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62873Y1 - 밭이랑 비닐 피복기 - Google Patents

밭이랑 비닐 피복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62873Y1
KR200362873Y1 KR20-2004-0018399U KR20040018399U KR200362873Y1 KR 200362873 Y1 KR200362873 Y1 KR 200362873Y1 KR 20040018399 U KR20040018399 U KR 20040018399U KR 200362873 Y1 KR200362873 Y1 KR 20036287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nyl
base
vertical
soil
fiel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1839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나대제
Original Assignee
나대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나대제 filed Critical 나대제
Priority to KR20-2004-001839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6287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6287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62873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3/00Protecting plants
    • A01G13/02Protective coverings for plants; Coverings for the ground; Devices for laying-out or removing coverings
    • A01G13/0256Ground coverings
    • A01G13/0287Devices for laying-out or removing ground covering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35/00Other machines for working soil not specially adapted for working soil on which crops are growing
    • A01B35/32Other machines for working soil not specially adapted for working soil on which crops are growing with special additional arrangemen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3/00Protecting plants
    • A01G13/02Protective coverings for plants; Coverings for the ground; Devices for laying-out or removing coverings
    • A01G13/0256Ground coverings
    • A01G13/0262Mulches, i.e. covering material not-pre-formed in mats or shee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3/00Protecting plants
    • A01G13/02Protective coverings for plants; Coverings for the ground; Devices for laying-out or removing coverings
    • A01G13/0256Ground coverings
    • A01G13/0268Mats or sheets, e.g. nets or fabrics
    • A01G13/0275Film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oil Sciences (AREA)
  • Protection Of Pla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의 목적은 밭이랑 비닐 피복기의 구조를 간결하게 하여 중량을 줄임에 의해 이동 및 보관이 편리하도록 하고, 밭의 형태에 따라 손잡이와 호미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게 하는 것에 의해 적은 힘으로도 사용할 수 있게 하며, 비닐지의 양단부에 흙을 덮을 수 있도록 한 흙 덮음용 원판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게 하여 비닐지의 양단에 덮는 흙의 양을 조절할 수 있게 한 밭이랑 비닐 피복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Description

밭이랑 비닐 피복기{a ridge vinyl cover structure}
본 고안은 밭이랑 비닐 피복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구조를 간결하게 하여 중량을 줄임에 의해 이동 및 보관이 편리하도록 함과 아울러 이랑형태의 밭 혹은 평지형태의 어느 밭에도 쉽게 피복 작업을 할 수 있게 한 밭이랑 비닐 피복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추 등의 농작물을 심을 수 있는 밭에는 비닐지를 피복하게 되는데, 지금까지는 이랑을 만든 다음 그 이랑에 비닐지를 피복하고 그 피복된 비닐지의 양단을 흙으로 덮어 고정하도록 한 일련의 작업이 수작업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물론 이랑을 만드는 작업은 기계적인 작업여건이 마련되어 있기는 하나 비닐지의 피복 작업까지는 연결되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이랑에 비닐지를 덮어주는 작업 및 설치된 비닐지의 양쪽으로 흙을 덮어 비닐지를 고정하는 작업은 많은 시간과 다수의 작업자를 필요로 하기 때문에 시간 및 인력의 낭비를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출원인은, 피복용 비닐을 자동으로 펼침과 동시에 흙을 덮을 수 있도록 한 "밭이랑 비닐 피복기"를 개발하여 실용신안등록으로 다수 건을 등록 받았다.
본인이 개발한 밭이랑 비닐 피복기들은 각각 그 나름대로의 장점을 지니고 있으나, 무게가 비교적 무겁다고 하는 단점을 발견하였으며, 또 손잡이의 위치가 고정되어 있어 사용상의 불편함도 발견하였다. 그리고, 비닐지의 양단에 덮는 흙의 량을 조절할 수 없다고 하는 단점도 알게 되었다.
본 고안의 목적은 본 출원인이 선등록 받은 귄리들이 지닌 여러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밭이랑 비닐 피복기의 구조를 간결하게 하여 중량을 줄임에 의해 이동 및 보관이 편리하도록 함과 아울러 이랑형태의 밭 혹은 평지형태의 어느 밭에도 쉽게 피복 작업을 할 수 있게 한 밭이랑 비닐 피복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밭이랑에 골을 형성하는 호미와 손잡이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게 하여 적은 힘으로도 사용할 수 있게 하고, 또 비닐지가 설치되는 비닐롤을 전후방으로 조절할 수 있게 함에 의해 밭의 형태에 따라 비닐지의 위치를 가변시켜 사용할 수 있어 원하는 위치에 비닐지를 정확히 펼쳐지게 하면서 피복 할 수 있도록 한 밭이랑 비닐 피복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비닐지의 양단부에 덮을 수 있도록 한 흙 덮음용 원판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게 함에 의해 비닐지의 양단에 덮는 흙의 양을 조절할 수 있게 한 밭이랑 비닐 피복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밭이랑 비닐 피복기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밭이랑 비닐 피복기에 대한 정면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밭이랑 비닐 피복기에 대한 평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밭이랑 비닐 피복기에 구비된 손잡이와 호미의 높낮이를 조절수단을 나타낸 분리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밭이랑 비닐 피복기에 구비된 비닐롤의 전후방 조절수단을 설명하기 위한 분리 사시도이고,
도 6a와 도 6b는 본 고안에 따른 밭이랑 비닐 피복기에 구비된 비닐누름 롤러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7a와 도 7b는 본 고안에 따른 밭이랑 비닐 피복기에 구비된 흙 덮음용 원판의 조절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0a,110b - 기대 112a,112b - 수직부
114a,114b - 수평부 120a,120b - 손잡이
130 - 호미 140 - 비닐 장착롤
150 - 가이드 바 160 - 비닐 누름 롤러
170 - 흙 덮음용 원판 212 - 수직이동체
214, 224 - 조절볼트 232 - 고정체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나란하게 배치한 손잡이가 설치되는좌우 한 쌍으로 이루어진 기대와 상기 기대를 가로질러 배치하여 기대의 좌우 폭 조절을 할 수 있게 신축 가능하게 설치한 연결대와 상기 기대에 설치하여 피복 작업시 지면을 따라 회전되는 회전롤러와 상기 회전롤러의 내측으로 위치되게 설치하여 피복 작업시 밭이랑의 골을 형성하는 호미와 상기 호미의 후방에 위치되게 기대에 설치하여 피복용 비닐을 장착할 수 있게 한 비닐 장착롤과 상기 비닐 장착롤의 후방에 위치되게 기대에 설치하여 피복 작업시 자중에 의해 비닐지의 양측단부를 눌러주어 비닐롤로부터 인출되는 비닐지를 펴주는 가이드바와 상기 펼펴진 비닐지의 양측 상면부를 지면에 대해 눌러주도록 한 비닐 누름 롤러와 상기 비닐 누름 롤러의 뒤쪽으로 인접하게 후방의 폭이 좁아지는 각을 이루게 설치하여 피복 작업시 회전되면서 상기 펼쳐진 비닐지의 양측단에 흙을 덮어주도록 한 흙 덮음용 원판으로 이루어진 밭이랑 비닐 피복기에 있어서, 상기 기대는 수직부와 그 수직부의 상부를 후방으로 절곡한 수평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수직부에 슬라이딩되게 삽입 설치되며 상기 호미가 일체로 설치됨과 동시에 손잡이를 고정할 수 있는 숫나선부를 갖는 손잡이 고정축이 설치된 수직이동체와, 상기 수직이동체를 기대의 수직부에 대해 임의위치에서 고정될 수 있게 그 수직이동체에 관통되게 나사 체결하여 수직부에 고정되게 한 조절볼트로 이루어진 손잡이와 호미의 높낮이 조절수단; 상기 기대의 수평부에 슬라이딩되게 삽입 설치되며 상단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삽입바가 설치되어 그 삽입바에 상기 연결대가 삽입 결합되고 상기 연결대의 양단에는 비닐 장착롤이 설치되는 수직바를 삽입 결합할 수 있게 하는 수평이동체와, 상기 수평이동체를 기대의 수평부에 대해 임의위치에서 고정될 수 있게 그 수평이동체에 관통되게 나사 체결하여 수평부에 고정되게 한 조절볼트로 이루어진 비닐 장착롤의 전후방 위치 조절수단; 및 상기 흙 덮음용 원판은 기대의 후방 상면에서 횡 방향으로 회전시켜 고정할 수 있게 고정체를 구비하여 볼트로 체결함에 의해 상기 흙 덮음용 원판의 각을 조절하여 흙 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한 흙 덮음용 원판의 각도 조절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비닐지를 펴주는 가이드바와 비닐지를 눌러주는 비닐 누름 롤러는 회동편의 하단에 설치하고 그 회동편은 상기 기대의 후방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함과 아울러 상기 회동편의 상단에 스프링을 설치하여 텐션을 갖게 하고 상기 회동편의 회동 거리를 제한하여 상기 비닐지 누름 롤러가 더 이상 하강되지 않게 고정체의 외측부로 돌출되게 와셔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밭이랑 비닐 피복기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밭이랑 비닐 피복기에 대한 정면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밭이랑 비닐 피복기에 대한 평면도이다.
도면 표시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밭이랑 비닐 피복기는, 좌측과 우측에 나란하게 배치되게 설치하는 한 쌍의 기대(110a,110b)를 구비하고 있다. 이 기대(110a,110b)는 수직부(112a,112b)와 상기 수직부(112a,112b)의 상단이 후방으로 절곡된 수평부(114a,114b)로 이루어지고, 이러한 기대(110a,110b)에 가로질러 배치한 신축 가능하게 결합된 연결대(116)를 설치하여 상기 기대(110a,110b)의 폭을 조절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연결대(116)는 기대(110a,110b)의 대략 중간부에 그 기대(110a,110b)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가로질러 설치 고정된다. 즉, 신축 가능하게 삽입 결합된 연결대(116)가 상기 기대(110a,110b)에 가로질러 배치되도록 설치되어 좌우 한 쌍의 기대(110a,110b)를 소정의 폭을 갖도록 설치되어 그 폭이 조절된다. 또한, 상기 기대(110a,110b)의 앞쪽으로는 높낮이가 조절되게 손잡이(120a,10b)가 설치되는데, 이러한 손잡이(120a,120b)의 높낮이 조절은 뒤에서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한, 본 고안은 밭이랑의 골을 형성하는 호미(130)와 상기 호미(130)에 의해 밭이랑의 골을 형성할 때 지면을 따라 회전되면서 이동되는 회전롤러(132)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회전롤러(132)는 기대(110a,110b)의 수직부(112a,112b) 하단에 각각 회전되게 결합되는 것으로, 상기 회전롤러(132)에 의해 본 고아에 따른 밭이랑 비닐 피복기를 용이하게 전진시킬 수 있으며, 이러한 회전롤러(132)의 내측으로 위치되게 상기 호미(130)가 설치된다.
상기 호미(130)는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상기 손잡이(120a,120b)와 함께 높낮이가 조절되게 하는 것으로, 이에 대해서는 뒤에서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즉, 밭이랑의 상태에서 따라서 상기 호미(130)를 사용하게 되는데, 그 예로서 평지밭에서 비닐지를 피복할 때에는 상기 호미(130)를 위쪽으로 올려 지면에서 멀어지게 하여 사용하고, 밭이랑을 피복할 때에는 상기 호미(130)가 밭이랑 옆을 파고 지나도록 하면서 골을 형성할 수 있게 하여 사용한다.
또한, 본 고안은 피복용 비닐(10)을 장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비닐 장착롤(140)을 구비하고 있는데, 이러한 비닐 장착롤(140)은 서로 마주 보게 설치하여 피복용 비닐(10)의 양단을 지지 고정한다.
상기 비닐 장착롤(140)은 기대(110a,110b)에서 아래 방향으로 설치된 수직바(142)의 하단부에 자유로이 회전될 수 있게 설치된다. 이러한 비닐 장착롤(140)은 그 위치를 가변 할 수 있는 것으로, 이에 대해서는 뒤에서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즉, 밭이랑의 상태에서 따라 상기 피복용 비닐(10)을 적당한 높이가 되게 하여 사용할 수 있게 한다.
또한, 상기 피복용 비닐(10)에서 풀리는 비닐의 양측을 펴줌과 동시에 그 비닐의 양측단 상면을 눌러 주는 가이드바(150)와 비닐 누름 롤러(160)가 설치된다. 상기 비닐 누름 롤러(160)는 우레탄 등의 소재를 이용하게 되면 비닐(10)을 눌러 주면서 구름운동을 할 때 상기 비닐(10)이 찢어지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상기 가이드바(150)와 비닐 누름 롤러(160)는 소정의 텐션을 가짐과 동시에 자중에 의해 적당한 힘으로 비닐을 눌러 줄 수 있게 하는 것으로, 이에 대한 구성은 뒤에서 도 6a와 도 6b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상기 비닐 누름 롤러(160)의 뒤쪽에 인접하는 위치에는 흙 덮음용 원판(170)이 설치된다. 이러한 흙 덮음용 원판(170)은 펼쳐진 비닐(10)의 양단에 흙을 덮도록 하는 것으로, 비닐지의 양측에 있는 흙을 비닐지의 양옆에서 자동으로 덮을 수 있다. 상기 흙 덮음용 원판(170)은 흙을 모아 비닐의 양측에 덮을 수 있게 원추형상으로 이루어짐이 좋다.
또한, 상기 흙 덮음용 원판(170)은 비닐(10)의 양단에 흙을 용이하게 덮을수 있게 후방의 폭이 좁아지는 각으로 경사지게 설치되는데, 이러한 흙 덮음용 원판(170)이 이루는 후방의 폭이 좁아지는 각은 조절할 수 있게 하여 흙의 량을 조절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각을 조절하기 위한 구성은 뒤에서 도 7a와 도 7b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밭이랑 비닐 피복기에 구비된 손잡이와 호미의 높낮이를 조절수단을 나타낸 분리 사시도이다.
도면 표시와 같이, 상기 기대(110a,110b)는 수직부(112a,112b)와 그 수직부(112a,112b)의 상부를 후방으로 절곡한 수평부(114a,114b)로 이루어진다. 상기 수직부(112a,112b)에는 수직이동체(212)가 슬라이딩되게 삽입 설치되며 그 수직이동체(212)에 상기 호미(130)가 일체로 설치됨과 동시에 상기 손잡이(120a,120b)를 고정할 수 있게 하는 숫나선부를 갖는 손잡이 고정축(216)이 설치되어 손잡이(120a,120b)를 설치할 수 있게 한다. 또한, 상기 수직이동체(212)는 기대(110a,110b)의 수직부(112a,112b)에 대해 임의위치에서 고정될 수 있게 조절볼트(214)가 구비된다. 상기 조절볼트(214)는 수직이동체(212)를 관통하게 나사 체결되어 기대의 수직부(112a,112b)에 고정된다.
따라서, 상기 수직이동체(212)에 의해 호미(130)와 손잡이(120a,120b)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게 함에 의해 본 고안의 밭이랑 비닐 피복기를 밭의 상태에 따라 매우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음과 더불어 적은 힘으로 전진시킬 수 있다. 즉, 손잡이(120a,120b)의 위치에 따라 작업의 편리성을 가짐과 동시에 호미(130)를 사용하지 않아도 되는 밭에서 호미(130)를 지면에 접촉되지 않게 함에 의해 용이하게전진 이동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은 호미(130)를 필요에 따라 낮게 할 수 있으며 또한 손잡이(120a,120b)의 위치에 따라 작업하는 힘이 다르게 되는데, 본 고안은 손잡이(120a,120b) 위치를 조절할 수 있어 즉, 손잡이의 위치를 옮겨 사용을 편리하게 할 수 있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밭이랑 비닐 피복기에 구비된 비닐롤의 전후방 조절수단을 설명하기 위한 분리 사시도이다.
도면 표시와 같이, 상기 기대(110a,110b)의 수평부(114a,114b)에는 수평이동체(222)가 슬라이딩되게 설치된다. 이 수평이동체(222)에는 그 상단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삽입바(226)가 설치되어 상기 연결대(116)가 삽입 결합되고, 그 연결대(116)의 양단에는 비닐 장착롤(140)이 설치되는 수직바(142)를 삽입 결합할 수 있게 한다. 또한, 상기 수평이동체(222)는 기대(110a,110b)의 수평부(114a,114b))에 대해 임의위치에서 고정될 수 있게 한 조절볼트(224)를 구비하고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 수평이동체(222)에 의해 비닐 장착롤(140)의 위치를 가변 할 수 있게 함에 의해 밭의 상태에서 따라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즉, 본 고안은 이랑 높이에 따라 비닐 장착롤(140)을 움직여 설치할 수 있음에 따라 작업 여건에 맞게 고정하여 사용할 수 있다.
도 6a와 도 6b는 본 고안에 따른 밭이랑 비닐 피복기에 구비된 비닐누름 롤러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 표시와 같이, 상기 비닐(10)을 펴주는 가이드 바(150)와 비닐(10)을 눌러주는 비닐 누름 롤러(160)는 상기 기대(110a,110b)의 후방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한 회동편(236)의 하단에 설치하고, 그 회동편(236)의 상단에 스프링(238)을 설치하여 텐션을 갖게 하며, 상기 회동편(236)의 회동 거리를 제한하여 상기 비닐지 누름 롤러(160)가 더 이상 하강되지 않게 와셔(235)를 외측으로 돌출되게 구비한다. 상기 와셔(239)는 뒤에서 설명하는 흙 덮음용 원판(170)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게 고정하는 볼트(234)의 사이에 위치되게 설치된다. 따라서, 본 고안은 밭의 상태에 따라 스프링(238)의 텐션에 의해 비닐지를 눌러주는 힘이 자동으로 조절되어 비닐지의 펼침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 상기 와셔(239)에 의해 비닐지를 누르고 펴 주는 비닐 누름 롤러(160)가 어느 위치까지만 하향할 수 있게끔 하여 주는 역할을 함과 동시에 비닐지의 가장자리를 모아주며 어느 높이 이상으로 비닐지가 곳서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7a와 도 7b는 본 고안에 따른 밭이랑 비닐 피복기에 구비된 흙덮음용 원판의 조절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 표시와 같이, 본 고안은 상기 흙 덮음용 원판(170)은 회전될 수 있게 베어링(미도시)에 의해 회전축(172)에 설치되는데, 그 회전축(172)의 끝단에는 고정체(232)가 일체로 설치되어 있다. 상기 고정체(232)는 상기 기대(110a,110b)의 후방 상면에서 횡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게 볼트(234)로 결합되어 있는데, 상기 볼트(234)의 사이에는 와셔(239)가 설치된다. 이 와셔(239)는 비교적 크게 형성되어 위에서 설명한 비닐 누를 롤러(160)의 회동각을 조절할 수 있게 한다.
또한, 상기 고정체(232)를 볼트(234)로 결합하는 것에 의해 흙 덮음용 원판(170)을 횡 방향으로 조절할 수 있어, 그 흙 덮음용 원판(170)에 대한 후방의 폭이 좁아지는 각을 조절할 수 있어 비닐의 양측단부에 덮는 흙의 량을 조절할 수 있음에 의해 밭의 상태에 따라 비닐지의 피복 작업을 더욱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밭이랑 비닐 피복기를 이용하여 밭이랑에 자동으로 비닐지를 덮음과 동시에 흙을 비닐지 양측단에 덮도록 하여 사용하는 상태를 설명한다.
먼저, 본 고안에 따른 피복기에 구비된 비닐 장착롤(140)에 피복용 비닐(10)을 설치하고, 그 비닐 장착롤(140)에 설치된 피복용 비닐에서 비닐(10)의 끝단을 미리 약간 풀어서 가이드 바(150)와 비닐 누름 롤러(160)의 밑으로 위치되게 한다.
이 상태에서 상기 기대(110a,110b)에 설치되는 손잡이(120a,120b)를 잡고 앞으로 이동하면서 밭이랑 비닐 피복기를 전진시키는 것에 의해 자동으로 비닐(10)이 풀리면서 피복되는 것으로, 상기 비닐 누름 롤러(160)에 의해 펼쳐진 비닐(10)의 양측단부를 지지하고 있는 상태에서 상기 비닐 누름 롤러(160)의 뒤쪽에 인접하게 설치한 흙 덮음용 원판(170)에 의해 흙을 덮어 줌에 의해 비닐지의 끝단이 고정된 상태가 되므로, 상기 비닐 장착롤(140)에 장착된 피복용 비닐(10)은 밭이랑 비닐 피복기의 전진에 의해 자동으로 풀려지게 되면서 연속적인 작업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때, 상기 비닐 장착롤(140)에 지지된 피복용 비닐(10)에서 풀리는 비닐(10)의 양측단은 가이드 바(150)에 의해 보다 확실하게 펼쳐질 수 있음과 동시에 비닐 누름 롤러(160)에 의해 확실하게 눌려져 비닐 피복 작업이 매우 용이하게 진행된다.
이와 같이, 상기 가이드 바(150)와 비닐 누름 롤러(160)에 의해 펼쳐지고 눌리는 비닐(10)의 양측단부 상면에서 뒤에서 구름 운동하면서 이동되는 원 형상의 흙 덮용용 원판(170)에 의해 흙이 덮여지게 되어 자동으로 비닐을 펼쳐 피복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흙 덮음용 원판(170)의 각을 조절할 수 있음에 의해 비닐의 양측단 상면으로 덮이는 흙의 양을 조절할 수 있어 밭의 상태에 따라 용이하게 작업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밭이랑 비닐 피복기에 의하면, 구조를 간결하게 하여 중량을 줄임에 의해 이동 및 보관이 편리하도록 함과 아울러 이랑형태의 밭 혹은 평지형태의 어느 밭에도 쉽게 피복 작업을 할 수 있게 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은 밭이랑에 골을 형성하는 호미와 손잡이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게 함에 의해 적은 힘으로도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음과 아울러 비닐지가 설치되는 비닐롤을 전후방으로 조절할 수 있게 함에 의해 밭의 형태에 따라 비닐지의 위치를 가변시켜 사용할 수 있어 원하는 위치에 비닐지를 정확히 펼쳐지게 하면서 피복 할 수 있도록 한 효과가 있다. 특히, 본 고안음 비닐지의 양단부에 덮을 수 있도록 한 흙 덮음용 원판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게 함에 의해 비닐지의 양단에 덮는 흙의 양을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나란하게 배치한 손잡이가 설치되는 좌우 한 쌍으로 이루어진 기대와 상기 기대를 가로질러 배치하여 기대의 좌우 폭 조절을 할 수 있게 신축 가능하게 설치한 연결대와 상기 기대에 설치하여 피복 작업시 지면을 따라 회전되는 회전롤러와 상기 회전롤러의 내측으로 위치되게 설치하여 피복 작업시 밭이랑의 골을 형성하는 호미와 상기 호미의 후방에 위치되게 기대에 설치하여 피복용 비닐을 장착할 수 있게 한 비닐 장착롤과 상기 비닐 장착롤의 후방에 위치되게 기대에 설치하여 피복 작업시 자중에 의해 비닐지의 양측단부를 눌러주어 비닐롤로부터 인출되는 비닐지를 펴주는 가이드바와 상기 펼펴진 비닐지의 양측 상면부를 지면에 대해 눌러주도록 한 비닐 누름 롤러와 상기 비닐 누름 롤러의 뒤쪽으로 인접하게 후방의 폭이 좁아지는 각을 이루게 설치하여 피복 작업시 회전되면서 상기 펼쳐진 비닐지의 양측단에 흙을 덮어주도록 한 흙 덮음용 원판으로 이루어진 밭이랑 비닐 피복기에 있어서,
    상기 기대는 수직부와 그 수직부의 상부를 후방으로 절곡한 수평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수직부에 슬라이딩되게 삽입 설치되며 상기 호미가 일체로 설치됨과 동시에 손잡이를 고정할 수 있는 숫나선부를 갖는 손잡이 고정축이 설치된 수직이동체와, 상기 수직이동체를 기대의 수직부에 대해 임의위치에서 고정될 수 있게 그 수직이동체에 관통되게 나사 체결하여 수직부에 고정되게 한 조절볼트로 이루어진 손잡이와 호미의 높낮이 조절수단;
    상기 기대의 수평부에 슬라이딩되게 삽입 설치되며 상단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삽입바가 설치되어 그 삽입바에 상기 연결대가 삽입 결합되고 상기 연결대의 양단에는 비닐 장착롤이 설치되는 수직바를 삽입 결합할 수 있게 하는 수평이동체와, 상기 수평이동체를 기대의 수평부에 대해 임의위치에서 고정될 수 있게 그 수평이동체에 관통되게 나사 체결하여 수평부에 고정되게 한 조절볼트로 이루어진 비닐 장착롤의 전후방 위치 조절수단; 및
    상기 흙 덮음용 원판은 기대의 후방 상면에서 횡 방향으로 회전시켜 고정할 수 있게 고정체를 구비하여 볼트로 체결함에 의해 상기 흙 덮음용 원판의 각을 조절하여 흙 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한 흙 덮음용 원판의 각도 조절수단을 포함하는 비닐 피복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비닐지를 펴주는 가이드바와 비닐지를 눌러주는 비닐 누름 롤러는 회동편의 하단에 설치하고 그 회동편은 상기 기대의 후방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함과 아울러 상기 회동편의 상단에 스프링을 설치하여 텐션을 갖게 하고 상기 회동편의 회동 거리를 제한하여 상기 비닐지 누름 롤러가 더 이상 하강되지 않게 고정체의 외측부로 돌출되게 와셔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밭이랑 비닐 피복기.
KR20-2004-0018399U 2004-06-29 2004-06-29 밭이랑 비닐 피복기 KR20036287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8399U KR200362873Y1 (ko) 2004-06-29 2004-06-29 밭이랑 비닐 피복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8399U KR200362873Y1 (ko) 2004-06-29 2004-06-29 밭이랑 비닐 피복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62873Y1 true KR200362873Y1 (ko) 2004-09-22

Family

ID=494379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18399U KR200362873Y1 (ko) 2004-06-29 2004-06-29 밭이랑 비닐 피복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62873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46592B1 (ko) 2013-12-26 2015-08-21 이상화 비닐 피복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46592B1 (ko) 2013-12-26 2015-08-21 이상화 비닐 피복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1206736A (en) Scarifying tool
US4116604A (en) Corner finishing tool
KR200362873Y1 (ko) 밭이랑 비닐 피복기
KR20030013109A (ko) 비닐피복 파종기
KR200301911Y1 (ko) 밭이랑 비닐 피복기
RU2724517C2 (ru) Рабочий элемент сельскохозяйственной машины, имеющий систему регулировки давления прижима
CN107027388B (zh) 一种用于农业种植挖沟的移动设备
JP6765676B2 (ja) ロール式繰出装置の調量機構
CN204616322U (zh) 烟垄打穴机
KR200259150Y1 (ko) 밭이랑 비닐 피복기
KR200245189Y1 (ko) 밭이랑 비닐 피복기
KR200289851Y1 (ko) 밭이랑 비닐 피복기
CN112602387A (zh) 一种农机用深松机的松土深度调节装置
KR20040039890A (ko) 밭이랑 비닐 피복기
NL9300659A (nl) Grondbewerkingsmachine.
KR200357830Y1 (ko) 농사용 비닐 피복장치
KR20030030236A (ko) 밭이랑 비닐 피복기
KR200245169Y1 (ko) 무동력 비닐 피복기
JPH01215211A (ja) マルチ播種機
KR200206811Y1 (ko) 밭이랑 비닐 피복기
KR200360409Y1 (ko) 비닐 피복장치
KR200221046Y1 (ko) 밭이랑 비닐 피복기
KR102621550B1 (ko) 양방향 전동 피복기
EP0305600B2 (en) A soil cultivating machine
KR20100005035U (ko) 밭이랑 비닐 피복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914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