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46592B1 - 비닐 피복기 - Google Patents

비닐 피복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46592B1
KR101546592B1 KR1020130164240A KR20130164240A KR101546592B1 KR 101546592 B1 KR101546592 B1 KR 101546592B1 KR 1020130164240 A KR1020130164240 A KR 1020130164240A KR 20130164240 A KR20130164240 A KR 20130164240A KR 101546592 B1 KR101546592 B1 KR 1015465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ing
main frame
vinyl
sides
hand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642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75865A (ko
Inventor
이상화
Original Assignee
이상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상화 filed Critical 이상화
Priority to KR10201301642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46592B1/ko
Publication of KR201500758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758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465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465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3/00Protecting plants
    • A01G13/02Protective coverings for plants; Coverings for the ground; Devices for laying-out or removing covering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비닐이 롤 형태로 감긴 비닐롤을 과수원의 지면 또는 밭이랑에 펼쳐 씌우는 비닐 피복기에 있어서, 상기 비닐롤의 수평 길이방향으로 수평바가 형성되고, 수평바의 일측부로부터 타측 수평방향으로 내부에 관통공이 형성되며, 수평바의 전방 양측부 각각에 이동이 용이하도록 바퀴가 구비되고, 수평바의 후방 양측부 각각에 부채꼴 형태로 각도조절부가 형성되며, 각도조절부의 호를 따라 다수의 고정공이 형성되는 메임 프레임; 상기 메임 프레임의 양측 관통구에 상호 마주하게 설치되고, 상호 마주하는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비닐롤의 양측을 고정하여 거치하는 한쌍의 비닐롤 거치수단; 상기 메임 프레임의 양측에 설치된 한쌍의 비닐롤 거치수단이 이동에 따라 고정되도록 메임 프레임의 양측 상부에 구비되는 제1고정수단; 상기 메임 프레임의 후방 양측부에 형성된 각각의 각도조절부에 양측 하단부가 각각 힌지 결합되어 상·하 수직방향으로 회전하여 각도가 조절되는 손잡이부; 상기 손잡이부의 하부에 설치되어 메임 프레임의 각도조절부에 힌지 결합된 손잡이부의 회전 각도에 따라 각도조절부의 고정공과 결합되어 손잡이부를 고정하는 제2고정수단; 상기 손잡이부의 타측에 와이어와 연결된 레버가 설치되며, 레버와 연결된 와이어의 일단부가 제2고정수단가 연결되어 레버의 조작에 의해 제2고정수단과 고정공의 결합을 해제시켜 손잡이부와 각도조절부의 고정을 해제하는 조작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비닐 피복기{Vinyl covering device}
본 발명은 비닐 피복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무동력으로 사용 가능하며, 비닐을 과수원 지면 또는 밭이랑에 밀착되도록 펼쳐 씌움과 동시에 힌지 결합된 손잡이부의 각도조절이 용이하여 신체 조건에 맞추어 손잡이부의 각도를 맞출 수 있음은 물론, 과수원 지면에 비닐 피복작업중 과수의 나뭇가지로 인해 작업진행이 방해시 용이하게 손잡이부의 각도를 낮추어 작업진행을 할 수 있는 비닐 피복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농작물을 밭이랑에서 재배할 때 잡초발생의 억제, 토양수분의 증발억제 및 보관, 밭이랑 토양의 유실방지와 토양 미생물의 보호목적 등을 위하여 농작물을 재배 전에 밭이랑에다 비닐을 씌우는 작업을 한다.
또한 과수원의 과일 재배할 때 과일의 빛깔을 좋게 하는 반사 비닐을 과수원 둘레지면이나 과수원의 과수 사이 지면에 씌우는 작업을 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밭이랑의 비닐 피복작업은 다수의 인력을 이용하여 장시간에 걸쳐 작업이 이루어져 인력과 시간의 낭비가 커지게 되고, 작업자에 따라 항상 일정한 피복이 불가능하여 작업완료 후 들뜨는 현상 등이 발생하게 되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밭이랑 성형 및 비닐 자동피복장치가 공개실용신안 제20-2000-0001375호에 개시되어 있으며, 그 구성은 밭이랑 상면에 비닐을 피복시 복토흙을 비닐양측에 쌓이도록 전방에 바퀴를 갖는 대차를 구비하고, 이 대차에는 한쌍의 개토날과 양쪽 브라켓에 회동되도록 지지된 두루마리비닐, 또 비닐양단 압압용바퀴 및 양측단의 복토날, 그리고 양측단의 연결핀으로 축설, 연결하여된 밭이랑 교정롤러를 순차적으로 구성하는 한편, 상기 대차는 트랙트 또는 경운기와 연결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상기 비닐 피복기는 트랙트 또는 경운기와 연결되어 동력에 의해 사용되는 것이므로 트랙트 또는 경운기를 운행하는 연료의 소모로 인해 비닐 피복작업의 작업비용이 크게증가함은 물론, 트랙트 또는 경운기에 탈부착이 용이하지 않고, 후진으로 작업이 이루어져 운전이 원만하지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트랙트 또는 경운기의 주행륜에 의하여 높낮이가 조절되므로 비닐이 묻히는 정도가 균일하지 않아서 비닐이 완전하게 묻히지 않거나 비닐이 밭이랑에 팽팽하게 밀착되어 당겨지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트랙트 또는 경운기는 과수가 밀집된 과수원에서 원활하게 이동되지 못해 비닐피복작업을 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제20-2000-0001375호 (2000.01.25)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서, 무동력으로 사용 가능하며, 비닐을 과수원 지면 또는 밭이랑에 밀착되도록 펼쳐 씌움과 동시에 힌지 결합된 손잡이부를 제2고정수단과 조작수단으로 용이하게 신체조건에 맞추어 각도조절을 할 수 있음은 물론, 과수원 지면에 비닐 피복작업중 과수의 나뭇가지로 인해 작업진행이 방해시 손잡이부 상부에 위치한 조작수단으로 용이하게 제2고정수단의 고정을 해제하여 손잡이부의 각도를 낮추어 나뭇가지로 밑으로 작업자가 지나갈 수 있도록 하는 비닐 피복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비닐이 롤 형태로 감긴 비닐롤을 과수원의 지면 또는 밭이랑에 펼쳐 씌우는 비닐 피복기에 있어서, 상기 비닐롤의 수평 길이방향으로 수평바가 형성되고, 수평바의 일측부로부터 타측 수평방향으로 내부에 관통공이 형성되며, 수평바의 전방 양측부 각각에 이동이 용이하도록 바퀴가 구비되고, 수평바의 후방 양측부 각각에 부채꼴 형태로 각도조절부가 형성되며, 각도조절부의 호를 따라 다수의 고정공이 형성되는 메임 프레임; 상기 메임 프레임의 양측 관통구에 상호 마주하게 설치되고, 상호 마주하는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비닐롤의 양측을 고정하여 거치하는 한쌍의 비닐롤 거치수단; 상기 메임 프레임의 양측에 설치된 한쌍의 비닐롤 거치수단이 이동에 따라 고정되도록 메임 프레임의 양측 상부에 구비되는 제1고정수단; 상기 메임 프레임의 후방 양측부에 형성된 각각의 각도조절부에 양측 하단부가 각각 힌지 결합되어 상·하 수직방향으로 회전하여 각도가 조절되는 손잡이부; 상기 손잡이부의 하부에 설치되어 메임 프레임의 각도조절부에 힌지 결합된 손잡이부의 회전 각도에 따라 각도조절부의 고정공과 결합되어 손잡이부를 고정하는 제2고정수단; 상기 손잡이부의 타측에 와이어와 연결된 레버가 설치되며, 레버와 연결된 와이어의 일단부가 제2고정수단가 연결되어 레버의 조작에 의해 제2고정수단과 고정공의 결합을 해제시켜 손잡이부와 각도조절부의 고정을 해제하는 조작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비닐 피복기를 제공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의한 비닐 피복기는 1인의 인력으로 사용하면서도 비닐 피복시 충분한 복토를 수행할 수 있고, 팽팽한 비닐피복을 얻을 수 있기 때문에 바람에 쉽게 날리는 일은 없으며, 무동력으로 작업할 수 있어 운영비를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제2고정수단과 조작수단으로 인해 작업자가 비닐 피복작업중에 멈출 필요없이 손잡이부를 파지한 상태에서 바로 손잡이부와 각도조절부의 고정을 해제하여 작업자가 편한 높이로 손잡이부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비닐 피복기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메인 프레임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비닐롤 거치수단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제1고정수단의 사용상태 측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손잡이부의 사용상태 측면도,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제2고정수단의 사용상태 측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조작수단의 사용상태 측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9를 참고하여 보면 본 발명에 의한 비닐 피복기는 메임 프레임(10), 비닐롤 거치수단(20), 제1고정수단(30), 손잡이부(40), 제2고정수단(50), 조작수단(60)으로 이루어진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메임 프레임(10)은 비닐롤(1)의 수평 길이방향으로 수평바(11)가 형성되고, 수평바(11)의 일측부로부터 타측 수평방향으로 내부에 관통공(12)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수평바(11)의 전방 양측부 각각에 이동이 용이하도록 바퀴(13)가 구비되며, 수평바(11)의 후방 양측부 각각에 부채꼴 형태로 각도조절부(14)가 형성되고, 각도조절부(14)의 호를 따라 다수의 고정공(15)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메임 프레임(10)의 양측 관통구(12)에 상호 마주하게 한쌍의 비닐롤 거치수단(20)이 설치되어 상호 마주하는 방향으로 이동가능하여 비닐롤(1)의 양측을 고정하여 거치하게 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비닐롤 거치수단(20)은 판체 형태로 지지부(21)가 형성되며, 지지부(21)의 전방 일측부에 비닐로(1)의 측단부 내경에 삽입되어 비닐롤(1)을 거치하는 거치봉(22)이 연장형성된다.
이때 상기 비닐로(1)이 거치봉(22)에 거치된 상태로 원할하게 회전하여 비닐이 배출되도록 비닐로(1)의 측단부 내경보다 거치봉(22)의 외경을 작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지지부(21)의 후방 일측부로부터 수평방향으로 메임 프레임(10)의 관통구(12)에 삽입되는 삽입부(23)가 연장형성된다.
한편 상기 메임 프레임(10)의 양측에 설치된 한쌍의 비닐롤 거치수단(20)이 비닐롤(1)의 길이에 따라 이동하여 비닐롤(1)을 고정할 수 있도록 메임 프레임(10)의 양측부에 제1고정수단(30)이 구비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고정수단(30)은 메임 프레임(10)의 수평바(11)의 상측부에 너트부(31)가 형성되고, 너트부(31)와 나사결합되어 회전에 의해 수직 내측방향으로 이동하여 하측단부가 메임 프레임(10)의 관통구(12)에 삽입된 비닐롤 거치수단(20)의 삽입부(23) 상부 외측을 압박하여 비닐롤 거치수단(20)을 고정하는 고정나사부(32)가 구비된다.
아울러 상기 고정나사부(32)의 상부를 수평방향으로 절곡시켜 도구가 필요없이 작업자가 손으로 용이하게 회전시킬 수 있다.
한편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메임 프레임(10)의 후방 양측부에 형성된 각각의 각도조절부(14)에 손잡이부(40)의 하단부가 힌지 결합하게 된다. 상기 손잡이부(40)가 각도조절부(14)와 힌지 결합됨으로써, 손잡이부(40)를 작업자의 신체에 맞추어 용이하게 상·하 수직방향으로 회전시켜 각도가 조절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손잡이부(40)의 하부에 제2고정수단(50)이 설치되어 메임 프레임(10)의 각도조절부(14)에 힌지 결합된 손잡이부(40)의 회전 각도에 따라 각도조절부(14)의 고정공(15)와 결합되어 손잡이부(40)를 고정하게 된다.
도 6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고정수단(50)은 손잡이부(40) 하부측으로 각각 연장된 관의 하부에 수평방향으로 관통되도록 이동공(51)과 수용공(52)이 각각 형성되며, 이동공(51)에 양측부가 각각 삽입되어 조작수단(60)의 조작에 의해 수평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는 이동봉(53)이 구비된다.
또한 상기 이동봉(53)의 일단부에 조작수단(60)의 와이어(61) 일단부가 고정되고, 조작수단(60)의 조작으로 인해 와이어(61)가 이동시 이동봉(53) 또한 이동하게 된다. 이때 상기 이동봉(53)에 고정되어 이동되는 조작수단(60)의 와이어(61)가 원활하게 이동되도록 지지 및 안내하는 지지대(54)가 손잡이부(40) 일측하부로부터 연장된 관의 하부에“┌”자 형태로 형성되어 설치된다.
상기 이동봉(53)이 조작수단(60)의 조작에 의해 이동한 후 탄성력으로 원위치로 복원되도록 하는 스프링(55)이 이동봉(53)의 상측 중앙부와 손잡이부(40) 타측하부로부터 연장된 관과 연결되게 구비된다.
아울러 상기 수용공(52)에 삽입되어 이동봉(53)의 이동에 따라 수용공(52) 내경에서 이동하여 각도조절부(14)의 고정공(15)에 일단부가 삽입되어 손잡이부(40)가 상·하 수직방향으로 회전되지 않도록 고정하는 고정봉(56)이 이동봉(53)의 양측 하부방향으로 각각“ㄴ”자 형태로 연장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2고정수단(50)을 조작하기 위한 조작수단(60)은 손잡이부(40)의 상부 일측에 와이어(61)와 연결된 레버(62)로 구성된다.
상기 레버(62)의 작동으로 레버(62)과 연결된 와이어(61)가 이동하게 되며, 이동하는 와이어(61)로 인해 와이어(61)의 일단부와 고정된 이동봉(53) 또한 이동하게 된다. 이로 인해 상기 이동봉(53) 하부에 연장형성된 고정봉(56)의 일단부가 각도조절부(14)의 고정공(15) 내경에서 이동 이탈하게 되어 손잡이부(40)와 각도조절부(14)의 고정이 해제된다.
상기 제2고정수단(50)과 조작수단(60)으로 인해 작업자가 비닐 피복작업중에 멈출 필요없이 손잡이부(40)를 파지한 상태에서 바로 손잡이부(40)와 각도조절부(14)의 고정을 해제하여 작업자가 편한 높이로 손잡이부(40)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음은 물론, 과수들이 밀집된 과수원에서 과수의 가지로 인해 작업자가 낮은 자세로 이동시 용이하게 손잡이부(40)의 각도를 조절하여 비닐롤(1)을 이동시킬 수 있는 효과가 발생하게 된다.
10 : 메임 프레임 20 : 비닐롤 거치수단
30 : 제1고정수단 40 : 손잡이부
50 : 제2고정수단 60 : 조작수단

Claims (4)

  1. 비닐이 롤 형태로 감긴 비닐롤(1)을 과수원의 지면 또는 밭이랑에 펼쳐 씌우는 비닐 피복기에 있어서,
    상기 비닐롤(1)의 수평 길이방향으로 수평바(11)가 형성되고, 수평바(11)의 일측부로부터 타측 수평방향으로 내부에 관통공(12)이 형성되며, 수평바(11)의 전방 양측부 각각에 이동이 용이하도록 바퀴(13)가 구비되고, 수평바(11)의 후방 양측부 각각에 부채꼴 형태로 각도조절부(14)가 형성되며, 각도조절부(14)의 호를 따라 다수의 고정공(15)이 형성되는 메임 프레임(10);
    상기 메임 프레임(10)의 양측 관통구(12)에 상호 마주하게 설치되고, 상호 마주하는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비닐롤(1)의 양측을 고정하여 거치하는 한쌍의 비닐롤 거치수단(20);
    상기 메임 프레임(10)의 양측에 설치된 한쌍의 비닐롤 거치수단(20)이 이동에 따라 고정되도록 메임 프레임(10)의 양측 상부에 구비되는 제1고정수단(30);
    상기 메임 프레임(10)의 후방 양측부에 형성된 각각의 각도조절부(14)에 양측 하단부가 각각 힌지 결합되어 상·하 수직방향으로 회전하여 각도가 조절되는 손잡이부(40);
    상기 손잡이부(40)의 하부에 설치되어 메임 프레임(10)의 각도조절부(14)에 힌지 결합된 손잡이부(40)의 회전 각도에 따라 각도조절부(14)의 고정공(15)과 결합되어 손잡이부(40)를 고정하는 제2고정수단(50);
    상기 손잡이부(40)의 타측에 와이어(61)와 연결된 레버(62)가 설치되며, 레버(62)와 연결된 와이어(61)의 일단부가 제2고정수단(50)가 연결되어 레버(62)의 조작에 의해 제2고정수단(50)과 고정공(15)의 결합을 해제시켜 손잡이부(40)와 각도조절부(14)의 고정을 해제하는 조작수단(60);
    을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비닐 피복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닐롤 거치수단(20)은 판체 형태로 지지부(21)가 형성되고,
    상기 지지부(21)의 전방 일측부에 비닐롤(1)의 측단부 내경에 삽입되어 비닐롤(1)을 거치하는 거치봉(22)이 연장형성되며,
    상기 지지부(21)의 후방 일측부로부터 수평방향으로 메임 프레임(10)의 관통구(12)에 삽입되는 삽입부(23)가 연장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비닐 피복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고정수단(30)은 메임 프레임(10)의 양측 상측부에 각각의 너트부(31)가 형성되고,
    상기 너트부(31)와 나사결합되어 회전에 의해 수직 내측방향으로 이동하여 하측단부가 메임 프레임(10)의 관통구(12)에 삽입된 비닐롤 거치수단(20)의 상부 외측을 압박하여 비닐롤 거치수단(20)을 고정하는 고정나사부(32)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비닐 피복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고정수단(50)은 손잡이부(40) 하부측으로 각각 연장된 관의 하부에 수평방향으로 관통되도록 이동공(51)과 수용공(52)이 각각 형성되며,
    상기 이동공(51)에 양측부가 각각 삽입되어 조작수단(60)의 조작에 의해 수평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는 이동봉(53)이 구비되고,
    상기 이동봉(53)의 일단부에 고정되어 이동봉(53)을 이동시키는 조작수단(60)의 와이어(61)를 지지 및 안내하여 원활하게 이동되도록 손잡이부(40) 일측하부로부터 연장된 관의 하부에“┌”자 형태로 형성되는 지지대(54)가 설치되고,
    상기 이동봉(53)이 조작수단(60)의 조작에 의해 이동한 후 탄성력으로 원위치로 복원되도록 하는 스프링(55)이 이동봉(53)의 상측 중앙부와 손잡이부(40) 타측하부로부터 연장된 관과 연결되게 구비되며,
    상기 수용공(52)에 삽입되어 이동봉(53)의 이동에 따라 수용공(52) 내경에서 이동하여 각도조절부(14)의 고정공(15)에 일단부가 삽입되는 고정봉(56)이 이동봉(53)의 양측 하부방향으로 각각“ㄴ”자 형태로 연장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비닐 피복기.



KR1020130164240A 2013-12-26 2013-12-26 비닐 피복기 KR1015465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64240A KR101546592B1 (ko) 2013-12-26 2013-12-26 비닐 피복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64240A KR101546592B1 (ko) 2013-12-26 2013-12-26 비닐 피복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75865A KR20150075865A (ko) 2015-07-06
KR101546592B1 true KR101546592B1 (ko) 2015-08-21

Family

ID=537889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64240A KR101546592B1 (ko) 2013-12-26 2013-12-26 비닐 피복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4659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228853B (zh) * 2021-05-24 2023-10-27 扬州和益电动工具有限公司 一种把手180度调换的旋耕机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9851Y1 (ko) 2002-06-20 2002-09-19 나대제 밭이랑 비닐 피복기
KR200362873Y1 (ko) 2004-06-29 2004-09-22 나대제 밭이랑 비닐 피복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9851Y1 (ko) 2002-06-20 2002-09-19 나대제 밭이랑 비닐 피복기
KR200362873Y1 (ko) 2004-06-29 2004-09-22 나대제 밭이랑 비닐 피복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75865A (ko) 2015-07-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86924B1 (ko) 수레형 방제 분무기
KR20150082772A (ko) 넝쿨작물의 성장 안내 장치
KR101546592B1 (ko) 비닐 피복기
KR102053187B1 (ko) 폭과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이동식 농약살포장치
WO2011126354A2 (fr) Machine de ceuillette des dattes
KR101809043B1 (ko) 공간활용을 위한 고설재배용 베드의 이동장치
KR100940071B1 (ko) 화분운반장치
KR200484967Y1 (ko) 비닐 피복기용 비닐 절단장치
CN204113097U (zh) 金字塔形荔枝树的修剪采摘用三脚梯
KR101714734B1 (ko) 피복기
KR101419270B1 (ko) 비닐 피복기용 비닐 절단장치
KR200447196Y1 (ko) 농사용 비닐피복기
CN209710816U (zh) 一种果园树干矫正装置
KR20220025322A (ko) 권취와 권출 및 재단 작업이 일괄적으로 실시되는 농업용 멀칭 수레의 구조
CN212232421U (zh) 一种马铃薯种植用快速覆膜装置
KR101468317B1 (ko) 과수원용 다목적 이동 대차
US20130115005A1 (en) Agricultural tubing extractor and related methods
KR102348132B1 (ko) 농업용 비닐 피복기
KR101213295B1 (ko) 동력식 작업의자
CN203302072U (zh) 一种推式地膜覆盖机
KR200410616Y1 (ko) 이동 가능한 멀칭기
KR101108625B1 (ko) 농작물 수확장치
KR20120124812A (ko) 농작업용 이동식 소형 작업의자 구조
AU2020470450A1 (en) Liquid spreader
CN212035154U (zh) 一种农业种植用覆膜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