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46254B1 - 해양 심층수를 이용하여 가축의 음용수를 처리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해양 심층수를 이용하여 가축의 음용수를 처리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46254B1
KR101546254B1 KR1020080046378A KR20080046378A KR101546254B1 KR 101546254 B1 KR101546254 B1 KR 101546254B1 KR 1020080046378 A KR1020080046378 A KR 1020080046378A KR 20080046378 A KR20080046378 A KR 20080046378A KR 101546254 B1 KR101546254 B1 KR 1015462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livestock
deep
deep sea
se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463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120528A (ko
Inventor
서희동
Original Assignee
서희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희동 filed Critical 서희동
Priority to KR10200800463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46254B1/ko
Publication of KR200901205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205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462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462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38Other non-alcoholic beverag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70Clarifying or fining of non-alcoholic beverages; Removing unwanted matter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15Inorganic Compounds
    • A23V2250/156Mineral combin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103/00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 C02F2103/08Seawater, e.g. for desalinatio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Water Treatment By Electricity Or Magnetism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해양 심층수(海洋深層水)를 이용하여 가축의 음용수를 처리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해수면(海水面)에서 수심 200m보다 깊은 해저심층(海底深層)의 해양 심층수를 이용하여 가축의 음용수를 처리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해양 심층수를 가축 음용수에 이용에 있어서, 해수면에서 수심 200m보다 깊은 해저심층의 해양 심층수와 지하수 또는 하천수를 정수한 물을 정전압도전처리(靜電壓導電處理)를 하여 가축에 급여하는 것으로 이루어진 것에 특징이 있다.
Figure R1020080046378
해양 심층수(海洋深層水), 지하수, 하천수를 정수한 물, 가축 음용수, 정전압도전처리(靜電壓導電處理)

Description

해양 심층수를 이용하여 가축의 음용수를 처리하는 방법{A method to treat the water to drink of the domestic animal using deep sea water}
본 발명은 해양 심층수(海洋深層水)를 이용하여 가축의 음용수를 처리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해수면(海水面)에서 수심 200m보다 깊은 해저심층(海底深層)의 해양 심층수와 지하수 또는 하천수를 정수한 물을 정전압도전처리(靜電壓導電處理)를 하여 가축의 음용수를 처리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축의 음용수는 지하수 또는 하천수를 정수한 물을 가축에 급여하였으나, 지하수 또는 하천수를 정수한 물 중에는 가축의 성장에 필요한 충분한 미네랄성분이 존재하지 않아 성장속도가 느리면서 육질이 좋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해수면에서 수심 200m보다 깊은 해저심층(海底深層)의 해양 심층수(海洋深層水)를 가축 음용수에 이용하여 가축의 생육(生育)에 유용한 미네랄성분(Mineral components)이 함유된 가축 음용수를 가축에 급여(給與)하여 성장속도(成長速度)와 육질(肉質)이 향상될 수 있는 가축의 음용수에 해양 심층수를 이용하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해양 심층수를 가축 음용수에 이용에 있어서, 해수면에서 수심 200m보다 깊은 해저심층의 해양 심층수와 지하수 또는 하천수를 정수한 물을 정전압도전처리(靜電壓導電處理)를 하여 가축에 급여하는 것으로 이루어진 것에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은 위생적(衛生的)으로 안전(安全)하면서 가축(家畜)의 생장(生長)에 유용한 미네랄성분이 함유된 해양 심층수를 혼합한 가축 음용수를 가축에 급여(給與)하였을 때는 가축의 성장속도(成長速度)와 육질(肉質)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기 때문에 가축 음용수처리에 널리 이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먼저, 해양 심층수(海洋深層水)의 특성을 검토하면, 해양 심층수는 통상 해수면(海水面)에서 수심 200m보다 깊은 해저심층(海底深層)의 해수(海水)를 해양 심 층수라고 부르며, 표층해수(表層海水)와는 달리 햇빛이 닿지 않아 플랑크톤(Plankton) 및 생명체(生命體)가 증식(增殖)하지 못하기 때문에 영양염류(營養鹽類)의 농도가 높으면서 수온에 따른 밀도차이(密度差異)로 표층해수와 혼합되지 않아 표층해수에 존재하는 오염물질(汚染物質)이 없으며, 표층해수와 비교하였을 때 저온안정성(低溫安定性), 오염물질, 유해세균(有害細菌))이나 유기물(有機物)이 매우 적은 청정성(淸淨性), 식물(植物)의 성장(成長)에 매우 중요한 무기영양염류(無機營養鹽類)가 풍부한 부영양성(富營養性)과 다양한 미네랄성분(Mineral components)이 균형 있게 존재하는 미네랄밸런스(Mineral balance)특성과 고압 저온상태에서 긴 세월동안 물 분자의 집단(Cluster)이 소집단화(小集團化)되어 표면장력(表面張力)이 적어 침투성(浸透性)이 좋은 물로 숙성된 숙성성(熟成性) 등의 특성이 있다.
해양 심층수(海洋深層水)란 햇빛이 닿지 않고, 또한, 표층(表層)의 해수(海水)와 섞이지 않는 깊이에 있는 해수로, 통상 해수면(海水面)에서 수심 200m보다 깊은 해저심층(海底深層)의 해수(海水)를 해양 심층수라고 부르고 있으며, 해양 심층수는 표층해수에 비해서 오염물질 및 유해세균이 전혀 함유되어 있지 않으면서 표1의 "해양 심층수와 표층해수의 성분 분석 치"에서 보는 바와 같이 가축(家畜)의 생육(生育)에 필요한 칼슘(Ca), 마그네슘(Mg), 철(Fe), 아연(Zn), 나트륨(Na) 등 주요원소(主要元素)가 70종류를 넘는 다종다양(多種多樣)한 미네랄성분(Mineral components)이 포함되어 있으면서 영양염류(營養鹽類), 생균수(生菌數), 수온(水溫)은 상당한 차이가 있는 특성이 있다.
표1 해양 심층수와 표층해수의 성분 분석 치
구분 울릉도 현포 일본 고지현 무로도(高知縣 室戶)
650m 해양 심층수 표층해수 374m 해양 심층수 표층해수



수온(℃) 0.5 23 11.5 20.3
pH 7.98 8.15
DO 용존산소 (㎎/ℓ) 6 8 7.80 8.91
TOC 유기 탄소 (㎎/ℓ) - - 0.962 1.780
CODMn(㎎/ℓ) 0.2 0.6 - -
용해성 증발잔류물(㎎/ℓ) 47,750 37,590
M-알칼리도 (㎎/ℓ) 114.7 110.5



Cl 염화물이온(wt%) NaCl로 3.41 NaCl로 3.45 2.237 2.192
Na 나트륨 (wt%) 1.080 1.030
Mg 마그네슘(㎎/ℓ) 1,320 1,280 1,300 1,310
Ca 칼슘 (㎎/ℓ) 393 403 456 441
K 칼륨 (㎎/ℓ) 380 414 399
Br 취소 (㎎/ℓ) 68.8 68.1
Sr 스트론튬 (㎎/ℓ) 7.77 7.61
B 붕소 (㎎/ℓ) 4.44 4.48
Ba 바륨(㎎/ℓ) 0.044 0.025
F 불소 (㎎/ℓ) 0.53 0.56
SO4 2 -(㎎/ℓ) 2,833 2,627



NH4 +암모니아태질소(㎎/ℓ) 0.05 0.03
NO3 -질산태질소 (㎎/ℓ) 0.28 0.040 1.158 0.081
PO4 3 -인산태인 (㎎/ℓ) 0.06 0.012 0.177 0.028
Si 규소 (㎎/ℓ) 2.80 0.440 1.890 0.320



Pb 납 (㎍/ℓ) 0.11 0.102 0.087
Cd 카드뮴 (㎍/ℓ) 0.05 0.028 0.008
Cu 구리 (㎍/ℓ) 0.26 0.153 0.272
Fe 철 (㎍/ℓ) 0.22 0.217 0.355
Mn 망간 (㎍/ℓ) 0.27 0.265 0.313
Ni 니켈 (㎍/ℓ) 0.36 0.387 0.496
Zn 아연 (㎍/ℓ) 0.45 0.624 0.452
As 비소 (㎍/ℓ) 0.04 1.051 0.440
Mo 몰리브덴(㎍/ℓ) - 5.095 5.565
Cr 크롬(㎍/ℓ) 0.02

생균수(개/㎖) 0 520 0 540
대장균수(개/㎖) 음성 음성 음성 음성
해양 심층수 이용의 역사는 짧고, 지금까지 수산분야를 시작으로 식품이나 의료, 건강산업, 음료수, 화장품 등의 비수산분야에 있어도, 다양한 연구를 하고 있으며, 해양 심층수는 다음과 같은 특성이 있다.
1. 저온 안전성(低溫 安全性)
표층해수의 수온은 계절에 의해서 큰 폭으로 변동하는데 비해서, 해양 심층수는 계절에 따라서 수온의 변화가 없으면서 저온으로 안정되어 있다.
특히 한국 동해의 해양 심층수는 오호츠크해(Sea of Okhotsk)의 유빙(流氷)이 녹은 찬 해수가 밀도차로 침강(沈降)하여 사할린섬(Ostrov Sakhalin)과 홋카이도(北海道) 사이의 블라디보스토크(Vladivostok) 앞바다로 유입된 심층수로 일본열도가 가로 막혀 흐름이 느려 해수면에서 수심 300m보다 깊은 해저심층에서는 연간을 통해서 수온이 1∼2℃로 하와이나 일본 태평양 연안의 코우치현(高知縣)의 무로토(室戶) 앞바다의 해양 심층수 등에 비해서 8∼11℃ 정도 낮은 특성이 있다.
2. 청정성(淸淨性)
심층에 있으므로 육상의 하천수, 대기로부터의 오염을 받기 어렵고, 화학물질, 오염물질과 세균수가 적다.
① 물리적 청정성
물리적 청정성은 부유물질(浮遊物質), 현탁물질(懸濁物質)이 적다고 하는 것으로 해양 심층수는 표층해수에 비해서 부유고형물질의 함량이 적다.
② 생물학적 청정성
해수의 취수에서 제일문제가 되는 것은 부착생물의 번식인데, 일반적으로, 표층해수의 취수장치에서는 취수 관 내에 부착생물이 번식하는 것으로, 관의 저항이 늘어나 취수불능이 되는 것이 많은데, 해양 심층수는 플랑크톤, (병원성) 미생물, 클로렐라 등의 총생균수는 표층수의 10분의 1에서 100분의 1로 적은 특성이 있다.
③ 화학적 청정성
해양 심층수는 오염된 표층해수와 혼합이 일어나지 않기 때문에 다이옥신이나 PCB, 유기 염소화합물, 유기주석 등 이른바 환경오염물질에 오염되어 있지 않은 특성이 있다.
3. 부영양성(富營養性)
해양 심층수는 표층해수에 비해서 바다생물의 근원이 되는 식물플랑크톤(주로, 엽록소를 가지는 미소의 단세포 식물인 규조)의 영양원이 되는 질소, 인, 규산 등이 표층해수의 약 5∼10배의 무기영양염류가 풍부하게 포함되어 있는 특성이 있다.
해수면에서 수심 150m보다 깊은 해저심층에서 광량은 1% 이하로, 더 이상의 깊이에서는 식물성 플랑크톤은 광합성을 할 수 없기 때문에, 영양소는 식물성 플랑크톤에 의해서 소비되지 않고 아래의 깊은 층으로 가라앉아 축적되어 무기영양염의 농도가 높다.
4. 미네랄의 특성
해수는 70종류를 넘는 원소를 포함하고 있으며, 해양 심층수도 이와 같이 다종 다양한 원소를 포함하고 있는 특성이 있다.
동·식물의 생육에 필요한 주요원소가 많으면서 필요하기는 하지만 다량으로 섭취하면 해가 되는 필수 미량원소인 동, 아연과 같이 사람의 건강에 깊은 관계가 있는 것은 극히 소량 포함되어 있다고 하는 특성이 있다.
5. 숙성성(熟成性)
해양 심층수는 표층해수에 비해 pH가 낮으며(pH 7.8 전후), 유기물 함량이 적으면서, 해양 심층수는 표층해수로부터 분리되어 저온 고압 하에서 긴 세월동안 물 분자의 집단(Cluster)이 적은 소집단화(小集團化)된 소집단수(小集團水, Micro-clustered water)로 수질이 안정되어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원수 저장조(1)에 지하수 또는 하천수를 정수한 물을 공급하고, 해수면에서 수심 200m보다 깊은 해저심층에서 취수된 해양 심층수를 혼합한 다음, 원수를 정전압도전장치 공급펌프(2)로 정전압도전처리장치에 공급하여 정전압처리를 한 다음, 가축 음용수 저장조(9) 보내었다가 가축 음용수 이송펌프(10)로 축사의 가축에 급여한다.
지하수 또는 하천수를 정수한 물을 공급하고, 해수면에서 수심 200m보다 깊은 해저심층에서 취수된 해양 심층수를 혼합하는 양(量)은 닭, 오리, 타조와 같은 조류의 경우는 염분농도가 0.1∼0.3wt%범위로 혼합하고, 돼지의 경우는 염분농도가 0.2∼0.5wt%범위로 혼합하며, 소, 염소, 사슴과 같은 초식동물의 경우는 0.5∼1.0wt%범위로 공급한다.
상기 지하수 또는 하천수를 정수한 물을 원수 저장조(1)에 주입하고, 정전압도전장치 공급펌프(2)로 자성체 충전물(6)이 충전된 정전압도전장치(3) 하부로 공급하여 원수 저장조(1)로 지하수 또는 하천수를 정수한 물과 해양 심층수의 유입유량의 1∼4배의 유량을 반송하면서, 컨트롤박스(8)로부터 0.5∼10볼트(Volt)의 전압을 인가(印加)하여 물을 개질(改質) 한 다음, 가축 음용수 저장조(9)로 보내었다 가, 가축 음용수 이송펌프(10)로 축사의 가축에 급여한다.
자성체 충전물(6)이 충전된 정전압도전장치(3) 내에 원수(유체)가 자기력선(Lines of magnetic force)을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운동하면 전류가 흘러 새로운 자기장(Magnetic field)이 발생하고, 또한, 자기장(Magnetic field) 속에 전류가 흐르면 유체에 힘이 작용하여 운동상태를 바꾼다. 이러한 유체운동과 자기장의 상호작용(相互作用)은 자기유체역학(MHD: Magneto-Hydro Dynamics)에 의해 설명된다.
물(유체)이 자계(磁界)를 형성한 자장 사이로 통과하게 되면 유체의 제타(Zeta) 전위에 변화를 주어 로렌츠의 힘(Lorentz Force)이 발생하게 되어, 물의 구성분자들이 갖고 있는 고유의 총 전하(總電荷)의 자기작용에 외부자기증폭을 가해 줌으로서 단일구성분자로 재구성, 균일한 분자 배열 대에 놓이게 된다. 유체가 물인 경우 물 분자의 클러스터(Cluster) 수치가 작아지면서 분자에너지를 활성화하는 기능 수로 개질 된다. 이것을 학계에서는 분극작용(Polarization)이라 한다.
이렇게 처리된 처리 수는 자성 배열 대에서는 관석(罐石: Scale) 등에 충격을 주어 결합, 응집력을 약하게 하며, 계속하여 자유전자가 공급되면 표면장력이 감소하여 이미 생성된 스케일(Scale)도 서서히 미세화되어 스케일(Scale) 생성이 억제하게 되면서 침투력, 용해력, 세정력, 정화력 등이 향상된 물로 개질 된다.
정전압도전처리 메커니즘(Mechanism)은, 물(유체)을 정전압도전관 내의 자장을 수직방향으로 통과하면, 전기여기작용(電氣勵起作用)이 일어나 에너지(Energy)가 발생하여 물 분자 클러스터(Cluster)의 수소결합(水素結合)이 부분적으로 절단되면서 소형의 클러스터로 분할된다.
자기유체역학(MHD: Magneto-Hydro Dynamics)은, 유체의 흐름에 직각으로 자력선(磁力線)을 주면, 쌍방의 직각의 방향으로 전압(E)이 발생하며, 이 전압(E)은 자력선의 힘(자속밀도: B)과 액체의 유속(V)에 비례한다.
E = V X B, (E: 전압 V: 액체 유속 B: 자속밀도) ………………①
따라서 처리효율을 향상하기 위해서는 자속밀도가 큰 자장을 빠른 속도로 통과해야 한다.
이 기전력(起電力)에 의해서, 유체(물)로부터 자유전자가 빼앗겨(환원현상) 분자의 전자결합이 붕괴하여, 유체(물)의 분자는 미세화된다. 이 현상에 의해서 물 분자의 연쇄결합이 무너져 클러스터(Cluster)가 작아진다.
물 분자는 상호 수소결합(水素結合)에 의해서 집단(Cluster)을 형성하고 있으며, 이와 같은 물(유체)이 정전압도전 관의 자계(磁界) 내를 직각으로 횡단할 때, 물의 자유전자(自由電子)의 분극(分極)이 일어나, 유도전압(誘導電壓)을 발생하며, 이 유도전압에 의해서 전기에너지를 흡수하여 수소결합이 끊어져 물 분자 집단은 소집단화(小集團化)되어 작은 물 분자 집단인 소집단수(小集團水)로 개질 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솔레노이드(Solenoid) 형태의 정전압도전관 내부에 자철광과 같은 자성체를 충전하고 솔레노이드 코일에 전류를 인가하면, 솔레노이드 내부의 자성체는 높은 자속밀도를 가지는 전자석의 역할을 하면서 물의 개질 효율이 우수한 것을 알게 되어, 이의 원리를 이용한 정전압도전장치에 의해서 물을 개질 한다.
본 발명의 정전압도전장치(3)는, 도 1에 나타내듯이, 비자성체(Non-magnetic substance)의 원형 용기(Vessel) 내에 자성체 충전물(6)을 충전(充塡)하고, 외부에는 링(Ring) 모양의 코일 포머(Coil former: 비자성체로 된 코일지지 틀)에 코일(Coil: 5)을 감고, 코일(5) 외부에 냉각관(7)을 설치하고, 코일(5)에 전류를 인가(印加)하였을 때 자기장(Magnetic field)을 생성할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
정전압도전장치(3) 내부에 충전하는 자성체 충전물(6)은 천연에서 채굴(採掘)되는 자철광(磁鐵鑛)을 1∼20㎜Φ 크기로 파쇄한 자철광 괴(塊) 또는 시중에서 판매되는 자성 세라믹스(Ferrite ceramics) 중에서 한 종류를 사용한다.
코일 포머(Coil former: 4)는 폴리염화비닐(Polyvinyl chloride),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폴리에틸렌(Polyethylene), ABS수지(Acrylonitrile butadiene styrene copolymer), 플루오르 수지(Fluororesin), 아크릴 수지(Acrylic resin), 에폭시 수지(Epoxy resin), 베이클라이트(Bakelite), 에보나이트(Ebonite), 플라스틱(Plastic), 유리섬유강화플라스틱(Fiber glass reinforced plastic, FRP), 나무, 알루미늄(Aluminium), 오스테나이트(Austenite) 조직을 가지는 스테인리스 스틸(Stainless steel), 티타늄(Titanium), 아연, 황동, 청동 또는 세라믹스(Ceramics)와 같은 비자성체(非磁性體) 재질 중에서 한 종류를 사용한다.
정전압도전장치(3)의 재질은, 자기누설(Magnetic leakage)을 막기 위하여 비자성체 조직(組織)인 오스테나이트(Austenite) 조직을 가지는 스테인리스 스틸(Stainless steel), 티타늄(Titanium), 알루미늄(Aluminium), 아연, 황동, 청동, 세라믹스(Ceramics), 폴리염화비닐(Polyvinyl chloride), 폴리프로필 렌(Polypropylene), 폴리에틸렌(Polyethylene), ABS 수지(Acrylonitrile butadiene styrene copolymer), 플루오르 수지(Fluororesin), 아크릴 수지(Acrylic resin), 에폭시 수지(Epoxy resin), 베이클라이트(Bakelite), 에보나이트(Ebonite), 플라스틱(Plastic) 또는 유리섬유강화플라스틱(Fiber glass reinforced plastic, FRP) 중에서 한 종류를 사용한다.
컨트롤박스(8)로부터 코일(5)에 인가하는 컨트롤박스(8)로부터 소망의 저전압을 코일(5)에 인가하며, 주파수는 30∼350㎐의 범위로 한다.
정전압도전장치(3) 내부의 자장을 통과하는 물 분자 집단은 피코초(Picosecond)에 순간적으로 소집단화되기 때문에 체류시간은 별 의미가 없으며, 정전압도전장치(3)의 높이(길이)는 50∼120㎝로 한다.
그리고 유체가 정전압도전장치(3) 내부를 통과하는 속도(유속)는 빠를수록 처리효율이 향상되지만, 1.5∼4m/sec 범위로 유로의 단면적(斷面積)을 결정한다.
그리고 코일 포머(4)에 설치된 온도지시계(TI: Temperature indicator)의 온도가 50℃ 이하로 유지되도록 냉각관(7)에 냉각수를 공급한다.
그리고 음용수처리 효율은 다소 떨어지더라도, 상기 해양 심층수 대신 표층해수를 사용할 수도 있다.
[실시 예1]
티타늄 관의 내경(內徑)이 40㎜Φ, 높이가 600㎜인 정전압도전장치(3)에. 내경이 50㎜Φ, 높이(폭)가 400㎜인 베이클라이트 재질의 코일 포머(4)에, 굵기가 3.5㎜Φ인 코일을 3,600회를 감고, 외부에 냉각관(7)을 설치하고, 정전압도전장 치(3) 내부에는 5∼10㎜Φ로 파쇄한 자철광을 충전한 정전압도전장치(3)를 제작하였다.
비육돈 4,000 두를 25㎏에서 110㎏까지 사육하는 양돈농가에서, 30㎥ 용량의 원수 저장조(1)에 지하 150m 암반에서 취수한 지하수를 27㎥/일과 수심 650m에서 취수한 해양 심층수 3㎥/일을 혼합한 물을 정전압도전장치 공급펌프(2)에 의해 정전압도전장치(3) 하부로 10㎥/시간으로 공급하여 7.5㎥/시간의 유량을 원수 저장조(1)로 반송하고, 2.5㎥/시간의 유량은 가축 음용수 저장조(9)로 보내었다가 가축 음용수 이송펌프(10)로 비육돈 2,000 두에 급여하여 사육한 결과는 표2의 내용과 같았다.
그리고 정전압도전장치(3) 외부에 설치된 냉각수코일에 냉각수를 공급하여 코일 포머(4)에 감은 코일의 온도가 40∼50℃ 범위로 유지되게 냉각수를 공급하였다.
[비교 예1]
30㎥ 용량의 음용수 저장조에 실시 예1과 동일한 지하수 30㎥/일로 주입하고, 이 지하수를 평균 25㎏에서 110㎏까지 사육하는 비육돈 2,000 두에 급여하였을 때 결과는 표 2의 내용과 같았다.
실시 예1과 비교 예1의 실험은, 동일 농장에서 사료의 종류와 모든 사육환경은 동일한 조건에서 사육하였다.
표2 비육돈 사육결과
구분 지하수에 해양 심층수를 혼합한 음용수를 급여하여 사육한 실시 예1의 사육결과 지하수를 음료수로 급여하여 사육한 비교 예1의 사육결과
사육일수(일) 76 104




(%)
A 68 23
B 29 42
C 3 28
D _ 7
상기의 표2의 비육돈의 사육결과에서 보는 바와 같이 지하수에 해양 심층수를 혼합하여 사육한 실시 예1의 경우는 1일 증체(增體)가 1.12㎏인데, 지하수만을 음용수로 급여한 비교 예1의 경우는 1일 증체가 0.82㎏로 성장속도가 향상되었으며, 또한, 도축결과 도체등급에서 보는 바와 같이 육질도 향상되는 효과가 있었다.
도 1은 해양 심층수를 이용하여 가축의 음용수를 처리하는 공정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원수 저장조 2: 정전압도전장치 공급펌프
3: 정전압도전장치 4: 코일 포머(Coil former)
5: 코일(coil) 6: 자성체 충전물
7: 냉각관 8: 컨트롤박스
9: 가축 음용수 저장조 10: 가축 음용수 이송펌프
FI: 유량 지시계(Flow indicator) TI: 온도 지시계(Temprtature indicator)

Claims (2)

  1. 지하수 또는 하천수를 정수한 물에 해양 심층수를 혼합한 물을 정전압도전장치 공급펌프(2)로 자성체 충전물(6)이 충전된 정전압도전처리장치(3)에 공급하면서, 컨트롤박스(8)로부터 0.5∼10볼트(Volt)의 전압을 인가(印加)하여 정전압처리를 하여 물을 개질(改質)한 다음, 가축 음용수 저장조(9)로 보내었다가, 가축 음용수 이송펌프(10)로 축사의 가축에 급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양 심층수를 이용하여 가축의 음용수를 처리하는 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의 해양 심층수 대신 표층해수를 사용하여 가축의 음용수를 처리하는 방법.
KR1020080046378A 2008-05-20 2008-05-20 해양 심층수를 이용하여 가축의 음용수를 처리하는 방법 KR1015462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6378A KR101546254B1 (ko) 2008-05-20 2008-05-20 해양 심층수를 이용하여 가축의 음용수를 처리하는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6378A KR101546254B1 (ko) 2008-05-20 2008-05-20 해양 심층수를 이용하여 가축의 음용수를 처리하는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20528A KR20090120528A (ko) 2009-11-25
KR101546254B1 true KR101546254B1 (ko) 2015-08-26

Family

ID=416037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46378A KR101546254B1 (ko) 2008-05-20 2008-05-20 해양 심층수를 이용하여 가축의 음용수를 처리하는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4625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98158B1 (ko) 2020-09-02 2021-01-04 이상국 천연광물 미네랄 이온 교환을 통한 성분 강화로 장내 유용미생물을 활성화하는 가축 음용수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98158B1 (ko) 2020-09-02 2021-01-04 이상국 천연광물 미네랄 이온 교환을 통한 성분 강화로 장내 유용미생물을 활성화하는 가축 음용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20528A (ko) 2009-1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57096B1 (ko) 해양 심층수로부터 차 음료제조용수를 생산하는 방법과이를 차 음료제조에 이용하는 방법
KR100589795B1 (ko) 해양 심층수로부터 음료수를 생산하는 방법
KR101433371B1 (ko) 간수를 첨가한 음용수를 가축에 급여하는 방법
Hassan et al. Exposure effect of magnetic field on water properties in recirculation aquaculture systems (RAS)
KR20070022986A (ko) 해양 심층수나 해저 심층암반수로부터 음료수의 제조방법
CN105960380A (zh) 排水处理方法
KR100850378B1 (ko) 해양 심층수로부터 환원성 알칼리이온 음료수의 제조방법
KR101546254B1 (ko) 해양 심층수를 이용하여 가축의 음용수를 처리하는 방법
KR101037280B1 (ko) 해양 심층수로부터 생산된 간수를 이용하여 상토를 만드는방법
KR20070018169A (ko) 해양 심층수로부터 먹는 심층수(음료수)의 제조방법
CN112742320A (zh) 改变极性液体的性质的方法和系统
Musa et al. Fish Pond Effluent Effect on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Soils in Southern Guinea Savanna
KR100878350B1 (ko) 전위차법에 의한 조류 및 영양염류의 연속 제거장치 및방법
KR101626793B1 (ko) 해양 심층수를 이용하여 가축의 음용수를 처리하는 방법
KR20070057064A (ko) 해양 심층수로부터 미네랄첨가제를 제조하는 방법
KR100838058B1 (ko) 해수를 이용하여 가축의 음용수를 처리하는 방법
Klas et al. Fish survival in groundwater-desalination concentrate
Patel et al. Physiochemical analysis of treated industrial effluent collected from Ahmedabad mega pipeline
KR101170880B1 (ko) 해양 심층수를 이용하여 가축 음용수를 처리하는 방법
KR20220116158A (ko) 극성 액체의 성질을 변화시키는 방법
KR101285548B1 (ko) 유기성 폐기물을 액비화하는 방법
CN112742319A (zh) 改变极性液体的性质的方法
KR100958848B1 (ko) 해양 심층수 또는 해저 심층암반수로부터 사료첨가제를 제조하는 방법과 이를 이용하는 방법
Yusuf et al. Phosphorus reduction in batch culture using seed sludge of wastewater
KR101047866B1 (ko) 해수로부터 생산된 간수를 이용하여 유기성 폐수를 처리하는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