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46286B1 - 경어뢰 발사대 발사장비의 점검장비 - Google Patents

경어뢰 발사대 발사장비의 점검장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46286B1
KR101546286B1 KR1020130142757A KR20130142757A KR101546286B1 KR 101546286 B1 KR101546286 B1 KR 101546286B1 KR 1020130142757 A KR1020130142757 A KR 1020130142757A KR 20130142757 A KR20130142757 A KR 20130142757A KR 101546286 B1 KR101546286 B1 KR 1015462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supply
supply line
housing
launch device
operation butt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427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59307A (ko
Inventor
정경훈
Original Assignee
정경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경훈 filed Critical 정경훈
Priority to KR10201301427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46286B1/ko
Publication of KR201500593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593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462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462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FAPPARATUS FOR LAUNCHING PROJECTILES OR MISSILES FROM BARRELS, e.g. CANNONS; LAUNCHERS FOR ROCKETS OR TORPEDOES; HARPOON GUNS
    • F41F3/00Rocket or torpedo launchers
    • F41F3/08Rocket or torpedo launchers for marine torpedo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2AMMUNITION; BLASTING
    • F42BEXPLOSIVE CHARGES, e.g. FOR BLASTING, FIREWORKS, AMMUNITION
    • F42B35/00Testing or checking of ammuni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Arrangement Of Elements, Cooling, Sealing, Or The Like Of Lighting Devices (AREA)
  • Electric Cable Install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경어뢰 발사대 발사장치의 점검장비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일단에 함전에 연결되는 콘센트가 구비되고 타단에는 상기 발사장치의 조종상자에 내재된 솔레노이드밸브의 작동스위치 단자와 연결될 수 있도록 단자연결부재가 구비된 전원선과, 상기 전원선 상의 어느 한 부위에 설치되며, 어느 한면에는 램프커버와 작동버튼이 설치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부에 위치한 전원선과 회로적으로 연결되면서 상기 작동버튼에 연결되어 상기 작동버튼의 작동에 따라 전원선을 통전 및 단선시키는 스위치와, 상기 하우징 내부에 위치한 전원선과 회로적으로 연결되면서 전원선의 통전에 따라 상기 램프커버를 통해 외부로 빛을 조사하는 램프를 포함하는 것과 관련된다.
이러한 본 발명은 경어뢰 발사대의 발사장치에 구비된 조종상자 내의 통선륜을 저렴하면서 간단하게 제작될 수 있는 점검장비를 이용하여 수시로 점검할 수 있도록 구성함에 따라 발사장치의 점검 및 유지에 따른 비용의 절감효과는 물론 점검의 효율성과 장비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고, 확실한 전시태세를 유지함과 동시에 발사장치의 오동작을 사전에 방지하여 오발 및 유실에 따른 비용의 손실은 물론 인명 또는 장비 사고를 예방하며, 군의 기강과 이미지 및 신뢰도를 유지 및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경어뢰 발사대 발사장비의 점검장비{Check equipment of launch device for light torpedo launcher}
본 발명은 경어뢰 발사대 발사장치의 고장 유무를 판단할 수 있는 점검장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어뢰는 기본적으로 중어뢰와 경어뢰로 구분되며, 중어뢰의 경우 지름 553mm(21인치)가 흔히 쓰이며 잠수함에서 주로 사용하고, 적 잠수함과 수상 전투함을 공격하는데 사용된다.
무선유도방식을 사용하는 경어뢰와 달리 유선유도방식을 사용해 명중률을 대폭 향상시키고 있으며, 최근에는 광섬유 유도 케이블을 사용하면서 어뢰와 잠수함간에 데이터 전송속도가 빨라졌고 사정거리도 향상되었다.
경어뢰는 수상전투함과 해상초계기 그리고 해상작전헬기에서 주로 사용되고 있으며 지름 324mm(12.75인치)가 흔히 쓰이고, 적의 잠수함을 공격하는데 주로 사용된다.
이와 같은 어뢰는 점점 진화하고 있으며, 전투함의 항적을 추적해 공격하는 항적 추적 어뢰의 경우 적 전투함이 항해중 발생시키는 파도의 미세기포를 고주파로 탐지하여 추적 공격한다. 일반적으로 소나를 이용해 적함을 공격하는 어뢰는 각종 기만 수단에 쉽게 무력화될 수 있지만 항적 추적 어뢰는 이러한 기만 수단을 무시하고 적 전투함을 공격할 수 있다.
이 밖에 러시아에서 개발된 초공동 어뢰는 수중 로켓으로 불릴 만큼 빠른 속도를 낼수 있다. 초공동 어뢰는 초공동 현상을 이용한 것으로 기포로 어뢰를 전부 덮어 수중 저항을 최소화 시켜 빠른 속도를 내며, 특히 구 소련은 1970년 말 최대 시속 380km의 속도를 가지는 쉬크발 초공동어뢰를 개발하는데 성공했고, 이후 러시아는 유도 가능한 초공동 어뢰를 개발 중에 있다. 또한 이란은 후크라는 초공동 어뢰를 개발했으며, 독일은 최대 시속 800km를 내는 바라쿠다 초공동 어뢰를 개발 중에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 중어뢰와 경어뢰를 독자 개발한 몇 안되는 국가 중 하나이며, 지난 2003년 우리 해군에 실전 배치된 중어뢰 백상어는 지는 1990년부터 국방과학연구소가 주도하여 개발을 시작해 1998년 개발에 성공했다.
중어뢰의 경우 유선유도방식을 사용하지만 중어뢰 백상어는 적의 기만에 취약한 무선유도방식의 약점을 극복하기 위해 최신 디지털 분석기술이 적용된 유도장치를 채용한 무선유도방식을 사용하고 있으며, 최고속도는 35노트로 다른 중어뢰에 비해 빠르지는 않지만 잠수함이 어뢰 공격 후 즉시 회피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경어뢰 청상어는 지난 1995년 개발을 시작하여 2004년 11월에 완성되었으며, 천해작전능력은 물론 주변국 핵잠수함에 대응할 수 있도록 최대 운용 심도 600m, 최고 45노트 이상의 속도를 갖고 있다.
경어뢰 청상어는 능동소나에 의해 유도되며 중어뢰 백상어와 같이 전지 추진식으로 작동된다. 이 밖에 해군은 청상어를 변형시킨 한국형 장거리 대잠 미사일 홍상어를 개발중에 있다.
한편 수상전투함에 설치된 경어뢰 발사대에는 경어뢰를 발사하기 위한 발사장치가 구비되며, 이러한 발사장치의 선행기술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095994호 "발사체의 발사감지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발사체"를 통해 개비된 바 있으며, 선행기술을 포함한 종래의 발사장치를 보면 경어뢰 발사를 위하여 조종상자 내에는 솔레노이드밸브와 작동스위치 회로를 포함하는 통선륜이 설치되고, 이러한 통선륜은 발사대로부터 경어뢰를 사출하기 위해 공압을 발사관 내로 분사해주는 회로의 개방을 제어하는 핵심부품으로서, 작동전압 및 정격전류는 AC115V 60㎐, 1.85A이다.
그러나 종래에는 해상을 이동하는 수상전투함의 여건상 해수 및 습기로 인하여 통선륜을 구성하는 부품이 고착되는 경우가 있었으며, 이와 같이 통선륜의 부품이 고착될 경우 발사장치의 작동 불능 및 오작동으로 인하여 장치의 신뢰도가 떨어지게 되면서 전시에서 경어뢰의 정확한 발사가 이루어지지 못하게 되거나, 오작동에 따른 오발사고로 인하여 분실에 의한 비용의 큰 손실은 물론 경우에 따라 인명 또는 장비 사고가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 된 것으로, 경어뢰 발사대의 발사장치에 구비된 조종상자의 통선륜을 점검장비를 이용하여 간단하게 점검할 수 있도록 구성함에 따라 발사장치의 이상유무를 주기적으로 확인하여 전시태세를 확립하고, 오동작에 따른 분실 및 오발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경어뢰 발사대 발사장치의 점검장비를 제공하는 목적이 포함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의하면 본 발명은 일단에 함전에 연결되는 콘센트가 구비되고 타단에는 상기 발사장치의 조종상자에 내재된 솔레노이드밸브의 작동스위치 단자와 연결될 수 있도록 단자연결부재가 구비된 전원선과, 상기 전원선 상의 어느 한 부위에 설치되며, 어느 한면에는 램프커버와 작동버튼이 설치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부에 위치한 전원선과 회로적으로 연결되면서 상기 작동버튼에 연결되어 상기 작동버튼의 작동에 따라 전원선을 통전 및 단선시키는 스위치와, 상기 하우징 내부에 위치한 전원선과 회로적으로 연결되면서 전원선의 통전에 따라 상기 램프커버를 통해 외부로 빛을 조사하는 램프를 포함하는 것과 관련된다.
더 바람직하게 본 발명은 상기 하우징 내부에 위치하는 전원선에는 과전류를 흐름을 방지할 수 있는 퓨즈가 회로적으로 연결된 것과 관련된다.
더 바람직하게 본 발명은 상기 전원선의 일단은 하우징 내부 또는 외부에 구비되는 배터리를 통해 연결되어 배터리의 전원을 공급받아 동작될 수 있도록 한 것 관련된다.
본 발명에 따른 경어뢰 발사대 발사장치의 점검장비는 경어뢰 발사대의 발사장치에 구비된 조종상자 내의 통선륜을 점검장비를 이용하여 수시로 점검할 수 있도록 구성함에 따라 발사장치의 점검 및 유지에 따른 비용의 절감효과는 물론 점검의 효율성과 장비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고, 확실한 전시태세를 유지함과 동시에 발사장치의 오동작을 사전에 방지하여 오발 및 유실에 따른 비용의 손실은 물론 인명 또는 장비 사고를 예방하며, 군의 기강과 이미지 및 신뢰도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이러한 발명의 효과는 발명자가 인지하는지 여부와 무관하게 발명의 구성에 의해 당연히 발휘되게 되는 것이므로 상술한 효과는 본 발명에 따른 몇 가지 효과일 뿐 발명자가 파악한 또는 실재하는 모든 효과를 기재한 것이라 인정되어서는 안 된다.
또한, 본 발명의 효과는 명세서의 전체적인 기재에 의해서 추가로 파악되어야 할 것이며, 설사 명시적인 문장으로 기재되어 있지 않더라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명세서를 통해 그러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인정할 수 있는 효과라면 본 명세서에 기재된 효과로 보아야 할 것이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점검장치를 예시한 사시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점검장치의 내부 회로도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3 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점검장치의 사용상태를 예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토대로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이로 인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고,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한다.
우선, 본 발명에 따른 경어뢰 발사대 발사장치의 점검장비의 구성은 양단에 각각 콘센트(110)와 단자연결부재(120)가 구비된 전원선(100)과, 램프커버(210)와 작동버튼(220)이 구비된 하우징(200)과, 전원선(100)과 회로적으로 연결되는 스위치(400) 및 점등램프(500)를 포함하는 구성요소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하 각 구성요소에 대하여 예시된 도 1 및 도 2 를 통해 상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전원선(100)은,
외부의 전원이 공급되는 부위와 일단이 연결되고, 그 타단은 점검의 대상이 되는 장치와 연결되어 외부의 전원을 점검의 대상이 되는 장치에 인가시켜주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전원선(100)의 일단에 콘센트(110)를 설치하여 함전(AC 115V, 60㎐)(도면중 미도시)에 연결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며, 전원선(100)의 타단에는 단자연결부재(120)를 설치한 것이다.
전원선(100)의 일단은 콘센트(110)를 이용하여 외부 전원인 함전에 연결시킬 수도 있지만 배터리에 직접 연결시켜 배터리의 전원이 공급되도록 구성하게 되면 공간의 제약에 따라 외부 전원과의 연결이 어려운 곳에서도 점검장치를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전원선(100)의 타단에 설치되는 단자연결부재(120)는 발사장치(700)의 조종상자(600) 내에 위치한 솔레노이드밸브(611)의 작동스위치 단자(TB101-1, TB101-2)(612)에 연결되는 것으로서 바람직하게는 단자집게를 사용하여 솔레노이드밸브(611)의 작동스위치 단자(612)에 정확히 연결되도록 한 것이다.
하우징(200)은,
점검장비의 수동 조작 및 작동된 상태를 육안으로 확인하기 위한 것으로서, 하우징(200)은 전술한 전원선(100) 상의 어느 한 부위에 설치되며, 내부에 일정한 공간을 가지는 함체형태로 구성된다.
바람직하게 하우징(200)의 상면 일측에는 푸쉬타입의 작동버튼(220)이 설치될 수 있으며, 이러한 작동버튼(220)과 함께 하우징(200)의 상면 타측에는 후술되는 램프(500)로부터 조사되는 빛을 외부에서 확인할 수 있도록 투명한 재질의 램프커버(210)가 구비된다.
하우징(200)의 작동버튼(220)은 푸쉬타입으로 한정될 필요는 없으며, 슬라이딩타입이나 레버타입 등 사용환경 및 설계조건에 따라 변형될 수 있으며, 작동버튼(220)의 색상 또한 다양하게 선택되어 구성될 수 있다.
하우징(200)의 램프커버(210)는 투명한 재질로 한정될 필요없이 반투명 및 다양한 색상을 가지는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확산부가 더 부가되어 램프(500)로부터 조사되는 빛의 조사량을 확대시키거나 별도의 차단판을 내재시켜 조사각도를 조절할 수도 있는 것이다.
스위치(400)는,
전술한 하우징(200)의 내부에 위치하는 전원선(100)에 회로적으로 연결되어 전원선(100)의 통전 또는 단선을 선택적으로 가변시킬 수 있는 것으로서, 이러한 스위치(400)는 하우징(200)에 설치된 작동버튼(220)과 연결되면서 작동버튼(220)의 작동에 따라 전원선(100)의 어느 한부위를 통전 또는 단선시키는 역할을 한다.
램프(500)는,
전술한 하우징(200)의 내부에 위치하는 전원선(100)에 회로적으로 연결어 전술한 스위치(400)의 작동에 따라 전원선(100)이 통전되면 발광되는 것으로서, 이러한 램프(500)는 하우징(200)에 설치된 램프커버(210)의 안쪽에 위치되어 전원선(100)의 통전에 의해 램프(500)가 발광되면 그 빛이 램프커버(210)를 통해 외부로 조사되도록 한 것이다.
아울러 하우징(200)의 내부에 위치하는 전원선(100)에는 회로의 보호를 위한 퓨즈(2A)(300)가 설치되어 과전류로 인한 장비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요소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경어뢰 발사대 발사장치의 점검장비를 이용한 발사장치의 점검과정을 도 3 을 통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발사장치(700)를 점검하기 위해서는 경어뢰 발사대의 발사장치(700)를 개방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개방된 발사장치(700)의 조종상자(600) 내에 위치한 솔레노이드밸브(611) 및 작동스위치 회로를 포함하는 통선륜(610)에 점검장비를 연결하는 것으로서, 점검장비의 전원선(100) 일단에 구비된 콘센트(110)는 함전(AC 115V, 60㎐)에 연결하고, 전원선(100) 타단의 단자연결부재(120)는 솔레노이드밸브(611)의 작동스위치 단자(TB101-1, TB101-2)(612)에 연결한다.
이때 함전과 솔레노이드밸브(611)의 작동스위치 단자(612)가 점검장비에 의해 서로 연결되더라도 스위치(400)에 의해 전원선(100)은 단선된 상태이므로 함전의 전원은 솔레노이드밸브(611)의 작동스위치 단자(612)에 인가되지 않은 상태이다.
이러한 상태에서 점검자가 하우징(200)의 작동버튼(220)을 눌러주게 되면 스위치(400)의 작동에 따라 전원선(100)이 통전되면서 작동스위치 동작 및 솔레노이드밸브(611)가 작동됨과 동시에 하우징(200) 내부에 위치한 전원선(100)에 연결된 램프(500)가 점등되면서 램프(500)의 빛이 하우징(200)의 램프커버(210)를 통해 외부로 조사되어 점검자는 통전상태를 확인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점검자가 작동버튼(220)을 눌러주게 되면 육안으로 솔레노이드밸브(611) 및 작동스위치의 동작상태를 확인할 수 있으며, 작동되는 소리와 함께 램프(500)의 점등을 통해 통선륜(610)의 정확한 상태를 점검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한 설명을 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 : 전원선 110 : 콘센트
120 : 단자연결부재 200 : 하우징
210 : 램프커버 220 : 작동버튼
300 : 퓨즈 400 : 스위치
500 : 램프 600 : 조종상자
610 : 통선륜 611 : 솔레노이드밸브
612 : 작동스위치 단자 700 : 발사장치

Claims (3)

  1. 대잠 무기체계인 경어뢰 발사대의 발사장치 이상유무를 확인하는 점검장비에 있어서,
    일단에는 함전에 연결되는 콘센트가 구비되고, 타단에는 상기 발사장치의 조종상자에 내재된 솔레노이드밸브의 작동스위치 단자에 각각 연결될 수 있도록 두 갈래로 나뉜 단자연결부가 구비된 전원선;
    상기 전원선 상의 어느 한 부위에 설치되며, 어느 한면에는 램프커버와 작동버튼이 설치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에 위치한 전원선과 회로적으로 연결되면서 상기 작동버튼에 연결되어 상기 작동버튼의 작동에 따라 전원선을 통전 및 단선시키는 스위치;
    상기 하우징 내부에 위치하는 전원선에 과전류의 흐름을 방지할 수 있도록 회로적으로 연결되는 2A퓨즈; 및
    상기 하우징 내부에 위치한 전원선과 회로적으로 연결되면서 전원선의 통전에 따라 상기 램프커버를 통해 외부로 빛을 조사하는 램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어뢰 발사대 발사장치의 점검장비.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선의 일단은 하우징 내부 또는 외부에 구비되는 배터리를 통해 연결되어 배터리의 전원을 공급받아 동작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어뢰 발사대 발사장치의 점검장비.












KR1020130142757A 2013-11-22 2013-11-22 경어뢰 발사대 발사장비의 점검장비 KR1015462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42757A KR101546286B1 (ko) 2013-11-22 2013-11-22 경어뢰 발사대 발사장비의 점검장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42757A KR101546286B1 (ko) 2013-11-22 2013-11-22 경어뢰 발사대 발사장비의 점검장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59307A KR20150059307A (ko) 2015-06-01
KR101546286B1 true KR101546286B1 (ko) 2015-08-21

Family

ID=534904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42757A KR101546286B1 (ko) 2013-11-22 2013-11-22 경어뢰 발사대 발사장비의 점검장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46286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41481A (ja) * 1999-02-22 2000-09-08 Hitachi Plant Eng & Constr Co Ltd 工具点検装置
KR100840995B1 (ko) * 2007-02-22 2008-06-24 국방과학연구소 입수 충격 시험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41481A (ja) * 1999-02-22 2000-09-08 Hitachi Plant Eng & Constr Co Ltd 工具点検装置
KR100840995B1 (ko) * 2007-02-22 2008-06-24 국방과학연구소 입수 충격 시험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59307A (ko) 2015-06-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435622B1 (en) Aquatic vessel fiber optic network
RU2010118389A (ru) Реактивный противолодочный снаряд (варианты)
CN104044714B (zh) 一种火箭式抛绳救生装置
KR101546286B1 (ko) 경어뢰 발사대 발사장비의 점검장비
RU2015114265A (ru) Устройство противоторпедной защиты корабля
US10259549B2 (en) Launch apparatus and vehicle
CN102788538A (zh) 遥控鱼雷
RU2012124981A (ru) Комплекс ложных морских целей
KR20150002986A (ko) 군사용 수중로봇 및 그 운용방법
CN102963513B (zh) 一种拟音潜艇
CN201096482Y (zh) 深海潜艇导弹发射器
RU2576221C1 (ru) Подводная лодка
RU2510355C2 (ru) Реактивный шифровой заряд (варианты)
KR20150009081A (ko) 적함의 추진기 봉쇄장치
Moore The Greenie: The History of Warfare Technology in the Royal Navy
RU2703832C1 (ru) Устройство защиты корабля от торпеды
ES2698270T3 (es) Vehículo subacuático con un sistema operativo de haces ópticos que constituye un arma de energía dirigida
KR102434537B1 (ko) 해상 시험평가용 무인기 및 이를 갖는 해상 시험평가 시스템
KR20230102233A (ko) 발사체의 수직상승 시간지연이 가능한 잠수함 수직발사시스템
CN107764134A (zh) 水中核反应堆泄放炮
RU155406U1 (ru) Мина лаврентьева
CN103105105B (zh) 具有抗激光打击和分离功能的反拦截飞行物
KR20150007385A (ko) 다수의 목표물 공격을 위한 어뢰 운반체
TR201601782A2 (tr) Firlatilan si̇stemlerde bi̇r ayrilabi̇len dengeleme modülü
Slocombe Deployable mine counter measur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8

Year of fee payment: 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