 재질에 비해 휴대 단말기에 결합시키기가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특히, 금속 강도가 지나치게 강할 경우 휴대 단말기에 범퍼 케이스를 결합시키는 과정에서 휴대단말기의 표면이 손상될 우려가 있기 때문에 금속 재질의 범퍼 케이스는 금속 재질이 갖는 뛰어난 강도에도 불구하고 그 활용도가 실리콘, 플라스틱 재질에 비해 낮은 것이 현실이었다.
이에,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122400호(등록일: 2012. 02. 23)와, 대한민국 등록특허등록 제 10-1168008호(등록일: 2012. 07. 17) 등에서는 휴대 단말기의 측부에 쉽게 결합될 수 있는 범퍼 케이스를 제안하였다. 이들 선행 등록특허들에서는 '디귿자'형의 단일 프레임을 제작한 후 이들을 상호 결합하여 일체화하여 결합하는 것으로서, 휴대 단말기의 측부에 쉽게 결합할 수 있는 이점을 제공할 수 있지만, 구조가 복잡하고, 반복적인 결합과정(착탈과정)에 의해 쉽게 파손되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 20-0465497호(등록일: 2013. 02. 18)에는 측면 보강 프레임과 휴대 단말기 사이에 끼워지는 끼움 보강 프레임을 구비하여 휴대 단말기에 전달되는 충격을 흡수하는 범퍼 케이스를 제안하였으나, 이러한 선행 등록실용에서는 측면 보강 프레임과 끼움 보강 프레임을 나사를 이용하여 상호 체결하는 방식으로 휴대 단말기에 결합되는 구조로서, 나사를 조이거나 푸는 방법으로 휴대 단말기에 결합되거나 분리하기 때문에 사용이 다소 불편할 뿐만 아니라, 나사의 분실 위험이 높고, 나사를 분실하는 경우 더 이상 케이스를 사용할 수 없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
또한, 대한민국 등록실용 20-0466469호(등록일: 2013. 04. 11)에는 외측 프레임과 휴대 단말기 사이에 끼워지는 내측 프레임을 구비하고, 이들 프레임이 상호 착탈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범퍼 케이스를 제안하였으나, 이러한 선행 등록실용은 앞서 설명된 대한민국 등록실용 20-0465497호와 달리 별도로 나사가 필요하지 않기 때문에 착탈 과정이 단순하지만 외측 프레임과 내측 프레임이 상호 결합된 상태에서 외측 프레임과 내측 프레임을 분리하는 작업이 여전히 용이하지 않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
제1 및 제2 범퍼 프레임을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는 착탈이 용이한 휴대 단말기용 메탈 범퍼 케이스가 도 1과 같이 개발되었는바, 이는 전후방이 각각 개방된 금속 재질의 원형 또는 다각형 구조로 이루어지되, 휴대 단말기의 테두리부의 전면과 측면을 감싸도록 제1 연장 결합편이 상기 휴대 단말기의 전방측으로 절곡 형성되고, 상기 제1 연장 결합편의 좌우측 상부와 하부 중 적어도 일측부 내측에는 결합돌기가 돌출 형성되어 있는 제1 범퍼 프레임(110); 및
전후방이 각각 개방된 금속 재질로 이루어지되, 상기 휴대 단말기의 테두리부의 후면과 측면을 감싸도록 제2연장 결합편(121)이 상기 휴대 단말기의 후방측으로 절곡 형성되고, 상기 결합돌기와 각각 대응하여 상기 제2 연장 결합편(121)의 좌우측 상부와 하부 중 적어도 일측부 외측에는 상기 결합돌기가 끼워져 상호 결합되는 결합홈(123)이 형성되어 있는 제 2 범퍼 프레임(120)을 포함하되,
상기 제 2 범퍼 프레임(120)의 일측부에는 상기 결합홈(123)과 연통하고 버튼 누름구(101, 102)가 삽입되도록 외측으로 개방된 누름구 삽입홈(124)이 더 형성되어 있는 착탈이 용이한 휴대 단말기용 메탈 범퍼 케이스이다.
상기 결합홈(123)은 상기 결합돌기보다 큰 크기로 형성되어 상기 결합돌기가 상기 결합홈(123)의 내부에 끼워져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결합홈(123)의 내측면과 상기 결합돌기 사이에는 상기 누름구 삽입홈(124)을 통해 상기 버튼 누름구(101, 102)의 종단부가 삽입되도록 상기 누름구 삽입홈(124)과 연통하는 틈새가 형성된다. (112a, 122a, 122b)는 버튼홈, (112c, 122c)는 이어폰잭 삽입홈, (112d, 122d)는 안테나 인출홈, (122e)는 접속포트 노출홈이다.
그러나 이러한 방식은 분리하여 끼움 결합하는 방식이어서, 조립성은 좋으나 조정버튼의 유동성은 저하되는 문제점을 가진다.
본 발명은 이를 해결하고자 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휴대단말기 디스플레이면이 노출되도록 바닥본체 및 테두리 측벽으로 이루어진 커버체의 길이 측벽에 지지되는 음량버 튼누름구와;
케이스의 폭 측벽에 지지되는 온오프버튼 누름구로 이루어지며;
음량버튼 누름구와 온오프버튼 누름구가 커버체의 측벽 내에서 외부로 버튼부가 노출되며 버튼을 지지하는 버튼누름판은 측벽에 지지되도록하여 끼움 결합이 용이한 휴대단말기용 단말기커버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사용시에는 휴대단말기의 누름버튼 조작을 커버체에 부가한 누름구로 대신하도록 하여 커버체를 사용하여도 휴대단말기의 누름버튼 조작을 가능토록 하는 휴대단말기용 단말기커버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길이 측벽의 음량버튼 누름구 대응 내벽 부위는 버튼누름판의 테두리 사이의 크기보다 작으나 버튼누름판이 일부 접혀 통과 가능한 내부 버튼공을 형성하고, 대응 내부 버튼공과 외부 버튼공 사이의 두께부에는 상기 버튼누름판을 끼움 고정하는 누름판 끼움공을 형성하여 음량버튼 누름구의 끼움 결합이 용이하고,
내부 버튼공의 장공 직경이 외측 외부 버튼공 사이의 거리보다 작도록 구성하고, 내부 버튼공을 이루는 버튼누름판 지지턱은 증가버튼 및 감소버튼 누름 작용시 지지력을 제공하는 휴대단말기용 단말기커버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폭 측벽의 온오프버튼 누름구 대응 내벽 부위는 버튼누름판의 테두리 사이에 해당하는 크기보다 작으나 버튼누름판이 접혀 통과 가능한 내부 버튼공을 형성하고, 대응 외벽부위는 외부 버튼공을 형성하며, 내부 버튼공과 외부 버튼공 사이의 두께부에는 상기 버튼누름판을 끼움 고정하는 누름판 끼움공을 형성하고, 상기, 내부 버튼공의 장공 및 단공 직경이 외측 외부 버튼공의 장공 및 폭 직경보다 작도록 구성하고, 내부 버튼공을 이루는 버튼누름판 지지턱은 누름버튼의 누름 작용시 지지력을 제공하는 휴대단말기용 단말기커버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 디스플레이면이 노출되도록 바닥본체 및 테두리 측벽으로 이루어진 커버체와;
커버체의 길이 측벽에 지지되는 음량버튼 누름구와;
케이스의 폭 측벽에 지지되는 온오프버튼 누름구로 이루어지며;
음량버튼 누름구는 길이 측벽의 외부 버튼공으로 노출되는 증가버튼 및 감소버튼, 상기 증가버튼 및 감소버튼을 일체로 지지하며 증가버튼 및 감소버튼의 노출 직경보다 큰 폭을 가지는 버튼누름판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버튼누름판은 길이 측벽의 누름판 끼움공에 끼움 고정되도록 구성한 휴대단말기용 단말기커버를 제공한다.
상기, 길이 측벽의 음량버튼 누름구 대응 내벽 부위는 버튼누름판의 테두리 사이의 크기보다 작으나 버튼누름판이 일부 접혀 통과 가능한 내부 버튼공을 형성하고,
대응 내부 버튼공과 외부 버튼공 사이의 두께부에는 상기 버튼누름판을 끼움 고정하는 누름판 끼움공을 형성하고, 음량버튼누름구의 버튼누름판 내면에는 음량버튼을 눌러주는 내부누름구를 형성한다.
상기, 내부 버튼공의 장공 직경이 외측 외부 버튼공 사이의 거리보다 작도록 구성하고,
내부 버튼공을 이루는 버튼누름판 지지턱은 증가버튼 및 감소버튼 누름 작용시 지지력을 제공하도록 구성한다.
상기, 온오프버튼 누름구는 폭 측벽의 외부 버튼공으로 노출되는 누름버튼, 상기 누름버튼을 일체로 지지하며 상기 누름버튼의 노출 크기보다 큰 폭을 가지는 버튼누름판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버튼누름판은 폭 측벽의 누름판 끼움공에 끼움 고정되도록 구성한다.
상기, 폭 측벽의 온오프버튼 누름구 대응 내벽부위는 버튼누름판의 테두리 사이에 해당하는 크기보다 작으나 버튼누름판이 접혀 통과 가능한 내부 버튼공을 형성하고,
대응 외벽부위는 외부 버튼공을 형성하며,
내부 버튼공과 외부 버튼공 사이의 두께부에는 상기 버튼누름판을 끼움 고정하는 누름판 끼움공을 형성한다.
상기, 내부 버튼공의 장공 및 단공 직경이 외측 외부 버튼공의 장공 및 폭 직경보다 작도록 구성하고,
내부 버튼공을 이루는 버튼누름판 지지턱은 누름버튼의 누름 작용시 지지력을 제공하도록 구성한다.
이상과 같이 본원발명은 휴대단말기 디스플레이면이 노출되도록 바닥본체 및 테두리 측벽으로 이루어진 커버체의 길이 측벽에 지지되는 음량버 튼누름구와;
케이스의 폭 측벽에 지지되는 온오프버튼 누름구로 이루어지며;
음량버튼 누름구와 온오프버튼 누름구가 커버체의 측벽 내에서 외부로 버튼부가 노출되며 버튼을 지지하는 버튼누름판은 측벽에 지지되도록하여 끼움 결합이 용이하다.
본 발명은 또한 사용시에는 휴대단말기의 누름버튼 조작을 커버체에 부가한 누름구로 대신하도록 하여 커버체를 사용하여도 휴대단말기의 누름버튼 조작을 가능토록 한다.
본 발명은 길이 측벽의 음량버튼 누름구 대응 내벽부위는 버튼누름판의 테두리 사이의 크기보다 작으나 버튼누름판이 일부 접혀 통과 가능한 내부 버튼공을 형성하고, 대응 내부 버튼공과 외부 버튼공 사이의 두께부에는 상기 버튼누름판을 끼움 고정하는 누름판 끼움공을 형성하여 음량버튼 누름구의 끼움 결합이 용이하고,
내부 버튼공의 장공 직경이 외측 외부 버튼공 사이의 거리보다 작도록 구성하고, 내부 버튼공을 이루는 버튼누름판 지지턱은 증가버튼 및 감소버튼 누름 작용시 지지력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폭 측벽의 온오프버튼 누름구 대응 내벽부위는 버튼누름판의 테두리 사이에 해당하는 크기보다 작으나 버튼누름판이 접혀 통과 가능한 내부 버튼공을 형성하고, 대응 외벽부위는 외부 버튼공을 형성하며, 내부 버튼공과 외부 버튼공 사이의 두께부에는 상기 버튼누름판을 끼움 고정하는 누름판 끼움공을 형성하고, 상기, 내부 버튼공의 장공 및 단공 직경이 외측 외부 버튼공의 장공 및 폭 직경보다 작도록 구성하고, 내부 버튼공을 이루는 버튼누름판 지지턱은 누름버튼의 누름 작용시 지지력을 제공한다.
도 1은 일반적인 분할형 단말기커버의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폭 측벽을 위주로 나타낸 확대 사시도,
도 4는 길이 측벽 위주로 나타낸 확대 사시도,
도 5는 도 4의 분해 사시도,
도 6은 도 5의 분해 확대 사시도,
도 7은 도 2의 평면 확대도,
도 8은 도 3의 A-A 선 단면 사시도,
도 9는 도 3의 A-A 선 측단면도,
도 10은 도 3의 B-B 선 평면 단면도,
도 11은 도 3의 C-C 선 단면 사시도,
도 12는 도 3의 C-C 선 평면 단면도이다.
이하 본원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휴대단말기 디스플레이면이 노출되도록 바닥본체(11) 및 테두리 측벽(12, 13, 14, 15)으로 이루어진 커버체(10)와;
커버체(10)의 길이 측벽(12)에 지지되는 음량버튼 누름구(20)와;
케이스의 폭 측벽(14)에 지지되는 온오프버튼 누름구(30)로 이루어지며;
음량버튼 누름구(20)는 길이 측벽(12)의 외부 버튼공(12-1, 12-2)으로 노출되는 증가버튼(21) 및 감소버튼(22), 상기 증가버튼(21) 및 감소버튼(22)을 일체로 지지하며 증가버튼(21) 및 감소버튼(22)의 노출 직경보다 큰 폭을 가지는 버튼누름판(23)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버튼누름판(23)은 길이 측벽(12)의 누름판 끼움공(12-22)에 끼움 고정되도록 구성한다.
상기, 길이 측벽(12)의 음량버튼 누름구(20) 대응 내벽부위는 버튼누름판(23)의 테두리 사이의 크기보다 작으나 버튼누름판(23)이 일부 접혀 통과 가능한 내부 버튼공(12-3)을 형성하고,
대응 내부 버튼공(12-3)과 외부 버튼공(12-1,12-2) 사이의 두께부에는 상기 버튼누름판(23)을 끼움 고정하는 누름판 끼움공(12-22)을 형성하고;
음량버튼누름구(20)의 버튼누름판(23) 내면에는 음량버튼을 눌러주는 내부누름구(24)를 형성한다.
상기, 내부 버튼공(12-3)의 장공 직경이 외측 외부 버튼공(12-1)(12-2) 사이의 거리보다 작도록 구성하고,
내부 버튼공(12-3)을 이루는 버튼누름판 지지턱(12-4)은 증가버튼(21) 및 감소버튼(22) 누름 작용시 지지력을 제공하도록 구성한다.
상기, 온오프버튼 누름구(30)는 폭 측벽(14)의 외부 버튼공(14-1)으로 노출되는 누름버튼(31), 상기 누름버튼(31)을 일체로 지지하며 상기 누름버튼(31)의 노출 크기보다 큰 폭을 가지는 버튼누름판(33)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버튼누름판(33)은 폭 측벽(14)의 누름판 끼움공(14-2)에 끼움 고정되도록 구성한다.
상기, 폭 측벽(14)의 온오프버튼 누름구(30) 대응 내벽부위는 버튼누름판(33)의 테두리 사이에 해당하는 크기보다 작으나 버튼누름판(33)이 접혀 통과 가능한 내부 버튼공(14-3)을 형성하고,
대응 외벽부위는 외부 버튼공(14-1)을 형성하며,
내부 버튼공(14-3)과 외부 버튼공(14-1) 사이의 두께부에는 상기 버튼누름판(33)을 끼움 고정하는 누름판 끼움공(14-2)을 형성한다.
상기, 내부 버튼공(14-3)의 장공 및 단공 직경이 외측 외부 버튼공(14-1)의 장공 및 폭 직경보다 작도록 구성하고,
내부 버튼공(14-3)을 이루는 버튼누름판 지지턱(14-4)은 누름버튼(31)의 누름 작용시 지지력을 제공하도록 구성한다.
상기, 온오프버튼 누름구(30) 의 누름버튼판(33) 내면에는 기기의 온오프버튼을 눌러주는 내부누름구(34)가 내면을 향하여 돌출되도록 구성한다.
이와 같이 구성한 본원발명은 도 5와 같이 음량버튼 누름구(20)의 증가버튼(21)과 감소버튼(22)이 길이측벽(12)의 내측에서 외측으로 해당 버튼공(12-1)(12-2)으로 끼워지도록 하면서 증가버튼(21)및 감소버튼(22)의 직경보다는 버튼누름판(23)이 크므로 더 이상 외부로 빠져나오지 않게 된다. 아울러 버튼누름판(23)은 도 8, 도 11, 도 12와 같이 내부 버튼공(12-3)보다는 크게 구성되므로, 프렉시불한 버튼누름판(23)을 약간 접어서 끼움 결합시킨다. 이 경우 누름판 끼움공(12-22)을 이루는 버튼누름판 지지턱(12-4)은 도 12와 같이 증가버튼(21)이나 감소버튼(22)의 외표면 및 외부버튼공(12-1)의 내경면 보다는 안쪽으로(이는 외부버튼공(12-1)의 길이보다 내부버튼공(12-3)의 길이가 길도록 하였기에 증가버튼(21)이나 감소버튼(220을 내부 쪽으로 밀어도 내부로 빠지지 않도록 기능한다.
아울러 증가버튼(21)이나 감소버튼(22)을 외부에서 안으로 누르면 내부누름구(24)가 휴대단말기의 음량버튼을 누르도록 작용하도록 내부버튼공(12-3)은 누름 공간으로 작용한다. 물론 평소에는 도 2 내지 도 4, 및 도 7과 같이 증가버튼(21) 및 감소버튼(22)만 길이측벽(12) 외측으로 노출된다.
한편 온오프버튼 누름구(30)는 역시 누름버튼(31)이 외부버튼공(14-1) 외부로 노출되도록 폭 측벽(14) 내측에서 외측으로 끼움 결합한다. 이때 버튼누름판(33)이 도 6, 도 9 및 도 10에 보인 바와 같이 누름판 끼움공(14-2)에 끼워지도록 한다. 이 경우 외부버튼공(14-1)의 거리가 내부버튼공(14-3)의 거리보다 작도록 하여 누름버튼(31)의 외측에서 내측으로의 누름 작용시 버튼누름판 지지턱(14-4)에 지지되어 누름 작용을 지속적으로 반복하도록 기능한다.
아울러 버튼누름판(33) 내면에는 내부누름구(34)가 돌출하고, 이는 내부버튼공(14-3)에서 여유공간을 가지고 누름버튼(31)의 누름 작용시 버튼누름판(33)을 통하여 누름작용을 가능하게 작용하여, 휴대단말기의 온오프 누름버튼을 커버체에서도 동일하게 기능하도록 작용한다. 이렇게 온오프버튼 누름구(30) 및 음량버튼 누름구(20)를 커버체에 결합한 상태는 도 2와 같이 예시할 수 있고, 기존의 커버체로서의 커버 기능은 동일하게 수행하면서, 온오프버튼 누름구(30) 및 음량버튼 누름구(20)를 커버체에 결합하여 사용 가능하고, 일단 결합한 후에는 안정적으로 반복 사용을 가능토록 한다.
10;커버체 11;바닥본체 12,13;길이 측벽 12-1, 12-2;외부 버튼공 12-3;내부 버튼공 12-4;버튼누름판 지지턱 12-22;누름판 끼움공 14,15;폭 측벽 14-1;외부 버튼공 14-2;누름판 끼움공 14-3;내부 버튼공 14-4;버튼 누름판 지지턱 16;카메라홈 17;접속포트홈 20;음량버튼 누름구 21;증가버튼 22;감소버튼 23;버튼 누름판 24;내부누름구 30;온오프버튼 누름구 31;누름버튼 33;버튼 누름판 34;내부누름구

Claims (7)

  1. 삭제
  2. 삭제
  3. 휴대단말기 디스플레이면이 노출되도록 바닥본체(11) 및 테두리 측벽(12,13,14,15)으로 이루어진 커버체(10)와;
    커버체(10)의 길이 측벽(12)에 지지되는 음량버튼 누름구(20)와;
    케이스의 폭 측벽(14)에 지지되는 온오프버튼 누름구(30)로 이루어지며;
    음량버튼 누름구(20)는 길이 측벽(12)의 외부 버튼공(12-1,12-2)으로 노출되는 증가버튼(21) 및 감소버튼(22), 상기 증가버튼(21) 및 감소버튼(22)을 일체로 지지하며 증가버튼(21) 및 감소버튼(22)의 노출 직경보다 큰 폭을 가지는 버튼누름판(23)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버튼누름판(23)은 길이 측벽(12)의 누름판 끼움공(12-22)에 끼움 고정되도록 구성하고;
    상기, 길이 측벽(12)의 음량버튼 누름구(20) 대응 내벽부위는 버튼누름판(23)의 테두리 사이의 크기보다 작으나 버튼누름판(23)이 일부 접혀 통과 가능한 내부 버튼공(12-3)을 형성하고;
    대응 내부 버튼공(12-3)과 외부 버튼공(12-1,12-2) 사이의 두께부에는 상기 버튼누름판(23)을 끼움 고정하는 누름판 끼움공(12-22)을 형성하고;
    음량버튼누름구(20)의 버튼누름판(23) 내면에는 음량버튼을 눌러주는 내부누름구(24)를 형성하며;
    상기, 내부 버튼공(12-3)의 장공 직경이 외측 외부 버튼공(12-1)(12-2) 사이의 거리보다 작도록 구성하고,
    내부 버튼공(12-3)을 이루는 버튼누름판 지지턱(12-4)은 증가버튼(21) 및 감소버튼(22) 누름 작용시 지지력을 제공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용 단말기커버.
  4. 제 3항에 있어서, 온오프버튼 누름구(30)는 폭 측벽(14)의 외부 버튼공(14-1)으로 노출되는 누름버튼(31), 상기 누름버튼(31)을 일체로 지지하며 상기 누름버튼(31)의 노출 크기보다 큰 폭을 가지는 버튼누름판(33)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버튼누름판(33)은 폭 측벽(14)의 누름판 끼움공(14-2)에 끼움 고정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용 단말기커버.
  5. 제 4항에 있어서, 폭 측벽(14)의 온오프버튼 누름구(30) 대응 내벽부위는 버튼누름판(33)의 테두리 사이에 해당하는 크기보다 작으나 버튼누름판(33)이 접혀 통과 가능한 내부 버튼공(14-3)을 형성하고,
    대응 외벽부위는 외부 버튼공(14-1)을 형성하며,
    내부 버튼공(14-3)과 외부 버튼공(14-1) 사이의 두께부에는 상기 버튼누름판(33)을 끼움 고정하는 누름판 끼움공(14-2)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용 단말기커버.
  6. 제 5항에 있어서, 내부 버튼공(14-3)의 장공 및 단공 직경이 외측 외부 버튼공(14-1)의 장공 및 폭 직경보다 작도록 구성하고,
    내부 버튼공(14-3)을 이루는 버튼누름판 지지턱(14-4)은 누름버튼(31)의 누름 작용시 지지력을 제공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용 단말기커버.
  7. 제 5항에 있어서, 온오프버튼 누름구(30) 의 누름버튼판(33) 내면에는 기기의 온오프버튼을 눌러주는 내부누름구(34)가 내면을 향하여 돌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용 단말기커버.


KR1020140026074A 2014-03-05 2014-03-05 휴대단말기용 단말기커버 KR1015466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6074A KR101546671B1 (ko) 2014-03-05 2014-03-05 휴대단말기용 단말기커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6074A KR101546671B1 (ko) 2014-03-05 2014-03-05 휴대단말기용 단말기커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46671B1 true KR101546671B1 (ko) 2015-08-24

Family

ID=540617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26074A KR101546671B1 (ko) 2014-03-05 2014-03-05 휴대단말기용 단말기커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4667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61747B1 (ko) * 2023-12-28 2024-04-26 고재흠 기능성 핸드폰 케이스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8119Y1 (ko) 2013-02-01 2013-07-24 조윤호 슬라이드 입출 방식 이동통신 단말기용 케이스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8119Y1 (ko) 2013-02-01 2013-07-24 조윤호 슬라이드 입출 방식 이동통신 단말기용 케이스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61747B1 (ko) * 2023-12-28 2024-04-26 고재흠 기능성 핸드폰 케이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D904743S1 (en) Sole structure
US9614570B2 (en) Cellular-phone case having retractable card holding structure
US20140262934A1 (en) Case for mobile device
USD947509S1 (en) Sole structure
KR101275281B1 (ko) 모바일기기용 보호케이스
US10955730B2 (en) Multi-configuration mounting system
KR101546671B1 (ko) 휴대단말기용 단말기커버
KR200478219Y1 (ko) 카드수납이 가능한 스마트폰 케이스
KR101531976B1 (ko) 휴대단말기용 분리형 단말기커버
KR101560790B1 (ko) 스마트폰 방수 케이스
KR200470996Y1 (ko) 착탈이 용이한 휴대 단말기용 메탈 범퍼 케이스
KR101655371B1 (ko) 휴대용 전자기기를 위한 케이스
KR20180083200A (ko) 휴대단말기용 케이스
US20130214018A1 (en) Cellular Telephone Case
KR101792252B1 (ko) 휴대 단말기용 보호 케이스
KR101246791B1 (ko) 휴대폰 훼손방지용 2중 케이스 구조물
KR101226837B1 (ko) 휴대용 전자기기용 케이스
KR101802494B1 (ko) 카드 배출을 위한 슬라이딩 커버의 자동 복귀 타입 휴대폰 케이스
KR200473933Y1 (ko) 케이스커버 탈부착수단이 구비된 휴대용기기 보호케이스
KR20180001455U (ko) 좌우측 슬라이딩 개폐형 카드수납부를 갖는 스마트폰 케이스
KR200473421Y1 (ko) 미러 부착형 휴대폰 케이스
KR200462641Y1 (ko) 휴대용 전자기기 케이스
KR20150000546U (ko) 카드지갑이 구비된 휴대폰 케이스
KR20160004503U (ko) 스마트폰이 부착되는 수납장치
KR20140066287A (ko) 휴대폰 케이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